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3420A -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보호소자 - Google Patents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보호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3420A
KR20230123420A KR1020220146922A KR20220146922A KR20230123420A KR 20230123420 A KR20230123420 A KR 20230123420A KR 1020220146922 A KR1020220146922 A KR 1020220146922A KR 20220146922 A KR20220146922 A KR 20220146922A KR 20230123420 A KR20230123420 A KR 20230123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ble conductor
flow
main electrode
electrode
sol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6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세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세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세코
Priority to KR1020220146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3420A/ko
Publication of KR20230123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34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11Miniature fuses
    • H01H2085/0412Miniature fus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의 패턴을 이용하여 가용도체의 외곽라인을 규제하는 가용도체 유동 규제부를 형성함으로써, 가용도체의 솔더링 시에 리플로우 기계의 미세한 진동이나 솔더의 부력 등에 의해 가용도체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불량품 발생률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보호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절연 기판과, 상기 절연 기판의 양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1 주전극 및 제2 주전극과, 상기 제1 주전극 및 상기 제2 주전극 상에 배치되며 과전류 또는 과전압에 의해 용융되는 가용도체를 포함하는 보호소자에 있어서, 상기 제1 주전극에는 상기 가용도체의 일측 두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돌출되거나 상기 가용도체의 외곽 형상에 대응하여 홀이 형성되어 상기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제1 가용도체 유동 규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주전극에는 상기 가용도체의 타측 두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돌출되거나 상기 가용도체의 외곽 형상에 대응하여 홀이 형성되어 상기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제2 가용도체 유동 규제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보호소자{PROTECTION ELEMENT FOR RESTRICTING MOTION OF SOLUBLE CONDUCTOR}
본 발명은 보호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에 가용도체의 외곽라인에 대응하는 가용도체 유동 규제부를 형성함으로써 제조공정 중에 가용도체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불량품 발생률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도록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보호소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퓨즈(fuse)란 전기적인 회로에서 과전류를 차단하고, 과전류에서 용단되는 특성을 가진 보호소자를 의미한다. 다양한 전기 회로에서, 특히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 보호회로 등에서 보호소자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 보호소자는 절연 기판의 양단에 형성된 2개의 전극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가용도체가 과전류에 의해 용단될 때 전체 전류 경로를 차단하는 과전류 용단형이 주를 이루었다. 최근에는 과전류뿐만 아니라 과전압에서도 용단되는 복합형 보호소자가 이차 전지 보호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복합형 보호소자는 과전압에 대하여도 동작하기 위해 발열체를 사용하며, 과전압에 의해 발열체가 가열되면 가용도체가 용융되어 전체 전류 경로를 차단한다.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소자 내부에는 절연 기판 상에 3개의 전극이 이격 배치된다. 예컨대, 제1 전극(12)과 제3 전극(16)은 주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전극이고, 제2 전극(14)은 발열체에서 인출되는 전극이다. 가용도체(20)는 3개의 전극을 가로질러 배치된다. 한편, 과전류나 과전압에 의해 가용도체(20)가 용융될 때 용융물이 3개의 전극(12, 14, 16)에 대하여 높은 젖음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가용도체의 표면에 플럭스가 도포되거나 그 내부에 플럭스가 내재될 수 있다.
