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475Y1 - Baby hip seat carrier - Google Patents
Baby hip seat carr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3475Y1 KR200473475Y1 KR2020130010725U KR20130010725U KR200473475Y1 KR 200473475 Y1 KR200473475 Y1 KR 200473475Y1 KR 2020130010725 U KR2020130010725 U KR 2020130010725U KR 20130010725 U KR20130010725 U KR 20130010725U KR 200473475 Y1 KR200473475 Y1 KR 20047347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ant
- support member
- wearer
- shoulder
- shoulder strap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28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5657 Aba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391 Musculoskelet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613 Shoulder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Landscapes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기띠 힙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힙시트; 상기 힙시트에 연결되고,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띠; 상기 힙시트에 연결되고, 유아의 신체를 지지하는 유아 지지 부재; 및 상기 유아 지지 부재와 분리 가능하고, 착용자의 어깨에 걸쳐지는 어깨끈과 착용자의 배 또는 등에 밀착되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보조 지지체를 포함하고, 착용자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유아 지지 부재, 유아의 상체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보조 지지체의 지지면이 배치되는 착용 상태를 갖는 아기띠 힙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band heap she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by baby band heap sheet that supports a baby's hip; A waistband connected to the hip seat and worn on the waist of the wearer; An infant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heatsheet and supporting the infant's body; And an auxiliary support detachable from the infant support member and including a shoulder strap extending over the shoulder of the wearer and a support surfac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elly of the wearer or the like, And a supporting surface of the auxiliary support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Description
본 고안은 아기띠 힙시트에 관한 것이다.This invention relates to a baby band heap sheet.
일반적으로 포대기는 백일을 전후해서 아직 걸음마를 하지 못하는 첫돌 이전의 유아들의 외출시에, 편리함과 안전을 위하여, 유아들을 사용자의 가슴에 안거나 등에 업고 보행하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Generally, the swaddling clothes are suitable for carrying the infants on the user's chest o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and safety at the time of going out of the pre-first stage children who are unable to walk before and after the 100th day.
종래의 일반적인 포대기의 경우, 유아의 체중이 어깨벨트를 통하여 보호자의 어깨로 대부분 전달됨은 물론이고, 유아를 안거나 업는 자세에 따라 보호자가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체를 젖히거나 숙이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보호자의 척추에 무리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그 착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In general, the weight of the infant is transmitted to the shoulder of the caregiver through the shoulder belt, and the upper body is lifted or lowered in order to maintain the balance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holding the infant up or down, There is a problem that a crowd follows the spine of the wearer, and wear of the wearer is very inconvenient.
이러한 종래 포대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유아의 체중이 보호자의 허리 및 골반에 전달되도록 하되 간편하게 아이를 안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캐리어로서 일명 '힙시트'가 제안된 바 있고, 이러한 힙시트는 일반적으로 유아가 앉을 수 있도록 지지체를 내장한 시트부의 양측에 결속수단을 갖는 허리밴드를 형성하여 보호자의 허리에 착용하도록 구성되었다. A so-called 'heap sheet' has been proposed as an infant carrier which allows a child to easily receive or lower a child's weight by allowing the weight of the infant to be transferred to the back and the pelvis of the protector. A waist band having binding means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 portion in which the support body is built so that the baby can sit on the waist band of the protector.
그러나 이러한 종래 힙시트의 경우, 유아의 안전을 위하여 보호자가 유아의 등이나 배를 한 팔로 감싸 안아야 하므로 보호자가 양팔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야외에서 사용함에 있어 유아가 잠든 경우에는 유아를 임의의 장소에 내릴 수 없으므로 보호자의 행동이 더욱 자유롭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포대기의 하단에 힙시트가 체결되는 제품이 제안된 바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hip seat, since a guardian must wrap a child's back or stomach with one arm for the safety of infant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tector can not freely use both arms.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ehavior of the guardian is not free. To solve such a problem, there has been proposed a product in which a heap sheet is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a woven cloth.
