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1023A -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1023A
KR20230121023A KR1020230101972A KR20230101972A KR20230121023A KR 20230121023 A KR20230121023 A KR 20230121023A KR 1020230101972 A KR1020230101972 A KR 1020230101972A KR 20230101972 A KR20230101972 A KR 20230101972A KR 20230121023 A KR20230121023 A KR 20230121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information
user terminal
closing device
door opening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1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슈프리마에이치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슈프리마에이치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슈프리마에이치큐
Priority to KR1020230101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1023A/ko
Publication of KR20230121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02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enabling tracking or indicating prese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2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key encryption 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는 도어 개폐 장치의 출입 관리 방법으로, 상기 도어 개폐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발신된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 개폐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간의 거리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도어 개폐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간의 거리가 제1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도어 개폐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간의 거리가 제1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도어 개폐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간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도어 개폐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간의 거리가 제2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도어 개폐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간의 거리가 제2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도어 개폐 장치가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개방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이나 특정 지역 등에 대한 출입을 관리하는 기술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에 미리 저장된 정보를 출입 관리 장치가 획득하여 도어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여 출입을 관리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종래에 카드 키 등으로 구현되었으나 최근에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관리에 있어서, 출입 관리 장치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도어 개방 여부의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데는 통신의 연결부터 데이터의 획득 후 판단까지 종래의 카드 키에 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사용자가 체감상으로 지연됨을 느끼는 불편함이 발생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미리 정해진 거리에서 미리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보다 근접한 거리에서 개방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의 도어 개방 요청 시 소요되는 시간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을 개선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는 도어 개폐 장치의 출입 관리 방법으로, 상기 도어 개폐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발신된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 개폐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간의 거리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도어 개폐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간의 거리가 제1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도어 개폐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간의 거리가 제1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도어 개폐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간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도어 개폐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간의 거리가 제2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도어 개폐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간의 거리가 제2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도어 개폐 장치가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개방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도어 개폐 장치로부터 발신된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 개폐 장치와의 거리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도어 개폐 장치와의 거리가 제1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도어 개폐 장치와의 거리가 제1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도어 개폐 장치 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도어 개폐 장치로 제1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도어 개폐 장치와의 거리가 제2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 개폐 장치와의 거리가 제2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도어 개폐 장치로 제2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도어의 개방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는 도어 개폐 장치로,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의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의 거리가 제1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 연결 및 제1 개방 정보의 획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간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에서 제2 거리로 변경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개방 인증 정보 및 상기 제2 개방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개방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는 도어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어 개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거리에서 미리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보다 근접한 거리에서 개방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의 도어 개방 요청 시 소요되는 시간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환경도이다.
도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환경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 영역 변경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며, 또한, 구성요소(element) 또는 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10000)을 나타내는 환경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10000)은 도어 개폐 장치(1000), 사용자 단말기(2000) 및 인증 서버(30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개방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유효성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도어 개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로 연결 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도어 개폐 장치(1000)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로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도어의 개방을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로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유효성을 판단 받고, 개방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도어의 개방을 요청할 수 있다.
인증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와 연결될 수 있다.
인증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가 도어 개폐 장치(1000)로 도어 개방을 요청하기 위하여 전송하는 개방 인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인증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 개방 인증 정보의 발급을 요청 받을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3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개방 인증 정보의 발급을 요청 받으면서 유효한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2000) 임을 판단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판단 결과 유효한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2000)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0)로 개방 인증 정보를 발급할 수 있다.
도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10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도어 통신부(1100), 도어 디스플레이부(1200), 도어 센서부(1300), 도어 구동부(1400), 도어 저장부(1500) 및 도어 제어부(16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통신부(11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어 통신부 (110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BLE(Bluetooth Low Energy) 및 알에프아이디(RFID) 등의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어 디스플레이부(1200)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어 디스플레이부(120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어 디스플레이부(1200)가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도어 디스플레이부(1200)는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한 입력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도어 센서부(1300)는 도어의 개방 상태에 대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도어 센서부(1300)는 도어의 상태에 대한 판단에 필요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1400)는 도어에 제공되는 문짝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구동부(1400)는 도어가 자동문으로 구현되는 경우 문짝의 개방 또는 폐쇄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어 저장부(1500)는 도어 제어부(1600)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및 도어 제어부(1600)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도어 제어부(16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단말기 통신부(2100), 단말기 디스플레이부(2200), 단말기 입력부(2300), 단말기 저장부(2400) 및 단말기 제어부(2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통신부(21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를 외부 전자기기와 연결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기 통신부(21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를 서버 장치(3000) 및 도어 개폐 장치(1000) 등의 외부 전자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통신부(2100)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부(2200)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부(2200)가 터치 스크린으로 제공되는 경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200)는 단말기 입력부(23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에 따라 별도의 단말기 입력부(2300)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으며, 볼륨 조절, 전원 버튼 및 홈 버튼 등 제한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 입력부(2300)가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 입력부(23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기 입력부(2300)는 예를 들어 키보드, 키 패드, 버튼, 조그셔틀 및 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은 예를 들어 버튼의 누름, 터치 및 드래그 등일 수 있다.
