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4495A - 충전 베이스를 위한 회로 기판 및 충전 베이스 - Google Patents

충전 베이스를 위한 회로 기판 및 충전 베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4495A
KR20230124495A KR1020230020654A KR20230020654A KR20230124495A KR 20230124495 A KR20230124495 A KR 20230124495A KR 1020230020654 A KR1020230020654 A KR 1020230020654A KR 20230020654 A KR20230020654 A KR 20230020654A KR 20230124495 A KR20230124495 A KR 20230124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s
charging base
charging
circuit board
substrat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0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안웨이 치
팡위에 주 (제이슨)
진슌 왕 (제트)
진šœ 왕 (제트)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쑤저우) 리미티드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에스아이피) 컴퍼니 리미티드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쑤저우) 리미티드,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에스아이피) 컴퍼니 리미티드,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쑤저우)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24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49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 베이스를 위한 회로 기판 및 충전 베이스를 개시한다. 충전 베이스를 위한 회로 기판은, 기판 본체(40); 충전 단자들(1)을 제외한 충전 베이스 내의 모든 다른 단자들(2)과의 전기 연결을 위해 기판 본체(40) 상에 고정식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입력 단자들(41); 기판 본체(40) 상에 고정식으로 제공되고 복수의 제1 출력 단자들(42')을 포함하는 출력 단자(42); 및 기판 본체(40)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전도성 트레이스들(410)을 포함한다. 복수의 입력 단자들(41)은 복수의 제1 전도성 트레이스들(410)을 통해 복수의 제1 출력 단자들(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충전 단자들을 제외한 충전 베이스 내의 모든 다른 단자들은 회로 기판을 통해 인출되고, 따라서 본 발명은 충전 베이스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충전 베이스를 위한 회로 기판 및 충전 베이스 {CIRCUIT BOARD FOR CHARGING BASE AND CHARGING BASE}
본 출원은, 2022년 2월 18일자로 중국 국가 특허청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CN202220333407.6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의 전체 개시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충전 베이스를 위한 회로 기판(circuit board) 및 이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충전 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충전 건과 매칭된 충전 베이스는 일반적으로, 하우징, 충전 단자들 및 하우징 내에 설치된 비-충전 단자들을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서, 비-충전 단자들의 하나의 부분은 외부 커넥터들과의 전기 연결을 위해 회로 기판 또는 리드 프레임을 통해 인출되고(led out), 비-충전 단자들의 다른 부분은 와이어들을 통해 인출되며, 이는 충전 베이스의 비용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된 단점들의 적어도 하나의 양상을 극복하거나 또는 완화시키도록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충전 베이스를 위한 회로 기판이 제공된다. 회로 기판은, 기판 본체; 충전 단자들을 제외한 충전 베이스 내의 모든 다른 단자들과의 전기 연결을 위해 기판 본체 상에 고정식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입력 단자들; 기판 본체 상에 고정식으로 제공되고 복수의 제1 출력 단자들을 포함하는 출력 단자; 및 기판 본체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전도성 트레이스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입력 단자들은, 복수의 제1 전도성 트레이스들을 통해 복수의 제1 출력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기판은 또한, 충전 단자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기판 본체 상에 장착되는 온도 센서; 및 기판 본체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전도성 트레이스들을 포함한다. 