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4382A - Road Foothold Support Structure For Guardrail - Google Patents

Road Foothold Support Structure For Guardra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4382A
KR20230124382A KR1020220021646A KR20220021646A KR20230124382A KR 20230124382 A KR20230124382 A KR 20230124382A KR 1020220021646 A KR1020220021646 A KR 1020220021646A KR 20220021646 A KR20220021646 A KR 20220021646A KR 20230124382 A KR20230124382 A KR 20230124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caffold
scaffolding
guardrail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6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58727B1 (en
Inventor
김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세연이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세연이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세연이앤에스
Priority to KR1020220021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727B1/en
Publication of KR20230124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3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7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23Details of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6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fastening to safety barri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드레일에 설치되어 도로의 내외측에서 유지보수 작업시 레일을 쉽고 편리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하는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가드레일의 지주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수단과, 그 고정수단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판을 안내하는 발판안내부가 형성된 발판지지대와, 그 발판안내부에 설치되어 도로변에 설치된 가드레일을 중심으로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발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affolding structure for a road guardrail installed on a guardrail so that the rail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crossed during maintenance work inside and outside the road, the configuration of which is a fixing means fixed to the support of the guardrail And, a scaffold suppor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xing means and formed with a scaffold guide for guiding the scaffold, and a scaffold installed in the scaffold guide and moving inward or outward around the guardrail installed on the roadside. It is done.

Description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Road Foothold Support Structure For Guardrail}Scaffolding structure for road guardrail {Road Foothold Support Structure For Guardrail}

본 발명은 도로 가드레일에 설치되어 도로의 내/외 측에서 유지보수작업을 하는 경우나, 차량 사고 등으로 인해 운전자를 포함한 사용자가 대피하고자 하는 경우에 레일을 용이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하는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road guardrail installed on a road guardrail so that users, including drivers, who want to evacuate due to a car accident or the like, can easily cross the rail when performing maintenance work on the inside/outside of the road, etc. It is about scaffolding structures.

도로 안전용 가드레일은 적정 간격으로 지면에 직립되게 하단부가 매설되는 지주와, 그 지주들 간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차단막 기능을 갖는 플레이트 또는 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진 레일로 이루어진 것이 통상적이다.Road safety guardrails are generally composed of supports whose lower ends are buried upright on the ground at appropriate intervals, and rails made of plates or pipes that are horizontally connected between the supports and have a barrier function.

그런데, 종래의 도로 안전용 가드레일은 도로 구조물 유지보수나 교통사고 등 피치못할 사정으로 도로의 내측에서 가드레일을 건너 보도 내지는 도로 외측으로 이동하여야 할 경우에는 레일을 넘어가야 하는데, 통상 가드레일은 상당한 높이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도로 안전 가드가 설치되지 않는 곳을 돌아서 나오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해당 자리에서 월담하는 경우에는 레일의 상단부가 작업자나 사용자의 낭심부위와 부딪히거나 하체 일부가 부딪혀 중심을 잃어버린 상태에서 얼굴을 노면에 부딪히는 등의 안전사고 위험이 있었다.By the way, conventional road safety guardrails have to cross the rails when moving from the inside of the road to the sidewalk or the outside of the road due to unavoidable circumstances such as road structure maintenance or traffic accidents. Since it forms a considerable height, there was a problem that it took a lot of time to go around and come out of a place where road safety guards were not installed. There was a risk of a safety accident, such as hitting the face on the road in a state where the center was lost due to a collision.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가드레일을 분할하여 통로를 형성하는 방법, 별도의 발판을 휴대하는 방법, 가드레일에 일체로 발판구조를 형성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a method of dividing the guardrail to form a passage, a method of carrying a separate scaffold, and a method of forming a scaffold structure integrally with the guardrail have been proposed.

그러나 가드레일을 분할할 경우에는 가드레일 본연의 기능인 차량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기능이 저해될 우려가 있음은 물론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고, 발판을 휴대하는 경우에는 번거롭고 불편함이 있음은 물론 유지 보수 작업자를 제외한 일반인이 휴대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발판구조를 가드레일에 일체로 형성시킬 경우에는 주행중인 도로상으로 발판이 노출되어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However, if the guardrail is divided, there is a risk that the safety function that prevents the vehicle from leaving the outside, which is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guardrail, may be impaired, and the appearance is not beautiful. It is rarely carried by ordinary people except workers, and when the scaffolding structur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guardrail, the scaffolding is exposed on the road while driving, which can act as a factor that increases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이에, 상시적으로 가드레일을 설치하면서도 미사용시에는 발판을 가드레일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예로서 실용신안등록 제0483718호, 제0370180호가 개시되어 있다.Accordingly, a technique has been developed to prevent the scaffold from protruding outward from the guardrail while constantly installing the guardrail when not in use. As an exampl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s. 0483718 and 0370180 are disclosed.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0483718호는 발판을 상하방향으로 회동동작되게 구비하여 사용시에는 하방으로 회동시켜 사용하고, 미사용시에는 상방으로 다지 접어놓도록 한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발판을 지지하는 수단이 축이나 래칫에 불과함은 물론 발판의 하부에 별도의 지지수단 없이 일부분만이 연결되어 지지되고 있는 구조임에 따라 사람이 발판을 딛고 올라설 경우 하중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상당한 유지관리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83718 is a technology in which the scaffold is provided to be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rotated downward when in use, and folded upward when not in use. However, in the above technology, the means for supporting the scaffold is only a shaft or a ratchet, and since only a part of the scaffold is connected and supported without a separate support means at the bottom of the scaffold, when a person steps on the scaffold, it is caused by the loa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easily damaged, and accordingly, a problem that a considerable maintenance cost is consumed may occur.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0370180호는 가드레일의 레일에 지지축과 브라켓을 이용하여 발판을 설치한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레일에 장착하는 구조임에 따라 작업자가 발판을 딛고 올라설 경우에 그 하중으로 인해 레일의 휨 현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고, 또한 단순히 상부브라켓과 하부브라켓이 지지축을 매개로 서로 연결된 상태에 불과함에 따라 지지력이 약해 발판이 쉽게 흔들릴 가능성이 높으며, 이 경우에 자칫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70180 is a technology of installing a scaffold using a support shaft and a bracket on a rail of a guardrail. However, since the above technology is a structure mounted on a rail,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bending of the rail may occur due to the load when the operator steps on the scaffold, and the upper bracket and the lower bracket are simply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support shaft Depending on the condition, the support is weak and the footrest is likely to shake easily, and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a safety accident may occur.

