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1675A - System for interworking online for offline through integrating of different kinds information and creating contents - Google Patents

System for interworking online for offline through integrating of different kinds information and creating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1675A
KR20230121675A KR1020220025058A KR20220025058A KR20230121675A KR 20230121675 A KR20230121675 A KR 20230121675A KR 1020220025058 A KR1020220025058 A KR 1020220025058A KR 20220025058 A KR20220025058 A KR 20220025058A KR 20230121675 A KR20230121675 A KR 20230121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predetermined
content
converg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50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명찬
Original Assignee
아싸플레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싸플레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싸플레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21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675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유저의 제1퍼포먼스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집하는 제1단말 유닛; 유저의 제2퍼포먼스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집하는 제2단말 유닛; 제1입체 공간과 제2입체 공간을 상호 융합하여, 제1단말 유닛과 제2단말 유닛이 하나의 공간 상에 마련되도록 제공되는 융합 공간 유닛; 제1퍼포먼스 정보, 제2퍼포먼스 정보 또는 소정의 엔터 정보를 선택적으로 획득하여 소정의 융합 콘텐츠를 생성하는 크리에이팅 유닛; 소정의 융합 콘텐츠를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 선택적으로 업로딩하여, 융합 공간 유닛과 버추얼 쉐어링 필드를 상호 연결하는 미디에이션 유닛; 및 소정의 융합 콘텐츠를 버추얼 쉐어링 필드 내에 선택적으로 할당하는 쉐어링 필드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working system of on/off space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generation, comprising: a first terminal unit selectively collecting first performance information of a user; a second terminal unit that selectively collects user's second performance information; a fusion space unit provided to fuse the first three-dimensional space and the second three-dimensional space so that the first terminal unit and the second terminal unit are provided in one space; a creation unit that selectively obtains first performance information, second performance information, or predetermined enter information to generat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a mediation unit that selectively uploads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to the virtual sharing field and interconnects the convergence space unit and the virtual sharing field; and a sharing field unit that selectively allocates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in a virtual sharing field.

Description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System for interworking online for offline through integrating of different kinds information and creating contents}System for interworking online for offline through integrating of different kinds information and creating contents}

본 발명은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유저가 활동하는 오프라인 공간 중 이종의 영역으로부터 유저의 복수 개의 퍼포먼스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퍼포먼스 정보를 상호 융합하여 콘텐츠로 생성하고, 생성된 융합 콘텐츠를 온라인 공간으로 반영되도록 하기 위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이 가능한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working system of on/off space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creation. More specifically, in order to collect a plurality of performance information of users from heterogeneous areas among the offline spaces in which users are active, create contents by mutually converging the collected performance information, and reflect the generated convergence contents to the online space. It is a technical field related to a system capable of interoperating on and off spaces.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세계 콘텐츠 시장 규모 및 전망'에 따르면 세계 콘텐츠 시장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전 세계 콘텐츠 시장은 약 5.6%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였으며, 모바일 게임, 신규 콘솔,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보급의 영향으로 게임산업과 스트리밍, 공연음악을 중심으로 새로운 시장 구조가 형성된 콘텐츠 시장이 성장했다고 한다. According to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s 'World Content Market Size and Forecast', the global content market showed an average annual growth rate of about 5.6% from 2015 to 2019, and the spread of mobile games, new consoles, and cloud game services As a result, it is said that the content market, where a new market structure was formed centered on the game industry, streaming, and performance music, has grown.

최근에는 코로나 19로 인해 오프라인 영역의 콘텐츠 산업에 악영향이 발생하기도 했으나, 4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한 비대면 영역의 콘텐츠 산업은 오히려 확장되었고, 온-오프라인 간의 활발한 융합으로 신개념 시장이 창출됨과 동시에 비대면 콘텐츠 산업의 확장이 가속화되고 있다.Recently, Corona 19 has adversely affected the content industry in the offline area, but the content industry in the non-face-to-face area bas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rather expanded, and a new concept market has been created through active convergence between online and offline. The expansion of the non-face-to-face content industry is accelerating.

글로벌 콘텐츠산업 중에서도 E&M(Entertainment&Media) 분야 역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가상현실, 증강현실, 5G, AI, 데이터 알고리즘 등의 적용으로 인해 디지털 콘텐츠의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해지면서, 기업들은 소비자의 개별적인 선호를 반영한 콘텐츠를 제작하여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고, 소비자들은 자신의 디바이스를 통해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하여 소비하는 시스템 등을 제공하고 있다.Among the global content industries, the E&M (Entertainment & Media) field is also continuously growing. As customized digital content services become possible due to the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5G, AI, and data algorithms, companies provide customized content by producing content that reflects consumers' individual preferences, and consumers use their devices It provides a system for selecting and consuming the desired content through

이와 관련된 선행 특허문헌의 예로서 “O2O 공간 공유 및 모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등록번호 제10-2186582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이 존재한다.As an example of prior patent documents related to this, “O2O space sharing and meeting service providing system (Registration No. 10-218658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exists.

특허문헌1에 따른 발명의 경우, O2O 공간 공유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대여하고자 하는 공간의 검색 및 예약, 검색 또는 예약된 공간에서 활동할 특정 분야의 다양한 유형의 모임 커뮤니티를 개설, 검색 또는 참여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O2O 공간 공유 서비스 플랫폼에서 입력된 질의어 및 입력정보에 상응하는 공간정보, 사교 또는 재능 모임 커뮤니티정보를 제공하는 공유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In the cas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information for searching and reserving a space to be rented using an O2O space sharing service platform, or opening, searching, or participating in various types of meeting communities in a specific field to be active in the searched or reserved space. A user terminal that provides; and a sharing service server that provides spa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query word and input information entered in the O2O space sharing service platform, and social or talent gathering community information.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 (등록번호 제10-2085116호, 이하 특허문헌2이라 한다.)”이 존재한다.As another example of a patent document, there exists a “virtual domain-based content management system (Registration No. 10-208511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특허문헌2에 따른 발명의 경우, 가상 영역 기반 콘텐츠 관리 장치는 지도 기반의 가상 영역을 구획하여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를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 복수의 보관 영역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정보 및 콘텐츠 열람 조건 정보를 수신하고,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의 정보와 연계하여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 및 콘텐츠 보관 영역 요소에 대응하는 보관 영역에 위치하고 콘텐츠 열람 조건에 부합하는 제2사용자 단말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2, the virtual area-based content management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 region setting unit for setting a plurality of storage area elements by partitioning a map-based virtual area, content from a first user terminal, and a plurality of storage area elements. A content storage unit that receives information of one content storage area element and content viewing condition information and stores content in association with the information of a content storage area element, and is located in a storage area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torage area element and meets the content viewing condition. It may include a content provider for providing content to a second user terminal.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가상 공동 체험 시스템의 퍼스펙티브 셔플링 (공개번호 제10-2021-0094011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이 존재한다.As another example of a patent document, “Perspective Shuffling of a Virtual Joint Experience System (Publication No. 10-2021-0094011,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3)” exists.

특허문헌3에 따른 발명의 경우, 가상 현실 환경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들과 디지털 미디어 콘텐트를 공동 체험하기 위해 가상 세션에 연결하는 단계로서, 가상 현실 환경은 디지털 미디어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스크린을 포함하는, 가상 세션에 연결하는 단계, 가상 현실 환경에서 제1 사용자와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들 사이의 상대적 포지션들을 나타내는 상대적 포지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가상 현실 환경에서 제1 사용자의 제1 포지션에 기초하여 스크린을 렌더링하는 단계로서, 스크린과 제1 사용자의 제1 포지션은 가상 현실 환경에서 미리 정의된 공간 관계를 갖는, 스크린을 렌더링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대적 포지션 정보 및 제1 사용자의 제1 포지션에 기초하여 가상 현실 환경에서 제2 사용자를 나타내는 제2 아바타를 렌더링하는 단계로서, 제2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들 중 하나인, 렌더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cas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3, a step of connecting to a virtual session to co-experience digital media content with one or more other users i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wherein the virtual reality environment includes a screen for displaying digital media content , connecting to the virtual session, receiving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representing relative positions between the first user and one or more other users in the virtual reality environment, based on the first position of the first user in the virtual reality environment, on the screen. Rendering a screen, wherein the screen and the first position of the first user have a predefined spatial relationship in the virtual reality environment, and based on the received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first position of the first user. rendering a second avatar representing a second user in the virtual reality environment, wherein the second user is one of one or more other users.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응용 프로그램을 활용한 영상 콘텐츠 공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방법 (공개번호 제10-2018-0004433호, 이하 특허문헌4이라 한다.)”이 존재한다.As another example of a patent document, “a video content sharing system using an application program and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 No. 10-2018-000443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4)” exists.

