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2925A - The container for the temporary classroom in which the stairs is unified inside - Google Patents

The container for the temporary classroom in which the stairs is unified insi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2925A
KR20230122925A KR1020220019777A KR20220019777A KR20230122925A KR 20230122925 A KR20230122925 A KR 20230122925A KR 1020220019777 A KR1020220019777 A KR 1020220019777A KR 20220019777 A KR20220019777 A KR 20220019777A KR 20230122925 A KR20230122925 A KR 20230122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container
stair
temporar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97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54377B1 (en
Inventor
김남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신
Priority to KR1020220019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377B1/en
Publication of KR20230122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29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377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61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particular arrangement of habitable rooms or their component parts; modular co-ord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E04F11/035Stairway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assembled modular parts without further sup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04F2011/1821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and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시가설 교실용 계단 일체형 컨테이너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하층컨테이너와, 상기 하층컨테이너의 상부에 결합되어 복층을 형성하는 상층컨테이너와, 상기 하층컨테이너의 내부 일측면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발판과, 상기 하층컨테이너의 바닥에서 상기 발판까지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계단과, 상기 발판에서 상기 상층컨테이너의 바닥까지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2계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층 컨테이너로 조립된 간이교실에 있어서, 상기 제1계단의 일측은 상기 하층컨테이너의 일측 내벽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제1난간이 결합되며, 상기 제2계단의 일측은 상기 하층컨테이너의 타측 내벽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접었다 펼칠 수 있도록 제2난간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tair-integrated container for a temporary temporary classroom. Specifically, a lower container, an upper container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ontainer to form a multi-layer, a scaffolding horizontally coupled to one inner side of the lower container, and an upward slope from the bottom of the lower container to the scaffolding In the simple classroom assembled with a multi-story container comprising a first staircase and a second staircase inclined upward from the scaffold to the bottom of the upper container, one side of the first staircase is on the inner wall of one side of the lower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handrail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ne side of the second stair is coupled to the inner wall of the other side of the lower container, and the second handrail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so that it can be folded and unfolded.

Description

임시가설 교실용 계단 일체형 컨테이너{The container for the temporary classroom in which the stairs is unified inside}The container for the temporary classroom in which the stairs is unified inside}

본 발명은 임시가설 교실용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내부에 계단이 일체로 조립된 컨테이너를 임시가설 교실로 사용할 수 있는 임시가설 교실용 계단 일체형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a temporary temporary classroo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ir-integrated container for a temporary temporary classroom in which a container having a staircase integrally assembled therein can be used as a temporary temporary classroom.

컨테이너 박스를 이용하여 제작된 간이 건물이나, 구조물, 건축물을 보통 컨테이너 하우스라고 한다.A simple building, structure, or structure manufactured using a container box is usually referred to as a container house.

컨테이너 하우스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이를 적절히 변형하여 창고, 주거용, 학교, 오피스 등의 임시 또는 간이 건축물로 활용할 수 있다.Since the container hous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it can be appropriately transformed and used as temporary or kiosk buildings such as warehouses, residences, schools, and offices.

컨테이너 하우스는 일반적으로 네 모서리에 빔을 지주로 하고, 이 지주들 사이에 일정면적의 패널로 막아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부식을 방지하고 미관을 높이기 위해 도색작업과 바닥, 전기, 전화, 몰딩 등의 내부작업을 통해 적절한 용도고 사용할 수 있다.A container house generally has a structure in which beams are used as pillars at four corners, and panels of a certain area are blocked between the pillars to form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space is formed therein. In addition, it can be used for appropriate purposes through painting work and internal work such as floor, electricity, telephone, and molding to prevent corrosion and enhance aesthetics.

최근에 재개발, 재건축, 리모델링, 신설, 증설, 증축 등 다양한 리빌딩 작업이 증가하는데, 학교의 경우 이러한 작업수행시 임시로 학생들이 수업할 수 있는 학습공간이 필요하다. Recently, various rebuilding works such as redevelopment, reconstruction, remodeling, new construction, extension, and extension are increasing. In the case of schools, a learning space where students can study temporarily is required during these works.

이러한 임시 또는 간이교실을 컨테이너 하우스로 신속하게 만들거나 타지에서 이동시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In many cases, these temporary or simple classrooms are quickly made into container houses or moved from other places for use.

그리고 컨테이너를 수평으로 배열하기도 할 뿐 아니라 상부로 적층하여 복층으로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very convenient advantage because containers can be arranged horizontally, as well as stacked on top and assembled in a multi-layered structure.

도 1은 종래 임시가설 교실용 컨테이너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tainer for a temporary temporary classroom in the related art.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컨테이너를 하층컨테이너(1)라고 하고, 상기 하층컨테이너의 상부에 상층컨테이너(2)를 조립하여 복층을 형성할 수 있다.A container positioned relatively lower is referred to as a lower container 1, and a multi-layer structure may be formed by assembling an upper container 2 on top of the lower container.

이때, 상기 하층컨테이너에서 상층컨테이너로 올라가기 위해서 하층컨테이너의 외부 또는 내부에 계단이 필요하다.At this time, in order to go up from the lower container to the upper container, stairs are required outside or inside the lower container.

컨테이너의 내부 계단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하층컨테이너의 일측 천장 일부를 절개하여 천공하고, 상기 상층컨테이너의 일측 바닥 일부를 절개하여 천공하여 서로 연통되는 통로가 형성된다.In order to install the internal stairs of the container, a part of the ceiling on one side of the lower container is cut and drilled, and a part of the bottom of one side of the upper container is cut and drilled to form passages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하층컨테이너의 바닥에서 상향 경사지게 제1계단(3)이 구비되고, 상기 제1계단의 상단에서 상향 경사지도록 제2계단(4)이 구비된다. 상기 제2계단의 상단은 상기 상층컨테이너의 바닥에 결합되어 연결된다. In addition, a first step 3 is provided to slope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lower container, and a second step 4 is provided to slope upward from the top of the first step. An upper end of the second step is coupled to and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container.

상기 제1계단은 상기 하층컨테이너의 일측 내벽에 결합되고, 상기 제2계단은 상기 하층컨테이너의 타측 내벽에 결합된다.The first step is coupled to one inner wall of the lower container, and the second step is coupled to the other inner wall of the lower container.

또 상기 제1계단과 제2계단이 만나는 지점에는 발판(7)이 수평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계단을 올라온 사람이 상기 발판을 디디고 거쳐 상기 제2계단으로 올라감으로써 상기 상층컨테이너로 올라갈 수 있다.In addition, a scaffold 7 is provided horizontally at the point where the first stair and the second stair meet, so that a person who has climbed the first stair can climb to the upper container by stepping on the scaffold and going up to the second stair.

또한, 상기 제1계단과 제2계단에는 각각 제1난간(5)과 제2난간(6)이 설치된다. In addition, a first handrail 5 and a second handrail 6 are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stairs, respectively.

