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2138A - 액화 가스 저장 시설에서의 개싱-업 및 가스 시험 방법 - Google Patents

액화 가스 저장 시설에서의 개싱-업 및 가스 시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2138A
KR20230112138A KR1020237021252A KR20237021252A KR20230112138A KR 20230112138 A KR20230112138 A KR 20230112138A KR 1020237021252 A KR1020237021252 A KR 1020237021252A KR 20237021252 A KR20237021252 A KR 20237021252A KR 20230112138 A KR20230112138 A KR 20230112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manifold
liquefied gas
storag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1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세귀 스타니슬라스 드
Original Assignee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filed Critical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ublication of KR20230112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213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2Size large (>1000 m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07Single phase
    • F17C2223/013Single phase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02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67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 F17C2227/0388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sepa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67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 F17C2227/0388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separate
    • F17C2227/0393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separate using a vapori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4Methods for emptying or filling
    • F17C2227/041Methods for emptying or filling vessel by vess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6Controlling or regulating of parameters as output values
    • F17C2250/0605Parameters
    • F17C2250/0631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3Treating the boil-off
    • F17C2265/032Treating the boil-off by recov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1Bar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개시된 개싱-업 방법:은, 제 1 저장 탱크(10A) 안으로 액상 액화 가스(25)를 주입하여,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를 냉각하고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 내의 액상 액화 가스를 기화시키되, 상기 액상 액화 가스(25)가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로 주입되는 동안, 상기 액상 액화 가스의 기화에 의해 생성된 기상 액화 가스(26, 126)를,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 2 저장 탱크(10B)의 상부까지 이송하고, 상기 기상 액화 가스(21)는 불활성 가스(22)보다 밀도가 낮게 하는 단계; 그리고 기상 액화 가스(21)가 적어도 제 2 저장 탱크(10B)의 상부 부분에서 불활성 가스(22)를 대체하도록, 제 2 저장 탱크(10B)의 바닥 부분으로부터 불활성 가스(27)를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화 가스 저장 시설에서의 개싱-업 및 가스 시험 방법
본 발명은 액화 가스 저장 시설, 특히 액화 천연 가스 운반선(LNG carrier) 등과 같은 부유식 구조물 위의 설비 분야에 관한 것이다.
액화 가스 저장 시설은, 특히 LNG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해안의 육상 저장 시설, 해저 저장 시설 또는 연안 또는 심해 부유식 구조물(deep-water floating structure), 특히 액화 천연 가스 운반선, 부유식 저장 및 재기화 설비(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FSRU), 부유식 생산, 저장 및 하역 설비(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unloading, FPSO) 등에 탑재된 시설이 될 수 있다.
상기 액화 가스는 가연성 가스, 특히 액화 천연 가스(LNG) 또는 액화 석유 가스(LPG) 등이 될 수 있다.
제조 후 LNG 저장 탱크를 시운전하거나 주요 수리 후 재시운전하려면 건조, 불활성화하는 이너팅(inerting), 가스를 가득 채우는 개싱-업(gassing-up), 냉각하는 쿨-다운(cool-down) 및 적재하는 로딩(loading)과 같은 일련의 동작들을 수반한다.
특히, 이러한 동작들은 액화 천연 가스 운반선의 시운전 또는 재시운전 전에 실시하는 시험인 가스 시험 중에 수행되어 저장 탱크와 화물 취급 시스템이 저온에서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가스 시험 및 모범 사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SIGTTO 정보 논문(2019년판), ISBN 13: 978-1-85609-810-6(9781856098106)의 "LNG 선박의 가스 시험 계획 가이드" 간행물에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해상 작업 중에 보통 여러 저장 탱크에서 동기적으로 가스 시험들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 LNG 기화 장치에서 강제 기화에 의해 생성된 기상 가스 흐름으로 저장 탱크를 개싱-업하고,
- 이어서, 액상 가스 흐름으로 상기 저장 탱크들을 냉각한다.
해상에서의 이러한 모든 동작들은, 다른 탱크 안으로 앞서 적재된 LNG를 소비하고 그리고 증발 가스, 즉 선상에 저장될 수 없는 증기 상태의 액화 가스를 생성한다. 이 증발 가스를 처리하는 기존 기술에는 재액화, 추진 엔진에서의 소비, 연소 장치에서의 연소 및/또는 대기 중으로 배출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은, 가스 시험, 특히 개싱-업 및 쿨-다운 동작에서 상당한 양의 증발 가스가 발생하고 이는 처리를 용이하게 하고 액화 가스를 절약하고, 그리고/또는 대기로의 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이상적으로 감소되어야 한다는 경험적 지식에 기반한다.
본 발명의 이면에 있는 한 아이디어는, 특히 액화 가스 저장 설비에서 여러 탱크와 관련된 가스 시험 중에, 한 탱크를 냉각할 때에 발생되는 증기 가스를 다른 탱크를 개스-업(gas-up)하는데 사용하는 것을 수반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액화 가스 저장 시설에서 저장 탱크를 개싱-업하기 위한 개싱-업 방법을 제안하며, 상기 액화 가스 저장 시설은 부유식 구조물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방법:은
액화 가스 저장 시설을 준비 상태로 가져가는 단계로서,
상기 액화 가스 저장 시설은, 복수의 저장 탱크(10A-10C)와, 그리고 상기 저장 탱크 각각의 상부에 병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매니폴드(4, 2)를 포함하며,
상기 준비 상태에 있는 상기 저장 탱크들 중 제 1 저장 탱크(10A)는 기상 액화 가스(21)로 채워지고,
상기 제 1 저장 탱크 안의 기상 액화 가스는 상기 액화 가스의 액체-증기 평형 온도 이상의 온도에 있으며,
준비 상태에 있는 상기 저장 탱크들 중 제 2 저장 탱크(10B)는 불활성 가스(22)로 채워지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 1 저장 탱크 안으로 액상 액화 가스(25)를 주입하여,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를 냉각하고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 내의 액상 액화 가스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기화시키되,
상기 액상 액화 가스가 상기 제 1 저장 탱크로 주입되는 동안, 상기 액상 액화 가스의 기화에 의해 생성된 기상 액화 가스를,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 2 저장 탱크의 상부까지, 상기 제 1 저장 탱크 각각의 상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매니폴드를 통해 운반하고, 상기 기상 액화 가스는 불활성 가스보다 밀도를 낮게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상 액화 가스가 상기 제 2 저장 탱크의 적어도 상부 부분에서 상기 불활성 가스를 대체하도록, 상기 기상 액화 가스의 유동의 압력 하에서 상기 제 2 저장 탱크의 바닥 부분으로부터 상기 불활성 가스를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들은 일부 저장 탱크가 순차적으로 또는 부분 순차적으로 개싱-업 및 냉각될 수 있게 하고, 이에 의해 종래의 동기적 절차(synchronous procedure)에서 보다 적은 증발 가스를 생성하게 한다.
