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5007A - Prefab greenhouse structure - Google Patents

Prefab greenhouse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5007A
KR20230115007A KR1020220011458A KR20220011458A KR20230115007A KR 20230115007 A KR20230115007 A KR 20230115007A KR 1020220011458 A KR1020220011458 A KR 1020220011458A KR 20220011458 A KR20220011458 A KR 20220011458A KR 20230115007 A KR20230115007 A KR 20230115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 members
connecting plate
column
correspond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4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성민
마이클 윤
윤충섭
Original Assignee
윤성민
마이클 윤
윤충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민, 마이클 윤, 윤충섭 filed Critical 윤성민
Priority to KR1020220011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5007A/en
Publication of KR20230115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500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4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69Greenhouses with double or multiple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4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 A01G2013/046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fold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은, 상호 간에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기둥들, 기둥들 사이에 위치되어 양종단 부분이 제 1 연결판에 의해 기둥들의 상단 부분에 연결되는 중방, 각각의 제 1 종단 부분이 제 1 연결판에 의해 중방에 연결되어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들이 기둥 및 중방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제 2 연결판에 의해 상호 간에 연결된 한 쌍의 서까래들, 및 상단 부분이 제 2 연결판에 의해 서까래들에 연결되고 상단 부분의 반대편인 하단 부분이 제 3 연결판에 의해 중방에 연결되는 중방 기둥을 각각 포함하고,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복수 개의 몸체부; 몸체부들의 제 1 연결판들, 제 2 연결판들 및 제 3 연결판들을 관통하여 위치되고 몸체부들을 상호 간에 연결하는 복수 개의 조립부; 및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부가 몸체부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서까래 및 기둥을 따라 위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몸체부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중방 및 기둥을 따라 위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되, 기둥, 중방, 서까래 및 중방 기둥은 각각 한 쌍의 C형강 부재들로 이루어지고, 조립부는 각각 하나의 C형강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greenhous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pilla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ositioned in parallel, the center of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pillars and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upper ends of the pillars by a first connecting plate. , A pair of rafters in which each first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middle by a first connecting plate and the second end portions opposite to the first end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econd connecting plat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column and the middle , And a plurality of bodies each including a middle column whose upper part is connected to the rafters by a second connecting plate and whose lower part opposite to the upper part is connected to the middle by a third connecting plate, and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ealth; a plurality of assembling parts positioned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plates, the second connecting plates,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s of the body parts and connecting the body parts to each other; And a cover part made of a sheet shape, a part of which is located along the rafters and pillars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arts, and a cover part that is located along the middle and the pillar while closing the remaining part between the body parts, but includes the pillars, middle, rafters and Each of the central pillars may be made of a pair of C-beam members, and the assembly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C-beam members is made of one C-beam member.

Description

조립형 온실 구조물{Prefab greenhouse structure}Prefab greenhouse structure {Prefab greenhouse structure}

본 발명은 온실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조립 및 해체가능하고, 최소한의 재료 및 공정으로도 높은 강도 및 강성을 갖는 조립형 온실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eenhouse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greenhouse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and has high strength and rigidity even with a minimum of materials and processes.

온실은 광선, 온도, 습도 등을 조절하여 작물을 자유롭게 재배할 수 있는 건축물이다. 이러한 온실은 단층의 골조 외면을 비닐, 에어버블 비닐('뽁뽁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폴리카보네이트, 유리 등으로 둘러싸서 태양광 및 태양열을 투과시키고, 실외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기에 설정된 대로 실내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온실의 내부에서 작물은 일 년 내내 재배될 수 있고, 작물의 수확기도 조절될 수 있다.A greenhouse is a building that can grow crops freely by controlling light, temperature, and humidity. Such a greenhouse is set as set up because the exterior of the single-story frame is surrounded by vinyl, air bubble vinyl (sometimes called 'bubble wrap'), polycarbonate, glass, etc. to transmit sunlight and solar heat, and to prevent outdoor air from entering the inside. It can maintain room temperature. Crops can be grown all year round inside the greenhouse, and the crop harvest can also be controlled.

또한, 온실은 주로 원형 파이프를 이용하여 아치 모양을 갖는 재배 공간을 형성하도록 시공되고, 비닐, 에어버블 비닐 등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하지만, 비닐의 처짐으로 인해, 온실에서 기둥들 사이의 간격은 제한적이다. 또한, 원형 파이프는 상호 간에 점 접촉되기도 하고 견고하게 연결되어 고정되기 어렵기에, 온실 구조물은 높은 강도 및 강성을 갖기 어려운 실정이다.In addition, the greenhouse is mainly constructed to form a cultivation space having an arch shape using a circular pipe, and may be closed with vinyl, air bubble vinyl, or the like. However, due to the sagging of the vinyl, the spacing between the columns in the greenhouse is limited. In addition, since the circular pipes are in point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difficult to be firmly connected and fixed, the greenhouse structure is difficult to have high strength and rigidity.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온실 구조물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용이하게 조립되어 시공될 수 있고, 시공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해체가능한 온실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greenhouse structur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eenhouse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and constructed, and can be easily dismantled in a state of construction.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온실 구조물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공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하면서도 높은 강도 및 강성을 갖도록 하는 온실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greenhouse structur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eenhouse structure that has high strength and rigidity while reducing construction costs and time.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온실 구조물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품 및 공정의 표준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온실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greenhouse structur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eenhouse structure capable of realizing standardization of parts and processes.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온실 구조물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greenhouse structur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another problem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은, 상호 간에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기둥들, 기둥들 사이에 위치되어 양종단 부분이 제 1 연결판에 의해 기둥들의 상단 부분에 연결되는 중방, 각각의 제 1 종단 부분이 제 1 연결판에 의해 중방에 연결되어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들이 기둥 및 중방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제 2 연결판에 의해 상호 간에 연결된 한 쌍의 서까래들, 및 상단 부분이 제 2 연결판에 의해 서까래들에 연결되고 상단 부분의 반대편인 하단 부분이 제 3 연결판에 의해 중방에 연결되는 중방 기둥을 각각 포함하고,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복수 개의 몸체부; 몸체부들의 제 1 연결판들, 제 2 연결판들 및 제 3 연결판들을 관통하여 위치되고 몸체부들을 상호 간에 연결하는 복수 개의 조립부; 및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부가 몸체부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서까래 및 기둥을 따라 위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몸체부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중방 및 기둥을 따라 위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되, 기둥, 중방, 서까래 및 중방 기둥은 각각 한 쌍의 C형강 부재들로 이루어지고, 조립부는 각각 하나의 C형강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greenhous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pilla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ositioned in parallel, positioned between the pillars, and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upper ends of the pillars by a first connecting plate. As long as the middle connected to the middle, each first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middle by a first connecting plate, and the second end portions opposite to the first end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econd connecting plat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column and the middle. Each of the pair of rafters and a central column having an upper portion connected to the rafters by a second connecting plate and a lower portion opposite to the upper portion connected to the middle by a third connecting plate, position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body parts to be; a plurality of assembling parts positioned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plates, the second connecting plates,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s of the body parts and connecting the body parts to each other; And a cover part made of a sheet shape, a part of which is located along the rafters and pillars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arts, and a cover part that is located along the middle and the pillar while closing the remaining part between the body parts, but includes the pillars, middle, rafters and Each of the central pillars may be made of a pair of C-beam members, and the assembly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C-beam members is made of one C-beam member.

또한, 제 1 연결판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 중방의 C형강 부재들의 종단 부분 사이 및 서까래의 C형강 부재들의 제 1 종단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며,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기둥을 따라 위치된 제 1 기둥 연결홀들이 형성되고 중방의 C형강 부재들의 종단 부분 사이에 대응되도록 중방을 따라 위치된 제 1 중방 연결홀들이 형성되며 서까래의 C형강 부재들의 제 1 종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서까래를 따라 위치된 제 1 서까래 연결홀들이 형성되고, 체결 부재들은 각각 제 1 기둥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기둥에 체결되고, 제 1 중방 연결홀들을 통해 중방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중방에 체결되며, 제 1 서까래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서까래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서까래에 체결되어, 기둥, 중방 및 서까래는 제 1 연결판에서 고정되며, 제 2 연결판은 상호 간에 인접한 한 쌍의 서까래들의 C형강 부재들의 제 2 종단 부분들 사이 및 중방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며, 한 쌍의 서까래들의 C형강 부재들의 제 2 종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한 쌍의 서까래들을 따라 위치된 제 2 서까래 연결홀이 형성되고 중방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중방 기둥을 따라 위치된 제 2 중방 기둥 연결홀들이 형성되며, 체결 부재들은 각각 제 2 서까래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한 쌍의 서까래들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서까래들에 체결되고, 제 2 중방 기둥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중방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중방 기둥에 체결되어, 한 쌍의 서까래들 및 중방 기둥은 제 2 연결판에서 고정되며, 제 3 연결판은 중방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제 2 종단 부분들 사이 및 중방(112)의 C형강 부재들의 중간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며, 중방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하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중방 기둥(114)을 따라 위치된 제 3 중방 기둥 연결홀들이 형성되고, 중방의 C형강 부재들의 중간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중방을 따라 위치된 제 3 중방 연결홀들이 형성되며, 체결 부재들은 각각 제 3 중방 기둥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중방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중방 기둥에 체결되고, 제 3 중방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중방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중방에 체결되어, 중방 기둥 및 중방은 제 3 연결판에서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ng plate is made of a pair, and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column, between the end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in the middle, and between the first end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rafter, , First pillar connection holes located along the pillars are formed to correspon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column, and the first middle connection holes located along the middle to correspond between the end portions of the middle C-beam members are formed. First rafter connection holes are formed along the rafters to correspond between the first end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rafters, and the fastening members attach the C-beam members of the columns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lumn connection holes, respectively. It penetrates and is fastened to the column, passes through the middle C-beam members through the first middle connection holes and is fastened to the middle, penetrates the C-beam members of the rafters to correspond to the first rafter connection holes and is fastened to the rafters, , The middle and rafters are fixed in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end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of a pair of mutually adjacent rafters an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And, the second rafter connection hole located along the pair of rafters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second end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pair of rafters and correspon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Second middle pillar connection holes are formed along the middle pillar, fastening members are fastened to the rafters by penetrating the C-beam members of the pair of rafters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rafter connection holes, respectively, and the second middle pillar It is fastened to the middle column by penetrating the C-beam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to correspond to the connection holes, and the pair of rafters and the middle column are fixed at the second connecting plate,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 is the C-beam member of the middle column. It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end portions and between the middle part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middle 112, and is located along the middle pillar 114 to correspond between the lower part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middle pillar. Column connecting holes are formed, and third middle connecting holes are formed along the middle to correspond between middle portions of the middle C-beam members, and fastening members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ird middle pillar connecting holes, respectively. It penetrates through the C-beam members of and is fastened to the middle column, penetrates through the middle C-beam members to correspond to the third middle connection holes, and is fastened to the middle, so that the middle column and the middle can be fixed at the third connecting plate.