출력 단자는 또한 복수의 제2 출력 단자들을 포함하고, 온도 센서의 리드들은 복수의 제2 전도성 트레이스들을 통해 복수의 제2 출력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단자는 핀 타입 단자이고, 모든 출력 단자들은 연결 포트와 함께 커넥터 인터페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충전 베이스의 단부 커버 내의 연결 포트에 동시에 수용될 수 있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단자는 배럴(barrel) 단자이며, 그에 따라 충전 베이스 내의 충전 단자 이외의 임의의 단자의 일 단부는 입력 단자의 일 단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관통 구멍(through-hole) 및 제2 관통 구멍이 기판 본체에 형성되고, 입력 단자의 일 단부 및 출력 단자의 일 단부는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제1 관통 구멍 및 제2 관통 구멍 내로 각각 삽입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모든 출력 단자들은 기판 본체의 일 단부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 본체는, 제1 플레이트 부분, 제2 플레이트 부분, 및 제1 플레이트 부분과 제2 플레이트 부분 사이에 연결된 제3 플레이트 부분을 포함하며; 제3 플레이트 부분의 폭이 제1 플레이트 부분 및 제2 플레이트 부분의 폭보다 더 작으며, 그에 따라 기판 본체는 양 단부들에서 크고 중간에서 작으며; 온도 센서는 제3 플레이트 부분과 연결된 제1 플레이트 부분의 숄더 상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도성 트레이스 및 제2 전도성 트레이스는 기판 본체의 전면 및/또는 후면 상에 형성되고, 기판 본체는 단일 층 기판 또는 다층 기판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충전 베이스를 위한 회로 기판이 제공된다. 회로 기판은, 기판 본체; 충전 단자들을 제외한 충전 베이스 내의 모든 다른 단자들과의 전기 연결을 위해 기판 본체 상에 고정식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입력 특징부(input feature)들; 기판 본체 상에 고정식으로 제공되고 복수의 제1 출력 단자들을 포함하는 출력 단자들; 및 기판 본체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전도성 트레이스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입력 특징부들은 복수의 제1 전도성 트레이스들을 통해 복수의 제1 출력 단자들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에 따라 충전 단자들을 제외한 충전 베이스 내의 모든 다른 단자들은 복수의 제1 출력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기판은 또한, 기판 본체 상에 고정식으로 제공되고 복수의 입력 특징부들과 각각 전기 접촉하는 복수의 입력 단자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입력 단자들은, 충전 단자들을 제외한 충전 베이스 내의 모든 다른 단자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충전 베이스가 제공된다. 충전 베이스는, 내부 챔버를 갖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 챔버에 설치되고 그리고 적어도 충전 단자 및 신호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자들; 및 하우징의 내부 챔버에 설치되는 상기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충전 단자들을 제외한 충전 베이스 내의 모든 다른 단자들은, 회로 기판 상의 복수의 입력 단자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내부 챔버를 에워싸는(enclose) 외부 둘레 벽(outer peripheral wall); 및 외부 둘레 벽과 연결되고 내부 챔버를 상부 챔버 및 하부 챔버로 분리하는 파티션 벽(partition wall)을 포함한다. 회로 기판은 하우징의 상부 챔버에 포함되고 파티션 벽 상에 고정되고; 충전 단자는 파티션 벽을 통과하고 회로 기판 상의 온도 센서와 열 접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베이스는 또한, 하우징의 상부 포트 상에 설치되는 단부 커버를 포함한다. 연결 포트가 단부 커버에 형성되고, 회로 기판 상의 모든 출력 단자들은 연결 포트 내로 연장되어 연결 포트와 함께 커넥터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단부 커버는 최상부 벽; 및 최상부 벽의 둘레부에 연결된 둘레 벽을 포함한다. 연결 포트 및 충전 포트는 단부 커버의 최상부 벽 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베이스는 또한, 장착 패널 상에 충전 베이스를 고정시키기 위해 장착 패널 상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장착 플랜지를 포함한다. 장착 플랜지는 하우징의 하부 단부에 슬리브 온(sleeved on)되고, 하우징의 외부 둘레 벽의 외부측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충전 단자들을 제외한 충전 베이스 내의 모든 다른 단자들은 회로 기판을 통해 인출되고, 따라서 본 발명은 충전 베이스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충전 베이스의 예시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충전 베이스 및 커넥터의 예시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충전 베이스의 예시적인 도면을 도시하며, 여기서, 단부 커버는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충전 베이스의 예시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단부 커버는 제거되어 있다.
