KR20230126443A -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 - Google Patents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443A
KR20230126443A KR1020220023604A KR20220023604A KR20230126443A KR 20230126443 A KR20230126443 A KR 20230126443A KR 1020220023604 A KR1020220023604 A KR 1020220023604A KR 20220023604 A KR20220023604 A KR 20220023604A KR 20230126443 A KR20230126443 A KR 20230126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charge pipe
water discharge
cap
adjustment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용섭
Original Assignee
노용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용섭 filed Critical 노용섭
Priority to KR1020220023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6443A/ko
Publication of KR20230126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4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65D25/44Telescopic or retractable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물병의 상단에 간편하게 장착 사용하는 물통캡에 토출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여, 일상이 또는 운동 중에 물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하는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통의 상단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의 내측에서 일측 전방으로 출입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물을 마시도록 토출되는 물 배출관과; 상기 캡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물 배출관을 전/후방으로 출입 가능하게 작동하기 위한 각 스프링 연결 수단을 갖는 작동 구동부와; 상기 캡 본체의 상단에서 상기 작동 구동부와 연계 설치되어 원터치 조작하기 위한 조정 노브와; 상기 물 배출관의 출입 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물 배출관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회전 마개를 더 포함하고, 물통과 연결된 빨대를 상기 물 배출관과 연계하여 조정 노브의 작동으로 물 배출관을 순간 토출시켜 물통의 물을 마시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 {Water pail cap having discharge function}
본 발명은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일반 물병의 상단에 간편하게 장착 사용하는 물통캡에 토출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여, 일상 또는 운동 중에 물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하는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이나 음료 등을 담아서 휴대 및 보관하도록 하는 여러 형태의 물통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물통은 뚜껑을 개폐하여 바로 물을 마시도록 한 형태이거나 빨대를 장착하여 물을 외부로 흘리지 않고 안전하게 물을 마실 수 있도록 제공된 바 있다.
빨대가 내장된 물통은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유아나 어린이들은 물론이고 어른들도 여행, 등산, 운동 등에 자주 들고 다니면서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자전거를 타는 동안이나 또는 각종 산업 현장에서도 손쉽게 휴대할 수 있고, 별도의 컵이 없이도 간편하게 내용물을 마실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는 관계로 점차적으로 다양한 물병 및 물통캡 등의 그 수요가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빨대가 내장된 물통은 일예를 들어 살펴보면, 이는 실용신안등록 제181029호(출원번호 제20-1997-16228호)를 제시하고 있다.
이는 물통을 개폐하도록 하는 뚜껑의 상부에 반구형의 돌출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돌출부에는 곡면을 따라 삽입홈이 형성되고, 그 삽입홈의 상부에는 연질의 빨대가 체결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통공의 저면에는 물통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안내 호스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에는 힌지축을 회전축으로 개폐 작동되는 커버가 설치되어 뚜껑의 돌추부상에 형성된 삽입홈을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를 일측으로 개방하게 되면 커버에 의해 압착되어 있던 빨대가 자체의 탄성에 의해 수직으로 출몰됨으로써, 사용자는 빨대를 손으로 잡지 않고도 물통내의 물을 간편하고도 손쉽게 음용할 수 있는 것이고, 이와는 반대로 물통을 휴대 및 보관할 경우에는 커버를 원위치로 닫게 되면 커버가 빨대를 압착하여 삽입홈 내측으로 삽입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압착되는 빨대는 연질로 형성됨에 따라 뚜껑에 형성된 통공을 밀폐하게 됨으로써 물통내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뚜껑 상에 형성되는 커버의 개폐 작동에 의해 빨대가 출몰되도록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에 따른 빨대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기대되는 효과를 얻기가 어려웠다.
