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9407A - 철제 신발장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철제 신발장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9407A
KR20230119407A KR1020220015509A KR20220015509A KR20230119407A KR 20230119407 A KR20230119407 A KR 20230119407A KR 1020220015509 A KR1020220015509 A KR 1020220015509A KR 20220015509 A KR20220015509 A KR 20220015509A KR 20230119407 A KR20230119407 A KR 20230119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helf
plate
vertica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동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엠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엠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엠이엔지
Priority to KR1020220015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9407A/ko
Publication of KR20230119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4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4Wardrobes for shoes, hats, umbrella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of metal only
    • A47B47/021Racks or shelf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84Cabinet systems consisting of stacked-and-linked uniform casings, each being a cabinet or drawer-holder, e.g. lockers, mail/file boxing systems
    • A47B87/0292Cabinet systems consisting of stacked-and-linked uniform casings, each being a cabinet or drawer-holder, e.g. lockers, mail/file boxing systems each casing having a cross-section with a closed periph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철제 신발장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철제 신발장은, 모든 부품이 스테인레스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신발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상,하 좌,우으로 배열된 것이다. 철제 신발장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직판재와, 적어도 2개 이상의 선반부재와, 수직판재와 각 선반부재의 배면에 리벳으로 결합되는 배면판재와, 수직판재와 배면판재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마감판재와, 각 선반부재와 배면판재의 후방부와 결합되는 좌,우측의 측면판재와, 측면판재 및 배면판재에 결합되는 상부 마감판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제 신발장 및 그 조립방법{IRON SHOES CABINET AND ASSEMBL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철제 신발장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은 부품으로 신속하게 다수개의 수용공간을 갖는 철재로 된 신발장을 제작할 수 있는 철제 신발장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장은 실내의 한쪽 벽면에 세워진 채로 다수 칸으로 구획된 각 층에 각종 신발들을 정리 및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수납 가구이다.
종래의 신발장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 건축물의 출입문 내, 외측에 설치되어 신발을 가지런한 상태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정방형이나 장방형으로 형성한 프레임(1)과, 프레임(1)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판(2)과, 프레임(1)의 내부에 다단의 선반(3)을 구비하는 형태이다. 선반(3)은 각각의 고정핀(4)에 의해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신발장은 프레임과 후판의 결합시 못이나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하고, 또한 각각의 선반을 프레임에 고정시 선반을 설치하는 곳마다 고정브라켓을 이용하여 고정핀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약한 충격과 과도한 하중에도 쉽게 파손되는 등 그 구조가 견고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선반의 설치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신발장은 신발장을 구성하는 판상의 재료로서 통상적으로 집성목재판(MDF)나 원목을 판으로 형성하고 그 표면을 가공한 후 조립하여 사용하는 목재 신발장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목재 신발장은 비교적 저렴한 비용을 구입할 수 있었으나, 습기에 약하고 쉽게 파손되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위와 같은 목재가 갖는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합성수지를 성형하여 신발장의 구성요소 들을 제작한 합성수지제 신발장도 많이 생산되고 있으나, 이러한 합성수지제 신발장은 금형의 제작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어 제품의 가격상승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폐기시 환경오염을 야기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신발장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2181호(공고일 : 2008.10.16)에는, 조립식 철제 신발장이 개시되었다. 