도 5는, 회로 기판의 최상부에서 볼 때,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 및 충전 베이스의 단자들의 예시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회로 기판의 최하부에서 볼 때,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 및 충전 베이스의 단자들의 예시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충전 베이스의 회로 기판의 예시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 상의 전도성 트레이스의 예시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유사한 요소들을 지칭한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원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할 것이고, 본 개시내용의 개념을 당업자들에게 완전히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의 목적들을 위해, 개시된 실시예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 사항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 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다른 경우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도면을 단순화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개념에 따르면, 충전 베이스를 위한 회로 기판이 제공된다. 회로 기판은, 기판 본체; 충전 단자들을 제외한 충전 베이스 내의 모든 다른 단자들과의 전기 연결을 위해 기판 본체 상에 고정식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입력 단자들; 기판 본체 상에 고정식으로 제공되고 복수의 제1 출력 단자들을 포함하는 출력 단자; 및 기판 본체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전도성 트레이스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입력 단자들은, 복수의 제1 전도성 트레이스들을 통해 복수의 제1 출력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반적인 개념에 따르면, 충전 베이스를 위한 회로 기판이 제공된다. 회로 기판은, 기판 본체; 충전 단자들을 제외한 충전 베이스 내의 모든 다른 단자들과의 전기 연결을 위해 기판 본체 상에 고정식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입력 특징부들; 기판 본체 상에 고정식으로 제공되고 복수의 제1 출력 단자들을 포함하는 출력 단자들 및 기판 본체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전도성 트레이스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입력 특징부들은 복수의 제1 전도성 트레이스들을 통해 복수의 제1 출력 단자들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에 따라 충전 단자들을 제외한 충전 베이스 내의 모든 다른 단자들은 복수의 제1 출력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반적인 개념에 따르면, 충전 베이스가 제공된다. 충전 베이스는, 내부 챔버를 갖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 챔버에 설치되고 그리고 적어도 충전 단자 및 신호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자들; 및 하우징의 내부 챔버에 설치되는 상기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충전 단자들을 제외한 충전 베이스 내의 모든 다른 단자들은, 회로 기판 상의 복수의 입력 단자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충전 베이스의 예시적인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충전 베이스의 예시적인 도면을 도시하며, 여기서, 단부 커버(20)는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충전 베이스의 예시적인 도면을 도시하며, 여기서, 단부 커버(20)는 제거되어 있고; 도 5는 회로 기판(4)의 최상부에서 볼 때,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4) 및 충전 베이스의 다수의 단자들(1 및 2)의 예시적인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4)의 최하부에서 볼 때, 회로 기판(4) 및 충전 베이스의 다수의 단자들(1 및 2)의 예시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충전 베이스는 하우징(10), 복수의 단자들(1 및 2) 및 회로 기판(4)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내부 챔버를 갖는다. 복수의 단자들(1 및 2)이 하우징(10)의 내부 챔버에 설치된다. 복수의 단자들(1 및 2)은 적어도 충전 단자(1) 및 신호 단자(2)를 포함한다. 회로 기판(4)이 하우징(10)의 내부 챔버에 설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충전 베이스의 회로 기판(4)의 예시적인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4) 상의 전도성 트레이스들(410 및 420)의 예시적인 도면을 도시한다(도면에는 하나의 제1 전도성 트레이스(410) 및 하나의 제2 전도성 트레이스(420)만이 도시됨).
