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5216A - 방사성 폐기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 - Google Patents

방사성 폐기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5216A
KR20230125216A KR1020237022334A KR20237022334A KR20230125216A KR 20230125216 A KR20230125216 A KR 20230125216A KR 1020237022334 A KR1020237022334 A KR 1020237022334A KR 20237022334 A KR20237022334 A KR 20237022334A KR 20230125216 A KR20230125216 A KR 20230125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ver
casing
fitting
lock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2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비아스 피셔-바젤스
벤야민 예흐
베르톨트 클뢴
Original Assignee
게엔에스 게젤샤프트 퓌어 누클레아프-서비스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엔에스 게젤샤프트 퓌어 누클레아프-서비스 엠베하 filed Critical 게엔에스 게젤샤프트 퓌어 누클레아프-서비스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125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521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05Containers for solid radioactive wastes, e.g. for ultimate disposal
    • G21F5/008Containers for fuel el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6Details of, or accessories to, the containers
    • G21F5/12Closures for containers; Seal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케이싱, 용기 케이싱에 연결되는 용기 베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용기 커버를 포함하는, 방사성 폐기물을 수용하기 위한, 특히 사용 후 연료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용기 커버는 커버의 상부면 상에서 에지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 리세스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는 로킹 리세스에 배치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는 로킹 리세스에 배치될 수 있다. 로킹 요소는, 용기 케이싱의 방향으로 배향되고 용기 커버가 로킹된 상태에서 용기 케이싱의 상보적 폼 피팅 리세스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폼 피팅 돌출부를 갖는다. 폼 피팅 리세스는 커버측 상에서 용기 케이싱의 에지 영역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방사성 폐기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
본 발명은 용기 케이싱, 용기 케이싱에 연결되는 용기 베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용기 커버를 구비하는, 방사성 폐기물을 수용하기 위한, 특히 사용 후 연료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로서, 용기 커버는 커버의 상부 측면의 에지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 리세스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가 로킹 리세스에 배치되거나 배치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캐니스터 및 운반 및/또는 저장 용기를 포함하는 용기 조립체 유닛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유형의 용기는 기본적으로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실제로 알려져 있다. 특히, 수중에서 사용 후 연료 요소를 장입한 후 커버로 폐쇄한 캐니스터가 알려져 있다. 캐니스터는 이어서 운반 및/또는 저장 용기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운반 및/또는 저장 용기로 이송하는 데 필요한 캐니스터의 이송을 위한 하중 부착 지점은 일반적으로 캐니스터의 수직 취급으로 인해 캐니스터의 커버 상부 측면에 제공된다. 커버와 캐니스터의 연결은 운반 및/또는 저장 용기로 이송하는 동안 작용하는 하중에 맞게 설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캐니스터 커버와 캐니스터 케이싱 사이에 용접 이음새를 제공하는 것이 관행으로 알려져 있다. 캐니스터 커버와 캐니스터 케이싱의 용접은 철저하게 시도되고 테스트되었다. 캐니스터의 견고성은 일반적으로 용접 링을 단단한 용접 이음새로서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용접 연결부 또는 단단한 용접 이음새는 일반적으로 허용 누출률을 준수할 수 있으므로 철저한 시험과 테스트를 거쳤다.
그러나 실무에서 알려진 용기 또는 캐니스터는 용접 이음새로 인해 큰 힘을 들여야만 다시 열 수 있다. 이는 연료 요소를 재배치해야 하는 경우에 있어 특히 단점이다. 용접된 캐니스터를 파괴하지 않고 다시 여는 것은 실제로 불가능하다. 방사성 폐기물을 수용하는 용기의 캐니스터 커버에 대한 나사 연결이 실제로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나사 연결은 용기 또는 용기 케이싱의 큰 벽 두께를 필요로 하며, 예컨대 캐니스터와 같이 벽이 얇은 용기의 경우 특히 달성할 수 없다. ― 이 점에서 개선의 필요성이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기본이 되는 기술적 과제는 서두에 언급한 바와 같이, 쉽고 기능적으로 안정적으로 닫을 수 있으면서도 최적의 기밀성을 가지며 허용 누출률을 준수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또한 비교적 적은 노력으로 안전하고 파괴 없이 다시 열 수 있는 유형의 용기를 지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용기 케이싱, 용기 케이싱에 연결되는 용기 베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용기 커버를 구비하는, 방사성 폐기물을 수용하기 위한, 특히 사용 후 연료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로서, 용기 커버는 커버의 상부 측면의 에지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 리세스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가 로킹 리세스에 배치되거나 배치될 수 있는 용기를 교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로킹 요소가, 용기 케이싱 방향으로 배향되고 용기 커버가 로킹된 상태에서 용기 케이싱의 상보적 폼 피팅 리세스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폼 피팅 돌출부를 포함하고, 폼 피팅 리세스가 용기 케이싱의 커버측 에지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기 커버는 커버의 상부 측면의 에지 영역에 배치된 로킹 리세스를 포함하며,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가 배치되거나 배치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용기 커버의 로킹 상태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특히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폼 피팅 돌출부가 용기 케이싱의 적어도 하나의 상보적 폼 피팅 리세스와 결합하여 폼 피팅 돌출부와 폼 피팅 리세스 사이의 폼 피팅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로킹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폼 피팅 돌출부와 용기 케이싱의 적어도 하나의 폼 피팅 리세스의 폼 피팅 상호 작용으로 인해, 로킹 상태의 용기 커버가 폼 피팅 방식으로 용기 케이싱에 연결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용기 커버가 로킹된 상태에서, 로킹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폼 피팅 돌출부는 편의상 용기 케이싱의 상보적 폼 피팅 리세스에 폼 피팅 방식으로 수용되는데 특히 폼 피팅 리세스에 끼워진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 후 연료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캐리어 바스켓이 용기의 용기 내부에 배치된다. 캐리어 바스켓은 바람직하게는 연료 요소용 개별 수용 튜브를 포함한다. 또한, 용기 베이스와 용기 케이싱이 일체로 서로 연결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용접 이음부(weld joint)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용기가 캐니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캐니스터는 바람직하게는 수중에서 사용 후 연료 요소가 장입된 후, 용기 커버로 닫힌 다음 운반 및/또는 저장 용기로 이송된다. 원칙적으로 용기는 건조한 상태로도 장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또는 상기 용기의 용기 케이싱은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단면이 둥글고, 바람직하게는 원형이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용기의 반경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편의상 단면이 둥글거나 또는 원형으로 구성된 용기의 종방향 중심축(L)에 대해 비스듬한 것, 특히 수직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원칙적으로, 용기의 다른 기하학적 형상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고, 예컨대 각진, 특히 직사각형 및 이와 유사한 용기 단면의 기하학적 형상이 이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 커버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 리세스를 포함하며, 이 로킹 리세스는 커버의 상부 측면의 에지 영역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 리세스에 배치되며, 이 로킹 요소는 용기 케이싱 또는 커버 외부 에지 방향으로 배향된 적어도 하나의 폼 피팅 돌출부를 포함한다. 로킹 요소의 폼 피팅 돌출부의 배향은 특히 로킹 요소가 로킹 리세스에 배치된 상태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폼 피팅 돌출부는 용기 커버 자체의 일부가 아니라 로킹 요소의 일부이며, 이는 본 발명에 따라 로킹 리세스에 배치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용기 커버는 편의상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에 의해, 특히 로킹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폼 피팅 돌출부에 의해 용기 케이싱에 연결될 수 있으며, 특히 폼 피팅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로킹 상태에서 용기 커버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의 폼 피팅 돌출부에 의해, 그리고 실제로 폼 피팅 돌출부와 적어도 하나의 상보적 폼 피팅 리세스의 폼 피팅 상호 작용을 고려하여 용기 케이싱에 연결되는 것이 권고된다.
