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7733A - 제어 프로그램,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및, 시청질 출력 프로그램, 시청질 출력장치 및 시청질 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제어 프로그램,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및, 시청질 출력 프로그램, 시청질 출력장치 및 시청질 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7733A
KR20230117733A KR1020237019298A KR20237019298A KR20230117733A KR 20230117733 A KR20230117733 A KR 20230117733A KR 1020237019298 A KR1020237019298 A KR 1020237019298A KR 20237019298 A KR20237019298 A KR 20237019298A KR 20230117733 A KR20230117733 A KR 20230117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quality
viewer
display
information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9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시 군야
Original Assignee
리비지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비지오 인크. filed Critical 리비지오 인크.
Publication of KR20230117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77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33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users' behaviour or opin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8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for seamlessly watching content streams when changing device, e.g. when watching the same program sequentially on a TV and then on a tabl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TV의 시청 에리어를 촬영하고, 다양한 처리를 진행하는 제어 프로그램,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및, 시청질 출력 프로그램, 시청질 출력장치 및 시청질 출력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TV의 시청 에리어를 촬영하도록 배치된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시청 에리어 내에 있는 시청자의 상태를 검지하는 시청자 검지부와, 상기 시청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부를 구비하는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제어 프로그램,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및, 시청질 출력 프로그램, 시청질 출력장치 및 시청질 출력 방법
본 발명은, 제어 프로그램,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및, 시청질 출력 프로그램, 시청질 출력장치 및 시청질 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TV의 시청 에리어(Viewing area)를 촬상하도록 카메라를 배치하고, 얻어진 화상 데이터로부터 시청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사람들의 수와, 시청 에리어 내의 비디오에 인게이지(engage)하고 있는 사람들의 수를 정량화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공표특허공보 2019 -507533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TV의 시청 에리어를 촬영하고, 다양한 처리를 진행하는 제어 프로그램,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및, 시청질 출력 프로그램, 시청질 출력장치 및 시청질 출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의 시청 에리어를 촬영하도록 배치된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시청 에리어 내에 있는 시청자의 상태를 검지하는 시청자 검지부와, 상기 시청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부를 구비하는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검지하는 디스플레이 상태 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자의 상태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해도 좋다.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 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를 검지하고, 상기 기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해도 좋다.
상기 제어 대상 기기는, 상기 시청자의 휴대 단말이고, 상기 기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가 상기 시청자의 휴대 단말에 표시되도록 제어를 진행해도 좋다.
상기 제어 대상 기기는, 대화형 스피커이고, 상기 기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가 상기 대화형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도록 제어를 진행해도 좋다.
상기 시청자 검지부는, 상기 시청자의 상태로서, 상기 시청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주시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고, 상기 기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주시하고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해도 좋다.
상기 제어 대상 기기는, 상기 시청자의 휴대 단말이고, 상기 시청자 검지부는, 상기 시청자의 상태로서, 상기 시청자가 휴대 단말을 보고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고, 상기 기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자가 휴대 단말을 보고 있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을 제어해도 좋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컴퓨터를, 디스플레이의 시청 에리어를 촬영하도록 배치된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시청 에리어 내에 있는 시청자의 상태를 검지하는 시청자 검지부와, 상기 시청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부로서 기능시키는 제어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의 시청 에리어를 촬영하도록 배치된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시청 에리어 내에 있는 시청자의 상태를 검지하고, 상기 시청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컴퓨터를, 방송국, 기간, 콘텐츠 및, 시청자의 속성 중의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접수하는 설정 접수 수단과, 방송국 및 일시마다, 또는, 콘텐츠마다, 시청자의 속성과 관련지어 시청질값을 기억한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접수한 설정에 따른 시청질값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접수한 설정에 따라, 시청질값에 관한 정보를 출력시키는 출력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시청질 출력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상기 시청질값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시켜도 좋다.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소정 방향으로 요일이 설정되고, 상기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시간 축이 설정되고, 각 요일 및 각 시간대에 대응하는 위치의 표시 태양이 시청질값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시청질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시켜도 좋다.
상기 설정 접수 수단은, 집계 시간의 설정을 접수하고, 상기 시간 축의 단위는, 상기 집계 시간에 대응해도 좋다.
상기 접수한 설정이 방송국의 선택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선택된 방송국의 각각에 대해 상기 시청질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시켜도 좋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컴퓨터를, 방송국 및 일시마다, 또는, 콘텐츠마다, 시청자의 시청질값을 기억한 기억 수단으로부터 시청질값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소정 방향으로 요일이 설정되고, 상기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시간 축이 설정되고, 각 요일 및 각 시간대에 대응하는 위치의 표시 태양이 시청질값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시청질 정보를 출력시키는 출력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시청질 출력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상기 시청질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시켜도 좋다.
각 요일 및 각 시간대에 대응하는 위치는, 상기 시청질값이 높을수록 색이 짙고, 혹은 시청질값에 관한 정보에 따른 색이어도 좋다.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각 요일 및 각 시간대에 대응하는 위치에, 시청질값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켜도 좋다.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전체 방송국의 각각에 대해 상기 시청질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시켜도 좋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컴퓨터를, 복수회 재생되는 콘텐츠의 각각에 대해, 시청자의 시청질값을 기억한 기억 수단으로부터 시청질값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복수회 재생되는 콘텐츠의 각각의 시청질값에 관한 정보의 변화를 그래프로 출력시키는 출력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시청질 출력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상기 그래프의 제1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상기 그래프의 제2축은, 상기 제1축이 나타내는 시간에 재생된 콘텐츠의 상기 시청질값에 관한 값을 나타내도 좋다.
상기 그래프의 제1축은, 특정의 콘텐츠가 표시되었을 때의 시청률을 적산한 값이고, 상기 그래프의 제2축은, 상기 제1축이 나타내는 값에 대한, 시청질값에 관한 값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방송국, 기간, 콘텐츠 및, 시청자의 속성 중의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접수하는 설정 접수 수단과, 방송국 및 일시마다, 또는, 콘텐츠마다, 시청자의 속성과 관련지어 시청질값을 기억한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접수한 설정에 따른 시청질값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접수한 설정에 따라, 시청질값에 관한 정보를 출력시키는 출력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시청질 출력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방송국, 기간, 콘텐츠 및, 시청자의 속성 중의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접수하고, 방송국 및 일시마다, 또는, 콘텐츠마다, 시청자의 속성과 관련지어 시청질값을 기억한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접수한 설정에 따른 시청질값을 취득하고, 상기 접수한 설정에 따라, 시청질값에 관한 정보를 출력시키는, 시청질 출력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방송국 및 일시마다, 또는, 콘텐츠마다, 시청자의 시청질값을 기억한 기억 수단으로부터 시청질값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소정 방향으로 요일이 설정되고, 상기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시간 축이 설정되고, 각 요일 및 각 시간대에 대응하는 위치의 표시 태양이 시청질값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시청질 정보를 출력시키는 출력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시청질 출력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방송국 및 일시마다, 또는, 콘텐츠마다, 시청자의 시청질값을 기억한 기억 수단으로부터 시청질값을 취득하고, 소정 방향으로 요일이 설정되고, 상기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시간 축이 설정되고, 각 요일 및 각 시간대에 대응하는 위치의 표시 태양이 시청질값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시청질 정보를 출력시키는, 시청질 출력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복수회 재생되는 콘텐츠의 각각에 대해, 시청자의 시청질값을 기억한 기억 수단으로부터 시청질값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복수회 재생되는 콘텐츠의 각각의 시청질값에 관한 정보의 변화를 그래프로 출력시키는 출력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시청질 출력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복수회 재생되는 콘텐츠의 각각에 대해, 시청자의 시청질값을 기억한 기억 수단으로부터 시청질값을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복수회 재생되는 콘텐츠의 각각의 시청질값에 관한 정보의 변화를 그래프로 출력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시청질 출력 방법이 제공된다.