단말기 디스플레이부(220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2200)가 단말기 입력부(230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 저장부(240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기 저장부(240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RAM, ROM, SSD, SD CARD 및 광학 디스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 저장부(2400)는 사용자 단말기(20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2500)는 사용자 단말기(2000)의 동작을 총괄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서버(30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증 서버(3000)는 서버 통신부(3100), 서버 디스플레이부(3200), 서버 입력부(3300), 서버 저장부(3400) 및 서버 제어부(35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3100)는 서버 장치(3000)와 외부 전자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서버 통신부(3100)는 외부 전자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 통신부(3100)는 사용자 단말기(2000)와 필요에 따라 통신 연결을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서버 통신부(3100)는 실시 형태에 따라 상시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000)와 연결을 유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버 통신부(3100)는 유선 통신 방식 및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서버 디스플레이부(3200)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디스플레이부(3200)는 LCD, OLED, 아몰레드 디스플레이 등일 수 있다.
서버 입력부(33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입력부(3300)는 키패드, 키보드, 스위치, 버튼 및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저장부(340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저장부(34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버 저장부(3400)는 서버 장치(30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500)는 서버 장치(3000)의 동작을 총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버 장치(3000)가 반드시 상술한 구성을 모두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선택에 따라 일부 구성이 제외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장치(3000)가 직접적인 시각적 정보의 제공을 하지 않는 경우 서버 장치(3000)는 서버 디스플레이부(3200)가 제외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버 장치(3000)는 선택에 따라 추가적인 기능 및 동작 등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 부가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환경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환경은 도어 개폐 장치(1000)로부터 제1 거리 이내(D1)의 제1 영역(A1) 및 도어 개폐 장치(1000)로부터 제2 거리 이내(D2)의 제2 영역(A2)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거리(D1)은 제2 거리(D2)보다 상대적으로 먼 거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A2)은 제1 영역(A1)의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는 서로 분리된 공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1000)로부터 제2 거리(D2) 이내의 제2 영역(A2)이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영역(A2)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의 제1 영역(A1)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을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6 내지 8을 참조하여 도어 개폐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2000)가 제1 영역(A1) 외부로부터 제1 영역(A) 및 제2 영역(A2)로 이동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0),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가 제1 거리(D1)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5), 연결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110), 연결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15), 상호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S120), 제1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25),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가 제2 거리(D2)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0), 제2 개방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135), 제2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40),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5) 및 도어 개방을 수행하는 단계(S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00).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수신 신호 강도(RSSI)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가 발신한 advertise 패킷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 강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획득한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2000)가 발신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사용자 단말기(2000)가 발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가 발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가 발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가 10db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가 10m인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거리를 산출하는 방법은 후술할 제1 거리(D1) 및 제2 거리(D2)를 판단하는 데 사용되는 거리에 대한 정보의 획득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0)은 미리 정해진 주기, 데이터 송/수신 시, 등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제1 거리(D1) 및 제2 거리(D2)를 판단 시 거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상술한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0)가 선행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함에 있어서, 수신 신호 강도는 통신 연결 상황에 따라 상이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 개폐 장치(1000)와 사용자 단말기(2000)의 상호 통신 연결 이전에는 어느 한쪽이 발신한 advertise 패킷에 의해 수신 신호 강도가 획득될 수 있으며, 획득된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거리에 대한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도어 개폐 장치(1000)와 사용자 단말기(2000)의 상호 통신 연결이 유지되는 상태 에서는 상호간에 데이터의 송신 및/또는 수신 시의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거리 정보가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따르면 거리가 제1 거리(D1)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05).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획득한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가 제1 거리(D1) 이내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제1 거리(D1)가 15m 이고,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가 10m인경우 사용자 단말기(2000)가 제1 거리(D1)이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따르면 연결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1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가 제1거리(D1) 이내에 위치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0)로 연결 인증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연결 인증 정보는 도어 개폐 장치(1000)와 사용자 단말기(2000)가 통신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인증 정보는 통신 ID, 암호키 및 맥주소(mac address) 등과 같이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15).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로 연결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의 연결 인증 정보 전송 요청에 따라 도어 개폐 장치(1000)로 연결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2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1000)의 도어 통신부(1100) 및 사용자 단말기(2000)의 단말기 통신부(2100)는 서로 통신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의 도어 통신부(1100) 및 사용자 단말기(2000)의 단말기(2100)는 BLE 통신 모듈일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1000) 및 사용자 단말기(2000)의 상호 통신 연결은 BLE 통신 연결일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와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의 위치가 제1 영역(A1) 밖으로 이동하기 전까지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25)
개방 인증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2000)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2000)의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할 권한이 있는 유효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 인증 정보는 인증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정보는 도어 개방에 대한 권한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에게 부여된 식별정보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0)에 부여된 식별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 부여된 아이디, 모델명, 제조번호 및 통신 번호 등일 수 있다.