도 1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4)은 기판 본체(40), 복수의 입력 단자들(41), 출력 단자들(42), 및 복수의 제1 전도성 트레이스들(410)을 포함한다. 복수의 입력 단자들(41)이 기판 본체(40) 상에 고정식으로 제공되고, 충전 단자들(1)을 제외한 충전 베이스 내의 모든 다른 단자들(2)과의 각각의 전기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 출력 단자(42)는 기판 본체(40) 상에 고정식으로 제공되고, 복수의 제1 출력 단자들(42')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전도성 트레이스들(410)이 기판 본체(40) 상에 형성되고, 예를 들어, 기판 본체(40) 상에 프린팅된다. 복수의 입력 단자들(41)은 복수의 제1 전도성 트레이스들(410)을 통해 복수의 제1 출력 단자들(4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충전 베이스의 모든 신호 단자들(2)은 회로 기판(4) 상의 복수의 입력 단자들(41)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4)은 또한 온도 센서(43) 및 복수의 제2 전도성 트레이스들(430)을 포함한다. 온도 센서(43)는, 충전 단자(1)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기판 본체(40) 상에 설치된다. 복수의 제2 전도성 트레이스들(430)이 기판 본체(40) 상에 형성된다. 출력 단자(42)는 또한 복수의 제2 출력 단자들(42")을 포함하고, (도시되지 않은) 온도 센서(43)의 리드들은 복수의 제2 전도성 트레이스들(430)을 통해 복수의 제2 출력 단자들(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충전 베이스 및 커넥터(50)의 예시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출력 단자(42)는 핀 타입 단자이고, 모든 출력 단자들(42)은 연결 포트(22)와 함께 커넥터 인터페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충전 베이스의 단부 커버(20)의 연결 포트(22)에 동시에 수용될 수 있도록 배열되고, 커넥터 인터페이스는 커넥터(50)와 매칭하도록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입력 단자(41)는 배럴 단자이고, 입력 단자(41)의 일 단부(2a)는 개방되고 다른 단부는 폐쇄되며, 그에 따라 충전 단자(1) 이외의 충전 베이스에서 임의의 단자(2)의 일 단부(2a)는 입력 단자(41)의 일 단부(41a)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관통 구멍(through hole)(401) 및 제2 관통 구멍(402)이 회로 기판(4)의 기판 본체(40)에 형성된다. 입력 단자(41)의 일 단부(41a) 및 출력 단자(42)의 일 단부(42a)는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제1 관통 홀(401) 및 제2 관통 홀(402)에 각각 삽입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기판 본체(40)는 제1 플레이트 부분(40a), 제2 플레이트 부분(40b), 및 제1 플레이트 부분(40a)과 제2 플레이트 부분(40b) 사이에 연결된 제3 플레이트 부분(40c)을 포함한다. 제3 플레이트 부분(40c)의 폭은 제1 플레이트 부분(40a) 및 제2 플레이트 부분(40b)의 폭보다 더 작고, 그에 따라, 기판 본체(40)는 단부들 둘 모두에서 크고 중간에서 작은 형상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복수의 입력 단자들(41) 중 일 부분은 제1 기판 부분(40a) 상에 설정되고, 다른 부분은 제2 기판 부분(40b) 상에 설정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8개의 입력 단자들(41) 중 4개는 제1 기판 부분(40a) 상에 제공되고, 다른 4개는 제2 기판 부분(40b) 상에 제공된다. 모든 출력 단자들(42)은 제1 기판 부분(40a) 상에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온도 센서(43)는 제3 플레이트 부분(40c)에 연결된 제1 플레이트 부분(40a)의 숄더 상에 장착되고, 충전 단자(1)는 제3 플레이트 부분(40c)의 숄더를 통과하고 온도 센서(43)와 열 접촉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전도성 트레이스들(410) 및 제2 전도성 트레이스들(430)은 기판 본체(40)의 전면 및/또는 후면 상에 형성되고, 기판 본체(40)는 단일 층 기판 또는 다층 기판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기판 본체(40) 상에 연결 구멍(connection hole)(45)이 형성되고, 그에 따라, 기판 본체(40)는 연결 구멍(45)을 통과하는 나사결합 부재(15)(예를 들어, 스크루)를 통해 충전 베이스의 하우징(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복수의 위치결정 노치들(44)이 기판 본체(40)의 에지 상에 형성되고, 복수의 위치결정 노치들(44)은 기판 본체(40)를 위치결정하기 위해 충전 베이스의 하우징(10) 상의 위치결정 리브들(14)과 매칭하기에 적합하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충전 단자들(1)을 제외한 충전 베이스의 모든 다른 단자들(2)은 회로 기판(4) 상의 복수의 입력 단자들(41)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충전 베이스 내의 모든 신호 단자들(2)은 회로 기판(4) 상의 복수의 입력 단자들(41)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신호 단자들(2)은 와이어들을 통해 인출되지 않고 회로 기판(4)을 통해 외부 커넥터(50)로 인출될 수 있으며, 이는 충전 베이스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충전 베이스의 하우징(10)은 외부 둘레 벽(11) 및 파티션 벽(12)을 포함한다. 