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8761A -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8761A
KR20230118761A KR1020227041584A KR20227041584A KR20230118761A KR 20230118761 A KR20230118761 A KR 20230118761A KR 1020227041584 A KR1020227041584 A KR 1020227041584A KR 20227041584 A KR20227041584 A KR 20227041584A KR 20230118761 A KR20230118761 A KR 20230118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load
control
change
control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1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쿠마 나카노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18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76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5Device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means, e.g.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3Industrial applications
    • H05B1/0244Heating of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에어로졸 흡인기(1)의 전원 유닛(10)은, 에어로졸원(22)을 가열하는 제1 부하(21), 및 향미원(33)을 가열하는 제2 부하(31)로 방전 가능한 전원(12)과, 제1 부하(21) 및 제2 부하(31)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을 제어하는 MCU(50)를 구비한다. MCU(50)는, 복수의 제어 프로파일을 가지고, 복수의 제어 프로파일 중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을 제어함과 동시에,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제어에 이용하는 제어 프로파일을, 유저로부터의 변경 지시에 근거하여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MCU(50)는, 제1 부하(21)로의 방전 중에는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제한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본 발명은,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액체를 가열하여 생성한 에어로졸을 향미원에 통하게 함으로써, 향미원에 포함되는 향미 성분을 에어로졸에 부가하여, 향미 성분이 포함되는 에어로졸을 유저에게 흡인시킬 수 있는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히터의 가열 프로파일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 흡인 디바이스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표 2017-511703호 공보 특허문헌 2: 국제 공개 제2019/104227호 공보
에어로졸원 또는 향미원을 가열하는 부하로의 전원으로부터의 방전 제어에 이용하는 제어 프로파일을 유저가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면, 유저는,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통하여 에어로졸의 생성량이나 에어로졸에 부가되는 향미 성분의 양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적절히 실시할 수가 있으면, 유저는 원하는 향끽미를 얻는 것이 가능해 지고, 에어로졸 흡인기의 상품성은 향상된다고 생각된다. 그렇지만, 한편으로는,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에 의해, 오히려 유저에게 위화감을 주거나 향끽미가 저하되거나 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적절히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에어로졸 흡인기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원 유닛을 제공한다.
제1 발명은,
에어로졸원이 가열되는 것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에 향미원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에어로졸에 상기 향미원의 향미 성분을 부가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부하인 제1 부하, 및 상기 향미원을 가열하는 부하인 제2 부하로 방전 가능한 전원과,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제1 부하 및 상기 제2 부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하는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복수의 제어 프로파일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제어 프로파일 중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제어에 이용하는 상기 제어 프로파일을, 유저로부터의 변경 지시에 근거하여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1 부하로의 방전 중에는, 상기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제한한다.
제2 발명은,
에어로졸원이 가열되는 것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에 향미원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에어로졸에 상기 향미원의 향미 성분을 부가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부하로 방전 가능한 전원과,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부하를 포함하는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복수의 제어 프로파일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제어 프로파일 중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제어에 이용하는 상기 제어 프로파일을, 유저로부터의 변경 지시에 근거하여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부하로의 방전 중에는, 상기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제한한다.
제3 발명은,
에어로졸원이 가열되는 것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에 향미원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에어로졸에 상기 향미원의 향미 성분을 부가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향미원을 가열하는 부하로 방전 가능한 전원과,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부하를 포함하는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복수의 제어 프로파일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제어 프로파일 중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제어에 이용하는 상기 제어 프로파일을, 유저로부터의 변경 지시에 근거하여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부하로의 방전 중에는, 상기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제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적절히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에어로졸 흡인기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원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에어로졸 흡인기의 개략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도 1의 에어로졸 흡인기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3] 도 1의 에어로졸 흡인기의 단면도이다.
[도 4] 도 1의 에어로졸 흡인기에 있어서의 전원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 도 1의 에어로졸 흡인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 도 5에 나타내는 전원 유닛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 도 1의 에어로졸 흡인기에 있어서의 제어 프로파일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 도 1의 에어로졸 흡인기에 있어서의 에어로졸 생성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그 1)이다.
[도 9] 도 1의 에어로졸 흡인기에 있어서의 에어로졸 생성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그 2)이다.
[도 10] 도 1의 에어로졸 흡인기에 있어서의 제어 프로파일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에어로졸 흡인기의 일 실시 형태인 에어로졸 흡인기(1)에 관하여, 도 1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에어로졸 흡인기)
에어로졸 흡인기(1)는, 향미 성분이 부가된 에어로졸을,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생성하여, 흡인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기구이며,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 방향(이하, 길이 방향 X라고 한다)에 따라 연장되는 봉형상으로 되어 있다. 에어로졸 흡인기(1)는, 길이 방향 X에 따라, 전원 유닛(10)과, 제1 카트리지(20)와, 제2 카트리지(30)가 이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다. 제1 카트리지(20)는, 전원 유닛(10)에 대해 착탈 가능(환언하면, 교환 가능)하다. 제2 카트리지(30)는, 제1 카트리지(20)에 대해 착탈 가능(환언하면, 교환 가능)하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카트리지(20)에는, 제1 부하(21)와 제2 부하(31)가 설치되어 있다. 에어로졸 흡인기(1)의 전체 형상은, 도 1과 마찬가지로, 전원 유닛(10)과, 제1 카트리지(20)와, 제2 카트리지(30)가 일렬로 늘어선 형상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전원 유닛(10)에 관하여, 제1 카트리지(20) 및 제2 카트리지(30)가 교환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대략 상자 모양 등의 임의의 형상을 채용 가능하다. 또한, 제2 카트리지(30)는, 전원 유닛(10)에 대해 착탈 가능(환언하면, 교환 가능)하여도 된다.
(전원 유닛)
전원 유닛(10)은, 도 3,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형의 전원 유닛 케이스(11)의 내부에, 전원(12)과, 충전 IC(55A)와, MCU(Micro Controller Unit)(50)과, DC/DC 컨버터(51)와, 흡기 센서(15)와, 전압 센서(52) 및 전류 센서(53)를 포함하는 온도 검출용 소자 T1과, 전압 센서(54) 및 전류 센서(55)를 포함하는 온도 검출용 소자 T2를 수용한다.
전원(12)은, 충전 가능한 2차 전지,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등이며, 바람직하게는, 리튬 이온 2차 전지이다. 전원(12)의 전해질은, 겔상의 전해질, 전해액, 고체 전해질, 이온 액체의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의 일례인 MCU(50)는, 흡기 센서(15), 전압 센서(52), 전류 센서(53), 전압 센서(54), 및 전류 센서(55) 등의 각종 센서 장치와, DC/DC 컨버터(51)와, 조작부(14)와, 통지부(45)와, 통신부(46)에 접속되어 있고, 에어로졸 흡인기(1)의 각종의 제어를 실시한다.
MCU(50)는,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를 주체로 구성되어 있고, 프로세서의 동작에 필요한 RAM(Random Access Memory) 및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ROM(Read Only Memory) 등의 기억 매체에 의하여 구성되는 메모리(50a)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프로세서란,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소자 등의 회로 소자를 조합한 전기 회로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 유닛 케이스(11)의 길이 방향 X의 한쪽 끝(제1 카트리지(20)측)에 위치하는 탑부(11a)에는, 방전 단자(41)가 설치된다. 방전 단자(41)는, 탑부(11a)의 상면으로부터 제1 카트리지(20)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제1 카트리지(20)의 제1 부하(21) 및 제2 부하(31)의 각각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탑부(11a)의 상면에는, 방전 단자(41)의 근방에, 제1 카트리지(20)의 제1 부하(21)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42)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 유닛 케이스(11)의 길이 방향 X의 다른 쪽 끝(제1 카트리지(20)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보텀부(11b)에는, 외부 전원(도시 생략)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충전 단자(43)가 설치된다. 충전 단자(43)는, 보텀부(11b)의 측면에 설치되고,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 micro USB 단자 등이 접속 가능하다.
또한, 충전 단자(43)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송전되는 전력을 비접촉으로 수전 가능한 수전부여도 된다. 이러한 경우, 충전 단자(43)(수전부)는, 수전 코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비접촉에 의한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fer) 방식은, 전자 유도형이어도 되고, 자기 공명형이어도 되며, 이들의 조합이어도 된다. 또한, 충전 단자(43)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송전되는 전력을 무접점으로 수전 가능한 수전부여도 된다. 다른 일례로서, 충전 단자(43)는, USB 단자나 micro USB 단자 등이 접속 가능하고, 또한 상술한 수전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전원 유닛 케이스(11)에는, 유저가 조작 가능한 조작부(14)가, 탑부(11a)의 측면에 충전 단자(43)와는 반대쪽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조작부(14)와 충전 단자(43)는, 조작부(14)와 충전 단자(43)을 연결하는 직선과 길이 방향 X에 있어서의 전원 유닛(10)의 중심선의 교점에 관하여 점대칭 관계에 있다. 조작부(14)는, 버튼식 스위치 또는 터치 패널 등으로 구성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14)의 근방에는, 흡인(퍼프) 동작을 검출하는 흡기 센서(15)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 유닛 케이스(11)에는, 내부에 외기를 끌어들이는 도시하지 않은 공기 취입구가 설치되어 있다. 공기 취입구는, 조작부(14)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충전 단자(43)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흡기 센서(15)는, 후술하는 흡구(32)를 통한 유저의 흡인에 의하여 발생한 전원 유닛(10) 내의 압력(내압) 변화의 값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흡기 센서(15)는, 예를 들면, 공기 취입구로부터 흡구(32)를 향해 흡인되는 공기의 유량(즉, 유저의 흡인 동작)에 따라 변화하는 내압에 따른 출력값(예를 들면, 전압값 또는 전류값)을 출력하는 압력 센서이다. 흡기 센서(15)는, 아날로그 값을 출력해도 되고, 아날로그 값으로부터 변환한 디지털 값을 출력해도 된다.
흡기 센서(15)는, 검출하는 압력을 보상하기 위하여, 전원 유닛(10)이 놓여져 있는 환경의 온도(외기온)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내장하고 있어도 된다. 흡기 센서(15)는, 압력 센서가 아니라, 콘덴서 마이크로폰이나 유량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MCU(50)는, 흡인 동작이 실시되어, 흡기 센서(15)의 출력값이 역치를 넘으면, 에어로졸 생성 요구가 이루어졌다고 판정하여, 그 후, 흡기 센서(15)의 출력값이 이 역치를 밑돌면, 에어로졸 생성 요구가 종료되었다고 판정한다. 또한, 에어로졸 흡인기(1)에 있어서는, 제1 부하(21)의 과열을 억제하는 등의 목적을 위하여, 에어로졸 생성 요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기간이 제1 기정값(旣定値)tupper(예를 들면, 2.4초)에 도달하면, 흡기 센서(15)의 출력값에 관계없이, 에어로졸 생성 요구가 종료되었다고 판정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흡기 센서(15)의 출력값은 에어로졸 생성 요구를 나타내는 신호로서 이용된다. 따라서, 흡기 센서(15)는, 에어로졸 생성 요구를 출력하는 센서를 구성한다.
또한, 흡기 센서(15)를 대신하여, 조작부(14)의 조작에 근거하여 에어로졸 생성 요구를 검출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유저가 에어로졸의 흡인을 개시하기 위하여 조작부(14)에 대하여 소정의 조작을 실시하면, 조작부(14)가 에어로졸 생성 요구를 나타내는 신호를 MCU(50)에 출력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조작부(14)가, 에어로졸 생성 요구를 출력하는 센서를 구성한다.
충전 IC(55A)는, 충전 단자(43)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충전 단자(43)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의 전원(12)의로의 충전 제어를 실시한다. 또한, 충전 IC(55A)는, MCU(50)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카트리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카트리지(20)는, 원통형의 카트리지 케이스(27)의 내부에, 에어로졸원(22)을 저류(貯留)하는 리저버(23)와, 에어로졸원(22)을 무화 및/ 또는 기화하기 위한 제1 부하(21)와, 리저버(23)로부터 제1 부하(21)로 에어로졸원을 끌어들이는 심지(Wick)(24)와, 에어로졸원(22)이 제1 부하(21)에 의해 무화 및/ 또는 기화되는 것에 의하여 발생한 에어로졸이 제2 카트리지(30)를 향하여 흐르는 에어로졸 유로(流路)(25)와, 제2 카트리지(30)의 일부를 수용하는 엔드 캡(26)과, 엔드 캡(26)에 설치된, 제2 카트리지(30)를 가열하기 위한 제2 부하(31)를 구비한다.