또한 패스워드는 일치 여부를 통하여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워드는 숫자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키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패스워드는 생체 정보일 수 있다.
개방 인증 정보는 제1 개방 인증 정보 및 제2 개방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방 인증 정보는 개방 인증 정보의 전체 데이터 패킷 중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또한 제2 개방 인증 정보는 개방 인증 정보 중 제1 개방 인증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 패킷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개방 인증 정보의 데이터 패킷의 크기는 제2 개방 인증 정보의 데이터 패킷의 크기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개방 인증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 패킷 및 제2 개방 인증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 패킷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선택에 따라 제1 개방 인증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 패킷 및 제2 개방 인증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 패킷 중 일부는 중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개방 인증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 패킷 및 제2 개방 인증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 패킷은 서로 적어도 일부가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개방 인증 정보가 제1 개방 인증 정보 및 제2 개방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개방 인증 정보 및 제2 개방 인증 정보는 보다 세부적으로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개방 인증 정보는 제1-1 개방 인증 정보 및 제1-2 개방 인증 정보로 세분화 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개방 인증 정보는 제2-1 개방 인증 정보 및 제2-2 개방 인증 정보로 세분화 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제1 개방 인증 정보는 개방 인증 정보를 암호화한 데이터일 수 있으며, 제2 개방 인증 정보는 제1 개방 인증 정보를 복호화하여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데 필요한 암호키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제1 개방 인증 정보를 도어 개폐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의 제1 개방 인증 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도어 개폐 장치(1000)로 제1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개방 인증 정보 및 제2 개방 인증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2000)기에 미리 서로 분리되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0)는 서로 분리되어 미리 저장된 제1 개방 인증 정보 및 제2 개방 인증 정보 중 제1 개방 인증 정보를 도어 개폐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개방 인증 정보 및 제2 개방 인증 정보는 개방 인증 정보로 사용자 단말기(2000)기에 통합되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0)는 개방 인증 정보 중 미리 정해진 데이터 패킷을 분리하여 제1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제1 개방 인증 정보를 도어 개폐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0)는 개방 인증 정보 중 미리 정해진 크기의 데이터 패킷을 분리하여 제1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제1 개방 인증 정보를 도어 개폐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리가 제2 거리(D2)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3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와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획득할 시의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획득한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가 제2 거리(D2) 이내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제2 거리(D2)이 1m 이고,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가 30cm인경우 사용자 단말기(2000)가 제2 거리(D2)이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개방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35).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가 제2거리(D2) 이내에 위치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0)로 개방 인증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4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로 제2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의 제2개방 인증 정보 전송 요청에 따라 도어 개폐 장치(1000)로 제2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8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와 제1 거리(D1)에서 획득한 제1 개방 인증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2000)와 제2 거리(D2)에서 획득한 제2 개방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제1 개방 인증 정보 및 제2 개방 인증 정보를 통합하여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제2 개방 인증 정보에 포함된 암호키로 제1 개방 인증 정보를 복호화하여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0)가 개방 인증 정보를 제1 거리(D1)에서 전체를 보내지 않고 제1 거리(D1)에서 개방 인증 정보의 일부를 도어 개폐 장치(1000)에 제공하고, 제2 거리(D2)에서 제1 개방 인증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개방 인증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유효 판단 전 일부 개방 인증 정보를 미리 전송하여 데이터를 전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방 인증 정보의 일부만을 전송하여 개방 인증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가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한 경우, 개방 인증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개방 인증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개방 인증 정보 자체에 대한 유효 여부에 대한 판단, 개방 인증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의 유효 여부 판단 및 개방 인증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 단말기(2000)의 유효 여부 판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도어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1000)는 개방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1000)는 개방 인증 정보에 포함된 인증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 정보에 도어를 개방할 권한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식별 정보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가 미리 등록된 사용자 식별 정보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 인증 정보에 포함된 패스워드가 미리 저장된 패스 워드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0)는 사용자 식별정보,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효 여부를 판단하고,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개방 권한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개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식별정보,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효 여부를 판단한 결과 유효한 경우 개방 인증 정보에 포함된 인증 정보를 더 고려하여 도어 개방을 제어할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 정보가 도어를 개방할 권한을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어 개방을 수행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방을 수행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9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 결과 유효한 경우 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 결과 유효하고, 도어를 개방할 권한이 있는 경우 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 결과 유효한 경우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도어 구동부를 통하여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예 따른 도어 개폐 방법은 도어 개폐 장치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00), 거리가 D1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10), 연결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15), 상호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S120), 제1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25), 거리가 D2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20), 제2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40),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80) 및 도어 개방을 수행하는 단계(S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 될 수 있다(S2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와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0)는 수신 신호 강도(RSSI)에 기초하여 도어 개폐 장치(1000)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가 발신한 advertise 패킷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 강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획득한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도어 개폐 장치(1000)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0)는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한 도어 개폐 장치(1000)가 발신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도어 개폐 장치(1000)가 발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가 발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도어 개폐 장치(1000)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가 발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가 10db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가 10m인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와의 거리가 제1 거리(D1)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210).