용기가 로킹 해제된 상태에서 로킹 요소가 로킹 리세스에서 변위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로킹 요소가 개방 위치로부터 폼 피팅 위치로, 그리고 그 역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로킹 요소는 용기가 로킹 해제된 상태에서 로킹 리세스에서 용기의 종방향 중심축(L)에 비스듬히, 특히 용기의 종방향 중심축에 수직으로,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반경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용기가 로킹 해제된 상태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특히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가 아직 폼 피팅 위치에 완전히 고정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반대로 용기가 완전히 로킹된 상태는 용기 커버가 용기 케이싱과 연결되고, 특히 로킹 요소 또는 로킹 요소들에 의해 폼 피팅하는 방식으로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가 폼 피팅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기의 종방향 중심축(L)에 수직이라는 말은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특히 용기 베이스가 지표면에 서 있고 용기 커버가 위에 배치되는 용기의 수직 직립 상태와 관련이 있다. 이 수직 직립 상태에서, 용기의 종방향 중심축은 수직으로 배향된다.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 또는 로킹 요소들은 편의상 용기가 로킹 해제된 상태에서 용기의 종방향 중심축에 수직인 로킹 리세스 또는 로킹 리세스들에서 변위될 수 있다. 따라서, 치수 또는 직경과 관련하여, 로킹 리세스는 로킹 요소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기가 원형 단면을 갖는 원통으로 구성될 때,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는 편의상 용기가 로킹 해제된 상태에서 용기의 반경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가 용기의 종방향 중심축에 비스듬히, 특히 용기의 종방향 중심축에 수직으로, 특히 용기의 반경 방향으로 변위된 결과,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개방 위치로부터 폼 피팅 위치로, 그리고 그 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개방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의 폼 피팅 돌출부가 용기 케이싱의 상보적 폼 피팅 리세스에 결합하지 않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로킹 요소의 폼 피팅 돌출부는 편의상 로킹 요소가 용기 외부 측면 방향으로 로킹 리세스 내로 변위된 다음 폼 피팅 위치에 위치한 후 상보적 폼 피팅 리세스에서 폼 피팅 방식으로 결합된다.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가 폼 피팅 위치에 위치할 때, 특히 모든 로킹 요소가 폼 피팅 위치에 위치할 때, 용기 커버는 로킹 상태로 배치된다. 개방 위치에서는 용기 커버를 용기로부터 제거할 수 있고 로킹 해제 상태로 배치하는 것이 권고된다. 폼 피팅 위치에서, 용기 커버는 편의상 용기 케이싱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지 않을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비틀림 방지(twist-proof) 방식으로 용기 케이싱에 연결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로킹 리세스 또는 로킹 리세스들 내의 로킹 요소 또는 로킹 요소들의 변위가 제공됨으로써, 폼 피팅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를 앞뒤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특히 용기의 재개방이 가능하다.
폼 피팅 위치에서의 로킹 요소의 이동 또는 배치로 인해 용기가 이미 완전히 로킹된 상태에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로킹 요소가 폼 피팅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로킹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지 요소 및/또는 고정 요소가 추가로 제공되는데, 이는 로킹 요소를 그 폼 피팅 위치에서 유지하고 용기 커버가 완전히 로킹된 상태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용기가 용기 케이싱의 내주를 둘러싸는 지지 레지(support ledge)를 포함하며, 이 지지 레지 상에 용기 커버가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편의상, 지지 레지는 용기 케이싱의 커버측 에지 영역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폼 피팅 리세스 아래에 배치된다. 용기 커버는 편의상 지지 레지 상에서의 지지를 위한 상보적 지지 숄더를 용이하게 포함한다. 지지 레지는 용기 케이싱의 내주 주위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까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까지 연장된다. 캐리어 바스켓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내주 주위로 연장되는 지지 레지는 부분적으로 단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커버의 커버 상부 측면은 용기 케이싱의 상부 단부에 대한 돌출 단부를 가지며, 용기 커버가 용기 케이싱에 위치될 때 특히, 지지 숄더가 용기 케이싱의 지지 레지 상에 위치될 때 용기 케이싱의 상부 단부를 지나 돌출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돌출 단부의 높이 차이 또는 높이는 편의상 0.5 내지 3 ㎜, 특히 0.8 내지 2.5 ㎜에 달한다. 용기 커버의 돌출 단부를 갖는 본 실시예는, 커버에 용기가 낙하하는 경우, 용기 내용물로부터 작용하는 힘이 커버를 통해 예컨대 용기를 둘러싼 운반 및/또는 저장 용기의 고정 링으로 우회될 수 있다는 지식에 기초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기 케이싱 및 폐쇄 시스템은 용기가 커버 상에 떨어질 경우 추가로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러한 실시예가 매우 중요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용기 커버가 용기 케이싱 상에 위치될 때, 특히 용기 커버의 지지 숄더가 용기 케이싱의 지지 레지에 위치될 때, 용기 커버의 커버 상부 측면이 용기 케이싱의 상부 단부과 수평을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용기 커버는 커버 밑면의 에지 영역에서 용기 내부를 향하는 커버 밑면에서 용기 커버의 원주를 따라 경사면 또는 경사진 면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사면 또는 경사진 면은 커버 밑면과 커버 외부 에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면 또는 경사진 면은 커버를 용기 케이싱에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2개, 특히 적어도 3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개의 로킹 리세스가 용기 커버의 상부 측면의 에지 영역에 제공되며, 편의상 용기 커버의 원주 주위에 분포되고, 바람직하게는 균일하게 분포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가 배치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특히 권장되는 실시예는 복수의 로킹 리세스, 특히 적어도 6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개,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개 및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4개의 로킹 리세스가 커버의 상부 측면의 에지 영역에 제공되며, 용기 커버의 원주 주위에 분포되고, 바람직하게는 균일하게 분포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가 배치되거나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칙적으로 모든 로킹 리세스에 로킹 요소가 배치되지 않으므로 원칙적으로 빈 로킹 리세스가 남을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용기 케이싱은 적어도 2개, 특히 적어도 3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개의 폼 피팅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이 권고될 수 있으며, 이들 리세스는 용기 케이싱의 원주 주위에 분포되고, 바람직하게는 균일하게 분포된다. 