리저버(23)은, 에어로졸 유로(25)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구획 형성되어 에어로졸원(22)을 저장(즉 수용)한다. 리저버(23)에는, 수지 웹(web) 또는 면 등의 다공체(多孔體)가 수용되고, 또한, 에어로졸원(22)이 다공체에 함침(含浸)되어 있어도 된다. 리저버(23)에는, 수지 웹 또는 면 상의 다공질체가 수용되지 않고, 에어로졸원(22)만이 저류되어 있어도 된다. 에어로졸원(22)은,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물 등의 액체를 포함한다. 또한, 에어로졸원(22)에는, 멘톨 등의 향료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심지(24)는, 리저버(23)로부터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에어로졸원(22)을 제1 부하(21)로 끌어들이는 액보지(液保持) 부재이다. 심지(24)는, 예를 들면, 유리 섬유나 다공질 세라믹 등에 의해 구성된다.
제1 부하(21)는, 전원(12)으로부터 방전 단자(41)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22)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원(22)을 무화 및/ 또는 기화(이하, 간단하게 무화로 생략한다)한다. 제1 부하(21)는, 예를 들면, 소정 피치로 감긴 전열선(코일)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부하(21)는, 에어로졸원(22)을 가열함으로써, 이것을 무화하여 에어로졸을 생성 가능한 소자이면 된다. 제1 부하(21)는, 예를 들면, 발열 소자이다. 발열 소자로서는, 발열 저항체, 세라믹 히터, 및 유도 가열식 히터 등을 들 수 있다.
제1 부하(21)로서는, 온도와 전기 저항값이 상관(相關)을 가지는 것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제1 부하(21)로서는, 온도의 증가에 따라 전기 저항값도 증가하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특성을 가지는 것이 이용된다. 이것에 대신하여, 온도의 증가에 따라 전기 저항값이 감소하는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특성을 가지는 것이 제1 부하(21)로서 이용되어도 된다.
에어로졸 유로(25)는, 제1 부하(21)의 하류측이고, 전원 유닛(10)의 중심선 L상에 설치된다. 엔드 캡(26)은, 제2 카트리지(30)의 일부를 수용하는 카트리지 수용부(26a)와, 에어로졸 유로(25)와 카트리지 수용부(26a)를 연통시키는 연통로(26b)를 구비한다.
제2 부하(31)는, 카트리지 수용부(26a)에 매설되어 있다. 제2 부하(31)는, 전원(12)으로부터 방전 단자(41)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카트리지 수용부(26a)에 수용되는 제2 카트리지(30)(보다 상세하게는 이것에 포함되는 향미원(33))을 가열한다. 제2 부하(31)는, 예를 들면, 소정 피치로 감기는 전열선(코일)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제2 부하(31)는, 제2 카트리지(30)를 가열할 수 있는 소자이면 된다. 제2 부하(31)는, 예를 들면, 발열 소자이다. 발열 소자로서는, 발열 저항체, 세라믹 히터, 및 유도 가열식 히터 등을 들 수 있다.
제2 부하(31)로서는, 온도와 전기 저항값이 상관을 가지는 것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제2 부하(31)로서는, PTC 특성을 가지는 것이 이용된다. 이것을 대신하여, 온도의 증가에 따라 전기 저항값이 감소하는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특성을 가지는 것이 제2 부하(31)로서 이용되어도 된다.
(제2 카트리지)
제2 카트리지(30)는, 향미원(33)을 저장(즉 수용)한다. 제2 부하(31)에 의해 제2 카트리지(30)가 가열됨으로써, 제2 카트리지(30)에 저류된 향미원(33)이 가열된다. 제2 카트리지(30)는, 제1 카트리지(20)의 엔드 캡(26)에 설치된 카트리지 수용부(26a)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된다. 제2 카트리지(30)는, 제1 카트리지(20)측과는 반대측의 단부가, 유저의 흡구(32)로 되어 있다. 또한, 흡구(32)는, 제2 카트리지(30)와 일체 불가분으로 구성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고, 제2 카트리지(30)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흡구(32)를 전원 유닛(10)과 제1 카트리지(20)와는 별체(別體)로 구성함으로써, 흡구(32)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2 카트리지(30)는, 제1 부하(21)에 의해 에어로졸원(22)이 무화됨으로써 발생된 에어로졸을 향미원(33)에 통과시킴으로써 향미원(33)의 향미 성분을 에어로졸에 부가한다. 향미원(33)을 구성하는 원료편으로서는, 살담배, 또는, 담배 원료를 입상(粒狀)으로 성형한 성형체를 이용할 수 있다. 향미원(33)은, 담배 이외의 식물(예를 들면, 민트, 한방, 또는 허브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향미원(33)에는, 멘톨 등의 향료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에어로졸 흡인기(1)는, 에어로졸원(22)과 향미원(33)에 의해, 향미 성분이 부가된 에어로졸을 발생시킨다. 즉, 에어로졸원(22)과 향미원(33)이란, 향미 성분이 부가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에어로졸 생성원을 구성하고 있다.
에어로졸 흡인기(1)에 있어서의 에어로졸 생성원은, 유저가 교환하여 사용하는 부분이다. 이 부분은, 예를 들면, 1개의 제1 카트리지(20)와, 1개 또는 복수(예를 들면 5개)의 제2 카트리지(30)가 1 세트로 유저에게 제공된다. 또한, 제1 카트리지(20)와 제2 카트리지(30)를 일체화하여 1개의 카트리지로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에어로졸 흡인기(1)에서는, 도 3 중의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 유닛 케이스(11)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취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공기 공급부(42)로부터 제1 카트리지(20)의 제1 부하(21) 부근을 통과한다. 제1 부하(21)는, 심지(24)에 의해 리저버(23)로부터 끌어들여진 에어로졸원(22)을 무화한다. 무화되어 발생한 에어로졸은, 취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함께 에어로졸 유로(25)를 흘러, 연통로(26b)를 통해 제2 카트리지(30)에 공급된다. 제2 카트리지(30)에 공급된 에어로졸은, 향미원(33)을 통과함으로써 향미 성분이 부가되어, 흡구(32)에 공급된다.
또한, 에어로졸 흡인기(1)에는, 각종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부(45)가 설치되어 있다(도 5 참조). 통지부(45)는, 발광 소자(각종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진동 소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소리 출력 소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통지부(45)는, 발광 소자, 진동 소자, 및 소리 출력 소자 가운데, 2 이상의 소자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흡인기(1)에 있어서, 조작부(14) 주위는, 투광성을 가지고 있어, 통지부(45)를 구성하는 LED 등의 발광 소자에 의해 발광하게 되어 있다.
또한, 통지부(45)는, 전원 유닛(10), 제1 카트리지(20), 및 제2 카트리지(3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도 되지만, 에어로졸 흡인기(1)에 있어서 교환 빈도가 가장 낮은 전원 유닛(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전원 유닛(10)에 비해 교환 빈도가 높은 제1 카트리지(20)와 제2 카트리지(30)의 제조 코스트를 내려, 이들을 유저에 대하여 염가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원 유닛의 상세)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C/DC 컨버터(51)는, 전원 유닛(10)에 제1 카트리지(20)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제1 부하(21)와 전원(12)의 사이에 접속된다. MCU(50)는, DC/DC 컨버터(51)와 전원(12)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부하(31)는, 전원 유닛(10)에 제1 카트리지(20)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MCU(50)와 DC/DC 컨버터(51)와의 사이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전원 유닛(10)에서는, 제1 카트리지(20)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DC/DC 컨버터(51) 및 제1 부하(21)의 직렬 회로와, 제2 부하(31)가, 전원(12)에 병렬 접속된다.
DC/DC 컨버터(51)는, 입력 전압을 승압하여 출력 가능한 승압 회로이고, 입력 전압 또는 입력 전압을 승압한 전압을 제1 부하(21)에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DC/DC 컨버터(51)에 의하면 제1 부하(21)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부하(21)가 무화하는 에어로졸원(22)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DC/DC 컨버터(51)로서는, 예를 들면, 출력 전압을 감시하면서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입력 전압을 희망하는 출력 전압으로 변환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DC/DC 컨버터(51)로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스위칭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입력 전압을 승압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시킬 수 있다.
MCU(50)는, 후술하는 제2 부하(31)로의 방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향미원(33)의 온도를 취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MCU(50)는, 제1 부하(21)의 온도를 취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부하(21)의 온도는, 제1 부하(21)나 에어로졸원(22)의 과열의 억제, 제1 부하(21)가 무화하는 에어로졸원(22)의 양을 고도로 제어하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다.
전압 센서(52)는, 제2 부하(31)에 인가되는 전압값을 측정하여 출력한다. 전류 센서(53)는, 제2 부하(31)를 관류(貫流)하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출력한다. 전압 센서(52)의 출력과, 전류 센서(53)의 출력은, 각각, MCU(50)에 입력된다. MCU(50)의 프로세서는, 전압 센서(52)의 출력과 전류 센서(53)의 출력에 근거하여 제2 부하(31)의 저항값을 취득하고, 이 저항값에 따른 제2 부하(31)의 온도를 취득한다. 제2 부하(31)의 온도는, 제2 부하(31)에 의해 가열되는 향미원(33)의 온도와 엄밀하게는 일치하지 않지만, 향미원(33)의 온도와 거의 같다고 간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온도 검출용 소자 T1는, 향미원(33)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검출용 소자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2 부하(31)의 저항값을 취득할 때에, 제2 부하(31)에 정전류를 흘리는 구성이라고 하면, 온도 검출용 소자 T1에 있어서 전류 센서(53)는 불필요하다. 동일하게, 제2 부하(31)의 저항값을 취득할 때에, 제2 부하(31)에 정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이라고 하면, 온도 검출용 소자 T1에 있어서 전압 센서(52)는 불필요하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카트리지(30)(향미원(33))의 온도를 취득하는 데 있어서, 에어로졸 흡인기(1)에 있어서 교환 빈도가 가장 낮은 전원 유닛(10)에 온도 검출용 소자 T1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전원 유닛(10)에 비해 교환 빈도가 높은 제1 카트리지(20)와 제2 카트리지(30)의 제조 코스트를 내려, 이들을 유저에 대하여 염가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압 센서(54)는, 제1 부하(21)에 인가되는 전압값을 측정하여 출력한다. 전류 센서(55)는, 제1 부하(21)를 관류하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출력한다. 전압 센서(54)의 출력과, 전류 센서(55)의 출력은, 각각, MCU(50)에 입력된다. MCU(50)의 프로세서는, 전압 센서(54)의 출력과 전류 센서(55)의 출력에 근거하여 제1 부하(21)의 저항값을 취득하고, 이 저항값에 따른 제1 부하(21)의 온도를 취득한다. 또한, 제1 부하(21)의 저항값을 취득할 때에, 제1 부하(21)에 정전류를 흘리는 구성이라고 하면, 온도 검출용 소자 T2에 있어서 전류 센서(55)는 불필요하다. 동일하게, 제1 부하(21)의 저항값을 취득할 때에, 제1 부하(21)에 정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이라고 하면, 온도 검출용 소자 T2에 있어서 전압 센서(54)는 불필요하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전원 유닛(10)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는, 온도 검출용 소자 T1로서 전류 센서(53)를 가지지 않고, 또한, 온도 검출용 소자 T2로서 전류 센서(55)를 가지지 않는 구성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 유닛(10)은, 전원(12)과, MCU(50)와, LDO(Low Drop Out) 레귤레이터(60)와, 개폐기 SW1와, 개폐기 SW1에 병렬 접속된 저항 소자 R1 및 개폐기 SW2의 직렬 회로로 이루어진 병렬 회로 C1과, 개폐기 SW3과, 개폐기 SW3에 병렬 접속된 저항 소자 R2 및 개폐기 SW4의 직렬 회로로 이루어진 병렬 회로 C2와, 전압 센서(54)를 구성하는 OP 앰프 OP1 및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이하, ADC로 기재)(50c)와, 전압 센서(52)를 구성하는 OP 앰프 OP2 및 ADC(50b)를 구비한다. 또한, OP 앰프 OP1와 OP 앰프 OP2의 적어도 한 쪽은, MCU(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저항 소자란, 고정된 전기 저항값을 가지는 소자이면 되고, 예를 들면 저항기, 다이오드, 또는 트랜지스터 등이다. 도 6의 예에서는, 저항 소자 R1 및 저항 소자 R2가, 각각 저항기로 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개폐기란, 배선로(配線路)의 차단과 도통(導通)을 전환하는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칭 소자이며, 예를 들면,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GBT: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등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나,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MOSFET: 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 등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로 할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는, 개폐기 SW1~SW4는, 각각 트랜지스터로 되어 있다.
