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2830A -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2830A
KR20230112830A KR1020220008927A KR20220008927A KR20230112830A KR 20230112830 A KR20230112830 A KR 20230112830A KR 1020220008927 A KR1020220008927 A KR 1020220008927A KR 20220008927 A KR20220008927 A KR 20220008927A KR 20230112830 A KR20230112830 A KR 20230112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
solution
time
user
custom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참약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참약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참약사
Priority to KR1020220008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2830A/ko
Priority to PCT/KR2023/000360 priority patent/WO2023140548A1/ko
Publication of KR20230112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283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1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mell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7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with application of chemical or pharmacological stimul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63Motion, e.g. physical activ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은 데이터 입력부 및 솔루션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입력부는 사용자의 활동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솔루션 제공부는 활동시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수면 솔루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에서는, 여행이나 근무환경 등으로 인한 시차가 변경된 활동시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수면 솔루션 정보를 제공하여 개인별 맞춤형 수면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수면장애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CUSTOMIZED SLEEP SOLUTION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은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행 및 근무환경 변화 등에 의한 시차 변경 때문에 발생하는 수면 장애로 매년 11조원의 사회적, 경제적 손실이 발생한다는 조사결과가 있다. 최근 이와 같은 경제적 손실을 방지하고, 수면 장애로 인한 개인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128283호 (공개일자, 2021.10.2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여행이나 근무환경 변화 등으로 인해 변경된 활동시간 또는 근무시간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수면 솔루션 정보를 제공하여 개인별 맞춤형 수면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수면장애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은 데이터 입력부 및 솔루션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입력부는 사용자의 활동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솔루션 제공부는 상기 활동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수면 솔루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은 직업군 입력부 및 맞춤형 솔루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직업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의 직업군을 제공할 수 있다. 맞춤형 솔루션부는 상기 사용자의 직업군에 상응하는 빅데이터를 이용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수면 솔루션 정보를 수정한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활동시간이 요일별로 각각 상이한 경우, 상기 수면 솔루션 정보는 요일별로 각각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면 솔루션 정보는 수면 시간, 수면 보조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정보는 상기 직업군에 상응하는 빅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직업군에서 선호되는 복수 개의 수면 보조제들의 정보, 수면을 위해 사용되는 수면등의 조도정보 및 수면오일의 사용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은 약사 추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사 추천부는 상기 사용자 및 약사 사이의 상담내용에 따라 상기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정보를 다시 수정하여 수정 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은 상기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을 사용하는 약국들에 배치되는 체험공간의 예약 스케줄 및 상기 사용자의 시간대별 이동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대기시간이 최소화되는 상기 체험공간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체험공간에 도착 예정인 시간범위 중 가장 빠른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체험공간을 이용할 수 있는 시간까지의 시간간격은 제1 시간간격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체험공간에 도착 예정인 시간범위 중 가장 늦은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체험공간을 이용할 수 있는 시간까지의 시간간격은 제2 시간간격일 수 있다. 상기 대기시간은 상기 제1 시간간격 및 상기 제2 시간간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기시간은 상기 제1 시간간격 및 상기 제2 시간간격의 평균 값일 수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동작방법에서는, 데이터 입력부가 사용자의 활동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솔루션 제공부가 상기 활동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수면 솔루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에서는, 여행이나 근무환경 변화 등으로 인한 시차가 변경된 활동시간 또는 근무시간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수면 솔루션 정보를 제공하여 개인별 맞춤형 수면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수면장애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4는 도 1의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수면 