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8300A - 탈착 가능한 일체형 모듈을 구비한 마스크 - Google Patents

탈착 가능한 일체형 모듈을 구비한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8300A
KR20230118300A KR1020220014694A KR20220014694A KR20230118300A KR 20230118300 A KR20230118300 A KR 20230118300A KR 1020220014694 A KR1020220014694 A KR 1020220014694A KR 20220014694 A KR20220014694 A KR 20220014694A KR 20230118300 A KR20230118300 A KR 20230118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module
user
detachab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4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대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쉐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쉐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쉐마
Priority to KR1020220014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8300A/ko
Publication of KR20230118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30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탈착 가능한 일체형 모듈을 구비한 마스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와 입을 포함하는 얼굴의 일부 영역에 안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고,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제공하는 흡입부와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일체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일체형 모듈은 상기 본체와 탈착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착 가능한 일체형 모듈을 구비한 마스크 {MASK HAVING A DETACHABLE INTEGRAL MODULE}
본 발명은 탈착 가능한 일체형 필터를 구비한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의 본체의 일부 영역에 필터를 구비한 흡입부와 배출부를 하나의 일체형 모듈로 형성하고, 일체형 모듈을 탈착 가능하게 하여 일체형 모듈을 교체할 수 있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산업과 도시의 편익 수단이 발달하며 대기 오염은 심화되고 있다. 대기오염의 원인은 연료의 연소 등 인위적인 것과 화산 분화 등 자연적인 것으로 나뉜다. 인위적인 오염물질은 연료의 연소, 원자력을 이용한 핵에너지의 발생, 화학반응, 물리적 공정, 자동차 및 항공기 등에서 배출된다. 가장 주된 원인은 연료의 연소 시 발생하는 여러 오염물질에 의한 것이다. 이 중 일산화탄소(CO)와 이산화질소(NO2), 아황산가스(SO2) 등이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특히 이산화황(SO2)의 경우 다른 대기오염물질과 반응하여 추가적인 2차 오염물질을 만들어낸다. 대기오염물질은 입자 크기에 따라 아황산가스나 일산화탄소 등 가스상 물질과 분진 등의 입자상 물질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생성과정에 따라 1차 오염물질과 2차 오염물질로 구분되기도 한다. 1차 오염물질이란 발생원으로부터 방출된 물질이 그대로 오염물질이 되어있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석탄, 석유 등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매연이나 시멘트 공장 등에서 나오는 분진, 자동차 배기관 등을 통하여 나오는 황산화물 등이다. 2차 오염물질은 1차 오염물질이 대기 중에서 물리 화학적 반응에 의해 전혀 다른 물질로 생성된 것을 말한다. 자동차나 공장 등에서 배출된 탄화수소와 질소화합물이 태양의 자외선에 의한 광화학반응을 받아서 생긴 산화제 등이 그 예이다. 아황산가스는 황산화물의 일종으로 물에 잘 녹고 무색이며, 자극적인 냄새가 나는 불연성 가스이다. 화산, 온천 등에 존재하며 황화수소와 반응하여 황을 생성한다. 황을 함유하는 석탄, 석유 등의 화석연료가 연소될 때 인위적으로 배출되며, 주요 배출원은 발전소, 난방장치, 금속 제련공장, 정유공장 및 기타 산업공정 등이다. 일산화탄소는 무색, 무취의 유독성 가스로서 연료속의 탄소가 불완전 연소되었을 때 발생한다. 배출원은 주로 자동차이며, 공장의 연료연소 그리고 산불과 같은 자연 발생원 및 주방, 담배연기, 지역난방과 같은 실내 발생원이 있다. 이산화질소는 적갈색의 반응성이 큰 기체로서, 대기 중에서 일산화질소의 산화에 의해서 발생하며, 대기 중에서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반응하여 오존을 생성하는 전구물질(precursor) 역할을 한다. 주요 배출원은 자동차와 고온 연소공정, 화학물질 제조공정 등이며, 토양중의 세균에 의해 생성되는 자연적 현상에 의한 것이다. 오존은 대기 중에 배출된 NOx와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이 자외선과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생성된 물질로 2차 오염물질에 속한다. 전구물질인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자동차, 화학공장, 정유공장과 같은 산업시설과 자연적 요인 등 다양한 배출원에서 발생한다. 현재 일산화탄소, 암모니아,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등 61종이 대기오염물질로 지정되어 있다. 대기오염물질 중에서 사람의 건강, 재산이나 동식물의 생육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물질은 특정대기유해물질로 지정하였다. 현재 다이옥신, 벤젠, 사염화탄소, 포름알데히드 등 35종이 특정대기유해물질로 지정되어 있다.