LDO 레귤레이터(60)는, 전원(12)의 양극에 접속된 주정모선(主正母線)(LU)에 접속되어 있다. MCU(50)는, LDO 레귤레이터(60)와, 전원(12)의 음극에 접속된 주부모선(主負母線)(LD)에 접속되어 있다. MCU(50)는, 개폐기 SW1~SW4의 각각에도 접속되어 있고, 이들의 개폐 제어를 실시한다. LDO 레귤레이터(60)는, 전원(12)으로부터의 전압을 강압(降壓)하여 출력한다. LDO 레귤레이터(60)의 출력 전압 V1은, MCU(50), DC/DC 컨버터(51), OP 앰프 OP1, 및 OP 앰프 OP2의 각각의 동작 전압으로도 이용된다. 이것을 대신하여, MCU(50), DC/DC 컨버터(51), OP 앰프 OP1, 및 OP 앰프 OP2 중 적어도 하나는, 전원(12)의 출력 전압 그 자체를 동작 전압으로 이용하여도 된다. 또는, MCU(50), DC/DC 컨버터(51), OP 앰프 OP1, 및 OP 앰프 OP2 중 적어도 하나는, LDO 레귤레이터(60)와는 다른 레귤레이터(도시하지 않음)가 출력하는 전압을 동작 전압으로 이용하여도 된다. 이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은 V1과 달라도 되고, 동일해도 된다.
DC/DC 컨버터(51)는, 주정모선(LU)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부하(21)는, 주부모선(LD)에 접속된다. 병렬 회로 C1은, DC/DC 컨버터(51)와 제1 부하(21)에 접속되어 있다.
병렬 회로 C2는, 주정모선(LU)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부하(31)는, 병렬 회로 C2와 주부모선(LD)에 접속된다.
OP 앰프 OP1의 비반전(非反轉) 입력 단자는, 병렬 회로 C1과 제1 부하(21)의 접속 노드에 접속되어 있다. OP 앰프 OP1의 반전 입력 단자는, OP 앰프 OP1의 출력 단자 및 주부모선(LD)의 각각에 저항 소자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OP 앰프 OP2의 비반전 입력 단자는, 병렬 회로 C2와 제2 부하(31)의 접속 노드에 접속되어 있다. OP 앰프 OP2의 반전 입력 단자는, OP 앰프 OP2의 출력 단자 및 주부모선(LD)의 각각에 저항 소자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ADC(50c)는, OP 앰프 OP1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ADC(50b)는, OP 앰프 OP2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ADC(50c)와 ADC(50b)는, MCU(50)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MCU)
다음으로, MCU(50)의 기능에 관하여 설명한다. MCU(50)는, ROM(도시하지 않음)이나 메모리(50a)(도 5 참조) 등에 미리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기능부로서, 온도 검출부와, 전력 제어부와, 통지 제어부와, 통신 제어부를 구비한다.
온도 검출부는, 온도 검출용 소자 T1의 출력에 근거하여, 향미원(33)의 온도(즉 제2 부하(31)의 온도)를 취득한다. 또한, 온도 검출부는, 온도 검출용 소자 T2의 출력에 근거하여, 제1 부하(21)의 온도를 취득한다.
도 6에 나타내는 회로 예의 경우, 온도 검출부는, 개폐기 SW1, 개폐기 SW3, 및 개폐기 SW4를 차단 상태로 제어하고, 소정의 일정 전압을 출력시키도록 DC/DC 컨버터(51)를 제어한다. 나아가 온도 검출부는, 개폐기 SW2를 도통 상태로 제어한 상태에서, ADC(50c)의 출력값(제1 부하(21)에 인가되는 전압값)를 취득하고, 이 출력값에 근거하여 제1 부하(21)의 온도를 취득한다.
또한, OP 앰프 OP1의 비반전 입력 단자를 저항 소자 R1의 DC/DC 컨버터(51)측의 단자에 접속하고, OP 앰프 OP1의 반전 입력 단자를 저항 소자 R1의 개폐기 SW2측의 단자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온도 검출부는, 개폐기 SW1, 개폐기 SW3, 및 개폐기 SW4를 차단 상태로 제어하고, 소정의 일정 전압을 출력시키도록 DC/DC 컨버터(51)를 제어한다. 나아가 온도 검출부는, 개폐기 SW2를 도통 상태로 제어한 상태에서, ADC(50c)의 출력값(저항 소자 R1에 인가되는 전압값)를 취득하고, 이 출력값에 근거하여 제1 부하(21)의 온도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회로 예의 경우, 온도 검출부는, 개폐기 SW1, 개폐기 SW2, 및 개폐기 SW3를 차단 상태로 제어하고, 소정의 일정 전압을 출력시키도록 도시하지 않은 DC/DC컨버터 등의 소자를 제어한다. 나아가 온도 검출부는, 개폐기 SW4를 도통 상태로 제어한 상태에서, ADC(50b)의 출력값(제2 부하(31)에 인가되는 전압값)를 취득하고, 이 출력값에 근거하여 제2 부하(31)의 온도를 향미원(33)의 온도로서 취득한다.
또한, OP 앰프 OP2의 비반전 입력 단자를 저항 소자 R2의 주정모선(LU)측의 단자에 접속하고, OP 앰프 OP2의 반전 입력 단자를 저항 소자 R2의 개폐기 SW4측의 단자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온도 검출부는, 개폐기 SW1, 개폐기 SW2, 및 개폐기 SW3을 차단 상태로 제어하고, 소정의 일정 전압을 출력시키도록 도시하지 않은 DC/DC컨버터 등의 소자를 제어한다. 게다가 온도 검출부는, 개폐기 SW4를 도통 상태로 제어한 상태에서, ADC(50b)의 출력값(저항 소자 R2에 인가되는 전압값)을 취득하고, 이 출력값에 근거하여 제2 부하(31)의 온도를 향미원(33)의 온도로서 취득할 수 있다.
통지 제어부는, 각종 정보를 통지하도록 통지부(45)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통지 제어부는,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 타이밍의 검출에 따라,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을 촉구하는 통지를 실시하도록 통지부(45)를 제어한다. 통지 제어부는,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을 촉구하는 통지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카트리지(20)의 교환을 촉구하는 통지, 전원(12)의 교환을 촉구하는 통지, 전원(12)의 충전을 촉구하는 통지 등을 실시하게 하여도 된다.
통신 제어부는, 외부의 통신 기기(100)와 전원 유닛(10)의 사이에 각종 정보를 통신하도록, 전원 유닛(10)이 구비하는 통신부(46)을 제어한다. 통신 기기(100)는, 예를 들면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단말 등이며, 유저가 조작 가능한 입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터치 패널)와, 유저에 대하여 정보를 통지 가능한 출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각종 디스플레이)를 구비한다. 또한, 통신부(46)는, 예를 들면, Bluetooth(등록상표) 등의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기기(100)와의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모듈이며, MCU(50)가 통신 기기(100)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한다.
전력 제어부는, 흡기 센서(15)로부터 출력된 에어로졸 생성 요구를 나타내는 신호에 따라, 전원(12)으로부터 제1 부하(21)로의 방전(이하, 간단하게 제1 부하(21)로의 방전이라고도 한다) 및 전원(12)으로부터 제2 부하(31)로의 방전(이하, 간단하게 제2 부하(31)로의 방전이라고도 한다)을 제어한다.
도 6에 나타내는 회로 예의 경우, 전력 제어부는, 개폐기 SW2, 개폐기 SW3, 및 개폐기 SW4를 차단 상태로 제어하고, 개폐기 SW1를 도통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제1 부하(21)로의 방전을 실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부하(21)에 의해 에어로졸원(22)을 가열하여 무화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제어부는, 개폐기 SW1, 개폐기 SW2, 및 개폐기 SW4를 차단 상태로 제어하고, 개폐기 SW3를 도통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제2 부하(31)로의 방전을 실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2 부하(31)에 의해 향미원(33)을 가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로졸 흡인기(1)에서는, 제2 부하(31)로의 방전에 의해 향미원(33)의 가열이 가능해져 있다. 만약, 제1 부하(21)에 공급하는 전력이 동일하다면, 향미원(33)을 가열함으로써, 향미원(33)을 가열하지 않는 경우보다도, 에어로졸에 부가되는 향미 성분량을 많게 할 수 있다.
유저에 의한 1회의 흡인 동작에 의해, 제1 카트리지(20)에서 생성되어 향미원(33)을 통과하는 에어로졸의 중량[mg]을 에어로졸 중량 Waerosol라고 기재한다. 이 에어로졸의 생성을 위하여 제1 부하(21)에 공급이 필요한 전력을 무화 전력 Pliquid라고 기재한다. 이 에어로졸의 생성을 위하여 무화 전력 Pliquid가 제1 부하(21)에 공급된 시간을 공급 시간 tsense라고 기재한다. 이 공급 시간 tsense는, 1회의 흡인 당, 상술한 제1 기정값(旣定値) tupper(예를 들면, 2.4초)가 상한값으로 된다. 향미원(33)에 포함되어 있는 향미 성분의 중량[mg]을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라고 기재한다. 향미원(33)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온도 파라미터 Tcapsule라고 기재한다. 유저에 의한 1회의 흡인 동작에 의해, 향미원(33)을 통과하는 에어로졸에 부가되는 향미 성분의 중량[mg]을 향미 성분량 Wflavor라고 기재한다. 향미원(33)의 온도에 관한 정보란, 구체적으로는, 온도 검출용 소자 T1의 출력에 근거하여 취득되는 향미원(33)이나 제2 부하(31)의 온도이다.
향미 성분량 Wflavor는,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 온도 파라미터 Tcapsule, 및 에어로졸 중량 Waerosol에 의존하는 것이 실험적으로 알려져있다. 따라서, 향미 성분량 Wflavor는, 이하의 식(1)에 의하여 모델화할 수 있다.
Wflavor=β×(Wcapsule×Tcapsule)×γ×Waerosol‥(1)
상기 식(1)의 β는, 1회의 흡인에 있어서, 향미원(33)에 포함되어 있는 향미 성분 중 어느 정도의 양이 에어로졸에 부가되는가의 비율을 나타내는 계수이며, 실험적으로 구해진다. 상기 식(1)의 γ은, 실험적으로 구해지는 계수이다. 1회의 흡인이 이루어지는 기간에 있어서, 온도 파라미터 Tcapsule와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는 각각 변동될 수 있지만, 이 모델에서는, 이들을 일정값으로 취급하기 위하여, γ를 도입하고 있다.
또한,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는, 흡인이 이루어질 때마다 감소한다. 이 때문에,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는, 흡인이 이루어진 횟수(환언하면, 에어로졸 생성 요구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을 위하여 제1 부하(21)로의 방전이 실시된 횟수의 누적치. 이하, 누적 방전 횟수라고도 한다)인 흡인 횟수에 반비례 한다. 또한,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는, 흡인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을 위하여 제1 부하(21)로의 방전이 이루어진 시간이 길수록 많이 감소한다. 이 때문에,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는, 흡인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을 위하여 제1 부하(21)로의 방전이 이루어진 시간의 누적치(이하, 누적 방전 시간이라고도 한다)에도 반비례 한다.
