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956A - Baby carrier for infant car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aby carrier for infant car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956A
KR20230120956A KR1020220049378A KR20220049378A KR20230120956A KR 20230120956 A KR20230120956 A KR 20230120956A KR 1020220049378 A KR1020220049378 A KR 1020220049378A KR 20220049378 A KR20220049378 A KR 20220049378A KR 20230120956 A KR20230120956 A KR 20230120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shoulder
baby carrier
backrest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93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06524B1 (en
Inventor
정금숙
Original Assignee
(주)아인엘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인엘앤디 filed Critical (주)아인엘앤디
Publication of KR20230120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9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5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8Hooks or loops provided with means to reinforce the attachment, e.g. by adhesi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5/00Fastening by use of touch and clos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 보육용 아기띠 및 이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의 후방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접혀지면서 유아의 전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전면부; 일단은 상기 등받이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면부에 연결되는 어깨고정부; 및 상기 전면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후방에 고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유아를 등받이부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허리고정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등받이부와 전방부가 유아의 후방과 전방을 감싸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허리고정부에 의해 유아가 고정되도록 하고, 어깨고정부에 의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아기띠에 유아를 먼저 고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carrier for childcar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a backrest configured to cover the rear of the infant; a front portion extending from the backrest portion to a lower portion and being folded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to c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infant; a shoulder fixing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backrest pa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ront part; and a waist fixing part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front part and be fixed to the back of the back part to fix the infant to the back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back and front parts are configured to cover the back and front of the infant, the waist fixing part fixes the infant, and the shoulder fixing part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wear it, so that the infant can be worn in a baby carrier. First,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wear it in a fixed state, and has an effect of being configured to enable stable use.

Description

유아 보육용 아기띠 및 이의 사용방법{BABY CARRIER FOR INFANT CAR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Baby carrier for infant care and how to use it {BABY CARRIER FOR INFANT CAR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아 보육용 아기띠 및 이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carrier for childcar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더욱 상세하게는, 등받이부와 전방부가 유아의 후방과 전방을 감싸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허리고정부에 의해 유아가 고정되도록 하고, 어깨고정부에 의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아기띠에 유아를 먼저 고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아 보육용 아기띠 및 이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in a state where the backrest and the front part are configured to cover the back and front of the infant, the waist fixing part fixes the infant, and the shoulder fixing part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wear it, so that the infant is secured to the baby carrier. First, it relates to a baby carrier for infant car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which is configured to be worn by a user in a fixed state and enables stable use.

일반적으로 유아용 포대기는 유아를 돌볼 때 사용자로 하여금 행동의 제약을 덜 받으면서 유아에게는 안락감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신체에 유아를 밀착시키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baby swaddles are intended to provide a sense of comfort to infants while allowing users to receive less restrictions on their behavior when caring for infants, and are configured to adhere infants to the user's body.

포대기는 유아와 사용자의 몸을 동시에 감싸줄 수 있는 크기의 덮개 및 덮개의 양측으로 연결되어 결속력을 제공하는 결속끈으로 구성된다.The swaddle consists of a cover of a size that can wrap the body of the infant and the user at the same time, and a binding strap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over to provide a binding force.

이러한 포대기는 사용자가 유아를 등에 업은 상태에서, 포대기의 덮개로 유아의 몸을 감싸며, 결속끈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허리와 유아의 엉덩이 부위를 감싸면서 매듭을 만들어 사용한다.Such swaddling is used by making a knot while wrapping the user's waist and the infant's buttocks using a binding string while the user is carrying the infant on the back, wrapping the infant's body with the cover of the swaddling bag, and using a binding string.

포대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유아의 체중이 대부분 보호자의 허리에 집중되므로 허리 부위에 쉽게 피로를 느껴통증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고, 결속끈에 압박된 유아의 몸과 다리 부분은 혈액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아기의 성장 발육에 악영향을 끼쳤다.In using a swaddle, since most of the infant's weight is concentrated on the guardian's wais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aist area easily gets tired and causes pain, and the infant's body and legs compressed by the binding strap do not have good blood circulation. This adversely affects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baby.

전술한 포대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사용자의 앞쪽으로 유아를 안은 상태에서 어깨에 걸칠 수 있는 띠 형상으로 구성된 아기띠가 사용되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swaddling, conventionally, a baby carrier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elt that can be worn over the user's shoulder while holding the infant in front has been used.

하지만 이러한 아기띠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유아를 등에 업은 상태에서 착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유아를 업고 아기띠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자세가 불안정한 문제가 있었다.However, even in the case of such a baby carrier, since it is generally configured to be worn with the user carrying the infant on the back, there is an unstable posture when the user does not wear the baby carrier with the infant on the back.

이와 관련된 기술 중 하나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6-0003634에는 아기띠가 개시되어 있다.As one of the technologies related to this,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6-0003634 discloses a baby carrier.

