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1684A - 세포 외 소포체 분리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세포 외 소포체 분리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1684A
KR20230121684A KR1020230017186A KR20230017186A KR20230121684A KR 20230121684 A KR20230121684 A KR 20230121684A KR 1020230017186 A KR1020230017186 A KR 1020230017186A KR 20230017186 A KR20230017186 A KR 20230017186A KR 20230121684 A KR20230121684 A KR 20230121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ellular vesicles
composition
present
extracellular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7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석근
유문영
우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노헬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노헬릭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노헬릭스
Publication of KR20230121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68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0Processes for the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DNA or RN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9/00Methods for the dissociation of cells, e.g. specific use of enzy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세포 외 소포체 분리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세포 외 소포체를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포 외 소포체 분리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SOLATING EXTRACELLULAR VESICLE}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세포 외 소포체 분리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세포 외 소포체를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포 외 소포체는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보이는 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유래된 세포 종류, 상태, 세포 외 소포체의 분리 방법에 따라 구성 성분이 다르다. 또한, 세포 외 소포체에서 공통적으로 검출되는 구성 성분도 있지만, 세포 종류에 따라 특이적으로 검출되는 구성 성분도 존재한다. 이러한 성분들의 존재 여부를 이용하여 바이오마커로 활용하거나 생리적/병리적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이용하여 치료제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세포 외 소포체는 살아있는 세포가 아니기 때문에 오래 보관하고 운송할 수 있고, 분열하지 않기 때문에 종양 발생 우려가 낮으며, 면역원성이 낮고 세포와 동일한 수준의 막 위상(membrane topology)을 갖고 있어 세포막을 통해 약물을 표적 세포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자연적으로 분비되는 세포 외 소포체의 양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이를 효율적으로 분리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세포 외 소포체를 분리하는 방법으로 초원심분리(ultracentrifugation; UC)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염을 이용하거나 pH에 의존한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 외 소포체를 분리하기도 하지만, 대체로 세포 외 소포체의 수득율 또는 회수율이 낮은 한계가 있다. 또한, 생체시료나 체액 내 환경, 예를 들어 사람에 따라 다른 혈장 내 염분 농도 등에 따라 세포 외 소포체의 수득율 변화가 큰 문제 역시 존재한다.
이에, 시료로부터 세포 외 소포체를 효율적으로 분리하면서도 시료 내 염분 변화 등에 대해서도 안정적인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의 연구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2-0164446호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세포 외 소포체 분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세포 외 소포체 분리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료로부터 세포 외 소포체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폴리에틸렌글리콜을 5.0 내지 9.5 %(v/v)의 농도로 포함하는, 세포 외 소포체 분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는 세포 간 정보교환을 위해 모든 세포들이 외부 환경으로 분비하는 나노 크기의 소포체로서, 단백질, 지질, 핵산, 대사물질 등 생물학적 활성을 보이는 다양한 물질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세포 외 소포체의 양은 제한적인 바, 본 발명에서는 세포 외 소포체의 분리 효율을 높이면서도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 glycol, PEG)'은 산화에틸렌과 물의 중합물로서 분자량이 200~9,500으로 알려져 있으며, PEG 뒤에 붙은 숫자는 중합된 산화에틸렌의 평균 분자량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포함된 