특허문헌4에 따른 발명의 경우, 영상 콘텐츠 공유 시스템은 각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생성되거나 저장된 영상 콘텐츠를 위치 정보 데이터와 연계시켜 개인 맵 화면상에 알림핀으로 자동 등록시키는 응용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응용 프로그램 지원부, 개인 맵 화면에 등록된 알림핀의 정보들을 모두 통합하여 통합 맵 화면이 공유되도록 하고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개인별 알림핀 설정 기능, 캐스터 콘텐츠 기능, 유료 콘텐츠 전환 기능, SNS 연계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지원하는 운용 관리부, 및 개인 로그인 정보, 개인 맵 및 알림핀 설정 정보, 캐스터 콘텐츠 정보, 유료 콘텐츠 정보, SNS 연계 정보를 저장 및 공유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In the cas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4, the video content sharing system is an application support unit that supports an application that automatically registers video contents generated or stored in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location information data as a notification pin on a personal map screen. , Integrate all notification pin information registered on the individual map screen so that the integrated map screen is shared, and at least one of the individual notification pin setting function, caster content function, paid content conversion function, and SNS linkage function is provided through the application. It includes an operation management unit that supports execution, and a database that stores and shares personal log-in information, personal map and notification pin setting information, caster content information, paid content information, and SNS connection information.

등록번호 제10-2186582호Registration No. 10-2186582 등록번호 제10-2085116호Registration No. 10-2085116 공개번호 제10-2021-0094011Publication No. 10-2021-0094011 공개번호 제10-2018-0004433호Publication No. 10-2018-0004433

본 발명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The interworking system of on/off space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cre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presents the following problems to be solved.

첫째, 유저가 활동하는 오프라인 공간 중 이종의 영역으로부터 유저의 복수 개의 퍼포먼스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집하고자 한다.First, it is intended to selectively collect a plurality of pieces of user performance information from heterogeneous areas among offline spaces in which users are active.

둘째, 이종의 영역으로부터 획득된 복수 개의 퍼포먼스 정보의 공통성, 교집합성, 일치성 등을 통해 융합성을 판단하여 상호 융합된 콘텐츠를 생성하고자 한다.Second, we try to create mutually converged contents by judging convergence through commonality, intersection, and congruence of a plurality of pieces of performance information obtained from heterogeneous areas.

셋째, 상호 융합된 콘텐츠를 온라인 상의 가상 공간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Third, mutually fused contents can be shared in an online virtual space.

넷째, 가상 공간 상에서 불특정 다수의 유저들에게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유저 간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커뮤니티 서비스와 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Fourth, to provide a variety of contents to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in a virtual space and to provide community services and commerce services to enable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users.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The interworking system of the on/off space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 solving means for the above problem to be solved.

본 발명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은 제1입체 공간에 마련되도록 제공되어, 유저에게 제시된 소정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유저의 제1퍼포먼스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집하는 제1단말 유닛; 제2입체 공간에 마련되도록 제공되어, 상기 유저에게 제시된 상기 소정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유저의 제2퍼포먼스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집하는 제2단말 유닛; 상기 제1단말 유닛이 마련될 제1입체 공간과, 상기 제2단말 유닛이 마련될 제2입체 공간을 상호 융합하여, 상기 제1단말 유닛과 상기 제2단말 유닛이 하나의 공간 상에 마련되도록 제공되는 융합 공간 유닛; 상기 융합 공간 유닛 상에서 마련된 상기 제1단말 유닛과 상기 제2단말 유닛으로부터 상기 유저의 상기 제1퍼포먼스 정보, 상기 제2퍼포먼스 정보 또는 소정의 엔터 정보를 선택적으로 획득하여 소정의 융합 콘텐츠를 생성하는 크리에이팅 유닛(creating unit); 상기 크리에이팅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소정의 융합 콘텐츠를 버추얼 쉐어링 필드(virtual sharing field)에 선택적으로 업로딩하여, 상기 융합 공간 유닛과 상기 버추얼 쉐어링 필드를 상호 연결하는 미디에이션 유닛(mediation unit); 및 상기 버추얼 쉐어링 필드를 구현하여 상기 미디에이션 유닛으로부터 업로딩된 상기 소정의 융합 콘텐츠를 상기 버추얼 쉐어링 필드 내에 선택적으로 할당하며, 상기 소정의 융합 콘텐츠를 불특정 다수의 유저와 공유하는 필드를 제공하는 쉐어링 필드 유닛(sharing field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working system of on/off space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generation is provided to be provided in a first three-dimensional space, and selectively collects the user's first performance information through a predetermined terminal presented to the user. a first terminal unit to; a second terminal unit provided in a second three-dimensional space to selectively collect second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predetermined terminal presented to the user; The first three-dimensional space in which the first terminal unit is to be provided and the second three-dimensional space in which the second terminal unit is to be provided are mutually fused so that the first terminal unit and the second terminal unit are provided in one space. a fusion space unit provided; Creation of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by selectively acquiring the first performance information, the second performance information, or predetermined enter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first terminal unit and the second terminal unit provided on the convergence space unit. a creating unit; a mediation unit for selectively uploading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generated by the creation unit to a virtual sharing field and interconnecting the convergence space unit and the virtual sharing field; and a sharing field implementing the virtual sharing field, selectively allocating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uploaded from the mediation unit into the virtual sharing field, and providing a field for sharing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with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It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unit (sharing field unit).

본 발명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상기 제1퍼포먼스 정보 및 제2퍼포먼스 정보 각각은, 상기 유저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정보, 모션 정보 및 바이오 정보로 이루어진 군집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performa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interworking system of the on/off space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luster composed of voice information, motion information, and bio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ser.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from.

본 발명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상기 소정의 엔터 정보는, 상기 제1단말 유닛과 상기 제2단말 유닛이 제공하는 사운드 정보 또는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enter information of the interworking system of the on/off space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 least one of sound information or imag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first terminal unit and the second terminal unit. It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above.

본 발명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상기 크리에이팅 유닛은, 상기 소정의 융합 콘텐츠에 상기 소정의 엔터 정보, 상기 제1퍼포먼스 정보 또는 제2퍼포먼스 정보가 상호 융합되도록 하는 오버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reating unit of the interworking system of the on/off space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predetermined enter information, the first performance information, or the second performance information to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overlap information that allows fusion with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상기 크리에이팅 유닛은, 상기 오버랩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소정의 엔터 정보 상에 상기 제1퍼포먼스 정보 또는 제2퍼포먼스 정보를 선택적으로 오버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reating unit of the interworking system of on/off space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generate the overlap information, the first performance information or the second performance information on the predetermined enter information 2 It may be characterized by selectively overlapping performance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상기 미디에이션 유닛은, 상기 크리에이팅 유닛로부터 생성된 상기 소정의 융합 콘텐츠를 상기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 자동으로 업로딩하여 상기 오프라인과 상기 버추얼 쉐어링 필드를 상호 연동하는 인터워킹(interworking)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ediation unit of the interworking system of the on/off space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uploads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generated from the creation unit to the virtual sharing fiel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interworking unit for mutually interworking the offline and the virtual sharing field.

본 발명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상기 미디에이션 유닛은, 상기 소정의 융합 콘텐츠에 대한 트랜잭션(transaction) 정보를 복수 개의 노드에 분산 저장하는 스토리지(storage)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ediation unit of the interworking system of the on/off space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orage that distributes and stores transaction information for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in a plurality of nodes. )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art.

본 발명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상기 미디에이션 유닛은, 상기 버추얼 쉐어링 필드 내에서 상기 소정의 융합 콘텐츠에 대한 어드레스 정보가 내포된 소정의 어센틱 코드(authentic code)를 발급하여 상기 소정의 융합 콘텐츠에 선택적으로 할당하는 퍼블리싱(publishing)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ediation unit of the interworking system of the on/off space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determined authentic code containing address information for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in the virtual sharing field ( It may further include a publishing unit that issues an authentic code and selectively allocates it to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본 발명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상기 쉐어링 필드 유닛은, 상기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 접속한 상기 불특정 다수의 유저의 상기 소정의 융합 콘텐츠에 대한 미리 결정된 커뮤니티 활동을 위한 소정의 커뮤니티 필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커뮤니티 필드(community field)부; 및 상기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 접속한 상기 불특정 다수의 유저의 상기 소정의 융합 콘텐츠에 대한 미리 결정된 커머셜 활동을 위한 소정의 커머셜 필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커머셜 필드(commercial field)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haring field unit of the interworking system of the on/off space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a predetermined community for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of the unspecified number of users who access the virtual sharing field. a community field unit that selectively provides a predetermined community field for activities; and a commercial field unit for selectively providing a predetermined commercial field for a predetermined commercial activity for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of the unspecified number of users accessing the virtual sharing field. there is.

본 발명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상기 쉐어링 필드 유닛은, 상기 불특정 다수의 유저의 상기 미리 결정된 커뮤니티 활동 또는 상기 미리 결정된 커머셜 활동에 대한 보상이 되는 소정의 리워딩 배지를 선택적으로 발행하여, 상기 불특정 다수의 유저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리워딩 필드(rewarding field)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haring field unit of the interworking system of the on/off space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cre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determined reward for the predetermined community activity or the predetermined commercial activity of the unspecified number of users. It may be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rewarding field unit for selectively issuing a reward badge of and selectively providing it to the unspecified number of users.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system for interworking between on/off spaces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cre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유저가 활동하는 이종의 입체 공간으로부터 유저의 복수 개의 퍼포먼스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집하고, 이종의 공간이 융합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collect a plurality of pieces of performance information of a user from a heterogeneous three-dimensional space in which the user is active, and form a space in which the heterogeneous spaces are fused.

