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5686A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및 이를 이용한 환기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및 이를 이용한 환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5686A
KR20230125686A KR1020220022594A KR20220022594A KR20230125686A KR 20230125686 A KR20230125686 A KR 20230125686A KR 1020220022594 A KR1020220022594 A KR 1020220022594A KR 20220022594 A KR20220022594 A KR 20220022594A KR 20230125686 A KR20230125686 A KR 20230125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utdoor
cabinet
guide duct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2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5686A/ko
Priority to PCT/KR2023/002243 priority patent/WO2023158229A1/ko
Publication of KR20230125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56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열교환기, 압축기, 및 팬을 포함하는 캐비닛과, 캐비닛의 내부에 마련되는 내부 캐비닛과, 내부 캐비닛의 하부에 마련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내부 캐비닛의 상부에 마련되며,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내부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공기 안내 덕트, 및 공기 안내 덕트에 설치되며, 내부 캐비닛을 통과하는 공기의 먼지 농도를 검출하는 먼지 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및 이를 이용한 환기방법{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venil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개시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및 이를 이용한 환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고,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토출시켜 실내의 온도를 조절시키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외부 공기와 열교환을 하도록 형성된 실외기와 실내 공기와 열교환을 하도록 형성된 실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먼지 센서와 집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 센서는 실내의 먼지 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집진장치는 실내 공기에 함유된 먼지를 필터링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먼지 농도를 센싱하여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집진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내의 먼지 농도가 기준 농도를 넘으면, 공기조화기는 집진장치를 작동시켜 실내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집진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먼지 센서가 실내기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실내에 먼지가 유입되어 실내 공기의 먼지 농도가 높아진 후에야 실내 공기의 먼지 농도가 높은 것을 검출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외부 공기의 먼지 농도가 높은 경우, 선제적으로 실내기의 집진장치를 작동시켜 실내 공기의 먼지 농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외부 공기의 먼지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먼지 센서를 실외기에 마련함으로써, 선제적으로 실내 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련된다.
또한 본 개시는 먼지 센서를 구비한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이용한 환기방법에 관련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열교환기, 압축기, 및 팬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마련되는 내부 캐비닛; 상기 내부 캐비닛의 하부에 마련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내부 캐비닛의 상부에 마련되며, 유입된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 상기 내부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공기 안내 덕트; 및 상기 공기 안내 덕트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 캐비닛을 통과하는 상기 공기의 먼지 농도를 검출하는 먼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 캐비닛의 내부에서의 공기 이동 방향은 상기 내부 캐비닛의 하면에서 상면으로 향하며, 상기 공기 안내 덕트는 상기 내부 캐비닛을 통과하는 상기 공기의 일부가 상기 공기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하거나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공기 안내 덕트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먼지 센서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공기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공기 안내 덕트로부터 배출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안내 덕트는 상기 내부 캐비닛의 하면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안내 덕트는 상기 내부 캐비닛의 하면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 센서는, 입구와 출구를 포함하는 공기 유로; 상기 공기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유로를 흐르는 공기의 먼지 농도를 검출하는 센싱부; 및 상기 공기 유로에 상기 공기가 흐르도록 하는 센서 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 센서는 상기 공기 안내 덕트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안내 덕트는, 상기 먼지 센서의 공기 유로의 입구와 연결되는 유입부; 상기 공기 유로의 출구와 연결되는 배출부; 및 상기 유입부와 배출부를 구획하는 내부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유입부보다 돌출되는 굴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 센서는 상기 공기 안내 덕트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안내 덕트는, 상기 먼지 센서의 공기 유로의 입구에 대응하도록 상기 공기 안내 덕트의 일면에 마련되는 유입 구멍; 상기 먼지 센서의 공기 유로의 출구에 대응하도록 상기 공기 안내 덕트의 일면에 마련되며, 상기 유입 구멍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배출 구멍; 및 상기 유입 구멍과 상기 배출 구멍 사이의 상기 공기 안내 덕트 내부를 차단하는 내부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열교환기, 압축기, 및 팬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마련되는 내부 캐비닛; 상기 내부 캐비닛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흐르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내부 캐비닛의 상부에 마련되며, 유입된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 상기 내부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며, L자 형상으로 형성된 공기 안내 덕트; 및 상기 공기 안내 덕트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 캐비닛을 통과하는 상기 공기의 먼지 농도를 검출하는 먼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는 먼지 센서가 마련된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이용한 환기방법은, 공기 모니터가 실내 공기질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공기조화기가 상기 실외기의 상기 먼지 센서와 온도 센서로 측정한 실외 공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환기장치가 상기 실내 공기질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질을 판단하고, 상기 실내 공기질이 나쁘면, 상기 실외 공기 정보를 이용하여 환기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외 공기 정보를 이용하여 환기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실내외 온도차가 기준 온도 미만이고, 실외 공기질이 나쁨이면, 상기 환기장치는 전열교환기를 바이패스하고 공기청정기를 통해 환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 공기 정보를 이용하여 환기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실내외 온도차가 기준 온도 이상이고, 실외 공기질이 나쁨이면, 상기 환기장치는 전열교환기와 공기청정기를 통해 환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 공기 정보를 이용하여 환기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실내외 온도차가 기준 온도 미만이고, 실외 공기질이 좋음이면, 상기 환기장치는 전열교환기와 공기청정기를 바이패스하여 환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 공기 정보를 이용하여 환기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실내외 온도차가 기준 온도 이상이고, 실외 공기질이 좋음이면, 상기 환기장치는 공기청정기를 바이패스하고 전열교환기를 통해 환기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매 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설치된 내부 캐비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내부 캐비닛의 정면도;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 안내 덕트가 내부 캐비닛에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 안내 덕트가 내부 캐비닛에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먼지 센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먼지 센싱장치의 정면도;
도 9는 도 7의 먼지 센싱장치를 선 Ⅰ-Ⅰ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먼지 센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먼지 센싱장치를 선 Ⅱ-Ⅱ를 따라 절단하여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공기 안내 덕트를 뒤집어서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기능 블럭도;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서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외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이용한 환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상태에 따른 환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표;
도 19는 실외 공기질과 실내외 온도차에 따른 환기장치의 동작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0은 실외 공기질과 실내외 온도차에 따른 환기장치의 동작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1은 실외 공기질과 실내외 온도차에 따른 환기장치의 동작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2는 실외 공기질과 실내외 온도차에 따른 환기장치의 동작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이용한 환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은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여기에는 이해를 돕기 위한 다양한 특정 세부 사항이 포함되어 있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명료함과 간결함을 위해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아래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 및 단어는 서지적 의미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명확하고 일관된 이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발명자가 단지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은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고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본 개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님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한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하단'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매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실내기(1)와 실외기(2)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1)는 공기조화를 수행할 실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기(1)는 집의 실내 또는 사무실의 실내에 설치될 수 있다.
실외기(2)는 공기조화가 수행되지 않는 실외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1)와 실외기(2) 사이에서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매 회로를 포함한다. 냉매는 냉매 회로를 따라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에서 순환하며, 상태 변화(예를 들어, 기체에서 액체로 상태 변화, 액체에서 기체로 상태 변화) 중에 열을 흡수하거나 배출할 수 있다.
냉매의 상태 변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냉매 회로는 압축기(10), 실외 열교환기(11), 팽창 밸브(3), 실내 열교환기(4)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10)는 기체 상태의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이며 고압인 기체 냉매로 만든다. 압축기(10)에서 배출되는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11)로 유입된다.
실외 열교환기(11)에서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는 외부 공기에 의해 액체 상태의 냉매가 되며, 열을 방출한다. 실외 열교환기(11)에서 배출된 액체 상태의 냉매는 팽창 밸브(3)로 유입된다.
실외기(2)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 열교환기(11)를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실외 팬(13)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 팬(13)은 실외 팬 모터(14)에 의해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외기(2)는 실외 팬(13)에 의해 흡입된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먼지 센서(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외 열교환기(60)를 열교환기라 칭하고, 실외 팬(13) 및 실외 팬 모터(14)를 각각 팬 및 팬 모터라 칭한다.
팽창 밸브(3)는 액체 상태의 냉매의 압력과 온도를 낮추어 저온이며 저압인 액체 냉매로 만든다. 팽창 밸브(3)에서 배출된 저온/저압의 액체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4)로 유입된다.
실내 열교환기(4)에서 저온/저압의 액체 냉매는 주위의 더운 공기에서 열을 흡수하여 기체 상태로 증발한다. 실내 열교한기(4)에서 배출된 기체 상태의 냉매는 압축기(10)로 유입되어 다시 냉매 회로를 순환하게 된다.
