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1561A - 차량의 상체 구조를 차량의 차량 플랫폼에 연결하기 위한 장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상체 구조를 차량의 차량 플랫폼에 연결하기 위한 장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1561A
KR20230121561A KR1020230014702A KR20230014702A KR20230121561A KR 20230121561 A KR20230121561 A KR 20230121561A KR 1020230014702 A KR1020230014702 A KR 1020230014702A KR 20230014702 A KR20230014702 A KR 20230014702A KR 20230121561 A KR20230121561 A KR 20230121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lip
connector
fastening bracke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4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아레피 바만
김도회
마테이스 랄프
파스벤더 스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21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5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8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light alloys, e.g. extru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6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6Connections by glue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6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 B62D27/065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2Motor vehicles
    • B62D63/025Modula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2Motor vehicles
    • B62D63/04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Abstract

차량의 상체 구조를 차량의 차량 플랫폼에 연결하기 위한 장착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장착 시스템은 차량 수직 축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된 중공 기둥 요소; 기둥 요소의 하단부를 측면으로 감싸도록 구성되고 체결 브래킷을 하단부에서 기둥 요소에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 인터페이스를 갖는 체결 브래킷; 차량 종방향 축을 따라 측면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된 중공 클립온 커넥터; 그리고 차량 종방향 축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된 중공 사이드 실 요소를 포함하고, 클립온 커넥터는 체결 브래킷과 함께 기둥 요소의 하단부가 그 상에 배치되는 기둥 요소를 위한 수평 안착 표면과, 체결 브래킷의 대응 결합 표면에 접하기 위한 수직 결합 표면을 갖는 장착 플랫폼을 정의하며, 체결 브래킷은 체결 브래킷을 그 결합 표면에서 클립온 커넥터에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사이드 실 요소는 사이드 실 요소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장착 노치가 형성되며, 클립온 커넥터를 사이드 실 요소의 상단에 장착하기 위해 클립온 커넥터의 하측에 형성된 상보적인 모양의 클립 암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상체 구조를 차량의 차량 플랫폼에 연결하기 위한 장착 시스템{MOUNTING SYSTEM FOR CONNECTING UPPER BODY STRUCTURE OF MOTOR VEHICLE TO VEHICLE PLATFORM OF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상체 구조를 차량의 차량 플랫폼에 연결하기 위한 장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장착 시스템으로 차량 플랫폼에 장착된 상체 구조를 갖는 차량, 특히 목적 기반 차량(purpose-built vehicle; PBV)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부 차량 및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는 개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고 이에 따라 도로 상에 새로운 전기 자동차를 더 빨리 제공하기 위해 완전히 새로운 차량 아키텍처에 따라 미래 차량을 뒷받침하는 표준화되고 확장 가능한 전기 자동차(EV) 플랫폼을 개발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스케이트보드"라고도 하는 모듈식 전기 롤링 및 즉시 주행 가능한 플랫폼은 다양한 유형 및 모양의 본체와 결합되도록 특별히 설계된다. 이 접근 방식에서, 차량 플랫폼은 모든 차량에 공통적인 부분을 나타내며, 샤시, 파워트레인, 에너지 저장 장치, 충돌 관리 등을 결합할 수 있다. 반면에, 상체 구조 또는 "탑 햇(top hat)"은 고객의 특정 요구에 따라 다양한 용도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여러 변형들로 제공된다.
이러한 목적 기반 차량(purpose-built vehicle; PBV)은 최종 단계 배송(last-mile delivery) 또는 자율 셔틀과 같은 특정 응용을 위해 설계될 수 있다. 처음부터 특정 응용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며, 사전에 표준화 노력을 기울였기 때문에 다른 방법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대규모로 생산할 수 있다. 목적 기반 EV 플랫폼은 재료 비용이 더 낮을 뿐만 아니라 범위, 가속도, 및 내부 공간에서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연소 엔진 레거시 요소 없이 EV 개념을 중심으로 차량 아키텍처를 설계하는 것은 평균적으로 더 적은 타협과 더 많은 유연성을 의미한다.