또한, 상기 기술은 브라켓과 지지축으로 쉽게 장착할 수는 있을지 모르나, 견고한 결합이 어려워 흔들림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고, 1단 레일의 경우는 장착하여 사용할 수는 있으나 2단 이상의 레일의 경우 특히 3단 레일의 경우에는 지주의 앞뒤로 이중으로 레일이 설치됨에 따라 레일에 설치하기가 쉽지 않고, 설치하였다고 하더라도 불안정하여 레일을 넘어가는데 자칫 안전사고의 발생위험이 있으며, 반대쪽에 별도의 발판이 구비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뛰어내려야 함에 따라 안전사고 위험이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above technology may be easily mounted with a bracket and a support shaf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shaking due to difficult coupling. However, in the case of rails, it is not easy to install on the rails as double rails are installed on the front and back of the support, and even if installed, it is unstable and there is a risk of safety accidents when crossing the rails. There is a risk of safety accident as you have to jump down by not doing so.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0180호(공고일: 2004.12.02)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70180 (Announcement date: 2004.12.0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3718호(공고일: 2017.06.09)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83718 (Announcement date: 2017.06.09)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5278호(공고일: 2006.04.25)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15278 (Announcement date: 2006.04.2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드레일의 지주에 고정된 고정수단에 발판지지대를 면 접촉되게 설치함으로써 지지력을 상승시켜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수직지지대를 구비한 경우에는 발판지지대의 결합이 용이하여 가드레일의 레일 개수 및 가드레일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은 채로 설치할 수 있어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stability by increasing the bearing capacity by installing the scaffolding support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xing means fixed to the support of the guardrail, and to increase the vertical support In the case of providing a scaffolding support, it is easy to install the scaffold support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number of rails and the shape of the guardrail, thereby providing a scaffolding structure for road guardrails that can improve workabilit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가드레일(10)의 지주(11)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수단(20);A fixing means 20 fixed to the support 11 of the guardrail 10;

상기 고정수단(20)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판(40)을 안내하는 발판안내부가 형성된 발판지지대(30);A scaffold support 3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xing means 20 and formed with a scaffold guide for guiding the scaffold 40;

상기 발판안내부에 설치되어 도로변에 설치된 가드레일을 중심으로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발판(40); 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a scaffold 40 installed in the scaffold guide and moved inward or outward around a guardrail installed on a roadside; It consists of a configuration that includes.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은, 가드레일에 발판이 설치됨으로써 작업 중 레일을 넘어가고자 할 경우에 발판을 이용하여 도로의 내외측에서 쉽고 편리하게 레일을 넘어갈 수 있게 되고, 종래 불안정한 발판지지구조를 개선하여 지지력을 높여줌으로써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중에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수직지지대를 구비한 경우에는 가드레일의 레일 개수 및 가드레일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은 채로 발판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The scaffolding structure for road guardrails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installed on the guardrail so that when you want to cross the rail during work, you can easily and conveniently cross the rail from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road using the scaffold, and the conventional unstable By improving the scaffolding support structure and increasing the bearing capacity, it can be used stably to prevent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during use.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scaffold support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work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설치된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에 결합된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의 단면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에서 발판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을 인입시켜 놓은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이 2단으로 된 가드레일에 발판구조물을 설치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이 3단으로 된 가드레일에 사용하는 발판구조물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3단 이중구조로 된 가드레일에 발판구조물을 설치한 상태도,
도 8은 도 7의 반대쪽에서 바라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회동방식으로 된 발판을 보인 상태도,
도 10은 도 9의 A-A에 따른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caffolding structure for a road guardrail installed on a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state view of a scaffolding structure for road guardrails coupled to a h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caffolding in the scaffolding structure for road guardrai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ate in which the scaff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tracted;
5 is a state in which a scaffolding structure is installed on a two-stage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affolding structure used for a three-stage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tate diagram in which a scaffolding structure is installed on a guardrail having a three-stage dou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tate view from the opposite side of FIG. 7;
9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caffold with a horizontal rot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9;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caffolding structure for a road guardra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은 도로의 유지보수 작업중인 작업자나 차량 사고 등으로 인해 도로 외측으로 대피하여야 하는 운전자를 포함한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가드레일(10)의 지주(11)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수단(20); 상기 고정수단(20)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판(40)을 안내하는 발판안내부가 형성된 발판지지대(30); 상기 발판안내부에 설치되어 도로변에 설치된 가드레일을 중심으로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발판(40); 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scaffolding structure for road guardrai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for use by users, including workers who are performing road maintenance work or drivers who need to evacuate to the outside of the road due to vehicle accidents, etc., guardrail Fixing means (20) fixed to the support (11) of (10); A scaffold support 3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xing means 20 and formed with a scaffold guide for guiding the scaffold 40; a scaffold 40 installed in the scaffold guide and moved inward or outward around a guardrail installed on a roadside; It consists of a configuration that includes.

