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1544A - 사용자의 동공의 위치를 분석하여 최적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증강현실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동공의 위치를 분석하여 최적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증강현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1544A
KR20230121544A KR1020220157031A KR20220157031A KR20230121544A KR 20230121544 A KR20230121544 A KR 20230121544A KR 1020220157031 A KR1020220157031 A KR 1020220157031A KR 20220157031 A KR20220157031 A KR 20220157031A KR 20230121544 A KR20230121544 A KR 20230121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augmented reality
user
reality device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7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훈
장원근
이동길
이진수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ublication of KR20230121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54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 G02B27/006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degree of correction, e.g. using phase modulators, movable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89Sight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027/0192Supplementary details
    • G02B2027/0198System for aligning or maintaining alignment of an imag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사용자의 동공의 위치를 분석하여 최적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증강현실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광학구성에 부착되거나 삽입되어 동작하는 증강현실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광원부와 상기 증강현실 장치의 해상도에 따라 구현되어야 할 픽셀의 가로 및 세로 길이만큼 떨어져 배치되는 복수의 버스라인과 각 버스라인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광학구성의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먼 일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안구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전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기 설정된 광원부에서 사용자의 안구 전면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광부의 센싱값을 토대로 사용자의 각막의 위치를 분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용자의 동공의 위치를 분석하여 최적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증강현실 장치{Augmented Reality Apparatus that can Provide an Optimal Image by Analyzing the Location of the User's Pupil}
본 발명은 사용자의 동공의 위치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동공으로 최적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증강현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이란, 실제 환경에 3차원 영상을 삽입하여 현실 세계 정보와 가상의 영상을 혼합한 것을 의미한다.
현실 세계 정보에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지 않는 정보도 있고, 때로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가 부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증강현실 시스템은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를 결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현실 세계와 필요한 정보의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의 증강현실 장치는 증강현실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광을 조사하는 광원 및 광원에서 조사된 광을 증강현실 영상으로 변환한 후 사용자의 안구로 입사시키기 위한 광학계를 포함한다. 종래의 증강현실 장치는 반드시 광학계를 별도로 포함하여야 했기에, 부피가 필연적으로 커져야 했으며 광학계를 거치며 필연적으로 광학수차가 발생해왔다.
이로 인해, 종래의 증강현실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나 안면부에 장착되는 형태 정도나 임의의 장소에 일정한 부피를 차지하며 별도의 장치로 구현된 형태로만 구현이 가능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증강현실 장치의 용처나 형태에 제약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광원과 광학계가 일체화되어, 부피를 감소시키고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수차를 최소화한 증강현실 장치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박막 또는 투명필름 등의 형태로 구현 가능하여 필요한 장소에 부착되어 동작할 수 있는 증강현실 장치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동공 위치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동공으로 최적의 증강현실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증강현실 장치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광학구성에 부착되거나 삽입되어 동작하는 증강현실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광원부와 상기 증강현실 장치의 해상도에 따라 구현되어야 할 픽셀의 가로 및 세로 길이만큼 떨어져 배치되는 복수의 버스라인과 각 버스라인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광학구성의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먼 일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안구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전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기 설정된 광원부에서 사용자의 안구 전면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광부의 센싱값을 토대로 사용자의 각막의 위치를 분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광원부는 상기 광학구성의 수광부가 배치된 일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강현실 장치의 중심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한 하나의 광원부를 선정하여 사용자의 안구 전면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일 끝단에 위치한 하나의 광원부를 선정하여 사용자의 안구 전면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센싱값이 가장 큰 위치를 사용자의 각막의 중심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센싱값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영역을 각막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광학구성에 부착되거나 삽입되어 동작하는 증강현실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광원부와 상기 증강현실 장치의 해상도에 따라 구현되어야 할 픽셀의 가로 및 세로 길이만큼 떨어져 배치되는 