탑 햇과 차량 플랫폼 사이의 연결은 제조 비용을 낮게 유지하기 위해 가능한 한 유연하고 단순해야 한다. 미래의 스마트 공장은 원하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인간의 개입 없이 제조 공장과 물류 시스템이 스스로 조직화되는 생산 환경을 갖게 될 것이다. 이러한 자동화된 제조 접근 방식의 전제 조건으로 장착 시스템에는 가능한 한 적은 수의 기계적 조인트가 있어야 하며 용접이 필요하지 않아야 한다.
선행 기술 문서 US 5,716,155 A는 차량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한 T자형 연결 프레임을 설명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목적 기반 차량의 구조적 차체 부품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을 찾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장착 시스템 및 청구항 8에 따른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차량의 상체 구조를 차량의 차량 플랫폼에 연결하기 위한 장착 시스템은 차량 수직 축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된 중공 기둥 요소; 기둥 요소의 하단부를 측면으로 감싸도록 구성되고 체결 브래킷을 하단부에서 기둥 요소에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 인터페이스를 갖는 체결 브래킷; 차량 종방향 축을 따라 측면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된 중공 클립온 커넥터; 그리고 차량 종방향 축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된 중공 사이드 실 요소를 포함하고, 클립온 커넥터는 체결 브래킷과 함께 기둥 요소의 하단부가 그 상에 배치되는 기둥 요소를 위한 수평 안착 표면과, 체결 브래킷의 대응 결합 표면에 접하기 위한 수직 결합 표면을 갖는 장착 플랫폼을 정의하며, 체결 브래킷은 체결 브래킷을 그 결합 표면에서 클립온 커넥터에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사이드 실 요소는 사이드 실 요소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장착 노치가 형성되며, 클립온 커넥터를 사이드 실 요소의 상단에 장착하기 위해 클립온 커넥터의 하측에 형성된 상보적인 모양의 클립 암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차량, 특히 목적 기반 차량은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른 장착 시스템을 갖는 차량 플랫폼에 장착된 상체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아이디어는 가능한 한 단순하고 가벼우면서도 여전히 유연하고 효과적이며 동시에 자동화 생산에 적합한 필러 요소와 사이드 실 사이의 연결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그것의 종방향 연장을 따라 사이드 실에 간단히 배치되고 클립 암을 장착 노치에 끼움으로써 바람직한 위치가 발견되면 거기에 고정될 수 있는 인터로킹 클립 온 및/또는 스냅 온 커넥터에 의해 사이드 실과 필러를 연결한다. 클립온 커넥터는 클립온 커넥터에 대한 기둥의 정렬을 자동으로 보장하는 적합한 장착 플랫폼으로 형성된다. 기둥은 체결 브래킷과 함께 클립온 커넥터의 안착면에 위치하여 클립온 커넥터의 수직 접합면에 맞닿게 하면 된다. 그런 다음, 체결 브래킷의 체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두 구성 요소를 서로 고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차량" 또는 "차량의" 또는 기타 유사한 용어는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을 포함하는 승용차, 버스, 트럭, 다양한 상업용 차량 등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자동차를 포함하고, 하이브리드 차량, 전기 차량,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 수소 동력 차량 및 기타 대체 연료 차량(예를 들어, 석유 이외의 자원에서 파생된 연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합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차량은 2개 이상의 동력원을 갖는 차량, 예를 들어 가솔린 동력 및 전기 동력 모두를 갖는 차량이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 및 개선점은 종속항에서 발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둥 요소는 종방향 연장부를 따라 압출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탬프 등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재료를 다이를 통해 밀어내어 중공의 연장된 기둥 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비용 효율적인 압출 기술에 의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브래킷은 압출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체결 브래킷은 2개의 분리된 브래킷 암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브래킷 암은 기둥 요소의 하단부에서 기둥 요소의 각각의 측면 절반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브래킷을 두 개의 분리된 암 또는 쉘 부분으로 분할하여 설치 프로세스를 최대한 간단하게 유지할 수 있다. 브라켓의 양쪽 암은 기둥 요소의 하단부 주위에만 함께 가져오면 된다. 그런 다음, 암은 체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및/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기둥 요소에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브래킷의 체결 인터페이스는 리벳 및/또는 나사를 수용하기 위한 체결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라인드 리벳 너트 및 스터드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벽이 얇은 금속 부품에 탄력 있는 너트/볼트 나사산을 체결하기 위한 다목적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체결 브래킷 및/또는 본 시스템의 다른 구성 요소에 구멍을 미리 천공할 수 있다. 블라인드 너트는 현재 케이스에서와 같이 벽이 얇은 재료 또는 프로파일에 내하중 나사산이 필요할 때 매우 효과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재가공 없이 전처리된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블라인드"(한쪽에서만) 장착할 수 있다.
