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802Y1 - Baby bag - Google Patents
Baby ba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3802Y1 KR200433802Y1 KR2020060027273U KR20060027273U KR200433802Y1 KR 200433802 Y1 KR200433802 Y1 KR 200433802Y1 KR 2020060027273 U KR2020060027273 U KR 2020060027273U KR 20060027273 U KR20060027273 U KR 20060027273U KR 200433802 Y1 KR200433802 Y1 KR 20043380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ddle
- backrest
- infant
- strap
- buck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79 Memory 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0 memory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포대기에 관한 것으로서, 등받이부와 안장부를 연결하여 엉덩이와 허벅지를 감싸는 의자형태로 이루어지고,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양끝에 끈이 달린 착탈식 보조싸개와, 안장부에 봉합된 주머니에 엉덩이와 허벅지를 받치는 "W" 형상의 쿠션부재를 삽입하며, 상기 안장부의 양측과 묶음끈에 양단이 봉합된 어깨끈을 가지며, 상기 안장부의 전면 중앙에 다리의 벌림이 편리하도록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등받이부의 외부에 주머니를 봉합하여 머리받침부 및 등받이 판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묶음끈에 고무밴드를 봉합하여 길이를 연장하고, 상기 등받이에 형성되어 안거나 업은 상태가 중앙에 위치됨을 인식할 수 있는 구멍 또는 장식용 띠인 위치확인부를 포함하여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bag, formed in the form of a chair surrounding the hips and thighs by connecting the back portion and the saddle, removable straps with straps on both ends to adjust the length, hips in the pockets sewn to the saddle Insert a cushion member of the "W" shape to support the thighs, has a shoulder strap with both ends sewn on both sides and the bundle strap of the saddle, and forms an incision in the front center of the saddle to facilitate the opening of the legs, The bag is sealed on the outside of the backrest to accommodate the headrest and the backrest plate, and the rubber band is sealed to the bundle to extend the length, and the state of being formed on the backrest is recognized in the center of the backres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sitioning unit which can be a hole or decorative strip.
본 고안에 따르면 봉합, 지퍼 또는 버클 중 어느 하나의 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의자 형태를 이루는 등받이부와 안장부 그리고 안장부에 배치된 쿠션부재에 의하여 안전하고 안락함을 얻을 수 있으며, 목받침부와 등받이 판재에 의하여 등 및 목이 굽히는 것을 보호할 수 있고, 탈부착 가능한 보조싸개를 이용하여 유아를 안전하게 등받이부에 안착시킬 수 있으며, 묶음끈에 연결된 고무밴드에 의해 끈의 끌림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이면서 신장되는 고무밴드로서 안장부를 감싸면서 효과적으로 묶을 수 있으며, 안장부에 절개부를 갖으므로 유아의 다리가 벌어져 압박됨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간편한 구조의 유용한 고안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safe and comfortable by a cushion member disposed in the backrest portion and the saddle portion and the saddle portion forming the chair form by combining any one of a suture, a zipper or a buckle, a neckrest and a back plate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back and neck by bending, by using a removable auxiliary wrapper to securely seat the infant to the backrest, and to prevent the drag of the strap by a rubber band connected to the bundle strap hygienic and stretched It is a useful design of a very simple structure that can be effectively bound while wrapping the saddle as a rubber band, and having an incision in the saddle to prevent the infant's legs open and compressed.
