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1191A - 소모성 의료용 소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소모성 의료용 소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1191A
KR20230121191A KR1020220017010A KR20220017010A KR20230121191A KR 20230121191 A KR20230121191 A KR 20230121191A KR 1020220017010 A KR1020220017010 A KR 1020220017010A KR 20220017010 A KR20220017010 A KR 20220017010A KR 20230121191 A KR20230121191 A KR 20230121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material
sponge
polymer sheet
carboxymethylcellulos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866B1 (ko
Inventor
최정연
전희경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17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866B1/ko
Publication of KR20230121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8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0Liquid-swellable gel-forming materials, e.g. super-absorb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04Non-adhesive dressings
    • A61F13/00008Non-adhesive dressings characterized by the material
    • A61F13/00012Non-adhesive dressings characterized by the material being made of natural material, e.g. cellulose-, protein-, collagen-ba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04Non-adhesive dressings
    • A61F13/00034Non-adhesive dressings characterized by a property
    • A61F13/00042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61F13/01012
    • A61F13/0104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13/15252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ompostable or biodegrad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8Polysaccharid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25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61F2013/53058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characterized by the form
    • A61F2013/5306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characterized by the form in sponge or foam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알긴산 및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의 스폰지; 상기 스폰지의 외면을 커버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시트는 알지네이트, 덱스트란, 키토산 및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스폰지는 수분을 흡수하여 하이드로겔 형태로 변환되는, 의료용 소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소모성 의료용 소재 및 그 제조 방법{DISPOSABLE MEDICAL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마스크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소모성 의료용 소재에 관한 것이다.
건강 및 환경에 대한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기능을 갖춘 위생, 의료용 섬유제품 등 소모성 위생용품의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소모성 위생용품으로 사용되는 소재로는 부직포를 활용한 제품이 가장 일반적이며, 대표적으로 창상치료 및 밴드류, 붕대류, 마스크 등의 1회용 용품에 대한 수요가 크다.
특히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감염 사태에 대비한 마스크와 같은 기초적인 예방 의료용품뿐만 아니라 개인 위생용품, 일회용 의약 위생용품 관련 제품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인체 및 환경에 무해한 생체적합성 및 생분해성 천연고분자를 이용한 항균기능을 갖춘 소모성 위생용품 (의료용) 소재를 개발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인체 내 거부감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조직 치유 재생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연고분자를 이용한 새로운 의료용 소재를 제조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모성 위생용품(의료용) 소재에 기능성을 갖춘 천연물질을 첨가하여 항균능, 소취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을 갖춘 의료용 소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알긴산 및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의 스폰지; 및 상기 스폰지의 외면을 커버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시트는 알지네이트, 덱스트란, 키토산 및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스폰지는 수분을 흡수하여 하이드로겔 형태로 변환되는, 의료용 소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폰지에는 알긴산 및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가교체가 제공되는, 의료용 소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시트에는 아연 이온이 결합되어 제공되는, 의료용 소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료용 소재는 붕대류, 창상치료 및 밴드류, 여성 위생 소모품(생리대) 및 마스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사용되는, 의료용 소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알긴산 및 셀룰로오스를 혼합하고 가교하여 다공성 구조의 스폰지를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다공성 구조의 스폰지 상에 알지네이트, 덱스트란, 키토산 및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여 고분자 시트를 제공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용 소재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 후 동결 건조를 더 수행하는, 의료용 소재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소듐 알긴산(Sodium Alginate)를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 혼합하여 수행되는, 의료용 소재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체 내 거부감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조직 치유 재생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의료용 소재를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소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소재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의료용 소재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의료용 소재의 모폴로지 분석 결과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의료용 소재의 장력(Tensile Strength) 시험 결과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의료용 소재의 팽창 계수 측정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의료용 소재 상에서의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을 분석한 결과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느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on)에 형성되었다고 할 경우, 상기 형성된 방향은 상부 방향만 한정되지 않으며 측면이나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면'과 '하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하기 위하여 상대적인 개념으로 사용된 것이다. 따라서, '상면'과 '하면'은 특정한 방향, 위치 또는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고 서로 호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면'이 '하면'이라고 해석될 수도 있고 '하면'이 '상면'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면'을 '제1'이라고 표현하고 '하면'을 '제2'라고 표현할 수도 있고, '하면'을 '제1'로 표현하고 '상면’을 '제2'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그러나, 하나의 실시예 내에서는 '상면'과 '하면'이 혼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분을 흡수하여 하이드로겔 형태로 변환되기 때문에 흡습성이 우수한 알긴산과 셀룰로오스 스폰지, 스폰지의 외면을 커버하며 항균 기능을 부여하는 고분자 시트를 포함하는 소모성 의료용 소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소재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의료용 소재는 알긴산 및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의 스폰지; 상기 스폰지의 외면을 커버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시트는 알지네이트, 덱스트란, 키토산 및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스폰지는 수분을 흡수하여 하이드로겔 형태로 변환된다.
