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5000A - 드론용 비상 낙하산 - Google Patents

드론용 비상 낙하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5000A
KR20230115000A KR1020220011435A KR20220011435A KR20230115000A KR 20230115000 A KR20230115000 A KR 20230115000A KR 1020220011435 A KR1020220011435 A KR 1020220011435A KR 20220011435 A KR20220011435 A KR 20220011435A KR 20230115000 A KR20230115000 A KR 20230115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chute
drone
emergency
drones
lo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용
정종석
Original Assignee
선진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진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진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1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5000A/ko
Publication of KR20230115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500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80Parachutes in association with aircraft, e.g. for brak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22Load suspension
    • B64D17/34Load suspension adapted to control direction or rate of des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40Packs
    • B64D17/52Opening, e.g. manual
    • B64D17/54Opening, e.g. manual auto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62Deployment
    • B64D17/72Deployment by explosive or inflatabl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70/00Launching, take-off or landing arrangements
    • B64U70/80Vertical take-off or landing, e.g. using rockets
    • B64U70/83Vertical take-off or landing, e.g. using rockets using parachutes, balloon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용 비상 낙하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행중인 드론이 내부적 또는 외부적 요인에 의해 추락할 때, 드론을 안전하게 하강시키기 위한 드론용 비상 낙하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드론에 설치되는 낙하산 적재부와 상기 낙하산 적재부에 수납되는 낙하산과 상기 낙하산 적재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낙하산 적재부 내부에 배치되어 고압 질소백의 팽창작용을 통해 커버를 개방시키면서 낙하산을 산개시키기 위한 산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론용 비상 낙하산{emergency parachute for drones}
본 발명은 드론용 비상 낙하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행중인 드론이 내부적 또는 외부적 요인에 의해 추락할 때, 드론을 안전하게 하강시키기 위한 드론용 비상 낙하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론은 기체에 배치된 복수 개의 로터를 회전시켜 수직 이착륙 및 비행하는 항공기로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무선전파 유도에 의해 비행과 조종이 가능한 무인비행체이다.
이와 같은, 드론은 사람의 시야 범위 안에서 직접 육안으로 관찰하면서 조종하거나, 드론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 조종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최근, 지정된 경로를 따라 비행하거나, AI 프로그램의 도입을 통한 출발점에서 목적지까지 자율비행하는 드론이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드론은 군사용에서부터 사진 촬영, 배달, 기상 정보 수집, 농약 살포, 개인 운송수단 등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나, 비행기와 달리 양력을 발생시키는 날개가 없기 때문에 로터의 회전이 멈출경우, 추락을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한국등록특허 제10-1870607호 "헬리콥터용 비상 낙하산 산개 장치"와 같은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방향의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70607호 "헬리콥터용 비상 낙하산 산개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추락하는 드론을 안전하게 착륙시키기 위한 드론용 비상 낙하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추락하는 드론의 추락 위치 및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드론용 비상 낙하산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비상 낙하산은 드론에 설치되는 낙하산 적재부와 상기 낙하산 적재부에 수납되는 낙하산과 상기 낙하산 적재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낙하산 적재부 내부에 배치되어 고압 질소백의 팽창작용을 통해 커버를 개방시키면서 낙하산을 산개시키기 위한 산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낙하산 적재부는 낙하산의 양측에 연결되는 방향줄의 장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향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향 제어부는 모터의 회전을 통해 방향줄을 감거나, 풀어주는 방법으로 방향줄의 장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속도 센서 및 전복감지센서를 통해 드론의 비행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낙하산 산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비상 낙하산에 의하면, 드론의 추락이 감지되면, 낙하산을 산개시켜 추락하는 드론을 안전하게 착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비상 낙하산에 의하면, 산개된 낙하산의 양측에 연결된 방향줄의 장력을 제어하여 추락하는 드론의 추락 위치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비상 낙하산이 전개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비상 낙하산을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비상 낙하산이 전개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비상 낙하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비상 낙하산은 드론(100)의 추락이 감지되거나, 사용자의 원격 조작 신호가 수신되면, 드론(100)에 설치되는 낙하산 적재부(1)에 수납된 낙하산(2)을 산개시켜 드론(100)을 안전하게 착륙시키기 된다.
이때, 낙하산(2)의 양측에 연결되는 방향줄(5)의 장력을 제어하여 추락하는 드론(100)의 추락 위치 및 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100)에 설치되는 낙하산 적재부(1)와 상기 낙하산 적재부(1)에 수납되는 낙하산(2)과 상기 낙하산 적재부(1)를 덮는 커버(3)와 상기 낙하산 적재부(1) 내부에 배치되어 커버(3)를 개방시키면서 낙하산을 산개시키기 위한 산개부(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산개부(4)는 고압 질소백으로 구성되어 고압 질소백의 팽창 작용을 통해 낙하산(2)을 밀러 커버(3)를 개방시키면서 낙하산(2)을 낙하산 적재부(1)로부터 토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고압 질소백을 대신하여 비 화염성 화약의 폭발작용을 통해 낙하산(2)을 토출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낙하산 적재부(1)의 내부에는 낙하산(2)의 양측에 연결되는 방향줄(5)의 장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향 제어부(6)가 배치되어 낙하산(2)이 산개된 후, 상기 방향 제어부(6)가 산개된 낙하산(2)의 양측에 연결된 방향줄(5)의 장력을 제어하여 낙하산(2)을 통해 체공하는 방향을 제어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방향 제어부(6)는 양측에 개별적인 모터가 배치되어 모터의 회전을 통해 각 방향줄(5)을 감거나, 풀어주는 방법으로 방향줄(5)의 장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양측으로 회전축이 돌출된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되, 양측 회전축에 방향줄(5)이 권취되는 방향을 달리하여 모터의 회전 시 양측 방향줄(5)이 반대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일측 방향줄(5)은 감기고, 타측 방향줄(5)은 풀리는 형태로 동작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낙하산(2)의 산개 동작은 사용자가 원격 제어로 낙하산(2)을 산개시키는 명령을 송신하면, 이 명령을 수신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별도의 비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고, 모니터링부에 의해 자동으로 실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는 가속도 센서 및 전복감지센서를 통해 드론의 비행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기 설정된 낙하산 산개 조건과 비교 연산하여 낙하산 산개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 : 낙하산 적재부
2 : 낙하산
3 : 커버
4 : 산개부
5 : 방향줄
6 : 방향 제어부
100 : 드론

