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3040A -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3040A
KR20230113040A KR1020220009458A KR20220009458A KR20230113040A KR 20230113040 A KR20230113040 A KR 20230113040A KR 1020220009458 A KR1020220009458 A KR 1020220009458A KR 20220009458 A KR20220009458 A KR 20220009458A KR 20230113040 A KR20230113040 A KR 20230113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witch
circuit breaker
switchboard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9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이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우 filed Critical 이현우
Priority to KR1020220009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3040A/ko
Publication of KR20230113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Landscapes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기가 닫히고 열릴 때 MOC 스위치를 안정적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는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배전반 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에 구비되어 배전반 내 바닥판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차단기 레버 동작에 따라 보조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작동부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쪽에 내측으로 연결되는 제1,2레버부쉬와, 상기 제1,2레버부쉬의 외부에 구비되어 차단기가 인출 위치에서 테스트 위치 및 서비스 위치로 이동될 때 차단기 레버에 의해 회전되는 제1,2작동캠과, 상기 제1,2레버부쉬의 외부에 각각 구비되어 제1,2작동캠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제1,2작동캠에 연결되고 보조스위치와 연결되어 제1,2작동캠의 회전에 따라 보조스위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이동되는 연결레버와, 상기 연결레버와 보조스위치에 연결되어 연결레버의 이동에 따라 보조스위치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MOTION ASSEMBLY OF MOC SWITCH}
본 발명은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단기가 닫히고 열릴 때 MOC 스위치를 안정적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는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차단기는 고압 전력계통에 설치되어 단락이나 과전류 등의 위험상황이 발생할 경우 회로를 차단하여 전력계통을 보호하도록 구성된 회로차단기의 일종으로서 진공상태에서의 절연성능과 아크 소호력이 우수한 점을 활용하여 설계된 것이다.
이러한 진공차단기는 발전소 및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를 위해 여러 전기기기를 설치하여 관리하는 배전반에 부설되며, 배전반에 고정된 크래들(Cradle) 내부에 수납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배전반 내부서는 회로차단기의 터미널이 크래들의 부하단자에 접속되어 전압과 전류가 공급되는 운전(Connected)위치와 크래들의 단자들로부터 분리되어 차단기의 동작 테스트만 가능한 시험(Test)위치를 가지고 있다. 특히, 차단기 작동의 ON/OFF 상태를 표시하는 MOC(Motor Operated Cell switch)를 배전함 크래들에 장착하여 차단기가 시험위치에 있을 때에는 진공차단기의 동작(투입,트립)을 테스트하거나 점검하고, 차단기가 운전위치에 있을 때에는 MOC의 접점출력을 이용하여 주변기기들을 동작시키거나 인터록을 구현하여 차단기 운용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다시 말하면, MOC는 진공차단기가 운전위치에서 ON/OFF 동작을 행할 때 진공차단기의 작동과 연계되어 ON/OFF 동작을 하면서 차단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거나 주변 기기로 신호를 보내 인터록을 하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을 토대로 살펴보면, 종래에 MOC(1)는 배전함 크래들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차단기가 OFF 상태일 때는 보조스위치(2)의 b접점(보조스위치 내부에 존재)이 닫혀서 차단기가 OFF 상태임을 나타낸다. 차단기가 OFF 상태일 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하운동을 하는 푸시로드(3)가 연결레버(4)와 닿지 않는 상태에 있다. 차단기가 ON 상태일 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로드(3)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연결레버(4)를 누르게 된다. 연결레버(4)가 회전함에 따라 결국 보조스위치(2)를 90도 회전시키면 보조스위치 내부에 있는 a접점이 닫히게 되어 차단기가 ON 상태임을 나타내게 된다.