하지만, 상기와 같은 포대기와 힙시트가 체결되는 제품을 이용하여 유아를 안는 경우, 유아의 체중에 의한 하중이 착용자의 어깨에 집중적으로 작용하여, 장시간 착용할 경우 착용자의 어깨에 통증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holding the infant using the product to which the cloth and the heap sheet are attached, the load due to the weight of the infant is concentrated on the shoulder of the wearer, and the wearer's shoulder pain may be caused when the wearer wears it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통해, 유아의 체중에 의한 하중이 착용자의 어깨에 집중적으로 작용하지 않는 아기띠 힙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baby band heel seat in which the load due to the weight of the infant does not act on the shoulder of the wearer intensively.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아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힙시트; 상기 힙시트에 연결되고,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띠; 상기 힙시트에 연결되고, 유아의 신체를 지지하는 유아 지지 부재; 및 상기 유아 지지 부재와 분리 가능하고, 착용자의 어깨에 걸쳐지는 어깨끈과 착용자의 배 또는 등에 밀착되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보조 지지체를 포함하고, 착용자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유아 지지 부재, 유아의 상체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보조 지지체의 지지면이 배치되는 착용 상태를 갖는 아기띠 힙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ip seat for supporting a child ' s hip; A waistband connected to the hip seat and worn on the waist of the wearer; An infant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heatsheet and supporting the infant's body; And an auxiliary support detachable from the infant support member and including a shoulder strap extending over the shoulder of the wearer and a support surfac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elly of the wearer or the like, And a supporting surface of the auxiliary support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또한, 상기 보조 지지체는, 착용자의 어깨에 안착되고, 어깨 체결 버클을 포함하는 어깨끈; 및 상기 어깨 체결 버클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어깨 연결 버클 포함하는 체결끈을 포함하는 아기띠 힙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The auxiliary support may be a shoulder strap that is seated on the shoulder of the wearer and includes a shoulder tightening buckle; And a fastening strap including a shoulder connecting buckle selectively fastened to the shoulder fastening buckle.
또한, 상기 어깨 연결 버클은 상기 체결끈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깨끈이 착용자의 어깨에 안착되고, 상기 보조 지지체의 지지면이 착용자의 상반신에 밀착됨으로써 유아의 하중이 착용자의 신체에 분산되는 아기띠 힙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Further, the shoulder connecting buckle includes a length adjuster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astening strap, the shoulder strap is seated on the shoulder of the wearer, the supporting surface of the auxiliary suppo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body of the wearer, A baby band heap sheet dispersed in the body of the baby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어깨끈은 복수 개의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아 지지 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고정수단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과 상기 연결수단이 서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유아 지지 부재와 상기 보조 지지체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아기띠 힙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ulder strap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means, and the child support member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including a connecting means selectively engaged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xing means, The child support member and the auxiliary support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복수 개의 고정수단은 상기 어깨끈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제공되는 아기띠 힙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fastening means may b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houlder strap.
또한, 유아의 머리를 보호하고, 상기 유아 지지 부재와 상기 보조 지지체에 연결되는 머리 덮개를 더 포함하는 아기띠 힙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aby band heath sheet which further includes a head cover which protects the head of the baby and is connected to the baby support member and the auxiliary support.