솔루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1의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8은 도 1의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 및 4는 도 1의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수면 솔루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10)은 데이터 입력부(100) 및 솔루션 제공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입력부(100)는 사용자의 활동시간(AT)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10)을 이용하는 사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교대 근무가 많은 공항관련 또는 물류관련 직종에 근무하는 경우, 사용자는 시차 변경으로 인하여 수면에 장애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여행자인 경우에도 세계 각국마다 다른 시차로 인하여 수면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활동시간(AT)은 근로자의 경우 근무시간일 수 있고, 여행자의 경우 여행지에서 여행을 즐기는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10)의 사용자는 위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간호사 등의 교대근무자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솔루션 제공부(200)는 활동시간(AT)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수면 솔루션 정보(K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면 솔루션 정보(KI)는 수면시간(ST)에 대한 정보 및 수면 보조제(SB)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수면 솔루션 정보(KI)를 수면시간(ST) 및 수면 보조제(SB)에 대한 정보로 예시하고 있으나, 수면 솔루션 정보(KI)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면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개시되는 예 이외에도, 데이터 입력부(100)로 입력되는 입력정보는 다양할 수 있고, 데이터 입력부(100)로 입력되는 입력정보는 여행제목, 시차적응 목적, 출발지, 도착지, 출발시각, 도착시각, 여행종료일자, 평소 수면시간, 평소 기상시간 조절 시작시점, 조절시작일, 수면유도제, 키트사용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입력부(100)로 입력되는 입력정보에 상응하는 수면 솔루션 정보(KI)는 현 멜라토닌 온셋시간, 현 최저심부 체온시간, 빛 제공시간, 추천 기상시간, 추천 수면시간, 낮잠시간, 식사시간, 금식시간, 키트 복용시간, 수면유도제 복용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활동시간(AT)이 요일별로 각각 상이한 경우,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정보(MKI)는 요일별로 각각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일주일 중 월요일 및 화요일에는 제1 활동시간(AT1)인 09시~18시까지 근무하고, 수요일, 목요일 및 금요일에는 제2 활동시간(AT2)인 21시~06시까지 근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시차변경으로 인하여 수면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10)은 월요일 및 화요일을 위한 제1 수면 솔루션 정보(KI1)를 제공하고 수요일, 목요일 및 금요일을 위한 제2 수면 솔루션 정보(KI2)를 각각 상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면 솔루션 정보(KI1)에 포함되는 수면시간(ST)은 제1 수면시간(ST1)에 해당하는 22시~06시일 수 있고, 제1 수면 솔루션 정보(KI1)에 포함되는 수면 보조제(SB)는 제1 수면 보조제(SB1)일 수 있다. 또한, 제2 수면 솔루션 정보(KI2)에 포함되는 수면시간(ST)은 제2 수면시간(ST2)에 해당하는 09시~16시일 수 있고, 제2 수면 솔루션 정보(KI2)에 포함되는 수면 보조제(SB)는 제2 수면 보조제(SB2)일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정보(MK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10)은 직업군 입력부(300) 및 맞춤형 솔루션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직업군 입력부(300)는 사용자의 직업군(CG)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직업군(CG)은 공항 관련 업종, 물류 관련 업종 및 이외 직종(여행자 포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공항 관련 업종, 물류 관련 업종 및 이외 직종(여행자 포함)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직업군(CG)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직종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맞춤형 솔루션부(400)는 사용자의 직업군(CG)에 상응하는 빅데이터(BD)를 이용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수면 솔루션 정보(KI)를 수정한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정보(MK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직업군(CG)이 공항 관련 업종인 경우, 맞춤형 솔루션부(400)는 공항 관련 업종의 근로자들의 빅데이터(BD)에 기초하여 수면 솔루션 정보(KI)를 수정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정보(MKI)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정보(MKI)는 직업군(CG)에 상응하는 빅데이터(BD)에 기초하여 직업군(CG)에서 선호되는 복수 개의 수면 보조제(SB)들의 정보, 수면을 위해 사용되는 수면등의 조도정보(JI) 및 수면오일의 사용량 정보(UI)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직업군(CG)이 이외의 직종(여행자)일 수 있고,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정보(MKI)는 수면 보조제(SB), 조도정보(JI) 및 사용량 정보(UI)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맞춤형 솔루션부(400)는 여행자들의 빅데이터(BD) 및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여행자들이 선호하는 수면 보조제(SB)에 해당하는 E 및 F 수면 보조제(SB)를 수면 보조제 정보로 제공할 수 있고, 수면등의 조도범위가 제3 범위(R3)에 해당하는 조도정보(J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솔루션부(400)는 여행자들의 빅데이터(BD) 및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제3 용량에 해당하는 수면오일 사용량 정보(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10)은 약사 추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사 추천부(500)는 사용자 및 약사 사이의 상담내용(SA)에 따라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정보(MKI)를 다시 수정하여 수정 키트 정보(SK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1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정보(MKI)에 따라 생활하는 동안, 사용자는 전문가로부터 추가적인 수면 컨설팅을 받고자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약사와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정보(MKI)에 대해서 추가적인 상담을 받을 수 있다. 