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3797A - 촬영 방법 및 장치, 전자기기 및 판독가능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촬영 방법 및 장치, 전자기기 및 판독가능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3797A
KR20230113797A KR1020237022186A KR20237022186A KR20230113797A KR 20230113797 A KR20230113797 A KR 20230113797A KR 1020237022186 A KR1020237022186 A KR 1020237022186A KR 20237022186 A KR20237022186 A KR 20237022186A KR 20230113797 A KR20230113797 A KR 20230113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area
input
control
foc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2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더자오 린
치하오 양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13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79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5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comprising setting of focusing reg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촬영 방법 및 장치, 전자기기 및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개시하며, 촬영 분야에 속한다. 여기서, 해당 방법은, 촬영 인터페이스의 제1 영역에 다수의 컨트롤을 표시하는 단계 - 카메라의 수는 다수이고, 각 상기 컨트롤은 하나의 상기 카메라에 대응되고, 다수의 상기 컨트롤은 제1 타겟 컨트롤을 포함함 - ;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촬영 인터페이스의 제2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됨 - ;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2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촬영 방법 및 장치, 전자기기 및 판독가능 저장 매체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12월 04일자로 중국에서 출원한 중국 특허출원 No.202011410508.0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부 내용이 원용을 통해 본원에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출원은 촬영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촬영 방법 및 장치, 전자기기 및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다중 카메라가 탑재된 기기에 있어서, 촬영 과정에서 모두 대응되는 카메라를 먼저 자동으로 인식하고 결정한 다음, 미리보기 상자를 탭하는 것을 통해 포커싱한다. 사용자가 기타 카메라를 선택해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촬영 인터페이스의 메뉴 바에서 해당 촬영 모드, 즉 해당 카메라를 선택해야 한다. 그러나, 매번 촬영 모드가 변경될 때마다 한 유형의 카메라를 선택하여 촬영할 수밖에 없으며, 다수의 촬영 대상이 있고 다수의 촬영 대상들로부터 카메라까지의 거리가 상이한 경우, 어느 한 촬영 모드를 통해 촬영하면 촬영 대상들 중 일부에 대해서만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종래기술에서 다중 카메라의 기기로 촬영하는 과정에서 카메라를 변경하여 촬영하려면 변경 방식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포커싱 효과도 좋지 않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목적은 종래기술에서 다중 카메라의 기기로 촬영하는 과정에서 카메라를 변경하여 촬영하려면 변경 조작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포커싱 효과도 좋지 않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촬영 방법 및 장치, 전자기기 및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은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제1 양상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촬영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촬영 인터페이스의 제1 영역에 카메라와 대응되는 다수의 컨트롤을 표시하는 단계 - 상기 카메라의 수는 다수이고, 각 상기 컨트롤은 하나의 상기 카메라에 대응되고, 다수의 상기 컨트롤은 제1 타겟 컨트롤을 포함함 - ;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촬영 인터페이스의 제2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됨 - ;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2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2 양상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촬영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촬영 인터페이스의 제1 영역에 다수의 컨트롤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1 표시 모듈 - 카메라의 수는 다수이고, 각 상기 컨트롤은 하나의 상기 카메라에 대응되고, 다수의 상기 컨트롤은 제1 타겟 컨트롤을 포함함 - ; 제1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 -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촬영 인터페이스의 제2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됨 - ;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2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포커싱 모듈; 을 포함한다.
제3 양상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해당 전자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양상에 의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4 양상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양상에 의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5 양상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칩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칩은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결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제1 양상에 의한 방법을 구현한다.
제6 양상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비일시적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제1 양상에 의한 방법을 구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입력을 통해, 촬영 인터페이스의 제1 영역에 표시된 다수의 컨트롤 중의 제1 타겟 컨트롤을 촬영 인터페이스의 제2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나아가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직접 입력을 통해 해당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선택하여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으며, 현재 촬영 인터페이스에 다수의 타겟 대상이 있는 경우, 다수의 컨트롤을 선택하여 각각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어, 상이한 촬영 모드 간에서 이리저리 전환할 필요 없이 각 타겟 대상에 대한 정확한 포커싱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촬영 효과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다중 카메라 기기를 통해 촬영하는 사용자의 경험 효과를 향상시켜, 종래기술에서 다중 카메라의 기기로 촬영하는 과정에서 카메라를 변경하여 촬영하려면 변경 조작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포커싱 효과도 좋지 않은 문제를 해결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과정에서의 촬영 인터페이스의 개략도 1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과정에서의 포커싱 개략도 1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과정에서의 포커싱 개략도 2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과정에서의 포커싱 개략도 3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과정에서의 포커싱 개략도 4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과정에서의 포커싱 개략도 5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과정에서의 포커싱 개략도 6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과정에서의 포커싱 개략도 7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과정에서의 촬영 인터페이스의 개략도 2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과정에서의 촬영 인터페이스의 개략도 3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카메라를 제어하여 패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전자기기의 하드웨어 구조 개략도 1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전자기기의 하드웨어 구조 개략도 2이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안에 대해 명확하고 온전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는 본 출원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에 불과함이 분명하다. 본 분야의 일반 기술자가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노력 없이 얻은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1’, ‘제2’ 등 용어는 유사한 대상을 구별하는 데 사용되며, 특정 순서나 선후 순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될 필요는 없다. 이렇게 사용된 데이터는 적절한 상황에서 서로 교환되어 본 출원의 실시예가 여기에 도시되거나 설명된 것 외의 다른 순서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하며, ‘제1’, ‘제2’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유형의 대상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대상의 수를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대상은 하나이거나 다수일 수 있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 ‘및/또는’은 연결된 대상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고, 부호 ‘/’는 일반적으로 앞뒤의 연관 대상이 ‘또는’의 관계임을 나타낸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에 결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 및 이의 적용 시나리오를 통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촬영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방법의 흐름도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S102: 촬영 인터페이스의 제1 영역에 다수의 컨트롤을 표시하되, 여기서, 카메라의 수는 다수이고, 각 컨트롤은 하나의 카메라에 대응되며, 다수의 컨트롤은 제1 타겟 컨트롤을 포함한다.