즉, 빨대의 탄성력이 저하됨으로서 사용시 빨대가 수직으로 돌출되지 못하여 사용의 불편함이 발생되었을 뿐만 아니라, 연질의 빨대가 접히면서 물의 배출통로를 폐쇄토록 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빨대가 매번 휘어지면서 이 휘어진 부위가 집중적으로 손상을 입어 물이 누수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따랐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이외도 뚜껑에 체결되는 커버가 단순히 힌지축을 회전축으로 개폐 작동되는 구성에 의해 휴대 중에도 쉽게 열리는 등 개폐 작동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특히, 자전거를 타는 경우에는 빨대 이용에 따른 물통에서 물 공급이 원활히 공급되지 못하여 자전거를 타는 도중에 물의 양을 확인하는 과정에 따라 순간 안전사고에 위험에 쉽게 노출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Y1 제20-0181029호(2000.02.24)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물통에 간단하게 장착하여 물통의 물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통캡의 상단에 설치되는 조정 노브를 통하여 물 배출관을 한 번에 신속하게 인출시켜 바로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통캡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나의 조정 노브를 통하여 물 배출관의 인출 및 인입을 바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멸의 또 다른 목적은 물통캡에 설치되는 물 배출관의 입구부에 회전 마개를 제공하여 사용 후에 물 배출관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통캡에 원터치식으로 설치된 물 배출관의 인출 구조를 통하여 손으로 잡지 않고도 물을 간편하게 마실 수가 있어 매우 위생적이고, 사용성, 구조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는 물통캡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통의 상단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의 내측에서 일측 전방으로 출입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물을 마시도록 토출되는 물 배출관과; 상기 캡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물 배출관을 전/후방으로 출입 가능하게 작동하기 위한 각 스프링 연결 수단을 갖는 작동 구동부와; 상기 캡 본체의 상단에서 상기 작동 구동부와 연계 설치되어 원터치 조작하기 위한 조정 노브와; 상기 물 배출관의 출입 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물 배출관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회전 마개를 더 포함하고, 물통과 연결된 빨대를 상기 물 배출관과 연계하여 조정 노브의 작동으로 물 배출관을 순간 토출시켜 물통의 물을 마시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캡 본체는 내측에 상기 물 배출관이 토출되도록 수용되고, 상기 작동 구동부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형성되는 상단 수용부와; 상기 상단 수용부의 하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내측으로 물병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하단 수용부와; 상기 상단 수용부의 일측으로 관통되어 물 배출관이 인입 및 인출되기 위한 개방구와; 상기 상단 수용부의 내측 바닥면에서 개방구와 일직선상으로 평평하게 돌출 형성되어 물 배출관의 바닥면과 밀착 지지되기 위한 평탄 지지부와; 상기 평탄 지지부의 중심쪽에서 관통되어 빨대와 연결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빨대 연결공과; 상기 빨대 연결공의 인접 지역에 관통되어 내부 공기압을 조절하도록 관통되는 에어홀과; 상기 상단 수용부의 내측 바닥면에서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덮개와 피스 조립되기 위한 피스 돌기부; 및, 상기 상단 수용부의 내측 바닥면에서 일곳에 돌출되어 작동 구동부의 하나인 스프링의 단부를 걸림 고정하기 위한 걸림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잇다.