실내기(1)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 열교환기(4)를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실내 팬(5)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 팬(5)은 실내 팬 모터(6)에 의해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내기(1)는 실내 먼지 센서(7)와 집진장치(8)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 먼지 센서(7)는 실내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집진장치(8)는 실내 팬(5)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필터링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매는 열교환기(11)에서 열을 방출하고, 실내 열교환기(4)에서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4)는 팽창 밸브(3)와 함께 실내기(1)에 설치되며, 열교환기(11)는 압축기(10)와 함께 실외기(2)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 열교환기(4)는 실내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2는 캐비닛(20)의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캐비닛(20)의 전면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의 실외기(2)는 캐비닛(20), 열교환기(11), 압축기(10), 팬(13), 내부 캐비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20)은 실외기(2)의 외형을 형성하며, 대략 속이 빈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캐비닛(20)의 내부에는 열교환기(11), 압축기(10), 팬(13), 및 내부 캐비닛(30)이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20)의 후면(20a), 좌측면(20b), 및 우측면(20c)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21)가 마련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21)는 복수의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20)의 전면에는 전면 커버가 설치되는 전면 개구(22)가 마련될 수 있다. 전면 커버는 캐비닛(20)의 전면 개구(22)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전면 커버는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20)의 상면(20d)에는 캐비닛(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23)가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기(11)는 캐비닛(20)의 내부에 캐비닛(20)의 좌측면(20b), 후면(20a), 및 우측면(20c)에 인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유입구(21)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11)를 통과하여 캐비닛(20)의 중앙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열교환기(11)는 열교환기(11)의 내부를 흐르는 냉매가 열교환기(11)를 통과하는 외부 공기와 열을 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압축기(10)는 캐비닛(20)의 내부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압축기(10)는 캐비닛(20)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0)는 열교환기(11)와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10)는 기체 상태의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이며 고압인 기체 냉매로 만들도록 형성된다. 압축기(10)에서 배출되는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는 열교환기(11)로 유입된다.
팬(13)은 캐비닛(20)의 상부에 설치된다. 팬(13)은 캐비닛(20)의 상면(20d)에 마련된 공기 배출구(23)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팬(13)은 팬 모터(14)에 의해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팬(13)이 회전하면, 공기 흐름이 발생한다. 즉, 팬(13)이 회전하면, 외부 공기가 캐비닛(20)의 전면, 후면(20a), 좌측면(20b), 및 우측면(20c)에 마련된 공기 유입구(21)로 유입되어, 팬(13)을 통과한 후, 캐비닛(20)의 상면(20d)에 마련된 공기 배출구(23)를 통해 캐비닛(20)의 외부로 배출된다.
팬(13)은 캐비닛(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팬(13)이 회전하면 캐비닛(20)의 내부에는 위쪽으로 이동하는 공기 흐름이 발생한다.
내부 캐비닛(30)은 캐비닛(20)의 내부에 마련된다. 내부 캐비닛(30)은 캐비닛(2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내부 캐비닛(30)은 캐비닛(20)과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캐비닛(30)의 내부에는 압축기(10)가 설치되지 않는다.
도 3은 도 2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내부 캐비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내부 캐비닛의 정면도이다. 참고로, 도 3 및 도 4는 내부 캐비닛(30)의 내부 커버(31)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내부 캐비닛(30)은 대략 속이 빈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캐비닛(30)의 내부에는 압축기(10)와 팬 모터(1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장부품 및 압축기(10)와 팬 모터(13)를 제어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이 수용될 수 있다. 내부 캐비닛(30)은 전장부품과 인쇄회로기판을 빗물과 눈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내부 캐비닛(30)의 전면은 개방되어 있다. 내부 캐비닛(30)의 전면의 개구(32)에는 내부 커버(31)가 설치될 수 있다. 내부 커버(31)는 내부 캐비닛(30)의 전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내부 캐비닛(30)은 팬(13)에 의해 캐비닛(2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하부에서 상부로 흐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내부 캐비닛(30)의 하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3)가 마련되고, 캐비닛(20)의 상부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34)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캐비닛(30)의 하면(30a)에 유입구(33)가 마련되고, 상면(30b)에 배출구(34)가 마련될 수 있다.
팬(13)이 작동하면, 캐비닛(20)의 공기가 유입구(33)를 통해 내부 캐비닛(3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내부 캐비닛(30)으로 유입된 공기는 배출구(34)를 통해 내부 캐비닛(3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팬(13)이 작동하면, 외부 공기가 캐비닛(20)의 공기 유입구(21)를 통해 캐비닛(20)의 내부로 유입된 후, 공기 배출구(23)을 통해 캐비닛(2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캐비닛(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내부 캐비닛(30)을 통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13)이 작동하면, 공기는 내부 캐비닛(30)의 유입구(33)를 통해 내부 캐비닛(30)의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배출구(34)를 통해 내부 캐비닛(30)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내부 캐비닛(30)의 내부를 흐르는 공기 흐름의 방향, 즉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이동 방향은 내부 캐비닛(30)의 하면(30a)에서 상면(30b)을 향하게 된다.
내부 캐비닛(30)에 설치된 전장 부품과 인쇄회로기판은 내부 캐비닛(30)을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캐비닛(20)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의 일부가 내부 캐비닛(30)을 통과하여 팬(13)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내부 캐비닛(30) 내부의 공기 흐름은 캐비닛(20)으로 유입되어 내부 캐비닛(30)을 통과하지 않고 직접 팬(13)으로 이동하는 외부 공기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닛(20) 내부의 공기 흐름보다 유속이 느리며 안정적이다. 즉,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흐름은 캐비닛(20)의 공기 흐름보다 느리며 안정적이다.
공기 안내 덕트(40)는 내부 캐비닛(3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안내 덕트(40)는 먼지 센서(50)로 공기를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안내 덕트(40)는 먼지 센서(5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내부 캐비닛(30)으로 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안내 덕트(40)는 내부 캐비닛(30)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공기 안내 덕트(40)는 내부 캐비닛(30)의 좌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공기 안내 덕트(40)의 설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기 안내 덕트(40)는 내부 캐비닛(30)에 설치되는 전장 부품과 인쇄회로기판과 간섭되지 않는 곳이면 어느 곳에나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안내 덕트(40)는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41)와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4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안내 덕트(40)는 내부 캐비닛(30)을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가 내부 캐비닛(30)에서의 공기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하거나 경사진 방향으로 공기 안내 덕트(40)로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안내 덕트(40)는 먼지 센서(50)를 통과한 공기가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이동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공기 안내 덕트(40)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공기 안내 덕트(40)의 입구(41)는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내부 캐비닛(30)의 공기는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공기 안내 덕트(40)로 유입될 수 있다. 그 결과, 공기 안내 덕트(40) 내부의 공기 흐름은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흐름보다 유속이 느리며 안정될 수 있다.
공기 안내 덕트(40)의 출구(42)는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안내 덕트(40)의 출구(42)가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공기 안내 덕트(40)의 공기는 출구(42)를 통해 원활하게 내부 캐비닛(30)으로 배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공기 안내 덕트(40)의 입구(41)는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이동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고, 공기 안내 덕트(40)의 출구(42)는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내부 캐비닛(30)의 공기는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공기 안내 덕트(40)로 유입될 수 있다. 그 결과, 공기 안내 덕트(40) 내부의 공기 흐름은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흐름보다 유속이 느리며 안정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안내 덕트(40)의 공기는 출구(42)를 통해 원활하게 내부 캐비닛(30)으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 안내 덕트(40)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입구(41)는 공기 안내 덕트(40)의 일단에 형성되고, 출구(42)는 공기 안내 덕트(40)의 상면에 타단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안내 덕트(40)의 타단은 막혀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기 안내 덕트(40)의 출구(42)는 굴뚝(46)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기 안내 덕트(40)의 출구(42)는 공기 안내 덕트(40)의 상면보다 돌출되는 사각 파이프 형상의 굴뚝(46)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출구(42)를 굴뚝(46)으로 형성하면, 공기 안내 덕트(4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원활하게 내부 캐비닛(30)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공기 안내 덕트(40)는 내부 캐비닛(30)의 하면(30a)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공기 안내 덕트(40)는 하면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캐비닛(30)의 하면(30a)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하면, 공기 안내 덕트(40)의 입구(41)가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흐름 방향(화살표 A)에 대해 수직한 방향이 된다. 따라서, 공기 안내 덕트(40)의 입구(41)로는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흐름 방향(A)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화살표 B).
또한, 공기 안내 덕트(40)의 출구(42)는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흐름 방향(A)에 평행한 방향이 된다. 따라서, 공기 안내 덕트(40)의 출구(42)로부터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흐름 방향(A)에 평행한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화살표 C).
다른 예로, 공기 안내 덕트(4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캐비닛(30)의 하면(30a)에 대해 평행하지 않고 약간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 안내 덕트가 내부 캐비닛에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기 안내 덕트(40)는 하면이 내부 캐비닛(30)의 하면(30a)에 대해 하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내부 캐비닛(3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내부 캐비닛(30)에 설치된 공기 안내 덕트(40)의 하면이 내부 캐비닛(30)의 하면(30a)에 평행한 가상 평면(VP)과 일정 각도(θ)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면, 공기 안내 덕트(40)의 입구(41)가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흐름 방향(A)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된다. 따라서, 공기 안내 덕트(40)의 입구(41)로는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흐름 방향(A)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화살표 B').
또한, 공기 안내 덕트(40)의 출구(42)도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흐름 방향(A)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된다. 따라서, 공기 안내 덕트(40)의 출구(42)로부터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흐름 방향(A)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화살표 C').