그런데 종래 복층 컨테이너 간이교실의 경우 대부분 컨테이너를 조립할 때 외부에 계단과 난간을 설치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조립과 해체가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왜냐하면, 조립시 용접 또는 체결방식으로 계단과 난간을 설치한 후 해체시 다시 계단과 난간을 컨테이너로부터 분리해야 하기 때문에 매번 이러한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conventional multi-story container classrooms, assembly and disassembly were very cumbersome because they had a structure in which stairs and handrails were installed outside when most containers were assembled. This is because, after installing the stairs and handrails by welding or fastening during assembly, the stairs and handrails must be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again during disassembly, which has the disadvantage of repeating these operations each time.

그리고 컨테이너 내부에 계단과 난간이 설치된 구조라 하더라도 조립을 해체할 때, 상층컨테이너와 하층컨테이너를 분리하는데, 상기 제1난간은 큰 문제가 없으나, 상기 제2난간의 상단은 상기 상부컨테이의 바닥을 돌출하여 노출되기 때문에 운반시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even in a structure in which stairs and handrails are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the upper container and the lower container are separated during assembly and disassembly. Because it protrudes and is exposed, there is a cumbersome problem during transportation.

즉, 다른 물체와 상기 제2난간이 충돌하여 파손될 수도 있고, 이송이나 보관시 컨테이너의 적층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Tha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econd handrail may collide with another object and be damaged, and it is difficult to stack the containers during transport or storag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25116(2006.8.23.)"조립식 컨테이너 교실"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20-0425116 (2006.8.23.) "Prefabricated container classroom"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00410(2000.8.8.)"컨테이너 건축물"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20-0200410 (2000.8.8.) "Container Building"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06445(2015.3.23.)"천정을 높여 환경이 개선된 복도 개방형 컨테이너 교실"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06445 (2015.3.23.) "Corridor open container classroom with improved environment by raising the ceiling"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72305(2016.10.28.)"하중분산 지지대가 구비된 교실용 연동 컨테이너"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672305 (2016.10.28.) "Interlocking container for classrooms with load distribution support"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테이너 내부에 계단과 난간을 설치하여 조립 또는 해체시 설치 및 분리작업이 필요없는 임시가설 교실용 계단 일체형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ir-integrated container for temporary temporary classrooms that does not require installation and separation work during assembly or disassembly by installing stairs and handrails inside the container. is to do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층컨테이너에 연결된 계단에 설치된 난간을 접었다 펼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임시가설 교실용 계단 일체형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ir-integrated container for a temporary temporary classroom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handrail installed on a stairway connected to an upper container can be folded and unfold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임시가설 교실용 계단 일체형 컨테이너는, 하층컨테이너와, 상기 하층컨테이너의 상부에 결합되어 복층을 형성하는 상층컨테이너와, 상기 하층컨테이너의 내부 일측면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발판과, 상기 하층컨테이너의 바닥에서 상기 발판까지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계단과, 상기 발판에서 상기 상층컨테이너의 바닥까지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2계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임시가설 교실용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제1계단의 일측은 상기 하층컨테이너의 일측 내벽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제1난간이 결합되며, 상기 제2계단의 일측은 상기 하층컨테이너의 타측 내벽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접었다 펼칠 수 있도록 제2난간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tair-integrated container for temporary classroo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container, an upper container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ontainer to form a duplex, and horizontally on on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lower container In a temporary temporary classroom container comprising a combined scaffold, a first staircase inclin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lower container to the scaffold, and a second staircase inclined upward from the scaffold to the bottom of the upper container , One side of the first staircase is coupled to one inner wall of the lower container, a first handrail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and one side of the second staircase is coupled to the other inner wall of the lower container, and the other side is folded and unfolded The second handrail may be coupled to be pivotabl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컨테이너 내부에 계단과 난간이 일체로 설치된 구조를 가지므로 조립 또는 해체시 계단 및 난간의 설치 또는 분리작업이 필요없다.First, since it has a structure in which stairs and handrails are integrally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installation or separation of stairs and handrails is not required during assembly or disassembly.

둘째, 상층컨테이너와 연결된 제2계단에 설치된 제2난간이 접이식 구조를 가지므로 컨테이너 철거 또는 해체시 제2난간을 접어 제2계단에 포갤 수 있으므로 이송이나 운반시 충돌, 파손의 위험이 없이 안전하다.Second, since the second handrail installed on the second stair connected to the upper container has a folding structure, the second handrail can be folded and stacked on the second stair when removing or dismantling the container, so it is safe without the risk of collision or damage during transport or transportation. .

셋째, 제1난간과 제2난간 사이에 간격이 없는 경우 두 난간을 직접 체결하고, 제4고정수단을 사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Third, if there is no gap between 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the two handrails can be directly fastened and fixed using a fourth fixing means.

넷째, 제1난간과 제2난간 사이에 간격이 있는 경우 제2고정수단 및 제3고정수단을 사용하여 상호 고정할 수 있다.Fourth, if there is a gap between 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it can be mutually fixed using the second fixing means and the third fixing means.

다섯째, 제1난간도 접이식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Fifth, the first handrail may also implement a folding structure.

도 1은 종래 임시가설 교실용 컨테이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임시가설 교실용 계단 일체형 컨테이너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난간 및 제3난간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임시가설 교실용 계단 일체형 컨테이너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계단과 제2난간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2고정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tainer for a conventional temporary temporary classroom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tair-integrated container for temporary temporary classroo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second handrail and the third handrail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tair-integrated container for temporary temporary classroom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second staircase and a second handrail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4;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econd fixing means shown in Figure 4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or reference,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for easi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임시가설 교실용 계단 일체형 컨테이너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tair-integrated container for a temporary temporary class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상층컨테이너(200), 하층컨테이너(100), 발판(300), 제1계단(400) 및 제2계단(600), 제1난간(500) 및 제2난간(700)을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an upper container 200, a lower container 100, a scaffold 300, a first stair 400 and a second stair 600, a first handrail 500 and a seco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andrail 700.

먼저, 상기 하층컨테이너(100)와 상층컨테이너(200)에 대해 설명한다.First, the lower container 100 and the upper container 200 will be described.

상기 하층컨테이너(100)와 상층컨테이너(200)는 일반적인 컨테이너 박스의 형상과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ower container 100 and the upper container 200 may have the shape and structure of a general container box.

간략하게, 네모서리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지주와, 각 지주를 연결하는 측면패널 및 천정패널과 바닥패널들 이루어져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이룬다. Briefly, the four corners are made up of vertical support posts, side panels, ceiling panels, and floor panels connecting each post to form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일측면에는 출입문이 형성될 수 있고, 창문도 형성될 수 있다.An entrance door may be formed on one side and a window may also be formed.

그리고 상기 측면패널, 천정패널, 바닥패널에는 각각 합판, 단열재 등을 덧대어 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panels, the ceiling panel, and the floor panel may be finished by attaching plywood or an insulator, respectively.

상기 하층컨테이너(100)의 상부에 상기 상층컨테이너(200)가 올려지면서 서로 조립시킴으로써 복층이 되게 한다. The upper container 200 is placed on top of the lower container 100 and assembled to form a multi-layered container.

참고로 본 발명에서 '하층컨테이너'라 함은 1층을 형성하는 컨테이너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상층컨테이너의 하부에 조립되는 것까지 의미한다. For refer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a 'lower container' means a container forming the first floor, but also means a container assembled under an upper container.

