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9833A - Bldc 모터 제어기 - Google Patents

Bldc 모터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9833A
KR20230119833A KR1020220016069A KR20220016069A KR20230119833A KR 20230119833 A KR20230119833 A KR 20230119833A KR 1020220016069 A KR1020220016069 A KR 1020220016069A KR 20220016069 A KR20220016069 A KR 20220016069A KR 20230119833 A KR20230119833 A KR 20230119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fixing
motor
operation signal
motor housing
batter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충재
김병국
박성준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6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9833A/ko
Priority to PCT/KR2023/001304 priority patent/WO2023153689A1/ko
Publication of KR20230119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83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a single motor
    • H02P6/08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a single motor in a bridge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10Pumping liquid coolant; Arrangements of coolan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02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cooling-air
    • F01P7/08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cooling-air by cutting in or out of pu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ground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a single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BLDC 모터의 제어를 위한 BLDC 모터의 제어기에 관한 기술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전원 입력라인과, 비상운전모드 작동을 위한 비상운전 신호라인의 접지를 분리하여 노이즈에 의한 비상운전모드의 비정상 동작을 방지한 BLDC 모터의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BLDC 모터 제어기{Controller of 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본 발명은 BLDC 모터의 제어를 위한 BLDC 모터의 제어기에 관한 기술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전원 입력라인과, 비상운전모드 작동을 위한 비상운전 신호라인의 접지를 분리하여 노이즈에 의한 비상운전모드의 비정상 동작을 방지한 BLDC 모터의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엔진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냉각수가 구비되고, 엔진의 열에 의해 온도가 높아진 냉각수는 라디에이터를 통과하면서 다시 온도가 낮춰져 엔진을 냉각하도록 순환한다.
라디에이터는 차량 주행 시 엔진 내부로 유입되는 주행풍을 이용하여 냉각수를 냉각시키며, 차량 정지 시에는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팬을 회전시키는 팬 모터가 장착되어 있다.
팬 모터에 적용되는 BLDC모터(brushless motor)는 회전방향 및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에 의해 운전되고, 이러한 제어회로는 직류 전원을 모터에 전달하는 입력 필터 회로와, 입력 필터 회로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여 모터로 전달하는 몇 개의 스위칭 소자로 이루어지는 모터 구동 회로로 이루어지며, 제어회로를 통해 모터를 제어하는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51554호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의 모터제어장치는 정류회로(1), 인버터회로(2), 브러시리스 모터(3) 및 단상교류전원(5), 인덕터(1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정류회로(1)는 입력필터 회로에 해당하며, 인버터회로(2)는 모터 구동 회로에 해당한다.
이러한 모터제어장치는, 비상 시 팬을 회전시키기 위해 비상운전 신호라인이 게이트 드라이버에 연결되며, 차량의 시동이 ON 상태에서 차량의 엔진 컨트롤 유닛(ECU)을 통해 모터 운전 신호가 발생하지 않거나 마이크로 컨트롤로 유닛에 전달되지 않는 경우 비상 운전 모드로 전환되어 비상운전 신호라인을 통해 모터를 구동시킨다.
