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2121A - 치과용 장치 및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치과용 장치 및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2121A
KR20230112121A KR1020237017953A KR20237017953A KR20230112121A KR 20230112121 A KR20230112121 A KR 20230112121A KR 1020237017953 A KR1020237017953 A KR 1020237017953A KR 20237017953 A KR20237017953 A KR 20237017953A KR 20230112121 A KR20230112121 A KR 20230112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
dental
bodies
frame member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7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9439B1 (ko
Inventor
러셀 제이 크로켓
Original Assignee
러셀 제이 크로켓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러셀 제이 크로켓 filed Critical 러셀 제이 크로켓
Publication of KR20230112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2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9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94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61B5/0064Body surface sc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8Mechanical means or methods, e.g. a contact probe moving over the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93Workpiece suppo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2018/2035Beam shaping or redirecting; Optical components therefor
    • A61B2018/20351Scanning mechanisms
    • A61B2018/20353Scanning in three dimensions [3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Geometr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스캔 바디 및 프레임 부재를 구비하는 치과용 장치가 기술된다. 각 스캔 바디는 종방향 축과 종방향 축에서 반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장(확장)되는 날개 영역을 구비한다. 이들 스캔 바디는 치아 아치에서 치아 파스너에 부착되고 프레임 부재는 물리적 검증 지그를 형성하기 위해 스캔 바디의 날개 영역에 부착된다. 프레임 부재를 부착하기 전이나 후에 구강 스캐너를 사용하여 스캔 바디를 스캔한다. 스캔 바디는 3차원 디지털 이미지 파일이 구비한다. CAD 소프트웨어는 스캔한 이미지를 이미지 파일에 정렬하고 치아 아치의 여러 캡처를 함께 마련(stitch)한다. 적어도 2개의 스캔 바디를 갖고 프레임 부재를 갖지 않는 치과용 장치가 또한 기술된다. 스캔 바디는 치아 아치에서 치아 파스너에 부착되고 날개 영역은 수렴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치과용 장치 및 사용 방법
본 발명의 분야는 치과용 장치, 특히 구강 스캐닝, 조직 리트렉션 (retraction) 및 물리적 검증 지그를 위한 치과용 장치이다.
배경 설명은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유용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에 제공된 정보가 선행 기술이거나 현재 청구된 발명과 관련이 있거나 구체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참조된 모든 공보가 선행 기술임을 인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강(구강내) 스캐너(Intraoral scanners)는 현재 수십 년 동안 치과의사에게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야 전 세계 치과 진료에서 더 보편화되었다. 구강 스캐너는 카메라들과 조명 프로젝터들이 있는 작은 핸드피스를 구비하는 장치들이다. 핸드피스는 환자의 턱에 피팅(fitting)하고 레이저 광을 투사하여 3차원 형상을 정확하게 측정한다. 동시에, 핸드피스는 스캔 중인 치아 구조(anatomy) 및/또는 치아 임플란트 컴포넌트(components)의 3차원 이미지를 연결하기 위해 다각도 이미지를 촬영한다. 구강 스캐너는 일반적으로 치과 기공소에서 대부분의 치아 복원물을 설계하고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환자 턱의 기존 물리적 인상(impressions)을 대체할 만큼 충분히 정확하다. 그러나 전체 아치(arch) 치아 임플란트 고정 재활에 이를 때는 구강 스캐너의 정확도는 많은 요인에 의해 제한된다.
입안의 제한된 공간은 5mm에서 10mm의 짧은 고정 거리에서 이미지를 캡처하기 위한 구강 카메라의 디지털 광 프로젝션 기술을 필요로 한다. 이 짧은 고정 거리는 구강 스캐너에서 획득한 각 이미지의 시야를 제한한다. 환자의 전체 구강 해부학에 대한 정확한 디지털 3차원 기록을 생성하기 위해 구강 스캐너가 치아 아치(혹은 치열궁, 이틀활)(dental arch)을 가로질러 여러 각도에서 일련의 이미지들을 측정한다. 이들 이미지들은 오버랩핑(overlapping), 잘 정의된 3차원 형상과 윤곽을 인식하는 개선된 소프트웨어로 함께 정렬된다. 이들 오버랩핑 3차원 데이터는 소프트웨어에서 개별 이미지를 정확하게 연결하여(stitch 하여) 환자의 전체 구강 해부학에 대한 정확한 3차원 기록을 디지털적으로 재현하는 데 사용된다.
치과용 컴퓨터 지원 설계(Computer Aided Design, CAD) 소프트웨어는 구강 스캐닝 기술들의 다른 컴포넌트들이다. 예를 들어 3Shape Dental Studio 및 ExoCAD를 포함한다. 이들 소프트웨어들 각각은 치과용 CAD 소프트웨어의 해부학적 기록을 기준으로 포지셔닝되고, 식별되고, 정렬될 수 있도록 구강 내에서 스캔되는 스캔 바디의 형상에 직접 해당하는 디지털 라이브러리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라이브러리들은 스캔 바디에 고정된 해당 임플란트 컴포넌트들(components)의 3차원 위치의 디지털 기록을 캡처하기 위해 스캐닝 프로세스 중에 요구되는 스캔 바디의 관련 스캔 데이터를 정의한다. 치과용 CAD 소프트웨어에서의 라이브러리 파일과 해당 데이터를 정렬하기 위해 스캔으로부터 사용 가능한 충분한 스캔 데이터가 있어야 한다. 구강(구강내) 스캔(Intraoral scan)으로부터 치아 임플란트 컴포넌트들의 3차원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대상 치아 임플란트 컴포넌트들에 부착된 스캔 바디 및 인접한 경악(hard jaw)의 해부학적 구조를 구강 스캐너로 스캔한다. 스캔 바디들의 구강 스캔으로부터 얻은 3차원 디지털 파일은 치과용 CAD 소프트웨어에서 스캔 바디의 3차원 디지털 표현으로 디지털적으로 정렬된다. 이 두 개의 디지털 파일이 정렬되면, 임의의 개수의 해당 치아 임플란트 컴포넌트들이 치과용 CAD 소프트웨어의 해당 스캔 바디 라이브러리에서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라이브러리들은 일반적으로 치과용 CAD 소프트웨어용 임플란트 컴포넌트의 제조업체에서 생성된다.