외부 둘레 벽(11)은 내부 챔버를 형성한다. 파티션 벽(12)은 외부 둘레 벽(11)과 연결되고, 내부 챔버를 상부 챔버(10a) 및 하부 챔버로 분리한다. 회로 기판(4)은 하우징(10)의 상부 챔버(10a)에 포함되며, 파티션 벽(12) 상에 고정된다. 충전 단자(1)는 파티션 벽(12)을 통과하고, 회로 기판(4) 상의 온도 센서(43)와 열 접촉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충전 베이스는 또한 단부 커버(20)를 포함한다. 단부 커버(20)는 하우징(10)의 상부 포트 상에 장착된다. 연결 포트(22)가 단부 커버(20) 상에 형성되고, 회로 기판(4) 상의 모든 출력 단자들(42)은 연결 포트(22) 내로 연장되어 연결 포트(22)와 함께 커넥터 인터페이스(이는 커넥터(50)와 매칭하기에 적합함)를 형성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충전 건(도시되지 않음)과 매칭하기에 적합한 충전 포트(21)가 또한 단부 커버(20) 상에 형성된다. 충전 단자(1)는 충전 포트(21) 내에 삽입된 충전 건 단자(도시되지 않음)와 매칭되도록 충전 포트(21) 내로 연장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단부 커버(20)는 최상부 벽(210) 및 둘레 벽(220)을 포함한다. 둘레 벽(220)은 최상부 벽(210)의 둘레부에 연결된다. 연결 포트(22) 및 충전 포트(21)는 단부 커버(20)의 최상부 벽(210) 상에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슬롯(23)이 단부 커버(20)의 둘레 벽(220)에 형성되고, 벌지(bulge)(13)가 하우징(10)의 외부 둘레 벽(11)의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된다. 벌지(13)는 하우징(10)에 단부 커버(20)를 고정시키기 위해 슬롯(23) 내에 스냅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충전 베이스는 또한 장착 플랜지(30)를 포함한다. 장착 플랜지(30)는, 장착 패널에 충전 베이스를 고정시키기 위해 장착 패널(도시되지 않은, 예를 들어, 충전 파일의 하우징) 상에 장착되는 데 적합하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장착 플랜지(30)는 하우징(10)의 하부 단부에 슬리브 온되고, 하우징(10)의 외부 둘레 벽(11)의 외부측에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4)의 기판 본체(40) 상의 위치결정 노치(44)와 매칭하기에 적합한 위치결정 리브(14)가 회로 기판(4)을 위치결정하기 위해 하우징(10)의 내부 측면 상에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충전 베이스를 위한 회로 기판(4)이 또한 개시된다. 회로 기판(4)은 기판 본체(40), 복수의 입력 특징부들(401), 출력 단자(42) 및 복수의 제1 전도성 트레이스들(410)을 포함한다. 복수의 입력 특징부들(401)이 기판 본체(40) 상에 고정식으로 제공되고, 충전 단자들(1)을 제외한 충전 베이스 내의 모든 다른 단자들(2)과의 전기 연결을 위해 각각 사용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입력 특징부(401)는 제1 관통 구멍(401)(제1 관통 구멍(401)은 전도성 관통 구멍일 수 있음) 또는 다른 적절한 전도성 구조일 수 있으며, 입력 특징부(401)는 입력 단자(41) 또는 충전 단자(1)를 제외한 충전 베이스의 다른 단자들(2)과 직접 전기 접촉할 수 있다. 출력 단자(42)는 기판 본체(40) 상에 고정식으로 제공되고, 복수의 제1 출력 단자들(42')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전도성 트레이스들(410)이 기판 본체(40) 상에 형성된다. 복수의 입력 특징부들(401)은 복수의 제1 전도성 트레이스들(410)을 통해 복수의 제1 출력 단자들(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에 따라 충전 단자(1)를 제외한 충전 베이스 내의 모든 다른 단자들(2)은 복수의 제1 출력 단자들(4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충전 베이스의 회로 기판(4)은 또한 복수의 입력 단자들(41)을 포함한다. 복수의 입력 단자들(41)은 기판 본체(40) 상에 고정식으로 제공되고, 복수의 입력 특징부들(401)과 전기 접촉한다. 복수의 입력 단자들(41)은 충전 단자들(1)을 제외한 충전 베이스 내의 모든 다른 단자들(2)과의 전기 연결을 위해 각각 사용된다.
위의 실시예들은 제한적이지 않고 예시되도록 의도된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 인식되어야 한다. 예컨대, 당업자에 의해 위의 실시예들에 대해 많은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리고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구성 또는 원리에서 충돌하지 않으면서 서로 자유롭게 결합될 수 있다.
