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4117A -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4117A
KR20230114117A KR1020220010288A KR20220010288A KR20230114117A KR 20230114117 A KR20230114117 A KR 20230114117A KR 1020220010288 A KR1020220010288 A KR 1020220010288A KR 20220010288 A KR20220010288 A KR 20220010288A KR 20230114117 A KR20230114117 A KR 20230114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
susceptor
heating device
aerosol generato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0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4327B1 (ko
Inventor
제종성
박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Priority to KR1020220010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327B1/ko
Publication of KR20230114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4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3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로졸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에서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의 직경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는 파이프 형태의 하우징과;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는, 릴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서셉터와;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며, 서셉터의 외면에 설치되는 히터;를 포함하되, 상기 릴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서셉터의 세로 끝단에 가이드 핀을 구비하고, 상기 서셉터와 히터를 서셉터 내측으로 중공이 형성되게 일부 구간이 이중으로 겹쳐지게 말아서 궐련 삽입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 핀의 이동에 의해 궐련 삽입 공간의 직경이 확대 또는 축소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HEATING DEVICE OF AEROSOL GENERATOR}
본 발명은 에어로졸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에서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의 직경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은 대기 중에 부유상태로 존재하는 액체 또는 고체의 작은 입자로 보통 0.001 ~ 1.0 ㎛의 크기를 갖는다. 특히 여러 종류의 궐련으로부터 유래하는 에어로졸을 사람이 흡입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발생장치(100)에는 궐련(10)이 삽입되는 공동(20)이 구비되며, 에어로졸 발생장치(100)에 삽입된 궐련(10)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공동(20) 외주에는 파이프 형태의 히터(30)가 구비된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장치(100)에는 히터(3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40)와, 이 배터리(40)로부터 히터(3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40)로부터 히터(30)에 전력을 공급하여 히터(30)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궐련(10)이 가열되어 궐련(10) 내의 에어로졸 발생기질로부터 에어로졸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발생장치에 삽입되는 궐련은 소비자의 기호에 맞도록 궐련의 크기와 성분 함량의 차이가 있도록 여러 종류의 궐련이 제작되며, 에어로졸 발생장치는 한 종류의 궐련만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이 설계되어 있으므로, 궐련의 사이즈(Size)가 다른 궐련으로 변경해서 궐련을 사용할 경우 변경하는 궐련에 해당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추가로 구매해야 하고, 사이즈가 다른 여러 종류의 궐련을 사용하는 경우 해당 궐련에 맞는 여러개의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할 수 있는 궐련 사이즈 선택 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에서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의 직경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는 파이프 형태의 하우징과;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는, 릴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서셉터(Susceptor)와;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며, 서셉터의 외면에 설치되는 히터;를 포함하되, 상기 릴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서셉터의 세로 끝단에 가이드 핀을 구비하고, 상기 서셉터와 히터를 서셉터 내측으로 중공이 형성되게 일부 구간이 이중으로 겹쳐지게 말아서 궐련 삽입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 핀의 이동에 의해 궐련 삽입 공간의 직경이 확대 또는 축소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파이프 형태의 하우징의 내측에는 서셉터에 구비된 가이드 핀이 이동하는 통로와, 가이드 핀이 안착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서셉터의 재질은 탄성력이 있는 SWPB, SUS304WPB, SUS316, 인청동선(PBW), 동선, 경강선(SW-C), 강선, 철선, 연강선재, 스탠강선, 인코넬(Incone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궐련 삽입 공간이 형성된 서셉터의 하단에는 승하강 모듈이 끼워져 설치된다.
