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2316A -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식기 건조 및 관리를 위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식기 건조 및 관리를 위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2316A
KR20230122316A KR1020220018825A KR20220018825A KR20230122316A KR 20230122316 A KR20230122316 A KR 20230122316A KR 1020220018825 A KR1020220018825 A KR 1020220018825A KR 20220018825 A KR20220018825 A KR 20220018825A KR 20230122316 A KR20230122316 A KR 20230122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hwasher
door
reference point
dishes
push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8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준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8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2316A/ko
Priority to PCT/KR2022/006610 priority patent/WO2022240113A1/ko
Priority to EP22807761.6A priority patent/EP4338652A1/en
Publication of KR20230122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231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8Connections of the tub with the ambient air,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34Drying phases, including dripping-off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36Arrangements to sterilize or disinfect dishes or washing liquids
    • A47L15/4242Arrangements to sterilize or disinfect dishes or washing liquids by using ultraviolet gen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meshing gear wheels, one of which being mounted at the wing pivot axis; operated by a motor acting directly on the wing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 E05Y2201/704Worm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dishwasher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식기 건조 및 관리를 위한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제어 방법은, 세척 행정에 따라 발생한 열기를 이용하여, 식기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단계; 상기 식기 세척기의 도어를 일부 개방하여, 상기 식기 세척기의 외부로 수증기를 배출하는 단계; 상기 식기 세척기의 내부로 정화 열풍을 유입시켜, 상기 식기를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일부 개방된 도어를 폐쇄하는 단계; 및 소정의 주기로 상기 식기 세척기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식기 건조 및 관리를 위한 제어 방법 {DISH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DRYING AND CARING DISHES IN THE DISHWASHER}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식기 세척기의 식기를 건조하고 보관하는 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는 내부에 수납된 식기에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세척한 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식기 세척기는 식기가 수납되는 세척조 내부에 세척수가 고압으로 분사되고, 분사되는 세척수가 식기에 닿아서 식기 표면에 묻어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세척되도록 작동한다. 식기 세척기는 이러한 동작을 위한 제어 명령 및 제어 과정에 해당하는 행정에 따라 식기의 세척, 건조 및 보관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세척, 또는 건조 등이 완료된 이후에 도어(door)가 닫힌 상태로 작동이 중지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특정 행정이 종료된 이후에 세척조 내부에 남아 있는 습기로 인해 냄새가 발생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상술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특정 행정이 종료된 이후에 발생한 습기를 토출시키고 식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를 식기 세척기에 추가로 구성하는 방식이 착안되었다. 그러나, 해당 방식은 습기를 토출시키고 식기를 건조시키 위해 공기를 공급하면, 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좁아 도어가 개방된 상태보다 높은 압력을 발생 시켜야 하여 소음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추가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식기 세척기의 전력 소모가 커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상술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식기 세척기의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방식이 착안되었다. 그러나, 도어의 제어가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방식은 습기를 토출시킨 이후에 도어를 다시 닫지 않아 식기가 재오염 되는 문제나 도어의 개폐 상태가 정확히 파악되지 못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이는 사고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식기의 효과적인 건조 및 보관을 위해서는, 전술한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9887호(2010.01.29.)