단계 S104: 제1 입력을 수신하되, 여기서, 제1 입력은 촬영 인터페이스의 제2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제1 타겟 컨트롤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계 S106: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제2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한다.
상기 단계 S102 내지 단계 S106을 통해, 제1 입력을 통해, 촬영 인터페이스의 제1 영역에 표시된 다수의 컨트롤 중의 제1 타겟 컨트롤을 촬영 인터페이스의 제2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나아가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직접 입력을 통해 해당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선택하여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으며, 현재 촬영 인터페이스에 다수의 타겟 대상이 있는 경우, 다수의 컨트롤을 선택하여 각각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어, 상이한 촬영 모드 간에서 이리저리 전환할 필요 없이 각 타겟 대상에 대한 정확한 포커싱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촬영 효과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다중 카메라 기기를 통해 촬영하는 사용자의 경험 효과를 향상시켜, 종래기술에서 다중 카메라의 기기로 촬영하는 과정에서 카메라를 변경하여 촬영하려면 변경 조작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포커싱 효과도 좋지 않은 문제를 해결한다.
각 카메라는 동시에 하나의 타겟 대상에 대해서만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하며, 사용자가 특정 카메라를 사용한 후 여전히 해당 컨트롤을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제1 타겟 컨트롤은 제1 영역에서 제2 영역으로 이동한 후, 제2 영역 내의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한 후 사라진다. 물론, 제1 타겟 컨트롤이 제1 영역에서 제2 영역으로 이동된 후, 제1 타겟 컨트롤의 아이콘을 투명하고 터치가 불가능한 아이콘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입력 조작, 예를 들어 제1 입력, 제2 입력 등은 기기 화면에서의 슬라이딩 조작과 같은 상이한 터치 조작일 수 있다. 또는, 기기 화면에서 제1 입력에 대응되는 이중 탭, 제2 입력에 대응되는 삼중 탭과 같은 상이한 탭 조작일 수 있다. 또는, 기기의 운동 궤적을 검출함으로써 대응되는 제1 입력, 제2 입력 등을 결정할 수 있으며, 즉 상이한 운동 궤적은 상이한 입력에 대응된다. 본 출원에서는 제1 입력, 제2 입력 및 후속 기타 입력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제1 영역은 촬영 인터페이스의 상단, 측면 또는 하단에 배치되는 고정 영역이거나, 촬영 인터페이스의 상단, 측면 또는 하단에 배치되는 팝업 가능한 창일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고, 실제 상황에 따라 해당 배치를 할 수 있으며, 제2 영역은 촬영 인터페이스의 미리보기 상자 내에 위치하고, 구체적인 위치는 촬영하고자 하는 타겟 대상에 의해 결정되며, 다시 말해서, 제2 영역에는 타겟 대상이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제1 영역이 촬영 인터페이스의 하단에 배치되고 촬영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의 상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며,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컨트롤은 제1 영역 내에서 링으로 표시되고, 상이하게 채워진 링은 상이한 카메라와 대응되는 컨트롤을 의미하며, 제1 영역의 하방에는 사용자가 촬영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전면과 후면 카메라를 전환하기 위한 컨트롤 및 이미지 미리보기 컨트롤이 있으며, 도 2에서 제1 영역은 서랍 형태로 표시되며, 물론 해당 제1 영역은 기타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본 출원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출원의 단계 S104에서 언급된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방식은, 진일보로 다음 단계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04-11: 제1 입력에 기초하여 제1 타겟 컨트롤을 촬영 인터페이스의 제2 영역으로 이동한다.
단계 S104-12: 제1 입력에 의해 선택된 촬영 타겟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제1 타겟 컨트롤을 결정하고, 제1 타겟 컨트롤을 제1 영역에서 제2 영역으로 이동한다.