상기 고정수단(20)은 발판지지대(30)에 지지된 발판(40)을 가드레일에 설치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가드레일의 레일이 아닌 지주(11)에 설치된다.The fixing means 20 is a configuration provided to install the scaffold 40 supported by the scaffold support 30 to the guardrail,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stalled on the support 11, not the rail of the guardrail.

이러한 고정수단(20)은 지주(11)에 고정된 채로 외측면이 상기 발판지지대(30)의 일측면과 면접촉되게 구비됨으로써 발판지지대(30)의 안정적인 지지를 통해 상기 발판(40)에 작업자가 딛고 올라서더라도 발판지지대가 파손없이 안정적으로 발판을 지지하고 있게 된다.This fixing means 20 is provided so that the outer surface is in surfac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scaffold support 30 while being fixed to the support 11, so that the operator is attached to the scaffold 40 through stable support of the scaffold support 30. Even if you step on it, the scaffold support will stably support the scaffold without damage.

더욱이, 상기 고정수단(20)은 지주(11)에 결합하여 설치함에 따라 레일의 규격이나 형태에 구애받지 않음으로써 취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Moreover, the fixing means 20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handle as it is not restricted by the standard or shape of the rail as it is installed in combination with the support 11.

상기 발판지지대(30)는 일측면이 상기 고정수단(20)의 외측면에 지지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구성으로, 사각틀체로 형성하거나 사각틀체의 상면에 별도로 사각 판을 결합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The scaffold support 3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one side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means 20 in a supported state, and can be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body or in a form in which a rectangular plate is separate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frame body. .

이러한 발판지지대(30)는 지주(11)에 결합된 고정수단(20)에 결합된 상태로 구비됨에 따라 가드레일(10)의 레일(12) 외측에 위치된 상태에 있게 되고, 도 3과 같이 발판(40)의 일측을 인출한 상태에서도 발판의 타측이 발판지지대(30)에 지지된 상태에 있게 되며, 작업자는 레일을 기준으로 도로 내측으로 인출된 발판의 일측과 도로 외측에 위치한 발판의 타측을 딛고 레일을 넘어갈 수 있게 된다.As the scaffold support 30 is provided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fixing means 20 coupled to the support 11, it is located outside the rail 12 of the guardrail 10, as shown in FIG. Even in the state in which one side of the scaffold 40 is withdrawn, the other side of the scaffold is supported by the scaffold support 30, and the worker has one side of the scaffold drawn out to the inside of the road based on the rail and the other side of the scaffold located outside the road. You can step on and go over rails.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수단(20)과 발판지지대(30) 및 발판(40)은 금속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보강을 위해 가장자리에 'ㄱ'자형태의 앵글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means 20, the scaffolding support 30, and the scaffolding 40 are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may be configured using a 'b'-shaped angle at the edge for reinforcement.

상기 발판(40)은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 되어지되, 가장자리는 사각프레임 또는 'ㄱ'자형의 앵글을 이용하여 틀을 형성하며, 그 틀의 안쪽은 일정크기의 메쉬를 갖는 금속망체 또는 다수의 구성이 형성된 타공 판을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scaffold 4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but the edge forms a frame using a square frame or an 'L'-shaped angle, and the inside of the frame has a mesh of a certain size or a plurality of components. It can be configured by combining the formed perforated plates.

상기 금속망체는 틀의 안쪽 모든 부분에 구비하거나 특정부분에만 구비할 수 있는 것으로, 첨부 도면에서는 1단 레일과 2단 레일에 사용하는 발판은 모든 부분에 금속망체를 결합하였고, 3단 레일의 경우 통상 레일이 도로 내측과 외측에 각각 설치됨에 따라 도로의 내측에 위치하는 발판의 일부분에만 금속망체를 결합하였다.The metal net can be provided in all parts of the frame or only in a specific part. In the accompanying drawing, the scaffold used for the first and second rails has a metal mesh attached to all parts, and in the case of a three-stage rail As the rails are usually installed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road, the metal mesh is coupled only to a portion of the scaffold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road.

이러한 발판(40)은 상기 발판지지대(4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인입 또는 인출 동작되게 구비되거나, 수평 회동되게 설치되어 사용시 인출동작되게 구비될 수 있다.The scaffold 40 may be provided to be retracted or removed while sliding relative to the scaffold support 40, or may be installed to be rotated horizontally and may be provided to be retracted during use.

상기 발판(40)의 슬라이딩 이동과 수평 회동동작을 위해, 상기 발판지지대(40)의 상면에는 발판안내부가 형성된다.For the sliding movement and horizontal rotation of the scaffold 40, a scaffold guid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affold support 40.

본 발명에서 상기 지주(11)에 2개 이상의 고정수단(20)을 결합하는 경우에는, 각 고정수단(20)에 결합된 발판지지대에 설치되는 발판(40)이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 위치되게 구비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wo or more fixing means 20 are coupled to the holding means 11, the scaffolds 40 installed on the scaffold support coupled to each fixing means 20 are provided to be positioned on different vertical lines do.

이렇게 하는 이유는, 각 발판을 계단과 같이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발판을 딛고 레일을 넘어가고자 하는 경우에 쉽고 편리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발판이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상측에 위치한 발판으로 인해 하측에 위치한 발판을 사용하기 불편하거나 어렵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o form each footrest like a staircase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step over the rail when stepping on the footrest. That is, when the scaffolding is located on the same vertical line, it is inconvenient or difficult to use the scaffolding located on the lower side due to the scaffolding located on the upper sid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을 이용하여 도로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레일을 넘어가는 과정을 살펴보면, Looking at the process of crossing the rail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road using the scaffolding structure for road guardrail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40)을 도로 내측으로 인출시킨 다음 인출된 발판을 딛고 레일(12)을 넘으면 되고, 이때 작업자의 한쪽 발을 도로 내측에 위치한 발판을 딛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쪽 발은 레일을 넘어 도로 외측에 위치한 발판지지대에 지지된 발판을 딛고 레일을 넘어가면 된다.As shown in FIG. 3, the scaffold 40 is withdrawn to the inside of the road, and then the withdrawn scaffold is stepped on and crossed over the rail 12. The feet go over the rail and step on the footrest supported by the footrest support located outside the road and go over the rail.