한편, 인버터 회로 상에는 High-side와 Low-side의 모스펫(Mos-FET)이 번갈아 가며 스위칭 구동하고, 스위칭 시 발생되는 노이즈 신호가 주변기기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때 비상운전 신호라인도 배터리 전원 입력라인과 같은 노드이기 때문에 노이즈 소스인 모스펫의 스위칭 시 비상운전 신호라인도 노이즈 신호의 영향을 받게 되며, 비상 운전 모드에서도 노이즈로 인해 모터가 구동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비상운전 신호라인은 비상 시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필수 요소이고,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직접 인가되는 신호이기 때문에 노이즈 신호에 취약할 경우 모터가 최대 회전수로 동작하거나 동작이 정지되는 등의 비정상적인 동작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모스펫의 스위칭 소스와 비상운전 신호라인의 접지 분리를 통해 비상운전 신호라인의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운전 신호라인의 접지 레퍼런스와 배터리 전원 입력라인의 접지 레퍼런스가 분리되도록 한 BLDC 모터의 제어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알루미늄 소재의 모터 하우징을 비상운전 신호라인의 접지 레퍼런스로 사용하도록 한 BLDC 모터의 제어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회로상의 비상운전 신호라인 상의 접지 포인트와 모터 하우징을 스크루를 통해 연결하여 접지하도록 한 BLDC 모터의 제어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BLDC 모터의 제어기는, 자동차 쿨링팬의 BLDC 모터 제어기에 있어서, 운전신호라인을 통해 운전 신호를 전달받아 게이트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의 운전 신호에 따라 모스펫을 온오프 하고,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류를 공급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동 전류를 상기 모터에 스위칭 하여 전달하는 모스펫; 차량 시동 시 배터리 전원을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게이트 드라이버 및 모스펫에 전달하는 배터리 전원 입력 라인; 차량의 엔진 컨트롤 유닛에서 전달되는 모터 운전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에 전달하는 운전신호라인; 및 일정 조건에서 상기 모터 운전 신호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에 전달되지 않는 경우 게이트 드라이버에 비상 운전 신호를 직접 전달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비상운전 신호라인; 을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전원 입력라인과, 상기 비상운전 신호라인 각각의 접지는 서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LDC 모터 제어기는,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이 고정되는 모터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비상운전 신호라인은, 상기 배터리 전원 입력라인과는 별도의 접지를 갖도록 상기 모터 하우징에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비상운전 신호라인의 접지를 위한 새시 접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새시 접지부가 상기 모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비상운전 신호라인이 상기 모터 하우징에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 하우징은, 상기 회로기판의 볼팅 고정을 위한 기판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모터 하우징에 볼팅 고정을 위한 기판 고정홀이 형성되되, 상기 새시 접지부는, 상기 기판 고정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통전 재질의 스크루 볼트가 상기 기판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기판 고정부에 고정 시 비상운전 신호라인이 상기 모터 하우징에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판 고정부 및 기판 고정홀은,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되, 상기 새시 접지부는, 상기 기판 고정홀 중 상기 배터리 전원 입력 라인의 접지와 최이격된 기판 고정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기판 고정부 및 기판 고정홀은,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되, 상기 새시 접지부는, 상기 기판 고정홀 중 상기 배터리 전원 입력 라인의 접지와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된 복수의 기판 고정홀 중 상기 비상운전 신호라인과 최근접한 기판 고정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BLDC 모터 제어기는,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이 고정되는 모터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전원 입력 라인은, 상기 비상운전 신호라인과는 별도의 접지를 갖도록 상기 모터 하우징에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배터리 전원 입력 라인의 접지를 위한 새시 접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새시 접지부가 상기 모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전원 입력 라인이 상기 모터 하우징에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모터 하우징은, 상기 회로기판의 볼팅 고정을 위한 기판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모터 하우징에 볼팅 고정을 위한 기판 고정홀이 형성되되, 상기 새시 접지부는, 상기 기판 고정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통전 재질의 스크루 볼트가 상기 기판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기판 고정부에 고정 시 상기 배터리 전원 입력 라인이 상기 모터 하우징에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BLDC 모터의 제어기는, 비상운전 신호라인의 접지 레퍼런스와 배터리 전원 입력라인의 접지 레퍼런스를 분리시켜 비상운전 신호라인의 모스펫 스위칭에 따른 노이즈의 영향을 최소화함에 따라 비상 운전 모드 동작 시 오동작을 최소화하여 제어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또한, 