구강 스캐너들은 정렬(alignment)을 위한 마커로 작용할 단단하고 유니크하며 잘 정의된(well-defined) 치아가 많이 있을 때 매우 잘 작동한다. 그러나, 치아 임플란트 고정 또는 임플란트 유지, 전체 아치 재활 중에는 한 아치의 모든 치아가 제거된다. 남은 것은 많은 잇몸 조직과 세 개 이상의 치아 임플란트이다. 치아가 없으면 구강 스캐너가 잇몸 조직 스캔을 혼동할 수 있고 스캔을 중지할 수 있다. 스캐너가 계속 혼란스러워서 중지하거나 실제로 완벽하게 정렬되지 않은 두 개의 이미지를 함께 연결시키면(stitching) 치아 아치에서 상대적인 임플란트 위치들을 정확하게 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한 번에 모든 치아 임플란트에 함께 수동적으로 고정(fasten)되는 보철물을 제조하기 위해, 임상의는 각각의 다른 치아 임플란트와 관련하여 각각의 개별 치아 임플란트의 상대적인 3차원 위치를 정확하게 캡처해야 한다. 이것은 전통적으로 검증 지그라고 하는 맞춤형 물리적 장치로 수행된다. 검증 지그는 전통적으로 단단한 합착(luting) 재료, 치실(치과용 실) 및 치아 임플란트 인상 코핑(impression copings)을 사용하여 치과 기공소에서 제작된다. 먼저 진료실에서 물리적인 인상(physical impression)을 환자의 입으로 만든다. 그런 다음 대략적인 임플란트 위치로 인상에서 치아 모델을 부어 넣는다. 인상 코핑은 각 임플란트 부위의 치아 모델에 고정된다. 치실은 인상 코핑들 사이에 연결되어 경화된 아크릴 재료의 격자 구조로 역할을 한다. 유동성 아크릴 재료가 인상 코핑 사이와 각 인상 코핑 주변의 치실에 흐르게 하여 모든 인상 코핑을 함께 묶는데 사용된다. 아크릴 소재는 굳으면서 수축하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오류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 치아 임플란트 위치 사이에서 검증 지그를 절단하여 환자의 턱에 다시 함께 합착될 수 있다. 임상의가 검증 지그를 환자의 턱에 함께 합착할 때 사용되는 합착 재료의 양을 최소화함으로써, 수축으로 인한 오류는 무시할 수 있다.
구강 스캐너를 사용하여 무치악 턱(edentulous jaw)에서 치아 임플란트의 상대적인 3차원 위치의 정확한 기록을 캡처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데, 그 이유는 상대적인 위치를 정확하게 포착하기 위해 임플란트 중 두개가 종종 서로 너무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서로 상당한 거리를 가진 4개 이상의 치아 임플란트가 있는 경우 더욱 어려워진다. 또한, 혈액, 타액 및 부드러운 잇몸 조직은 종종 구강 스캐너를 혼동하여 스캔을 완료하지 못하게 한다.
구강 스캐너는 많은 다른 치아가 있는 하나의 치아 복원(물)에서 매우 정확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그러나, 임플란트 고정 또는 임플란트 유지 동안에 치아 임플란트의 전체 구강의 스캐닝, 전체 아치 재활은 구강 내 스캔 장치의 한계와 끊임없이 변화하는 구강 조건으로 인해 복잡해지는 고유한 과제임이 입증되었다. 이해할 수 있듯이, 대부분의 임상의는 치아 임플란트의 정확한 상대 3차원 위치를 한 번에 캡처하기 위해 물리적 검증 지그를 사용하여 물리적 인상에 다시 의지했었다.
치아 임플란트 위치와 같은 치아 기록을 디지털적으로 캡처하기 위한 상당한 연구 및 개발이 있었던 이유는 디지털 치과가 아날로그 치과보다 훨씬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디지털적으로 즉석에서 변경할 수 있으며 환자가 방문할 필요가 적다. 디지털 워크플로우(workflow)는 프로세스의 단계를 제거하여 아날로그 워크플로우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 디지털 워크플로우는 임상의가 수행하는 작업을 분석하고 측정하는 더 나은 방법을 도입하여 변수를 줄인다. 궁극적으로, 디지털 워크플로우는 임상의와 환자 모두의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약한다. 치과에서 가장 복잡한 절차 중 하나인 전체 아치 치아 임플란트 재활(full arch dental implant rehabilitations)의 경우 디지털 워크플로우를 통해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잠재력이 상당하다.
지난 3~4년에 걸쳐 여러 대의 카메라와 더 넓은 시야를 갖춘 구강외 스캐너(extraoral scanners)가 치과에서 이 독특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산업 분야로부터 채택되었다. 겹치는(overlapping) 이미지를 동시에 캡처하는 여러 대의 카메라의 고정된 거리를 알고 있을 때, 레이저 및 간단한 형상으로 측정한 각 개별 치아 임플란트의 상대적인 3차원 위치를 서로 간에 관련하여 추정하는 것은 매우 간단하다. 그러나, 사진 측량으로 알려진 이 기술은 매우 비싸고 치과에서 다른 유용성이 없다. 결과적으로 널리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사진 측량법의 정확성은 임상 연구 및 저널 기사에 의해 완전히 입증되지 않았다. 아직 미지수가 너무 많고 고려하지 않은 변수들이 너무 많다. 이것은 이들 장치들에 사용되는 카메라, 보정 장치 및 스캔 바디의 제조 공차를 포함한다.
더 최근에, 치과 임상 저널 기사는 치아 임플란트의 위치를 정확하게 캡처할 때 구강 스캐너의 브릿지 역할을 하기 위해 입안의 치아 임플란트 사이에 전략적으로 배치되는 무작위 3차원 형상의 사용을 설명하기 시작했다. 이들 기사들은 이러한 3차원 형상이 사용될 때 정확도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준다. 대부분의 저널 기사는 환자에 맞게 제작되고 잇몸 조직에 부착되는 맞춤형 스캐닝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기사에서는 이러한 맞춤형 기구(appliance)의 일부 효과를 설명하지만 시장 생존 가능성을 고려할 때 비용과 규모가 문제가 된다. 또한 잇몸 조직과 타액 및 혈액의 존재는 절대 움직이지 않고 스캔해야 할 필요가 있는 모든 종류의 기구에 대한 최상의 조건이 아니다. 흥미롭게도, 어떤 종류의 측정 파라미터들로도 보철물의 적합도를 객관적으로 정의하는 단일 기사는 공개되지 않았다. 잘 훈련된 임상의에 의한 매우 주관적인 임상 관찰만 있다. 수동적인 피팅 보철물에 대한 그들의 의견은 이러한 연구가 성공을 측정할 수 있었던 유일한 기준이다.