이때, 내부 캐비닛(30)의 공기가 공기 안내 덕트(40)의 입구(41)로 안정적으로 유입되고, 출구(42)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 안내 덕트(40)의 설치 경사는 제한된다. 예를 들면, 공기 안내 덕트(40)는 가상 평면(VP)과의 각도(θ)가 30도 이하가 되도록 내부 캐비닛(3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 안내 덕트가 내부 캐비닛에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공기 안내 덕트(40)는 하면이 내부 캐비닛(30)의 하면(30a)에 대해 상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내부 캐비닛(3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내부 캐비닛(30)에 설치된 공기 안내 덕트(40)의 하면이 내부 캐비닛(30)의 하면(30a)에 평행한 가상 평면(VP)과 일정 각도(θ)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면, 공기 안내 덕트(40)의 입구(41)가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흐름 방향(A)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된다. 따라서, 공기 안내 덕트(40)의 입구(41)로는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흐름 방향(A)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화살표 B').
또한, 공기 안내 덕트(40)의 출구(42)도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흐름 방향(A)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된다. 따라서, 공기 안내 덕트(40)의 출구(42)로부터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흐름 방향(A)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화살표 C').
이때, 내부 캐비닛(30)의 공기가 공기 안내 덕트(40)의 입구(41)로 안정적으로 유입되고, 출구(42)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 안내 덕트(40)의 설치 경사는 제한된다. 예를 들면, 공기 안내 덕트(40)는 가상 평면(VP)과의 각도(θ)가 30도 이하가 되도록 내부 캐비닛(30)에 설치될 수 있다.
먼지 센서(50)는 공기 안내 덕트(4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먼지 센서(50)는 공기 안내 덕트(4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먼지 센서(50)는 공기 안내 덕트(40)에 의해 내부 캐비닛(3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공기 안내 덕트(40)는 먼지 센서(50)를 내부 캐비닛(3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먼지 센서(50)는 공기 안내 덕트(4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먼지 센서(50)와 공기 안내 덕트(40)는 먼지 센싱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먼지 센서(50)가 공기 안내 덕트(40)의 내부에 설치되는 먼지 센싱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먼지 센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먼지 센싱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먼지 센싱장치를 선 Ⅰ-Ⅰ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먼지 센싱장치는 공기 안내 덕트(40)와 먼지 센서(5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안내 덕트(40)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입구(41)는 공기 안내 덕트(40)의 일단에 형성되고, 출구(42)는 공기 안내 덕트(40)의 상면에 타단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안내 덕트(40)의 타단은 막혀 있다.
공기 안내 덕트(40)의 출구(42)는 굴뚝(46)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기 안내 덕트(40)의 출구(42)는 공기 안내 덕트(40)의 상면보다 돌출되는 사각 파이프 형상의 굴뚝(46)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기 안내 덕트(40)는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안내 덕트(40)의 출구(42)를 굴뚝(46)으로 형성하면, 공기 안내 덕트(4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원활하게 내부 캐비닛(30)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공기 안내 덕트(40)의 내부에는 먼지 센서(50)에 마련된 공기 유로(51)의 입구(52)와 출구(53)를 구획하는 내부 격벽(43)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내부 격벽(43)은 먼지 센서(50)의 공기 유로(51)의 입구(52)가 위치한 공기 안내 덕트(40)의 공간과 공기 유로(51)의 출구(53)가 위치한 공기 안내 덕트(40)의 공간을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먼지 센서(50)의 공기 유로(51)의 입구(52)가 위치한 공기 안내 덕트(40)의 공간과 공기 유로(51)의 출구(53)가 위치한 공기 안내 덕트(40)의 공간은 서로 연통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내부 격벽(43)에 의해 공기 안내 덕트(40)는 유입부(44)와 배출부(45)로 구획될 수 있다. 즉, 공기 안내 덕트(40)는 먼지 센서(50)의 공기 유로(51)의 입구(52)와 연결되는 유입부(44), 먼지 센서(50)의 공기 유로(51)의 출구(53)와 연결되는 배출부(45), 및 유입부(44)와 배출부(45)를 구획하는 내부 격벽(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출부(45)는 유입부(44)보다 돌출되는 굴뚝(46)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배출부(45)는 유입부(44)를 형성하는 공기 안내 덕트(40)의 상면 위로 돌출되는 굴뚝(46)을 포함할 수 있다. 굴뚝(46)은 공기 안내 덕트(40)와 동일하게 직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먼지 센서(50)는 외부 공기의 먼지 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먼지 센서(50)는 측정한 먼지 농도를 전기 신호로 출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먼지 센서(50)는 먼지의 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한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먼지 센서(50)는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 유로(51)와 흡입력을 발생시켜 공기가 공기 유로(51)를 통과하도록 하는 센서 팬(55)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로(51)에는 공기 유로(51)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센싱부(56)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유로(51)는 먼지 센서(5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로(51)의 입구(52)와 출구(53)는 먼지 센서(5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로(51)의 입구(52)와 출구(53)는 먼지 센서(5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공기 유로(51)의 입구(52)와 출구(53)는 각각 먼지 센서(50)의 다른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공기 유로(51)의 입구와 출구는 먼지 센서(50)의 상면에 형성된다.
센서 팬(55)은 먼지 센서(50)의 내부에 공기 유로(51)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 팬(55)은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센서 팬(55)이 회전하면, 공기가 공기 유로(51)의 입구(52)로 유입되고, 센서 팬(55)을 거쳐 공기 유로(51)의 출구(53)로 배출될 수 있다.
센싱부(56)는 먼지 센서(5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센싱부(56)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한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싱부(56)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와 발광부에서 방출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는 적외선 LED 또는 레이저로 형성될 수 있다. 수광부는 적외선을 수신할 수 있는 다이오드 또는 레이저를 수신할 수 있는 다이오드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는 공기 유로(51)의 일측에 설치되고, 수광부는 발광부를 마주하는 공기 유로(51)의 타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센싱부(56)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이용하여 공기 유로(51)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내부 캐비닛(30)의 공기는 공기 안내 덕트(40)의 입구를 통해 유입부(44)로 유입될 수 있다.
먼지 센서(50)의 센서 팬(55)이 회전하면, 유입부(44)의 공기는 먼지 센서(50)에 마련된 공기 유로(51)의 입구(52)를 통해 공기 유로(51)로 유입된다. 공기 유로(51)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 유로(51)의 출구(53)를 통해 배출부(45)로 배출된다.
배출부(45)의 공기는 배출부(45)의 출구(42), 즉 굴뚝(46)을 통해 공기 안내 덕트(4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유입부(44)와 배출부(45)는 내부 격벽(43)으로 차단되어 있으므로, 유입부(44)의 공기는 바로 배출부(45)로 이동하지 않고, 먼지 센서(50)의 공기 유로(51)를 통해 배출부(45)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캐비닛(30)에 설치된 공기 안내 덕트(40)의 내부에 먼지 센서(50)를 설치하면, 먼지 센서(50) 주위의 공기가 캐비닛(20)에 설치된 팬(13)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먼지 센서(50) 주위의 공기 흐름의 유속이 느려지고, 안정적이 된다. 따라서, 먼지 센서(50)가 측정하는 먼지 농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먼지 센서(50) 주위의 공기의 흐름이 불안정하거나, 공기 흐름의 유속이 빠른 경우 먼지 센서(50)가 측정하는 먼지 농도의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먼지 센서(50)는 공기 안내 덕트(40)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먼지 센서(50)가 공기 안내 덕트(40)의 외면에 설치된 먼지 센싱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먼지 센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먼지 센싱장치를 선 Ⅱ-Ⅱ를 따라 절단하여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공기 안내 덕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먼지 센싱장치는 공기 안내 덕트(40)와 먼지 센서(5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안내 덕트(40)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입구(41)는 공기 안내 덕트(40)의 일단에 형성되고, 출구(42)는 공기 안내 덕트(40)의 상면에 타단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안내 덕트(40)의 타단은 막혀 있다.
공기 안내 덕트(40)의 출구(42)는 굴뚝(46)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기 안내 덕트(40)의 출구(42)는 공기 안내 덕트(40)의 상면보다 돌출되는 사각 파이프 형상의 굴뚝(46)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기 안내 덕트(40)는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안내 덕트(40)의 출구(42)를 굴뚝(46)으로 형성하면, 공기 안내 덕트(4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원활하게 내부 캐비닛(30)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공기 안내 덕트(40)는 먼지 센서(50)에 마련된 공기 유로(51)의 입구(52)에 대응하도록 공기 안내 덕트(40)의 일면에 마련되는 유입 구멍(47)과 공기 유로(51)의 출구(53)에 대응하도록 공기 안내 덕트(40)의 일면에 마련된 배출 구멍(48)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 구멍(48)은 유입 구멍(47)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공기 안내 덕트(40)의 하면에 2개의 구멍, 즉 유입 구멍(47)과 배출 구멍(48)이 마련될 수 있다. 공기 안내 덕트(40)의 하면에는 먼지 센서(50)가 설치될 수 있다. 먼지 센서(50)를 공기 안내 덕트(40)의 하면에 설치하면, 먼지 센서(50)의 공기 유로(51)의 입구(52)와 출구(53)는 각각 공기 안내 덕트(40)의 유입 구멍(47)과 배출 구멍(48)에 일치한다.