둘째, 융합된 공간으로부터 획득된 정보 간의 공통성, 교집합성, 일치성 등을 분석하고 상호 융합하여 소정의 융합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Second, it is possible to generat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by analyzing commonality, intersection, congruence, etc. betwee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onverged space and merging with each other.

셋째, 소정의 융합 콘텐츠를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 상호 연동시키고, 불특정 다수의 유저들로 하여금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 접속하여 소정의 융합 콘텐츠를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된다.Third,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s are interconnected with the virtual sharing field, and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can access the virtual sharing field to share and utilize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s.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제1단말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단말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제2단말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융합 공간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크리에이팅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미디에이션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쉐어링 필드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커뮤니티 필드부의 개념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커머셜 필드부의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interworking system of on/off space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cre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irst terminal unit of an on/off space interworking system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irst termina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an on/off space interworking system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cre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econd terminal unit of an on-off space interworking system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vergence space unit of an on/off space interworking system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reation unit of an on-off space interworking system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ediation unit of an on-off space interworking system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cre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haring field unit in an on/off space interworking system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cre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mmunity field unit of an on/off space interworking system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cre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mmercial field unit of an on-off space interworking system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cre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interworking system of the on/off space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 want to explai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제1단말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단말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제2단말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융합 공간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크리에이팅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미디에이션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쉐어링 필드 유닛의 개념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커뮤니티 필드부의 개념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커머셜 필드부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interworking system of on/off space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cre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irst terminal unit of an on/off space interworking system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irst termina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an on/off space interworking system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econd terminal unit of an on-off space interworking system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vergence space unit of an on/off space interworking system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reation unit of an on-off space interworking system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ediation unit of an on-off space interworking system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cre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haring field unit in an on/off space interworking system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cre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mmunity field unit of an on/off space interworking system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cre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mmercial field unit of an on-off space interworking system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cre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가 활동하는 오프라인 공간 또는 입체 공간 중 이종의 영역으로부터 유저의 복수 개의 퍼포먼스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퍼포먼스 정보를 상호 융합하여 콘텐츠로 생성하고, 생성된 융합 콘텐츠를 온라인 공간으로 반영되도록 하기 위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이 가능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In the case of the interworking system of on/off space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cre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capable of interconnecting on/off spaces to collect information, create contents by mutually converging the collected performance information, and reflect the generated convergence contents to an online space.

여기서 말하는 입체 공간은 오프라인 공간 상에서 불특정 다수의 유저들이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레저, 취미, 스포츠 등의 활동이 가능한 곳이며, 이종(different kinds)의 영역으로부터 유저의 퍼포먼스 정보를 동시 수집하고 상호 융합하여 융합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The three-dimensional space referred to here is a place where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can engage in various activities such as entertainment, leisure, hobbies, and sports in an offline space, and convergence content by simultaneously collecting user performance information from different kinds of areas and integrating them with each other. can be created.

본 발명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경우, 제1단말 유닛(10), 제2단말 유닛(20), 융합 공간 유닛(100), 크리에이팅 유닛(creating unit, 200), 미디에이션 유닛(mediation unit, 300), 및 쉐어링 필드 유닛(sharing field unit, 400)을 포함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interworking system of on/off space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unit 10, the second terminal unit 20, the fusion space unit 100, and the creation unit (creating unit, 200), mediation unit (mediation unit, 300), and sharing field unit (sharing field unit, 400).

먼저, 제1단말 유닛(10)의 경우,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입체 공간(11)에 마련되도록 제공되어, 유저에게 제시된 소정의 단말기를 통해 유저의 제1퍼포먼스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집하는 구성이다.First, in the case of the first terminal unit 10, as shown in FIGS. 2 and 3, it is provided to be provided in the first three-dimensional space 11 and the user's first performance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a predetermined terminal presented to the user. It is a configuration that selectively collects.

제2단말 유닛(20)의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입체 공간(21)에 마련되도록 제공되어, 유저에게 제시된 소정의 단말기를 통해 유저의 제2퍼포먼스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second terminal unit 20, as shown in FIG. 4, it is provided to be provided in the second three-dimensional space 21 and is configured to collect user's second performance information through a predetermined terminal presented to the user. .

먼저, 제1단말 유닛(10)과 제2단말 유닛(20)에 마련되는 제1입체 공간(11)과 제2입체 공간(21) 각각은 오프라인 상의 실제 공간으로 유저가 영화, 음악, 게임, 스포츠 등의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레저, 취미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First, each of the first three-dimensional space 11 and the second three-dimensional space 21 provided in the first terminal unit 10 and the second terminal unit 20 is an offline real space, allowing users to enjoy movies, music, games, It can be defined as a space where you can engage in various entertainment, leisure, and hobbies such as sports.

예컨대, 제1입체 공간(11)과 제2입체 공간(21)은 노래방, 코인 노래방, 녹음실, 공연장, 극장, 골프장, 실내 골프 연습장, 스크린 골프장, 헬스장, 체육 시설, 트레이닝 센터, 재활센터, 엔터테인먼트 시설, 테마파크, 영상실, 체험 공간, 안무 연습실, 작업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각각의 제1입체 공간(11), 제2입체 공간(21)으로 개념적 정의를 할 수 다.For example, the first three-dimensional space 11 and the second three-dimensional space 21 are karaoke rooms, coin karaoke rooms, recording studios, performance halls, theaters, golf courses, indoor golf driving ranges, screen golf courses, gyms, sports facilities, training centers, rehabilitation centers, entertainment It is possible to conceptually define each of the first three-dimensional space 11 and the second three-dimensional space 21 by selecting at least one of facilities, theme parks, video rooms, experience spaces, choreography practice rooms, and workrooms.

또한, 제1단말 유닛(10)과 제2단말 유닛(20)에 제공되는 소정의 단말기는 유저의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며, 서버와의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서, 예컨대, 스마트폰, PC,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 워치, 카메라, 콘솔 장치, 운동 장비, EMS(Electro muscular stimulation) 장비, 웨어러블 장비, 센서, 카메라 센서, 노래 반주기, 녹음 장비, 블루투스 통신 장치, 운동 장비, 신체활동 측정 장비, 스크린 등이 존재한다.In addition, a predetermined terminal provided to the first terminal unit 10 and the second terminal unit 20 is a device capable of collecting and storing user information data and communicating with a server, for example, a smartphone, a PC, Laptops, tablets, smart watches, cameras, console devices, exercise equipment, EMS (Electro Muscular Stimulation) equipment, wearable equipment, sensors, camera sensors, song accompaniment, recording equipment, Bluetooth communication devices, exercise equipment, physical activity measurement equipment, screens etc. exist.

소정의 단말기로부터 수집되는 제1퍼포먼스 정보와 제2퍼포먼스 정보 각각은 유저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정보, 모션 정보, 바이오 정보로 이루어진 군집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게 된다.Each of the first performa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performance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predetermined terminal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from a group consisting of voice information, motion information, and bio information provided from a user.

음성 정보는 제1입체 공간(11) 또는 제2입체 공간(21)에 있는 유저의 음성, 목소리로 정의할 수 있다. Voice information may be defined as a user's voice or voice in the first stereoscopic space 11 or the second stereoscopic space 21 .

예컨대, 입체 공간이 노래방(11a)일 경우, 소정의 단말기는 노래방 마이크가 되며, 노래를 부르는 유저의 육성을 음성 정보로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입체 공간이 영상을 보는 영상실일 경우, 영상을 보는 리액션을 하는 유저의 육성이 음성 정보가 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hree-dimensional space is a karaoke room 11a, a predetermined terminal becomes a karaoke microphone, and voice information of a user singing may be collected. In addition, when the 3D space is a video room for viewing a video, voice information may be the voice of a user reacting to a video.

모션 정보는 제1입체 공간(11) 또는 제2입체 공간(21)에 있는 유저의 행동이나 동작 정보에 대한 정보로 정의할 수 있다. 예컨대, 입체 공간이 노래방일 경우, 노래를 부르는 유저의 안무나 동작을 모션 정보로 수집할 수 있다.Motion information may be defined as information about a user's behavior or motion information in the first three-dimensional space 11 or the second three-dimensional space 21 . For example, when the three-dimensional space is a karaoke room, choreography or motions of a singing user may be collected as motion information.

또 다른 예로, 입체 공간이 스크린 골프장(11b)일 경우, 카메라 등을 통해 골프 스윙하는 유저의 스윙 동작을 모션 정보로 수집할 수 있으며, 헬스장이나 체육시설, 트레이닝 시설일 경우 유저의 운동 동작을 모션 정보로 수집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three-dimensional space is the screen golf course 11b, motion information of a user swinging golf through a camera may be collected, and in the case of a gym, sports facility, or training facility, the motion of the user may be recorded as motion. information can be gathered.