또한, 제 1 연결판, 제 2 연결판 및 제 3 연결판의 각각에는 조립부의 종단면에 대응된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 개구가 형성되고, 조립부는 조립 개구에 삽입되어 제 1 연결판, 제 2 연결판 및 제 3 연결판의 각각에 결합되어 몸체부들을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assembly opening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assembly part is formed in each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the second connection plate, and the third connection plate, and the assembly part is inserted into the assembly opening to form the first connection plate and the third connection plate. It is coupled to each of the second connecting plate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 to connect the body parts.

또한, 조립부는 원형 막대 형상의 용마루 부재를 포함하고, 제 2 연결판의 상단 부분에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부분을 갖고 소정의 곡률을 갖는 U자 형상의 장착 부재가 위치되며, 용마루 부재는 장착 부재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ssembling unit includes a circular rod-shaped ridge member, and a U-shaped mounting member having a partially open portion and a predetermined curvature is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late, and the ridge member is attached to the mounting member. It can be inserted and fixed.

또한, 온실 구조물은, 각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조립부와 평행하도록 몸체부의 기둥들과 교차하도록 위치되고 기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며, 커버부의 일부에 접촉되는 복수 개의 보조 판재;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부들 사이에서 용마루 부재와 보조 판재들 중 최상측에 위치된 보조 판재를 연결하고 서까래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붕 보조재; 및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부들 사이에서 보조 판재들을 연결하도록 기둥들과 평행하도록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둥 보조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eenhouse structure is formed in a plate shape, each of which is positioned to cross the pillars of the body part in parallel with the assembly par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pillars,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plates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cover part; At least one roof auxiliary member formed in a rod shape, connecting the ridge member and the auxiliary board member located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auxiliary board members between the body parts and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rafters; And doedoe made of a rod shape,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pillar auxiliary member positioned parallel to the pillars so as to connect the auxiliary plate materials between the body parts.

또한, 온실 구조물은,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방 기둥에 대응하도록 몸체부들의 중방들을 연결하도록 중방들의 하측에 위치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eenhouse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member formed in a rod shape and positioned below the middle portions of the body parts so as to correspond to the middle pillars.

또한, 온실 구조물은, 몸체부들이 지지 부재와 직교하도록 위치되어, 지면 상에 위치될 때 지면 상에 위치되어 지지 부재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기둥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eenhouse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upport pillar positioned on the ground to support the support member when the body parts are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member and positioned on the ground.

또한, 보조 판재들 중 최상측에 위치된 보조 판재의 일면에는 한 쌍의 외부 패드들이 설치되고, 외부 패드들은 보조 판재를 따라 상호 간에 평행하도록 위치되며, 지지 부재의 양측면에는 각각 내부 패드가 지지 부재를 따라 위치되고, 커버부는, 몸체부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서까래들을 따라 서까래들에 접촉되도록 위치되는 제 1 외부 커버; 제 1 외부 커버의 하단에 대응되면서 몸체부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기둥들을 따라 기둥들에 접촉되도록 위치되는 제 2 외부 커버; 및 제 1 외부 커버 및 제 2 외부 커버에 대응되어 위치되되, 몸체부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중방들 및 기둥들을 따라 중방들 및 기둥들에 접촉되도록 위치되는 내부 커버를 포함하되, 제 1 외부 커버의 하단 부분은 상측에 위치된 외부 패드에 결합되고, 제 2 외부 커버의 상단 부분은 하측에 위치된 외부 패드에 결합되며, 내부 커버가 내부 패드들 사이를 따라 한 쌍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의 내부 커버는 내부 패드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ir of external pads are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auxiliary plate material located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auxiliary plate material, the external pads are positioned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the auxiliary plate material, and each inner pad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A first outer cover located along the rafters, the cover portion being position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rafters along the rafters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ortions; a second outer cover positioned along the pillars to be in contact with the pillars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arts while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cover; and an inner cover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outer cover and the second outer cover,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arts, and position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middle parts and the pillars along the middle parts and the pillars,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cover part is coupled to the outer pad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outer cover is coupled to the outer pad located on the lower side, with the inner cover separated into a pair along between the inner pads, each inner The cover may be coupled to the inner pad.

또한, 몸체부의 각각은, 각각 서까래와 중방을 연결하면서 중방 기둥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간에 대칭을 형성하도록 위치되고, 상단 부분이 제 4 연결판에 의해 제 1 연결판과 제 2 연결판 사이의 서까래에 연결될 수 있고, 상단 부분의 반대편인 하단 부분이 제 5 연결판에 의해 제 1 연결판과 제 3 연결판 사이의 중방에 연결되는 한 쌍의 사선 기둥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body parts is positioned so as to form symmetry with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middle pillar while connecting the rafter and the middle, and the upper part is the rafter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by the fourth connecting plate It may be connected to, and a pair of oblique pillars may further include a lower portion opposite to the upper portion connected to a middle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 by a fifth connecting plate.

또한, 제 4 연결판은 서까래의 C형강 부재들의 중간 부분들 사이 및 사선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며, 서까래의 C형강 부재들의 중간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서까래를 따라 위치된 제 4 서까래 연결홀들이 형성되고, 사선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사선 기둥을 따라 위치된 제 4 사선 기둥 연결홀이 형성되며, 체결 부재들은 각각 제 4 서까래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서까래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서까래에 체결되고, 제 4 사선 기둥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사선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사선 기둥에 체결되어, 서까래 및 사선 기둥은 제 4 연결판에서 고정되며, 제 5 연결판은 사선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하단 부분들 사이 및 제 1 연결판과 제 3 연결판 사이의 중방의 C형강 부재들 사이에 위치되며, 사선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하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사선 기둥을 따라 위치된 제 5 사선 기둥 연결홀(51)들이 형성되고, 중방의 C형강 부재들의 중간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중방을 따라 위치된 제 5 중방 연결홀들이 형성되며, 체결 부재들은 각각 제 5 사선 기둥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사선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사선 기둥에 체결되고, 제 5 중방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중방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중방에 체결되어, 사선 기둥 및 중방은 제 5 연결판에서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urth connecting plate is located between the middle part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rafter an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oblique column, and is located along the rafter to correspond between the middle part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rafter. Fourth rafter connection holes are formed, and fourth oblique pillar connection holes are formed along the oblique pillars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oblique pillars, and the fastening member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ourth rafter connection holes. It is fastened to the rafters by penetrating the C-beam members of the rafters to correspond to the 4th oblique column connection holes, and is fastened to the oblique columns by penetrating the C-beam members of the oblique columns to correspond to the fourth oblique column connection holes. , The fifth connecting plate is located between the lower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oblique column and between the middle C-beam members between the first and third connecting plates, and the C-beam members of the oblique column Fifth oblique pillar connection holes 51 located along the oblique pillars are formed to correspond between the lower portions, and fifth middle connection holes located along the middle to correspond between the middle parts of the central C-beam members are formed. formed, the fastening members are fastened to the oblique column by penetrating the C-beam members of the oblique column to correspond to the fifth oblique column connection holes, and pass through the central C-beam members to correspond to the fifth middle connection holes to form the middle By being fastened to, the oblique pillar and the middle can be fixed at the fifth connecting plat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온실 구조물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greenhouse structure according to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온실 구조물이 용이하게 조립되어 시공될 수 있고, 시공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해체될 수 있다.(1) The greenhouse structure can be easily assembled and constructed, and can be easily dismantled in the constructed state.

(2) 온실 구조물이 절감된 비용 및 시간으로 시공될 수 있고, 높은 강도 및 강성을 갖도록 시공될 수 있다.(2) The greenhouse structure can be constructed with reduced cost and time, and can be constructed to have high strength and rigidity.