또한, 상기 힙시트는 일측에 보관 주머니를 포함하고, 상기 유아 지지 부재가 상기 보관 주머니에 선택적으로 수납되는 아기띠 힙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el sheet may be provided with a storage bag on one side, and a baby strap sheet on which the baby support member is selectively stored in the storage bag.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조 지지체에 의해 유아의 체중에 의한 하중이 착용자의 상반신에 분산되므로, 하중이 어깨에만 집중적으로 작용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ad due to the weight of the infant is dispersed in the upper half of the wearer by the auxiliary support, the load is not concentrated on the shoulder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 힙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조 지지체를 펼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보조 지지체가 분리된 힙시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유아 지지 부재가 보관 주머니에 보관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by-band heat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expanded state of the auxiliary support of Fig. 1.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 heap sheet in which the auxiliary support of Fig. 1 is separated.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hild support member of FIG. 1 is stored in a storage bag.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의 상하, 전후, 좌우 방향은 착용자가 아기띠 힙시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유아를 업었을 때 유아의 위치를 기준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겠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bottom, back,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will be defin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infant when the infant is lifted while the wearer wears the baby band heap shee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 힙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보조 지지체를 펼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by band heat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support of FIG. 1 is opened.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 힙시트(10)는 유아의 엉덩이를 받치는 힙시트(100), 힙시트(100)에 연결되고 아기의 몸을 지지하는 유아 지지 부재(110),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서 지지하는 허리띠(120), 착용자의 상반신에 밀착되어 유아의 하중을 착용자의 상반신에 분산시키는 보조 지지체(200) 및 유아의 머리를 덮을 수 있는 머리 덮개(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baby
본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 힙시트(1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 중 체결 부재 등을 제외한 아기와 착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부분들은 겉표면이 천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어 유아와 착용자가 착용하였을 때 불편한 느낌을 주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Amo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baby
힙시트(100)는 그 형상을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폼(foam)을 포함할 수 있으며, 힙시트(100)의 상측에는 유아의 엉덩이가 안착되었을 때 푹신한 느낌을 제공하는 시트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시트부재는 일 예로 스티로폼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힙시트(100)는 착용자가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신체 측에 밀착되는 밀착면(104)을 포함할 수 있고, 밀착면(104)은 착용자가 힙시트(100)를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에게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푹신푹신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밀착면(104)은 착용 상태에 따라서 착용자의 배, 옆구리 또는 허리 측에 밀착될 수 있다.The
힙시트(10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면이 평평하고 하면은 완만하게 굴곡진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착용자가 힙시트(100)를 착용하여 밀착면(104)이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되었을 때 밀착면(104)으로부터 힙시트(100)의 반대쪽 단부측으로 갈수록 상면이 상측으로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유아가 힙시트(100) 상에 안착되었을 때 유아의 상반신이 착용자의 신체 쪽으로 기울어져서 유아에게 안락함과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힙시트(100)의 후면 부분에는 유아 지지 부재(110)를 말아서 수납할 수 있는 보관 주머니(102)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아 지지 부재(110)를 수납할 수 있는 보관 주머니(102)가 힙시트(100)에 제공됨으로써, 유아 지지 부재(110)를 사용하지 않고 힙시트(100)만을 사용하는 경우 유아 지지 부재(110)를 손쉽게 힙시트(100)에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힙시트(100)와 따로 보관할 필요가 없고, 분실의 위험도 사라진다는 장점이 있다.A