바이오 정보는 제1입체 공간(11) 또는 제2입체 공간(21)에 있는 유저의 생체 정보로 정의할 수 있다.The biometric information may be defined as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in the first three-dimensional space 11 or the second three-dimensional space 21 .

바이오 정보는 유저의 음성 정보 또는 모션 정보에 따라서 유저의 신체에 선택적으로 변화가 발생하며, 바이오 정보는 소정의 단말기 중 신체활동 측정 장비를 통해 유저의 생체 및 신체 변화를 바이오 정보로 수집할 수 있게 된다.The bio information selectively changes in the user's body according to the user's voice information or motion information, and the bio information enables the user's body and body changes to be collected as bio information through physical activity measurement equipment among predetermined terminals. do.

예컨대, 입체 공간이 헬스장(21)일 경우, 운동하는 유저의 모션 정보에 따라서, 유저의 심박수, 심전도, 각 근육 부위의 수축과 이완, 떨림, 근육량, 산소 포화도, 체온, 칼로리, 호흡수, 혈당, BMI, 체지방량, 체질량 지수, 체수분량, 신장, 체중, 체단백질, 지방량, 골질량, 등의 정보를 바이오 정보로 수집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hree-dimensional space is the gym 21, the user's heart rate, electrocardiogram,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each muscle part, tremors, muscle mass, oxygen saturation, body temperature, calories, respiratory rate, blood sugar, according to motion information of a user exercising. , BMI, body fat mass, body mass index, body water, height, weight, body protein, fat mass, bone mass, etc. may be collected as bio information.

즉, 유저의 제1퍼포먼스 정보와 제2퍼포먼스 정보는, 복수 개의 입체 공간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유저의 목소리, 행동, 신체적 변화 등 각각의 이종의 정보로서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t is preferable to define the user's first performa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performance information as different types of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voice, behavior, and physical change that can be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spaces.

또한, 제1단말 유닛(10)과 제2단말 유닛(20)으로부터 소정의 엔터 정보, 소정의 오브젝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predetermined enter information and predetermined object information can be obtained from the first terminal unit 10 and the second terminal unit 20 .

소정의 엔터 정보의 경우, 제1단말 유닛(10)과 제2단말 유닛(20)이 제공하는 사운드 정보 또는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게 된다.In the case of predetermined enter information, at least one of sound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first terminal unit 10 and the second terminal unit 20 is included.

사운드 정보의 경우, 제1입체 공간(11) 또는 제2입체 공간(21) 상에서 발생하는 음향이나 오디오 정보로 정의할 수 있다.In the case of sound information, it may be defined as sound or audio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first three-dimensional space 11 or the second three-dimensional space 21 .

예컨대, 입체 공간이 노래방일 경우, 소정의 단말기 중 노래방 반주기로부터 나오는 MR을 사운드 정보로 수집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hree-dimensional space is a karaoke room, MR from a karaoke accompaniment machine among predetermined terminals may be collected as sound information.

영상 정보의 경우, 제1입체 공간(11) 또는 제2입체 공간(21) 상에서 상영되는 동영상 정보로 정의할 수 있다.In the case of video information, it can be defined as video information played on the first three-dimensional space 11 or the second three-dimensional space 21 .

예컨대, 입체 공간이 노래방일 경우, 노래방 반주기의 화면으로부터 나오는 배경 영상을 영상 정보로 수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입체 공간이 스크린 골프장일 경우, 스크린에 나오는 골프장의 3D 입체 영상을 영상 정보로 수집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hree-dimensional space is a karaoke room, a background image from the screen of the karaoke half cycle may be collected as image information. As another example, when the 3D space is a screen golf course, a 3D stereoscopic image of the golf course displayed on the screen may be collected as image information.

소정의 오브젝트 정보는 제1입체 공간(11) 또는 제2입체 공간(21)에 구비된 장비 또는 장치로부터 수집할 수 있는 정보로 정의할 수 있다.Predetermined object information may be defined as information that can be collected from equipment or devices provided in the first three-dimensional space 11 or the second three-dimensional space 21 .

예컨대, 입체 공간이 노래방일 경우, 노래방에 구비된 노래 반주기, 유무선 마이크, 악기, 조명, 카메라, 센서 등으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소정의 오브젝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hree-dimensional space is a karaoke room, predetermined object information may be obtained from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singing accompaniment, a wired/wireless microphone, a musical instrument, a light, a camera, a sensor, and the like provided in the karaoke room.

또한, 입체 공간이 스크린 골프장일 경우, 스크린 골프장에 구비된 스크린, 스윙 분석기, 스윙 플레이트, 잔디 변환기, 컨트롤러, 센서, 초고속 카메라 센서, 모션 카메라, 골프공, 골프 클럽, 오토 티업, 프로젝터 등으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소정의 오브젝트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three-dimensional space is a screen golf course, collection is made from the screen, swing analyzer, swing plate, turf converter, controller, sensor, high-speed camera sensor, motion camera, golf ball, golf club, auto tee-up, projector, etc. provided in the screen golf course. This information can be obtained as predetermined object information.

융합 공간 유닛(100)의 경우, 제1단말 유닛(10)이 마련될 제1입체 공간(11)과 제2단말 유닛(20)이 마련될 제2입체 공간(21)을 상호 융합하여, 제1단말 유닛(10)과 제2단말 유닛(20)이 하나의 공간 상에 마련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fusion space unit 100, the first three-dimensional space 11 where the first terminal unit 10 is to be provided and the second three-dimensional space 21 where the second terminal unit 20 is to be provided are fused together, This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terminal unit 10 and the second terminal unit 20 are provided in one space.

융합 공간 유닛(10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공간 상에 노래방, 코인 노래방, 녹음실, 공연장, 극장, 골프장, 실내 골프 연습장, 스크린 골프장, 헬스장, 체육 시설, 트레이닝 센터, 재활센터, 엔터테인먼트 시설, 테마파크, 영상실, 체험 공간, 또는 작업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체 공간이 포함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fusion space unit 100 is a karaoke room, a coin karaoke room, a recording studio, a performance hall, a theater, a golf course, an indoor golf driving range, a screen golf course, a gym, a sports facility, a training center, and a rehabilitation center in one space. , it can be defined as including at least one three-dimensional space among an entertainment facility, a theme park, a video room, an experience space, or a workroom.

즉, 융합 공간 유닛(100)은 제1입체 공간(11)과 제2입체 공간(21)이 상호 융합되어, 제1퍼포먼스 정보와 제2퍼포먼스 정보를 동시에 획득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n the fusion space unit 100, the first three-dimensional space 11 and the second three-dimensional space 21 are fus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performa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performance information can be acquired at the same time.

크리에이팅 유닛(200)의 경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합 공간 유닛(100) 상에 마련된 제1단말 유닛(10)과 제2단말 유닛(20)으로부터 유저의 제1퍼포먼스 정보, 제2퍼포먼스 정보, 또는 소정의 엔터 정보를 선택적으로 획득하여,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를 생성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creation unit 200, as shown in FIG. 6, the user's first performance inform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unit 10 and the second terminal unit 20 provided on the fusion space unit 100, This is a configuration for selectively acquiring second performance information or predetermined enter information to generat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는 음성 정보, 모션 정보, 바이오 정보, 사운드 정보, 영상 정보를 선택적으로 획득하여 상호 융합된 콘텐츠로 정의할 수 있다.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may be defined as mutually converged content by selectively acquiring voice information, motion information, bio information, sound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를 생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정보들의 공통성, 교집합성, 일치성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generat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s 201,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whether each piece of information has commonality, intersection, or coincidence.

예컨대, 융합 공간 유닛(100)에 노래방과 헬스장이 상호 융합되어 존재할 경우, 노래를 부르는 유저의 음성 정보와 노래를 부르는 동안 유저의 심박수, 근육의 움직임 등의 바이오 정보를 동시에 획득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a karaoke room and a gym are fused together in the convergence space unit 100, voice information of a singing user and bio information such as a user's heart rate and muscle movement while singing can be obtained at the same time.

크리에이팅 유닛(200)에서는 유저가 노래를 시작 파트에서의 음성 정보 및 바이오 정보, 후렴 파트에서의 음성 정보 및 바이오 정보를 선택적으로 획득하여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로서 생성하고 각각의 정보를 비교 분석할 수 있다.In the creation unit 200, the user selectively acquires the voice information and bio information in the beginning part of the song, and the voice information and bio information in the chorus part to creat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s 201, and each information can be compared and analyzed.

또 다른 예로서, 융합 공간 유닛에 스크린 골프장과 헬스장이 상호 융합되어 존재할 경우, 골프 스윙을 하는 유저의 모션 정보와, 골프 스윙에 따른 유저의 심박수, 근육의 움직임에 대한 바이오 정보를 동시에 획득하여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를 생성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a screen golf course and a fitness center are fused together in a convergence space unit, motion information of a user making a golf swing and bio information about the user's heart rate and muscle movement according to the golf swing are simultaneously obtained to obtain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of can be created.