의료용 소재는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내부에 스폰지가 제공되고 스폰지의 전면(全面)을 고분자 시트가 커버하는 형태를 갖는다.
스폰지는 다공성 구조를 갖는다. 다공성 구조는 스폰지 내부 및 표면에 복수 개의 기공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공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스폰지에 제공된 기공은 약 300 μm 내지 700 μm의 평균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스폰지는 의료용 소재의 용도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용 소재는 붕대류, 창상치료 및 밴드류, 여성 위생 소모품(생리대) 및 마스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사용될 수 있다. 스폰지는 수분을 많은 면적에서 흡수할 수 있도록 일면이 넓은 직육면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의료용 소재는 넓은 면을 따라 신속하게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
스폰지는 알긴산과 셀룰로오스가 가교된 가교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알긴산과 셀룰로오스는 서로 가교 반응에 의해 상술한 것과 같이 기공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스폰지에 제공되는 알긴산은 소듐 알긴산(Sodium Alginate) 형태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셀룰로오스는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형태로 혼합될 수 있다. 혼합된 소듐 알긴산과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는 각각 일 방향으로 연장된 사슬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사슬 구조의 복수 개의 소듐 알긴산과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가 화학적 결합에 의해 연결되면서 가교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소듐 알긴산과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가 가교되면서 이루는 빈 공간은 스폰지 제조 완료 후 기공으로 제공될 수 있다.
스폰지에 제공되는 알긴산은 칼슘 알긴산(Calcium Alginate)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칼슘 알긴산은 소듐 알긴산의 소듐 이온과 칼슘이온의 치환으로 인해 제공될 수 있다. 칼슘 알긴산은 겔화특성, 인체 무해성 등 알긴산 섬유가 가지고 있는 특성이 상처의 치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칼슘 알긴산의 특성을 살펴보면 수불용성 칼슘 알긴산 섬유의 칼슘 이온이 소듐 이온과 치환되면 수용성을 가지며 칼슘 이온과 소듐 이온이 적당한 비율로 존재할 경우 완전히 용해되지 않고 겔의 형태로 팽윤된 섬유로 존재하게 되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칼슘 알긴산 섬유의 칼슘 이온이 혈액이나 삼출물 중의 소듐 이온과 치환되면 혈액이나 삼출물을 흡수하여 겔화되고 겔화된 섬유는 창면에 용이하게 부착되어 상처치료에 용이한 습윤환경을 유지시켜 주고 나아가 치환된 칼슘 이온은 혈액 응고인자의 하나로 상처의 지혈에 도움을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창면에서 제거할 때 생리식염수에 녹아 창면에 부착된 섬유를 용해시켜 제거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창면에서 제거할 때 생리식염수에 녹아 창면에 부착된 섬유를 용해시켜 제거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스폰지 외면에는 생분해성 고분자 시트가 제공된다.