여기서, 승하강 모듈은 팝업 부재와, 팝업 부재를 감싸게 설치되는 팝업 가이드와, 팝업 가이드의 내측에서 팝업 부재에 끼워져 설치되는 스프링과, 팝업 가이드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팝업 부재에는 상측단과 하측단이 절곡된 팝업 핀과, 상기 팝업 부재의 누르는 힘에 따라 상기 팝업 핀이 안내 되어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궤도와, 상기 궤도에 형성되어 상기 팝업 핀의 상측단이 안착되는 복수의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마개에는 상기 팝업 핀의 하측단이 끼워지는 홈을 구비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팝업 가이드의 하부와 하부 마개 사이에는 하부 러버가 설치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팝업 가이드에는 홀이 형성되고, 홀을 통해 스토퍼가 끼워져 팝업 가이드 내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팝업 부재에는 상기 스토퍼가 상하로 이동되게 안내하는 통로가 형성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하부 마개와 팝업 부재에는 기류 통로가 형성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히터는 유도 가열 코일로 제공되고, 릴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서셉터는 탄성력을 갖는 자성 금속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로졸 발생장치에서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의 직경과 길이를 조절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궐련 사이즈 선택 범위를 넓힐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며, 휴대가 간편하고, 편의성을 높힐 수 있다.
또한, 궐련을 서셉터에 최대한 밀착시킬 수 있어서, 열 전달이 신속히 이루어지고, 히터의 온도를 줄일 수 있어서, 소비 전류를 감소시켜 제한적 배터리 용량에서 사용 시간 및 사용 횟수가 증가되고, 내부 발열로 인한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궐련의 중심으로 열 전달이 신속히 이루어짐으로써, 예열 시간을 단축하고, 에어로졸을 빠른 시간 내에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의 조립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에서 승하강 모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가 조립된 상태를 단면도에 의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에서 궐련 삽입 공간의 직경이 조절되는 구성을 서셉터와 히터의 평면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에서 궐련 삽입 공간의 직경이 조절되는 구성을 평면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에서 승하강 모듈을 단면도에 의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에서 승하강 모듈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에서 승하강 모듈의 궤도와 고정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의 조립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에서 승하강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가 조립된 상태를 단면도에 의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에서 궐련 삽입 공간의 직경이 조절되는 구성을 서셉터와 히터의 평면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에서 궐련 삽입 공간의 직경이 조절되는 구성을 평면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1000)는 파이프 형태의 하우징(1100)과, 하우징(1100) 내측에 구비되는, 릴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서셉터(1200)와, 하우징(1100) 내측에 구비되며, 서셉터(1200)의 외면에 설치되는 히터(1300)를 포함하되, 상기 릴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서셉터(1200)의 세로 끝단에 가이드 핀(1210)을 구비하고, 상기 서셉터(1200)와 히터(1300)를 서셉터(1200) 내측으로 중공이 형성되게 일부 구간이 이중으로 겹쳐지게 말아서 궐련 삽입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 핀(1210)의 이동에 의해 궐련 삽입 공간의 직경이 확대 또는 축소된다.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1100)의 내측에서 히터(1300)의 상부에 끼워져 설치되는 오링(1400)과 서셉터(1200) 및 히터(13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공이 형성된 상단 부재(1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궐련 삽입 공간이 형성된 서셉터(1200)의 하부에는 승하강 모듈(1600)이 끼워져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는 (가), (나), (다)의 순으로 조립되며, (가)에 해당하는 구성은 승하강 모듈(1600)로서 승하강 모듈(1600)은 팝업 부재(1610)와, 팝업 부재(1610)를 감싸게 설치되는 팝업 가이드(1620)와, 팝업 가이드(1620)의 내측에서 팝업 부재(1610)에 끼워져 설치되는 스프링(1630)과, 팝업 가이드(1620)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마개를 포함한다. (나)에 해당하는 구성은 각각 서셉터(1200)와 히터(1300), 오링(1400), 상단 부재(1500)를 보여주며, (다)에 해당하는 구성은 파이프 형태의 하우징(1100)이다. 