유아, 포대기, 고무밴드, 지퍼, 버클 Infant, bag, elastic band, zipper, buckle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baby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에 위치 확인부를 부착하고 착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wearing state attached to the positioning unit to the baby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의 고무밴드에 보호직물을 감싸고 머리받침부 및 등받이 판재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ing a head restraint and back plate wrapping the protective fabric in the rubber band of the baby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의 다른 실시 예로서 등받이부를 안장부에 버클로서 결합시키는 상태를 일부 생략하여 나타낸 평면도.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 omitted omission state coupled to the back portion to the saddl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baby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등받이부와 절개부에 지퍼를 부착하여 안장부와 결합되는 상태를 일부 생략하여 나타낸 확대도.Figure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art omitted coupled to the saddle by attaching a zipper to the back and the incis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baby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에 보조싸개를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coupled to the auxiliary wrapper for infant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은 고안에 따른 유아용 포대기의 등받이부와 안장부 사이에 연결천을 봉합한 나타낸 나나탠 전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Figure 7 and Figure 8 is a development and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tanning sutures the connecting cloth between the backrest and the saddle of the baby bag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등받침부 2: 안장부1: backrest 2: saddle
3: 묶음끈 4: 쿠션부재3: bundle string 4: cushion member
5: 어깨끈 6: 고무밴드5: shoulder strap 6: elastic band
7: 등받이 판재 8: 보호직물7: Back plate 8: Protective fabric
9, 9': 지퍼 10, 13: 주머니9, 9 ':
22: 보조싸개22: Auxiliary Wrap
본 고안은 유아용 포대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어머니 혼자만의 힘으로 자연스럽게 안거나 업고 긴 묶음끈을 이용하여 안전하도록 감싸면서 묶을 수 있으므로 유아 및 어머니 모두 가장 편한 상태를 유지시켜 서로 불편함이 없도록 하고, 휴대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유아용 포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bag, more specifically, because the mother alone can be wrapped naturally or wrapped securely by using a long bundle of straps, so that both infants and mothers to maintain the most comfortable state so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to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bag that is convenient to carry and use.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아용 포대기는 유아를 감싸는 천의 양단에 묶음끈이 연결된 기본적인 구조로서 끈의 길이가 길면 유아를 감싸면서 묶으므로 안전하고 묶음 역시 편하지만 긴 끈은 땅에 질질 끌리므로 쉬이 더러워져 비위생적이고 밟히므로 넘어지는 경우도 발생한다. 또한, 주위 사람들의 도움없이 혼자만의 힘과 요령으로 유아를 업거나 앞으로 안아 매기가 어려웠다. 특히 핵가족 시대에 이르는 요즘은 도와줄 사람이 없으므로 어머니 혼자서 유아를 업거나 안다가 유아가 낙상하여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the widely used infant wrap is a basic structure in which a tie string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loth surrounding the infant. It is unsanitary and can be stepped on, causing you to fall. In addition, it was difficult to lift or hug the infant forward with the strength and tips of his own without the help of those around him. In particular, since there are no people to help these days until the age of the nuclear fami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fant falls and is injured when the mother alone raises or knows the infant.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이 조끼형 포대기이다. 상기 조끼형 포대기는 앞으로 안을 때 또는 안은 후에 등 뒤로 감싸면서 탈착되는 버클을 끼우거나 분리시키기 매우 어렵다. 또한, 아기가 밑으로 처지거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안장부분에 형성된 다리 삽입 공간으로 넣기 위하여 유아를 위로 들어올리면서 다리 한쪽씩 넣을 때 유아는 대부분 발버둥을 치므로 힘이 많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a vest bag. The vest-type sacks are very difficult to attach or detach from the buckle that can be detached while wrapping forward or behin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ot of force is consumed because the infant strikes most of the legs when the baby is put up one by one while lifting the baby up to put the leg insertion space formed in the saddle to prevent the baby from falling down or flowing down.