상기 식(1)의 모델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인 마다의 에어로졸량 Waerosol를 거의 일정하게 제어하는 것을 상정하면, 향미 성분량 Wflavor를 안정화 시키기 위하여는,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의 감소(환언하면, 흡인 횟수 또는 누적 방전 시간의 증가)에 맞추어, 향미원(33)의 온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그래서, 전력 제어부는, 흡인 횟수 또는 누적 방전 시간에 근거하여, 향미원(33)의 목표 온도(이하에 기재하는 목표 온도 Tcap_target)를 증가시킨다. 그리고, 전력 제어부는, 온도 검출용 소자 T1의 출력에 근거하여, 향미원(33)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수렴하도록, 전원(12)으로부터 제2 부하(31)로의 방전을 제어한다. 이것에 의하여, 향미원(33)을 가열하고, 향미 성분량 Wflavor를 많고 또한 안정화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전력 제어부는, ROM이나 메모리(50a) 등에 미리 기억된 제어 프로파일에 따라 제2 부하(31)로의 방전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 프로파일은, 흡인 횟수(즉 누적 방전 횟수) 또는 누적 방전 시간에 따른, 전원(12)으로부터 제2 부하(31)로의 방전 양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자세한 것은 도 7 등을 이용하여 후술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어 프로파일은, 흡인 횟수와, 제2 부하(31)로의 방전 양태의 일례로서의 향미원(33)의 목표 온도를 대응시킨 정보로 되어 있고, 흡인 횟수에 따라 설정해야 할 향미원(33)의 목표 온도를 나타낸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향미원(33)의 온도를 높이는 것에 의하여, 에어로졸에 부가되는 향미 성분량 Wflavor를 많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향미원(33)의 목표 온도를 유저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면, 향미 성분량 Wflavor(즉 들이마시는 느낌)를 유저가 적절히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자신의 기호나 흡인시의 기분, 제2 카트리지(30)의 상표 등을 고려하여, 원하는 향끽미를 얻을 수 있도록 향미 성분량 Wflavor를 유저가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에어로졸 흡인기(1)의 상품성이 향상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래서, MCU(50)는, 복수의 제어 프로파일을 가지고, 이들 복수의 제어 프로파일 중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제2 부하(31)로의 방전을 제어한다. 또한, MCU(50)는, 유저로부터의 변경 지시에 근거하여, 제2 부하(31)로의 방전 제어에 이용하는 제어 프로파일(이하, 사용 제어 프로파일이라고도 한다)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MCU(50)는, 예를 들면, 에어로졸 흡인기(1)에 있어서 제1 카트리지(20)나 제2 카트리지(30)의 착탈(예를 들면 교환)이 이루어진 타이밍에서, 조작부(14)나 통신 기기(100) 등을 통하여, 유저에 의하여 선택된 제어 프로파일을 사용 제어 프로파일로서 설정한다. 또한, MCU(50)는, 에어로졸 흡인기(1)에 있어서 제1 카트리지(20)나 제2 카트리지(30)의 착탈이 이루어진 타이밍에서, 복수의 제어 프로파일 중 소정의 제어 프로파일을, 사용 제어 프로파일로서 자동적으로 설정하여도 된다.
또한, 유저는, 조작부(14)나 통신 기기(100) 등을 통하여, MCU(50)에 대하여, 변경 지시를 적절히 실시할 수 있다. 변경 지시는, 예를 들면, 사용 제어 프로파일로서 새롭게 설정해야 할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을 유저가 선택(지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MCU(50)는, 변경 지시가 있었을 경우에는, 사용 제어 프로파일을, 유저에 의하여 선택된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 변경하고, 이후는 이 제어 프로파일에 따라 제2 부하(31)로의 방전을 제어한다. 이것에 의하여, MCU(50)는, 사용 제어 프로파일을 변경하기 전과, 사용 제어 프로파일을 변경한 후로, 제2 부하(31)로의 방전 양태(여기에서는 향미원(33)의 목표 온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이하,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 프로파일의 구체적인 예)
우선, 도 7을 참조하여, 제어 프로파일의 구체적인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MCU(50)는, 제어 프로파일(Pr1)과 제어 프로파일(Pr2)을 가진다. 제어 프로파일(Pr1) 및 제어 프로파일(Pr2)은, 흡인 횟수와 향미원(33)의 목표 온도를 대응시켜 구성되고, 흡인 횟수에 따라 설정해야 하는 향미원(33)의 목표 온도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프로파일(Pr1)은, 흡인 횟수가 0~24회일 때의 향미원(33)의 목표 온도가 30℃이며, 흡인 횟수가 25~54회일 때의 향미원(33)의 목표 온도가 40℃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어 프로파일(Pr1)은, 흡인 횟수가 55~74회일 때의 향미원(33)의 목표 온도가 50℃이며, 흡인 횟수가 75~89회일 때의 향미원(33)의 목표 온도가 60℃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제어 프로파일(Pr1)은, 흡인 횟수가 90~99회일 때의 향미원(33)의 목표 온도가 70℃이며, 흡인 횟수가 100~120회일 때의 향미원(33)의 목표 온도가 80℃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어 프로파일(Pr2)은, 흡인 횟수가 0~29회일 때의 향미원(33)의 목표 온도가 50℃이며, 흡인 횟수가 30~49회일 때의 향미원(33)의 목표 온도가 60℃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어 프로파일(Pr2)은, 흡인 횟수가 50~64회일 때의 향미원(33)의 목표 온도가 70℃이며, 흡인 횟수가 65~120회일 때의 향미원(33)의 목표 온도가 80℃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흡인 횟수가 0~99회일 때의 향미원(33)의 목표 온도는, 제어 프로파일(Pr2) 쪽이 제어 프로파일(Pr1)보다도 높아져 있다. 이것에 의하여, MCU(50)는, 제어 프로파일(Pr2)에 따라 제2 부하(31)로의 방전을 제어한 경우에는, 제어 프로파일(Pr1)에 따라 제2 부하(31)로의 방전을 제어한 경우보다, 향미원(33)의 온도를 높게 하여 향미 성분량 Wflavor를 많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사용 제어 프로파일로서 제어 프로파일(Pr2)을 선택함으로써, 사용 제어 프로파일로서 제어 프로파일(Pr1)을 선택한 경우보다도, 강한 들이마시는 느낌의(예를 들면, 이른바 킥감이 강한) 에어로졸을 생성시킬 수 있다. 환언하면, 유저는, 사용 제어 프로파일로서 제어 프로파일(Pr1)을 선택함으로써, 사용 제어 프로파일로서 제어 프로파일(Pr2)을 선택한 경우보다도, 부드러운 들이마시는 느낌의 에어로졸을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제어 프로파일(Pr1) 및 제어 프로파일(Pr2)을, 흡인 횟수에 따른 향미원(33)의 목표 온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 프로파일(Pr1) 및 제어 프로파일(Pr2)은, 흡인 횟수를 대신하여 누적 방전 시간을, 향미원(33)의 목표 온도에 대응시킨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누적 방전 시간을 제1 기정값 tupper로 제거하는, 혹은 흡인 횟수에 제1 기정값 tupper를 곱하는 것에 의하여, 누적 방전 시간과 흡인 횟수와의 사이에서의 환산을 실시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흡인 횟수에 관하여도, 동일하게 하여 누적 방전 시간으로 환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예)
다음으로, 사용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흡인기(1)에 있어서, 신품의 제1 카트리지(20) 및 제2 카트리지(30)가 장착되고, 우선은 제어 프로파일(Pr1)이 사용 제어 프로파일로서 설정된 것으로 한다. 그리고, 그 상태로 x회의 흡인(즉 에어로졸의 생성)이 이루어진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x를 1이상의 자연수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MCU(50)가 제어상 이용하는 흡인 횟수를 자연수로 한 예를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MCU(50)가 누적 방전 시간에 근거하여 제어를 실시하도록 한 경우는, 이 누적 방전 시간에 대응하는 흡인 횟수가 정수가 되지 않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MCU(50)가 제어상 이용하는 흡인 횟수는, 자연수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소수를 포함하는 값이어도 된다. 동일하게, 후술하는 흡인 가능 횟수나 흡인 가능 시간 등에 관하여도, 예를 들면 소수를 포함하는 값이어도 된다.
x회의 흡인이 이루어진 후, 제어 프로파일(Pr2)을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 하는 변경 지시, 즉 사용 제어 프로파일을 제어 프로파일(Pr2)로 변경하는 취지의 변경 지시가 있었다고 한다. 이 경우, MCU(50)는, 예를 들면, 도 7에 있어서 (11)로 나타내는 화살표와 같이, 사용 제어 프로파일을 제어 프로파일(Pr1)로부터 제어 프로파일(Pr2)로 변경한다. 그리고, MCU(50)는, 예를 들면, 도 7에 있어서 (12)로 나타내는 화살표와 같이, 신품의 제1 카트리지(20) 및 제2 카트리지(30)가 장착된 때로부터 x+1회째 이후의 흡인에 따른 에어로졸의 생성시에는 제어 프로파일(Pr2)에 따라 제2 부하(31)로의 방전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 경우, MCU(50)는, x+1회째의 흡인에 의한 에어로졸 생성 요구가 있었을 때에는, 향미원(33)의 목표 온도를, 제어 프로파일(Pr2)에 있어서 x+1회째의 흡인 횟수에 대응하는 온도로 하고, 제2 부하(31)로의 방전을 제어한다. 이후에도 동일하게 하여, MCU(50)는, x+j(일례로서 j는 2이상의 자연수)회째의 흡인에 의한 에어로졸 생성 요구가 있었을 때에는, 향미원(33)의 목표 온도를, 제어 프로파일(Pr2)에 있어서 x+j회째의 흡인 횟수에 대응하는 온도로 하고, 제2 부하(31)로의 방전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MCU(50)는, 사용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에 따라 흡인 횟수를 0(제로. 즉 초기값)로 리셋 하지 않고, 사용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 후에도 그 변경 전의 흡인 횟수를 그대로 계승한다. 그리고, MCU(50)는, 사용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 후에 에어로졸 생성 요구가 있었을 때에는, 변경 전부터 계승한 흡인 횟수와, 변경 후의 사용 제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향미원(33)의 목표 온도를 결정한다.
이상과 같이, MCU(50)는, 사용 제어 프로파일을 변경하는 경우에, 흡인 횟수(즉 제1 부하(21)로의 누적 방전 횟수)와,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의 제2 부하(31)로의 방전 양태를 결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MCU(50)는,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 변경하기 전의 에어로졸의 생성에 따른 향미원(33)의 향미 성분의 감소를 고려하여,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의 제2 부하(31)로의 방전 양태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에도 제2 부하(31)로의 방전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어,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에 따라 향끽미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MCU(50)는, 사용 제어 프로파일을 변경하는 경우에, 흡인 횟수(즉 제1 부하(21)로의 누적 방전 횟수) 또는 누적 방전 시간에 근거하여, 향미원(33)에 포함되는 향미 성분의 잔량(즉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을 도출하고, 도출된 향미 성분의 잔량에 근거하여,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의 제2 부하(31)로의 방전 양태를 결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흡인이 npuff회(일례로서 npuff는 0이상의 자연수) 이루어진 상태에 있어서 향미원(33)에 포함되어 있는 향미 성분의 중량[mg]을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npuff)로 하면,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npuff)는, 이하의 식(2)에 의하여 모델화할 수 있다.
상기 식(2)의 δ은 실험적으로 구해지는 계수이다. 1회의 흡인이 이루어지는 기간에 있어서,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npuff)는 변동될 수 있지만, 이 모델에서는, 이것을 일정값으로 취급하기 위하여, 이러한 δ을 도입하고 있다. 또한, 신품의 제2 카트리지(30)의 향미원(33)에 포함되어 있는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npuff=0)를, 이하, Winitial라고도 기재한다. Winitial는, 예를 들면, 에어로졸 흡인기(1)의 제조자 등에 의하여 정해진 소정값이다. 또한, Winitial는, 제2 카트리지(30)의 상표 등에 따라 달라도 된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흡인기(1)에 있어서, 신품의 제1 카트리지(20) 및 제2 카트리지(30)가 장착되고, 우선은 제어 프로파일(Pr1)이 사용 제어 프로파일로서 설정된 것으로 한다. 그리고, 그 상태로 y회의 흡인(즉 에어로졸의 생성)이 이루어진 것으로 한다. 여기서, y는 1이상의 자연수이다. 또한, 여기서, 사용 제어 프로파일을 제어 프로파일(Pr1)로서 y회의 흡인이 이루어진 경우의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npuff=y)를, Wy로 한다. Wy는, 예를 들면 상기 식(2)에 근거하여 구할 수 있다.