모터 하우징을 비상운전 신호라인의 접지 레퍼런스로 사용하되 회로기판을 모터하우징에 결합시키기 위한 스크루를 통해 비상운전 신호라인이 모터 하우징에 접지되도록 하여 비상운전 신호라인의 별도 접지 작업을 위한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작업 공정을 최소화함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모터 제어기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기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기의 회로기판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기)의 회로기판과 모터 하우징의 고정을 나타낸 단면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기의 회로기판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기(1000)의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제어기(100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100)과, 게이트 드라이버(Gate Driver, 200)와, 모스펫(MosFET, 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모터 제어기(1000)는, 배터리 전원 입력라인(VBAT, L100)과, 운전신호라인(PWM, L200)과, 비상운전 신호라인(IGN, L300)을 더 포함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00)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입출력 모듈을 하나의 칩으로 만들어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는 일종의 컴퓨터이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00)은 게이트 드라이버(200)의 레귤레이터(210)를 통해 변환된 3.3V 전압을 공급받아 구동하며, 배터리 전원 입력라인(L100)으로부터 배터리 전원의 인가 여부를 센싱하는 제1 센싱부(ADC, 110)와, 게이트 드라이버(200)로부터 전달되는 직류 전류 인가 여부 및 온도를 센싱하는 제2 센싱부(ADC, 120)와, 운전 신호를 게이트 드라이버(200)에 전달하는 운전 신호부(PWM Signal, 130)를 포함한다.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00)의 운전 신호에 따라 모스펫(300)을 온오프 할 수 있는 전압레벨로 바꾸고, 전류를 공급하여 모스펫(300)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모스펫(300)에 15V를 인가하면 ON 되고, -8V를 인가하면 OFF 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배터리 전원 입력라인(L100)으로부터 12V를 입력받아 모스펫(300)에 15V 또는 ??8V를 공급할 수 있는 별도의 전원회로와 전류버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배터리 전원 입력라인(L100)으로부터 12V를 입력 받아 구동되되,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00)으로 3.3V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레귤레이터(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운전신호라인(L200)의 운전 신호를 쉬프트 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00)에 전달하기 위한 운전신호 레벨 쉬프터(220)를 포함한다. 아울러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비상운전 신호라인(L300)으로부터 비상 운전 신호를 전달받아 모스펫(300)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00)의 운전 신호를 수신하지 않더라도 비상운전 신호라인(L300)을 통해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고압 전력회로와 저압 제어회로 사이의 신호를 전기적으로 절연하여 전달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따라서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반도체 스위치 구동을 위해 보다 안전하고 높은 신뢰성을 제공한다.
모스펫(300)은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약어로 트랜지스터의 일종이며, 게이트 드라이버(200)의 모터 구동 전압을 모터(500)에 스위칭 하도록 모터의 전기적인 스위치 역할을 수행한다.
배터리 전원 입력라인(VBAT, L100)은, 차량 시동 시 배터리의 12V 전원을 게이트 드라이버(200)와 모스펫(300)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운전신호라인(L200)은, 차량의 엔진 컨트롤 유닛(ECU)에서 전달되는 모터 운전 신호를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00)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비상운전 신호라인(L300)은,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도 엔진 컨트롤 유닛(ECU)으로부터 모터 운전 신호가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00)에 전달되지 않는 경우 게이드 드라이버에 비상 운전 신호를 직접 전달하여 모터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배터리 전원 입력라인(L100)과 비상운전 신호라인(L300)이 같은 접지를 사용하는 경우 모스펫(300)이 스위칭하면서 발생하는 노이즈가 비상운전 신호라인(L300)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 경우 비상운전 신호라인(L300)을 통해 이상 신호가 게이트 드라이버(200)로 전달되어 비상 운전 모드 동작 시 모터(500)가 최대 알피엠으로 운전하거나, 운전이 정지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BLDC 모터 제어기(1000)는, 배터리 전원 입력라인(L100)과, 비상운전 신호라인(L300) 각각의 접지가 서로 분리되도록 구성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비상운전 신호라인(L300)이 배터리 전원 입력라인(L100)과 별도의 접지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 BLDC 모터 제어기(1000)는 비상운전 신호라인(L300)의 접지를 위한 새시 접지부(600)가 회로 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배터리 전원 입력라인(L100)의 접지를 위한 새시 접지부(610)가 회로 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BLDC 모터 제어기(1000)는, 알루미늄 소재의 모터 하우징을 비상운전 신호라인(L300) 또는 배터리 전원 입력라인(L100)의 접지 레퍼런스로 사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기(1000)의 회로기판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기(1000)의 회로 기판(900)과 모터 하우징(800)의 고정을 나타낸 단면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제어기(1000)는 회로기판(900)을 모터 하우징(800)의 기판 고정부(810)에 고정시키기 위해 회로기판(900) 상에 형성되는 기판 고정홀(910)을 포함한다. 