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0)는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획득한 도어 개폐 장치(1000)와의 거리가 제1 거리(D1) 이내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000)는 제1 거리(D1)가 15m이고, 도어 개폐 장치(1000)의 거리가 10m인경우 도어 개폐 장치(1000)가 제1 거리(D1)이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15).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로 연결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의 연결 인증 정보 전송 요청에 따라 도어 개폐 장치(1000)로 연결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2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000)의 단말기 통신부(2100) 및 도어 개폐 장치(1000)의 도어 통신부(1100)는 서로 통신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의 단말기 통신부(2100) 및 도어 개폐 장치(1000)의 도어 통신부(1100)는 BLE 통신 모듈일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0) 및 도어 개폐 장치(1000)의 상호 통신 연결은 BLE 통신 연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와의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와의 거리가 제1 거리(D1)을 초과하기 전까지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25)
개방 인증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2000)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2000)의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할 권한이 있는 유효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 인증 정보는 인증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정보는 도어 개방에 대한 권한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에게 부여된 식별정보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0)에 부여된 식별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 부여된 아이디, 모델명, 제조번호 및 통신 번호 등일 수 있다.
또한 패스워드는 일치 여부를 통하여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워드는 숫자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키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패스워드는 생체 정보일 수 있다.
개방 인증 정보는 제1 개방 인증 정보 및 제2 개방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방 인증 정보는 개방 인증 정보의 전체 데이터 패킷 중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또한 제2 개방 인증 정보는 개방 인증 정보 중 제1 개방 인증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 패킷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개방 인증 정보의 데이터 패킷의 크기는 제2 개방 인증 정보의 데이터 패킷의 크기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개방 인증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 패킷 및 제2 개방 인증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 패킷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선택에 따라 제1 개방 인증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 패킷 및 제2 개방 인증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 패킷 중 일부는 중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개방 인증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 패킷 및 제2 개방 인증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 패킷은 서로 적어도 일부가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개방 인증 정보가 제1 개방 인증 정보 및 제2 개방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개방 인증 정보 및 제2 개방 인증 정보는 보다 세부적으로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개방 인증 정보는 제1-1 개방 인증 정보 및 제1-2 개방 인증 정보로 세분화 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개방 인증 정보는 제2-1 개방 인증 정보 및 제2-2 개방 인증 정보로 세분화 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제1 개방 인증 정보는 개방 인증 정보를 암호화한 데이터일 수 있으며, 제2 개방 인증 정보는 제1 개방 인증 정보를 복호화하여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데 필요한 암호키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제1 개방 인증 정보를 도어 개폐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의 제1 개방 인증 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도어 개폐 장치(1000)로 제1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개방 인증 정보 및 제2 개방 인증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2000)기에 미리 서로 분리되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0)는 서로 분리되어 미리 저장된 제1 개방 인증 정보 및 제2 개방 인증 정보 중 제1 개방 인증 정보를 도어 개폐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개방 인증 정보 및 제2 개방 인증 정보는 개방 인증 정보로 사용자 단말기(2000)기에 통합되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0)는 개방 인증 정보 중 미리 정해진 데이터 패킷을 분리하여 제1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제1 개방 인증 정보를 도어 개폐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0)는 개방 인증 정보 중 미리 정해진 크기의 데이터 패킷을 분리하여 제1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제1 개방 인증 정보를 도어 개폐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와의 거리가 제2 거리(D2)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22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와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도어 개폐 장치(1000)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획득할 시의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도어 개폐 장치(1000)와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0)는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획득한 도어 개폐 장치(1000)와의 거리가 제2 거리(D2) 이내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거리(D2)가 1m이고, 사용자 단말기(2000)와 도어 개폐 장치(1000)의 거리가 30cm인경우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가 제2 거리(D2)이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4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로 제2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의 제2개방 인증 정보 전송 요청에 따라 도어 개폐 장치(1000)로 제2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8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와 제1 거리(D1)에서 획득한 제1 개방 인증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2000)와 제2 거리(D2)에서 획득한 제2 개방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제1 개방 인증 정보 및 제2 개방 인증 정보를 통합하여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제2 개방 인증 정보에 포함된 암호키로 제1 개방 인증 정보를 복호화하여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가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한 경우, 개방 인증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개방 인증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개방 인증 정보 자체에 대한 유효 여부에 대한 판단, 개방 인증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의 유효 여부 판단 및 개방 인증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 단말기(2000)의 유효 여부 판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도어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1000)는 개방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1000)는 개방 인증 정보에 포함된 인증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 