JP2018504970A는 임플란트 부위에 스크류(나사)로 고정하고 구강 스캔의 정확성과 정밀도를 개선하기 위한 스캔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지그, 맞춤 설계 및 제작된 시험 부품(trial part)을 교시한다. 시험 부품은 스캔 가능한 구조 역할을 하는 4개의 기둥이 있습니다. 시험 부품은 또한 스캐닝 전에 하나의 조각으로서 각각의 임플란트에 수동적으로 맞추기 위해 분리되고 다시 함께 재결합될 수 있는 2개의 임플란트 사이로 연장되는 2차원 및 3차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JP2018504970A는 다양한 크기의 아치들에 보편적으로 맞도록(피팅되도록) 하기 위해 다른 구성들로 조립될 수 있는 치과용 장치를 교시하지 못하고 있다.
US10136969는 전체 의치 복원을 위한 기준점을 제공하기 위해 구강 내 스캐닝 및 X선 스캐닝 동안 착용되는 방향 기구(orientation appliance)를 교시한다. 이 장치는 교합(occlusion)의 수직 치수, 중심 관계, 중심 교합, 심미적 파라미터들, 음성학 및 최종 복원물의 기능을 수집하는 데 사용된다. 기구는 방사선 불투과성의 마커도 또한 포함한다. 방향 기구는 하나의 피스(piece)로 만들거나 별도의 피스들로부터 조립될 수 있다. US10136969는 다른 크기의 아치들에 보편적으로 맞는 치과용 장치를 교시하고 있지 않다. US10136969는 또한 구강 스캔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방향 기구의 교합면들 또는 3차원 기하학적 형상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 세부사항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US10363115는 기점 마커/스캔 기구로서 사용될 수 있는 맞춤 설계 및 제작된 베이스 프레임(400)을 교시한다. 이것은 순차 스캔을 함께 결합하기 위한 기준점들을 제공하는 스캔 바디들(1102) 및 다른 상부 구조(1304a)를 갖는다. 다른 구성들에서, 베이스 프레임(200)은 수술 가이드 상부구조(40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US10363115는 어떠한 이전의 스캔 또는 측정 없이 보편적인 크기 및 아치에 맞춰질 수 있는 치과용 장치를 교시하고 있지 못한다.
US10350036은 교차-아치(cross-arch) 기준을 제공하기 위해 아치 내부에 배치되는 기준 프레임(“연결 기하학 도구(300)”)을 교시한다. 프레임은 힐링 지대부(healing abutments)를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임플란트에 결합(커플링)될 수 있다. US10350036은 또한 힐링 지대주(500)에 부착하는 스캔 플레이트(502) 및 스캔 플레이트 및 지대주 상의 별개의 특징(distinct features)이 기준점들로 사용되는 것을 교시한다. US10350036은 또한 CT 스캔으로부터 데이터를 통합하는 것을 교시한다. 그러나, US10350036은 프레임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완전히 단단한 프레임을 스캔 플레이트에 접착(bonding) 또는 합착(luting)하는 것을 교시하고 있지 못하다. US10350036은 또한 보철물의 제조 목적을 위한 물리적으로 검증된 지그로서 견고하게 결합되거나 접합된 프레임 및 스캔 바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교시하고 있지 않다.
US20180206951은 다중 스캔을 위한 정렬 장치로 사용될 턱에 직접 맞물리는 스캔 가능한 헤드가 있는 나사산 있는 포스트(threaded post)를 교시하고 있다. US20180206951은 또한 "검증 지그" 및 "스캐닝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임플란트 지지 스캔 바디(72) 위에 텔레스코핑될 수 있는 강성 지지 바(78)의 사용을 교시한다. 그러나, US20180206951은 하나 이상의 날개 및 상이한 크기의 아치들에 치과용 장치를 보편적으로 맞추기 위해 날개에 결합될 수 있는 개별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는 치과용 장치를 교시하고 있지 않다.
WO2016110855는 구강 스캔의 정확성을 개선하기 위해 구강에 착용되는 프레임(기점(fiducial) 요소(100))을 교시한다. WO2016110855는 또한 프레임이 “교합 스캔 데이터 및 기점 마크 스캔 데이터의 동시 획득을 허용하기 위해” 구강에 프레임을 맞추도록 혹은 피팅하도록 늘어나거나 변형될 수 있는 피팅 요소를 가질 수 있다고 교시하고 있다. US10111714는 구강 스캔의 정확성을 개선하기 위해 아치에 접착제를 두는 것을 교시하고 있다. WO2016178212는 구강 내 스캐닝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자기(magnetic) 센서(720) 및 마크(730)를 갖는 마커 고정 장치(710)를 교시한다. 그러나, 이들 참조문헌들 중 어느 것도 아치에서 치아 파스너(dental fastener)에 결합하고 프레임을 부착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날개 부재(wing members)를 갖는 치과용 장치를 교시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호주에 있는 Osteon사의 Nexus iOS 시스템(www.nexusios.com)은 최근 스캔 정확도를 제공하기 위해 구강 스캐닝 동안 아치를 가로질러 브릿지를 놓도록 종방향으로(혹은 세로로) 형성되고 설계된 스캔 바디를 사용하는 구강 스캐닝 시스템을 출시했다. 그들은 각 키트가 맞춤 제작되고(custom made) 레이저로 측정되며 일련 번호가 매겨져 있기 때문에 높은 정확도를 주장한다. 이렇게 하면 그들은 스캔을 정렬할 때 오류를 정정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제품은 아치에서 치아 파스너를 결합하고 프레임을 부착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날개 부재가 있는 치과용 장치의 사용을 설명하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클로비스 소재의 Instarisa(www.instarisa.com)도 구강 스캐닝을 위한 자체 골프 스캔 바디를 도입했다. 그들은 Nexus iOS와 유사하게 더 정확한 스캐닝을 위해 무치악 아치(edentulous arch)에 함께 임플란트를 브릿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구강 스캐너와 함께 사용할 스캔 바디를 설계했다. 그들은 또한 ScanDar라는 유동성 재료(혹은 물질)를 사용하는데 이 재료는 약간 단단하고 스캔 바디 주위에 적용되어 스캔 바디를 함께 고정(hold)하고 스캔할 수 있는 단단한 표면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 제품은 아치에서 치아 파스너를 결합하고 프레임을 부착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날개 부재가 있는 치과용 장치의 사용을 설명하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그들은 ScanDar 재료를 사용하여 물리적으로 검증된 지그를 생성하기 위해 모든 스캔 바디를 하나의 피스(piece)으로 고정할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물리 지그의 정확성을 손상시키는 합착(luting) 프로세스 동안에 재료의 수축 가능성을 설명하지 않는다.