또한, 상기 캡 본체의 덮개에는 그 상측면에 경사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 스토퍼를 더 형성하되, 상기 조정 노브이 후방 내측이 돌기 스토퍼에 걸리면서 조정 노브와 연계된 물 배출관의 전방 진출을 단속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배출관은 개방된 전방의 입구에서 내부까지 관통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 상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조정 노브와 핀 연결되기 위한 힌지축 돌기와; 바닥 하단부에 관통되어 빨대와 연결되기 위한 빨대 접속공과; 상기 베이스의 측면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작동 구동부의 구성에서 인장 스프링의 일단부가 걸려 고정되기 위한 스프링 고정돌기와; 상기 베이스의 양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 마개를 힌지축 결합하는 축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 구동부는 상기 물 배출관의 상단에 일단이 결속되고, 타단이 조정 노브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있으며 물 배출관의 후방 인입에 따른 조정 노브의 일측 누름에 대한 탄성 지지력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핀 스프링과; 일단이 캡 본체의 내측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이 물 배출관의 측면에 연결 고정되어 물 배출구의 전/후방 입출 시에 탄성력을 부과하도록 설치되는 인장 스프링과; 상기 캡 본체의 상단 내측면에 밀착 결합되어 캡 본체 내측에서 전/후방 이동하는 물 배출관의 상승을 억제하여 밀착력을 강화하도록 하여 내부 누수를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누름 작동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 노브는 상부 및 양측이 평평하고 내측 바닥면이 일정 공간부로 형성되는 박스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 관통되어 상기 물 배출관의 상단과 힌지축 결합되기 위한 핀공과; 상기 몸체의 상부면 중심 일측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손을 파지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조정 노브의 몸체는 일단 양측면이 경사지는 경사부를 더 가지며, 사용자가 경사부를 눌러 주면서 조정 노브의 후방 이동으로 상기 캡 본체의 덮개에 형성된 돌기 스토퍼에 조정 노브의 후방 내측 공간부를 걸림 작동되는 순간 후방 들림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마개는 하나의 수평체와; 상기 수평체에서 일체로 양측으로 분리 돌출되는 양측 연장체와; 상기 양측 연장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물 배출관의 좌우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축돌기에 대응하여 결합되기 위한 축공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회전 마개는 캡 본체에서 물 배출관이 인출 시에 물 배출관의 양측면에서 순간 회전하여 하부로 개방되며, 캡 본체에서 물 배출관의 인입 시에 물 배출관이 회전마개를 캡 본체의 내측으로 끌고 들어가면서 순간 회전되어 물 배출구의 개방입구를 반자동으로 밀폐하도록 작동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 물통에 간단하게 장착하여 물통의 물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통캡의 상단에 설치되는 조정 노브를 통하여 물 배출관을 한 번에 신속하게 인출시켜 바로 물을 음용할 수 있는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통캡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나의 조정 노브를 통하여 물 배출관의 인출 및 인입을 바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통캡에 설치되는 물 배출관의 입구부에 회전 마개를 제공하여 사용 후에 물 배출관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통캡에 원터치식으로 설치된 물 배출관의 토출 구조를 통하여 손으로 잡지 않고도 물을 간편하게 마실 수가 있어 매우 위생적이고, 사용성, 구조성은 물론 자전거 라이딩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되는 물통캡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 보인 실시 예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의 전체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에 따른 전체 부품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에 따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에 따른 저면 사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에 따른 토출 수단의 작동 전/후를 보인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과 물통이 결합된 것을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을 보인 실시 예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100)은 물통(10)의 상단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캡 본체(110)와; 상기 캡 본체(110)의 상단을 마감하여 덮어지도록 설치되는 덮개(120)와; 상기 덮개(120)의 상단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여 원터치 작동하기 위한 조정 노브(130)와; 상기 조정 노브(130)와 연계된 작동으로 상기 캡 본체(110)의 내측에서 일측 전방으로 입출입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물을 음용하기 위한 물 배출관(140)과; 상기 캡 본체(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조정 노브(130)와 연계된 물 배출관(140)을 전/후방으로 출입 가능하게 작동하기 위한 스프링 연결 수단을 갖는 작동 구동부(150)와; 상기 물 배출관(140)의 출입 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물 배출관(140)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마개(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100)은 기본으로 제공되는 빨대(11)가 구비된 물통(10)에서 빨대(11)를 물통캡(100)의 하부로 연결하여 물 배출관(140)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설치되어 물통의 뚜껑 역할과 물을 음용하는 수단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도 7참조).