그러나, 차단기 투입시 푸시로드(3)의 이동방향과 연결레버(4)의 동작방향이 동일하여, 투입시의 충격하중에 의해 오버런 스트로크가 발생하면 연결레버(4)의 동작 스트로크를 증가시켜 스톱핀(6)과의 충격이 발생하여 부품의 변형 등을 초래할 수 있다. 반대로 푸시로드(3)의 스트로크가 짧을 경우에는 MOC 접점 출력이 이루어지지 않아 이 접점 출력에 의해 작동되는 주변기기들이 가동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차단기 투입시 푸시로드(3)과 연결레버(4) 사이에 슬라이딩 마찰이 발생하여 투입에너지 손실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655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단기가 인출(drawout) 위치에서 테스트 위치 및 서비스 위치로 이동하여 차단기가 닫힘(close)/열림(open)시 보조스위치가 원활하게 온(on)/오프(off)됨으로써 작동의 안정성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는 배전반 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에 구비되어 배전반 내 바닥판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차단기 레버 동작에 따라 보조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스위치 작동부가 내부에 설치되고 차단기 레버가 지나갈 수 있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바닥판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에 수직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작동부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쪽에 내측으로 연결되는 제1,2레버부쉬와, 상기 제1,2레버부쉬의 외부에 구비되어 차단기가 인출 위치에서 테스트 위치 및 서비스 위치로 이동될 때 차단기 레버에 의해 회전되는 제1,2작동캠과, 상기 제1,2레버부쉬의 외부에 각각 구비되어 제1,2작동캠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제1,2작동캠에 연결되고 보조스위치와 연결되어 제1,2작동캠의 회전에 따라 보조스위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이동되는 연결레버와, 상기 연결레버와 보조스위치에 연결되어 연결레버의 이동에 따라 보조스위치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작동캠은 상부 측면이 차단기 레버의 이동으로 눌려져 연결레버를 가이드시킬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레버는 한쪽이 제1작동캠에 연결되고 다른쪽이 제2작동캠에 연결되며 중앙부에 스위치 레버와 레버 핀으로 연결되도록 연결편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레버는 연결레버의 연결편에 레버 핀으로 연결되며, 내측에 보조스위치의 작동부재와 연결되되 연결레버의 가이드에 따라 보조스위치의 작동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작동부재와 함께 각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에 의하면, 차단기가 인출 위치에서 테스트 위치 및 서비스 위치로 이동시 차단기의 차단기 레버가 제1,2작동캠을 누르게 되면 제1,2작동캠에 연결되는 연결레버가 보조스위치를 작동시키게 됨으로써 보조스위치의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작동의 정확성 및 제품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MOC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MOC 스위치의 작동상태도로 차단기가 OFF 상태인 경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MOC 스위치의 작동상태도로 차단기가 ON 상태인 경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의 보조스위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측(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의 보조스위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지지플레이트(200)와, 스위치 작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배전반(도시하지 않음) 내부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스위치 작동부(300)가 내부에 설치되고 차단기(10)가 이동될 때 차단기 레버(11)가 지나갈 수 있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세워져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측면에 구비되어 배전반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200)는 배전반 내 바닥판(20)에 볼트(B) 및 너트(N)로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수직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작동부(3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차단기(10)의 이동에 따라 동작되는 차단기 레버(11)에 의해 보조스위치(4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작동부(300)는 제1,2레버부쉬(310,311)와, 제1,2작동캠(320,321)과, 스프링(330)과, 연결레버(340)와, 스위치 레버(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레버부쉬(310,311)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내부 좌,우측에 앞,뒤를 가로질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2작동캠(320,321)은 제1레버부쉬(310)와 제2레버부쉬(311)의 외부에 각각 구비되어 차단기(10)가 인출(drawout) 위치에서 테스트(test) 위치 및 서비스(service) 위치로 이동될 때 차단기 