(3) 온실 구조물에 대한 부품 및 공정의 표준화가 구현될 수 있다.(3) Standardization of parts and processes for greenhouse structures can be implemented.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that can be achieved by the greenhous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에서 제 1 연결판 내지 제 5 연결판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에서 제 1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에서 제 2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에서 제 3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herei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eenhous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first to fifth connecting plates in a greenhous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parts connected by a first connection part in a greenhous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connected by a second connecting portion in the greenhous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parts connected by a third connection part in a greenhous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numbers (eg, 1st, 2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is specification are only identifiers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on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n particular Unless otherwise describ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omponents expressed as '~ part' may be two or more components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fferentiated into two or more for each more subdivided function. In addition, each of the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its own main function, and some of the main functions of each component may be different from other components. Of course, it may be performed exclusively by a component.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ur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1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100)에서 제 1 연결판(10) 내지 제 5 연결판(50)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100)에서 제 1 연결부(10)에 의해 연결된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100)에서 제 2 연결부(20)에 의해 연결된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100)에서 제 3 연결부(30)에 의해 연결된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eenhouse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connecting plate 10 to a fifth connection in the greenhouse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are drawings showing the plate 50,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connected by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0 in the greenhouse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connected by the second connection part 20 in the greenhous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reenhous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third connection part 30.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arts connected by.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100)은 몸체부(101), 조립부(102), 커버부(103), 보조 판재(104), 지붕 보조재(105), 기둥 보조재(106), 지지 부재(107) 및 보조 기둥(108)을 포함하고, 지면(1) 상에 재배 공간(100')을 형성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1 to 5, the greenhouse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101, an assembly part 102, a cover part 103, an auxiliary plate 104, a roof It includes an auxiliary material 105, a pillar auxiliary material 106, a support member 107 and an auxiliary pillar 108, and may be installed on the ground 1 to form a cultivation space 100'.

몸체부(101)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판 형상을 갖고 지면(1) 상에 수직방향으로 위치되고, 상호 간에 이격되어 재배 공간(100')에 대응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10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eces, each of which has a plate shape, is positioned vertically on the ground 1,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cultivation space 100'.

또한, 몸체부(101)는 기둥(111), 중방(112), 서까래(113), 중방 기둥(114) 및 사선 기둥(11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둥(111), 중방(112), 서까래(113), 중방 기둥(114) 및 사선 기둥(115)은 각각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한 쌍의 C형강 부재들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C형강 부재들은 각각 C형상의 횡단면적을 가질 수 있고, 개방된 부분의 반대편인 부분이 상호 간에 접촉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01 may include a pillar 111, a middle 112, a rafter 113, a middle pillar 114, and a slanted pillar 115. Here, the pillar 111, the middle 112, the rafter 113, the middle pillar 114, and the oblique pillar 115 are each made of a pair of C-beam member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air of C-beams. The section members may each have a C-shaped cross-sectional area, and may be positioned so that portions opposite to the open port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기둥(111)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지면(1) 상에 수직방향으로 위치되고, 상호 간에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The poles 111 are made of a pair, each of which is positioned vertically on the ground 1,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ositioned in parallel.

중방(112)은 기둥(111)들 사이에 위치되어 제 1 연결판(10)에 의해 기둥(111)들의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중방(112)의 양종단면은 기둥(111)의 상단 측면 부분에 접촉될 수 있고, 중방(112)은 기둥(111)과 직교하도록 위치되어 지면(1)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The middle 112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pillars 111 and connected to each of the pillars 111 by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 Here, both longitudinal sections of the middle 112 may be in contact with the top side portion of the pillar 111, and the middle 112 may be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pillar 111 and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ground 1.

서까래(113)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기둥(111)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호 간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서까래(113)의 제 1 종단 부분은 기둥(111)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제 1 연결판(10)에 의해 기둥(111)에 연결될 수 있고, 서까래(113)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은 제 2 연결판(20)에 의해 상호 간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서까래(113)들은 제 2 연결판(20)에서 상호 간에 연결될수 있다. 각각의 서까래(113)는 기둥(111)으로부터 점점 이격될수록 중방(112)의 상측에서 중방(112)으로부터 점점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Rafters 113 are made of a pair, each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ar 111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Here, the first end portion of the rafter 113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post 111 and can be connected to the post 111 by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end part of the rafter 113 The phosphorus second end portion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 That is, the rafters 113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Each of the rafters 113 may be positioned so as to be gradually spaced apart from the middle 112 at the upper side of the middle 112 as they are gradually spaced apart from the pillar 111 .

중방 기둥(114)은 중방(112)과 직교하도록 위치되면서 서까래(113)들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중방 기둥(114)의 상단 부분은 제 2 연결판(20)에 의해 서까래(113)들, 특히 서까래(113)들의 연결 부분에 연결될 수 있고, 중방 기둥(114)의 상단 부분의 반대편인 하단 부분은 제 3 연결판(30)에 의해 중방(112)에 직교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The middle column 114 may be connected to the rafters 113 while being positioned to be orthogonal to the middle 112. Here, the upper portion of the middle column 114 may be connected to the rafters 113, especially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rafters 113, by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the opposit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iddle column 114. The lower portion may be connected orthogonally to the middle 112 by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

사선 기둥(115)들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서까래(113)와 중방(112)을 연결하면서 중방 기둥(114)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간에 대칭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사선 기둥(115)의 상단 부분은 제 4 연결판(40)에 의해 제 1 연결판(10)과 제 2 연결판(20) 사이의 서까래(113)에 연결될 수 있고, 사선 기둥(115)의 상단 부분의 반대편인 하단 부분은 제 5 연결판(50)에 의해 제 1 연결판(10)과 제 3 연결판(30) 사이의 중방(11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선 기둥(115)은 서까래(113)와 직교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The oblique pillars 115 are formed as a pair, and may be positioned so as to form symmetry with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middle pillar 114 while connecting the rafter 113 and the middle 112, respectively. Here, the upper part of the slanted pillar 115 may be connected to the rafter 113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by the fourth connecting plate 40, and the slanted pillar 115 The lower part opposite to the upper part of ) may be connected to the middle 112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by the fifth connecting plate 50 . In addition, the oblique pillars 115 may be positioned to be orthogonal to the rafters 113.

상기와 같이, 기둥(111), 중방(112), 서까래(113), 중방 기둥(114) 및 사선 기둥(115)은 각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1 연결판(10), 제 2 연결판(20), 제 3 연결판(30), 제 4 연결판(40) 및 제 5 연결판(50)에 의해 상호 간에 연결되어 동일 평면을 형성하면서 하나의 몸체부(101)를 형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illars 111, the middle 112, the rafters 113, the middle pillars 114, and the oblique pillars 115 are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each having a plate shape. ),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the fourth connecting plate 40, and the fifth connecting plate 5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one body portion 101 while forming the same plane.

제 1 연결판(1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기둥(111)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 중방(112)의 C형강 부재들의 종단 부분 사이 및 서까래(113)의 C형강 부재들의 제 1 종단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어, 기둥(111), 중방(112) 및 서까래(113)를 상호 간에 연결할 수 있다(도 3 참조).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is made of a pair,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column 111, between the end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middle 112 and the C-beam member of the rafter 113. It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end portions of the columns 111, the middle 112 and the rafters 113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see FIG. 3).

또한, 제 1 연결판(10)에는 제 1 기둥 연결홀(11)들, 제 1 중방 연결홀(12)들 및 제 1 서까래 연결홀(13)들이 형성될 수 있다(도 2(a) 참조).In addition, first pillar connection holes 11, first middle connection holes 12, and first rafter connection holes 13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plate 10 (see FIG. 2(a)). ).

제 1 기둥 연결홀(11)들은 기둥(111)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기둥(111)을 따라 위치될 수 있고, 제 1 중방 연결홀(12)들은 중방(112)의 C형강 부재들의 종단 부분 사이에 대응되도록 중방(112)을 따라 위치될 수 있으며, 제 1 서까래 연결홀(13)들은 서까래(113)의 C형강 부재들의 제 1 종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서까래(113)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The first pillar connection holes 11 may be positioned along the pillar 111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pillar 111, and the first middle connection holes 12 are of the middle 112. It may be located along the middle 112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end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and the first rafter connection holes 13 correspond to the rafters 113 between the first end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 113) can be located along.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체결 부재(110)들은 각각 제 1 기둥 연결홀(11)들에 대응하도록 기둥(111)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기둥(111)에 체결되고, 제 1 중방 연결홀(12)들을 통해 중방(112)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중방(112)에 체결되며, 제 1 서까래 연결홀(13)들에 대응하도록 서까래(113)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서까래(113)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둥(111), 중방(112) 및 서까래(113)는 제 1 연결판(10)에서 고정될 수 있다.In the above state, the fastening members 110 are fastened to the pillar 111 through the C-beam members of the pillar 111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pillar connection holes 11, respectively, and the first middle connection hole ( 12) through the C-beam members of the middle 112 and fastened to the middle 112, and through the C-beam members of the rafters 113 to correspond to the first rafter connection holes 13, the rafters 113 can be contracted to. Due to this, the pillar 111, the middle 112 and the rafters 113 can be fixed in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본 실시예의 체결 부재(110)들은 각각 볼트 또는 나사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너트와 조합될 수 있다.The fastening members 110 of this embodimen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bolts or screws, respectively, and may be combined with nuts.