복수의 버스라인과 각 버스라인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광학구성의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먼 일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안구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전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기 설정된 광원부에서 사용자의 안구 전면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광부의 센싱값을 토대로 사용자의 각막의 위치를 분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각 광원부는 상기 버스라인이 형성하는 픽셀의 공간 내 각각 하나씩 배치되되, 각 픽셀의 공간 내에서 무작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광원부는 적색, 청색 및 녹색 파장대역의 광을 각각 방사하는 복수의 광원과 각 광원에서 방사되는 광을 일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와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되는 광의 방향을 조정하는 스티어링부 및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되는 광의 폭을 조정하는 빔폭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광원부는 상기 광학구성의 수광부가 배치된 일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강현실 장치의 중심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한 하나의 광원부를 선정하여 사용자의 안구 전면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일 끝단에 위치한 하나의 광원부를 선정하여 사용자의 안구 전면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센싱값이 가장 큰 위치를 사용자의 각막의 중심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광학구성에 부착되거나 삽입되어 동작하는 증강현실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광원부와 상기 증강현실 장치의 해상도에 따라 구현되어야 할 픽셀의 가로 및 세로 길이만큼 떨어져 배치되는 복수의 버스라인과 각 버스라인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광학구성의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먼 일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안구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전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기 설정된 광원부에서 사용자의 안구 전면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광부의 센싱값을 토대로 사용자의 각막의 위치를 분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증강현실 장치는 안경 내 삽입되어 동작하거나, 박막 또는 필름형태로 구현되어 안경에 부착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광학구성에 부착되거나 삽입되어 동작하는 증강현실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광원부와 상기 증강현실 장치의 해상도에 따라 구현되어야 할 픽셀의 가로 및 세로 길이만큼 떨어져 배치되는 복수의 버스라인과 각 버스라인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광학구성의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먼 일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안구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전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기 설정된 광원부에서 사용자의 안구 전면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광부의 센싱값을 토대로 사용자의 각막의 위치를 분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증강현실 장치는 운송수단의 윈드쉴드 내 삽입되어 동작하거나, 박막 또는 필름형태로 구현되어 운송수단의 윈드쉴드에 부착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광학구성에 부착되거나 삽입되어 동작하는 증강현실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광원부와 상기 증강현실 장치의 해상도에 따라 구현되어야 할 픽셀의 가로 및 세로 길이만큼 떨어져 배치되는 복수의 버스라인과 각 버스라인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광학구성의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먼 일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안구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전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기 설정된 광원부에서 사용자의 안구 전면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광부의 센싱값을 토대로 사용자의 각막의 위치를 분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증강현실 장치는 건물의 외벽에 위치하고 있는 임의의 광학구성 내 삽입되어 동작하거나, 박막 또는 필름형태로 구현되어 건물의 외벽에 위치하고 있는 임의의 광학구성에 부착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광원과 광학계가 일체화되어, 부피를 감소시키고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수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박막 또는 투명필름 등의 형태로 구현 가능하여 필요한 장소에 부착되어 동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동공 위치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동공으로 최적의 증강현실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장치의 다양한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무아레 무늬 및 보케 효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모듈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폭 조정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장치가 사용자의 동공위치를 분석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장치 내 수광부가 수광한 광의 세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장치의 다양한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증강현실 장치(110)는 사용자에 증강현실 영상을 제공한다. 이때, 증강현실 장치는 종래와 같이 광원 및 광학계로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광원부(220, 도 2를 참조하여 후술)와 제반 구성(230/235, 도 2를 참조하여 후술)이 임의의 광학구성(250, 도 2를 참조하여 후술) 내 삽입된 형태로 구현되거나, 광원부 및 제반구성이 박막 또는 (투명)필름 형태로 구현되어 임의의 광학구성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된다. 제반 구성은 광원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 대부분인 점에서, 실질적으로 증강현실 장치(110)의 동작은 광원부(210)에서 진행된다. 이에 따라, 증강현실 장치(110)는 종래의 증강현실 장치와 같이 광학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광원부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만이 구현되면 되기에, 임의의 광학구성 내 삽입되거나 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증강현실 장치(110)는 공간이나 배치에 있어 제약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증강현실 장치(110)는 광원부의 배치를 조정하여, 기존 단층의 동일평면상에 등간배열된 광원 구조로부터 발생되는 보케현상과, 다층 또는 위상값이 다른 단층의 등간배열 광원 구조로부터 발생되는 무아레현상을 억제한다.