유리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이러한 방법은 다음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기상 액화 가스를 제 1 저장 탱크로부터 제 2 저장 탱크로 운반하기 위한 연결이 다양한 상이한 방식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니폴드는 유지보수 매니폴드이고, 상기 유지보수 매니폴드는, 각각의 제 1 격리 밸브를 통해 상기 저장 탱크들 각각의 상부 부분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기상 액화 가스의 유동은, 상기 제1 저장 탱크와 관련된 상기 제1 격리 밸브를 통해 상기 제1 저장 탱크의 상부로부터 상기 유지 보수 매니폴드로, 그리고/또는 제 2 저장 탱크와 관련된 제 1 격리 밸브를 통해 상기 유지 매니폴드로부터 제 2 저장 탱크의 상부로 운반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유지보수 매니폴드는 열적으로 절연되지 않는다. 특히, 상기 유지보수 매니폴드는 전형적으로 탱크 불활성화에 사용되는 불활성 가스 생산 장치에 연결된 매니폴드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니폴드는 증기 매니폴드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증기 매니폴드는 열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증기 매니폴드는 각각의 제 2 격리 밸브를 통해 상기 저장 탱크 각 상부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증기 매니폴드는 유지 보수 매니폴드와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기상 액화 가스의 유동은 제 1 저장 탱크와 관련된 제 1 격리 밸브, 유지 관리 매니폴드, 증기 매니폴드 및 제 2 저장 탱크와 관련된 제 2 격리 밸브를 연속적으로 통하여, 또는 제 1 저장 탱크와 관련된 제 2 절연 밸브, 증기 매니폴드, 유지 관리 매니폴드 및 제 2 저장 탱크와 관련된 제 1 격리 밸브를 연속적으로 통해 이송된다.
상기 제 1 저장 탱크로부터 제 2 저장 탱크로의 기상 액화 가스의 유동은 다양한 상이한 방식들로 영향 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상 액화 가스의 유동은 자연 대류에 의해 제 1 저장 탱크의 상부 부분으로부터 제 2 저장 탱크의 상부 부분으로 흐른다. 이러한 특징들은 추가적인 에너지 소모 없이 수동적 흐름(passive flow)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화 가스 저장 시설은 유지보수 매니폴드 및 증기 매니폴드 중 하나에 연결된 입구와 유지 관리 매니폴드 및 증기 매니폴드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출구를 갖는 가스 재가열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상 액화 가스는 제 2 탱크의 상부 부분에 도달하기 전에 재가열되도록 가스 재가열 장치를 통해 더 운반된다. 이러한 특징들은 상대적으로 차가운 증발 가스, 특히 제 1 탱크의 냉각 작동이 진전된 상태에 있을 때 제 1 탱크에서 얻은 상기 증발 가스의 회수를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액화 가스 저장 시설은 유지보수 매니폴드 및 증기 매니폴드 중 하나에 연결된 입구와 유지 보수 매니폴드 및 증기 매니폴드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출구를 갖는 가스 재가열 장치를 구비하고,
그리고, 제 1 유동 기간 동안, 기상 액화 가스는 자연 대류에 의해 제 1 저장 탱크의 상부 부분으로부터 제 2 저장 탱크의 상부 부분으로 유동하고, 그리고 제 2 유동 기간 동안, 상기 기상 액화 가스는 또한 제 2 저장 탱크의 상부 부분에 도달하기 전에 재가열되도록 가스 재가열 장치를 경유하여 운반된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유동 기간 동안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를 떠나는 기상 액화 가스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상 액화 가스의 온도가 소정의 기준에 도달하면 상기 기상 액화 가스의 흐름을 상기 가스 재가열 장치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들은, 제 1 탱크에 대한 냉각 작동의 시작에서 기설정된 기준, 예를 들어 기상 액화 가스의 밀도가 개싱-업 작동(gassing-up operation)을 수행하기에 너무 높아지는 온도 임계값 이하의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기상 액화 가스의 자연 흐름이 설정될 수 있게 한다. 그 다음, 상기 흐름은 상기 제 2 저장 탱크에 대한 개싱-업을 계속하기 위해 리히터로 전환된다.
상기 액상 액화 가스의 흐름은, 예를 들어, 상기 액화 가스 저장 시설의 외부 또는 내부에 다수의 상이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액상 액화 가스는 상기 액화 가스 저장 시설이 연결되어 있는 육상 터미널 또는 급유 선박으로부터 운반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액화 가스 저장 시설은 상기 제 3 저장 탱크 및 저장 탱크들 각각에 병렬로 연결된 스프레이 매니폴드를 포함하고, 준비 상태에 있는 제 3 저장 탱크는 액상 액화 가스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채워지고, 그리고 액상 액화 가스는 상기 제 3 탱크 안으로 펌핑되어 상기 스프레이 매니폴드에 의해 상기 제 1 탱크로 운송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액상 액화 가스는 분사 장치에 의해 제 1 저장 탱크 안으로 분사된다.