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식기 세척기의 식기의 건조 및 보관 과정에 공기가 원활히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개시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를 근거로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세척 행정에 따라 발생한 열기를 이용하여, 식기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단계; 상기 식기 세척기의 도어(door)를 일부 개방하여, 상기 식기 세척기의 외부로 수증기를 배출하는 단계; 상기 식기 세척기의 내부로 정화 열풍을 유입시켜, 상기 식기를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일부 개방된 도어를 폐쇄하는 단계; 및 소정의 주기로 상기 식기 세척기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세척 행정에 따라 발생한 열기를 이용하여, 상기 식기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단계는, 세척 행정이 완료된 이후, 소정의 시간 동안 전체 행정을 멈추고, 상기 세척 행정에 따라 발생한 열기를 이용하여 상기 식기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식기 세척기의 도어를 일부 개방하여, 상기 식기 세척기의 외부로 수증기를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푸쉬 바의 움직임에 따른 센서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도어가 일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푸쉬 바의 움직임에 따른 센서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푸쉬 바가 제 1 기준점을 이탈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준점과 상이한 제 2 기준점을 기초로, 상기 푸쉬 바의 움직임에 따른 센서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기준점과 상이한 제 3 기준점을 기초로, 상기 푸쉬 바가 결합 가능한 이동 부재의 움직임에 따른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도어가 일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기준점에 대한 이탈 여부를 감지한 결과, 및 상기 제 2 기준점에 기반한 신호의 변화를 감지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기준점에 기반한 신호의 변화를 감지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판단을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정화 열풍은, 열풍을 생성하기 위한 히터(heater) 및 상기 열풍을 정화시키기 위한 필터(filter)를 포함하는 공기 공급부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식기 세척기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소정의 주기로 상기 식기 세척기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키는 단계는, 상기 소정의 주기에 맞춰, 정화 열풍을 이용한 제 1 환기 행정, 또는 자연 건조를 이용한 제 2 환기 행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 1 환기 행정은, 상기 식기 세척기의 내부로 상기 정화 열풍을 유입시켜, 상기 식기 세척기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행정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 2 환기 행정은, 상기 도어를 일부 개방하여, 상기 식기 세척기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행정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식기로 자외선을 방사하여, 상기 식기를 살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가 개시된다. 상기 식기 세척기는, 열풍을 생성하기 위한 히터 및 상기 열풍을 정화시키기 위한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 공급부; 및 식기의 건조 및 관리를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세척 행정이 완료된 이후, 식기의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해, 소정의 시간 동안 전체 행정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기 세척기의 외부로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식기 세척기의 도어를 일부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기를 건조시키기 위해, 상기 식기 세척기의 내부로 상기 공기 공급부에 의해 생성된 정화 열풍을 유입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주기로 상기 식기 세척기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를 개폐하기 위한 푸쉬 바의 움직임에 따른 센서 신호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도어가 일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푸쉬 바가 제 1 기준점을 이탈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기준점과 상이한 제 2 기준점을 기초로, 상기 푸쉬 바의 움직임에 따른 센서 신호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기준점과 상이한 제 3 기준점을 기초로, 상기 푸쉬 바가 결합 가능한 이동 부재의 움직임에 따른 신호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기준점에 대한 이탈 여부를 감지한 결과, 및 상기 제 2 기준점에 기반한 신호의 변화를 감지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기준점에 기반한 신호의 변화를 감지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판단을 검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기 세척기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 상기 소정의 주기에 맞춰, 정화 열풍을 이용한 제 1 환기 행정, 또는 자연 건조를 이용한 제 2 환기 행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식기로 자외선을 방사하는 살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의 식기의 건조 및 보관 과정에 공기가 원활히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일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식기 건조 및 관리를 위한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구비된 공기 공급부를 나타낸 후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공급부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도어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일부 개방을 위한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본 개시에서 제시된 실시예들은 당업자가 본 개시의 내용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즉,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면 부호는 생략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또는" 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 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본 개시에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그 의미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그 의미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 는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혹은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로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개념들 중 하나 이상의 개념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 이라는 용어는, 