수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변경들 또는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것이며, 그 범위는 청구항들 및 이들의 등가물들에서 정의되어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표현으로 인용된 요소는, 상기 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복수형을 배제하지 않는 것(이러한 배제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참조들은, 인용된 특징들을 또한 포함하는 추가의 실시예들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명시적으로 반대로 언급되지 않는 한, 특별한 특징을 갖는 원소 또는 복수 개의 원소들을 "포함"하거나 "갖는" 실시예들은 그 특징을 갖지 않는 이러한 추가 원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5)

  1. 충전 베이스용 회로 기판으로서,
    기판 본체(board body)(40);
    충전 단자들(1)을 제외한 충전 베이스 내의 모든 다른 단자들(2)과의 전기 연결을 위해 상기 기판 본체(40) 상에 고정식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입력 단자(input terminal)들(41);
    상기 기판 본체(40) 상에 고정식으로 제공되고, 복수의 제1 출력 단자들(42')을 포함하는 출력 단자(output terminal)(42); 및
    상기 기판 본체(40)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전도성 트레이스(conductive trace)들(410)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입력 단자들(41)은 상기 복수의 제1 전도성 트레이스들(410)을 통해 상기 복수의 제1 출력 단자들(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베이스용 회로 기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단자(1)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기판 본체(40) 상에 장착되는 온도 센서(43); 및
    상기 기판 본체(40)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전도성 트레이스들(4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 단자(42)는 또한 복수의 제2 출력 단자들(42")을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43)의 리드들은 상기 복수의 제2 전도성 트레이스들(430)을 통해 상기 복수의 제2 출력 단자들(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베이스용 회로 기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자(42)는 핀 타입 단자(pin type terminal)이고, 모든 출력 단자들(42)은 상기 연결 포트(22)와 함께 커넥터 인터페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충전 베이스의 단부 커버(20) 내의 연결 포트(22)에 동시에 수용될 수 있도록 배열되는,
    충전 베이스용 회로 기판.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단자(41)는 배럴 단자(barrel terminal)이며, 그에 따라 상기 충전 베이스(1) 내의 충전 단자 이외의 임의의 단자(2)의 일 단부(2a)는 상기 입력 단자(41)의 일 단부(41a)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충전 베이스용 회로 기판.
  5. 제2 항에 있어서,
    제1 관통 구멍(through-hole)(401) 및 제2 관통 구멍(402)이 상기 기판 본체(40)에 형성되고, 상기 입력 단자(41)의 일 단부(41a) 및 상기 출력 단자(42)의 일 단부(42a)는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fit) 방식으로 상기 제1 관통 구멍(401) 및 상기 제2 관통 구멍(402) 내로 각각 삽입되는,
    충전 베이스용 회로 기판.
  6. 제2 항에 있어서,
    모든 출력 단자들(42)은 상기 기판 본체(40)의 일 단부에 제공되는,
    충전 베이스용 회로 기판.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본체(40)는 제1 플레이트 부분(40a), 제2 플레이트 부분(40b),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부분(40a)과 상기 제2 플레이트 부분(40b) 사이에 연결된 제3 플레이트 부분(40c)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플레이트 부분(40c)의 폭은 상기 제1 플레이트 부분(40a)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부분(40b)의 폭보다 더 작고, 그에 따라, 상기 기판 본체(40)는 단부들 둘 모두에서 크고 중간에서 작으며;
    상기 온도 센서(43)는 상기 제3 플레이트 부분(40c)에 연결되는 제1 플레이트 부분(40a)의 숄더 상에 장착되는,
    충전 베이스용 회로 기판.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트레이스(410) 및 상기 제2 전도성 트레이스(430)는 상기 기판 본체(40)의 전면 및/또는 후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기판 본체(40)는 단일 층 기판 또는 다층 기판인,
    충전 베이스용 회로 기판.
  9. 충전 베이스용 회로 기판으로서,
    기판 본체(40);
    충전 단자들(1)을 제외한 충전 베이스 내의 모든 다른 단자들(2)과의 전기 연결을 위해 상기 기판 본체(40) 상에 고정식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입력 특징부(input feature)들(401);
    상기 기판 본체(40) 상에 고정식으로 제공되고, 복수의 제1 출력 단자들(42')을 포함하는 출력 단자(42); 및
    상기 기판 본체(40)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전도성 트레이스들(410)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입력 특징부들(401)은 복수의 제1 전도성 트레이스들(410)을 통해 복수의 제1 출력 단자들(4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에 따라 충전 단자(1)를 제외한 충전 베이스 내의 모든 다른 단자들(2)은 복수의 제1 출력 단자들(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베이스용 회로 기판.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본체(40) 상에 고정식으로 제공되고 복수의 입력 특징부들(401)과 각각 전기 접촉하는 복수의 입력 단자들(41)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입력 단자들(41)은, 충전 단자들(1)을 제외한 충전 베이스 내의 모든 다른 단자들(2)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베이스용 회로 기판.
