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8708A - 냉간 압연 및 열처리된 강판, 그 제조 방법 및 차량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그 강의 사용 - Google Patents

냉간 압연 및 열처리된 강판, 그 제조 방법 및 차량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그 강의 사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8708A
KR20230118708A KR1020237026063A KR20237026063A KR20230118708A KR 20230118708 A KR20230118708 A KR 20230118708A KR 1020237026063 A KR1020237026063 A KR 1020237026063A KR 20237026063 A KR20237026063 A KR 20237026063A KR 20230118708 A KR20230118708 A KR 20230118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cold
rolled
aluminum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6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트릭 바르제
로드리게스 이안 알베르토 수아소
Original Assignee
아르셀러미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셀러미탈 filed Critical 아르셀러미탈
Publication of KR20230118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70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8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between cold rolling step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4Dispersions; Precipit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 로, 다음의 원소들: 0.10 % ≤ 탄소 ≤ 0.6 %, 4 % ≤ 망간 ≤ 20 %, 5 % ≤ 알루미늄 ≤ 15 %, 0 ≤ 규소 ≤ 2%, 알루미늄 + 규소 + 니켈 ≥ 6.5% 를 포함하고, 가능하게는 다음의 선택적인 원소들: 0.01% ≤ 니오븀 ≤ 0.3%, 0.01% ≤ 티타늄 ≤ 0.2%, 0.01% ≤ 바나듐 ≤ 0.6%, 0.01% ≤ 구리 ≤ 2.0%, 0.01% ≤ 니켈 ≤ 2.0%, 세륨 ≤ 0.1%, 붕소 ≤ 0.01%, 마그네슘 ≤ 0.05%, 지르코늄 ≤ 0.05%, 몰리브덴 ≤ 2.0%, 탄탈륨 ≤ 2.0%, 텅스텐 ≤ 2.0%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할 수 있고, 잔부가 철 및 정교화에 의해서 야기된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조성을 갖는 냉간 압연 및 열처리된 강판으로서,상기 강판의 미세조직은 면적 분율로 10 내지 50% 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오스테나이트의 상은 입내 카파 탄화물들을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잔부는 최대 2% 의 입내 카파 탄화물들 (Fe,Mn)3AlCx 을 선택적으로 함유하는, D03 조직 (Fe,Mn,X)3Al 의 규칙 페라이트 및 정규 페라이트이고, 상기 강판은 900 MPa 이상의 극한 인장 강도를 나타내는, 냉간 압연 및 열처리된 강판을 다룬다. 본 발명은 또한 제조 방법 및 차량 부품 제조를 위한 이런 그레이드의 사용을 다룬다.

Description

냉간 압연 및 열처리된 강판, 그 제조 방법 및 차량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그 강의 사용{COLD ROLLED AND HEAT TREATED STEEL SHEET,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AND USE OF SUCH STEEL TO PRODUCE VEHICLE PARTS}
본 발명은 자동차 산업에 적합한, 균일 연신율이 9% 이상이면서 인장 강도가 900 MPa 이상인 저밀도 강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경 규제는 자동차 제조업체가 차량의 CO2 배출을 지속적으로 줄이도록 강요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자동차 제조업체는 몇 가지 옵션을 갖고 있는데, 그 주요 옵션은 차량의 중량을 줄이는 것 또는 엔진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2 가지 접근법의 조합에 의해 진보가 종종 달성된다. 본 발명은 제 1 옵션, 즉 자동차의 중량 감소에 관한 것이다. 이 매우 구체적인 분야에는, 2트랙 대안이 있다:
제 1 트랙은 강의 기계적 강도 레벨을 증가시키면서 강의 두께를 줄이는 것이다. 불행하게도, 이 해결책은 기계적 강도의 증가와 관련된 연성의 피할 수 없는 손실은 말할 것도 없고, 승객에게 불편한 상태를 유발하는 음향 문제의 발생 및 특정 자동차 부품의 강성의 터무니 없는 감소 때문에 한계가 있다.
