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092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092A
KR20230126092A KR1020220023172A KR20220023172A KR20230126092A KR 20230126092 A KR20230126092 A KR 20230126092A KR 1020220023172 A KR1020220023172 A KR 1020220023172A KR 20220023172 A KR20220023172 A KR 20220023172A KR 20230126092 A KR20230126092 A KR 20230126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ter collecting
storage body
drum
collec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언화
김두현
이규대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3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6092A/ko
Priority to PCT/KR2023/002509 priority patent/WO2023163496A1/ko
Publication of KR20230126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0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건조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상기 드럼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유로, 및 상기 배기덕트 내부의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안내하는 공급유로가 구비된 순환유로부; 상기 순환유로부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순환팬, 상기 순환유로부 내부의 공기를 제습하는 흡열부, 및 상기 흡열부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가 구비된 열교환부; 상기 순환유로부와 분리된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 상기 저장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제가 구비된 응축수 제거부; 상기 흡열부에서 배출되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집수바디, 및 상기 집수바디의 응축수를 상기 저장바디로 안내하는 집수바디 배수관이 구비된 집수부; 및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흡습제에 흡수된 응축수를 증발시키는 재생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출원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 대상물, 또는 건조 대상물)를 세탁하는 세탁기,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 및 의류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수용된 공간의 온도나 습도 등을 제어하는 장치(refresher)의 총칭이다.
세탁기는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세탁드럼, 상기 세탁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세탁 구동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건조기는 의류가 저장되는 건조드럼, 상기 건조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건조 구동부), 및 상기 건조드럼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의류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세탁 구동부는 터브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 터브를 관통하여 세탁드럼과 로터를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반면, 건조 구동부는 모터,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된 풀리, 상기 풀리의 회전운동을 상기 건조드럼에 연결하는 벨트(동력전달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세탁 구동부는 모터의 회전축이 세탁드럼과 로터를 직접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의류의 세탁이나 탈수를 위해서는, 세탁 구동부가 세탁드럼의 회전수를 높게 제어하거나 세탁드럼의 회전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데, 모터의 회전축이 세탁드럼과 로터를 직접 연결하도록 구비되면 세탁드럼의 회전수 및 회전방향을 쉽게 제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종래 건조 구동부는 벨트 등의 동력전달부가 건조드럼과 모터의 회전축을 연결시키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건조기는 건조드럼의 회전수를 높게 유지할 필요성이나 건조드럼의 회전방향을 변경할 필요성이 낮기 때문에, 벨트 등의 동력전달부를 통해 건조드럼을 회전시켜도 무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건조드럼의 회전수 및 회전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면, 건조드럼 내부에서 의류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건조기 역시 건조 시간의 단축 및 건조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공개번호 10-2020-0065931).
종래 건조기 및 리프레셔는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의 공기를 제습하는 과정, 제습을 마친 공기를 가열하는 과정, 가열된 공기를 의류가 수용된 공간으로 공급하는 과정, 의류와 열교환을 마친 공기를 제습장치로 배출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함으로써 의류를 건조하였다.
상술한 과정을 실행하는 의류처리장치들은 상기 제습 과정의 진행 시 발생하는 응축수를 별도의 탱크에 저장하고,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이 종료되면 탱크에 저장된 응축수를 비워주어야 했다.