상기 불활성 가스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일 실시예 에 따르면, 상기 액화 가스 저장 시설은 상기 저장 탱크들 각각의 바닥 부분에 병렬로 연결된 액체 매니폴드 및 상기 액체 매니폴드에 연결된 마스트 라이저 (Mast Riser)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탱크를 떠나는 상기 불활성 가스는 상기 액체 매니폴드를 통해 상기 마스트 라이저로 운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부유식 구조물에 탑재된 액화 가스 저장 시설에서 가스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가스 시험:은
전술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 2 저장 탱크를 개싱-업 하고, 일단 제 2 저장 탱크가 개싱-업 되면, 상기 제 2 저장 탱크에 액상 액화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제 2 저장탱크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와 같이, 상기 제 2 저장 탱크가 냉각되는 것과 동시에 다른 저장 탱크가 개싱-업될 수 있다. 이는 제 2 저장 탱크의 냉각 작동 동안 생성된 양의 증발 가스가 사용되게 함으로써, 종래의 동기적 절차에 비해 증발 가스의 전체 생성을 감소시킨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액화 가스 저장 시설을 제시하며, 이 액화가스 저장 시설은 바람직하게는 부유식 구조물 상에서 탑재되고,
복수의 저장 탱크들,
각각의 제 1 격리 밸브를 통해 상기 저장 탱크들 각각의 상부 부분에 나란하게 연결되는 유지보수 매니폴드,
각각의 제 2 격리 밸브를 통해 상기 저장 탱크들 각각의 상부 부분에 연결되는 것으로, 열적으로 절연된 증기 매니폴드,
상기 저장 탱크 각각의 바닥 부분에 나란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열적으로 절연된 액체 매니폴드, 그리고,
상기 액체 매니폴드에 연결되는 마스트 라이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격리 밸브는, 상기 유지보수 매니폴드를 상기 저장 탱크들의 제 1 저장 탱크의 상부 부분과 선택적으로 연통하도록 전환 가능하여, 제 1 저장 탱크로 부터의 기상 액화 가스를, 상기 제1 저장 탱크와 관련된 제 1 격리 밸브를 통해, 상기 유지보수 매니폴드로 운반한다.
유리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이러한 액화 가스 저장 시설은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 탱크들 각각은, 액체 매니폴드에 연결된 충전 라인과, 그리고 상기 저장 탱크의 상부 부분으로 이어지는 증기 라인을 구비하며, 여기서 증기 라인은, 상기 저장 탱크와 관련된 제 1 격리 밸브에 의해 유지 보수 매니폴드(4)에와, 그리고 상기 저장 탱크와 관련된 제 2 격리 밸브(12)에 의해 증기 매니폴드(2)에 병렬로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증기 매니폴드는 유지보수 매니폴드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격리 밸브는 상기 증기 매니폴드(2)를 선택적으로 상기 저장 탱크의 제 2 저장 탱크(10B)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전환 가능하고, 이로써 제 1 저장 탱크로 부터의 기상 액화 가스를, 상기 제 1 저장 탱크와 관련된 제 1 격리 밸브, 유지보수 매니폴드, 증기 매니폴드 및 제 2 저장 탱크와 관련된 제 2 격리 밸브를 통해, 제 2 저장 탱크로 연속적으로 전달되게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액화 가스 저장 시설은 또한 상기 저장 탱크 각각에 병렬로 연결된 스프레이 매니폴드 및 상기 탱크 각각의 상부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레이 매니폴드에 연결된 스프레이 장치를 더 구비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액화 가스는 액화 천연 가스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부유식 구조물은 액화 가스를 운송하기 위한 선박이다. 이러한 액화 가스 운송용 선박은 이중 선체와 이중 선체에 배치된 저장 탱크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 탱크는 멤브레인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되고, 이중 선체는 상기 저장 탱크들의 내력벽을 형성하는 내부 선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가스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시스템은 전술한 액화 가스 저장 시설, 액체 매니폴드 또는 스프레이 매니폴드를 육상 터미널에 연결하도록 배치된 절연 파이프들 및 육상 터미널로부터 액체 매니폴드 또는 스프레이 매니폴드로 절연 파이프를 통해 액상 액화 가스 흐름을 작동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 본 발명의 다수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 잘 이해되고 추가적 목적들, 세부사항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액화 가스 저장 및 취급 시스템의 일부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도 1과 유사한 도면으로, 탱크에 대한 개싱-업 작동 전의 액화 가스 저장 및 취급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과 유사한 도면으로, 탱크의 개싱-업 작동의 첫 번째 단계에서의 액화 가스 저장 및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는 개싱-업 작동 중 탱크 상태의 시간적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1과 유사한 도면으로, 탱크의 개싱-업 작동의 두 번째 단계에서의 액화 가스 저장 및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1과 유사한 도면으로, 탱크의 개싱-업 작동의 세 번째 단계에 있는 액화 가스 저장 및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7은 액화 가스 저장 및 취급 시스템에서 구현된 시험 절차를 보여주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8은 상적/하적 터미널에 연결된 액화 천연 가스 운반선의 일부 절제 개략도이다.
도 1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과 같은 부유식 구조물로 운반될 수 있는 LNG 저장 시설의 개략도이다.
세 개의 저장 탱크(10A, 10B, 10C)가 예시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 숫자는 더 많거나 적을 수 있다. 상기 탱크들은 선박의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 배열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을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저장 탱크들은 이중 멤브레인 기술과 같은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 밀폐 단열 벽을 갖춘다.
모든 탱크들을 연결하는 화물 취급 시스템이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각 저장 탱크(10A-C):들은 특히
액체 매니폴드(1)에 연결되는 필링 라인(9);
상기 저장 탱크의 상부 부분으로 이어지고, 그리고 제 1 격리 밸브(11)에 의해 유지보수 매니폴드(4)에 평행하게, 그리고 제 2 격리 밸브(12)에 의해 증기 미니폴드(2)에 평행하게 연결되는 증기 라인(6);
상기 저장 탱크의 상부 부분 안으로 개방되고 스프레이 매니폴드(3)에 연결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프레이 붐(5)들;
펑핑 라인(8)에 의해 상기 스프레이 매니폴드(3)로 연결되는 스프레이 펌프(7);를 구비한다.
각 저장 탱크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역 펌프와 같은, 도시되지 않은 다른 요소가 있을 수 있다.
앞에 언급된 매니폴드들, 예를 들어 모든 탱크들의 충전 라인(9)들이 연결되는 액체 매니폴드(1), 그리고 모든 탱크들의 스프레이 붐(5)들이 연결되는 스프레이 매니폴드(3)들은 다른 유체 회로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 16 및 17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체 매니폴드(1)와 스프레이 매니폴드(3)는 육상 터미널 또는 다른 선박으로 또는 이들로 부터의 유체를 운송하기 위한 환적 회로(transshipment circuit)에 연결된다.
상기 탱크 벽을 관통하여 통과하는 라인들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단일 증기 라인(6)이 유지보수 매니폴드(4)와 증기 매니폴드(2)를 상기 탱크 내부의 공간에 병렬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2 개의 별개의 증기 라인들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프레이 매니폴드(3), 액체 매니폴드(1) 및 증기 매니폴드(2)는 차가운 유체들을 운반하도록 설계되며,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열적으로 절연된다. 반대로, 유지보수 매니폴드(4)는 열절연이 거의 또는 전혀 없는데, 이는 상기 매니폴드가 탱크들 및 파이프들에 대한 불활성화 동작을 위해 불활성 가스 생성 유닛(미도시)으로부터 불활성 가스를 운송하기 위해 통상 사용되기 때문이다.