이러한 상기 종래의 아기띠는, 상측으로부터 양갈래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어깨끈 및 어깨끈의 중간부분에 결합되어 한 쌍의 어깨끈이 분리 가능하게 결속되도록 하는 고정끈을 갖고 양측에는 한 쌍의 어깨끈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편이 돌출 형성된 본체와, 상단부는 본체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부가 서로 체결되는 벨트끈이 결합된 벨트와, 벨트의 전면 중간부분에 배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힙시트와, 일단부가 벨트 또는 힙시트 내에 결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접철된 상태로 수용되거나 상기 수용공간 외부로 인출 및 전개되는 방수커버를 포함하는 아기띠가 제공되어, 우천이나 강풍 시 아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uch a conventional baby carrier has a pair of shoulder straps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from the upper side and a fixing strap coupl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shoulder strap to detachably bind the pair of shoulder straps, and a pair of shoulder straps on both sides. A main body in which a pair of connection piece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trap are protruded, an upper e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and a belt in which both ends are fastened together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and a belt combined with a belt disposed in the front middle part of the belt and inside A baby carrier including a hip seat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a waterproof cover that has one end coupled to a belt or hip seat and the remaining part accommodated in a folded state within the accommodation space or drawn out and deployed outside the accommodation space,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rotect the baby in case of rain or strong wind.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유아를 등에 업은 상태에서 본체로 유아의 등을 감싼 후 어깨끈과 벨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므로, 양 손을 이용하여 아기띠를 사용해야 하는 특성상, 사용자의 등에 업힌 유아가 위험한 문제가 있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the prior art, since the user wraps the infant's back with the main body while the infant is on his/her back, and then fixes it using a shoulder strap and a belt, due to the nature of the baby carrier having to be used with both hands, , there was a problem in which an infant riding on a user's back was dangerou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327976 호(2003.09.16.)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327976 (2003.09.1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217995 호(2001.01.12.)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217995 (2001.01.12.)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등받이부와 전방부가 유아의 후방과 전방을 감싸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허리고정부에 의해 유아가 고정되도록 하고, 어깨고정부에 의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아기띠에 유아를 먼저 고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아 보육용 아기띠 및 이의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x the infant by the waist fixing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part and the front part are configured to cover the rear and front parts of the infant, By being configured to be worn by the user by the shoulder fixing part, it is configured to be worn by the user in a state where the infant is first fixed to the baby carrier and to provide a baby carrier for infant car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to enable stable use there is.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육용 아기띠에는, 유아의 후방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접혀지면서 유아의 전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전면부; 일단은 상기 등받이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면부에 연결되는 어깨고정부; 및 상기 전면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후방에 고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유아를 등받이부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허리고정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baby carrier for childc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ckrest portion configured to cover the rear of an infant; a front portion extending from the backrest portion to a lower portion and being folded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to c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infant; a shoulder fixing pa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backrest pa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ront part; and a waist fixing part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front part and be fixed to the back of the back part to fix the infant to the back part.

또한 상기 어깨고정부에는, 일단이 상기 등받이부의 일 측 상부에 연결되는 제1어깨걸이밴드; 상기 제1어깨걸이밴드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1조절부재; 일단은 상기 전면부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제1조절부재에 결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조절밴드; 일단이 상기 등받이부의 타 측 상부에 연결되는 제2어깨걸이밴드; 상기 제2어깨걸이밴드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2조절부재; 및 일단은 상기 전면부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제2조절부재에 결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조절밴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houlder fixing part includes a first shoulder b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n upper part of one side of the backrest part; a first adjusting member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shoulder strap; a first adjusting b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ront part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first adjusting member to be able to adjust the length; a second shoulder b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backrest; a second adjusting member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houlder strap; and a second adjusting b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ront part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econd adjusting member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length.

또한 상기 어깨고정부에는, 상기 제1조절부재에 설치되는 암버클부재; 및 상기 암버클부재에 대응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제2조절부재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암버클부재와 상호 결합 및 탈거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수버클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houlder fixing portion, the arm buckle member installed on the first adjusting member;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le buckle member configured to be mutually coupled to and detachable from the female buckle member by being installed on the second adjusting member made of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female buckle member.

또한, 상기 제1어깨걸이밴드 및 제2어깨걸이밴드는 적어도 상기 제1조절밴드 및 제2조절밴드보다 넓은 면적으로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shoulder band and the second shoulder band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configur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at least the first adjustment band and the second adjustment band.

또한, 상기 등받이부에는 후면에 설치되는 제1암벨크로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허리고정부에는 상기 제1암벨크로부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허리고정부의 말단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1암벨크로부재와 상호 결합 및 탈거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수벨크로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ckrest portion includes a first arm Velcro member installed on the rear side, and the waist fixing portion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m Velcro member and is installed at an end of the waist fixing portion, thereby providing the first arm Velcro me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male Velcro member configured to be mutually coupled and detachable from the member is included.

또한, 상기 등받이부와 전면부의 사이는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착용 시 유아의 다리가 빠져나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ckrest portion and the front portion are formed concave inw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ant's legs come out when worn.

또한, 등받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아의 둔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서포트스트랩이 더 포함되며, 상기 서포트스트랩에는, 일 측에 설치되는 제2암벨크로부재; 및 상기 제2암벨크로부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타 측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2암벨크로부재와 상호 결합 및 탈거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수벨크로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upport strap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backrest and configured to cover the buttocks of the infant is further included, and the support strap includes a second arm Velcro member installed on one side; and a second male Velcro member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emale Velcro member and installed on the other side so as to be mutually coupled with and detachable from the second female Velcro member.

