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1386A - 케이블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1386A
KR20230121386A KR1020220018173A KR20220018173A KR20230121386A KR 20230121386 A KR20230121386 A KR 20230121386A KR 1020220018173 A KR1020220018173 A KR 1020220018173A KR 20220018173 A KR20220018173 A KR 20220018173A KR 20230121386 A KR20230121386 A KR 20230121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pair
polishing
driv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8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동만
김병수
박민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8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1386A/ko
Publication of KR20230121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38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04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plane surfaces
    • B24B21/12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plane surfaces involving a contact wheel or roller pressing the belt against the work
    • B24B21/14Contact wheels; Contact rollers; Belt supporting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18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의 절연층 또는 반도전층 등의 층별 연마과정에서 전동으로 연마를 수행하여 작업의 피로도를 낮추고, 작업자가 연마과정을 중단하지 않고 연마상태를 직접 확인이 가능한 케이블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연마장치{Apparatus for Grinding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의 절연층 또는 반도전층 등의 층별 연마과정에서 전동으로 연마를 수행하여 작업의 피로도를 낮추고, 작업자가 연마과정을 중단하지 않고 연마상태를 직접 확인이 가능한 케이블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케이블은 도체, 반도전층, 절연층 및 쉬스부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전력라인을 구축하기 위한 포설구간에서 미리 결정된 길이 단위로 중간접속되거나, 가공선 등과 연결을 위한 전력구간의 종단에서는 종단접속될 수 있다.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을 위해서는 접속되는 양 전력케이블의 종단을 다단 탈피한 후 중간접속함을 이용하거나 중간접속부를 구성하여 중간접속을 수행하며, 종단접속도 연결대상이 구분되지만 유사한 방법이 적용된다.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 과정은 블레이드를 구비한 케이블 탈피장치로 깎아 다단 탈피된 양 전력케이블의 종단의 도체를 접합 또는 슬리브를 이용한 압착 등의 방법으로 접속하고, 다단 탈피된 각각의 층을 복원하여 중간접속부를 구성하거나, 코로나 실드를 장착하고 그 외주면에 전극부가 내부에 매립된 고무 재질의 슬리브 부재를 장착하여 중간접속함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중간접속구조 또는 중간접속함의 도체 접속부 근방은 전계가 집중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하므로 다단 탈피된 절연층 또는 반도전층은 표면이 매끄럽게 가공되어야 한다.
종래 다단 탈피되어 노출된 절연층 또는 반도전층의 표면을 매끄럽게 가공하는 방법은 사포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연마하는 공정이 사용되었다.
예를 들면, 긴 스트랩 형태의 사포로 연마 대상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을 감싸 작업자가 양손으로 번갈아 사포를 견인하여 절연층의 표면을 연마하며, 필요시 작업을 중지하고 촉감으로 작업 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마작업은 작업의 피로도가 크고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며, 작업자의 기량에 따른 연마 품질도 크게 차이 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의 절연층 또는 반도전층 등의 층별 연마과정에서 전동으로 연마를 수행하여 작업의 피로도를 낮추고, 작업자가 연마과정을 중단하지 않고 연마상태를 직접 확인이 가능한 케이블 연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구동축이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구동모터; 한 쌍의 상기 구동축에 장착되어 회전 구동되는 한 쌍의 구동 디스크; 한 쌍의 상기 구동 디스크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된 위치에 각각 일단이 장착되는 한 쌍의 구동 링크부재; 한 쌍의 상기 구동축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관통되어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 링크부재; 각각의 상기 구동 링크부재의 타단에 고정되고, 각각의 상기 지지 링크부재의 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구동부재; 및 한 쌍의 상기 구동부재에 양단이 각각 장착되며, 연마 대상물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연마 대상물의 외주면을 왕복 마찰시켜 연마하기 위한 연마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연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상기 구동부재에 상기 연마부재가 롤러에 권취된 상태로 공급되는 공급롤러; 및 상기 공급롤러에서 공급되고, 상기 연마 대상물의 연마에 사용된 연마부재를 권취하여 회수하기 위한 회수롤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링크부재의 일단은 상기 구동 디스크의 내측에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관통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링크부재의 양단은 