공기 안내 덕트(40)의 내부에는 유입 구멍(47)과 배출 구멍(48) 사이의 공기 안내 덕트(40) 내부를 차단하는 내부 격벽(43)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 격벽(43)은 먼지 센서(50)에 마련된 공기 유로(51)의 입구(52)가 위치한 공기 안내 덕트(40)의 내부 공간과 공기 유로(51)의 출구(53)가 위치한 공기 안내 덕트(40)의 내부 공간을 차단하도록 공기 안내 덕트(40)의 내부에 마련된다.
따라서, 공기 유로(51)의 입구(52)가 위치한 공기 안내 덕트(40)의 내부 공간과 공기 유로(51)의 출구(53)가 위치한 공기 안내 덕트(40)의 내부 공간은 서로 연통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공기 안내 덕트(40)는 내부 격벽(43)에 의해 유입부(44)와 배출부(45)로 구획될 수 있다. 즉, 공기 안내 덕트(40)는 먼지 센서(50)의 공기 유로(51)의 입구(52)와 연결되는 유입부(44), 공기 유로(51)의 출구(53)와 연결되는 배출부(45), 및 유입부(44)와 배출부(45)를 구획하는 내부 격벽(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출부(45)는 유입부(44)보다 돌출되는 굴뚝(46)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배출부(45)는 유입부(44)를 형성하는 공기 안내 덕트(40)의 상면 위로 돌출되는 굴뚝(46)을 포함할 수 있다. 굴뚝(46)은 공기 안내 덕트(40)와 동일하게 직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먼지 센서(50)는 외부 공기의 먼지 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먼지 센서(50)는 측정한 먼지 농도를 전기 신호로 출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먼지 센서(50)는 먼지의 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한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먼지 센서(50)는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 유로(51)와 흡입력을 발생시켜 공기가 공기 유로(51)를 통과하도록 하는 센서 팬(55)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로(51)에는 공기 유로(51)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센싱부(56)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유로(51)는 먼지 센서(5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로(51)의 입구(52)와 출구(53)는 먼지 센서(5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로(51)의 입구(52)와 출구(53)는 먼지 센서(5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공기 유로(51)의 입구(52)와 출구(53)는 각각 먼지 센서(50)의 다른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공기 유로(51)의 입구(52)와 출구(53)는 먼지 센서(50)의 상면에 형성된다.
센서 팬(56)은 먼지 센서(50)의 내부에 공기 유로(51)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 팬(55)은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센서 팬(55)이 회전하면, 공기가 공기 유로(51)의 입구(52)로 유입되고, 센서 팬(55)을 거쳐 공기 유로(51)의 출구(53)로 배출될 수 있다.
센싱부(56)는 먼지 센서(5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센싱부(56)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한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싱부(56)는 상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내부 캐비닛(30)의 공기는 공기 안내 덕트(40)의 입구(41)를 통해 유입부(44)로 유입될 수 있다.
먼지 센서(50)의 센서 팬(55)이 회전하면, 유입부(44)의 공기는 공기 안내 덕트(40)의 유입 구멍(47)과 먼지 센서(50)에 마련된 공기 유로(51)의 입구(52)를 통해 공기 유로(51)로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가 공기 유로(51)에 마련된 센싱부(56)를 통과하면, 센싱부(56)는 공기의 먼지 농도를 측정한다.
센싱부(56)를 통과한 공기는 공기 유로(51)의 출구(53)와 공기 안내 덕트(40)의 배출 구멍(48)을 통해 배출부(45)로 배출된다. 배출부(45)의 공기는 배출부(45)의 출구(42), 즉 굴뚝(46)을 통해 공기 안내 덕트(4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유입 구멍(47)이 마련된 유입부(44)와 배출 구멍(48)이 마련된 배출부(45)는 내부 격벽(43)으로 차단되어 있으므로, 유입부(44)의 공기는 바로 배출부(45)로 이동하지 않고, 먼지 센서(50)의 공기 유로(51)를 통해 배출부(45)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캐비닛(30)에 설치된 공기 안내 덕트(40)의 외면에 먼지 센서(50)를 설치하고 먼지 센서(50)의 공기 유로(51)의 입구(52)와 출구(53)가 공기 안내 덕트(40)의 유입 구멍(47)과 배출 구멍(48)에 연결되도록 하면, 먼지 센서(50) 주위의 공기가 캐비닛(20)에 설치된 팬(13)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먼지 센서(50) 주위의 공기 흐름의 유속이 느려지고, 안정적이 된다. 따라서, 먼지 센서(50)가 측정하는 먼지 농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사용자 입력부(92), 디스플레이(93), 실내 온도 센서(94), 습도 센서(95), 실내 먼지 센서(7), 실내 팬 모터(6), 팬 모터(14), 압축기(10), 먼지 센서(50), 온도 센서(60), 통신부(96), 프로세서(9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92)는 사용자로부터 공기조화기의 동작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프로세서(90)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92)는 실내기(1)에 마련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92)는 실내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 냉방 모드, 제습 모드, 및 청정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사용자가 누르는 것에 의하여 작동되는 푸시 스위치(push switch)와 멤브레인 스위치(membrane switch), 또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의 접촉에 의하여 작동되는 터치 스위치(touch switc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92)는 리모컨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은 사용자 입력부(92)에 마련된 복수의 버튼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93)는 프로세서(90)로부터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관한 정보와 실내 환경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93)는 실내의 목표 온도, 실내의 측정 온도, 운전 모드, 바람의 세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93)는 실내의 먼지 농도와 실외의 먼지 농도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93)는 실내기(1)에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93)는 액정 표시(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 온도 센서(94)는 실내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프로세서(90)로 전송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온도 센서(94)는 온도에 따라 전기적 저항 값이 변화하는 서미스터(therm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 온도 센서(94)는 실내기(1)에 마련될 수 있다.
습도 센서(95)는 실내의 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습도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프로세서(90)로 전송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습도 센서(95)는 실내기(1)에 마련될 수 있다.
실내 먼지 센서(7)는 실내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실내 먼지 농도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프로세서(90)로 전송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내 먼지 센서(7)는 실내기(1)에 마련될 수 있다.
실내 팬 모터(6)는 프로세서(90)의 제어에 따라 실내 팬(5)을 회전시키도록 형성될수 있다. 실내 팬 모터(6)는 프로세서(90)의 제어에 따라 실내 팬(5)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실내 팬(5)이 회전하면, 실내기(1)에 마련된 실내 열교환기(4)와 실내 공기가 열교환을 할 수 있다.
팬 모터(14)는 프로세서(90)의 제어에 따라 팬(13)을 회전시키도록 형성될수 있다. 팬 모터(14)는 프로세서(90)의 제어에 따라 팬(13)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팬(13)과 팬 모터(14)는 실외기(2)에 설치된다. 팬(13)이 회전하면, 실외기(2)에 마련된 열교환기(11)와 외부 공기가 열교환을 할 수 있다.
팬 모터(14)에 의하여 회전하는 팬(13)은 열교환기(11)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기류)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13)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캐비닛(20)에 마련된 공기 유입구(21)를 통해 외부 공기가 캐비닛(20)의 내부로 흡입되고, 흡입되는 공기가 열교환기(11)를 통과하는 동안 열교환기(11)와 열을 교환할 수 있다. 열 교환된 공기는 팬(13)과 공기 배출구(23)를 통하여 캐비닛(20)의 상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압축기(10)는 프로세서(90)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며, 냉매 회로를 따라 냉매가 순환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압축기(10)는 기체 상태의 냉매를 압축하고,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를 토출할 수 있다. 압축기(10)에 의하여 토출된 냉매는 열교환기(11), 팽창 밸브(3), 및 실내 열교환기(4)를 순환하며, 열교환기(11)에서 열을 배출하고 실내 열교환기(4)에서 열을 흡수할 수 있다.
먼지 센서(50)는 캐비닛(20)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먼지 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먼지 센서(50)는 상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온도 센서(60)는 실외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프로세서(90)로 전송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60)는 온도에 따라 전기적 저항 값이 변화하는 서미스터(therm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60)는 실외기(2)에 마련될 수 있다.
압축기(10), 팬 모터(14), 먼지 센서(50), 온도 센서(60)는 실외기(2)에 설치되므로, 실내기(1)에 마련된 프로세서(90)와 물리적으로 떨어져 위치한다. 따라서, 압축기(10), 팬 모터(14), 먼지 센서(50), 온도 센서(60)는 프로세서(90)와 통신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90)는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부(92), 디스플레이(93), 실내 온도 센서(94), 습도 센서(95), 실내 먼지 센서(7), 실내 팬 모터(6), 팬 모터(14), 압축기(10), 먼지 센서(50), 온도 센서(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프로세서(90)는, 사용자 입력부(92), 디스플레이(93), 실내 온도 센서(94), 습도 센서(95), 실내 먼지 센서(7), 먼지 센서(50), 및 온도 센서(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실내 팬 모터(51), 팬 모터(14), 및 압축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90)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및/또는 기억하는 메모리(91)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0)는 메모리(91)에 저장 및/또는 기억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부(92)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 정보, 온도 센서(94)에 의하여 검출된 실내 온도 정보, 습도 센서(95)에 의하여 검출된 실내 습도 정보, 실내 먼지 센서(50)에 의해 검출된 실내 먼지 농도 정보, 및 먼지 센서(50)에 의해 검출된 외부 공기 먼지 농도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90)는 메모리(91)에 저장 및/또는 기억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내 팬 모터(6), 팬 모터(14), 및 압축기(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90)는 연산 회로, 기억 회로,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0)는 적어도 하나의 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90)는 적어도 하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1)는 사용자 입력 정보, 실내 온도 정보, 실내 습도 정보, 실내 먼지 정보, 실외 먼지 정보, 실외 온도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및/또는 기억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91)는 실내 팬 모터(6), 팬 모터(14), 및 압축기(1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및/또는 기억할 수 있다.