생분해성 고분자 시트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층일 수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 시트는 알지네이트, 덱스트란, 키토산 및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데, 이에 따라 미생물에 의하여 생분해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물질들은 항알러지 및 항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생분해성 고분자 시트에 의해 커버된 의료용 소재는 생분해성 고분자 시트가 환부 등과 닿았을 때 항알러지 기능 및 항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 시트는 수분 투과성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수분은 생분해성 고분자 시트를 투과하여 스폰지에서 흡수될 수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 시트에 포함된 고분자의 종류는 의료용 소재의 종류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분해성 고분자 시트는 덱스트란 또는 알지네이트(알긴산)를 포함할 수 있는데, 각각의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의료용 소재의 종류와 용도에 따라 적합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덱스트란은 다당류의 하나로 D-글루코스의 중합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녹말이나 글리코겐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D-글루코스가 α-1,6 결합으로 곧은 사슬 모양으로 이어지고 군데군데에 α-1,4 결합이 분지 되어 있다. 이것은 녹말이나 글리코겐이 α-1,4 결합을 하고 있고, 분지점이 α-1,6 결합인 것과 대조적이다. 이 밖에 α-1,2 결합과 α-1,3 결합의 존재도 알려져 있으나, 그 양과 종류는 덱스트란의 기원에 따라 다르다. 고분자량의 덱스트란은 체내에서 알러지 반응을 자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덱스트란은 혈액증량제, 혈 액응고방지제(유착방지제), 가교된 덱스트란(cross linked dextran)을 이용한 필러 등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관절 질환이나 결체조직 질환의 치료제로 사용된 것으로 보고된 바는 없다.
덱스트란은 필요에 따라 폴록사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알기네이트(알긴산은) 만루론산(M) 블록과 글루론산(G) 블록 및 그 중간의 M/G 블록이 1,4-글리코시드로 결합된 공중합체이다. 분자 속에 우론산의 카르복시기(COOH-)가 있으므로 산의 성질을 나 타내는데, 보통은 소듐염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인체에 무 독성이며 가공하기가 쉽고, 물에 용해되어 고점성을 나타낸다는 특징이 있다.
알긴산은 금속이온을 포집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금속 염과 가교결합을 형성시켜 겔화되는 중요한 특성을 가진다. M/ G 블록은 금속이온과 결합되는 성질이 다르므로 M/G비를 제 어하는 것으로 겔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는 아연 이온과 같은 항균성 기능을 부여하는 금속 이온을 알긴산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시트에 담지할 수 있다. 덱스트란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덱스트란 사슬 상에 아연 이온이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 시트는 이방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공된 생분해성 고분자 시트의 두께는 의료용 소재 또는 용품의 형태,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소재는 (a) 인체 내 부착 시 독성 반응, 염증 반응 및 면역 반응이 없으며, (b) 적당한 투과성, 봉합성, 수축 및 이완이 가능한 기계적, 물리적 특성 갖는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의료용 소재는 생체적합성 소재를 융복합하여 기계적 물성, 물리적 물성, 생물학적 성질에 향상된 상용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소재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소재 제조 방법은 알긴산 및 셀룰로오스를 혼합하고 가교하여 다공성 구조의 스폰지를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다공성 구조의 스폰지 상에 알지네이트, 덱스트란, 키토산 및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여 고분자 시트를 제공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알긴산 및 셀룰로오스를 혼합하고 가교하여 다공성 구조의 스폰지를 준비하는 제1 단계에서는 예를 들어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 소듐 알긴산을 혼합하여 스폰지를 준비할 수 있다. 알긴산과 셀룰로오스의 혼합 비율은 질량 비로 약 1:1 내지 1:5의 비율일 수 있다. 상술한 비율로 알긴산과 셀룰로오스를 혼합함으로써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고, 수분을 흡수했을 때 안정적으로 겔화되는 스폰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단계에서는 필요에 따라 NaOH와 같은 염기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염기의 종류는 상술한 NaOH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단계에서는 상술한 알긴산과 셀룰로오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첨가하는 염기의 혼합에 의해 알긴산과 셀룰로오스 사이 가교 반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가교 반응을 수행하기 위해 가교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가교제는 예를 들어, 1,4-부탄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1,4-Butanediol diglycidyl ether)와 같은 에폭사이드 가교제일 수 있다.