상기 단계 S104-11과 단계 S104-12를 통해 알 수 있다시피,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계 S104-11에 있어서, 제1 입력이 슬라이딩 조작일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조작을 통해 제1 타겟 컨트롤을 제2 영역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으며, 즉, 슬라이딩 조작을 통해 대응되는 컨트롤을 선택하여 대응되는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104-11에서의 제1 영역은 특정 촬영 타겟의 하방에 있을 수도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가 감지한 터치 조작(제1 입력)에 대응되는 이동 명령에 기초하여 제1 타겟 컨트롤을 제1 영역에서 제2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고, 해당 제1 타겟 컨트롤은 제1 영역 내의 임의의 컨트롤일 수 있으며, 여기서 도 4에서 ‘×’로 표시된 컨트롤은 포커싱 조작을 취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고, 물론 기타 적용 시나리오에서 기타 방식을 사용하여 포커싱 조작을 취소할 수도 있으며, 상기 도 4에서의 방식은 예를 들어 설명한 것 뿐이다.
단계 S104-12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인터페이스의 타겟 버튼 ‘인물 사진 포커싱’을 탭하는 것을 통해 자동 포커싱을 구현하며, 즉 상이한 대상에 대해 상이한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인위적으로 대응되는 컨트롤을 선택하고 나서 포커싱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어떤 방식이든, 모두 상이한 촬영 인터페이스의 상이한 타겟 대상에 대해 상이한 카메라를 사용하여 포커싱을 수행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어, 각 타겟 대상에 대해 모두 정확한 포커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2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08: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완료한 후, 제2 영역 내에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을 투명하게 표시한다.
촬영 타겟에 대한 포커싱을 이미 완료한 경우, 해당 타겟 컨트롤은 촬영 인터페이스 내에서 투명하게 표시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인터페이스의 미리보기 상자 내의 3개의 타겟 대상은 모두 포커싱을 완료하였고, 이에 대응되는 컨트롤은 타겟 대상이 위치한 영역에서 투명한 방식으로 표시되며, 해당 컨트롤의 투명도는 수요에 따라 설정되거나, 디폴트로 구성될 수 있다. 투명한 방식으로 컨트롤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느 촬영 타겟에 대한 포커싱이 완료되었는지를 쉽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이미 포커싱을 완료한 컨트롤은 촬영 타겟의 위치와 겹치지 않으며, 즉 포커싱을 완료한 컨트롤은 촬영 타겟의 주변에 투명하게 표시되어 촬영 타겟을 가리지 않으므로, 타겟 대상에 대한 해당 카메라의 포커싱 효과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계 S106에서 언급된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제2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10: 제2 입력을 수신하되, 여기서, 해당 제2 입력은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의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 잠금을 취소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계 S112: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타겟 컨트롤을 상기 제1 영역으로 복귀시킨다.
상기 단계 S110과 단계 S112에서의 제2 입력의 경우, 구체적인 적용 시나리오에서는 포커싱 조작을 취소하기 위한 이중 탭 조작 또는 길게 누르기 조작 등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적용 시나리오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인터페이스의 미리보기 상자 내의 우측 상단에 있는 포커싱 완료된 촬영 타겟의 컨트롤에 대해 이중 탭하면 우측 상단에 있는 촬영 타겟에 대한 포커싱이 취소되고, 나아가 해당 제1 타겟 컨트롤을 해당 타겟 대상의 영역 내에서 밖으로 이동하면 해당 제1 타겟 컨트롤은 자동으로 제1 영역으로 복귀하며, 여기서 해당 제1 영역으로 복귀하는 것은, 제1 타겟 컨트롤이 원위치로 복귀하거나, 제1 타겟 컨트롤이 제1 영역의 앞순위의 빈 위치로 복귀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좌측에서 우측으로 차례로 순위가 뒤쳐지는 순서인 경우, 제1 영역의 왼쪽의 빈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다른 일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단계 S106에서 언급된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제2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14: 제3 입력을 수신하되, 여기서, 제3 입력은 촬영 인터페이스의 제3 영역 내로 슬라이딩되도록 제1 타겟 컨트롤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계 S116: 제3 입력에 응답하여,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제3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2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한다.
상기 단계 S114와 단계 S116을 통해, 현재 포커싱 효과가 좋지 않으면, 현재 포커싱 카메라의 선택이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경우 컨트롤과 타겟 대상의 대응관계를 조정할 수 있으며, 즉 해당 타겟 대상의 컨트롤을 기타 타겟 대상의 영역으로 이동하여 기타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에 사용되는 컨트롤은 장초점 카메라에 대응되는데, 포커싱 완료 후, 해당 장초점 카메라가 해당 제1 타겟 대상에 적합하지 않음을 발견하면 제1 타겟 컨트롤을 기타 영역(제3 영역)으로 이동하여 제3 영역 내의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의 포커싱 대상에 대한 조정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다른 일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출원의 단계 S106에서 언급된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제2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18: 제4 입력을 수신하되, 여기서, 제4 입력은 제2 영역 내의 제1 타겟 컨트롤과 제4 영역 내의 제2 타겟 컨트롤의 위치 교환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계 S120: 제4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제4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3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하고, 제2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한다.