황사, 먼지바람, 꽃가루, 공기 중 세균, 산불, 화산폭발 등도 대기오염의 주원인이며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중국 북경이나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도시는 화석연료의 과소비와 팜유생산을 위한 인위적 산불에 연중 30일 이상 시야가 안 보이는 상황이며 이웃 나라 도시까지 피해를 입고 있으며, 동남 아시아의 많은 도시에서는 오토바이와 자동차의 매연에 의해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고는 거리를 활보하기가 불가능하다. 또한 건설현장, 청소현장, 특정물 제조 공장, 도색공장, 병원 등의 공기오염은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이러한 오염된 공기를 피하려 산업현장이나 스포츠 활동 시 얼굴에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다.
또한 과실이나 지진에 의한 건축물이나 시설물의 화재, 터널 내에서 자동차나 열차의 화재, 농업이나 생산현장에서 발생한 유독가스는 사람의 생명을 즉시 앗아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마스크의 본체의 일부 영역에 필터를 구비한 흡입부와 배출부를 하나의 일체형 모듈로 형성하고, 일체형 모듈을 탈착 가능하게 하여 일체형 모듈을 교체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와 입을 포함하는 얼굴의 일부 영역에 안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고,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제공하는 흡입부와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일체형 모듈을 포함한다.
이 때, 일체형 모듈의 일측에는 가스 센서 또는 미세먼지 센서 등과 같은 센저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일체형 모듈은 상기 본체와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일체형 모듈은 상기 배출부를 중앙 영역에 형성하며, 상기 흡입부를 상기 배출부를 둘러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일체형 모듈은 상기 흡입부를 중앙 영역에 형성하며, 상기 배출부를 상기 흡입부를 둘러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일체형 모듈은 상기 일체형 모듈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절반 영역에 상기 배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일체형 모듈의 영역 중 나머지 절반 영역에 상기 흡입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는 복수 개의 상기 일체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 탈착이 가능한 탈착형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착형 모듈은 상기 본체의 좌측 일부 영역과 우측 일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사용자의 날숨을 밸브 구멍으로 배출하는 배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밸브는 상기 사용자의 날숨일 때 탄성 변형되어 상기 밸브구멍을 개방하고, 상기 사용자의 들숨일 때 상기 밸브구멍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는 상기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및 상기 사용자의 들숨을 밸브 구멍으로 흡입하는 흡입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밸브는 상기 본체 내부 측면의 상기 필터 안쪽에 구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들숨일 때 탄성 변형되어 상기 밸브 구멍을 개방하고, 상기 사용자의 날숨일 때 상기 밸브 구멍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마스크의 본체의 일부 영역에 필터를 구비한 흡입부와 배출부를 하나의 일체형 모듈로 형성하고, 일체형 모듈을 탈착 가능하게 하여 일체형 모듈을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방진 마스크, 미세먼지 마스크 등과 같이 필터를 구비한 마스크에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일체형 모듈만을 탈착하여 교체 가능하기 때문에 마스크 교체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일체형 모듈이 형성되고, 마스크 본체의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에 형성되어 탈착 가능한 탈착형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탈착형 모듈만을 교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마스크 교체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모듈에 대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일체형 모듈에 대한 일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일체형 모듈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모듈에 대한 다른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일체형 모듈에 대한 일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6의 일체형 모듈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마스크의 본체의 일부 영역에 필터를 구비한 흡입부와 배출부를 하나의 일체형 모듈로 형성하고, 일체형 모듈을 탈착 가능하게 하여 일체형 모듈을 교체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복수의 일체형 모듈이 형성되고, 마스크 본체의 일부 영역 예를 들어,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에 형성되어 탈착 가능한 탈착형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탈착형 모듈은 세 개의 일체형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고, 두 개의 일체형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한 개의 일체형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일부 영역에 탈착형 모듈 또는 일체형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마스크는 사용자의 날숨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중앙 영역에 형성하며, 사용자의 들숨을 흡입하는 흡입부를 배출부를 둘러싸도록 일체형 모듈을 형성할 수도 있고, 절반 영역 예를 들어, 좌측 영역에 배출부를 형성하며, 나머지 절반 영역에 흡입부를 형성하도록 일체형 모듈을 형성할 수도 있다. 물론, 일체형 모듈은 일정 모양 예를 들어, 원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체형 모듈 상에 형성되는 배출부와 흡입부의 위치는 본 발명의 기술을 제공하는 사업자 또는 개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부는 사용자의 날숨을 밸브 구멍으로 배출하는 배출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배출 밸브는 사용자의 날숨일 때 탄성 변형되어 밸브구멍을 개방하고, 사용자의 들숨일 때 밸브구멍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흡입부는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여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제공하는 필터와 사용자의 들숨을 밸브 구멍으로 흡입하는 흡입 밸브를 포함하고, 흡입 밸브는 본체 내부 측면의 필터 안쪽에 구성되어 사용자의 들숨일 때 탄성 변형되어 밸브 구멍을 개방하고, 사용자의 날숨일 때 밸브 구멍을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일체형 모듈의 일측에는 가스 센서 또는 미세먼지 센서 등과 같은 센저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마스크에 대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측면도(101)와 하부도(102)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는 사용자의 들숨에 의해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여 마스크 본체(110)의 내부 공간으로 제공하는 흡입부(112)와 사용자의 날숨에 의해 사용자의 날숨과 내부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112)를 포함한다.
