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2313A - 압력 차단마개 - Google Patents

압력 차단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2313A
KR20230122313A KR1020220018821A KR20220018821A KR20230122313A KR 20230122313 A KR20230122313 A KR 20230122313A KR 1020220018821 A KR1020220018821 A KR 1020220018821A KR 20220018821 A KR20220018821 A KR 20220018821A KR 20230122313 A KR20230122313 A KR 20230122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groove
ring
stoppe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8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희
Original Assignee
박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희 filed Critical 박준희
Priority to KR1020220018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2313A/ko
Publication of KR20230122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23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5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 차단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장이나 타일 공사시, 혹은 수도관이나 난방관에서 관로의 누수나 수압 검사시 분기지점의 관로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고, 저렴한 비용을 제조할 수 있도록 개선된 압력 차단마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압력 차단마개{pressure shut-off plug}
본 발명은 압력 차단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장이나 타일 공사시, 혹은 수도관이나 난방관에서 관로의 누수나 수압 검사시 분기지점의 관로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고, 저렴한 비용을 제조할 수 있도록 개선된 압력 차단마개에 관한 것이다.
화장실, 싱크대를 비롯한 각종 수전이 필요한 곳에서는 벽면에 수도관이 배관되어 있는 상태에서 미장, 타일 등 건축물의 유지 보수가 이루어진다.
이때, 배관으로부터 물이 분출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차단마개가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관로의 수압을 체크하거나 혹은 누수를 측정 검사할 때에도 분기지점의 관로를 차단하기 위해 차단마개가 사용된다.
이러한 차단마개는 통상 테프론테이프를 나사산에 감아 관로단에 체결하여 씰링하는 방식을 사용했었는데, 테프론테이프를 감기도 불편하고 씰링이 잘 안되며 작업성도 난해하여 지금은 오링을 이용한 씰링방식으로 도 1의 예시와 같은 특수형, 도 2의 예시와 같은 일반형이 통용되고 있다.
예컨대, 도 1의 경우에는 관로단(10)의 내부가 좁아지는 형태에서만 사용될 수 있는 특수형으로서, 관로단(10)의 내경 형상에 맞게 차단마개의 몸체(20) 선단에 견착부(22)가 돌출되고, 상기 견착부(22)의 하측에는 오링홈(24)이 형성되며, 상기 오링홈(24)에는 오링(26)이 끼워져 견착부(22)가 관로단(10)의 내경 경사면에 견착됨과 동시에 오링(26)이 밀착되어 씰링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 구조는 관로단(10)이 특수한 경우에만 사용되므로 범용성이 떨어지고, 특히 견착부(22)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오링(26)을 끼워 넣은 후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오링(26)이 잘 끼워지지 않아 애를 먹는 경우가 많고 그 만큼 현장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 2의 경우에는 관로단(10)의 내경이 좁아지지 않고 통으로 뚫려있는 형태로서 관로단(10)의 선단 둘레에서 오링(26)이 밀폐하는 구조지만, 이 경우에는 오링(26)을 고정할 구조가 없기 때문에 별도의 오링수납링(30)을 갖추어야 하고, 오링수납링(30)을 끼우기 위해 몸체(20)의 선단구조를 변형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 역시 오링(26)을 끼워 넣기가 쉽지 않아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도 있다.
무엇보다도, 양자 모두 전체 구조가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나사부의 강도 확보를 위해 저렴한 재질을 선택할 수 없는데, 강도와 무관한 나사부를 제외한 부분까지 모두 동일 재질로 성형하다보니 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나사부의 강도를 더 보강하기 위해 고가의 재질로 구성할 수 없다는 한계에 부딪혀 있으며, 간혹 나사부의 체결강도 하락으로 나사산이 무너지거나 수압을 견디지 못해 오링이 있음에도 누수가 발생되는 등의 단점도 파생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93452호(2016.02.03.) '배관마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미장이나 타일 공사시, 혹은 수도관이나 난방관에서 관로의 누수나 수압 검사시 분기지점의 관로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고, 저렴한 비용을 제조할 수 있도록 개선된 압력 차단마개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선단면에 고정구홈(110)이 형성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선단면에 안착되는 오링(200)과, 상기 오링(200)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구홈(110)에 끼워 고정되는 고정구(300)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100)와 고정구(300)는 서로 다른 재질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차단마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정구홈(110)은 몸체(100)의 내주면과 간격을 두고 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돌부(DT)의 내경에 각형으로 형성되고, 돌부(DT)의 외주면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각형을 이루는 경계선을 따라 일정폭의 슬릿(112)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112)에 의해 분리된 다수의 세그먼트(114)들이 형성되며, 상기 세그먼트(114)의 단부 안쪽면에는 경사턱(116)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홈(110)의 선단면에는 고정구홈(110) 둘레에 오링(200)이 안착되는 오링안착홈(118)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300)는 관로단(10)에 나사체결되는 