유아 지지 부재(110)는 힙시트(100)의 밀착면(104)이 형성되는 측의 타단 측에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힙시트(10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아 지지 부재(110)는 유아의 상반신 전면 또는 후면에 밀착되어 유아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유아 지지 부재(110)는 힙시트(100)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고, 힙시트(100)와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유아 지지 부재(110)의 상측에는 보조 지지체(200)의 어깨끈(210)과 연결되는 연결부재(112)가 제공될 수 있다. The
허리띠(120)는 힙시트(100)의 밀착면(104)의 양 측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착용자의 허리를 감싼 다음 허리띠(120)의 양 측 단부에 제공되는 허리버클(122, 124)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허리버클(122, 124)은 허리띠(1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보조 지지체(200)는 착용자의 배 또는 등에 밀착되는 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지면이 착용자의 상반신에 밀착되어 유아의 하중을 어깨와 상반신에 분산시킬 수 있다. 보조 지지체(200)의 양 측 상부에 착용자의 어깨에 안착되는 어깨끈(210)이 제공되며, 양 측 하부에는 어깨끈(210)과 연결되는 체결끈(220)이 제공될 수 있다.The
도 2를 참조하면, 어깨끈(210)의 단부에는 어깨 고정 버클(216)이 제공될 수 있고, 체결끈(220)의 단부에는 어깨 연결 버클(222)이 제공될 수 있으며, 어깨 연결 버클(222)이 어깨 고정 버클(216)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어깨 연결 버클(222)은 체결끈(2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깨 고정 버클(216)이 어깨끈(210)에 제공되고, 어깨 연결 버클(222)이 체결끈(220)에 제공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고, 버클이 아닌 다른 탈착 가능한 체결 수단에 의해 어깨끈(210)과 체결끈(220)이 서로 체결되는 경우도 가능하다.2, a
또한, 어깨끈(210)에는 고정수단(214)이 제공될 수 있으며, 고정수단(214)에 유아 지지 부재(110)에 제공되는 연결부재(112)의 단부에 제공되는 연결수단(도 3, 114)이 체결됨으로써 유아 지지 부재(110)와 보조 지지체(20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고정수단(214)은 일 예로 고리일 수 있으며, 연결수단(114)은 일 예로 후크일 수 있다. 또한, 연결수단(114)은 연결부재(112)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연결수단(114)이 고정수단(214)에 걸린 상태에서 고정수단(214) 내에서 연결수단(114)이 일정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자유도가 확보되므로, 연결부재(112)와 어깨끈(210)의 상호 위치가 일정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변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어깨에 어깨끈(210)을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e degree of freedom in which the
본 실시예에서는 어깨끈(210)과 연결부재(112)가 연결수단(114)과 고정수단(214)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사상이 연결 수단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고정수단(214)은 어깨끈(210) 상에 어깨끈(2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양 측 어깨끈(210)에 각각 3개씩 일정한 간격으로 제공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그러나, 제공되는 고정수단(214)의 개수에 의해 본 고안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수단(214)이 복수 개 제공됨으로써, 연결수단(114)을 복수 개의 고정수단(214) 중 하나를 선택하여 체결할 수 있으므로, 어깨끈(210)이 유아 지지 부재(110)에 연결되는 위치 및 이에 따른 보조 지지체(200)의 위치를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 및 유아의 신체 사이즈에 맞춰서 착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수단(114)이 체결되는 고정수단(214)의 레벨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유아가 성장해 감에 따라 유아의 신체 사이즈가 커지더라도 아기띠 힙시트(10)를 무리 없이 착용하여 유아를 안거나 업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 plurality of fixing means 214 may be provided on the
또한, 어깨끈(210)에는 머리 덮개(300)의 연결띠(302)와 체결되는 제 1 체결수단의 일측 부재(212)가 제공될 수 있으며, 연결띠(302)에는 제 1 체결수단의 타측 부재(304)가 제공될 수 있다. 어깨끈(210)에 제공되는 제 1 체결수단의 일측 부재(212)와 연결띠(302)에 제공되는 제 1 체결수단의 타측 부재(304)가 서로 체결됨으로써 머리 덮개(300)와 어깨끈(210)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 1 체결수단은 일 예로 똑딱이 단추일 수 있다. 또한, 어깨끈(210)에는 제 1 체결수단의 일측 부재(212)가 복수 개 제공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양 측 어깨끈(210)에 각각 3개씩 제공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제 1 체결수단의 일측 부재(212)의 개수에 의해 본 고안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상기 제 1 체결수단의 복수 개의 일측 부재(212)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 1 체결수단의 타측 부재(304)에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유아의 머리 크기에 따라 머리 덮개(300)와 보조 지지체(200)의 상호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select one of the plurality of one