메모리(91)는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및 롬(Read Only Memory),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96)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96)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외부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96)는 스마트폰으로 실내 공기의 먼지 농도와 실외 공기의 먼지 농도를 전송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통신부(96)는 다양한 통신 방법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96)는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근접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등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가 작동할 때, 실외기(2)에서의 공기 흐름에 대해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서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공기조화기가 온되면, 프로세서(90)는 실외기(2)의 팬 모터(14)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캐비닛(20)의 상부에 마련된 팬(13)이 회전한다.
팬(13)이 회전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공기가 캐비닛(20)의 공기 유입구(21)를 통해 캐비닛(20)의 내부로 유입된다(F1).
캐비닛(2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의 대부분(F2)은 상측으로 이동하여, 팬(13)과 공기 배출구(23)를 통해 캐비닛(20)의 외부로 배출된다(F7).
캐비닛(2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의 일부(F3)는 내부 캐비닛(30)의 하부에 마련된 유입구(33)를 통해 내부 캐비닛(30)의 내부로 유입된다.
내부 캐비닛(30)으로 유입된 공기의 대부분은 상측으로 이동하여 내부 캐비닛(30)의 배출구(34)를 통해 내부 캐비닛(30)의 외부로 배출된다(F6).
내부 캐비닛(30)으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F4)는 공기 안내 덕트(40)의 입구(41)로 유입된다. 공기 안내 덕트(40)로 유입된 공기는 먼지 센서(50)의 공기 유로(51)를 통과한 후, 공기 안내 덕트(40)의 출구(42)로 배출된다(F5).
공기 안내 덕트(4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내부 캐비닛(30)의 배출구(34)를 통해 내부 캐비닛(30)의 외부로 배출된다(F6).
내부 캐비닛(30)의 배출구(34)에서 배출된 공기는 대부분의 외부 공기(F2)와 함께 팬(13)과 공기 배출구(23)를 통과하여 캐비닛(2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2)는 캐비닛(20)의 내부에 내부 캐비닛(30)이 설치되고, 내부 캐비닛(30)의 내부에 공기 안내 덕트(40)가 마련되며, 공기 안내 덕트(40)의 내부에 먼지 센서(5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먼지 센서(50) 주위의 공기는 실외기(2)의 팬(13)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 흐름에 의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공기 안내 덕트(40)에 설치된 먼지 센서(50)는 캐비닛(20)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먼지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내부 캐비닛(30)이 캐비닛(20)과 별개로 형성되며, 내부 캐비닛(30)의 내부에 압축기(10)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내부 캐비닛(30)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부 캐비닛(30)은 캐비닛(20)의 일부로, 내부에 압축기(10)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구조가 다른 내부 캐비닛(30)을 구비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실외기(2)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참고로, 도 15 및 도 16은 캐비닛(20)의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캐비닛(20)의 전면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의 실외기(2)는 캐비닛(20), 열교환기(11), 압축기(10), 팬(13), 내부 캐비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20)은 실외기(2)의 외형을 형성하며, 대략 속이 빈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캐비닛(20)의 내부에는 열교환기(11), 팬(13), 및 내부 캐비닛(30)이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20)의 후면(20a)과 좌측면(20b)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가 마련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는 복수의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20)의 전면에는 전면 커버가 설치되는 전면 개구(22)가 마련될 수 있다. 전면 커버는 캐비닛(20)의 전면 개구(22)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전면 커버는 캐비닛(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가 마련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는 복수의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11)는 캐비닛(20)의 내부에 캐비닛(20)의 좌측면(20b)과 후면(20a)에 인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11)를 통과하여 캐비닛(20)의 공기 배출구로 이동할 수 있다.
열교환기(11)는 열교환기(11)의 내부를 흐르는 냉매가 열교환기(11)를 통과하는 외부 공기와 열을 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팬(13)은 캐비닛(20)의 내부의 좌측부에 설치된다. 팬(13)은 수직으로 배치된 2개의 팬(13)을 포함할 수 있다. 팬(13)은 팬 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팬(13)이 회전하면, 캐비닛(2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흐르는 공기 흐름이 발생한다. 즉, 팬(13)이 회전하면, 외부 공기가 캐비닛(20)의 후면(20a)과 좌측면(20b)에 마련된 공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팬(13)을 통과한 후, 캐비닛(20)의 전면에 마련된 공기 배출구를 통해 캐비닛(20)의 외부로 배출된다.
팬(13)은 캐비닛(20)의 전면과 후면(20a)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팬(13)이 회전하면 캐비닛(20)의 내부에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공기 흐름이 발생한다.
내부 캐비닛(30)은 캐비닛(20)의 내부에 마련된다. 내부 캐비닛(30)은 캐비닛(20)의 우측에 마련될 수 있다. 내부 캐비닛(30)은 격벽(70)으로 캐비닛(2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격벽(70)의 좌측의 캐비닛(20)의 공간에는 팬(13)과 열교환기(11)가 설치되며, 격벽(70)의 우측의 캐비닛(20)의 공간은 내부 캐비닛(30)을 형성한다.
압축기(10)는 내부 캐비닛(30)의 내부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압축기(10)는 내부 캐비닛(30)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0)는 열교환기(11)와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10)는 기체 상태의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이며 고압인 기체 냉매로 만들도록 형성된다. 압축기(10)에서 배출되는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는 열교환기(11)로 유입된다.
내부 캐비닛(30)의 내부에는 압축기(10)와 팬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장부품 및 압축기(10)와 팬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이 수용될 수 있다. 전장부품과 인쇄회로기판은 압축기(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캐비닛(30)은 전장부품과 인쇄회로기판을 빗물과 눈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내부 캐비닛(30)의 전면은 개방되어 있다. 내부 캐비닛(30)의 전면의 개구는 캐비닛(20)의 전면 커버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즉, 캐비닛(20)의 전면에 전면 커버를 설치하면, 내부 캐비닛(30)의 전면도 전면 커버에 의해 덮이게 된다.
내부 캐비닛(30)은 팬(13)에 의해 캐비닛(2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하부에서 상부로 흐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내부 캐비닛(30)의 하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71)가 마련되고, 내부 캐비닛(30)의 상부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72)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70)의 하부에 유입구(71)가 마련되고, 격벽(70)의 상부에 배출구(72)가 마련될 수 있다.
팬(13)이 작동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20)의 공기가 격벽(70)의 유입구(71)를 통해 내부 캐비닛(3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내부 캐비닛(30)으로 유입된 공기는 격벽(70)의 배출구(72)를 통해 내부 캐비닛(30)의 외부, 즉 캐비닛(20)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팬(13)이 작동하면, 외부 공기가 캐비닛(20)의 공기 유입구를 통해 캐비닛(20)의 내부로 유입된 후, 공기 배출구를 통해 캐비닛(2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캐비닛(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내부 캐비닛(30)을 통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13)이 작동하면, 캐비닛(20)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의 일부는 격벽(70)의 유입구(71)를 통해 내부 캐비닛(30)의 내부로 유입되고(화살표 F1), 유입된 공기는 격벽(70)의 배출구(72)를 통해 내부 캐비닛(30)의 외부로 배출된다(화살표 F2). 따라서, 내부 캐비닛(30)의 내부를 흐르는 공기 흐름의 방향, 즉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이동 방향은 내부 캐비닛(30)의 하면에서 상면을 향하게 된다.
내부 캐비닛(30)에 설치된 전장 부품과 인쇄회로기판은 내부 캐비닛(30)을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캐비닛(20)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의 일부는 내부 캐비닛(30)을 통과하여 팬(13)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내부 캐비닛(30) 내부의 공기 흐름은 내부 캐비닛(30)을 통과하지 않고 직접 팬(13)으로 이동하는 외부 공기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닛(20) 내부의 공기 흐름보다 유속이 느리며 안정적이다. 즉,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흐름은 캐비닛(20) 내부의 공기 흐름보다 느리며 안정적이다.