또한, 제 1 연결판(10)에는 구체적으로 후술될 조립부(102)가 통과하도록 조립부(102)의 종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조립 개구(1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조립 개구(10a)는 제 1 기둥 연결홀(11)들, 제 1 중방 연결홀(12)들 및 제 1 서까래 연결홀(13)들로부터 이격되도록 제 1 연결판(10)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first assembly opening 10a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assembly part 102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so that the assembly part 102 to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passes therethrough. . The first assembly opening 10a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plate 1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illar connection holes 11, the first middle connection holes 12, and the first rafter connection holes 13. can

제 2 연결판(20)은 하나로 이루어지되, 상호 간에 인접한 한 쌍의 서까래(113)들의 C형강 부재들의 제 2 종단 부분들 사이 및 중방 기둥(114)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어, 한 쌍의 서까래(113)들 및 중방 기둥(114)을 상호 간에 연결할 수 있다(도 4 참조).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is made of one, but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end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pair of rafters 113 adjacent to each other an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114. It is possible to connect a pair of rafters 113 and the middle column 114 to each other (see FIG. 4).

또한, 제 2 연결판(20)에는 장착 부재(21), 제 2 서까래 연결홀(22)들 및 제 2 중방 기둥 연결홀(23)들이 형성될 수 있다(도 2(b) 참조).In addition, a mounting member 21, second rafter connection holes 22, and second middle pillar connection holes 23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see FIG. 2(b)).

장착 부재(21)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2 연결판(20)의 상단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장착 부재(21)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부분을 갖고 소정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The mounting member 21 is formed in a U shape and may be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 Here, the mounting member 21 may have a partially open portion and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제 2 서까래 연결홀(22)들은 한 쌍의 서까래(113)들의 C형강 부재들의 제 2 종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한 쌍의 서까래(113)들을 따라 위치될 수 있고, 제 2 중방 기둥 연결홀(23)들은 중방 기둥(114)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중방 기둥(114)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The second rafter connection holes 22 may be located along the pair of rafters 113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second end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pair of rafters 113, and the second central pillar connection hole (23) may be positioned along the middle column 114 to correspon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114.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체결 부재(110)들은 각각 제 2 서까래 연결홀(22)들에 대응하도록 한 쌍의 서까래(113)들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서까래(113)들에 체결되고, 제 2 중방 기둥 연결홀(23)들에 대응하도록 중방 기둥(114)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중방 기둥(114)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한 쌍의 서까래(113)들 및 중방 기둥(114)은 제 2 연결판(20)에서 고정될 수 있다.In the above state, the fastening members 110 pass through the C-beam members of the pair of rafters 113 to correspond to the second rafter connection holes 22, respectively, and are fastened to the rafters 113, and the second It may be fastened to the middle pillar 114 through the C-beam members of the middle pillar 114 to correspond to the middle pillar connection holes 23 . Due to this, the pair of rafters 113 and the middle column 114 may be fixed at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또한, 제 2 연결판(20)에는 구체적으로 후술될 조립부(102)가 통과하도록 조립부(102)의 종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조립 개구(2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조립 개구(20a)는 장착 부재(21), 제 2 서까래 연결홀(22)들 및 제 2 중방 기둥 연결홀(23)들로부터 이격되도록 제 2 연결판(20)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second assembly opening 20a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assembly part 102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on plate 20 so that the assembly part 102 to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passes therethrough. . The second assembly opening 20a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on plate 2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ounting member 21, the second rafter connection holes 22, and the second middle pillar connection holes 23.

제 3 연결판(30)은 중방 기둥(114)의 C형강 부재들의 제 2 종단 부분들 사이 및 중방(112)의 C형강 부재들의 중간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어, 중방 기둥(114) 및 중방(112)을 상호 간에 연결할 수 있다(도 5 참조).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end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middle pillar 114 and between the middle part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middle 112, and the middle pillar 114 and the middle ( 112)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see FIG. 5).

또한, 제 3 연결판(30)에는 제 3 중방 기둥 연결홀(31)들 및 제 3 중방 연결홀(33)들이 형성될 수 있다(도 2(c) 참조).In addition, third middle pillar connection holes 31 and third middle connection holes 33 may be formed in the third connection plate 30 (see FIG. 2(c)).

제 3 중방 기둥 연결홀(31)들은 중방 기둥(114)의 C형강 부재들의 하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중방 기둥(114)을 따라 위치될 수 있고, 제 3 중방 연결홀(33)들은 중방(112)의 C형강 부재들의 중간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중방(112)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The third middle pillar connection holes 31 may be located along the middle pillar 114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lower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middle pillar 114, and the third middle pillar connection holes 33 are in the middle ( 112) may be positioned along the middle 112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middle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체결 부재(110)들은 각각 제 3 중방 기둥 연결홀(31)들에 대응하도록 중방 기둥(114)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중방 기둥(114)에 체결되고, 제 3 중방 연결홀(33)들에 대응하도록 중방(112)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중방(112)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중방 기둥(114) 및 중방(112)은 제 3 연결판(30)에서 고정될 수 있다.In the above state, the fastening members 110 penetrate the C-beam members of the middle pillar 114 to correspond to the third middle pillar connection holes 31 and are fastened to the middle pillar 114, and the third middle pillar 114 It may be fastened to the middle 112 by penetrating the C-beam members of the middle 112 to correspond to the connection holes 33 . Due to this, the middle pillar 114 and the middle 112 may be fixed at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

또한, 제 3 연결판(30)에는 구체적으로 후술될 조립부(102)가 통과하도록 조립부(102)의 종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조립 개구(3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3 조립 개구(30a)는 제 3 중방 기둥 연결홀(31)들 및 제 3 중방 연결홀(33)들로부터 이격되도록 제 3 연결판(30)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third assembly opening 30a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assembly part 102 may be formed in the third connection plate 30 so that the assembly part 102 to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passes therethrough. . The third assembly opening 30a may be formed in the third connection plate 3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hird middle pillar connection holes 31 and the third middle connection holes 33 .

한편, 중방(112)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제 3 연결판(30)에서 180°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연결판(30)에는 중방 연결홀(33)들이 중방(112)들에 의한 각도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iddle (112) is made of a pair, can be connected to form an angle smaller than 180 ° in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Here, middle connection holes 33 may be formed in the third connection plate 30 to correspond to angles formed by the middle sides 112 .

제 4 연결판(40)은 서까래(113)의 C형강 부재들의 중간 부분들 사이 및 사선 기둥(115)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어, 서까래(113) 및 사선 기둥(115)을 상호 간에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제 4 연결판(40)은 제 1 연결판(10)과 제 2 연결판(20) 사이의 서까래(113)에 위치될 수 있다.The fourth connecting plate 40 is located between the middle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rafter 113 an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oblique column 115, and the rafter 113 and the oblique column 115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Here, the fourth connecting plate 40 may be located on the rafter 113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

또한, 제 4 연결판(40)에는 제 4 서까래 연결홀(41)들 및 제 4 사선 기둥 연결홀(42)들이 형성될 수 있다(도 2(d) 참조).In addition, fourth rafter connection holes 41 and fourth oblique column connection holes 42 may be formed in the fourth connection plate 40 (see FIG. 2(d)).

제 4 서까래 연결홀(41)들은 서까래(113)의 C형강 부재들의 중간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서까래(113)를 따라 위치될 수 있고, 제 4 사선 기둥 연결홀(42)들은 사선 기둥(115)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사선 기둥(115)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The fourth rafter connecting holes 41 may be located along the rafter 113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middle part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rafter 113, and the fourth oblique pillar connecting holes 42 may be located in the oblique pillar 115 ) may be positioned along the oblique pillar 115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체결 부재(110)들은 각각 제 4 서까래 연결홀(41)들에 대응하도록 서까래(113)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서까래(113)에 체결되고, 제 4 사선 기둥 연결홀(42)들에 대응하도록 사선 기둥(115)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사선 기둥(115)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서까래(113) 및 사선 기둥(115)은 제 4 연결판(40)에서 고정될 수 있다.In the above state, the fastening members 110 pass through the C-beam members of the rafter 113 to correspond to the fourth rafter connection holes 41 and are fastened to the rafter 113, and the fourth oblique column connection hole It can be fastened to the oblique pillar 115 by penetrating the C-beam members of the oblique pillar 115 to correspond to (42). Due to this, the rafters 113 and the oblique pillars 115 can be fixed at the fourth connecting plate 40.

또한, 제 4 연결판(40)에는 구체적으로 후술될 조립부(102)가 통과하도록 조립부(102)의 종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4 조립 개구(4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4 조립 개구(40a)는 제 4 서까래 연결홀(41)들 및 제 4 사선 기둥 연결홀(42)들로부터 이격되도록 제 4 연결판(40)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fourth assembly opening 40a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assembly part 102 may be formed in the fourth connection plate 40 so that the assembly part 102,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passes therethrough. . The fourth assembly opening 40a may be formed in the fourth connection plate 4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ourth rafter connection holes 41 and the fourth oblique pillar connection holes 42 .

제 5 연결판(50)은 사선 기둥(115)의 C형강 부재들의 하단 부분들 사이 및 제 1 연결판(10)과 제 3 연결판(30) 사이의 중방(112)의 C형강 부재들 사이에 위치되어, 사선 기둥(115) 및 중방(112)을 상호 간에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제 5 연결판(50)은 제 1 연결판(10)과 제 3 연결판(30) 사이의 중방(112)에 위치될 수 있다.The fifth connecting plate 50 is between the lower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oblique column 115 and between the C-beam members of the middle 112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oblique pillars 115 and the middle 112 to each other. Here, the fifth connecting plate 50 may be located in the middle 112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

또한, 제 5 연결판(50)에는 제 5 사선 기둥 연결홀(51)들 및 제 5 중방 연결홀(52)들이 형성될 수 있다(도 2(e) 참조).In addition, fifth oblique pillar connection holes 51 and fifth middle connection holes 52 may be formed in the fifth connection plate 50 (see FIG. 2(e)).