기존 마스크는 이러한 흡입부(112)와 배출부(111)를 별도의 영역에 형성하여 마스크 본체(110)의 양쪽 영역에 형성된 흡입부(112)의 필터를 통해 사용자의 들숨 시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여 본체(110)의 내부 공간으로 제공하고, 사용자의 날숨 시 사용자의 날숨을 배출부(111)를 통해 배출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출부와 흡입부를 일체형 모듈로 형성하여 일체형 모듈에서 들숨과 날숨에 따른 외부 공기의 흡입과 날숨의 배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모듈에 대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마스크의 본체의 일정 영역에 형성되고 마스크 본체와 탈착이 가능한 탈착형 모듈을 나타낸 것이며, 탈착형 모듈에 세 개의 일체형 모듈이 형성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형 모듈(210)은 마스크 본체의 일정 영역 예를 들어, 마스크 본체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영역 중 좌측 영역 또는 우측 영역 또는 하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탈착형 모듈(210)은 좌측 영역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우측 영역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하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황에 따라, 탈착형 모듈(210)은 마스크 본체의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와 입을 포함하는 얼굴의 일부 영역에 안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마스크 본체,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착용 시 본체를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시킬 수 있는 밀착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체형 모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탈착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마스크 본체는 합성 수지, 카본 소재, 고무 재질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김서림 방지 기능이 적용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밀착부는 본체의 일부분일 수도 있고,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되어 본체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피부와 접촉하면 피부 온도에 의해 수축 변형되는 형상 기억 수지로 형성될 수도 있고, 얼굴의 근육 또는 골격에 맞추어 신축성이 있고 탄성 변형 가능한 수지로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유입과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탈착형 모듈(210)은 특정 형상 예를 들어, 원형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일체형 모듈들(211, 212, 213)을 포함하고, 마스크 본체와 탈착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일체형 모듈 각각(211, 212, 213)은 탈착형 모듈(210)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형성되며, 흡입부와 배출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일체형 모듈 각각(211, 212, 213) 또한 탈착형 모듈(210)과 탈착이 가능하다.
이러한 일체형 모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모듈(211)의 중앙 부분의 일정 영역에 배출부(320)를 형성하고, 배출부(320)를 둘러싸도록 일체형 모듈의 나머지 영역에 흡입부(311, 312)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흡입부는 배출부(320)의 좌측 절반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1 흡입부(311)와 배출부(320)의 우측 절반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2 흡입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황에 따라, 흡입부는 제1 흡입부와 제2 흡입부로 분리되어 형성되지 않고 하나의 흡입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일체형 모듈(211)은 사용자의 들숨 시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여 마스크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제공하는 흡입부와 사용자의 날숨 시 사용자의 날숨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일체형 모듈만으로 흡입 기능과 배출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일체형 모듈을 탈착 가능하게 함으로써, 일체형 모듈만을 교체하거나 탈착형 모듈만을 교체하여 마스크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일체형 모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320) 양쪽으로 흡입부(311, 312)가 형성되는데, 흡입부 각각(311, 312)은 사용자의 들숨 시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와 사용자의 들숨 시 필터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들 즉, 제1 필터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들(411, 412)과 제2 필터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들(413, 414)에 의해 형성된 밸브 구멍 또는 지지 수단들과 별개로 형성된 밸브 구멍으로 사용자의 들숨을 흡입하는 제1 흡입 밸브(421, 422)와 제2 흡입 밸브(423, 424)를 형성하며, 제1 흡입 밸브(421, 422)와 제2 흡입 밸브(423, 424)는 사용자의 들숨일 때 탄성 변형되어 밸브 구멍을 개방하고, 사용자의 날숨일 때 밸브 구멍을 차단한다.
