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1967A - 해일, 단전, 조수 시차를 극복하는 무동력 물 공급및 사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일, 단전, 조수 시차를 극복하는 무동력 물 공급및 사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1967A
KR20230121967A KR1020230101334A KR20230101334A KR20230121967A KR 20230121967 A KR20230121967 A KR 20230121967A KR 1020230101334 A KR1020230101334 A KR 1020230101334A KR 20230101334 A KR20230101334 A KR 20230101334A KR 20230121967 A KR20230121967 A KR 20230121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unit
tidal
spa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1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총
Original Assignee
이일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일총 filed Critical 이일총
Priority to KR1020230101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1967A/ko
Publication of KR20230121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96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3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with artificial enrichment, e.g. by adding water from a pond or a river
    • E03B3/34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with artificial enrichment, e.g. by adding water from a pond or a river of under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위 아래서 물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 고안으로, 용수 저수부와 용수 사용 공간부와 사용수 임시 보관부로 구성되는 해일, 단전, 조수 시차를 극복하는 무동력 물 공급 및 사용 시스템이다. 원전 및 데이터센터 등 냉각 시설에서는 단전이나 해일 재해에도 냉각 기능이 중단되지 않는 냉각시스템을 갖출수 있고 일상 낮 시간대에 대량의 유수를 필요로 하는 수상스포츠 등에서는 해수위 아래에서 물 사용의 장애가 되는 조수 시차와 무관하게 민물 또는 해수를 전기세와 상수도 비용 걱정없이 24시간 365일 풍족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일, 단전, 조수 시차를 극복하는 무동력 물 공급 및 사용 시스템. {Non-powered water supplying and using system which overcomes seismic sea waves, power outage, and tidal cycle time difference.}
본 발명은 만조 해수위 아래에서 민물 또는 해수를 공급받아 사용하는 고안으로, 해일 등 재난 장애를 회피하고, 낮 시간대에 해수위 아래서 물 사용을 불가능하게 하는 조수 시차를 극복하여 에너지 소비 없이 레저시설이나 원전 또는 데이터센터 등의 냉각이 필요한 시설에서 해수 또는 민물을 24시간 365일 지속 또는 원하는 시간대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발전시설과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데이터센터의 안정적인 냉각을 위해 물이 풍부한 해안에 관련 시설이 위치되고 있으며 냉각시스템은 강제 순환식으로서 냉각 중단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백업 시설까지 갖추어 고장에 대비한다. 그러나 단전이 되거나 해일로 인한 해수의 오염이 발생하면 냉각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한다.
인공 수상 스포츠 등의 시설은 상수도 비용 절감을 위해 염소 등 화학약품으로 물을 재사용하며 물의 재순환을 위해 상당한 에너지를 소모한다. 이러한 문제로 결막염이나 피부 알레르기가 발생하기도 하며 유수가 충분하지 못해 인공서핑 파도 높이는 제한적이며, 파도 형태 구조물 위로 물을 흘리는 인공서핑인 플로라이드는 낙하 충격을 흡수할 물의 완충 기능이 부족하여 안전사고가 상존한다.
위 상술한 문제는 풍부한 해수 또는 민물을 만조 수위 아래에서 공급받아 사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해수는 하루 약 25시간 주기의 조수현상에 의해 일상과 시차가 지속 발생하여 정작 물을 사용해야 하는 낮 시간대 또는 특정 시간에는 간조가 되어 먼 외해로 해수가 빠져 있기도 하며 만조에는 사용한 물을 무동력으로는 배수할 수 없게 된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03-0097553, 제10-1543206, PCT 공개 1995023259,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소5-302439에 조수 현상을 이용하여 해수를 직접 사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조수 시차가 어긋나는 제약을 벗어나지 못해 낮 시간대 등 필요에 맞춰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PCT 국제공개번호 2022019554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003132 (2013.01.07.공개)에 일상생활 주기와 무관한 원전 냉각에 관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단전이 발생하거나 간조시에는 지속 가동이 안된다.