선행기술에 의한 철제 신발장은, 좌우측판 상하부에 각각 상판과 하판이 구성되어 지고, 좌우측판 사이에 칸막이판이 상기 상판과 하판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좌측판과 칸막이판 사이에 신발을 수납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선반이 설치되고, 후방에 후면판 및 전방에 문짝판이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철제 신발장은, 목재로 된 신발장에 비하여 내구성이 현저하게 향상되었으나, 부품수가 많아지고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2181호(공고일 : 2008.10.16)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부품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다수개의 수용공간을 갖는 철재로 된 신발장을 제작할 수 있는 철제 신발장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신발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상,하 좌,우으로 배열된 철제 신발장으로서, 전방 쪽 길이방향 가장자리가 사각형으로 다중 절곡되어 전방 절곡부와 후방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 절곡부에 전방 결합부가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형성되는 수직 전방 지지부와, 상기 전방 결합부에 대응되는 각각의 후방 선반 결합홈을 구비하여 후방 쪽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수직 후방 결합단과, 상기 후방 선반 결합홈에서 상기 전방 결합부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중간부까지 형성되는 제1 선반 결합슬롯과,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되는 수직 상,하부 결합단을 포함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직판재; 전방에서 중간부까지 형성되는 제2 선반 결합슬롯과, 전,후 및 좌,우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전,후방 결합단 및 좌,우 결합단과, 상기 전방 결합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전방 결합단에 형성되는 선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선반 결합슬롯에 수평으로 끼움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상,하부로 구획하는 적어도 개 이상의 선반부재; 상,하부에 배면 상,하부 결합단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직 후방 결합단 및 상기 후방 결합단과 리벳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후방을 커버하는 배면판재; 상기 수직 하부 결합단 및 상기 배면 하부 결합단과 리벳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 마감판재; 전방 쪽 길이방향 가장자리가 사각형으로 다중 절곡되어 측면 전방 절곡부와 측면 후방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후방 절곡부에는 상기 전방 결합부에 대응되는 측면 결합부가 형성되는 측면 전방 지지부와, 후방 쪽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측면 후방 결합단과,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절곡 형성되는 측면 상,하부 결합단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결합부가 상기 전방 결합부에 결합되고 중간부가 상기 좌,우 결합단에 각각 리벳으로 결합되며 각 상기 측면 후방 결합단은 상기 배면판재의 양쪽 가장자리에 리벳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양 측면을 각각 커버하는 측면판재; 및 상기 수직 상부 결합단, 상기 배면 상부 결합단 및 양쪽의 상기 측면 상부 결합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마감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신발장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전방 결합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오픈형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전방 결합슬롯 또는 전방 결합홈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기 수용공간에 도어를 설치하여 개폐형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상기 전방 결합슬롯과 상기 전방 결합홈이 교대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선반 결합부는, 상기 전방 결합부가 상기 전방 결합홈인 경우에는, 상기 전방 결합단의 일부가 상기 전방 결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전방 결합부가 상기 전방 결합슬롯인 경우에는, 상기 후방 절곡부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 선반 결합슬롯에 접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중앙 삽입홈과, 양쪽의 상기 측면 후방 절곡부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전방 결합단의 양쪽 코너에 각각 형성되는 측부 삽입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면 결합부는, 상기 전방 결합부가 상기 전방 결합홈인 경우에는, 상기 전방 결합단의 좌,우측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측면 후방 절곡부에 측면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방 결합부가 상기 전방 결합슬롯인 경우에는, 상기 측면 후방 절곡부의 일부가 상기 측부 삽입홈에 삽입될 때 상기 선반부재의 선반 삽입단이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측면 결합슬롯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마감판재는, 상기 신발장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을 형성하고, 전방 양쪽에는 각 상기 측면 후방 절곡부의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하부 결합홈이 형성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전방부가 직하방으로 절곡되어 양쪽 상기 측면판재 사이의 전방부를 커버하는 전방 커버부; 및 상기 바닥부의 좌,우측과 후방에 각각 절곡 형성되는 각각의 하부 결합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를 구성하는 상기 선반부재 사이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철제 신발장을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수직판재의 후방에서 각 상기 제1 선반 결합슬롯에 각 상기 선반부재의 상기 제2 선반 결합슬롯이 맞닿도록 끼움 결합하되, 상기 수직판재에 대하여 상기 선반부재가 "+"형으로 교차하도록 결합하는 선반부재 끼움 결합단계; 상기 수직판재의 각 상기 제1 선반 결합슬롯에 각각의 선반부재가 교차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수직 후방 결합단과 상기 후방 결합단에 상기 배면판재의 중간부를 밀착시킨 후 리벳으로 결합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배면을 커버하는 배면판재 결합단계; 상기 하부 마감판재의 후방에 절곡 형성되는 하부 결합단을 상기 배면판재에 밀착시켜 리벳으로 결합하고, 상기 수직판재의 상기 수직 하부 결합단을 중간부에 밀착시켜 리벳으로 결합하는 하부 마감판재 결합단계; 상기 수용공간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의 상기 측면판재를 각각 배치한 후 각각의 상기 좌,우측 결합단에 상기 측면판재의 중간부를 리벳으로 결합하고, 각 상기 측면판재의 측면 후방 결합단을 상기 배면판재의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리벳으로 결합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양 측면을 커버하는 측면판재 결합단계; 및 상기 수직 상부 결합단, 상기 배면 상부 결합단 및 양쪽의 상기 측면 상부 결합단에 상기 상부 마감판재를 