그 후, 제어 프로파일(Pr2)을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 하는 변경 지시가 있었다고 한다. 이 경우, MCU(50)는, 사용 제어 프로파일이 제어 프로파일(Pr2)인 경우에 몇 회의 흡인이 이루어지면,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가 상기의 Wy와 가장 근접하게 되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는, 이 판단의 결과, 사용 제어 프로파일이 제어 프로파일(Pr2)인 경우에 z회(일례로서 z는 1이상의 자연수이며, z≠y)의 흡인이 이루어진 때의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npuff=z)인 Wz가, 예를 들면 Wy와의 차(差)의 절대값이 최소가 되는 최근값이며, 구체적 일례로서 상기의 Wy와 동일한(즉 Wz=Wy)라고 판단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MCU(50)는, 예를 들면, 도 7에 있어서(21)로 나타내는 화살표와 같이, 사용 제어 프로파일을 제어 프로파일(Pr1)로부터 제어 프로파일(Pr2)로 변경한다. 그리고, MCU(50)는, 예를 들면, 도 7에 있어서 (22)로 나타내는 화살표와 같이, 신품의 제1 카트리지(20) 및 제2 카트리지(30)가 장착되었을 때로부터 y+1회째 이후의 흡인에 따른 에어로졸의 생성시에는 제어 프로파일(Pr2)에 따라 제2 부하(31)로의 방전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 경우, MCU(50)는, y+1회째의 흡인에 의한 에어로졸 생성 요구가 있었을 때에는, 향미원(33)의 목표 온도를, 제어 프로파일(Pr2)에 있어서 z+1회째의 흡인 횟수에 대응하는 온도로 하여, 제2 부하(31)로의 방전을 제어한다. 이후에도 동일하게 하여, MCU(50)는, y+k(일례로서 k는 2이상의 자연수)회째의 흡인에 의한 에어로졸 생성 요구가 있었을 때에는, 향미원(33)의 목표 온도를, 제어 프로파일(Pr2)에 있어서 z+k회째의 흡인 횟수에 대응하는 온도로 하여, 제2 부하(31)로의 방전을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MCU(50)는, 사용 제어 프로파일을 변경하는 경우에, 향미원(33)에 포함되는 향미 성분의 잔량에 근거하여,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의 제2 부하(31)로의 방전 양태를 결정하여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 변경하기 전의 에어로졸의 생성에 따라 감소한 향미원(33)의 향미 성분의 잔량을 고려하여,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의 제2 부하(31)로의 방전 양태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에도 제2 부하(31)로의 방전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어,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에 따라 향끽미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의 1회의 흡인에 의해 생성되는 에어로졸 중량 Waerosol나 향미원(33)의 온도가 동일한 조건이어도, 담배 과립의 스펙(제2 카트리지(30)의 상표 등에 따른 Winitial나 담배 과립의 입도 분포 등)에 의하여, 에어로졸에 부가되는 향미 성분량 Wflavor가 상이한 것이 상정된다. 이 때문에, MCU(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향미원(33)에 포함되는 향미 성분의 잔량에 근거하여,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의 제2 부하(31)로의 방전 양태를 결정함으로써, 단지 흡인 횟수(즉 제1 부하(21)로의 누적 방전 횟수) 또는 누적 방전 시간에 근거하여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의 제2 부하(31)로의 방전 양태를 결정하도록 한 경우에 비하여,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에도 제2 부하(31)로의 방전을 보다 적절히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MCU(50)는, 사용 제어 프로파일을 변경함으로써, 해당 변경의 전후에서, 제어 상태 부하인 제2 부하(31)로의 방전 양태(여기에서는 향미원(33)의 목표 온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환언하면, 에어로졸 흡인기(1)에 있어서는, MCU(50)에 의해 사용 제어 프로파일이 변경되면, 제어 상태 부하인 제2 부하(31)의 목표 온도나, 변경 후의 흡인 가능 횟수 혹은 흡인 가능 시간이 바뀔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예를 들면, 자신의 기호나 흡인시의 기분 등에 따라, 사용 제어 프로파일을 변경시킴으로써, 원하는 향끽미나, 흡인 가능 횟수 혹은 흡인 가능 시간 등을 실현시키는 것이 가능해 지고, 에어로졸 흡인기(1)의 상품성이 향상된다. 또한, 사용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제어 상태 부하의 방전 양태는, 제어 양태 부하의 목표 온도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 양태상태 부하로의 공급 전력 등이어도 된다.
(제2 카트리지가 재장착된 경우의 일례)
예를 들면, 에어로졸에 부가되는 향미를 변화시키고 싶은 이유 등으로부터, 유저가, 에어로졸 흡인기(1)에 장착된 제2 카트리지(30)를, 다른 제2 카트리지(30)로 일단 교환한 후, 이 교환 전에 장착하고 있던 제2 카트리지(30)를 재장착하는 것이 고려된다. 즉,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가 감소한 제2 카트리지(30)가 에어로졸 흡인기(1)에 장착되는 것이 고려된다.
이와 같이,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가 감소한 제2 카트리지(30)가 재장착된 경우에도, 신품의(즉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가 감소하지 않은) 제2 카트리지(30)가 장착된 경우와 동일하게 제2 부하(31)로의 방전을 제어하면, 향미 성분량 Wflavor가 적어지고, 향끽미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MCU(50)는, 에어로졸 흡인기(1)에 장착된 적이 있는 제2 카트리지(30)가 재장착된 경우에, 해당 제2 카트리지(30)의 향미원(33)에 포함되어 있는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를 나타내는 잔량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잔량 정보에 근거하여, 제2 카트리지(30)의 재장착 후의 제2 부하(31)로의 방전 양태(즉 향미원(33)의 목표 온도)를 결정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흡인기(1)에 있어서, 신품의 제1 카트리지(20) 및 제2 카트리지(30)가 장착되고, 우선은 제어 프로파일(Pr1)이 사용 제어 프로파일로서 설정된 것으로 한다. 그리고, 그 상태로 x회의 흡인(즉 에어로졸의 생성)이 이루어진 것으로 한다.
그 후, x+1회째의 흡인이 이루어지기 전에, 에어로졸 흡인기(1)에 장착된 상기의 제2 카트리지(30)가 다른 제2 카트리지(30)에 일단 교환되고, 나아가 그 후, 상기의 제2 카트리지(30)가 에어로졸 흡인기(1)에 재장착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MCU(50)는, 상기의 제2 카트리지(30)가 에어로졸 흡인기(1)에 재장착되면, 도 7에 있어서 (31)로 나타내는 화살표와 같이, 사용 제어 프로파일을 전회의 장착시와 동일한 제어 프로파일(Pr1)로 하는 것과 함께, 제어 프로파일(Pr1)에 있어서의 x+1회째 이후의 제2 부하(31)로의 방전 제어를 재개한다. 이것에 의하여, 재장착 전의 에어로졸의 생성에 따라 감소한 향미원(33)의 향미 성분의 잔량을 고려하여, 재장착 후의 제2 부하(31)로의 방전 양태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카트리지(30)의 재장착 후에도 제2 부하(31)로의 방전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어, 향끽미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MCU(50)는, 제1 카트리지(20)나 제2 카트리지(30)의 착탈, 교환, 재장착을, 임의의 방법을 이용하여 검출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MCU(50)는, 조작부(14)나 통신 기기(100) 등을 통하여, 유저로부터 접수한 조작에 근거하여, 제1 카트리지(20)나 제2 카트리지(30)의 착탈, 교환, 재장착을 검출하여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MCU(50)는, 한 쌍의 방전 단자(41) 간의 전기 저항값에 근거하여, 제1 카트리지(20)의 착탈을 검출할 수도 있다. 즉, 제1 카트리지(20)가 장착되어 있을 때는 방전 단자(41) 간에 제1 부하(21) 등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되고, 방전 단자(41) 사이가 도통한 상태가 된다. 한편, 제1 카트리지(20)가 분리되어 있을 때는 방전 단자(41) 사이가 공기에 의하여 절연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들 각각의 상태에 있어서, MCU(50)를 취득할 수 있는 방전 단자(41) 간의 전기 저항값은 상이하다. 이 때문에, MCU(50)는, 방전 단자(41) 간의 전기 저항값에 근거하여, 제1 카트리지(20)의 착탈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MCU(50)는, 각각의 제1 카트리지(20)가 장착되어 있을 때의 방전 단자(41) 간의 전기 저항값의 차이로부터, 각각의 제1 카트리지(20)를 식별할 수도 있다. 또한, 전기 저항값을 대신하여, 예를 들면, 제1 카트리지(20)의 에어로졸원(22)의 잔량 등, 소정의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검출 가능한 다른 물리량을 이용하여, 각각의 제1 카트리지(20)를 식별할 수도 있다.
나아가, 예를 들면, MCU(50)는, 각각의 제1 카트리지(20)의 에어로졸원(22)의 잔량을 메모리(50a) 등에 기억해 두면, 에어로졸 흡인기(1)에 장착된 적이 있는 제1 카트리지(20)가 재장착된 경우에, 메모리(50a) 등에 기억된 제1 카트리지(20)의 에어로졸원(22)의 잔량과, 검출된 제1 카트리지(20)의 에어로졸원(22)의 잔량으로부터, 해당 제1 카트리지(20)가 재장착된 것을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2 카트리지(30)의 장착시와 분리시에는, 그 장착이나 분리에 의하여 방전 단자(41)에 응력이 가해진다. 이 응력은, 한 쌍의 방전 단자(41) 간의 전기 저항값에 흔들림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MCU(50)는, 방전 단자(41) 간의 전기 저항값의 흔들림에 근거하여, 제2 카트리지(30)의 착탈을 검출하여도 된다.
또한, 제1 카트리지(20)나 제2 카트리지(30)에, 개개의 제1 카트리지(20)나 제2 카트리지(30)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예를 들면 ID)를 기억한 기억 매체를 설치해 두고, MCU(50)는, 이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제1 카트리지(20)나 제2 카트리지(30)의 착탈, 교환, 재장착을 검출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이들 기억 매체에 기억된 정보를 MCU(50)가 취득(판독) 가능한 상태로부터 취득 불가능한 상태로 천이한 경우에, MCU(50)는, 제1 카트리지(20)나 제2 카트리지(30)의 제외를 검출한다. 또한, 이들 기억 매체에 기억된 정보를 MCU(50)가 취득 불가능한 상태로부터 취득 가능한 상태로 천이한 경우에, MCU(50)는, 제1 카트리지(20)나 제2 카트리지(30)의 장착을 검출한다.
또한, MCU(50)는, 장착된 제1 카트리지(20)나 제2 카트리지(30)의 식별 정보를 메모리(50a) 등에 기억해 두고, 새롭게 취득한 식별 정보가 메모리(50a) 등에서 기억하고 있는 식별 정보로부터 변화된 것에 근거하여, 제1 카트리지(20)나 제2 카트리지(30)가 교환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흡인기(1)에 장착된 적이 있는 제1 카트리지(20)나 제2 카트리지(30)의 식별 정보를 메모리(50a) 등에 기억해 두는 것에 의하여, MCU(50)는, 에어로졸 흡인기(1)에 장착된 적이 있는 제1 카트리지(20)나 제2 카트리지(30)가 재장착된 경우에, 이들이 재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그리고, 예를 들면, MCU(50)는, 에어로졸 흡인기(1)에 장착된 적이 있는 제2 카트리지(30)의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해당 제2 카트리지(30)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흡인 횟수(즉 제1 부하(21)로의 누적 방전 횟수) 또는 누적 방전 시간을 메모리(50a) 등에 기억해 두는 것에 의하여, 해당 제2 카트리지(30)의 향미원(33)에 포함되어 있는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를 나타내는 잔량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동일하게, MCU(50)는, 에어로졸 흡인기(1)에 장착된 적이 있는 제1 카트리지(20)의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해당 제1 카트리지(20)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흡인 횟수(즉 제1 부하(21)로의 누적 방전 횟수) 또는 누적 방전 시간을 메모리(50a) 등에 기억해 두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카트리지(20)가 재장착된 경우에, 해당 제1 카트리지(20)의 에어로졸원(22)의 잔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MCU(50)는, 재장착된 제1 카트리지(20)의 에어로졸원(22)의 잔량에 근거하여, 해당 제1 카트리지(20)의 재장착 후의 제1 부하(21)나 제2 부하(31)로의 방전 양태를 결정해도 된다.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의 제한)
그런데, 제1 부하(21)로의 방전 중(즉 에어로졸의 생성 중)에 제어 프로파일이 변경되면, 이 변경에 따른 향미원(33)의 목표 온도의 변화에 의하여, 에어로졸에 부가되는 향미 성분량 Wflavor가 급격하게 변동되고, 유저에 대하여 위화감을 줄 우려가 있다. 이러한 위화감은, 에어로졸 흡인기(1)의 상품성의 저하로 연결될 수 있다.