본 출원은 열교환부의 작동 시 발생하는 응축수의 수집, 및 수집된 응축수의 제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흡습제를 통해 수집된 응축수의 제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흡습제가 흡수한 수분을 증발시켜 흡습제의 재생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건조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상기 드럼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유로, 및 상기 배기덕트 내부의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안내하는 공급유로가 구비된 순환유로부; 상기 순환유로부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순환팬, 상기 순환유로부 내부의 공기를 제습하는 흡열부, 및 상기 흡열부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가 구비된 열교환부; 상기 순환유로부와 분리된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 상기 저장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제가 구비된 응축수 제거부; 상기 흡열부에서 배출되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집수바디, 및 상기 집수바디의 응축수를 상기 저장바디로 안내하는 집수바디 배수관이 구비된 집수부; 및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흡습제에 흡수된 응축수를 증발시키는 재생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재생부는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온도를 조절 가능한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는 냉매가 순환하는 유로를 제공하며 상기 흡열부 및 상기 가열부가 고정되는 냉매관; 상기 냉매관을 따라 냉매가 순환하게 하는 압축기; 및 상기 냉매관에 구비되어 상기 가열부에서 상기 흡열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부는 상기 저장바디 내부를 통과하도록 구비된 냉매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재생부는 상기 냉매관 중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상기 가열부로 안내하는 일부 구간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재생부는 상기 냉매관 중 상기 가열부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압력조절기로 안내하는 일부 구간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저장바디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배기구; 및 상기 배기구를 통해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집수바디의 바닥면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순환유로부 내부의 응축수를 상기 집수바디로 자연 배수(natural drainage)하는 배수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바디 배수관은 상기 집수바디 내부의 응축수를 상기 저장바디로 자연 배수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수바디의 바닥면은 상기 저장바디의 바닥면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집수바디 배수관은 상기 집수바디의 바닥면과 상기 저장바디의 측면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수바디는 상기 순환유로부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저장바디는 상기 순환유로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수바디는 상기 순환유로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저장바디는 상기 집수바디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는 상기 흡습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저장바디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장공간; 상기 저장공간에 연통하며 상기 집수바디 배수관이 고정되는 장착공간; 및 상기 장착공간으로 유입된 응축수를 상기 저장바디로 안내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열교환부의 작동 시 발생하는 응축수의 수집, 및 수집된 응축수의 제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은 흡습제를 통해 수집된 응축수의 제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은 흡습제가 흡수한 수분을 증발시켜 흡습제의 재생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은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동력전달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도 6, 도 7, 및 도 8은 순환유로부, 열교환부, 및 집수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응축수 제거부 및 재생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재생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집수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1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건조 대상물)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상기 드럼(2)으로 고온의 건조공기기(실내 공기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공기, 실내 공기의 건조도보다 높은 건조도의 공기)를 공급하여 의류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순환유로부(3) 및 열교환부(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3)는 상기 드럼(2) 내부의 공기를 상기 드럼 외부로 배출한 뒤 다시 상기 드럼으로 공급하는 유로이고, 상기 열교환부(4)는 상기 순환유로부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장치(히트펌프 등)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에 위치하는 전방패널(11), 의류처리장치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패널(13), 및 의류처리장치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상기 드럼(2)에 연통하는 투입구(111)가 구비되는데, 상기 투입구(111)는 도어(112)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컨트롤패널(1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113)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17),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118)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2)은 전방면과 후방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 상기 드럼 바디(21)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커버(22), 및 상기 드럼 바디(21)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커버(2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커버(22)에는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드럼 투입구(221)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커버(23)에는 외기를 상기 드럼 바디(21)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구(2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21)에는 리프터(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24)는 의류가 드럼 내부에서 상승과 낙하를 반복하게 하는 수단이다. 