또한, 종래의 포대기 중에 끈 또는 감싸는 천 부분에 매직테이프를 부착하여 착용의 편리성만을 제공하는 제품도 제안되었다. 상기 매직테이프가 부착된 포대기는 유아를 업거나 안고 있을 때 유아가 수면을 취하면 더욱 편한 자세로 바꾸어 수면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착용하고 있던 포대기의 매직테이프를 분리시키게 된다. 이때 매직테이프의 표면에 형성된 갈고리 모양인 것과 동그라미 모양인 것이 마찰을 일으키면서 분리되어 마찰음에 의해 아이가 깨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 product has been proposed that provides a convenience of wearing only by attaching a magic tape to the string or the wrapping portion of the conventional bag. The magic tape is attached to the wrapper when the baby is holding or holding the infant to take a sleep to change to a more comfortable posture to separate the magic tape of the bag was worn to maintain the sleeping state. At this time, the hook-shaped and the circle-shaped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gic tape has a problem that the child is broken by the friction sound separated by the friction.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포대기들은 오래 착용하면 유아의 엉덩이 및 허벅지에 자국이 나면서 혈액순환이 어려우며, 등받이가 없어 척추가 굽어서 피로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acks are difficult to circulate blood as the marks on the buttocks and thighs of the infant when worn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ack of the spine is bent to increase the fatigue.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의자 형태를 이루는 안장부에 쿠션부재를 삽입하고 등받이부에 판재 및 머리받침부를 수용하며, 안장부에 유아의 다리가 벌어질 수 있도록 절개부를 가지며, 어깨끈과 착용자의 몸을 감싸는 긴 묶음끈 및 고무밴드를 갖는 간단하고 편리한 구조를 통해 유아의 안전성 및 안락성 그리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유아용 포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ert a cushion member in the saddle forming a chair shape and accommodate the plate and headrest in the backrest portion, the legs of the infant in the saddle portion It has an incision to open, and a simple and convenient structure with a long strap and a rubber band surrounding the shoulder strap and the wearer's body provides a baby bag that can provide safety and comfort of the infant and user convenience. There is.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아기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에 연결되는 안장부와, 상기 안장부의 양측에 연결되는 묶음끈으로 이루어진 유아용 포대기에 있어서, 양끝에 끈이 달린 착탈식 보조싸개와, 상기 등받이부와 안장부를 연결하여 엉덩이와 허벅지를 감싸는 의자형태로 이루어지고, 안장부에 봉합된 주머니에 엉덩이와 허벅지를 받치는 "W" 형상의 쿠션부재를 삽입하며, 상기 안장부의 양측과 묶음끈에 양단이 봉합된 어깨끈을 가지며, 상기 안장부의 전면 중앙에 다리의 벌림이 편리하도록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등받이부의 외부에 주머니를 봉합하여 머리받침부 및 등받이 판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묶음끈에 고무밴드를 봉합하여 길이를 연장하고, 상기 등받이에 형성되어 안거나 업은 상태가 중앙에 위치됨을 인식할 수 있는 구멍 또는 장식용 띠인 위치확인부를 포함하여 이루지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by backrest consisting of a backrest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baby, a saddle connected to the backrest, and a bundle strap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addle, at both ends Detachable auxiliary wrapper with a strap, connecting the back and the saddle to form a chair to wrap the hips and thighs, inserting a "W" shaped cushion member supporting the hips and thighs in the pockets sewn to the saddle, Both ends of the saddle and the shoulder strap has a shoulder strap with both ends sewn, the incisio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of the saddle to facilitate the opening of the leg, the outside of the backrest to seal the pockets and the headrest and back plate Receiving, and the rubber band is sealed to the bundle straps to extend the length, formed on the backrest is held or up It can be characterized by the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comprises a positioning unit which is a hole or decorative strip that can recognize that the center is locat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로서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유아용 포대기는 아기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부(1)와, 상기 등받이부(1)에 연결되는 안장부(2)와, 상기 안장부(2)의 양측 상단에 연결되는 묶음끈(3)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등받이부(1)와 안장부(2)를 연결하여 유아의 엉덩이와 허벅지를 감싸는 의자형태로 만들게 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attached to the infant bag, the
상기 등받이부(1)와 안장부(2)는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재봉으로 봉합하여 연결하거나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지퍼(9)를 부착하여 연결할 수 있 고,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등받이부(1)의 양측에 봉합된 띠에 버클(15)을 부착하고 등받이부(1)에 천공된 삽입공(16)으로 버클(15)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지퍼(9) 또는 버클(15)을 사용할 경우 등받이부(1)와 안장부(2)를 전개 상태로 펼친 후 접으면 부피가 작아져 휴대 및 보관이 매우 편리하다.The