이때 기판 고정홀(910)의 둘레에 상술된 새시 접지부(600)가 형성되도록 하고, 스크루 볼트(920)가 기판 고정홀(910)을 관통하여 모터 하우징(800)의 기판 고정부(810)에 고정 시 스크루 볼트(920)를 통해 비상운전 신호라인(L300)이 모터 하우징(800)에 접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루 볼트(920)는 통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기판 고정홀(910, 911, 912, 913)은 회로기판(900) 상에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새시 접지부(600)는, 배터리 전원 입력라인(L100)의 접지(L110)로부터 물리적으로 가장 이격된 기판 고정홀(9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전원 입력라인의 접지(L110)가 회로기판(90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경우 새시 접지부(600)는 회로기판(900)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기판 고정홀(910) 또는 하단 타측에 형성된 기판 고정홀(91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전원 입력라인(L100)의 접지(L110)와 이격된 기판 고정홀이 복수 개인 경우에는, 비상운전 신호라인(L300)과 근접한 기판 고정홀(910) 상에 새시 접지부(60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제어기(1000)의 회로기판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제어기(1000)는 회로기판(900)을 모터 하우징(800)의 기판 고정부(810, 도 4 참조)에 고정시키기 위해 회로기판(900) 상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기판 고정홀(910, 911, 912, 913)을 포함한다. 이때 배터리 전원 입력라인(L100)에 근접한 기판 고정홀(911, 912) 중 어느 하나에 상술된 새시 접지부(610)가 형성되도록 하고, 스크루 볼트(920)가 기판 고정홀(911)을 관통하여 모터 하우징(800)의 기판 고정부(810)에 고정 시 스크루 볼트(920)를 통해 배터리 전원 입력라인(L100)이 모터 하우징(800)에 접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루 볼트(920)는 통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0 : 모터 제어기
100 :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110 : 제1 센싱부
120 : 제2 센싱부
130 : 운전 신호부
200 : 게이트 드라이버
210 : 레귤레이터
220 : 운전신호 레벨 쉬프터
300 : 모스펫
500 : 모터
600, 610 : 새시 접지부
800 : 모터 하우징
810 : 기판 고정부
900 : 회로기판
910, 911, 912, 913 : 기판 고정홀
920 : 스크루 볼트
L100 : 배터리 전원 입력라인
L110 : 배터리 전원 입력라인 접지
L200 : 운전신호라인
L300 : 비상운전 신호라인

Claims (9)

  1. 자동차 쿨링팬의 BLDC 모터 제어기에 있어서,
    운전신호라인을 통해 운전 신호를 전달받아 게이트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의 운전 신호에 따라 모스펫을 온오프 하고,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류를 공급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동 전류를 상기 모터에 스위칭 하여 전달하는 모스펫;
    차량 시동 시 배터리 전원을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게이트 드라이버 및 모스펫에 전달하는 배터리 전원 입력 라인;
    차량의 엔진 컨트롤 유닛에서 전달되는 모터 운전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에 전달하는 운전신호라인; 및
    일정 조건에서 상기 모터 운전 신호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에 전달되지 않는 경우 게이트 드라이버에 비상 운전 신호를 직접 전달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비상운전 신호라인; 을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전원 입력라인과, 상기 비상운전 신호라인 각각의 접지는 서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DC 모터 제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LDC 모터 제어기는,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이 고정되는 모터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비상운전 신호라인은,
    상기 배터리 전원 입력라인과는 별도의 접지를 갖도록 상기 모터 하우징에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DC 모터 제어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비상운전 신호라인의 접지를 위한 새시 접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새시 접지부가 상기 모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비상운전 신호라인이 상기 모터 하우징에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DC 모터 제어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은,
    상기 회로기판의 볼팅 고정을 위한 기판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모터 하우징에 볼팅 고정을 위한 기판 고정홀이 형성되되,
    상기 새시 접지부는,
    상기 기판 고정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통전 재질의 스크루 볼트가 상기 기판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기판 고정부에 고정 시 비상운전 신호라인이 상기 모터 하우징에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DC 모터 제어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고정부 및 기판 고정홀은,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되,
    상기 새시 접지부는,