산화에틸렌의 평균 분자량은 3350 내지 10000인 것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 3350, 6000, 8000 및 1000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종류 및 함량을 달리하여 혈장 및 세포 배양액으로부터 세포 외 소포체를 분리하였으며, 폴리에틸렌글리콜이 5.0 내지 9.5 %(v/v)의 농도로 포함될 경우, 혈장 및 세포 배양액 모두에서 세포 외 소포체의 분리 효율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알코올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알코올은 아이소프로판올 또는 에탄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알코올은 30 %(v/v) 이하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알코올이 포함된 경우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PEG 종류에 관계없이 현저히 높은 수준의 세포 외 소포체가 수득됨을 확인하였으며, 알코올 첨가를 통해 세포 외 소포체의 분리 효율이 증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세포 외 소포체 분리용 조성물은 대상 시료 내의 염도 변화에도 세포 외 소포체가 안정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질환에 따라 사람의 혈액 내의 염분 농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혈장 내 염분 변화에 따라 세포 외 소포체 분리 효율이 달라진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 기존 제품 대비 혈장 내 염분 농도에 따른 변동이 작아 세포 외 소포체가 안정적으로 수득되고, 이로 인하여 세포 외 소포체 내의 RNA 수준 역시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 조성물은 시료 내의 염도 변화에도 세포 외 소포체를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료 내 환경에 따른 세포 외 소포체 수득율 차이를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료는 조직, 세포, 전혈, 혈장, 혈청, 혈액, 타액, 객담, 세포간액 또는 소변 시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세포 외 소포체를 포함하거나, 포함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료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 세포 외 소포체 분리용 조성물을 시료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료로부터 세포 외 소포체를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료에서 세포 외 소포체를 분리하는 과정은 공지의 공정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공지의 공정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추가하거나, 본 발명의 조성물만을 단독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되는 형태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포 외 소포체를 분리하기 위한 과정에 특징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료로부터 세포 외 소포체를 분리 효율을 높이고, 대상 시료 내의 염도 변화에도 세포 외 소포체가 안정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기존 기술 대비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할 경우 높은 세포 외 소포체 분리 효율로 인하여 적은 양의 시료에서도 높은 효율로 세포 외 소포체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PEG의 함량에 따른 혈장으로부터 세포 외 소포체의 분리 효율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PEG의 함량에 따른 세포 배양액으로부터 세포 외 소포체의 분리 효율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알코올의 함량에 따른 세포 외 소포체의 분리 효율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염도 변화에 따른 세포 외 소포체의 분리 효율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A. 비교예 1; B. 본 발명 조성물).
도 5는 본 발명 조성물 및 기존 제품 비교예 1, 2를 통해 세포 외 소포체가 분리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세포 외 소포체 분리용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 내지 4와 같이 각 성분을 혼합하여 세포 외 소포체 분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용액 총량에 대하여 5.0~9.5 중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 glycol, PEG) 및 0~30 %(v/v)의 알코올을 혼합하고, 혈장의 염분 농도를 저해하지 않는 수준으로 0.1 중량% 미만의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0.002 % 미만의 염화칼륨(potassium chloride), 0.014 중량% 미만의 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 0.002 중량% 미만의 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PEG mix는 PEG 3350, 6000 및 8000을 1 : 1 : 1~40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이다.
*PEG mix는 PEG 3350, 6000 및 8000을 1 : 1 : 1~40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이다.
실험예 1. PEG 함량에 따른 세포 외 소포체 분리 효율 확인
상기 제조예를 통해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17 조성물의 세포 외 소포체 분리 효율을 확인하였다.