도 1 은, 도 3 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되는 특히 긴 유동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유지보수 매니폴드(4)의 일 단부를 상기 증기 매니폴드(2)에 연결하는 굽은 연결부(19)를 또한 도시한다. 이 굽은 연결부는 선택적이다.
가스 재가열기(14)는, 격리 밸브들을 통해, 예를 들어 가스 재가열기(14)의 출구에서 유지보수 매니폴드(4)에 연결되고, 그리고 예를 들어 가스 재가열기(14)의 입구에서 증기 매니폴드(2)에 연결된다. 유사하게, 상기 기화 장치(15)는 격리 밸브들을 통해, 예를 들어 기화 장치(15)의 입구에서 스프레이 매니폴드(3)에 연결되고, 그리고, 예를 들어 기화 장치(15)의 출구에서 상기 증기 매니폴드(2)에 연결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컴포넌트들은 다른 매니폴드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 매니폴드(2)는, 상기 링크(18)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기체 상태의 가스에 의해 작동하는 장치, 예를 들어 연소 장치 또는 추진 엔진에 기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를 냉각하고 제 2 저장 탱크(10B)를 개싱-업 하기 위한 동시 동작은 도 2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저장 탱크(10B)를 불활성화하고 이 탱크(10A)를 개싱-업함으로써 상기 시설이 준비 상태로 전환된다. 이러한 동작들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관행에 의해, 도면에서 굵은 선은 상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체를 수송하기에 적합한 파이프들 또는 회로들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화살표는, 수평 화살표 아래의 파이프에서, 또는 수직 화살표의 좌측의 파이프에서 액체 또는 가스가 흐르는 것을 나타낸다.
도 2 에 도시된 준비 상태에서,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는 상온에서 기상 천연 가스(21)로 충전되고, 상기 제 2 저장 탱크(10B)는 상온에서 오일 연소로부터의 디니트로겐 또는 이산화탄소-풍부(carbon-dioxide-rich) 가스 같은 불활성 가스(22)로 충전된다.
준비 상태에서 액상 액화 가스로 부분적으로 충전된 다른 저장 탱크가 도 2 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프레이 매니폴드(3)는 또한 이 다른 탱크에 연결된다.
도 3 은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의 냉각과 상기 제 2 저장 탱크(10B)을 개싱-업을 동시에 하는 제 1 단계를 도시한다.
LNG(25)는 스프레이 매니폴드(3)를 통해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 내로 주입되고 그리고 스프레이 붐(5)에 의해 분사되어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를 냉각시킨다. 상기 LNG는 기화하여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에서 기화 잠재 에너지를 방출하고 기상 천연 가스의 잉여분을 생성한다.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 내의 압력 증가를 피하기 위해, 상기 기상 천연 가스의 잉여분은 생성 되는대로 제 1 저장 탱크(10A)로부터 배출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 1 저장 탱크(10A)로부터 제 2 저장 탱크(10B)로 기상 천연 가스의 유동(26)을 수행하여 상기 제 2 저장 탱크(10B)에 가스를 채우기 위한 유동 경로가 생성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NG 유동(25)은 다른 탱크 내로 펌핑될 수 있고, 상기 스프레이 매니폴드(3)를 통해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로 운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저장 탱크(10B)의 개싱-업이 상기 불활성 가스(22) 보다 더 가벼운 가스를 사용하여 수행되어야 하므로, 상기 불활성 가스(22)를 제 2 저장 탱크(10B)의 바닥으로 강제하기 위해, 열적으로 절연되지 않고 따라서 주변 대기와 일부 열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긴 길이의 유지보수 매니폴드(4)를 상기 기상 천연 가스의 유동(26)을 위한 유동 경로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고, 이에 의해 상기 기상 천연 가스 의 유동(26)이 상기 제 2 저장 탱크(10B)에 도달하기 전에 가열되는 것을 돕는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화살표 "26" 은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로부터 상기 증기 라인(6) 및 상기 격리 밸브(11)를 통해 유지보수 매니폴드(4)로의 유동 경로를 도시하며, 상기 유지보수 매니폴드(4)의 전체 길이를 굽은 연결부(19)까지 연장되고, 그리고 상기 증기 매니폴드(2)에서 상기 제 2 저장 탱크(10B)의 증기 라인(6)까지 이어진다.
이 유동경로는 아래와 같이 작동하는 격리 밸브(11, 12)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 제 1 저장 탱크(10A)의 격리 밸브를 제외한 모든 격리 밸브(11)를 닫음.
- 제 2 저장 탱크(10B)의 격리 밸브를 제외한 모든 격리 밸브(12)를 닫음.
다른 흐름 경로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된 유동 경로는 반전될 수 있는데, 증기 매니폴드 (2)로 시작하여 유지보수 매니폴드(4)로 끝날 수 있다. 이 반전 경로는 격리 밸브(11 및 12)들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 제 1 저장 탱크(10A)의 격리 밸브를 제외한 모든 격리 밸브(12)를 폐쇄
- 제 2 저장 탱크(10B)의 격리 밸브를 제외한 모든 격리 밸브(11)를 폐쇄
다른, 더 짧은 흐름 경로가 화살표 "126" 에 의해 도시된다. 이 경우, 유동 경로는 제 1 저장 탱크(10A)의 증기 라인(6) 및 격리 밸브(11)를 통해 유지보수 매니폴드(4) 쪽으로 제 1 저장 탱크(10A)를 빠져나가고, 상기 제 2 저장 탱크(10B)의 증기 라인(6) 및 격리 밸브(11)를 통해 제 2 저장 탱크(10B)로 다시 들어간다.
상기 제 2 저장 탱크(10B)의 개싱-업 작동 동안, 기상 천연 가스의 유동(26 또는 126)은 상기 불활성 가스(22)를 제 2 저장 탱크(10B)의 바닥 쪽으로 플러시(flush)한다. 상기 제 2 저장 탱크(10B) 안으로의 기상 천연 가스의 유동(26 또는 126)을 허용하는 압력 차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2 저장 탱크(10B)의 압력이, 상기 불활성 가스의 유동(27)이 충전 라인(9), 액체 매니폴드(1) 및 액체 매니폴드(1)에 연결된 마스트 라이저(13)를 통해 배출되도록 허용함으로써,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의 압력 보다 낮게 유지되게 한다. 이것은 바람직하게 전방 마스트이며, 선박의 브리지 하우스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다. 개싱-업이 진행되는 동안에 상기 제 2 저장 탱크(10B)의 상대 압력은 예를 들어 약 60 mbar(6kPa)일 수 있고,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의 상대 압력은 예를 들어 150 mbar(15 kPa)에서 180 mbar(18 kPa) 사이일 수 있다.