상기 단계 S118와 단계 S120을 통해, 현재 포커싱 효과가 좋지 않으면, 현재 포커싱 카메라의 선택이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경우 컨트롤과 타겟 대상의 대응관계를 조정할 수 있으며, 즉 해당 타겟 대상의 컨트롤을 기타 타겟 대상의 영역으로 이동하여 기타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타겟 대상 포커싱에 사용되는 컨트롤이 장초점 카메라에 대응되고, 제2 타겟 대상 포커싱에 사용되는 컨트롤이 단초점 카메라에 대응되는데, 포커싱 완료 후, 해당 장초점 카메라가 해당 제1 타겟 대상에 적합하지 않고 제2 타겟 대상에 적합함을 발견하면, 이에 따라 단초점 카메라도 제2 타겟 대상에 적합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이 경우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취소하고, 나아가 해당 장초점 카메라에 대응되는 컨트롤을 제2 타겟 대상이 위치한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고, 또는, 제2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취소하고, 해당 단초점 카메라에 대응되는 컨트롤을 제1 타겟 대상이 위치한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개의 컨트롤이 겹친 후, 이동되지 않은 컨트롤은 자동으로 이미 이동된 컨트롤의 영역으로 이동하여 포커싱을 수행하고, 이동된 컨트롤은 현재 영역에 머물러 포커싱을 수행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다른 일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출원의 단계 S106에서 언급된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제2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22: 제5 입력을 수신하되, 여기서, 제5 입력은 제1 영역에 표시된 컨트롤 중의 제3 타겟 컨트롤과 제2 영역 내의 제1 타겟 컨트롤의 위치 교환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계 S124: 제5 입력에 응답하여, 제3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계 S122와 단계 S124를 통해, 제5 입력을 수신한 후, 제1 영역과 제2 영역 내의 컨트롤의 교환을 구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영역의 컨트롤을 선택한 후 슬라이딩 조작을 통해 해당 제2 영역의 컨트롤을 제1 영역으로 슬라이딩하여 교체하고자 하는 컨트롤을 덮어씌우면 제1 영역 내의 컨트롤은 자동으로 제2 영역으로 이동하여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하고, 제2 영역의 컨트롤은 제1 영역에 표시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다른 일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출원의 단계 S106에서 언급된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제2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26: 촬영 인터페이스의 모든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완료한 후, 촬영 인터페이스 미리보기에서 포커싱 결과를 표시하되, 여기서, 포커싱 결과에는 컨트롤이 표시되지 않는다.
모든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완료한 후, 미리보기 상자에 포커싱 후 타겟 대상의 표시 효과를 표시할 수 있지만, 해당 포커싱 결과에는 컨트롤이 타겟 대상의 표시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컨트롤이 표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촬영 인터페이스의 제1 영역에 다수의 컨트롤을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28: 제6 입력을 수신하되, 여기서, 제6 입력은 숨겨진 컨트롤을 표시하기 위해 제1 영역 내의 컨트롤을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단계 S128에 기초하여, 기기의 카메라가 비교적 많고, 즉 대응되는 컨트롤도 비교적 많을 경우, 현재 표시 영역에 모든 컨트롤을 배치할 수 없을 정도로 많으면, 일부 컨트롤을 숨겨야 하며, 일부 컨트롤이 숨겨지면 제6 입력(예를 들어, 슬라이딩 조작)을 통해 제1 영역 내의 컨트롤을 슬라이딩하여 숨겨진 컨트롤을 표시할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입력에 응답하여 오른쪽으로 슬라이딩하면, 대응되는 컨트롤을 표시하고, 나아가 이전의 컨트롤을 숨길 수 있으며, 물론 왼쪽으로 슬라이딩하여 숨겨진 컨트롤을 표시할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방향은 특정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방향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촬영 인터페이스의 제1 영역에 다수의 컨트롤을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30: 제7 입력을 수신하되, 여기서, 제7 입력은 제2 방향으로 전개되어 다수의 컨트롤을 표시하고 다수의 컨트롤에 대응되는 문자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1 영역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사용자가 각 컨트롤의 역할을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0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영역의 다수의 컨트롤을 전개하여 표시하고, 대응되는 문자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해당 문자 정보는 대응되는 컨트롤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인 적용 시나리오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서랍 상방의 ‘화살표’를 탭하는 것을 통해, 서랍을 완전히 열 수 있으며, 이때 모든 카메라가 표시되고, 카메라 아이콘 하방에는 대응되는 카메라 설명이 있어, 사용자가 상이한 아이콘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간단하고 명확하게 알 수 있으며, 해당 ‘화살표’를 다시 탭하면 자동으로 닫혀진다.
