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6548A - 물류 서버, 스마트 물류 시스템 및 복수의 카트들에 물품들의 수량을 관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물류 서버, 스마트 물류 시스템 및 복수의 카트들에 물품들의 수량을 관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6548A
KR20230116548A KR1020220013610A KR20220013610A KR20230116548A KR 20230116548 A KR20230116548 A KR 20230116548A KR 1020220013610 A KR1020220013610 A KR 1020220013610A KR 20220013610 A KR20220013610 A KR 20220013610A KR 20230116548 A KR20230116548 A KR 20230116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
magic
logistics
usage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아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220013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6548A/ko
Priority to PCT/KR2022/020121 priority patent/WO2023146125A1/ko
Publication of KR20230116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65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25J9/1682Dual arm manipulator; Coordination of several manip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06Q10/06375Prediction of business process outcome or impact based on a proposed 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1 이동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이동 제어 신호에 포함된 최초 위치값으로 이동하여 매직 카트와 페어링을 요청하고, 페어링된 매직 카트를 상기 제1 이동 제어 신호에 포함된 최종 위치값으로 이동시키는 이동형의 제1 물류 로봇, 상기 제1 물류 로봇과 통신하며 센서를 통해서 획득된 센서 정보를 상기 제1 물류 로봇에 전송하는 고정형의 제1 매직 카트, 및 하나 이상의 물류 로봇들에게 이동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물류 로봇이 매직 카트를 정해진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카트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물류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물류 서버, 스마트 물류 시스템 및 복수의 카트들에 물품들의 수량을 관리하는 방법{Logistics server, a smart logistics system, and a method for managing the quantity of items in a plurality of carts}
본 개시의 실시예는 물류 서버, 스마트 물류 시스템 및 복수의 카트들에 물품들의 수량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병원의 물류는 실시간 진료 지원의 니즈, 인력 자원의 제약, 공간 부족 등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효율성 중심의 변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진료의 전문화 및 세분화로 병원으로 공급되는 물품의 품목 및 수량이 급증하고 대형 병원의 환자수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한정된 병원 공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물류 시스템의 도입이 시급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물류 서버, 스마트 물류 시스템 및 복수의 카트들에 물품들의 수량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물류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매직 카트들에 남은 제1 물품의 수량을 기초로 생성된 제1 물품에 대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물류 서버가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사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물품의 평균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물류 서버가 상기 제1 물품의 평균 사용량을 기초로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표준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물류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물품의 실시간 사용량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물류 서버가 상기 실시간 사용량과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표준 사용량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물품의 필요 수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물품의 필요 수량이 기 설정된 최소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물품의 필요 수량을 보충하는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물품 보충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물품의 필요 수량이 최소값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실시간 사용량, 실시간 잔여량, 긴급 보충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여, 상기 제1 물품의 표준 사용량을 수정하고,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물품 보충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물품의 표준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사용 데이터에서, 상기 제1 물품의 평균 사용량과 사용량의 표준 편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품의 평균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물품의 평균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매직 카트들에서 획득되는 각각의 제1 물품에 대한 사용 데이터와 보관 중인 제1 물품에 대한 실제 수량 정보를 기초로 학습된 사용예측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물품의 평균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표준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환자 데이터에서, 상기 제1 물품의 사용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제1 환자를 추출하고, 상기 제1 환자의 수, 또는 상기 제1 환자에 의한 예상 소비량을 기초로 제1-1 표준 사용량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 사용량을 이용하여 산출된 제1-2 표준 사용량과 상기 제1-1 표준 사용량을 고려하여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표준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1 표준 사용량은, 복수의 환자 데이터들, 각각의 환자에 대해서 소모된 물품들의 소모 수량를 기초로 학습된 소모 예측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사용 데이터는, 별도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서 각각의 매직 카트에 포함되는 구비된 식별 정보를 인식하면서 입력된 사용량 정보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물품을 제2 물품으로 변경하여, 상기 제2 물품에 대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물품의 평균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2 물품에 대한 표준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2 물품에 대한 실시간 사용량을 수신하여, 상기 제2 물품의 실시간 사용량과 상기 제2 물품에 대한 표준 사용량을 이용하여 제2 물품 필요 시점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물품 필요 시점이 현재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제한 기간 이내인 경우에는, 상기 제2 물품에 대한 물품 보충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실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물류 서버가 제1 구역에 비치된 하나 이상의 물품에 대한 사용 데이터를 상기 제1 구역과 관련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물류 서버가 상기 사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구역의 하나 이상의 물품의 평균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물류 서버가 상기 사용 데이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물품의 평균 사용량을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물품에 대한 표준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물류 서버가 상기 제1 구역과 관련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실시간 사용량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구역의 실시간 사용량과 상기 하나 이상의 물품에 대한 표준 사용량을 이용하여 물품 보충이 필요한 카트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트들에 물품들의 수량을 관리하는 방법이 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물품별, 병동별 실제 사용량을 기반으로 요일별 표준 수량을 결정하고, 요일별 표준 수량이 실어진 매직 카트들을 각각의 병동 또는 구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병동 물품 보관장소에 그대로 배치되어 사용되고 새로운 물품이 필요하게 되면 다른 매직 카트로 자동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물류 시스템의 개괄적인 도면이다. 도 1b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매직 카트를 이용한 스마트 물류 시스템의 네트워크 환경 도면이다.
도 2는 스마트 물류 시스템에서의 각 구성요소들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매직 카트의 블록도이다.
도 3b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매직 카트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c는 매직 카트의 장애물 감지부, 도어 상태 감지부, 카메라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d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매직 카트의 세부 구성요소들에 대한 도면이다. 도 3e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매직 카트의 예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트 리더기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물류 로봇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트 관제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6b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물류 로봇에 의해 매직 카트를 이동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c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물류 로봇에게 미션 데이터들을 전송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d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트 이동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로봇 관제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8a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물류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8b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물품 단위로 물품 보충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c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트 단위로 물품 보충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d는 병동 별로 카트장 상황을 알려주는 화면의 예시 도면이다.