도 4 는 냉각 작동 동안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의 열역학적 상태 변화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x 축은 시간으로 표시되는 시간 축이다. 우측의 y-축은 섭씨 (℃) 로 표현된 제 1 저장 탱크(10A) 내의 기체 상(gas phase)의 온도를 나타내고, 곡선(41)은 주위 온도 (이 경우 30 ℃) 로부터 대략 -130 ℃ 까지의 기체 상의 온도의 변화를 보인다. 좌측의 y 축은 kg/h 로 표현되는 증발 가스의 질량 흐름률(mass flow rate)을 나타내고, 곡선(42)은 상기 냉각 작동의 시작에서 초기 제로 유속으로부터 제 1 저장 탱크(10A)를 떠나는 증발 가스의 질량 흐름률의 변화를 보인다. 상기 냉각 작동은 대용량 탱크에 대해 약 15시간 걸릴 수 있다.
도 4에 제시된 정량적 값은 순전히 예시적인 수치이다. 이들 값은 다음과 같은 추세를 명확하게 보여주는데, 냉각 작동이 시작될 때 생성되는 증발 가스는 상대적으로 뜨겁고 따라서 밀도가 높지 않으며, 그리고 상기 가스의 생산량은 처음에는 낮지만 빠르게 증가한다. 일정 기간 후에, 예를 들어, 도 4 의 약 2시간 후에, 상기 증발 가스가 너무 낮은 온도, 예를 들어 도 4의 -25 ℃에 도달하며 그 때문에 상기 제 2 저장 탱크(10B)에 직접 가스를 채우기에 밀도가 너무 높아 진다.
이 경우,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 1 단계를 종료할 필요가 있을 수 있고,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 재가열기(14)를 사용하여 제 2 단계의 동작을 시작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도 5에서, LNG 유동(25) 및 불활성 가스의 유동(27)은 이전과 같이 계속되지만, 기상 천연 가스의 유동(26)은 가스 재가열기(14)를 통해 다른 유동 경로를 따라 수행되고, 유동하는 상기 기상 천연 가스는 상기 제 2 저장 탱크(10B)의 개싱-업을 계속하기에 적합한 온도, 예를 들어 약 20℃로 가열된다. 가열된 천연 가스의 유동은 화살표 "28"로 표시된다. 도 5 에 도시된 예에서, 유동 경로는 증기 라인(6) 및 격리 밸브(12)를 통해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를 빠져 나가고, 상기 증기 매니폴드(2), 가스 재가열기(14), 유지보수 매니폴드(4), 격리 밸브(11) 및 제 2 저장 탱크(10B)의 증기 라인(6)들을 통과하여 상기 제 2 저장 탱크(10B)로 넘어간다.
제 2 단계를 시작하기 위해, 상기 기상 천연 가스의 유동(26)을 가스 재가열기(14)로의 전환은 수동 또는 자동화될 수 있다. 제 1 단계를 종료하고 제 2 단계를 시작하는 기준은 온도 또는 기상 천연 가스의 밀도일 수 있다. 이 기준은 인간 오퍼레이터에 의해 모니터링되거나 제어 시스템에 의해 자동화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의 냉각 작동 전반에 걸쳐, 생성된 증발 가스의 양이 상기 제 2 저장 탱크(10B)의 가스 발생 동작의 진행률 (rate of progress)과 관련하여 과도한 경우, 잉여 기상 천연 가스는 예를 들어 링크(18)를 통해 가스-동력 설비(gas-powered equipment)로 향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저장 탱크(10B)를 개싱-업하기 위해 위에서 설명된 2 개의 단계들은,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의 냉각 작동 동안 불가피하게 생성되는 증발 가스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두 단계는 그러나 필수적이지 않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 내의 증발 가스 온도가 너무 낮게 떨어지기 전에 상기 제 2 저장 탱크(10B)의 개싱-업이 완료되면, 제 2 단계는 요구되지 않는다.
반대로, 상기 증발 가스 생성이 상대적으로 낮을 때,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의 냉각 작동이 시작될 때 대신에, 상기 증발 가스 유동이 안정되고 냉각된 후에만 상기 제 2 저장 탱크(10B)의 개싱-업을 시작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 재가열기(14)를 직접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위에서 설명된 제 1 단계는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저장 탱크(10A)의 냉각 작동은 제 2 저장 탱크(10B)의 개싱-업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저장 탱크(10B)의 개싱-업 작동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의 냉각 작동이 완료되면,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저장 탱크(10B)의 개싱-업 작동이 임의의 종래의 방법을 사용하여 완료될 수 있다.
도 6 에서,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는 냉각 후에 액상 LNG 로 부분적으로 채워진다. 상기 제 2 저장 탱크(10B)의 개싱-업을 계속하기 위해, LNG 유동(30)은 스프레이 펌프(7)를 사용하여 제 1 저장 탱크(10A)의 바닥에 저장된 액상(liquid phase, 23)으로 펌핑되고, 그리고, 예를 들어 스프레이 매니폴드(3)를 통해 기화 장치(15)로 이송된다. 그런 다음, 기화 장치(15)는 예를 들어 약 20 ℃ 의 온도에서 기화된 천연 가스 흐름(29)을 생성하고, 이는 가스 발생 동작을 완료하기 위해 제 2 저장 탱크(10B)로 이송된다.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에 대한 냉각 작동 및 제 2 저장 탱크(10B)에 대한 개싱-업 작동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전술한 방법은 액화 천연 가스 운반선 또는 임의의 다른 LNG 저장 설비에서 가스 테스트 절차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절차는 도 7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7 은 선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된 유사한 용량의 4 개의 저장 탱크를 갖는 액화 천연 가스 운반선에서의 가스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운전의 시퀀스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탱크 A 는 선박의 후방에 있는 탱크이고, 탱크 D 는 선박의 전방에 있는 탱크이다. X축은 시간(Hour)으로 표시된 시간축이다.