결합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마감판재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신발장 조립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선반부재 끼움 결합단계는, 상기 전방 결합부가 전방 결합홈인 경우에는 상기 전방 결합단의 중간부 일부분을 상기 전방 결합홈에 삽입하고, 상기 전방 결합단의 좌,우측 일부를 양쪽의 상기 측면 결합홈에 각각 삽입하며, 상기 전방 결합부가 상기 전방 결합슬롯인 경우에는, 상기 후방 절곡부의 일부를 상기 중앙 삽입홈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판재 결합단계는, 상기 전방 결합부가 상기 전방 결합홈인 경우에는, 각 상기 측면 후방 절곡부의 상기 측면 결합홈에 상기 전방 결합단의 좌,우측 일부를 각각 삽입하고, 상기 전방 결합부가 상기 전방 결합슬롯인 경우에는, 각 상기 측면 후방 절곡부의 일부를 양쪽의 상기 측부 삽입홈에 각각 삽입하되, 상기 선반부재의 선반 삽입단을 상기 측면 결합슬롯에 끼움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의 입구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판재에 각각의 선반부재를 교차되도록 끼움 결합하고 수직판재와 각가 선반부재에 배면판재와 하부 마감판재, 좌,우 측판부재 및 상부 마감판재를 리벳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적은 부품으로 내구성이 우수하고 다수개의 수용공간을 갖는 철재로 된 신발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발장의 조립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신발장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제 신발장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철제 신발장을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3의 A-A선, B-B, C-C 및 D-D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제 신발장을 조립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제 신발장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철제 신발장을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A-A선, B-B 및 C-C선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제 신발장(10)은, 모든 부품이 스테인레스재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신발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S)이 상,하 좌,우으로 배열된 것이다. 이러한 철제 신발장(10)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직판재(30)와, 적어도 2개 이상의 선반부재(40)와, 수직판재(30)와 각 선반부재(40)의 배면에 리벳으로 결합되는 배면판재(50)와, 수직판재(30)와 배면판재(5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마감판재(60)와, 각 선반부재(40)와 배면판재(50)의 후방부와 결합되는 좌,우측의 측면판재(70A,70B)와, 측면판재(70A,70B) 및 배면판재(50)에 결합되는 상부 마감판재(80)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각 구성품은 모두 스테인레스 스틸로 구성되므로 녹 발생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외관이 미려하고 내구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수직판재(30)는, 신발이 수용되는 수용공간(S)을 폭방향, 즉 좌측 및 우측으로 구획하기 위한 것으로, 신발장(10)의 크기에 따라 1-4개로 구성되며 각각의 수직판재(30)는 수용공간(S)을 신발장(10)의 폭방향으로 구획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1개로 구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수직판재(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판재로 구성된 것으로, 전방 쪽 길이방향 가장자리가 사각형으로 다중 절곡되어 전방 절곡부(32A)와 후방 절곡부(32B)가 형성되고 후방 절곡부(32B)에 전방 결합부(32C)가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형성되는 수직 전방 지지부(32)와, 전방 결합부(32C)에 대응되는 각각의 후방 선반 결합홈(34A)을 구비하여 후방 쪽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수직 후방 결합단(34)과, 후방 선반 결합홈(34A)에서 전방 결합부(32C)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중간부까지 형성되는 제1 선반 결합슬롯(36)과,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되는 수직 상,하부 결합단(38A,38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방 결합부(32C)는, 수용공간(S)을 오픈형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전방 결합슬롯(32C-2) 또는 전방 결합홈(32C-1)으로 이루어진다. 즉, 신발장(10)의 각 수용공간(S)에 도어(D)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 전방 결합부(32C)는 전방 결합홈(32C-1)들로만 이루어지거나 전방 결합슬롯(32C-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D)가 설치되지 않는 구조는 도어(D)의 개폐작동 공간이 불필요하므로 전방 결합슬롯(32C-2) 또는 전방 결합홈(32C-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수용공간(S)에 도어(D)를 설치하여 개폐형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결합슬롯(32C-2)과 전방 결합홈(32C-1)이 교대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D)가 설치되는 개폐형으로 구성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전방 결합홈(32C-1)의 상,하부 폭은 후술할 선반부재(40)의 전방 결합단(44A)이 끼워질 수 있는 수치로 형성되고, 전방 결합슬롯(32C-2)은 선반부재(40)의 두께보다 큰 수치로 형성된다.
제1 선반 결합슬롯(36)은 선반부재(40)가 수평방향으로 끼움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수직판재(30)의 후방에서 중간부까지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제1 선반 결합슬롯(36)과, 전방 결합부(32C)는 수직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선반부재(40)는, 제1 선반 결합슬롯(36)에 수평으로 끼움 결합되어 수용공간(S)을 상,하부로 구획하기 위한 것으로,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서 중간부까지 제2 선반 결합슬롯(42)이 형성된다. 선반부재(40)의 전,후 및 좌,우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전,후방 결합단(44A,44B) 및 좌,우 결합단(44C,44D)가 각각 절곡 형성된다. 전방 결합단(44A)에는 전방 결합부(32C)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선반 결합부(46)가 형성된다.