상기 리프터(24)는 상기 전방커버(22)에서 후방커버(23)를 향해 연장된 판(board)이, 상기 드럼 바디(21)에서 상기 드럼(2)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드럼의 원주면에서 드럼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드럼(2)은 드럼 지지부(114)를 통해 상기 전방패널(1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드럼 지지부(114)는 상기 투입구(111)를 감싸도록 상기 전방패널(11)에 구비되어 자유단이 상기 드럼 투입구(221)에 삽입되는 파이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입구(111)로 유입되는 의류는 상기 드럼 지지부(114) 및 상기 드럼 투입구(221)를 통해 상기 드럼 바디(21)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상기 드럼(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1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2)은 모터(5) 및 동력전달부(6)를 통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5)는 상기 후방패널(13)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51), 및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52)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동력전달부(6)는 상기 로터(52)의 회전운동을 상기 드럼(2)에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5)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막고, 상기 순환유로부(3)를 통한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후방패널(13)에는 상기 모터 및 상기 순환유로부의 공급유로(33)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막는 커버 패널(17)이 고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부(6)는 상기 후방패널(13)에 고정되는 하우징(61),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로터(52)에 연결되는 입력축(63),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2)에 연결된 출력축(65), 상기 하우징(6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입력축(63)의 회전운동을 상기 출력축(65)에 전달하는 기어유닛(G)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축(65)은 상기 후방패널(13)에 구비된 고정패널 관통홀(131, 도 3 참고)에 삽입되어 상기 드럼의 후방커버(2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기어유닛(G)은 상기 하우징(61) 내부에 고정된 링 형상의 링 기어(66), 상기 입력축(63)에 구비되어 상기 링 기어(66)의 중심에 위치하는 주동기어(69), 및 상기 주동기어(69)와 링 기어(66)를 연결하는 종동기어(6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종동기어(68)는 상기 하우징(6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케이지(67)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지(67)는 상기 하우징(61)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디스크 형태로 구비되고, 다수의 종동기어들(68)은 상기 케이지(67)에 구비된 연결축(67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출력축(65)은 상기 하우징(61)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일단은 상기 케이지(67)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후방커버(23)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유로부(3)는 상기 베이스(15)에 고정되는 배기유로(31), 상기 후방패널(13)에 구비된 공급유로(33), 및 상기 배기유로와 상기 공급유로를 연결하는 연결유로(3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유로(31)는 상기 드럼(2)의 전방(드럼 투입구가 구비된 방향)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드럼(2)의 후방(공기 유입구가 구비된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1)으로 배출하는 배기구(115, 도 3 참고)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배기유로(31)는 상기 배기구(11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기유로(31)는 상기 베이스(15)에 고정된 배기덕트(31a), 및 상기 배기덕트(31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배기유로(31)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덕트 커버(31b)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유로(31)의 입구(커버 관통홀, 316)는 상기 덕트 커버(31b)에 구비되고, 상기 배기유로(31)의 출구(317)는 상기 배기덕트(31a)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유로(33)는 상기 후방패널(13)에 구비되는 공급덕트(331), 상기 공급덕트(331)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드럼에 구비된 공기 유입구(231)로 안내하는 실링부(332, 33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의 후방커버에 구비된 공기 유입구(231)가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을 감싸는 링 형태로 구비될 경우, 상기 공급덕트(331)는 상기 공기 유입구(231)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링부는 상기 공기 유입구들(231)이 형성하는 링의 내측 원주면을 감싸는 제1실링부(332), 및 상기 공기 유입구들(231)이 형성하는 링의 외측 원주면을 감싸는 제2실링부(33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부(332)와 제2실링부(333)는 상기 드럼의 후방커버(23)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후방패널(13)에 고정될 수도 있는데, 도 5는 후자의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연결유로(35)는 상기 배기유로의 출구(317)와 상기 공급덕트(331)를 연결하며, 상기 배기유로(31) 내부의 공기를 상기 공급덕트(331)로 안내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부(4)는 상기 배기유로(31) 내부에 구비되는 흡열부(41) 및 가열부(43)를 포함한다.
상기 흡열부(41)는 상기 배기유로(31)로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수단(제습을 위한 수단)이고, 상기 가열부(43)는 상기 흡열부(4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수단이다.
상술한 흡열부(41)와 가열부(43)가 구비되는 한 상기 열교환부(4)는 다양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6은 상기 열교환부(4)가 히트펌프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열교환부(4)는 냉매가 순환하는 유로를 제공하며 상기 흡열부(41) 및 상기 가열부(43)가 고정되는 냉매관(48), 냉매를 압축하고 냉매가 상기 냉매관(48)을 따라 순환하게 하는 압축기(45), 및 상기 냉매관(48)에 구비되어 상기 가열부(43)에서 상기 흡열부(41) 방향으로 이동하는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4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열부(41)를 통과하는 냉매는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증발하고, 사기 가열부(43)를 통과하는 냉매는 공기로 열을 방출함으로써 응축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흡열부(41)를 통과하는 공기는 냉각되고(응축수 발생), 상기 가열부(43)를 통과하는 공기는 가열된다.