특정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 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다른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에 대한 조합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 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 N(N은 자연수)" 이라는 용어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을 기능적 관점, 구조적 관점, 혹은 설명의 편의 등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호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서 서로 다른 기능적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은 제 1 구성요소 혹은 제 2 구성요소로 구별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되어야 하는 구성요소들도 제 1 구성요소 혹은 제 2 구성요소로 구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 "모듈(module)", 또는 "부(unit)" 는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software) 혹은 그 일부, 하드웨어(hardware) 혹은 그 일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 등과 같은 자원을 처리하는 독립적인 기능 단위를 지칭하는 용어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모듈" 또는 "부"는 단일 요소로 구성된 단위일 수도 있고, 복수의 요소들의 조합 혹은 집합으로 표현되는 단위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협의의 개념으로서 "모듈" 또는 "부"는 장치의 하드웨어 요소 또는 그 집합, 소프트웨어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실행을 통해 구현되는 처리 과정(procedure), 또는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명령어 집합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광의의 개념으로서 "모듈" 또는 "부"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 그 자체, 또는 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그 자체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개념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므로, "모듈" 또는 "부"의 개념은 본 개시의 내용을 기초로 당업자가 이해 가능한 범주에서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연결" 이라는 용어는,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 하는 경우와,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전술한 용어의 설명은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용어를 본 개시의 내용을 한정하는 사항으로 명시적으로 기재하지 않은 경우, 본 개시의 내용을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일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000)는 도어(door)(10), 도어(10)의 개폐 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한 푸쉬 바(push bar)(310), 푸쉬 바(310)와 결합 가능한 이동 부재(320), 및 상기 푸쉬 바(310)의 움직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기 세척기(1000)는 푸쉬 바(310)가 제 1 기준점을 이탈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센서(210), 제 1 기준점과 상이한 제 2 기준점을 기초로 푸쉬 바(310)의 움직임에 따른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센서(220), 및 제 2 기준점과 상이한 제 3 기준점을 기초로 푸쉬 바(310)가 결합 가능한 이동 부재(320)의 움직임에 따른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제 3 센서(2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푸쉬 바(310)는 이동 부재(320)에 결합되어 구동부(400)에서 제공하는 동력을 기초로 도어(10)의 안정적인 개폐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어(10)가 폐쇄될 때, 푸쉬 바(310)는 도어(10)의 결합 보스와 접촉한 상태에서 도어(10)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식기 세척기(1000) 내부로 결합 보스를 안내할 수 있다. 도어(10)가 개방될 때, 푸쉬 바(310)는 도어(10)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도어(10)의 결합 보스를 외부로 탄발적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동 부재(320)는 푸쉬 바(310) 이외에도 도어(10)의 개폐를 위해 움직임이 필요한 기타 구성들과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센서(210)는 제 1 기준점을 기초로 나타나는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여, 도어(10)의 개폐를 위해 푸쉬 바(310)가 제 1 기준점을 이탈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 1 센서(210)는 제 1 기준점에 배치되어 도어(10)의 개폐 상태 및 푸쉬 바(310)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푸쉬 바(310)의 후측방 영역을 스크리닝(screening)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센서(210)는 제 1 기준점에 대한 푸쉬 바(310)의 접촉 유무를 감지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준점은 도어(10)가 폐쇄된 상태일 때 푸쉬 바(310)가 위치한 지점으로서, 푸쉬 바(310)의 후측방 일 영역에 대응되는 고정 지점일 수 있다. 도어(10)가 폐쇄되어 푸쉬 바(310)가 움직이지 않는 안정된 상태일 때, 푸쉬 바(310)는 제 1 기준점에 접촉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제 1 센서(210)는 푸쉬 바(310)가 제 1 기준점에 접촉한 상태인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도어(10)가 개방되거나 푸쉬 신호가 입력되는 등 푸쉬 바(310)가 동작하는 상태일 때, 푸쉬 바(310)는 제 1 기준점에 비접촉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제 1 센서(210)는 푸쉬 바(310)가 제 1 기준점에 비접촉한 상태인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제 1 센서(210)의 종류 및 감지 동작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므로, 제 1 기준점에 대한 푸쉬 바(310)의 이탈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는 모두 제 1 센서(21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센서(220)는 제 1 기준점과 상이한 제 2 기준점을 기초로 나타나는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여, 도어(10)의 개폐를 위해 푸쉬 바(310)가 어떠한 동작 상태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제 2 센서(220)는 제 2 기준점에 배치되어 도어(10)의 개폐 상태 및 푸쉬 바(310)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푸쉬 바(310)의 측방 영역을 스크리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센서(220)는 제 2 기준점을 기초로, 푸쉬 바(310)의 움직임에 따른 광 신호의 차단 여부를 감지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기준점은 푸쉬 바(310)의 측방 일 영역에 대응되는 고정 지점일 수 있다. 