TV의 시청 에리어를 촬영하고, 다양한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A는, 시청질 취득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B는, 체재자 정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C는, 주시자 정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D는, TV 상태 정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채널·방송 시간 데이터베이스(2)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36)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시청질 데이터베이스(37)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른 시청질 표시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A는, 방송국의 설정을 접수하기 위해 디스플레이(52)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
도 7B는, 기간의 설정을 접수하기 위해 디스플레이(52)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
도 7C는, 속성의 설정을 접수하기 위해 디스플레이(52)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
도 7D는, 집계 시간의 설정을 접수하기 위해 디스플레이(52)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
도 8A는, 시청질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
도 8B는, 시청질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다른 화면의 예.
도 9는, 시청질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다른 화면의 예.
도 10A는, 시청질값을 선 그래프로 표시하는 화면의 예.
도 10B는, 시청질값을 선 그래프로 표시하는 화면의 예.
도 10C는, 시청질값을 선 그래프로 표시하는 화면의 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의 실시형태)
제1의 실시형태는, TV의 시청 에리어를 카메라로 촬영하고, 얻어진 영상에 기초하여 임의의 기기를 제어하는 것이다.
도 1은,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제어 시스템은, 카메라(21)와, 마이크(22)와, 제어 장치(23)를 구비한다. 도 1은, 거실에 설치된 TV(100)와, 그 전방의 시청 에리어도 나타내고 있다.
카메라(21)는, TV(100)의 테두리나 거실의 천장 등, TV(100)의 시청 에리어를 촬영하도록 배치된다. 마이크(22)는, TV(100)의 스피커의 근방 등, TV(100)로부터의 음성을 취득하도록 배치된다. 제어 장치(23)는, 카메라(21)로 촬영된 영상 및/또는 마이크(22)로 취득된 음성에 기초하여, 임의의 제어 대상 기기(24)를 제어한다. 한편, 제어 장치(23)가 TV(100)로부터의 음성 정보를 TV(100)로부터 직접 취득할 수 있는 경우(예를 들면 TV(100)의 이어폰 잭이나 음성 출력 단자와 제어 장치(23)를 접속할 수 있는 경우)에는, 마이크(22)를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도 2는,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23)는, 통신부(231)와, 시청자 검지부(232)와, TV 상태 검지부(233)와, 기기 제어부(234)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23)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구비하는 컴퓨터여도 좋고, 이들 각부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메모리에 기억된 소정의 프로그램을 프로세서가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통신부(231)는, 카메라(21), 마이크(22) 및 제어 대상 기기(24)와의 통신을 진행한다. 통신의 종류에 특히 제한은 없고, 유선 통신이어도 좋고, 근거리 무선 통신이나 무선 LAN 등의 무선 통신이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통신부(231)는 카메라(21)나 마이크(22)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231)는, 카메라(21), 마이크(22) 및 제어 대상 기기(24)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한다.
시청자 검지부(232)는, 카메라(21)로부터의 영상에 기초하여, 시청 에리어 내에 있는 시청자의 상태를 검지한다. 구체적인 처리 예로서, 시청자 검지부(232)는, 카메라(21)로부터의 영상으로부터 얼굴 인식을 진행하는 등에 의해, 시청 에리어 내에 있는 시청자(혹은, 시청 에리어 내에 시청자가 없는 것)를 특정한다. 시청자 검지부(232)는, 물체 인식의 일부의 기능인 인체 인식을 진행하고, 검지된 인체에 포함되는 얼굴을 추출하여, 미리 등록된 얼굴 사진과의 조합(照合)을 진행해도 좋다. 그리고, 시청자 검지부(232)는, 각 시청자가 TV(100)를 주시하고 있는지 여부, 혹은 각 시청자가 자신의 휴대 단말(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을 보고 있는지 여부 등을 검지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TV의 시청 에리어에 있는 사람을(실제로 시청하고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시청자"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또한, 시청자 검지부(232)는 특정된 각 시청자의 속성(성별, 연령 등)이나 희로 애락과 같은 표정을 검지해도 좋다. 그 외에, 시청자 검지부(232)는, 시청 에리어 내에 있는 시청자의 수, 각 시청자가 TV(100)를 주시하고 있는 시간, TV(100)와 시청자와의 거리 등을 시청자의 상태로서 검지해도 좋다. 시청자 검지부(232)는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검지 처리를 진행해도 좋고, 공지의 수법으로 검지 처리를 진행해도 좋다.
TV 상태 검지부(233)는, TV(100)로부터의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TV(100)의 상태를 검지한다. TV(100)의 상태란, TV(100)가 온인지 오프인지, 어느 콘텐츠가 재생되고 있는지, 등이다. 콘텐츠는, 프로그램이어도 좋고, CM이어도 좋고, 특정의 장면(일정의 사건이나 사고 등)이어도 좋고, 콘텐츠의 단위는 임의이다. 또한, 여기서의 콘텐츠는, 현재 방송 중(리얼타임)인 것이어도 좋고, 녹화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콘텐츠로서, 콘텐츠를 특정해도 좋고, 콘텐츠의 장르(스포츠, 영화, 뉴스 등)를 검지해도 좋다. 또한, 콘텐츠는 방송파에 의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인터넷 경유로 제공되는 콘텐츠도 포함한다(이 경우, TV(100)가 아니라 단순한 디스플레이이어도 좋다). TV(100)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를 특정하는 수법의 예는 제2의 실시형태에서 기술한다.
기기 제어부(234)는, 시청자 검지부(232) 및/또는 TV 상태 검지부(233)에 의한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기기(24)를 제어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기기 제어부(234)는 제어 대상 기기(24)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통신부(231)를 통해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제어 대상 기기(24)를 제어한다. 제어 대상 기기(24)는, 예를 들면 TV(100) 그 자체여도 좋고, TV 이외의 스피커, (TV가 설치된 거실 혹은 다른 방의) 조명, 시청자의 휴대 단말, 대화형 스피커(AI 어시스턴트 기능을 갖는, 이른바 "스마트 스피커"로 불리는 것) 등이어도 좋다.
여기서, 기기 제어부(234)는, 외부 기기와 네트워크 접속되지 않는 제어 대상 기기(24)(가정 내에 설치되는 TV, 스피커, 조명 등)에 대해, 근거리 무선 통신이나 가정 내의 LAN을 통해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제어 대상 기기(24)를 직접적으로 제어해도 좋다. 또한, 서버 등의 외부 기기와 네트워크 접속되는 제어 대상 기기(24)(휴대 단말, 대화형 스피커 등)에 대해서는, 인터넷 회선을 통해 서버 등의 외부 기기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제어 대상 기기(24)를 간접적으로 제어(즉, 기기 제어부(234)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 기기가 제어 대상 기기(24)를 제어)해도 좋다.
한편, 기기 제어부(234)는, 특정된 시청자 개인의 휴대 단말을 제어하기 위해, 시청자 검지부(232)에 의해 특정될 수 있는 시청자(TV가 설치된 가정 내의 아버지인지, 어머니인지)와, 그 시청자가 사용하는 휴대 단말과의 대응 관계를 미리 파악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21)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시청 에리어 내에 있는 시청자를 검지할 수 있고, 또한, 마이크(22)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TV(100)의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여기서, 그 양자를 사용하여 기기 제어부(234)는 제어 대상 기기(24)를 제어해도 좋다. 혹은, 그 하나만 사용하여 기기 제어부(234)는 제어 대상 기기(24)를 제어해도 좋다. 이하, 기기 제어부(234)에 의한 제어의 구체적인 예를 든다.
예를 들면, 시청 에리어 내에 시청자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TV(100)가 온되어 있는 경우, 기기 제어부(234)는 TV(100)를 오프하거나, TV(100)가 설치된 방의 조명을 오프하거나 해도 좋다. 혹은, 시청 에리어 내에 시청자가 없는 상태에서 있는 상태가 된 경우에, 기기 제어부(234)는 TV(100)를 온해도 좋다. 또한, 시청 에리어 내에 시청자가 없는 상태에서 있는 상태가 되고, 또한, 그 시청자가 TV(100)를 주시한 경우, 기기 제어부(234)는 TV(100)를 온해도 좋다.