특히 권장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 케이싱은 복수의 폼 피팅 리세스, 특히 적어도 6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개,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개 및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4개의 폼 피팅 리세스를 포함하며, 이들 리세스는 용기 케이싱의 원주 주위에 분포되고, 바람직하게는 균일하게 분포된다. 용기 케이싱의 폼 피팅 리세스의 수는 로킹 리세스의 수 및/또는 로킹 요소의 수에 대응하고, 이에 따라 로킹 요소에 배치된 폼 피팅 돌출부의 수에 대응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로킹 리세스의 수는 폼 피팅 리세스의 수보다 많거나 적을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폼 피팅 돌출부는 로킹 요소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폼 피팅 돌출부는 편의상 용기 케이싱 방향으로 돌출되는 로킹 요소 상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로서 구성된다. 폼 피팅 돌출부가 형성된 로킹 요소는 단면이 L자형 또는 본질적으로 L자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L자형의 수평 배향 섹션은 폼 피팅 돌출부를 형성하거나 폼 피팅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권장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폼 피팅 돌출부는 평면도에서 돌출된 직사각형 돌출부로서, 바람직하게는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돌출부로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킹 리세스는 적어도 커버 외부 에지 또는 용기 케이싱 쪽으로 부분적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로킹 요소의 폼 피팅 돌출부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커버 외부 에지 쪽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전체 수직 높이를 따라 또는 본질적으로 커버 외부 에지 쪽으로 전체 수직 높이를 따라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로킹 리세스는 편의상 커버 외부 에지 쪽으로 개방되는 것으로 구성되는 밀링 그루브로서 설계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 리세스는 단면이 L자형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L자형의 개방된 면은 편의상 커버 외부 에지의 방향으로 배향된다. 커버 외부 에지 쪽으로 또는 용기 케이싱 쪽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것으로 구성되는 로킹 리세스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의 폼 피팅 돌출부가 커버 외부 에지에 걸쳐 폼 피팅 위치로 돌출될 수 있고 용기 케이싱의 상보적 폼 피팅 리세스와 폼 피팅 상호 작용에 관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매우 권장되는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폼 피팅 리세스가 용기 케이싱을 통해 결합되는 폼 피팅 개구부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용기 커버의 로킹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폼 피팅 돌출부가 용기 케이싱의 외부 측면을 지나 돌출되지 않고, 특히 용기 케이싱의 외부 측면과 수평을 이루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의 폼 피팅 돌출부는 폼 피팅 위치에서 용기 케이싱의 상보적 폼 피팅 리세스에 결합하고, 용기 케이싱의 외부 에지를 지나 돌출되지 않거나 용기 케이싱의 외부 에지와 수평을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 커버와 용기 케이싱 사이의 폼 피팅 방식 연결은 로킹 요소 또는 로킹 요소들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 커버와 용기 케이싱 사이의 밀봉을 위한 밀봉 조치가 추가로 제공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메인 시일이 용기 커버와 용기 케이싱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시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또는 본질적으로 완전히 용기 케이싱의 내주 주위로 연장되는 것이 좋다. 적어도 하나의 메인 시일은 바람직하게는 용기 케이싱의 내주 및/또는 용기 케이싱의 외주로 완전히 또는 본질적으로 완전히 연장되는 시일 링으로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메인 시일은 금속 시일로서,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기반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적어도 하나의 금속으로 구성되거나 본질적으로 이로 구성되는 것이 권고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본 실시예에 특히 중요성이 부여된다. 원칙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메인 시일은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을 기반으로,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엘라스토머 플라스틱을 기반으로 구성되며, 특히 적어도 하나의 엘라스토머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거나 본질적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메인 시일은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 아래에서 비스듬한 방향, 특히 용기의 종방향 중심축에 수직인 방향,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권장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메인 시일은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 아래에서 비스듬한 방향, 특히 용기의 종방향 중심축에 수직인 방향,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반경 방향 및 용기의 축 방향 모두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용기의 축 방향은 특히 용기의 수직 직립 상태와 관련이 있고, 편의상 용기의 종방향 중심축과 관련이 있다. 본 실시예는 메인 시일이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 아래에서 비스듬히, 특히 종방향 중심축에 수직으로,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반경 방향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 아래에서 축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밀봉 배치에 대한 기하학적으로 콤팩트한 해결책을 달성할 수 있다는 지식에 기초한다. 실무상 알려진 조치에 따르면, 시일은 일반적으로 로킹 요소 또는 나사 연결부에 대해 방사상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된다.
용기 커버는 용기 커버의 외주 주위로 연장되는 메인 밀봉 숄더를 포함하고, 용기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밀봉 숄더 아래에 적어도 하나의 메인 시일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시일 레지(seal ledge)는 편의상 용기 케이싱에 제공되며, 용기 케이싱의 내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메인 시일은 용기 케이싱의 메인 시일 레지와 용기 커버의 메인 시일 숄더 사이에 배치되거나 개재된다. 용기 케이싱의 메인 시일 레지는 편의상 특히 적어도 하나의 폼 피팅 리세스 아래에서 용기 케이싱의 커버측 에지 영역, 용기의 축 방향으로 위치한다. 용기 커버의 메인 시일 숄더는 용기 커버의 적어도 하나의 로킹 리세스 아래에서 특히 용기의 축 방향으로 위치한다. 메인 시일 숄더 및 메인 시일 레지는 별도의 메인 시일 숄더 및 별도의 메인 시일 레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대안적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시일 레지 및/또는 메인 시일 숄더는 용기 커버를 용기 케이싱 상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 레지 및/또는 지지 숄더에 대응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맥락에서, 지지 레지는 메인 시일을 위한 용기의 반경 방향 외부 영역 및 특히 부분적으로 단절되고 용기 커버가 상보적 지지 숄더와 함께 위치될 수 있는 용기의 반경 방향 내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에 용기 커버의 추가의 메인 시일 숄더가 편의상 제공되어 메인 시일이 지지 레지의 방사형 외부 영역과 메인 시일 숄더 사이에 개재된다.