캡 본체(110)는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빨대를 갖는 물통과 결합하거나 또는 물병의 뚜껑을 교체하여 빨대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내측에 상기 물 배출관(140)이 토출되도록 수용되고, 상기 작동 구동부(150)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형성되는 상단 수용부와(111)와; 상기 상단 수용부(111)의 하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내측으로 물병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하단 수용부(112)와; 상기 상단 수용부(111)의 일측으로 관통되어 물 배출관(140)이 인입 및 인출되기 위한 개방구(113)와; 상기 상단 수용부(111)의 내측 바닥면에서 개방구(113)와 일직선상으로 평평하게 돌출 형성되어 물 배출관(140)의 바닥면과 밀착 지지되기 위한 평탄 지지부(114)와; 상기 평탄 지지부(1114)의 중심쪽에서 관통되어 빨대(11)와 연결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빨대 연결공(115)과; 상기 빨대 연결공(115)의 인접 지역에 관통되어 내부 공기압을 조절하도록 관통되는 에어홀(116)과; 상기 상단 수용부(111)의 내측 바닥면에서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덮개부(115)와 피스 조립되기 위한 피스 돌기부(117); 및, 상기 상단 수용부(111)의 내측 바닥면에서 일곳에 돌출되어 작동 구동부의 하나인 스프링의 단부를 걸림 고정하기 위한 걸림 돌출부(118);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구(113)는 양측으로 일부 절개부위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마개의 회전에 따른 여유 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탄 지지부(114)는 좌우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는 단턱(114a)이 형성되며, 단턱 구조의 안쪽으로 물 배출관(140)의 하단부가 밀착 수용되는 평탄면(114b)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 평탄면을 통하여 물 배출관의 원활한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빨대 연결공(115)과 에어홀(116)의 주변에는 환 형태로 각각 둘레요홈(115a)(116a)을 더 형성할 수 있으며, 각 둘레요홈(115a)(116a)에는 각각 물 누수를 차단하기 위한 고무패킹(119)을 각각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덮개부(120)는 평평한 구조의 몸체(121)와; 상기 몸체(121)의 둘레부를 따라 일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단 수용부(111)의 상측 안쪽으로 포개어지도록 결합되는 하측 연장부(122)와; 상기 몸체(121)의 일면 중심부에 일정 길이방향으로 길게 관통되어 상기 조정 노브(130)의 일단부를 안쪽으로 수용하여 물 배출관(140)과 연계하도록 형성되는 장공(123)과; 상기 몸체(121)의 양측 일곳에 관통 형성되어 캡 본체(110)의 상단 수용부(111)와 피스 조립되기 위한 피스공(124)과; 상기 몸체(121)의 상측면에 일곳에서 경사면(125a)을 갖고 돌출 형성되는 돌기 스토퍼(12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 스토퍼(125)는 상기 장공(123)의 후방으로 일직선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정 노브(130)이 후방 내측이 돌기 스토퍼(125)의 경사면 타고 넘으면서 걸리도록 하여 조정 노브(130)와 연계된 물 배출관(140)의 전방 진출을 단속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덮개(120)는 그 몸체(121)의 하측 바닥면 안쪽에 홈 형태로 단턱지는 둘레단 홈부(127)를 더 가지도록 형성하되, 이 둘레단 홈부(127)에는 작동 구동부(150)로써 누름 작동 스프링(155)이 내설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 배출관(140)은 상기 평탄 지지부(114)에 완전 밀착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전/후방 이동되는 것으로서, 완전 밀착은 덮개부(120)의 하측 바닥면에 형성되는 둘레단 홈부(127)에 장착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누름 작동 스프링(155)에 의해 물 배출관(140)의 상단부를 누르고 있는 구조를 취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조정 노브(130)는 상부 및 양측이 평평하고 내측 바닥면이 일정 공간부로 형성되는 박스 형태의 몸체(131)와; 상기 몸체(131)의 양측면에 관통되어 상기 물 배출관(140)의 상단과 힌지축 결합되기 위한 핀공(133)과; 상기 몸체(131)의 상부면 중심 일측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손을 파지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 돌기(13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 노브(130)의 몸체(131)는 일단 양측면이 경사지는 경사부(137)를 더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경사부(137)가 형성된 몸체부 쪽을 눌러 주면서 조정 노브(13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덮개부(120)에 형성된 돌기 스토퍼(125)에 조정 노브(130)의 후방 내측 공간으로 돌기 스토퍼(125)가 순간 삽입되어 걸림 작동되는 것으로 조정 노브(130)와 연결된 물 배출관(140)이 캡 본체(110) 내에 수용되어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조정 노브(130)의 경사부(137)가 형성된 몸체부 쪽을 눌러 줄 경우에는, 조정 노브(130)는 그 후방부가 들려 있는 상태로서 상기 덮개부(120)의 돌기 스토퍼(125)에 걸린 후에는 조정 노브(130)의 후방부는 복원되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정 노브의 몸체가 들린 후에 복원력은 작동 구동부로서 핀 스프링(151)에 의해 가능하다.