1-1. 혈장으로부터의 세포 외 소포체 분리
혈장으로부터 세포 외 소포체를 분리함에 있어, 침전법 방식의 분리 정제 방법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사람의 혈장이 100 μl씩 분주된 1.5 ml 튜브에 각각 50 μl의 1X PBS를 첨가하여 볼텍싱(vortexing)으로 섞어주었다. 여기에 실시예 1 내지 17의 조성물을 각각의 튜브에 첨가한 후 각 볼텍싱으로 섞어 혼합하였다. 각 혼합물이 담긴 튜브들을 상온에서 10 분간 정치한 후 12,300 x g로 10 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상층액을 모두 제거한 이후 남은 세포 외 소포체 침전물을 1 ml의 1X PBS로 현탁하고 나노입자추적분석법(Nanoparticle tracking analysis, NTA)을 이용하여 농도를 측정하였다. 나노입자추적분석법은 Particle Metrix사의 TWIN ZetaView를 사용하여 동사의 매뉴얼을 기반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PEG 3350의 함량이 5%, 6.5%, 8.0%, 9.5% 일 때 수득된 세포 외 소포체의 농도는 각각 5.8x1010, 4.6 x1010, 6.6 x1010, 5.6 x1010 particles/ml로 나타났으며, PEG 6000의 함량이 5%, 6.5%, 8.0%, 9.5% 일 때 수득된 세포 외 소포체의 농도는 각각 4.3x1010, 5.3 x1010, 4.4 x1010, 4.7 x1010 particles/ml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PEG 8000의 함량이 각각 5%, 6.5%, 8.0%, 9.5% 일 때 수득된 세포 외 소포체의 농도는 6.3x1010, 6.1 x1010, 3.5 x1010, 2.8 x1010 particles/ml로 나타났으며, PEG 10000의 함량이 5%, 6.5%, 8.0%, 9.5% 일 때 수득된 세포 외 소포체의 농도는 3.7x1010, 2.9 x1010, 2.8 x1010, 5.7x1010 particles/ml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PEG mix를 사용하였을 때 수득된 세포 외 소포체의 농도는 5.4x1010 particles/ml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폴리에틸렌글리콜이 5.0 내지 9.5 %(v/v)의 농도로 포함될 경우, 세포 외 소포체의 분리 효율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1-2. 세포 배양액으로부터의 세포 외 소포체 분리
대표적인 세포 배양액으로 잘 알려진 DMEM(Cytiva, Cat No. SH30284.01) 배양액에 이미 농도를 알고 있는 세포 외 소포체를 혼합한 후, PEG의 종류 및 농도를 달리하여 적용하여 세포 외 소포체를 분리하였다. 최초 배양액에 혼합된 세포 외 소포체의 농도를 기준으로 분리된 세포 외 소포체의 농도를 확인하여 세포 외 소포체의 분리 효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1 ml 튜브에 500 μl의 DMEM, 2 X 1011 particle/ml의 우유에서 추출한 세포 외 소포체 50 μl(1 X 1010 particles)를 넣어주고 혼합하였다. 이 튜브에 실시예 1 내지 17의 PEG 3350, 6000, 8000, 10000 및 PEG mix가 포함된 세포외 소포체 용액들을 최종 혼합 농도가 5.0, 6.5, 8.0, 9.5%가 되도록 넣어준 후 최종 부피가 1 ml이 되도록 증류수를 첨가하고 vortexing하여 혼합하였다.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정치한 후 12,300 x g의 속도로 10 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세포외 소포체 침전물을 1 ml의 1X PBS로 현탁하고 나노입자추적분석법(Nanoparticle tracking analysis, NTA)을 이용하여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PEG 3350의 함량이 5%, 6.5%, 8.0%, 9.5% 일 때의 세포 외 소포체의 농도는 3.6x108, 4.4 x108, 4.0 x108, 4.3 x108 particles/ml이었다. PEG 6000의 함량이 5%, 6.5%, 8.0%, 9.5% 일 때의 세포 외 소포체의 농도는 5.2x108, 5.8 x108, 7.8 x108, 8.7 x108 particles/ml이었다. PEG 8000의 함량이 5%, 6.5%, 8.0%, 9.5% 일 때의 세포 외 소포체의 농도는 4.7x108, 7.8x108, 1.1 x109, 1.0 x109 particles/ml이었다. PEG 10000의 함량이 5%, 6.5%, 8.0%, 9.5% 일 때의 세포 외 소포체의 농도는 5.1x108, 7.4 x108, 9.1 x108, 1.2x109 particles/ml이었다. 또한, PEG mix를 사용하였을 때 수득된 세포 외 소포체의 농도는 1.5x109 particles/ml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PEG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효과를 보이는 농도는 다양하며 PEG가 5-9.5% 정도로 포함되었을 경우 세포 배양액내의 세포 외 소포체 역시 효율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알코올 함량에 따른 세포 외 소포체 분리 효율 확인
알코올 함량에 따른 세포 외 소포체의 분리 효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1.5 ml 튜브에 333 μl의 DMEM 세포배양액을 넣고 여기에 1.0X1010개의 세포 외 소포체를 혼합한 시료를 생성하였다. 여기에 상기 표 2 내지 표 4에 정리된 실시예 18 내지 59의 조성물을 가하고, 상기 실험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세포 외 세포체를 침전시켜 수득하고, 수득된 세포 외 세포체의 수를 측정하여 분리 효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 및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PEG 6000이 포함된 세포 외 소포체 분리 용액에 아이소프로판올(IPA)이 포함된 경우,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최대 약 136배 높은 수준의 세포 외 소포체가 수득되었으며, 에탄올(EtOH)이 포함된 경우 최대 약 86배 높은 수준의 세포 외 소포체가 수득됨을 확인하였다.