위에 상술한 단전, 재해, 조수 시차 장애와, 상수도 비용, 유수량 부족, 에너지 소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해수위 아래서 물을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24시간 365일 무동력으로 지속적으로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해수위 아래서 물을 공급받아 사용하는 시설에 있어, 취수한 물을 이물질과 용수로 구분 저수하는 용수 저수부(100)와 용수 저수부 내 용수 하방으로 설치되고 상기 용수를 사용 후 사용수로 방출하는 용수 사용 공간부(200)와 상기 용수 사용 공간부(200) 하방으로 간조 수면 높이 가까이에 설치되고 사용수를 임시 보관 후 간조에 방류하는 사용수 임시 보관부(300)로 구성되는 해일, 단전, 조수 시차를 극복하는 무동력 물 공급 및 사용 시스템이다.
용수 사용 공간부(200)는 내부 용수 사용 공간(201)이 용수 저수부(100) 내 용수층 하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사용수 임시 보관부(300) 내부의 사용수 보관 공간이 용수 사용 공간부(200) 내 용수 사용 공간(201)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해일, 단전, 조수 시차를 극복하는 무동력 물 공급 및 사용 시스템이다.
그리고 용수 저수부(100) 내에는 물 취수부(10)의 출수공이 위치하고, 출수공은 둘레에 넓은 면을 지닌 광폭 부력체(60)가 구비되어 수면에 위치하고, 출수공을 통해 용수 저수부(100) 내로 유입되는 물을 광폭 부력체(60)의 면 위로 흐르게 함으로써 이물질 침전을 방해할 수 있는 와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일, 단전, 조수 시차를 극복하는 무동력 물 공급 및 사용 시스템이다.
또한, 사용수 임시 보관부(300)는 수중에서 상부가 폐쇄되고 상측에 공기 통로(50)가 형성되어 사용수 임시 보관부(300)를 채우는 수량에 대응되는 부피의 공기 이동 통로를 제공하고, 공기 통로(50) 끝단에는 물 역류 방지부(70)가 구비되어 사용수 임시 보관부(300)가 외부 해수로 채워져 시설운영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해일, 단전, 조수 시차를 극복하는 무동력 물 공급 및 사용 시스템이다.
그리고 사용수 임시 보관부(300) 상부가 수면위로 개방되고 우수와 임시 보관되는 사용수가 용수 사용 공간부(200) 내의 용수 사용공간(201)이 침수되지 않도록 배수 시설을 구비하여 시설운영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일, 단전, 조수 시차를 극복하는 무동력 물 공급 및 사용 시스템이다.
수상 스포츠 등의 레저시설에서 에너지와 상수도 비용 부담없이 365일 풍족하게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원전과 데이터센터 등의 시설에서 단전 상황에서도 냉각 시설을 무동력으로 운용할 수 있다. 나아가 외부와 격리된 구조로서 해일 등의 급작스러운 재난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시설 전체를 실질적으로 지하에 위치시킬 수 있어 지상 공간의 효율적 활용이 가능하며 미세먼지와 눈, 비 등의 기상여건에 구애받지 않는다.
대표도는 본 발명 실시 예의 사시도
도 1은 만조시 물 취수 및 공급 사용 실시예 단면도.
도 2는 간조시 사용수 방류 실시예 단면도.
도 3은 물 취수부(10) 출수공 둘레의 광폭 부력체 사시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와 도면이 특정한 실시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발명된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구조,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비한다" 또는 "형성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이 외의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있다고 할 때, 이는 "면에 연결"되어있는 경우뿐 아니라, “면을 통과하여 내부에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대표도는 해수위 아래서 물을 사용하는 실시 예의 사시도이고 도 1은 만조시 물 취수 및 사용 실시예이다. 도 2은 간조시 사용수 방류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은 사용할 물을 미리 용수로 저수하고 해수위 아래서 용수를 사용 한 후 사용된 용수를 별도로 보관함으로서 사실상 해일 및 조수 시차와 무관하게 격리 운영될 수 있다.
해일과 폭풍 등 예기치 못한 재해 환경에서도 며칠간 시설을 운용 할수 있으며 실시예로, 용수 저수부(100)와 사용수 임시 보관부(300)의 규모를 간조 주기인 12시간 30분간의 유수량*N으로 확대할 경우 확대 규모만큼 외부 환경이 안정될 때까지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용수 저수부(100)는 콘크리트 및 제방 등으로 해안 주변에 설치되고 물을 저장할 공간을 가지며 물 취수부(10)를 통해 민물 또는 맑은 만조 해수를 취수하고, 침전 여과 등의 방법으로 이물질과 용수로 구분하여 저수한다.
