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5420A - 좌욕용 대야 - Google Patents

좌욕용 대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5420A
KR20230125420A KR1020220022018A KR20220022018A KR20230125420A KR 20230125420 A KR20230125420 A KR 20230125420A KR 1020220022018 A KR1020220022018 A KR 1020220022018A KR 20220022018 A KR20220022018 A KR 20220022018A KR 20230125420 A KR20230125420 A KR 20230125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tz bath
sitz
basin
space
b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규
Original Assignee
김흥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흥규 filed Critical 김흥규
Priority to KR1020220022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5420A/ko
Publication of KR20230125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54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 A47K3/122Se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대야에 앉은 상태로 좌욕수를 통해 용이하게 국부를 좌욕할 수 있는 좌욕용 대야를 제시하며, 국부의 좌욕을 위한 좌욕수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대야본체; 상기 대야본체에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엉덩이의 안장을 제공하는 좌욕시트; 및 상기 좌욕시트를 양분하는 골짜기 형태의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좌욕수가 소통하는 좌욕공간을 이루고, 국부를 상기 좌욕공간으로 노출시키면서 상기 좌욕수에 의한 국부의 좌욕을 허용하는 좌욕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좌욕용 대야{A BOWL FOR SITZ BATH}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좌욕용 대야에 관한 것으로, 대야에 앉은 상태로 좌욕수를 통해 용이하게 국부를 좌욕할 수 있는 좌욕용 대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좌욕은 여러 종류의 항문 질환이나 외음생식기 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으로 적용되는 치료법의 일종이다.
특히, 좌욕은 항문의 치열이나 외음부에 바이러스성 수포 등으로 인한 상처와 통증이 있는 경우, 치질과 치열 등으 로 인한 항문 출혈이 있는 상태, 항문에 발생된 혈전 등으로 부종과 통증이 있는 상태 등에 매우 효과적이 고 필수적인 치료법이다.
또한, 좌욕은 항문 수술(치핵, 치열, 치루수술 등)이나 외음부 수술 후에 상 처의 빠른 치유를 위해서 반드시 시행하는 치료 방법이다.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06141호에 개시된 접이식 근적외선 좌욕의자가 있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접이식 의자 형태를 이루는 프레임에 좌욕공이 형성된 받침이 구비되고, 좌욕공의 하부에 설치된 근적외선 램프의 작동을 통해 좌욕을 하는 기술이다.
그런데, 선행기술은 전기 공급에 의한 근적외선을 통해 간접적인 좌욕이 이루어지므로 온수 또는 약품이 혼합된 온수를 통한 직접적인 좌욕을 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상대적으로 높고, 관리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온수나 약품이 혼합된 좌욕수를 통한 직접적인 좌욕을 수행할 수 있으며,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여 제작 및 관리가 상대적으로 용이한 좌욕용 대야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좌욕을 위한 안장을 이루는 좌욕시트가 엉덩이를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는 좌욕용 대야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국부의 좌욕이 이루어지는 좌욕공간에 샤워기를 용이하게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으며, 국부를 세척한 물을 좌욕공간의 뒤쪽으로 안내할 수 있는 좌욕용 대야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좌욕 후 또는 좌욕 중에 좌욕수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수용공간에 채워지는 좌욕수에 좌욕 약제를 쉽게 우려낼 수 있는 좌욕용 대야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좌욕용 대야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국부의 좌욕을 위한 좌욕수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대야본체; 상기 대야본체에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엉덩이의 안장을 제공하는 좌욕시트; 및 상기 좌욕시트를 양분하는 골짜기 형태의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좌욕수가 소통하는 좌욕공간을 이루고, 국부를 상기 좌욕공간으로 노출시키면서 상기 좌욕수에 의한 국부의 좌욕을 허용하는 좌욕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욕시트는, 상기 좌욕홈에 의해 양분되어 서로 대칭된 한 쌍을 이루면서 상단부에 엉덩이의 안착면을 제공하되, 상기 안착면이 경사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면은, 앞쪽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높아지는 경사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욕홈은, 상기 좌욕공간의 앞쪽 폭이 뒤쪽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욕홈은, 상기 좌욕공간의 바닥면이 앞쪽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욕용 대야는, 상기 대야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폐쇄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좌욕수의 수용을 허용하거나, 개방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서 좌욕수를 배출시키는 배수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욕용 대야는, 상기 대야본체의 수용공간을 이루는 바닥면 및 내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구비되어 약제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수용공간과 소통하면서 상기 약제를 좌욕수에 우려내는 약제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대야본체에 수용되는 온수나 약품이 혼합된 좌욕수를 통해 직접적인 좌욕을 수행함으로써 간접적인 좌욕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므로 관리가 용이하고 욕실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좌욕용 대야를 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좌욕시트에 형성된 좌욕홈을 통해 좌욕수가 국부에 직접적으로 