참조 번호 101~118로 지정된 작업은 다음과 같다:
101: 탱크 A 의 개싱-업
102 : 탱크 A 의 냉각
103: 탱크 B 의 개싱-업 (부분충전)
104: 탱크 A의 부분적 충진
105: 탱크 B 의 개싱-업 (완충)
106: 탱크 B 의 냉각
107 : 자유-유동 가스 연소 장치(GCU)의 활성화
108: 저부하 컴프레서(LDC, Low Duty Compressor)의 활성화
109: 탱크 C 의 개싱-업 (완충)
111: 가스 연소 장치의 최종 활성화
112: 탱크 A 로부터 탱크 B 로의 액상(Liquid Phase)의 이송 (펌프 테스트)
113: 탱크 C의 냉각
114: 탱크 D의 개싱-업(완충)
115: 탱크 B 로부터 탱크 C 로의 액상의 이송
116: 탱크 D의 냉각
117: 탱크 C에서 탱크 D로 액상 이송
118: 탱크 D 로부터 탱크 A 로의 액상의 이송
101 단계 내지 104 단계는 LNG의 외부 소스, 즉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이 연결된 육상 터미널 또는 급유 선박과 연합하여 수행된다. 단계 105 내지 단계 118 은 해상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육상 터미널의 임대 비용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도 7 의 박스(100)들은, 상기 마지막 탱크의 냉각을 위한 코스를 제외하고, 탱크의 냉각 작동이 다음 탱크의 개싱-업 작동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일치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이어서, 냉각에 의해 생성된 증발 가스는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사용하여 개싱-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는, 종래의 동기적 절차(synchronous procedure)와 비교하여, 이 절차를 사용하여 수행된 가스 시험들에 의해 생성된 증발 가스의 총량의 상당한 감소이다.
이러한 감소된 양의 증발 가스는 재액화, 연소, 터미널로의 복귀 또는 대기 내로의 배출에 의해 관리하기가 더 쉬우며, 따라서 모든 경우에 유익하다. 이러한 이점은 운영 비용 절감 및/또는 환경적 이점(배출량 감소)이 될 수 있다.
상기 가스 시험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선박 상의 탱크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여러 척의 선박이 있는 경우, 가스 시험 절차 중에 유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이들 선박이 연결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상에서는 하나의 선박의 화물 취급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동작들이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동작들은 서로 연결된 둘 이상의 선박의 화물 취급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에, 매니폴드, 예를 들어 증기 매니폴드는 상이한 상호 연결된 선박의 증기 매니폴드의 조합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액화 천연 가스 운반 선박(70)의 일부 절제 개략도는 선박의 이중 선체(72)에 장착된 전체적인 각기둥(prismatic) 형상을 갖는 밀봉된 단열 탱크(71)를 도시한다. 상기 탱크(71)의 벽은 탱크 내에 수용된 LNG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1 차 밀봉 배리어, 선박의 제 1 밀봉 배리어와 이중 선체 (72) 사이에 배열된 2 차 밀봉 배리어, 및 제 1 밀봉 배리어와 제 2 밀봉 배리어 사이에, 그리고 제 2 밀봉 배리어와 이중 선체 (72) 사이에 각각 배열된 2 개의 절연 배리어를 갖는다.
알려진 방식으로, 선박의 상부 데크 상에 배열된 상적/하적 파이프(73)는, LNG의 화물을 탱크(71)로 또는 탱크 (71)로부터 이송하기 위해, 적절한 커넥터를 사용하여 바다 또는 포트 터미널에 연결될 수 있다.
도 8 은 상적/하적 지점(75), 해저 라인(76) 및 육상 시설(77)을 포함하는 해상 터미널의 예를 도시한다. 상적/하적 지점(75)은 가동 아암(74) 및 가동 아암(74) 을 유지하는 칼럼(78)을 포함하는 고정식 해양 시설이다. 이동식 아암(74)은 상적/하적 파이프(73)들에 연결할 수 있는 절연된 호스(79)들의 묶음을 운반한다. 배향성 이동식 아암(74)은 액화 천연 가스 운반 선박의 모든 크기에 적응될 수 있다. 연결 라인 (미도시)은 컬럼(78) 내부에서 연장된다. 상기 상적/하적 지점(75)은, 상기 육상 시설(77)으로 또는 이로 부터, 상기 액화 천연 가스 운반선(70)의 상적 및 하적을 가능하게 한다. 이 시설은, 액화 가스 저장 탱크(80) 및 해저 라인(76)을 통해 상적/하적 지점(75)에 연결된 연결 라인(81)을 갖는다. 상기 해저 라인(76)은 액화 가스가 상적/하적 지점(75) 과 육상 설비(77)사이에서 큰 거리, 예를 들어 5 km 넘게 이송될 수 있게 하며, 이는 상적 및 하적 운전 동안 액화된 천연 가스 운반 선박(70)을 해안(coast)으로부터 멀게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액화가스를 이송하는데 필요한 압력을 생성하기 위해, 선박 (70)에 운반되는 펌프들 및/또는 육상 시설 (77) 에 설치된 펌프들 및/또는 로딩/언로딩 지점(75)에 설치된 펌프들이 사용된다.
본 발명은 몇몇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이에 명백하게 결코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수단 및 이들의 조합의 모든 기술적 균등물을 포함한다.