도 8e는 병동 내에서 물품 사용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f는 본 개시의 스마트 물류 시스템에 대한 예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학습”, “러닝” 등의 용어는 인간의 교육 활동과 같은 정신적 작용을 지칭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닌 절차에 따른 컴퓨팅(computing)을 통하여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수행함을 일컫는 용어로 해석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병원 물류는 산정 재료(처방성 진료재료, 처방성 약품-수액), 무산정 재료(비처방 진료재료, 비처방 약품류)로 구분될 수 있다. 무산정재료의 경우, 환자에게 무산정재료에 대한 비용을 청구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경험치에 의해 청구 및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산정 재료는 사용 후 환자에게 비용을 청구하기 때문에 산정 재료에 대한 사용 현황은 산출될 수 있다. 그러나, 산정 재료에 대한 처방이 누락되어 실제 사용량과 청구 내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산정 재료에 대한 비용 청구는 업무가 끝난 이후에 발생되지만, 산정 재료의 사용 행위는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현장에서는 실제 사용량에 대한 정확한 산출을 하지 않고 물품들을 많이 보유하려고 하여 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각각의 병동으로 배송되는 재료는 사람에 의해 정리되어 배송 후에도 각각의 보관 장소로 이동되어 정리되어야 한다. 현장 간호 인력은 물품의 정리로 인해 환자 케어에 집중할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관리자 역시 재고 관리, 유효기간 관리 등을 위한 시간 소모, 재고 관리 및 유효기간 관리 등에 많은 시간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현장 간호 인력 또는 관리자가 물품 관리를 하는데 시간을 소모하는 불편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물품별, 병동별 실제 사용량을 기반으로 요일별 표준 수량을 결정하고, 요일별 표준 수량이 실어진 매직 카트들을 각각의 병동 또는 구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매직 카트는 병동 물품 보관장소에 그대로 배치되어 사용되고 새로운 물품이 필요하게 되면 다른 매직 카트로 교체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물류 시스템의 개괄적인 도면이다.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원외 창고(A1)와 원내 창고(A2) 사이의 물류를 이송시킬 수 있다.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원외 창고(A1)에서는 매직 카트에 물품을 실어 준비하는 단계, 배송 차량에 ‘물품 준비중’의 매직 카트를 싣는 단계, 배송 차량으로 매직 카트를 이송시키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원내 창고(A2)에서는 이송이 완료된 매직 카트들을 병원에 입고 시키는 단계, 매직 카트들을 각각의 병동에 이송 시키는 단계, 매직 카트들의 정해진 목적지에 도착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매직 카트들, 매직 카트들을 이동시키는 물류 로봇, 매직 카트들을 관리하는 카트 관제 서버, 물류 로봇을 관리하는 로봇 관제 서버, 및 카트에서 관리하는 물품들의 사용량을 관리하는 물류 서버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물류 로봇을 이용한 매직 카트 이동 제어, 매직 카트의 이동 중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 동작, RFID 태그를 이용하여 각각의 매직 카트를 인식하고 재고 물량을 확인하는 실시간 재고 관리 기능, 부족한 수량에 대한 자동 발주 기능, 각각의 매직 카트 내의 물품 현황 정보(사용량, 재고 정보)를 관리하여 응급신청에 대해서 주변 매직 카트의 상황을 제공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자동 발주 기능은 물품 별로 부족한 수량에 대해서 파악하게 되면 부족한 수량을 자동적으로 발주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외부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발주처 서버는 각각의 물품 별로 다를 수 있다. 응급신청에 대해서 주변 매직 카트의 상황을 제공하는 기능은 보유하지 않은 물품에 대해서 사용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면, 사용자 단말기, 또는 매직 카트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응급신청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이송 중에 돌발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매직 카트를 이동시키는 물류 로봇들의 이동을 중단 시키고, 돌발 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매직 카트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돌발 상황에 대해서 판단하여 해당 매직 카트의 이송을 다시 시작하거나 다른 매직 카트를 대신하여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류 로봇의 배터리가 부족한 경우에는, 물류 로봇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물류 로봇을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물류 로봇이 장애물에 의해서 이동이 중지된 경우에는 장애물을 이동시키거나 제거하는 물류 로봇을 통해 장애물에 대한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b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매직 카트를 이용한 스마트 물류 시스템(1)의 네트워크 환경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마트 물류 시스템(1) 은 하나 이상의 매직 카트들을 물류 로봇에 장착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스마트 물류 시스템(1)은 비어 있는 매직 카트를 검색하여 비어 있는 매직 카트를 물품이 채워진 매직 카트로 교환하도록 물류 로봇을 제어할 수 있다. 물류 로봇은 매직 카트와 접촉하여 매직 카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매직 카트에 채워지는 물품들의 종류 및 수량은 과거의 사용 데이터, 현재의 사용 데이터, 또는 환자 현황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매직 카트는 정해진 구역에 위치하며 물품을 공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물류 시스템(1)은 병원의 치료 물품들을 공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카트 관제 서버(10)는 위치 기반으로 실시간 매직 카트를 모니터링하는 서버로, 복수의 매직 카트들의 상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카트 관제 서버(10)는 복수의 매직 카트들의 위치 정보, 상태 정보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이동중, 재고, 회수 예정 중 하나 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트 관제 서버(10)는 정해진 구역에 설치된 카트 리더기(700)로부터 촬영 영상을 수신하고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 구역에 위치한 매직 카트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카트 관제 서버(10)는 실시간 카트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돌발 상항이 발생시 매직 카트로부터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즉시 문제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카트 관제 서버(10)는 복수의 매직 카트들에 대한 이동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각각의 매직 카트로 전송할 수 있다. 카트 관제 서버(10)는 카트에 대한 이동 제어 신호는 매직 카트의 이동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매직 카트(20)는 기동성이 있는 AGV 자동화 가이드 기반의 스마트 재고관리 기능을 탑재한 진료지원카트를 의미한다. 매직 카트(20)는 이동을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직 카트(20)는 스스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매직 카트(20)는 물류 로봇(30)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움직이도록 구현될 수 있다.
매직 카트(20)는 주변의 상황을 감지는 하나 이상의 센싱 장치(문열림 센서, 근접 센서, 움직임 센서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매직 카트(20)는 센싱 장치를 통해 도어 상태, 장애물 발생 여부, 장애물까지의 거리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매직 카트(20)는 돌발 상황이 감지되면,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매직 카트(20)는 돌발 상황이 감지되면, 돌발 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카트 관제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매직 카트(20)는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통신 장치(40)로 거리, 도어, 센서 상태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매직 카트(20)는 통신 장치(40)를 거쳐 카트 관제 서버(10)로 거리, 도어, 센서 상태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장치(40)는 현장의 지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매직 카트(20)로부터의 데이터를 카트 관제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매직 카트(20)는 진료 재료, 수액 등을 사용 용도 및 사용 빈도에 따라서 구분하여 카트 관제 서버(10)의 제어에 의해 배치될 수 있다. 카트 관제 서버(10)는 물류 서버(6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매직 카트(20)의 배치를 처리할 수 있다. 용도별로는 투약에 주로 사용되는 물품의 매직 카트는 투약 준비실에 배치시키고, 그 외 드레싱(dressing) 관련 진료 재료 매직 카트는 물품 보관실에 배치시키도록 할 수 있다. 즉, 각각의 매직 카트는 용도 별로 목적지가 다르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 빈도 별로 각각의 매직 카트는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매직 카트(20)의 재질은 보관되는 물품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는데, 밀폐/청정/오염 관리가 가능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매직 카트(20)은 주 사용자의 업무 작업 범위와 공간을 고려하여 사이즈를 산정할 수 있다. 매직 카트(20)는 이동/회전이 가능하도록 바퀴 및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매직 카트(20)는 내부 물품이 보이도록 전면에 투명창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직 카트(20)의 도어는 열고 닫는 것이 가능한 셔터형 또는 양문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매직 카트(20) 내부는 하나 이상의 선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선반은 각각 바구니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선반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레일 형으로 매직 카트 내부에 부착될 수 있다. 매직 카트(20)가 돌발상황을 감지하게 되면, 감지된 돌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카트 관제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류 로봇(30)은 로봇 관제 서버(50)로부터의 이동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페어링된 매직 카트(20)를 이동 제어 신호에 포함된 최종 목적지(위치값)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형의 로봇을 말한다. 물류 로봇(30)에 대한 이동 제어 신호는 물류 서버(6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물류 로봇(30)은 매직 카트(2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안테나와 매직 카트와 물리적으로 고정되는 도킹 지그를 포함할 수 있다. 물류 로봇(30)은 대기 공간에서 병동으로 이동하는 공급 오더의 이동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류 로봇(30)은 병동에서 대기 공간으로 이동하는 반납 오더의 이동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장치(40)는 매직 카트들과 통신하여 수신한 거리 정보, 도어 정보, 센서 상태 정보 등의 데이터를 카트 관제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장치(40)는 매직 카트와의 통신 수단 및/또는 카트 관제 서버(10)와의 통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로봇 관제 서버(50)는 복수의 물류 로봇들에 대한 이동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공급 오더 및/또는 반납 오더의 이동 제어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로봇 관제 서버(50)는 복수의 물류 로봇들에 대한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데이터는 물류 로봇의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로서, 물류 로봇의 위치 정보, 물류 로봇의 각 구간별 도착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로봇 관제 서버(50)는 구간 별로 위치한 통신 장치(40)를 통해서 물류 로봇의 각 구간 별 도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로봇 관제 서버(50)는 물류 로봇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로봇 관제 서버(50)는 각각의 물류 로봇의 상태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각의 물류 로봇으로 이동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물류 서버(60)는 각 병원에서 사용되는 물류에 대한 실시간 재고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물류 서버(60)는 매직 카트 별로 사용된 물류를 파악하여 부족한 물품 및 물품의 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 물품을 사용 전에, 물품을 스캔하는 과정을 통해 사용되는 물품 및 물품의 수량이 입력될 수 있다. 물품을 스캔하는 것은, 사용자가 구비한 소정의 전자 장치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류 서버(60)는 부족한 물품 및 물품의 수량이 새로 발주가 필요한 물품인 경우, 해당 물품에 대한 발주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물류 서버(60)와 통신하는 단말기 또는 리더기는 매직 카트(20)의 식별 태그를 인식하여 매직 카트(20)를 식별하고, 해당 매직 카트(20)에서 사용되는 물품 및 물품의 사용 수량을 입력할 수 있다.