물 배출관(140)은 개방된 전방의 입구(141a)에서 내부까지 관통된 베이스(141)와; 상기 베이스(141)의 일측 상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조정 노브(130)와 핀(P) 연결되기 위한 힌지축 돌기(143)와; 바닥 하단부에 관통되어 빨대와 연결되기 위한 빨대 접속공(145)과; 상기 베이스(141)의 측면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작동 구동부(130)의 구성에서 인장 스프링(153)의 일단부가 걸려 고정되기 위한 스프링 고정돌기(147)와; 상기 베이스(141)의 양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마개(160)를 힌지축 결합하기 위한 축돌기(149)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작동 구동부(150)는 상기 물 배출관(140)의 상단에 일단이 결속되고, 타단이 상기 조정 노브(130)의 경사부가 있는 바닥면에 지지되어 있으며 물 배출관(140)의 후방 인입에 따른 조정 노브(130)의 일측 누름에 대한 탄성 지지력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핀 스프링(151)과; 일단이 캡 본체(110)의 내측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이 물 배출관(140)의 측면에 연결 고정되어 물 배출관(140)의 전/후방 입출 시에 탄성력을 부과하도록 설치되는 인장 스프링(153)과; 상기 덮개(120)의 하단 바닥면 내측에 밀착 결합되어 캡 본체 내측에서 전/후방 이동하는 물 배출관(140)의 상승을 억제하여 밀착력을 강화하도록 하여 내부 누수를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누름 작동 스프링(155)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 스프링(151)은 일단에서 상/하 양측으로 “ㄷ”자 형태로 분리 형성되어 점점 경사지도록 벌어지는 탄성편(151a)(151b)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측의 탄성편(151a)은 상기 조정 노브(130)의 경사부(137)가 있는 내측 바닥면에 걸림 지지되고, 하측의 탄성편(151b)은 물 배출관(140)의 일측 상부면에 핀공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조정 노브(130)의 경사부가 있는 전방 쪽을 누르고 있을 경우 조정 노브(130)의 후방이 들리도록 하고, 덮개(120)의 걸림 스토퍼(125)에 접근하여 걸림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조정 노브(130)의 들린 후방은 평행으로 복원되어 걸림 스토퍼(125)에 걸려 있게 되어 조정 노브(130)의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장 스프링(153)은 일단이 상기 캡 본체(110)의 걸림 돌출부(118)와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물 배출관(120)의 스프링 고정돌기(147)에 걸림 고정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정 노브(130)가 상기 덮개(120)의 걸림 스토퍼(125)에 걸려 고정이 이루어질 경우 인장 스프링(153)은 늘어난 상태로서 조정 노브(130)가 걸림 스토퍼(125)에서 해체될 경우에는 스프링이 복원되어 원상 복귀된다.