아울러, 크리에이팅 유닛(200)에서 생성되는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에는 소정의 엔터 정보, 제1퍼포먼스 정보, 제2퍼포먼스 정보가 상호 융합되도록 하는 오버랩 정보를 포함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generated by the creation unit 200 includes overlap information for convergence of predetermined enter information, first performance information, and second performance information.

오버랩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소정의 엔터 정보 상에 제1퍼포먼스 정보 또는 제2퍼포먼스 정보를 선택적으로 오버랩시킬 수 있다.In order to generate overlap information, first performance information or second performance information may be selectively overlapped on predetermined enter information.

예컨대, 소정의 엔터 정보 중 사운드 정보를 수집하여 노래방 MR 정보를 획득하고, 음성 정보로부터 유저의 육성 정보를 획득하여, 사운드 정보에 음성 정보를 오버랩시켜 음원 정보를 생성하고 오버랩 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karaoke MR information is obtained by collecting sound information among predetermined enter information, user voice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voice information, sound information is overlapped with sound information, and sound source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and obtained as overlap information. .

또한, 오버랩 정보는 미리 결정된 시점에서의 제1퍼포먼스 정보, 제2퍼포먼스 정보, 또는 소정의 엔터 정보가 상호 융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미리 결정된 시점은 유저가 퍼포먼스를 하는 동안 어느 한 시점을 지정하여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verlap information is preferably a combination of first performance information, second performance information, or predetermined enter information at a predetermined point in time. The predetermined point in time referred to here may be determined by specifying any point in time during the user's performance.

미리 결정된 시점에서의 각각의 정보를 융합하면, 시점의 변화에 따라서 유저의 소정의 융합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각각의 시점에 대한 유저의 퍼포먼스를 비교분석할 수 있게 된다. By converging each piece of information at a predetermined point in time, a user's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can be created according to a change in point of view, and the user's performance at each point of time can be compared and analyzed.

미디에이션 유닛(300)의 경우,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리에이팅 유닛으로부터 획득된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를 버추얼 쉐어링 필드(virtual sharing field)에 선택적으로 업로딩하여, 융합 공간 유닛과 버추얼 쉐어링 필드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mediation unit 300, as shown in FIG. 7, by selectively uploading predetermined fusion content 201 obtained from the creation unit to a virtual sharing field, the fusion space unit and It is a configuration that interconnects virtual sharing fields.

버추얼 쉐어링 필드는 온라인 상의 3차원 공간, 또는 가상 공간으로서, 유저가 실재하는 물리적 공간에서 느낄 수 있는 상호 작용과 최대한 유사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공간이며, 불특정 다수의 유저는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경계와 제약없이 콘텐츠의 상호 공유가 가능한 공간이다. 즉, 오프라인 공간을 디지털 기반의 온라인 공간으로 확장시키고, 오프라인에서 할 수 있는 활동들은 온라인에서도 가능하도록 하는 공간을 뜻한다.A virtual sharing field is an online three-dimensional space or virtual space, a space where users can experience as much as possible the interaction that they can feel in a real physical space. It is a space where contents can be mutually shared. In other words, it means a space that expands the offline space into a digital-based online space and allows activities that can be done offline to be performed online as well.

미디에이션 유닛(300)은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를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서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정보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시키도록 한다.The mediation unit 300 converts predetermined information into a digital format so that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can be shared and utilized in a virtual sharing field.

예컨대, 제1단말 유닛 또는 제2단말 유닛으로부터 유저의 노래 정보가 수집되면, 유저의 음원 또는 노래 영상, 심장 박동 정보 등을 융합한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 등을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 공유하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업로드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s song information is collected from the first terminal unit or the second terminal unit, for sharing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in which the user's sound source or song image, heartbeat information, etc. are fused in a virtual sharing field. It is converted into digital data and can be uploaded.

본 발명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미디에이션 유닛(300)의 경우, 유저 액세싱(user accessing)부(310), 인터워킹(interworking)부(320), 스토리지(storage)부(330), 퍼블리싱(publishing)부(340)를 포함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mediation unit 300 of the interworking system of the on/off space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accessing unit 310 and the interworking unit 320 ), a storage unit 330, and a publishing unit 340.

먼저, 유저 액세싱부(310)의 경우, 제1단말 유닛 또는 제2단말 유닛의 소정의 단말기로부터 획득된 유저의 프로필 정보를 토대로, 유저가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접속 권한을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구성이다.First, in the case of the user accessing unit 310, based on user profile information acquired from a predetermined terminal of the first terminal unit or the second terminal unit, selectively granting access authority so that the user can access the virtual sharing field. is a composition

유저 액세싱부(310)는 제1입체공간, 제2입체공간 또는 융합 공간 유닛에 존재하는 불특정 다수의 유저의 프로필 정보를 토대도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user accessing unit 310 is a component that enables access to a virtual sharing field based on profil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unspecified users existing in the first three-dimensional space, the second three-dimensional space, or the fusion space unit.

이때, 유저 액세싱부(310)로부터 불특정 다수의 유저에게 접속 권한이 부여되면, 불특정 다수의 유저는 가상의 캐릭터 또는 아바타를 통해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 접속하여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when access authority is granted to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from the user accessing unit 310, the unspecified number of users can access the virtual sharing field through virtual characters or avatars and perform various activities.

예컨대, 유저들은 가상의 캐릭터 또는 아바타에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투영하고, 가상의 캐릭터 또는 아바타는 불특정 다수의 유저를 대신하여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서 활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users project their identities onto virtual characters or avatars, and the virtual characters or avatars act in the virtual sharing field on behalf of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인터워킹부(320)의 경우, 크리에이팅 유닛(200)으로부터 획득된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를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 자동으로 업로딩하여, 오프라인 공간과 버추얼 쉐어링 필드를 상호 연동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interworking unit 320, a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obtained from the creation unit 200 is automatically uploaded to the virtual sharing field, and the offline space and the virtual sharing field are interconnected.

인터워킹부(320)는 불특정 다수의 유저가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불특정 다수의 유저들이 쉽고 편리하게 유저의 소정의 단말기를 통해 웹과 모바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 환경(ux/ui)을 구현하고 제공하는 구성이다.The interworking unit 320 is to support a number of unspecified users to utiliz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and a number of unspecified users can easily and conveniently use the web and mobile through a predetermined terminal of the user. It is a configuration that implements and provides an interface environment (ux/ui).

인터워킹부(320)를 통해 불특정 다수의 유저는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 반영된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에 접근할 수 있으며,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에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rough the interworking unit 320,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can access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reflected in the virtual sharing field, and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is stored in a smart contract. desirable.

스토리지부(330)의 경우,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 업로딩된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에 대한 트랜잭션 정보를 복수 개의 노드에 분산 저장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storage unit 330, it is a configuration for distributing and storing transaction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uploaded to a virtual sharing field in a plurality of nodes.

트랜잭션 정보란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에 대하여 발생된 모든 데이터의 기록을 말한다. 예컨대, 버추얼 쉐어링 필드 상에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의 등록, 해쉬(hash)값, 저작권자, 거래, 복사, 수정, 변경, 거래 내역, 결제, 등의 버추얼 쉐어링 필드 상에서의 모든 기록에 대한 이벤트를 포함하는 정보로 정의할 수 있다.Transaction information refers to a record of all data generated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 Events for all records on the virtual sharing field, such as, for example, registration of a given convergence content 201 on the virtual sharing field, hash value, copyright holder, transaction, copy, modification, change, transaction history, payment, etc. It can be defined as information that includes.

여기서 말하는 노드는 미리 지정된 서버 또는 데이터 저장소인 스토리지를 구비하는 구성 요소를 의미하는 것이다. 노드는 하나의 스토리지를 공유하고 연결되어 노드들에 의하여 정보의 공유되고 저장되는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A node as used herein refers to a component having a pre-designated server or data storage, i.e., storage. Nodes are preferably connected to share one storage, so that information is shared and stored by the nodes.

스토리지부(330)의 각각의 노드들이 하나의 스토리지를 상호 공유하며, 각각 노드들은 스토리지를 함께 공유하는 노드들과 정보를 상호 공유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복수 개의 노드에 의하여 정보가 공유되고 저장되는 형태를 갖는 것이다.Each node of the storage unit 330 mutually shares one storage, and each node mutually shares information with nodes that share storage together. Through this, it has a form in which information is shared and stored by a plurality of nodes.

복수 개의 노드는 모든 콘텐츠 정보들을 노드에 개별적으로 분산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으며, 각각의 노드들은 동일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 개의 노드들 중 하나의 기록이 상실되더라도, 동일한 데이터를 공유한 다른 노드에 의하여 정보가 복원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노드는 데이터 상실과 조작의 위험에서 자유롭기 때문에,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A plurality of nodes can individually distribute and store all content information in the nodes and share them, and each node can share the same information. For example, even if a record of one of a plurality of nodes is lost, information can be restored by another node sharing the same data. Since multiple nodes are free from the risk of data loss and manipulation, reliability of data can be secured.