다음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결부하여, 본 출원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어레이 카메라를 기반으로 하며, 다중 카메라의 경우 다수의 카메라를 제어하여 패닝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S1201: 카메라 촬영 미리보기 인터페이스를 연다.
단계 S1202: 미리보기 인터페이스에서 다중 포인트 패닝 모드를 켠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미리보기 인터페이스에서 카메라가 위치한 서랍(상기 제1 영역의 경우)을 미리보기 상자에서 위로 슬라이딩하며, 해당 카메라 서랍에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모든 사용 가능한 어레이 카메라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미리보기 상자 하부에서 살짝 위로 슬라이딩하여, 카메라 서랍을 열고, 동일하게 아래로 슬라이딩하여 서랍을 닫는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의 수가 너무 많은 경우, 사용자는 카메라 서랍을 누르고 좌우로 슬라이딩하여 페이지를 변경하고 카메라에 대응되는 더 많은 컨트롤을 선택할 수 있으며, 페이지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더 많은 상이한 카메라에 대응되는 컨트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향한 ‘작은 화살표’를 눌러 서랍을 완전히 열 수 있고, 이때 모든 카메라에 대응되는 컨트롤이 표시되며, 컨트롤의 아이콘 하방에는 대응되는 카메라 설명이 있어, 사용자가 간단하고 명확하게 상이한 아이콘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이해할 수 있게 한다. 현재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는 카메라는 미리보기 상자의 우측 상방에 표시된다. 이 인터페이스에서도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는 카메라를 단일 탭하거나 아이콘을 길게 눌러 포커싱 잠금용 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선택한 후, 사용자가 미리보기 화면에서 포커싱 타겟을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서랍은 자동으로 닫힌다.
단계 S1203: 단일 탭으로 미리보기용 카메라 변경을 완료한다.
여기서, 해당 단계 S1203에서, 서랍 내의 카메라를 탭하는 것을 통해 상이한 카메라를 선택하여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는 카메라로 사용할 수 있다.
단계 S1204: 선택하고자 하는 카메라를 누르고 타겟까지 드래그하여 포커싱을 완료한다.
여기서, 카메라 서랍을 연 후, 사용자는 임의의 카메라에 대응되는 컨트롤을 선택하여 누르고(상기 제1 입력에 대응됨) 미리보기 화면 내의 포커싱 타겟까지 드래그하고, 사용자는 손을 뗀 후 잠금 상태로 진입하며, 이는 대응되는 타겟을 잠그고 포커싱 잠금 추적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며, 잠금 상태로 진입한 카메라는 화면을 가려 사용자의 미리보기 경험에 영향을 주는 것을 피하기 위해 반투명화되어 잠금 타겟의 좌측 하단에 표시되며, 또한, 기기는 이미지 식별 기술을 통해 포커싱 잠금 상태의 타겟을 식별 및 추적하여, 포커싱 타겟이 화면을 떠날 때까지 선택된 각 카메라의 포커싱 포인트를 그 포커싱 타겟에 유지시킨다.
포커싱 잠금 상태인 카메라의 타겟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 단계 S1205로 진입하거나, 포커싱 잠금 상태인 카메라의 타겟을 취소해야 하는 경우, 단계 S1206로 진입하며, 사용자가 카메라의 포커싱 잠금을 완료하고 변경하지 않는 경우, 촬영 프로세스 단계 S1207로 진입한다.
단계 S1205: 잠금 상태로 진입한 카메라 아이콘을 단일 탭하고, 다시 드래그하여 새로운 포커싱 타겟을 선택한다.
여기서, 포커싱 타겟을 변경하려면 투명화된 아이콘(즉 포커싱 잠금 상태인 카메라)을 탭하여 잠금 상태를 취소하고 선택 상태로 진입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아이콘은 반투명화를 취소하고, 사용자는 다시 카메라 아이콘을 누르고 새로운 타겟까지 드래그하여 포커싱 잠금을 완료해야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포커싱 타겟이 잠긴 경우, 사용자는 상기 방식으로 직접 카메라 아이콘을 잠긴 타겟으로 이동하여 2개의 이미 잠긴 대상의 포커싱 카메라를 빠르게 교환한 후, 단계 S1207로 진입할 수 있다.
단계 S1206: 잠금 상태로 진입한 카메라 아이콘을 이중 탭하여, 포커싱 잠금을 취소한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타겟에 포커싱하는 특정 카메라를 사용하고 싶지 않으면 이미 투명화된 해당 아이콘(즉 포커싱 잠금 상태인 카메라)을 이중 탭하여 잠금 상태를 취소할 수 있으며, 이러면 해당 카메라 아이콘은 서랍 상자로 복귀하게 되며, 이를 완료 후 단계 S1207로 진입한다.