상기 구동 디스크의 외주면과 상기 구동부재의 외주면에 구비된 지지바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 및 상기 지지 링크부재 중 일측에 가이드바가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가이드바가 안착되는 가이드슬롯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 링크부재의 구동시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지지 링크부재에 대하여 왕복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마장치에 의하면, 구동모터에 의하여 연마 대상물 외주면을 감싸는 연마부재가 왕복 운동되면서 상기 연마 대상물을 자동으로 연마해줌으로써 종래 수동 연마 작업에 의한 작업자의 피로도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마장치에 의하면, 연마 대상물에 대하여 연마 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동안 작업자가 연마 대상물의 연마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여 연마 작업의 편리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마장치에 의하면, 구동모터 및 이에 연결된 한 쌍의 구동 디스크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 연마장치의 전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마장치에 의하면, 연마부재 단부에 상기 연마부재를 권취 또는 공급하기 위한 롤러부재가 구비되어 반복적인 연마 작업으로 인한 연마부재의 마모 시 이의 교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력케이블 종단의 다단 탈피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마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마장치를 이용하여 중간접속 등을 위하여 다단 탈피된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의 연마 과정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력케이블 종단의 다단 탈피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력케이블(100)은 중심부에 도체(10)가 구비된다. 상기 도체(10)는 전류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되며, 예를 들어 구리(구리 합금 포함) 또는 알루미늄(알루미늄 합금 포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성을 위하여 원형의 복수 개의 원형 소선을 원형으로 압축한 원형 압축 도체로 구성될 수 있으나, 평각 도체 또는 분할 도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체(10)는 그 표면이 평활하지 않아 전계가 불균일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기 쉽다. 또한 도체(10) 표면과 후술하는 절연층(14) 사이에 공극이 생기게 되면 절연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체(10) 외부를 반도전성 카본지와 같은 반도전성 물질 등으로 구성된 내부반도전층(12)이 구비될 수 있다.
내부반도전층(12)은 도체면의 전하분포를 고르게 하여 전계를 균일하게 하여 후술하는 절연층(14)의 절연내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나아가, 도체(10)와 절연층(14) 간의 간격 형성을 방지하여 코로나 방전 및 이온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내부반도전층(12)의 외측에는 절연층(14)이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절연층(14)은 파괴전압이 높고, 절연성능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유전손실이 적으며 내열성 등의 열에 대한 저항 성능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전력케이블의 절연층(14)은 지절연 또는 수지 재질(XLPE 등)이 주로 적용된다.
수지 재질의 절연층(14)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가 사용되며, 폴리에틸렌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가교 수지일 수 있으며 가교제로서 실란 또는 유기 과산화물, 예를 들어, 다이큐밀퍼옥사이드(DCP)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절연층(14)의 외측에는 외부반도전층(16)이 구비된다. 상기 외부반도전층(16)은 접지되어 전술한 내부반도전층(12) 과의 사이에 전기력선의 분포를 등전위로 만들어 절연층(14)의 절연내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외부반도전층(16)은 케이블에 있어서 절연층(14)의 표면을 평활하게 하여 전계집중을 완화시켜 코로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반도전층(16)의 외측에는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금속시스(18)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금속시스(18)는 전기적 차폐 및 단락전류의 귀로로 활용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시스(18)는 중성선 형태로 구성되는 차폐층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전력케이블(100)의 최외측에는 외부자켓(20)이 구비된다. 상기 외부자켓(20)는 케이블(100)의 최외측에 구비되어 전력케이블(100)의 내부 구성을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자켓(20)은 일반적으로 PVC(Polyvinyl chloride; 폴리염화비닐) 또는 PE(Polyethylene: 폴리에틸렌)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력케이블은 지중 또는 지중 관로 내에 포설되는 전력케이블일 수 있다. 전력케이블은 지중 또는 지중 관로 외에도 강 또는 바다 등과 같은 수중에 설치되는 전력케이블(이하, '해저 전력케이블'이라 함)일 수도 있다. 해저 전력케이블의 경우 거친 수중 환경에 적응하고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하여 지중 전력케이블과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전력케이블(100)은 중간접속을 위해서는 접속되는 양 전력케이블의 종단을 다단 탈피한 후 중간접속될 수 있으며, 중간접속부 또는 중간접속함에서 표면 전계 집중을 방지하고자 수지 재질의 내부반도전층(12), 절연층(14) 또는 외부 반도전층(16)은 매끄럽게 표면이 연마되어야 한다.