정보에 도어를 개방할 권한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식별 정보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가 미리 등록된 사용자 식별 정보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 인증 정보에 포함된 패스워드가 미리 저장된 패스 워드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르념 도어 개폐 장치(10000)는 사용자 식별정보,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효 여부를 판단하고,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개방 권한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개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식별정보,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효 여부를 판단한 결과 유효한 경우 개방 인증 정보에 포함된 인증 정보를 더 고려하여 도어 개방을 제어할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 정보가 도어를 개방할 권한을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어 개방을 수행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방을 수행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9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 결과 유효한 경우 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 결과 유효하고, 도어를 개방할 권한이 있는 경우 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 결과 유효한 경우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도어 구동부를 통하여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0), 거리가 D1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0), 연결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120), 연결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30), 상호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S140),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70),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80), 개방 대상으로 등록하는 단계(S300), 거리가 D2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50), 개방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310), 개방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20) 및 도어 개방을 수행하는 단계(S19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00).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수신 신호 강도(RSSI)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가 발신한 advertise 패킷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 강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획득한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2000)는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2000)가 발신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사용자 단말기(2000)가 발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가 발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2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가 발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가 10db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가 10m인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가 제1 거리(D1)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10).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획득한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가 제1 거리(D1) 이내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제1 거리(D1)가 15m이고,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가 10m인경우 사용자 단말기(2000)가 제1 거리(D1)이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2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가 제1거리(D1) 이내에 위치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0)로 연결 인증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연결 인증 정보는 도어 개폐 장치(1000)와 사용자 단말기(2000)가 통신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인증 정보는 통신 ID, 암호키 및 맥주소(mac address) 등과 같이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3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로 연결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의 연결 인증 정보 전송 요청에 따라 도어 개폐 장치(1000)로 연결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4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1000)의 도어 통신부(1100) 및 사용자 단말기(2000)의 단말기 통신부(2100)는 서로 통신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의 도어 통신부(1100) 및 사용자 단말기(2000)의 단말기(2100)는 BLE 통신 모듈일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1000) 및 사용자 단말기(2000)의 상호 통신 연결은 BLE 통신 연결일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와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의 위치가 제1 영역(A1) 밖으로 이동하기 전까지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따르면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7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로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의 개방 인증 정보 전송 요청에 따라 도어 개폐 장치(1000)로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로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와 통신이 연결된 경우 도어 개폐 장치(1000)로 개방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따르면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8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가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한 경우, 개방 인증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개방 인증 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개방 인증 정보 자체에 대한 유효 여부에 대한 판단, 개방 인증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의 유효 여부 판단 및 개방 인증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 단말기(2000)의 유효 여부 판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도어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1000)는 개방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1000)는 개방 인증 정보에 포함된 인증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 정보에 도어를 개방할 권한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식별 정보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가 미리 등록된 사용자 식별 정보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 인증 정보에 포함된 패스워드가 미리 저장된 패스 워드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 대상으로 등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3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가 유효 여부를 판단한 결과 유효한 경우 개방 대상으로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유효 여부를 판단한 결과 유효한 경우 개방 인증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개방 대상을 등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유효 여부를 판단한 결과 유효한 경우 미리 정해진 출입 대상 리스트에서 개방 인증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 식별 정보의 상태를 개방 대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0)와의 거리가 제2 거리(D2)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25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와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획득할 시의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수신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획득한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가 제2 거리(D2) 이내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제2 거리(D2)이 1m이고,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가 30cm인경우 사용자 단말기(2000)가 제2 거리(D2)이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31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의 요청에 의해 개방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와의 거리가 제2 거리(D2) 이내인 경우 도어 개폐 장치(1000)로 개방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개방 요청 정보는 도어 개폐 장치(1000)로 도어의 개방을 요청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320).