제 2 트랙은 강을 더 가벼운 다른 금속과 함금화함으로써 강의 밀도를 낮추는 것이다. 이 합금들 중에서, 철-알루미늄 합금이라고 칭하는 저밀도 합금은 중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 매력적인 기계적 및 물리적 특성을 갖는다. 이 경우, 저밀도는 7.4 이하의 밀도를 의미한다.
JP 2005/015909 는 20% 이상의 매우 높은 망간 함량을 가지면서 또한 최대 15% 의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더 가벼운 강 매트릭스를 초래함) 저밀도 TWIP 강을 기술하지만, 개시된 강은 용접성 문제와 함께 압연 동안 높은 변형 저항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은
- 7.4 이하의 밀도,
- 900 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 MPa 이상의 극한 인장 강도,
- 9% 이상의 균일 연신율
을 동시에 갖는 냉간 압연된 강판을 이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런 강은 또한 성형, 특히 압연에 대한 양호한 적합성 및 양호한 용접성 및 양호한 코팅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또한 제조 파라미터들의 시프트들에 대해 튼튼하면서 종래의 산업적 적용과 양립할 수 있는 이러한 강판의 제조 방법을 이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 에 따른 강판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강판은 청구항 2 내지 3 의 특징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청구항 4 에 따른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 다른 양태는 청구항 5 내지 7 에 따른 부품 또는 차량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원하는 강을 얻기 위해, 조성dl 매우 중요하며; 따라서, 조성의 상세한 설명이 이하의 설명에서 제공된다.
탄소 함량은 0.10% 내지 0.6% 이고, 중요한 고용 강화 원소로서 작용한다. 카파 탄화물 (Fe,Mn)3AlCx 의 형성을 또한 향상시킨다. 탄소는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이고, 마텐자이트 변태 온도 (Ms) 의 강한 감소를 유발하여, 상당량의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확보되고, 이로써 소성을 증가시킨다. 상기 범위에서의 탄소 함량의 유지는 요구되는 레벨의 강도 및 연성을 강판에 제공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일부 TRIP 효과를 여전히 획득하면서 망간 함량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망간 함량은 4% 내지 20% 이어야 한다. 이 원소는 감마유도성 (gammagenous) 이다. 알루미늄 함량에 대한 망간 함량의 비율은 열간 압연 후 획득된 조직에 강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망간 첨가의 목적은 본질적으로 페라이트에 더하여 오스테나이트를 함유하는 조직을 획득하고 이를 실온에서 안정화시키는 것이다. 4 미만의 망간 함량에서, 오스테나이트는 충분하게 안정화되지 않아서, 어닐링 라인의 출구에서 냉각 동안 마텐자이트로의 조기 변태 위험이 있다. 게다가, 망간의 첨가는 D03 도메인을 증가시켜, 더 높은 온도 및/또는 더 적은 양의 알루미늄에서 D03 의 충분한 석출 획득을 가능하게 한다. 20% 초과에서는 페라이트 분율이 감소되고, 이는 요구되는 인장 강도에 도달하는 것을 더 어렵게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악영향을 미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망간의 첨가는 17% 로 제한될 것이다.
알루미늄 함량은 5%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15% 이다. 알루미늄은 알파유도성 (alphagenous) 원소이고, 따라서 페라이트 및 특히 D03 조직의 규칙 (ordered) 페라이트 (Fe,Mn,X)3Al (X 는 D03 에서 용해되는 임의의 용질 첨가물, 예를 들면 Ni 임) 의 형성을 촉진하는 경향이 있다. 알루미늄은 2.7 의 밀도를 가지며, 기계적 특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알루미늄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위 이동도의 감소로 인해 균일 연신율이 감소하더라도 기계적 강도 및 탄성 한계는 또한 증가한다. 4% 미만에서는, 알루미늄의 존재로 인한 밀도 감소가 덜 유익하게 된다. 15% 초과에서는, 규칙 페라이트의 존재가 예상 한계 초과로 증가하고, 강판에 취성을 부여하기 시작하므로 본 발명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함량은 추가적인 취성 금속간 석출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9% 미만으로 제한될 것이다.