무치악 아치에서 치아 임플란트 위치들의 구강내 스캐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치과용 장치가 알려져 있지만, 대량으로 미리 제조할 수 있고 지금까지 맞춤 제작 기구만이 해결할 수 있었던 많은 변수에 대한 보편적인 적응(adaptation)을 가능하게 하는 치과용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남아 있다. 이들 변수는 배치될 임플란트의 수, 치료할 입(구강)의 크기, 그리고 치아 임플란트 컴포넌트들의 고유한 연결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변수들에 대해 보편적인 적응(adapting)을 함으로써 비용과 규모가 훨씬 더 성공할 수 있게 되어 전체 아치 재활을 하는 치과 의사의 수가 증가하도록 한다.
또한, 치아 임플란트 고정 전체 아치 재활 절차의 다양한 단계를 단순화할 상당한 필요성이 있다. CBCT 스캔들 간의 정렬 도구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사선 불투과성 장치를 사용하여 기록 획득이 단순화될 수 있다. 장치가 무치악 아치에서 치아 임플란트 위치들을 스캐닝하기 위해 평평한 표면을 생성한다면 구강 스캐닝은 더 효율적일 수 있다. 수술 중에 스캔하면서 스캔하는 동안 조직 프랩(flap)들을 뒤로 잡아당기는(hold back) 리트렉션(retraction) 장치와 같은 역할을 동시에 하는 장치가 있다면, 구강 스캐닝이 또한 단순화되고 구강 스캔이 훨씬 더 효율적으로 스캔된다.
마지막으로, 디지털적으로 스캔 데이터의 정확성을 검증하고 치과 보철물에 임플란트 파스너(fasteners)를 접합하기 위해서는 검증된 물리 지그가 이상적일 것이다. 치아 임플란트 위치의 구강 스캔을 용이하게 한 후 물리 지그 역할을 할 수 있는 장치는 환자를 위한 최종 보철물을 제작할 때 시간과 노력을 크게 절약한다. 임상의는 본질적으로 디지털 워크플로우의 효율성으로부터 이점을 얻는 동시에 시도되고 실제의 물리적 검증 지그의 정확성을 확신할 수 있다.
따라서, 개선된 치과용(혹은 치아) 장치 및 그 사용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남아 있다.
본 발명의 주제는 치과용 장치가 하나 이상의 스캔 바디 및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적어도 2개의 스캔 바디를 포함하되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치과용 장치에서의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임플란트 수술 동안 조직 프랩을 리트렉트(retract)하는데 사용되는 치과용 장치에서의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각 스캔 바디는 종방향 축이 가지는 바디 영역과 종방향 축에서 반지름 방향(radially) 외측으로 연장되는 날개 영역을 구비한다. 바디 영역의 바닥 단부(bottom end)는 치아 임플란트 컴포넌트와 같이, 치아 아치에서 치아 파스너와 정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통 구멍은 스캔 바디의 바디 부분을 통과한다. 개구부는 치아 파스너에 스캔 바디를 부착하기 위한 스크류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치수로 되어 있다.
치아 아치에서 치아 임플란트 컴포넌트에 스캔 바디가 부착되면, 구강 스캐너는 스캔 바디와 치아 아치를 스캔한다. 캡처된 이미지는 치과용 CAD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의 해당 3차원 디지털 이미지 파일과 정렬되고 함께 묶여져서(stitch) 치아 아치의 디지털 기록을 생성한다.
프레임 부재(frame member)는 접착 또는 합착 재료를 사용하여 스캔 바디의 날개 영역들에 고정된다(혹은 잠겨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레임 부재는 접착 강도를 개선하기 위해 합착 재료를 수용하고 유지하도록 설계된 격자 구조를 포함한다. 프레임 부재가 스캔 바디에 합착된 후, 치과용 장치는 치아 아치에서 제거되고 물리적 검증 지그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치과용 장치는 환자의 구강 내 치아 임플란트의 3차원 위치에 대한 높은 정확도의 물리적 모델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레임 부재는 구강 내 스캐닝을 위한 정의를 제공하고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3차원 특징(features)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프레임 부재는 치아 아치를 스캐닝하기 전에 스캔 바디에 부착된다. 스캔 가능한 특징은 반구, 정육면체, 원뿔, 피라미드, 원기둥, 직육면체, 벌집, 프리즘(prism)과 같은 형상 모양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3차원 특징은 구강 스캐너로부터의 디지털 차원 데이터로 물리 치수를 보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알려진 치수를 갖는다는 것도 고려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캔 바디는 날개 부재의 방향(예를 들어, 날개 부재의 길이가 연장되는 방향)의 조정을 허용하기 위해 치아 임플란트 컴포넌트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실시예에서, 날개 영역들은 치아 아치의 중심 영역 내의 위치에서 수렴하도록 회전될 수 있고 위치할 수 있다. 다양한 크기의 치아 아치 및/또는 다양한 유형의 기존 치아 임플란트 컴포넌트에 맞도록(fit) 다양한 모양, 크기 및 구성 중에서 스캔 바디들이 선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레임 부재의 크기는 서로 다른 형상, 크기 및 구성을 갖는 복수의 프레임 부재들로부터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는 것도 고려된다.