도어 개폐 장치(1000)는 개방 요청 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기(2000)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2000)의 사용자가 개방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1000)는 개방 요청 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기(2000)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2000)의 사용자가 개방 대상에 미리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1000)는 개방 요청 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기(2000)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2000)의 사용자가 앞서 개방 대상으로 등록하는 단계(S300)에 따라 개방 대상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방을 수행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90).
도어 개폐 장치(1000)는 판단 결과 개방 대상인 경우 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1000)는 판단 결과 개방 대상인 경우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도어 구동부를 통하여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 영역 변경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앞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거리(D1) 및 제2 거리(D2)는 가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수신 신호 세기를 이용한 거리 측정의 경우 전파 환경에 따라 동일한 신호 세기인 경우에도 대기 중의 습도 등과 같은 통신환경에 따라 거리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지역에서 수신 신호 세기를 이용한 거리 측정을 수행한 경우 10m의 거리에서 10db가 측정되었다면, B 지역에서 수신 신호 세기를 이용한 거리 측정을 수행한 경우에는 환경에 따라 10m 거리에서 8db가 측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 환경에 따라서 같은 신호 세기인 경우에도 실제 거리가 상이하게 나타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통신 환경은 다양한 변수에 의해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초기에 설정한 신호 세기에 기초한 거리 산정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에 10m의 거리에서 10db가 측정되어 제1 거리(D1)을 10m로 설정하기 위하여 제1 거리(D1)의 기준을 10db로 설정한 경우 환경에 따라 실제 동작에서 제1 거리(D1)이 8m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어 개폐 장치(1000)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2000)의 통신 연결을 수행할 지 여부 및 개방 인증 정보를 보내는 영역의 기준이 되는 수신 신호 세기가 가변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초기 설정된 제2 거리(D2) 내에서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개방 인증 정보 및/또는 개방 요청 정보를 획득한 수신 신호 세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개방 인증 정보 요청을 획득한 수신 신호 세기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가 제2 거리(D2) 이내인 것으로 판단한 당시에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저장된 수신 신호 세기 중 최대 수신 신호 세를 획득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최대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제2 영역(A2)의 기준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는 최대 수신 신호 세기에서 미리 정해진 신호 세기만큼 이격된 수신 신호 세기를 제2 영역(A2)의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시점에서 획득한 제1 최대 수신 신호 세기(max0)가 -50db인 경우,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제2 영역(A2)의 기준을 제1 수신 신호 세기(th1)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제2 시점에서 획득한 제2 최대 수신 신호 세기(max1)가 -52db인 경우, 제2 영역(A2)의 기준을 제2 수신 신호 세기(th2)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어 개폐 장치(1000)가 개방 인증 정보 및/또는 개방 요청 정보를 획득한 수신 신호 세기를 저장하고, 저장된 수신 신호 세기 중 최대 수신 신호 세를 획득하여 저장된 수신 신호 세기 중 최대 수신 신호 세기를 획득하고, 획득한 최대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제2 영역(A2)의 기준을 변경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0)가 제2 영역(A2)의 기준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초기 설정된 제2 거리(D2) 내에서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개방 인증 정보 요청을 획득한 수신 신호 세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와의 거리가 제2 거리(D2) 이내 인것으로 판단된 당시의 도어 개폐 장치(1000)으로부터 획득한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0)는 초기 설정된 제2 거리(D2) 내에서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개방 인증 정보 요청을 획득한 수신 신호 세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0)는 저장된 수신 신호 세기 중 최대 수신 신호 세기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0)는 최대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제2 영역(A2)의 기준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00 출입 관리 시스템 1000 도어 개폐 장치
2000 사용자 단말기 3000 인증 서버

Claims (21)

  1. 도어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는 도어 개폐 장치에 개방인증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출입 관리 방법으로,
    상기 도어 개폐 장치로부터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한 이후 상기 도어 개폐 장치에서 상기 개방인증정보를 기초로 상기 도어를 개방할지 여부가 결정되도록, 상기 도어 개폐 장치에게 상기 개방인증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 인증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에게 상기 도어를 개방할 권한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인증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정보는 암호화되고,
    상기 개방 인증 정보는 상기 암호화된 인증 정보를 복호화 하기위한 암호키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출입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장치에게 상기 개방인증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 개폐 장치로부터 수신한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도어 개폐 장치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도어 개폐 장치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 이내인 것으로 확인된 이후, 상기 도어 개폐 장치에게 상기 개방인증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출입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인증 정보는 제1 개방 인증 정보 및 제2 개방 인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방 인증 정보는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방 인증 정보는 암호화되고
    상기 제2 개방 인증 정보는 상기 암호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개방 인증 정보는 상기 도어 개폐 장치에서 상기 제1 개방 인증 정보를 복호화화는데 이용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출입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방 인증 정보 및 상기 제2 개방 인증 정보는 상기 개방 인증 정보의 일부이고 서로 상이한,
    사용자 단말기의 출입 관리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도어 개폐 장치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 이내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도어 개폐 장치 간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출입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도어 개폐 장치 간의 통신 연결은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및 BLE 통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출입 관리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방 인증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출입 관리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장치로부터 제2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도어 개폐 장치 사이의 거리가 제2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출입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보다 짧은 거리인,
    사용자 단말기의 출입 관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도어 개폐 장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제1 개방 인증 정보를 상기 도어 개폐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도어 개폐 장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제2 개방 인증 정보를 상기 도어 개폐 장치에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출입 관리 방법.