또한, 기기 제어부(234)는 TV(100)의 콘텐츠를 제어해도 좋다. 예를 들면, 시청자가 TV(100)를 주시하지 않은 경우, 시청자의 주의를 끌기 위한 화상을 TV(100)의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표시시키거나, 음성을 TV(100)의 스피커로부터 출력시키거나 해도 좋다. 이와 같은 화상이나 음성은, 미리 정한 것이어도 좋고, 시청자의 속성이나 기호에 맞춘 것이어도 좋다.
또한, 기기 제어부(234)는 TV(100)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기기(24)를 제어해도 좋다. 구체적인 예로서, 기기 제어부(234)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대화형 스피커로부터 출력시키거나, 시청자의 휴대 단말에 표시시키거나 해도 좋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기 제어부(234)는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정보를, 휴대 단말이나 대화형 스피커에 접속되는 외부 서버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외부 서버로부터의 제어를 받아, 대화형 스피커로부터 해당 콘텐츠에 관한 정보가 추천되거나, 해당 콘텐츠에 관한 광고가 시청자의 휴대 단말에 표시되거나 한다.
또한, 기기 제어부(234)는, 시청자가 휴대 단말을 보고 있는 경우에, 그 휴대 단말을 제어해도 좋다. 혹은, 기기 제어부(234)는, 시청자가 TV를 주시하지 않은 경우, 시청자가 휴대 단말을 보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하여, 그 휴대 단말을 제어해도 좋다. 구체적인 예로서, 기기 제어부(234)는 TV에서 재생되고 있는 CM에 관한 정보가 휴대 단말에 리얼타임으로 표시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TV에서 재생되고 있는 CM를 시청자가 주시하고 있지 않다고 해도, 이 CM과 동일 내용 혹은 관련된 내용의 광고를 시청자에게 보도록 할 수 있다.
이상으로 기술한 바와 같이, 제1의 실시형태에서는, TV(100)의 시청 에리어를 카메라(21)로 촬영하고, 얻어진 영상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기기(24)를 제어한다. 그 때문에, 시청 에리어에 시청자가 있는지 여부, 있는 경우에, 어떤 시청자가 있는지, TV를 보고 있는지 여부, 등의 시청 에리어의 다양한 상황에 따라, 제어 대상 기기(24)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실시형태에서는, TV(100)의 음성으로부터 취득되는 TV(100)의 상태를 고려하여 제어 대상 기기(24)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더욱 다양한 제어가 가능해진다.
(제2의 실시형태)
종래로부터, 특정의 TV 프로그램을 시청한 세대의 비율을 나타내는 기준으로서 "세대 시청률"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세대 시청률은, 그 TV 프로그램이 선국되어 있는 세대의 비율에 대응하는 것에 불과하여, 꼭 그 TV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세대의 비율과 상관된다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최근에는, 세대의 비율 단위가 아니라, 개인 단위로 시청률을 취득하는 것도 진행되고 있다. 개인 단위의 시청률은, 소정의 장치에 가족의 구성원 각각에 연관지은 버튼을 마련하고, TV를 보는 사람이 자신에 연관지어진 버튼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프로그램을 시청한 것으로서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개인 단위의 시청률에 관해서도, 꼭 그 사람이 실제로 TV를 시청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어, 무심코 TV를 켜두고 있을 뿐일 가능성도 있다.
이에 대해, 상술한 특허문헌 1은, 시청의 "질"에 착목하여, 디스플레이 앞의 시청 에리어 내에 존재하는 사람들의 수와, 시청 에리어 내의 비디오에 인게이지하고 있는 사람들의 수를 정량화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단순히 이들의 수를 정량화하는 것을 개시할 뿐, 어떻게 유저에게 제시하면 좋은지 아무런 고려가 되어 있지 않다.
다음으로 기술하는 제2의 실시형태는, 시청질을 더욱 알기 쉽게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2의 실시형태에서는, 시청질을 시청질값으로서 정량화한다. 시청질의 예로서, 얼마만큼의 시청자가 TV를 시청 가능했는지의 지표(Viewability Index, 이하 "VI값"이라 한다)와, 얼마만큼의 시청자가 TV를 주시했는지의 지표(Attention Index, "이하 "AI값"이라 한다)를 사용한다. VI값은 시청자의 체재 정도를 나타내고 있고, 높으면 높을수록, 1대의 TV에 대해, 보다 많은 시청자가 TV 앞에 위치한 것을 나타낸다. 한편, AI값은, 시청자의 주시 정도를 나타내고 있고, 높으면 높을수록, 그 시청률에 있어서, 보다 많은 시청자가 TV의 콘텐츠에 주시한 것을 나타낸다.
우선은, VI값 및 AI값 취득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3A는, 시청질 취득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시청질 취득 시스템은, 시청 정보 취득 장치(1)와, 채널·방송 시간 데이터베이스(2)와, 시청질 관리 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 시청 정보 취득 장치(1)는 세대마다 설치되고, 각 세대의 시청 정보 취득 장치(1)로부터의 정보를 시청질 관리 장치(3)가 집약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시청 정보 취득 장치(1)는 세대마다 설치된다. 또한, 각 세대에 속하는 사람(세대 구성원)은 미리 정해져 있다. 이하에서는, 시청 정보 취득 장치(1)가 설치된 세대에 세대 구성원 A, B, C 3명이 포함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시청 정보 취득 장치(1)는, 카메라(11)와, IR 센서(12)와, 시청자 검지부(13)와, 마이크(14)와, TV 상태 검지부(15)와, 송신부(16)를 구비한다.
카메라(11)는, TV의 시청 에리어(TV의 전방)를 촬영하고, 카메라 화상을 시청자 검지부(13)에 공급한다.
IR 센서(12)는, 시청 에리어에 적외선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물체(특히, 시청자)로부터 반사된 적외선을 검출하는 수광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IR 센서(12)는, 수광부에 의해 검출된 적외선에 기초하여, 발광부와 물체의 거리를 나타내는 심도 화상을 생성하여 시청자 검지부(13)에 공급한다.
시청자 검지부(13)는, 체재자 검지부(131)와, 주시자 검지부(132)를 구비한다.
체재자 검지부(131)는, 카메라 화상 및 심도 화상으로부터 얼굴 인식을 진행하는 등에 의해, 혹은, 걷는 형태나 체형 등에 기초하여, 시청 에리어에 있는 체재자를 검지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체재자 검지부(131)는 체재자가 세대 구성원 A~C 중 누구인지를 특정한다. 그리고, 체재자 검지부(131)는 각 시각에 어느 시청자가 체재하고 있었는지를 나타내는 체재자 정보를 생성한다.
도 3B에 체재자 정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재자 정보는 각 시각에 세대 구성원 A~C 각각이 시청 에리어에 체재하고 있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이 도면의 "O" 표시는 체재하고 있은 것을 나타내고, "×" 표시는 체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세대 구성원 A는, 2020년 1월 3일의 19시 00분 00초, 같은 날 19시 00분 05초, 같은 날 19시 00분 10초 모두 시청 에리어에 체재하고 있다.
체재자 정보는 각 시각에 있어서의 체재자수를 나타낸다고도 할 수 있다. 한편, 도 3B에서는 5초 단위로 체재자를 검지하고 있지만, 단위에 특히 제한은 없다.
주시자 검지부(132)는, 카메라 화상 및 심도 화상으로부터 시청자의 제스처, 움직임, 얼굴의 방향, 시선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등에 의해, TV를 주시하고 있는 체재자를 검지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주시자 검지부(132)는 주시자가 세대 구성원 A~C 중 누구인지를 특정한다. 그리고, 주시자 검지부(132)는 각 시각에 어느 시청자가 TV를 주시하고 있었는지를 나타내는 주시자 정보를 생성한다.