한편,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육용 아기띠의 사용방법에는, 등받이부에 유아가 배치되는 배치단계; 전면부를 하부에서 상부로 접으면서 유아의 전면을 덮는 덮기단계;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 남는 부분을 상기 전면부의 내부로 집어넣으면서 상기 전면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허리고정부를 상기 등받이부의 후방으로 돌려 고정시키는 허리고정단계; 어깨고정부를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하고 암버클부재와 수버클부재를 결합시키는 착용단계; 상기 어깨고정부의 제1조절부재 및 제2조절부재에 결합된 제1조절밴드 및 제2조절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단계; 및 서포트스트랩이 유아의 둔부를 감싸도록 하여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시키는 고정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method of using the baby carrier for childc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arrangement step of placing the infant in the backrest; A covering step of covering the front of the infant while folding the front part from the bottom to the top; A waist fixing step of rotating and fixing a waist fixing part protruding from the front part to the rear of the back part while inserting the remaining parts of both sides of the back part into the inside of the front part; A wearing step of wearing the shoulder fixing part on the user's shoulder and combining the female buckle member and the male buckle member; an adjusting step of adjusting the lengths of the first adjusting band and the second adjusting band coupled to the first adjusting member and the second adjusting member of the shoulder fixing unit; And a fixing step of fixing the support strap to the waist of the user by wrapping the buttocks of the infant.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육용 아기띠 및 이의 사용방법에 의하면, 등받이부와 전방부가 유아의 후방과 전방을 감싸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허리고정부에 의해 유아가 고정되도록 하고, 어깨고정부에 의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아기띠에 유아를 먼저 고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baby carrier for infant care and the method of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ant is fixed by the waist fixing part in a state where the backrest part and the front part are configured to cover the back and front of the infant, and the shoulder fixing part allows the user to By being configured to be wearable, it is configured to be worn by the user in a state in which the infant is first fixed to the baby carrier, and thus has an effect configured to enable stable us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아기띠의 착용 시, 아기의 배 부분과 사용자의 등 또는 배 부분의 사이에 전방부가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직접적인 접촉이 차단됨으로써, 신생아 때 주로 발생되는 태열 및 피부 접촉에 의한 피부병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aby carrier is worn, the front part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between the baby's stomach and the user's back or stomach to block direct contact, so that skin diseases caused by febrile fever and skin contact mainly occur in newborns. There is an effect configured to preven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등받이부에 연결되어 제1어깨걸이밴드 및 제2어깨걸이밴드와 전방부에 연결되는 제1조절밴드 및 제2조절밴드가 제1조절부재 및 제2조절부재에 의해 연결되되, 제1조절밴드 및 제2조절밴드가 제1조절부재 및 제2조절부재에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제1조절밴드 및 제2조절밴드의 길이 조절만을 이용하여 아기띠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adjustment bands connected to the backrest and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houlder bands and the front are conn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adjustment members. However, since the first adjusting band and the second adjusting band are connected to the first adjusting member and the second adjusting member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length, the baby carrier is adjusted to the user's body shape by using only the length adjustment of the first adjusting band and the second adjusting band. It has the effect of being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adjus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need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조절부재에 설치되는 암버클부재와 제2조절부재에 설치되되 암버클부재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수버클부재에 의해 아기띠의 착용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emale buckle member installed on the first adjusting member and the male buckle member installed on the second adjusting member and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female buckle member have the effect of being configured so that the baby carrier can be worn easily. there i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어깨에 걸쳐지도록 구성되는 제1어깨걸이밴드 및 제2어깨걸이밴드가 제1조절밴드 및 제2조절밴드보다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어깨에 걸쳐졌을 때 비교적 넓은 범위에 유아의 체중이 가해지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발생되는 피로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houlder strap and the second shoulder strap configured to span the user's shoulder have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control band and the second control band, so that when the shoulder strap is worn on the user's shoulder, the area is relatively large.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infant's weight is applied in a wide range, and thus has an effect of reducing fatigue generated in the user's shoulde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등받이부의 후면에 제1암벨크로부재가 설치되고 허리고정부의 말단에 제1암벨크로부재에 대응되는 제1수벨크로부재가 설치됨으로써, 유아를 등받이부와 전방부의 사이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emale Velcro member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backrest and the first male Velcro memb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female Velcro member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waist fixing portion, thereby allowing the infant to be placed between the backrest and the front portion. It has the effect of being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easily fix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등받이부와 전방부의 사이가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착용 시 유아의 다리가 빠져나오도록 구성됨으로써, 장시간 착용 시 유아의 다리 관절에 무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 between the backrest portion and the front portion is concave inwardly so that the infant's legs come out when worn, thereby preventing strain on the infant's leg joints when worn for a long time. there i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양 측에 각각 제2암벨크로부재 및 제2수벨크로부재가 설치되는 서포트스트랩이 등받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추가적으로 유아의 둔부를 감싸면서 지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아기띠를 이용하여 돌보게 되는 유아를 비교적 더욱 안정적으로 돌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strap having a second female Velcro member and a second male Velcro member installed on both sides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backrest and is configured to additionally surround and support the buttocks of the infant, using a baby carrier.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take care of the infant to be cared for relatively more stably.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육용 아기띠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육용 아기띠의 서포트스트랩을 나타내는 도면.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육용 아기띠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육용 아기띠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육용 아기띠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육용 아기띠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1a and 1b are views showing a baby carrier for childc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upport strap of a baby carrier for infant c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baby carrier for infant c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using a baby carrier for infant c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baby carrier for childc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baby carrier for childc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process,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processe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do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uses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unless there is another definition in the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they have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nd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obscure are omitted. The drawing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drawings presented below. Also,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like elements in the drawings are indicated by like numerals wherever possible.

본 발명은 등받이부와 전방부가 유아의 후방과 전방을 감싸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허리고정부에 의해 유아가 고정되도록 하고, 어깨고정부에 의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아기띠에 유아를 먼저 고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아 보육용 아기띠 및 이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ixes the infant to the baby carrier first by fixing the infant by the waist fixing part and wearing it by the user by the shoulder fixing part in a state where the backrest and the front part are configured to cover the back and front of the infant. It relates to a baby carrier for infant car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which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wear it in an ordered state and enables stable u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육용 아기띠 및 이의 사용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baby carrier for childc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육용 아기띠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육용 아기띠의 서포트스트랩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육용 아기띠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A and 1B are views showing a baby carrier for childc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upport strap of the baby carrier for infant c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baby carrier for infant c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baby carrier.