마찬가지로 '상층컨테이너'라 함은 2층을 형성하는 컨테이너를 의미할 뿐 아니라, 하층컨테이너의 상부에 조립되는 컨테이너까지 의미함을 일러둔다. Similarl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rm 'upper container' means not only a container forming the second floor, but also a container assembled on top of the lower container.

다음으로 발판(300)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scaffold 300 will be described.

상기 발판(300)은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층컨테이너(100)의 일측 내벽 중간에 수평으로 결합된다.The scaffold 300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is horizontally coupled to the middle of one inner wall of the lower container 100 .

상기 발판(300)은 직사각형을 이룰 수 있는데, 세 모서리는 각각 상기 하층컨테이너(100)의 세 내벽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The scaffold 300 may form a rectangle, and each of the three corners may be coupled to and fixed to the three inner walls of the lower container 100 .

이때, 상기 발판(300)의 가장자리 하부면과 상기 하층컨테이너(100)의 내벽 사이에 'ㄱ' 형상의 앵글이나 브라켓을 사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between the lower edge surface of the scaffold 300 and the inner wall of the lower container 100, it can be coupled using a 'b'-shaped angle or bracket.

바람직한 것은 상기 발판(300)을 딛는 다수의 체중의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발판(300)의 네 꼭지점에 하향 수직으로 발판지지빔(310)이 결합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scaffolding support beam 310 can be coupled vertically to the four vertices of the scaffold 300 so as to sufficiently support a plurality of weights stepping on the scaffold 300.

상기 발판지지빔(310)은 상기 하층컨테이너(100)의 모서리 및 내벽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키고 상기 발판지지빔(310)의 상단에 상기 발판(300)이 거치되도록 결합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scaffold support beam 310 may be coupled to the corner and inner wall surface of the lower container 100 by welding or the like, and coupled to the scaffold 300 to be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caffold support beam 310. .

다음으로 상기 제1계단(400) 및 제2계단(600)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first step 400 and the second step 600 will be described.

상기 제1계단(400)과 제2계단(600)은 철판을 직각으로 수회 절곡하여 계단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어떤 구조의 계단도 가능하다.The first stair 400 and the second stair 600 may have a stair-shaped structure by bending an iron plate several times at right angle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any stair structure is possible.

그리고 상기 제1계단(400)과 제2계단(600)의 양측에는 각각 계단프레임(410)이 결합된다.Further, stair frames 410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stair 400 and the second stair 600, respectively.

상기 계단프레임(410)은 상기 제1계단(400)과 제2계단(600)의 변형이나 벤딩을 방지하여 경사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The stair frame 410 may prevent deformation or bending of the first stair 400 and the second stair 600 to maintain an inclined shape.

이때, 상기 계단프레임(410)은 종단면이 사각형인 사각파이프 형상일 수 있고, 횡단면은 평행사변형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stair frame 410 may have a rectangular pipe shap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a parallelogram shape in a cross section.

한편, 상기 제1계단(400)은 상기 하층컨테이너(100)의 바닥에서 상기 발판(300)까지 올라갈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제1계단(400)의 하단은 상기 하층컨테이너(100)의 바닥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발판(300)의 가장자리에 결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step 400 is to be able to go up to the scaffold 300 from the bottom of the lower container 100, the lower end of the first step 400 is at the bottom of the lower container 100 It is fixed, and the top is coupled to the edge of the scaffold 300.

그리고 상기 제2계단(600)은 상기 발판(300)에서 상기 상층컨테이너(200)의 바닥까지 올라갈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제2계단(600)의 하단은 상기 발판(300)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상층컨테이너(200)의 바닥에 결합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step 600 is to be able to go up from the scaffold 300 to the bottom of the upper container 200,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tair 600 is fixed to the edge of the scaffold 300 , the top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container (200).

여기서, 상기 제1계단(400)의 일측은 상기 하층컨테이너(100)의 일측 내벽면에 경사지게 결합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계단(400)의 일측에 결합된 계단프레임(410)이 상기 하층컨테이너(100)의 내벽면에 결합된다. Here, one side of the first stair 400 is inclinedly coupl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one side of the lower container 100 . In other words, the stair frame 410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stair 400 is coupl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lower container 100 .

마찬가지로 상기 제2계단(600)의 일측은 상기 하층컨테이너(100)의 타측 내벽면에 경사지게 결합된다. 즉, 상기 제2계단(600)의 일측에 결합된 계단프레임(610)이 상기 하층컨테이너(100)의 내벽면에 결합된다.Similarly, one side of the second stair 600 is obliquely coupl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lower container 100 . That is, the stair frame 610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stair 600 is coupl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lower container 100 .

다음으로 도 3, 4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핵심적 기술사항인 제1난간 및 제2난간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난간 및 제3난간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임시가설 교실용 계단 일체형 컨테이너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the first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which are key technical matter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second handrail and the third handrail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tair-integrated container for temporary temporary classroom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1난간(500)은 상기 제1계단(400)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2난간(700)은 상기 제2계단(600)의 타측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1난간(500)과 제2난간(700)은 인접하게 구비된다.The first handrail 50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tair 400 , and the second handrail 70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tair 600 . Therefore, the first handrail 500 and the second handrail 700 are provided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제1난간(500)은 빔 또는 파이프 형상을 이루고 상부와 하부에 이격되어 경사지게 구비되는 상부수평부재(510) 및 하부수평부재(520), 상기 상부수평부재(510)와 하부수평부재(520) 사이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직부재(530)로 이루어져 대략 평행사변형의 사다리와 같은 형상일 수 있다.The first handrail 500 has a beam or pipe shape, and includes an upper horizontal member 510 and a lower horizontal member 520, the upper horizontal member 510 and the lower horizontal member 520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clin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 It may be formed of a vertical member 530 vertically coupled between the ) and may have a shape such as a ladder of an approximate parallelogram.

이때, 상기 제1난간(500)의 하부수평부재(520)가 상기 제1계단(400)의 타측에 결합된 계단프레임(41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난간(500)이 상기 제1계단(400)에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wer horizontal member 520 of the first handrail 50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tair frame 410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tair 400, so that the first handrail 500 is It can be fixed to the first step (400).

상기 제2난간(700)도 빔 또는 파이프 형상을 이루고 상부와 하부에 이격되어 경사지게 구비되는 상부수평부재(710) 및 하부수평부재(720), 상기 상부수평부재(710)와 하부수평부재(720) 사이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직부재(730)로 이루어져 대략 평행사변형의 사다리와 같은 형상일 수 있다.The second handrail 700 also forms a beam or pipe shape, and includes an upper horizontal member 710 and a lower horizontal member 720, the upper horizontal member 710 and the lower horizontal member 72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rovided inclinedly. ) It may be formed of a vertical member 730 vertically coupled between the ladder and may have a shape such as a ladder of an approximate parallelogram.

그런데 상기 제2난간(700)의 하부수평부재(720)는 상기 제2계단(600)의 타측에 결합된 계단프레임(610)의 상부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난간(700)을 접어서 상기 제2계단(600)에 포개거나 펼쳐서 수직으로 세울 수 있는 구조이다.However, the lower horizontal member 720 of the second handrail 7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tair frame 610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tair 600 so as to extend the second handrail 700. It is a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and stacked on the second stair 600 or unfolded to stand vertically.