또한, 스토리지부(330)의 복수 개의 노드는, 복수 개의 노드 중 어느 일 노드에서 발생된 이벤트가 복수 개의 노드 중 나머지 노드에서 발생된 이벤트와 상이한 경우에는 어느 일 노드에서 발생된 이벤트는 무시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nodes of the storage unit 330, when an event generat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nodes is different from an event generated in the other nodes among the plurality of nodes, the event generated in one node is ignored. .

예컨대, 소정의 콘텐츠는 개별 노드에 각각 저장되며, 다수의 개별 노드가 모여서 하나의 스토리지에서 복수 개의 노드를 형성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복수 개의 노드들은 동일한 콘텐츠 정보를 상호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복수 개의 노드들 중 하나의 개별 노드에 기록이 유실, 임의 변조, 해킹, 혹은 임의 삭제되어도 동일한 콘텐츠 정보를 공유한 다른 노드들에서 공유 또는 쉐어된 정보와 합치되지 않으면, 위 유실, 임의 변주, 해킹, 혹은 임의 삭제된 데이터의 원래(원본) 콘텐츠 정보(데이터)가 그 고유한 값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For example, predetermined content is stored in individual nodes, and a plurality of individual nodes are gathered to form a plurality of nodes in one storage. Through this, a plurality of nodes can mutually share the same content information. At this time, even if a record is lost, arbitrarily altered, hacked, or arbitrarily deleted in one individual node among a plurality of nodes, if it does not match with information shared or shared by other nodes sharing the same content information, the above loss, random variation , hacking, or arbitrarily deleted data's original (original) content information (data) can maintain its unique value.

퍼블리싱부(340)의 경우, 버추얼 쉐어링 필드 내에서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에 대한 어드레스(address) 정보가 내포된 소정의 어센틱 코드(authentic code)를 발급하여,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에 선택적으로 할당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publishing unit 340, by issuing a predetermined authentic code containing address information for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within the virtual sharing field, It is an optional configuration.

이때,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에 대한 어드레스 정보는,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의 주소(uniform resource locator),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의 창작자, 소유자, 거래 내역, 콘텐츠의 설명, 저장 주소 등이 포함되는 정보로 정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ddress information for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includes the address (uniform resource locator) of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the creator, owner, transaction history, description of the content, and storage of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It can be defined as information including address, etc.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의 주소는 버추얼 쉐어링 필드 상에서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의 메타 데이터 주소가 되며, 창작자는 제1입체 공간(11), 제2입체 공간(21), 또는 융합 공간 유닛에서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를 창작한 유저가 되며, 소유자는 버추얼 쉐어링 필드 상에서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를 구매했거나 창작하여 소유하고 있는 유저, 거래 내역은 버추얼 쉐어링 필드 상에서 활동을 통해 소유권 이전 내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다.The address of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becomes the metadata address of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on the virtual sharing field, and the creator is in the first three-dimensional space 11, the second three-dimensional space 21, or the convergence space unit. becomes the user who created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the owner is a user who has purchased or created and owns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on the virtual sharing field, and the transaction details transfer ownership through activities on the virtual sharing field It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history.

퍼블리싱부(340)는 복수 개의 노드에 분산 저장된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에 각각의 소정의 어센틱 코드를 발급하게 할당하게 된다. 소정의 어센틱 코드는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마다 갖게 되는 고유 인식 코드로서 정의할 수 있으며, non fungible token와 동일 유사한 구성과 원리를 갖는 것이다.The publishing unit 340 issues and allocates predetermined authentic codes to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s 201 distributed and stored in a plurality of nodes. A predetermined authentic code can be defined as a unique recognition code that is possessed for each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and has the same similar configuration and principle as a non fungible token.

또한, 퍼블리싱부(340)는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를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 반영하며,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 반영된 모든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에 소정의 어센틱 코드를 할당하여,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에 대한 원본, 창작자, 소유자를 증명하고,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에 대한 고유성, 투명성, 희소성을 부여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ublishing unit 340 reflects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to the virtual sharing field, assigns a predetermined authentic code to all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s 201 reflected in the virtual sharing field, and assigns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 201), the original, creator, and owner are proved, and uniqueness, transparency, and rarity are given to the convergence content 201.

쉐어링 필드 유닛(400)의 경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추얼 쉐어링 필드를 구현하여 미디에이션 유닛(300)으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를 버추얼 쉐어링 필드 내에 선택적으로 할당하며,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를 불특정 다수의 유저와 공유하는 필드를 제공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sharing field unit 400, as shown in FIG. 8, a virtual sharing field is implemented to selectively allocate predetermined fusion content 201 provided from the mediation unit 300 to the virtual sharing field, and This is a configuration that provides a field for sharing the convergence content 201 of with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여기서 말하는 불특정 다수의 유저에는 제1입체 공간(11), 제2입체공간, 또는 융합 공간 유닛과 버추얼 쉐어링 필드를 상호 연동시키는 플랫폼에 참여하는 유저로서, 예컨대, 제1입체 공간(11), 제2입체공간, 또는 융합 공간 유닛의 이용자, 버추얼 쉐어링 필드 접속자, 콘텐츠 창작자, 아티스트, 연습생, 정보 제공자, 시청자, 판매자, 구매자, 소비자, 생산자, 리뷰 작성자, 후원자, 골프 선수, 운동 선수, 트레이너 등이 포함되며, 불특정 다수의 유저는 도9와 도10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크게 크리에이터(creator), 리뷰어(reviewer), 셀러(seller), 바이어(buyer)로 나눌 수 있다.The unspecified number of users referred to herein are users who participate in the first three-dimensional space 11, the second three-dimensional space, or a platform that interconnects the fusion space unit and the virtual sharing field, for example, the first three-dimensional space 11, the second three-dimensional space Users of 2-dimensional space or convergence space units, virtual sharing field accessors, content creators, artists, trainees, information providers, viewers, sellers, buyers, consumers, producers, reviewers, sponsors, golf players, athletes, trainers, etc. As shown in FIGS. 9 and 10 , the unspecified number of user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creators, reviewers, sellers, and buyers.

예컨대, 이용자와 버추얼 쉐어링 필드 접속자는 제1입체 공간(11), 제2입체공간, 또는 융합 공간 유닛 또는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 존재하는 유저로서,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서 활동하는 유저를 말한다. For example, a user and a virtual sharing field accessor are users who exist in the first three-dimensional space 11, the second three-dimensional space, or a fusion space unit or virtual sharing field, and are active in the virtual sharing field.

콘텐츠 창작자는 제1입체 공간(11), 제2입체공간, 또는 융합 공간 유닛이 되는 노래방 또는 유저 단말기의 노래방 앱을 통해서 자신이 창작한 노래가 되는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를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 업로드 되도록 하는 유저를 말한다. 아티스트와 연습생의 경우, 버추얼 쉐어링 필드를 통해 음원, 굿즈, 팬미팅, 공연, 콜라보레이션 등의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를 업로드하고 공유할 수 있다. 정보 제공자는 본인의 전공이나 테마를 중심으로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를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 업로딩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판매자는 제1입체 공간(11), 제2입체공간, 또는 융합 공간 유닛 또는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서 소정이 콘텐츠를 판매하는 개인, 상점, 기업 등이 될 수 있다. The content creator sends certain convergence content 201, which becomes a song he/she created through a karaoke room that becomes a first three-dimensional space 11, a second three-dimensional space, or a fusion space unit, or a karaoke app on a user terminal to a virtual sharing field. Refers to the user that allows uploading. Artists and trainees can upload and shar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s 201 such as music sources, goods, fan meetings, performances, and collaborations through the virtual sharing field. The information provider shares information by uploading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based on his or her major or theme to the virtual sharing field, and the seller shares information in the first three-dimensional space 11, the second three-dimensional space, or the convergence space unit or In the virtual sharing field, a predetermined number may be an individual, a store, or a company that sells content.

또한, 불특정 다수의 유저는 가상 캐릭터의 형태로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 접속하여 제1입체 공간(11), 제2입체공간, 또는 융합 공간 유닛 또는 버추얼 쉐어링 필드 내에서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를 이용, 공유, 리뷰, 구매, 판매, 다운로드, 투표 등의 활동이 가능하다. In addition,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access the virtual sharing field in the form of virtual characters and use predetermined fusion content 201 within the first three-dimensional space 11, the second three-dimensional space, or a fusion space unit or virtual sharing field. , sharing, reviewing, buying, selling, downloading, and voting.

아울러, 불특정 다수의 유저들은 참여 그룹과 서비스 그룹으로 구분되어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를 공유하고 커뮤니티 활동과 커머셜 활동을 하며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형성하고, 활동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도 있게 된다.In addition,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are divided into a participation group and a service group, and can shar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s 201, conduct community activities and commercial activities, form mutual communication, and receive rewards for the activities.