첨부된 도 1a 내지 도 3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유아 보육용 아기띠에는, 등받이부(100), 전방부(200), 어깨고정부(300) 및 허리고정부(400)가 포함된다.According to the attached FIGS. 1A to 3 , the baby carrier for childc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ckrest part 100, a front part 200, a shoulder fixing part 300, and a waist fixing part 400.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육용 아기띠는 유아를 돌볼 때 사용자로 하여금 행동의 제약을 덜 받으면서 유아에게는 안락감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유아를 업기 전에 먼저 본 발명의 유아 보육용 아기띠에 유아를 고정한 이후에 사용자가 본 발명의 유아 보육용 아기띠를 착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The baby carrier for infant c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give a sense of comfort to the infant while the user is less restricted in their actions when taking care of the infant. After fixing the infant, the user is configured to wear the baby carrier for childcare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육용 아기띠는, 기존의 아기띠 사용 시 사용자가 유아를 업은 상태에서 양손을 이용하여 아기띠를 착용해야 함에 따라, 등에 위치한 유아에게서 손을 떼야 하는 시간 동안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baby carrier for infant c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an existing baby carrier, the user has to use both hands to wear the baby carrier while carrying the infant, so there is no safety accident during the time to take the hands off the infant located on the back. is configured to prevent problems that may occur.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의 유아 보육용 아기띠는 3D 에어 메쉬 충전재와 수분 흡수율이 높은 텐셀모달원단을 결합한 기능성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효과적으로 유아의 체온을 유지할 수 있고 태열을 예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baby carrier for infant nurseri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functional material combining a 3D air mesh filler and Tencel Modal fabric with high moisture absorption, so that it can effectively maintain an infant's body temperature and prevent fetal fever.

이러한 본 발명의 유아 보육용 아기띠의 소재는 실시 환경에 따라, 유아의 체온을 유지할 수 있고 태열 예방에 효과적이라면 얼마든지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baby carrier for childc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applied as long as it can maintain the body temperature of the infant and is effective in preventing fetal fever,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environment.

상기 등받이부(100)는 유아의 후방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이다.The backrest part 100 is configured to cover the back of the infant.

이러한 본 발명의 등받이부(100)는 유아의 후방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이므로, 보온을 유지할 수 있는 일정 수준 이상의 두께 및 넓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유아의 후방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이므로 적어도 후술되는 전방부(200)보다 높은 높이로 구성됨으로써, 유아의 머리까지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되어 유아의 머리를 받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ince the backrest portio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over the rear of the infant, it may be configured with a thickness and width of a certain level or more capable of maintaining warmth, and since it is configured to cover the rear of the infant, at least the front side described later By being configured to a height higher than the portion 200, it is configured to be wrapped up to the infant's head can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infant's head.

아울러, 상기 등받이부(100)는 후술되는 허리고정부(400)에 의해 전방부(200)를 고정시키게 될 때, 상기 등받이부(100)의 측면이 아이의 측면을 감싸면서 상기 전방부(20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양 측에 유아를 감싸기 충분한 여유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ront part 200 of the backrest part 100 is fixed by the waist fixing part 400 described later, the side surface of the backrest part 100 surrounds the side surface of the child and the front part 200 ) Since it should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it may be configured to form enough free space to wrap the infant on both sides.

상기 등받이부(100)와 전방부(200)의 사이는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착용 시 유아의 다리가 빠져나오도록 구성될 수 있다.A space between the backrest portion 100 and the front portion 200 may be concave inward so that the child's legs come out when worn.

이러한 상기 등받이부(100)와 전방부(200) 사이의 오목한 형상은 아기띠에서 유아의 다리를 빼기 위해 일반적으로 채용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concave shape between the backrest part 100 and the front part 200 is generally adopted to remove a baby's legs from a baby carrie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전방부(200)는 상기 등받이부(100)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접혀지면서 유아의 전방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이다.The front portion 200 extends downward from the backrest portion 100 and is fold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to cover the front of the infant.

이러한 상기 전방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아의 전방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유아와 사용자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시켜 열교환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신생아 때 주로 발생되는 태열 및 피부 접촉에 의한 피부병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ront part 200 is configured to cover the front of the infant and block direct contact between the infant and the user to minimize heat exchange, thereby preventing skin diseases caused by febrile fever and skin contact that occur mainly in newborns. can be configured to prevent

그리고 본 발명의 유아 보육용 아기띠 착용 시 유아의 안면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호흡에 문제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착용 시 적어도 상기 등받이부(100)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유아의 안면은 감싸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breathing problems by being configured to cover the infant's face when wearing a baby carrier for infant nurs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formed at least at a height lower than the backrest portion 100 so as not to wrap the infant's face when worn. can be configured.

상기 어깨고정부(300)는 일단은 상기 등받이부(1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방부(200)에 연결되는 것이다.The shoulder fixing part 30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backrest part 10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ront part 200.

이러한 상기 어깨고정부(300)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유아 보육용 아기띠를 착용할 때 사용자의 어깨에 걸침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등받이부(100) 및 전방부(200)가 사용자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houlder fixing part 300 is intended to be worn on the user's shoulder when the user wears the baby carrier for infant ca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ackrest part 100 and the front part 200 are positioned in front or behind the user. It can be configured to be located at the rear.

상기 어깨고정부(300)에는, 일단이 상기 등받이부(100)의 일 측 상부에 연결되는 제1어깨걸이밴드(310), 상기 제1어깨걸이밴드(310)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1조절부재(320), 일단은 상기 전방부(200)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제1조절부재(320)에 결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조절밴드(330), 일단이 상기 등받이부(100)의 타 측 상부에 연결되는 제2어깨걸이밴드(340), 상기 제2어깨걸이밴드(340)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2조절부재(350) 및 일단은 상기 전방부(200)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제2조절부재(350)에 결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조절밴드(360)가 포함될 수 있다.In the shoulder fixing part 300, a first shoulder band 31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n upper part of one side of the backrest part 100 and a first adjustment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shoulder rest band 310 A member 320, one end connected to the front part 200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first adjusting member 320, the first adjustment band 330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length, one end connected to the backrest part A second shoulder band 340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of (100), a second adjusting member 350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houlder band 340, and one end attached to the front part 200. A second adjusting band 360 configured to be connected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second adjusting member 350 to be able to adjust the length may be included.