발판(40)을 더이상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을 도로 외측방향으로 이동시켜 놓으면 된다.When the scaffold 40 is no longer used, the scaffold may be moved outward to the road as shown in FIG. 4 .

여기서, 상기 발판(40)을 지지하고 있는 발판지지대(30)는 특정 일부분이 아니라 일측면이 고정수단(20)의 일측 외측면에 면접촉되게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발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scaffold support 30 supporting the scaffold 40 is not a specific part, but one side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fixing means 20 so that it can stably support the scaffold. do.

한편, 상기 고정수단(20)은 일실시 예로서, 상기 지주(11)를 양측에 감싸 고정하도록 한 쌍의 플랜지(21)로 구성하되, 상기 플랜지(21)는 내부에는 지주와 결합 고정되었을 때 지주로부터 슬립이 일어나지 않도록 논슬립부재(23)를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an embodiment, the fixing means 20 is composed of a pair of flanges 21 to surround and fix the holding member 11 on both sides, but the flange 21 is inside when the holding member and the holding member are fixed. It can be used by forming a non-slip member 23 so that slip does not occur from the holding.

상기의 논슬립부재(23)는 다수의 돌기 또는 요철 등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그 외에도 상기 플랜지(21)가 지주에 결합 고정된 후 슬립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으면 모두 가능하다.The non-slip member 23 is preferably made of a plurality of protrusions or irregularities, but other than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slipping after the flange 21 is coupled and fixed to the support.

상기 플랜지(21)의 내측은 상기 지주(11)의 외주면 굴곡각도와 동일한 굴곡각도를 갖는 호형으로 형성되고, 외측면 일부분은 상기 발판지지대(30)의 결합을 위해 평평하게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서로 체결되도록 날개편(22)이 형성된다.The inner side of the flange 21 is formed in an arc shape having the same bending angle a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bending angle of the support 11, and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is formed flat for coupling with the scaffold support 30, and at both ends The wing pieces 22 are formed to protrude outward and are fastened to each other by bolts and nuts.

따라서, 상기 플랜지(21)는 지주(11)에 볼트와 너트로 체결한 경우에 플랜지가 지주(11)의 외표면에 밀착됨으로써 흔들림없이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지주(11)가 견고하게 지탱하고 있음에 따라 발판지지대의 흔들림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Therefore, when the flange 21 is fastened to the post 11 with bolts and nuts, the flang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11, so that it can maintain a solid state without shaking, and the post 11 is firmly As it is supported, the scaffold support does not shake at all.

특히, 플랜지(21)가 판체로 형성되어 내측면 전체부분이 지주의 외표면에 밀착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플랜지가 통체로 형성되어 절곡된 내측 상부와 하부만이 지주의 외표면에 밀착 지지된 상태에 있게 됨으로써 단순히 판체로 형성된 것에 비해 높은 지지력을 발휘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flange 21 is formed of a plate body so that the entire inner surface is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rop, but the flange is formed as a cylinder and only the bent inner upper and lower parts are closely suppor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rop. By being in the body, it exhibits a higher bearing capacity than that simply formed of a plate body.

본 발명의 발판구조물은 가드레일의 레일 개수에 상관없이 설치할 수 있는데, 가드레일(10)의 레일(12)이 2개 이상 설치되어 가드레일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상기 지주(11)에 고정수단(20)이 두군데 이상 결합되고, 각각의 고정수단(20)의 외측면에는 결합프레임(55)이 결합되며, 그 결합프레임(55)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복수개의 수직지지대(50)가 설치된다.The scaffo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number of rails of the guardrail. When two or more rails 12 of the guardrail 10 are installed and the height of the guardrail is high, a fixing means (20) is coupled to two or more places, the coupling frame 55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each fixing means 20, and coupled to the coupling frame 55,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s 50 are installed vertically .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지지대(50)는 총 4개 구비되어 상기 지주(11)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며, 각 수직지지대(50)를 서로 연결시키는 경우에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하면 된다.Preferably, a total of four vertical supports 50 are provided and disposed outside the support 11, and when connecting each vertical support 50 to each other, it is sufficient to arrange them to form a rectangular or square shape.

상기 수직지지대(50)가 설치됨으로써 레일(12)이 3개인 경우에도 해당 위치에 발판지지대(30)를 결합할 수 있는 등 복수개의 발판지지대(30)를 보다 쉽게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By installing the vertical support 50,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plurality of scaffold support 30 can be more easily combined and installed, such as being able to combine the scaffold support 30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even when there are three rails 12. .

이때, 상기 수직지지대(55) 중 상기 지주(11)를 중심으로 양쪽에 설치되는 각각의 수직지지대에는 상기 발판지지대(30)의 결합을 위해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게 지지대결합홀(51)이 형성되어 지되, 상기 발판지지대(30)의 결합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진다.At this time, each vertical support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support 55 around the support 11 is formed with a support coupling hole 51 position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for coupling of the scaffold support 30. However, a plurality of them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scaffold support 30 can be adjusted.

따라서, 2개 이상의 레일이 설치된 경우에, 설치장소마다 레일의 폭이 상이한 경우라도 각 레일의 사이에 위치되게 발판지지대를 결합하여 발판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when two or more rails are install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caffolding can be installed by combining the scaffolding support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respective rails even if the width of the rails is different for each installation location.