물류 서버(60)는 물품 별 사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물품 별 표준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물류 서버(60)는 병원 내의 하나 이상의 병동, 카트, 구역 별로 공급되어야 하는 표준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물류 서버(60)는 산출된 물량을 공급하는 수단(매직 카트) 별로 물량에 대한 할당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물류 서버(60)는 매직 카트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각각의 매직 카트를 이동시키는 물류 로봇으로 물량을 공급하기 위한 이동 보충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물류 서버(60)는 물량 공급의 완료를 확인하기 위해서 물량을 공급하고 있는 매직 카트의 이송 상태 값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물류 서버(60)는 매직 카트(20)가 병원에 입고되면, 매직 카트(20)의 태그를 이용해 매직 카트를 인식하고 매직 카트(20)의 이송 상태 값을 ‘병원 입고’로 변경할 수 있다. 물류 서버(60)는 매직 카트(20)를 병동으로 이송하여 병동에 도착하면 매직 카트(20)의 태그를 통해 매직 카트를 인식하고 매직 카트(20)의 이송 상태 값을 ‘병동 도착’으로 변경할 수 있다. 매직 카트(20)의 태그는 카트 리더기, 사용자 단말기 등을 통해 인식될 수 있다.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물류를 공급하고 있는 복수의 매직 카트(20)들의 이송 상태 값들을 카트 관제 서버(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직 카트들에 대한 정보는 사용중인 매직 카트의 수, 이송중인 매직 카트의 수, 물류 로봇에 의해 이동 중인 매직 카트의 수, 교체가 필요한 매직 카트의 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매직 카트들의 이송 상태값을 기초로 물류의 공급처에서 물류가 공급되어야 하는 병원까지의 물량 공급에 대한 단계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물류가 매직 카트를 통해서 운반되는 경우에는,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병원 밖에서의 매직 카트들의 이송 상태 값들을 관리하고 병원 내의 매직 카트들의 이송 상태 값들을 관리할 수 있다.
물류 서버(60)는 병원의 병동 별, 구역 별로 사용하는 물품들의 사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준 사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물품들의 사용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매직 카트의 리더기를 통해서 획득될 수 있다. 물류 서버(60)는 표준 사용량에 대해서 단위 기간, 예를 들어 1일, 1주일 마다 공급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1일 단위로 결정된 표준 사용량은 1일 단위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해당 물품이 채워진 매직 카트가 해당 구역에 물류 로봇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a 및 도 1b에는 하나의 매직 카트 및/또는 물류 로봇이 개시되어 있으나, 스마트 물류 시스템(1)은 복수의 매직 카트들, 및/또는 물류 로봇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스마트 물류 시스템(1)에서의 각 구성요소들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매직 카트(20)는 장애물 감지부를 포함하여 인접한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매직 카트(20)는 도어 상태 감지부를 포함하여 도어의 개폐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매직 카트(20)는 카메라부를 포함하여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매직 카트(20)는 장애물 감지부, 도어 상태 감지부로부터 획득된 장애물 정보, 도어의 개폐 상태 등의 데이터를 물류 로봇(30) 또는 통신 장치(40)로 전송할 수 있다(S10, S12). 장애물 정보는 장애물의 유무, 장애물까지의 거리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의 개폐 상태는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중 하나일 수 있다.
통신 장치(40)는 매직 카트(20)로부터 수신한 장애물 정보, 도어의 개폐 상태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다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카트 관제 서버(10)는 통신 장치(40)로 매직 카트(20)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 할 수 있고,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통신 장치(40)로부터 매직 카트(20)에 대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정보 구독, S20).
매직 카트(20)는 카메라부로부터 촬영 영상 데이터를 카트 관제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S40). 카트 관제 서버(10)는 촬영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스마트 물류 시스템(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카트 관제 서버(10)는 촬영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영상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카트 관제 서버(10)는 촬영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요청에 의해 영상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로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 물류 시스템(1)을 통하여 촬영 영상 데이터 및 분석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오류 확인 및 새로운 카트 제어 신호를 입력하거나, 복수의 매직 카트의 경로를 다시 입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카트 관제 서버(10)는 로봇 관제 서버(50)의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로봇 관제 서버(50)로 매직 카트에 대한 정보, 즉 장애물 정보, 도어의 개폐 정보, 촬영 영상 데이터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카트 관제 서버(10)는 물류 서버(60)의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물류 서버(60)로 물류 이송의 매직 카트 정보, 즉 장애물 정보, 도어의 개폐 정보, 촬영 영상 데이터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도 3a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매직 카트(20)의 블록도이다.
매직 카트(20)는 제어부(210), 구동부(220), 장애물 감지부(231), 도어 상태 감지부(232), 카메라부(233), 충전 배터리(240), 상태알림등(250), 로봇통신부(260), 및 관제통신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통상적으로 매직 카트(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10)는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매직 카트(20)가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장애물 감지부(231)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분석하여 위험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물류 로봇에게 위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CPU, 램(RAM), 롬(ROM), 시스템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롬은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가 저장되는 구성이고, CPU는 롬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매직 카트(20)의 저장된 운영체제를 램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시스템의 부팅이 완료되면, CPU는 저장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램에 복사하고,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매직 카트(20)가 하나의 CPU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 시에는 복수의 CPU(또는 DSP, So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21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장애물 감지부(231)는 주변 장애물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장애물 감지부(231)는 장애물의 발생 여부, 장애물 까지의 거리 값 등의 움직임 정보를 구동부(220)로 전송할 수 있다. 장애물 감지부(231)는 초음파 센서, 근접 센서, 움직임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로 구현된 장애물 감지부(231)는 높은 주파수의 소리를 이용하여 공기, 액체, 고체에 사용할 수 있으며, 장애물의 유무, 장애물까지의 거리 등을 센싱할 수 있다.
도어 상태 감지부(232)는 매직 카트의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어 상태 감지부(232)는 매직 카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스3마트 카트장의 도어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어 상태 감지부(232)는 도어의 개폐 여부, 오픈 도어에 대한 정보 등을 구동부(2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어 상태 감지부(232)는 마그네틱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부(233)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부(233)는 촬영 영상을 저장 매체, 또는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 카메라부(233)는 촬영 영상을 구동부(220)로 전송할 수 있다.
충전 배터리(240)는 매직 카트(2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매직 카트(2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충전 배터리(240)는 매직 카트의 여유 시간에 충전되어 이용될 수 있다.