즉, 본 발명의 유아 보육용 아기띠는 상기 제1조절밴드(330) 및 제2조절밴드(360)의 길이 조절만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유아 보육용 아기띠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baby carrier for infant nurs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adjusting the baby carrier for infant nursery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by using only the length adjustment of the first adjustment band 330 and the second adjustment band 360. can be configured to

이러한 상기 제1조절부재(320) 및 제2조절부재(350)에 각각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조절밴드(330) 및 제2조절밴드(360)는 각각 상기 제1조절부재(320) 및 제2조절부재(350)에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adjusting band 330 and the second adjusting band 360 coupled to the first adjusting member 320 and the second adjusting member 350 to be adjustable in length, respectively, are the first adjusting member 320, respectively. And it can be inserted into a pair of coupling grooves formed in the second adjusting member 350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이때, 상기 제1어깨걸이밴드(310) 및 제2어깨걸이밴드(340)는 적어도 상기 제1조절밴드(330) 및 제2조절밴드(360)보다 넓은 면적으로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houlder rest band 310 and the second shoulder rest band 34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at least the first control band 330 and the second control band 360 .

상기 제1어깨걸이밴드(310) 및 제2어깨걸이밴드(340)가 상기 제1조절밴드(330) 및 제2조절밴드(360)보다 넓은 면적으로 갖도록 구성되는 경우, 본 발명의 유아 보육용 아기띠 착용 시, 사용자의 어깨에 대해 비교적 넓은 범위에 유아의 체중이 가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어깨에 발생되는 피로가 줄어들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first shoulder band 310 and the second shoulder band 340 are configur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adjustment band 330 and the second adjustment band 360, the infant nursery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aby carrier is worn, the baby's weight is applied to the user's shoulder in a relatively wide range, so that fatigue generated in the user's shoulder can be reduced.

상기 어깨고정부(300)에는, 상기 제1조절부재(320)에 설치되는 암버클부재(370) 및 상기 암버클부재(370)에 대응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제2조절부재(350)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암버클부재(370)와 상호 결합 및 탈거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수버클부재(380)가 포함될 수 있다.The shoulder fixing part 300 has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arm buckle member 370 installed on the first adjusting member 320 and the arm buckle member 370, and is installed on the second adjusting member 350. By being, a male buckle member 380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nd detachable from the female buckle member 370 may be included.

이러한 상기 암버클부재(370) 및 수버클부재(380)는 본 발명의 어깨고정부(300)가 사용자의 어깨에 걸쳐진 이후 상기 제1조절부재(320) 및 제2조절부재(350)가 상호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조절부재(320)의 암버클부재(370)에 상기 제2조절부재(350)의 수버클부재(380)가 삽입되어 상기 제1조절부재(320) 및 제2조절부재(350)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emale buckle member 370 and the male buckle member 380 are the first adjusting member 320 and the second adjusting member 350 after the shoulder fixing par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ver the user's shoulder. As for being easily connected, the male buckle member 380 of the second adjusting member 350 is inserted into the female buckle member 370 of the first adjusting member 320, and the first adjusting member 320 And the second control member 350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상기 허리고정부(400)는 상기 전방부(200)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부(100)의 후방에 고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유아를 등받이부(100)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The waist fixing part 400 protrudes from the front part 200 and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back of the backrest part 100 so as to fix the infant to the backrest part 100 .

이러한 상기 허리고정부(400)는 유아를 사용자가 본 발명의 유아 보육용 아기띠를 착용하기 전에 먼저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아기띠에 유아를 먼저 고정시킨 이후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waist fixing part 400 is configured to first fix the infant before the user wears the baby carrier for infant care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user can wear it after first fixing the infant to the baby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onfigured to enable stable use.

다시 말하자면, 종래에는 사용자가 유아를 등에 걸친 상태에서 양손으로 아기띠를 조작하여 유아를 사용자의 몸에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아기띠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의 유아 보육용 아기띠는 상기 허리고정부(400)를 이용하여 유아를 본 발명의 유아 보육용 아기띠에 고정시킨 이후, 유아가 고정된 본 발명의 아기띠를 사용자가 착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유아를 등에 걸친 상태에서 양손으로 아기띠를 조작하는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the prior art, a baby carrier was used in a manner in which the user fixes the infant to the user's body by manipulating the baby carrier with both hands while holding the infant on the back, but the baby carrier for infant nurser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waist fixing part ( 400), after fixing the infant to the baby carrier for infant ca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s configured to wear the baby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the infant is fixed, thereby operating the baby carrier with both hands while holding the infant on the back. This is to prevent accidents that may occur.

이때, 상기 등받이부(100)에는 후면에 설치되는 제1암벨크로부재(110)가 포함되고, 상기 허리고정부(400)에는 상기 제1암벨크로부재(1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허리고정부(400)의 말단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1암벨크로부재(110)와 상호 결합 및 탈거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수벨크로부재(410)가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ck portion 100 includes a first arm Velcro member 110 installed on the rear side, and the waist fixing part 40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m Velcro member 110, and the waist A first male Velcro member 410 configured to be mutually coupled with and detachable from the first female Velcro member 110 by being installed at the end of the fixing part 400 may be included.

즉, 상기 허리고정부(400)는 유아를 본 발명의 유아 보육용 아기띠에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의 매듭과 같은 형태를 형성하지 않아도, 상기 제1수벨크로부재(410)를 등받이부(100)의 제1암벨크로부재에 부착시킴으로써 용이하게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waist fixing part 400 secures the first male Velcro member 410 to the backrest part 100 without forming a separate knot-like shape in order to fix the infant to the infant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onfigured to be easily fixed by attaching to the first female Velcro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육용 아기띠에는 등받이부(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아의 둔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서포트스트랩(5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The baby carrier for childc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strap 500 installed under the backrest 100 to cover the buttocks of infants.