상기 전력케이블(100)의 내부반도전층(12), 절연층(14) 또는 외부반도전층(16) 등은 블레이드를 구비한 탈피장치로 탈피되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한 부분이 존재하고 이러한 부분에 전계가 집중되어 단락 사고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력케이블(100)의 내부반도전층(12), 절연층(14) 또는 외부반도전층(16) 등의 층별 연마과정을 전동으로 수행하여 작업의 피로도를 낮추고, 작업자가 연마과정을 중단하지 않고 연마상태를 직접 확인이 가능한 케이블 연마장치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마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마장치는 한 쌍의 구동축(213)이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구동모터(210); 한 쌍의 상기 구동축(213)에 장착되어 회전 구동되는 한 쌍의 구동 디스크(220); 한 쌍의 상기 구동 디스크(22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된 위치에 각각 일단이 장착되는 한 쌍의 구동 링크부재(230); 한 쌍의 상기 구동축(213)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관통되어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 링크부재(240); 각각의 상기 구동 링크부재(230)의 타단에 고정되고, 각각의 상기 지지 링크부재(240)의 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구동부재(250); 한 쌍의 상기 구동부재(250)에 양단이 각각 장착되며, 연마 대상물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구동모터(21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연마 대상물의 외주면을 왕복 마찰시켜 연마하기 위한 연마부재(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10)는 전동식 구동모터로 구동축(213)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고 회전 방향의 변경이 가능한 형태의 모터일 수도 있다.
상기 구동모터(210)는 연마 공정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이며, 종래의 작업자의 사포 등의 연마부재의 반복 견인 수작업을 대체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10)의 한 쌍의 구동축에 각각 구동 디스크(22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디스크(220)는 상기 구동모터(210)의 구동축(213)의 회전시 함께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디스크(220)는 원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디스크(220) 내측에서 상기 구동모터(210)의 구동축(213)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어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 링크부재(2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링크부재(240)의 일단은 상기 구동모터(210)의 구동축(213)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어 지지되고 타단은 후술하는 구동부재(25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구동 디스크(22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된 위치에 한 쌍의 구동 링크부재(230)의 각각 일단이 장착될 수 있고, 상기 구동 링크부재(230)는 상기 구동 디스크(220)의 회전 운동을 왕복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링크부재(230)의 일단은 상기 구동 디스크(220)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구동 링크부재(230)의 타단에 구동부재(25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디스크(220)의 외주면과 상기 구동부재(250)의 외주면에는 각각 지지바(221, 251)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 링크부재(230)의 각도 변경을 허용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250)는 상기 구동 링크부재(230)의 타단에 의하여 추진 또는 견인되되 상기 지지 링크부재(240)의 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구동 디스크(220)의 회전시 구동 디스크(220)의 회전운동이 구동 링크부재(230)에 의하여 왕복 운동으로 변환되고, 구동 링크부재(230)의 왕복 운동은 지지 링크부재(240)의 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구동부재(25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재(250)의 슬라이딩 왕복 운동은 연마부재(260)의 잡아당기기와 풀기 동작을 반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재(250) 및 상기 지지 링크부재(240) 중 일측에 가이드바(미도시)가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가이드바가 안착되는 가이드슬롯(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 링크부재(230)의 구동시 상기 구동부재(250)가 상기 지지 링크부재(240)에 대하여 왕복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250)는 상기 지지 링크부재(240)의 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분리되지 않도록 구속되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구동부재(250)에 양단이 각각 장착되며, 연마 대상물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구동모터(21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연마 대상물의 외주면을 왕복 마찰시켜 연마하기 위한 연마부재(2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마부재(260)는 상기 구동부재(250)에 장착되어 한 쌍의 상기 구동부재(250)의 왕복 운동시 왕복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연마부재(260)는 스트립 형태의 사포부재 등일 수 있다. 