그런데, 가용도체를 전극 상에 형성하는 솔더링 공정 중에 리플로우 기계의 미세한 진동과 녹은 솔더의 부력에 의해 가용도체가 유동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도 1 및 2에서와 같이 가용도체가 전극 상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않는 현상이 일어난다. 도 1와 같이 가용도체가 어느 하나의 전극(도 1에서는 제1 전극)에 대하여 극히 일부분만 접촉된 상태라면, 가용도체의 정격이 크게 낮아지는 불량이 발생된다. 도 2와 같이 가용도체가 어느 하나의 전극(도 2에서는 제3 전극)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한다면 통전 불능의 불량이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83997호
본 발명은 전극의 패턴을 이용하여 가용도체의 외곽라인을 규제하는 가용도체 유동 규제부를 형성함으로써, 가용도체의 솔더링 시에 리플로우 기계의 미세한 진동이나 솔더의 부력 등에 의해 가용도체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불량품 발생률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보호소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보호소자는, 절연 기판과, 상기 절연 기판의 양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1 주전극 및 제2 주전극과, 상기 제1 주전극 및 상기 제2 주전극 상에 배치되며 과전류 또는 과전압에 의해 용융되는 가용도체를 포함하는 보호소자에 있어서, 상기 제1 주전극에는 상기 가용도체의 일측 두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돌출되거나 상기 가용도체의 외곽 형상에 대응하여 홀이 형성되어 상기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제1 가용도체 유동 규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주전극에는 상기 가용도체의 타측 두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돌출되거나 상기 가용도체의 외곽 형상에 대응하여 홀이 형성되어 상기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제2 가용도체 유동 규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보호소자는, 상기 제1 가용도체 유동 규제부는 상기 제1 주전극의 길이방향 양단부에서 상기 가용도체의 일측 두 모서리 외곽라인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되는 제1 가용도체 모서리 유동 규제 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용도체 유동 규제부는 상기 제2 주전극의 길이방향 양단부에서 상기 가용도체의 타측 두 모서리 외곽라인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되는 제2 가용도체 모서리 유동 규제 돌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보호소자는, 상기 제1 주전극 및 상기 제2 주전극과 이격된 상태에서 그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전극을 더 포함하며, 상기 중간 전극의 길이방향 양단 중 적어도 일측 단부에는 상기 가용도체의 일측 변이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내측으로 단턱진 가용도체 유동 규제 단턱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보호소자는, 상기 가용도체에 대하여는 절연되며 상기 가용도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발열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간 전극은 상기 발열체에 과전압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발열체 인출 전극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보호소자는, 상기 중간 전극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절연 기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비아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보호소자는, 상기 제1 가용도체 유동 규제부는, 상기 제1 주전극 내에서 상기 가용도체의 상변과 하변이 각각 상측과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제1 가용도체 세로방향 유동 규제공과, 상기 제1 주전극 내에서 상기 가용도체의 좌측변이 좌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제1 가용도체 가로방향 유동 규제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용도체 유동 규제부는, 상기 제2 주전극 내에서 상기 가용도체의 상변과 하변이 각각 상측과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제2 가용도체 세로방향 유동 규제공과, 상기 제2 주전극 내에서 상기 가용도체의 우측변이 우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제2 가용도체 가로방향 유동 규제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보호소자는, 상기 제1 가용도체 세로방향 유동 규제공과 상기 제1 가용도체 가로방향 유동 규제공이 결합되어 상기 가용도체의 일측 모서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2 가용도체 세로방향 유동 규제공과 상기 제2 가용도체 가로방향 유동 규제공이 결합되어 상기 가용도체의 타측 모서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보호소자에 따르면, 전극의 패턴을 이용하여 가용도체의 외곽라인을 규제하는 가용도체 유동 규제부를 형성함으로써, 가용도체의 솔더링 시에 리플로우 기계의 미세한 진동이나 솔더의 부력 등에 의해 가용도체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불량품 발생률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보호소자에서 가용도체가 유동되는 일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종래 보호소자에서 가용도체가 유동되는 다른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소자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소자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용도체 유동 방지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용도체 유동 방지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용도체 유동 방지 구조를 보인 평면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용도체 유동 방지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유사한 구성 및 동작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그 형상과 상대적인 척도는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중복되는 설명이나 당해 분야에서 자명한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기재된 구성요소 외에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호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가용도체의 솔더링 시에 리플로우 기계의 진동이나 솔더의 부력에 의해 가용도체가 유동되어 불량품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고유의 전극 패턴을 제안한다. 통상적으로 보호소자는 과전류 용단형이나 과전압에서도 용단 가능한 복합 용단형 모두 기본적으로 2개의 주전극을 갖는다. 본 발명은 2개의 주전극이 각각 가용도체의 모서리 부분 또는 외곽라인의 변을 규제하도록 돌출부나 홀을 구비한다. 각각의 주전극에 형성된 돌부 또는 규제공은 가용도체의 외곽라인을 규제함으로써, 공정 중에 가용도체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정위치에 정확하게 솔더링 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서는 전극의 패턴 구조를 중점으로 설명하며, 예시되지 않는 구성들(예컨대, 발열체 또는 절연부재 등의)은 통상 알려진 보호소자의 구조와 다름없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소자는 2차 전지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구성품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셀들을 직, 병렬 연결한 어레이의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 사이에 과전류 보호를 위한 IC와 과전압 보호를 위한 IC가 설치되고, 본 발명의 보호소자가 추가로 설치되어 배터리 팩을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소자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소자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호소자(100)는 SMD(Surface Mount Device)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SMD 타입의 보호소자는 PCB(Printed Circuit Board)를 사용하는 다양한 산업군에서 높은 호환성으로 적용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데스크탑 PC 등 최근 시장이 급성장한 제품들은 물론 TV 등의 가전제품 상당수에 SMD 타입의 보호소자를 탑재하는 것은 매우 용이하다. 물론 본 발명의 보호소자는 SMD 타입이 아닌 다른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알려진 다양한 제조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보호소자 조립체의 상부에는 보호캡(110)이 설치될 수 있다. 보호캡(110)은 보호소자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내부 구성품들이 외부에 대하여 절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보호캡(110)은 상면이 밀폐되며 하면은 상측을 향해 함몰되어 가용도체 등의 구성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도 4의 분해 사시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호소자(100)는 절연 기판(120)과, 제1 주전극(210)과, 중간 전극(220)과, 제2 주전극(230)과, 가용도체(300)와, 보호캡(110)으로 구성된다.