그래서, MCU(50)는, 제1 부하(21)로의 방전 중에는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제한한다. 이것에 의하여, MCU(50)는, 유저에 의한 흡인 동작 중에 에어로졸에 부가되는 향미 성분량 Wflavor가 급격하게 변동된다고 하는, 유저에 대하여 위화감을 줄 수 있는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적절히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에어로졸 흡인기(1)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MCU(50)는, 제1 부하(21)로의 방전 중으로 변경 지시를 접수했다고 하여도, 그 시점에서는 이 변경 지시에 근거하는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실시하지 않도록 하여, 제1 부하(21)로의 방전이 종료되고 나서 상기의 변경 지시에 근거하는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실시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하여, MCU(50)는, 제1 부하(21)로의 방전 중에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실시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또한, 통신 기기(100)를 통하여 변경 지시를 접수하는 경우, MCU(50)는, 변경 지시를 수행하기 위한 조작을 접수 불가로 하는 정보를 통신 기기(100)에 대하여 송신함으로써,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제한하도록 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이 경우, MCU(50)는, 제1 부하(21)로의 방전을 수행함에 있어서, 변경 지시를 수행하기 위한 조작을 접수 불가로 하는 정보를 통신 기기(100)에 대하여 송신한다. 이 정보를 수신한 통신 기기(100)는, 예를 들면, 자장치(自裝置)의 터치 패널에 표시하는 변경 지시를 수행하기 위한 조작 버튼을 그레이 아웃시켜, 해당 조작 버튼에 대한 조작(즉 변경 지시를 수행하기 위한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하여도 그 조작을 접수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MCU(50)는, 변경 지시를 수행하기 위한 조작을 접수 불가로 하는 정보를 통신 기기(100)에 대하여 송신함으로써, 통신 기기(100)가 유저에 대하여 변경 지시를 수행하기 위한 조작이 접수 불가인 취지를 시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유저의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MCU(50)는, 변경 지시가 있던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신 기기(100)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거부하는, 또는 통신 기기(100)로부터 수신한 변경 지시가 있던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무시함으로써,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제한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MCU(50)는, 간단한 제어로,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제한할 수 있다.
(에어로졸 흡인기(1)의 동작의 일례)
다음으로, 에어로졸 흡인기(1)의 동작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에어로졸 흡인기(1)의 각 동작은, 예를 들면, MCU(50)의 프로세서가 ROM이나 메모리(50a) 등에 미리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동작)
우선,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에어로졸 흡인기(1)에 의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동작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14)의 조작 등에 의해 에어로졸 흡인기(1)의 전원이 ON 되면(스텝 S0: YES), MCU(50)는, 흡인 횟수 또는 누적 방전 시간과, 설정중인 제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향미원(33)의 목표 온도 Tcap_target를 결정(설정)한다(스텝 S1).
다음으로, MCU(50)는, 현시점에서의 향미원(33)의 온도 Tcap_sense를 온도 검출용 소자 T1의 출력에 근거하여 취득한다(스텝 S2).
그리고, MCU(50)는, 온도 Tcap_sense와 목표 온도 Tcap_target에 근거하여, 향미원(33)을 가열하기 위한 제2 부하(31)로의 방전을 제어한다(스텝 S3). 구체적으로는, MCU(50)는, 온도 Tcap_sense가 목표 온도 Tcap_target에 수렴하도록, PID(Proportional-Integral-Differential) 제어, 또는, ON/OFF 제어에 의해 제2 부하(31)로 전력 공급을 실시한다.
PID 제어는, 온도 Tcap_sense와 목표 온도 Tcap_target의 차이를 피드백하고, 그 피드백 결과에 근거하여, 온도 Tcap_sense가 목표 온도 Tcap_target에 수렴하도록 전력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다. PID 제어에 의하면, 온도 Tcap_sense를 목표 온도 Tcap_target로 고정밀도로 수렴시킬 수 있다. 또한, MCU(50)는, PID 제어를 대신하여 P(Proportional) 제어나 PI(Proportional-Integral) 제어를 이용하여도 된다.
ON/OFF 제어는, 온도 Tcap_sense가 목표 온도 Tcap_target 미만인 상태에서는 제2 부하(31)로의 전력 공급을 실시하고, 온도 Tcap_sense가 목표 온도 Tcap_target 이상인 상태에서는, 온도 Tcap_sense가 목표 온도 Tcap_target 미만이 될 때까지 제2 부하(31)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제어이다. ON/OFF 제어에 의하면, PID 제어보다도 향미원(33)의 온도를 빨리 상승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에어로졸 생성 요구가 검지되기 전 단계에서, 온도 Tcap_sense가 목표 온도 Tcap_target에 도달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목표 온도 Tcap_target는, 히스테리시스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스텝 S3 후, MCU(50)는, 에어로졸 생성 요구의 유무를 판정한다(스텝 S4). MCU(50)는, 에어로졸 생성 요구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스텝 S4: NO)에는, 스텝 S5에서, 에어로졸 생성 요구를 하지 않은 시간(이하, 무조작 시간으로 기재)의 길이를 판정한다. 그리고, MCU(50)는, 무조작 시간이 소정 시간에 이르고 있었을 경우(스텝 S5: YES)에는, 제2 부하(31)로의 방전을 종료하고(스텝 S6), 소비 전력을 저감 시킨 sleep 모드로 이행한다(스텝 S7). MCU(50)는, 무조작 시간이 소정 시간 미만이었을 경우(스텝 S5: NO)에는, 스텝 S2로 처리를 이행한다.
MCU(50)는, 에어로졸 생성 요구를 검지하면(스텝 S4: YES), 향미원(33)의 가열을 위한 제2 부하(31)로의 방전을 종료하고, 그 시점에서의 향미원(33)의 온도 Tcap_sense를 온도 검출용 소자 T1의 출력에 근거하여 취득한다(스텝 S8). 그리고, MCU(50)는, 스텝 S8에서 취득한 온도 Tcap_sense가 목표 온도 Tcap_target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9).
온도 Tcap_sense가 목표 온도 Tcap_target 이상인 경우(스텝 S9: YES)에는, MCU(50)는, 미리 결정된 무화 전력 Pliquid를 제1 부하(21)에 공급하고, 제1 부하(21)의 가열(에어로졸원(22)을 무화하기 위한 가열)을 개시한다(스텝 S10). 스텝 S10에서의 제1 부하(21)의 가열 개시 후, MCU(50)는, 에어로졸 생성 요구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스텝 S11: NO)에는 가열을 계속하고, 에어로졸 생성 요구가 종료된 경우(스텝 S11: YES)에는, 제1 부하(21)에의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스텝 S14).
온도 Tcap_sense가 목표 온도 Tcap_target 미만인 경우(스텝 S9: NO)에는, MCU(50)는, 무화 전력 Pliquid를 소정량 증가한 전력을 제1 부하(21)에 공급하고, 제1 부하(21)의 가열을 개시한다(스텝 S12). 여기서의 전력의 증가는, 예를 들면, 온도 Tcap_sense와 목표 온도 Tcap_target의 온도차와, 전력 증가량을 대응시킨 테이블에 따라 실시한다. 스텝 S12에서의 제1 부하(21)의 가열 개시 후, MCU(50)는, 에어로졸 생성 요구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스텝 S13: NO)에는 가열을 계속하고, 에어로졸 생성 요구가 종료된 경우(스텝 S13: YES)에는, 제1 부하(21)에의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스텝 S14).
이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요구가 이루어진 시점에서, 향미원(33)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고 있지 않는 경우여도, 스텝 S12의 처리가 이루어짐으로써, 생성되는 에어로졸량을 늘릴 수 있다. 이 결과, 향미원(33)의 온도가 목표 온도보다도 낮은 것에 기인하는 에어로졸에 부가되는 향미 성분량의 감소를, 에어로졸량의 증가에 의해 보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에어로졸에 부가되는 향미 성분량을 목표량에 수렴시킬 수 있다.
스텝 S14 후, MCU(50)는, 메모리(50a)에서 기억하고 있는 흡인 횟수 또는 누적 방전 시간을 갱신한다(스텝 S15).
다음으로, MCU(50)는, 갱신 후의 흡인 횟수 또는 누적 방전 시간이 역치를 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6). MCU(50)는, 갱신 후의 흡인 횟수 또는 누적 방전 시간이 역치 이하인 경우(스텝 S16: NO)에는, 스텝 S19에서 처리를 이행한다. MCU(50)는, 갱신 후의 흡인 횟수 또는 누적 방전 시간이 역치를 넘는 경우(스텝 S16: YES)에는, 제2 카트리지(30)의 교환을 촉구하는 통지를 통지부(45)에 실시하게 한다(스텝 S17). 그리고, MCU(50)는, 흡인 횟수 또는 누적 방전 시간을 초기값(=0)으로 리셋하고, 목표 온도 Tcap_target를 초기화한다(스텝 S18). 목표 온도 Tcap_target의 초기화란, 메모리(50a)에서 기억하고 있는 그 시점에서의 목표 온도 Tcap_target를 설정치로부터 제외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 일례로서 MCU(50)가 도 9에 나타낸 목표 온도의 프로파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 초기화를 대신하여, 최저 목표 온도(50℃)를 목표 온도 Tcap_target로 설정하여도 된다. 그 경우, 이 처리 직후에 실시하는 스텝 S1의 처리는 생략하여도 된다.
스텝 S18 후, MCU(50)는, 전원이 오프 되지 않으면(스텝 S19: NO), 스텝 S1로 처리를 되돌리고, 전원이 오프 되면(스텝 S19: YES), 처리를 종료한다.
(제어 프로파일을 변경하기 위한 동작)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에어로졸 흡인기(1)에 의한 제어 프로파일을 변경하기 위한 동작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MCU(50)는,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 지시가 있으면(스텝 S20: YES), 제1 부하(21)로의 방전 중인지(즉 무화 전력 Pliquid를 제1 부하(21)에 공급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1).
제1 부하(21)로의 방전 중인 경우(스텝 S21: YES)에는, MCU(50)는, 그 제1 부하(21)로의 방전이 종료될 때까지 기다린다. 이것에 의하여, MCU(50)는, 제1 부하(21)로의 방전 중인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 지시가 있었을 때에 제1 부하(21)로의 방전 중이면, MCU(50)는, 제1 부하(21)로의 방전이 종료되는 것을 기다리도록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MCU(50)는,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 지시가 있었을 때에 제1 부하(21)로의 방전 중이면,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이 불가인 취지를, 통신 기기(100)를 통하여 유저에게 통지하고, 그대로 도 10에 나타내는 처리를 종료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도, MCU(50)는, 제1 부하(21)로의 방전 중인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MCU(50)는, 제1 부하(21)로의 방전을 실시함에 있어서, 변경 지시를 수행하기 위한 조작을 접수 불가로 하는 정보를 통신 기기(100)에 대하여 송신함으로써, 제1 부하(21)로의 방전 중에는 변경 지시를 수행하기 위한 조작을 접수하지 않도록 하여도 된다. 나아가 MCU(50)는, 제1 부하(21)로의 방전 중에는, 변경 지시가 있던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신 기기(100)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거부한다, 또는 통신 기기(100)로부터 수신한 변경 지시가 있던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무시함으로써,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제한하여도 된다.
한편, 제1 부하(21)로의 방전 중이 아닌 경우(스텝 S21: NO)에는, MCU(50)는, 그대로 스텝 S26의 처리로 이행하여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실시하도록 하여도 되지만, 아래와 같은 스텝 S22~S25의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유저의 편리성을 높여, 에어로졸 흡인기(1)의 상품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MCU(50)는, 흡인 횟수(즉 제1 부하(21)로의 누적 방전 횟수) 또는 누적 방전 시간에 근거하여, 향미원(33)에 포함되는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를 도출한다(스텝 S22).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는, 예를 들면, 상기 식(2)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그리고, MCU(50)는, 스텝 S22에서 도출한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와,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의 흡인 가능 횟수를 예측한다(스텝 S23). 예를 들면,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이 제어 프로파일(Pr2)이며,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가 상술한 Wz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MCU(50)는, 제어 프로파일(Pr2)에의 변경 후의 흡인 가능 횟수를, 120회(제어 프로파일(Pr2)에 있어서 허용 된 흡인 횟수의 상한값)-z회로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MCU(50)는, 예를 들면, 통신 기기(100)를 통하여, 스텝 S22에서 예측한 흡인 가능 횟수를 유저에게 통지함과 동시에,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 여부를 유저에게 확인한다(스텝 S24). 그리고, MCU(50)는, 유저에 의한 변경 허가가 있으면(스텝 S25: Yes),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 변경한다(스텝 S26).