공기가 상기 드럼(2)에서 상기 배기유로(31)로 유입된 뒤 상기 공급유로(33)를 통해 상기 드럼(2)으로 재공급되도록, 상기 열교환부(4)에는 순환팬(4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팬(49)은 상기 가열부(43)와 상기 연결유로(35)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기유로(31)에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덕트(31a)에는 상기 흡열부(41)가 고정되는 제1장착부(311), 상기 가열부(43)가 고정되는 제2장착부(312), 및 상기 순환팬(49)의 임펠러(impeller)가 장착되는 제3장착부(313)가 구비된다. 상기 제1장착부(311)는 상기 배기유로(31)의 입구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3장착부(313)는 상기 배기유로(31)의 출구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2장착부(312)는 상기 제1장착부와 제3장착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덕트(31a)에는 공기가 상기 흡열부(41)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응축수를 상기 배기유로(31)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구(315)가 구비된다. 상기 배수구(315)는 상기 배기덕트(31a)의 측면이나 바닥면을 관통하는 홀(hole)로 구비되며, 상기 제1장착부(311)와 제2장착부(312)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배기덕트(31a) 내부의 응축수를 상기 배수구(315)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배기덕트(31a)의 바닥면에는 상기 배수구(315)를 향해 경사진 배수유로(3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구(315)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는 집수부(7)에 저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수부(7)는 상기 베이스(15)에 고정되어 물을 저장하는 집수바디(71), 상기 집수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집수부(7)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집수커버(7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7)는 상기 배수구(315)에 연결된 챔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유로(31) 내부의 응축수가 상기 집수바디로 자연 배수(natural drainage)되도록, 상기 배수구(315)는 상기 집수바디(71)의 바닥면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수바디(71)에 저장된 응축수는 흡습제(absorbent)가 구비된 응축수 제거부(8)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습제는 공기와 접촉함으로써 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고, 가열함으로써 재생 가능한 물질의 총칭으로, 실리카 겔, 제올라이트 등이 일례가 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축수 제거부(8)는 상기 흡습제(82)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순환유로부(3) 및 상기 집수바디(71)와 분리된 저장바디(8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수바디(71) 내부의 응축수는 집수바디 배수관(741, 742), 및 상기 집수바디 배수관의 개폐를 제어하는 배수밸브(75)를 통해 상기 저장바디(81)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수바디 배수관은 상기 집수바디(71)와 배수밸브(75)를 연결하는 제1연결관(741), 및 상기 배수밸브(75)와 상기 저장바디(81)를 연결하는 제2연결관(74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수바디(71)의 바닥면에는 바디 배출구(712)가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관(741)은 상기 바디 배출구(712)와 배수밸브(75)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수바디(71)에 응축수가 잔류할 가능성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집수바디(71) 내부의 응축수는 상기 저장바디(81)로 자연 배수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집수바디(71)의 바닥면은 상기 저장바디(81)의 바닥면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집수바디 배수관(741, 742)은 상기 집수바디(71)의 바닥면과 상기 저장바디(81)의 측면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바디(81)에는 상기 흡습제(82)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저장바디(8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장공간(811), 상기 저장공간(811)에 연통하며 상기 제2연결관(742)이 고정되는 장착공간(812, 제1장착공간), 상기 제1장착공간으로 유입된 응축수를 상기 저장공간(811)로 안내하는 경사면(814), 및 상기 저장공간에 연결되며 상기 제1장착공간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장착공간(81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81)에 저장된 흡습제(82)는 재생부(9)를 통해 재생된다. 흡습제(82)를 재생한다는 것은, 상기 흡습제(82)가 흡수한 수분을 흡습제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재생을 마친 흡습제(82)는 다시 수분을 흡수 가능한 상태가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저장바디(81)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흡습제에 흡수된 응축수를 증발시킬 수 있는 한, 상기 재생부(9)는 어떠한 장치로도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상기 재생부(9)가 상기 저장바디(81) 내부에 위치하는 히터(92)인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히터(92)는 상기 저장바디(81)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히터가 흡습제와 접촉하지 않도록 구비됨), 상기 흡습제(82)를 직접 가열(히터가 흡습제와 접촉하도록 구비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흡습제(82)의 재생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상기 재생부(9)에는 상기 저장바디(81)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저장바디(81)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9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부(93)는 상기 저장바디(81)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배기구(931), 및 상기 배기구(931)를 통해 상기 저장바디(81)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팬(93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습제(82)의 재생을 위해, 상기 히터(92)와 상기 배기팬(932)은 동시에 작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흡습제(82)의 재생 시 상기 히터(92)와 배기팬(932)이 동시에 작동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흡습제(82)의 재생 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히터(92)만을 작동시킬 수도 있고, 상기 배기팬(932)만을 작동시킬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구조의 의류처리장치(100)에서, 상기 열교환부(4)의 작동 시 흡열부(41)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는 상기 순환유로부(3)에서 상기 집수부(71)로 이동하고, 상기 집수부(7) 내부의 응축수는 상기 배수밸브(75)가 상기 집수바디 배수관(741, 742)를 개방한 때 상기 저장바디(81)로 이동(자연배수)하며, 상기 저장바디(81)로 공급된 응축수는 흡습제(82)에 의해 제거된다. 상기 흡습제(82)가 흡수한 응축수는 상기 재생부(9)의 작동 시 상기 흡습제(82)에서 제거된다.