절연 기판(120)은 세라믹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절연성 부재의 기판으로 구성품들이 실장되는 기판이이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절연 기판(120)의 하부에는 각 전극에 외부의 회로와 연결하기 위한 외부 연결 터미널이 접속될 수 있다. 절연 기판(120)의 장변부와 단변부에는 각각 내측으로 오목한 캐스털레이션부(122, 12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절연 기판(120)의 캐스털레이션부(122)이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여 제1 주전극(210)과 제2 주전극(230) 각각의 대응 영역에도 캐스털레이션부(214, 234)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캐스털레이션부(122, 124, 214, 234)는 상하의 전극들이 접속되는 면적을 증가시키며, 가용도체(300)가 용융된 용융체가 절연 기판(120)의 에지부를 따라 아래로 흘러내리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1 주전극(210)은 주전류가 인입되는 전극이며, 제2 주전극(230)은 주전류가 인출되는 전극이다. 가용도체(300)는 제1 주전극(210)과 제2 주전극(230)을 연결하도록 그 상부에 배치된다.
중간 전극(220)은 제1 주전극(210) 및 제2 주전극(230)의 사이에 두 전극과는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중간 전극(220)은 다른 전극들과 연결되지 않고 고립되도록 배치되며, 가용도체(300)가 용융될 때 용융체를 집속함으로써 제1 주전극(210)과 제2 주전극(230) 사이에 회로적으로 단절되는 단절부를 추가할 수 있게 되며, 용융체가 굳은 이후 회로적으로 단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보호소자(100)가 과전류 및 과전압 모두에 대해 용단되는 복합 용단형으로 제공될 경우, 중간 전극(220)은 발열체 인출 전극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차 전지 팩에 과전압이 발생하는 경우, 중간 전극(220)을 통해 도시 안된 발열체에 과전압 신호가 인가된다. 이때 발열체가 발열을 개시하고, 발열체와 중첩되는 영역의 가용도체(300)가 발열체에 의해 용융되어 전체 전류 경로를 차단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중간 전극(220)이 발열체 인출 전극으로서 기능할 때에는 중간 전극(220) 일단의 중간 전극 돌부(224)에 형성되는 비아홀(226)을 통해 중간 전극(220)과 절연 기판(120)의 아래에 위치한 발열체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용도체 유동 방지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용도체 유동 방지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용도체 유동 방지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용도체 유동 방지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각 전극에 가용도체(300)의 유동을 방지하는 가용도체 유동 규제부가 형성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보호소자는 제1 주전극(210)에 가용도체(300)의 일측 두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돌출되거나 가용도체(300)의 외곽 형상에 대응하여 홀이 형성되어 가용도체(300)의 유동을 규제하는 제1 가용도체 유동 규제부(212, 216, 218, 219)가 형성된다. 또한, 제2 주전극(230)에는 가용도체(300)의 타측 두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돌출되거나 가용도체(300)의 외곽 형상에 대응하여 홀이 형성되어 가용도체(300)의 유동을 규제하는 제2 가용도체 유동 규제부(232, 236, 238, 239)가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가용도체 유동 규제부는 제1 주전극(21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서 가용도체(300)의 일측 두 모서리 외곽라인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되는 제1 가용도체 모서리 유동 규제 돌부(212)이다. 또한, 제2 가용도체 유동 규제부는 제2 주전극(23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서 가용도체(300)의 타측 두 모서리 외곽라인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되는 제2 가용도체 모서리 유동 규제 돌부(232)이다.