도어(10)의 개폐를 위해 푸쉬 바(310)가 움직임에 따라, 제 2 기준점으로 광 신호가 입력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푸쉬 바(310)의 동작에 따른 광 신호의 입력 혹은 차단은 도 3을 통해 구체적으로 후술할 푸쉬 바(310)의 측벽 구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 2 센서(220)는 제 2 기준점에 대한 광 신호의 입력 혹은 차단을 감지하고, 입력 혹은 차단에 따른 광신호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제 2 센서(220)의 종류 및 감지 동작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므로, 접촉 스위치와 같이 제 2 기준점에 대한 신호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는 모두 제 2 센서(22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3 센서(230)는 제 1 기준점 및 제 2 기준점과 상이한 제 3 기준점을 기초로 나타나는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여, 도어(10)의 개폐를 위해 푸쉬 바(310)가 어떠한 동작 상태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제 3 센서(230)는 제 3 기준점에 배치되어 도어(10)의 개폐 상태 및 푸쉬 바(310)의 동작 상태를 검증하기 위해 이동 부재(320)의 측방 영역을 스크리닝 할 수 있다. 즉, 제 1 센서(210) 및 제 2 센서(220)와는 달리, 제 3 센서(230)는 푸쉬 바(310)가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이동 부재(320)의 움직임을 기초로 제 3 기준점에 대한 신호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는 제 3 센서(230)의 감지 결과가 제 1 센서(210) 및 제 2 센서(220)의 감지 결과를 이중 확인하기 위해 보조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예를 들어, 제 3 센서(230)는 제 3 기준점을 기초로, 이동 부재(320)의 움직임에 따른 접촉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기준점은 푸쉬 바(310)가 결합된 이동 부재(320)의 측방 일 영역에 대응되는 고정 지점일 수 있다. 도어(10)의 개폐를 위해 푸쉬 바(310)가 움직임에 따라, 푸쉬 바(310)와 결합된 이동 부재(320) 또한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어(10)가 폐쇄되어 푸쉬 바(310) 및 이동 부재(320)가 움직이지 않는 안정된 상태일 때, 이동 부재(320)는 제 3 기준점에 접촉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제 3 센서(230)는 이동 부재(320)가 제 3 기준점에 접촉한 상태인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도어(10)가 개방되거나 푸쉬 신호가 입력되는 등 푸쉬 바(310) 및 이동 부재(320)가 동작하는 상태일 때, 이동 부재(320)는 제 3 기준점에 접촉한 상태와 제 3 기준점에 비접촉한 상태가 변화하는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제 3 센서(230)는 이동 부재(320)의 제 3 기준점에 대한 접촉 상태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제 3 센서(230)의 종류 및 감지 동작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므로, 제 3 기준점에 대한 신호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는 모두 제 3 센서(23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식기 세척기(1000)는 식기 건조 및 관리를 위한 제어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100)는 식기의 건조를 위해 열풍을 식기 세척기(100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공급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100)는 식기의 건조 및 관리를 위한 행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100)는 식기에 존재하는 세균 등을 제거하기 위한 살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므로, 상기 개시된 구성들 중 일부만이 본 개시의 장치(1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제 1 센서(210), 제 2 센서(220), 및 제 3 센서(230) 등과 같은 구성도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공급부(110)는 식기 세척기(1000)의 외부 공기를 정화시켜 생성된 열풍을 식기 세척기(100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즉, 공기 공급부(110)는 정화 열풍을 식기 세척기(1000) 내부로 유입시켜 증발 작용을 통해 식기를 건조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공급부(110)는 열풍을 생성하기 위한 히터(heater) 및 열풍을 정화시키기 위한 필터(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는 식기 세척기(1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기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가열할 수 있다. 필터는 식기 세척기(10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존재하는 미세먼지, 혹은 각종 입자를 제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식기의 세척 이후 건조 및 보관 중 관리를 위한 행정을 전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세척 행정이 종료된 이후에 식기 세척기(1000)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들을 제어하고 건조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식기가 보관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냄새 발생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어부(120)는 건조 행정이 종료된 이후에 구성들을 제어하여 식기 세척기(100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정화시키거나 외부로 순환시키는 환기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 행정이 완료된 이후, 제어부(120)는 식기의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해, 소정의 시간 동안 전체 행정을 정지시킬 수 있다. 