증강현실 장치(110)는 임의의 광학구성(예를 들어, 렌즈, 유리 등)에 삽입되거나 해당 광학구성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에,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강현실 장치(11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안경(120)에 부착 또는 삽입된 형태로 사용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안경만을 착용한 상태로도 증강현실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강현실 장치(110)는 차량과 같은 운송수단(130) 내 (윈드쉴드) 글라스에 삽입되거나 부착되어, 운송수단의 운전자 등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증강현실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강현실 장치(110)는 건물(140) 등 특정 장소의 외벽에 위치하고 있는 임의의 광학구성에 삽입되거나 부착되어, 해당 장소로 진입한 사람들에 증강현실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경우, 증강현실 장치(110) 내 각 구성은 투명성을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 가지며 유연성(Flexible)을 갖는 필름 형태 또는 박막 형태의 기판상에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강현실 장치(110)가 임의의 광학구성에 부착될 경우, 광학구성의 동작은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오랫동안 부착되어 자신 고유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증강현실 장치(110)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장소에 존재하거나 사용자가 착용하는 등의 이유로 사용자가 바라보는 광학구성에 삽입되거나 부착되어, 사용자에게 증강현실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장치(110)는 광원부(220), 버스라인(230), 수광부(240), 전원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광원부(220)는 기 설정된 크기를 가지며 각 픽셀 내에서 무작위로 배치되며, 빔 폭 및 방향을 조정하여 영상을 출력한다.
광원부(220)는 기 설정된 크기를 가지며 각 픽셀 내에서 무작위로 배치된다. 광원부(220)는 수 내지 수백㎛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구현되며, 증강현실 장치(110)의 해상도에 따른 픽셀의 간격 내에 각각 배치된다. 다만, 광원부(220)가 픽셀의 간격 내에 배치됨에 있어, 상호 간에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은 각 픽셀의 간격 내에서 임의의 위치에 의도적으로 배치된다. 광원부(220)가 기판이나 임의의 광학구성에 배치됨에 있어, 각 픽셀의 간격마다 임의의 위치가 개방된 마스크가 이용될 수 있다. 각 픽셀의 간격 내에서 임의의 위치가 개방된 마스크에 의해, 광원부(220)는 (필름 형태 또는 박막 형태의) 기판에 배치되거나 임의의 광학구성 내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됨에 있어 임의의 위치에 무작위로 배치될 수 있다.
광원부(220)가 각 픽셀의 간격 내에서 무작위로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가 인지하는 무아레 무늬와 보케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무아레 무늬와 보케 효과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무아레 효과 및 보케 효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아레 무늬는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과는 무관하게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나타나는 격자 무늬를 의미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케 효과는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영상이 포커싱되지 못하고 아웃 포커싱되는 효과를 의미한다.
광원이 종래와 같이 각 픽셀의 간격 내에 균등한 간격마다 배치될 경우,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무아레 무늬가 두드러지게 발생하며, 각 픽셀 내 광원의 위치를 중심으로 보케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보케효과에 있어, 각 광원의 위치마다 보케효과가 발생하며, 각 광원의 위치에서의 보케효과가 중첩되며 사용자로 하여금 증강현실 영상의 인지를 방해하게 된다.
다시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무아레 무늬와 보케효과는 물리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인 점에서 발생 자체를 방지하는 것은 상당한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광원부(220)는 각 픽셀의 간격 내에서 무작위로 배치됨에 따라, 무아레 무늬와 보케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다. 광원부(220)의 전술한 배치로 인해, 발생하는 무아레 무늬의 격자 간격은, 적어도 증강현실 장치(110)가 출력하는 증강현실 영상의 시야각 또는 아이박스(Eye Box) 이상 멀어질 수 있으며, 발생하는 각 보케 역시 전술한 정도 이상의 직경만큼 커지게 된다. 전술한 대로, 무아레 무늬와 보케가 발생함에 따라, 광원부(220)는 무아레 무늬 및 보케로 인한 사용자의 증강현실 영상 시청에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광원부(220)는 증강현실 영상을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원하는 경로 및 폭으로 조정하여 사용자의 동공(210) 내로 조사한다. 광원부(220)는 내부에 자체적으로 광의 경로와 폭을 조정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여,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를 받아 출력할 광의 경로 및 폭을 조정한다.
광원부(220)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광 경로를 조정하며, 사용자의 안구 전면부에 순차적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원부(220)는 이와 같이 조사함으로써, 수광부(240)에서 사용자의 안구 전면부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한다.