머리 덮개(300)는 유아의 머리를 받치거나 감쌀 수 있도록 제공되며, 유아 지지 부재(110)의 후면 상부에 제공되는 제 2 체결수단의 일측 부재(116)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타측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머리 덮개(300)를 유아 지지 부재(110)로부터 선택적으로 탈부착 할 수 있다.The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 힙시트(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3은 도 1의 보조 지지체가 분리된 힙시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유아 지지 부재가 보관 주머니에 보관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아기띠 힙시트(10)를 이용하여 착용자가 유아를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안거나 업을 수 있다. The wearer can easily grasp or lift the infant with a small force by using the baby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유아 지지 부재(110)와 어깨끈(210)을 연결한 상태에서 허리띠(120)를 착용자의 허리에 두르고 허리버클(122, 124)을 체결하여 허리띠(120)를 허리에 고정시킨 후, 어깨끈(210)을 착용자의 어깨에 안착시킨다. 3, the
이 상태에서 보조 지지체(200)가 착용자의 상반신 전면 또는 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어깨 연결 버클(222)을 어깨 고정 버클(216)에 체결하여 어깨끈(210)과 체결끈(220)을 연결한다. 이때, 유아를 업을 경우에는 보조 지지체(200)가 착용자의 상반신 전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유아를 안을 경우에는 보조 지지체(200)가 착용자의 상반신 후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The
그 다음에 유아를 힙시트(100) 상에 앉히고, 보조 지지체(200)가 착용자의 신체를 적당히 압박하도록 어깨 연결 버클(222)을 이용해서 체결끈(220)의 길이를 조절한다. 이때, 유아를 착용자가 업거나 안은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보면, 유아 지지 부재(110)유아착용자 상체보조 지지체(200)의 순으로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체결끈(220)의 길이를 조절하여 보조 지지체(200)가 착용자 및 유아를 적당히 압박하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하중이 보조 지지체(200)를 통해 착용자의 상반신에도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The infant is then seated on the
또한, 햇빛이 강한 날 야외로 외출을 하는 경우 등 유아의 머리를 보호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머리 덮개(300)를 유아 지지 부재(110) 및 어깨끈(21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infant's head, such as when going outdoors on a sunny day, the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유아가 답답해 하거나 유아를 착용자의 옆구리 쪽에서 안고자 하는 등 유아 지지 부재(110)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유아 지지 부재(110)를 말아서 힙시트(100)의 보관 주머니(102)에 수납한 후 허리띠(120)를 차서 힙시트(100) 상에 유아를 안착시켜서 유아를 안을 수 있다. 4, when the
이때, 보조 지지체(200)는 착용한 상태에서 연결수단(114)을 고정수단(214)으로부터 분리시켜서 유아 지지 부재(110)를 보조 지지체(200)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유아 지지 부재(110)를 말아서 보관 주머니(102)에 수납하고, 힙시트(100) 상에 유아를 안착시켜서 유아를 안을 수 있으므로, 사용 모드를 변경하기 위해 착용자가 허리띠(120) 및 보조 지지체(200)를 모두 벗을 필요가 없고, 착용한 상태에서도 사용 모드의 변경이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auxiliary supporting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 힙시트(10)는 보조 지지체(200)에 의해 유아의 체중에 의한 하중이 착용자의 상반신에 분산되므로, 하중이 어깨에만 집중적으로 작용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아기띠 힙시트는 유아의 하중을 어깨끈만을 이용해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어서, 유아가 착용자의 어깨에 의해서만 지지되었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 힙시트(10)는 어깨끈(210) 뿐만 아니라 보조 지지체(200)에 의해 착용자의 상체에 의해서도 유아가 지지되므로, 유아의 하중이 착용자의 상체에 고르게 퍼져서 분산될 수 있다.In the baby
또한, 보조 지지체(200)의 어깨끈(210)과 유아 지지 부재(11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12)가 다단으로 제공되는 복수 개의 고정수단(214)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으므로, 유아가 성장해 감에 따라 유아의 신체 사이즈가 커져도 연결부재(112)가 체결되는 고정수단(214)의 단을 조정함으로써 성장한 유아를 무리 없이 안거나 업을 수 있다.Since the connecting
또한, 유아 지지 부재(110)를 사용하지 않고 힙시트(100)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아 지지 부재(110)를 보조 지지체(200)로부터 분리한 후에 힙시트(100)의 보관 주머니(102)에 말아서 보관하고, 보조 지지체(200)는 그대로 착용한 상태에서 힙시트(100) 상에 유아를 안착시켜서 안을 수 있으므로, 유아 지지 부재(110)를 힙시트(100)와 따로 보관할 필요가 없고, 아기띠 힙시트(10)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편리하게 사용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the case where only the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Substitution and modification of the constituent elements are possible, and this also belongs to the right of this invention.