제어부(120)는 식기 세척기(1000)의 외부로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해, 식기 세척기(1000)의 도어(10)가 일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식기를 건조시키기 위해, 식기 세척기(1000)의 내부로 공기 공급부(110)에 의해 생성된 정화 열풍을 유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소정의 주기로 식기 세척기(1000)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살균부(130)를 동작시켜 식기가 건조되거나 식기 세척기(1000)의 내부 공기가 환기되는 과정에서 식기에 존재하는 세균 등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제 1 센서(210), 제 2 센서(220), 또는 제 3 센서(230)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도어(10)의 개폐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제 1 센서(210) 및 제 2 센서(220)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도어(10)의 개폐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제 3 센서(230)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제 1 센서(210) 및 제 2 센서(220)의 감지 결과에 기반한 판단을 검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20)는 제 1 센서(210) 및 제 2 센서(220)의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도어(10)의 개폐 상태를 우선적으로 판단하고, 제 3 센서(230)의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앞선 판단이 정확한지를 재확인할 수 있다. 도어(10)의 폐쇄, 도어(10)의 개방, 도어(10)의 일부 개방, 도어(10)의 강제 개방 등과 같은 도어(10)의 개폐 상태에 맞추어 도어(10)를 정확히 제어하기 위해서는, 도어(10)의 개폐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도어(10)의 개폐 상태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 하고자, 제어부(120)는 제 1 센서(210) 및 제 2 센서(220)를 도어(10)의 개폐 상태에 대한 메인(main) 판단을 수행하는데 활용하고, 제 3 센서(230)를 보조적인 검증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 제어부(120)는 제 2 센서(220)를 도어(10)의 개폐 상태에 대한 메인 판단을 수행하는데 활용하고, 제 1 센서(210) 및 제 2 센서(130)를 보조적인 검증 수단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센서들(210, 220, 230)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도어(10)의 개폐 상태에 대한 판단 및 검증을 수행하고, 구동부(400)를 동작시켜 도어(1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외부 입력 신호에 의해 도어(10)가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되어야 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구동부(400)를 동작시켜 푸쉬바(210) 및 이동부재(220)를 도어(10)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센서들(210, 220, 230)을 통해 감지된 결과를 기초로 도어(10)의 개폐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도어(10)가 정확히 개방 상태가 되도록 구동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센서들(210, 220, 230)의 감지 결과에 기반한 판단 및 검증과 동시에 구동부(400)를 통해 도어(1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컴퓨팅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구성 단위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식기의 건조 및 관리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센서들(210, 220, 230)의 감지 결과를 분석하고, 도어(10)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며, 도어(10)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12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범용 그래픽 처리 장치(GPGPU: general purpose graphics processing unit), 텐서 처리 장치(TPU: tensor processing unit),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혹은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어부(120)의 종류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므로, 제어부(120)의 종류는 본 개시의 내용을 기초로 당업자가 이해 가능한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부(130)는 식기로 자외선을 방사하여 식기에 존재하는 세균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살균부(130)는 식기 세척기(1000)가 보관되는 터브(tub)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부(130)는 자외선 살균 파장인 UV-C를 방출하는 램프(lamp) 혹은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식기 건조 및 관리를 위한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세척 행정을 따라 발생한 열기를 이용하여 식기의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다(S110). 예를 들어, 세척 행정이 종료되면, 제어부(120)는 소정의 시간 동안 전체 행정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식기세척기의 도어(10)는 폐쇄된 상태이므로, 제어부(120)는 세척 행정을 통해 발생한 잔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식기에 남아 있는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세척 행정 이후 제 1 시간 동안 식기 세척기(1000)의 전체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세척 행정에 의해 발생한 열기를 통해 식기에 남아 있는 수분이 증발되는 잠열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 1 시간은 식기 세척기(1000)의 용량, 세척 시간 등에 맞추어 제어 알고리즘 상으로 사전 결정된 시간일 수 있다.
제 1 시간 동안 S110 단계가 수행되고 나면, 제어부(120)는 도어(10)의 일부를 개방하여 외부로 수증기를 배출할 수 있다(S120). 제어부(120)는 도어(10)를 완전히 개방하지 않고 일부만 개방하여 이물질이 식기 세척기(1000)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하면서 동시에 수증기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공기 공급부(110)를 동작시켜 정화 열풍을 식기 세척기(1000) 내부로 유입시키고 식기를 건조시킬 수 있다(S131). 제어부(120)는 미세먼지나 각종 입자가 제거된 정화 열풍을 이용하여 식기에 남아 있는 수분을 빠르게 증발시키고 식기가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S110 단계 이후 제 2 시간 동안 도어(10)의 일부를 개방하고 정화 열풍을 식기 세척기(1000) 내부로 유입시켜, S110 단계가 수행된 후 남아 있는 수증기를 빠른 속도로 배출하고, 열풍을 통해 그릇의 잔여 수분을 효율적으로 증발시킬 수 있다. 이때, 제 2 시간은 식기 세척기(1000)에 보관된 식기의 용량, 식기 세척기(1000) 내부의 습도 등에 맞추어 제어 알고리즘 상으로 사전 결정된 시간일 수 있다.