용수 저수부(100)는 해수위 가까이에 저수공간을 갖추어 설치되며 만조시 잠수되어 바다 경관을 확보하거나 상부를 공원, 주차장, 일반 수영장 등으로 효율적으로 활용하거나 상부를 개방형으로 할 수도 있다.
용수 저수부(100)는 만조 수면보다 높게 설치할 수 있으나 민물의 자연 유입이 되는 높이에 물 취수부(10)가 위치해야 하고 해수 사용시에는 단전시에 시스템이 중단되지 않도록 만조 수면 하방으로 용수 저수부(100)를 추가로 준비하여야 하며 그 아래로 용수 사용 공간부(200)와 사용수 임시 보관부(300) 순서로 위치하여야 한다.
용수 저수부(100)는 원전 또는 데이터 센터 등 지속 운영이 필수인 경우는 상부를 폐쇄하는 격리형으로 설치하여 해일 등의 돌발재해 시 저수된 용수의 오염을 방지한다.
수질이 좋으면 바로 저수하거나 용수 저수부(100) 내에서 단기 과정으로 이물질을 구분 분리하여 용수로 공급한다.
수질이 맑은 바다에 용수 저수부(100)가 위치할 때는 갑문 형태의 물 취수부(10)를 구비할 수 있다. 수질이 맑지 않은 경우는 관 형태의 취수부를 갖추어 보다 맑은 먼 내해 또는 상류의 물을 취수할 수 있다.
원활한 시설 운용을 위해 복수의 용수 저수부(100)를 설치하고 물의 수질에 따라 12시간 25분 또는 25시간 등 조수 주기에 연동해 교차 순환 사용할 수 있다.
수질 관리를 위해 침전부를 용수 저수부(100) 전 단계에 설치하여 조수 주기에 맞춰 약 12시간 30분 또는 25시간 이상의 침전 또는 여과 단계를 거친 맑은 용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UV와 오존 첨가 등으로 수질 관리를 할 수 있다.
용수 저수부(100) 및 침전부 하측에는 이물질 침전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물 역류 방지부(70)를 구비한 침전물 배출구를 갖춘다.
용수 사용 공간부(200)는 용수 저수부(100)의 용수를 공급받아 사용한 뒤 사용수로 방출하며 콘크리트 등의 구조물로 용수 저수부(100) 하방 설치되고 수중에 상호 수직 직열로 설치되거나 도면처럼 용수 저수부(100) 측면 하방에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용수 사용 공간부(200) 내 용수 사용공간(201)은 용수 저수부(100) 내의 용수층 보다 하방에 위치하여 용수의 자연 흐름이 발생되도록 한다. 보다 원활한 자연 흐름과 수압 확보를 위해 가능한 한 용수 저수부(100)의 상층수와 용수 사용공간(201)이 상하로 최대한 이격되도록 설치한다.
용수 사용 공간부(200)로 공급되는 용수에 높은 압력이 필요하거나 많은 유량이 필요할 시에는 가압 시설을 설치할 수 있다.
용수 사용 공간부(200) 내에 넓은 공간을 갖추어 냉각 시설 또는 인공서핑 등 물놀이 여가시설을 운용할 수 있으며 상부를 일반 수영장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용수 사용 공간부(200) 내에서 사용된 용수는 사용수로 용수 이송부(30)을 통해 사용수 임시 보관부(300)으로 이송된다.
용수 사용 공간부(200)에 사용수 방류부를 구비하여 간조 중에는 사용수를 바다로 바로 방류할 수 있다.
사용수 임시 보관부(300)는 용수 사용 공간부(200)내 용수 사용 공간(201) 하방으로 사용수 보관 공간(301)이 위치되도록 콘크리트 등으로 설치되고 용수 사용 공간부(200)에서 나온 사용수를 임시 보관하고 간조에 방류한다.