또한, 본 발명의 주제는 적어도 2개의 스캔 바디를 포함하되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치과용 장치에서의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실시예에서, 스캔 바디는 서로 5mm 이내, 더 바람직하게는 3mm, 가장 바람직하게는 1mm 내에서 치아 아치의 중심 영역의 동일한 위치 내에서 수렴하도록 크기 및 치수가 정해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날개 영역들의 팁(tips)은 모든 팁이 구강 스캐너로 하나의 이미지에 캡처될 수 있기 위해 더 큰 근접성을 허용하도록 점점 가늘어진다. 스캔 바디는 바람직하게는 치아 임플란트 컴포넌트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주제는 임플란트 수술 동안 조직 프랩을 리트렉트(retract)하는데 사용되는 치과용 장치에서의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수술용 프랩(surgical flaps)을 생성하기 위해 치아 아치의 연조직을 커팅(절단)하는 단계, 상기 치아 아치의 뼈에 하나 이상의 임플란트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스캔 바디를 하나 이상의 치아 파스너에 결합하는 단계, 당겨진(retracted) 위치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수술용 프랩을 유지(hold)하는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를 상기 하나 이상의 날개 부재에 접착 또는 합착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 부재가 상기 하나 이상의 스캔 바디에 부착되기 전 또는 후에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수술용 프랩이 당겨지는(retracted) 동안 상기 치아 아치 및 상기 프레임 부재를 스캐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수술 전 스캔, 치과용 장치가 치아 아치와 결합된 상태에서 구강 스캔을 획득하고 구강 스캔을 CBCT 스캔과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단일 유닛으로서 하나 이상의 임플란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날개 부재 및 프레임 부재를 제거하고 하나 이상의 수술용 프랩을 봉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물리적 검증 지그로서 단일 유닛을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수술용 프랩이 치과용 장치에 의해 당겨지는 동안 치아 아치 및 프레임 부재의 스캔을 사용하여 복원물(restoration)을 제작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수술용 프랩이 봉합된 후 8시간 이 내에 복원물을 치아 아치에 피팅 및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체의 다양한 목적, 특징, 양태 및 장점은 동일한 참조번호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장치는 환자의 구강 내 치아 임플란트의 3차원 위치에 대한 높은 정확도의 물리적 모델을 제공한다.
도 1은 치과 장치 및 치아 아치의 제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치과용 장치와 치아 아치의 분해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치과용 기구와 치아 아치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4는 날개 영역을 나타내는 도 1의 스캔 바디의 평면도,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임플란트, 지대주, 스크류 및 스캔 바디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임플란트, 스크류의 및 스캔 바디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7은 치과용 장치 및 치아 아치의 제2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치과용 장치와 치아 아치의 분해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치과용 장치와 치아 아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치과용 장치 및 치아 아치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치과용 장치 및 치아 아치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12는 합착 재료를 갖는 도 7의 치과용 장치 및 치아 아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치과용 장치 및 치아 아치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치과 장치 및 치아 아치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15는 프레임이 제거된 도 7의 치과용 장치 및 치아 아치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치과용 장치 및 치아 아치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치과용 장치 및 치아 아치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18은 합착 재료를 갖는 도 15의 치과용 장치 및 치아 아치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치과용 장치 및 치아 아치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치과용 장치 및 치아 아치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7의 임플란트, 스크류 및 스캔 바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7의 임플란트, 스크류 및 스캔 바디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스캔 바디의 사시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4는 임플란트, 스크류 및 스캔 바디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임플란트, 스크류 및 스캔 바디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스캔 바디의 사시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7은 치과용 장치 및 치아 아치의 제 3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치과용 장치 및 치아 아치의 분해 정면도이다.
도 29는 도 27의 치과용 장치 및 치아 아치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30은 도 27의 임플란트, 지대주, 스캔 바디 및 스크류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31은 도 27의 임플란트, 지대주, 스캔 바디 및 스크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27의 임플란트, 지대주, 스캔 바디 및 스크류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33은 임플란트, 스캔 바디 및 스크류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임플란트, 스캔 바디 및 스크류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35는 도 33의 스캔 바디의 사시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6은 스캔 바디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7은 치과용 장치의 제 4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8은 도 37의 치과용 장치의 상부 평면도이다.
본 출원은 2020년 10월 29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3/107205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이 참조로 여기에 포함된다. 이하 설명은 본 발명의 주제의 많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각각의 실시예가 발명 요소들의 단일 조합을 나타내지만, 발명 주제는 개시된 요소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한다. 따라서, 제 1 실시예가 구성요소 A, B 및 C를 포함하고 제 2 실시예가 구성요소 B 및 D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주제는 명시적으로 나타내고 있지 않더라도 A, B, C 또는 D의 다른 나머지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도 1은 치과용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치과용 장치(100)의 정면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치과용 장치(100)의 측면 분해도를 도시한다. 치과용 장치(100)는 프레임 부재(11)를 포함한다. 프레임 부재(11)는 단단하고 강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밀링 머신에서 밀링될 수 있다. 이들 재료들은 티타늄,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PEEK 또는 PMMA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부재들은 또한 견고하고 강한 (합성) 수지로 3D 프린팅될 수 있다. 이상적인 3D 프린팅 재료의 표준은 3D 프린팅용으로 설계된 치과용 임시 크라운 재료이다.