이후, 사용자와 약사의 상담내용(SA)은 약사 추천부(500)에 입력될 수 있고, 약사 추천부(500)는 상담내용(SA) 및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정보(MKI)에 기초하여 수면 컨설팅 내용을 반영한 수정 키트 정보(SKI)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10)에서는, 여행이나 근무환경 변화 등으로 인한 시차가 변경된 활동시간(AT)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수면 솔루션 정보(KI)를 제공하여 개인별 맞춤형 수면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수면장애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10)은 활동시간(AT)에 기초하여 솔루션 제공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수면 솔루션 정보(KI)를 맞춤형 솔루션부(400)를 통해서 1차적으로 사용자에 최적화하여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정보(MKI)를 제공하고, 약사 추천부(500)를 통해서 상담내용(SA)을 기초하여 2차적으로 사용자에게 최적화하여 수정 키트 정보(SKI)를 제공함으로써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10)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도 7 및 8은 도 1의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8을 참조하면,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10)은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10)을 사용하는 약국들에 배치되는 체험공간의 예약 스케줄 및 사용자의 시간대별 이동경로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대기시간이 최소화되는 체험공간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10)을 사용하는 약국들은 제1 약국(CH1), 제2 약국(CH2) 및 제3 약국(CH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약국(CH1) 내지 제3 약국(CH3)의 내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10)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 및 휴게공간이 구현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약국(CH1)은 체험공간의 예약 스케줄에 따라서 13시 이후에 사용자가 이용 가능할 수 있고, 제2 약국(CH2)은 15시 이후에 사용자가 이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3 약국(CH3)은 16시 이후에 사용자가 이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이동 경로는 제1 약국(CH1) 부근을 출발하여 제2 약국(CH2) 부근을 거쳐서 제3 약국(CH3) 부근에 도달하는 경로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체험공간을 사용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시간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체험공간에 도착 예정인 시간범위 중 가장 빠른 시간을 기준으로 체험공간을 이용할 수 있는 시간까지의 시간간격은 제1 시간간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약국(CH1) 부근에 도착 예정인 시간범위는 12시에서 12시30분 사이일 수 있고, 제2 약국(CH2) 부근에 도착 예정인 시간범위는 13시에서 14시 사이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3 약국(CH3) 부근에 도착 예정인 시간범위는 15시15분에서 15시30분 사이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약국(CH1)에서의 제1 시간간격은 12시에서 13시까지의 시간간격에 해당하는 60분일 수 있고, 제2 약국(CH2)에서의 제1 시간간격은 13시에서 15시까지의 시간간격에 해당하는 120분일 수 있다. 또한, 제3 약국(CH3)에서의 제1 시간간격은 15시15분에서 16시까지의 시간간격에 해당하는 45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체험공간에 도착 예정인 시간범위 중 가장 늦은 시간을 기준으로 체험공간을 이용할 수 있는 시간까지의 시간간격은 제2 시간간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약국(CH1) 부근에 도착 예정인 시간범위는 12시에서 12시30분 사이일 수 있고, 제2 약국(CH2) 부근에 도착 예정인 시간범위는 13시에서 14시 사이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3 약국(CH3) 부근에 도착 예정인 시간범위는 15시15분에서 15시30분 사이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약국(CH1)에서의 제2 시간간격은 12시30분에서 13시까지의 시간간격에 해당하는 30분일 수 있고, 제2 약국(CH2)에서의 제2 시간간격은 14시에서 15시까지의 시간간격에 해당하는 60분일 수 있다. 또한, 제3 약국(CH3)에서의 제2 시간간격은 15시30분에서 16시까지의 시간간격에 해당하는 30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기시간은 제1 시간간격 및 제2 시간간격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대기시간은 제1 시간간격 및 제2 시간간격의 평균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약국(CH1)에서의 대기시간은 60분과 30분의 평균값인 45분일 수 있고, 제2 약국(CH2)에서의 대기시간은 120분과 60분의 평균값인 90분일 수 있다. 또한, 제3 약국(CH3)에서의 대기시간은 45분과 30분의 평균값인 37.5분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10)은 대기시간이 가장 짧은 제3 약국(CH3)을 체험공간으로 추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10)의 동작방법에서는, 데이터 입력부(100)가 사용자의 활동시간(AT)을 제공할 수 있다(S100). 솔루션 제공부(200)가 활동시간(AT)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수면 솔루션 정보(KI)를 제공할 수 있다(S200).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10)에서는, 여행이나 근무환경 등으로 인한 시차가 변경된 활동시간(AT)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수면 솔루션 정보(KI)를 제공하여 개인별 맞춤형 수면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수면장애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10: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 100: 데이터 입력부
200: 솔루션 제공부 300: 직업군 입력부

Claims (10)

  1. 사용자의 활동시간을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부; 및
    상기 활동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수면 솔루션 정보를 제공하는 솔루션 제공부를 포함하는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직업군을 입력하는 직업군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의 직업군에 상응하는 빅데이터를 이용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수면 솔루션 정보를 수정한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정보를 제공하는 맞춤형 솔루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활동시간이 요일별로 각각 상이한 경우, 상기 수면 솔루션 정보는 요일별로 각각 상이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 솔루션 정보는 수면 시간, 수면 보조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정보는,