실시예에 따라 팝업 가이드(1620)에는 홀(1621)이 형성되고, 홀(1621)을 통해 스토퍼(1670)가 끼워져 팝업 가이드(1620) 내부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1000)의 각각의 구성이 수직으로 배열되어 나타나 있는데 조립 순서는 하부 마개(1660)부터 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조립되어 최종적으로 파이프 형태의 하우징(1100)이 조립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승하강 모듈(1600)이 조립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 (가)의 A-A선의 단면도가 도 5 (나)이고, 도 5 (나)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1000)에서 하우징(1100)의 내측에서 오링(1400)이 히터(1300)의 상부에 끼워져 설치되어 있으며, 중공이 형성된 상단 부재(1500)는 오링(1400)과 서셉터(1200)에 결합되어 있고, 궐련 삽입 공간이 형성된 서셉터(1200)의 하부에는 승하강 모듈(1600)이 끼워져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서셉터(1200)의 세로 끝단에 구비된 가이드 핀(1210)은 상단과 하단이 파이프 형태의 하우징(11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 5의 (나)의 점선 부분의 확대 도면을 보면 하우징(1100) 내측에서 서셉터(1200)의 외면에 히터(1300)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1000)가 조립된 상태에서 궐련을 상단 부재(1500)에 형성된 중공을 통해 서셉터(1200)에 형성된 궐련 삽입 공간으로 삽입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서셉터(1200)는 릴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서셉터(1200)의 세로 끝단에 가이드 핀(1210)을 구비한다. 서셉터(1200) 및 서셉터(1200)의 외면에 설치된 히터(1300)는 서셉터(1200) 내측으로 중공이 형성되어 궐련 삽입 공간이 형성되도록 말아져 있는데, 일부 구간이 이중으로 겹쳐지게 말아져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대로 가이드 핀(1210)은 파이프 형태의 하우징(1100)의 외부로 상단과 하단이 돌출되어 있으며, 가이드 핀(1210)을 이동시켜 궐련 삽입 공간의 직경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 방향으로 가이드 핀(1210)을 이동시키면 궐련 삽입 공간의 직경이 축소되게 되고, (B) 방향으로 가이드 핀(1210)을 이동시키면 궐련 삽입 공간의 직경이 확대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1000)가 조립된 상태에서 파이프 형태의 하우징(1100)의 내측에는 서셉터(1200)에 구비된 가이드 핀(1210)이 이동하는 통로(1110)와, 가이드 핀(1210)이 안착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1210)를 포함한다.
도 7의 (가)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가이드 핀(1210)을 통로(1110)를 통해 이동시키고, 걸림부(1210)에 안착시켜 궐련 삽입 공간의 직경을 축소시킬 수 있으며, 도 7의 (나)를 참조하면, 걸림부(1210)가 복수개 포함되어 있어서, 가이드 핀(1210)을 통로(1110)를 통해 이동시키고, 복수개의 걸림부(1210) 중 어느 하나에 안착시켜 궐련 삽입 공간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릴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서셉터(1200)의 재질은 탄성력이 있는 SWPB, SUS304WPB, SUS316, 인청동선(PBW), 동선, 경강선(SW-C), 강선, 철선, 연강선재, 스탠강선, 인코넬(Incone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에서 승하강 모듈을 단면도에 의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에서 승하강 모듈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에서 승하강 모듈의 궤도와 고정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궐련 삽입 공간이 형성된 서셉터(12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승하강 모듈(1600)은 팝업 부재(1610)와, 팝업 부재(1610)를 감싸게 설치되는 팝업 가이드(1620)와, 팝업 가이드(1620)의 내측에서 팝업 부재(1610)에 끼워져 설치되는 스프링(1630)과, 팝업 가이드(1620)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마개(1660)를 포함한다. 또한, 팝업 부재(1610)에는 상측단과 하측단이 절곡된 팝업 핀(1611)과, 팝업 부재(1610)의 누르는 힘에 따라 팝업 핀(1611)이 안내 되어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궤도(1612)와, 궤도(1612)에 형성되어 팝업 핀(1611)의 상측단이 안착되는 복수의 고정홈(1613)을 구비하고, 하부 마개(1660)에는 팝업 핀(1611)의 하측단이 끼워지는 홈(1661)을 구비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의 (가) A-A선 단면도가 도 8의 (나)이고, 실시예에 따라 팝업 가이드(1620)의 하부와 하부 마개(1660) 사이에는 하부 러버(1650)가 설치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팝업 가이드(1620)에는 홀(1621)이 형성되고, 홀(1621)을 통해 스토퍼(1670)가 끼워져 팝업 가이드(1620) 내부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또한, 팝업 부재(1610)에는 스토퍼(1670)가 상하로 이동되게 안내하는 통로(1614)가 형성된다.