Claims (4)

  1. 드론에 설치되는 낙하산 적재부와;
    상기 낙하산 적재부에 수납되는 낙하산과;
    상기 낙하산 적재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낙하산 적재부 내부에 배치되어 고압 질소백의 팽창작용을 통해 커버를 개방시키면서 낙하산을 산개시키기 위한 산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비상 낙하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산 적재부는
    낙하산의 양측에 연결되는 방향줄의 장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향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비상 낙하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제어부는
    모터의 회전을 통해 방향줄을 감거나, 풀어주는 방법으로 방향줄의 장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비상 낙하산.
  4. 제 1항에 있어서,
    가속도 센서 및 전복감지센서를 통해 드론의 비행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낙하산 산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비상 낙하산.

KR1020220011435A 2022-01-26 2022-01-26 드론용 비상 낙하산 KR202301150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435A KR20230115000A (ko) 2022-01-26 2022-01-26 드론용 비상 낙하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435A KR20230115000A (ko) 2022-01-26 2022-01-26 드론용 비상 낙하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000A true KR20230115000A (ko) 2023-08-02

Family

ID=87566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435A KR20230115000A (ko) 2022-01-26 2022-01-26 드론용 비상 낙하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500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607B1 (ko) 2017-03-29 2018-06-25 선진정공 주식회사 헬리콥터용 비상 낙하산 산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607B1 (ko) 2017-03-29 2018-06-25 선진정공 주식회사 헬리콥터용 비상 낙하산 산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44401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and system and method for capture of threat uavs
EP3611096B1 (en) Flight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ight vehicle
US9789969B2 (en) Impact protection apparatus
JP7053450B2 (ja) 無人飛行体
US11919650B2 (en) Multimodal aircraft recovery system
JP6085520B2 (ja) 遠隔操縦式無人飛行体
CN110312657A (zh) 一种设有辅助飞行组件的飞行器
US20180011487A1 (en) Automated aircraft recovery system
KR20200120221A (ko) 추락 방지 드론
KR20190142530A (ko) 드론의 추락 방지 장치 및 방법
CN111511643A (zh) 无人驾驶航空器的有效载荷耦合装置和有效载荷递送方法
US10981657B2 (en) Multi-rocket parachute deployment system
JP2018095051A (ja) 無人航空機
WO2023181029A1 (en) Damage mitigating apparatus and method
WO2021161685A1 (ja) 飛行装置およびパラシュート装置
KR20230115000A (ko) 드론용 비상 낙하산
KR102005414B1 (ko) 드론 장치
US20240166382A1 (en) Drone parachute systems for delivery or recovery
KR101843376B1 (ko) 낙하산이 구비된 무인 비행체
JP7360921B2 (ja) パラシュート装置及び飛行装置
JP7084892B2 (ja) 無人飛行体
JP7440550B2 (ja) ドローン及びドローンの制御方法
JP6592677B1 (ja) 無人航空機
JP2022125239A (ja) 飛行装置、飛行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209927A (ja) 飛行装置、飛行方法及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