특히 사용되는 부품이 높은 응력을 견뎌야 하는 빠른 차량 산업에서는, 체결 기술에 대한 요구가 높다. 일방적 접근성 외에도, 체결구의 제거 가능성도, 예를 들어 재활용 가능성에 관해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복잡한 조건은 마찰 및/또는 플로우 드릴링 나사를 사용하여 충족할 수 있으며, 마찰 및/또는 플로우 드릴링 나사는 파일럿 구멍의 필요 없이 우수한 품질로 강철 및/또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얇은 금속 시트와 프로파일을 고정할 수 있다. 사전 천공과 같은 작업 단계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는다. 이 나사는 레이어를 관통하고 짧은 보스를 돌출시키며 자체 나사산을 형성하고 층들 사이에 클램핑력을 가한다. 형성된 드래프트에서 증가된 나사 결합으로 인해 원하지 않는 금속 칩핑 없이 고강도 나사 조인트가 생성된다. 나사 체결은 전단력뿐만 아니라 높은 인발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고정 수단, 특히 다른 종류의 리벳, 볼트 및/또는 나사도 본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클립온 커넥터는 측면 연장부를 따라 압출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압출에 의해 통합된 체결 수단(이 경우 클립 암과 같은)을 특징으로 할 뿐만 아니라 구성 요소의 압출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립 등과 같은 보강 구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 중공 모놀리식 요소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 실 요소는 종방향 연장부를 따라 압출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클립 온 커넥터의 클립 암과 마찬가지로, 장착 노치도 압출을 사용하여 단일 생산 단계에서 구성 요소로 쉽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둥 요소, 체결 브래킷, 클립온 커넥터 및/또는 사이드 실 요소는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차량 산업은 차량 중량을 줄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연비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소비자 요구가 강해짐에 따라 알루미늄은 많은 응용 분야에서 선택되는 소재가 되었다. 많은 경우 차체 구조에서 고강도 강철을 대체하게 되었다. 이 소재는 가공하기 쉽고 밀도가 낮아 구성품의 무게가 가벼우며 내부식성이 있다. 또한 알루미늄은 재활용이 매우 쉽다. 알루미늄의 특수한 특성으로 인해 다른 금속보다 훨씬 쉽게 가공할 수 있다. 높은 내구성과 함께 모든 종류의 프로파일에 대해 매우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브래킷은 기둥 요소에 접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 요소는 체결 브래킷에 체결될 뿐만 아니라 기계적 체결 수단일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접촉 표면은 구성 요소들 사이에 지속적이고 견고한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적절한 접착제로 덮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브래킷은 결합 표면에서 클립온 커넥터에 접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온 경화 에폭시 접착제는 특히 스마트 자동화 생산을 염두에 두고 본 목적에 적합할 수 있다. 차량 제조업체는 기계적 체결구 및 용접과 같은 보다 전통적인 방법에서 탈피하여 접합의 주요 형태로 접착제를 점점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 접합 기술은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어 비용 효과적인 견고하고 가벼운 구조를 만든다. 그러나 사용되는 접착제는 여전히 가장 유리한 성능에 도달하기 위해 고온 경화(예를 들어, 약 200°C)가 필요한 하나의 성분을 가진 에폭시 기반 접착제인 경우가 많다. 저온 경화 접착제(100°C 미만 또는 70°C 이하에서 경화)를 도입하면 값비싼 경화 오븐이 필요하지 않아 에너지 소비로 인한 직접적인 비용 절감과 열 변형 감소로 이어지는데, 이는 자동화된 제조를 위한 이상적인 결합 기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클립온 커넥터는 클립 암에서 사이드 실 요소에 리벳 및/또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클립온 커넥터의 클립 암과 사이드 실의 장착 노치 사이의 맞물리는 스냅 조인트 연결은 구성 요소의 사전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반면, 영구 결합 및/또는 추가 제조 도중 임시 고정을 위해 추가 기계적 체결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클립온 커넥터는 사이드 실 요소에 접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구성 요소와 마찬가지로, 이 경우에도 기계적 체결 수단은 접착 결합으로 보완 및/또는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하고 가벼우면서도 유연하고 효과적이며 동시에 자동화 생산에 적합한 필러 요소와 사이드 실 사이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되며 본 명세서에 통합되고 그 일부를 구성한다.