선반 결합부(46)는, 전방 결합부(32C)가 전방 결합홈(32C-1)인 경우에는, 전방 결합홈(32C-1)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전방 결합단(44A)의 일부의 일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선반 결합부(46)는, 전방 결합부(32C)가 전방 결합슬롯(32C-2)인 경우에는, 후방 절곡부(32B)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제2 선반 결합슬롯(42)에 접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중앙 삽입홈(46A)과, 양쪽의 측면 후방 절곡부(72)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전방 결합단(44A)의 양쪽 코너에 각각 형성되는 측부 삽입홈(46B)들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선반부재(40)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선반 결합슬롯(42)만 형성된 것과, 선반 결합부(46)가 중앙 삽입홈(46A)과 각각의 측부 삽입홈(46B)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즉, 제2 선반 결합슬롯(42)만 형성된 선반부재(40)와 중앙 삽입홈(46A)과 각각의 측부 삽입홈(46B)이 형성된 선반부재(40)가 교대로 배치된 것으로, 전방 결합부(32C)가 전방 결합홈(32C-1)인 경우에는 제2 선반 결합슬롯(42)만 형성된 선반부재(40)가 적용되고, 전방 결합슬롯(32C-2)인 경우에는 중앙 삽입홈(46A)과 각각의 측부 삽입홈(46B)이 형성된 선반부재(40)가 적용되는 것이다.
한편, 제2 선반 결합슬롯(4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삽입홈(46A)의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되는데, 이는 전방 지지부(32)가 한 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이에 대응되도록 하여 후방 절곡부(32B)가 중앙 삽입홈(46A)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배면판재(50)는, 수직판재(30)와 각 선반부재(40)의 배면에 리벳으로 결합되어 수용공간(S)의 후방부를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부에 배면 상,하부 결합단(52A,52B)이 각각 형성되고, 수직 후방 결합단(34) 및 후방 결합단(44B)과 리벳으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서 수직 후방 결합단(34) 및 후방 결합단(44B)에는 리벳공을 각각 형성하고, 배면판재(50)의 중앙부분에도 리벳공을 각각 형성하여 서로 일치하는 리벳공에 리벳을 삽입한 후 서로 결합한다. 이러한 작업은 용접을 대체할 수 있으므로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작업 난이도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하부 마감판재(60)는, 수직 하부 결합단(38B) 및 배면 하부 결합단(52B)과 리벳으로 결합되어 수용공간(S)의 하부를 커버하기 위한 것이다. 하부 마감판재(60)는, 신발장(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수용공간(S)의 바닥을 형성하고, 전방 양쪽에는 각 측면 후방 절곡부(72B)의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하부 결합홈(62A)이 각각 형성되는 바닥부(62)와, 바닥부(62)의 전방부가 직하방으로 절곡되어 양쪽 측면판재(70A,740B) 사이의 전방부를 커버하는 전방 커버부(64)와, 바닥부(62)의 좌,우측과 후방에 각각 절곡 형성되는 각각의 하부 결합단(66A,66B,66C)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하부 결합단(66A,66B,66C)들은 리벳에 의해 각 측판부재(70A,70B) 및 배면판재(50)에 결합된다.
측면판재(70A,70B)는, 각 수용공간(S)의 양 측면을 각각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수용공간(S)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측면판재(70A)와 우측에 위치하는 측면판재(70B)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측면판재(70A,70B)는 대칭 형상을 갖는다. 측면판재(70A,70B)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측면판재(70A,70B)의 전방 쪽 길이방향 가장자리가 사각형으로 다중 절곡되어 측면 전방 절곡부(72A)와 측면 후방 절곡부(72B)가 각각 형성된다. 각각의 측면 후방 절곡부(72B)에는 전방 결합부(32C)에 대응되는 측면 결합부(72C)가 형성되는 각각의 측면 전방 지지부(72)와, 후방 쪽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측면 후방 결합단(74)과,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절곡 형성되는 측면 상,하부 결합단(76A,76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측면 결합부(72C)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결합부(32C)가 전방 결합홈(32C-1)인 경우에, 선반부재(40)의 전방에 형성된 전방 결합단(44A)의 좌,우측 일부가 삽입되도록 각 측면 후방 절곡부(72B)에 형성되는 측면 결합홈(72C-1)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방 결합부(32C)가 전방 결합슬롯(32C-2)인 경우에는, 측면 후방 절곡부(72B)의 일부가 측부 삽입홈(46B)에 삽입될 때 선반부재(40)의 선반 삽입단(46C)이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측면 결합슬롯(72C-2)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측면판재(70A,70B)는, 측면 결합부(72C)가 전방 결합부(32C)에 결합되고 중간부가 선반부재(40)의 좌,우 결합단((44C,44D)에 각각 리벳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각 측면 후방 결합단(74)은 배면판재(50)의 양쪽 가장자리에 리벳으로 결합된다.