상기 연마부재(260)는 내주면이 연마면으로 연마대상을 감싸 연마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구동부재(250)에 상기 연마부재(260)를 공급 또는 회수하기 위한 한 쌍의 롤러부재(2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롤러부재(270) 중 하나는 롤러에 권취된 상태로 공급되는 공급롤러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상기 공급롤러에서 공급되고 상기 연마 대상물의 연마에 사용된 연마부재(260)를 권취하여 회수하기 위한 회수롤러일 수 있다. 따라서,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사용된 연마부재(260)는 교체될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공급롤러에서 연마부재(260)를 풀고 회수롤러에서 권취하여 신규 연마면이 작업영역으로 이송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마장치를 이용하여 중간접속 등을 위하여 다단 탈피된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의 연마 과정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한 설명에 기재된 바와 같이, 중간접속 또는 종단접속을 위한 접속함 내부에서, 한 쌍의 전력케이블(100)의 도체(10)는 접합 또는 슬리브 부재를 이용하여 압착 등의 방법으로 접속되고, 각각의 내부반도전층(12), 절연층(14) 또는 외부반도전층(16)은 프리몰드 조인트 형태의 조인트 슬리브가 장착될 수 있으며, 각각의 계면에서의 전계 집중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지 재질로 압출되어 구성되는 내부반도전층(12) 절연층(14) 또는 외부반도전층(16)의 표면은 매끄럽게 연마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프리몰드 조인트와 절연층 또는 반도전층 계면에서 절연층 또는 반도전층의 표면 조도는 접속함의 절연 성능을 좌우하는 요소이며, 만약 절연층 표면의 거칠기가 크거나 미세 요철, 크랙 또는 홈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부위에 전계가 집중되어 충분한 절연 성능을 확보할 수 없어 단락 사고 등의 위험이 있으므로 절연층 또는 반도전층의 연마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종래에는 전력케이블을 다단 탈피하여 내부 반도전층, 절연층 또는 외부반도전층의 표면을 노출시킨 후 작업자가 직접 사포로 다듬질하여 표면의 요철면을 제거하였으나, 작업자가 연마 작업 도중 연마된 표면의 조도를 수시로 확인해야 했으므로 작업 시간이 오래 소요되며, 반복적인 연마 작업으로 인해 쉽게 피로도를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마장치는 구동모터에서 제공되는 전동 구동력에 의하여 연마 작업의 피로도를 낮추고 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마장치를 이용한 전력케이블(100)의 구체적인 연마 과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마장치는 상기 구동모터(210)에서 한 쌍의 구동 디스크(220)의 회전 구동력이 제공되면, 한 쌍의 상기 구동 디스크(220)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구동 링크부재(230)가 상기 구동 디스크(22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지지 링크부재(240)의 왕복 운동에 의하여 상기 구동부재(250)가 슬라이딩 구동됨에 따라 상기 연마부재(260)의 내주면에 접촉된 전력케이블(100)의 절연층 또는 반도전층이 연마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기 구동 디스크(220)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상기 구동 링크부재(230)의 일단은 구동 디스크(220)의 서로 대칭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구동부재(250)의 위치가 번갈아 변경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모터(210)의 구동력에 의하여 한 쌍의 상기 구동 디스크(220)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좌측 구동 링크부재(230)는 상기 연마부재(260)를 견인하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후퇴되고, 다른 하나의 우측 구동 링크부재(230)는 상기 연마부재(260)를 풀어주는 제2 방향으로 추진되어 전체적으로 상기 연마부재(260)가 절연층의 외주면을 마찰하며 반시계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반면, 도 4를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동작과 반대로 상기 구동모터(210)의 구동력에 의하여 한 쌍의 상기 구동 디스크(220)가 회전되면, 좌측 구동 링크부재(230)는 상기 연마부재(260)를 풀어주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추진되고, 다른 하나의 우측 구동 링크부재(230)는 상기 연마부재(260)를 견인하는 제1 방향으로 후퇴하여 전체적으로 상기 연마부재(260)가 절연층의 외주면을 마찰하며 시계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마부재(260)는 그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의 절연층 또는 반도전층의 외주면을 전력 케이블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왕복 마찰되어 매끄럽게 연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마부재(260)의 내측 연마면이 반복적인 연마작업으로 인해 연마가 진행된 경우 상기 연마부재(260)의 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롤러부재(270)를 통해 상기 연마부재(260)를 권취롤러로 권취하거나 또는 회수롤러로 회수하는 방법을 통해 내측 연마면을 마모가 진행되지 않은 새로운 연마면으로 변경 교체하여 연마 작업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케이블 연마장치의 구동모터(210)의 외주면에 핸들(2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211)은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전력케이블(100)과 상기 연마부재(260) 사이가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잡아 당겨 상기 케이블 연마장치에 의한 연마 공정에 필요한 마찰력의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210) 외주면에 구비된 핸들(211)을 손으로 잡아 본 발명의 케이블 연마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케이블 연마장치에 의해 연마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절연층(14)의 연마 영역을 조절 또는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한손으로 핸들(211)을 잡고 다른 손으로 연마 영역의 표면 상태 또는 표면 조도를 수시로 확인이 가능하므로, 작업 중단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마장치는 상기 구동모터(210)에서 제공된 회전 구동력으로 절연층(14)과 같은 전력케이블(100) 구성요소의 연마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경감시키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210 : 구동모터