즉, 상기 조정 노브(130)가 걸림 스토퍼(125)에 걸려 있는 경우가 물 배출관(140)이 캡 본체(110)에 내장된 상태이고, 상기 조정 노브가(130)가 걸림 스토퍼(125)에서 벗어나 걸림이 해체될 경우에는 물 배출관(140)이 캡 본체(110)의 내측에서 밖으로 인출되어 물을 마실 수 있는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 작동 스프링(155)은 일단에서 양측으로 “ㄷ”자 형태로 일정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좌우 탄성편(155a)(155b)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편(155a)(155b)의 중심부 정도에는 일정 경사각으로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 탄성부(155c)를 더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덮개(120)의 하측 바닥면 안쪽에 형성되는 둘레단 홈부(127)에 상기 누름 작동 스프링(155)이 끼움 결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누름 작동 스프링(155)의 좌우 탄성편(155a)(155b)이 상기 둘레단 홈부(127)에 끼움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경사 탄성부(155c)는 상기 물 배출관(140) 상단부를 탄력적으로 누르고 있는 상태를 취하는 것으로, 상기 물 배출관(140)이 상기 평탄 지지부(114)에 완전 밀착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전/후방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면서 물 배출관(140)의 상단부를 지속적으로 누르고 있는 구조를 취하여 물 배출관이 상부로 들뜨는 경우에 대비하여 물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마개(160)는 하나의 수평체(161)와; 상기 수평체(161)에서 일체로 양측으로 분리 돌출되는 좌우 연장체(163)와; 상기 좌우 연장체(163)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물 배출관(140)의 좌우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축돌기(149)에 대응하여 결합되기 위한 축공(165)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마개(160)는 캡 본체(110)에서 물 배출관(140)이 인출 시에 물 배출관(140)의 양측면에서 순간 회전하여 하부로 개방되며, 캡 본체(110)에서 물 배출관(140)의 인입 시에 물 배출관(140)이 회전마개(160)를 캡 본체(110)의 내측으로 끌고 들어가면서 순간 상기 캡 본체(110)의 개방구(113)의 하단에 부딪치면서 상측으로 반자동 접히는 형태로 회전되어 물 배출관(140)의 개방입구를 반자동으로 밀폐하도록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의한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설명은 상기 구조 설명에 따르며, 물 배출관의 인입은 인출의 역순으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에 따른 토출 수단의 작동 전/후를 보인 사용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과 물통이 결합된 것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100)은 기본으로 제공되는 빨대(11)가 구비된 물통(10)에서 빨대(11)를 물통캡(110)의 하부로 연결하여 물 배출관(140)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설치되어 물통의 뚜껑 역할과 물을 음용하는 수단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먼저, 물통(10)에 물통캡(100)이 결합된 상태에서 물통캡(100)의 조정 노브(130)를 사용자가 경사진 조정 노브(130)의 전방 부분을 눌러 준다.
이때 조정 노브(130)의 후단부는 걸림 스토퍼(125)에 걸려 고정된 상태이고, 캡 본체(110)의 내측에 마련되는 작동 구동부(150)인 인장 스프링(153)은 스프링이 늘어난 상태이다.
다음, 조정 노브(140)는 핀(P)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방이 들린다.
그런 다음, 조정 노브(130)는 걸림 스토퍼(125)에서 순간 벗어나면서 캡 본체(110)의 내측에 설치된 인장 스프링(153)의 복원력을 받으면서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조정 노브(130)와 핀(P) 결합된 캡 본체(110)의 내측에서 연결된 물 배출관(140)도 함께 전방 개방구(113)를 향해 이동한다.
다음으로, 캡 본체(110)의 내측에 설치된 인장 스프링(153)의 복원력을 받으면서 캡 본체(110)의 내부에서 외부로 개방구(113)를 통해 외부로 물 배출관(140)을 인출시킨다. 이때 물 배출관(140)이 인출되면서 순간 회전 마개(160)는 자중에 의해 하부로 회전하여 막고 있던 물 배출관(140)의 전방을 개방한다.