상태알림등(250)은 구동부(22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다. 상태알림등(250)은 장애물의 감지 여부, 도어의 개폐 여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장애물이 있는지 여부, 물류 로봇과의 접촉 여부, 목적지까지의 이동 완료 여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구동부(220)는 장애물의 감지 여부, 도어의 개폐 여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장애물이 있는지 여부, 물류 로봇과의 접촉 여부, 목적지까지의 이동 완료 여부 등을 결정하여 상태알림등(25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로봇통신부(260)는 물류 로봇(30)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다. 로봇통신부(260)는 물류 로봇(30)와 와이파이, RF(radio frequenc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블루투스, 비콘 등의 근거리 통신 방법으로 통신할 수 있다. 로봇통신부(260)는 하나 이상의 물류 로봇(30)과 통신하여 물류 로봇(30)으로 장애물에 대한 정보, 도어 개폐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로봇통신부(260)는 구동부(22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물류 로봇(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관제통신부(270)는 카트 관제 서버(10)와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다. 관제통신부(270)는 이동통신, 무선통신, 장거리 통신 등의 방법으로 카트 관제 서버(10)와 통신할 수 있다. 관제통신부(270)는 카트 관제 서버(10)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촬영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관제통신부(270)는 촬영된 영상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카트 관제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b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매직 카트(20)의 배치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매직 카트(20)는 마그네틱 센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매직 카트는 와이파이 안테나, 초음파 센서, 카메라, 배터리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안테나는 물류 로봇(30)과 통신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카메라는 주변을 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다. 배터리는 와이파이 안테나, 초음파 센서, 카메라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c는 매직 카트의 장애물 감지부(231), 도어 상태 감지부(232), 카메라부(233)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장애물 감지부(231), 도어 상태 감지부(232), 카메라부(233)를 포함하는 매직 카트(20)는 물류 로봇(30)와 IR(infrared ray) 방법으로 통신할 수 있다. 매직 카트(20)는 장애물 감지부(231) 및/또는 도어 상태 감지부(232)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물류 로봇(30)으로 IR 방법으로 통신할 수 있다. 매직 카트(20)는 카트 관제 서버(10) 및/또는 물류 서버(60)와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의 방법으로 통신할 수 있다. 매직 카트(20)는 장애물 감지부(231) 및/또는 도어 상태 감지부(232)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카트 관제 서버(10) 또는 물류 서버(60)로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의 방법으로 통신할 수 있다.
매직 카트(20)는 카트 관제 서버(10)와 RTP/RTSP(Real-time transport protocol/Real-time streaming protocol)의 방법으로 통신할 수 있다. 매직 카트(20)는 카메라부(233)에서 촬영 영상을 카트 관제 서버(10)로 RTP/RTSP의 방법으로 통신할 수 있다.
도 3d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매직 카트의 세부 구성요소들의 배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대한 도면이다.
매직 카트(20)은 전원 LED(21-1), 초음파 센서(21-2), 카메라 센서(21-3), 카트장 번호(21-4), RFID 태그(21-5), 와이파이 안테나(21-6), 전원 버튼(21-7), 배터리 잔량 표시등(21-8), 전원 어댑터(21-9), 단자(2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LED(21-1)는 매직 카트의 동작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21-2)는 센싱 값을 이용하여 감지된 장애물까지의 거리 정보를 측정하도록 한다. 카메라 센서(21-3)는 카트 주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트장 번호(21-4)는 해당 카트를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RFID 태그(21-5)는 매직 카트의 식별 정보를 탑재한 태그로서, 바코드 또는 RFID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e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매직 카트의 예시 도면이다.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직 카트(20)는 양문형, 또는 셔터형의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양문형의 경우에는, 전면은 투명창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매직 카트는 카메라, 바퀴, 및/또는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전방 또는 후방 등의 주변을 촬영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바퀴는 매직 카트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매직 카트의 태그는 각각의 매직 카트를 식별하도록 한다. 매직 카트의 일부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매직 카트의 식별 정보, 매직 카트의 이동 경로, 물품 정보, 주변 카트의 물품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물품에 대한 사용 정보를 입력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트 리더기(700)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카트 리더기(700)는 제어부(710), 전원부(720), 카메라부(730), 상태알림등(740), 관제통신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 리더기(700)는 특정 위치의 벽면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카트 리더기(700)는 카트가 있어야 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해당 위치에 배치된 카트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카트 관리자는 카트 리더기(700)로 매직 카트들의 태그(20 tag)를 인식하여 해당 매직 카트가 이송 완료됨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통상적으로 카트 리더기(7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710)는 카메라부(730)를 통해서 획득된 태그(20 tag)로부터 매직 카트를 식별할 수 있다. 카메라부(730)가 매직 카트의 태그를 인식하게 되면, 해당 매직 카트가 해당 구역에 주차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카메라부(730)는 매직 카트의 주차가 감지되면, 정해진 영역을 촬영하게 된다. 제어부(710)는 촬영 영상을 카트 관제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카트 관제 서버(10)는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 구역에 위치한 매직 카트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10)는 CPU, 램(RAM), 롬(ROM), 시스템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롬은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가 저장되는 구성이고, CPU는 롬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카트 리더기(700)의 저장된 운영체제를 램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시스템의 부팅이 완료되면, CPU는 저장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램에 복사하고,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카트 리더기(700)가 하나의 CPU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 시에는 복수의 CPU(또는 DSP, So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71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71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1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부(720)는 카트 리더기(700)의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태알림등(740)은 매직 카트의 주차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물품준비중’, ‘상차완료’, ‘운송중’, ‘병원입고’, ‘이송중’, ‘병동 도착’ 중 하나 일 수 있다. 상태알림등(740)은 매직 카트에 대한 상태 값에 대응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관제통신부(750)는 인식된 매직 카트(20)에 대한 데이터를 카트 관제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물류 로봇의 사시도이다.
물류 로봇(30)은 매직 카트의 밑에 들어가서 매직 카트와 연결, 접촉, 또는 합체될 수 있다. 물류 로봇(30)의 센서(31)는 매직 카트(20)를 인식할 수 있다. 물류 로봇의 도킹 지그(33)는 매직 카트와 연결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센서(31)는 물류 로봇(30)의 상단에 위치하여 물류 로봇에 인접한 매직 카트(20)를 센싱할 수 있다. 도킹 지그(32)는 매직 카트와 연결되는 도킹 지그를 말할 수 있다.
도 6a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트 관제 서버(10)의 블록도이다.
카트 관제 서버(10)는 복수의 매직 카트들의 상태 값, 위치 값, 복수의 물류 로봇들의 상태 값, 위치 값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카트 관제 서버(10)는 매직 카트들의 상태 값, 위치 값을 관리하여 물류 로봇이 각 매직 카트로 이동하여 각 매직 카트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카트 관제 서버(10)는 매직 카트들이 이동되는 동안의 상태 정보 등을 매직 카트들과 통신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카트 관제 서버(1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하나 이상의 물류 로봇들에게 이동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물류 로봇이 매직 카트를 정해진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매직 카트의 도어가 개폐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도어 개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매직 카트들의 위치 및 이동 정보 등을 수신하여 관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관리하는 병동들 각각에 위치하는 매직 카트들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매직 카트의 위치 정보들, 상태 값들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이송이 완료된 매직 카트의 수, 아직 완료되지 않은 매직 카트의 수 등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관리자에 의해 정해진 시간 동안 이송이 필요한 매직 카트들이 각각의 목적지에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정해진 시간은 해당 병원의 영업이 완료된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밤 12시부터 새벽 5시까지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병원의 공급 니즈 및 운영 상황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정해진 시간은, 병원 내 유동 인구가 적은 야간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관리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제1 매직 카트의 위치 정보, 제2 매직 카트의 상태 값, 비어 있는 매직 카트의 수, 이송이 완료된 매직 카트의 수, 스케쥴링 되었던 미션 데이터들의 수행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관리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매직 카트를 스캔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매직 카트에 대한 상태 값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카메라, 프로세서, 통신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말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카메라에 의해 매직 카트의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카트 관제 서버(1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카트 관제 서버(10)의 메모리(1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카트 관제 서버(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CPU, 램(RAM), 롬(ROM), 시스템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롬은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가 저장되는 구성이고, CPU는 롬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카트 관제 서버(10)의 저장된 운영체제를 램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시스템의 부팅이 완료되면, CPU는 저장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램에 복사하고,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카트 관제 서버(10)가 하나의 CPU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 시에는 복수의 CPU(또는 DSP, So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카트 관제 서버(10)는 프로세서(11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카트 관제 서버(1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카트 관제 서버(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카트 관제 서버(1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카트 관제 서버(1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카트 관제 서버(1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서버, 다른 전자장치 등의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통신부(13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의 근거리 통신부, 이동통신 망, 또는 유선 이더넷 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b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물류 로봇에 의해 매직 카트를 이동시키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c 및 도 6b를 참조하면, S110에서는 제1 매직 카트가 근접한 물류 로봇을 감지하고 물류 로봇의 연결부와 고정되어 물류 로봇의 전원을 이용하여 물류 로봇의 제어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동 제어 신호에 포함된 위치로 이동한 물류 로봇은 물류 로봇의 센서부를 이용하여 미션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동 제어 신호에 포함된 매직 카트를 인지할 수 있다. 물류 로봇의 도킹 지그는 매직 카트를 고정시킬 수 있다.