상기 등받이부(1)의 외부에는 상부가 개방되도록 주머니(10)를 봉합하게 되고, 상기 주머니(10) 속에는 일단이 등받이부(1)의 상단에 봉합된 머리받침부(11) 및 등받이 판재(7)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머리받침부(11)는 유아의 머리가 뒤로 넘어가지 않도록 감싸면서 선단에 봉합된 끈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몸에 묶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머리받침부(11)의 끈에는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버클(18)을 부착하여 체결이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outside of the
또한, 상기 등받이부(1)에는 안거나 업은 상태가 중앙에 위치됨을 착용자가 손으로 만지면서 인식하여 조정할 수 있도록 위치확인부(12)를 마련하게 된다. 상기 위치확인부(12)는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중앙위치에 구멍을 천공할 수 있고,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장식용 띠 등을 부착하게 된다. 상기 위치확인부(12)는 구멍 또는 장식용 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손으로 만져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장식용 리본 등 다양한 소재를 부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안장부(2)에는 등받이부(1)와 연결되는 내측이 개방되도록 대략 "W" 모양의 주머니(13)를 봉합하게 되고, 상기 주머니(13)에는 유아의 엉덩이와 허벅지를 받치는 "W" 형상의 쿠션부재(4)를 삽입하게 된다. 상기 쿠션부재(4)는 엉덩이와 허 벅지에 압박이 전달되지 않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스펀지(메모리 폼)를 사용하게 되며, 세탁을 위하여 주머니(13)에 탈착된다. 그리고 주머니(13)에는 상기 지퍼(9) 또는 버클(15)이 부착된 등받이부(1)를 수용하여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안장부(2)의 양측과 묶음끈(3)에 양단이 봉합된 어깨끈(5)을 구비하게 되고, 상기 어깨끈(5)은 유아를 안장부(2)에 안치한 후 안거나 업기 위해 착용자가 어깨에 끼울 때 편리하도록 탄성력을 지닌 고무소재의 밴드 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통상의 버클을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saddle (2) and the bundle strap (3) is provided with both ends of the shoulder strap (5), the shoulder strap (5) is to hold the infant in the saddle (2) or It can be formed by attaching a band of elastic rubber material or a conventional buckle adjustable in length so as to be convenient when the wearer fits on the shoulder.
또한, 상기 안장부(2)의 개방된 전면 중앙에는 안거나 업은 상태에서 유아의 다리가 착용자의 옆구리에 접하여 편한 상태로 벌어질 수 있도록 절개부(14)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절개부(14)에는 유아의 다리의 벌어지는 폭을 조절하거나 신생아의 경우 몸집이 작아 빠질 수 있으므로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지퍼(9')를 부착하여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n front center of the saddle (2) is formed in the
또한, 상기 안장부(2)의 양측 상단으로부터 연장된 묶음끈(3)은 탄성력을 지니는 어깨끈(5)만으로는 유아가 앉은 안장부(2)가 무게에 의하여 처질 때 유아나 착용자 모두 불편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길이를 유지시키되 그 길이는 대략 착용자의 어깨를 넘어 감싸면서 안장부(2)를 감싸기 전까지 도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묶음끈(3) 끝단에 고무밴드(6)를 봉합하여 긴 끈이 되도록 길이를 연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bundle strap (3)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both sides of the saddle (2) is only the shoulder strap (5) having an elastic force when the saddle (2) where the infant is sitting sag by weight, both infants and wearers may be uncomfortable In order to prevent this,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a predetermined length, but the length can be reached until the
상기 묶음끈(3) 끝단에 봉합된 고무밴드(6)는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안장부(2)를 감싼 후 끝단을 묶어서 마무리하면, 고무밴드(6)는 탄성력에 의하여 압박 하지 않으므로 편안하며 유아의 엉덩이 및 허벅지에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된다. 상기 고무밴드(6)는 신축성을 지므로 평상시에는 최소한의 길이로 줄어있으므로 유아를 안거나 업을 때 바닥에 끌리지 않아 위생적이다. 또한,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고무밴드(6)에 보호직물(8)을 씌우고 양단을 봉합하면 고무밴드(6)가 필요 이상으로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고무밴드(6)의 수명이 연장됨은 물론 장식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고무밴드(6)의 양 끝단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버클(17)을 부착하여 착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When the
또한,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등받이부재(1)의 내측 하단에 부착된 지퍼(9")에 탈착이 가능한 보조싸개(22)를 마련하여 등받이부(1)에 결합된 후 어린 유아를 눕히고 보조싸개(2)의 끈에 부착된 클립을 등반이부(1)의 결합공(21)를 이용하여 등받이부(1)의 뒤편에서 클립을 결합하여 보조싸개(22)가 어린 유아를 감싸도록 이루어져 안전하게 유아를 업거나 안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 attached to the detachable auxiliary wrapper (22) attached to the inner bottom of the back of the back member (1)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또한, 첨부된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등받이부(1)와 안장부(2) 사이에 연결천(23)을 봉합하여 전개 상태로 펼칠 때 서로 분리됨을 방지하고 버클(15) 또는 지퍼(9)의 결합이 편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connecting
다음은 본 고안의 사용방법을 살펴본다.Next look at how to use the subject innovation.