단계 S1207: 사용자는 카메라의 포커싱 잠금을 완료한 후 촬영 버튼을 탭하여 촬영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카메라의 포커싱 잠금을 완료한 후 촬영 버튼을 탭하여 촬영을 완료하면 다수의 카메라의 단일 포인트 포커싱을 포함하는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며, 촬영 미리보기 상자 상의 아이콘은 사용자가 다음의 다중 카메라 단일 포인트 패닝을 계속 수행할 수 있도록 여전히 보류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다중 카메라로 다중 카메라 단일 포인트 패닝을 수행하는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포커싱 타겟을 자체정의할 수 있고, 원경 및 근경이 모두 선명한 사진을 동시에 촬영하거나, 다수의 카메라 동시 포커싱 효과가 있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어 휴대폰 촬영 품질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에게 양호한 촬영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방법은 촬영 장치에 의해 수행되거나, 해당 촬영 장치 내의 촬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촬영 장치가 촬영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방법을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촬영 장치를 제공하며,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촬영 장치의 구조 개략도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장치는,
촬영 인터페이스의 제1 영역에 다수의 컨트롤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1 표시 모듈(132) - 카메라의 수는 다수이고, 각 컨트롤은 하나의 카메라에 대응되고, 다수의 컨트롤은 제1 타겟 컨트롤을 포함함 - ;
제1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134) - 제1 입력은 촬영 인터페이스의 제2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제1 타겟 컨트롤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됨 - ;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제2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포커싱 모듈(136);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제1 수신 모듈(134)은, 제1 입력에 기초하여 제1 타겟 컨트롤을 촬영 인터페이스의 제2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유닛; 또는, 제1 입력에 의해 선택된 촬영 타겟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제1 타겟 컨트롤을 결정하고, 제1 타겟 컨트롤을 제1 영역에서 제2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장치는,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제2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한 후,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완료한 후 제2 영역에서 제1 타겟 컨트롤을 투명하게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2 표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장치는,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제2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한 후, 제2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모듈 - 제2 입력은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의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 잠금을 취소하기 위해 사용됨 - ;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타겟 컨트롤을 제1 영역으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 복귀 모듈;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장치는,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제2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한 후, 제3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3 수신 모듈 - 제3 입력은 촬영 인터페이스의 제3 영역 내로 슬라이딩되도록 제1 타겟 컨트롤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됨 - ; 제3 입력에 응답하여,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제3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2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 포커싱 모듈;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장치는,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제2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한 후, 제4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4 수신 모듈 - 제4 입력은 제2 영역 내의 제1 타겟 컨트롤과 제4 영역 내의 제2 타겟 컨트롤의 위치 교환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됨 - ; 제4 입력에 응답하여,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제4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3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하고, 제2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3 포커싱 모듈;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장치는,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제2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한 후, 제5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5 수신 모듈 - 제5 입력은 제1 영역에 표시된 컨트롤 중의 제3 타겟 컨트롤과 제2 영역 내의 제1 타겟 컨트롤의 위치 교환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됨 - ; 제5 입력에 응답하여, 제3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4 포커싱 모듈;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장치는,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제2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한 후, 촬영 인터페이스의 모든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완료한 후, 촬영 인터페이스 미리보기에서 포커싱 결과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3 표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포커싱 결과에는 컨트롤이 표시되지 않는다.
상기 본 출원의 실시예의 촬영 장치는, 제1 입력을 통해, 촬영 인터페이스의 제1 영역에 표시된 다수의 컨트롤 중의 제1 타겟 컨트롤을 촬영 인터페이스의 제2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나아가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직접 입력을 통해 해당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선택하여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으며, 현재 촬영 인터페이스에 다수의 타겟 대상이 있는 경우, 다수의 컨트롤을 선택하여 각각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어, 상이한 촬영 모드 간에서 이리저리 전환할 필요 없이 각 타겟 대상에 대한 정확한 포커싱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촬영 효과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다중 카메라 기기를 통해 촬영하는 사용자의 경험 효과를 향상시켜, 종래기술에서 다중 카메라의 기기로 촬영하는 과정에서 카메라를 변경하여 촬영하려면 변경 조작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포커싱 효과도 좋지 않은 문제를 해결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는 단말이거나, 단말의 부품, 집적회로 또는 칩일 수 있다. 이 장치는 모바일 전자기기 또는 비모바일 전자기기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모바일 전자기기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팜탑 컴퓨터, 차량탑재 전자기기, 웨어러블 기기, 울트라 모바일 개인용 컴퓨터(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넷북 또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등일 수 있고, 비모바일 전자기기는 서버, 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Network Attached Storage, NAS),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텔레비전(Television, TV), 현금 자동 입출금기 또는 자동판매기 등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는 운영체제를 갖는 장치일 수 있다. 이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체제, ios 운영체제 또는 기타 가능한 운영체제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는 도 1의 방법 실시예에서 구현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프로세서(1402), 메모리(1401), 및 메모리(1401)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1402)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는 전자기기(1400)를 제공하며, 해당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1402)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촬영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와 비모바일 전자기기를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전자기기의 하드웨어 구조 개략도이다.