또한, 특히 용기 커버의 원주로 전체적으로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테스트 시일 링으로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시일 또는 테스트 시일이 제공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시일은 편의상 테스트 시일 그루브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시일은 테스트 시일 그루브에 용이하게 배치된다. 테스트 시일 그루브가 용기 커버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커버 외부 에지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용기 커버의 외주 주위로 연장되고, 커버 외부 에지 또는 용기 케이싱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은 것으로 증명되었다.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시일 및 대응하는 테스트 시일 그루브는 메인 시일 위와 적어도 하나의 로킹 리세스 아래에서 용기의 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권장된다.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시일은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특히 엘라스토머 플라스틱을 기반으로 형성되는 것이 권장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용기 커버가 로킹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가 커버 외부 에지 또는 커버 외부 에지와 수평을 이루고 용기 케이싱에 대응하는 측면에서 편의상 용기 케이싱의 내부 측면과 상호 작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용기 케이싱의 내부 측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맥락에서, 용기 커버가 로킹된 상태 또는 용기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는 용기 케이싱의 내부 측면과 직접 접촉하는 커버 외부 에지 또는 용기 케이싱에 대응하는 측면에 놓이는 것이 권고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와 용기 케이싱 사이에 중간 요소가 배치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여기서, 로킹 요소의 커버 외부 에지 또는 용기 케이싱에 대응하는 측면은 특히 폼 피팅 돌출부가 제공되지 않는 로킹 요소의 섹션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로킹 요소가 바람직하게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L자 형상의 수직 배향 섹션은 편의상 용기 케이싱의 내부 측면에 대해 접하고, L자 형상의 수평 배향 섹션은 편의상 폼 피팅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기 커버는 적어도 하나의 폼 피팅 돌출부와 적어도 하나의 폼 피팅 리세스의 폼 피팅 상호 작용으로 인해 용기의 로킹 상태 또는 용기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용기 케이싱과 폼 피팅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권고된다.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는 편의상 적어도 하나의 로킹 리세스에 제공되며, 용기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로킹 요소를 그 폼 피팅 위치에 유지한다.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로킹 요소와 로킹 리세스의 정지 숄더 사이에 배치, 특히 폼 피팅 방식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킹 요소가 그 폼 피팅 위치로 이송되고, 특히 용기 외부 측면 방향으로 비스듬히, 특히 용기의 종방향 중심축에 수직으로,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반경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변위되거나 변위될 때, 로킹 요소와 로킹 리세스의 정지 숄더 사이에 간극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지 숄더는 편의상 비스듬한 방향, 특히 종축에 수직인 방향, 바람직하게는 용기 외부 측면에서 용기 내부 측면으로의 반경 방향으로 로킹 리세스의 후측 종단을 형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는 로킹 요소의 후방 측면과 정지 숄더 사이의 간극에 배치되거나 용기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이 간극에 배치되는 것이, 특히 폼 피팅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끼워지는 것이 권고된다. 용기에 대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 뒤의 용기 외부 측면으로부터 용기 내부 측면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실제로 성공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는 편의상 용기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예컨대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로킹 리세스에 고정된다. 용기를 다시 열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를 로킹 리세스로부터 다시 제거하고 로킹 요소를 폼 피팅 위치로부터 열린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는 고정 요소, 특히 나사용 리셉터클, 바람직하게는 위치 설정 보어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또는 위치 설정 보어는 고정 요소 또는 나사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나사산을 포함하는 것이 권고된다. 바람직하게는 나사의 고정 요소는 용기가 닫힌 상태에서 리셉터클 또는 위치 설정 보어에 도입, 바람직하게는 나사로 체결된다. 고정 요소 또는 나사는 예컨대 커버 나사, 나사산 볼트, 그럽 나사 등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 또는 위치 설정 보어 및/또는 고정 요소는 편의상 용기의 축 방향으로 로킹 요소와 결합하거나 이를 통해 결합한다.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로킹 리세스에 배치될 때,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 또는 위치 설정 보어가 용기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권고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셉터클 또는 위치 설정 보어가 용기의 축 방향으로 로킹 요소를 통해 결합하거나, 특히 완전히 결합하는 경우, 고정 요소 또는 나사는 용기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리셉터클 또는 위치 설정 보어를 통해 결합하거나 완전히 결합할 수 있다. 그 후에 고정 요소가 로킹 리세스의 바닥과 상호 작용하고 특히 로킹 리세스의 바닥에 힘을 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고정 요소 또는 나사를 조이는 동안 회전 운동이 병진 운동으로 변환되고 고정 요소 또는 나사가 로킹 리세스의 바닥과 접촉하자마자 편의상 힘 또는 축 방향 힘이 로킹 리세스의 바닥에 작용하는 것이 권고된다. 로킹 리세스의 바닥에 있는 나사 또는 고정 요소에 의해 가해지는 힘은 로킹 요소를 폼 피팅 위치에 고정하고, 및/또는 용기의 적어도 하나의 메인 시일에 힘을 가하거나 가압하고 특히 축 방향 힘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시일의 우수한 밀봉 기능은 이러한 힘의 작용 또는 가압으로 인해 발생한다.
지지 받침부는 고정 요소의 로킹 리세스의 바닥에 대응하는 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받침부는 바람직하게는 용기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고정 요소와 로킹 리세스의 바닥 사이에 제공되고, 특히 로킹 리세스의 바닥과 상호 작용한다. 이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고정 요소의 로킹 리세스의 바닥에 대응하는 측면에 배치된 지지 받침부는 편의상 로킹 리세스의 바닥에서 고정 요소에 의해 가해지는 힘 또는 축 방향 힘 사이의 힘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특히 이 힘의 더 나은 분배를 제공한다. 따라서, 지지 받침부는 편의상 고정 요소의 단부와 로킹 리세스의 바닥 사이에 개재된다. 지지 받침부가 로킹 리세스의 바닥과 직접 접촉하는 것이 좋은 관행으로 입증되었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지지 받침부와 로킹 리세스의 바닥 사이에 중간 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받침부가 배치된 고정 요소 또는 나사에 의해 로킹 리세스의 바닥에 작용하는 힘 또는 축 방향 힘은 로킹 요소를 그 폼 피팅 위치에 고정하거나, 및/또는 편의상 용기의 메인 시일을 가압한다. 