동사 "구비하다 (comprise)" 또는 " 포함하다 (include) " 의 사용은, 활용형을 포함하여, 청구항에서 언급된 것들에 부가하여 다른 요소들 또는 다른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청구항들에서, 괄호들 사이의 참조 부호들은 청구항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18)

  1. 부유식 구조물에 탑재된 액화 가스 저장 시설의 저장 탱크를 개싱-업하는 개싱-업 방법으로서,
    액화 가스 저장 시설을 준비 상태로 가져가는 단계로서,
    상기 액화 가스 저장 시설은, 복수의 저장 탱크(10A-10C)와, 그리고 상기 저장 탱크 각각의 상부에 병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매니폴드(4, 2)를 포함하며,
    상기 준비 상태에 있는 상기 저장 탱크 중 제 1 저장 탱크(10A)는 기상 액화 가스(21)로 채워지고,
    상기 제 1 저장 탱크 안의 기상 액화 가스는 상기 액화 가스의 액체-증기 평형 온도 이상의 온도에 있으며,
    준비 상태에 있는 상기 저장 탱크 중 제 2 저장 탱크(10B)는 불활성 가스(22)로 채워지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 안으로 액상 액화 가스(25)를 주입하여,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를 냉각하고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 내의 액상 액화 가스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기화시키되,
    상기 액상 액화 가스(25)가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로 주입되는 동안, 상기 액상 액화 가스의 기화에 의해 생성된 기상 액화 가스(26, 126)를,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 2 저장 탱크(10B)의 상부까지, 상기 제 1 저장 탱크 각각의 상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매니폴드(4, 2)를 통해 운반하고, 상기 기상 액화 가스(21)는 불활성 가스(22)보다 밀도를 낮게 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기상 액화 가스(21)가 상기 제 2 저장 탱크(10B)의 적어도 상부 부분에서 불활성 가스(22)를 대체하도록, 상기 기상 액화 가스의 유동의 압력 하에서 상기 제 2 저장 탱크(10B)의 바닥 부분으로부터 상기 불활성 가스(27)를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싱-업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니폴드는 유지보수 매니폴드(4)이고,
    상기 유지보수 매니폴드는, 각각의 제 1 격리 밸브(11)를 통해 상기 저장 탱크들 각각의 상부 부분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기상 액화 가스의 유동(26, 126)은,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와 관련된 상기 제 1 격리 밸브(11)를 통해 상기 제1 저장 탱크의 상부로부터 상기 유지 보수 매니폴드(4)로, 그리고/또는 제 2 저장 탱크와 관련된 제 1 격리 밸브(11)를 통해 상기 유지 매니폴드(4)로부터 제 2 저장 탱크(10B)의 상부로 이송되는, 개싱-업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니폴드는 증기 매니폴드(2)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증기 매니폴드는 열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증기 매니폴드(2)는 각각의 제 2 격리 밸브(12)를 통해 상기 저장 탱크 각 상부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증기 매니폴드(2)는 유지 보수 매니폴드(4)와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기상 액화 가스의 유동(26)은 제 1 저장 탱크(10A)와 관련된 제 1 격리 밸브(11), 유지 관리 매니폴드(4), 증기 매니폴드(2) 및 제 2 저장 탱크(10B)와 관련된 제 2 격리 밸브(11)를 연속적으로 통하여, 또는 제 1 저장 탱크와 관련된 제2절연밸브, 증기 매니폴드(2), 유지 관리 매니폴드(4) 및 제 2 저장 탱크와 관련된 제 1 격리 밸브(12)를 연속적으로 통해 이송되는, 개싱-업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액화 가스의 유동(26, 126)이, 자연 대류에 의해 제 1 저장 탱크(10A)의 상부 부분으로부터 제 2 저장 탱크(10B)의 상부 부분으로 흐르는, 개싱-업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 가스 저장 시설은, 상기 유지보수 매니폴드(4) 및 증기 매니폴드(2) 중 하나에 연결된 입구 및 상기 유지보수 매니폴드(4) 및 증기 매니폴드(2)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출구를 갖는 가스 재가열 장치(14)를 더 구비하며,
    상기 기상 액화 가스(26, 28)는, 상기 제 2 저장 탱크(10B)의 상부에 도달하기 전에 재가열될 가스 재가열 장치를 통해 더 이송되는, 개싱-업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 가스 저장 시설은, 유지보수 매니폴드 및 증기 매니폴드(2) 중 하나에 연결된 입구, 그리고 유지 관리 매니폴드(4) 및 증기 매니폴드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출구를 갖는 가스 재가열 장치(14)를 더 구비하며,
    여기에서, 제 1 유동 기간 동안, 기상 액화 가스(26)는 자연 대류에 의해 제 1 저장 탱크의 상부로부터 제 2 저장 탱크의 상부까지 유동하며, 그리고
    제 2 유동 기간 동안, 기상 액화 가스(26, 28)는 또한 상기 가스 재가열 장치(14)를 통해 이송되어 제 2 저장 탱크의 상부에 도달하기 전에 재가열되는, 개싱-업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동 기간 동안 상기 제 1 저장 탱크(10A)를 떠나는 기상 액화 가스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상 액화 가스의 온도가 소정의 기준치에 도달하면 상기 기상 액화 가스의 흐름을 상기 가스 재가열 장치(14)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싱-업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액화 가스(25)가 액화 가스 저장 시설이 연결된 해안의 육상 터미널(77)로부터 이송되는, 개싱-업 방법.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액화 가스(25)는 상기 액화 가스 저장 시설이 연결된 급유선으로부터 이송되는, 개싱-업 방법.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에 청구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화 가스 저장 시설은 제 3 저장 탱크 및 상기 저장 탱크(10A-10C) 각각에 병렬로 연결된 스프레이 매니폴드(3)를 포함하고,
    준비 상태에 있는 상기 제 3 저장 탱크는 액상 액화 가스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채워지며,
    상기 액상 액화 가스의 유동(25)은 제 3 저장 탱크 안으로 펌핑되어 상기 스프레이 매니폴드(3)에 의해 제 1 저장 탱크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싱-업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액화 가스는 분사 장치(5)에 의해 제 1 저장 탱크 안으로 분사되는, 개싱-업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 가스 저장 시설은 상기 저장 탱크(10A-10C) 각각의 바닥 부분에 병렬로 연결된 액체 매니폴드(1) 및 상기 액체 매니폴드(1)에 연결된 마스트 라이저(13)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저장 탱크(10B)를 떠나는 불활성 가스(27)가 상기 액체 매니폴드(1)를 통해 마스트 라이저(13)로 이송되는, 개싱-업 방법.
  13. 부유식 구조물의 선상 액화 가스 저장 시설에서 가스 검사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하나에 청구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 2 저장 탱크를 개싱-업(103, 105)하고, 일단 제 2 저장 탱크가 개싱-업되면,
    제 2 저장 탱크를 냉각하기 위해 제 2 저장 탱크 안으로 액상 액화 가스를 주입(106)하는, 가스 검사 방법.