그리고, MCU(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흡인 횟수 또는 누적 방전 시간과,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의 향미원(33)의 목표 온도 Tcap_target를 결정하고(스텝 S27), 도 10에 나타내는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MCU(50)는,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 여부의 유저에의 확인 후, 소정 기간 내에 변경 허가가 없었던 경우에는, 제어 프로파일을 변경하지 않고, 도 10에 나타내는 처리를 종료하여도 된다. 또한, MCU(50)는,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 여부를 유저에게 확인한 결과, 변경 허가하지 않는 취지의 조작이 유저에 의해 행해졌을 경우에는, 제어 프로파일을 변경하지 않고, 도 10에 나타내는 처리를 종료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MCU(50)는,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의 흡인 가능 횟수를 예측하고, 예측한 흡인 가능 횟수를 유저에게 통지함으로써,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에 어느 정도 흡인할 수 있는지를 유저에게 알릴 수 있다. 즉, 제어 프로파일이 변경되는 것에 의해 흡인 가능 횟수가 감소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MCU(50)는,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의 흡인 가능 횟수를 유저에게 미리 알려 두는 것에 의하여, 유저의 상정(想定) 외의 타이밍에서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가 고갈되는 것을 억제하여,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MCU(50)는, 흡인 가능 횟수의 통지 후에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을 허가하는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 변경하므로, 유저의 뜻에 반한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이 이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는, 통지된 흡인 가능 횟수를 고려한 후에,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을 희망하는 경우만,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을 허가하는 조작을 실시하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당업자라면,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 있어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 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고, 그에 관하여도 당연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양해된다. 또한,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를 임의로 조합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프로파일에 의한 제어 대상 부하를 제2 부하(31)으로 하고, 제어 프로파일에 의해 제2 부하(31)로의 방전을 제어하도록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어 프로파일에 의한 제어 대상 부하를 제1 부하(21)으로 하고, 제어 프로파일에 의해 제1 부하(21)로의 방전을 제어하도록 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이 경우, 제어 프로파일을, 상술한 향미원(33)의 목표 온도를 대신하여, 에어로졸 생성 요구가 있었을 때의 제1 부하(21)에의 인가 전압이나 무화 전력 Pliquid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유저는, 제어 프로파일을 변경함으로써, 유저의 1회의 흡인 동작에 따라 생성되는 에어로졸 중량 Waerosol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경우, 유저는, 에어로졸 중량 Waerosol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유저의 1회의 흡인 동작에 따라 생성되는 에어로졸에 부가되는 향미 성분량 Wflavor를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제어 프로파일에 의한 제어 대상 부하를 제1 부하(21)으로 하고, 제어 프로파일에 의해 제1 부하(21)로의 방전을 제어하도록 한 경우도, MCU(50)는, 제1 부하(21)로의 방전 중에는,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제한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적절히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에어로졸 흡인기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프로파일에 의한 제어 대상 부하를 제2 부하(31)으로 하고, 제1 부하(21)로의 방전 중에는, MCU(50)가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제한하도록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어 프로파일에 의한 제어 대상 부하를 제2 부하(31)으로 하고, 제2 부하(31)로의 방전 중에는, MCU(50)가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제한하도록 하여도 된다. 구체적 일례로서 향미원(33) 자체에 에어로졸원(22)도 포함되는 경우, 에어로졸 흡인기(1)가, 제1 부하(21)를 가지지 않고, 제2 부하(31)만을 구비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제어 프로파일에 의한 제어 대상 부하를 제2 부하(31)으로 하고, 제2 부하(31)로의 방전 중에는, MCU(50)가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제한하도록 하면,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적절히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에어로졸 흡인기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부하(21)와 제2 부하(31)와의 양쪽을 제어 프로파일에 의한 제어 대상 부하로 하고, 제1 부하(21)용의 제어 프로파일과, 제2 부하(31)용의 제어 프로파일을 각각 설치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유저가, 에어로졸 중량 Waerosol 및 향미 성분량 Wflavor를 보다 유연하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제어 프로파일이, 제1 부하(21)로의 방전 양태와 제2 부하(31)로의 방전 양태와의 조합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이 경우, 제어 프로파일을, 에어로졸 생성 요구가 있었을 때의 제1 부하(21)에의 인가 전압과 향미원(33)의 목표 온도와의 조합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유저는, 적절한 조합의 제1 부하(21) 및 제2 부하(31)로의 방전 양태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유저가, 원하는 에어로졸 중량 Waerosol나 향미 성분량 Wflavor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그리고, 유저에 의하여 향미 성분량 Wflavor가 설정되면, 이 향미 성분량 Wflavor가 실현 가능한 제2 부하(31)용의 제어 프로파일을 MCU(50)가 자동적으로 설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동일하게, 유저에 의하여 에어로졸 중량 Waerosol가 설정되면, 이 에어로졸 중량 Waerosol가 실현 가능한 제1 부하(21)용의 제어 프로파일을 MCU(50)가 자동적으로 설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나아가, 이 경우, 유저에 의하여 설정된 에어로졸 중량 Waerosol의 에어로졸에 대하여 적절한 향미 성분을 부가하기 위한 제2 부하(31)용의 제어 프로파일도 MCU(50)가 자동적으로 설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유저에 의하여 에어로졸 중량 Waerosol가 설정되고, 향미 성분량 Wflavor에 관한 지정이 없는 경우에는, MCU(50)는, 유저의 설정에 따라 에어로졸 중량 Waerosol를 변경하기 전과 동일한 향미 성분량 Wflavor가 되도록 제2 부하(31)로의 방전을 제어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프로파일을 테이블 형식의 데이터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어 프로파일을 소정의 계산식에 의해 규정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이 경우, 에어로졸 중량 Waerosol나 향미 성분량 Wflavor나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 등에 따라 설정해야 하는 향미원(33)의 목표 온도가 산출 가능한 계산식을, 제2 부하(31)용의 제어 프로파일로 하여 설치하여도 된다. 동일하게, 에어로졸 중량 Waerosol나 향미 성분량 Wflavor나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 등에 따라 설정해야 하는 제1 부하(21)에의 인가 전압이나 무화 전력 Pliquid가 산출 가능한 계산식을, 제1 부하(21)용의 제어 프로파일로 하여 설치하여도 된다.
나아가, 제1 카트리지(20)나 제2 카트리지(30)의 개체마다 상이한 제어 프로파일을 설치하도록 해도 되고, 레귤러용이나 멘톨용이라고 하는 2개의 제어 프로파일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여기서, 레귤러용의 제어 프로파일은, 에어로졸원(22)이나 향미원(33)에 멘톨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적합한 제1 부하(21)나 제2 부하(31)로의 방전 양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멘톨용의 제어 프로파일은, 에어로졸원(22)이나 향미원(33)에 멘톨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적합한 제1 부하(21)나 제2 부하(31)로의 방전 양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중량 Waerosol나 향미 성분량 Wflavor나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 등을 산출하기 위한 계산식을 통신 기기(100)에 미리 기억하여 두고, 이들을 산출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MCU(50)가 통신 기기(100)에 적절히 송신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리고, MCU(50)는, 통신 기기(100)에 의해 산출된 에어로졸 중량 Waerosol나 향미 성분량 Wflavor나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신 기기(100)로부터 수신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MCU(50)의 연산량을 줄여, 전원 유닛(10)의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로졸 흡인기(1)가 제1 부하(21) 및 제2 부하(31)를 구비하고, 에어로졸원(22) 및 향미원(33)의 양쪽을 가열 가능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흡인기(1)는, 에어로졸원(22)을 가열하는 제1 부하(21)를 구비하는 한편, 향미원(33)을 가열하는 제2 부하(31)는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제어 프로파일은, 제1 부하(21)로의 방전 양태를 나타내는 것이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의 흡인 가능 횟수를 유저에게 통지하도록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MCU(50)는, 흡인 가능 횟수에 더하여, 또는 흡인 가능 횟수를 대신하여,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의 흡인 가능 시간을 예측하고, 해당 흡인 가능 시간을 유저에게 통지하도록 하여도 된다. 나아가, MCU(50)는, 제어 프로파일 변경 후의 향끽미에 대응한 소정의 정보(예를 들면, 들이마시는 느낌나 멘톨감의 강함 등)도 유저에게 통지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MCU(50)는, 예를 들면, 제어 프로파일 변경의 전후에서 에어로졸 중량 Waerosol가 변화하는 경우에는, 제어 프로파일 변경 후의 에어로졸 중량 Waerosol를 유저에게 통지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MCU(50)가, 제어상 이용하는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를 흡인 횟수(즉 제1 부하(21)로의 누적 방전 횟수)에 근거하여 도출함으로써 취득하도록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을검출 가능한 센서를 설치하고, 이 센서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MCU(50)가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를 취득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동일하게, 에어로졸원(22)의 잔량을 검출 가능한 센서를 설치하고, 이 센서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MCU(50)가 에어로졸원(22)의 잔량을 취득하도록 하여도 된다. 즉, 향미 성분 잔량 Wcapsule나 에어로졸원(22)의 잔량은, 이들을 검출 가능한 센서를 통하여 취득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카트리지(20)가 전원 유닛(10)에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제1 카트리지(20)는 전원 유닛(10)과 일체화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부하(21)와 제2 부하(31)는, 전원(12)으로부터 방전되는 전력에 의해 발열하는 히터로 되어 있지만, 제1 부하(21)와 제2 부하(31)는 전원(12)으로부터 방전되는 전력에 의해 발열과 냉각 양쪽이 가능한 펠티에 소자여도 된다. 이와 같이 제1 부하(21)와 제2 부하(31)를 구성하면, 에어로졸원(22)의 온도와 향미원(33)의 온도에 관한 제어의 자유도가 넓어지기 때문에, 향미 성분량 Wflavor 등을 보다 고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부하(21)를, 초음파 등에 의해 에어로졸원(22)을 가열하지 않고 에어로졸원(22)을 무화할 수 있는 소자로 구성하여도 된다. 제1 부하(21)에 이용할 수 있는 소자는, 상술한 히터, 펠티에 소자, 초음파 소자로 한정되지 않고, 전원(12)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소비함으로써 에어로졸원(22)의 무화가 가능한 소자라면 다양한 소자 또는 그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부하(31)를, 초음파 등에 의해 향미원(33)을 가열하지 않고, 향미원(33)이 에어로졸에 부가하는 향미 성분량을 변경할 수 있는 소자로 구성하여도 된다. 제2 부하(31)에 이용할 수 있는 소자는, 상술한 히터, 펠티에 소자, 초음파 소자로 한정되지 않고, 전원(12)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소비함으로써 에어로졸에 부가하는 향미 성분량의 변경이 가능한 소자라면 다양한 소자 또는 그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는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괄호 내에는, 상기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대응하는 구성 요소 등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에어로졸원(에어로졸원(22))이 가열됨으로써 생성된 에어로졸에 향미원(향미원(33))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에어로졸에 상기 향미원의 향미 성분을 부가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에어로졸 흡인기(1))의 전원 유닛(전원 유닛(10))으로서,
상기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부하인 제1 부하(제1 부하(21)), 및 상기 향미원을 가열하는 부하인 제2 부하(제2 부하(31))로 방전 가능한 전원(전원(12))과,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제1 부하 및 상기 제2 부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하는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MCU(50))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복수의 제어 프로파일(제어 프로파일(Pr1), 제어 프로파일(Pr2))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제어 프로파일 중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제어에 이용하는 상기 제어 프로파일을, 유저로부터의 변경 지시에 근거하여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1 부하로의 방전 중에는, 상기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제한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1)에 의하면, 제1 부하로의 방전 중에는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제한하므로, 에어로졸의 생성 중(즉 유저의 흡인 동작 중)에 에어로졸의 생성량이나 에어로졸에 부가되는 향미 성분의 양이 급격하게 변동된다고 하는, 유저에 대하여 위화감을 줄 수 있는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적절히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에어로졸 흡인기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에어로졸원(에어로졸원(22))이 가열됨으로써 생성된 에어로졸에 향미원(향미원(33))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에어로졸에 상기 향미원의 향미 성분을 부가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에어로졸 흡인기(1))의 전원 유닛(전원 유닛(10))으로서,
상기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부하(제1 부하(21))로 방전 가능한 전원(전원(12))과,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부하를 포함하는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MCU(50))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복수의 제어 프로파일(제어 프로파일(Pr1), 제어 프로파일(Pr2))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제어 프로파일 중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제어에 이용하는 상기 제어 프로파일을, 유저로부터의 변경 지시에 근거하여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부하로의 방전 중에는, 상기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제한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2)에 의하면,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부하로의 방전 중에는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제한하므로, 에어로졸의 생성 중(즉 유저의 흡인 동작 중)에 에어로졸의 생성량이나 에어로졸에 부가되는 향미 성분의 양이 급격하게 변동된다고 하는, 유저에 대하여 위화감을 줄 수 있는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적절히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에어로졸 흡인기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1) 또는 (2)에 기재된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제어에 이용하는 상기 제어 프로파일을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부하로의 누적 방전 횟수 또는 누적 방전 시간과, 변경처의 상기 제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상기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의 상기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양태를 결정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3)에 의하면,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제어에 이용하는 제어 프로파일을 변경하는 경우에,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부하로의 누적 방전 횟수 또는 누적 방전 시간과,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의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양태를 결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 변경하기 전의 에어로졸의 생성에 따른 에어로졸원 또는 향미원의 향미 성분의 감소를 고려하여,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의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양태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에도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어,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에 따라 향끽미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4)(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제어에 이용하는 상기 제어 프로파일을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에어로졸원의 잔량 또는 상기 향미원에 포함되는 향미 성분의 잔량에 근거하여, 변경처의 상기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의 상기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양태를 결정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4)에 의하면,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제어에 이용하는 제어 프로파일을 변경하는 경우에, 에어로졸원의 잔량 또는 향미원에 포함되는 향미 성분의 잔량에 근거하여,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의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양태를 결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 변경하기 전의 에어로졸의 생성에 따라 감소한 에어로졸원 또는 향미원의 향미 성분의 잔량을 고려하여,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의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양태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에도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어,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에 따라 향끽미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5)(1) 또는 (2)에 기재된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변경 지시가 있었을 경우에, 상기 에어로졸원의 잔량 또는 상기 향미원에 포함되는 향미 성분의 잔량과, 변경처의 상기 제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상기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의 흡인 가능 횟수 또는 흡인 가능 시간을 예측하고,