S120에서는 제1 매직 카트의 장애물 감지부는 센싱 정보를 획득하여 센싱 정보를 기초로 이동 방향의 장애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130에서는 제1 매직 카트가 장애물 정보에 기초하여 물류 로봇에게 이동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매직 카트는 장애물의 유무 또는 장애물 까지의 거리 값을 기초로 물류 로봇에게 정지 신호 또는 방향 변경 신호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매직 카트가 도어 상태 정보를 물류 로봇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1 매직 카트가 문이 열렸다는 정보를 물류 로봇에게 전송하게 되면, 물류 로봇은 이동을 중지하고 위험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도 6c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물류 로봇에게 미션 데이터들을 전송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S210에서는 로봇 관제 서버(50)가 물류 로봇에 제1 미션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동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미션 데이터는 수행되어야 하는 물류 이송과 관련된 데이터를 말하며, 수행되어야 하는 물품의 이송 일자, 이송 수량, 출발지, 목적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물류 이송과 관련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220에서는 카트 관제 서버(10)가 물류 로봇으로부터 제1 미션 데이터에 대한 완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230에서는 카트 관제 서버(10)가 제1 미션 데이터에 대한 상태 값을 ‘완료’로 셋팅할 수 있다.
S240에서는 카트 관제 서버(10)가 물류 로봇에 적합한 제2 미션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2 미션 데이터를 물류 로봇에 전송할 수 있다. 카트 관제 서버는 물류 로봇으로부터 제2 미션 데이터에 대한 승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250에서는 제2 미션 데이터를 수신한 물류 로봇이 제2 미션 데이터에 대응하는 매직 카트로 이동하면서 자신의 이동 데이터를 카트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카트 관제 서버는 물류 로봇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미션 데이터를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카트 관제 서버는 미리 물류 로봇 별로 미션 데이터들을 할당할 수도 있다. 카트 관제 서버는 물류 로봇에 대해서 할당된 미션 데이터들을 물류 서버로 요청하여 획득할 수 있다. 카트 관제 서버는 물류 로봇에게 미션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동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d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트 이동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S310에서는 물류 로봇(30)은 제2 미션 데이터에 대응하는 매직 카트와 근접하게 된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S320에서는 물류 로봇(30)은 카트 관제 서버와의 통신 연결을 정지시켜 이동 데이터의 송수신을 중지할 수 있다.
S330에서는 제2 미션 데이터에 대응하는 매직 카트가 카트 관제 서버로 카트 이동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로봇 관제 서버(50)의 블록도이다.
로봇 관제 서버(50)는 프로세서(510), 메모리(520), 통신부(530), 입출력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510)는 메모리(5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하나 이상의 물류 로봇들에게 이동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물류 로봇(30)이 매직 카트(20)을 정해진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복수의 물류 로봇들 각각에 대해서 미션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동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미션 데이터는 수행되어야 하는 물류 이송과 관련된 데이터를 말하며, 이동되어야 하는 물류 단위의 업무 관련 데이터를 말한다. 프로세서(510)는 미션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동 제어 신호를 처리한 물류 로봇으로부터 이동 제어 신호에 대한 완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미션 데이터에 대한 상태 값을 ‘완료’로 셋팅하고 물류 로봇에 적합한 미션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물류 로봇에 적합한 미션 데이터는 물류 로봇의 위치 및 현재 시간 등을 고려하여 수행되어야 하는 물류 이송 업무로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물류 로봇의 현재 위치와 인접한 매직 카트를 이동시키는 미션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510)는 물류 로봇에 대한 미션 데이터들을 물류 서버(60)로 요청하여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현재 시간과 잔여 작업 시간을 기준으로 예상 이동 시간이 잔여 작업 시간 이내인 매직 카트에 대한 미션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검색한 미션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동 제어 신호를 물류 로봇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동 제어 신호에 포함된 특정 위치로 이동하는 물류 로봇(30)은 이동하면서 자신의 이동 데이터를 카트 관제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류 로봇(30)은 카메라를 구비하여 촬영 영상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이동 데이터는 촬영 영상 데이터 또는 구간 별 도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관리자의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물류 로봇의 위치 정보, 제2 물류 로봇의 배터리 정보, 스케쥴링 되었던 미션 데이터들의 수행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관리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로봇 관제 서버(5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510)는 로봇 관제 서버(50)의 메모리(5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로봇 관제 서버(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10)는 CPU, 램(RAM), 롬(ROM), 시스템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롬은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가 저장되는 구성이고, CPU는 롬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로봇 관제 서버(50)의 저장된 운영체제를 램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시스템의 부팅이 완료되면, CPU는 저장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램에 복사하고,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로봇 관제 서버(50)가 하나의 CPU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 시에는 복수의 CPU(또는 DSP, So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51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1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로봇 관제 서버(50)는 프로세서(51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20)는 로봇 관제 서버(5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로봇 관제 서버(5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로봇 관제 서버(5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로봇 관제 서버(5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프로세서(510)에 의하여 로봇 관제 서버(5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통신부(530)는 서버, 다른 전자장치 등의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통신부(53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의 근거리 통신부, 이동통신 망, 또는 유선 이더넷 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a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물류 서버(60)의 블록도이다.