사용수 임시 보관부(300)는 용수 사용 공간부(200) 아래 상호 수직 직열로 설치되거나 상호 분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간조 수면 가까이에 위치하며 저수 수량 및 낙차 확대를 위해 펌핑 시설을 구비하여 간조 수면 아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단, 사용수 임시 보관부(300)에 보관되는 사용수의 최고 수위가 용수 사용 공간부(200)내 용수 사용공간(201)을 침수되지 않도록 용수 사용공간(201)의 하방으로 사용수 임시 보관 공간(301)이 위치하도록 한다.
사용수 임시 보관부(300)는 다음 방류 시간인 간조 주기까지 용수 사용 공간부(200)에서 배출될 사용수를 수용할 충분한 사용수 보관 공간(301)을 확보하여 시설운영 중단을 방지한다.
사용수 임시 보관부(300)는 수중에서 상부가 폐쇄됨이 바람직하나 수면 위로 개방할 경우는 사용수 임시 보관부(301) 이상으로 차오르는 사용수 또는 빗물을 퍼낼 배수 시설을 구비하여 시설운영 중단을 방지한다.
해수 사용시 비용 절감과 접근성을 고려하여 용수 사용 공간부(200)는 해변 육지 지하에 위치하고 용수 저수부(100)와 사용수 임시 보관부(300)는 내해 수중에 위치하거나, 시설 전체가 육지 지하에 위치하여 용수 사용 공간부(200) 상방으로 용수 저수부(100)가 위치하고 하방으로 사용수 임시 보관부(300)가 위치하여 물 취수부(10)을 통해 맑은 물을 취수하고 사용수 방류부(40)을 통해 간조 수면으로 사용수를 내보낼 수 있다.
물 취수부(10)는 용수 저수부(100) 일측에 갑문형 또는 관형으로 형성되어 민물 또는 해수를 용수 저수부(100) 또는 침전부로 이송한다.
물 취수부(10)가 관형일 경우 일측은 취수원 위치하며 그 끝단은 부력체와 이물질 차단 필터와 개폐부가 구비되고, 타측은 용수 저수부(100) 내 또는 침전부를 설치할 시 침전부 내에 위치하고 그 끝단에는 광폭 부력체(60)가 구비되어 취수한 물을 용수 저수부(100) 내 또는 침전부 내에서 광폭 부력체(60) 위로 잔잔히 흐르도록 한다.
물 취수부(10)가 관형일 경우 양 끝단이 위치하는 취수원과 용수 저수부(100) 수위에 따라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관절을 구비하거나 주름형으로 설치된다.
용수 이송부(20)는 용수 저수부(100)에서 용수 사용 공간부(200)로 용수를 이송하며 용수 이송부(20) 일측은 부력체를 구비하여 용수 저수부(100) 내의 수면에 위치하고 타측은 용수 사용 공간부(200)에 연결되어 용수 저수부(100)의 저수된 상층 용수를 용수 사용 공간부(200)로 이송한다.
용수 이송부(20)는 용수 수면의 고저 움직임에 따라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관절을 구비하거나 주름형으로 설치된다.
사용수 이송부(30)는 용수 사용 공간부(200) 하측에 형성되고 타측은 사용수 임시 보관부(300)에 연결되어 용수 사용 공간부(200)에서 발생되는 사용수를 사용수 임시 보관부(300)로 이송한다.
사용수 이송부(30) 타단은 사용수 임시 보관부(300) 내의 바닥에 근접 위치하여 수중으로 사용수를 배수함으로써 용수 사용 공간부(200)에서 사용수 배수시 형성되는 소용돌이 내 공기 이동에 의한 고음의 소음 발생을 방지한다.
사용수 방류부(40)는 사용수 임시 보관부(300) 일측에 간조 수면 높이에 형성되고 보관된 사용수를 간조에 바다로 방류하며 끝단에는 물 역류 방지부(70)를 구비하며 간조 이외의 상황에 사용수 임시 보관부(300)로 해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24시간 365일 양호한 물 사용 환경이 유지되도록 한다.
오염이 발생하는 시설에 설치될 경우 사용수 임시 보관부(300)와 사용수 방류부(40) 사이에 정화 처리 시설을 설치할 수 있다.