상기 수직지지대(55)에 발판지지대(30)를 결합하여 발판(40)을 설치하는 경우, 상기 결합프레임(55)을 안내레일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하여 안내레일 대신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When installing the scaffold 40 by combining the scaffold support 30 to the vertical support 55, the coupling frame 55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guide rail to be used instead of the guide rail.

첨부된 도 6에서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발판을 결합프레임에 끼워 슬라이딩 이동되게 형성하였다.In the attached Figure 6, the footrest located at the bottom was formed to be slidably moved by inserting it into the coupling frame.

여기서, 상기 수직지지대(50)의 상단부는 상기 지주(11)의 상단보다 더 높게 돌출되도록 구비하고, 각각의 수직지지대(50)의 상단에 하면 가장자리가 결합되게 보조발판(6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보조발판(60)은 2단 이상의 레일을 넘어가는 경우에 딛고 넘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첨부 도면과 같이 3단 레일의 경우 레일이 지주의 앞뒤로 이중으로 설치됨에 따라 레일의 지주의 상측을 커버하면서도 레일의 사이공간을 커버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Here,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50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11, and the auxiliary footrest 60 can be installed so that the edge is coupled to the top of each vertical support 50. . The auxiliary scaffold 60 is intended to be able to step over when crossing two or more rails, and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case of a three-stage rail, the rails are installed in front and rear of the support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of the rail It is provided to cover the space between the rails while doing so.

따라서, 작업자가 레일을 넘어가는 도중에 부주의로 인해 레일의 사이 공간으로 발이 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레일이 이중으로 설치된 경우에도 쉽고 편리하게 레일을 넘어갈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worker from accidentally fall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rails while crossing the rails, and even when the rails are installed in a double manner, the operato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cross the rails.

또한, 상기 수직지지대(50)가 설치된 경우에는 레일이 지주의 앞뒤로 이중으로 설치되더라도 수직지지대의 선택위치에 복수개의 발판지지대를 결합할 수 있으므로, 도로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발판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vertical support 50 is installed, even if the rails are installed in front and rear of the support, a plurality of scaffolding supports can be coupled to the selected position of the vertical support, so that scaffolding can be installed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road, respectively. there is

이때, 도로의 외측에 별도의 발판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발판(40)을 딛고 레일(12)을 넘어갈 경우에 작업자가 딛고 내려올 수 있도록 보조계단(65)이 설치하도록 한다.At this time, when a separate footrest is not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road, auxiliary stairs 65 are installed so that the worker can step down when stepping on the footboard 40 and crossing the rail 12.

상기 보조계단(65)은 레일이 1개나 2개인 경우에는 내려오는데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나, 레일이 3개인 3단 레일의 경우에는 레일이 이중으로 설치(지주의 양측으로 설치)되고 높이고 높음에 따라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할 필요성이 있다.The auxiliary stairway 65 is not a big problem in descending when there are one or two rails, but in the case of a three-level rail with three rails, double rails are installed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and depending on the height and height It is necessary to install it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상기 보조계단(65)는 작업자가 쉽게 계단을 딛고 내려올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떠한 형태이든 무방하며, 사용 편의성을 위해 레일의 개수에 대응되게 계단의 개수를 형성하도록 한다.The auxiliary stairs 65 may be of any shape as long as the worker can easily step down the stairs, and for convenience of use, the number of stairs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rails.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20) 또는 발판지지대(30)의 일측에는 작업자가 상기 레일(12)을 넘어갈 경우에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봉(7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봉(70)을 설치한 이유는, 작업자가 레일을 넘어가는 도중에 중심을 잃고 넘어져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사전에 이러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함은 물론, 레일을 보다 쉽게 넘어갈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함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a handle bar 7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xing means 20 or the scaffold support 30 so that the operator can grab it by hand when going over the rail 12. there is. The reason why the handle bar 70 is installed i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safety accident may occur due to a worker losing his/her balance while crossing the rail, so that such a safety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the rail can be crossed more easily. is to help you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발판(40)은 발판지지대(30)에 발판안내부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수평 회동동작되게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caffold 40 is installed to the scaffold support 30 to slide or rotate horizontally by the scaffold guide.

제1실시예로서, 상기 발판안내부는 상기 발판지지대(30)의 상면 양측에 상기 가드레일(10)의 레일(12) 설치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안내레일(31)로 구성될 수 있다.As a first embodiment, the scaffolding guide portion may be composed of guide rails 3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caffolding support 3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rails 12 of the guardrail 10. .

따라서, 각각의 안내레일(31)에 상기 발판(40)의 양측이 삽입된 채로 도로의 내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이다.Therefore, with both sides of the scaffold 40 inserted into each guide rail 31, it slides in and out of the road.

이때, 상기 발판(40)의 길이방향 양측 하면에는 발판을 도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경우에 안내레일(31)에 걸려 더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걸림부재(32)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holding members 32 are formed on both lower surfaces of the footrest 4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it is caught on the guide rail 31 and does not move any longer when the footboard is slid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road.

상기 걸림부재(32)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발판(40)이 최대 인입 또는 인출상태에서 안내레일(31)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안내레일에서 발판(40)이 완전히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By installing the locking member 32, the scaffold 40 is prevented from being pulled into the guide rail 31 in the maximum drawn-in or withdrawn state, and also prevents the scaffold 40 from completely coming out of the guide rail. You can do it.

따라서, 상기 발판(40)의 사용 편의성을 높여주면서도, 나아가 도난사고 등을 방지하여 물질적인 피해를 줄일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material damage by preventing theft and the like while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scaffold 40 .

상기 걸림부재(32)의 예로서, 발판의 하면에 돌출되는 돌기로 구성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engaging member 32, it may be configured a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caffold.