메인 시일은 고정 요소 아래에서, 특히 지지 받침부 아래에서, 용기의 종축에 비스듬히, 특히 용기의 종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축 방향의 힘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용기 커버와 용기 케이싱 사이에 배치된 시일이 거의 독점적으로 또는 배타적으로 축 방향 힘을 받는다는 지식에 기초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매우 컴팩트한 디자인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로킹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로 설계된 결과, 메인 시일의 우수한 가압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로 인해 우수한 밀봉 기능이 갖게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 커버와 용기 케이싱 사이에 폼 피팅 연결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용기 커버는 용접 이음부 없이 용기 케이싱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의 직경(d) 대 용기 케이싱의 벽 두께(s)의 비는 적어도 20: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1,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1,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1, 예컨대 적어도 120:1에 달한다. 용기의 직경(d) 대 용기 케이싱의 벽 두께(s)의 비는 40:1 내지 100:1, 바람직하게는 50:1 내지 95:1, 바람직하게는 60:1 내지 90:1인 것이 권장된다. 용기의 직경(d)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용기의 종축에 비스듬한, 특히 용기의 종축에 수직인 용기의 가장 큰 직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와 관련하여 용기 케이싱의 벽 두께(s)는 특히 커버 배열체 아래 영역에서 용기 케이싱의 벽 두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커버 배열체 영역의 내주에 형성된 틀은 용기 케이싱의 벽 두께에 포함되지 않는다. 커버 배열체 아래의 영역에서, 용기 케이싱의 벽 두께는 특히 용기 케이싱의 가장 두꺼운 벽 두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기술적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전술한 용기와 운반 및/또는 저장 용기를 구비하는 용기 조립체 유닛을 더 교시하며, 여기서 용기는 사용 후 연료 요소가 장입된 캐니스터로서, 운반 및/또는 저장 용기에 수용되고, 운반 및/또는 저장 용기는 적어도 하나의 1차 커버로 폐쇄될 수 있거나 폐쇄되고, 또한 1차 커버 위에 배치된 2차 커버로 폐쇄될 수 있거나 또한 편의상 폐쇄된다. 캐니스터는 수중에서 사용 후 연료 요소가 장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연료 요소는 캐니스터에 배치된 캐리어 바스켓에 의해 수용된다. 그 후에 캐니스터는 편의상 이송 용기를 통해 운반 및/또는 저장 용기로 이송되고 운반 및/또는 저장 용기에 도입되며 수직으로 취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에 운반 및/또는 저장 용기는 1차 커버 및 2차 커버로 닫히고 중간 저장소 또는 최종 저장소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이미 운반 및/또는 저장 용기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용기 커버는 운반 및/또는 저장 용기의 1차 커버가 될 수 있다. 1차 커버는 본 발명에 따른 조치를 사용하여 운반 및/또는 저장 용기의 용기 케이싱에 폼 피팅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권고된다. 운반 및/또는 저장 용기는 편의상 1차 커버의 폼 피팅 연결에 이어 추가의 2차 커버로 용이하게 닫힌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조치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용기가 쉽고 기능적으로 안전하게 닫힐 수 있고, 특히 폼 피팅 돌출부와 폼 피팅 리세스의 폼 피팅 상호 작용으로 인해 실제로 닫힐 수 있다는 지식에 기초한다. 용기 커버와 용기 케이싱 사이의 연결은 용접 이음부가 없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이 유리한다. 예컨대 용기가 캐니스터인 경우, 적은 노력으로도 캐니스터를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용기 커버와 용기 케이싱 사이의 연결부가 캐니스터를 예컨대 운반 및/또는 저장 용기로 이송하는 동안의 하중을 문제없이 견딜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용기 커버와 용기 케이싱 사이의 연결부는 문제없이 다시 열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되어야 한다. 따라서, 용기 또는 캐니스터를 파손 없이 다시 열 수 있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가 폼 피팅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기능, 특히 적어도 하나의 로킹 리세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의 바람직하게 제공되는 변위 기능에 의해 달성된다. 로킹 요소의 폼 피팅 위치에서, 용기 커버와 용기 케이싱 사이의 연결은 폼 피팅 상호 작용으로 인해 생성된다. 로킹 요소의 개방 위치에서는 커버를 제거하여 용기 또는 캐니스터를 열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가 폼 피팅 위치에 있을 때, 로킹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에 의해 이 폼 피팅 위치에 유지되거나 고정될 수 있으므로, 용기의 완전하고 안전한 폐쇄가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는 편의상 로킹 리세스로부터 다시 제거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를 폼 피팅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다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치는 특히 직경에 비해 벽 두께가 작은 용기 또는 캐니스터에 유리하다는 점이 강조되어야 한다. 이러한 용기 또는 캐니스터는 로킹 메커니즘에 대해 방사형으로 오프셋된 시일을 배치하기에 충분한 벽 두께를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시일은 로킹 요소 아래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로킹 요소에 배치된 고정 요소 아래에서 용기의 종축에 비스듬히, 특히 용기의 종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반경 방향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일은 고정 요소에 의해 가해지는 축 방향 힘을 받고 모든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용기 또는 캐니스터의 밀봉이 매우 공간 절약적인 방식으로 유리하게 달성된다. 밀봉은 바람직하게는 유일하게 또는 본질적으로 유일하게 축 방향 힘만 받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또는 캐니스터는 예컨대 캐니스터의 운송 또는 이송 동안 기계적 하중에 대한 기밀성 및 안정성과 관련된 모든 요구 사항을 충족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큰 노력없이 특히 파괴없이 마음대로 닫거나 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치는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구현되므로 용기 또는 캐니스터의 생산 및 사용이 매우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상세 분해 사시도,
도 3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종단면도,
도 4a는 용기 커버가 로킹 해제된 상태에서의 용기의 상세 단면도,
도 4b는 용기 커버가 로킹된 상태에서의 도 4a에 따른 대상,
도 4c는 용기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의 도 4a에 따른 대상.
도면은 편의상, 그리고 사용 후 연료 요소(2)를 수용하기 위한 실시예의 일 예의 방사성 폐기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1)를 도시한다. 용기(1)는 용기 케이싱(3), 용기 케이싱(3)에 연결된 용기 베이스(4) 및 용기 커버(5)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그리고 도면에 따른 실시예에서, 용기 커버(5)는 커버의 상측의 에지 영역(6)에 배치된 로킹 리세스(7)를 포함하며, 각각의 경우에 로킹 리세스에는 로킹 요소(8)가 배치된다. 로킹 요소(8)는 각각 커버 외부 에지(9) 또는 용기 케이싱(3)의 방향으로 배향된 적어도 하나의 폼 피팅 돌출부(10)를 포함한다. 용기 커버(5)의 로킹 상태에서, 폼 피팅 돌출부(10)는 각각 용기 케이싱(3)의 상보적 폼 피팅 리세스(11)에 결합된다(예컨대, 도 1, 도 3, 도 4b, 도 4c). 폼 피팅 리세스(11)는 커버 측면의 용기 케이싱(3)의 에지 영역(12)에 배치된다. 도면에 볼 수 있는 용기(1)는 캐니스터이다.
용기 커버(5)의 로킹 상태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특히 로킹 요소(8)의 폼 피팅 돌출부(10)가 용기 케이싱(3)의 상보적 폼 피팅 리세스(11)에 결합되어 폼 피팅 돌출부(10)와 폼 피팅 리세스(11) 사이의 폼 피팅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편의상, 그리고 실시예의 예에서, 이러한 로킹 상태에서 용기 커버(5)는 특히 폼 피팅 상호 작용으로 인해 로킹 요소(8)에 의해 폼 피팅 방식으로 용기 케이싱(3)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그리고 실시예의 예에서, 사용 후 연료 요소(2)를 수용하기 위한 캐리어 바스켓(23)이 용기(1)의 용기 내부(22)에 배치된다. 편의상, 그리고 실시예에서, 용기(1)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원형의 단면을 갖는 것이 권고된다.