이를 위해, 상기 제2계단(600)의 계단프레임(610)과 상기 하부수평부재(720) 사이에 경첩(740)이 구비된다. To this end, a hinge 740 is provided between the stair frame 610 of the second stair 600 and the lower horizontal member 720.

또 상기 경첩(740)의 반대측으로 상기 제2계단(600)의 계단프레임(610)과 하부수평부재(720) 사이에 제1고정수단(750)이 구비되어 상기 하부수평부재(720)를 상기 제2계단(600)의 계단프레임(610)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inge 740, a first fixing means 750 is provided between the stair frame 610 of the second stair 600 and the lower horizontal member 720 to secure the lower horizontal member 720 as above. The stair frame 610 of the second stair 600 may be fixed or unfixed.

예를 들어, 상기 제1고정수단(750)은 일단이 상기 하부수평부재(720)에 결합된 고정판(751) 및 상기 고정판(751)을 관통하여 상기 제2계단(600)의 계단프레임(610)에 체결시킬 수 있는 고정볼트(752)로 구성될 수 있다.(도 5 참조)For example, the first fixing means 750 has one end coupled to the lower horizontal member 720 and the stair frame 610 of the second stair 600 by penetrating the fixing plate 751 and the fixing plate 751. ) It can be composed of a fixing bolt 752 that can be fastened to. (See FIG. 5)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하부수평부재(720)와 계단프레임(610)을 서로 결합, 고정시키거나 해제하여 분리시킬 수 있는 어떤 수단도 가능할 것이다.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eans capable of separating the lower horizontal member 720 and the stair frame 610 by coupling, fixing, or releasing each other will be possible.

참고로, 앞에서 상기 제1난간(500)은 상기 제1계단(400)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1난간(500)도 제2난간(70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계단(400)에 경첩(미도시)을 사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접었다 펼칠 수 있을 것이다.For referenc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first handrail 500 is fixed to the first stair 400, but the first handrail 500 is also attached to the first stair 400 like the second handrail 700. It can be folded and unfolded by being rotatably coupled using a hinge (not shown).

즉, 상기 경첩의 일측을 상기 제1난간(500)의 하부수평부재(520)에 결합시키고, 경첩의 타측을 상기 제1계단(400)의 계단프레임(410)에 결합시켜 회동 가능한 구조로 만들 수 있다.That is, one side of the hinge is coupled to the lower horizontal member 520 of the first handrail 500, and the other side of the hinge is coupled to the stair frame 410 of the first stairway 400 to create a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can

한편, 상기 제2난간(700)의 최하측에 위치하는 수직부재(730a)와 상기 제1난간(500)의 최상측에 위치하는 수직부재(530b)는 간격없이 서로 밀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Meanwhile, the vertical member 730a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of the second handrail 700 and the vertical member 530b located at the uppermost side of the first handrail 50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ithout a gap. .

이 경우 별도의 두 수직부재(530b, 730a)를 동시에 관통하는 체결볼트(831)에 체결너트(832)를 체결하여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In this case, by fastening the fastening nuts 832 to the fastening bolts 831 penetrating the two separate vertical members 530b and 730a at the same time, they can be fixed so as not to move by combining them with each other.

다시 말해서, 상기 제1난간(500)은 상기 제1계단(4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난간(700)을 상기 제1난간(500)과 결합시킴으로써 제2난간(700)을 수직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In other words, since the first handrail 500 is fixed to the first stair 400, the second handrail 700 is combined with the first handrail 500 so that the second handrail 700 is in a vertical state. can be fixed.

그리고 상기 제2난간(700)의 하부는 상기 제1난간(500)과 결합시켜 고정하고, 상부는 별도의 제4고정수단(1000)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handrail 700 can be fixed by being combined with the first handrail 500, and the upper part can be fixed using a separate fourth fixing means 1000.

상기 제4고정수단(1000)은 고정포스트(1020), 체결구(1030), 마감캡(1040)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fourth fixing means 1000 may be implemented as a fixing post 1020, a fastener 1030, and a closing cap 1040.

상기 고정포스트(1020)는 상기 제2계단(600)의 계단프레임(610) 상부에 끼움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사각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포스트(1020)는 상기 제2난간(700)의 최상측 수직부재(730b)와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The fixing post 1020 can be fitted to the top of the stair frame 610 of the second stair 600 and may have a square pipe shape. At this time, the fixing post 1020 may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most vertical member 730b of the second handrail 700.

그리고 상기 체결구(1030)는 상기 제2난간(700)의 수직부재(730b)와 고정포스트(1020)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체결볼트(1031)와 체결너트(1032)를 사용할 수 있다. And the fastener 1030 is for coupling the vertical member 730b of the second handrail 700 and the fixing post 1020 to each other, and a fastening bolt 1031 and a fastening nut 1032 can be used.

상기 체결볼트(1031)는 상기 수직부재(730b)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포스트(1020)의 내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체결볼트(1031)에 체결너트(1032)를 체결하여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The fastening bolt 1031 penetrates one side of the vertical member 730b and protrudes into the fixing post 1020, and fastens the fastening nut 1032 to the protruding fastening bolt 1031 to combine them with each other. can

그리고 상기 고정포스트(1020)의 상단을 상기 마감캡(1040)으로 덮는다Then, the top of the fixing post 1020 is covered with the finishing cap 1040.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상층컨테이너(200)의 바닥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3계단(미도시)의 일측에는 제3난간(1100)이 결합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third handrail 1100 is coupled to one side of a third stair (not shown) inclin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upper container 200 .

상기 제3난간(1100)도 상술한 제1난간(500), 제2난간(700)과 같이 상부수평부재(1110), 하부수평부재(1120) 및 수직부재(1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hird handrail 1100 may also be composed of an upper horizontal member 1110, a lower horizontal member 1120, and a vertical member 1130 like the first handrail 500 and the second handrail 700 described above.

상기 제3난간(1100)은 고정된 상태일 수 있으나, 상기 제2난간(70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3계단에 경첩(미도시)을 사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접었다 펼칠 수 있을 것이다.The third handrail 1100 may be in a fixed state, but like the second handrail 700, it may be folded and unfolded by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third stair using a hinge (not shown).

즉, 상기 경첩의 일측을 상기 제3난간(1100)의 하부수평부재(1120)에 결합시키고, 경첩의 타측을 상기 제3계단의 계단프레임에 결합시켜 회동 가능한 구조로 만들 수 있다.That is, one side of the hinge can be coupled to the lower horizontal member 1120 of the third handrail 1100 and the other side of the hinge can be coupled to the stair frame of the third stair to form a rotatable structure.

이러한 경우 상기 제3난간(1100)의 수직부재(1130) 일측에는 상기 제3난간(1100)을 고정시키는 제4고정수단(100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 fourth fixing means 1000 for fixing the third handrail 1100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member 1130 of the third handrail 1100.

상기 제4고정수단(1000)은 고정구(1010), 고정포스트(1020), 체결구(1030), 마감캡(1040)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ourth fixing means 1000 may include a fixture 1010, a fixing post 1020, a fastener 1030, and a closing cap 1040.