제2실시예의 상기 발판안내부는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40)의 수평회동을 안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발판(40)의 일측을 발판지지대(30)에 결합시켜 상기 발판지지대(30)의 상부에서 발판(40)이 수평회동되도록 하는 회동축(35)과, 상기 회동축(35) 또는 회동축과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발판(40)을 회동시켜 도로의 내측으로 인출한 상태에서 자유로운 회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회동제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scaffold guide unit of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guide horizontal rotation of the scaffold 40. As an embodiment, a pivoting shaft 35 for coupling one side of the scaffolding 40 to the scaffolding support 30 so that the scaffolding 40 horizontally rotates at the top of the scaffolding support 30, and the pivoting shaft 35 ) Or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al shaf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otation limiting means to limit the free rot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caffold 40 is rotated and drawn to the inside of the road.

상기 회동축(35)에 의해 발판(40)이 수평회동될 수 있는 것이며, 발판이 수평회동되어 도로의 내측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제한수단에 의해 회동이 제한되는 것이다.The scaffold 40 can be horizontally rotated by the rotation shaft 35, and the rotation is limited by the rotation limiting means in a state in which the scaffold is horizontally rotated to the inside of the road.

상기 회동제한수단을 구비한 이유는, 발판(40)을 도로의 내측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발판을 딛고 올라서는 경우에 발판의 회동에 의해 작업자가 넘어지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발판의 회동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rotation limiting means is provided is that when the operator steps on the footrest in a state where the footrest 40 is rotated to the inside of the road, a safety accident such as a worker falling due to the rotation of the footrest may occur. This is to prevent rotation of the scaffold in advance.

상기 회동제한수단의 실시예로서, 상기 발판(40)의 하면에 회동축(35)에 대해 이격되어 형성된 회동제한돌기(36e)와, 상기 발판(40)을 도로 내측으로 회동시킨 경우에 상기 회동제한돌기(36e)가 삽입되도록 상기 발판지지대(30)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삽입홀(36a)과, 상기 돌기삽입홀(36a)이 형성된 발판지지대(30)의 하면에 설치된 하우징(36b)과, 상기 하우징(36b)의 내부에 상기 돌기삽입홀(36a)의 아래쪽에서 삽입되어 돌기삽입홀(36a)의 상측공간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삽입돌기(36c)와, 상기 삽입돌기(36c)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36d)으로 구성된다.As an embodiment of the rotation limiting means, 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36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ootrest 40 at a distance from the rotation shaft 35 and the rotation when the footrest 40 is rotated toward the inside of the road. A protrusion insertion hole 36a formed on one side of the scaffold support 30 so that the limiting protrusion 36e is inserted, and a housing 36b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caffold support 30 in which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36a is formed, The insertion protrusion 36c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36b from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36a to open and close the upper space of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36a, and an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insertion protrusion 36c. It consists of a spring (36d) installed inside the case to impart.

상기 발판을 도로의 내측으로 회동시키기 전에는 상기 삽입돌기(36c)가 상기 스프링(36d)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되어져 돌기삽입홀(36)의 상측공간을 폐쇄한 상태에 있고, 도 10과 같이 발판을 도로의 내측으로 회동시킨 경우에는 회동제한돌기(36e)가 돌기삽입홀(36a)로 이동되어 돌기삽입홀의 상측공간으로 삽입되며, 돌기삽입홀에 삽입된 회동제한돌기에 의해 삽입돌기가 하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Before the footrest is rotated to the inside of the road, the insertion protrusion 36c is elastic up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6d and is in a state of closing the upper space of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36, as shown in FIG. When the footrest is rotated to the inside of the road, 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36e is moved to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36a and inserted into the upper space of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and 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moves the insertion protrusion to the lower side. will move in the direction

상기 회동제한돌기는 발판의 자중에 의해 삽입돌기를 하방으로 가압하면서 일부분이 돌기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 있고, 이 상태에서 발판의 상면에 작업자가 발을 딛는 순간 작업자의 몸무게에 의해 회동제한돌기가 삽입돌기를 하방으로 더 밀어내면서 돌기삽입홀에 삽입되는 것이며, 회동제한돌기가 돌기삽입홀에 완벽하게 삽입된 상태임에 따라 발판의 회동이 차단되는 것이다.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is in a state in which a part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while pressing the insertion protrusion downward by the weight of the footrest, and in this state, the moment the operator step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otrest, 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by the weight of the operator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while further pushing the insertion protrusion downward, and rotation of the scaffold is blocked as 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is perfectly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작업자가 발판에서 발을 떼어내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삽입돌기가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회동제한돌기를 밀어올려 일부분만이 돌기삽입홀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시키게 되고, 작업자는 손이나 발 등을 이용하여 발판을 역방향으로 수평 회동시키면 돌기삽입홀에서 회동제한돌기가 인출되면서 발판지지대의 상면에 접촉된 채로 회동되는 것이다.When the operator removes the foot from the footrest, the insertion protrusion is moved up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pushing up 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to keep only a part of it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When the footrest is horizontally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is withdrawn from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and is rotat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ootrest support.

한편, 상기 발판지지대(3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발판(40)의 회동동작시 대략 90도 각도 내에서만 회동될 수 있도록 발판의 측면 일측에 지지되게 회동방지판(37)이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anti-rotation plate 37 may be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scaffold support 30 to be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scaffold so that it can be rotated only within an angle of approximately 90 degrees during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scaffold 4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발판을 받쳐주는 발판지지대를 가드레일의 지주에 고정된 고정수단의 외측면에 면접촉되게 결합함으로써 발판지지대의 지지력을 높여 파손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지주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방식임에 따라 종래 레일에 고정하거나 결속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님에 따라 레일의 휨현상 등을 방지하면서도 설치상의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upling the scaffold support for supporting the scaffol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means fixed to the support of the guardrail in surface contact, it can be used without damage by increasing the bearing capacity of the scaffold suppor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cumbersome and inconvenient problems in installation while preventing the bending of the rail, etc. according to the method of fixing and using, not by fixing or binding to the conventional rail.