나사산부(310)와, 상기 고정구홈(110)에 끼워 고정되는 끼움각부(320)와, 상기 끼움각부(320)의 선단에 둘레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세그먼트(114)의 경사턱(116)이 끼워져 걸림고정되는 턱고정홈(330)을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장이나 타일 공사시, 혹은 수도관이나 난방관에서 관로의 누수나 수압 검사시 분기지점의 관로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고, 저렴한 비용을 제조할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특수형 차단마개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형 차단마개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차단마개의 예시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몸체 만을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차단마개의 예시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차단마개의 예시적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차단마개를 구성하는 고정구의 다른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차단마개는 선단면에 고정구홈(110)이 형성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선단면에 안착되는 오링(200)과, 상기 오링(200)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구홈(110)에 끼워 고정되는 고정구(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몸체(100)는 비용이 저렴한 합성수지, 이를 테면 PVC 또는 PE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300)는 나사산을 갖추고 있는 내구력이 필요한 부분이므로 고강도 경질의 합성수지 혹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몸체(100)와 고정구(300)를 분리시켜 서로 다른 재질로 성형되게 함으로써 재료 선택에 따른 제조비용을 현격히 줄일 수 있고, 동시에 고정력이 필요한 나사산부의 강도 및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몸체(100)는 고정구홈(110)을 포함하는데, 상기 고정구홈(110)은 도 4의 예시와 같은 형태로 성형된다.
예컨대, 도 4에 따르면, 고정구홈(110)은 몸체(100)의 내주면과 간격을 두고 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돌부(DT)의 내경에 형성되는 것으로 각형, 바람직하게는 6각 내지 8각형으로 형성되며, 돌부(DT)의 외주면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각형을 이루는 경계선을 따라 일정폭의 슬릿(112)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112)에 의해 분리된 다수의 세그먼트(114)들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세그먼트(114)의 단부 안쪽면, 즉 고정구홈(110)의 내부단에는 경사턱(11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구홈(110)의 선단면에는 고정구홈(110)의 둘레에 오링(2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플랜지형태로 돌출되어 오링안착홈(118)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홈(110)이 형성된 부분은 설명을 위해 편의상 분리해서 마치 두 개의 물건인 것처럼 설명하였으나 몸체(100)와 일체로 성형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고정구(300)는 관로단(10, 도 6 참조)에 나사체결되는 나사산부(310)와, 상기 고정구홈(110)에 끼워 고정되는 끼움각부(320)와, 상기 끼움각부(320)의 선단에 둘레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세그먼트(114)의 경사턱(116)이 끼워져 걸림고정되는 턱고정홈(330)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구(300)의 나사산부(310)의 선단면에는 일정깊이 압력리시브홈(340)이 요입 형성된다.
특히, 상기 압력리시브홈(340)은 깊은 속부분이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수압이 한 곳으로 집중하게 함으로써 수압 분산에 따른 마개의 부하를 줄이고, 수압이 균일하게 작용하도록 하여 차단마개의 열화나 내구성 약화를 억제하게 되므로 장수명화를 달성할 수 있고, 오링(200)에 전달되는 힘이 균일하게 분산되므로 균일한 씰링에 의한 씰링성능도 증대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술한 도면 및 도 6의 예시와 같이, 관로단(10)이 통으로 뚫려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 일반형이지만, 고정구(300)를 바꿔끼울 수 있도 있고, 혹은 나사산부(310)의 길이를 짧게 하면 되기 때문에 도 1과 같은 특수형에도 사용할 수 있어 범용화에 기여할 수 있다.
즉, 특수형과 일반형 구분없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호환성이 좋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작업자가 오링(200)을 오링안착홈(118)에 올려 놓고 고정구(300)를 고정구홈(110)에 끼워 누르면 오링(200)이 자동적으로 고정구(300) 둘레로 끼워지게 된다.
즉, 기존처럼 강제로 끼우지 않아도 된다. 그냥 단순히 오링(200)을 올려 놓고 고정구(300)를 끼워 넣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수월하다.
그 상태로 고정구(300)를 꾹 누르게 되면, 고정구(300)의 선단이 경사턱(116)에 접촉하는 순간 세그먼트(114)들이 벌어지면서 고정구(300)가 통과하게 되고, 어느 순간 세그먼트(114)의 경사턱(116)들이 고정구(300)의 턱고정홈(330)에 딸깍하고 끼워지면서 고정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구(300)의 나사산부(310)를 관로단(10)에 대고 나사체결하게 되면 아주 쉽고 빠르게 수압을 차단하는 차단마개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단마개는 몸체와 고정구가 이중화되어 있어 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동시에 고정구의 강도와 내구성은 높일 수 있다.
특히, 오링을 강제 끼우지 않고 고정구를 고정구홈에 끼워 넣는 순간 자동적으로 오링 설치가 가능한 구조여서 작업이 쉽고 편리하다.
다른 한편, 도 7의 예시와 같이 고정구(300)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즉, 고정구(300)는 고정구홈(110)에 끼워지는 끼움각부(320)가 절두원추형(截頭圓錘形)으로 형성되고, 선단면에는 일자형 혹은 십자형 절개홈(GO)이 형성되어 탄성변형이 더욱 쉽고 자유롭게 일어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고정구홈(110)에 삽입할 때 끼움각부(320)의 선단이 작기 때문에 쉽게 끼울 수 있어 작업성이 좋고, 후크 걸림 고정될 때에도 탄성변형이 쉬워 조립이 용이하다.
100: 몸체
200: 오링
300: 고정구