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예시하고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 및 본 발명의 많은 의도된 이점은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음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도면의 요소는 반드시 서로에 대해 축적에 맞을 필요가 없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유사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착 시스템을 갖는 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장착 시스템에 사용되는 기둥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장착 시스템에 사용되는 체결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장착 시스템에 사용되는 클립온(clip-on)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체결 브래킷이 장착된 도 2의 기둥 요소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4의 클립온 커넥터에 장착된 도 5의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4의 클립온 커넥터와 도 1의 장착 시스템에 사용되는 사이드 실 요소 사이의 연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단일 투시도에 도 6 및 도 7의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특정 실시 예가 본 명세서에 예시되고 설명되지만, 다양한 대안적 및/또는 등가적 구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도시되고 설명된 특정 실시 예를 대체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출원은 여기에 논의된 특정 실시예의 임의의 수정 또는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착 시스템(1)을 갖는 차량(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차량(10)은, 예를 들어 2개의 주요 부품, 즉 차량 플랫폼(12) 또는 스케이트보드 및 상체 구조(11) 또는 탑 햇(top hat)을 기반으로 하는 모듈 방식으로 설계된 목적 기반 전기 차량일 수 있다. 차량 플랫폼(12)은 샤시, 파워트레인, 전기 배터리 등을 포함하는 EV의 공통 하부 구조를 나타낸다. 한편, 상체 구조(11)는 고객의 요구(예를 들어, 최종 단계 배송 등과 같은 화물 운송, 자율 셔틀 서비스, 버스, 택시 등과 같은 여객 운송)에 따라 다양한 목적을 수행하는 상이한 변형들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차량 플랫폼(12)은 편평한 형상을 갖는 반면, 상체 구조(11)는 파이프와 같은 3차원 구조를 기반으로 구축된 관 형상을 따른다. 도 1의 좌측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아크형 및 횡방향으로 배향된 구조 세그먼트(13)는 차량 종방향 축(X)을 따라 차례로 배열된다. 이들은 도 1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 세그먼트(14)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각 횡방향 구조 세그먼트(13)는, 도 2 내지 도 8을 참고로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장착 시스템(1)에 의해 차량(10)의 양쪽 측면에서 차량 플랫폼(12)에 결합된다.
도시된 형상 및 구조는 단지 예시임을 이해해야 한다. 물론 다른 형상과 구조도 가능하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이한 PBV 햇(hat)의 자동화된 제조와 관련하여 특별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장착 시스템(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기둥 요소(2)를 포함하며, 이는 종방향 연장부를 따라 압출을 통해 형성되고 차량 수직 축(Z)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장착 시스템(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브래킷(3)을 더 포함하며, 이는 기둥 요소(2)의 하단부(2a)를 측면으로 감싸도록 구성된다. 체결 브래킷(3)은 두 개의 분리된 브래킷 암(6)을 가지는 두 부품 요소이고, 각 브래킷 암(6)음 기둥 요소(2)의 하단부(2a)에서 기둥 요소(2)의 각각의 측면 절반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양 브래킷 암(6)도, 예를 들어 단일 생산 단계에서 함께 압출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체결 브래킷(3)은 하단부(2a)에서 기둥 요소(3)에 체결 브래킷(3)을 부착하기 위한 여러 개의 체결 인터페이스(3a)를 갖는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체결 인터페이스(3a)는, 예를 들어 블라인드 너트 리벳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기계적 체결구를 수용하기 위한 미리 형성된 체결 구멍으로 구성된다.