버스라인(230, 235)은 전원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 광원부(220)에 전원을 공급한다. 버스라인(230a 내지 230n 및 235a 내지 235n)은 증강현실 장치(110)의 해상도에 따라 구현되어야 할 수평 픽셀의 개수 및 수직 픽셀의 개수보다 각각 하나씩 더 구현된다. 각 버스라인(230, 235)은 픽셀의 가로 및 세로 길이만큼 떨어져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각 버스라인 사이의 공간(픽셀의 크기)에 광원부(220)가 해당 공간 내에서 임의의 위치마다 배치되며, 인접한 버스라인(230, 235)들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전원이 공급되는 버스라인(230, 235)과 연결된 광원부(220)가 동작하게 되며, 각 버스라인(230, 235)으로 전원을 공급할지 여부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버스라인(230, 235)은 광원부(220)와 함께 증강현실 장치를 구성하며, 증강현실 장치(110)는 전술한 대로 필름 형태로 구현되어 광학구성(250)에 부착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때, 광학구성(250)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이거나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윈드쉴드 글라스일 경우, 해당 광학구성(250)의 투명성은 보장이 되어야 한다. 이에, 버스라인(230, 235)은 ITO(Indium Tin Oxide) 등과 같이 투명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강현실 장치(110)가 광학구성에 부착되더라도, 광학구성(250)의 투명도를 크게 저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에는 버스라인(230, 235)에 의해 픽셀에 해당하는 공간이 형성되며, 광원부(220) 만이 해당 공간 내 배치되는 것으로 구현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버스라인(230, 235)이 형성하는 공간 내 트랜지스터(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해당 공간 내 각 버스라인(230, 235)과 연결된 트랜지스터(미도시)가 구현되며, 트랜지스터(미도시)와 광원부(2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광원부(220)가 AM 구동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미도시) 역시 투명박막 트랜지스터로 구현되어 증강현실 장치(101)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수광부(240)는 광원부(220)에서 조사되어 사용자의 안구 전면부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한다. 전술한 대로, 광원부(220)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안구 전면부로 기 설정된 간격(각도)마다 순차적으로 광을 조사한다. 조사된 광은 안구의 전면부에서 반사가 진행되어 수광부(240)로 입사한다. 이때, 안구로 광이 입사될 경우, 안구에서는 프레넬 반사가 발생한다. 안구로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이 클수록 투과율 대신 반사율이 높아지며, 입사각이 작아질수록 반사율 대신 투과율이 높아진다. 또한, 안구의 특성상 안구의 공막(920)에서는 주로 입사된 광의 산란이 발생하며, 각막(910)에서는 주로 입사된 광의 반사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광원부(220)에서 사용자의 안구 전면부로 조사된 광 중 공막(920)으로 조사된 광의 반사량은 현저히 적으며, 공막(920)에서 각막(910)으로 갈수록 반사량은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반사광량만으로도 사용자의 각막(동공)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수광부(240)는 사용자의 안구 전면부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한다.
수광부(240)는 광학구성(250)의 사용자 안구로부터 먼 일면에 부착되거나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수광부(240)가 투명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을 경우, 광학구성(250)의 전면 또는 기 설정된 면적을 갖도록 구현되어 부착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수광부(240)가 포토 다이오드 등과 같이 투명한 재질로 구현되기 곤란할 경우, 광학구성(250)의 가로 또는 세로 축 방향으로의 일 끝단에 라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로축(y축) 최하단에 가로축(x축) 방향의 라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수광부(240)가 일 축방향의 끝단에 라인 형태로 구현됨에 따라, 광학구성(250) 및 광원부(220)를 거쳐 광을 입사받는데 있어 방해를 최소화한다.
전원부(미도시)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각 버스라인(230, 235)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미도시)는 증강현실 장치(110)가 부착되거나 삽입될 광학구성 내 배치될 수 있고, 배터리로 구현되어 버스라인(230, 235)과 전선으로 연결되며 외부에 별도로 위치(사용자가 파지하는 형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전원부(미도시)는 전원을 공급하며 발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박막 형태의 투명 배터리로 구현되어, 증강현실 장치(110) 내에 버스라인(230, 235) 등과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전원부(미도시) 및 광원부(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하며, 수광부(240)의 센싱값을 토대로 사용자의 동공 위치를 분석한다.