한편, S120 단계 및 S131 단계가 수행되는 과정에서, 제어부(120)는 살균부(130)를 통해 식기로 자외선을 방사하여 식기를 건조시킬 수 있다. S120 단계 및 S131 단계가 수행되는 과정에서 발생할지도 모를 세균에 의한 오염 문제를 차단하기 위해, 제어부(120)는 110 단계 이후 제 2 시간 동안 식기로 자외선을 방출하여 식기에 존재할 수도 있는 세균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살균부(130)를 이용하여 세척 행정 이후 건조 행정(S120 단계 및 S131 단계를 포함)이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세척 행정 이후 건조 행정이 제 2 시간 동안 수행되고 나면, 제어부(120)는 S131 단계(정화 열풍 유입) 및 S132 단계(자외선 방사)를 정지하고, 일부 개방된 도어(10)를 폐쇄할 수 있다(S140). 제어부(120)는 건조 행정이 완료된 이후에 식기를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서 일부 개방된 도어(10)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건조 행정 이후 일부 개방된 도어(10)를 완전히 폐쇄함으로써, 외부 오염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어(10)가 완전 폐쇄된 이후, 제어부(120)는 도어(10)가 완전히 폐쇄된 이후 소정의 주기가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50). 이때, 소정의 주기는 식기 세척기(1000)에 보관된 식기의 용량, 식기 세척기(1000)의 습도 등에 맞추어 제어 알고리즘 상으로 사전 결정된 시간일 수 있다. 소정의 주기가 경과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20)는 추가적인 제어 없이 소정의 주기가 경과했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소정의 주기가 경과한 경우, 제어부(120)는 식기 세척기(1000)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환기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S161, S162). 도어(10)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 식기가 지속적으로 보관되는 경우, 식기 세척기(1000)의 내부 공기가 오염되어 식기의 냄새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식기 세척기(1000) 내부를 환기시켜 냄새 발생을 억제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제어부(120)는 식기를 보관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주기가 도래했는지를 주기적으로 판단하여 식기 세척기(1000)의 내부 공기를 정화시키거나 순환시키는 환기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소정의 주기에 맞춰, 정화 열풍을 이용한 제 1 환기 행정, 또는 자연 건조를 이용한 제 2 환기 행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S161, S162). 제 1 환기 행정은 식기 세척기(1000)의 내부로 정화 열풍을 유입시켜, 식기 세척기(1000)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행정일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공기 공급부(110)를 동작시켜 정화 열풍을 내부로 유입시켜 식기 세척기(1000)의 내부 공기를 정화하는 제 1 환기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S161). 제어부(120)는 제 1 환기 행정 과정에서 공기 공급부(110)에 포함된 덕트(duct)를 통해 식기 세척기(1000)의 내부 공기를 일부 배출시킬 수도 있다. 제 2 환기 행정은 도어(10)를 일부 개방하여, 식기 세척기(1000)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행정일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도어(10)를 일부 개방시켜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순환 과정을 통해 자연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 2 환기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S162). 제어부(120)는 사전 결정된 조건에 따라 제 1 환기 행정 또는 제 2 환기 행정 중 적어도 하나를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10)가 폐쇄된 이후 소정의 주기가 도래하면, 제어부(120)는 제 1 환기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 1 환기 행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공기 공급부(110)에 이상이 발생하여 제대로 동작하지 못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제 1 환기 행정과 함께 제 2 환기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환기 행정 방식은 하나의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를 기초로 상술한 본 개시의 제어 방법은, 건조 행정 과정에서, 습기 배출을 원활하게 하여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종래 대비 낮은 압력의 열풍 공급으로 저소음 및 저전력으로도 식기를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를 기초로 상술한 본 개시의 제어 방법은, 건조 행정 후 식기를 보관하고 관리하는 행정에서, 외부 오염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깨끗한 공기로 식기세척기 내부를 주기적으로 환기함으로써, 식기의 재오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구비된 공기 공급부를 나타낸 후방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공급부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공급부(110)는 식기 세척기(1000)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즉, 공기 공급부(110)는 식기 세척기(1000)의 후방에 장착되어 식기 세척기(1000)의 건조 행정 과정에서 깨끗한 열풍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도 3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식기 세척기(1000)의 후방에 공기 공급부(110)의 보호를 위한 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공급부(110)는 식기 세척기(1000) 내부로 공급될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 필터(111), 식기 세척기(1000) 내부로 공급될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12), 식기 세척기(1000) 내부로 공급될 공기의 유동 운동을 발생시키는 임펠러(impeller)(113), 임펠러의 동작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motor)(114), 및 식기 세척기(1000) 내부 혹은 외부로 공급될 공기가 흐르는 통로인 덕트(duct)(115)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공급부(110)는 모터(114)를 이용하여 임펠러(113)를 동작시켜 식기 세척기(1000) 내부로 공급될 공기의 흐름을 공기 공급부(110) 내부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임펠러(113)에 의해 만들어진 공기 흐름에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공기 필터(111)를 거쳐 정화되고, 히터(112)를 통해 가열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성된 정화 열풍은 덕트(115)를 거쳐 식기 세척기(1000) 내부로 공급되어 식기를 건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도 4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므로, 상기 개시된 구성들 중 일부만이 본 개시의 공기 공급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도어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그리고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일부 개방을 위한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건조 행정 혹은 환기 행정을 위해 식기 세척기(1000)의 도어(10)를 일부 개방시킬 수 있다. 