물류 서버(60)는 프로세서(610), 메모리(620), 통신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610)는 병원에 비치된 카트들을 통해 사용되는 물류에 대한 사용 데이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사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병원에서 사용되는 물품들에 대한 표준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610)는 병원 내의 하나 이상의 병동, 카트, 구역 별, 물품 별로 공급되어야 하는 표준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표준 사용량은 정해진 기간 단위, 예를 들어, 1일, 1주일, 2주일 단위로 산출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제1 물품에 대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는 카트에 포함된 단말기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력 수단과 출력 수단을 포함하고 물류 서버(60)와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를 말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제1 물품에 대한 사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물품의 평균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사용 데이터 및 평균 사용량을 이용하여 제1 물품에 대한 표준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표준 사용량은 평균 사용량과 사용 데이터에서 획득된 사용 패턴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 패턴은, 표준 편차 값을 기초로 산출된 값일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실시간 사용량을 수신하고 실시간 사용량 및 표준 사용량을 비교하여 보충이 필요한 제1 물품에 대한 물품 보충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물품 보충 신호는 보충이 필요한 카트, 물품에 대한 정보(수량, 필요 시점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매직 카트들에서 획득되는 각각의 제1 물품에 대한 사용 데이터와 보관 중인 제1 물품에 대한 실시간 사용량을 기초로 학습된 사용예측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물품의 표준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 데이터는 별도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서 각각의 매직 카트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매직 카트에 구비된 식별 정보(태그 등)를 인식하면서 입력된 사용량 정보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표준 사용량을 산출함에 있어서, 입원, 재원, 수술 중의 환자수에 대한 환자 데이터를 더 이용할 수 있다. 물품 중에서, 환자수와 관련되는 물품의 표준 사용량은 사용 데이터, 환자수에 따른 사용 데이터, 환자수에 대한 평균 사용량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환자수와 관련되는 물품으로는, 무산정 재료인 비처방 진료재료, 비처방 약품류, 린넨류 등이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환자 데이터에서, 물품의 사용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제1 환자를 추출하고 제1 환자의 수, 제1 환자에 의한 예상 소비량을 기초로 제1-1 표준 사용량을 산출하고, 평균 사용량에 기초하여 산출된 제1-2 표준 사용량을 산출하며, 제1-1 표준 사용량과 제1-2 표준 사용량을 기초로 물품에 대한 표준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제1-1 표준 사용량은 복수의 환자 데이터들, 각각의 환자에 대해서 소모된 물품들의 소모 수량을 기초로 학습된 소모 예측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물품에 대한 물품 보충 신호에 대응하여 물품에 대한 자동 발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자동 발주 신호를 특정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연계되어 있는 물품 발주 시스템 및/또는 스마트 물류 시스템(1)으로 구매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는 외부의 물류 공급 업체의 서버로 직접 구매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물류의 공급처에서 물류의 목적지인 병원으로 매직 카트가 입고되면, 매직 카트를 스캔하여 매직 카트 및 이에 포함된 특정 물류의 상태 값을 ‘병원 입고’로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매직 카트가 병동에 도착하면 매직 카트를 스캔하여 매직 카트 및 이에 포함된 특정 물류의 이송 상태 값을 ‘병동도착’으로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매직 카트의 식별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매직 카트의 상태값을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병원의 병동 별, 구역 별로 사용하는 물품들의 사용 데이터를 통해서 표준 사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표준 사용량은 병동 별, 각각의 물품 별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제1 병동에 대한 제1 물품의 표준 사용량은 제1 병동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매직 카트들에 대해서 분배되어 관리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표준 사용량에 대해서 단위 기간, 예를 들어 1일, 1주일 마다 공급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물류 공급에 활용되는 매직 카트들에 대하여 매직 카트에 수납된 물류의 종류 및 공급되어야 하는 병동에 따라 스케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610)는 매직 카트들을 그룹화 하여 서로 교차되는 기간에 이동시키도록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동에 배치되는 매직 카트들을 2 그룹으로 분류하여, 제1 그룹은 제1 일에 관리하고, 제2 그룹은 제2 일에 관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표준 사용량과 실시간 사용량을 고려하여, 다음 단위 기간 이내에 물품이 소진될 수 있는 매직 카트가 채워진 매직 카트로 교체될 수 있도록 하는 물품 보충 신호를 생성하여 카트 관제 서버(10)로 요청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610)는 물품 소진이 예상되는 매직 카트의 주변에 위치한 다른 매직 카트의 현황 정보 등을 이용하여, 물품 소진이 예상되는 매직 카트로 소진이 예상되는 물품에 대한 주변 공급 정보를 카트 관제 서버(10)로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일정 기간 동안의 카트 별, 물품 별 실제 사용량에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된 표준 사용량을 검증할 수 있다. 실제 사용량은 (표준 수량 ? 남은 수량 + 응급신청 수량)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응급신청 수량은, 해당 매직 카트에 없어 다른 매직 카트로부터 공급된 물품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된 사용 정보를 통해 응급신청 수량이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요일 별 평균 사용량 및 평균의 표준 편차를 물품 별, 카트 별로 산출하여, 평균 사용량 및 표준 편차를 이용하여 표준 사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사용량과 패턴에 따라 매일, 매주, 격주 공급이 필요한 물품 별로 수량을 자동으로 산출하고, 산출한 수량 만큼에 대해서 자동 발주 신호를 생성한다. 프로세서(610)는 연계되어 있는 물품 발주 시스템 및/또는 스마트 물류 시스템(1)으로 구매 데이터를 송신한다.
프로세서(610)는 물품에 대한 잔량이 많거나 부족한 이벤트가 소정의 횟수 이상으로 발생하게 되면 물품에 대한 표준 사용량을 다시 산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610)는 표준 사용량과 실제 사용량 사이를 비교하는 차이값을 기초로 물품에 대한 표준 사용량의 재 산정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물류 서버(6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610)는 물류 서버(60)의 메모리(6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물류 서버(6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610)는 CPU, 램(RAM), 롬(ROM), 시스템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롬은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가 저장되는 구성이고, CPU는 롬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물류 서버(60)의 저장된 운영체제를 램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시스템의 부팅이 완료되면, CPU는 저장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램에 복사하고,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물류 서버(60)가 하나의 CPU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 시에는 복수의 CPU(또는 DSP, So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61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61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물류 서버(60)는 프로세서(61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20)는 물류 서버(6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물류 서버(6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물류 서버(6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물류 서버(6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프로세서(610)에 의하여 믈류 서버(6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통신부(630)는 서버, 다른 전자장치 등의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통신부(63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의 근거리 통신부, 이동통신 망, 또는 유선 이더넷 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b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물품 단위로 물품 보충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S510에서는 물류 서버(60)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매직 카트들에 남은 제1 물품의 수량을 기초로 생성된 제1 물품에 대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 데이터는 사용되는 물품의 정보, 사용 수량, 사용 용도, 사용 시간 정보, 사용되는 카트 정보, 사용하는 의료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 데이터는 요일 별로 분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520에서는 물류 서버(60)가 제1 물품에 대한 사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물품의 평균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물류 서버(60)가 물품에 대한 사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해진 기간 동안의 물품의 실제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실제 사용량은, 공급된 수량 ? 잔여 수량 + 차용량 + 응급신청 수량일 수 있다.
S530에서는 물류 서버(60)가 제1 물품에 대한 사용 데이터 및 제1 물품의 평균 사용량을 이용하여 제1 물품의 표준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물류 서버(60)가 실제 사용량의 평균 사용량과, 사용 데이터를 통한 사용량의 표준 편차를 이용하여 표준 사용량을 물품별, 요일별로 산출할 수 있다.
S540에서는 물류 서버(60)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물품의 실시간 사용량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간 사용량은 소정의 주기, 예를 들어, 1시간, 1일, 1주일 단위로 획득될 수 있다.
S550에서는 물류 서버(60)가 제1 물품의 실시간 사용량과 제1 물품에 대한 표준 사용량을 이용하여 제1 물품의 필요 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 물류 서버(60)가 제1 물품의 실시간 사용량으로 인해 남은 수량이 미래의 표준 사용량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제1 물품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물류 서버(60)가 일자 별로 결정된 표준 사용량에 따라 물품 소진시키는 것을 카운팅하여 물품이 필요한 필요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S560에서는 물류 서버(60)가 제1 물품의 필요 수량이 정해진 최소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570에서는 물류 서버(60)가 제1 물품의 필요 수량이 최소값 미만인 경우, 제1 물품에 대한 물품 보충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물류 서버(60)가 물품 보충 신호에 대응하여 제1 물품에 대한 추가 발주가 필요한 경우에는, 자동 발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물류 서버(60)는 자동 발주 신호를 구매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처리할 수 있다.
물류 서버(60)가 제1 물품의 필요 수량이 최소값 이상인 경우, 표준 사용량을 다시 산출하기 위해 표준 사용량 산출 단계(S530)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실시간 사용량을 기초로 평균 사용량을 다시 산출할 수 있다.
도 8c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트 단위로 물품 보충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S610에서는 물류 서버(60)가 제1 구역에 비치된 하나 이상의 물품에 대한 사용 데이터를 제1 구역과 관련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S620에서는 물류 서버(60)가 사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구역의 하나 이상의 물품의 평균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S630에서는 물류 서버(60)가 사용 데이터 및 평균 사용량을 이용하여 제1 구역에서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물품에 대한 표준 사용량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표준 사용량은, 사용되는 물품별, 카트별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에 제1 내지 제3 물품들이 구비되어 사용되는 경우, 제1 내지 제3 물품의 표준 사용량들이 산출될 수 있다.