제1 단계에서 가교 반응은 약 50 ℃의 온도에서 4 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가교 반응 수행 시 혼합물을 교반하는 등의 동작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반응을 수행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에는 가교체를 반응 용액으로부터 분리하고, 동결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동결 건조는 약 48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동결 건조를 수행함으로써 가교 반응이 완료되고, 다공성 구조의 스폰지가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다공성 구조의 스폰지 상에 알지네이트, 덱스트란, 키토산 및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여 고분자 시트를 제공하는 제2 단계가 수행된다.
제2 단계는 다공성 구조 스폰지를 커버하도록 고분자 시트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지네이트, 덱스트란, 키토산 및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여 준비할 수 있다.
제2 단계에서는 예를 들어, 소듐 알긴산 또는 덱스트란 수용액에 다공성 구조 스폰지를 침지하고 가교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제공하고자 하는 고분자 시트의 종류에 따라 수용액 상에 제공되는 고분자 시트 전구체 물질의 농도도 상?獰?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듐 알긴산을 사용하여 고분자 시트를 제공하는 경우 소듐 알긴산은 약 1.0 중량%의 농도를 나타낼 수 있다. 덱스트란을 제공하는 경우, 약 10 중량%의 농도를 나타내는 덱스트란 수용액을 이용하여 고분자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고분자 시트를 제공하기 위한 전구체 용액에 대하여 스폰지가 침지된 상태에서 가교 반응을 수행한다. 가교 반응을 위해 전구체 물질에 적합한 첨가물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듐 알긴산을 사용하여 고분자 시트를 제공하는 경우 가교 및 치환을 위하여 CaCl2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덱스트란을 사용하여 고분자 시트를 제공하는 경우 1,4-부탄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1,4-Butanediol diglycidyl ether)와 같은 에폭사이드 가교제를 첨가하여 가교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단계에서 가교반응을 통해 다공성 구조 스폰지 상에 고분자 시트를 제공한 후에는 세척 및/또는 동결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단계와 제2 단계 공정에서는 각각 다공성 스폰지와 다공성 스폰지를 커버하는 고분자 시트를 제공하며, 이들이 계면을 이루면서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의료용 소재의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의료용 소재를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의료용 소재의 모폴로지 분석 결과 이미지이다.
도 3과 도 4의 (Control)은 대조군으로 알긴산과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다공성 스폰지, (a)는 알긴산과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다공성 스폰지-스폰지 표면에 제공된 알긴산 고분자 시트로 구성된 의료용 소재, (b)는 (a)는 알긴산과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다공성 스폰지-스폰지 표면에 제공된 덱스트란 고분자 시트로 구성된 의료용 소재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실시예의 (a)와 (b)의 의료용 소재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기공도(porosity)가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복수 개의 기공이 연결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수분을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의료용 소재의 장력(Tensile Strength) 시험 결과 그래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실시예의 (a)와 (b)의 의료용 소재의 경우 소재를 양쪽으로 당겼을 때 파단되기 전까지 견딜 수 있는 장력이 대조군(Control)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다공성 스폰지 상에 고분자 시트를 제공함으로써 장력 특성이 개선되고, 신체에 부착된 이후에도 우수한 장력 특성에 의해 파단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의료용 소재의 팽창 계수 측정 결과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실시예의 (a)와 (b)의 경우 팽창 계수(Swelling Ratio)가 각각 1074.78, 1365.31로, 대조군의 721.31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팽창 계수는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수분 흡수 전후의 의료용 소재의 크기 변화를 측정한 것이며, 실시예의 의료용 소재가 비교예의 소재에 비하여 흡습성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의료용 소재 상에서의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을 분석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세포만 존재하는 경우(only cells), 대조군의 소재 상에 세포를 제공한 경우(control), 실시예의 소재 상에 세포를 제공한 경우(a, b) 시간의 경과에 따른 세포 생존률을 분석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분석에 사용된 세포는 human keratinocyte cell line, HaCaT cells)(MTT assay, n=5, mean ± SD)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대조군의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세포가 오히려 소재 상에서 증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실시예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포의 수가 줄어들거나 초기부터 세포의 다수가 사멸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소재는 흡습성뿐만 아니라, 항알러지 및 항균 특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7)

  1. 알긴산 및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의 스폰지; 및
    상기 스폰지의 외면을 커버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시트는 알지네이트, 덱스트란, 키토산 및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스폰지는 수분을 흡수하여 하이드로겔 형태로 변환되는, 의료용 소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폰지에는 알긴산 및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가교체가 제공되는, 의료용 소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시트에는 아연 이온이 결합되어 제공되는, 의료용 소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소재는 붕대류, 창상치료 및 밴드류, 여성 위생 소모품(생리대) 및 마스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사용되는, 의료용 소재.