도 3C에 주시자 정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시자 정보는 각 시각에 세대 구성원 A~C 각각이 TV를 주시하고 있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이 도면의 "O" 표시는 주시하고 있은 것을 나타내고, "×" 표시는 주시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세대 구성원 A는, 2020년 1월 3일의 19시 00분 00초 및 같은 날 19시 00분 10초에는 TV를 주시하고 있었지만, 같은 날 19시 00분 05초에는 TV를 주시하지 않았다.
주시자 정보는 각 시각에 있어서의 주시자수를 나타낸다고도 할 수 있다. 한편, 도 3B에서는 5초 단위로 주시자를 검지하고 있지만, 단위에 특히 제한은 없다.
도 3A로 돌아가서, 마이크(14)는, TV로부터 재생되는 음성을 집음하여, TV 상태 검지부(15)에 공급한다.
TV 상태 검지부(15)는, TV로부터의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TV의 상태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TV 상태 검지부(15)는, 핑거프린트 생성부(151)와, 채널·방송 시간 정보 취득부(152)를 구비한다.
핑거프린트 생성부(151)는 마이크(14)로부터의 음성을 처리하여, 오디오 핑거프린트(이하, 단순히 "핑거프린트"라 한다)(F)를 생성한다.
채널·방송 시간 정보 취득부(152)는, 핑거프린트(F)와, 채널(방송국) 및 방송 시간과의 대응 관계를 기억한 채널·방송 시간 데이터베이스(2)에 기초하여, 각 시각의 TV의 상태를 취득하고, TV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TV 상태 정보는, 각 시각에 TV에 표시되고 있었던 콘텐츠의 방송국 및 방송 일시를 나타낸다.
구체적인 처리의 예로서, 채널·방송 시간 정보 취득부(152)는, 채널·방송 시간 데이터베이스(2)를 구비하는 서비스에, 생성된 핑거프린트(F)를 송신한다. 그리고, 핑거프린트(F)에 기초하여 해당 서비스에 의해 특정되는 채널 및 방송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채널·방송 시간 정보 취득부(152)는 수신한다.
도 4A는, 채널·방송 시간 데이터베이스(2)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핑거프린트가 방송국 및 방송 일시와 시청 일시를 관련지어 기억된다. 예를 들면, 특정의 시각에 있어서, 도 3A의 핑거프린트 생성부(151)에 의해 생성된 것이 핑거프린트(F2)였던 경우, TV에서 재생되고 있었던 것은 2020년 1월 3일 19시 00분 00초~같은 날 19시 00분 05초에 방송국 Q에 의해 방송되고 있었던 프로그램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3D에 TV 상태 정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예를 들면, 2020년 1월 3일의 19시 00분 00초 및 같은 날 19시 00분 05초에는, 방송국 X에서 2020년 1월 3일의 19시 00분 00초 및 같은 날 19시 00분 05초에 각각 방송되고 있었던 콘텐츠가 TV에 표시되어 있다. 한편, 도 3D에서는 5초 단위로 TV 상태를 검지하고 있지만, 단위에 특히 제한은 없다.
도 3A로 돌아가서, 시청 정보 취득 장치(1)의 송신부(16)는, 체재자 정보(도 3B), 주시자 정보(도 3C) 및 TV 상태 정보(도 3D)를 시청질 관리 장치(3)에 송신한다. 시청질 관리 장치(3)에는, 각 시청 정보 취득 장치(1)로부터 동일한 정보가 송신된다.
한편, 도 3A의 시청 정보 취득 장치(1)는, 도시하는 모든 구성을 필수로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IR 센서(12)를 생략하고, 주시자 검지부(132)는 카메라 화상만으로부터 주시자의 검지를 진행해도 좋다.
이어서, 시청질 관리 장치(3)에 대해 기술한다. 시청질 관리 장치(3)는, 속성 검출부(31)와, 프로그램 정보 취득부(32)와, VI값 산출부(33)와, AI값 산출부(34)와, 데이터베이스 기록부(35)와,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36)와, 시청질 데이터베이스(37)를 구비한다.
속성 검출부(31)는 시청자의 속성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속성 검출부(31)는, 각 시청 정보 취득 장치(1)와 관련지어, 그 시청 정보 취득 장치(1)가 설치되는 세대의 세대 구성원의 속성(성별, 연령, 연수입 등)이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세대 구성원 A~C 3명의 속성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속성 검출부(31)는, 시청 정보 취득 장치(1)로부터의 체재자 정보 및 주시자 정보에 기초하여, 각 시각에 시청 에리어에 체재하고 있었던 시청자 및 각 시각에 TV를 주시하고 있었던 시청자의 속성을 각각 특정한다. 연령 및 성별로서, 예를 들면 마케팅에서 사용되는 구분(C, T, M1~M3, F1~F3) 중의 어느 것인지를 특정해도 좋다.
프로그램 정보 취득부(32)는, 채널(방송국) 및 방송 시간과, 프로그램과의 대응 관계를 기억한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36)를 참조하여, TV 상태 정보가 나타내는 채널(방송국) 및 방송 시간에 방송되고 있었던 프로그램을 특정한다.
도 4B는,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36)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송국 및 방송 시간과, 각 방송국에서 각 방송 시간에 방송되고 있었던 프로그램이 관련지어 기억된다. 예를 들면, 2020년 1월 3일 19시~21시에 방송국 Q에 의해 방송되고 있었던 프로그램은 프로야구 B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TV 상태 검지부(15)와 프로그램 정보 취득부(32)가 협동하여, TV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를 취득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에 따라서는, 채널 및 방송 시간을 특정하지 않고, 핑거프린트(F)으로부터 프로그램을 직접 특정해도 좋다. 혹은, 채널 및 방송 시간을 특정하는 것만이어도 좋다.
핑거프린트(F)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특정하는 수법에 의하면, 리얼타임으로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녹화되어 타임 시프트 시청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특정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B는, 콘텐츠 단위로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36)에 기억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콘텐츠(이른바 프로그램, 좁은 의미의 콘텐츠))보다 잔 단위(예를 들면, CM나, 콘텐츠에 있어서의 특정의 장면(넓은 의미의 콘텐츠))로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36)에 기억되어 있어도 좋다.
도 3A로 돌아가서, VI값 산출부(33)는, 각 시청 정보 취득 장치(1)로부터의 체재자 정보에 기초하여 체재자수를 집계하고, 방송국 및 일시마다(혹은 콘텐츠마다, 이하 동일), 시청자의 속성과 관련지어 VI값을 산출한다. AI값 산출부(34)는, 각 시청 정보 취득 장치(1)로부터의 주시자 정보에 기초하여 주시자수를 집계하고, 방송국 및 일시마다, 시청자의 속성과 관련지어 AI값을 산출한다. 데이터베이스 기록부(35)는, 방송국 및 일시마다, 시청자의 속성과 관련지어 VI값 및 AI값을 시청질 데이터베이스(37)에 기록한다.
도 5는, 시청질 데이터베이스(37)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한 예에서는, 프로그램(방송 일시 및 방송국)마다, VI값 및 AI값이 시청자의 속성(여기서는, 성별, 연령 및 수입)과 관련지어 기억된다. 예를 들면, 2020년 1월 3일의 19시~19시 30분에 방송국 P에서 방송된 "뉴스 A"의, M1층의 수입 300만엔 이하의 시청자에 있어서의 AI값은 0.2이고, VI값은 0.15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시청질 데이터베이스(37)에 시청질값의 정보가 기억된다. 한편, 이상에서 기술한 것은 일례에 불과하고, 방송국 및 일시마다 시청질값을 기억할 수 있으면 되고,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속성으로서, 성별, 연령 및 연수입 중의 1 또는 2개를 사용해도 좋고, 다른 요소를 포함해도 좋고, 속성을 생략해도 좋다. 또한 시청질값으로서, VI값 및 AI값 이외의 지표를 적용해도 좋다.
이어서, 시청질의 표시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른 시청질 표시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시청질 표시 시스템은, 시청질 표시 장치(5)와, 도 1의 시청질 데이터베이스(37)를 구비하고 있다.