도 9의 (가)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미도시한 궐련에 의해 팝업 부재(1610)의 하방으로 힘이 가해지면, 팝업 부재(1610)가 스프링(1630)의 탄성을 극복하고 팝업 부재(1610)의 상부가 스토퍼(167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 때까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팝업 핀(1611)의 하측단이 하부 마개(1660)에 구비된 홈(1661)에 끼워진 상태에서 팝업 부재(1610)의 누르는 힘에 따라 팝업 핀(1611)의 상측단이 복수의 고정홈(1613) 중 궤도(1612)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1613)으로부터 이탈하여 팝업 핀(1611)의 상측단이 화살표에 표시된 대로 궤도(1612)에 의해 안내되어 복수의 고정홈(1613) 중 궤도(1612) 상부에 형성된 고정홈(1613)에 안착됨으로써 팝업 부재(1610)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9의 (나)를 참조하면, 팝업 핀(1611)의 상측단이 궤도(1612) 상부에 형성된 고정홈(1613)에 안착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미도시한 궐련에 의해 팝업 부재(1610)의 하방으로 힘이 가해지면, 팝업 핀(1611)의 하측단이 하부 마개(1660)에 형성된 홈(16610)에 끼워진 상태에서 팝업 부재(1610)의 누르는 힘에 따라 복수의 고정홈(1613) 중 궤도(1612) 상부에 형성된 고정홈(1613)에 안착되어 있던 팝업 핀(1611)의 상측단이 궤도(1612) 상부에 형성된 고정홈(1613)으로부터 이탈하여 화살표에 표시된 대로 궤도(1612)에 의해 안내되어 궤도(1612)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1613)에 안착되고, 스프링(1630)의 탄성력에 의해 팝업 부재(1610)가 상승하게 되어 팝업 부재(1610)가 승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스프링(1630)의 탄성력은 궐련에 의해 팝업 부재(1610)가 눌러질 수 있을 정도의 탄성력을 갖는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궐련 삽입 승하강 모듈(1600)에서 하부 마개(1660)와 팝업 부재(1610)에는 미도시된 기류 통로가 형성되어,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1000)가 조립된 상태에서 기류 통로를 통해 공기가 하부 마개(1660)와 팝업 부재(1610)에 형성된 기류 통로를 통해 서셉터(1200) 내에 수용된 궐련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의 (가)의 A-A선 단면도가 도 10의 (나)이고, 도 10의 (나)를 참조하면, 궤도(1612)는 위치에 따라 깊이가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가), (나), (다)를 참조하면, 궤도(1612)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가 가능하며, 궤도(1612)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1613)도 그 위치 및 갯수를 다양하게 선택하여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1000)에서 히터(1300)는 유도 가열 코일로 제공되고, 릴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서셉터(1200)는 탄성력을 갖는 자성 금속을 포함한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장치에 구비될 수 있는 궐련 사이즈별 버튼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에어로졸 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제어부가 선택된 버튼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궐련 사이즈별 기설정된 대로 배터리로부터 유도 가열 코일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여 유도 가열 코일의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9)

  1. 에어로졸 발생장치에 있어서,
    파이프 형태의 하우징과;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는, 릴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서셉터와;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며, 서셉터의 외면에 설치되는 히터;를 포함하되,
    상기 릴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서셉터의 세로 끝단에 가이드 핀을 구비하고, 상기 서셉터와 히터를 서셉터 내측으로 중공이 형성되게 일부 구간이 이중으로 겹쳐지게 말아서 궐련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파이프 형태의 하우징의 내측에는 서셉터에 구비된 가이드 핀이 이동하는 통로와, 가이드 핀이 안착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서셉터의 재질은 탄성력이 있는 SWPB, SUS304WPB, SUS316, 인청동선(PBW), 동선, 경강선(SW-C), 강선, 철선, 연강선재, 스탠강선, 인코넬(Incone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궐련 삽입 공간이 형성된 서셉터의 하단에는 승하강 모듈이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승하강 모듈은 팝업 부재와, 팝업 부재를 감싸게 설치되는 팝업 가이드와, 팝업 가이드의 내측에서 팝업 부재에 끼워져 설치되는 스프링과, 팝업 가이드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팝업 부재에는 상측단과 하측단이 절곡된 팝업 핀과, 상기 팝업 부재의 누르는 힘에 따라 상기 팝업 핀이 안내 되어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궤도와, 상기 궤도에 형성되어 상기 팝업 핀의 상측단이 안착되는 복수의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마개에는 상기 팝업 핀의 하측단이 끼워지는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팝업 가이드의 하부와 하부 마개 사이에는 하부 러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7. 제5항에 있어서,