제어부(미도시)는 각 버스라인(230, 235)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부(미도시)를 제어하여 광원부(2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미도시)는 특정 영상을 특정 방향 및 특정 폭으로 출력하도록 광원부(22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는 증강현실 영상을 착용자의 동공(210)으로 모두 출력하도록 광원부(22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동공(210)의 크기만큼의 폭을 갖는 증강현실 영상을 출력하도록 광원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증강현실 장치(110) 내 포함된 광원부(220) 중 일부만이 증강현실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전부가 증강현실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다만, 전술한 대로 각 광원부(220)는 자신이 출력할 경로와 폭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부(미도시)는 광원부(220)가 다음과 같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b에서나 도 1c에서와 같이, 복수의 인원이 증강현실 장치(110)로부터 제공되는 증강현실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라면, 하나의 장치(110)에서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윈드쉴드 글라스에 부착된 증강현실 장치(110)일 경우, 운전자에게는 운행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증강현실 영상을, 조수석에 위치한 인원에게는 운행과 관련없는 별개의 영상을 증강현실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증강현실 장치(110) 내 운전자의 전방에 위치한 일정 면적만큼의 광원부(220)들이 운행과 관련된 증강현실 영상을 운전자의 동공 내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증강현실 장치(110) 내 조수석의 전방에 위치한 일정 면적만큼의 광원부(220)들이 임의의 증강현실 영상을 조수석에 위치한 인원의 동공 내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광원부(220)가 출력할 영상을 프레임마다 서로 달리할 수 있으며 동작할 광원을 조정할 수 있기에, 프레임마다 운전자와 조수석으로 각각 별개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미도시)는 광원부(220)가 출력할 영상, 출력할 방향 및 출력할 빔 폭을 각각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도 증강현실 장치(110)가 부착되거나 삽입될 광학구성 내 배치될 수 있고, 별도의 구성으로 구현되어 전원부(미도시)와 함께 별도로 위치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일 광원부(22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안구 전면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하며, 수광부(240)의 센싱값을 토대로 사용자의 동공 위치를 분석한다. 제어부(미도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광원부(22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안구 전면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장치가 사용자의 동공위치를 분석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장치 내 수광부가 수광한 광의 세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미도시)는 일 광원부(22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안구 전면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한다. 여기서, 일 광원부(220)는 증강현실 장치(110)의 중심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한 광원부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증강현실 장치(110)의) 일 끝단에 위치한 광원부(220)일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해당 광원부(220)가 사용자의 안구 전면부(xy 평면상)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한다.
전술한 대로, 반사광량은 산란이 일어나는 공막(920)보다 각막(910)에서 현저히 증가한다. 각막(910) 내에서는 중심으로 갈수록 입사각이 증가하기에(일 끝단에 위치한 광원부에서 광이 조사될 경우 자명), 반사광량은 각막(910)의 중심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의 안구 전면부에서 반사되어 수광부(240)로 입사한 반사광량을 분석한다. 반사광량은 도 10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나타난다.
도 10을 참조하면, 가로축(x축) 및 세로축(y축) 어느 방향에서도 각막(910)으로 갈수록 반사광량의 세기(I)는 증가하고, 특히 각막(910)의 중심에서 가장 반사광량의 세기가 커진다. 이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수광부(240)가 센싱한 센싱값 중 반사광량이 가장 큰 위치를 각막(910)의 중심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반사광량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지점을 각막(각막의 전면적)인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센싱값을 분석하여 각막의 중심은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각막의 전면적은 개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미도시)는 시청자의 각막(동공)의 위치를 분석함으로써, 광원부(220)를 제어하여 시청자의 각막(910)의 위치로 정확하게 증강현실 영상을 조사할 수 있다. 시청자의 시선이 다양한 위치로 이동하더라도, 제어부(미도시)는 시청자의 시선에 따라 정확하게 증강현실 영상을 입사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230)는 광원(510), 반사부(520), 스티어링부(530) 및 빔폭 조정부(540)를 포함한다.
광원(510)은 반사부(520)를 향해 광을 방사한다. 적색, 녹색 및 청색광을 발광하는 각 광원(510r, 510g, 510b)은 광이 진행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적층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각 광원(510r, 510g, 510b)은 적층된 형태로 구현되며, 적층된 방향을 중심으로 주변을 향해 광을 방사한다. 각 광원(510r, 510g, 510b)이 적층된 상태에서 주변을 향해 광을 방사하기 때문에, 방사된 광은 반사부(520)를 향해 진행한다. 각 광원(510r, 510g, 510b)이 적층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가로 길이(도 1에서 x축 방향의 길이)나 세로 길이(도 1에서 y축 방향의 길이)가 현저히 줄어들 수 있으며, 색수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반사부(520)는 각 광원(510r, 510g, 510b)에서 조사된 광을 빔폭 조정부(540)를 향해 반사시킨다. 반사부(520)는 CPC(Compound Parabolic Concentrator)와 같이 광을 반사시키되 포물선 형태를 구조를 가지며, 반사부(520)의 중심에 각 광원(510r, 510g, 510b)이 적층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광원에서 방사된 광은 반사부(520)에서 반사되며 광원이 적층된 방향을 향해 일괄적으로 진행한다. 각 광원(510r, 510g, 510b)이 적층된 형태와 반사부(520)의 구조에 따라, 각 광원(510r, 510g, 510b)에서 조사된 광은 분산되지 않은 채 오롯이 스티어링부(530) 및 빔폭 조정부(540)를 향해 진행하도록 한다. 반사부(520)는 스티어링부(530) 및 빔폭 조정부(540)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현됨에 따라, 광원(510)에서 방사된 모든 광이 스티어링부(530) 및 빔폭 조정부(540)로 진행할 수 있다.