이때 상기 서포트스트랩(500)에는, 일 측에 설치되는 제2암벨크로부재(510) 및 상기 제2암벨크로부재(5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타 측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2암벨크로부재(510)와 상호 결합 및 탈거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수벨크로부재(520)가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strap 50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emale Velcro member 510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second female Velcro member 510, and installed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 second female Velcro member A second male Velcro member 520 configured to be mutually coupled with and detachable from 510 may be included.

이러한 상기 서포트스트랩(500)은 상기 등받이부(100), 전방부(200), 어깨고정부(300) 및 허리고정부(400)와 별개로 완전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실시 환경에 따라,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The support strap 500 is configured to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back portion 100, the front portion 200, the shoulder fixing portion 300, and the waist fixing portion 400,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environment. , it can be installed in a form that supports the buttocks of infant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육용 아기띠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육용 아기띠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육용 아기띠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using a baby carrier for childc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baby carrier for childc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 baby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baby carrier for childcare.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육용 아기띠 사용방법에는 배치단계(S10), 덮기단계(S20), 허리고정단계(S30), 착용단계(S40), 조절단계(S50) 및 고정단계(S60)가 포함된다.According to the attached FIGS. 4 to 6, the method of using a baby carrier for childc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cement step (S10), a covering step (S20), a waist fixing step (S30), a wearing step (S40), and an adjusting step ( S50) and fixing step (S60) are included.

상기 배치단계(S10)는 등받이부(100)에 유아가 배치되는 단계이다.The arrangement step (S10) is a step in which the infant is placed on the backrest part 100.

이러한 상기 배치단계(S10)는 본 발명의 유아 보육용 아기띠를 넓은 바닥에 펼친 상태에서 이루어짐으로써, 후술되는 덮기단계(S20) 및 허리고정단계(S30)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rrangement step (S10)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baby carrier for infant ca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read on a wide floor, so that the covering step (S20) and the waist fixing step (S30) described below can be easily performed.

상기 덮기단계(S20)는 전방부(200)를 하부에서 상부로 접으면서 유아의 전방을 덮는 단계이다.The covering step (S20) is a step of covering the front of the infant while folding the front part 200 from the bottom to the top.

이때, 상기 등받이부(100)와 전방부(200)의 사이 오목한 위치로 유아의 다리가 빠져나오도록 상기 전방부(200)를 이용하여 유아의 전방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it may be configured to cover the front of the infant using the front part 200 so that the infant's legs come out of the concave position between the backrest part 100 and the front part 200.

아울러, 상기 전방부(200)를 너무 높이 올려서 유아의 전방을 덮게 되는 경우 유아의 호흡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유아의 전방을 덮게 되는 전방부(200)는 최대 유아의 목까지만 덮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front part 200 is raised too high to cover the front of the infant, it may interfere with the infant's breathing, so the front part 200 covering the front of the infant is configured to cover only up to the infant's neck. It can be.

상기 허리고정단계(S30)는 상기 등받이부(100)의 양측 남는 부분을 상기 전방부(200)의 내부로 집어넣으면서 상기 전방부(200)에서 돌출 형성되는 허리고정부(400)를 상기 등받이부(100)의 후방으로 돌려 고정시키는 단계이다.In the waist fixing step (S30), the waist fixing part 400 protruding from the front part 200 is inserted into the front part 200 while the remaining parts on both sides of the back part 100 are inserted into the back part. This is the step of fixing by turning to the rear of (100).

이때, 상기 전방부(200)의 내부로 삽입되는 등받이부(100)의 양측 남는 부분은 구겨지지 않은 형태로 전방부(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아의 팔까지 모두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maining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backrest portion 100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ront portion 200 ar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ront portion 200 in an unwrinkled form, and to fix all of the infant's arms. can be configured.

상기 허리고정부(400)는 등받이부의 후면에 설치되는 제1암벨크로부재(110)와 허리고정부(400)에 설치되는 제1수벨크로부재(410)에 의해 유아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waist fixing part 400 may be configured to fix the infant by the first arm Velcro member 110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backrest and the first male Velcro member 410 installed on the waist fixing part 400. there is.

상기 착용단계(S40)는 어깨고정부(300)를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하고 암버클부재(370)와 수버클부재(380)를 결합시키는 단계이다.The wearing step (S40) is a step of wearing the shoulder fixing part 300 on the user's shoulder and combining the female buckle member 370 and the male buckle member 380.

이러한 상기 착용단계(S40)는 본 발명의 유아 보육용 아기띠에 유아가 고정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실질적으로는 사용자의 몸에 유아를 고정시키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The wearing step (S40) is configured to be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infant is fixed to the baby carrier for infant care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infant may be substantially fixed to the user's body.

이때, 상기 사용자의 몸에 고정되는 유아 보육용 아기띠는 사용자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by carrier for infant care fixed to the user's body may b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fixed to the front or rear of the user.

상기 조절단계(S50)는 상기 어깨고정부(300)의 제1조절부재(320) 및 제2조절부재(350)에 결합된 제1조절밴드(330) 및 제2조절밴드(360)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이다.The adjusting step (S50) is the length of the first adjusting band 330 and the second adjusting band 360 coupled to the first adjusting member 320 and the second adjusting member 350 of the shoulder fixing part 300. is the step of regulating

이러한 상기 조절단계(S50)는 상기 제1조절밴드(330) 및 제2조절밴드(360)를 양측 방향으로 각각 당기면서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길이 조절된 제1조절밴드 및 제2조절밴드(360)가 많이 남을 경우 별도의 매듭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행동에 제약이 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djusting step (S50)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first adjusting band 330 and the second adjusting band 360 by pulling them in both directions, respectively, and the first adjusting band 330 and the second adjusting band 360 are length-adjusted. If there are too many adjustment bands 360 left, a separate knot may be formed so as not to restrict the user's behavior.