특히, 레일의 개수에 상관없이 발판을 설치할 수 있고, 복수개의 발판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 각 발판 간의 사이간격을 유지한 채로 설치됨으로써 종래에 작업자가 임의로 발판의 위치를 결정하면서 설치하여야 했던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scaffolding can b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number of rails, and when a plurality of scaffolding is to be installed, it is installed while maintaining the distance between each scaffolding, so conventionally, the operator has to arbitraril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scaffolding and install it. and discomfort can be relieved.

10: 가드레일 11: 지주
12: 레일 13: 충격흡수부재
20: 고정수단 21: 플랜지
22: 날개편 30: 발판지지대
31: 안내레일 32: 걸림부재
35: 회동축 36a: 돌기삽입홀
36b: 하우징 36c: 삽입돌기
36d: 스프링 36e: 회동제한돌기
37: 회동방지판 40: 발판
50: 수직지지대 51: 지지대결합홀
55: 결합프레임 60: 보조발판
65: 보조계단 70: 손잡이봉
10: guardrail 11: post
12: rail 13: shock absorbing member
20: fixing means 21: flange
22: wing piece 30: scaffolding support
31: guide rail 32: holding member
35: pivoting shaft 36a: projection insertion hole
36b: housing 36c: insertion protrusion
36d: spring 36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37: anti-rotation plate 40: footrest
50: vertical support 51: support coupling hole
55: coupling frame 60: auxiliary scaffold
65: auxiliary stairs 70: handrail

Claims (12)

가드레일(10)의 지주(11)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수단(20);
상기 고정수단(20)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판(40)을 안내하는 발판안내부가 형성된 발판지지대(30);
상기 발판안내부에 설치되어 도로변에 설치된 가드레일을 중심으로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발판(40); 을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A fixing means 20 fixed to the support 11 of the guardrail 10;
A scaffold support 3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xing means 20 and formed with a scaffold guide for guiding the scaffold 40;
a scaffold 40 installed in the scaffold guide and moved inward or outward around a guardrail installed on a roadside; Scaffolding structure for road guardrai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주(11)를 감싸며 고정하는 한 쌍의 플랜지(21)로써, 상기 플랜지는 내부가 상기 지주의 외주면 굴곡각도와 동일한 굴곡각도를 갖는 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 측의 플랜지는 상기 발판지지대의 결합을 위해 평평하게 형성되며, 양측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서로 체결되도록 날개 편(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means is a pair of flanges 21 surrounding and fixing the post 11, and the flange is formed in an arc shape having the same bending angle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bending angle of the pillar, and the one side of the flange Is formed flat for the coupling of the scaffolding support, and at both ends, the scaffolding structure for road guardrail,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g pieces 22 are formed to protrude outward and fastened to each other by bolts and nut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내부에는, 지주와 결합 고정되었을 때 지주로부터 슬립이 일어나지 않도록 논슬립부재(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According to claim 2,
A scaffolding structure for a road guardrail, characterized in that a non-slip member 23 is formed inside the flange so that slip does not occur from the support when coupled and fixed with the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안내부는, 상기 발판지지대의 상부 양측에 상기 가드레일의 레일(12) 설치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발판의 양측이 삽입 결합된 채로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3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scaffold guide part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scaffold suppor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rail 12 of the guardrail to guide sliding movement while both sides of the scaffold are inserted and coupled. Consisting of guide rails 31 Scaffolding structure for road guardrail,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40)의 길이방향 양측 하면에는, 발판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발판(40)이 최대 인입 또는 인출상태에서 안내레일(31)에 걸려 더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부재(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According to claim 4,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affold 40, when the scaffold slides, the scaffold 40 is caught on the guide rail 31 in the maximum drawn-in or withdrawn state, and there is a holding member 32 preventing it from moving any further. A scaffolding structure for a road guardrai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안내부는, 상기 발판을 발판지지대에 결합시켜 상기 발판지지대의 상부에서 발판이 수평 회동 되도록 하는 회동 축(35)과, 그 회동 축 또는 회동 축과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발판의 회동을 제한하도록 하는 회동제한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scaffolding guide unit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al axis 35 and the rotational axis 35 that couples the scaffolding to the scaffolding support so that the scaffold rotates horizontally at the top of the scaffolding support, and rotates the scaffolding. A scaffolding structure for a road guardrail, characterized in that a rotation limiting means is installed to limit 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제한수단은, 상기 발판의 하면에 회동 축에 대해 이격되어 형성된 회동제한돌기(36e)와, 상기 발판을 도로 내측으로 회동시킨 경우에 상기 회동제한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발판지지대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삽입홀(36a)과, 상기 돌기삽입홀이 형성된 발판지지대의 하면에 설치된 하우징(36b)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돌기삽입홀의 아래쪽에서 삽입되어 돌기삽입홀의 상측 공간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삽입돌기(36c)와, 상기 삽입돌기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36d)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According to claim 5,
The rotation limiting means includes a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36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ootrest and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axis, and formed on one side of the footrest support so that 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is inserted when the footrest is rotated toward the inside of the road. A protrusion insertion hole (36a), a housing (36b)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caffold support in which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is formed, and an insertion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space above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by being inser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into the housing. A scaffolding structure for a road guardrail,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rotrusion (36c) and a spring (36d) installed inside the case to impart elastic force to the insertion protrusion.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레일이 2단 이상 설치되어 가드레일의 높이가 높을 경우에는, 레일 최하부의 지주와 레일 사이사이 자주에 발판지지대의 발판안내부에 발판이 설치된 고정수단이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n the rails of the guardrails installed on the posts are installed in two or more stages and the height of the guardrails is high, fixing means with footrests installed in the foothold guides of the foothold support are installed between the bottom of the rail and the rail, respectively. Scaffolding structures for road guardrails.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레일이 2단 이상 설치되어 가드레일의 높이가 높을 경우에는, 레일 최하부의 지주와 레일 사이사이 자주에 발판지지대의 발판안내부에 발판이 설치된 고정수단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지주의 외측에는 상기 고정수단(2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결합프레임(55)을 매개로 복수 개의 수직지지대(50)가 설치되며, 상기 수직지지대 중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양쪽에 설치되는 각각의 수직지지대에는 상기 발판지지대의 결합을 위해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게 지지대결합홀(51)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발판지지대의 결합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n the rails of the guardrails installed on the supports are installed in two or more stages and the height of the guardrails is high, fixing means with scaffolds installed in the scaffolding guides of the scaffold support are installed between the rails and the lowermost support, respectively,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s 50 ar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support via a coupling frame 55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means 20, and each of the vertical support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supports. A plurality of support coupling holes 51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vertical support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for coupling of the scaffold support to adjust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scaffold support Scaffold for road guardrail, characterized in that structur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50)의 상단부는, 상기 지주의 상단보다 더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지주의 상측에는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단에 하면 가장자리가 결합되어 상기 지주의 상측을 커버 하도록 보조발판(6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According to claim 9,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50 is provided to protrude more tha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and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has an auxiliary footrest 60 so as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when the edge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Scaffolding structure for road guardrail,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제10항에 있어서,
도로의 외측에는, 상기 발판을 딛고 레일을 넘어갈 경우에 작업자가 딛고 내려올 수 있도록 보조계단(65)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0,
A scaffolding structure for road guardrails, characterized in that, on the outside of the road, auxiliary stairs (65) are installed so that workers can step down when stepping on the scaffolding and going over the rail.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 또는 발판지지대의 일측에는, 작업자가 상기 가드레일을 넘어갈 때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봉(7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가드레일용 발판구조물.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 scaffolding structure for a road guardrail, characterized in that a handle bar (7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xing means or scaffold support so that a worker can grab it by hand when crossing the guardrail.
KR1020220021646A 2022-02-18 2022-02-18 Road Foothold Support Structure For Guardrail KR1026587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646A KR102658727B1 (en) 2022-02-18 2022-02-18 Road Foothold Support Structure For Guardra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646A KR102658727B1 (en) 2022-02-18 2022-02-18 Road Foothold Support Structure For Guardra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382A true KR20230124382A (en) 2023-08-25
KR102658727B1 KR102658727B1 (en) 2024-04-19