제 5 사선 기둥 연결홀(51)들은 사선 기둥(115)의 C형강 부재들의 하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사선 기둥(115)을 따라 위치될 수 있고, 제 5 중방 연결홀(52)들은 중방(112)의 C형강 부재들의 중간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중방(112)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The fifth oblique pillar connection holes 51 may be located along the oblique pillar 115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lower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oblique pillar 115, and the fifth middle connection holes 52 are located in the middle ( 112) may be positioned along the middle 112 so as to correspond between the middle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체결 부재(110)들은 각각 제 5 사선 기둥 연결홀(51)들에 대응하도록 사선 기둥(115)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사선 기둥(115)에 체결되고, 제 5 중방 연결홀(52)들에 대응하도록 중방(112)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중방(112)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선 기둥(115) 및 중방(112)은 제 5 연결판(50)에서 고정될 수 있다.In the above state, the fastening members 110 are fastened to the oblique pillar 115 by penetrating the C-beam members of the oblique pillar 115 to correspond to the fifth oblique pillar connection holes 51, respectively. It may be fastened to the middle 112 by penetrating the C-beam members of the middle 112 to correspond to the connection holes 52 . Due to this, the oblique pillars 115 and the middle 112 may be fixed at the fifth connecting plate 50 .

또한, 제 5 연결판(50)에는 구체적으로 후술될 조립부(102)가 통과하도록 조립부(102)의 종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5 조립 개구(5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5 조립 개구(50a)는 제 5 사선 기둥 연결홀(51)들 및 제 5 중방 연결홀(52)들로부터 이격되도록 제 5 연결판(50)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fifth assembly opening 50a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assembly part 102 may be formed in the fifth connecting plate 50 so that the assembly part 102,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passes therethrough. . The fifth assembly opening 50a may be formed in the fifth connection plate 5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fth oblique pillar connection holes 51 and the fifth middle connection holes 52 .

상기와 같은 제 1 연결판(10), 제 2 연결판(20), 제 3 연결판(30), 제 4 연결판(40) 및 제 5 연결판(50)은 각각 강(steel)로 이루어진 판을 레이저로 절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연결판(10), 제 2 연결판(20), 제 3 연결판(30), 제 4 연결판(40) 및 제 5 연결판(50)은 규격화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the fourth connecting plate 40 and the fifth connecting plate 50 are each made of steel. It can be manufactured by laser cutting the plate.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the fourth connecting plate 40, and the fifth connecting plate 50 may be standardized.

조립부(102)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몸체부(101)들을 상호 간에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조립부(102)는 C형강 부재로 이루어지되, 몸체부(101)의 중방(112)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위치되어 몸체부(101)들을 상호 간에 연결할 수 있고, 몸체부(101)들과 조합하여 온실 구조물(100)의 골조를 형성하고, 몸체부(101)들의 각각을 지면(1) 상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The assembling part 102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pieces, and the body parts 101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Here, the assembly part 102 is made of a C-beam member, and is positioned along the direction crossing the middle 112 of the body part 101 to connect the body parts 101 to each other, and the body part 101 It is possible to form a framework of the greenhouse structure 100 in combination with the body parts 101, and maintain each of the body parts 101 positioned on the ground 1.

특히, 조립부(102)는 각각 제 1 연결판(10), 제 2 연결판(20), 제 3 연결판(30), 제 4 연결판(40) 및 제 5 연결판(50)을 관통하여 제 1 연결판(10), 제 2 연결판(20), 제 3 연결판(30), 제 4 연결판(40) 및 제 5 연결판(50)과 직교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특히, 각각 제 1 조립 개구(10a), 제 2 조립 개구(20a), 제 3 조립 개구(30a), 제 4 조립 개구(40a) 및 제 5 조립 개구(50a)를 통과하여 위치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assembly part 102 passes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the fourth connecting plate 40 and the fifth connecting plate 50, respectively. to be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the fourth connecting plate 40 and the fifth connecting plate 50, in particular, They may be positioned through the first assembly opening 10a, the second assembly opening 20a, the third assembly opening 30a, the fourth assembly opening 40a, and the fifth assembly opening 50a, respectively.

특히, 조립부(102)는 원형 막대 형상의 용마루 부재(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용마루 부재(121)는 장착 부재(21)에 삽입되어 제 2 연결판(20)의 상단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용마루 부재(121)의 직경은 장착 부재(21)에 의한 직경보다 클 수 있어, 용마루 부재(121)는 장착 부재(21)에 견고하게 삽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용마루 부재(121)는 온실 구조물(100)의 최상단에 위치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assembling unit 102 may further include a circular bar-shaped ridge member 121 . The ridge member 121 may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member 21 and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 Here, the diameter of the ridge member 121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mounting member 21 , so that the ridge member 121 can be maintained firmly inserted into the mounting member 21 . In addition, the ridge member 121 may be located at the top of the greenhouse structure 100 .

커버부(103)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비닐, 에어버블 비닐, 폴리카보네이트, 유리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부(103)의 일부는 몸체부(101)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서까래(113) 및 기둥(111)을 따라 위치되고, 온실 구조물(100)의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용마루 부재(121)는 원형으로 이루어져, 커버부(103)에 덮힌 상태로 직접 접촉되더라도 커버부(103)와의 직접적인 접촉에 따른 커버부(10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ver part 103 is formed in a sheet shape, and may be made of vinyl, air bubble vinyl, polycarbonate, glass, or the like. Here, a part of the cover part 103 may be positioned along the rafters 113 and the pillars 111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arts 101, and may be positioned to form the outer surface of the greenhouse structure 100. Here, since the ridge member 121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damage to the cover part 103 due to direct contact with the cover part 103 can be prevented even if it is directly contacted while being covered by the cover part 103 .

또한, 커버부(103)의 나머지 일부는 몸체부(101)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중방(112) 및 기둥(111)을 따라 위치되고, 온실 구조물(100)의 내측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커버부(103)는 이중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maining part of the cover part 103 is positioned along the middle 112 and the pillar 111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arts 101, and may be positioned to form the inner surface of the greenhouse structure 100. . The cover part 103 as described above may form a double structure.

또한, 커버부(103)는 제 1 외부 커버(131), 제 2 외부 커버(133) 및 내부 커버(135)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unit 103 may include a first outer cover 131 , a second outer cover 133 and an inner cover 135 .

제 1 외부 커버(131)는 몸체부(101)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서까래(113)들을 따라 서까래(113)들에 접촉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외부 커버(131)는 용마루 부재(121)를 덮으면서 용마루 부재(121)에 접촉될 수 있다.The first outer cover 131 may be positioned to contact the rafters 113 along the rafters 113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arts 101 . Here, the first outer cover 131 may contact the ridge member 121 while covering the ridge member 121 .

제 2 외부 커버(133)는 제 1 외부 커버(131)의 하단에 대응되면서 몸체부(101)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기둥(111)들을 따라 기둥(111)들에 접촉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 2 외부 커버(133)는 제 1 외부 커버(131)와 조합하고, 재배 공간(10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The second outer cover 133 may be positioned to contact the pillars 111 along the pillars 111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arts 101 while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cover 131 . The second outer cover 133 may be combined with the first outer cover 131 and positioned outside the cultivation space 100'.

내부 커버(135)는 제 1 외부 커버(131) 및 제 2 외부 커버(133)에 대응되면서 재배 공간(100')에 위치되되, 몸체부(101)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중방(112)들 및 기둥(111)들을 따라 중방(112)들 및 기둥(111)들에 접촉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The inner cover 135 is positioned in the cultivation space 100' whi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outer cover 131 and the second outer cover 133,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arts 101 and the middle 112 and It may be positioned to be in contact with the middle 112 and the pillars 111 along the pillars 111 .

보조 판재(104)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조립부(102)와 평행하도록 몸체부(101)의 기둥(111)들과 교차하도록 위치되고, 상호 간에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판재(104)는 커버부(103)의 일부, 즉, 제 1 외부 커버(131) 및 제 2 외부 커버(133)에 접촉될 수 있다.The auxiliary plate member 104 is made of a plurality of pieces, each formed in a plate shape, positioned to cross the pillars 111 of the body part 101 so as to be parallel to the assembly part 102,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Here, the auxiliary plate 104 may be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cover part 103, that is, the first outer cover 131 and the second outer cover 133.