220 : 구동 디스크
230 : 구동 링크부재
240 : 지지 링크부재
250 : 구동부재
260 : 연마부재

Claims (6)

  1. 케이블이 탈피되어 노출된 반도전층 또는 절연층을 연마하기 위한 케이블 연마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구동축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구동모터;
    한 쌍의 상기 구동축에 장착되어 회전 구동되는 한 쌍의 구동 디스크;
    한 쌍의 상기 구동 디스크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된 위치에 각각 일단이 장착되는 한 쌍의 구동 링크부재;
    한 쌍의 상기 구동축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관통되어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 링크부재;
    각각의 상기 구동 링크부재의 타단에 고정되고, 각각의 상기 지지 링크부재의 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구동부재; 및
    한 쌍의 상기 구동부재에 양단이 각각 장착되며, 연마 대상물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연마 대상물의 외주면을 왕복 마찰시켜 연마하기 위한 연마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연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구동부재에 상기 연마부재가 롤러에 권취된 상태로 공급되는 공급롤러; 및 상기 공급롤러에서 공급되고, 상기 연마 대상물의 연마에 사용된 연마부재를 권취하여 회수하기 위한 회수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링크부재의 일단은 상기 구동 디스크의 내측에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링크부재의 양단은 상기 구동 디스크의 외주면과 상기 구동부재의 외주면에 구비된 지지바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 및 상기 지지 링크부재 중 일측에 가이드바가 구비되고, 타측에 가이드바가 안착되는 가이드슬롯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 링크부재의 구동시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지지 링크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왕복운동 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에 핸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마장치.
KR1020220018173A 2022-02-11 2022-02-11 케이블 연마장치 KR202301213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173A KR20230121386A (ko) 2022-02-11 2022-02-11 케이블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173A KR20230121386A (ko) 2022-02-11 2022-02-11 케이블 연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386A true KR20230121386A (ko) 2023-08-18

Family

ID=87801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8173A KR20230121386A (ko) 2022-02-11 2022-02-11 케이블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13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748076U (zh) 一种用于电缆剥皮的辅助装置
US11220188B2 (en) Motor vehicle charging cable
US10032544B2 (en) Terminal treatment apparatus for a coaxial cable to separate a sheath from a conductor
CN113363785B (zh) 一种电缆对接工艺
CN213460893U (zh) 一种电线电缆铺设用牵引设备
CN212304490U (zh) 一种电缆敷设辅助装置
CN104201622A (zh) 一种预制类电力电缆中间接头安装装置及方法
KR20200069969A (ko) 이종 도체 접합을 위한 연결도체 및 전력 케이블 중간접속구조
US29362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licing electrical mining cable
US3781458A (en) Insulated cable splic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230121386A (ko) 케이블 연마장치
US10381818B2 (en) Covering processing tool and covering processing method
KR101773473B1 (ko) 조립형 직선접속재 시공 방법
JP5296563B2 (ja) コネクタ保持工具およびコネクタ保持方法
CN115275879A (zh) 集成式线缆处理设备
CN108429223B (zh) 预制式三分支中间接头及其装配方法
CN214506365U (zh) 一种用于剥除长距离双绞电线绝缘层的剥线器
KR101773475B1 (ko) 자기수축형 직선접속재 시공 방법
JP6823983B2 (ja) ケーブル接続部
CN110011232B (zh) 一种10kV三芯电缆的对接方法
CN217097113U (zh) 一种全封闭防尘电动剥线装置
CN220732230U (zh) 一种手持式电动缆线纵剥机
CN220341666U (zh) 一种网络通讯电缆接线设备
JP6754170B2 (ja) 電力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0130291A1 (en) A method for jointing insulated power ca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