상기 제한들에 더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망간, 알루미늄 및 탄소 함량들은 다음의 관계를 준수한다:
0.3 < (Mn/2Al) x exp(C) < 2.
0.3 미만에서는, 오스테나이트 양이 너무 적어서 불충분한 연성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 2 초과에서는, 오스테나이트 부피 분율이 49% 보다 더 높아져서 D03 상 석출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규소는, 강의 밀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고용 경화에 효과적인 원소이다. 또한 D03 대 B2 상을 안정화시키는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다. 규소 함량은 2.0% 로 제한되는데, 이 레벨보다 높으면 이 원소가 표면 결함을 생성하는 강한 점착성 산화물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표면 산화물의 존재는 강의 젖음성을 손상시키고, 잠재적인 용융 아연도금 작업 동안 결함을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규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5% 로 제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목표 특성에 도달할 수 있게 하는 D03 의 요구되는 석출을 획득하기 위해 규소, 알루미늄 및 니켈의 누적량들이 적어도 6.5% 이어야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니오븀은 결정립 미세화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강에 0.01 내지 0.3% 의 양으로 선택적인 원소로서 첨가될 수 있다. 결정립 미세화는 강도와 연신율 사이의 양호환 균형을 얻을 수 있게 하고, 향상된 피로 성능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니오븀은 열간 압연 동안 재결정을 지연시키는 경향이 있었고, 따라서 항상 바람직한 원소는 아니다. 따라서, 니오븀은 선택적인 원소로서 유지된다.
티타늄은 니오븀과 유사하게 결정립 미세화를 위해 본 발명의 강에 0.01% 내지 0.2% 의 양으로 선택적인 원소로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D03 대 B2 상을 안정화시키는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질화물, 탄화물 또는 탄질화물로서 석출되지 않은 티타늄의 무한 (unbounded) 부분은 D03 상을 안정화시킬 것이다.
바나듐은 0.01% 내지 0.6% 의 양으로 선택적인 원소로서 첨가될 수 있다. 첨가될 때, 바나듐은 어닐링 동안 미세 탄질화물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고, 이 탄질화물은 추가적인 경화를 제공한다. 또한 D03 대 B2 상을 안정화시키는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질화물, 탄화물 또는 탄질화물로서 석출되지 않은 바나듐의 무한 부분은 D03 상을 안정화시킬 것이다.
구리는 강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그리고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0.01% 내지 2.0% 의 양으로 선택적인 원소로서 첨가될 수 있다. 이런 효과를 얻기 위해 최소 0.01% 가 필요하다. 하지만, 구리 함량이 2.0% 를 초과하면, 표면 외관을 저하시킬 수 있다.
니켈은 강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그리고 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0.01% 내지 2.0% 의 양으로 선택적인 원소로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규칙 페라이트의 형성에 기여한다. 이런 효과를 얻기 위해 최소 0.01% 가 필요하다. 하지만, 니켈 함량이 2.0% 를 초과하면, D03 형성에 해로울 수 있는 B2 를 안정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세륨, 붕소, 마그네슘 또는 지르코늄과 같은 다른 원소는 이하의 비율로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으로 첨가될 수 있다: REM ≤ 0.1%, B ≤ 0.01, Mg ≤ 0.05 및 Zr ≤ 0.05. 표시된 최대 함량 레벨까지, 이 원소들은 응고 동안 페라이트 결정립을 미세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D03 상을 더욱 안정화시키기 위해 몰리브덴, 탄탈륨 및 텅스텐이 첨가될 수 있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으로 최대 함량 레벨까지 첨가될 수 있다: Mo ≤ 2.0, Ta ≤ 2.0, W ≤ 2.0. 이 레벨을 초과하면, 연성이 손상된다.
본 발명에 의해 청구된 강판의 미세조직은 면적 분율로 10 내지 50% 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오스테나이트의 상은 선택적으로 입내 (intragranular) (Fe,Mn)3AlCx 카파 탄화물을 포함하고, 잔부는 페라이트이며, 이는 정규 (regular) 페라이트 및 D03 조직의 규칙 페라이트, 그리고 선택적으로 최대 2% 의 입내 카파 탄화물을 포함한다.