상기 고정단계(S60)는 서포트스트랩(500)이 유아의 둔부를 감싸도록 하여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시키는 단계이다.The fixing step (S60) is a step of fixing the support strap 500 to the user's waist by wrapping the buttocks of the infant.

이때, 상기 서포트스트랩(500)는 상기 등받이부(100), 전방부(200), 어깨고정부(300) 및 허리고정부(400)와 완전 분리되는 구성으로서 실시 환경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유아의 둔부를 감싸면서 사용자의 허리에 걸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strap 500 is configured to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backrest part 100, the front part 200, the shoulder fixing part 300, and the waist fixing part 400, and can be installed in a desired position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environment. However, most preferably, it may be configured to span the user's waist while wrapping the buttocks of the infant.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등받이부와 전방부가 유아의 후방과 전방을 감싸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허리고정부에 의해 유아가 고정되도록 하고, 어깨고정부에 의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아기띠에 유아를 먼저 고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the backrest and the front part are configured to cover the back and front of the infant, the waist fixing part fixes the infant, and the shoulder fixing part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wear it.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wear it in a state in which it is first fixed, and has an effect of being configured to enable stable use.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presen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t can be seen that branch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are possible.

100 : 등받이부 110 : 제1암벨크로부재
200 : 전방부
300 : 어깨고정부
310 : 제1어깨걸이밴드 320 : 제1조절부재
330 : 제1조절밴드 340 : 제2어깨걸이밴드
350 : 제2조절부재 360 : 제2조절밴드
370 : 암버클부재 380 : 수버클부재
400 : 허리고정부 410 : 제1수벨크로부재
500 : 서포트스트랩
510 : 제2암벨크로부재 520 : 제2수벨크로부재
100: backrest part 110: first arm Velcro member
200: front part
300: shoulder fixing part
310: first shoulder band 320: first adjusting member
330: first adjustment band 340: second shoulder strap
350: second control member 360: second control band
370: female buckle member 380: male buckle member
400: waist fixing part 410: first male Velcro member
500: support strap
510: second arm Velcro member 520: second male Velcro member

Claims (8)

유아의 후방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등받이부(100);
상기 등받이부(100)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접혀지면서 유아의 전방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전방부(200);
일단은 상기 등받이부(1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방부(200)에 연결되는 어깨고정부(300); 및
상기 전방부(200)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부(100)의 후방에 고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유아를 등받이부(100)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허리고정부(400);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보육용 아기띠.
A backrest portion 100 configured to cover the rear of an infant;
a front portion 20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ackrest portion 100 and being fold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to surround the front of the infant;
a shoulder fixing part 30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backrest part 10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ront part 200; and
A waist fixing part 400 protruding from the front part 200 and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back of the back part 100 to fix the infant to the back part 100;
A baby carrier for infant ca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고정부(300)에는,
일단이 상기 등받이부(100)의 일 측 상부에 연결되는 제1어깨걸이밴드(310);
상기 제1어깨걸이밴드(310)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1조절부재(320);
일단은 상기 전방부(200)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제1조절부재(320)에 결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조절밴드(330);
일단이 상기 등받이부(100)의 타 측 상부에 연결되는 제2어깨걸이밴드(340);
상기 제2어깨걸이밴드(340)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2조절부재(350); 및
일단은 상기 전방부(200)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제2조절부재(350)에 결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조절밴드(360);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보육용 아기띠.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houlder fixing part 300,
a first shoulder band 31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n upper part of one side of the backrest part 100;
a first adjusting member 320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shoulder strap 310;
a first adjusting band 33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ront part 200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first adjusting member 320 to be able to adjust the length;
a second shoulder band 34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backrest part 100;
a second adjusting member 350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houlder strap 340; and
a second adjusting band 36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ront part 200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econd adjusting member 350 to be able to adjust the length;
A baby carrier for infant ca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고정부(300)에는,
상기 제1조절부재(320)에 설치되는 암버클부재(370); 및
상기 암버클부재(370)에 대응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제2조절부재(350)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암버클부재(370)와 상호 결합 및 탈거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수버클부재(380);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보육용 아기띠.
According to claim 2,
In the shoulder fixing part 300,
An arm buckle member 370 installed on the first adjusting member 320; and
A male buckle member 380 having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female buckle member 370 and being installed on the second adjusting member 350 to be mutually coupled and detachable from the female buckle member 370;
A baby carrier for infant ca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어깨걸이밴드(310) 및 제2어깨걸이밴드(340)는,
적어도 상기 제1조절밴드(330) 및 제2조절밴드(360)보다 넓은 면적으로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보육용 아기띠.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shoulder band 310 and the second shoulder band 340,
A baby carrier for child ca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at least the first adjusting band 330 and the second adjusting band 36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100)에는,
후면에 설치되는 제1암벨크로부재(110)가 포함되고,
상기 허리고정부(400)에는,
상기 제1암벨크로부재(1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허리고정부(400)의 말단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1암벨크로부재(110)와 상호 결합 및 탈거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수벨크로부재(41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보육용 아기띠.
According to claim 1,
In the backrest portion 100,
A first arm Velcro member 110 installed on the rear side is included,
In the waist fixing part 400,
A first male Velcro member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emale Velcro member 110 and installed at the end of the waist fixing part 400 so as to be mutually coupled with and detachable from the first female Velcro member 110. (410) Baby carrier for infant ca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100)와 전방부(200)의 사이는,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착용 시 유아의 다리가 빠져나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보육용 아기띠.
According to claim 1,
Between the backrest part 100 and the front part 200,
A baby carrier for child ca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cave inward and configured so that the infant's legs come out when worn.
제1항에 있어서,
등받이부(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아의 둔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서포트스트랩(500)이 더 포함되며,
상기 서포트스트랩(500)에는,
일 측에 설치되는 제2암벨크로부재(510); 및
상기 제2암벨크로부재(5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타 측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2암벨크로부재(510)와 상호 결합 및 탈거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수벨크로부재(520);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보육용 아기띠.
According to claim 1,
A support strap 500 installed below the backrest 100 and configured to cover the buttocks of the infant is further included,
In the support strap 500,
A second arm Velcro member 510 installed on one side; and
A second male Velcro member 520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emale Velcro member 510 and installed on the other side so as to be mutually coupled with and detachable from the second female Velcro member 510;
A baby carrier for infant ca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등받이부(100)에 유아가 배치되는 배치단계(S10);
전방부(200)를 하부에서 상부로 접으면서 유아의 전방을 덮는 덮기단계(S20);
상기 등받이부(100)의 양측 남는 부분을 상기 전방부(200)의 내부로 집어넣으면서 상기 전방부(200)에서 돌출 형성되는 허리고정부(400)를 상기 등받이부(100)의 후방으로 돌려 고정시키는 허리고정단계(S30);
어깨고정부(300)를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하고 암버클부재(370)와 수버클부재(380)를 결합시키는 착용단계(S40);
상기 어깨고정부(300)의 제1조절부재(320) 및 제2조절부재(350)에 결합된 제1조절밴드(330) 및 제2조절밴드(360)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단계(S50); 및
서포트스트랩(500)이 유아의 둔부를 감싸도록 하여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시키는 고정단계(S60);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보육용 아기띠 사용방법.
A placement step (S10) of placing an infant on the backrest portion 100;
Covering the front of the infant while folding the front portion 200 from the bottom to the top (S20);
While inserting the remaining parts on both sides of the backrest part 100 into the inside of the front part 200, turn the waist fixing part 400 protruding from the front part 200 to the rear of the backrest part 100 and fix it. Waist fixing step (S30);
A wearing step of wearing the shoulder fixing part 300 on the user's shoulder and combining the female buckle member 370 and the male buckle member 380 (S40);
An adjustment step of adjusting the lengths of the first adjustment band 330 and the second adjustment band 360 coupled to the first adjustment member 320 and the second adjustment member 350 of the shoulder fixing unit 300 (S50). ); and
A fixing step (S60) of fixing the support strap 500 to the waist of the user so as to wrap the buttocks of the infant;
A method of using a baby carrier for infant ca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KR1020220049378A 2022-02-10 2022-04-21 Baby carrier for infant car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260652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247 2022-02-10
KR20220017247 2022-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956A true KR20230120956A (en) 2023-08-17
KR102606524B1 KR102606524B1 (en) 2023-12-29