다만, 스티어링부(530)와 빔폭 조정부(540)로 광을 출력하기 위해 광원부(220)가 적층된 광원(510r, 510g, 510b)과 포물선 형태의 반사부(52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티어링부(530)와 빔폭 조정부(540)로 평행광을 출력할 수 있다면, 광원(510)과 반사부(520)는 어떠한 구조로 대체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각 광원은 가로 길이방향(도 1에서 x축 방향)나 세로 길이방향(도 1에서 y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광원의 전방에 콜리메이터가 배치될 수 있다.
스티어링부(530)는 반사부(520)에서 반사되어 진행하는 광의 방향을 조정한다. 스티어링부(530)는 도 6 및 7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모듈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부(530)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스티어링 모듈(610, 620)을 포함한다. 각 스티어링 모듈(610)은 가로축 또는 세로축 등 어느 일 축 상으로의 광의 진행방향을 조정한다. 스티어링 모듈(610, 620)이 일 축 상으로의 진행방향만을 조정할 수 있기에,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광의 진행방향을 조정하기 위해 스티어링부(530) 내에는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광의 방향을 조정하는 적어도 2개의 스티어링 모듈(610, 620)이 포함되어야 한다. 스티어링부(530)는 적어도 2개의 스티어링 모듈(610, 620)을 포함하여, 자신으로 진입하는 광의 진행방향을 조정한다. 스티어링 모듈(610, 620)은 도 7에 도시된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티어링 모듈(610, 620)은 기 설정된 굴절률을 갖는 제1 부분(710) 및 굴절률의 조정이 가능한 제2 부분(720)을 포함한다.
제1 부분(710)은 기 설정된 굴절률(n0)을 갖되, 기 설정된 단위형상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형태로 구현된다. 예를 들어, 제1 부분(7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삼각형 형상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직사각형 등 다양한 단위형상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부분(720)은 광이 스티어링부(530)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제1 부분(710)보다 먼 위치에서 제1 부분(710)과 접촉하여 위치하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굴절률이 조정된다. 제2 부분(720)은 액정(Liquid Crystal)을 포함하여, 인가되는 전원의 크기에 따라 굴절률이 조정된다. 스티어링 모듈(610, 620) 양단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으며,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제2 부분(720)의 굴절률(ne)이 조정된다. 제2 부분(720)의 굴절률이 제1 부분(710)의 굴절률보다 커질 경우, 광은 일 방향으로 회절하게 된다. 양 부분(710, 720)의 굴절률이 동일할 경우 광은 회절없이 그대로 진행하게 된다. 제2 부분(720)의 굴절률이 제1 부분(710)의 굴절률보다 작아질 경우, 광은 다른 일방향으로 회절하게 된다. 이처럼, 제2 부분(720)의 굴절률이 조정됨에 따라 일 축 상으로 진행하는 광의 진행방향이 조정될 수 있다. 스티어링부(530)는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광의 방향을 조정하는 적어도 2개의 스티어링 모듈(610, 620)을 포함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빔폭 조정부(540)는 반사부(520)에서 반사되어 진행하는 광의 방향을 조정한다. 빔폭 조정부(540)는 기하학적 위상 렌즈(Geometric Phase Lens) 또는 메타렌즈로 구현되어, 입사되는 광의 위상에 따라 포커싱 정도를 조정하여 빔폭을 조정할 수 있다. 빔폭 조정부(540)의 동작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폭 조정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는 빔폭 조정부(540)가 기하학적 위상 렌즈(810)로 구현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기하학적 위상 렌즈(810)는 특정 편광(예를 들어, S편광 또는 Right-Handed Circular Polarization)은 포커싱하는 형태로, 다른 편광(예를 들어, P편광 또는 Left-Handed Circular Polarization)은 분산시키는 형태로 진행시킬 수 있다. 이때, 렌즈(810) 양단으로 전압이 인가되며, 인가되는 전압의 정도에 따라 특정 편광만을 분산시키거나 포커싱할 수 있으며, 분산되거나 포커싱되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기하학적 위상 렌즈(810)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정하여 빔폭 조정부(540)를 통과하는 광의 빔폭을 조정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구성을 갖는 광원부(220)는 가로 길이(도 1에서 x축 방향의 길이)가 수 내지 십수㎛로, 광이 출력되는 방향의 길이(도 1에서 z축 방향의 길이)가 수십 내지 수백㎛로 구현될 수 있다. 광원부(220)가 이와 같은 사이즈로 구현될 수 있어, 증강현실 장치(110)가 광학구성 중 안경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되더라도, 착용자로 하여금 충분한 해상도를 갖는 증강현실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광원부(220)가 투명화되기는 곤란하나, 전술한 대로, 가로 길이가 수 내지 십수㎛에 불과하며, 각 픽셀의 공간마다 임의의 위치에 하나씩 배치되는 점에서 착용자가 이를 인지하기는 곤란하다. 이에 따라, 증강현실 장치(110)가 광학구성에 부착되거나 삽입되더라도, 광학구성 고유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증강현실 장치
120: 안경
130: 운송수단
140: 건물
210: 동공
220: 광원부
230. 235: 버스라인
240: 수광부
510: 광원
520: 반사부
530: 스티어링부
540: 빔폭 조정부
610: 스티어링 모듈

Claims (15)

  1. 광학구성에 부착되거나 삽입되어 동작하는 증강현실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광원부;
    상기 증강현실 장치의 해상도에 따라 구현되어야 할 픽셀의 가로 및 세로 길이만큼 떨어져 배치되는 복수의 버스라인;