상부 마감판재(80)는, 신발장(10)의 상부를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전,후 및 좌,우 단부가 각각 사각으로 다단 절곡된다. 이러한 절곡구조에 의해 충분한 강성을 유지한다. 그리고, 상부 마감판재(80)는 수직 상부 결합단(38A), 배면 상부 결합단(52A) 및 양쪽의 측면 상부 결합단(76A,76B)에 리벳을오 결합되어 가장 상붕 위치하는 수용공간(S)의 상부를 커버한다.
한편, 각각의 선반부재(40)들 사이에는 도어(D)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도어(D)의 한쪽은 힌지에 의해 상,하부 선반부재(40)의 한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반대쪽의 수직판재(30) 또는 측면판재(70A,70B)에는 도어(D)의 닫힘상태를 임시로 유지시키기 위한 자석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신발장(10)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제 신발장(10)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미리 절단, 절곡 및 천공 작업을 통하여 제작한다.
즉, 수직판재(30)의 결합위치에 리벳공들을 각각 천공하고, 각 변 가장자리를 절곡하여 수직 전방 지지부(32)와 수직 후방 결합단(34) 및 수직 상,하부 결합단(38A,38B)를 각각 형성하며, 제1 선반 결합슬롯(36)을 각각 형성한다. 각각의 선반부재(40)에는 전,후방 결합단(44A,44B) 및 좌,우 결합단(44C,44D)을 각각 절곡하여 형성하고, 제2 선반 결합슬롯(42)을 형성한다. 배면판재(50)의 각 단부를 절곡하여 상,하부 결합단(52A,52B)를 형성한다. 또한 하부 마감판재(60)와 상부 마감판재(80)를 각각 절곡하여 결합하며, 양쪽의 측면판재(70A,70B)를 각각 절곡하여 형성한다.
이때, 각각의 구성요소에는 서로 리벳 결합되도록 각각의 결합위치에 리벳공을 미리 형성한다.
이와 같이 미리 제작된 철제 신발장(10)의 각 구성품은 아래와 같은 방법에 의해 조립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8을 참조한다.
a) 선반부재 끼움 결합단계
이 단계는, 수직판재(30)의 각 제1 선반 결합슬롯(36)에 각각의 선반부재(40)를 수평방향으로 끼움 결합하여 각각의 수용공간(S)을 수직방향으로 연이어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즉, 수직판재(30)의 후방에서 각 제1 선반 결합슬롯(36)에 각 선반부재(40)의 제2 선반 결합슬롯(42)이 맞닿도록 끼움 결합한다. 즉, 수직판재(30)에 대하여 선반부재(40)가 "+"형으로 교차하도록 제1 선반 결합슬롯(36)에 제2 선반 결합슬롯(42)를 끼움 결합한다. 이 과정으로 제1 선반 결합슬롯(36)의 내측에 제2 선반 결합슬롯(42)의 내측이 맞닿게 된다.
이때, 전방 결합부(32C)가 전방 결합홈(32C-1)인 경우에는 전방 결합단(44A)의 중간부 일부분을 전방 결합홈(32C-1)에 삽입한다. 즉, 전방 결합부(32C)가 전방 결합홈(32C-1)인 경우에는 제2 선반 결합슬롯(42)만 형성된 선반부재9840)를 전방 결합부(32C)에 삽입한다.
그리고, 전방 결합부(32C)가 전방 결합슬롯(32C-2)인 경우에는, 수직판재(30)의 후방 절곡부(32B)의 일부를 제2 선반 결합슬롯(42)의 입구가 형성된 중앙 삽입홈(46A)에 삽입한다. 즉, 전방 결합부(32C)가 전방 결합슬롯(32C-2)인 경우에는 중앙 삽입홈(46A)과 측부 삽입홈(46B)이 형성된 선반부재(30)를 전방 결합부(32C)에 결합하되, 중앙 삽입홈(46A)에 후방 절곡부(32B)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전방 결합슬롯(32C-2)에 중앙 삽입홈(46A)의 단부를 삽입한다.