Family

ID=87800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378A KR102606524B1 (en) 2022-02-10 2022-04-21 Baby carrier for infant car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524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7995B1 (en) 1996-08-13 1999-09-01 윤종용 Printing device preformat feature and method thereof
KR100327976B1 (en) 1999-10-09 2002-03-15 박규진 Earmike device of chain-connector type
KR200274753Y1 (en) * 2002-01-28 2002-05-09 이준홍 an improved model in baby's quilt
KR200315912Y1 (en) * 2003-02-21 2003-06-12 황춘화 baby carrier
KR20040078330A (en) * 2003-03-04 2004-09-10 유동오 Baby's carrier
JP2005185426A (en) * 2003-12-25 2005-07-14 Lucky Kogyo Kk Supporting member and baby carrier
KR20100007076U (en) * 2008-12-31 2010-07-08 권오용 Baby wrapper
JP2012110418A (en) * 2010-11-22 2012-06-14 Lucky Kogyo Kk Baby carrier
JP2021000264A (en) * 2019-06-21 2021-01-07 株式会社大東通商 Infant holder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7995B1 (en) 1996-08-13 1999-09-01 윤종용 Printing device preformat feature and method thereof
KR100327976B1 (en) 1999-10-09 2002-03-15 박규진 Earmike device of chain-connector type
KR200274753Y1 (en) * 2002-01-28 2002-05-09 이준홍 an improved model in baby's quilt
KR200315912Y1 (en) * 2003-02-21 2003-06-12 황춘화 baby carrier
KR20040078330A (en) * 2003-03-04 2004-09-10 유동오 Baby's carrier
JP2005185426A (en) * 2003-12-25 2005-07-14 Lucky Kogyo Kk Supporting member and baby carrier
KR20100007076U (en) * 2008-12-31 2010-07-08 권오용 Baby wrapper
JP2012110418A (en) * 2010-11-22 2012-06-14 Lucky Kogyo Kk Baby carrier
JP2021000264A (en) * 2019-06-21 2021-01-07 株式会社大東通商 Infant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6524B1 (en) 2023-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7008B2 (en) Carrier
JP5637569B2 (en) Baby carrier
US5611095A (en) Multi-function baby wrap
KR101812529B1 (en) Baby carrier having hip-seat
JP2010524605A5 (en)
US20110101051A1 (en) Infant carrier with leg straps
US20100051658A1 (en) Infant sling
US20100200626A1 (en) Baby carrier
KR200477837Y1 (en) Hip seat carrier set
JP2001137082A (en) Baby carrier for facing and forward facing hold
KR102377913B1 (en) Multi Function Baby Carrier Package
KR200473475Y1 (en) Baby hip seat carrier
KR101922307B1 (en) Inner wrapper for baby
KR20120032800A (en) Baby carrier
KR200335689Y1 (en) baby's quilt
KR102606524B1 (en) Baby carrier for infant car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1955476B1 (en) Hip seat carrier having shock absorbing pad
KR101955475B1 (en) Hip seat carrier having shock absorbing shoulder belt
KR200433802Y1 (en) A baby wrapper
JP3127392U (en) Baby carrier
JP2007111483A (en) Sling type nursing strap
KR101493030B1 (en) Carrier for twin baby
US20230097626A1 (en) Harness for baby
TWM517571U (en) Dual bearing-on-shoulder baby sling
KR200315990Y1 (en) Baby s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