시청질 표시 장치(5)는, 퍼스널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등 임의의 컴퓨터여도 좋고, 입력 인터페이스(51)와, 디스플레이(52)와, 설정 접수부(53)와, 시청질 취득부(54)와, 출력 제어부(55)를 구비한다. 설정 접수부(53), 시청질 취득부(54) 및 출력 제어부(55)의 기능의 적어도 일부는, 시청질 표시 장치(5)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설정 접수부(53)는, 어떤 시청질을 표시시킬지(즉, 표시시키는 시청질의 대상)의 설정을, 입력 인터페이스(51)를 통해 유저로부터 접수한다. 이 설정은, 예를 들면, 방송국, 기간, 프로그램, 시청자의 속성, 집계 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시청질 취득부(54)는, 시청질 데이터베이스(37)에 액세스하여, 설정 접수부(53)가 접수한 설정에 따른 시청질값을 취득한다. 출력 제어부(55)는, 상기한 설정을 접수하기 위한 화면이나, 시청질 취득부(54)가 취득한 시청질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한다.
출력 제어부(55)는, 시청질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52)에 표시시켜도 좋고, 도시하지 않는 프린터로 인쇄해도 좋고, CSV 등의 전자 파일을 생성하여 출력해도 좋고, 전자 데이터로서 API로 외부에 출력해도 좋다. 이하에서는, 출력 제어부(55)가 시청질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52)에 표시시키는 예를 주로 기술하지만, 동일한 인쇄를 진행해도 좋고, 동일한 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한 전자 파일이나 전자 데이터를 출력해도 좋다.
도 7A는, 방송국의 설정을 접수하기 위해 디스플레이(52)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송국마다 체크 박스가 마련되고, 1 이상의 체크 박스에 체크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51)를 통해, 유저는 시청질값을 표시시키고 싶은 방송국의 체크 박스에 체크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방송국을 선택한다. 시청질 취득부(54)는 선택된 방송국의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질값을 취득한다.
한편, 방송국의 설정은 임의이고, 시청질 표시 장치(5)는 방송국의 설정을 진행하지 않고, 특정의 지역에서 방송 가능한 전체 방송국의 시청질값을 표시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도 7B는, 기간의 설정을 접수하기 위해 디스플레이(52)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이다. 도 7B는 1주 단위로 기간을 지정하는 예이고, 몇 년 몇 월 몇 주째의 시청질값을 표시시키는지를 입력하는 란이 마련된다. 입력 인터페이스(51)를 통해, 유저는 시청질을 표시시키고 싶은 기간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기간을 지정한다. 시청질 취득부(54)는 지정된 기간 내의 시청질값을 취득한다.
한편, 기간의 설정법에 제한은 없고, 날짜 혹은 일시로 시기 및 종기를 지정할 수 있어도 좋고, 기간의 단위는 1주에 한정되지 않고, 특정의 1일이나 1개월이어도 좋다. 캘린더나 시계를 표시시켜, 기간의 시기 및 종기를 선택할 수 있어도 좋다. 또한, 기간의 설정은 임의이고, 시청질 표시 장치(5)는 기간의 설정을 진행하지 않고, 최근 1주 등 미리 정한 기간의 시청질값을 표시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설정 접수부(53)는, 방송국과 기간을 지정하는 대신에, 프로그램 단위로 선택을 접수해도 좋다. 또한, 개별의 프로그램 단위뿐만 아니라, 뉴스나 스포츠와 같은 장르의 단위로 선택을 접수해도 좋다.
도 7C는, 속성의 설정을 접수하기 위해 디스플레이(52)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이다.
도 7C(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청자의 성별의 설정에 관해, "남성", "여성" 및 "양쪽"의 각각에 라디오 버튼이 마련되고, 배타적으로 하나만의 라디오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51)를 통해, 유저는 시청질값을 표시시키고 싶은 성별을 선택한다. 시청질 취득부(54)는, 선택된 성별("양쪽"이 선택된 경우는 성별을 불문함)에 대한 시청질값을 취득한다.
도 7C(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청자의 연령의 선택에 관해, 연령층의 각각에 체크 박스가 마련되고, 1 이상의 체크 박스에 체크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51)를 통해, 유저는 시청질값을 표시시키고 싶은 연령층의 체크 박스에 체크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연령층을 지정한다. 시청질 취득부(54)는 지정된 연령층에 대한 시청질값을 취득한다. 한편, 연령의 선택은 1세 단위로 임의로 유저가 지정할 수 있어도 좋다.
한편, C, T, M1~M3, F1~F3과 같은 구분으로 성별 및 연령층을 동시에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도 7C(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청자의 수입의 설정에 관해, 수입층의 각각에 체크 박스가 마련되고, 1 이상의 체크 박스에 체크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51)를 통해, 유저는 시청질값을 표시시키고 싶은 수입층의 체크 박스에 체크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수입층을 지정한다. 시청질 취득부(54)는 지정된 수입층에 대한 시청질값을 취득한다.
한편, 속성의 설정은 임의이고, 시청질 표시 장치(5)는 속성의 설정을 진행하지 않고 전체 시청자의 시청질값을 표시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성별, 연령 및 수입의 1 또는 2개의 설정이 가능해도 좋고, 시청질 데이터베이스(37)의 구성에 따라 다른 속성을 설정 가능해 좋다.
도 7D는, 집계 시간의 설정을 접수하기 위해 디스플레이(52)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집계 시간을 입력하는 란이 마련된다. 입력 인터페이스(51)를 통해, 유저는 시청질값을 집계하는 단위가 되는 시간을 입력한다. 시청질 취득부(54)는 시청질값을 취득하고, 설정된 집계 시간의 단위로 시청질값을 집계한다. 예를 들면, 집계 시간이 1시간이면, 시청질 취득부(54)는 시청질값을 1시간 단위로 집계하고, 집계 시간이 1일이면, 시청질 취득부(54)는 시청질값을 1일 단위로 집계한다. 집계의 단위는 임의이고, 1분 단위, 10분 단위, 1시간 단위, 1일 단위여도 좋다.
한편, 집계 시간의 설정은 임의이고, 시청질 표시 장치(5)는 집계 시간의 설정을 진행하지 않고, 2시간 등 미리 정한 집계 시간으로 시청질값을 집계해도 좋다.
도 8A는, 시청질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이다. 이 도면에서는, 설정 접수부(53)에 의해, 방송국 P, 2020년 3월 1주째, 집계 시간으로서 1시간이 설정된 것을 상정하고 있다. 또한, 속성으로서 M2(35~49세의 남성)이 지정된 것으로 하고, 편의상, 일부의 일시에 대해서만 시청질값(여기서는 VI값으로 한다)을 나타내고 있다.
시청질 정보(6)로서, 수평 방향으로 요일이 설정되고, 연직 방향으로 시간 축이 설정된다. 시간 축은 집계 시간에 대응한 단위가 된다(본 예에서는, 집계 시간이 1시간이기 때문에 1시간 단위). 그리고, 각 요일 및 각 시간대에 대응하는 위치의 표시 태양이, 그 요일 및 시간대에서의 시청질값과 대응한다.
표시 태양으로서, 각 요일 및 각 시간대에 대응하는 위치에, 시청질값 그 자체가 표시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8A에 있어서, 월요일 5시대의 시청질값은 0.3이고, 화요일 5시대의 시청질값은 0.35이다(다른 요일 및 다른 시간대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표시 태양으로서, 각 요일 및 각 시간대에 대응하는 위치(셀)의 색이나 색의 농도가, 시청질값과 대응하고 있어도 좋다. 구체적인 예로서, 시청질값이 높을수록 색이 진해도 좋다. 시청질값과 표시 태양이 1대1로 대응해도 좋고, 시청질값이 어떤 범위에 있는 경우에 특정의 표시 태양이어도 좋다(예를 들면, 시청질값이 0.1 증가할 때마다, 1단계 색이 진해진다).