전술한 과정으로 수직판재(30)의 각 전방 결합부(32)에 각각의 선반부재(40)를 끼움 결합함에 따라 각각의 선반부재(40)는 수직판재(30)의 수직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유지하여 수평으로 각각 결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전방 결합슬롯(32C-2)에 끼움 결합된 선반부재(40)의 전방 결합단(44A)은 수직판재(30)의 전방 절곡부(32A) 전면과 일치한 상태가 되고, 전방 결합홈(32C-1)에 결합된 선반부재(40)의 전방 결합단(44A)의 전면은 전방 결합슬롯(32C-2)에 끼움 결합된 선반부재(40)의 전방 결합단(44A) 보다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도어(D)가 설치되었을 때 도어(D)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5에 된 바와 같이, 중앙 삽입홈(46A)이 형성된 제1 선반부재(40A)는 전방 결합슬롯(32C-2)에 끼움 결합되고, 제2 선반 결합슬롯(42)만 형성된 제2 선반부재(40B)는 전방 결합홈(32C-1)에 끼움 결합된다. 이때, 각각의 제1,2 선반부재(40A,40B)가 교대로 배치되어 각각 설치되므로, 상,하부의 제1 선반부재(40A) 사이에 제2 선반부재(40B)가 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상,하부의 제1 선반부재(40A) 사이, 즉 수용공간(S)의 입구에 도어(D)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b) 배면판재 결합단계
전술한 과정으로 각 제1 선반 결합슬롯(36)에 각각의 선반부재(40A,40B)가 교차되도록 결합되면, 수직판재(30)의 각 수직 후방 결합단(34)과 각 선반부재(40A,40B))의 후방 결합단(44A)에 배면판재(50)의 중간부를 밀착시킨 후 리벳으로 결합하여 각 수용공간(S)의 배면을 커버한다.
c) 하부 마감판재 결합단계
전술한 과정으로 수직판재(30)와 각 선반부재940A,40B)에 배면판재(50)가 결합되면, 하부 마감판재(60)의 후방에 절곡 형성되는 하부 결합단(66C)을 배면판재(50)에 밀착시켜 리벳으로 결합하고, 수직판재(30)의 수직 하부 결합단(38B)을 하부 마감판재(60)의 상면 중간부에 밀착시켜 리벳으로 결합한다. 하부 마감판재(60)가 결합됨에 따라 가장 하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S)의 하부가 커버된다.
d) 측면판재 결합단계
전술한 과정으로 전술한 과정으로 수직판재(30)와 각 선반부재940A,40B)에 배면판재(50)가 결합되고 하부 마감판재(60)가 결합되면, 수용공간(S)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의 측면판재(70A,70B)를 각각 배치한 후 각각의 좌,우측 결합단(44C,44D)에 각 측면판재(70A,70B)의 중간부를 밀착시킨 후 리벳으로 결합한다. 그리고, 각 측면판재(70A,70B)의 측면 후방 결합단(74)을 배면판재(50)의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리벳으로 결합한다. 이때, 각 선반부재(40A,40B)들의 전방 결합단(44A) 좌,우측 일부를 양쪽 측면판재(70A,70B)의 각 측면 결합홈(72C-1) 및 측부 삽입홈(46B)에 각각 끼움 결합한다.
즉, 제1 선반부재(40A)가 전방 결합슬롯(32C-2)에 끼움 결합될 때 양쪽의 측부 삽입홈(46B)에 각 측면 후방 절곡부(72B)가 삽입되면서 선반 삽입단(46C)이 측면 결합슬롯(72C-2)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2 선반부재(40B)가 전방 결합홈(32C-1)에 삽입될 때 각 측면 후방 절곡부(72B)에 형성된 측면 결합홈(72C-1)에 전방 결합단(44A)의 좌측 및 우측 일부를 각각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 과정으로 각 수용공간(S)의 양 측면은 커버된다.
전술한 과정으로 양쪽에 측면판재(70A,70B)가 각각 결합되면, 제2 선반부재(40B)를 사이에 두고 상,하부에 배치된 제1 선반부재(40A)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S)의 입구에 수용공간(S)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D)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도어(D)에 의해 수용공간(S)은 개폐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신발장(10)을 오픈형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도어(D)는 불필요하다.