공기 안내 덕트(40)는 내부 캐비닛(3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안내 덕트(40)는 먼지 센서(50)로 공기를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안내 덕트(40)는 먼지 센서(5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내부 캐비닛(30)으로 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안내 덕트(40)는 내부 캐비닛(30)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공기 안내 덕트(40)는 격벽(70)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공기 안내 덕트(40)의 설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기 안내 덕트(40)는 내부 캐비닛(30)에 설치되는 전장 부품과 인쇄회로기판과 간섭되지 않는 곳이면 어느 곳에나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안내 덕트(40)는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41)와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4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안내 덕트(40)는 내부 캐비닛(30)을 통과하는 공기의 일부가 내부 캐비닛(30)에서의 공기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하거나 경사진 방향으로 공기 안내 덕트(40)로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안내 덕트(40)는 먼지 센서(50)를 통과한 공기가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이동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공기 안내 덕트(40)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공기 안내 덕트(40)의 입구(41)는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내부 캐비닛(30)의 공기는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공기 안내 덕트(40)로 유입될 수 있다. 그 결과, 공기 안내 덕트(40) 내부의 공기 흐름은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흐름보다 유속이 느리며 안정될 수 있다.
공기 안내 덕트(40)의 출구(42)는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안내 덕트(40)의 출구(42)가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공기 안내 덕트(40)의 공기는 출구(42)를 통해 원활하게 내부 캐비닛(30)으로 배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공기 안내 덕트(40)의 입구(41)는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이동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고, 공기 안내 덕트(40)의 출구(42)는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내부 캐비닛(30)의 공기는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공기 안내 덕트(40)로 유입될 수 있다. 그 결과, 공기 안내 덕트(40) 내부의 공기 흐름은 내부 캐비닛(30)의 공기 흐름보다 유속이 느리며 안정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안내 덕트(40)의 공기는 출구를 통해 원활하게 내부 캐비닛(30)으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 안내 덕트(40)와 먼지 센서(50)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실외기(2)의 공기 안내 덕트(40) 및 먼지 센서(5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캐비닛(20)의 내부에 마련된 내부 캐비닛(30)에 설치된 공기 안내 덕트(40)의 내부 또는 외면에 먼지 센서(50)를 설치하고 먼지 센서(50)의 공기 유로(51)의 입구(52)와 출구(53)를 공기 안내 덕트(40)와 연통되도록 하면, 먼지 센서(50) 주위의 공기가 캐비닛(20)에 설치된 팬(13)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먼지 센서(50) 주위의 공기 흐름의 유속이 느려지고, 안정적이 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2)에 설치된 먼지 센서(50)가 측정하는 먼지 농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와 같이 실외기(2)에 먼지 센서(50)를 마련하면,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장소의 외부 공기의 먼지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면, 공기조화기는 외부 공기에 의해 실내 공기가 오염되기 전, 즉 실내 공기의 먼지 농도가 상승하기 전에 선제적으로 실내기(1)의 집진장치(8)를 작동시켜 실내 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2)의 먼지 센서(50)로 측정한 외부 공기의 먼지 농도를 리모콘 또는 스마트폰으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먼지 농도에 따라 환기를 위해 창문을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로 전송되는 실외 공기의 먼지 농도를 확인하여 외출시 마스크 등을 준비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공기의 먼지 농도가 나쁜 상태에서, 공기조화기를 장시간 동안 운전하지 않은 경우에, 실외기(2)의 열교환기(11)에 먼지가 쌓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프로세서(90)는 실외기(2)의 팬(13)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실외기(2)의 열교환기(11)에 쌓인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실외기(2)에 먼지 센서(50)가 마련된 공기조화기를 이용하여 환기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외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이용한 환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환기 시스템(100)은 공기조화기(101), 공기 모니터(110), 환기장치(120), 무선 중계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1)는 실내기(1)와 실외기(2)를 포함한다. 실내기(1)는 실내에 설치되며, 실외기(2)는 실외에 설치된다.
실내기(1)는 실내 공기의 먼지 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실내 먼지 센서(7)와 실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실내 온도 센서(94)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1)에는 실내기(1)와 실외기(2)를 제어할 수 있는 프로세서(90)가 마련될 수 있다.
실외기(2)는 실외 공기의 먼지 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먼지 센서(50)와 실외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센서(6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1)가 운전되지 않는 대기 모드인 경우에도, 실외기(2)의 먼지 센서(50)는 실외 먼지 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즉, 실외기(2)의 먼지 센서(50)는 실외 먼지 농도를 24시간 센싱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1)의 구조는 상술한 공기조화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프로세서(90)는 실외기(2)의 먼지 센서(50)와 온도 센서(60)로부터 실외 공기의 먼지 농도와 실외 온도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외 먼지 농도와 실외 온도를 포함하는 실외 공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90)는 실내기(1)의 실내 먼지 센서(7)와 실내 온도 센서(94)로부터 실내 공기의 먼지 농도와 실내 온도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내 먼지 농도와 실내 온도를 포함하는 실내 공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90)는 실내 먼지 센서(7)로 실내 먼지 농도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누적값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90)는 먼지 센서(50)로 실외 먼지 농도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누적값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90)는 누적값을 기준으로 평균 먼지 농도 차이를 선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90)는 실외 공기 정보와 실내 공기 정보를 통신부(96)를 통해 무선으로 무선 중계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공기 모니터(110)는 실내 공기의 질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공기 모니터(110)는 실내의 이산화탄소(CO2)의 량과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 VOC)의 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벤젠, 톨루엔, 자일렌, 스티렌, 에틸벤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 모니터(110)는 실내의 먼지 농도와 라돈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기 모니터(110)는 이산화탄소 센서(111), VOC 센서(112), 라돈 센서(113), 먼지 센서(1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 모니터(110)는 실내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공기조화기(101)가 실내 먼지 센서(7)를 포함하는 경우, 공기 모니터(110)는 먼지 센서(114)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공기 모니터(110)는 이산화탄소, VOC, 라돈, 미세먼지 등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모니터 디스플레이(115)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모니터(110)는 이산화탄소, VOC, 라돈, 미세 먼지의 상태를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의 4단계로 표시할 수 있다.
공기 모니터(110)는 이산화탄소, VOC, 라돈의 상태를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정보를 무선으로 무선 중계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기 모니터(110)는 모니터 통신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니터 통신부(116)는 와이파이로 실내 공기질 정보를 무선 중계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환기장치(120)는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환기장치(120)는 환기 팬, 배기 덕트, 유입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환기장치(120)는 전열교환기(Energy Recovery Venitlator, ERV)(121)와 공기청정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열교환기(121)는 배출되는 실내 공기에 포함된 열을 유입되는 실외 공기로 전달하여 환기시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실내 온도와 실외 온도의 차이가 큰 경우에, 실외 공기는 전열교환기(121)를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전열교환기(121)는 실내외 온도차가 기준 온도 이상이면 작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외 온도차가 10℃ 이상이면,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는 전열교환기(121)를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열교환기(121)는 바이패스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실내외 온도차가 기준 온도 미만이어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 사이의 열교환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는 실외 공기가 전열교환기(121)를 통과하지 않고, 즉 전열교환기(121)를 바이패스하여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122)는 실외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실외 공기의 먼지 상태가 나쁨일 경우에, 실외 공기는 공기청정기(122)를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122)를 통과한 실외 공기는 먼지가 제거되어 좋음 상태가 된다.
또한, 공기청정기(122)는 바이패스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외 공기의 먼지 상태가 좋음일 경우에는 실외 공기가 공기청정기(122)를 통과하지 않고, 즉 공기청정기(122)를 바이패스하여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환기장치(120)는 환기장치(122)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환기 디스플레이(123), 무선 중계기(130)와 무선으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환기 통신부(124), 및 환기장치(120)를 제어하는 환기 프로세서(125)를 포함할 수 있다.
환기장치(120)는 환기 통신부(124)를 통해 실내 공기질 정보와 실외 공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환기 프로세서(125)는 무선 중계기(130)를 통해 수신한 실내 공기질 정보로부터 실내 공기질을 판단할 수 있다. 환기 프로세서(125)는 실내 공기질 정보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VOC, 라돈의 상태 중 최악의 상태를 기준으로 실내 공기질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 공기질 정보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VOC, 라돈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가 나쁨이면, 환기 프로세서(125)는 실내 공기질을 나쁨으로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태가 매우 나쁨이면, 실내 공기질을 매우 나쁨으로 판단한다.
실내 공기질이 좋음 상태와 보통 상태이면, 실내 환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환기 프로세서(125)는 환기장치(120)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실내 공기질이 나쁨 상태와 매우 나쁨 상태이면, 환기 프로세서(125)는 환기장치(120)를 작동시켜,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실외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는 환기를 수행한다.
환기 프로세서(125)는 무선 중계기(130)를 통해 수신한 실외 공기 정보로부터 실외 공기질을 판단할 수 있다. 환기 프로세서(125)는 실외 공기 정보에 포함된 실외 공기의 먼지 농도를 기준으로 실외 공기질을 판단한다.
예를 들면, 실외 공기의 먼지 농도가 나쁨이면, 환기 프로세서(125)는 실외 공기질을 나쁨으로 판단한다.