따라서, 상술한 구조의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집수부(7)에 저장된 응축수를 별도의 탱크에 저장하는 과정, 열교환부의 작동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탱크에 저장된 물을 버리는 과정이 불필요하다.
또한, 상술한 구조의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집수바디(71)나 저장바디(81)에 응축수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 또는 잔류하는 응축수의 양을 최소화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응축수가 장치 내부에 저장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발생되는 위생과 관련한 문제의 발생 가능성도 최소화 가능하다.
도 11은 상기 재생부(9)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상기 저장바디(81)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냉매관(48)의 일부를 상기 재생부(9)로 설정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재생부(9)는 상기 가열부(43)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압력조절기(47)로 안내하는 구간(481)의 냉매관(48)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재생부(9)는 상기 압축기(45)에서 배출된 냉매를 상기 가열부(43)로 안내하는 구간의 냉매관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11의 실시예에 구비된 응축수 제거부(8) 역시 상기 저장바디(81)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저장바디(81)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9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부(3), 상기 집수부(7) 및 상기 응축수 제어부(8)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집수바디(71)는 상기 배기유로(31)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저장바디(81)는 상기 배기유로(3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집수바디(71)는 상기 배기유로(31)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저장바디(81)는 상기 집수바디(7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2는 상기 재생부(9)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 (a)는 상기 히터(92)가 상기 제2장착공간(813)에 위치하도록 구비된 것이 특징이고, 도 12 (b)는 상기 냉매관의 일부 구간(481)이 상기 제2장착공간(813)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도 13은 상기 집수부(7)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집수부(7)는 응축수를 상기 흡습제(82)의 상부에 직접 분사함으로써 응축수 제거시간의 단축 및 흡습제를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도 13의 집수부(7)는 상기 배수구(315)로 유입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집수바디(71), 상기 집수바디(71)에 저장된 응축수를 상기 저장바디(81)로 안내하는 집수바디 배수관(741, 742), 응축수를 분사노즐(77)로 공급하는 배수펌프(76)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분사노즐(77)은 저장바디의 커버(81a)에 고정되어 상기 흡습제(82)의 상부에 응축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은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76)는 상기 제1연결관(741)을 통해 상기 집수바디(71)에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관(742)를 통해 상기 분사노즐(77)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상기 집수부(7)는 상기 흡습제의 일측면으로 응축수를 공급하기 때문에, 상기 제2연결관(742)에 가까운 지점에 위치된 흡습제부터 응축수를 흡수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도 9의 실시예는 응축수의 흡수 시간이 길어질 수 있고, 흡습제(82) 중 일부만 응축수를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도 13과 같이 상기 집수부(7)가 상기 배수펌프(76) 및 분사노즐(77)을 통해 응축수를 상기 흡습제(82)의 상부에 분사하도록 구비된다면, 도 9의 실시예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의류처리장치 및 제어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본 출원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전방패널
111: 투입구 112: 도어 113: 컨트롤패널
114: 드럼 지지부 115: 배기구 116: 롤러
13: 후방패널 15: 베이스 17: 커버 패널
2: 드럼 21: 드럼 바디 22: 전방커버
221: 드럼 투입구 23: 후방커버 231: 공기 유입구
24: 리프터 3: 순환유로부 31: 배기유로
314: 배수유로 315: 배수구 316: 커버 관통홀
33: 공급유로 331: 공급덕트 332: 제1실링부
333: 제2실링부 35: 연결유로 4: 열교환부
41: 흡열부 43: 가열부 45: 압축기
47: 압력조절기 48: 냉매관 49: 순환팬
5: 모터 6: 동력전달부 61: 하우징
63: 입력축 65: 출력축 66: 링 기어
67: 케이지 68: 종동기어 69: 주동기어
7: 집수부 71: 집수바디 73: 집수커버
75: 배수펌프 8: 응축수 제거부 81: 저장바디
82: 흡습제 9: 재생부 92: 히터
931: 배기구 932: 배기팬

Claims (12)

  1. 건조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상기 드럼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유로, 및 상기 배기덕트 내부의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안내하는 공급유로가 구비된 순환유로부;
    상기 순환유로부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순환팬, 상기 순환유로부 내부의 공기를 제습하는 흡열부, 및 상기 흡열부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가 구비된 열교환부;