상기 고정구(1010)는 상기 제3난간(1100)의 최하측 수직부재(1130a)의 바로 옆에 위치하면서 상기 상층컨테이너(200) 바닥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1010)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을 이루되, 상기 수직부재(1130)들과 대응되는 사각단면을 가질 수 있다.The fixture 1010 is located right next to the lowermost vertical member 1130a of the third handrail 1100 and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container 200. Also, the fixture 1010 may have a hollow shape with an open top and a rectangular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members 1130 .

상기 고정포스트(1020)는 사각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구(1010)에 하단이 끼움 결합된다.The fixing post 1020 is made of a square pipe shape, and the lower end is fitted into the fixture 1010.

바람직한 것은 상기 고정포스트(1020)의 하단에 외주면에 단턱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턱이 상기 고정구(1010)의 상단에 걸리면서 맞춤 삽입되는 구조가 좋다. 따라서, 상기 고정구(1010)와 고정포스트(1020)는 하나의 기둥과 같이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a step is continuous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ost 1020, and the step is inserted while being caught on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1010. Therefore, the fixture 1010 and the fixing post 1020 may be provided as one pillar.

상기 체결구(1030)는 상기 제3난간(1100)의 수직부재(1130a)와 고정포스트(1020)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체결볼트(1031)와 체결너트(1032)를 사용할 수 있다. The fastener 1030 is for coupling the vertical member 1130a of the third handrail 1100 and the fixing post 1020 to each other, and a fastening bolt 1031 and a fastening nut 1032 can be used.

상기 체결볼트(1031)는 상기 수직부재(1130a)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포스트(1020)의 내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체결볼트(1031)에 체결너트(1032)를 체결하여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The fastening bolt 1031 penetrates one side of the vertical member 1130a and protrudes into the fixing post 1020, and fastens the fastening nut 1032 to the protruding fastening bolt 1031 to be coupled to each other. can

그리고 상기 고정포스트(1020)의 상단을 상기 마감캡(1040)으로 덮는다.Then,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ost 1020 is covered with the closing cap 1040.

이하에서 도 4, 5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임시가설 교실용 계단 일체형 컨테이너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계단과 제2난간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together.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tair-integrated container for temporary temporary classroom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 second staircase and a second handrail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도 상층컨테이너(200), 하층컨테이너(100), 발판(300), 제1계단(400) 및 제2계단(600), 제1난간(500) 및 제2난간(700)을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ontainer 200, the lower container 100, the scaffold 300, the first stairs 400 and the second stairs 600, the first handrail 500 and the second handrail 700 It can be configured including.

앞서 설명한 실시 예는 제1난간(500)과 제2난간(700) 사이에 간격이 없는 경우를 나타낸 것인 반면 다른 실시 예는 간격이 있는 경우를 나타내며, 이때, 서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2고정수단(800)과 제3고정수단(900)이 더 포함되는 구조를 설명한다.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shows a case where there is no gap between the first handrail 500 and the second handrail 700, whereas the other embodiment shows a case where there is a gap. A structure in which the fixing means 800 and the third fixing means 900 are further described will be described.

따라서, 상기 상층컨테이너(200), 하층컨테이너(100), 발판(300), 제1계단(400) 및 제2계단(600), 제1난간(500) 및 제2난간(700)은 상술한 바와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부가되는 제2고정수단(800) 및 제3고정수단(900)에 대해서만 설명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upper container 200, the lower container 100, the scaffold 300, the first stairs 400 and the second stairs 600, the first handrail 500 and the second handrail 700 are the above-mentioned Since it is almost the same as the bar,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only the second fixing means 800 and the third fixing means 900 that are added will be described.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제1난간(500)의 최상측 수직부재(530b)와 상기 제2난간(700)의 최하측 수직부재(730a) 사이에 간격이 있는 경우 제2고정수단(800)을 더 구비하여 상호 고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when there is a gap between the uppermost vertical member 530b of the first handrail 500 and the lowermost vertical member 730a of the second handrail 700, the second fixing means 800 It can be mutually fixed by further providing.

상기 제2고정수단(800)은 고정구(810), 고정포스트(820), 체결구(830), 마감캡(840)을 포함하여 구현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means 80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fixture 810, a fixing post 820, a fastener 830, and a closing cap 840.

상기 고정구(810)는 상기 제1난간(500)의 최상측 수직부재(530b)와 상기 제2난간(700)의 최하측 수직부재(730a)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발판(300)의 일측 가장자리 상부면에 고정된다.The fixture 810 is located between the uppermost vertical member 530b of the first handrail 500 and the lowermost vertical member 730a of the second handrail 700, but one edge of the scaffold 300 fixed to the upper surface.

상기 고정구(810)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을 이룬다. 상기 수직부재(730)들과 대응되게 사각단면을 가질 수 있다.The fixture 810 has a hollow shape with an open top. It may have a square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members 730 .

그리고 상기 고정포스트(820)는 사각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구(810)에 하단이 끼움 결합된다. And, the fixing post 820 is made of a square pipe shape, and the lower end is fitted into the fixture 810.

바람직한 것은 상기 고정포스트(820)의 하단에 외주면에 단턱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턱이 상기 고정구(810)의 상단에 걸리면서 맞춤 삽입되는 구조가 좋다. 따라서, 상기 고정구(810)와 고정포스트(820)는 하나의 기둥과 같이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a step is continuous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ost 820, and the step is inserted while being caught on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810. Therefore, the fixture 810 and the fixing post 820 may be provided as one pillar.

이때, 두 수직부재(530b, 730a)는 상기 고정포스트(820) 및 고정구(810)와 간격없이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wo vertical members 530b and 730a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ing post 820 and the fixture 810 without a gap.

상기 체결구(830)는 상기 수직부재(530b, 730a)와 고정포스트(820)를 체결시키는 수단으로서, 도 6(a)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체결볼트(831)와 체결너트(832)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astener 830 is a means for fastening the vertical members 530b and 730a and the fixing post 820, and referring to FIG. 6 (a), the fastening bolt 831 and the fastening nut 832 may consist of

상기 체결볼트(831)는 상기 수직부재(730a)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고정포스트(820)를 관통하여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고정포스트(820)의 내부에 상기 체결너트(832)로 체결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The fastening bolt 831 passes through the fixing post 820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member 730a and is inserted into the inside, and is coupled by fastening to the inside of the fixing post 820 with the fastening nut 832 can make it

즉, 상기 제1난간(500)의 최상측 수직부재(530b) 측에서 관통하여 상기 고정포스트(820)와 결합시키고, 상기 제2난간(700)의 최하측 수직부재(730a) 측에서 관통하여 상기 고정포스트(820)와 결합시킬 수 있다. That is, by penetrating from the uppermost vertical member 530b side of the first handrail 500 and combining with the fixing post 820, penetrating from the lowermost vertical member 730a side of the second handrail 700, It can be combined with the fixing post 820.

상기 고정포스트(820)의 상단이 개방되므로 시공시 상기 고정포스트(820)의 상단으로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체결너트(832)를 체결시킨 후 상기 마감캡(840)을 닫아 마무리할 수 있다.Since the top of the fixing post 820 is open, during construction, a tool may be inserted into the top of the fixing post 820 to fasten the fastening nut 832, and then the closing cap 840 may be closed to finish.