    각 버스라인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광학구성의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먼 일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안구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전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기 설정된 광원부에서 사용자의 안구 전면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광부의 센싱값을 토대로 사용자의 각막의 위치를 분석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광학구성의 수광부가 배치된 일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강현실 장치의 중심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한 하나의 광원부를 선정하여 사용자의 안구 전면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 끝단에 위치한 하나의 광원부를 선정하여 사용자의 안구 전면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센싱값이 가장 큰 위치를 사용자의 각막의 중심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센싱값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영역을 각막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
  7. 광학구성에 부착되거나 삽입되어 동작하는 증강현실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광원부;
    상기 증강현실 장치의 해상도에 따라 구현되어야 할 픽셀의 가로 및 세로 길이만큼 떨어져 배치되는 복수의 버스라인;
    각 버스라인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광학구성의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먼 일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안구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전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기 설정된 광원부에서 사용자의 안구 전면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광부의 센싱값을 토대로 사용자의 각막의 위치를 분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각 광원부는 상기 버스라인이 형성하는 픽셀의 공간 내 각각 하나씩 배치되되, 각 픽셀의 공간 내에서 무작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적색, 청색 및 녹색 파장대역의 광을 각각 방사하는 복수의 광원;
    각 광원에서 방사되는 광을 일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되는 광의 방향을 조정하는 스티어링부; 및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되는 광의 폭을 조정하는 빔폭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광학구성의 수광부가 배치된 일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강현실 장치의 중심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한 하나의 광원부를 선정하여 사용자의 안구 전면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 끝단에 위치한 하나의 광원부를 선정하여 사용자의 안구 전면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센싱값이 가장 큰 위치를 사용자의 각막의 중심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
  13. 광학구성에 부착되거나 삽입되어 동작하는 증강현실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광원부;
    상기 증강현실 장치의 해상도에 따라 구현되어야 할 픽셀의 가로 및 세로 길이만큼 떨어져 배치되는 복수의 버스라인;
    각 버스라인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광학구성의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먼 일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안구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전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기 설정된 광원부에서 사용자의 안구 전면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광부의 센싱값을 토대로 사용자의 각막의 위치를 분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증강현실 장치는 안경 내 삽입되어 동작하거나, 박막 또는 필름형태로 구현되어 안경에 부착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
  14. 광학구성에 부착되거나 삽입되어 동작하는 증강현실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광원부;
    상기 증강현실 장치의 해상도에 따라 구현되어야 할 픽셀의 가로 및 세로 길이만큼 떨어져 배치되는 복수의 버스라인;
    각 버스라인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광학구성의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먼 일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안구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전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기 설정된 광원부에서 사용자의 안구 전면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광부의 센싱값을 토대로 사용자의 각막의 위치를 분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증강현실 장치는 운송수단의 윈드쉴드 내 삽입되어 동작하거나, 박막 또는 필름형태로 구현되어 운송수단의 윈드쉴드에 부착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
  15. 광학구성에 부착되거나 삽입되어 동작하는 증강현실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광원부;
    상기 증강현실 장치의 해상도에 따라 구현되어야 할 픽셀의 가로 및 세로 길이만큼 떨어져 배치되는 복수의 버스라인;
    각 버스라인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광학구성의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먼 일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안구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전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기 설정된 광원부에서 사용자의 안구 전면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광부의 센싱값을 토대로 사용자의 각막의 위치를 분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증강현실 장치는 건물의 외벽에 위치하고 있는 임의의 광학구성 내 삽입되어 동작하거나, 박막 또는 필름형태로 구현되어 건물의 외벽에 위치하고 있는 임의의 광학구성에 부착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장치.