e) 상부 마감판재 결합단계
신발장(10)의 양쪽 측부에 측판부재(70A,70B)가 각각 결합되면, 수직 상부 결합단(38A), 배면 상부 결합단(52A) 및 양쪽의 각 측면 상부 결합단(76A)에 상부 마감판재(80)를 리벳으로 결합한다. 이 과정으로 상부쪽 수용공간(S)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고, 신발장(10)의 상부가 마감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수직판재(30)에 각각의 선반부재(40)들을 "+"형으로 교차되도록 끼움 결합한 후 수직판재(30)와 각 선반부재(40)들에 배면판재(50)와 양쪽의 측면판재(70A,740B)를 리벳으로 결합하고, 하부에는 하부 마감판재(60)를 리벳으로 결합하고, 상부에는 상부 마감판재(80)를 리벳으로 결합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하고 내구성이 현저하게 향상된 철재로 된 신발장(10)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구성품을 끼움 조립한 후 리벳으로 조립함으로써 각 부품의 조립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립 작업이 현저하게 단축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신발장 30 : 수직판재
40,40A,40B : 선반부재 50 : 배면판재
60 : 하부 마감판재 70A,70B : 측판부재
80 : 상부 마감판재

Claims (10)

  1. 신발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상,하 좌,우으로 배열된 철제 신발장으로서,
    전방 쪽 길이방향 가장자리가 사각형으로 다중 절곡되어 전방 절곡부와 후방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 절곡부에 전방 결합부가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형성되는 수직 전방 지지부와, 상기 전방 결합부에 대응되는 각각의 후방 선반 결합홈을 구비하여 후방 쪽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수직 후방 결합단과, 상기 후방 선반 결합홈에서 상기 전방 결합부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중간부까지 형성되는 제1 선반 결합슬롯과,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되는 수직 상,하부 결합단을 포함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직판재;
    전방에서 중간부까지 형성되는 제2 선반 결합슬롯과, 전,후 및 좌,우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전,후방 결합단 및 좌,우 결합단과, 상기 전방 결합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전방 결합단에 형성되는 선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선반 결합슬롯에 수평으로 끼움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상,하부로 구획하는 적어도 개 이상의 선반부재;
    상,하부에 배면 상,하부 결합단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직 후방 결합단 및 상기 후방 결합단과 리벳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후방을 커버하는 배면판재;
    상기 수직 하부 결합단 및 상기 배면 하부 결합단과 리벳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 마감판재;
    전방 쪽 길이방향 가장자리가 사각형으로 다중 절곡되어 측면 전방 절곡부와 측면 후방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후방 절곡부에는 상기 전방 결합부에 대응되는 측면 결합부가 형성되는 측면 전방 지지부와, 후방 쪽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측면 후방 결합단과,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절곡 형성되는 측면 상,하부 결합단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결합부가 상기 전방 결합부에 결합되고 중간부가 상기 좌,우 결합단에 각각 리벳으로 결합되며 각 상기 측면 후방 결합단은 상기 배면판재의 양쪽 가장자리에 리벳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양 측면을 각각 커버하는 측면판재; 및
    상기 수직 상부 결합단, 상기 배면 상부 결합단 및 양쪽의 상기 측면 상부 결합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마감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신발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결합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오픈형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전방 결합슬롯 또는 전방 결합홈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기 수용공간에 도어를 설치하여 개폐형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상기 전방 결합슬롯과 상기 전방 결합홈이 교대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신발장.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결합부는,
    상기 전방 결합부가 상기 전방 결합홈인 경우에는, 상기 전방 결합단의 일부가 상기 전방 결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전방 결합부가 상기 전방 결합슬롯인 경우에는, 상기 후방 절곡부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 선반 결합슬롯에 접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중앙 삽입홈과, 양쪽의 상기 측면 후방 절곡부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전방 결합단의 양쪽 코너에 각각 형성되는 측부 삽입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신발장.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결합부는,
    상기 전방 결합부가 상기 전방 결합홈인 경우에는, 상기 전방 결합단의 좌,우측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측면 후방 절곡부에 측면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방 결합부가 상기 전방 결합슬롯인 경우에는, 상기 측면 후방 절곡부의 일부가 상기 측부 삽입홈에 삽입될 때 상기 선반부재의 선반 삽입단이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측면 결합슬롯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신발장.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마감판재는,
    상기 신발장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을 형성하고, 전방 양쪽에는 각 상기 측면 후방 절곡부의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하부 결합홈이 형성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전방부가 직하방으로 절곡되어 양쪽 상기 측면판재 사이의 전방부를 커버하는 전방 커버부; 및