본 발명에 따른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의 쉐어링 필드 유닛(400)의 경우, 커뮤니티 필드(community field)부(410), 커머셜 필드(commercial field)부(420), 및 리워딩 필드(rewarding field)부(430)를 포함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sharing field unit 400 of the interworking system of the on/off space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cre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ty field unit 410 and the commercial field unit 420 ), and a rewarding field unit 430.

커뮤니티 필드부(410)의 경우,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 접속한 불특정 다수의 유저의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에 대한 미리 결정된 커뮤니티 활동을 위한 소정의 커뮤니티 필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community field unit 410, as shown in FIG. 9, a predetermined community field for a predetermined community activity for a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of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accessing the virtual sharing field is selectively selected. configuration is provided.

미리 설정된 커뮤니티 활동에는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에 대한 구매, 소비, 리뷰, 투표, 후원, 지원, 업로드, 보기, 공유, 댓글, 좋아요, 구독, 팔로우 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 Preset community activities may be defined as purchasing, consuming, reviewing, voting, sponsoring, supporting, uploading, viewing, sharing, commenting, liking, subscribing, following, etc. for a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

또한, 소정의 커뮤니티 필드는 버추얼 쉐어링 필드 상에서 불특정 다수의 유저가 미리 설정된 커뮤니티 활동을 하는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소정의 커뮤니티 필드에는 퍼스널 필드(personal field)와 소셜 필드(social field)가 존재한다.In addition, a predetermined community field can be defined as a space where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perform preset community activities on a virtual sharing field, and a personal field and a social field exist in the predetermined community field. .

퍼스널 필드의 경우, 불특정 다수의 유저 각각이 자신의 채널을 개설하고, 자신의 채널에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를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personal field, it can be defined as a space where each unspecified number of users can open their own channel and play a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on their own channel.

소셜 필드의 경우, 외부 sns와 상호 연동되어, 불특정 다수의 유저가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 공유한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를 sns로 확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social field, it can be defined as a space in which a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shared by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in a virtual sharing field can be spread to an SNS by interworking with an external SNS.

커머셜 필드부(420)의 경우,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 접속한 불특정 다수의 유저의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에 대한 미리 결정된 커머셜 활동을 위한 소정의 커머셜 필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commercial field unit 420, as shown in FIG. 9, a predetermined commercial field for a predetermined commercial activity on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of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accessing the virtual sharing field is selectively selected. configuration is provided.

미리 결정된 커머셜 활동에는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에 대한 판매, 광고, 이벤트 프로모션, 파트너십, 수익 창출, 홍보, 투자, 마케팅 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 Pre-determined commercial activities may be defined as sales, advertising, event promotion, partnership, profit generation, public relations, investment, and marketing for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

소정의 커머셜 필드에서는 버추얼 쉐어링 필드 상에서 불특정 다수의 유저가 미리 설정된 커머셜 활동을 하는 공간으로 마케팅 필드(marketing field)를 생성할 수 있으며, 마케팅 필드는 자신의 콘텐츠 제품 서비스 상품을 알리는 것으로 콘텐츠는 블록체인 상에 기록 이벤트 프로모션 현황 투명하게 이벤트, 프로모션을 홍보 안내하는 구성이다.In a predetermined commercial field, a marketing field can be created as a space where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conduct commercial activities in advance on a virtual sharing field. Recording event promotion status This is a structure that publicizes and guides events and promotions transparently.

리워딩 필드부(430)의 경우,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특정 다수의 유저의 미리 결정된 커뮤니티 활동 또는 미리 결정된 커머셜 활동에 대한 보상이 되는 소정의 리워딩 배지를 선택적으로 발행하여, 불특정 다수의 유저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reward field unit 430, as shown in FIGS. 9 and 10, a predetermined reward badge is selectively issued as a reward for a predetermined community activity or a predetermined commercial activity of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 It is a configuration that is selectively provided to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리워딩 필드부(430)는 제1입체 공간(11), 제2입체공간, 또는 융합 공간 유닛 또는 버추얼 쉐어링 필드 내에서 불특정 다수의 유저들의 다양한 활동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rewarding field unit 430 is to provide compensation for various activities of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in the first three-dimensional space 11, the second three-dimensional space, or a fusion space unit or virtual sharing field.

리워딩 필드부(430)는 불특정 다수의 유저의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가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 반영되면, 소정의 리워딩 배지를 제공하게 된다.The reward field unit 430 provides a predetermined reward badge when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s 201 of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are reflected in the virtual sharing field.

리워딩 필드부(430)는 버추얼 쉐어링 필드 내에서 불특정 다수의 유저들의 참여도 또는 기여도를 선택적으로 부여하고 전산적으로 산출하여, 소정의 리워딩 배지를 제공할 수 있다. The rewarding field unit 430 may selectively assign and compute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r contribution of a number of unspecified users in the virtual sharing field, and provide a predetermined rewarding badge.

즉, 리워딩 필드부(430)는 버추얼 쉐어링 유닛에 접속,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 공유, 미리 설정된 커뮤니티 활동 또는 미리 결정된 커머셜 활동에 따라서, 기여도에 따라서 소정의 리워딩 배지를 선택적으로 제공하게 된다.That is, the rewarding field unit 430 selectively provides a predetermined rewarding badge according to contribution according to access to the virtual sharing unit, sharing of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predetermined community activity, or predetermined commercial activity. do.

예컨대, 불특정 다수의 유저는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 업로드, 보기, 공유, 댓글, 좋아요, 신고, 구독, 팔로우, 투표, 광고, 구매 후기 등의 활동에 따라서 소정의 리워딩 배지를 받을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can receive a predetermined reward badge according to activities such as uploading, viewing, sharing, commenting, liking, reporting, subscribing, following, voting, advertising, and purchasing reviews of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do.

또한, 리워딩 필드부(430)에서는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에 대한 제2 콘텐츠 또는 파생 콘텐츠가 생성되면,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의 소유자, 또는 창작자에게 소정의 리워딩 배지를 선택적으로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rewarding field unit 430, when second content or derivative content for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is generated, a predetermined reward badge is selectively given to the owner or creator of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will provide

아울러, 리워딩 필드부(430)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리워딩 배지는 불특정 다수의 유저들의 활동에 대한 보상 마일리지 또는 포인트로 정의할 수 있다. 소정의 리워딩 배지는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edetermined rewarding badge provided by the rewarding field unit 430 may be defined as reward mileage or points for activities of a number of unspecified users. A predetermined rewarding badge can be used as an indicator that can exert influence in the virtual sharing field.

예컨대, 소정의 리워딩 배지는 소정의 융합 콘텐츠(201)의 구매, 후원, 펀딩, 교환, 매매 등이 가능하도록 한다.For example, a predetermined reward badge enables purchase, sponsorship, funding, exchange, trading, and the like of a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201 .

또한, 소정의 리워딩 배지는 오프라인 상의 제1입체 공간(11), 제2입체공간, 또는 융합 공간 유닛 또는 버추얼 쉐어링 필드 내에서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즉, 소정의 리워딩 배지는 온오프에서 상호 연계되어 양방향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redetermined rewarding badge can be selectively used in the offline first three-dimensional space 11, the second three-dimensional space, or a fusion space unit or virtual sharing fiel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predetermined rewarding badges have bi-directionality by being interconnected on and off.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parentheses used in the claims are not written for selective limitation, but are used for clear components, and descriptions in parentheses are also interpreted as essential components. It should be.

10: 제1단말 유닛
11: 제1입체 공간
20: 제2단말 유닛
21: 제2입체 공간
100: 융합 공간 유닛
200: 크리에이팅 유닛
201: 소정의 융합 콘텐츠
300: 미디에이션 유닛
310: 유저 액세싱부
320: 인터워킹부
330: 스토리지부
340: 퍼블리싱부
400: 쉐어링 필드 유닛
410: 커뮤니티 필드부
420: 커머셜 필드부
430: 리워딩 필드부
10: first terminal unit
11: first three-dimensional space
20: second terminal unit
21: second solid space
100: fusion space unit
200: Creation unit
201: predetermined fusion content
300: mediation unit
310: user accessing unit
320: interworking unit
330: storage unit
340: publishing unit
400: sharing field unit
410: community field unit
420: commercial field unit
430: Rewarding field unit

Claims (10)