편의상, 그리고 도면에 따른 실시예에서, 용기(1)가 로킹 해제된 상태의 로킹 요소(8)는 로킹 리세스(7)에서 용기(1)의 종방향 중심축(L)에 대해 방사상으로 변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실시예의 예에서, 로킹 요소(8)는 개방 위치로부터 폼 피팅 위치로, 그리고 그 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도 4a, 도 4b). 이와 관련하여, 용기(1)가 로킹 해제된 상태는 특히 로킹 요소(8)가 아직 폼 피팅 위치에 완전히 고정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도 4a, 도 4b). 이와 대조적으로, 용기(1)가 완전히 닫힌 상태는 편의상 용기 커버(5)가 특히 로킹 요소(8)에 의해 용기 케이싱(3)과 폼 피팅 방식으로 연결되고 로킹 요소(8)가 폼 피팅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도 1, 도 3, 도 4c). 용기(1)의 종방향 중심축(L)에 대한 로킹 요소(8)의 반경 방향 변위에 의해, 로킹 요소(8)는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실시예의 예에서, 개방 위치로부터 폼 피팅 위치로, 그리고 그 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개방 위치(도 4a)에서, 로킹 요소(8)의 폼 피팅 돌출부(10)가 용기 케이싱(3)의 상보적 폼 피팅 리세스(11)에 결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권고된다. 그 후에 용기 커버(5)는 로킹 해제 상태로 배치된다. 폼 피팅 위치에서, 로킹 요소(8)의 폼 피팅 돌출부(10)는 상보적 폼 피팅 리세스(11)에 폼 피팅 방식으로 결합되고, 로킹 리세스(7)에서 로킹 요소(8)가 용기 외부 측면 방향으로 변위된 후 폼 피팅 위치에 위치한다(도 4b). 그 후 용기 커버(5)는 로킹 상태가 된다. 원칙적으로, 용기(1)는 로킹 요소(8)를 폼 피팅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미 완전히 닫힌 상태로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용기 커버(5)의 로킹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도면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추가의 유지 요소(16) 및 고정 요소(19)가 제공되며, 이는 로킹 요소(8)를 폼 피팅 위치에 유지 또는 고정하고 용기(1)의 완전 폐쇄 상태를 생성한다(도 1, 도 3, 도 4c).
편의상, 그리고 도면에 따른 실시예에서, 용기(1)는 용기 커버(5)가 위치되는 용기 케이싱(3)의 내주 주위를 흐르는 지지 레지(24)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실시예의 예에서, 지지 레지(24)는 커버 측면의 용기 케이싱(3)의 측면 에지(12)에, 그리고 폼 피팅 리세스(11) 아래에 배치된다. 권장할 만하게는, 그리고 실시예의 예에서, 용기 커버(5)는 지지 레지(24)를 지지하기 위한 상보적 지지 숄더(25)를 포함한다. 이는 예컨대 도 4a에서 볼 수 있다.
용기 커버(5)의 원주에 걸쳐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균일하게 분포되는 실시예에서, 복수의 로킹 리세스(7)가 커버의 상부 측면의 에지 영역(6)에 제공되며,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14개의 로킹 리세스(7)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실시예에서, 각각의 경우에 로킹 요소(8)는 적어도 14개의 로킹 리세스(7)에 배치된다. 따라서, 복수의 폼 피팅 리세스(1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4개의 폼 피팅 리세스(11)도 제공되고, 여기서 폼 피팅 리세스(11)는 용기 케이싱(3)의 원주에 걸쳐 분포되며, 특히 실시예에서는 균일하게 분포된다. 권장할 만하게는, 그리고 실시예에서, 폼 피팅 돌출부(10)는 로킹 요소(8) 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각각은 용기 케이싱(3)의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로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실시예의 실시예에서, 폼 피팅 돌출부(10)가 형성된 로킹 요소(8)는 단면이 L자형으로 구성된다(도 3). 실시예의 일 관점에서, 폼 피팅 돌출부(10)는 둥근 모서리를 갖는 직사각형 돌출부로서 구성된다(도 2).
매우 권장되는 실시예 및 실시예의 예에 따르면, 로킹 리세스(7)는 전체 수직 높이를 따라 또는 본질적으로 전체 수직 높이를 따라 커버 외부 에지(9) 또는 용기 케이싱(3) 쪽으로 개방된 상태로 구성된다. 이는 예컨대 도 2 및 도 3에서 볼 수 있다. 따라서, 로킹 리세스(7)는 단면이 L자형 또는 본질적으로 L자형으로 구성되며, L자형의 개방 측면은 커버 외부 에지(9)의 방향으로 배향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실시예의 예에서, 폼 피팅 리세스(11)는 용기 케이싱(3)을 통과하여 결합되는 폼 피팅 개구부로서 구성된다. 용기 커버(5)의 로킹 상태에서, 폼 피팅 돌출부(10)는 용기 케이싱(3)의 외부 측면(13)을 지나 돌출되지 않으며, 권장할 만하게는, 그리고 실시예에서, 용기 케이싱(3)의 외부 측면(13)과 수평을 이룬다. 이는 특히 도 4b에서 볼 수 있다.