  1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는 도어 개폐 장치의 출입 관리 방법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전송한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개방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도어를 개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 인증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에게 상기 도어를 개방할 권한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인증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정보는 암호화되고,
    상기 개방 인증 정보는 상기 암호화된 인증 정보를 복호화 하기위한 암호키를 포함하는,
    도어 개폐 장치의 출입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전송한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도어 개폐 장치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 이내인 것으로 확인된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도어 개폐 장치의 출입 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인증 정보는 제1 개방 인증 정보 및 제2 개방 인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방 인증 정보는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방 인증 정보는 암호화되고
    상기 제2 개방 인증 정보는 상기 암호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개방 인증 정보는 상기 제1 개방 인증 정보를 복호화화는데 이용되는,
    도어 개폐 장치의 출입 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방 인증 정보 및 상기 제2 개방 인증 정보는 상기 개방 인증 정보의 일부이고 서로 상이한,
    도어 개폐 장치의 출입 관리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도어 개폐 장치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 이내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도어 개폐 장치 간의 통신 연결이 수행되는,
    도어 개폐 장치의 출입 관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도어 개폐 장치 간의 통신 연결은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및 BLE 통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는,
    도어 개폐 장치의 출입 관리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방 인증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도어 개폐 장치의 출입 관리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도어 개폐 장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 이내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개방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도어 개폐 장치의 출입 관리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2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제2 신호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도어 개폐 장치 사이의 거리가 제2 거리 이내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개방 신호를 획득하는,
    도어 개폐 장치의 출입 관리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보다 짧은 거리인,
    도어 개폐 장치의 출입 관리 방법.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30101972A 2018-08-08 2023-08-04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KR202301210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1972A KR20230121023A (ko) 2018-08-08 2023-08-04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591A KR102323002B1 (ko) 2018-08-08 2018-08-08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KR1020210140582A KR102565199B1 (ko) 2018-08-08 2021-10-20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KR1020230101972A KR20230121023A (ko) 2018-08-08 2023-08-04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582A Division KR102565199B1 (ko) 2018-08-08 2021-10-20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023A true KR20230121023A (ko) 2023-08-17

Family

ID=6940665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591A KR102323002B1 (ko) 2018-08-08 2018-08-08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KR1020210140582A KR102565199B1 (ko) 2018-08-08 2021-10-20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KR1020230101972A KR20230121023A (ko) 2018-08-08 2023-08-04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591A KR102323002B1 (ko) 2018-08-08 2018-08-08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KR1020210140582A KR102565199B1 (ko) 2018-08-08 2021-10-20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10878649B2 (ko)
EP (1) EP3825500A4 (ko)
JP (2) JP7198345B2 (ko)
KR (3) KR102323002B1 (ko)
WO (1) WO20200326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78417B2 (en) 2007-09-27 2020-09-15 Clevx, Llc Self-encrypting module with embedded wireless user authentication
US10181055B2 (en) 2007-09-27 2019-01-15 Clevx, Llc Data security system with encryption
US11190936B2 (en) 2007-09-27 2021-11-30 Clevx, Llc Wireless authentication system
KR102323002B1 (ko) 2018-08-08 2021-11-09 주식회사 슈프리마에이치큐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WO2020039382A1 (en) * 2018-08-23 2020-02-27 Mrinq Technologies Llp A system and scanning device for granting user access using a bluetooth low energy (ble) mesh