공기 통로(50)는 사용수 임시 보관부(300) 일면 또는 더 구체적으로 상부에 형성되고 사용수 임시 보관부(300)를 채우는 수량에 대응되는 공기의 이동 통로가 되고 끝단이 해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물 역류 방지부(70)를 구비한다.
용수 저수부(100)와 침전부의 상부가 폐쇄형일 경우에도 물 역류 방지부(70)를 구비한 공기 통로(50)를 갖춘다.
공기 통로(50)는 끝단에 구비된 물 역류 방지부(70) 수리의 원활함이나 해일을 피해 공기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해수위 위로 높이 돌출시킬 수도 있다.
도 3은 이물질 침전을 돕기 위한 구조물로서 광폭 부력체(60)가 물 취수부(10)의 출수공 둘레에 구비되고 출수되는 물이 수면에서 광폭 부력체(60)면 위로 잔잔히 흐르게 함으로써 이물질 침전을 방해할 수 있는 와류 발생을 억제한다.
물을 용수로 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침전과정을 거칠 경우에도 침전수 이송부의 출수공에도 광폭 부력체(60)가 구비되어 침전부 내의 와류를 억제한다.
광폭 부력체(60)의 넓이는 출수 높이의 3배 정도가 적합하며 상부면에 돌출체를구비하여 유속을 더 늦출 수 있다.
물 역류 방지부(70)가 공기 통로(50)와 사용수 방류부(40)의 끝단에 구비되어 예기치 못한 해일로 해수위 상승시에 물이 공기 통로(50)로 역류하여 용수 저수부(100) 용수를 오염시키거나 사용수 임시 보관부(300) 또는 용수 저수부(100)를 채우는 것을 예방한다.
물 역류 방지부(70)는 체크밸브나 부력밸브 등으로 전원 공급 없이 물의 역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물 취수부(10)를 통해 해수 또는 민물을 취수하여 침전부 또는 용수 저수부(100)로 광폭 부력체(60)을 표면을 거쳐 이송하고 용수로 구분 저수한다. 용수 저수부(100)에 저수된 용수를 용수 이송부(20)를 통해 용수 사용 공간부(200)로 공급하여 사용한다. 사용수는 사용수 이송부(30)를 통해 사용수 임시 보관부(300)으로 이송하며 인입되는 사용수와 동일한 부피의 공기를 공기 통로(50)를 통해 배출한다. 보관된 사용수는 간조에 사용수 방류부(40)를 통해 바다로 방류한다. 간조에는 사용수를 용수 사용 공간부(200)에서 바로 바다로 방류할 수 있다.
100: 용수 저수부
200: 용수 사용 공간부
201: 용수 사용 공간
300: 사용수 임시 보관부
301: 사용수 보관 공간
10: 물 취수부
20: 용수 이송부
30: 사용수 이송부
40: 사용수 방류부
50: 공기 통로
60: 광폭 부력체
70: 물 역류 방지부
80: 용수
81: 이물질 침전물
82: 사용수

Claims (6)

  1. 해수위 아래서 물을 공급받아 사용하는 시설에 있어, 취수한 물을 이물질과 용수로 구분 저수하는 용수 저수부; 상기 용수 저수부 내 용수 하방으로 설치되고, 상기 용수를 공급받아 사용 후 사용수로 방출하는 용수 사용 공간부; 상기 용수 사용 공간부 하방으로 간조 수면 높이 가까이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수를 임시 보관 후 간조에 방류하는 사용수 임시 보관부;로 구성되는 해일, 단전, 조수 시차를 극복하는 무동력 물 공급 및 사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 사용 공간부의 내부 용수 사용 공간이 상기 용수 저수부 내 용수층 하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사용수 임시 보관부는 내부 사용수 보관 공간이 상기 용수 사용 공간부 내 용수 사용 공간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해일, 단전, 조수 시차를 극복하는 무동력 물 공급 및 사용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 저수부 내에는 물 취수부의 출수공이 위치하고, 상기 출수공은 둘레에 넓은 면을 지닌 광폭 부력체가 구비되어 수면에 위치하고, 출수공을 통해 상기 용수 저수부 내로 유입되는 물을 상기 광폭 부력체의 면 위로 흐르게 함으로써 이물질 침전을 방해할 수 있는 와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일, 단전, 조수 시차를 극복하는 무동력 물 공급 및 사용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수 임시 보관부는 수중에서 상부가 폐쇄되고, 상측에 공기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사용수 임시 보관부를 채우는 수량에 대응되는 부피의 공기 이동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공기 통로 끝단에는 물 역류 방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사용수 임시 보관부가 외부 물로 채워져 시설운영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일, 단전, 조수 시차를 극복하는 무동력 물 공급 및 사용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수 임시 보관부 상부가 수면 위로 개방되고, 우수와 임시 보관되는 사용수로 상기 용수 사용 공간부 내의 용수 사용 공간이 침수되지 않도록 배수 시설을 구비하여 시설 운영 중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일, 단전, 조수 시차를 극복하는 무동력 물 공급 및 사용 시스템.