PEG 8000이 포함된 세포 외 소포체 분리 용액에 아이소프로판올이 포함된 경우,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최대 약 168배 높은 수준의 세포 외 소포체가 수득되었으며, 에탄올이 포함된 경우 최대 약 90배 높은 수준의 세포 외 소포체가 수득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PEG 혼합물(PEG mix)이 포함된 세포 외 소포체 분리 용액에 아이소프로판올이 포함된 경우,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최대 약 46 배 높은 수준의 세포 외 소포체가 수득되었으며, 에탄올이 포함된 경우 최대 약 30 배 높은 수준의 세포 외 소포체가 수득됨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알코올이 포함될 경우 세포 외 소포체의 분리 효율이 증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염도 변화에 따른 세포 외 소포체의 분리 효율 확인
사람의 혈액의 염분 농도는 식습관이나 질병에 따라 변화하고 이는 고혈압과 관련된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증가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다양한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의 혈장에 존재하는 세포 외 소포체를 추출할 경우 혈장의 염분 변화에 의해 세포 외 소포체 분리의 효율성이 달라진다. 이에, 혈장에 포함된 염분 농도에 따른 세포 외 소포체의 분리 효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실시예 6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실험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농도의 NaCl을 가함으로써 염분 농도가 서로 다른 혈장 시료 각 100 μl로부터 세포 외 소포체를 침전시켜 분리하였다. 이후 수득된 세포 외 소포체에 제노헬릭스의 XENO-EVARI kit (Cat no. 9366-EVARI)를 이용하여 세포 외 소포체로부터 RNA를 추출하였다. 이후 XENO-Q Kit (XENOHELIX, cat. No.93661000)과 hsa-miR-92a-3p를 탐지할 수 있는 센서 DNA를 사용하여 cDNA를 합성하고 qPCR을 통해서 유전자의 발현양을 비교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센서 DNA의 서열은 하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또한, qPCR 수행시 이용된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다.
또한, 비교예 1로서 기존 제품인 I사의 Total Exosome Isolation kit(cat. No.4484450)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실험 방법은 함께 제공되는 프로토콜 및 매뉴얼에 따라 수행하였다.
우선 상기 기존 제품을 이용하여 혈장 내 염분 농도에 따른 세포 외 소포체의 분리 효율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혈장 내 염분 농도에 따라 hsa-miR-92a-3p의 발현이 7.03배까지 차이가 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NaCl을 가하지 않은 경우, 기존 제품 대비 본 발명 조성물을 이용하였을 때 hsa-miR-92a-3p 유전자의 발현양이 최대 4.72배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며,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0 내지 288.4 mM의 NaCl이 추가된 조건에서는 hsa-miR-92a-3p의 발현양이 0.97 내지 1.48 배 증가하여, 혈장 내 염분 농도에 따른 변동이 기존 제품에 비해 현저히 작은 것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 염분 농도 변화에도 세포 외 소포체의 분리 효율이 기존 제품 대비 안정적으로 유지됨에 따라, 동일한 방식으로 RNA를 추출하더라도 세포 외 소포체의 수득율 차이로 인하여 기존 제품 대비 현저히 높은 수준의 RNA를 얻을 수 있다.
실험예 4. 기존 기술 대비 본 발명 조성물의 세포 외 소포체 분리 효율 증가 확인
본 발명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 기존 기술 대비 세포 외 소포체 분리 효율이 증가됨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동일한 혈장 100 μl가 분주된 3개의 튜브를 준비하고 본 발명 실시예 6의 조성물, 비교예 1(I사의 Total Exosome Isolation Kit (cat. No. 4484450)), 비교예 2(S사의 ExoQuick solution(cat. No. EXOQ5A-1)), 를 이용하여 세포 외 소포체를 각각 분리하였다. 본 발명 조성물의 경우 상기 실험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였으며, S사 및 I사의 경우 각 회사에서 제공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하였다. 분리한 각 세포 외 소포체를 나노입자추적분석법(NTA, Nanoparticle Tracking Analysis)을 이용하여 크기 및 입자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 조성물을 이용하여 분리한 세포 외 소포체의 경우 평균 크기가 105.9 nm이며 93 nm 크기의 EV가 가장 많이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의 경우 세포 외 소포체의 평균 크기는 104.9 nm이며 엑소좀 외에도 다양한 크기의 세포 외 소포체가 분리하였다. 비교예 2의 경우 세포 외 소포체의 평균 크기는 112.8 nm이며 84 nm사이즈의 EV가 가장 많이 존재하나 200 nm 이상의 마이크로비지클(microvesicle) 및 최대 578 nm의 온코좀(oncosomes) 또는 apoptotic bodies와 같은 거대 비지클(vesicle)도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추출된 세포 외 소포체의 농도(입자수)의 경우, 본 발명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 용액 1 ml 당 4.82 X 1010 개의 입자가 존재하였으며, 비교예 1의 경우 용액 1 ml 당 1.08 X 1010 개, 비교예 2의 경우 3.43 X 1010 개의 입자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세포 외 소포체를 분리하는 경우, 기존 제품 대비 4.46 배까지 고효율로 세포 외 소포체를 수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할 경우, 동일 시료 내에서 분리될 수 있는 세포 외 소포체의 양이 증가되는 바, 