  11. 충전 베이스로서,
    내부 챔버를 갖는 하우징(10);
    복수의 단자들(1,2) ― 상기 복수의 단자들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챔버에 설치되며 적어도 충전 단자(1) 및 신호 단자(2)를 포함함 ―; 및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챔버에 설치되는,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회로 기판(4)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단자들(1)을 제외한 충전 베이스 내의 모든 다른 단자들(2)은, 상기 회로 기판(4) 상의 복수의 입력 단자들(41)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베이스.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내부 챔버를 에워싸는 외부 둘레 벽(11); 및
    외부 둘레 벽(11)과 연결되고, 내부 챔버를 상부 챔버(10a) 및 하부 챔버로 분리하는 파티션 벽(12)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4)은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챔버(10a)에 포함되고 파티션 벽(12) 상에 고정되고, 상기 충전 단자(1)는 상기 파티션 벽(12)을 통과하고 상기 회로 기판(4) 상의 온도 센서(43)와 열 접촉하는,
    충전 베이스.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포트 상에 설치되는 단부 커버(20)를 더 포함하고,
    연결 포트(22)가 상기 단부 커버(20)에 형성되고, 상기 회로 기판(4) 상의 모든 출력 단자들(42)은 상기 연결 포트(22) 내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 포트(22)와 함께 커넥터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충전 베이스.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커버(20)는,
    최상부 벽(210); 및
    상기 최상부 벽(210)의 둘레부에 연결되는 둘레 벽(220)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포트(22) 및 충전 포트(21)는 상기 단부 커버(20)의 최상부 벽(210) 상에 형성되는,
    충전 베이스.
  15. 제11 항에 있어서,
    장착 패널에 충전 베이스를 고정하기 위해 장착 패널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장착 플랜지(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 플랜지(30)는 상기 하우징(10)의 하부 단부에 슬리브 온(sleeved on)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외부 둘레 벽(11)의 외부측에 연결되는,
    충전 베이스.
KR1020230020654A 2022-02-18 2023-02-16 충전 베이스를 위한 회로 기판 및 충전 베이스 KR202301244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20333407.6 2022-02-18
CN202220333407.6U CN217183538U (zh) 2022-02-18 2022-02-18 用于充电座的电路板和充电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495A true KR20230124495A (ko) 2023-08-25

Family

ID=82739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0654A KR20230124495A (ko) 2022-02-18 2023-02-16 충전 베이스를 위한 회로 기판 및 충전 베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121144A (ko)
KR (1) KR20230124495A (ko)
CN (1) CN217183538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21144A (ja) 2023-08-30
CN217183538U (zh) 2022-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23349B (zh) 具有接觸模組之電氣連接器
JP3059523U (ja) フィルタ付きの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8267722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grounding member
TWI500204B (zh) 電池模組
US7611383B1 (en) RJ45 connector device having key structure for changing pin definitions
US8579661B2 (en) High speed modular jack
US20180151987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110263157A1 (en) Electrical connector grounding path to outer shell
US8579660B2 (en) High speed modular jack
US8011961B2 (en) Cable assembly with grounding pieces
US20110085317A1 (en) Shield cover, shield case, and circuit board module
US20140349519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lding
US7267584B1 (en) RJ-45 socket module and internal circuitry
US6739915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ar retention mechanism of outer shell
US936268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ing plate secured therein
US5281155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US6089916A (en) Cable assembly connector
US6863569B2 (en) High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US674304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ar ground plate
KR20220004231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US10361499B2 (en) Signal transferring device and adapter assembly
KR20230124495A (ko) 충전 베이스를 위한 회로 기판 및 충전 베이스
US10187988B1 (en) Adapter with an insulating body having a circuit board with a plurality of conductive modules surface mounted on the board
US9413122B2 (en) Modular jack having middle metal plate shielding two adjacent ports
US20040209522A1 (en) Conn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