    상기 바닥부의 좌,우측과 후방에 각각 절곡 형성되는 각각의 하부 결합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신발장.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를 구성하는 상기 선반부재 사이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신발장.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는 한 항에 따른 철제 신발장을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수직판재의 후방에서 각 상기 제1 선반 결합슬롯에 각 상기 선반부재의 상기 제2 선반 결합슬롯이 맞닿도록 끼움 결합하되, 상기 수직판재에 대하여 상기 선반부재가 "+"형으로 교차하도록 결합하는 선반부재 끼움 결합단계;
    상기 수직판재의 각 상기 제1 선반 결합슬롯에 각각의 선반부재가 교차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수직 후방 결합단과 상기 후방 결합단에 상기 배면판재의 중간부를 밀착시킨 후 리벳으로 결합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배면을 커버하는 배면판재 결합단계;
    상기 하부 마감판재의 후방에 절곡 형성되는 하부 결합단을 상기 배면판재에 밀착시켜 리벳으로 결합하고, 상기 수직판재의 상기 수직 하부 결합단을 중간부에 밀착시켜 리벳으로 결합하는 하부 마감판재 결합단계;
    상기 수용공간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의 상기 측면판재를 각각 배치한 후 각각의 상기 좌,우측 결합단에 상기 측면판재의 중간부를 리벳으로 결합하고, 각 상기 측면판재의 측면 후방 결합단을 상기 배면판재의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리벳으로 결합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양 측면을 커버하는 측면판재 결합단계; 및
    상기 수직 상부 결합단, 상기 배면 상부 결합단 및 양쪽의 상기 측면 상부 결합단에 상기 상부 마감판재를 결합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마감판재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신발장 조립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재 끼움 결합단계는,
    상기 전방 결합부가 전방 결합홈인 경우에는 상기 전방 결합단의 중간부 일부분을 상기 전방 결합홈에 삽입하고, 상기 전방 결합단의 좌,우측 일부를 양쪽의 상기 측면 결합홈에 각각 삽입하며,
    상기 전방 결합부가 상기 전방 결합슬롯인 경우에는, 상기 후방 절곡부의 일부를 상기 중앙 삽입홈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신발장 조립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재 결합단계는,
    상기 전방 결합부가 상기 전방 결합홈인 경우에는, 각 상기 측면 후방 절곡부의 상기 측면 결합홈에 상기 전방 결합단의 좌,우측 일부를 각각 삽입하고,
    상기 전방 결합부가 상기 전방 결합슬롯인 경우에는, 각 상기 측면 후방 절곡부의 일부를 양쪽의 상기 측부 삽입홈에 각각 삽입하되, 상기 선반부재의 선반 삽입단을 상기 측면 결합슬롯에 끼움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신발장 조립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입구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신발장 조립방법.




KR1020220015509A 2022-02-07 2022-02-07 철제 신발장 및 그 조립방법 KR202301194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509A KR20230119407A (ko) 2022-02-07 2022-02-07 철제 신발장 및 그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509A KR20230119407A (ko) 2022-02-07 2022-02-07 철제 신발장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407A true KR20230119407A (ko) 2023-08-16

Family

ID=87848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509A KR20230119407A (ko) 2022-02-07 2022-02-07 철제 신발장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940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181Y1 (ko) 2008-01-18 2008-10-16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조립식 철제 신발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181Y1 (ko) 2008-01-18 2008-10-16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조립식 철제 신발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632B1 (ko) 조립식 수납박스
US20020017839A1 (en) Frame structure of playing machine
US3717396A (en) Modular shell cabinet structure
US20070145864A1 (en) Modular furniture system
KR19990064711A (ko) 선반 또는 수납장용 조립식 프레임 부재세트
KR20230119407A (ko) 철제 신발장 및 그 조립방법
US3250582A (en) Structure for furniture, enclosures and the like
KR200447120Y1 (ko) 책장의 연결구조
KR101758110B1 (ko) 조립식 수납장
KR101249806B1 (ko) 조립식 신발장
KR100929009B1 (ko) 높이 및 폭 조절이 자유로운 블록형 파티션
KR200398589Y1 (ko) 조립식 책꽂이의 구조
US20140138338A1 (en) Locker shelf assembly kit with extension shelves, locker shelf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helf assembly in a locker
KR102598229B1 (ko) 조립식 책장
US7165821B2 (en) Drawer assembly
KR20090010039U (ko) 판넬과 판넬을 수직, 수평하게 연결하여 조립하는 조립식가구
JP4918837B2 (ja) 壁面構造体
WO2019215689A1 (en) A kit for assembling a furniture article framework
KR200360505Y1 (ko) 수납장
US20110198306A1 (en) Locker shelf assembly kit with extension shelves, locker shelf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helf assembly in a locker
KR200301876Y1 (ko) 조립식 수납장
JP2000300358A (ja) 組立式押入
KR100927334B1 (ko) 측판과 상. 하판의 연속연결수단을 구비한 조립식 사물함
KR20170017319A (ko) 가구용 문판 조립체
JP3235692U (ja) 組立式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