특히, 보조 판재(104)들 중에서 최상측에 위치된 보조 판재(104)(이하, "최상측 보조 판재(104)"라 한다)은 서까래(113)에 인접하면서 기둥(111)의 상단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최상측 보조 판재(104)의 일면에는 한 쌍의 외부 패드(141)들이 설치될 수 있다(도 4 참조). 외부 패드(141)들은 비닐로 이루어지되, 최상측 보조 판재(104)을 따라 상호 간에 평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03)의 제 1 외부 커버(131) 및 제 2 외부 커버(133)는 외부 패드(141)들 사이를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어 분리될 수 있다. 제 1 외부 커버(131)의 하단 부분은 상측에 위치된 외부 패드(141)에 결합될 수 있고, 제 2 외부 커버(133)의 상단 부분은 하측에 위치된 외부 패드(14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외부 커버(131) 및 제 2 외부 커버(133)는 분리된 상태로 시공되어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고, 상태에 따라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만 교체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auxiliary plate 104 located on the uppermost side among the auxiliary plate materials 104 (hereinafter, referred to as "top auxiliary plate 104") is adjacent to the rafter 113 and is at the top of the column 111. can be located Here, a pair of external pads 141 may be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uppermost auxiliary plate 104 (see FIG. 4). The external pads 141 are made of vinyl and may be positioned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the uppermost auxiliary plate 104 . In addition, the first outer cover 131 and the second outer cover 133 of the cover part 10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pads 141 and separate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outer cover 131 may be coupled to the outer pad 141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outer cover 133 may be coupled to the external pad 141 located on the lower side. there is. Due to this, the first outer cover 131 and the second outer cover 133 can be installed in a separated state and can be easily installed, and can be replaced only for necessary parts according to conditions.

한편, 본 실시예의 보조 판재(104)는 방부목으로 제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plate 104 of this embodiment may be made of preservative wood.

지붕 보조재(105)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부(101)들 사이에서 용마루 부재(121)와 최상측 보조 판재(104)를 연결하고 서까래(113)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지붕 보조재(105)는 서까래(113)를 따라 위치된 커버부(103), 즉, 제 1 외부 커버(131)를 지지하여, 서까래(113)들과 조합하여 서까래(113)들에 대응되는 커버부(103)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붕 보조재(105)는 각목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roof auxiliary material 105 is formed in a bar shape, and may be positioned so as to connect the ridge member 121 and the uppermost auxiliary plate 104 between the body parts 101 and correspond to the rafters 113. Here, the roof aid 105 supports the cover portion 103 located along the rafters 113, that is, the first outer cover 131, and corresponds to the rafters 113 in combination with the rafters 113. It is possible to prevent sagging of the cover part 103 to be. This roof aid 105 may be made of a piece of wood.

기둥 보조재(106)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부(101)들 사이에서 보조 판재(104)를 연결하도록 기둥(111)들과 평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기둥 보조재(106)는 기둥(111)을 따라 위치된 커버부(103), 즉, 제 2 외부 커버(133)를 지지하여, 기둥(111)들과 조합하여 기둥(111)들에 대응되는 커버부(103)를 펼쳐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기둥 보조재(106)는 각목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pillar auxiliary material 106 is made of a rod shape, and may be positioned parallel to the pillars 111 so as to connect the auxiliary plate material 104 between the body parts 101 . Here, the pillar auxiliary material 106 supports the cover portion 103 located along the pillar 111, that is, the second outer cover 133, and corresponds to the pillars 111 in combination with the pillars 111. It is possible to keep the cover part 103 in an unfolded state. This pillar auxiliary material 106 may be made of a piece of wood.

지지 부재(107)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방 기둥(114)에 대응하도록 몸체부(101)들의 중방(112)들을 연결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부재(107)는 중방(112)들의 하측에 위치되어 중방(112)에 접촉되어, 중방(112)들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107)는 각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orting member 107 is formed in a rod shape, and may be positioned to connect the middle 112 of the body parts 101 to correspond to the middle pillar 114. Here, the support member 107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middle 112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middle 112 to support the middle 112 . In addition, the supporting member 107 may be made of a square tree.

또한, 지지 부재(107)에는 한 쌍의 내부 패드(171)들이 설치될 수 있다. 내부 패드(171)들은 지지 부재(107)의 양측면에 위치되어 지지 부재(107)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03)의 내부 커버(135)는 내부 패드(171)들 사이를 따라 분리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5 참조). 한 쌍의 내부 커버(135)들은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 내부 패드(171)에 결합될 수 있고, 한 쌍의 내부 커버(135)들의 사이는 지지 부재(107) 및 내부 패드(171)에 의해 밀폐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내부 커버(135)는 한 쌍으로 분리된 상태로 시공되어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고, 상태에 따라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만 교체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ir of inner pads 171 may be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107 . The inner pads 171 may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107 and may be positioned along the support member 107 . In addition, the inner cover 135 of the cover part 103 may be formed as a pair by being separated along the inner pads 171 (see FIG. 5 ). The pair of inner covers 135 may be coupled to the inner pad 171 in a separated state, and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inner covers 135 is sealed by the support member 107 and the inner pad 171. can be maintained as is. Due to this, the inner cover 135 can be installed in a separated state as a pair and can be easily installed, and can be replaced only for necessary parts according to conditions.

지지 기둥(108)은 지면(1) 상에 위치되어 몸체부(101)들이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어 조립부(102)에 의해 연결될 상태에서 지지 부재(107)의 하면에 접촉되어 지지 부재(107)를 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지지 기둥(108)은 지지 부재(107)와 직교하도록 위치되고, 지지 부재(107)와 조합하여 몸체부(101)의 중방(112)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고, 몸체부(101)의 기둥(111)들과 조합하여 몸체부(101)들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support pillar 108 is located on the ground 1 and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07 in a state where the body parts 101 are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nnected by the assembly part 102 to form the support member 107 can support Due to this, the support pillar 108 is positioned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support member 107, and in combination with the support member 107, it is possible to prevent sagging of the middle 112 of the body portion 101, and the body portion 101 In combination with the pillars 111 of ), it is possible to stably withstand the load applied to the body parts 101.

또한, 지지 기둥(108)는 필요에 따라 설치되거나, 설치된 상태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 강풍 등으로 인해 온실 구조물(100)에 하중이 작용할 때, 지지 기둥(108)은 하중을 견디기 위하여 설치될 수 있고, 재배 공간(100')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때, 지지 기둥(108)은 제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illar 108 can be installed as needed or separated from the installed state. For example,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greenhouse structure 100 due to snow, strong wind, etc., the support pillar 108 may be installed to withstand the load, and when work is performed in the cultivation space 100', the support pillar (108) can be eliminated.

또한, 커버부(103)의 내부 커버(135)는 지지 부재(107)에 분리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기에, 지지 기둥(108)은 지지 부재(107)를 지지하더라도 커버부(103)의 내부 커버(135)와 접촉되지 않아 커버부(103)를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ner cover 135 of the cover part 103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member 107 and formed as a pair, even though the support pillar 108 supports the support member 107, the inside of the cover part 103 I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ver 135 and may not damage the cover part 103 .

본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100)은 몸체부(101), 조립부(102), 커버부(103), 보조 판재(104), 지붕 보조재(105), 기둥 보조재(106), 지지 부재(107) 및 보조 기둥(108)을 상호 간에 연결하여 조립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01)는 기둥(111), 중방(112), 서까래(113), 중방 기둥(114) 및 사선 기둥(115)을 포함하고, 기둥(111), 중방(112), 서까래(113), 중방 기둥(114) 및 사선 기둥(115)은 각각 한 쌍의 C형강 부재들로 이루어지고, 판 형상의 제 1 연결판(10), 제 2 연결판(20), 제 3 연결판(30) 제 4 연결판(40) 및 제 5 연결판(50)을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볼트, 나사 등과 같은 형태를 갖는 체결 부재(11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 연결판(10), 제 2 연결판(20), 제 3 연결판(30) 제 4 연결판(40) 및 제 5 연결판(50)이 C형강 부재들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 부재(110)들은 각각 C형강 부재들 및 제 1 연결판(10), 제 2 연결판(20), 제 3 연결판(30) 제 4 연결판(40) 및 제 5 연결판(50)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기둥(111), 중방(112), 서까래(113), 중방 기둥(114) 및 사선 기둥(115)은 연결되어 몸체부(101)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립부(102)는 C형강 부재로 이루어지면서, 제 1 연결판(10), 제 2 연결판(20), 제 3 연결판(30) 제 4 연결판(40) 및 제 5 연결판(50)을 관통하면서 몸체부(101)들을 연결하여, 온실 구조물(100)의 골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온실 구조물(100)은 삽입 및 체결 작업을 통해 조립될 수 있기에, 용이하게 조립되어 시공될 수 있고, 시공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해체될 수 있다.The greenhous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ody part 101, an assembly part 102, a cover part 103, an auxiliary plate 104, a roof auxiliary material 105, a pillar auxiliary material 106, a support member ( 107) and the auxiliary pillar 108 may be assembled by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Here, the body portion 101 includes a pillar 111, a middle 112, a rafter 113, a middle pillar 114, and an oblique pillar 115, and the pillar 111, the middle 112, the rafters ( 113), the middle pillar 114 and the slanted pillar 115 are each made of a pair of C-beam members, and the plate-shaped first connecting plate 10,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In a state where the fourth connecting plate 40 and the fifth connecting plate 50 are placed therebetween, it may be fixed by a fastening member 110 having a shape such as a bolt or screw. 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the fourth connecting plate 40, and the fifth connecting plate 50 are inserted between the C-beam members. In, the fastening members 110 are C-beam members and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the fourth connecting plate 40, and the fifth connecting plate ( 50), the pillar 111, the middle pillar 112, the rafter 113, the middle pillar 114, and the oblique pillar 115 may be connected to form the body portion 101. In addition, the assembly part 102 is made of a C-beam member, and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the fourth connecting plate 40, and the fifth connecting plate The frame of the greenhouse structure 100 may be formed by connecting the body parts 101 while passing through the 50. Therefore, since the greenhouse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ssembled through insertion and fastening operations, it can be easily assembled and constructed, and can be easily dismantled even in a constructed stat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100)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삽입 및 체결 작업을 통해 조립될 수 있기에, 몸체부(101) 및 조립부(102)의 길이에 따라 원하는 크기의 온실을 제조할 수 있고, 조립부(102)을 수평을 맞추어 몸체부(101)들에 연결되도록 하여 온실의 시공을 위한 마킹하기, 수평 맞추기, 직각 맞추기 등과 같은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100)은 시공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재배 공간(100')을 형성하는 데에 있어서 기둥(111), 중방(112), 서까래(113), 중방 기둥(114) 및 사선 기둥(115)을 연결하는 데에 이용되는 제 1 연결판(10), 제 2 연결판(20), 제 3 연결판(30) 제 4 연결판(40) 및 제 5 연결판(50)에 조립부(102)를 삽입시켜 몸체부(101)들을 연결하여 재배 공간(100')을 형성하고, 보조 판재(104), 지붕 보조재(105), 기둥 보조재(106), 지지 부재(107) 및 보조 기둥(108)와의 조합을 통해 높은 강도 및 강성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greenhous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ssembled through insertion and fastening operations as described above, a greenhouse having a desired size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body part 101 and the assembly part 102. It is possible to omit steps such as marking, leveling, right angle alignment, etc. for greenhouse construction by aligning the assembling part 102 and connecting it to the body parts 101. Due to this, the greenhous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reduce construction time and cost, and in forming the cultivation space 100 ', the pillar 111, the middle 112, the rafters ( 113),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the third connecting plate 30 and the fourth connecting plate 40 used to connect the middle pillar 114 and the slanted pillar 115. ) and the fifth connecting plate 50 by inserting the assembly part 102 to connect the body parts 101 to form a cultivation space 100 ', and the auxiliary plate 104, the roof auxiliary material 105, the pillar auxiliary material 106, the support member 107 and the auxiliary pillar 108 through the combination can have high strength and rigidity.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100)에서 몸체부(101) 및 조립부(102)는 C형강 부재들로 이루어지고, 보조 판재(104)는 방부목으로 이루어지며, 지붕 보조재(105), 기둥 보조재(106) 및 지지 부재(107)는 각목으로 이루어지고, 몸체부(101) 및 조립부(102)의 연결을 위한 제 1 연결판(10), 제 2 연결판(20), 제 3 연결판(30) 제 4 연결판(40) 및 제 5 연결판(50)은 각각 구멍 및 개구를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온실 구조물(100)은 일정한 규격을 갖는 부품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부품들의 조립을 통해 시공될 수 있어, C형강 부재들 및 판 형상 부재들을 이용하여 형성되기에, 부품 및 공정의 표준화를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greenhous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body part 101 and the assembly part 102 are made of C-beam members, the auxiliary plate 104 is made of preservative wood, the roof auxiliary material 105, The pillar auxiliary material 106 and the support member 107 are made of a square wood, and the first connecting plate 10, the second connecting plate 20,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 10 for connecting the body part 101 and the assembly part 102 Connection plate 30 The fourth connection plate 40 and the fifth connection plate 5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holes and openings, respectively. Because of this, the greenhous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ade of a combination of parts having a certain standard, and can be constructed through assembly of parts, and is formed using C-beam members and plate-shaped members, Standardization of parts and processes can be implemented.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In the abo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by the person.