10% 미만의 오스테나이트에서는, 적어도 9% 의 균일 연신율이 획득될 수 없다.
정규 페라이트는 본 발명의 강에 존재하여 강에 높은 성형성과 연신율을 그리고 또한 어느 정도로 약간의 피로 파괴 내성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프레임 내의 D03 규칙 페라이트는 화학량론이 (Fe,Mn,X)3AI 인 금속간 화합물에 의해 규정된다. 규칙 페라이트는 본 발명의 강에 면적 분율로 0.1%, 바람직하게는 0.5%, 더 바람직하게는 1.0%, 그리고 유리하게는 3% 초과의 최소량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의 이런 규칙 페라이트는 30 nm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nm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5 nm 미만, 유리하게는 10 nm 미만 또는 심지어 5 nm 미만의 평균 크기를 갖는다. 이 규칙 페라이트는 제 2 어닐링 단계 동안 형성되어 합금에 강도를 제공하고, 이로써 900 MPa 레벨에 도달될 수 있다. 규칙 페라이트가 존재하지 않으면, 900 MPa 의 강도 레벨에 도달할 수 없다.
본 발명의 프레임 내의 카파 탄화물은 화학량론이 (Fe,Mn)3AICx (x 는 1 보다 엄격하게 낮다) 인 석출물에 의해 규정된다. 페라이트 결정립 내부의 카파 탄화물의 면적 분율은 2% 까지 올라갈 수 있다. 2% 초과에서는, 연성이 감소하고, 9% 초과의 균일 연신율이 획득되지 않는다. 게다가, 페라이트 결정립계 주위의 카파 탄화물의 제어되지 않은 석출이 일어나서, 결과적으로 열간 및/또는 냉간 압연 동안의 수고를 증가시킬 수 있다. 카파 탄화물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30 nm 미만의 크기를 갖는 나노크기 입자로서, 오스테나이트 상 내부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은 임의의 적절한 프로세스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하지만, 후술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내의 화학 조성을 갖는 강의 반제품 주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주조는 잉곳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슬래브 또는 얇은 스트립의 형태로 행해질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반제품으로서 슬래브의 예를 취하여 더 설명될 것이다. 슬래브는 연속 주조 후에 직접 압연되거나, 또는 먼저 실온으로 냉각된 다음 재가열될 수 있다.
열간 압연을 거치는 슬래브의 온도는 1280℃ 이하이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이 온도보다 높으면, 열간 압연 동안 재결정하는 결정립의 능력을 저하시키는 조대 페라이트 결정립을 생기게 하는 거친 페라이트 결정립의 형성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초기 페라이트 결정립 크기가 클수록, 재결정화가 덜 용이하고, 이는 1280℃ 이상의 재가열 온도가 산업적으로 비용이 많이 들고 페라이트의 재결정화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회피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대 페라이트는 또한 "로핑 (roping)" 이라 불리는 현상을 증폭시키는 경향이 있다.
페라이트의 존재 하에서 적어도 하나의 압연 패스로 압연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목적은 오스테나이트로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는 원소의 분할을 향상시켜, 취성을 초래할 수 있는, 페라이트에서의 탄소 포화를 방지하는 것이다. 최종 압연 패스는 800℃ 보다 높은 온도에서 수행되는데, 그 이유는 이 온도 미만에서는 강판이 압연능의 현저한 저하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슬래브의 온도는 충분히 높아서, 열간 압연이 임계간 온도 범위 내에서 완료될 수 있고 최종 압연 온도가 850℃ 초과로 유지된다. 재결정 및 압연에 유리한 조직을 갖도록 850℃ 내지 980℃ 의 최종 압연 온도가 바람직하다. 압연기에 부여될 수 있는 과도한 하중을 피하기 위해 900℃ 초과의 슬래브의 온도에서 압연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런 식으로 획득된 판은 바람직하게는 100 ℃/s 이하의 냉각 속도로 권취 온도까지 냉각된다. 바람직하게는, 냉각 속도는 60 ℃/s 이하일 것이다.