공급됨으로써 좌욕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좌욕시트의 안착면이 앞쪽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신체의 중심이 뒤로 쏠리는 것이 방지되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안정적인 자세로 좌욕을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좌욕홈에 의해 형성되는 좌욕공간의 앞쪽 폭이 뒤쪽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므로 샤워나 좌욕기구 등을 좌욕공간에 용이하게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좌욕공간의 바닥면이 앞쪽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점점 낮게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므로 국부를 세척한 물이 오염물질과 함께 좌욕공간의 뒤쪽으로 안내될 수 있으므로 좀 더 위생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대야본체가 수용공간을 제공하므로 와상환자나 소아의 배변기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대야본체에 배수밸브가 설치될 경우에는 수용공간의 좌욕수를 배수밸브를 통해 수용공간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좌욕 중에도 좌욕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좌욕수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대야본체에 마련되는 약제홀더가 약제를 소통공간과 소통 가능하게 수용함으로써 수용공간에 좌욕수를 채울 경우 약제가 좌욕수에 우러나므로 좌욕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욕용 대야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욕용 대야를 위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욕용 대야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욕용 대야의 좌욕시트를 앞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욕용 대야의 좌욕시트를 뒤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욕용 대야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욕용 대야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욕용 대야를 위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욕용 대야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욕용 대야의 좌욕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욕용 대야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욕용 대야(10)는 국부(회음부와 항문) 부위를 세척하거나 온수로 국부를 이완시키는 좌욕을 수행할 수 있는 기구이다.
구체적으로, 좌욕용 대야(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야본체(100), 좌욕시트(200) 및 좌욕홈(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대야본체(100)는 국부의 좌욕을 위한 좌욕수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대야본체(100)는 상부가 개구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척수의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엉덩이가 수용공간에 담길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대야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수용공간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타원형이나 다각형 등과 같이 엉덩이가 수용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대야본체(100)는 항균처리된 합성수지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금속재나 목재 또는 석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대야본체(100)는 좌욕 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밑면에 논슬립돌기가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고무재질의 논슬립패드가 밑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좌욕시트(200)는 좌욕을 위한 안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좌욕시트(200)는 대야본체(100)의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어 좌욕수의 수용공간에 엉덩이의 안장을 제공하면서 엉덩이를 대야본체(100)의 바닥면에서 이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좌욕시트(200)는 후술되는 좌욕홈(200)에 의해 양분되면서 한 쌍의 봉우리 형태를 이루면서 상단부의 안착면(210)을 통해 엉덩이의 안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좌욕시트(200)는 대야본체(100)와 동일체를 이루면서 제작될 수 있으며, 대야본체(100)와 별도로 제작된 후 대야본체(100)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좌욕시트(200)는 대야본체(100)와 별도로 제작될 경우에는, 대야본체(100)와 다른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욕시트(200)는 쿠션감을 제공하면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재나 실리콘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좌욕시트(200)는 대야본체(100)와 동일체로 제작될 경우에는 상단의 안착면(210)에 안착되는 엉덩이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도시된 고무재질의 논슬립패드가 부착될 수 있으며, 안착면(210)에 미도시된 복수의 논슬립돌기가 돌출됨으로써 엉덩이가 안착면(21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좌욕시트(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엉덩이의 안착면(210)이 수평이 아닌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욕시트(200)의 안착면(210)은 앞쪽, 즉 신체를 기준으로 배가 위치하는 쪽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높아지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욕시트(200)는 엉덩이의 안장을 제공하면서 안착면(210)의 경사를 통해 신체의 중심이 뒤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좀 더 안정적인 자세에서 좌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좌욕 중에 뒤쪽으로 넘어지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좌욕시트(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안착면(210)이 각각 타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앞쪽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엉덩이를 지지할 수도 있다.