Family

ID=87847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646A KR102658727B1 (en) 2022-02-18 2022-02-18 Road Foothold Support Structure For Guardra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72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44832A (en) * 2023-10-23 2023-12-01 佳泽睿安集团有限公司 Intelligent traffic warning equipment for traffic hub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180Y1 (en) 2004-09-15 2004-12-14 안태인 A guardrail for road
KR200415278Y1 (en) 2006-02-01 2006-05-03 이성근 Swivel footrest for access to two-stage guardrail
KR200483718Y1 (en) 2015-10-08 2017-06-16 한국도로공사 Folding safety foothold for guard rail
JP6482890B2 (en) * 2015-02-10 2019-03-13 西日本高速道路メンテナンス九州株式会社 Emergency evacuation shelter for expressway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180Y1 (en) 2004-09-15 2004-12-14 안태인 A guardrail for road
KR200415278Y1 (en) 2006-02-01 2006-05-03 이성근 Swivel footrest for access to two-stage guardrail
JP6482890B2 (en) * 2015-02-10 2019-03-13 西日本高速道路メンテナンス九州株式会社 Emergency evacuation shelter for expressways
KR200483718Y1 (en) 2015-10-08 2017-06-16 한국도로공사 Folding safety foothold for guard rai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44832A (en) * 2023-10-23 2023-12-01 佳泽睿安集团有限公司 Intelligent traffic warning equipment for traffic hub
CN117144832B (en) * 2023-10-23 2024-01-23 佳泽睿安集团有限公司 Intelligent traffic warning equipment for traffic hu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727B1 (en) 2024-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63849B (en) Ladder docking device
CA2531461A1 (en) Scaffold frame section with integral guard rail post
US20100025151A1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GB2431427A (en) Scaffolding guard rail
KR20230124382A (en) Road Foothold Support Structure For Guardrail
CN111852314B (en) Multi-functional high security's building cat ladder
US6932194B1 (en) Safety rail for scaffolding
JP2005016180A (en) Lifting-lowering type moving platform
JP5504411B2 (en) Scaffolding with handrails with post section
KR200424319Y1 (en) High and iow regulatidn travelling a worktable
AU2021215192B2 (en) Temporary Stairway with Void Cover
CN215632057U (en) Prevent down wire pole convenient to climbing
KR102370076B1 (en) Mortise joint type fence
CA2743832C (en) Scaffold ledger for supporting closely fitting steel or wood planks
CN214246528U (en) Scaffold for building construction
CN210264006U (en) Building faces limit structure post construction protection frame
JP4986419B2 (en) Temporary staircase
CN213297079U (en) Scaffold for building construction
KR101100870B1 (en) Railing reinforcement a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
JP6664833B2 (en) Slope relay for wheelchair
CN218176565U (en) Movable stable scaffold
CN218522339U (en) Interim passageway convenient to equipment
KR102558279B1 (en) Safety work structure for construction of post-type footbridge and deck roads
CN220644579U (en) Underground space supporting structure suitable for group building combination
KR200493447Y1 (en) Smart safety scaffold for the maximize to the ease of movement and sto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