권장할 만하게는, 그리고 실시예에서, 용기 커버(5)와 용기 케이싱(3) 사이의 밀봉을 위한 추가의 밀봉 조치도 제공된다. 편의상, 그리고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인 시일(14)이 용기 케이싱(3)과 용기 커버(5) 사이에 이러한 목적을 위해 배치되며, 도면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용기 케이싱(3)의 내주 및 용기 커버(5)의 외주로 완전히 연장되는 시일 링으로 구성된다. 메인 시일(14)은 편의상 금속 시일이며,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기반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시일(14)은 로킹 요소(8) 아래에서 용기(1)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따른 실시예에서, 메인 시일(14)은 또한 로킹 요소(8) 아래에서 용기(1)의 축 방향으로 추가로 배치된다. 이는 예컨대 도 3 및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도면에 따른 실시예에서, 메인 시일(14)은 용기 케이싱(3)의 메인 시일 레지(26)와 용기 커버(5)의 메인 시일 숄더(27) 사이에 배치되거나 개재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실시예에서, 테스트 시일(28)도 제공되며, 이는 테스트 시일 링으로서 구성되고, 편의상 메인 시일(14) 위 및 로킹 요소(8) 아래에서 용기(1)의 축 방향으로 제공되는 테스트 시일 그루브(29)에 배치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실시예의 예에서, 용기 커버(5)의 로킹 상태에서 로킹 요소(8)는 커버 외부 에지(9) 및 용기 케이싱(3)에 대응하는 측면에서 용기 케이싱(3)의 내부 측면(15)에 맞닿아 있다(도 4b). 본 발명에 따른 용기(1)의 매우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지 요소(16)는 로킹 리세스(7) 각각에 제공되며, 용기(1)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로킹 요소(8)를 폼 피팅 위치에 유지하고, 편의상 로킹 요소(8)와 로킹 리세스(7)의 정지 숄더(17) 사이에 배치되며, 실시예에서는 폼 피팅 방식으로 배치되거나 끼워진다. 로킹 요소(8)의 폼 피팅 위치에서, 각각의 경우에 로킹 요소(8)와 로킹 리세스(7)의 정지 숄더(17)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한다(도 4b). 정지 숄더(17)는 편의상 용기 외부 측면으로부터 용기 내부 측면으로 반경 방향으로 로킹 리세스(7)의 후측 종단을 형성한다. 편의상, 그리고 실시예(도 3 및 도 4c)의 예에서, 유지 요소(16)는 각각의 경우에 로킹 요소(8)의 후방 측면과 정지 숄더(17) 사이의 간극에 적합하게 배치되거나 끼워진다. 권장할 만하게, 그리고 실시예의 예에서, 용기가 완전히 닫힌 상태(도 1, 도 3, 도 4c)에서 유지 요소(16)는 로킹 요소(8) 뒤에서 용기 외부 측면으로부터 용기 내부 측면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도면에 따른 실시예에서, 용기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유지 요소(16)는 나사 연결에 의해 로킹 리세스(7)에 고정된다. 용기(1)를 다시 열기 위해, 유지 요소(16)를 로킹 리세스에서 다시 제거할 수 있다. 그 후에 로킹 요소(8)를 폼 피팅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1)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리고 실시예의 예에서, 로킹 요소(8)는 각각 고정 요소(19)용 위치 설정 보어(18)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실시예의 예에서, 로킹 요소(8)가 개개의 로킹 리세스(7)에 배치될 때, 위치 설정 보어(18)는 용기(1)의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면에 따른 실시예의 예에서, 고정 요소(19)는 나사로서 구성된다. 용기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고정 요소(19)는 편의상 위치 설정 보어(18)에 나사로 체결된다. 권장할 만하게는, 그리고 실시예의 예에서, 고정 요소(19) 및 위치 설정 보어(18)는 로킹 요소(8)를 통해 결합되거나 로킹 요소(8)를 통해 완전히 결합된다. 또한, 지지 받침부(21)는 각각의 경우에 고정 요소(19)의 로킹 리세스(7)의 바닥(20)에 대응하는 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장할 만하게는, 그리고 실시예의 예에서, 이러한 지지 받침부(21)는 용기(1)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고정 요소(19)와 로킹 리세스(7)의 개개의 바닥(20) 사이에 배치되고, 특히 로킹 리세스(7)의 바닥(20)과 상호 작용한다. 고정 요소(19) 또는 나사가 조여지면, 회전 운동이 병진 운동으로 변환되고, 고정 요소(19)의 지지 받침부(21)가 개개의 로킹 리세스(7)의 바닥(20)에 접촉하자마자, 축 방향 힘이 로킹 리세스(7)의 바닥(20)에 작용하여, 바람직하게는 로킹 요소(8)를 폼 피팅 위치로 유지하고,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실시예의 예에서 용기(1)의 메인 시일(14)에 힘을 가하거나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도 4c). 지지 받침부(21)는 로킹 리세스(7)의 바닥(20)에 균일한 힘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실시예의 예에서, 메인 시일(14)은 또한 지지 받침부(21) 아래에서 용기(1)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고, 따라서 편의상 지지 받침부(21)에 의해 축 방향의 힘을 받게 된다. 용기(1)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용기 커버(5)는 용접 이음부 없이 용기 케이싱(3)에 연결된다. 용기(1)를 다시 열기 위해, 고정 요소(19)는 위치 설정 보어(18)로부터 나사가 풀리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가 풀린다.
용기(1)의 직경(d) 대 용기 케이싱(3)의 벽 두께(s)의 비는 편의상 적어도 40:1에 달하며, 도면에 따른 실시예의 예에서는, 비(d/s)는 적어도 45:1에 달할 수 있다(도 3). 여기서 용기(1)의 직경(d)은 특히 용기(1)의 종축(L)에 비스듬한, 특히 수직인 용기(1)의 가장 큰 직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와 관련하여, 용기 케이싱(3)의 벽 두께(s)는 특히 커버 배열체 아래 영역에서 용기 케이싱(3)의 벽 두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므로, 내주에 형성된 틀, 예컨대 지지 레지(24) 및 메인 시일 레지(26)는 용기 케이싱(3)의 벽 두께에 포함되지 않는다. 커버 배열체 아래의 영역에서, 용기 케이싱(3)의 벽 두께는 특히 용기 케이싱(3)의 가장 큰 벽 두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6)

  1. 용기 케이싱(3), 상기 용기 케이싱(3)에 연결되는 용기 베이스(4) 및 적어도 하나의 용기 커버(5)를 구비하는, 방사성 폐기물을 수용하기 위한, 특히 사용 후 연료 요소(2)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1)로서, 상기 용기 커버(5)는 상기 커버의 상부 측면의 에지 영역(6)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 리세스(7)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 리세스(7)에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8)가 배치되거나 배치될 수 있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로킹 요소(8)는, 상기 용기 케이싱(3)의 방향으로 배향되고 상기 용기 커버(5)가 로킹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케이싱(3)의 상보적 폼 피팅 리세스(11)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폼 피팅 돌출부(10)를 포함하고, 상기 폼 피팅 리세스(11)는 상기 용기 케이싱(3)의 커버측 에지 영역(12)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폼 피팅 리세스(11)는 용기 케이싱(3)을 통해 결합이 이루어지는 폼 피팅 개구부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요소(8)가 개방 위치로부터 폼 피팅 위치로, 그리고 그 역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로킹 요소(8)는 상기 용기(1)가 로킹 해제된 상태에서 로킹 리세스(7)에서 비스듬히, 특히 상기 용기(1)의 종방향 중심축(L)에 수직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1)의 반경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것인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 특히 적어도 3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개의 로킹 리세스(7)가 상기 용기 커버(5)의 상부 측면의 에지 영역(6)에 제공되며, 상기 로킹 리세스는 상기 용기 커버(5)의 원주 주위에 분포되고, 바람직하게는 균일하게 분포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8)가 배치되거나 배치될 수 있는 것인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케이싱(3)은 적어도 2개, 특히 적어도 3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개의 폼 피팅 리세스(11)를 포함하며, 상기 폼 피팅 리세스는 상기 용기 케이싱(5)의 원주 주위에 분포되고, 바람직하게는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인 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폼 피팅 돌출부(10)는, 상기 로킹 요소(8)에 일체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 케이싱(3)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로서 구성되는 것인 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킹 리세스(7)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커버 외부 에지(9) 쪽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상기 