10: 아기띠 힙시트 100: 힙시트
102: 보관 주머니 104: 밀착면
110: 유아 지지 부재 112: 연결부재
114: 연결수단 120: 허리띠
122, 124: 허리버클 200: 보조 지지체
210: 어깨끈 214: 고정수단
216: 어깨 고정 버클 220: 체결끈
222: 어깨 연결 버클 300: 머리 덮개
302: 연결띠 10: baby band heap sheet 100: heap sheet
102: storage bag 104: close face
110: child support member 112: connecting member
114: connecting means 120: belt
122, 124: waist buckle 200: auxiliary support
210: shoulder strap 214: fastening means
216: shoulder fastening buckle 220: fastening strap
222: shoulder connection buckle 300: head cover
302: connecting strip
Claims (7)
상기 힙시트에 연결되고,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허리띠;
상기 힙시트에 연결되고, 유아의 신체를 지지하는 유아 지지 부재; 및
착용자의 어깨에 안착되는 어깨끈과 착용자의 배 또는 등에 밀착되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보조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유아 지지 부재는 상기 어깨끈과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유아 지지 부재가 상기 어깨끈과 체결된 상태에서 사용되거나, 상기 유아 지지 부재가 상기 어깨끈과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되고,
상기 유아 지지 부재가 상기 어깨끈과 체결된 상태에서 사용될 때는 착용자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유아 지지 부재, 유아의 상체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보조 지지체의 지지면이 배치되는 착용 상태를 갖고,
상기 유아 지지 부재가 상기 어깨끈과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될 때는 상기 유아 지지 부재에 의한 유아의 신체의 지지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힙시트 상에 유아의 신체가 안착되는 아기띠 힙시트.A hip seat supporting the baby's hips;
A waistband connected to the hip seat and worn on the waist of the wearer;
An infant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heatsheet and supporting the infant's body; And
Comprising a shoulder strap resting on the wearer ' s shoulder, and a support surface comprising a support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 ' s belly or the like,
Wherein the child support member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shoulder strap,
The child support member is used in a state in which the child support member is fastened to the shoulder strap, or the child support member is used in a state in which the child support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shoulder strap,
Wherein when the child support member is used in a state in which the child support member is engaged with the shoulder strap, the child support member and the baby upper body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earer and the support surface of the auxiliary support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Wherein the body of the infant is seated on the heel sheet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of the infant body by the infant support member is released when the infant support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shoulder strap.
상기 어깨끈은 어깨 고정 버클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지지체는 상기 어깨 고정 버클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어깨 연결 버클 포함하는 체결끈을 포함하는 아기띠 힙시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oulder strap including a shoulder fastening buckle,
Wherein the auxiliary support includes a fastening strap including a shoulder connecting buckle that is selectively fastened to the shoulder fastening buckle.
상기 어깨 연결 버클은 상기 체결끈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깨끈이 착용자의 어깨에 안착되고, 상기 보조 지지체의 지지면이 착용자의 상반신에 밀착됨으로써 유아의 하중이 착용자의 신체에 분산되는 아기띠 힙시트.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houlder connecting buckle includes a length adjuster for adjusting a length of the fastening strap,
Wherein the shoulder strap is seated on the shoulder of the wearer and the supporting surface of the auxiliary suppo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body of the wearer so that the load of the infant is dispersed in the body of the wearer.
상기 어깨끈은 복수 개의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아 지지 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고정수단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아기띠 힙시트.3. The method of claim 2,
Said shoulder strap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uring means,
Wherein the child support member includes a connection member including a connection member that is selectively coupled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xing means.
상기 복수 개의 고정수단은 상기 어깨끈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제공되는 아기띠 힙시트.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lurality of fastening means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houlder strap.
유아의 머리를 보호하고, 상기 유아 지지 부재와 상기 보조 지지체에 연결되는 머리 덮개를 더 포함하는 아기띠 힙시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head cover which protects the head of the infant and is connected to the baby support member and the auxiliary support.