도 5는 하단부(2a)에 체결 브래킷(3)을 부착한 후의 기둥 요소(2)를 도시한다(도 6도 참고). 이 예시적인 경우에, 체결 브래킷(3)은 8개의 기계적 체결구에 의해 기둥 요소(2)에 고정된다.
기둥 요소(2)와 체결 브래킷(3) 사이의 연결은 두 구성 요소를 서로 접촉시키기 전과 기계적 체결구를 기준으로 연결을 고정하기 전에 하나 또는 두 구성 요소의 결합 표면을 적절한 접착제, 예를 들어 저온 경화 에폭시 접착제로 덮음으로써 강화될 수 있다.
장착 시스템(1)은, 단면도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클립온 커넥터(4)를 더 포함한다. 클립온 커넥터(4)는 측면 연장부를 따라 압출을 통해 형성되고, 차량 종방향 축(X)을 따라 횡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클립온 커넥터(4)는 장착 플랫폼(4d)을 상측에 정의하고, 상기 장착 플랫폼(4d)은 체결 브래킷(3)과 함께 기둥 요소(2)의 하단부(2a)가 그 상에 배치되는 기둥 요소(2)를 위한 수평 안착 표면(4a)과, 체결 브래킷(3)의 대응 결합 표면(3b)에 접하기 위한 수직 결합 표면(4b)을 갖는다. 체결 브래킷(3)은 체결 브래킷(3)을 그것의 결합 표면(3b)에서 클립온 커넥터(4)에 부착하기 위한 여러 체결 인터페이스(3a)를 갖는데, 상기 결합 표면(3b)은 이 경우에서 체결 구멍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클립온 커넥터(4)에는 사전에 천공된 체결 구멍(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6은 기둥 요소(2), 체결 브래킷(3) 및 클립온 커넥터(4)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체결 브래킷(3)은 4개의 기계적 체결구에 의해 클립온 커넥터(4)에 고정된다. 이 경우에도, 접촉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적절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연결을 강화할 수 있다.
이제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장착 시스템(1)은 종방향 연장부를 따라 압출을 통해 형성되는 중공의 사이드 실 요소(5)를 더 포함한다. 사이드 실 요소(5)는 차량 종방향 축(X)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사이드 실 요소(5)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장착 노치(5a)가 형성되며, 이는 클립온 커넥터(4)를 사이드 실 요소(5)의 상단에 장착하기 위한 클립온 커넥터(4)의 하측(4e)에 형성된 상보적 형상의 클립 암(4c)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시스템(1)에 사용되는 압출 프로파일에는 최적의 강도 대 중량비를 위한 보강 구조, 예를 들어 립이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이드 실 요소(5)와 클립온 커넥터(4) 모두는 차량 종방향 축(X)을 따라 이어지는 내측에 립이 제공된다.