  5. 알긴산 및 셀룰로오스를 혼합하고 가교하여 다공성 구조의 스폰지를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다공성 구조의 스폰지 상에 알지네이트, 덱스트란, 키토산 및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첨가하여 고분자 시트를 제공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용 소재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 후 동결 건조를 더 수행하는, 의료용 소재 제조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소듐 알긴산(Sodium Alginate)를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 혼합하여 수행되는, 의료용 소재 제조 방법.
KR1020220017010A 2022-02-09 2022-02-09 소모성 의료용 소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627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010A KR102627866B1 (ko) 2022-02-09 2022-02-09 소모성 의료용 소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010A KR102627866B1 (ko) 2022-02-09 2022-02-09 소모성 의료용 소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191A true KR20230121191A (ko) 2023-08-18
KR102627866B1 KR102627866B1 (ko) 2024-01-24

Family

ID=87801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010A KR102627866B1 (ko) 2022-02-09 2022-02-09 소모성 의료용 소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86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6235A (ja) * 2001-08-17 2003-05-07 Terumo Corp 医療用貼付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6235A (ja) * 2001-08-17 2003-05-07 Terumo Corp 医療用貼付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866B1 (ko) 202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03715B2 (ja) 抗菌創傷被覆材の製造方法
RU2669557C2 (ru) Абсорбирующий материал
JP5075811B2 (ja) 抗菌創傷包帯の作製方法およびその使用
FI72655C (fi) Saorbindel med uppsugningsfoermaoga och foerfarande foer dess framstaellning.
US4405324A (en) Absorbent cellulosic structures
CN108853570B (zh) 一种止血海绵及其制备方法
TW200406232A (en) Hemostatic wound dress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11523425A (ja) 素早く濡れる親水コロイド含有材料、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
CN106894111A (zh) 一种柔软吸湿的复合藻酸盐敷料的制备方法
JP2005046601A (ja) 生体崩壊性の止血用傷包帯
AU733405B2 (en) Absorbent structure comprising a highly absorbent polymer, and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the absorbent structure
KR20190142316A (ko) 상처 치료에 사용되기 위한, 특성이 개선된 섬유 재료
EP3731790A1 (en) Lint free crosslinked chitosan-pva sponge as an absorbent wound dressing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CN111053947A (zh) 一种魔芋葡甘聚糖/鱼明胶水凝胶、其制备方法及应用
JP2007197649A (ja) 多糖物質からなるスポンジ
CN107115555A (zh) 一种高效吸液止血的复合型敷料及其制备方法
US10137219B2 (en) Coherent blood coagulation structure of water-insoluble chitosan and water-dispersible starch coating
JP4044291B2 (ja) 水膨潤性高分子ゲルおよびその製造法
KR102627866B1 (ko) 소모성 의료용 소재 및 그 제조 방법
US8389498B2 (en) Spinning solu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iomaterial fibers
KR100459494B1 (ko) 상처 치료용 수화겔의 제조방법
CA2959946C (en) A coherent blood coagulation structure of water-insoluble chitosan and water-dispersible starch coating
Parikh et al. Carboxymethylated Cotton for Moist Wound Healing.
CN102691114B (zh) 纺丝原液及制造生医纤维方法
KR101971652B1 (ko) 자가 팽창형 고분자 매트릭스, 그 제조 방법 및 의학적 응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