    상기 기판 고정홀 중 상기 배터리 전원 입력 라인의 접지와 최이격된 기판 고정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DC 모터 제어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고정부 및 기판 고정홀은,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되,
    상기 새시 접지부는,
    상기 기판 고정홀 중 상기 배터리 전원 입력 라인의 접지와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된 복수의 기판 고정홀 중 상기 비상운전 신호라인과 최근접한 기판 고정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DC 모터 제어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LDC 모터 제어기는,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이 고정되는 모터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전원 입력 라인은,
    상기 비상운전 신호라인과는 별도의 접지를 갖도록 상기 모터 하우징에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DC 모터 제어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배터리 전원 입력 라인의 접지를 위한 새시 접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새시 접지부가 상기 모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전원 입력 라인이 상기 모터 하우징에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DC 모터 제어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은,
    상기 회로기판의 볼팅 고정을 위한 기판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모터 하우징에 볼팅 고정을 위한 기판 고정홀이 형성되되,
    상기 새시 접지부는,
    상기 기판 고정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통전 재질의 스크루 볼트가 상기 기판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기판 고정부에 고정 시 상기 배터리 전원 입력 라인이 상기 모터 하우징에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DC 모터 제어기.
KR1020220016069A 2022-02-08 2022-02-08 Bldc 모터 제어기 KR2023011983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069A KR20230119833A (ko) 2022-02-08 2022-02-08 Bldc 모터 제어기
PCT/KR2023/001304 WO2023153689A1 (ko) 2022-02-08 2023-01-27 Bldc 모터 제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069A KR20230119833A (ko) 2022-02-08 2022-02-08 Bldc 모터 제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833A true KR20230119833A (ko) 2023-08-16

Family

ID=87564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069A KR20230119833A (ko) 2022-02-08 2022-02-08 Bldc 모터 제어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9833A (ko)
WO (1) WO202315368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1488A (ja) * 1992-09-10 1994-05-20 Tatsuno Co Ltd 電気自動車
JP5107114B2 (ja) * 2008-03-28 2012-12-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インバータ一体型電動圧縮機
KR102368143B1 (ko) * 2017-07-17 2022-03-0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인버터 일체형 bldc 모터
WO2019166080A1 (de) * 2018-02-28 2019-09-06 Pierburg Pump Technology Gmbh Elektrisches kfz-nebenaggregat
JP7238525B2 (ja) * 2019-03-25 2023-03-14 株式会社デンソー モータ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3689A1 (ko) 202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5828B2 (en) Electronic control unit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90126972A1 (en) Load drive device
US7589481B2 (en) Control device integrated dynamo-electric machine
JP5199698B2 (ja) 一体型電動圧縮機
US20040020231A1 (en) Electrical apparatus, cooling system therefor, and electric vehicle
US8680726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driving apparatus including semiconductor device
US9106173B2 (en) Motor driving device and method of protecting motor driving device
JP2002232280A (ja) 負荷制御装置
JP5065986B2 (ja) 半導体装置の駆動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20120286712A1 (en) Motor drive apparatus
JP2006304522A (ja) パワーユニット装置及び電力変換装置
US9859794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otor control unit
JP2019033587A (ja) 電力変換装置および電力変換装置を搭載した車両
KR20230119833A (ko) Bldc 모터 제어기
US11292511B2 (en) Electronic control unit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7259554A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装置
JP2004064934A (ja) モータ駆動装置
WO2022030190A1 (ja) 電力変換器の制御回路
CN209926275U (zh) 一种车灯安全控制驱动装置
CN116783808A (zh) 逆变器装置和电驱动布置
JP3831296B2 (ja) 三相モータ駆動装置
JP3856212B2 (ja) 駆動装置
WO2021220908A1 (ja) 電力変換器の制御回路
JP2004328847A (ja) モータ装置
WO2023145467A1 (ja) 平滑コンデンサの放電回路、及び平滑コンデンサの放電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