그리고, 열간 압연 강판은 600℃ 이하의 코일링 온도에서 코일링되는데, 그 이유는 이 온도 초과에서 최대 2% 까지 페라이트 내부에서의 카파 탄화물 석출을 제어할 수 없게 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600℃ 초과의 코일링 온도는 또한 오스테나이트의 현저한 분해를 초래하여, 필요한 양의 그 상을 확보하기 어렵게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열간 압연 강판의 바람직한 코일링 온도는 400℃ 내지 550℃ 이다.
냉간 압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400℃ 내지 1000℃ 의 온도에서 선택적인 열간 밴드 어닐링이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연속 어닐링 또는 배치 어닐링일 수 있다. 균열 (soaking) 지속시간은 연속 어닐링인지 (50 초 내지 1000 초) 또는 배치 어닐링인지 (6 시간 내지 24 시간) 에 의존할 것이다.
그리고, 열간 압연 강판은 35 내지 90% 의 두께 감소로 냉간 압연된다.
그리고, 얻어진 냉간 압연 강판은 목표 기계적 특성 및 미세조직을 강에 부여하기 위하여 2단계 어닐링 처리를 거친다.
제 1 어닐링 단계에서, 튼튼하게 가공 경화된 초기 조직의 90% 보다 더 큰 재졀정 속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냉간 압연 강판은 600 초 미만의 지속시간 동안 750℃ 내지 950℃ 의 유지 온도까지 바람직하게는 1 ℃/s 보다 큰 가열 속도로 가열된다. 그리고, 강판은 실온으로 냉각되며, 페라이트 내부에서 또는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계면에서 카파 탄화물을 제어하기 위해 30 ℃/s 보다 큰 냉각 속도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 어닐링 단계 후 획득된 냉간 압연 강판은 예를 들어 10 초 내지 1000 시간, 바람직하게는 1 시간 내지 1000 시간, 또는 심지어 3 시간 내지 1000 시간의 지속시간 동안 150℃ 내지 600℃ 의 유지 온도까지 적어도 10 ℃/h 의 가열 속도로 다시 재가열되고 나서 실온에 이르기까지 냉각될 수 있다. 이는 D03 규칙 페라이트 및 가능하게는 오스테나이트 내부의 카파 탄화물의 형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행해진다. 유지 지속시간은 사용된 온도에 의존한다.
그리고, 냉간 압연 강판은 전착 또는 진공 코팅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아연 또는 아연 합금과 같은 금속 코팅으로 코팅될 수 있다. 제트 증착이 본 발명에 따른 강을 코팅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이다.
또한 용융도금될 수 있으며, 이는 아연 또는 아연 합금 코팅의 경우 460 내지 500℃ 의 온도까지 재가열을 암시한다. 이런 처리는 강판의 기계적 특성 또는 미세조직의 어떤 것도 변경시키지 않도록 행해져야 한다.
도 1 에서, (a) 는 D03 조직의 암시야 이미지를 나타내고, (b) 는 대응 회절 패턴, 결정띠축 (zone axis) [100] D03 을 나타낸다.
여기에 제시된 이하의 시험, 예, 비유적 예시 및 표는 사실상 비제한적이고, 단지 예시 목적으로 생각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유리한 특징을 보여줄 것이다.
본 발명 및 일부 비교 그레이드에 따른 강판들의 샘플들이 표 1 에 기재한 조성 및 표 2 에 기재한 프로세싱 파라미터들로 제조되었다. 이 강판들의 해당 미세조직들을 표 3 에 기재하였다.