환기 프로세서(125)는 실외 공기질과 실내외 온도차에 따라 전열교환기(121)와 공기청정기(122)를 다양하게 제어하여 환기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18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무선 중계기(130)는 공기조화기(101), 공기 모니터(110), 환기장치(120) 사이에서 공기질 정보를 중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무선 중계기(130)는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공기조화기(101), 공기 모니터(110), 환기장치(120)와 무선으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무선 중계기(130)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140)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중계기(130)는 스마트폰(140)과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중계기(130)는 스마트폰(140)과 5G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중계기(130)는 스마트폰(140)과 와이파이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폰(140)에는 공기질을 디스플레이하고, 공기조화기(101), 공기 모니터(110), 환기장치(120)를 제어할 수 있는 공기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폰(140)에 설치된 공기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내 공기질과 실외 공기질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마트폰(140)의 공기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공기조화기(101), 공기 모니터(110), 환기장치(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18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실외 공기질과 실내외 온도차에 따른 환기장치(120)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8은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상태에 따른 환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실내 공기질이 나쁜 상태와 매우 나쁜 상태일 경우, 환기 프로세서(125)는 환기장치(120)를 작동시킨다.
도 18을 참조하면, 실외 공기질이 나쁨이고, 실내 온도와 실외 온도의 차이, 즉 실내외 온도차가 10℃ 미만인 경우, 환기 프로세서(125)는 환기장치(120)를 작동시켜 실외 공기(OA)는 전열교환기(121)는 바이패스하고, 공기청정기(122)를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실내외 온도차가 기준 온도 미만으로 작으므로, 환기장치(120)는 실외 공기(OA)가 전열교환기(121)를 통과하지 않고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고, 실내 공기도 전열교환기(121)를 통과하지 않고 실외로 배출되도록 한다.
도 19는 실외 공기질이 나쁨 상태이고 실내외 온도차가 기준 온도 미만인 경우 환기장치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실내 공기(RA)는 실내의 흡입구(201)로 흡입되어 환기장치(12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실외 공기(OA)는 환기장치(120)를 통해 흡입되어 공기청정기(122)를 통과한 후, 실내(200)의 배기구(202)를 통해 실내(200)로 유입된다. 이때, 나쁨 상태의 실외 공기(OA)는 공기청정기(122)를 통과하면서 미세 먼지가 제거되어 좋음 상태가 되어 실내(200)로 유입된다.
다시, 도 18을 참조하면, 실외 공기질이 나쁨이고, 실내외 온도차가 10℃ 이상인 경우, 환기 프로세서(125)는 환기장치(120)를 작동시켜 실외 공기(OA)가 전열교환기(121)와 공기청정기(122)를 통과하여 실내(200)로 유입되도록 하고, 실내 공기(RA)는 전열교환기(121)를 통과하여 실외로 배출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실내외 온도차가 기준 온도 이상으로 크기 때문에, 환기장치(120)는 실외 공기(OA)가 전열교환기(121)를 통과하여 실내(200)로 유입되도록 하고, 실내 공기(RA)도 전열교환기(121)를 통과하여 실외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러면, 실내 공기(RA)의 열이 실외 공기(OA)로 전달되므로 환기에 의한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20은 실외 공기질이 나쁨 상태이고 실내외 온도차가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환기장치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실내 공기(RA)는 실내(200)의 흡입구(201)로 흡입되어 환기장치(120)의 전열교환기(121)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실외 공기(OA)는 환기장치(120)로 흡입되어 전열교환기(121)와 공기청정기(122)를 통과한 후 실내(200)의 배기구(202)를 통해 실내(200)로 유입된다.
이때, 나쁨 상태의 실외 공기(OA)는 공기청정기(122)를 통과하면서 미세 먼지가 제거되어 좋음 상태가 되어 실내(200)로 유입된다. 또한, 실내 공기(RA)와 실외 공기(OA) 모두 전열교환기(121)를 통과하므로, 실내 공기(RA)의 열이 유입되는 실외 공기(OA)로 전달되므로 환기에 의한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다시, 도 18을 참조하면, 실외 공기질이 좋음이고, 실내외 온도차가 10℃ 미만인 경우, 환기 프로세서(125)는 환기장치(120)를 작동시켜 실외 공기(OA)가 전열교환기(121)와 공기청정기(122)를 바이패스하여 실내로 유입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실내외 온도차가 기준 온도 미만으로 작으므로, 환기장치(120)는 실외 공기(OA)가 전열교환기(121)를 통과하지 않고 실내(200)로 유입되도록 하고, 실내 공기(RA)도 전열교환기(121)를 통과하지 않고 실외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실외 공기질이 좋으므로, 실외 공기(OA)가 공기청정기(122)를 통과하지 않고 바로 실내(200)로 유입되도록 한다.
도 21은 실외 공기질이 좋음 상태이고 실내외 온도차가 기준 온도 미만인 경우 환기장치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실내 공기(RA)는 실내(200)의 흡입구(201)로 흡입되어 환기장치(12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실외 공기(OA)는 환기장치(120)를 통해 흡입되어 실내(200)의 배기구(202)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 이때, 실외 공기질이 좋으므로, 실외 공기(OA)는 공기청정기(122)를 통과하지 않고 바로 실내(200)로 유입될 수 있다.
다시, 도 18을 참조하면, 실외 공기질이 좋음이고, 실내외 온도차가 10℃ 이상인 경우, 환기 프로세서(125)는 환기장치(120)를 작동시켜 실외 공기(OA)가 전열교환기(121)를 통과하여 실내(200)로 유입되도록 하고, 실내 공기(RA)는 전열교환기(121)를 통과하여 실외로 배출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실내외 온도차가 기준 온도 이상으로 크기 때문에, 환기 프로세서(125)는 실외 공기(OA)가 전열교환기(121)를 통과하여 실내(200)로 유입되도록 하고, 실내 공기(RA)도 전열교환기(121)를 통과하여 실외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러면, 실내 공기(RA)의 열이 실외 공기(OA)로 전달되므로 환기에 의한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실외 공기질이 좋으므로, 환기 프로세서(125)는 실외 공기(OA)가 공기청정기(122)를 통과하지 않고 바로 실내(200)로 유입되도록 한다.
도 22는 실외 공기질이 좋음 상태이고 실내외 온도차가 기준 온도 이상인 경우 환기장치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실내 공기(RA)는 실내(200)의 흡입구(201)로 흡입되어 환기장치(120)의 전열교환기(121)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실외 공기(OA)는 환기장치(120)로 흡입되어 전열교환기(121)를 통과한 후 실내(200)의 배기구(202)를 통해 실내(200)로 유입된다.
이때, 실외 공기(OA)는 좋음 상태이므로, 실외 공기(OA)는 공기청정기(122)를 통과하지 않고 바로 실내(200)로 유입된다. 또한, 실내 공기(RA)와 실외 공기(OA) 모두 전열교환기(121)를 통과하므로, 실내 공기(RA)의 열이 유입되는 실외 공기(OA)로 전달되므로 환기에 의한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환기장치(120)가 공기청정기(122)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실외 공기질과 실내 공기질이 모두 나쁜 상태일 경우, 환기장치(120)는 환기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공기조화기(101)의 프로세서(90)는 실내기를 청정모드로 작동시켜, 집진장치(8)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RA)를 정화할 수 있다. 즉, 공기조화기(101)의 프로세서(90)는 실내 공기질이 나쁜 상태에서 환기장치(120)가 환기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 공기조화기(101)가 실내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는 청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2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이용한 환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이용한 환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공기 모니터(110)는 실내 공기질 정보를 전송한다(S10). 구체적으로, 공기 모니터(110)는 이산화탄소 센서(111)와 VOC센서(112)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RA)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량과 VOC의 량을 측정하고, 이를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정보를 생성한다. 공기 모니터(110)는 모니터 통신부(116)를 통해 실내 공기질 정보를 무선 중계기(130)로 전송한다.
공기조화기(101)는 실외기(2)의 먼지 센서(50)와 온도 센서(60)로 측정한 실외 공기 정보를 전송한다(S20). 구체적으로, 공기조화기(101)는 실외기(2)에 마련된 먼지 센서(50)를 이용하여 실외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고, 온도 센서(60)를 이용하여 실외 온도를 측정한다. 공기조화기(101)는 측정한 실외 공기(OA)의 먼지 농도와 실외 온도를 포함하는 실외 공기 정보를 생성한다. 공기조화기(101)는 통신부(96)를 통해 실외 공기 정보를 무선 중계기(130)로 전송한다.
환기장치(120)는 공기 모니터(110)로 부터 수신한 실내 공기질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질을 판단하고, 실내 공기의 질이 나쁘면, 실외 공기 정보를 이용하여 환기를 수행한다(S30).
구체적으로, 환기장치(120)는 무선 중계기(130)를 통해 수신한 실내 공기질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질을 판단할 수 있다.
실내 공기질이 좋거나 보통이면, 환기장치(120)는 환기를 수행하지 않는다.