도어(10)의 일부가 개방된다는 것은,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정도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도어(10)가 개방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가 세척 행정에 의해 발생한 열기로 식기를 건조시키는 행정, 공기 공급부(110)를 통해 유입되는 정화 열풍을 이용하여 식기를 건조시키는 행정, 혹은 제 2 환기 행정 등을 수행하는 경우, 도어(10)는 도 5와 같이 내부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는 정도의 틈을 형성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10)의 개방 정도는 푸쉬 바(310) 및 구동부(400) 등의 식기 세척기(1000)에 포함된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2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도어(10)의 일부 개방 상태를 판단하고 제어하기 위해서, 제 1 센서(210)는 도어(10)를 개폐하기 위한 푸쉬 바(310)가 제 1 기준점을 이탈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211). 또한, 제 2 센서(220)는 제 1 기준점과 상이한 제 2 기준점을 기초로, 푸쉬 바(310)의 움직임에 따른 신호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S212). 또한, 제 3 센서(230)는 제 2 기준점과 상이한 제 3 기준점을 기초로, 푸쉬 바(310)가 결합 가능한 이동 부재(320)의 움직임에 따른 신호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S213). S211 내지 S213 단계는 도 9와 같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S211 단계의 결과, S212 단계의 결과, 또는 S213 단계의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도어(10)의 일부 개방 상태를 판단하고 검증할 수 있다(S220).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식기 세척기(1000)가 특정 행정일 때, 제 1 센서(210)를 통해 푸쉬 바(310)가 제 1 기준점을 이탈한 것으로 감지되고, 그리고 푸쉬 바(310)의 움직임에 따라 제 2 센서(220)로 신호가 입력되고 차단되는 주기가 2회 반복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도어(10)가 일부 개방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식기 세척기(1000)가 특정 행정일 때, 이동 부재(320)의 움직임에 따라, 제 3 센서(230)로 신호가 차단되고 입력되는 주기가 2회 반복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일부 개방 상태에 대한 상기 판단이 정확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특정 행정은 세척 행정에 의해 발생한 열기로 식기를 건조시키는 행정, 공기 공급부(110)를 통해 유입되는 정화 열풍을 이용하여 식기를 건조시키는 행정, 혹은 제 2 환기 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들(210, 220, 230)에 의한 감지(S211, S212, S213) 및 제어부(120)의 판단 및 검증(S220)은 제어부(120)가 도어(10)를 일부 개방 시키기 위해 구동부(400)를 제어하는 과정과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제어부(120)가 도어(10)가 일부 개방 상태에 정확히 진입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 및 검증한 경우, 제어부(120)는 판단 및 검증(S220)을 기초로 도어(10)가 정확히 일부 개방 상태가 되도록 구동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추가 실시예와 결합될 수 있고, 상술한 상세한 설명에 비추어 당업자가 이해 가능한 범주에서 변경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도어
100: 식기 세척기의 식기 건조 및 관리를 위한 제어 장치
110: 공기 공급부
120: 제어부
130: 살균부
210: 제 1 센서
220: 제 2 센서
230: 제 3 센서
310: 푸쉬 바
320: 이동 부재
400: 구동부
1000: 식기 세척기

Claims (18)

  1. 식기 세척기의 식기 건조 및 관리를 위한 제어 방법으로서,
    세척 행정에 따라 발생한 열기를 이용하여, 식기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단계;
    상기 식기 세척기의 도어(door)를 일부 개방하여, 상기 식기 세척기의 외부로 수증기를 배출하는 단계;
    상기 식기 세척기의 내부로 정화 열풍을 유입시켜, 상기 식기를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일부 개방된 도어를 폐쇄하는 단계; 및
    소정의 주기로 상기 식기 세척기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행정에 따라 발생한 열기를 이용하여, 상기 식기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단계는,
    세척 행정이 완료된 이후, 소정의 시간 동안 전체 행정을 멈추고, 상기 세척 행정에 따라 발생한 열기를 이용하여 상기 식기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 세척기의 도어를 일부 개방하여, 상기 식기 세척기의 외부로 수증기를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푸쉬 바의 움직임에 따른 센서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도어가 일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푸쉬 바의 움직임에 따른 센서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푸쉬 바가 제 1 기준점을 이탈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준점과 상이한 제 2 기준점을 기초로, 상기 푸쉬 바의 움직임에 따른 센서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기준점과 상이한 제 3 기준점을 기초로, 상기 푸쉬 바가 결합 가능한 이동 부재의 움직임에 따른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도어가 일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기준점에 대한 이탈 여부를 감지한 결과, 및 상기 제 2 기준점에 기반한 신호의 변화를 감지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기준점에 기반한 신호의 변화를 감지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판단을 검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열풍은,
    열풍을 생성하기 위한 히터(heater) 및 상기 열풍을 정화시키기 위한 필터(filter)를 포함하는 공기 공급부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식기 세척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의 주기로 상기 식기 세척기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키는 단계는,
    상기 소정의 주기에 맞춰, 정화 열풍을 이용한 제 1 환기 행정, 또는 자연 건조를 이용한 제 2 환기 행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환기 행정은,
    상기 식기 세척기의 내부로 상기 정화 열풍을 유입시켜, 상기 식기 세척기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행정인 것인,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환기 행정은,