상기 체결구(830)의 다른 실시 예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인딩밴드(833)와 조임구(834)로 구현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fastener 830, as shown in FIG. 6(b), it can be implemented with a binding band 833 and a fastener 834.

상기 바인딩밴드(833)는 벤딩이나 절곡이 가능한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정 강도 이상을 가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inding band 833 may be made of a band shape capable of being bent or bent, and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certain strength or higher.

그리고 상기 조임구(834)는 상기 바인딩밴드(833)의 양단에 구비되어 양단을 서로 결합시키면서 조여줄 수 있다. 상기 조임구(834)는 공지된 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Further, the fasteners 834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inding band 833 to tighten while coupling both ends to each other. Since the fastener 834 is a well-known mean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따라서, 상기 고정포스트(820)와 양측의 두 수직부재(530b, 730a)를 상기 바인딩밴드(833)로 둘러싸고 상기 조임구(834)를 조여서 상기 고정포스트(820)와 수직부재(530b, 730a)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fixing post 820 and the two vertical members 530b and 730a on both sides are surrounded by the binding band 833 and the fastener 834 is tightened to secure the fixing post 820 and the vertical members 530b and 730a.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제3난간(1100)의 하부와 상기 제2난간(700)의 상부 사이에 간격이 있는 경우, 상기 제3고정수단(900)으로 상기 제2난간(700)과 제3난간(1100)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Meanwhile, when there is a gap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third handrail 1100 and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handrail 700, the second handrail 700 and the third handrail 1100 are used as the third fixing means 900. ) can be fixed to each other.

즉, 상기 제3난간(1100)의 최하측 수직부재(1130a)와 상기 제2난간(700)의 최상측 수직부재(730b) 사이에 상기 제3고정수단(900)이 구비되어 두 수직부재(730b, 1130a)를 서로 고정할 수 있다That is, the third fixing means 900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most vertical member 1130a of the third handrail 1100 and the uppermost vertical member 730b of the second handrail 700 so that the two vertical members ( 730b, 1130a) can be fixed to each other

구체적으로 상기 제3고정수단(900)도 상기 제2고정수단(800)과 동일하게 고정구(910), 고정포스트(920), 체결구(930) 및 마감캡(940)으로 구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hird fixing means 900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fixture 910, a fixing post 920, a fastener 930, and a closing cap 940 in the same way as the second fixing means 800.

상기 고정구(910)는 두 수직부재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상층컨테이너(200)의 바닥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구(910)에 상기 고정포스트(920)가 삽입되며, 상기 체결구(930)를 사용하여 상기 고정포스트(920)와 수직부재(730b, 1130a)를 서로 체결할 수 있다. The fixture 910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container 200 while being located between two vertical members, the fixing post 920 is inserted into the fixture 910, and the fastener 930 is used to The fixing post 920 and the vertical members 730b and 1130a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고정포스트(920)의 상단에 상기 마감캡(940)으로 덮어 마무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p of the fixing post 920 can be covered with the finishing cap 940 to finish.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상기 제1난간(500)은 상기 제1계단(400)에 고정될 수도 있고, 제2난간(700)과 같이 접었다 펼칠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계단(400)에 상기 경첩(740)을 사용하여 상기 제1난간(500)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handrail 500 may be fixed to the first stair 400 or may be folded and unfolded like the second handrail 700 . That is, the first handrail 500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tair 400 using the hinge 740 .

이하에서 본 발명의 조립 및 해체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먼저, 조립하는 경우를 설명한다.First, the case of assembling will be described.

상기 하층컨테이너(100)의 상부에 상기 상층컨테이너(200)를 올려 서로 조립한다. 만일, 다층인 경우 상기 상층컨테이너(200)의 상부에 다른 상층컨테이를 더 올려 조립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The upper container 200 is placed on top of the lower container 100 and assembled to each other. If it is multi-layered, it is natural that another upper container can be assembled by placing another upper container on top of the upper container 200 .

이때, 상기 제2난간(700)은 접어서 상기 제2계단(600)에 접힌 상태이다. 물론, 상기 제1난간(500)은 수직으로 고정된 상태일 수도 있으나 상기 제1계단(400)에 접힌 상태일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handrail 700 is in a folded state to the second stair 600 by folding. Of course, the first handrail 500 may be in a vertically fixed state or may be in a folded state on the first stair 400 .

상기 제1난간(500)과 제2난간(700)을 회동시켜 수직으로 세운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수단(750)을 사용하여 상기 제1난간(500)과 제2난간(700)을 계단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다.The first handrail 500 and the second handrail 700 are rotated and erected vertically. In addition, the first handrail 500 and the second handrail 700 may be fixed to the stair frame using the first fixing means 750 .

만일, 상기 제1난간(500)과 제2난간(700) 사이에 간격이 없는 경우, 상기 제1난간(500)의 최상측 수직부재(530b)와 상기 제2난간(700)의 최하측 수직부재(730a)가 밀착된 상태에서 체결볼트(831)를 두 수직부재(530b, 730a)에 관통시켜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If there is no gap between the first handrail 500 and the second handrail 700, the uppermost vertical member 530b of the first handrail 500 and the lowermost vertical member of the second handrail 700 In a state in which the member 730a is in close contact, the fastening bolt 831 may pass through the two vertical members 530b and 730a to be coupled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제2난간의 최상측 수직부재(730b)를 상기 제4고정수단(1000)으로 고정한다.Then, the uppermost vertical member 730b of the second handrail is fixed with the fourth fixing means 1000.

그리고 상기 제3난간(1100)의 최하측 수직부재(1130a)도 상기 제4고정수단(1000)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Also, the lowermost vertical member 1130a of the third handrail 1100 may be fixed using the fourth fixing means 1000.

만일, 상기 제1난간(500)과 제2난간(700) 사이에 간격이 있는 경우, 상기 제1난간(500)의 최상측 수직부재(530b)와 상기 제2난간(700)의 최하측 수직부재(730a) 사이에 상기 제2고정수단(800)을 설치하여 상호 체결시킬 수 있다.If there is a gap between the first handrail 500 and the second handrail 700, the uppermost vertical member 530b of the first handrail 500 and the lowermost vertical member of the second handrail 700 The second fixing means 80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members 730a and fastened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제3난간(1100)의 최하측 수직부재(1130a)와 상기 제2난간(700)의 최상측 수직부재(730b) 사이에 상기 제3고정수단(900)을 설치하여 상호 체결시킨다. In addition, the third fixing means 900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most vertical member 1130a of the third handrail 1100 and the uppermost vertical member 730b of the second handrail 700 and fastened to each other.

다음으로 해체하는 경우를 설명한다.Next, a case of disassembly will be described.

간격이 없는 경우 상기 제1난간(500)의 최상측 수직부재(530b)와 상기 제2난간의 최하측 수직부재(730b)로부터 체결볼트(831)를 제거하고, 상기 제1고정수단(750)을 제거한 후 상기 제2난간(700)을 상기 제2계단(600)에 접어서 포갠다.If there is no gap, the fastening bolt 831 is removed from the uppermost vertical member 530b of the first handrail 500 and the lowermost vertical member 730b of the second handrail, and the first fixing means 750 After removing the , the second handrail 700 is folded and stacked on the second stair 600 .