끝으로, 사용자는 물 배출관(140)을 통해 물통(10)의 물을 빨대(11)를 통하여 음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100)은 토출 수단으로 조정 노브(130)와 하나로 연결된 물 배출관(140)을 작동 구동부(150)인 인장 스프링(153)의 인장력 및 복원력을 이용한 토출 수단으로 안정되게 물 배출관을 순간 인출 및 인입 할 수 있는 간단하고 안정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작동 구동부인 핀 스프링(151)의 탄성력을 이용한 조정 노브(130)의 원터치 조작으로 물 배출관(140)의 토출을 순간 온/오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작동 구동부인 누름 작동 스프링(155)에 의해 항시 물 배출관(140)을 누르고 있는 구조를 통해서 조정 노브의 잦은 원터치 작동에도 물 배출관의 이동에 따른 내부에서 물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내구성을 높이는 구조의 물통캡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물통캡
110 : 캡 본체
111 : 상단 수용부
112 : 하단 수용부
113 : 개방구
114 : 평탄 지지부
115 : 빨대 연결공
116 : 에어홀
117 : 피스 돌기부
118 : 걸림 돌출부
120 : 덮개
121 : 멈체
122 : 하측 연장부
123 : 장공
124 : 피스공
125 : 돌기 스토퍼
125a : 경사면
127 : 둘레단 홈부
130 : 조정 노브
131 : 몸체
133 : 핀공
135 : 손잡이 돌기
137 : 경사부
140 : 물 배출관
141 : 베이스
143 : 힌지축 돌기
145 : 빨대 접속공
147 : 스프링 고정돌기
149 : 축돌기
150 : 작동 구동부
151 : 핀 스프링
153 : 인장 스프링
155 : 누름 작동 스프링
160 : 회전 마개

Claims (7)

  1. 물통의 상단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의 내측에서 일측 전방으로 출입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물을 마시도록 토출되는 물 배출관과;
    상기 캡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물 배출관을 전/후방으로 출입 가능하게 작동하기 위한 각 스프링 연결 수단을 갖는 작동 구동부와;
    상기 캡 본체의 상단에서 상기 작동 구동부와 연계 설치되어 원터치 조작하기 위한 조정 노브와;
    상기 물 배출관의 출입 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물 배출관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회전 마개를 더 포함하고,
    물통과 연결된 빨대를 상기 물 배출관과 연계하여 조정 노브의 작동으로 물 배출관을 순간 토출시켜 물통의 물을 마시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는
    내측에 상기 물 배출관이 토출되도록 수용되고, 상기 작동 구동부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형성되는 상단 수용부와;
    상기 상단 수용부의 하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내측으로 물병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하단 수용부와;
    상기 상단 수용부의 일측으로 관통되어 물 배출관이 인입 및 인출되기 위한 개방구와;
    상기 상단 수용부의 내측 바닥면에서 개방구와 일직선상으로 평평하게 돌출 형성되어 물 배출관의 바닥면과 밀착 지지되기 위한 평탄 지지부와;
    상기 평탄 지지부의 중심쪽에서 관통되어 빨대와 연결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빨대 연결공과;
    상기 빨대 연결공의 인접 지역에 관통되어 내부 공기압을 조절하도록 관통되는 에어홀과;
    상기 상단 수용부의 내측 바닥면에서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덮개와 피스 조립되기 위한 피스 돌기부; 및,
    상기 상단 수용부의 내측 바닥면에서 일곳에 돌출되어 작동 구동부의 하나인 스프링의 단부를 걸림 고정하기 위한 걸림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의 덮개에는 그 상측면에 경사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 스토퍼를 더 형성하되,
    상기 조정 노브이 후방 내측이 돌기 스토퍼에 걸리면서 조정 노브와 연계된 물 배출관의 전방 진출을 단속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기능을 갖는 물통캡.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배출관은,
    개방된 전방의 입구에서 내부까지 관통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 상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조정 노브와 핀 연결되기 위한 힌지축 돌기와;
    바닥 하단부에 관통되어 빨대와 연결되기 위한 빨대 접속공과;
    상기 베이스의 측면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작동 구동부의 구성에서 인장 스프링의 일단부가 걸려 고정되기 위한 스프링 고정돌기와;
    상기 베이스의 양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 마개를 힌지축 결합하는 축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기능을 갖는 물통캡.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구동부는,
    상기 물 배출관의 상단에 일단이 결속되고, 타단이 조정 노브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있으며 물 배출관의 후방 인입에 따른 조정 노브의 일측 누름에 대한 탄성 지지력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핀 스프링과;