여기서, 필터는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공기를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제공하는 구성 수단으로,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 및 유해 물질을 필터링하여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필터는 필터의 내부 또는 외부에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공기 순환 수단 예를 들어, 공기 순환 팬이 형성될 수도 있다.
배출부(320)는 사용자의 날숨을 밸브 구멍으로 배출하는 배출 밸브(331, 332)를 형성할 수 있으며, 배출 밸브(331, 332)는 사용자의 날숨일 때 탄성 변형되어 밸브 구멍을 개방하고, 사용자의 들숨일 때 밸브 구멍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일체형 모듈(211)은 배출부(320)에 배출 밸브를 형성하여 날숨일 때 배출 밸브가 자동으로 열려 날숨이 외부로 배출되고, 들숨일 때 배출 밸브가 자동으로 닫혀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흡입부(311, 312)에 흡입 밸브를 형성하여 들숨일 때 흡입 밸브가 자동으로 열려 들숨이 필터를 통해 마스크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제공되고, 날숨일 때 흡입 밸브가 자동으로 닫혀 날숨이 필터쪽으로 반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도 4에 도시된 흡입 밸브와 배출 밸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한 것으로, 흡입 밸브와 배출 밸브는 그 형상, 크기, 소재, 위치 등이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일체형 모듈 각각은 도 3과 도 4에서 설명한 들숨과 날숨에 대한 동작을 동일하게 수행함으로써, 탈착형 모듈에 포함된 일체형 모듈 각각을 통해 흡입 기능과 배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흡입부와 배출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체형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들숨과 날숨에 따른 흡입 기능과 배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일체형 모듈을 탈착 가능하게 함으로써, 마스크의 사용 기간을 늘리고, 마스크 교체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일체형 모듈들을 탈착형 모듈에 구비하지 않고, 마스크 본체의 일부 영역에 직접 형성하도록 한 후 일체형 모듈 각각을 탈착 가능하게 함으로써, 일체형 모듈과 마스크 본체를 이용하여 마스크를 제작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형 모듈을 마스크 본체의 일부 영역에 형성할 수 있으며, 탈착형 모듈이 형성되는 위치는 본 발명의 기술을 제공하는 사업자 또는 개인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탈착형 모듈을 구성하는 일체형 모듈의 개수 또한 본 발명의 기술을 제공하는 사업자 또는 개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흡입부를 일체형 모듈의 중심 영역에 형성하고, 흡입부를 둘러싸도록 배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모듈에 대한 다른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탈착형 모듈에 두 개의 일체형 모듈을 형성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형 모듈(510)은 탈착형 모듈 내의 일정 공간에 형성된 두 개의 일체형 모듈(511, 512)을 형성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모듈(600)의 일부 영역 예를 들어, 좌측 영역에 흡입부(620)를 형성하며, 다른 일부 영역 예를 들어, 우측 영역에 배출부(61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흡입부(620)와 배출부(610)가 형성되는 영역의 크기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형성 영역의 크기는 공기 필터링 기능, 필터 크기, 들숨 기능과 날숨 기능 등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일체형 모듈(600)은 반원 형상으로 흡입부(620)와 배출부(610)를 형성한 것으로, 흡입부(620)를 일체형 모듈의 좌측 영역에 형성하고, 배출부(610)를 일체형 모듈의 우측 영역에 형성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흡입부(620)를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반원 형태로 형성하고, 배출부(610)를 나머지 하나의 영역에 반원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은 흡입부와 배출부를 형성하는 형상을 자유롭게 실시할 수 있으며, 그 크기 또한 자유롭게 실시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일체형 모듈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들숨을 하는 경우 일체형 모듈의 좌측 영역에 형성된 흡입부(620)의 필터를 통해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여 마스크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제공하며, 사용자가 날숨을 하는 경우 일체형 모듈의 우측 영역에 형성된 배출부(610)를 통해 사용자의 날숨을 외부로 배출한다.
여기서, 흡입부(620)는 비록 도 7에 도시하진 않았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들숨 시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와 사용자의 들숨 시 필터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들 그리고 지지 수단들에 의해 형성된 밸브 구멍 또는 지지 수단들과 별개로 형성된 밸브 구멍으로 사용자의 들숨을 흡입하는 흡입 밸브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흡입 밸브는 사용자의 들숨일 때 탄성 변형되어 밸브 구멍을 개방하고, 사용자의 날숨일 때 밸브 구멍을 차단한다.