프레임 부재(11)는 2개의 스캔 바디(12) 및 2개의 스캔 바디(13)와 결합(커플링)된다. 이들 스캔 바디들은 상기 프레임들과 유사하게 밀링 또는 3D 프린팅으로 제조된다. 스캔 바디들에 대한 제조 공차(tolerance)는 일반적으로 매우 정밀하며, 현재 밀링 정확도는 최고 품질의 3D 프린팅 방법보다 약간 더 좋다. 티타늄,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은 모두 이러한 스캔 바디를 밀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PEEK 또는 PMMA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스캔 바디를 밀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면에 3D 프린팅은 밀링으로 복제할 수 없는 더 복잡한 형상과 언더컷(undercut)을 허용한다. 이러한 복잡한 형상(기하학)과 언더컷은 프레임 부재(11)를 스캔 바디들 (12, 13)에 합착하는데 용이하다. 오늘날 사용 가능한 가장 정확한 3D 프린터는 Stratasys에서 만든 폴리젯(polyjet) 프린터들이다. 이들 프린터들은 14 미크론(micron)만큼 작은 해상도(resolution)로 인쇄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하다. Stratasys는 폴리젯 프린터용 재료도 만든다. 그들의 표준 재료인 Vero는 높은 강도와 정확한 치수 특성으로 인해 이미 이 응용 분야에 탁월하다. 그러나 그들은 또한 VeroDentPlus Med690과 같은 더 높은 강도의 치과용 재료를 만든다. 이러한 재료가 계속해서 개선되고 3D 프린팅 기술이 계속해서 더 정확해짐에 따라 3D 프린팅이 이러한 스캔 바디들을 위한 제조 방법의 선택이 될 수 있다.
스캔 바디(12)는 스크류(2)를 통해 지대주(abutments)(14)에 부착된다. 지대주(14)는 치아 아치(18)에서 임플란트(15)에 부착된다. 스캔 바디(13)는 지대주 부분과 임플란트(15)에 직접 부착되는 스크류(2’)를 구비한다.
전 세계 시장에는 수백 개의 치아 임플란트 회사가 있다. 각 회사는 자신의 스크류, 지대주 및 임플란트를 만든다. 가장 잘 알려진 치아 임플란트 회사로는 Nobel Biocare, Straumann, Dentsply Implants 및 Biohorizons가 있다. 이러한 각 회사의 치아 임플란트에는 미묘한 차이가 있지만 모두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하는 부품을 유사하게 만들었다. 전체 아치 치아 임플란트 고정 재활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이 프로시저에 대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대주는 멀티유닛 지대주이다. 회사마다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지만, Nobel Biocare가 이 프로시저를 개척했다는 사실 때문에 다른 치아 임플란트 회사에서 그들의 멀티유닛 지대주를 모방했다. 즉, 이 모든 다른 회사의 멀티유닛 지대주는 대체로 매우 유사하며 이러한 멀티유닛 지대주와 정합(mate)되도록 만들어진 부품은 종종 상호 교환이 가능하다.
치과용 장치(100)는 치아 아치(18)에 함께 합착된 후 구강 스캐너에 의해 스캔되도록 설계된다. 치과에서의 합착은 유동성(flowable) 재료가 2개의 치아 컴포넌트들 사이에 주입되고 이들 2개의 컴포넌트들을 함께 부착하기 위해 경화되는 프로세스이다. 이들 컴포넌트들의 예는 프렙(prepped) 치아, 치아 임플란트 지대주, 크라운, 브릿지, 보철물, 임시 실린더(temp cylinder), Ti 베이스 또는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기타 유사한 치아 컴포넌트 중 임의의 두 가지일 수 있다. 유동성 재료는 일반적으로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이 두 부분은 액체, 분말, 젤 또는 풀(paste)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이 두 부분이 섞이면 혼합물이 굳기 시작한다. 경화된 재료가 치아 컴포넌트와 화학적으로 유사한 경우 경화되면서 해당 컴포넌트에 화학적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소정의 파장의 빛에 반응하도록 보정된 화학적 광활성제(photoactivator)로 재료를 제조한 경우 청색 가시광선 또는 UV 광선에 의해 재료의 경화가 가속화될 수 있다. 합착에 사용되는 재료의 예로는 PMMA, 비스아크릴(bisacryl) 또는 복합 레진(composite resin)이 있다. 구체적인 제품 예로는 GC의 Unifast, Zest Anchors의 Chairside, GC의 Temp 또는 DMG의 LuxaTemp 가 있다. 일단 장치가 함께 합착되면, 물리적 확인 지그로서 사용될 하나의 피스(piece)로서 치아 아치(18)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치아 아치(18)는 임의의 연령 및/또는 크기의 사람의 상악 아치(maxillary jaw arch) 또는 하악 아치(mandibular jaw arch)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치아 아치(18)는 사람의 상악 또는 하악 아치의 인공 물리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모델은 다양한 석고 재료 또는 수지(레진) 재료로 만들 수 있다.
도 4는 스캔 바디(12)의 측면도, 평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한다. 스캔 바디(12)는 원통형(cylindrical) 바디 영역(12a) 및 날개 영역(12b)을 포함한다.
원통형 바디 영역(12a)은 원통형 바디 영역(12a)을 통해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관통 구멍을 구비한다. 또한 원통형 바디 영역 상단에 기울어진 노치(notch)가 있다. 이 기울어진 노치는 스캔 바디 상단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스캔을 용이하게 한다. 이를 통해 더 나은 정확도와 더 빠른 스캔 속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치과용 CAD 소프트웨어에서 3차원 디지털 이미지 파일에 스캔한 데이터를 쉽게 정렬할 수 있도록 스캔 바디에 고유한 특성을 부여한다. 날개 영역(12b)은 스캔 바디 영역(12a)의 종방향 차원으로부터 반지름 방향 외측으로(혹은 바깥쪽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다. 날개 영역(12b)은 합착 및/또는 접착(bonding) 재료를 유지하고 파지하기 위한 복수의 페그(peg) 또는 돌출부(16)를 포함하는 부착 영역을 구비한다. 합착 재료가 페그 주위로 흐르고 합착 재료가 그 페그 주위에서 경화됨에 따라, 합착 재료는 페그의 언더컷 아래 날개 영역(12a)에 비가역적으로 부착된다. 이는 날개 영역(12a)과 프레임 부재(11) 사이의 안정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도 5는 스크류(2)를 통해 지대주(14)에 고정된 스캔 바디(12)의 측면 분해도를 도시한다. 지대주(14)는 스크류(19)를 통해 임플란트(15)에 부착된다. 스캔 바디(12)가 지대주(14) 위에 배치되면, 날개 영역(12b)이 연장되는 방향을 조정하기 위해 회전될 수 있다. 스캔 바디(12)의 방향(orientation)이 선택된 후, 스크류(2)가 회전 위치에서 스캔 바디(12)를 잠그도록 사용된다.