도 8A에서는, 편의상, 시청질값이 높을수록 밀도가 진한 스폿(spot)을 부여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에 의하면, 각 요일 및 각 시간대에 있어서의 시청질값의 개요를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8A에 의하면, 대체로, 근무처에서 귀가하는 19시 이후에서 시청질이 높고, 이어서, 토일이나 출근 전인 7~8시의 시청질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8B는, 시청질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다른 화면의 예이다. 도 8A와의 차이는, 속성으로서 F2(35~49세의 여성)가 지정된 것으로 하고 있다. 속성으로서 M2를 지정한 도 8A와 달리, 낮 시간대에 시청질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저가 속성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속성에 따른 시청질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년 남성 대상 상품의 TV 광고 출고를 검토할 때에는, 도 8A의 시청질 정보(6)를 표시시키는 것이 좋다. 한편, 중년 여성 대상 상품의 TV 광고 출고를 검토할 때에는, 도 8B의 시청질 정보(6)를 표시시키는 것이 좋다.
한편, 방송국이 복수 선택된 경우, 그 각각에 대해 출력 제어부(55)는 도 8에 나타내는 시청질 정보(6)를 표시한다. 또한, 방송국의 수가 그다지 많지 않은 경우, 출력 제어부(55)는 (특정의 지역에서 방송 가능한) 모든 방송국에 대해 시청질 정보(6)를 표시해도 좋다.
도 9는, 시청질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다른 화면의 예이다. 도 8의 시청질 정보(6)와의 차이로서, 수평 방향으로 설정되는 요일은, 평일 및 토일의 2구분으로 되어 있다. 즉, 월요일~금요일의 시청질값을 취합한 값(예를 들면 평균값)을 평일의 시청질값으로 하고, 토요일 및 일요일의 시청질값을 취합한 값(예를 들면 평균값)을 토일의 시청질값으로 하고 있다. 또한, 연직 방향으로 설정되는 시간 축은 등간격이 아니어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청질값을 표시시키는 대상을 유저가 설정하고, 그 설정에 따라 출력 제어부(55)가 시청질 정보(6)를 표시시킨다. 그 때문에, 유저가 원하는 시청질값을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출력 제어부(55)가 요일 및 시간대마다 매트릭스 형태로 시청질값을 나타내기 때문에, 유저는 각 요일 및 각 시간대의 시청질값을 파악하기 쉽다.
한편, 복수의 방송국이나 기간의 시청질값을 취합하여 집계하여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아침의 특정의 정보 프로그램에 대해, 지정한 소정 기간에 집계한 시청질값을 표시해도 좋다. 혹은, 특정의 장르의 프로그램에 대해, 방송국을 걸치고 집계한 시청질값을 표시해도 좋다. 어떤 집계를 진행할지의 설정을 유저로부터 접수할 수 있다.
이어서, 복수회 재생되는 콘텐츠에 있어서, 콘텐츠의 시청질의 천이를 선 그래프로 표시시키는 태양을 설명한다. 여기서, 복수회 재생되는 콘텐츠란, 예를 들면 반복 방송되는 CM, 연속 드라마, 재방송되는 프로그램 등일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CM인 것으로 한다.
도 10A는, 시청질을 선 그래프로 표시하는 화면의 예이다. 실선은 음료 A에 관한 CM, 파선은 음료 B에 관한 CM, 점선은 이들의 평균이다. 선 그래프의 횡축은 시간(도 10A에서는, 1개월 단위)을 나타내고 있고, 도 10A에서는 1개월을 시간의 단위로 하고 있다. 선 그래프의 종축은 대응하는 횡축이 나타내는 시간에 재생된 콘텐츠의 시청질값(도 10A에서는, VI값과 AI값과의 곱)에 관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0A의 화살표 F는, 6월에 재생된 음료 A에 관한 CM의 VI값과 AI값과의 곱이다. 같은 달에 음료 A에 관한 CM이 복수회 재생된 경우, 각 회의 평균값이어도 좋고, 누적값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선 그래프는, 복수회 재생되는 콘텐츠의 각각에 대해, TV 시청자의 시청질값을 시청질 데이터베이스(37)(도 6)에 기억해 두고, 필요한 시청질의 정보를 시청질 취득부(54)가 취득하는 것에 의해, 출력 제어부(55)에 의해 표시된다. 한편, 여기서의 "콘텐츠의 각각에 대해"란 1회의 재생마다여도 좋고, 특정의 기간(예를 들면 1일, 1주, 1개월 등)으로 집계한 것이어도 좋다.
한편, 횡축의 시간 단위는 1개월에 한정되지 않고, 1주나 1년이어도 좋다. 또한, 입력 인터페이스(51)를 통해 설정 접수부(53)가 유저로부터 시간 단위의 설정을 접수하고, 접수한 시간 단위에 따라 출력 제어부(55)가 횡축을 설정해도 좋다. 또한, 종축의 시청질값은 복수의 방송국이나 기간을 취합하여 집계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입력 인터페이스(51)를 통해 설정 접수부(53)가 선 그래프에 있어서의 어느 한 부분의 지정을 유저로부터 접수하고, 지정된 부분에 따른 상세한 정보를 출력 제어부(55)가 표시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가 4월을 지정한 경우(예를 들면, 디스플레이(52)에 있어서의 4월에 대응하는 영역에 유저가 커서를 이동시킨 경우), 출력 제어부(55)는 음료 A 및 음료 B의 시청질값을 수치로 표시시켜도 좋다. 또한,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가 음료 A를 지정한 경우(예를 들면, 디스플레이(52)에 있어서의 음료 A에 대응하는 영역에 유저가 커서를 이동시킨 경우), 출력 제어부(55)는 음료 A의 각 월의 시청질값을 수치로 표시시켜도 좋다.
그 외에, 출력 제어부(55)는, CM과, 그 CM이 재생된 프로그램이나, 그 CM이 재생된 시간을 표시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유저가 음료 A의 9월을 지정한 경우, 음료 A에 관한 CM이 재생된 프로그램이나 시간을 표시시켜도 좋다. 이와 같은 표시에 의해, 시청질값이 높았던 이유나 낮았던 이유를 추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청질값을 선 그래프로 표시시키는 것에 의해, 시청질값의 천이를 파악 가능하게 된다.
그 외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속성과 관련지어 시청질을 기억하는 경우, 특정의 속성을 가지는 시청자의 시청 동향을 추적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M1층에 대해 시청질값이 높은 콘텐츠를 추적하는 것에 의해, M1층에 지시되는 콘텐츠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속성으로서, 각 시청자에게 사전에 앙케트 진행하는 것에 의해, 각 시청자의 취미나 기호를 취득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특정의 취미나 기호를 갖는 시청자의 시청 동향을 추적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흡연자에 대해 시청질값이 높은 CM를 추적하는 것에 의해, 흡연자가 어떤 제품에 착목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상술한 제2의 실시형태는, 주로 시청질로서 VI값 및 AI값을 예시했지만, 다른 지표를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다음으로 기술하는 주시자수(유니크 리치(unique reach)수), 주시율(유니크 리치(unique reach)율), 누적 주시(Gross Attention)수, 누적 주시율, 주시 함유율, 주시 횟수에 대한 지표 중의 적어도 하나를 시청질로서 사용해도 좋다. 또한, TV가 아니라, 인터넷 경유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어도 좋는 것은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주시자수는 특정의 콘텐츠를 주시한 사람의 총수이다. 또한, 예를 들면, 주시율은 기준값(예를 들면, 전체 패널수나, 특정의 속성인 사람의 수)에 대한 주시자의 수의 비율이다. 여기서, 특정의 콘텐츠를 극히 단시간이라도 주시한 사람을 주시자수에 포함해도 좋지만, 소정 시간 이상 주시한 사람만을 주시자수에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 시간으로서, 예를 들면 콘텐츠가 15초 정도의 CM인 경우에, 3초로 할 수 있다. 본원 발명자들의 지견에 의하면, 주시한 시간이 3초 이상이 되면 CM의 인지가 진행되기 때문이다. 이 소정 시간은, 고정값이어도 좋고, 콘텐츠의 길이에 따른 값이어도 좋고, 유저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어도 좋다. 또한, 특정의 콘텐츠를 소정 횟수 이상 주시한 경우에 주시자수에 포함하도록 해도 좋고, 이 소정 횟수를 유저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소정 시간이 3초이고, 기준값이 2,000명일 때, 100명이 특정의 콘텐츠를 3초 이상 주시했다고 친다. 이 경우에, 주시자수는 100명이고, 주시율은 5%(100/2,0000)이다.