해당 전자기기(100)는 무선 주파수 유닛(101), 네트워크 모듈(102), 오디오 출력 유닛(103), 입력 유닛(104), 센서(105), 표시 유닛(106), 사용자 입력 유닛(107), 인터페이스 유닛(108), 메모리(109), 프로세서(110) 등 구성요소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분야의 기술자라면, 전자기기(100)에는 각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예: 전지)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고, 전원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110)에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충전관리, 방전관리, 전력소비관리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구조는 전자기기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으며, 전자기기는 도 15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특정 구성요소를 결합하거나, 상이한 구성요소를 배치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입력 유닛(104)은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1041) 및 마이크로폰(1042)을 포함할 수 있고, 그래픽 처리 장치(1041)는 비디오 캡처 모드 또는 이미지 캡처 모드에서 이미지 캡처 장치(예: 카메라)가 획득한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표시 유닛(106)은 표시 패널(1061)을 포함할 수 있고,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의 형태로 표시 패널(1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터치 패널(1071) 및 기타 입력 장치(1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1071)은 터치스크린이라고도 한다. 터치 패널(1071)은 터치 감지 장치 및 터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장치(1072)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에: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 볼, 마우스, 조이스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메모리(1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운영체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10)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가 통합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며,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11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고, 해당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촬영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 포함되는 프로세서이다. 상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시디롬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칩을 제공하며, 상기 칩은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결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촬영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칩은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온 칩 등이라고도 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비일시적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상기 촬영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출현되는 용어 ‘포함한다’, ‘갖는다’ 또는 다른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의도하며,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그 요소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며,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별도로 제한이 없는 한, ‘하나의 ~을 포함한다’로 한정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 상이한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형태에서의 방법 및 장치의 범위는 도시되거나 논의된 순서로 기능을 실행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관련된 기능에 따라 기본적으로 동시적인 방식 또는 역순으로 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설명된 방법은 설명된 것과 다른 순서로 실행될 수 있고, 다양한 단계들이 추가, 생략 또는 조합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예를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은 기타 예에서 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을 통해, 본 분야의 기술자라면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합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 전자가 더 바람직한 실시형태라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본 출원의 기술안의 본질적 부분 또는 종래기술에 기여한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반영될 수 있으며,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 ROM/RAM, 자기 디스크, 시디롬)에 저장되고, 한 대의 단말(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이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몇몇 명령을 포함한다.
본 분야의 일반 기술자라면 여기서 개시된 실시예와 결합하여 설명된 각 예의 유닛과 알고리즘 단계는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지는 기술안의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설계의 제약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는 소개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분야의 일반 기술자라면 설명의 편의성 및 간결성을 위해 상기 시스템, 장치와 유닛의 구체적인 작업 과정은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에서 공개되는 장치와 방법은 기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컨대, 위에서 설명된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예컨대 상기 유닛의 분할은 하나의 논리 기능의 분할일 뿐 실제로 구현할 때 다른 분할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유닛이나 어셈블리는 서로 결합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을 무시하거나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한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분할 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되는 부품은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한 곳에 위치할 수 있거나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될 수도 있다. 실제 필요에 따라 유닛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솔루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여러 실시예에서의 여러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고, 각각의 유닛은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2개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에 결부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전술한 특정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한 특정 실시형태들은 제한적이 아니라 예시에 불과하다. 본 분야의 일반 기술자라면 본 출원의 주지 및 청구항에 따른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출원에 기반하여 다양한 변형을 도출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변형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Claims (13)

  1. 촬영 방법에 있어서,
    촬영 인터페이스의 제1 영역에 다수의 컨트롤을 표시하는 단계 - 카메라의 수는 다수이고, 각 상기 컨트롤은 하나의 상기 카메라 대응되고, 다수의 상기 컨트롤은 제1 타겟 컨트롤을 포함함 - ;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촬영 인터페이스의 제2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됨 - ;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2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2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완료한 후, 상기 제2 영역 내에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을 투명하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2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의 상기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 잠금을 취소하기 위해 사용됨 - ;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을 상기 제1 영역으로 복귀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2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제3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입력은 상기 촬영 인터페이스의 제3 영역 내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됨 - ;
    상기 제3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3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2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2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제4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4 입력은 상기 제2 영역 내의 상기 제1 타겟 컨트롤과 제4 영역 내의 제2 타겟 컨트롤의 위치 교환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됨 - ;
    제4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4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3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하고, 상기 제2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2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제5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5 입력은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된 컨트롤 중의 제3 타겟 컨트롤과 제2 영역 내의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의 위치 교환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됨 - ;
    상기 제5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3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7. 촬영 장치에 있어서,
    촬영 인터페이스의 제1 영역에 다수의 컨트롤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1 표시 모듈 - 카메라의 수는 다수이고, 각 상기 컨트롤은 하나의 상기 카메라 대응되고, 다수의 상기 컨트롤은 제1 타겟 컨트롤을 포함함 - ;
    제1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 -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촬영 인터페이스의 제2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됨 - ;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2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포커싱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2 영역에 의해 지시된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한 후, 상기 제1 타겟 대상에 대한 포커싱을 완료한 후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타겟 컨트롤을 투명하게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2 표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9.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촬영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촬영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가능 저장 매체.