100: 온실 구조물
101: 몸체부
101: 기둥
102: 조립부
103: 커버부
104: 보조 판재
105: 지붕 보조재
106: 기둥 보조재
107: 지지 부재
108: 보조 기둥
111: 기둥
112: 중방
113: 서까래
114: 중방 기둥
115: 사선 기둥
100: greenhouse structure
101: body part
101: column
102: assembly part
103: cover part
104: auxiliary plate
105: roof aid
106: column auxiliary
107: support member
108: auxiliary pillar
111: pillar
112: medium
113: rafters
114: middle column
115: oblique pillar

Claims (10)

상호 간에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위치되는 한 쌍의 기둥들, 기둥들 사이에 위치되어 양종단 부분이 제 1 연결판에 의해 기둥들의 상단 부분에 연결되는 중방, 각각의 제 1 종단 부분이 제 1 연결판에 의해 중방에 연결되어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들이 기둥 및 중방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제 2 연결판에 의해 상호 간에 연결된 한 쌍의 서까래들, 및 상단 부분이 제 2 연결판에 의해 서까래들에 연결되고 상단 부분의 반대편인 하단 부분이 제 3 연결판에 의해 중방에 연결되는 중방 기둥을 각각 포함하고,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복수 개의 몸체부;
몸체부들의 제 1 연결판들, 제 2 연결판들 및 제 3 연결판들을 관통하여 위치되고 몸체부들을 상호 간에 연결하는 복수 개의 조립부; 및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부가 몸체부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서까래 및 기둥을 따라 위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몸체부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중방 및 기둥을 따라 위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되,
기둥, 중방, 서까래 및 중방 기둥은 각각 한 쌍의 C형강 부재들로 이루어지고, 조립부는 각각 하나의 C형강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구조물.
A pair of pilla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ositioned in parallel, the middle of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pillars and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upper ends of the pillars by a first connecting plate, each first end part is a first connecting plate A pair of rafters connected to the middle by a second end portion opposite to the first end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econd connecting plat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column and the middle, and the upp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rafter by the second connecting plate A plurality of body parts each including a middle pillar connected to the middle pillars and having a lower part opposite to the upper part connected to the middle by a third connecting plate, and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assembling parts positioned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plates, the second connecting plates,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s of the body parts and connecting the body parts to each other; and
It is made in the shape of a sheet, and includes a cover part, which is located along the rafters and pillars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arts, and the remaining part is located along the middle and pillars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arts,
The greenhous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illar, the middle, the rafter, and the middle pillar are each made of a pair of C-beam members, and the assembly portion is each made of one C-beam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제 1 연결판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 중방의 C형강 부재들의 종단 부분 사이 및 서까래의 C형강 부재들의 제 1 종단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며,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기둥을 따라 위치된 제 1 기둥 연결홀들이 형성되고 중방의 C형강 부재들의 종단 부분 사이에 대응되도록 중방을 따라 위치된 제 1 중방 연결홀들이 형성되며 서까래의 C형강 부재들의 제 1 종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서까래를 따라 위치된 제 1 서까래 연결홀들이 형성되고,
체결 부재들은 각각 제 1 기둥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기둥에 체결되고, 제 1 중방 연결홀들을 통해 중방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중방에 체결되며, 제 1 서까래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서까래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서까래에 체결되어, 기둥, 중방 및 서까래는 제 1 연결판에서 고정되며,
제 2 연결판은 상호 간에 인접한 한 쌍의 서까래들의 C형강 부재들의 제 2 종단 부분들 사이 및 중방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며, 한 쌍의 서까래들의 C형강 부재들의 제 2 종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한 쌍의 서까래들을 따라 위치된 제 2 서까래 연결홀이 형성되고 중방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중방 기둥을 따라 위치된 제 2 중방 기둥 연결홀들이 형성되며,
체결 부재들은 각각 제 2 서까래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한 쌍의 서까래들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서까래들에 체결되고, 제 2 중방 기둥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중방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중방 기둥에 체결되어, 한 쌍의 서까래들 및 중방 기둥은 제 2 연결판에서 고정되며,
제 3 연결판은 중방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제 2 종단 부분들 사이 및 중방(112)의 C형강 부재들의 중간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며, 중방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하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중방 기둥(114)을 따라 위치된 제 3 중방 기둥 연결홀들이 형성되고, 중방의 C형강 부재들의 중간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중방을 따라 위치된 제 3 중방 연결홀들이 형성되며,
체결 부재들은 각각 제 3 중방 기둥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중방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중방 기둥에 체결되고, 제 3 중방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중방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중방에 체결되어, 중방 기둥 및 중방은 제 3 연결판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necting plates are made of a pair, and are respectively locat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column, between the end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in the middle, and between the first end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rafter, First pillar connection holes located along the pillars are formed to correspon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middle, and first middle connection holes located along the middle are formed to correspond between the end portions of the middle C-beam members. First rafter connecting holes located along the rafter are formed to correspond between the first end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rafter,
The fastening members pass through the C-beam members of the column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lumn connection holes and are fastened to the column, pass through the middle C-beam members through the first middle connection holes, and are fastened to the middle, and the first rafter connection It penetrates the C-beam members of the rafters to correspond to the holes and is fastened to the rafters, so that the columns, middle and rafters are fixed at the first connecting plate,
The second connecting plate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end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of a pair of rafters adjacent to each other an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of the C-beam members of the pair of rafters The second rafter connection holes located along the pair of rafters are formed to correspond between the end portions, and the second middle column connection holes located along the middle column to correspon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are formed. is formed,
The fastening members pass through the C-beam members of a pair of rafter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rafter connection holes and are fastened to the rafters, and pass through the C-beam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to correspond to the second middle column connection holes, Fastened to the column, the pair of rafters and the middle column are fixed at the second connecting plate,
The third connecting plate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end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and between the middle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middle 112, and corresponds to the lower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Third middle pillar connection holes located along the middle pillar 114 are formed, and third middle pillar connection holes located along the middle are formed to correspond between the middle portions of the middle C-beam members,
The fastening members pass through the C-beam members of the middle column to correspond to the third middle column connection holes and are fastened to the middle column, and pass through the middle C-beam members to correspond to the third middle column connection holes and are fastened to the middle, , The central column and the central greenhous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fixed in the third connecting plate.
제1항에 있어서,
제 1 연결판, 제 2 연결판 및 제 3 연결판의 각각에는 조립부의 종단면에 대응된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 개구가 형성되고, 조립부는 조립 개구에 삽입되어 제 1 연결판, 제 2 연결판 및 제 3 연결판의 각각에 결합되어 몸체부들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assembly opening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assembly part is formed in each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the second connection plate, and the third connection plate, and the assembly part is inserted into the assembly opening to form the first connection plate and the second connection plate. A greenhous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each of the plate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 to connect the body parts.
제1항에 있어서,
조립부는 원형 막대 형상의 용마루 부재를 포함하고,
제 2 연결판의 상단 부분에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부분을 갖고 소정의 곡률을 갖는 U자 형상의 장착 부재가 위치되며,
용마루 부재는 장착 부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assembling unit includes a circular bar-shaped ridge member,
A U-shaped mounting member having a partially open portion and a predetermined curvature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late,
A greenhous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ridge member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mounting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온실 구조물은,
각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조립부와 평행하도록 몸체부의 기둥들과 교차하도록 위치되고 기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며, 커버부의 일부에 접촉되는 복수 개의 보조 판재;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부들 사이에서 용마루 부재와 보조 판재들 중 최상측에 위치된 보조 판재를 연결하고 서까래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붕 보조재; 및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부들 사이에서 보조 판재들을 연결하도록 기둥들과 평행하도록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둥 보조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reenhouse structure,