또한, 누적 주시율은, 복수회 재생되는 콘텐츠에 있어서, 각 콘텐츠의 주시율을 누적한 값이다. 주시 함유율은, 복수회 재생되는 콘텐츠에 있어서, 각 콘텐츠의 시청률을 누적한 값에 대한 누적 주시율이다. 복수회 재생되는 콘텐츠란, 예를 들면 반복 방송되는 CM, 연속 드라마, 재방송되는 프로그램 등이다.
예를 들면, 어떤 CM이 3회 방송되고, 그 시청률이 각각 10%, 15% 및 20%이고, 그 주시율이 각각 5%, 6% 및 7%였다고 친다. 이 경우에, 누적 주시율은 18(=5+6+7)%이다. 또한, 주시 함유율은 60(=(5+6+7)/(10+15+20))%이다.
주시 횟수에 대한 지표는 "프리퀀시(frequency)"라고도 불리는 지표이다. 프리퀀시는, 특정의 콘텐츠(전형적으로는 CM)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3초간) 주시한 것을 1회의 주시로 하고, 주시 횟수가 소정 횟수(예를 들면 3회) 이상의 사람의 수 혹은 비율을 가리킨다. CM는 일정 횟수 이상 보지 않으면 인지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견해가 있지만, 프리퀀시는 어느 정도 CM이 인지되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주시율, 누적 주시율, 주시 함유율, 프리퀀시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도 3A의 시청자 검지부(13)에 있어서의 주시자 카운트부(132)가, 각 시청자가 TV를 주시하고 있는 시간도 계측하고, 각 시청자의 주시 시간이 시청 정보 관리 장치(3)에 송신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3A의 시청 정보 관리 장치(3) 내에 주시 정보 산출부를 마련하고, 각 시청자의 주시 시간에 기초하여 주시율, 누적 주시율, 주시 함유율을 산출하면 된다.
주시율, 누적 주시율, 주시 함유율, 프리퀀시는, 콘텐츠를 소정 시간 이상 주시한 시청질의 수에 관한 시청질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청질도, 도 7A~도 7D와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도 8A, 도 8B 및 도 9와 동일하게 유저에게 제시할 수 있다.
그 외에, 시청질값으로서, AI값과 VI값의 곱, AI값 혹은 VI값의 기준값에 대한 비율, 세대 시청률을 합산한 값 등이어도 좋다.
또한, 도 10A 및 도 10B에 있어서의 횡축은 시간이지만, 다른 파라미터를 횡축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출력 제어부(55)는, 횡축을 GRP(특정의 콘텐츠 등이 표시되었을 때의 시청률을 적산한 값(누적 시청률))으로 하고, 종축을 시청질값(예를 들면 AI값)으로 하는 선 그래프를 표시시켜도 좋다. 또한, 출력 제어부(55)는, 횡축을 접촉수(특정의 콘텐츠에 접한 횟수)로 하고, 종축을 시청질값으로 하는 선 그래프를 표시시켜도 좋다. 혹은, 출력 제어부(55)는, 횡축을 경과 시간(특정의 콘텐츠가 시작된 때로부터의 경과 시간)으로 하고, 종축을 시청질값으로 하는 선 그래프를 표시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횡축을 임의로 설정하여, 시청질값에 관한 정보의 변화를 그래프로 표시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의 실시형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2의 실시형태에 도입해도 좋고, 제2의 실시형태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1의 실시형태에 도입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프로그램마다의 처리를 주로 설명했지만, CM마다나 특정의 장면마다 등, 콘텐츠로서 임의의 단위로 처리를 해도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기재된 것이다. 상기 실시형태의 다양한 변형예는, 당업자라면 당연히 이루어낼 수 있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다른 실시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을 따른 가장 넓은 범위로 해야 한다.
21: 카메라
22: 마이크
23: 제어 장치
231: 통신부
232: 시청자 검지부
233: TV 상태 검지부
234: 기기 제어부
24: 제어 대상 기기
1: 시청 정보 취득 장치
11: 카메라
12: IR 센서
13: 시청자 검지부
131: 체재자 검지부
132: 주시자 검지부
14: 마이크
15: TV 상태 검지부
151: 핑거프린트 생성부
152: 채널·방송 시간 정보 취득부
16: 송신부
2: 채널·방송 시간 데이터베이스
3: 시청질(視聽質) 관리 장치
31: 속성 검출부
32: 프로그램 정보 취득부
33: VI값 산출부
34: AI값 산출부
35: 데이터베이스 기록부
36: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
37: 시청질 데이터베이스
5: 시청질 표시 장치
51: 입력 인터페이스
52: 디스플레이
53: 설정 접수부
54: 시청질 취득부
55: 출력 제어부
6: 시청질 정보

Claims (28)

  1. 디스플레이의 시청 에리어를 촬영하도록 배치된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시청 에리어 내에 있는 시청자의 상태를 검지하는 시청자 검지부와,
    상기 시청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부를 구비하는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검지하는 디스플레이 상태 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자의 상태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 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태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를 검지하고,
    상기 기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대상 기기는, 상기 시청자의 휴대 단말이고,
    상기 기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가 상기 시청자의 휴대 단말에 표시되도록 제어를 진행하는, 제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대상 기기는, 대화형 스피커이고,
    상기 기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가 상기 대화형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도록 제어를 진행하는, 제어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자 검지부는, 상기 시청자의 상태로서, 상기 시청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주시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고,
    상기 기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주시하고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대상 기기는, 상기 시청자의 휴대 단말이고,
    상기 시청자 검지부는, 상기 시청자의 상태로서, 상기 시청자가 휴대 단말을 보고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고,
    상기 기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자가 휴대 단말을 보고 있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8. 컴퓨터를,
    디스플레이의 시청 에리어를 촬영하도록 배치된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시청 에리어 내에 있는 시청자의 상태를 검지하는 시청자 검지부와,
    상기 시청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부로서 기능시키는 제어 프로그램.
  9. 디스플레이의 시청 에리어를 촬영하도록 배치된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시청 에리어 내에 있는 시청자의 상태를 검지하고,
    상기 시청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10. 컴퓨터를,
    방송국, 기간, 콘텐츠 및, 시청자의 속성 중의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접수하는 설정 접수 수단과,
    방송국 및 일시마다, 또는, 콘텐츠마다, 시청자의 속성과 관련지어 시청질값을 기억한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접수한 설정에 따른 시청질값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접수한 설정에 따라, 시청질값에 관한 정보를 출력시키는 출력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시청질 출력 프로그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상기 시청질값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시청질 출력 프로그램.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소정 방향으로 요일이 설정되고, 상기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시간 축이 설정되고, 각 요일 및 각 시간대에 대응하는 위치의 표시 태양이 시청질값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시청질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시청질 출력 프로그램.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접수 수단은, 집계 시간의 설정을 접수하고,
    상기 시간 축의 단위는, 상기 집계 시간에 대응하는, 시청질 출력 프로그램.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한 설정이 방송국의 선택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선택된 방송국의 각각에 대해 상기 시청질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시청질 출력 프로그램.
  15. 컴퓨터를,
    방송국 및 일시마다, 또는, 콘텐츠마다, 시청자의 시청질값을 기억한 기억 수단으로부터 시청질값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소정 방향으로 요일이 설정되고, 상기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시간 축이 설정되고, 각 요일 및 각 시간대에 대응하는 위치의 표시 태양이 시청질값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시청질 정보를 출력시키는 출력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시청질 출력 프로그램.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상기 시청질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시청질 출력 프로그램.