그리고 상기 제1난간(500)도 접어서 제1계단(400)에 포갠다.The first handrail 500 is also folded and overlapped on the first stair 400 .

또 상기 제4고정수단(1000)을 해체하여 상기 제3난간(1100)도 제3계단에 접어서 포갠다.In addition, by dismantling the fourth fixing means 1000, the third handrail 1100 is also folded and stacked on the third stair.

그리고 상기 상층컨테이너(200)와 하층컨테이너(100)를 분리하여 별도로 이송 또는 보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container 200 and the lower container 100 may be separated and transported or stored separately.

상기 제2난간(700)이 접힌 상태이므로 상기 하층컨테이너(100)의 천장 위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문제들이 해결된다. Since the second handrail 700 is in a folded state, it is not exposed above the ceiling of the lower container 100, so conventional problems are solved.

간격이 있는 경우, 상기 제2고정수단(800) 및 제3고정수단(900)을 해체하고, 상기 제1고정수단(750)도 제거한 후 상기 제2난간(700)을 접어서 상기 제2계단(600)에 포갠다.If there is a gap, the second fixing means 800 and the third fixing means 900 are dismantled, and the first fixing means 750 is also removed, and then the second handrail 700 is folded to the second stairway ( 600).

마찬가지로 상기 제3난간(1100)과 제1난간(500)도 제3계단과 제1계단(400)에 각각 접어서 포갤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층컨테이너(200)와 하층컨테이너(100)를 분리하여 별도로 이송 또는 보관할 수 있다.Similarly, the third handrail 1100 and the first handrail 500 can also be folded and stacked on the third stair and the first stair 40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upper container 200 and the lower container 100 may be separated and transported or stored separately.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application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 informa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se claims.

100 : 하층컨테이너 200 : 상층컨테이너
300 : 발판 310 : 발판지지빔
400 : 제1계단 410 : 계단프레임
500 : 제1난간 510 : 상부수평부재
520 : 하부수평부재 530 : 수직부재
600 : 제2계단 610 : 계단프레임
700 : 제2난간 710 : 상부수평부재
720 : 하부수평부재 730 : 수직부재
740 : 경첩 750 : 제1고정수단
751 : 고정판 752 : 고정볼트
800 : 제2고정수단
810 : 고정구 820 : 고정포스트
830 : 체결구 831 : 체결볼트
832 : 체결너트 833 : 바인딩밴드
834 : 조임구 840 : 마감캡
900 : 제3고정수단
910 : 고정구 920 : 고정포스트
930 : 체결구 940 : 마감캡
1000 : 제4고정수단
1010 : 고정구 1020 : 고정포스트
1030 : 체결구 1040 : 마감캡
1100 : 제3난간 1110 : 상부수평부재
1120 : 하부수평부재 1130 : 수직부재
100: lower container 200: upper container
300: scaffolding 310: scaffolding support beam
400: first stair 410: stair frame
500: first handrail 510: upper horizontal member
520: lower horizontal member 530: vertical member
600: second stair 610: stair frame
700: second handrail 710: upper horizontal member
720: lower horizontal member 730: vertical member
740: hinge 750: first fixing means
751: fixing plate 752: fixing bolt
800: second fixing means
810: fixture 820: fixing post
830: fastener 831: fastening bolt
832: fastening nut 833: binding band
834: fastener 840: closing cap
900: third fixing means
910: fixture 920: fixing post
930: fastener 940: closing cap
1000: 4th fixing means
1010: fixture 1020: fixing post
1030: fastener 1040: closing cap
1100: 3rd handrail 1110: upper horizontal member
1120: lower horizontal member 1130: vertical member

Claims (13)

하층컨테이너와, 상기 하층컨테이너의 상부에 결합되어 복층을 형성하는 상층컨테이너와, 상기 하층컨테이너의 내부 일측면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발판과, 상기 하층컨테이너의 바닥에서 상기 발판까지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계단과, 상기 발판에서 상기 상층컨테이너의 바닥까지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2계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임시가설 교실용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제1계단의 일측은 상기 하층컨테이너의 일측 내벽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제1난간이 결합되며,
상기 제2계단의 일측은 상기 하층컨테이너의 타측 내벽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접었다 펼칠 수 있도록 제2난간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가설 교실용 계단 일체형 컨테이너.
A lower container, an upper contain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container to form a double layer, a scaffolding horizontally coupled to one inner side of the lower container, and a first provided inclin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lower container to the scaffolding In the temporary temporary classroom container comprising a staircase and a second staircase inclined upward from the scaffolding to the bottom of the upper container,
One side of the first stair is coupled to one inner wall of the lower container, and a first handrail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ne side of the second staircase is coupled to the inner wall of the other side of the lower container, and the second handrail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so that it can be folded and unfol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난간은,
상측과 하측으로 이격되어 경사지게 구비되는 상부 수평부재 및 하부수평부재와, 상기 상부수평부재와 하부수평부재 사이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수직부재와, 상기 제2계단에 상기 하부수평부재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경첩과, 상기 제2계단에 상기 하부수평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1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가설 교실용 계단 일체형 컨테이너.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railing,
An upper horizontal member and a lower horizontal member provided inclined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upwards and downwards, a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vertically coupled between the upper horizontal member and the lower horizontal member, and the lower horizontal member being rotatable on the second stair. A stair-integrated container for a temporary temporary classroo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inge that is coupled to the second stair and a first fixing means capable of fixing the lower horizontal member to the second stai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난간의 상부와 상기 제2난간의 하부 사이에 간격이 없는 경우, 서로 결합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컨테이너 조립식 간이교실.
According to claim 2,
When there is no gap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handrail and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handrail, a multi-story container prefabricated simple classroom, characterized in that fixed by combining with each oth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계단의 상부에는 상기 제2난간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제4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가설 교실용 계단 일체형 컨테이너.
According to claim 2,
A stair-integrated container for temporary temporary classrooms, characterized in that a fourth fixing means for fixing the second handrail is further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taircas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컨테이너의 바닥에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3계단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3난간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제3난간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제4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가설 교실용 계단 일체형 컨테이너.
According to claim 2,
For a temporary temporary classroom, characterized in that a fourth fixing means for fixing the third handrail is further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third handrail coupled to one side of the third staircase inclin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upper container. Stair-integrated contain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고정수단은,
파이프 형상을 이루고 하단이 상기 제2계단의 상부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고정포스트와, 상기 제2난간을 상기 고정포스트에 체결시키는 체결구 및 상기 고정포스트의 상단을 덮는 마감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가설 교실용 계단 일체형 컨테이너.
According to claim 4,
The fourth fixing means,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fixing post having a pipe shape and a lower end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taircase, a fastener for fastening the second handrail to the fixing post, and a closing cap covering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ost. A stair-integrated container for temporary temporary classroom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난간의 상부와 상기 제2난간의 하부 사이에 간격이 있는 경우, 그 사이에는 상기 제2난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2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가설 교실용 계단 일체형 컨테이너.
According to claim 2,
When there is a gap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handrail and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handrail, a second fixing means is further provided to fix the second handrail between them. contain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수단은,
상기 발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중공형상의 고정구와, 파이프 형상을 이루고 하단이 상기 고정구에 삽입되는 고정포스트와, 상기 제2난간 및 제1난간을 상기 고정포스트에 체결시키는 체결구 및 상기 고정포스트의 상단을 덮는 마감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가설 교실용 계단 일체형 컨테이너.
According to claim 7,
The second fixing means,
A hollow fixture fixed to one edge of the scaffold, a pipe-shaped fixing post having a lower end inserted into the fixture, a fastener for fastening the second handrail and the first handrail to the fixing post, and the fixing post A stair-integrated container for a temporary temporary classroo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losing cap covering the top of th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제2난간과 고정포스트를 관통하고, 상기 제1난간과 고정포스트를 관통하는 체결볼트 및 상기 고정포스트의 내부에서 상기 체결볼트와 각각 체결시키는 체결너트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가설 교실용 계단 일체형 컨테이너.
According to claim 8,
The fastener may be composed of a fastening bolt penetrating the second handrail and the fixing post, penetrating the first handrail and the fixing post, and a fastening nut respectively fastened with the fastening bolt inside the fixing post. A stair-integrated container for temporary temporary classroom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제2난간, 고정포스트, 제1난간을 둘러싸면서 바인딩시키는 바인딩밴드와, 상기 바인딩밴드의 단부를 서로 연결 및 조여주는 조임구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가설 교실용 계단 일체형 컨테이너.
According to claim 8,
The fastener is a stair integral type for temporary temporary classroom,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composed of a binding band that surrounds and binds the second handrail, the fixing post, and the first handrail, and a fastener that connects and tightens the ends of the binding band to each other. contain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컨테이너의 바닥에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3계단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3난간의 하부와 상기 제2난간의 상부 사이에는 상기 제3난간과 제2난간을 서로 고정시키는 제3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가설 교실용 계단 일체형 컨테이너.
According to claim 2,
A thir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third handrail and the second handrail to each other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third handrail coupled to one side of the third stairway inclin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upper container and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handrail. Stair-integrated container for temporary temporary classroom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고정수단은,
상기 상층컨테이너의 바닥에 고정되는 중공형상의 고정구와, 파이프 형상을 이루고 하단이 상기 고정구에 삽입되는 고정포스트와, 상기 제2난간 및 제3난간을 상기 고정포스트에 체결시키는 체결구 및 상기 고정포스트의 상단을 덮는 마감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가설 교실용 계단 일체형 컨테이너.
According to claim 11,
The third fixing means,
A hollow fixture fix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container, a pipe-shaped fixing post having a lower end inserted into the fixture, a fastener fastening the second handrail and the third handrail to the fixing post, and the fixing post A stair-integrated container for a temporary temporary classroo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losing cap covering the top of the.
제 1 항 또는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난간은 접었다 펼칠 수 있도록 상기 제1계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가설 교실용 계단 일체형 컨테이너.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or 12,
The first handrail is a stair-integrated container for temporary temporary classrooms, characterized in that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tair so that it can be folded and unfolded.
KR1020220019777A 2022-02-15 2022-02-15 The container for the temporary classroom in which the stairs is unified inside KR1026543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777A KR102654377B1 (en) 2022-02-15 2022-02-15 The container for the temporary classroom in which the stairs is unified insi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777A KR102654377B1 (en) 2022-02-15 2022-02-15 The container for the temporary classroom in which the stairs is unified ins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925A true KR20230122925A (en) 2023-08-22
KR102654377B1 KR102654377B1 (en) 2024-04-04