상기 좌욕홈(300)은 좌욕시트(200)의 중앙 상부에 국부가 노출되면서 좌욕수가 소통하는 좌욕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좌욕수에 의한 국부의 직접적인 좌욕을 허용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좌욕홈(300)은 좌욕시트(200)를 한 쌍의 봉우리 형태로 양분하는 골짜기 형태의 홈으로 형성됨으로써 좌욕시트(200)의 중앙에 좌욕수가 소통하는 좌욕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좌욕시트(200)에 앉은 상태에서 국부가 좌욕홈(300)에 의한 좌욕공간으로 노출됨으로써 좌욕수를 통해 국부를 좌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좌욕홈(30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욕공간의 앞쪽 폭(W1)이 뒤쪽 폭(W2)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샤워기와 같은 좌욕기구를 좌욕공간으로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샤워기와 같은 좌욕기구는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는 좌욕홈(300)의 앞쪽을 통해 좌욕홈(300)의 좌욕공간으로 삽입되어 국부에 좌욕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좌욕홈(30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310)이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욕홈(300)은 바닥면(310)의 높이가 앞쪽, 즉 신체를 기준으로 배가 위치하는 쪽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좌욕홈(300)은 바닥면(310)의 경사를 통해 좌욕수를 좌욕공간의 뒤쪽으로 안내할 수 있으며, 좌욕공간으로 삽입되는 샤워기가 국부를 향하도록 거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국부를 세척한 좌욕수는 좌욕홈(300)의 바닥면(310)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신체의 앞쪽으로 흐르지 않고 뒤쪽으로 흐름으로써 세척후의 오염물질이 회음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욕용 대야(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밸브(400) 및 약제홀더(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밸브(400)는 대야본체(100)의 수용공간에서 좌욕수를 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배수밸브(400)는 대야본체(100)의 수용공간 하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한 폐쇄를 통해 수용공간에 좌욕수를 채울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개방을 통해 수용공간에서 좌욕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밸브(400)는 수용공간의 좌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좌욕 후는 물론, 좌욕 중에도 좌욕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좌욕수를 대야본체(100)에서 배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배수밸브(400)는 개폐를 통해 물의 소통을 단속할 수 있는 모든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욕용 대야(10)는 대야본체(100)의 측면에 미도시된 급수밸브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급수호스의 연결부위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급수호스가 연결된 급수밸브의 개방을 통해 수용공간에 좌욕수를 채울 수 있다.
여기서, 대야본체(100)에 배수밸브(40) 및 급수밸브가 구비될 경우에는 좌욕을 하는 도중에 수용공간의 좌욕수를 배수밸브(400)로 배출하면서 급수밸브를 통해 새로운 좌욕수를 수용공간에 공급함으로써 좌욕수를 용이하게 교체하면서 좌욕을 할 수 있다.
상기 약제홀더(500)는 좌욕에 필요한 약제를 수용하면서 약제가 좌욕수에 우러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약재홀더(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야본체(100)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측면 또는 바닥면에 구비되어 좌욕에 필요한 약제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약제홀더(500)는 일부분이 개구된 바구니 형태로 형성되어 약제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복수의 소통공(510)이 형성되어 수용공간의 좌욕수를 소통공(510)을 통해 소통시켜 약제에 공급함으로써 약제를 좌욕수에 우려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욕용 대야(10)에 의한 좌욕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대야본체(100)의 수용공간에 온수로만 이루어진 좌욕수 또는 온수와 약제가 혼합된 좌욕수를 공급하여 채울 수 있다.
이때, 좌욕수가 온수로만 이루어지고 대야본체(100)에 약제홀더(500)가 마련된 경우, 약제는 약제홀더(500)에 수용된 상태로 소통공(510)을 통해 유입되는 좌욕수에 의해 우려짐으로써 좌욕수에 혼합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좌욕수가 대야본체(100)의 수용공간에 채워진 후 좌욕시트(200)에 앉아서 좌욕홈(300)의 좌욕공간으로 소통하는 좌욕수를 통해 국부를 좌욕할 수 있다.
이때, 좌욕시트(200)는 안착면(210)이 경사면을 이루면서 사용자의 중심이 뒤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안정적인 자세로 좌욕을 할 수 있다.
한편, 샤워기를 통해 국부를 세척할 경우, 사용자는 샤워기를 좌욕홈(300)의 앞쪽으로 삽입하여 거치 후 국부를 세척할 수 있다.