따라서, 클립 암(4c)을 장착 노치(5a)에 체결되도록 하기 위해 클립온 커넥터(4)는 단지 사이드 실 요소(5) 상에 배치하고 아래로 밀기만 하면 된다. 이러한 사전 조립 후에, 클립온 커넥터(4)는 장착 노치(5a)를 따라 서로에 대해 두 구성 요소를 슬라이딩 및/또는 이동시킴으로써 종방향 축(X)을 따라 여전히 이동될 수 있다. 일단 적절한 장착 위치에 도달하면, 클립온 커넥터(4)는 기계적 체결구, 예를 들어 플로우 드릴 스크류(flow drill screw)에 기초하여 사이드 실 요소(5)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사이드 실 요소(5)와의 연결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클립온 커넥터(4)의 하측(4e)에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제는 커넥터(4)가 사이드 실 요소(5)에 체결되기 전에 적용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접착제는 커넥터(4)가 기계적 체결구에 의해 사이드 실 요소(5)에 고정된 후에 경화될 수 있다. 사실, 기계적 체결구는 접착제가 경화되는 동안에만 커넥터(4)의 정확한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며 나중에 제거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접착제는 두 구성 요소를 서로 영구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현재 설명된 장착 시스템(1)은 고성능이면서도 비용 효율적이며, (페인트샵 및 용접샵이 없는) 스마트 공장 환경에서 자동화된 제조와도 호환된다. 시스템(1)은 사전 조립을 위한 연동 스냅 조인트 솔루션과 영구 결합을 위한 저온 경화 접착제를 사용하여 소수의 부품을 기반으로 간단한 조립을 제공한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다양한 특징은 본 개시를 간소화할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예들에서 함께 그룹화된다. 위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합니다. 이는 상이한 특징 및 실시예의 모든 대안, 수정 및 등가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많은 다른 예들이 상기 명세서를 검토할 때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 및 그 실제 적용을 설명하기 위해 선택되고 설명되어, 이에 의해 당업자가 본 발명 및 고려되는 특정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수정을 갖는 다양한 실시예를 활용할 수 있게 한다.
1: 장착 시스템 2: 기둥 요소
2a: 하단부 3: 체결 브래킷
3a: 체결 인터페이스 3b: 브래킷 결합 표면
4: 클립온 커넥터 4a: 수직 결합 표면
4c: 클립 암 4d: 장착 플랫폼
4e: 하측 5: 사이드 실 요소
5a: 장착 노치 6: 브래킷 암
10: 차량 11: 상체 구조
12: 차량 플랫폼 13: 횡방향 구조 세그먼트
14: 종방향 구조 세그먼트 X: 차량 종방향 축
Y: 차량 횡방향 축 Z: 차량 수직 축

Claims (12)

  1. 차량(10)의 상체 구조(11)를 차량(10)의 차량 플랫폼(12)에 연결하기 위한 장착 시스템(1)에 있어서,
    차량 수직 축(Z)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된 중공 기둥 요소(2);
    기둥 요소(2)의 하단부(2a)를 측면으로 감싸도록 구성되고 체결 브래킷(3)을 하단부(2a)에서 기둥 요소(3)에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 인터페이스(3a)를 갖는 체결 브래킷(3);
    차량 종방향 축(X)을 따라 측면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된 중공 클립온 커넥터(4); 그리고
    차량 종방향 축(X)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된 중공 사이드 실 요소(5);
    를 포함하고,
    클립온 커넥터(4)는 체결 브래킷(3)과 함께 기둥 요소(2)의 하단부(2a)가 그 상에 배치되는 기둥 요소(2)를 위한 수평 안착 표면(4a)과, 체결 브래킷(3)의 대응 결합 표면(3b)에 접하기 위한 수직 결합 표면(4b)을 갖는 장착 플랫폼(4d)을 정의하며, 체결 브래킷(3)은 체결 브래킷(3)을 그 결합 표면(3b)에서 클립온 커넥터(4)에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 인터페이스(3a)를 가지고,
    사이드 실 요소(5)는 사이드 실 요소(5)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장착 노치(5a)가 형성되며, 클립온 커넥터(4)를 사이드 실 요소(5)의 상단에 장착하기 위해 클립온 커넥터(4)의 하측(4e)에 형성된 상보적인 모양의 클립 암(4c)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착 시스템(1).
  2. 제1항에 있어서,
    기둥 요소(2)는 종방향 연장부를 따라 압출을 통해 형성되는 장착 시스템(1).
  3. 제1항에 있어서,
    체결 브래킷(3)은 압출을 통해 형성되고 2개의 분리된 브래킷 암(6)을 포함하며, 각각의 브래킷 암(6)은 기둥 요소(2)의 하단부(2a)에서 기둥 요소(2)의 각각의 측면 절반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장착 시스템(1).