도 6은 스캔 바디(13)의 측면 분해도를 도시한다. 스캔 바디(13)는 스캔 바디(13)의 바닥 단부가 지대주(14) 없이 스크류(2’)를 통해 임플란트(15)와 직접 정합(mate)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스캔 바디(12)와 유사하다. 스캔 바디(13)는 임플란트(15)의 내부 회전 방지 특징과 맞물리는 육각형을 갖는 실시예를 도시하지만, 스캔 바디(13)가 임플란트(15)의 내부 회전 방지 특징부와 맞물리는 육각형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도 또한 고려된다. 고려된 실시예에서, 스캔 바디는 치아 아치에서 날개 영역(13b)의 궤적을 조정하기 위해 임플란트 주위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스캔 바디(13)의 방향이 선택된 후, 스크류(2’)는 회전 위치에서 스캔 바디(13)를 잠그는데 사용된다.
도 7은 치과용 장치(200) 및 치아 아치(25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치과용 장치(200) 및 치아 아치(250)의 분해 정면도를 도시한다. 치과용 장치(200)는 프레임(201), 2개의 스캔 바디(203), 2개의 스캔 바디(205), 치아 아치(250)에 임플란트(210)로 고정하는 4개의 지대주(207)를 포함한다. 스캔 바디(203, 205)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다. 스캔 바디 (203 및 205) 모두는 동일한 크기의 원뿔형 바디(203a 및 205a)를 갖지만 날개 영역(203b 및 205b)에서 크기가 다르다. 날개 영역(203b)은 더 크고 길이 19mm x 폭 10mm x 높이 5mm이다. 스캔 바디(203)는 일반적으로 입의 후방과 같은 더 큰 스팬에서 사용된다. 날개 영역(205b)은 더 작고 길이 13mm x 폭 6.5mm x 높이 5mm이다. 스캔 바디(205)는 일반적으로 서로 근접한 인접 임플란트 또는 전치부(anterior)와 같은 입의 더 작은 영역에서 사용된다. 스캔 바디(203 및 205)의 실제 측정은 장애물 없이 지대주(207)에 고정(fasten)될 수 있다는 점에서만 관련이 있다. 또한, 날개 영역(203b 및 205b)이 수렴할 수 있고 치아 아치의 중심에서 서로 간에 오버랩(중첩)되거나 접촉할 수 있다는 것도 중요하다. 이 경우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두 가지 다른 크기의 날개 영역이 고려되었다. 또한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하나의 크기가 충분할 수 있다고도 고려된다. 또한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2보다 큰 크기가 필요할 수 있다는 것도 고려된다. 스캔 바디(203 및 205)의 원뿔형 바디는 동일한 크기이다. 이를 통해 필요한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디지털 스캔 데이터를 계층화할 수 있다.
치과용 장치(200)는 프레임(201)이 스캔 바디(203) 및 스캔 바디(205)와 합착되거나 접착되기 전에 구강 스캐너에 의해 스캔 되도록 설계된다. 스캔 바디(203, 205)가 스캔 된 후, 프레임(201)은 스캔 바디(203 및 205)를 합착하는 데 사용되어, 장치가 물리적 검증 지그 역할을 하도록 하나의 단일 피스(piece)로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201)이 스캔 바디(203 및 205)와 부착된 후에 치과용 장치(200)가 스캔 될 수 있다는 것도 고려된다. 프레임(201)은 상부 측, 하부 측 및 상부 측으로부터 하부 측으로 벌집형 관통 구멍을 갖는 중간 격자 섹션을 구비한다. 프레임(201)은 사다리꼴 형상이며 대략 5 내지 10mm의 두께를 갖는다. 프레임(201)은 삼각형, 정사각형, 평행사변형 또는 환자의 턱에 꼭 맞고 스캔 바디의 합착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다른 기하학적 형상과 같은 형상일 수 있다고 고려된다. 또한, 프레임의 중간 격자 섹션에 있는 2개의 벌집 격자 사이에 샌드위치된 프레임의 중간을 통과하는 네거티브 공간(negative space)의 종방향 슬라이스가 있을 것으로 고려된다. 프레임(201)의 두께 중간에 있는 이 네거티브 공간 슬라이스는 합착 재료가 치과용 장치(200)가 되는 물리적 검증 지그에 강성과 안정성을 추가하기 위해 경화될 수 있는 언더컷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합착 재료를 고정(hold)하기 위해 과다한 언더컷이 있는 스캐폴드(scaffold)로 작용할 수 있는 임의의 격자 또는 기하학적 구조가 치과용 장치(200)에 적합한 프레임(201)을 만들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프레임의 크기와 모양을 환자의 턱과 스캔 바디 날개 영역의 위치에 맞도록 쉽게 조정할 수 있다고 고려된다. 임상의는 가위, 펜치, 거친 회전 버(bur)가 있는 전자 핸드피스, 심지어 자신의 손과 같은 표준 치과 기구를 사용하여 프레임을 스캔 바디에 효과적으로 합착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는 프레임의 일부를 끊을 수 있다.