레버(11)가 눌러주어 제1,2레버부쉬(310,311)를 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작동캠(320,321)의 상부 측면은 차단기 레버(11)의 이동으로 눌려지면서 원활하게 회전되어 연결레버(340)를 가이드시킬 수 있도록 경사(D)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330)은 제1레버부쉬(310)와 제2레버부쉬(311)의 외부에 각각 구비되어 제1작동캠(320)과 제2작동캠(321)을 각각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330)은 제1,2레버부쉬(310,311)의 외부에 코일 형태로 연결되되 한쪽 끝단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끼워지고 다른쪽 끝단이 제1,2작동캠(320,321)의 안쪽면에 밀착되어 제1,2작동캠(320,321)의 상부가 밑으로 쳐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레버(340)는 제1작동캠(320)과 제2작동캠(321)을 가로질러 연결되고 보조스위치(400)와 연결되는 스위치 레버(35)에 연결되어 제1,2작동캠(320,321)의 회전에 따라 보조스위치(4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 레버(3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레버(340)는 한쪽이 제1작동캠(320)에 연결되고 다른쪽이 제2작동캠(321)에 연결되며, 중앙부에 스위치 레버(350)와 레버 핀(P)으로 연결되도록 연결편(34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레버(350)는 연결레버(340)와 보조스위치(400)에 연결되어 연결레버(340)의 이동에 따라 보조스위치(4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레버(350)는 연결레버(340)의 연결편(341)에 레버 핀(P)으로 연결되어 연결레버(340)의 이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레버(350)는 내측에 보조스위치(400)의 작동부재(410)와 연결되는 결합홈(35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351)은 제1,2작동캠(320,321)의 회전에 따라 연결레버(340)가 이동되면서 보조스위치(400)를 작동시키기 위해 스위치 레버(350)와 함께 보조스위치(400)의 작동부재(410)가 동시에 회전될 수 있도록 사각형이나 육각형, 삼각형 등의 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에 따른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내측 양쪽에 연결되는 제1,2레버부쉬(310,311) 각각에 제1,2작동캠(320,321)이 스프링(330)으로 탄성지지되며, 상기 제1,2작동캠(320,321)에 연결레버(340)가 연결되고 상기 연결레버(340)의 연결편(341)이 스위치 레버(350)와 레버 핀(P)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레버(340)와 연결되는 스위치 레버(350)의 결합홈(351)에 보조스위치(400)의 작동부재(410)가 결합되어 스위치 레버(350)의 회전에 따라 작동부재(410)도 회전되면서 보조스위치(4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기(10)가 인출(drawout) 위치에서 테스트(test) 위치 및 서비스(service) 위치로 이동시 차단기(10)의 차단기 레버(11)가 이동되면서 스프링(330)으로 탄성지지되는 제1,2작동캠(320,321)을 누르게 되고 상기 제1,2작동캠(320,321)이 눌려지면서 하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1,2작동캠(320,321)의 회전으로 연결레버(340)가 일방향(일예로, 우측방향)으로 가이드됨과 동시에 상기 스위치 레버(350)와 작동부재(410)가 회전(시계방향)되어 상기 보조스위치(400)가 동작되어 온(on)될 수 있다.(첨부된 도면 도 8참조)
그리고, 상기 차단기(10)가 테스트 위치 및 서비스 위치에서 인출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1,2작동캠(320,321)을 눌러주고 있던 차단기 레버(11)가 제1,2작동캠(320,321)에서 떨어지고 상기 스프링(330)의 탄성력에 의해 제1,2작동캠(320,321)이 상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1,2작동캠(320,321)의 회전으로 연결레버(340)가 타방향(일예로, 좌측방향)으로 가이드됨과 동시에 상기 스위치 레버(350)와 작동부재(410)가 회전(반시계 방향)되어 상기 보조스위치(400)가 오프(off)될 수 있다.(첨부된 도면 도 5참조)
이와 같이, 상기 차단기(10)가 인출 위치에서 테스트 위치 및 서비스 위치로 이동하여 클로즈(close)/오프(open)시 복수개의 제1,2작동캠(320,321)의 회전을 통해 연결레버(340)가 이동되고 상기 스위치 레버(350) 및 작동부재(410)가 회전됨에 따라 보조스위치(400)가 온(on)/오프(off)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베이스 플레이트 200 : 지지플레이트
300 : 스위치 작동부 310 : 제1레버부쉬
311 : 제2레버부쉬 320 : 제1작동캠
321 : 제2작동캠 330 : 스프링
340 : 연결레버 341 : 연결편
350 : 스위치 레버 351 : 결합홈
400 : 보조스위치 410 : 작동부재
P : 레버 핀

Claims (7)

  1. 배전반 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에 구비되어 배전반 내 바닥판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차단기 레버 동작에 따라 보조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작동부;를 포함하는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스위치 작동부가 내부에 설치되고 차단기 레버가 지나갈 수 있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바닥판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에 수직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작동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쪽에 내측으로 연결되는 제1,2레버부쉬;