S640에서는 물류 서버(60)가 제1 구역과 관련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실시간 사용량을 수신할 수 있다. 물류 서버(60)는 실시간 사용량을 물품 별, 카트 별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S650에서는 물류 서버(60)가 실시간 사용량과 표준 사용량을 이용하여 물품 보충이 필요한 매직 카트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S660에서는 물류 서버(60)가 물품 보충이 필요한 매직 카트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 보충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물류 서버(60)는 원외의 물류를 통해서 보충이 필요한 물품에 대한 발주 신호를 생성하여 연계되어 있는 물품 발주 시스템 및/또는 스마트 물류 시스템으로 구매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는 물류 업체, 공급 업체 등의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물류 서버(60)는 원내의 물품으로 물품 보충이 가능한 경우에는, 물품 보충 신호에 대응하여 새로운 카트와 해당 카트를 교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d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공되는 매직 카트의 현황 정보를 나타내는 스마트 물류 시스템의 예시 도면이다.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물류 시스템(1)이 제공하는 카트 현황 화면은 카트 관제 서버(10), 로봇 관제 서버(50) 및 물류 서버(6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스마트 물류 시스템(1)은 매직 카트의 현 위치, 이동 정보, 실시간 촬영되는 이미지 정보, 매직 카트가 수납하는 물류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관리자에 의하여 입력된 제어명령을 통하여 물류 로봇(30) 및 매직 카트(20)에 이동 제어 신호를 송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동에서도 12층 12E, 12W, 11E 구역의 사용중인 카트의 수, 미도착된 카트의 수를 카운팅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카트 현황 화면은, 본관, 암병원을 구분하여 카트 현황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e는 병동 내에서 물품의 사용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의료진이 매직 카트에서 물품을 꺼내는 경우, 의료진은 물품에 대한 사용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 입력 과정은, 환자 바코드를 스캔하여 물품에 대한 사용하는 환자를 입력하는 환자 바코드 스캔 단계, 물품 바코드를 스캔하여 사용하는 물품을 입력하는 물품 바코드 스캔 단계, 사용되는 물품의 수량을 입력하는 수량 입력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T)가 환자 바코드를 스캔하게 되면, 스캔한 환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사용자 단말기(T)가 물품 바코드를 스캔하게 되면, 스캔한 물품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T)가 사용되는 물품의 수량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된 수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의료진은, 사용자 단말기(T)를 통해서 환자 바코드를 스캔하여 사용 용도를 입력하고, 물품 바코드를 스캔하여 물품의 종류를 입력하며, 물품의 수량을 입력할 수 있다. 환자 정보, 물품 정보, 사용 수량을 포함하는 사용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의료진의 식별 카드를 스캔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T)를 통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물류의 사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필요 수량 및 표준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표준 사용량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특정 물품에 대한 사용량과 앞으로 필요할 수량을 직접 산정할 필요가 없다.
도 8f는 본 개시의 스마트 물류 시스템에 대한 예시 도면이다.
공급 업체로부터 물품들이 비치된 매직 카트(20’)가 이송되면, 매직 카트(20’)는 카트를 식별하는 바코드를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매직 카트(20’)에 부착된 바코드를 통해서 각 매직 카트(2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바코드에는 매직 카트(20’)의 정보 및 매직 카트(20’)에 수납된 물류의 정보를 포함한다.
매직 카트(20’)가 물류 로봇의 제어에 따라서 목적지에 비치되면, 사용자 단말기(T)를 통해서 사용 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다. 수집된 사용 데이터는 물류 서버(60)로 전송되어 실시간 사용량 및/또는 표준 사용량을 산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사용 데이터는 물류 서버(60)로 전송될 수 있다. 물류 서버(60)는 사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준 사용량을 산출하고 표준 사용량을 이용하여 미래의 필요 수량, 발주 수량을 계산할 수 있다. 실시간 사용량을 통해 보유한 수량이 소진된 것이 검출되면 물류 서버(60)는 자동 발주 신호를 생성하여 연계되어 있는 물품 발주 시스템 및/또는 스마트 물류 시스템으로 구매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는 공급 업체의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직 카트(20’)의 정보 및 물류의 사용 데이터를 수집하며, 계산된 표준량의 물류를 수납한 매직 카트(20’)를 적절한 시기에 공급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1)

  1. 물류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매직 카트들에 남은 제1 물품의 수량을 기초로 생성된 제1 물품에 대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물류 서버가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사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물품의 평균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물류 서버가 상기 제1 물품의 평균 사용량을 기초로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표준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물류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물품의 실시간 사용량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물류 서버가 상기 실시간 사용량과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표준 사용량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물품의 필요 수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물품의 필요 수량이 기 설정된 최소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물품의 필요 수량을 보충하는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물품 보충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트들에 물품들의 수량을 관리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품의 필요 수량이 최소값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실시간 사용량, 실시간 잔여량, 긴급 보충 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여, 상기 제1 물품의 표준 사용량을 수정하고,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물품 보충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카트장에 물품들의 수량을 관리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품의 표준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사용 데이터에서, 상기 제1 물품의 평균 사용량과 사용량의 표준 편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물품의 평균 사용량을 산출하는, 복수의 카트장에 물품들의 수량을 관리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품의 평균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매직 카트들에서 획득되는 각각의 제1 물품에 대한 사용 데이터와 보관 중인 제1 물품에 대한 실제 수량 정보를 기초로 학습된 사용예측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물품의 평균 사용량을 산출하는, 복수의 카트장에 물품들의 수량을 관리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표준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환자 데이터에서, 상기 제1 물품의 사용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제1 환자를 추출하고, 상기 제1 환자의 수, 또는 상기 제1 환자에 의한 예상 소비량을 기초로 제1-1 표준 사용량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 사용량을 이용하여 산출된 제1-2 표준 사용량과 상기 제1-1 표준 사용량을 고려하여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표준 사용량을 산출하는, 복수의 카트장에 물품들의 수량을 관리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표준 사용량은, -
    복수의 환자 데이터들, 각각의 환자에 대해서 소모된 물품들의 소모 수량를 기초로 학습된 소모 예측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복수의 카트장에 물품들의 수량을 관리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데이터는,
    별도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서 각각의 매직 카트에 포함되는 구비된 식별 정보를 인식하면서 입력된 사용량 정보를 기초로 생성되는, 복수의 카트장에 물품들의 수량을 관리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품을 제2 물품으로 변경하여, 상기 제2 물품에 대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물품의 평균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2 물품에 대한 표준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2 물품에 대한 실시간 사용량을 수신하여, 상기 제2 물품의 실시간 사용량과 상기 제2 물품에 대한 표준 사용량을 이용하여 제2 물품 필요 시점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물품 필요 시점이 현재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제한 기간 이내인 경우에는, 상기 제2 물품에 대한 물품 보충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실행하는, 복수의 카트장에 물품들의 수량을 관리하는 방법.