표 1 - 조성
표 2 - 프로세스 파라미터
열간 및 냉간 압연 파라미터
어닐링 파라미터
표 3 - 미세조직
** 투과 전자 현미경에 의해 검출된 오스테나이트에서의 카파 석출의 초기 단계. 오스테나이트 미세조직은 펄라이트 또는 베이나이트와 같은 다른 상에서 분해됨이 없이 제 2 열처리 후에 안정적으로 남는다.
오스테나이트 및 페라이트에서의 상 비율 및 카파 석출은 전자 후방산란 회절 및 투과 전자 현미경에 의해 결정된다.
D03 석출은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 Volume 258, Issues 1-2, December 1998, Pages 69-74, Neutron diffraction study on site occupation of substitutional elements at sub lattices in Fe3 Al intermetallics (Sun Zuqing, Yang Wangyue, Shen Lizhen, Huang Yuanding, Zhang Baisheng, Yang Jilian)" 에 기술된 것처럼 중성자 회절에 의해 그리고 전자 현미경으로 회절에 의해 결정된다.
일부 미세조직 분석이 시험 E 로부터의 샘플들에서 수행되었고, D03 조직의 이미지들이 도 1 의 (a) 및 (b) 에서 재현된다:
(a) D03 조직의 암시야 이미지
(b) 대응 회절 패턴, 결정띠축 (zone axis) [100] D03. 화살표는 (a) 의 암시야 이미지에 사용된 반사를 나타낸다.
그리고, 이 강판들의 특성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4 에 기재하였다.
표 4 - 특성
항복 강도 (YS), 인장 강도 (TS), 균일 연신율 (UE) 및 총 연신율 (TE) 은 2009 년 10 월에 공개된 ISO 표준 ISO 6892-1 에 따라 측정된다. 밀도는 ISO 표준 17.060 에 따라 비중측정법에 의해 측정된다.
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들이 그들의 특정 조성 및 미세조직 덕분에 모든 목표 특성을 나타내는 유일한 것임을 보여준다.

Claims (7)

  1. 중량% 로, 다음의 원소들:
    0.10 % ≤ 탄소 ≤ 0.6 %
    4 % ≤ 망간 ≤ 20 %
    5 % ≤ 알루미늄 ≤ 15 %
    0 ≤ 규소 ≤ 2%
    알루미늄 + 규소 + 니켈 ≥ 6.5% 를 포함하고, 가능하게는 다음의 선택적인 원소들:
    0.01% ≤ 니오븀 ≤ 0.3%
    0.01% ≤ 티타늄 ≤ 0.2%
    0.01% ≤ 바나듐 ≤ 0.6%
    0.01% ≤ 구리 ≤ 2.0%
    0.01% ≤ 니켈 ≤ 2.0%
    세륨 ≤ 0.1%
    붕소 ≤ 0.01%
    마그네슘 ≤ 0.05%
    지르코늄 ≤ 0.05%
    몰리브덴 ≤ 2.0%
    탄탈륨 ≤ 2.0%
    텅스텐 ≤ 2.0%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할 수 있고,
    잔부가 철 및 정교화 (elaboration) 에 의해서 야기된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조성을 갖는 냉간 압연 및 열처리된 강판으로서,
    상기 강판의 미세조직은 면적 분율로 10 내지 50% 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오스테나이트의 상은 입내 (intragranular) 카파 탄화물들을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잔부는 최대 2% 의 입내 카파 탄화물들 (Fe,Mn)3AlCx 을 선택적으로 함유하는, D03 조직 (Fe,Mn,X)3Al 의 규칙 (ordered) 페라이트 및 정규 (regular) 페라이트이고, 상기 강판은 900 MPa 이상의 극한 인장 강도를 나타내는, 냉간 압연 및 열처리된 강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알루미늄, 망간 및 탄소의 양들이
    0.3 < (Mn/2Al) x exp(C) < 2
    인, 냉간 압연 및 열처리된 강판.
  3. 제 1 항 내지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7.4 이하의 밀도 및 9% 이상의 균일 연신율을 나타내는, 냉간 압연 및 열처리된 강판.