이때, 국부를 세척한 좌욕수는 좌욕홈(300) 바닥면(310)의 경사를 따라 뒤쪽으로 안내될 수 있으며, 배수밸브(400)가 마련된 경우에는 배수밸브(400)의 개방을 통해 대야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좌욕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좌욕홈(300)의 바닥면(310)에 의해 회음부 쪽으로 흐르지 않게 되므로 위생적인 좌욕을 할 수 있으며, 오염물질이 배수밸브(4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경우에는 더욱 위생적인 좌욕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욕용 대야(10)는, 좌욕시트(200)에 형성된 좌욕홈(300)을 통해 좌욕수가 국부에 직접적으로 공급됨으로써 좌욕효과가 향상될 수 있으며, 좌욕홈(300)의 구조적인 특징을 통해 샤워기를 쉽게 삽입할 수 있고, 세척 후의 오염물질을 뒤쪽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좌욕용 대야
100 : 대야본체
200 : 좌욕시트
210 : 안착면
300 : 좌욕홈
310 : 바닥면
400 : 배수밸브
500 : 약제홀더
510 : 소통공

Claims (7)

  1. 국부의 좌욕을 위한 좌욕수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대야본체;
    상기 대야본체에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엉덩이의 안장을 제공하는 좌욕시트; 및
    상기 좌욕시트를 양분하는 골짜기 형태의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좌욕수가 소통하는 좌욕공간을 이루고, 국부를 상기 좌욕공간으로 노출시키면서 상기 좌욕수에 의한 국부의 좌욕을 허용하는 좌욕홈을 포함하는, 좌욕용 대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욕시트는,
    상기 좌욕홈에 의해 양분되어 서로 대칭된 한 쌍을 이루면서 상단부에 엉덩이의 안착면을 제공하되, 상기 안착면이 경사면을 이루는, 좌욕용 대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은,
    앞쪽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높아지는 경사면을 이루는, 좌욕용 대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욕홈은,
    상기 좌욕공간의 앞쪽 폭이 뒤쪽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는, 좌욕용 대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욕홈은,
    상기 좌욕공간의 바닥면이 앞쪽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경사면을 이루는, 좌욕용 대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야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폐쇄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좌욕수의 수용을 허용하거나, 개방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서 좌욕수를 배출시키는 배수밸브를 더 포함하는, 좌욕용 대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야본체의 수용공간을 이루는 바닥면 및 내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구비되어 약제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수용공간과 소통하면서 상기 약제를 좌욕수에 우려내는 약제홀더를 더 포함하는, 좌욕용 대야.
KR1020220022018A 2022-02-21 2022-02-21 좌욕용 대야 KR202301254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018A KR20230125420A (ko) 2022-02-21 2022-02-21 좌욕용 대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018A KR20230125420A (ko) 2022-02-21 2022-02-21 좌욕용 대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420A true KR20230125420A (ko) 2023-08-29

Family

ID=87802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018A KR20230125420A (ko) 2022-02-21 2022-02-21 좌욕용 대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54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6308A (en) Hygienic device providing sitz bath, shower, and douche
KR101958901B1 (ko) 장애인용 비데
CA2813312C (en) Pedicure basin with overflow protection
KR101292178B1 (ko) 고령자 및 장애인을 위한 자동 목욕장치
KR20230125420A (ko) 좌욕용 대야
KR101917245B1 (ko) 원활한 배변 유도를 위한 좌변기
KR102400150B1 (ko) 변기 일체형 욕조
CN205796027U (zh) 坐浴椅
JP2006255298A (ja) フットバス用椅子
BRPI0900024A2 (pt) cadeiras/banquetas e base de vaso sanitário para banho de assento, para fins terapêuticos
KR200454354Y1 (ko) 족욕기로 사용가능한 좌변기용 발판
KR101908331B1 (ko) 남성전용 샤워헤드
CN213464852U (zh) 高度可调的坐浴盆
KR200390319Y1 (ko) 좌욕기
JPH0956523A (ja) 浴用椅子
KR20170031506A (ko) 좌대 및 좌변기
CN219148445U (zh) 一种分离式直肠癌药浴保健器
CN203693437U (zh) 带安全头靠的儿童洗澡容器
KR20130004961U (ko)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KR200466605Y1 (ko) 복회음 수술 환자용 방석
TWM555200U (zh) 坐、足浴椅結構
KR101249318B1 (ko) 좌변기용 좌욕기
KR200320368Y1 (ko) 좌변기
KR101735626B1 (ko) 전신욕 겸용 족욕기
KR200378919Y1 (ko) 좌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