예측한 상기 흡인 가능 횟수 또는 상기 흡인 가능 시간을 상기 유저에게 통지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5)에 의하면, 변경 지시가 있었을 경우에,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의 흡인 가능 횟수 또는 흡인 가능 시간을 예측하고, 예측한 흡인 가능 횟수 또는 흡인 가능 시간을 유저에게 통지한다. 이것에 의하여,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에 어느 정도 흡인할 수 있는지를 유저에게 미리 알려 둘 수가 있으므로,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6)(5)에 기재된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흡인 가능 횟수 또는 상기 흡인 가능 시간의 통지 후에 상기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을 허가하는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 상기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 변경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6)에 의하면, 흡인 가능 횟수 또는 흡인 가능 시간의 통지 후에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을 허가하는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 변경하므로, 유저의 뜻에 반한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이 이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7)(1) 또는 (2)에 기재된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향미원을 수용하는 카트리지(제2 카트리지(30))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카트리지가 재장착된 경우에, 해당 카트리지에 수용된 상기 향미원에 포함되는 향미 성분의 잔량을 나타내는 잔량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재장착 후의 상기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양태를 결정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7)에 의하면, 향미원을 수용하는 카트리지가 재장착된 경우에, 해당 카트리지에 수용된 향미원에 포함되는 향미 성분의 잔량을 나타내는 잔량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카트리지의 재장착 후의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양태를 결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재장착 전의 에어로졸의 생성에 따라 감소한 향미원의 향미 성분의 잔량을 고려하여, 재장착 후의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양태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의 재장착 후에도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8)(1) 또는 (2)에 기재된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에어로졸원을 수용하는 카트리지(제1 카트리지(20))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카트리지가 재장착된 경우에, 해당 카트리지에 수용된 상기 에어로졸원의 잔량을 나타내는 잔량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재장착 후의 상기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양태를 결정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8)에 의하면, 에어로졸원을 수용하는 카트리지가 재장착된 경우에, 해당 카트리지에 수용된 에어로졸원의 잔량을 나타내는 잔량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카트리지의 재장착 후의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양태를 결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재장착 전의 에어로졸의 생성에 따라 감소한 에어로졸원의 잔량을 고려하여, 재장착 후의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양태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의 재장착 후에도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9)(1) 또는 (2)에 기재된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유저가 조작 가능한 통신 기기(통신 기기(100))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통신 기기를 통하여 상기 변경 지시를 접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변경 지시를 수행하기 위한 조작을 접수 불가로 하는 정보를 상기 통신 기기에 대하여 송신함으로써, 상기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제한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9)에 의하면, 변경 지시를 수행하기 위한 조작을 접수 불가로 하는 정보를, 유저가 조작 가능한 통신 기기에 대하여 송신함으로써,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제한한다. 이것에 의하여, 변경 지시를 수행하기 위한 조작을 접수 불가로 하는 정보를 수신한 통신 기기가, 유저에 대하여 변경 지시를 수행하기 위한 조작이 접수 불가인 취지를 시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유저의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10)(1) 또는 (2)에 기재된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유저가 조작 가능한 통신 기기(통신 기기(100))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통신 기기를 통하여 상기 변경 지시를 접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변경 지시가 있던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통신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거부하는, 또는 상기 통신 기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변경 지시가 있던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무시함으로써, 상기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제한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10)에 의하면, 간단한 제어로,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제한할 수 있다.
(11)에어로졸원(에어로졸원(22))이 가열됨으로써 생성된 에어로졸에 향미원(향미원(33))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에어로졸에 상기 향미원의 향미 성분을 부가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에어로졸 흡인기(1))의 전원 유닛(전원 유닛(10))으로서,
상기 향미원을 가열하는 부하(제2 부하(31))로 방전 가능한 전원(전원(12))과,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부하를 포함하는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MCU(50))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복수의 제어 프로파일(제어 프로파일(Pr1), 제어 프로파일(Pr2))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제어 프로파일 중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제어에 이용하는 상기 제어 프로파일을, 유저로부터의 변경 지시에 근거하여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부하로의 방전 중에는, 상기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제한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11)에 의하면, 향미원을 가열하는 부하로의 방전 중에는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제한하므로, 유저에 대하여 위화감을 줄 수 있는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적절히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에어로졸 흡인기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에어로졸 흡인기
10 전원 유닛
12 전원
20 제1 카트리지
21 제1 부하
30 제2 카트리지
31 제2 부하
50 MCU(제어 장치)
100 통신 기기
Pr1, Pr2 제어 프로파일

Claims (11)

  1. 에어로졸원이 가열되는 것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에 향미원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에어로졸에 상기 향미원의 향미 성분을 부가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부하인 제1 부하, 및 상기 향미원을 가열하는 부하인 제2 부하로 방전 가능한 전원과,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제1 부하 및 상기 제2 부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하는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복수의 제어 프로파일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제어 프로파일 중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제어에 이용하는 상기 제어 프로파일을, 유저로부터의 변경 지시에 근거하여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1 부하로의 방전 중에는, 상기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제한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2. 에어로졸원이 가열되는 것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에 향미원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에어로졸에 상기 향미원의 향미 성분을 부가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부하로 방전 가능한 전원과,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부하를 포함하는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복수의 제어 프로파일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제어 프로파일 중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제어에 이용하는 상기 제어 프로파일을, 유저로부터의 변경 지시에 근거하여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부하로의 방전 중에는, 상기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제한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제어에 이용하는 상기 제어 프로파일을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에어로졸원을 가열하는 부하로의 누적 방전 횟수 또는 누적 방전 시간과, 변경처의 상기 제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상기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의 상기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양태를 결정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제어에 이용하는 상기 제어 프로파일을 변경하는 경우에, 상기 에어로졸원의 잔량 또는 상기 향미원에 포함되는 향미 성분의 잔량에 근거하여, 변경처의 상기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의 상기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양태를 결정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변경 지시가 있었을 경우에, 상기 에어로졸원의 잔량 또는 상기 향미원에 포함되는 향미 성분의 잔량과, 변경처의 상기 제어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상기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 후의 흡인 가능 횟수 또는 흡인 가능 시간을 예측하고,
    예측한 상기 흡인 가능 횟수 또는 상기 흡인 가능 시간을 상기 유저에게 통지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6. 청구항 5에 기재된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흡인 가능 횟수 또는 상기 흡인 가능 시간의 통지 후에 상기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의 변경을 허가하는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 상기 변경처의 제어 프로파일로 변경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향미원을 수용하는 카트리지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카트리지가 재장착된 경우에, 해당 카트리지에 수용된 상기 향미원에 포함되는 향미 성분의 잔량을 나타내는 잔량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재장착 후의 상기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양태를 결정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에어로졸원을 수용하는 카트리지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카트리지가 재장착된 경우에, 해당 카트리지에 수용된 상기 에어로졸원의 잔량을 나타내는 잔량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재장착 후의 상기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양태를 결정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유저가 조작 가능한 통신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통신 기기를 통하여 상기 변경 지시를 접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변경 지시를 수행하기 위한 조작을 접수 불가로 하는 정보를 상기 통신 기기에 대하여 송신함으로써, 상기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제한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유저가 조작 가능한 통신 기기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통신 기기를 통하여 상기 변경 지시를 접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변경 지시가 있던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통신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거부하는, 또는 상기 통신 기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변경 지시가 있던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무시함으로써, 상기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제한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11. 에어로졸원이 가열되는 것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에 향미원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에어로졸에 상기 향미원의 향미 성분을 부가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으로서,
    상기 향미원을 가열하는 부하로 방전 가능한 전원과,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부하를 포함하는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복수의 제어 프로파일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제어 프로파일 중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대상 부하로의 방전 제어에 이용하는 상기 제어 프로파일을, 유저로부터의 변경 지시에 근거하여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부하로의 방전 중에는, 상기 제어 프로파일의 변경을 제한하는,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KR1020227041584A 2020-12-11 2020-12-11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KR202301187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46438 WO2022123796A1 (ja) 2020-12-11 2020-12-11 エアロゾル吸引器の電源ユニ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761A true KR20230118761A (ko) 2023-08-14

Family

ID=81974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1584A KR20230118761A (ko) 2020-12-11 2020-12-11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96818A1 (ko)
EP (1) EP4260736A1 (ko)
JP (1) JPWO2022123796A1 (ko)
KR (1) KR20230118761A (ko)
CN (1) CN115915981A (ko)
WO (1) WO202212379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04227A (ja) 2017-12-12 2019-06-27 韓國セラミック技術院 有・無機ハイブリッ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2055A (en) * 2012-05-14 2013-11-20 Nicoventures Holdings Ltd Modular electronic smoking device
GB2518598B (en) * 2013-08-30 2016-06-01 Nicoventures Holdings Ltd Apparatus with battery power control
DE202014001718U1 (de) 2014-02-27 2015-05-28 Xeo Holding GmbH Rauchvorrichtung
CA3083718A1 (en) 2017-11-22 2019-05-31 Juul Labs, Inc. User interface and user experience for a vaporizer device
EP3759890B1 (en) * 2018-02-26 2023-09-13 Imperial Tobacco Limited System for managing smoking substitute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
CN110013058A (zh) * 2019-05-20 2019-07-16 深圳市美深威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锁功能的电子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04227A (ja) 2017-12-12 2019-06-27 韓國セラミック技術院 有・無機ハイブリッ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2123796A1 (ko) 2022-06-16
CN115915981A (zh) 2023-04-04
WO2022123796A1 (ja) 2022-06-16
US20230096818A1 (en) 2023-03-30
EP4260736A1 (en) 202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7154B1 (ko)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및 에어로졸 흡인기
KR102515695B1 (ko)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및 에어로졸 흡인기
KR102514557B1 (ko)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KR102493302B1 (ko)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및 에어로졸 흡인기
EP3979456B1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KR10239050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JP6834052B1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KR20230108220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KR102506602B1 (ko)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및 에어로졸 흡인기
KR102515696B1 (ko)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및 에어로졸 흡인기
KR20230118761A (ko) 에어로졸 흡인기의 전원 유닛
JP6899026B1 (ja) エアロゾル吸引器の電源ユニット、エアロゾル吸引器、及びエアロゾル吸引システム
KR20230108219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CN114304735B (zh) 用于气雾剂生成装置的电源单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