  6. 물을 취수하여 용수로 저수하는 단계, 상기 용수를 용수 사용 공간부에 공급받아 사용하는 단계, 사용한 용수를 사용수로 사용수 임시 보관부로 이송하여 간조시까지 보관하는 단계, 상기 사용수를 간조에 외부로 방류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해일, 단전, 조수 시차를 극복하는 무동력 물 공급 및 사용 시스템.
KR1020230101334A 2023-08-03 2023-08-03 해일, 단전, 조수 시차를 극복하는 무동력 물 공급및 사용 시스템. KR202301219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1334A KR20230121967A (ko) 2023-08-03 2023-08-03 해일, 단전, 조수 시차를 극복하는 무동력 물 공급및 사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1334A KR20230121967A (ko) 2023-08-03 2023-08-03 해일, 단전, 조수 시차를 극복하는 무동력 물 공급및 사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967A true KR20230121967A (ko) 2023-08-22

Family

ID=87799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1334A KR20230121967A (ko) 2023-08-03 2023-08-03 해일, 단전, 조수 시차를 극복하는 무동력 물 공급및 사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196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553A (ko) 2002-06-21 2003-12-31 원 회 양 조위차를 이용한 해안가의 수영장 급배수 시설
WO2022019554A1 (ko) 2020-07-21 2022-01-2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재해사고 원자로 냉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자로 냉각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553A (ko) 2002-06-21 2003-12-31 원 회 양 조위차를 이용한 해안가의 수영장 급배수 시설
WO2022019554A1 (ko) 2020-07-21 2022-01-2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재해사고 원자로 냉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자로 냉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87171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desalinating water using energy recovery
CN102666999A (zh) 波浪抑制及沉积物收集系统
KR101560279B1 (ko) 용수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용수제공방법
HRP20050734A2 (en) Saltwater intrusion prevention system
US8602687B2 (en) Water/fluids surge/backflow protection systems and management
CN102359147B (zh) 一种从水源取水的装置与方法
KR20140092218A (ko) 조석과 파도를 이용한 다단계 복류식 수차발전소구조물.
CN202380517U (zh) 一种从水源取水的装置
RU2382150C2 (ru) Подводный резервуар для воды
WO2020044355A1 (en) Integration of multipurpose box tunnels with empty lakes and mini dam for effective flood control
KR101055178B1 (ko) 파력을 이용한 양수발전시스템
KR20230121967A (ko) 해일, 단전, 조수 시차를 극복하는 무동력 물 공급및 사용 시스템.
Chanson et al. Rapid reservoir sedimentation of four historic thin arch dams in Australia
KR100521900B1 (ko) 조위차를 이용한 해안가의 수영장 급배수 시설
RU2150434C1 (ru) Установка опреснения морской воды и способ опреснения морской воды
KR101560280B1 (ko) 용수공급관 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용수공급방법
JP3180169B2 (ja) 水中貯水装置
CN215977638U (zh) 利用潮汐实现节能运行的排海泵站
KR100555888B1 (ko) 부력과 중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KR20130095617A (ko) 조차와 파도를 이용한 복조지식 해양발전소
JPH0296015A (ja) 浮遊物の回収装置
CN110629825A (zh) 一种海岛淡水蓄积系统
KR20140092216A (ko) 복조지식(複潮池式) 복합(複合) 해양에너지발전소
KR100446463B1 (ko) 이동식 해상 담수저장시스템
KR200251248Y1 (ko) 해중 저수 장치용 저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