먼저, 유아를 안아서 안장부(2)에 앉히면 의자형태를 이루는 등받이부(1)와 안장부(2) 그리고 등받이부(1)의 주머니(10)에 수용되어 있는 등받이 판재(7)에 의하여 유아가 넘어가지 않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First, by holding the infant seated in the saddle (2) by the backrest plate (7) accommodated in the
상기 상태에서 탄성력을 가지는 어깨끈(5)을 착용자의 한쪽 팔에 끼워 어깨 에 착용한 후 어깨끈(5)을 착용한 쪽 손으로 안장부(2)의 저면을 받치면서 유아를 안거나 업기 위해 다른 쪽 팔에 나머지 어깨끈(5)을 끼운다.In the above state, the
다음으로, 유아의 엉덩이를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인식용 구멍 또는 띠 등으로 이루어진 위치확인부(12)에 손가락을 끼우거나 손으로 잡고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유아가 가장 편한 자세로 엉덩이와 몸 전체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묶음끈(1)에 연결된 고무밴드(6)는 길이가 최대로 줄어든 상태이므로 바닥에 끌리지 않아 위생적이다. Next, in order to accurately position the hips of the infant, the position of the hips and the body in the most comfortable posture while putting the finger or hand to the
이어서 두 개의 묶음끈(3)과 고무밴드(6)를 착용자의 어깨로 각기 넘긴 후 손으로 잡아 엇갈리게 X형태로 착용자의 몸을 감싸면서 팽팽하게 당기고, 상기 고무밴드(6)로 안장부(2)를 감싸면서 착용자의 앞쪽 또는 뒤쪽으로 둘러 묶거나 버클(17)로서 체결하여 마무리하게 된다. 상기 묶음끈(3)은 어깨에 걸치므로 유아의 하중을 지탱하는 주 역할을 하게 되고, 고무밴드(6)의 탄성력은 엉덩이 및 허벅지를 받치면서 압박하지 않으며 안장부(2)의 주머니(13)에 수용되어 있는 쿠션부재(4)가 안락하게 받치므로 편안하여 원활한 혈액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Subsequently, the two straps (3) and the rubber band (6) are handed over to the wearer's shoulder, respectively, and grasped by the hands, while pulling tightly while wrapping the body of the wearer in an X shape, the saddle (2) with the rubber band (6). ) Wrap around the front or back of the wearer, or as a buckle (17) to finish. Since the
상기 착용상태에서 유아의 목을 보호하기 위하여 등받이(1)의 주머니(10)에 수용되어 있는 머리받침부(11)를 꺼내어 착용자의 목 등에 끈을 묶거나 버클(18)로서 체결하여 유아의 머리 유동을 방지시킴으로써 목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In order to protect the neck of the infant in the worn state, take out the
또한, 안장부(22)에 형성된 절개부(14)에 의해 유아의 다리가 벌어지므로 착용자의 옆구리에 압박되지 않아 안락한 상태를 유지시키게 되고, 절개부(14)에 지퍼(9')를 부착한 경우 필요에 따라 다리의 벌어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하 다.In addition, the infant's legs are opened by the
또한, 등받이부(1)와 안장부(2)를 봉합하지 않고 지퍼(9) 또는 버클(15)로서 결합시키는 구조를 사용하면 전개상태로 펼칠 수 있어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게 된다.In addition, the use of a structure that couples the
또한,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보조싸개(22)를 지퍼(9")로서 등받이부(1)에 결합시킨 후 유아를 눕히고 보조싸개(2)의 끈에 부착된 클립을 등반이부(1)의 결합공(21)를 이용하여 등받이부(1)의 뒤편에서 클립을 결합하면 보조싸개(22)가 유아를 감싸게 되므로 유아를 업거나 안을 때 안전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 attached to the back wrapper (22) as a zipper (9 ") coupled to the backrest part (1), the infant lying down and the clip attached to the strap of the auxiliary wrapper (2) climbing part (1) When combined with a clip from the back of the
또한, 첨부된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등받이부(1)와 안장부(2) 사이에 연결천(23)은 전개 상태로 펼칠 때 서로 분리됨을 방지하면서 버클(15) 또는 지퍼(9)를 결합할 때 편리성을 돕는 역할을 한다. Further,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connecting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상기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Although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 it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refore,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above embodiments can be appropriately modified and modified, and therefore, appropriate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봉합, 지퍼 또는 버클 중 어느 하나의 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의자 형태를 이루는 등받이부와 안장부 그리고 안장부에 배치된 쿠션부재에 의하여 안전하고 안락함을 얻을 수 있으며, 목받침부와 등받 이 판재에 의하여 등 및 목이 굽히는 것을 보호할 수 있고, 탈부착 가능한 보조싸개를 이용하여 유아를 안전하게 등받이부에 안착시킬 수 있으며, 묶음끈에 연결된 고무밴드에 의해 끈의 끌림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이면서 