  17. 제12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각 요일 및 각 시간대에 대응하는 위치는, 상기 시청질값이 높을수록 색이 짙고, 혹은 시청질값에 관한 정보에 따른 색인, 시청질 출력 프로그램.
  18. 제12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각 요일 및 각 시간대에 대응하는 위치에, 시청질값에 관한 정보를 표시시키는, 시청질 출력 프로그램.
  19. 제12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전체 방송국의 각각에 대해 상기 시청질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시청질 출력 프로그램.
  20. 컴퓨터를,
    복수회 재생되는 콘텐츠의 각각에 대해, 시청자의 시청질값을 기억한 기억 수단으로부터 시청질값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복수회 재생되는 콘텐츠의 각각의 시청질값에 관한 정보의 변화를 그래프로 출력시키는 출력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시청질 출력 프로그램.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의 제1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상기 그래프의 제2축은, 상기 제1축이 나타내는 시간에 재생된 콘텐츠의 상기 시청질값에 관한 값을 나타내는, 시청질 출력 프로그램.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의 제1축은, 특정의 콘텐츠가 표시되었을 때의 시청률을 적산한 값이고,
    상기 그래프의 제2축은, 상기 제1축이 나타내는 값에 대한, 시청질값에 관한 값인, 시청질 출력 프로그램.
  23. 방송국, 기간, 콘텐츠 및, 시청자의 속성 중의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접수하는 설정 접수 수단과,
    방송국 및 일시마다, 또는, 콘텐츠마다, 시청자의 속성과 관련지어 시청질값을 기억한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접수한 설정에 따른 시청질값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접수한 설정에 따라, 시청질값에 관한 정보를 출력시키는 출력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시청질 출력장치.
  24. 방송국, 기간, 콘텐츠 및, 시청자의 속성 중의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접수하고,
    방송국 및 일시마다, 또는, 콘텐츠마다, 시청자의 속성과 관련지어 시청질값을 기억한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접수한 설정에 따른 시청질값을 취득하고,
    상기 접수한 설정에 따라, 시청질값에 관한 정보를 출력시키는, 시청질 출력 방법.
  25. 방송국 및 일시마다, 또는, 콘텐츠마다, 시청자의 시청질값을 기억한 기억 수단으로부터 시청질값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소정 방향으로 요일이 설정되고, 상기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시간 축이 설정되고, 각 요일 및 각 시간대에 대응하는 위치의 표시 태양이 시청질값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시청질 정보를 출력시키는 출력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시청질 출력장치.
  26. 방송국 및 일시마다, 또는, 콘텐츠마다, 시청자의 시청질값을 기억한 기억 수단으로부터 시청질값을 취득하고,
    소정 방향으로 요일이 설정되고, 상기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시간 축이 설정되고, 각 요일 및 각 시간대에 대응하는 위치의 표시 태양이 시청질값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시청질 정보를 출력시키는, 시청질 출력 방법.
  27. 복수회 재생되는 콘텐츠의 각각에 대해, 시청자의 시청질값을 기억한 기억 수단으로부터 시청질값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복수회 재생되는 콘텐츠의 각각의 시청질값에 관한 정보의 변화를 그래프로 출력시키는 출력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시청질 출력장치.
  28. 복수회 재생되는 콘텐츠의 각각에 대해, 시청자의 시청질값을 기억한 기억 수단으로부터 시청질값을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복수회 재생되는 콘텐츠의 각각의 시청질값에 관한 정보의 변화를 그래프로 출력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시청질 출력 방법.
KR1020237019298A 2020-12-08 2021-12-07 제어 프로그램,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및, 시청질 출력 프로그램, 시청질 출력장치 및 시청질 출력 방법 KR202301177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203142 2020-12-08
JP2020203142A JP2022090692A (ja) 2020-12-08 2020-12-08 制御プログラム、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ならびに、視聴質出力プログラム、視聴質出力装置および視聴質出力方法
PCT/JP2021/044843 WO2022124289A1 (ja) 2020-12-08 2021-12-07 制御プログラム、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ならびに、視聴質出力プログラム、視聴質出力装置および視聴質出力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7733A true KR20230117733A (ko) 2023-08-09

Family

ID=81974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9298A KR20230117733A (ko) 2020-12-08 2021-12-07 제어 프로그램,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및, 시청질 출력 프로그램, 시청질 출력장치 및 시청질 출력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2090692A (ko)
KR (1) KR20230117733A (ko)
CN (1) CN116601964A (ko)
WO (1) WO202212428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07533A (ja) 2016-01-06 2019-03-14 テレビジョン・インサイ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視聴者エンゲージメントを評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7216A (ja) * 2007-03-12 2008-10-23 Akira Tomono 公衆用情報提示装置
JP5674300B2 (ja) * 2009-09-30 2015-02-25 一般財団法人Nhkサービスセンター 情報伝達処理装置及び情報伝達処理システム並びにこれらに用いる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WO2013096314A1 (en) * 2011-12-19 2013-06-27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crediting a media presentation device
JP6028202B2 (ja) * 2013-02-28 2016-11-16 株式会社博報堂Dyホールディングス 視聴操作ログデータ生成装置
JP6176968B2 (ja) * 2013-03-29 2017-08-09 株式会社ビデオリサーチ 調査装置及びシステム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005083A (ja) * 2014-06-16 2016-01-1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端末装置
JP7135335B2 (ja) * 2018-02-23 2022-09-13 日本電気株式会社 視聴履歴記録システム、視聴履歴記録装置、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192991A (ja) * 2018-04-19 2019-10-31 日本放送協会 視聴距離誘導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0150349A (ja) * 2019-03-12 2020-09-17 シャープ株式会社 映像再生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07533A (ja) 2016-01-06 2019-03-14 テレビジョン・インサイ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視聴者エンゲージメントを評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24289A1 (ja) 2022-06-16
CN116601964A (zh) 2023-08-15
JP2022090692A (ja) 202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995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ing viewer engagement
US9215489B2 (en) Custom electronic program guides
US9003457B2 (en) Media engagement factors
KR102161687B1 (ko) 볼륨 변경 이벤트들의 관찰에 의한 제시된 미디어 아이템에서의 사용자 관심 검출
US934474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eventing users from terminating services
US936100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lecting modes based on the level of engagement of a user
US8510156B2 (en) Viewing terminal apparatus, viewing statistics-gathering apparatus, viewing statistics-processing system, and viewing statistics-processing method
US20090210902A1 (en) Targeted television content display
US201401819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parental controls based on user engagement with a media device
US20080109284A1 (en) Auction for targeted content
US8887186B2 (en) Analysis method and system for audience rating and advertisement effects based on viewing behavior recognition
WO2014186241A2 (en) Audience-aware advertising
EP3248381B1 (en) Home screen intelligent viewing
US20140331242A1 (en) Management of user media impressions
KR101875230B1 (ko) 시청 정보와 메타 데이터를 사용한 선호도 추론 장치 및 방법
JP2003179901A (ja) 番組配信システムおよび付加情報挿入方法
KR20090121016A (ko) 시청자 반응 측정 방법 및 시스템
JP6624837B2 (ja) 番組分析装置及び番組分析方法
KR20230117733A (ko) 제어 프로그램,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및, 시청질 출력 프로그램, 시청질 출력장치 및 시청질 출력 방법
JP6675736B2 (ja) 映像と音声を上映するための映像音声管理装置および上映システム
JP7042543B1 (ja) 制御プログラム、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ならびに、視聴質出力プログラム、視聴質出力装置および視聴質出力方法
JP2014060642A (ja)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JP2010206440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コマーシャル効果評価方法
US11949965B1 (en) Media system with presentation area data analysis and segment insertion feature
TWM460470U (zh) 影音訊號控制盒以及多媒體影音處理系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