    상기 직업군에 상응하는 빅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직업군에서 선호되는 복수 개의 수면 보조제들의 정보, 수면을 위해 사용되는 수면등의 조도정보 및 수면오일의 사용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및 약사 사이의 상담내용에 따라 상기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정보를 다시 수정하여 수정 키트 정보를 제공하는 약사 추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은,
    상기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을 사용하는 약국들에 배치되는 체험공간의 예약 스케줄 및 상기 사용자의 시간대별 이동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대기시간이 최소화되는 상기 체험공간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체험공간에 도착 예정인 시간범위 중 가장 빠른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체험공간을 이용할 수 있는 시간까지의 시간간격은 제1 시간간격이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체험공간에 도착 예정인 시간범위 중 가장 늦은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체험공간을 이용할 수 있는 시간까지의 시간간격은 제2 시간간격이며,
    상기 대기시간은 상기 제1 시간간격 및 상기 제2 시간간격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시간은 상기 제1 시간간격 및 상기 제2 시간간격의 평균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시스템.
  10. 데이터 입력부가 사용자의 활동시간을 제공하는 단계; 및
    솔루션 제공부가 상기 활동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수면 솔루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0220008927A 2022-01-21 2022-01-21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 KR2023011283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927A KR20230112830A (ko) 2022-01-21 2022-01-21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
PCT/KR2023/000360 WO2023140548A1 (ko) 2022-01-21 2023-01-09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927A KR20230112830A (ko) 2022-01-21 2022-01-21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830A true KR20230112830A (ko) 2023-07-28

Family

ID=87348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927A KR20230112830A (ko) 2022-01-21 2022-01-21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2830A (ko)
WO (1) WO202314054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283A (ko) 2020-04-16 2021-10-26 한국과학기술원 개인 맞춤형 수면 솔루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2127B2 (ja) * 2004-08-25 2008-12-03 株式会社東芝 睡眠状態管理装置及び睡眠状態管理方法
JP2009032091A (ja) * 2007-07-27 2009-02-12 Irom System Support:Kk 診断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6133482A (ja) * 2015-01-22 2016-07-25 株式会社ナビタイムジャパン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20210327584A1 (en) * 2018-10-22 2021-10-21 Koninklijke Philips N.V. Decision support software system for sleep disorder identification
JP2020004362A (ja) * 2018-12-11 2020-01-09 株式会社ニューロスペース 睡眠改善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283A (ko) 2020-04-16 2021-10-26 한국과학기술원 개인 맞춤형 수면 솔루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0548A1 (ko)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5972B2 (en) Smart calendar
Nickel et al. Mid-term and short-term planning support for home health care services
Yang et al. Making sustainability sustainable: challenges in the design of eco-interaction technologies
US6604059B2 (en) Predictive calendar
Gendreau et al. Physician scheduling in emergency rooms
Mosquera et al. Flexible home care scheduling
KR20190085962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
US201001691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Travel Guides and Itineraries Over a Distributed Network
US20110022426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based airline travel planning
US20120060166A1 (en) Day management using an integrated calendar
US20160203442A1 (en) Smart appointments
US20210133690A1 (en) Creating schedules utilizing temporal constraints
KR20230112830A (ko) 맞춤형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
KR20190142688A (ko) 병원 진료 예약 방법, 병원 진료 예약 시스템 및 기록매체
Uhde et al. Design and Appropriation of Computer-supported Self-scheduling Practices in Healthcare Shift Work
Alvarez-Valdés et al. Labour scheduling at an airport refuelling installation
US201900348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calendar maintenance
Izady An integrated approach to demand and capacity planning in outpatient clinics
Van den Heuvel et al. Four equivalent lot-sizing models
Mills et al. Shiftwork as gendered and its impact on work–family balance
Lynch et al. Time to care, care commanders and care footsoldiers
KR20150033951A (ko) 우선순위에 기반한 수요 통제 장치 및 방법, 우선순위 결정 장치 및 방법과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20180018638A1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schedule management
JP2016071599A (ja) マッチング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097866B1 (ja) シフト管理システム、シフト管理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と制御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