신장되는 고무밴드로서 안장부를 감싸면서 효과적으로 묶을 수 있으며, 안장부에 절개부를 갖으므로 유아의 다리가 벌어져 압박됨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간편한 구조의 유용한 고안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safety and comfort by the cushion member disposed in the backrest part, the saddle part and the saddle part, which is composed of any one of a suture, a zipper, or a buckle to form a chair. The back and neck can be bent by the support and back plate, and the detachable auxiliary wrapper allows the infant to be safely seated on the back, and the rubber band connected to the bundle to prevent dragging. It is a hygienic and stretchable rubber band that can be effectively tied while wrapping the saddle, and has a cutout in the saddle, which is a useful design of a very simple structure that can prevent the infant's legs from being compressed.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7273U KR200433802Y1 (en) | 2006-09-30 | 2006-09-30 | Baby ba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7273U KR200433802Y1 (en) | 2006-09-30 | 2006-09-30 | Baby ba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3802Y1 true KR200433802Y1 (en) | 2006-12-13 |
Family
ID=41782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7273U Expired - Fee Related KR200433802Y1 (en) | 2006-09-30 | 2006-09-30 | Baby ba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3802Y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1302Y1 (en) * | 2013-03-05 | 2014-02-13 | 김원일 | Outer wrap band |
KR20180012677A (en) * | 2016-07-27 | 2018-02-06 | 이종진 | Inner wrapper for baby |
WO2019146810A1 (en) * | 2018-01-25 | 2019-08-01 | 이종진 | Inner wrapper for infant |
-
2006
- 2006-09-30 KR KR2020060027273U patent/KR200433802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1302Y1 (en) * | 2013-03-05 | 2014-02-13 | 김원일 | Outer wrap band |
KR20180012677A (en) * | 2016-07-27 | 2018-02-06 | 이종진 | Inner wrapper for baby |
KR101922307B1 (en) * | 2016-07-27 | 2018-11-26 | 이종진 | Inner wrapper for baby |
WO2019146810A1 (en) * | 2018-01-25 | 2019-08-01 | 이종진 | Inner wrapper for infa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22221532B2 (en) | A Baby Carrier | |
EP1767125B1 (en) | Sling type baby holding carrier | |
KR101433183B1 (en) | Baby outfit | |
JP3210531U (en) | Hip seat carrier set | |
US20140319189A1 (en) | Child carrier | |
KR101829876B1 (en) | Baby carrier | |
KR200477837Y1 (en) | Hip seat carrier set | |
KR101812529B1 (en) | Baby carrier having hip-seat | |
JP2001137082A (en) | Baby carrier for facing and forward facing hold | |
WO2012079787A1 (en) | Child carrier | |
JP6342163B2 (en) | Lullaby | |
US20190246811A1 (en) | Infant carrier | |
KR200433802Y1 (en) | Baby bag | |
KR101955475B1 (en) | Hip seat carrier having shock absorbing shoulder belt | |
KR200448684Y1 (en) | Baby Bags with Footrests | |
CN111700318A (en) | Down jacket capable of carrying baby | |
JP6408764B2 (en) | Lullaby | |
JP3145902U (en) | Infant carrier | |
KR20100044985A (en) | The bend for baby carrying | |
JP3127392U (en) | Baby carrier | |
JP3131283U (en) | Baby carrier | |
KR20090012560U (en) | Baby bag | |
TWM517571U (en) | Dual bearing-on-shoulder baby sling | |
KR101502580B1 (en) | Hip seat for infant | |
KR200167674Y1 (en) | A quilt for little childr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930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12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100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120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1206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211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