그리고 중간 전극(220)의 길이방향 양단 중 적어도 일측 단부에는 가용도체(300)의 일측 변이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내측으로 단턱진 가용도체 유동 규제 단턱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용도체(300)의 네 모서리가 제1 가용도체 모서리 유동 규제 돌부(212)와 제2 가용도체 모서리 유동 규제 돌부(232)와 일치된 규격을 가짐으로써, 가용도체(300)의 솔더링 시에 가용도체(300)가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하여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제1 가용도체 유동 규제부는 제1 주전극(210) 내에서 가용도체(300)의 상변과 하변이 각각 상측과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제1 가용도체 세로방향 유동 규제공(216)과, 제1 주전극(210) 내에서 가용도체(300)의 좌측변이 좌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제1 가용도체 가로방향 유동 규제공(218)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용도체 유동 규제부는 제2 주전극(230) 내에서 가용도체(300)의 상변과 하변이 각각 상측과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제2 가용도체 세로방향 유동 규제공(236)과, 제2 주전극(230) 내에서 가용도체(300)의 우측변이 우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제2 가용도체 가로방향 유동 규제공(23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용도체 세로방향 유동 규제공(216), 제1 가용도체 가로방향 유동 규제공(218), 제2 가용도체 세로방향 유동 규제공(236), 및 제2 가용도체 가로방향 유동 규제공(238)의 홀 형태 및 개수는 가용도체(3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제1 가용도체 세로방향 유동 규제공(216)과 제1 가용도체 가로방향 유동 규제공(218)이 결합되어 기역자 모양의 모서리 이탈 방지공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가용도체 세로방향 유동 규제공(236)과 제2 가용도체 가로방향 유동 규제공(238)이 결합되어 기역자 모양의 모서리 이탈 방지공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용도체(300)의 네 변이 각각 제1 가용도체 세로방향 유동 규제공(216), 제1 가용도체 가로방향 유동 규제공(218), 제2 가용도체 세로방향 유동 규제공(236), 및 제2 가용도체 가로방향 유동 규제공(238)에 의해 규제되어 가용도체(300)의 솔더링 시에 가용도체(300)가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하여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가용도체(300)는 각 코너부가 직각 형태로 절개되어 4개의 내측 모서리를 갖는 십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가용도체 유동 규제부는 가용도체(300)의 일측 두 내측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각각 홀이 형성되는 제1 가용도체 내측 모서리 유동 규제공(219)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용도체 유동 규제부는 가용도체(300)의 타측 두 내측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각각 홀이 형성되는 제2 가용도체 내측 모서리 유동 규제공(239)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용도체(300)에 형성되는 4개의 내측 모서리 부분이 제1 가용도체 내측 모서리 유동 규제공(219)과 제2 가용도체 내측 모서리 유동 규제공(239)에 의해 유동될 수 없도록 규제되므로, 가용도체(300)의 솔더링 시에 가용도체(300)가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하여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에서 개시된 발명은 기본적인 사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즉, 위의 실시예들은 모두 예시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에 따라 정해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에 한정된 구성요소를 균등물로 치환한 경우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 보호소자 110 : 보호캡
120 : 절연 기판 122, 124 : 캐스털레이션부
210 : 제1 주전극
212 : 제1 가용도체 모서리 유동 규제 돌부
214 : 캐스털레이션부
216 : 제1 가용도체 세로방향 유동 규제공
218 : 제1 가용도체 가로방향 유동 규제공
219 : 제1 가용도체 내측 모서리 유동 규제공
220 : 중간 전극 222 : 가용도체 유동 규제 단턱부
224 : 중간 전극 돌부 226 : 비아홀
230 : 제2 주전극
232 : 제2 가용도체 모서리 유동 규제 돌부
234 : 캐스털레이션부
236 : 제2 가용도체 세로방향 유동 규제공
238 : 제2 가용도체 가로방향 유동 규제공
239 : 제2 가용도체 내측 모서리 유동 규제공
300 : 가용도체

Claims (7)

  1. 절연 기판과, 상기 절연 기판의 양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1 주전극 및 제2 주전극과, 상기 제1 주전극 및 상기 제2 주전극 상에 배치되며 과전류 또는 과전압에 의해 용융되는 가용도체를 포함하는 보호소자에 있어서,
    상기 제1 주전극에는 상기 가용도체의 일측 두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돌출되거나 상기 가용도체의 외곽 형상에 대응하여 홀이 형성되어 상기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제1 가용도체 유동 규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주전극에는 상기 가용도체의 타측 두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여 돌출되거나 상기 가용도체의 외곽 형상에 대응하여 홀이 형성되어 상기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제2 가용도체 유동 규제부가 형성되는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보호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용도체 유동 규제부는 상기 제1 주전극의 길이방향 양단부에서 상기 가용도체의 일측 두 모서리 외곽라인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되는 제1 가용도체 모서리 유동 규제 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용도체 유동 규제부는 상기 제2 주전극의 길이방향 양단부에서 상기 가용도체의 타측 두 모서리 외곽라인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되는 제2 가용도체 모서리 유동 규제 돌부를 포함하는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보호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전극 및 상기 제2 주전극과 이격된 상태에서 그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전극을 더 포함하며,