    일단이 캡 본체의 내측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이 물 배출관의 측면에 연결 고정되어 물 배출구의 전/후방 입출 시에 탄성력을 부과하도록 설치되는 인장 스프링과;
    상기 캡 본체의 상단 내측면에 밀착 결합되어 캡 본체 내측에서 전/후방 이동하는 물 배출관의 상승을 억제하여 밀착력을 강화하도록 하여 내부 누수를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누름 작동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기능을 갖는 물통캡.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노브는,
    상부 및 양측이 평평하고 내측 바닥면이 일정 공간부로 형성되는 박스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 관통되어 상기 물 배출구의 상단과 힌지축 결합되기 위한 핀공과;
    상기 몸체의 상부면 중심 일측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손을 파지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조정 노브의 몸체는 일단 양측면이 경사지는 경사부를 더 가지며,
    사용자가 경사부를 눌러 주면서 조정 노브의 후방 이동으로 상기 캡 본체의 덮개에 형성된 돌기 스토퍼에 조정 노브의 후방 내측 공간부를 걸림 작동되는 순간 후방 들림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기능을 갖는 물통캡.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마개는
    하나의 수평체와;
    상기 수평체에서 일체로 양측으로 분리 돌출되는 양측 연장체와;
    상기 양측 연장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물 배출관의 좌우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축돌기에 대응하여 결합되기 위한 축공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회전 마개는 캡 본체에서 물 배출관이 인출 시에 물 배출관의 양측면에서 순간 회전하여 하부로 개방되며,
    캡 본체에서 물 배출관의 인입 시에 물 배출관이 회전마개를 캡 본체의 내측으로 끌고 들어가면서 순간 회전되어 물 배출구의 개방입구를 반자동으로 밀폐하도록 작동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기능을 갖는 물통캡.
KR1020220023604A 2022-02-23 2022-02-23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 KR202301264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604A KR20230126443A (ko) 2022-02-23 2022-02-23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604A KR20230126443A (ko) 2022-02-23 2022-02-23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443A true KR20230126443A (ko) 2023-08-30

Family

ID=87846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604A KR20230126443A (ko) 2022-02-23 2022-02-23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644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029Y1 (ko) 1997-06-28 2000-05-15 정영경 물병의 흡입구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029Y1 (ko) 1997-06-28 2000-05-15 정영경 물병의 흡입구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0041B2 (ja) 折り畳み可能なストローを有する、ボトルのための蓋
EP3762304B1 (en) Container lid with button release and lock
US9878832B2 (en) Lockable beverage container closure
US10994901B2 (en) Cap for a drinking vessel
US8985370B2 (en) Beverage bottle and lid with back button release
KR101404859B1 (ko) 뚜껑 뒷면에 열림 버튼을 가지는 음료병 및 뚜껑
US20180192800A1 (e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with a Robust and Easily Cleanable Seal Mechanism
US7753240B2 (en) Closure for a liquid container
TW202023913A (zh) 用於飲料容器之具有封蓋之把手
JP2000335616A (ja) 飲料容器の蓋体及びキャップ付き蓋体
US20090101617A1 (en) Convertible Bottle for Children
CA3066866A1 (en) Sippy cup
JP3142053U (ja) 飲料容器
KR20230126443A (ko) 토출 수단을 갖는 물통캡
JP2000238821A (ja) 飲料容器の蓋体
CN112292338B (zh) 用于饮用器皿的可变流量盖组合件
KR102611594B1 (ko) 컵 두껑 및 한손 조작 컵
JPH09299253A (ja) 液体容器
KR20120131012A (ko) 밀폐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뚜껑
JP3596465B2 (ja) ストロー付き液体容器
KR200282506Y1 (ko) 빨대가 내장된 휴대용 물통
KR20220116641A (ko) 물병과 호환 가능한 물통캡
CN216089950U (zh) 一种饮用水杯
JP4817222B2 (ja) 蓋体付き容器
JP2001192051A (ja) 飲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