  4. - 제 1 항 내지 제 2 항에 따른 조성을 갖는 냉간 압연 강판을 제공하는 단계,
    - 600 초 미만 동안 750 내지 950℃ 의 균열 (soaking) 온도까지 상기 냉간 압연 강판을 가열한 후, 상기 강판을 실온까지 냉각시키는 단계,
    - 10 초 내지 1000 시간 동안 150℃ 내지 600℃ 의 균열 온도로 상기 강판을 재가열한 후, 상기 강판을 냉각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냉간 압연 및 열처리된 강판의 제조 방법.
  5. 차량의 구조 또는 안전 부품의 제조를 위한,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강판 또는 제 4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강판의 용도.
  6. 제 5 항에 따른 부품으로서, 상기 강판의 플렉서블 압연 (flexible rolling) 에 의한, 부품.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따라 획득된 부품을 포함하는 차량.
KR1020237026063A 2017-12-19 2018-12-18 냉간 압연 및 열처리된 강판, 그 제조 방법 및 차량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그 강의 사용 KR202301187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17/058120 WO2019122960A1 (en) 2017-12-19 2017-12-19 Cold rolled and heat treated steel sheet,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and use of such steel to produce vehicle parts
IBPCT/IB2017/058120 2017-12-19
PCT/IB2018/060241 WO2019123239A1 (en) 2017-12-19 2018-12-18 Cold rolled and heat treated steel sheet,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and use of such steel to produce vehicle parts
KR1020207016852A KR20200080317A (ko) 2017-12-19 2018-12-18 냉간 압연 및 열처리된 강판, 그 제조 방법 및 차량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그 강의 사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6852A Division KR20200080317A (ko) 2017-12-19 2018-12-18 냉간 압연 및 열처리된 강판, 그 제조 방법 및 차량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그 강의 사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708A true KR20230118708A (ko) 2023-08-11

Family

ID=609722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6852A KR20200080317A (ko) 2017-12-19 2018-12-18 냉간 압연 및 열처리된 강판, 그 제조 방법 및 차량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그 강의 사용
KR1020237026063A KR20230118708A (ko) 2017-12-19 2018-12-18 냉간 압연 및 열처리된 강판, 그 제조 방법 및 차량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그 강의 사용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6852A KR20200080317A (ko) 2017-12-19 2018-12-18 냉간 압연 및 열처리된 강판, 그 제조 방법 및 차량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그 강의 사용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2) US11549163B2 (ko)
EP (1) EP3728678B1 (ko)
JP (1) JP7138710B2 (ko)
KR (2) KR20200080317A (ko)
CN (1) CN111492078B (ko)
BR (1) BR112020009287A2 (ko)
CA (1) CA3082063C (ko)
ES (1) ES2968626T3 (ko)
FI (1) FI3728678T3 (ko)
HU (1) HUE064787T2 (ko)
MA (1) MA51317B1 (ko)
MX (1) MX2020006341A (ko)
PL (1) PL3728678T3 (ko)
RU (1) RU2751718C1 (ko)
UA (1) UA126092C2 (ko)
WO (2) WO2019122960A1 (ko)
ZA (1) ZA2020024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2978A1 (en) * 2017-12-21 2019-06-27 Arcelormittal Welded steel part used as motor vehicle part, hot pressed steel par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id welded steel part
KR102415068B1 (ko) * 2020-09-07 2022-06-29 주식회사 포스코 고강도 저비중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N113832408A (zh) * 2021-10-19 2021-12-24 成都先进金属材料产业技术研究院股份有限公司 Fe-15Mn-8Al-0.3C铁素体-奥氏体双相低密度钢及其热处理方法
WO2023105271A1 (en) * 2021-12-10 2023-06-15 Arcelormittal Low density hot rolled steel,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and use of such steel to produce vehicle parts
CN116065081A (zh) * 2022-12-16 2023-05-05 成都先进金属材料产业技术研究院股份有限公司 一种1000MPa级低密度钢棒材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5077B2 (ja) 2003-06-05 2009-03-0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自動車用高強度低比重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4324072B2 (ja) 2004-10-21 2009-09-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延性に優れた軽量高強度鋼とその製造方法
KR100985298B1 (ko) * 2008-05-27 2010-10-04 주식회사 포스코 리징 저항성이 우수한 저비중 고강도 열연 강판, 냉연강판, 아연도금 강판 및 이들의 제조방법
EP2383353B1 (de) * 2010-04-30 2019-11-06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Höherfester, Mn-haltiger Stahl, Stahlflachprodukt aus einem solchen Stah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MX361690B (es) * 2011-05-25 2018-12-13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Láminas de acero laminadas en frío y proceso para la producción de las mismas.