    상기 제1,2레버부쉬의 외부에 구비되어 차단기가 인출 위치에서 테스트 위치 및 서비스 위치로 이동될 때 차단기 레버에 의해 회전되는 제1,2작동캠;
    상기 제1,2레버부쉬의 외부에 각각 구비되어 제1,2작동캠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상기 제1,2작동캠에 연결되고 보조스위치와 연결되어 제1,2작동캠의 회전에 따라 보조스위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이동되는 연결레버; 및
    상기 연결레버와 보조스위치에 연결되어 연결레버의 이동에 따라 보조스위치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레버;를 포함하는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작동캠은, 상부 측면이 차단기 레버의 이동으로 눌려져 연결레버를 가이드시킬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레버는, 한쪽이 제1작동캠에 연결되고 다른쪽이 제2작동캠에 연결되며 중앙부에 스위치 레버와 레버 핀으로 연결되도록 연결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레버는, 연결레버의 연결편에 레버 핀으로 연결되며, 내측에 보조스위치의 작동부재와 연결되되 연결레버의 가이드에 따라 보조스위치의 작동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작동부재와 함께 각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
KR1020220009458A 2022-01-21 2022-01-21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 KR20230113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458A KR20230113040A (ko) 2022-01-21 2022-01-21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458A KR20230113040A (ko) 2022-01-21 2022-01-21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040A true KR20230113040A (ko) 2023-07-28

Family

ID=87427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9458A KR20230113040A (ko) 2022-01-21 2022-01-21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304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551B1 (ko) 2012-10-30 2014-01-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moc 스위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551B1 (ko) 2012-10-30 2014-01-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moc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9650B2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latch assembly and latch engagement control mechanism therefor
US7361857B2 (en) External operating handle mechanism for mold cased circuit breaker
CN101325131B (zh) 消能弹簧座
CN101303946A (zh) 电气开关装置及其导体组件和分流器组件
KR20110037793A (ko) 포지션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EP2892069B1 (en) Interlocking apparatus of transfer switch
US7646270B2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yoke assembly and spring assembly therefor
CA2629502A1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latch assembly and latch engagement control mechanism therefor
US20150155119A1 (en)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witch
US8242394B2 (en) Stationary contact assembly including first and second stationary contacts, and circuit interrupter and transfer switch employing the same
US20170200574A1 (en) Switching device with a suspended mobile contact assembly
CN101354991A (zh) 电气开关设备及其跳闸致动器组件
KR20230113040A (ko) 배전반의 moc 스위치 동작 어셈블리
CN101625943B (zh) 电气开关装置及其按压脱扣组件
CN102891045A (zh) 电气开关装置及其辅助脱扣机构
CN101354990B (zh) 电气开关设备及其跳闸致动器组件和复位组件
KR101356551B1 (ko) 진공차단기의 moc 스위치
US7586394B2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trip actuator reset assembly and lever arm assembly therefor
US7935905B2 (en) Contact system
CN101901727B (zh) 电气开关装置及其可调节承载组件
KR101048992B1 (ko) 회로 차단기의 접촉 장치
US10998156B2 (en) Auxiliary/control switches kit box for a medium voltage switching device
US11842869B2 (en) Reclosing switch capable of stably opening and closing
WO2022226844A1 (en) Transfer apparatus for dual-power transfer switch
KR102476858B1 (ko) Pma 조작이 가능한 부하 개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