    팝업 가이드에는 홀이 형성되고, 홀을 통해 스토퍼가 끼워져 팝업 가이드 내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팝업 부재에는 상기 스토퍼가 상하로 이동되게 안내하는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8. 제5항에 있어서,
    하부 마개와 팝업 부재에는 기류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히터는 유도 가열 코일로 제공되고, 릴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서셉터는 탄성력을 갖는 자성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KR1020220010288A 2022-01-24 2022-01-24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KR102614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288A KR102614327B1 (ko) 2022-01-24 2022-01-24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288A KR102614327B1 (ko) 2022-01-24 2022-01-24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117A true KR20230114117A (ko) 2023-08-01
KR102614327B1 KR102614327B1 (ko) 2023-12-15

Family

ID=87561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288A KR102614327B1 (ko) 2022-01-24 2022-01-24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3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650A (ko) * 2017-09-07 2019-03-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10010448A (ko) * 2018-05-17 2021-01-27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개선된 인덕터 코일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CN112385897A (zh) * 2020-11-30 2021-02-23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卷烟用容纳装置及具有该装置的加热不燃烧器具
KR20220003335A (ko) * 2020-07-01 2022-01-1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서셉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650A (ko) * 2017-09-07 2019-03-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10010448A (ko) * 2018-05-17 2021-01-27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개선된 인덕터 코일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20003335A (ko) * 2020-07-01 2022-01-1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서셉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12385897A (zh) * 2020-11-30 2021-02-23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卷烟用容纳装置及具有该装置的加热不燃烧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4327B1 (ko) 2023-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6769B2 (ja) タバコ加熱装置及び電子タバコ
KR102183863B1 (ko) 발열영역을 조절 가능한 에어로졸 생성장치
US2342716A (en) Steam iron
KR20230114117A (ko)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팅 디바이스
KR102412630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EP1680252B1 (en) Temperature self-regulating soldering iron with removable tip
JPH0773069B2 (ja) 形状記憶合金製の駆動手段を備えた多接点電気コネクタ
CN101294474A (zh) 可加热的窗户
JP2009043696A (ja) 温度制御による磁力式スイッチ
CN107044561B (zh) 可控温的燃气阀体装置
US20240057227A1 (en) Induction Heating Assembly
EP096540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iveting plastics parts
US2764665A (en) Electric heating appliances
CN106134286A (zh) 感应加热装置
JPH05290960A (ja) 電気加熱装置
US1941678A (en) Electric gasifier
US2098195A (en) Solenoid
CN109820245A (zh) 一种加热不燃烟具
US2640130A (en) Thermostat
FR2847115A1 (fr) Dispositif inducteur pour foyer de cuisson par induction
US3209106A (en) Thermoresponsive switch for electrically energizable surface heater
JP2023522215A (ja) 複数の誘導コイルのための摺動接点を有するエアロゾル発生装置
KR20220154465A (ko) 이중 히터를 구비하는 유도 가열 히터
US1012669A (en) Electric-heating apparatus.
US2915612A (en) Temperature-controlled enclosure for dual electrical compon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