    상기 순환유로부와 분리된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 상기 저장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제가 구비된 응축수 제거부;
    상기 흡열부에서 배출되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집수바디, 및 상기 집수바디의 응축수를 상기 저장바디로 안내하는 집수바디 배수관이 구비된 집수부; 및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흡습제에 흡수된 응축수를 증발시키는 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온도를 조절 가능한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냉매가 순환하는 유로를 제공하며 상기 흡열부 및 상기 가열부가 고정되는 냉매관; 상기 냉매관을 따라 냉매가 순환하게 하는 압축기; 및 상기 냉매관에 구비되어 상기 가열부에서 상기 흡열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부는 상기 저장바디 내부를 통과하도록 구비된 냉매관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상기 냉매관 중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된 냉매를 상기 가열부로 안내하는 일부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상기 냉매관 중 상기 가열부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압력조절기로 안내하는 일부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바디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배기구; 및
    상기 배기구를 통해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바디의 바닥면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순환유로부 내부의 응축수를 상기 집수바디로 자연 배수(natural drainage)하는 배수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바디 배수관은 상기 집수바디 내부의 응축수를 상기 저장바디로 자연 배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바디의 바닥면은 상기 저장바디의 바닥면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집수바디 배수관은 상기 집수바디의 바닥면과 상기 저장바디의 측면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바디는 상기 순환유로부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저장바디는 상기 순환유로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바디는 상기 순환유로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저장바디는 상기 집수바디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바디는 상기 흡습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저장바디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장공간; 상기 저장공간에 연통하며 상기 집수바디 배수관이 고정되는 장착공간; 및 상기 장착공간으로 유입된 응축수를 상기 저장바디로 안내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20023172A 2022-02-22 2022-02-22 의류처리장치 KR2023012609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172A KR20230126092A (ko) 2022-02-22 2022-02-22 의류처리장치
PCT/KR2023/002509 WO2023163496A1 (ko) 2022-02-22 2023-02-22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172A KR20230126092A (ko) 2022-02-22 2022-02-22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092A true KR20230126092A (ko) 2023-08-29

Family

ID=87802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172A KR20230126092A (ko) 2022-02-22 2022-02-22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60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59449B1 (en) Drum 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RU2578117C1 (ru)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KR101579465B1 (ko) 건조기
KR100697070B1 (ko) 건조기와 세탁건조기와 그 제어 방법
US20150059413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JP2005253588A (ja) 乾燥機
US6832441B2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ying process thereof
JP2003103087A (ja) 洗濯乾燥機及び衣類乾燥機
KR100860053B1 (ko) 드럼세탁기
KR102364673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10301449A1 (en)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314625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51444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2609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26093A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027046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382505B1 (ko) 건조세탁기용 제습장치
JP4523260B2 (ja) ドラム型洗濯及び乾燥装置
JP3990325B2 (ja) 洗濯乾燥機
JP3391953B2 (ja) 全自動洗濯乾燥機
JP6183633B2 (ja) 乾燥装置
US20230137038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JP2011182861A (ja) 衣類乾燥機
KR20230126091A (ko) 의류처리장치
KR101016303B1 (ko) 건조 겸용 세탁기의 건조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