    상기 도어를 일부 개방하여, 상기 식기 세척기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행정인,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로 자외선을 방사하여, 상기 식기를 살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열풍을 생성하기 위한 히터(heater) 및 상기 열풍을 정화시키기 위한 필터(filter)를 포함하는 공기 공급부; 및
    식기의 건조 및 관리를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세척 행정이 완료된 이후, 식기의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해, 소정의 시간 동안 전체 행정을 정지시키고,
    상기 식기 세척기의 외부로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식기 세척기의 도어(door)를 일부 개방하며,
    상기 식기를 건조시키기 위해, 상기 식기 세척기의 내부로 상기 공기 공급부에 의해 생성된 정화 열풍을 유입시키고, 그리고
    소정의 주기로 상기 식기 세척기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키는,
    식기 세척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푸쉬 바의 움직임에 따른 센서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고, 그리고
    상기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도어가 일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식기 세척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푸쉬 바가 제 1 기준점을 이탈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제 1 기준점과 상이한 제 2 기준점을 기초로, 상기 푸쉬 바의 움직임에 따른 센서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며, 그리고
    상기 제 2 기준점과 상이한 제 3 기준점을 기초로, 상기 푸쉬 바가 결합 가능한 이동 부재의 움직임에 따른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는,
    식기 세척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기준점에 대한 이탈 여부를 감지한 결과, 및 상기 제 2 기준점에 기반한 신호의 변화를 감지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고, 그리고
    상기 제 3 기준점에 기반한 신호의 변화를 감지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판단을 검증하는,
    식기 세척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기 세척기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 상기 소정의 주기에 맞춰, 정화 열풍을 이용한 제 1 환기 행정, 또는 자연 건조를 이용한 제 2 환기 행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식기 세척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환기 행정은,
    상기 식기 세척기의 내부로 상기 정화 열풍을 유입시켜, 상기 식기 세척기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행정인 것인,
    식기 세척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환기 행정은,
    상기 도어를 일부 개방하여, 상기 식기 세척기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행정인,
    식기 세척기.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로 자외선을 방사하는 살균부;
    를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220018825A 2021-05-13 2022-02-14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식기 건조 및 관리를 위한 제어 방법 KR2023012231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825A KR20230122316A (ko) 2022-02-14 2022-02-14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식기 건조 및 관리를 위한 제어 방법
PCT/KR2022/006610 WO2022240113A1 (ko) 2021-05-13 2022-05-10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EP22807761.6A EP4338652A1 (en) 2021-05-13 2022-05-10 Dishwasher and dishwasher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825A KR20230122316A (ko) 2022-02-14 2022-02-14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식기 건조 및 관리를 위한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316A true KR20230122316A (ko) 2023-08-22

Family

ID=87799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8825A KR20230122316A (ko) 2021-05-13 2022-02-14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식기 건조 및 관리를 위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231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887A (ko) 2008-07-21 2010-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887A (ko) 2008-07-21 2010-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1294B2 (en) Clean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leaning articles to be cleaned
RU2372016C2 (ru)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CN102368943B (zh) 洗碗机、用于洗碗机的门组件和用于干燥餐具的相关方法
US20170260681A1 (en) A garment care device for drying and sanitizing garments
US20180064840A1 (en) Air purifier
US10709309B2 (en) Dishwasher comprising a drying unit
KR20200065886A (ko)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JP6597891B2 (ja) 空気清浄機
EP3909496A1 (en) Dish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653099A1 (en) Control method for dishwasher, dishwasher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6061345B (zh) 洗碗机、用于洗碗机的门组件和用于烘干餐具的相关方法
CN107854083B (zh) 水槽式洗碗机及其保管控制方法
KR102371733B1 (ko) 전기 소독기
KR20210066413A (ko)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1788769B1 (ko) 비데장치
KR20230122316A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식기 건조 및 관리를 위한 제어 방법
KR20180054004A (ko) 빌트인 신발장
EP4338652A1 (en) Dishwasher and dishwasher control method
KR20140005500U (ko) 젖병 소독건조기
EP2079354B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 dish washing machine
JPH07338A (ja) 食器洗い乾燥機
KR102572092B1 (ko) 스마트 주방 시스템
KR20220150065A (ko) 승강기용 입력버튼의 살균장치
KR102444143B1 (ko) 내부강제순환기능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실험실안전용품함
KR102371732B1 (ko) 전기 소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