  4. 제1항에 있어서,
    체결 브래킷(3)의 체결 인터페이스(3a)는 리벳 및/또는 나사를 수용하기 위한 체결 구멍을 포함하는 장착 시스템(1).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온 커넥터(4)는 측면 연장부를 따라 압출을 통해 형성되는 장착 시스템(1).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실 요소(5)는 종방향 연장부를 따라 압출을 통해 형성되는 장착 시스템(1).
  7. 제1항에 있어서,
    기둥 요소(2), 체결 브래킷(3), 클립온 커넥터(4) 및 사이드 실 요소(5) 중 적어도 하나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장착 시스템(1).
  8. 제1항에 따른 장착 시스템(1)을 갖는 차량 플랫폼(12)에 장착되는 상체 구조(11)를 갖는 차량(10).
  9. 제8항에 있어서,
    체결 브래킷(3)은 기둥 요소(2)에 접착식으로 고정되는 차량(10).
  10. 제8항에 있어서,
    체결 브래킷(3)은 그 결합 표면(3b)에서 클립온 커넥터(4)에 접착식으로 고정되는 차량(10).
  11. 제8항에 있어서,
    클립온 커넥터(4)는 클립 암(4c)에서 사이드 실 요소(5)에 리벳 및/또는 나사로 고정되는 차량(10).
  12. 제8항에 있어서,
    클립온 커넥터(4)는 사이드 실 요소(5)에 접착식으로 고정되는 차량(10).
KR1020230014702A 2022-02-11 2023-02-03 차량의 상체 구조를 차량의 차량 플랫폼에 연결하기 위한 장착 시스템 KR202301215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2201424.3A DE102022201424A1 (de) 2022-02-11 2022-02-11 Montagesystem zum Verbinden einer oberen Karosseriestruktur eines Kraftfahrzeugs mit einer Fahrzeugplattform des Kraftfahrzeugs
DE102022201424.3 2022-0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561A true KR20230121561A (ko) 2023-08-18

Family

ID=87430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4702A KR20230121561A (ko) 2022-02-11 2023-02-03 차량의 상체 구조를 차량의 차량 플랫폼에 연결하기 위한 장착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57027A1 (ko)
KR (1) KR20230121561A (ko)
DE (1) DE102022201424A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6155A (en) 1993-09-16 1998-02-10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T-shaped connection fr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2201424A1 (de) 2023-08-17
US20230257027A1 (en) 202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96917B (zh) 用于汽车的框架结构
US8672384B2 (en) Motor vehicle having a chassis frame and a vehicle body
EP2872377B1 (en) Vehicle bodywork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vehicle
US9505448B2 (en) Transverse sill reinforcement for a truck bed and method of making a sill reinforcement
US8414068B1 (en) Vehicle body structure
UA126934C2 (uk) Кузовна платформа автомобіля (варіанти)
US8342600B2 (en) Central floor part of a vehicle body
US9051952B2 (en) Support structure component of a motor vehicle body with a plastic insert
CN104066622A (zh) 用于车辆的车顶纵梁
US8414046B2 (en) Reinforced vehicle structure
US20120126561A1 (en) Reinforced vehicle structure
US7278680B2 (en) Structural carrier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US8449022B2 (en) Reinforced vehicle structure
KR20230121561A (ko) 차량의 상체 구조를 차량의 차량 플랫폼에 연결하기 위한 장착 시스템
US10960932B2 (en) Motor vehicle floor assembly
CN108501968B (zh) 轨道车辆及其端墙
US10703420B2 (en) Vehicle joint
CN108082287B (zh) 一种电动物流车的半承载式车架结构
US10137937B1 (en) Roof assembly for a vehicle
US9873463B1 (en) Assembly for vehicle
CN113165490A (zh) 用于将能量储存器固定在汽车的侧槛梁上的连接元件
CN214303350U (zh) 一种隐藏外拉手车门安装结构
CN209776228U (zh) 汽车及前排座椅安装结构
CN220180936U (zh) 车身和车辆
US11787484B2 (en) Structural assembly for vehicle components having continuously formed composite reinforc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