높은 분리 효율로 인하여 기존에 비해 시료의 양이 적더라도 세포 외 소포체 및 이의 RNA의 검출 효율 역시 증가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폴리에틸렌글리콜을 5.0 내지 9.5 %(v/v)의 농도로 포함하는, 세포 외 소포체 분리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에 포함된 산화에틸렌의 평균 분자량은 3350 내지 10000인 것인, 세포 외 소포체 분리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폴리에틸렌글리콜 3350, 6000, 8000 및1000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세포 외 소포체 분리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알코올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세포 외 소포체 분리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아이소프로판올 또는 에탄올인, 세포 외 소포체 분리용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30 %(v/v) 이하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인, 세포 외 소포체 분리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대상 시료 내의 염도 변화에도 세포 외 소포체가 안정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인, 세포 외 소포체 분리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조직, 세포, 전혈, 혈장, 혈청, 혈액, 타액, 객담, 세포간액 또는 소변 시료인, 세포 외 소포체 분리용 조성물.
  9. 제1항의 조성물을 시료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료로부터 세포 외 소포체를 분리하는 방법.
KR1020230017186A 2022-02-11 2023-02-09 세포 외 소포체 분리용 조성물 KR202301216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121 2022-02-11
KR20220018121 2022-0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684A true KR20230121684A (ko) 2023-08-21

Family

ID=87846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7186A KR20230121684A (ko) 2022-02-11 2023-02-09 세포 외 소포체 분리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168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446A (ko) 2021-06-04 2022-12-13 기초과학연구원 염 분별 침전을 이용한 세포외 소포체 분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446A (ko) 2021-06-04 2022-12-13 기초과학연구원 염 분별 침전을 이용한 세포외 소포체 분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noshenko et al. Isolation of extracellular vesicles: general methodologies and latest trends
ES2218185T3 (es) Metodo para la purificacion de adn plasmidico exento de rnasa y de solvente organico, usando filtracion de flujo tangencial.
Bradley et al. Biophysical consequences of linker chemistry and polymer size on stealth erythrocytes: size does matter
JP2022537807A (ja) 治療送達用のプラットフォーム、組成物、および方法
US9376679B2 (en) Microvesicles carrying small interfering RNAs, preparation methods and uses thereof
WO2015085096A1 (en) Analysis of genomic dna, rna, and proteins in exosomes for diagnosis and theranosis
JPH07507458A (ja) 単核細胞からの核酸の調製
Galvanin et al. Diversity and heterogeneity of extracellular RNA in human plasma
US7553658B2 (en) Recovery of plasmids in an aqueous two-phase system
Shimasaki et al. Exosome research and co-culture study
CN103288953A (zh) 一种血浆中功能性蛋白质的分离纯化方法
CN117069842B (zh) 具有特定等电点的抗人bcma纳米抗体及car-t和应用
Scheule Novel preparation of functional Sindbis virosomes
Tan et al. Skimmed bovine milk-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isolated via “Salting-Out”: characterizations and potential functions as Nanocarriers
US20210113641A1 (en) Extraction of plant source "medicinal soup" and manual preparation of "herbal medicine" and related products
CN113215079B (zh) 一种从牛奶中提取细胞外囊泡的方法
KR20230121684A (ko) 세포 외 소포체 분리용 조성물
JPS6296541A (ja) 生物学的物質の抽出、純化、濃縮または分離用の2相または多相系に使用するための組成物
CN117126280B (zh) 具有亲水性氨基酸残基的抗人bcma纳米抗体及car-t和应用
Yin et al. Isolation of Structurally Heterogeneous TCR‐CD3 Extracellular Vesicle Subpopulations Using Caliper Strategy
CN114891808B (zh) 编码ALDH2多肽的mRNA分子、应用及mRNA药物
Fedoroff et al. Factor requirement of the bacteriophage f2 replicase
EP4353815A1 (en) Method for isolating extracellular vesicle using salt fractional precipitation
EP1356076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extracting proteins from cells
WO2017114216A1 (zh) 制备rhCNB二聚体的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