  14. 부유식 구조물에 탑재되어 운반되는 액화 가스 저장 시설로서,
    복수의 저장 탱크(10A-10C),
    각각의 제 1 격리 밸브(11)를 통해 상기 각 저장 탱크의 상부에 병렬로 연결된 유지보수 매니폴드(4),
    각각의 제 2 격리 밸브(12)를 통해 상기 저장 탱크 각각의 상부에 병렬로 연결되는 것으로 열적으로 절연된 증기 매니폴드(2),
    상기 저장 탱크 각각의 바닥 부분에 병렬로 연결되는 것으로 열적으로 절연된 액체 매니폴드(1), 그리고
    상기 액체 매니폴드에 연결된 마스트 라이저(13)를 구비하며,
    상기 저장 탱크(10A-C) 각각은, 액체 매니폴드(1)에 연결된 충전 라인(9)과, 그리고 상기 저장 탱크의 상부로 이어지는 것으로 상기 저장 탱크와 관련된 제 1 격리 밸브(11)에 의해 유지 보수 매니폴드(4)에와, 그리고 상기 저장 탱크와 관련된 제 2 격리 밸브(12)에 의해 증기 매니폴드(2)에 병렬로 연결되는, 증기 라인(6)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격리 밸브(11)는, 상기 유지보수 매니폴드(4)를 상기 저장 탱크들의 제 1 저장 탱크(10A)의 상부 부분과 선택적으로 연통하도록 전환 가능하여, 상기 제 1 저장 탱크로부터의 기상 액화 가스(26)를, 상기 제1 저장 탱크(10A)와 관련된 제 1 격리 밸브(11)를 통해, 상기 유지보수 매니폴드(4)로 이송하도록 되어 있는, 액화 가스 저장 시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매니폴드(2)는 유지보수 매니폴드(4)와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 2 격리 밸브(12)는, 상기 제 1 저장 탱크와 관련된 제 1 격리 밸브(11), 유지보수 매니폴드(4), 증기 매니폴드(2) 및 제 2 저장 탱크와 관련된 제 2 격리 밸브(12)를 통해 제 1 저장 탱크에서 제 2 저장 탱크로 기상 액화 가스(26)을 연속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증기 매니폴드(2)를 선택적으로 상기 저장 탱크의 제 2 저장 탱크(10B)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전환 가능하게 된, 액화 가스 저장 시설.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탱크들 각각에 병렬로 연결된 스프레이 매니폴드(3) 및 상기 저장 탱크들 각각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프레이 매니폴드(3)에 연결되는 스프레이 장치(5)를 더 구비하는, 액화 가스 저장 시설.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구조물은 액화 가스를 운반하기 위한 선박(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 가스 저장 시설.
  18. 가스 시험을 수행하는 테스트 시스템으로서,
    제17항에 기재된 액화 가스 저장 시설;
    액체 매니폴드(1) 또는 스프레이 매니폴드(3)를 연안의 육상 터미널(77)에 연결하도록 배치된 절연 파이프(73, 79, 76, 81); 그리고
    육상 터미널로부터 액체 매니폴드(1) 또는 스프레이 매니폴드(3)로 상기 절연 파이프를 통해 액상 액화 가스 흐름을 구동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는, 테스트 시스템.
KR1020237021252A 2020-12-10 2021-12-09 액화 가스 저장 시설에서의 개싱-업 및 가스 시험 방법 KR202301121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2012970A FR3117572B1 (fr) 2020-12-10 2020-12-10 Procedes de mise sous gaz et d’essais gaz dans une installation de stockage de gaz liquefie
FRFR2012970 2020-12-10
PCT/EP2021/085106 WO2022122982A1 (fr) 2020-12-10 2021-12-09 Procédés de mise sous gaz et d'essais gaz dans une installation de stockage de gaz liquéfi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138A true KR20230112138A (ko) 2023-07-26

Family

ID=74669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1252A KR20230112138A (ko) 2020-12-10 2021-12-09 액화 가스 저장 시설에서의 개싱-업 및 가스 시험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3553928A (ko)
KR (1) KR20230112138A (ko)
CN (1) CN116601421A (ko)
FR (1) FR3117572B1 (ko)
WO (1) WO2022122982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788175A (en) * 1963-12-20 1968-06-25 D. Lewis Joh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natural gas
US5699839A (en) * 1995-07-14 1997-12-23 Acurex Environmental Corporation Zero-vent liquid natural gas fueling station
US20070068576A1 (en) * 2005-09-27 2007-03-29 Fisher Steven A Methods and systems for filling a vessel with a compressed gas
KR20160088183A (ko) * 2015-01-15 2016-07-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KR101847021B1 (ko) * 2016-08-12 2018-04-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운반선의 lng 선적 시스템 및 방법
CN114929572A (zh) * 2019-12-24 2022-08-19 大宇造船海洋株式会社 船舶液化气体供应系统和方法以及船舶液化气体燃料供应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53928A (ja) 2023-12-26
FR3117572B1 (fr) 2023-11-24
WO2022122982A1 (fr) 2022-06-16
FR3117572A1 (fr) 2022-06-17
CN116601421A (zh) 2023-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9200B2 (ja) 船舶のためのlng燃料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122549B1 (ko)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증발가스 억제장치
KR102646624B1 (ko) 가스 유조선을 위한 가스 저장 시설에서 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6684789B2 (ja) 液化ガスを冷却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N109154421B (zh) 用于向消耗气体的构件供给可燃气体并用于液化所述可燃气体的装置
KR101788750B1 (ko) 해양 구조물 및 적하역 방법, lng 저장탱크의 쿨 다운 방법
KR101559404B1 (ko) 질소를 이용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치환장치
KR20120113398A (ko) 듀얼 연료시스템이 마련된 액화석유가스 운반선
CN107636380A (zh) 用于冷却液化气体的方法
JP2017517431A (ja) 船舶における燃料ガスの供給システム
KR20210096641A (ko) 재기화 유닛을 구비한 수용 터미널의 가스 처리 시스템 및 대응하는 가스 처리 방법
KR101567855B1 (ko) 질소를 이용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치환장치
KR20230112138A (ko) 액화 가스 저장 시설에서의 개싱-업 및 가스 시험 방법
JP7445763B2 (ja) 船舶の液化ガスの供給システム及び液化ガスの供給方法
KR101953507B1 (ko) 가스 저장 및 처리 설비
KR102132151B1 (ko) Lpg 선박 추진 시스템
KR102239826B1 (ko) 해상 천연가스 액화 및 저장 구조물 및 방법
RU2816277C2 (ru) Система обработки газа, содержащегося внутри резервуара для хранения и/ил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газа в сжиженном состоянии и газообразном состоянии, которая установлена на судне
CN114423691A (zh) 一种用于处理容纳在用于储存和/或运输液态和气态气体的罐中的气体的、安装在船上系统
KR20150134830A (ko) 부유식 lng 생산설비 및 이를 이용한 lng 로딩 방법
KR101924378B1 (ko) 해양구조물
KR102250484B1 (ko) 쿨다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111524B1 (ko) 선박의 소기 냉각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00297A (ko) 액화가스 운반선 및 상기 액화가스 운반선의 소화설비용 컴파트먼트 배치구조
KR101873544B1 (ko) 극저온 누출액 제거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