실내 공기질이 나쁘거나 매우 나쁘면, 환기장치(120)는 환기를 수행한다. 이때, 환기장치(120)는 무선 중계기(130)를 통해 수신한 실외 공기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환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외 온도차가 기준 온도 미만이고, 실외 공기질이 나쁨이면, 환기장치(120)는 실외 공기(OA)가 전열교환기(121)를 바이패스하고 공기청정기(122)를 통과하도록 하여 환기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환기장치(120)는 실내 공기(RA)가 전열교환기(121)를 바이패스하여 실외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실내외 온도차가 기준 온도 이상이고, 실외 공기질이 나쁨이면, 환기장치(120)는 실외 공기(OA)가 전열교환기(121)와 공기청정기(122)를 통과하도록 하여 환기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환기장치(120)는 실내 공기(RA)가 전열교환기(121)를 통과한 후, 실외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실내외 온도차가 기준 온도 미만이고, 실외 공기질이 좋음이면, 환기장치(120)는 실외 공기(OA)가 전열교환기(121)와 공기청정기(122)를 바이패스하도록 하여 환기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환기장치(120)는 실내 공기(RA)가 전열교환기(121)를 바이패스하여 실외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실내외 온도차가 기준 온도 이상이고, 실외 공기질이 좋음이면, 환기장치(120)는 실외 공기(OA)가 공기청정기(122)를 바이패스하고 전열교환기(121)를 통과하도록 하여 환기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환기장치(120)는 실내 공기(RA)가 전열교환기(121)를 통과한 후, 실외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및 환기방법은 실외기에 마련된 먼지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실외 공기의 먼지 농도를 이용하여 실내 환기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개시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되는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형태 및 세부 사항에서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1; 실내기 2; 실외기
4; 실내 열교환기 5; 실내 팬
6; 실내 팬 모터 7; 집진장치
8; 실내 먼지 센서 10; 압축기
11; 열교환기 13; 팬
14; 팬 모터 20; 캐비닛
30; 내부 캐비닛 33; 유입구
34; 배출구 40; 공기 안내 덕트
44; 유입부 45; 배출부
46; 굴뚝 50; 먼지 센서
51; 공기 유로 55; 센서 팬
56; 센싱부 60; 온도 센서
70; 격벽 90; 프로세서
100; 환기 시스템 101; 공기조화기
110; 공기 모니터 120; 환기장치
121; 전열교환기 122; 공기청정기
130; 무선 중계기 140; 모바일 기기

Claims (20)

  1. 열교환기, 압축기, 및 팬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마련되는 내부 캐비닛;
    상기 내부 캐비닛의 하부에 마련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내부 캐비닛의 상부에 마련되며, 유입된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
    상기 내부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공기 안내 덕트; 및
    상기 공기 안내 덕트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 캐비닛을 통과하는 상기 공기의 먼지 농도를 검출하는 먼지 센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캐비닛의 내부에서의 공기 이동 방향은 상기 내부 캐비닛의 하면에서 상면으로 향하며,
    상기 공기 안내 덕트는 상기 내부 캐비닛을 통과하는 상기 공기의 일부가 상기 공기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하거나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공기 안내 덕트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먼지 센서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공기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공기 안내 덕트로부터 배출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안내 덕트는 상기 내부 캐비닛의 하면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안내 덕트는 상기 내부 캐비닛의 하면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센서는,
    입구와 출구를 포함하는 공기 유로;
    상기 공기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유로를 흐르는 공기의 먼지 농도를 검출하는 센싱부; 및
    상기 공기 유로에 상기 공기가 흐르도록 하는 센서 팬;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센서는 상기 공기 안내 덕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안내 덕트는,
    상기 먼지 센서의 공기 유로의 입구와 연결되는 유입부;
    상기 공기 유로의 출구와 연결되는 배출부; 및
    상기 유입부와 배출부를 구획하는 내부 격벽;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유입부보다 돌출되는 굴뚝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센서는 상기 공기 안내 덕트의 외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안내 덕트는,
    상기 먼지 센서의 공기 유로의 입구에 대응하도록 상기 공기 안내 덕트의 일면에 마련되는 유입 구멍;
    상기 먼지 센서의 공기 유로의 출구에 대응하도록 상기 공기 안내 덕트의 일면에 마련되며, 상기 유입 구멍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배출 구멍; 및
    상기 유입 구멍과 상기 배출 구멍 사이의 상기 공기 안내 덕트 내부를 차단하는 내부 격벽;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1. 열교환기, 압축기, 및 팬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마련되는 내부 캐비닛;
    상기 내부 캐비닛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흐르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내부 캐비닛의 상부에 마련되며, 유입된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
    상기 내부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며, L자 형상으로 형성된 공기 안내 덕트; 및
    상기 공기 안내 덕트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 캐비닛을 통과하는 상기 공기의 먼지 농도를 검출하는 먼지 센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안내 덕트는 상기 내부 캐비닛의 하면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센서는,
    입구와 출구를 포함하는 공기 유로;
    상기 공기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유로를 흐르는 공기의 먼지 농도를 검출하는 센싱부; 및
    상기 공기 유로에 공기가 흐르도록 하는 센서 팬;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안내 덕트는,
    상기 먼지 센서의 공기 유로의 입구와 연결되는 유입부;
    상기 공기 유로의 출구와 연결되는 배출부; 및
    상기 유입부와 배출부를 구획하는 내부 격벽;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5. 실내기; 및
    상기 실내기와 연결되며, 상기 청구항 1항 내지 14항 중 어느 한 항의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6. 먼지 센서가 마련된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이용한 환기방법에 있어서,
    공기 모니터가 실내 공기질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공기조화기가 상기 실외기의 상기 먼지 센서와 온도 센서로 측정한 실외 공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환기장치가 상기 실내 공기질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질을 판단하고, 상기 실내 공기질이 나쁘면, 상기 실외 공기 정보를 이용하여 환기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이용한 환기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공기 정보를 이용하여 환기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실내외 온도차가 기준 온도 미만이고, 실외 공기질이 나쁨이면, 상기 환기장치는 전열교환기를 바이패스하고 공기청정기를 통해 환기를 수행하는, 공기조화기를 이용한 환기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공기 정보를 이용하여 환기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실내외 온도차가 기준 온도 이상이고, 실외 공기질이 나쁨이면, 상기 환기장치는 전열교환기와 공기청정기를 통해 환기를 수행하는, 공기조화기를 이용한 환기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공기 정보를 이용하여 환기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실내외 온도차가 기준 온도 미만이고, 실외 공기질이 좋음이면, 상기 환기장치는 전열교환기와 공기청정기를 바이패스하여 환기를 수행하는, 공기조화기를 이용한 환기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공기 정보를 이용하여 환기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실내외 온도차가 기준 온도 이상이고, 실외 공기질이 좋음이면, 상기 환기장치는 공기청정기를 바이패스하고 전열교환기를 통해 환기를 수행하는, 공기조화기를 이용한 환기방법.
KR1020220022594A 2022-02-21 2022-02-21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및 이를 이용한 환기방법 KR2023012568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594A KR20230125686A (ko) 2022-02-21 2022-02-21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및 이를 이용한 환기방법
PCT/KR2023/002243 WO2023158229A1 (ko) 2022-02-21 2023-02-16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및 이를 이용한 환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594A KR20230125686A (ko) 2022-02-21 2022-02-21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및 이를 이용한 환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686A true KR20230125686A (ko) 2023-08-29

Family

ID=87578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594A KR20230125686A (ko) 2022-02-21 2022-02-21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및 이를 이용한 환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25686A (ko)
WO (1) WO202315822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0059B2 (ja) * 1996-06-21 2000-09-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粉塵検知センサ付空気清浄機
US20120145010A1 (en) * 2009-08-27 2012-06-14 Yoshiro Yamamoto Air cleaner
KR102402012B1 (ko) * 2015-06-19 2022-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먼지 감지장치 및 이를 갖춘 공기조화기
KR101697108B1 (ko) * 2016-07-26 2017-01-18 (주)아스크스토리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23080A (ko) * 2020-04-02 2021-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8229A1 (ko) 2023-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3258B1 (ko) 외기냉방 겸용 전열교환 환기장치
KR101655350B1 (ko) 버섯 재배용 장치
KR101958713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US20200393140A1 (en) Air condtioning apparatus indoor unit including refrigerant detection sensor
KR101565249B1 (ko) 냉난방 및 환기 동시 제어장치
KR102283641B1 (ko) 상대습도를 감소시키는 제습을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전열교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914216B1 (ko) 공기조화기의 시험장치
KR101191604B1 (ko) 조습장치
KR101691881B1 (ko) 복합 환경 대응 환기공조시스템 시험장치
KR101998640B1 (ko) 통풍경로를 제어하는 환기시스템 및 환기방법
WO2021100664A1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2311362B1 (ko) 펠티어 소자를 이용한 온습도 제어용 빌딩설비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0262300A1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装置
KR20170083471A (ko) 버섯 재배용 장치
KR20230125686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및 이를 이용한 환기방법
KR20160091573A (ko) 공기조화 시스템 및 공기조화 방법
JP6557101B2 (ja) 空気調和機
KR102660737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N214668727U (zh) 安全性高的三箱式冷热冲击试验箱
KR101655354B1 (ko) 버섯 재배 장치용 항온 항습기의 제어방법
KR101655351B1 (ko) 버섯 재배 장치용 항온 항습기
KR102522061B1 (ko) 공조 유닛
KR102575089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1655357B1 (ko) 버섯 재배 장치의 제어방법
JP2016038184A (ja) 空気調和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