A plurality of auxiliary plates each formed in a plate shape, positioned to cross the pillars of the body part in parallel with the assembly par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pillars, and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cover part;
At least one roof auxiliary member formed in a rod shape, connecting the ridge member and the auxiliary board member located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auxiliary board members between the body parts and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rafters; and
The greenhouse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pillar auxiliary member formed in a rod shape and positioned parallel to the pillars so as to connect the auxiliary plate materials between the body parts.
제5항에 있어서, 온실 구조물은,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중방 기둥에 대응하도록 몸체부들의 중방들을 연결하도록 중방들의 하측에 위치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greenhouse structure,
The greenhous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member formed in a rod shape and positioned below the middle of the body to connect the middle of the body to correspond to the middle of the pillar.
제6항에 있어서, 온실 구조물은,
몸체부들이 지지 부재와 직교하도록 위치되어, 지면 상에 위치될 때 지면 상에 위치되어 지지 부재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기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greenhouse structure,
The greenhouse structur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support column positioned so that the body portions are orthogonal to the support member and positioned on the ground to support the support member when placed on the ground.
제6항에 있어서,
보조 판재들 중 최상측에 위치된 보조 판재의 일면에는 한 쌍의 외부 패드들이 설치되고, 외부 패드들은 보조 판재를 따라 상호 간에 평행하도록 위치되며,
지지 부재의 양측면에는 각각 내부 패드가 지지 부재를 따라 위치되고,
커버부는,
몸체부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서까래들을 따라 서까래들에 접촉되도록 위치되는 제 1 외부 커버;
제 1 외부 커버의 하단에 대응되면서 몸체부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기둥들을 따라 기둥들에 접촉되도록 위치되는 제 2 외부 커버; 및
제 1 외부 커버 및 제 2 외부 커버에 대응되어 위치되되, 몸체부들 사이를 폐쇄하면서 중방들 및 기둥들을 따라 중방들 및 기둥들에 접촉되도록 위치되는 내부 커버를 포함하되,
제 1 외부 커버의 하단 부분은 상측에 위치된 외부 패드에 결합되고, 제 2 외부 커버의 상단 부분은 하측에 위치된 외부 패드에 결합되며,
내부 커버가 내부 패드들 사이를 따라 한 쌍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의 내부 커버는 내부 패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6,
A pair of external pads ar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plate located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auxiliary plate, and the external pads are positioned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the auxiliary plate,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internal pads are positioned along the support member, respectively;
cover part,
A first outer cover positioned along the rafters to contact the rafters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ortions;
a second outer cover positioned along the pillars to be in contact with the pillars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arts while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outer cover; and
Including an inner cover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outer cover and the second outer cover and position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middle parts and pillars along the middle parts and pillars while closing between the body parts,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outer cover is coupled to the outer pad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outer cover is coupled to the external pad located on the lower side;
In a state where the inner cover is separated into a pair along between the inner pads, each inner cover is coupled to the inner pad.
제1항에 있어서, 몸체부의 각각은,
각각 서까래와 중방을 연결하면서 중방 기둥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간에 대칭을 형성하도록 위치되고, 상단 부분이 제 4 연결판에 의해 제 1 연결판과 제 2 연결판 사이의 서까래에 연결될 수 있고, 상단 부분의 반대편인 하단 부분이 제 5 연결판에 의해 제 1 연결판과 제 3 연결판 사이의 중방에 연결되는 한 쌍의 사선 기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body parts,
It is positioned so as to form symmetry with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middle column while connecting the rafters and the middle, respectively, and the upper part can be connected to the rafters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by the fourth connecting plate, and the upper part The greenhouse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pair of oblique pillars, the lower part of which is opposite to the fifth connecting plate, connected to the middle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the third connecting plate.
제9항에 있어서,
제 4 연결판은 서까래의 C형강 부재들의 중간 부분들 사이 및 사선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며, 서까래의 C형강 부재들의 중간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서까래를 따라 위치된 제 4 서까래 연결홀들이 형성되고, 사선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상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사선 기둥을 따라 위치된 제 4 사선 기둥 연결홀이 형성되며,
체결 부재들은 각각 제 4 서까래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서까래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서까래에 체결되고, 제 4 사선 기둥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사선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사선 기둥에 체결되어, 서까래 및 사선 기둥은 제 4 연결판에서 고정되며,
제 5 연결판은 사선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하단 부분들 사이 및 제 1 연결판과 제 3 연결판 사이의 중방의 C형강 부재들 사이에 위치되며, 사선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의 하단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사선 기둥을 따라 위치된 제 5 사선 기둥 연결홀(51)들이 형성되고, 중방의 C형강 부재들의 중간 부분들 사이에 대응되도록 중방을 따라 위치된 제 5 중방 연결홀들이 형성되며,
체결 부재들은 각각 제 5 사선 기둥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사선 기둥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사선 기둥에 체결되고, 제 5 중방 연결홀들에 대응하도록 중방의 C형강 부재들을 관통하여 중방에 체결되어, 사선 기둥 및 중방은 제 5 연결판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9,
The fourth connecting plate is located between the middle part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rafter an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oblique column, and is located along the rafter to correspond between the middle part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rafter. 4 rafter connection holes are formed, and a fourth oblique pillar connection hole located along the oblique pillar is formed to correspon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oblique pillar,
The fastening members pass through the C-beam members of the rafter to correspond to the fourth rafter connection holes and are fastened to the rafter, and pass through the C-beam members of the oblique column to correspond to the fourth oblique column connection holes and are fastened to the oblique column, , rafters and oblique columns are fixed at the fourth connecting plate,
The fifth connecting plate is located between the lower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oblique column and between the middle C-beam members between the first and third connecting plates, and between the lower portions of the C-beam members of the oblique column. Fifth oblique pillar connecting holes 51 positioned along the slanted pillar are formed to correspond to, and fifth middle connecting holes positioned along the middle to correspond between middle portions of the middle C-beam members are formed,
The fastening members pass through the C-beam members of the oblique column to correspond to the fifth oblique column connection holes and are fastened to the oblique column, and pass through the middle C-beam members to correspond to the fifth middle connection holes and are fastened to the middle, The greenhous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oblique pillars and the middle are fixed at the fifth connecting plate.
KR1020220011458A 2022-01-26 2022-01-26 Prefab greenhouse structure KR2023011500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458A KR20230115007A (en) 2022-01-26 2022-01-26 Prefab greenhous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458A KR20230115007A (en) 2022-01-26 2022-01-26 Prefab greenhouse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007A true KR20230115007A (en) 2023-08-02

Family

ID=87566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458A KR20230115007A (en) 2022-01-26 2022-01-26 Prefab greenhouse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500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9023B2 (en) Rapid assembly steel framing
US8091291B2 (en) Structure used as greenhouse roof frame, greenhouse roof frame, greenhouse framework, greenhouse, and greenhouse framework building method
US4055030A (en) Greenhouse
JP2014136956A (en) Roof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20230115007A (en) Prefab greenhouse structure
EP3369869A1 (en) Column and beam unit for hut construction and hut structure using same
JP5074234B2 (en) Outdoor structure
US11021866B2 (en)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ame
CN214853122U (en) Novel greenhouse main body
JP5004263B2 (en) Multiple building type weatherproof greenhouse
CN215223442U (en) Greenhouse combined structure
CN215760000U (en) Assembled thin-wall steel truss
RU171418U1 (en) GREENHOUSE FRAME
RU2131661C1 (en) Greenhouse
KR102469686B1 (en) System house structural hinge and system house using them
KR102430594B1 (en) System house structural hinge and system house using them
KR102277778B1 (en) System house structural hinge and system house using them
CN116084816A (en) Connecting device of PC (polycarbonate) shutter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US11319703B2 (en) Roof frame structure
KR20080006638U (en) Bracket for roof structure
JP2007315068A (en) Rafter roof structure of steel construction
JP4107260B2 (en) Simple building
JP3022658B2 (en) Handrail
CN114991527A (en) Wall frame structure for steel structure factory building cave gable
KR101621520B1 (en) Installing Structure Of Fabricated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