KR1020220157031A 2022-02-11 2022-11-22 사용자의 동공의 위치를 분석하여 최적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증강현실 장치 KR202301215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17971 2022-02-11
KR1020220017971 2022-0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544A true KR20230121544A (ko) 2023-08-18

Family

ID=87801822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7024A KR20230121542A (ko) 2022-02-11 2022-11-22 착용자의 시력을 보정할 수 있는 증강현실 장치
KR1020220157037A KR20230121545A (ko) 2022-02-11 2022-11-22 현실감을 향상시키고 광원과 광학계가 일체화된 증강현실 장치
KR1020220157031A KR20230121544A (ko) 2022-02-11 2022-11-22 사용자의 동공의 위치를 분석하여 최적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증강현실 장치
KR1020220157027A KR20230121543A (ko) 2022-02-11 2022-11-22 아이 박스 및 아이 릴리프 조정이 가능한 증강현실 장치
KR1020220157021A KR20230121541A (ko) 2022-02-11 2022-11-22 광원과 광학계가 일체화된 증강현실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7024A KR20230121542A (ko) 2022-02-11 2022-11-22 착용자의 시력을 보정할 수 있는 증강현실 장치
KR1020220157037A KR20230121545A (ko) 2022-02-11 2022-11-22 현실감을 향상시키고 광원과 광학계가 일체화된 증강현실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7027A KR20230121543A (ko) 2022-02-11 2022-11-22 아이 박스 및 아이 릴리프 조정이 가능한 증강현실 장치
KR1020220157021A KR20230121541A (ko) 2022-02-11 2022-11-22 광원과 광학계가 일체화된 증강현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20230121542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541A (ko) 2023-08-18
KR20230121543A (ko) 2023-08-18
KR20230121542A (ko) 2023-08-18
KR20230121545A (ko) 2023-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3310B2 (ja) ニアアイディスプレイ用装置
JP7404472B2 (ja) 周囲光源からの光を操作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240036332A1 (en) Tilting array based display
TWI720092B (zh) 用於擴增近眼可穿戴顯示器之系統及方法
AU2018383595B2 (en) Waveguide illuminator
US10025160B2 (en) Backlight unit and 3D image display apparatus
CN108375840B (zh) 基于小型阵列图像源的光场显示单元及使用其的三维近眼显示装置
JP6246592B2 (ja) 画素レンズを有するコリメーティングディスプレイ
US8503087B1 (en) Structured optical surface
US20100214635A1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head-up display
US20130286053A1 (en) Direct view augmented reality eyeglass-type display
US1171994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ternal light management
US10228567B2 (en) Virtual image display apparatus
JP2016126134A (ja) 表示装置および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
US202102319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ternal light management
KR20200121862A (ko) 협각 백라이트를 갖는 헤드 장착형 디스플레이
JP4945691B2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EP3674772B1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WO2014125793A1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20230121544A (ko) 사용자의 동공의 위치를 분석하여 최적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증강현실 장치
JP6806880B2 (ja) 光学素子及び光学装置
WO2020063273A1 (zh) 光学处理装置和近眼显示设备
JP2020160424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CN108965857A (zh) 一种立体显示方法及装置、可穿戴式立体显示器
US20240192541A1 (en) Virtual image display device and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