  9. 물류 서버가 제1 구역에 비치된 하나 이상의 물품에 대한 사용 데이터를 상기 제1 구역과 관련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물류 서버가 상기 사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구역의 하나 이상의 물품의 평균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물류 서버가 상기 사용 데이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물품의 평균 사용량을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물품에 대한 표준 사용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물류 서버가 상기 제1 구역과 관련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실시간 사용량을 수신하는 단계;상기 제1구역의 실시간 사용량과 상기 하나 이상의 물품에 대한 표준 사용량을 이용하여 물품 보충이 필요한 카트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트들에 물품들의 수량을 관리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물품 보충이 필요한 제2 물품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물품에 대한 자동 발주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자동 발주 신호를 외부의 생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카트들에 물품들의 수량을 관리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물품 보충이 필요한 카트 정보에 대응하여, 물품 보충이 필요한 물품을 가지는 카트의 카트 번호를 기초로 상기 제2 물품을 보충하도록 하는 매직 카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 보충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 보충 신호에 대응하는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카트 관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카트 관제 서버에서, 상기 물류 로봇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매직 카트를 상기 카트 번호의 비어 있는 매직 카트와 교체하도록 제어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카트들에 물품들의 수량을 관리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카트 관제 서버가 상기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카트 번호의 비어 있는 매직 카트를 보충 창고로 이동하는 수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로봇 관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비어 있는 매직 카트와 교체될 매직 카트를 상기 목적지로 이동하는 보충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로봇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카트들에 물품들의 수량을 관리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관제 서버는
    상기 수거 제어 신호를 수행할 제1 물류 로봇과 상기 보충 제어 신호를 수행할 제2 물류 로봇을 결정하여 상기 수거 제어 신호와 상기 보충 제어 신호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물류 로봇을 제어하는, 복수의 카트들에 물품들의 수량을 관리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관제 서버가
    상기 수거 제어 신호의 수거 일정에 대응하는 물류 로봇을 상기 제1 물류 로봇으로 결정하거나,
    상기 보충 제어 신호의 보충 일정에 대응하는 물류 로봇을 상기 제2 물류 로봇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카트들에 물품들의 수량을 관리하는 방법.
  15.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한 메모리, 통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물류 서버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하나 이상의 매직 카트들과 통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판독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매직 카트들에 남은 제1 물품의 수량을 기초로 생성된 제1 물품에 대한 사용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사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물품의 평균 사용량을 산출하며,
    상기 제1 물품의 평균 사용량을 기초로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표준 사용량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물품의 실시간 사용량을 수신하고, 상기 실시간 사용량과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표준 사용량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물품 필요 시점과, 상기 제1 물품의 필요 수량을 산출하며,
    상기 제1 물품 필요 시점이 현재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제한 기간 이내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물품의 필요 수량을 보충하는 상기 제1 물품에 대한 물품 보충 신호를 생성하는, 물류 서버.
  16.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한 메모리, 통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물류 서버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하나 이상의 매직 카트들과 통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구역에 비치된 하나 이상의 물품에 대한 사용 데이터를 상기 제1 구역과 관련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사용 데이터는 사용 물품 식별 정보, 사용일시, 사용수량을 포함함;
    상기 사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구역의 하나 이상의 물품 평균 사용량을 산출하며,
    상기 사용 데이터 및 상기 물품 평균 사용량을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물품에 대한 표준 사용량을 산출하고,
    상기 제1 구역과 관련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실시간 사용량을 수신하며, 상기 제1구역의 실시간 사용량과 상기 하나 이상의 물품에 대한 표준 사용량을 이용하여 물품 보충이 필요한 물품과 카트 정보를 결정하는, 물류 서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물품 보충이 필요한 제2 물품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물품에 대한 자동 발주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자동 발주 신호를 외부의 생산 서버로 전송하는, 물류 서버.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물품 보충이 필요한 제2 물품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물품에 대한 카트 번호를 기초로 상기 제2 물품을 보충하도록 하는 매직 카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 보충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 보충 신호에 대응하는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카트 관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카트 관제 서버에서, 상기 물류 로봇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매직 카트를 상기 카트 번호의 비어 있는 매직 카트와 교체하도록 제어하도록 하는, 물류 서버.
  19. 제16항의 물류 서버와,
    상기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카트 번호의 비어 있는 매직 카트를 보충 창고로 이동하는 수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로봇 관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비어 있는 매직 카트와 교체될 매직 카트를 상기 목적지로 이동하는 보충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로봇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카트 관제 서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물류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 제어 신호를 수행할 제1 물류 로봇과 상기 보충 제어 신호를 수행할 제2 물류 로봇을 결정하여 상기 수거 제어 신호와 상기 보충 제어 신호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물류 로봇을 제어하는 로봇 관제 서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물류 시스템.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관제 서버가
    상기 수거 제어 신호의 수거 일정에 대응하는 물류 로봇을 상기 제1 물류 로봇으로 결정하거나,
    상기 보충 제어 신호의 보충 일정에 대응하는 물류 로봇을 상기 제2 물류 로봇으로 결정하는, 스마트 물류 시스템.
KR1020220013610A 2022-01-28 2022-01-28 물류 서버, 스마트 물류 시스템 및 복수의 카트들에 물품들의 수량을 관리하는 방법 KR2023011654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610A KR20230116548A (ko) 2022-01-28 2022-01-28 물류 서버, 스마트 물류 시스템 및 복수의 카트들에 물품들의 수량을 관리하는 방법
PCT/KR2022/020121 WO2023146125A1 (ko) 2022-01-28 2022-12-12 물류 서버, 스마트 물류 시스템 및 복수의 카트들에 물품들의 수량을 관리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610A KR20230116548A (ko) 2022-01-28 2022-01-28 물류 서버, 스마트 물류 시스템 및 복수의 카트들에 물품들의 수량을 관리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6548A true KR20230116548A (ko) 2023-08-04

Family

ID=87472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610A KR20230116548A (ko) 2022-01-28 2022-01-28 물류 서버, 스마트 물류 시스템 및 복수의 카트들에 물품들의 수량을 관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6548A (ko)
WO (1) WO2023146125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2309987A1 (en) * 2001-05-25 2002-12-09 Hill-Rom Services, Inc. Modular patient room
JP2003312849A (ja) * 2002-04-25 2003-11-06 Hitachi Ltd 在庫計画方法
JP6613743B2 (ja) * 2015-09-11 2019-12-04 日本製鉄株式会社 安全在庫決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A3063430A1 (en) * 2017-05-23 2018-11-29 Alert Innovation Inc. Fully automated self-service sto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6125A1 (ko)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582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tocking shelves
US11308444B2 (en) Systems, methods, computing platforms, and storage media for directing and controlling a supply chain control territory in an autonomous inventory management system
JP7476116B2 (ja) 分散型の医薬品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803338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cription medicine delivery
JP2022527866A (ja) 自動化システム内の調整されたコンベヤ
JP6415498B2 (ja) 医薬品在庫管理システム及び、医薬品在庫管理方法
CN107491128A (zh) 一种医药冷链车温度的远程监控系统
JP2018150175A (ja) パッケージを探すシステム
JP2019153211A (ja) 自律移動体および医薬品配送システム
KR101886177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의료기관용 재고 관리 장치 및 그의 자동 발주 방법
EP3891677A1 (en) System and method of pharmaceutical operations for post-acute care facilities long-term care facilities
KR20180038669A (ko) 공항 로봇 및 공항 로봇 시스템
US11776339B2 (en)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opening and closing a security gate
TW201237800A (en) Local dispensing control system
JP2018063516A (ja) 医薬品在庫管理システム及び、医薬品の在庫管理方法
JP7010034B2 (ja) 医薬品在庫管理システム及び、医薬品在庫管理方法
CN109192257A (zh) 基于电子处方的慢病管理方法、系统以及存储介质
KR20230116548A (ko) 물류 서버, 스마트 물류 시스템 및 복수의 카트들에 물품들의 수량을 관리하는 방법
KR20230105598A (ko) 물류 관리 시스템, 매직 카트, 물류 로봇, 매직 카트를 이동 시키는 물류 로봇을 제어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4833817A (zh) 机器人控制系统、机器人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CN114678111A (zh) 运输系统、运输方法和非暂时性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40013069A1 (en) Prediction system, predic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40010240A1 (en) Transport system, transport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40013045A1 (en) Prediction system, predic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23081320A (ja) 病院内自動運転車両管理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