로킹 요소(8)의 폼 피팅 돌출부(10)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상기 커버 외부 에지(9) 쪽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전체 수직 높이를 따라 또는 실질적으로는 전체 수직 높이를 따라 상기 커버 외부 에지(9) 쪽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용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커버(5)가 로킹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폼 피팅 돌출부(10)가 상기 용기 케이싱(3)의 외부 측면(13)을 지나 돌출되지 않으며, 특히 상기 용기 케이싱(3)의 외부 측면(13)과 수평을 이루는 것인 용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메인 시일(14)이 상기 용기 케이싱(3)과 상기 용기 커버(5)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시일(14)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또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용기 케이싱(3)의 내주 주위로 연장되고, 상기 메인 시일(14)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8) 아래에서 상기 용기(1)의 종방향 중심축(L)에 대해 비스듬히, 특히 수직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1)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인 용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커버(5)가 로킹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8)는 상기 커버 외부 에지(9) 또는 용기 케이싱(3)에 대응하는 측면에서 상기 커버 외부 에지(9)와 수평을 이루고, 편의상 상기 용기 케이싱(3)의 내부 측면(15)과 상호 작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 케이싱(3)의 내부 측면(15)에 맞닿는 것인 용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16)가 적어도 하나의 로킹 리세스(7)에 배치되거나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유지 요소는 상기 용기(1)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로킹 요소(8)를 폼 피팅 위치에 유지하고, 로킹 요소(8)와 로킹 리세스(7)의 정지 숄더(17)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배치되고, 특히 폼 피팅 방식으로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끼워지는 것인 용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8)는 고정 요소(19)용, 특히 나사용 리셉터클, 바람직하게는 위치 설정 보어(18)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요소(19)는 상기 용기(1)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리셉터클 또는 위치 설정 보어(18)에 도입되고, 바람직하게는 나사 결합되고, 상기 리셉터클 또는 위치 설정 보어(18) 및/또는 고정 요소(19)는 편의상 상기 용기(1)의 축 방향으로 상기 로킹 요소(8)를 통해 결합되는 것인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19)의 상기 로킹 리세스(7)의 바닥(20)에 대응하는 측면에 지지 받침부(21)가 배치되며, 상기 지지 받침부(21)는 상기 용기(1)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고정 요소(19)와 상기 로킹 리세스(7)의 바닥(20) 사이에 제공되고, 특히 상기 로킹 리세스(7)의 바닥(20)과 상호 작용하는 것인 용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용기 커버(5)는 용접 이음부(weld joint) 없이 상기 용기 케이싱(3)에 연결되는 것인 용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의 직경(d) 대 상기 용기 케이싱(3)의 벽 두께(s)의 비는 적어도 20: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1,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1,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1, 예컨대 120:1에 달하는, 용기.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 후 연료 요소(2)를 수용하기 위한 캐리어 바스켓(23)이 상기 용기(1)의 용기 내부(22)에 배치되는 것인 용기.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용기(1)와 운반 및/또는 저장 용기를 구비하는 용기 조립체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1)는 사용 후 연료 요소(2)가 장입된 캐니스터이고, 상기 캐니스터는 상기 운반 및/또는 저장 용기에 수용되고, 상기 운반 및/또는 저장 용기는 적어도 하나의 1차 커버로 닫힐 수 있거나 닫히고, 또한 편의상 상기 1차 커버 위에 배치되는 2차 커버로 닫힐 수 있거나 닫히는 것인 용기 조립체 유닛.
KR1020237022334A 2020-12-17 2021-11-09 방사성 폐기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 KR202301252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214907.6A EP4016550B1 (de) 2020-12-17 2020-12-17 Behälter zur aufnahme von radioaktiven abfallstoffen
EP20214907.6 2020-12-17
PCT/EP2021/081078 WO2022128260A1 (de) 2020-12-17 2021-11-09 Behälter zur aufnahme von radioaktiven abfallstoff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216A true KR20230125216A (ko) 2023-08-29

Family

ID=73855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2334A KR20230125216A (ko) 2020-12-17 2021-11-09 방사성 폐기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411027A1 (ko)
EP (1) EP4016550B1 (ko)
JP (1) JP2024500125A (ko)
KR (1) KR20230125216A (ko)
CN (1) CN116635953A (ko)
WO (1) WO2022128260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1849A (en) * 1990-01-12 1992-06-16 U.S. Tool & Die, Inc. Nuclear waste storage canister and cover therefor
FR2674225B1 (fr) * 1991-03-20 1993-07-16 Euritech Procede et installation pour transferer des produits d'une enceinte contaminee dans une deuxieme enceinte, sans contaminer cette derniere.
US20060188054A1 (en) * 2005-02-04 2006-08-24 Nac International, Inc. Methods for transporting and canistering nuclear spent fu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16550A1 (de) 2022-06-22
US20230411027A1 (en) 2023-12-21
CN116635953A (zh) 2023-08-22
EP4016550B1 (de) 2024-04-24
TW202238624A (zh) 2022-10-01
JP2024500125A (ja) 2024-01-04
WO2022128260A1 (de)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68983B1 (en) Liquid chemical dispensing and recirculating system
US5875915A (en) Two piece closure for a container
US5605244A (en) Plastic container with closure locking mechanism
JPS63144299A (ja) 二重構造式容器ユニツトの外部遮蔽容器のための蓋密閉機構
US5402835A (en) Drum funnel
JP2006175440A (ja) 遠心機用アダプタ及びその密閉方法
JPH07167990A (ja) 濃縮ウランのための輸送用容器
MXPA00011465A (es) Recipiente de transporte y almacenamiento para liquidos.
CN108430883B (zh) 用于液体的运输和储存容器
GB2245883A (en) A collapsible container
KR20230125216A (ko) 방사성 폐기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
JP3162326B2 (ja) 薬液容器
CA1279034C (en) Sealing cap for a safety container
TWI776340B (zh) 具有鋼外包裝之散裝容器
TWI826465B (zh) 用於保存放射性廢棄物之容器
RU234406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зажимного кольца на транспортировочных контейнерах
US20230339739A1 (en) Intermediate bulk container, valve and connector system
TWI838668B (zh) 用於接收放射性廢棄物的容器及容器總成
US4932551A (en) Composite tank assembly
EP3823906A1 (en) System for improved access to liquid in a plastic container and lid assembly
JP4853848B2 (ja) 廃棄物の搬送用コンテナ
KR20040058361A (ko) 접지 장치를 갖춘 용기 배출 시스템
US20230312195A1 (en) Container with a screw cap
RU64184U1 (ru) Крышка с запорным элементом, бочкотара с такой крышкой и прокладочное кольцо для такой крышки к бочкотаре
US3815772A (en) Drain port valve and improved shipping contai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