Family

ID=87799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9777A KR102654377B1 (en) 2022-02-15 2022-02-15 The container for the temporary classroom in which the stairs is unified insi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377B1 (en)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518Y1 (en) * 1997-11-11 2000-01-15 김시환 Handrail for staircase
KR200200410Y1 (en) 2000-05-22 2000-10-16 태송산업주식회사 Construction of container
JP2000356018A (en) * 1999-06-17 2000-12-26 Sawada Seisakusho:Kk Handrail device for stairway of revetment
KR200425116Y1 (en) 2006-06-12 2006-08-29 박혜영 A prefabricated container classroom
KR20140105071A (en) * 2013-02-21 2014-09-01 이재연 Assembly type ladder for booth
KR101506445B1 (en) 2014-08-19 2015-03-30 주식회사 성신 Ceiling raise environmental improvement open type corridor classroom for container
KR101672305B1 (en) 2016-06-07 2016-11-03 진우건철(주) Class room container having support for load distribution
KR20160129795A (en) * 2016-10-20 2016-11-09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The prefabricated stair structure and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852139B1 (en) * 2017-05-08 2018-04-25 김현구 Handrail for stairs
KR20210121703A (en) * 2020-03-31 2021-10-08 김현구 Stair rail structure in which the staircase width becomes narrow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518Y1 (en) * 1997-11-11 2000-01-15 김시환 Handrail for staircase
JP2000356018A (en) * 1999-06-17 2000-12-26 Sawada Seisakusho:Kk Handrail device for stairway of revetment
KR200200410Y1 (en) 2000-05-22 2000-10-16 태송산업주식회사 Construction of container
KR200425116Y1 (en) 2006-06-12 2006-08-29 박혜영 A prefabricated container classroom
KR20140105071A (en) * 2013-02-21 2014-09-01 이재연 Assembly type ladder for booth
KR101506445B1 (en) 2014-08-19 2015-03-30 주식회사 성신 Ceiling raise environmental improvement open type corridor classroom for container
KR101672305B1 (en) 2016-06-07 2016-11-03 진우건철(주) Class room container having support for load distribution
KR20160129795A (en) * 2016-10-20 2016-11-09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The prefabricated stair structure and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852139B1 (en) * 2017-05-08 2018-04-25 김현구 Handrail for stairs
KR20210121703A (en) * 2020-03-31 2021-10-08 김현구 Stair rail structure in which the staircase width becomes narr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377B1 (en)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7718B2 (en) Modular building
US6625937B1 (en) Modular building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8745931B2 (en) Method of assembling emergency shelter panels including a bed platform
US20130074424A1 (en) Building system and method
US20080110484A1 (en) Kit of parts for an erectable shelter and a shelter made therefrom
US20070084135A1 (en) Construction system for steel-frame buildings
US20220220725A1 (en) Folding Beam Systems
US11718984B2 (en) Liftable foldable transportable buildings
US11739547B2 (en) Stackable foldable transportable buildings
US20100058689A1 (en) Modular building for deployment in disaster regions
US20230383522A1 (en) Foldable transportable buildings
KR102654377B1 (en) The container for the temporary classroom in which the stairs is unified inside
US20220220721A1 (en) Enclosure Component Panel Sections
US20220220737A1 (en) Sheet/Panel Design for Enclosure Component Manufacture
KR101086060B1 (en) Prefebrication module
KR20050046439A (en) Connecting apparatus for modular house
JP7426974B2 (en) Stairway construction method and stairway structure
US20220220726A1 (en) Wall Component Appurtenances
AU2022264681B2 (en) Foldable transportable buildings
WO1994003689A1 (en) Shelter apparatus
JPS6018779B2 (en) block build architectural structure
AU2022268186A1 (en) Wall component appurtenances
RU2800657C2 (en) Modular building
EP4278048A1 (en) Folding beam systems
WO2022154855A1 (en) Folding beam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