상기 힙시트는 일측에 보관 주머니를 포함하고,
상기 유아 지지 부재가 상기 보관 주머니에 선택적으로 수납되는 아기띠 힙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sheet comprises a storage bag on one side,
Wherein the baby support member is selectively housed in the storage ba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10725U KR200473475Y1 (en) | 2013-12-24 | 2013-12-24 | Baby hip seat carr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10725U KR200473475Y1 (en) | 2013-12-24 | 2013-12-24 | Baby hip seat carri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3475Y1 true KR200473475Y1 (en) | 2014-07-04 |
Family
ID=51999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10725U KR200473475Y1 (en) | 2013-12-24 | 2013-12-24 | Baby hip seat carri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3475Y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86759A1 (en) * | 2015-11-19 | 2017-05-26 | 김경환 | Baby carrier |
KR101955476B1 (en) | 2018-11-05 | 2019-03-11 | (주)데르마 | Hip seat carrier having shock absorbing pad |
KR101955475B1 (en) | 2018-11-05 | 2019-03-11 | (주)데르마 | Hip seat carrier having shock absorbing shoulder belt |
KR20190056722A (en) * | 2017-11-17 | 2019-05-27 | 이승연 | Foldable Companion Animal Bag with Waist Bag |
KR20200048400A (en) | 2018-10-30 | 2020-05-08 | 남영우 | Capsule type baby carrier |
KR20210094790A (en) | 2020-01-22 | 2021-07-30 | 정재호 | Hip seat carrier having shock absorbing shoulder belt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3567Y1 (en) * | 1995-02-13 | 1998-10-15 | 다꾸미찌 야마구찌 | Infant Carrying Tools to Support Infants in Front and Infant Carrying Tools to Support in Front or Backwards |
KR20120032800A (en) * | 2010-09-29 | 2012-04-06 | 김경환 | Baby carrier |
KR101272144B1 (en) * | 2013-01-25 | 2013-06-07 | 권오용 | Baby carrying bend |
-
2013
- 2013-12-24 KR KR2020130010725U patent/KR200473475Y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3567Y1 (en) * | 1995-02-13 | 1998-10-15 | 다꾸미찌 야마구찌 | Infant Carrying Tools to Support Infants in Front and Infant Carrying Tools to Support in Front or Backwards |
KR20120032800A (en) * | 2010-09-29 | 2012-04-06 | 김경환 | Baby carrier |
KR101272144B1 (en) * | 2013-01-25 | 2013-06-07 | 권오용 | Baby carrying bend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86759A1 (en) * | 2015-11-19 | 2017-05-26 | 김경환 | Baby carrier |
KR20190056722A (en) * | 2017-11-17 | 2019-05-27 | 이승연 | Foldable Companion Animal Bag with Waist Bag |
KR102014520B1 (en) * | 2017-11-17 | 2019-08-26 | 이승연 | Foldable Companion Animal Bag with Waist Bag |
KR20200048400A (en) | 2018-10-30 | 2020-05-08 | 남영우 | Capsule type baby carrier |
KR101955476B1 (en) | 2018-11-05 | 2019-03-11 | (주)데르마 | Hip seat carrier having shock absorbing pad |
KR101955475B1 (en) | 2018-11-05 | 2019-03-11 | (주)데르마 | Hip seat carrier having shock absorbing shoulder belt |
KR20210094790A (en) | 2020-01-22 | 2021-07-30 | 정재호 | Hip seat carrier having shock absorbing shoulder bel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3013Y1 (en) | Hip seat carrier set | |
US9949575B2 (en) | Child carrier | |
US6409060B2 (en) | Child carrier with enhanced back and shoulder support and retractable infant seat | |
KR200459659Y1 (en) | Hip seat for infant | |
KR200477837Y1 (en) | Hip seat carrier set | |
KR101359888B1 (en) | Hip seat carrier | |
KR200473475Y1 (en) | Baby hip seat carrier | |
US20100200626A1 (en) | Baby carrier | |
KR200469068Y1 (en) | A waded baby wrapper having hip-seat | |
WO2011071441A1 (en) | Child carrying device | |
US11202520B2 (en) | Baby carrier | |
JP2001137082A (en) | Baby carrier for facing and forward facing hold | |
KR200481152Y1 (en) | Baby carrier | |
JP6718167B2 (en) | Babysitter | |
CA1332928C (en) | Baby carrier | |
CN205410570U (en) | Infant's back of body piece of cloth of both shoulders back of body | |
CN111200958A (en) | Infant or child carrying device | |
KR20130003372U (en) | baby carrier | |
KR200312695Y1 (en) | Baby Carrier | |
US7669743B2 (en) | Adjustable infant carrier | |
US20230190008A1 (en) | Baby carrier | |
KR20090010149U (en) | Baby Carrier with Down Support | |
KR102684472B1 (en) | Baby carrier | |
KR20100044985A (en) | The bend for baby carrying | |
TWM517571U (en) | Dual bearing-on-shoulder baby sl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1224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30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24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0217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6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406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070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1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230411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