Claims (2)

  1. 선단면에 고정구홈(110)이 형성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선단면에 안착되는 오링(200)과,
    상기 오링(200)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구홈(110)에 끼워 고정되는 고정구(300)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100)와 고정구(300)는 서로 다른 재질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차단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홈(110)은 몸체(100)의 내주면과 간격을 두고 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돌부(DT)의 내경에 각형으로 형성되고, 돌부(DT)의 외주면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각형을 이루는 경계선을 따라 일정폭의 슬릿(112)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112)에 의해 분리된 다수의 세그먼트(114)들이 형성되며, 상기 세그먼트(114)의 단부 안쪽면에는 경사턱(116)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홈(110)의 선단면에는 고정구홈(110) 둘레에 오링(200)이 안착되는 오링안착홈(118)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300)는 관로단(10)에 나사체결되는 나사산부(310)와, 상기 고정구홈(110)에 끼워 고정되는 끼움각부(320)와, 상기 끼움각부(320)의 선단에 둘레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세그먼트(114)의 경사턱(116)이 끼워져 걸림고정되는 턱고정홈(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차단마개.
KR1020220018821A 2022-02-14 2022-02-14 압력 차단마개 KR20230122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821A KR20230122313A (ko) 2022-02-14 2022-02-14 압력 차단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821A KR20230122313A (ko) 2022-02-14 2022-02-14 압력 차단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313A true KR20230122313A (ko) 2023-08-22

Family

ID=87799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8821A KR20230122313A (ko) 2022-02-14 2022-02-14 압력 차단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231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452B1 (ko) 2014-08-29 2016-02-12 주식회사 미래산업 배관마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452B1 (ko) 2014-08-29 2016-02-12 주식회사 미래산업 배관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63960A (en) Device for tube fittings
US10107428B2 (en) Clamp for connecting pipe and device for connecting pipe including the same
JP3156933U (ja) 流体流路用管体の構造
KR100995105B1 (ko) 하수관 연결용 이음관 및 그 제조방법
JP6240998B2 (ja) 分岐継手
KR20230122313A (ko) 압력 차단마개
KR101120145B1 (ko) 관 조인트
KR20190001443U (ko) 수도배관용 플러그
KR102053283B1 (ko) 파이프 연결구
KR20190056870A (ko) 시공성 및 내진성이 우수한 수도관 연결장치
JP2008025614A (ja) 管継手
KR101232319B1 (ko) 파이프 연결구
AU2016335461B2 (en) Pipe fitting assembly
US10710110B2 (en) Outlet fitting for fluid-carrying conduit
JP4597889B2 (ja) 管継手
US5899234A (en) Test closure plug for the trap bushing of a conventional T-fitting
US20190056050A1 (en) Connection arrangement for connecting a pipeline
KR101407685B1 (ko) 분기관 연결용 조인트
KR101906327B1 (ko) 슬리브 일체형 연결구
US20200386352A1 (en) Cap loosening prevention device
JP2005030503A (ja) 分水栓
KR101806374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파이프 연결 장치
KR102300286B1 (ko) 주관 밀폐력이 향상된 분기관 연결장치
JP2024057902A (ja) フランジ
KR20240053278A (ko) 배관용 링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