마찬가지로, 배출부(610)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날숨을 밸브 구멍으로 배출하는 배출 밸브를 형성할 수 있으며, 배출 밸브는 사용자의 날숨일 때 탄성 변형되어 밸브구멍을 개방하고, 사용자의 들숨일 때 밸브구멍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일체형 모듈 또한 배출부에 배출 밸브를 형성하여 날숨일 때 배출 밸브가 자동으로 열려 날숨이 외부로 배출되고, 들숨일 때 배출 밸브가 자동으로 닫혀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흡입부에 흡입 밸브를 형성하여 들숨일 때 흡입 밸브가 자동으로 열려 들숨이 필터를 통해 마스크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제공되고, 날숨일 때 흡입 밸브가 자동으로 닫혀 날숨이 필터쪽으로 반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의 일부 영역에 흡입부와 배출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일체형 모듈을 구비하고, 이러한 일체형 모듈을 탈착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일체형 모듈들이 형성된 탈착형 모듈을 마스크 본체의 일정 영역에 형성하여 탈착형 모듈을 마스크 본체에서 탈착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물론, 탈착형 모듈 상에 형성되는 일체형 모듈 각각 또한 탈착형 모듈에서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9)

  1. 사용자의 코와 입을 포함하는 얼굴의 일부 영역에 안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고,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제공하는 흡입부와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일체형 모듈
    을 포함하는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모듈은
    상기 본체와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모듈은
    상기 배출부를 중앙 영역에 형성하며, 상기 흡입부를 상기 배출부를 둘러싸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모듈은
    상기 흡입부를 중앙 영역에 형성하며, 상기 배출부를 상기 흡입부를 둘러싸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모듈은
    상기 일체형 모듈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절반 영역에 상기 배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일체형 모듈의 영역 중 나머지 절반 영역에 상기 흡입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복수 개의 상기 일체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 탈착이 가능한 탈착형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형 모듈은
    상기 본체의 좌측 일부 영역과 우측 일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사용자의 날숨을 밸브 구멍으로 배출하는 배출 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밸브는
    상기 사용자의 날숨일 때 탄성 변형되어 상기 밸브구멍을 개방하고, 상기 사용자의 들숨일 때 상기 밸브구멍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및
    상기 사용자의 들숨을 밸브 구멍으로 흡입하는 흡입 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밸브는
    상기 본체 내부 측면의 상기 필터 안쪽에 구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들숨일 때 탄성 변형되어 상기 밸브 구멍을 개방하고, 상기 사용자의 날숨일 때 상기 밸브 구멍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KR1020220014694A 2022-02-04 2022-02-04 탈착 가능한 일체형 모듈을 구비한 마스크 KR202301183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694A KR20230118300A (ko) 2022-02-04 2022-02-04 탈착 가능한 일체형 모듈을 구비한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694A KR20230118300A (ko) 2022-02-04 2022-02-04 탈착 가능한 일체형 모듈을 구비한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300A true KR20230118300A (ko) 2023-08-11

Family

ID=87566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694A KR20230118300A (ko) 2022-02-04 2022-02-04 탈착 가능한 일체형 모듈을 구비한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83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81669B2 (ja) 使用者に吸入される空気質のモニタリングが可能なスマートマスク
KR102308884B1 (ko) 에어 커튼을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JP6467036B2 (ja) 液体還元剤を用いる空気清浄機器、及びその動作と応用方法
KR102157371B1 (ko)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을 구비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KR20190021971A (ko) 스마트 마스크
KR20220114502A (ko) 미세먼지 차단용 전면 마스크
CN203523846U (zh) 一种新型口罩
CN204306086U (zh) 一种交警用防雾霾口罩
CN203355162U (zh) 空气净化面罩
KR20230118300A (ko) 탈착 가능한 일체형 모듈을 구비한 마스크
WO2021164357A1 (zh) 一种负压吸气式空气净化器及空气净化方法
KR102274456B1 (ko) 에어커튼 기능을 갖는 마스크장치
CN206227758U (zh) 一种pm2.5防护口罩
WO2008128392A1 (fr) Masque composite
KR102508411B1 (ko) 송풍팬이 설치된 마스크
KR100932838B1 (ko) 화재용 공기 정화 호흡 장치
KR200222893Y1 (ko) 유해가스 방지용 마스크
KR20130093055A (ko) 공기 정화용 1회용 마스크
KR20210065511A (ko) 밀착 능력이 향상된 보건 및 산업용 마스크
CN207101655U (zh) 口罩结构
CN208449051U (zh) 多级废气净化装置
CN205598458U (zh) 一种口罩
KR20220141451A (ko) 마스크
KR102447557B1 (ko)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장치
KR20130095234A (ko) 공기 정화용 1회용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