WO2013034317A1 (en) * 2011-09-09 2013-03-14 Tata Steel Nederland Technology Bv Low density high strength steel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steel
MX2014008428A (es) * 2012-01-13 2014-10-06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Lamina de acero laminada en frio y metodo para producir lamina de acero laminada en frio.
WO2013178887A1 (fr) * 2012-05-31 2013-12-05 Arcelormittal Investigación Desarrollo Sl Acier laminé a chaud ou a froid a faible densite, son procede de mise en oeuvre et son utilisation
WO2015001367A1 (en) * 2013-07-04 2015-01-08 Arcelormittal Investigación Y Desarrollo Sl Cold rolled steel sheet, method of manufacturing and vehicle
WO2015099221A1 (ko) * 2013-12-26 2015-07-02 주식회사 포스코 고강도 저비중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561007B1 (ko) 2014-12-19 2015-10-16 주식회사 포스코 재질 불균일이 작고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6048620B1 (ja) * 2015-02-27 2016-12-2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7203315A1 (en) * 2016-05-24 2017-11-30 Arcelormittal Cold rolled and annealed steel sheet,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and use of such steel to produce vehicle pa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82063A1 (en) 2019-06-27
BR112020009287A2 (pt) 2020-10-27
MX2020006341A (es) 2020-09-03
MA51317A (fr) 2021-03-31
EP3728678B1 (en) 2023-11-22
KR20200080317A (ko) 2020-07-06
FI3728678T3 (fi) 2024-01-29
ZA202002478B (en) 2021-08-25
MA51317B1 (fr) 2024-01-31
JP2021507110A (ja) 2021-02-22
US20210123121A1 (en) 2021-04-29
CA3082063C (en) 2023-02-28
JP7138710B2 (ja) 2022-09-16
US11549163B2 (en) 2023-01-10
WO2019122960A1 (en) 2019-06-27
UA126092C2 (uk) 2022-08-10
WO2019123239A1 (en) 2019-06-27
CN111492078B (zh) 2023-11-17
HUE064787T2 (hu) 2024-04-28
RU2751718C1 (ru) 2021-07-16
PL3728678T3 (pl) 2024-03-11
CN111492078A (zh) 2020-08-04
EP3728678A1 (en) 2020-10-28
US20230105826A1 (en) 2023-04-06
ES2968626T3 (es) 202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4590B1 (ko) 높은 성형성을 갖는 고강도의 냉간 압연된 강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JP6854833B2 (ja) 冷間圧延され及び焼鈍された鋼板、その製造方法、並びに自動車部品を製造するためのそのような鋼の使用
JP2018536764A (ja) 成形性及び穴拡げ性に優れた超高強度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7138710B2 (ja) 冷間圧延及び熱処理された鋼板、その製造方法及び車両部品の製造のためのそのような鋼の使用
KR101225246B1 (ko) 성형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고강도 냉연 복합조직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7232252B2 (ja) 冷間圧延熱処理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7315630B2 (ja) 冷間圧延及び熱処理された鋼板、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ような鋼の乗り物部品製造のための使用
JP7117381B2 (ja) 冷間圧延された被覆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CA3025469C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twip steel sheet having an austenitic matrix
KR102277396B1 (ko) 오스테나이트계 매트릭스를 가지는 twip 강 시트
JP2003342683A (ja) プレス成形性と打抜き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30100739A (ko) 저밀도 냉간압연 및 어닐링된 강판, 그의 제조 방법, 및 차량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이러한 강의 용도
KR20150004430A (ko) 신장과 신장 플랜지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고강도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