    상기 중간 전극의 길이방향 양단 중 적어도 일측 단부에는 상기 가용도체의 일측 변이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내측으로 단턱진 가용도체 유동 규제 단턱부가 형성되는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보호소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도체에 대하여는 절연되며 상기 가용도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발열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간 전극은 상기 발열체에 과전압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발열체 인출 전극인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보호소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전극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절연 기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비아홀이 형성되는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보호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용도체 유동 규제부는, 상기 제1 주전극 내에서 상기 가용도체의 상변과 하변이 각각 상측과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제1 가용도체 세로방향 유동 규제공과, 상기 제1 주전극 내에서 상기 가용도체의 좌측변이 좌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제1 가용도체 가로방향 유동 규제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용도체 유동 규제부는, 상기 제2 주전극 내에서 상기 가용도체의 상변과 하변이 각각 상측과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제2 가용도체 세로방향 유동 규제공과, 상기 제2 주전극 내에서 상기 가용도체의 우측변이 우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제2 가용도체 가로방향 유동 규제공을 포함하는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보호소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용도체 세로방향 유동 규제공과 상기 제1 가용도체 가로방향 유동 규제공이 결합되어 상기 가용도체의 일측 모서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2 가용도체 세로방향 유동 규제공과 상기 제2 가용도체 가로방향 유동 규제공이 결합되어 상기 가용도체의 타측 모서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보호소자.
KR1020220146922A 2022-02-16 2022-11-07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보호소자 KR202301234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922A KR20230123420A (ko) 2022-02-16 2022-11-07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보호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191 2022-02-16
KR1020220146922A KR20230123420A (ko) 2022-02-16 2022-11-07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보호소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191 Division 2022-02-16 2022-0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420A true KR20230123420A (ko) 2023-08-23

Family

ID=87849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6922A KR20230123420A (ko) 2022-02-16 2022-11-07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보호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342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997B1 (ko) 2002-12-27 2007-12-07 소니 케미카루 앤드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보호 소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997B1 (ko) 2002-12-27 2007-12-07 소니 케미카루 앤드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보호 소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43524A1 (en) Circuit board and battery connection module
US10490379B2 (en) Surface mount fuse
US8767368B2 (en) Protective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598778B1 (ko) 보호소자 및 이차전지장치
US8519816B2 (en) External operation thermal protector
JP5942898B2 (ja) 電子部品及び電子制御装置
KR101165602B1 (ko) 보호소자
TWI485739B (zh) Protection elements and non-retroactive protection devices
US9224563B2 (en) Electronic part and electronic control unit
KR101956987B1 (ko) 보호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 보호 장치
KR20110117179A (ko) 보호 소자
KR20110000506A (ko) 표면 설치용 앤드 캡과 향상된 연결성을 구비한 초소형 카메라 퓨즈
US9425016B2 (en) Electronic part and electronic control unit
JP6048215B2 (ja) 電子部品及び電子制御装置
US9332645B2 (en) Electronic part and electronic control unit
EP4148763A2 (en) Surface mount fuse with solder link and de-wetting substrate
KR20190112571A (ko) 퓨즈패턴 기능을 가진 인쇄회로기판
US5216584A (en) Fused chip-type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30123420A (ko) 가용도체의 유동을 규제하는 보호소자
CN110741457B (zh) 保护元件
CN101373682B (zh) 带电阻温度保险丝以及电池保护电路板
KR102636162B1 (ko) 보호 소자
KR101529829B1 (ko) 복합보호소자
KR102381932B1 (ko) 보호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08231506B (zh) 小型熔断器及其制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