  11.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결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촬영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12. 비일시적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촬영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촬영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237022186A 2020-12-04 2021-11-30 촬영 방법 및 장치, 전자기기 및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202301137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1410508.0A CN112511751B (zh) 2020-12-04 2020-12-04 拍摄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202011410508.0 2020-12-04
PCT/CN2021/134308 WO2022116961A1 (zh) 2020-12-04 2021-11-30 拍摄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797A true KR20230113797A (ko) 2023-08-01

Family

ID=74970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2186A KR20230113797A (ko) 2020-12-04 2021-11-30 촬영 방법 및 장치, 전자기기 및 판독가능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08742A1 (ko)
EP (1) EP4258646A4 (ko)
JP (1) JP2023551848A (ko)
KR (1) KR20230113797A (ko)
CN (1) CN112511751B (ko)
WO (1) WO20221169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9536B2 (en) 2016-06-12 2018-06-26 Apple Inc. Applying a simulated optical effect based on data received from multiple camera sensors
US11112964B2 (en) 2018-02-09 2021-09-07 Apple Inc. Media capture lock affordance for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212449B1 (en) * 2020-09-25 2021-12-2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edia capture and management
CN112511751B (zh) * 2020-12-04 2021-10-29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拍摄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7729419A (zh) * 2022-07-15 2024-03-19 荣耀终端有限公司 终端拍摄方法及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4726B2 (ja) * 2007-09-05 2012-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制御方法
KR101487516B1 (ko) * 2012-09-28 2015-01-30 주식회사 팬택 연속 자동 초점을 이용한 멀티 초점 이미지 캡처 장치 및 방법
KR101990073B1 (ko) * 2012-11-12 2019-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다초점 영상 촬영 및 저장 방법 및 장치
KR20140106927A (ko) * 2013-02-27 2014-09-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파노라마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150890B1 (ko) * 2014-02-21 2020-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초점 표시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적용되는 전자장치
CN104349063B (zh) * 2014-10-27 2018-05-15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控制摄像头拍摄的方法、装置及终端
KR20170006559A (ko) * 2015-07-08 2017-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120178A (zh) * 2015-09-21 2015-12-0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多摄像头的终端的对焦拍摄方法、系统与移动终端
CN107682633B (zh) * 2017-10-17 2019-10-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8471498B (zh) * 2018-03-16 2020-07-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摄预览方法及终端
CN108184070B (zh) * 2018-03-23 2020-09-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摄方法及终端
CN112954218A (zh) * 2019-03-18 2021-06-11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多路录像方法及设备
CN110139033B (zh) * 2019-05-13 2020-09-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拍照控制方法及相关产品
CN110445978B (zh) * 2019-06-24 2020-12-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拍摄方法及设备
CN110505400B (zh) * 2019-08-16 2021-09-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预览图像显示调整方法及终端
CN110505411B (zh) * 2019-09-03 2021-05-07 RealMe重庆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拍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2511751B (zh) * 2020-12-04 2021-10-29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拍摄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08742A1 (en) 2023-09-28
JP2023551848A (ja) 2023-12-13
CN112511751A (zh) 2021-03-16
CN112511751B (zh) 2021-10-29
WO2022116961A1 (zh) 2022-06-09
EP4258646A4 (en) 2024-05-08
EP4258646A1 (en) 202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13797A (ko) 촬영 방법 및 장치, 전자기기 및 판독가능 저장 매체
US10165189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553719B2 (ja) 画面分割表示方法および装置
US11550420B2 (en) Quick review of captured image data
KR101925067B1 (ko) Eots 제어기 및 이의 동작 방법
EP3242204A1 (en) Method and device for multi-task management
KR20230106681A (ko) 사진촬영 방법, 장치, 전자기기 및 저장 매체
US9538086B2 (en) Method of performing previewing and electronic device for implementing the same
CN111614891B (zh) 一种相机应用功能切换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TWI578798B (zh) 監控視訊顯示方法及電腦程式產品
CN112073678A (zh) 一种显示设备
CN113873151A (zh) 录像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230026472A (ko) 사진 촬영 방법, 장치 및 전자기기
JP2024504159A (ja) 撮影方法、装置、電子機器及び可読記憶媒体
US9621809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1752464A (zh) 手势操作的响应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3286085B (zh) 显示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2492205B (zh) 图像预览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20220308752A1 (en)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of an application
CN114025100A (zh) 拍摄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2165584A (zh) 录像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可读存储介质
CN112333395A (zh) 对焦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6525753B2 (ja)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4500852B (zh) 拍摄方法、拍摄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JP2018022291A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