KR102180615B1 (ko) * 2019-08-06 2020-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탑승자의 안전한 하차를 위한 차량의 도어 개폐 방법
KR102551422B1 (ko) * 2020-06-18 2023-07-05 시스텍전자(주) 오동작 방지 도어 장치
US11952011B2 (en) * 2021-03-08 2024-04-0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Devices and methods for digitally combining multiple access keys and locations
US20230376721A1 (en) * 2022-05-19 2023-11-23 Oloid Inc. Touchless identity card emulator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6415A (en) 1972-09-13 1974-07-30 Steel Corp Apparatus for preventing strip accumulation
US7446644B2 (en) * 2005-01-14 2008-11-04 Secureall Corporation Universal hands free key and lock system
JP2006304141A (ja) * 2005-04-25 2006-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通信システムと、そのプログラム
JP2008014001A (ja) 2006-07-05 2008-01-24 Omron Corp ゲートシステム
US9057210B2 (en) * 2011-03-17 2015-06-16 Unikey Technologies, Inc. Wireless access control system and related methods
EP3637376B1 (en) * 2012-08-16 2021-10-27 Schlage Lock Company LLC Wireless reader system
US8826415B2 (en) * 2012-09-04 2014-09-02 Apple Inc. Automated device access
JP2015183455A (ja) * 2014-03-25 2015-10-22 美和ロック株式会社 建物におけるドアロック解除システム
US9704317B2 (en) * 2014-09-23 2017-07-11 Schlage Lock Company Llc Long range wireless credentials for entryway
KR101652181B1 (ko) 2014-12-10 2016-08-30 승 열 권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공동 현관 출입문 개폐 시스템 및 그 방법
US9805534B2 (en) * 2014-12-23 2017-10-31 Gate Labs Inc. Increased security electronic lock
US10074224B2 (en) 2015-04-20 2018-09-11 Gate Labs Inc. Access management system
KR101692993B1 (ko) 2015-05-06 2017-01-12 (주)아이엘비에스 스마트 도어락
JP6657621B2 (ja) * 2015-06-02 2020-03-04 ソニー株式会社 鍵駆動装置
JP2017014736A (ja) * 2015-06-29 2017-01-19 株式会社フォトシンス 電子錠に対する開錠信号の送信方法及び送信装置
US9805533B2 (en) * 2015-11-23 2017-10-31 Suprema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oor access using beacon signal
KR101873929B1 (ko) * 2016-02-25 2018-07-03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6811428B2 (ja) * 2016-11-30 2021-01-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錠システム及び電気錠装置
KR102323002B1 (ko) * 2018-08-08 2021-11-09 주식회사 슈프리마에이치큐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32604A1 (ko) 2020-02-13
US20220139141A1 (en) 2022-05-05
EP3825500A4 (en) 2022-04-27
KR20210129021A (ko) 2021-10-27
US20210142605A1 (en) 2021-05-13
US10878649B2 (en) 2020-12-29
KR102323002B1 (ko) 2021-11-09
KR20200017241A (ko) 2020-02-18
KR102565199B1 (ko) 2023-08-10
US11663869B2 (en) 2023-05-30
US11232665B2 (en) 2022-01-25
US20200051351A1 (en) 2020-02-13
JP7198345B2 (ja) 2022-12-28
US20230282051A1 (en) 2023-09-07
JP2021533297A (ja) 2021-12-02
EP3825500A1 (en) 2021-05-26
JP2023036738A (ja) 202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5199B1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US10730481B2 (en) Remote control of vehicle functionalities by means of a mobile terminal
EP3975142A1 (en) Smart lock unlock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CN103661245A (zh) 一种车辆控制方法、检测装置及设备
CN108901020B (zh) 网络接入的方法、移动终端及服务器
CN114342418A (zh) 作为访问交通工具的钥匙的基于超高频低能量的电话的多路复用天线电路网络
KR101518929B1 (ko) 텔레매틱스 원격 제어 차량의 외부 해킹 차단 방법 및 시스템
US11888852B2 (en) Access management system and access management method
CN105644501A (zh) 远程操控汽车的方法、装置及终端
US11727741B2 (en) Read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ader
US11861946B2 (en) Locking system with a lock operable in different modes for allowing access using a sharable digital key
US20230087699A1 (en) Communication device, terminal device, and data structure of wireless signal
JP2021147984A (ja)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US10424193B1 (en) Locking mechanisms for enabling or disabling the operations of trainable transceivers
CN116321077A (zh) 一种车辆信息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551075B1 (ko) 차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1275A (ko)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473189B1 (ko) 출입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장치
EP4064740A1 (en) Method of proximity detection between two devices
CN107451462B (zh) 应用分身操作方法及相关产品
US12003958B2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by using accessory, and electronic device operating method
JP2020201856A (ja)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JP2024065460A (ja)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5426650A (zh) 一种车辆控制方法、系统、介质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