제1입체 공간에 마련되도록 제공되어, 유저에게 제시된 소정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유저의 제1퍼포먼스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집하는 제1단말 유닛;
제2입체 공간에 마련되도록 제공되어, 상기 유저에게 제시된 상기 소정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유저의 제2퍼포먼스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집하는 제2단말 유닛;
상기 제1단말 유닛이 마련될 제1입체 공간과, 상기 제2단말 유닛이 마련될 제2입체 공간을 상호 융합하여, 상기 제1단말 유닛과 상기 제2단말 유닛이 하나의 공간 상에 마련되도록 제공되는 융합 공간 유닛;
상기 융합 공간 유닛 상에서 마련된 상기 제1단말 유닛과 상기 제2단말 유닛으로부터 상기 유저의 상기 제1퍼포먼스 정보, 상기 제2퍼포먼스 정보 또는 소정의 엔터 정보를 선택적으로 획득하여 소정의 융합 콘텐츠를 생성하는 크리에이팅 유닛(creating unit);
상기 크리에이팅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소정의 융합 콘텐츠를 버추얼 쉐어링 필드(virtual sharing field)에 선택적으로 업로딩하여, 상기 융합 공간 유닛과 상기 버추얼 쉐어링 필드를 상호 연결하는 미디에이션 유닛(mediation unit); 및
상기 버추얼 쉐어링 필드를 구현하여 상기 미디에이션 유닛으로부터 업로딩된 상기 소정의 융합 콘텐츠를 상기 버추얼 쉐어링 필드 내에 선택적으로 할당하며, 상기 소정의 융합 콘텐츠를 불특정 다수의 유저와 공유하는 필드를 제공하는 쉐어링 필드 유닛(sharing field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
a first terminal unit provided in a first three-dimensional space to selectively collect first performance information of a user through a predetermined terminal presented to the user;
a second terminal unit provided in a second three-dimensional space to selectively collect second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predetermined terminal presented to the user;
The first three-dimensional space in which the first terminal unit is to be provided and the second three-dimensional space in which the second terminal unit is to be provided are mutually fused so that the first terminal unit and the second terminal unit are provided in one space. a fusion space unit provided;
Creation of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by selectively acquiring the first performance information, the second performance information, or predetermined enter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first terminal unit and the second terminal unit provided on the convergence space unit. a creating unit;
a mediation unit for selectively uploading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generated by the creation unit to a virtual sharing field and interconnecting the convergence space unit and the virtual sharing field; and
A sharing field unit that implements the virtual sharing field, selectively allocates the predetermined fusion content uploaded from the mediation unit to the virtual sharing field, and provides a field for sharing the predetermined fusion content with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haring field unit), an interworking system of on/off space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gene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퍼포먼스 정보 및 제2퍼포먼스 정보 각각은,
상기 유저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정보, 모션 정보 및 바이오 정보로 이루어진 군집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performa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performance information,
An interworking system of on/off space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from a group consisting of voice information, motion information, and bio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s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엔터 정보는,
상기 제1단말 유닛과 상기 제2단말 유닛이 제공하는 사운드 정보 또는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edetermined enter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sound information or imag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first terminal unit and the second terminal unit, the interworking system of on/off space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gener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에이팅 유닛은,
상기 소정의 융합 콘텐츠에 상기 소정의 엔터 정보, 상기 제1퍼포먼스 정보 또는 제2퍼포먼스 정보가 상호 융합되도록 하는 오버랩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reat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overlap information for mutually converging the predetermined enter information, the first performance information, or the second performance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interlocking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에이팅 유닛은,
상기 오버랩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소정의 엔터 정보 상에 상기 제1퍼포먼스 정보 또는 제2퍼포먼스 정보를 선택적으로 오버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reating unit,
In order to generate the overlap information, the first performance information or the second performance information is selectively overlapped on the predetermined enter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mutual interworking of on/off space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creation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에이션 유닛은,
상기 크리에이팅 유닛로부터 생성된 상기 소정의 융합 콘텐츠를 상기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 자동으로 업로딩하여 상기 오프라인과 상기 버추얼 쉐어링 필드를 상호 연동하는 인터워킹(interworking)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ediation unit,
and an interworking unit for automatically uploading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generated from the creation unit to the virtual sharing field and interworking the offline and the virtual sharing field. Interworking system of on/off space through convergence and content crea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에이션 유닛은,
상기 소정의 융합 콘텐츠에 대한 트랜잭션(transaction) 정보를 복수 개의 노드에 분산 저장하는 스토리지(storage)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mediation unit,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distributing and storing transaction information on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in a plurality of nodes, the interworking system of the on/off space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cre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에이션 유닛은,
상기 버추얼 쉐어링 필드 내에서 상기 소정의 융합 콘텐츠에 대한 어드레스 정보가 내포된 소정의 어센틱 코드(authentic code)를 발급하여 상기 소정의 융합 콘텐츠에 선택적으로 할당하는 퍼블리싱(publishing)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ediation unit,
and a publishing unit that issues a predetermined authentic code containing address information of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in the virtual sharing field and selectively allocates it to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Interworking system of on/off space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cre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쉐어링 필드 유닛은,
상기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 접속한 상기 불특정 다수의 유저의 상기 소정의 융합 콘텐츠에 대한 미리 결정된 커뮤니티 활동을 위한 소정의 커뮤니티 필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커뮤니티 필드(community field)부; 및
상기 버추얼 쉐어링 필드에 접속한 상기 불특정 다수의 유저의 상기 소정의 융합 콘텐츠에 대한 미리 결정된 커머셜 활동을 위한 소정의 커머셜 필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커머셜 필드(commercial field)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haring field unit,
a community field unit selectively providing a predetermined community field for a predetermined community activity for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of the unspecified number of users accessing the virtual sharing field;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mmercial field unit that selectively provides a predetermined commercial field for a predetermined commercial activity for the predetermined convergence content of the unspecified number of users accessing the virtual sharing field. Interworking system of on/off space through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cre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쉐어링 필드 유닛은,
상기 불특정 다수의 유저의 상기 미리 결정된 커뮤니티 활동 또는 상기 미리 결정된 커머셜 활동에 대한 보상이 되는 소정의 리워딩 배지를 선택적으로 발행하여, 상기 불특정 다수의 유저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리워딩 필드(rewarding field)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정보 융합과 콘텐츠 생성을 통한 온오프 공간의 상호 연동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haring field unit,
A rewarding field for selectively issuing a predetermined reward badge that is a reward for the predetermined community activity or the predetermined commercial activity of the unspecified number of users and selectively providing it to the unspecified number of users An interworking system of on/off space through heterogeneous information convergence and content cre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unit.
KR1020220025058A 2022-02-11 2022-02-25 System for interworking online for offline through integrating of different kinds information and creating contents KR2023012167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285 2022-02-11
KR20220018285 2022-0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675A true KR20230121675A (en) 2023-08-21

Family

ID=87846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058A KR20230121675A (en) 2022-02-11 2022-02-25 System for interworking online for offline through integrating of different kinds information and creating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1675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4433A (en) 2016-07-04 2018-01-12 이일한 Image contents sharing system using application program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085116B1 (en) 2018-03-30 2020-03-05 정원빈 Virtual area based contents management system
KR102186582B1 (en) 2019-05-31 2021-01-08 스페이스브로스 주식회사 Online to Offline based 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KR20210094011A (en) 2018-11-26 2021-07-28 페이스북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erspective shuffling of virtual collaborative experience system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4433A (en) 2016-07-04 2018-01-12 이일한 Image contents sharing system using application program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085116B1 (en) 2018-03-30 2020-03-05 정원빈 Virtual area based contents management system
KR20210094011A (en) 2018-11-26 2021-07-28 페이스북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erspective shuffling of virtual collaborative experience systems
KR102186582B1 (en) 2019-05-31 2021-01-08 스페이스브로스 주식회사 Online to Offline based 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7255B2 (en) Virtual reality system for facilitating participation in events
JP2021516087A (en) Scaled VR Engagement and View at esports events
KR102259612B1 (en) Music platform system for online training and online audition
JP2022529028A (en) Managing access to digital assets
US20070250849A1 (en) Method and device for media quiz
JP6426825B2 (en) Service providing system,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data construction method
US20210365526A1 (en) Mix tape digital assets in virtual environments
Alavesa et al. Embedding virtual environments into the physical world: memorability and co-presence in the context of pervasive location-based games
Li et al. Optimal sequencing in single-player games
US20230037657A1 (en) User-Configured Music Room Digital Assets in Virtual Environments
KR20230121675A (en) System for interworking online for offline through integrating of different kinds information and creating contents
Valera‐Aranguren et al. Building a pervasive social gaming experience using SocialPG
KR20230121676A (en) System for creating of converging contents on virtual space through selective overlap of different kinds information
KR20230121674A (en) system for sharing of content through interworking online for offline
Kerr Performing the self: rappers, urban space and identity in Dar es Salaam
Baowidan A survey on application of game design element in edutainment
US20210362060A1 (en) Managing access to digital assets
TWI817479B (en) A location-appropriate "Metaverse" social system that combines the real world and multiple virtual worlds for virtual and real interaction
Gravely Discovering the Governing Forces of eSports, an Intellectual Property Gold Mine
WO202210255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Lounaskorpi Developing new VR possibilities for the Sports and Fitness Sector in Finland
WO2023014465A1 (en) User-configured music room digital assets in virtual environments
Fang HCI in Games: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HCI-Games 2023, Held as Part of the 25th HCI International Conference, HCII 2023, Copenhagen, Denmark, July 23–28, 2023, Proceedings Part I
JP2024008462A (en) Real-virtual fusion space distribution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Saarnisto Impact of Sponsorships in eSports on the Buying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