도 9는 스캔 바디(203 및 205)의 날개 영역에 배치된 프레임(201)을 가지는 치과용 장치(2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스캔 바디(203 및 205)의 날개 영역에 배치된 프레임(201)을 가지는 치과용 장치(200)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스캔 바디(203 및 205)의 날개 영역에 배치된 프레임(201)을 가지는 치과용 장치(200)의 상부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프레임(201)과 스캔 바디(203 및 205) 사이에 합착 재료(211)가 있는 치과용 장치(2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프레임(201)과 스캔 바디(203 및 205) 사이에 합착 재료(211)가 있는 치과용 장치(200)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프레임(201)과 스캔 바디(203 및 205) 사이에 합착 재료(211)가 있는 치과용 장치(200)의 상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프레임(201)이 없는 치과용 장치(2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프레임(201)이 없는 치과용 장치(200)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프레임(201)이 없는 치과용 장치(200)의 상부 단면도를 도시한다. 스캔 바디(203 및 205)는 만나는 지점(meeting point)으로 모이도록 배치된다. 원뿔 바디(203a 및 205a)로부터 날개 영역(203b 및 205b)의 가장 말단 영역(distal area)은 가장 말단 지점(distal point)을 향해 점점 가늘어지므로 임의의 수의 스캔 바디(203 및 205)가 가능한 가장 작은 지점에 함께 모일수 있다. 구강 스캐너가 하나의 포토 프레임에 존재하는 스캔 바디의 모든 끝을 캡처할 수 있을 때, 날개 영역 모두가 한 프레임에 캡처되지 않는 경우보다 임플란트의 3차원 위치에 대한 디지털 기록이 더 정확할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날개 영역(203b 및 205b)의 단부의 테이퍼(taper)는 임상의가 더 작은 영역에 더 많은 날개를 피팅할 수 있게 해준다. 각 스캔 바디의 높이와 각 스캔 바디의 회전 위치는 다른 스캔 바디와 근접하도록 위치되고 조정된다. 이 위치에서, 스캔 바디(203 및 205)는 스캔 될 준비가 된 후 함께 합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팁(tips)은 서로 접촉하는 5mm 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3mm, 가장 바람직하게는 1mm이다. 날개 영역의 근접성은 보다 정확한 스캔 데이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강 스캐너의 한 프레임에서 스캔되는 오버래핑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스캔 바디 서로 간의 근접성은 서로 스캔 바디를 합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스캔 바디가 서로 충분히 가까운 경우 프레임은 스캔 바디를 함께 합착하는 데 필요할 수도 있고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스캔 바디(203 및 205)는 또한 웰(wells)(213)을 갖는다. 이들 웰(213)은 합착 재료에 네거티브 공간을 제공하여 지저분하지 않고 환자의 입으로 흘러내리지 않을 강력한 견고한 기초를 놓게 한다. 웰의 내부에는 프레임에 날개 영역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합착 재료가 아래로 흐를 수 있는 언더컷이 있다. 합착 재료가 웰(213)의 내부를 채우고 경화됨에 따라 언더컷은 경화된 합착 재료가 스캔 바디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언더컷은 제조 시 생성되거나 스크류 탭으로 웰(213)을 테핑(tapping)하거나 버(bur)로 웰(213) 내부를 절단함으로써 나중에 추가될 수 있다. 웰(213)에 더하여, 합착 재료를 유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3차원 지지 구조가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여기에는 합착 재료에 결합할 수 있는 평평한 표면, 내부 격자, 외부 돌출부, 크로스 바(cross bars) 또는 페그(pegs)가 포함될 수 있다. 수직 구조가 날개의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합착 재료가 원뿔형 바디 영역의 스크류 구멍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장벽을 제공할 수 있는 것도 고려된다.
고려된 수직 구조의 또 다른 기능은 각도가 다른(off-angle) 치아 임플란트 또는 다른 높이에 배치된 치아 임플란트에 고정된 날개의 표면을 평평하게 하여 프레임을 스캔 바디에 합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수직 구조는 더 높은 위치에 있는 인접 날개와 같은 레벨로 조정될 수 다. 날개 영역(203b)의 구조가 평평할 때, 물리적 검증 지그를 구성할 견고하고 내구성 있는 구조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모든 날개 영역에 걸쳐 프레임(201)을 배치하는 것이 훨씬 더 쉽다. 그리고 수직 구조의 또 다른 기능은 합착 재료가 부착될 더 많은 스캐폴딩(scaffolding)을 생성하는 3차원 형상 또는 추가적인 격자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종종 임플란트가 다른 높이와 다른 각도로 배치될 때 모든 날개 영역(203b 및 205b)에 걸쳐 균일한 수평면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인접한 날개 영역의 높이에 관계없이 프레임에 부착할 수도 있는 수직 구조는 여러 개의 스캔 바디(203 및 205)를 프레임(201)에 합착할 때 더 많은 다양성을 제공한다. 또한, 함께 봉합될 때 치과용 장치(200)를 더 안정화하기 위하여 프레임(201) 안으로 만들어진 더 큰 구멍이 날개 영역(203b 또는 205b)으로부터 돌출된 수직 구조 위와 그 주위에 피팅될 수 있도록, 프레임(201)은 임의의 공통 치과용 기구로 조정될 수 있다고 고려된다.
언더컷은 합착 재료가 한번 단단해지면 스캔 바디(203 및 205)와 함께 프레임(201)을 고정(hold) 하도록 한다.
도 18은 프레임(201) 없이 하나의 단일 피스(single piece)로 스캔 바디(203, 205)를 함께 고정(hold)하는 합착 재료(211)를 갖는 치과용 장치(2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프레임(201)이 없는 그리고 프레임(201)이 있는 치과용 장치(200)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프레임(201)은 없고 합착 재료(211)가 있는 치과용 장치(200)의 상부 평면도를 도시한다. 스캔 바디들을 함께 합착하는 이 방법은 스캔 바디가 서로 1 mm 이내에 있을 때만 가능하다. 날개 영역(203b 및 205b)은 치아 아치의 중심에서 가능한 한 가깝게 자리잡도록(nest) 특별히 설계되었다.
도 21은 임플란트(210), 스크류(202), 스캔 바디(203) 및 지대주(207)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2는 임플란트(210), 스크류(202), 스캔 바디(203) 및 지대주(207)의 분해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3은 스캔 바디(203)의 사시도, 측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다. 스캔 바디(203)는 원뿔형 바디(203a) 및 원뿔형 바디 (203a)에 수직이면서 원뿔형 바디(203a)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된 날개 영역(203b)을 구비한다. 스캔 바디(203a)의 원뿔형 바디 영역은 스캔 바디 영역을 통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한다. 관통 구멍을 통해 스크류를 사용하여 스캔 바디를 멀티유닛 지대주에 고정할 수 있다. 스캔 바디(203)의 고유한 형상 및 각도는 치과용 CAD 소프트웨어의 해당 디지털 3차원 라이브러리들에서 스캐닝 및 스캔된 데이터를 정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원뿔형 바디(203a)는 구강 내 스캐닝을 용이하게 한다. 구강 스캐너는 스캔 바디가 원뿔형일 때 스캔 바디의 상단 위로 이동하므로 스캔 바디의 더 많은 표면 영역을 캡처할 수 있다. 각 프레임에서 분석할 더 많은 표면 영역을 가져서 더 높은 수준의 스캐닝 속도와 정확도를 달성할 수 있다.
추가로, 날개가 없는 스캔 바디와 같은 다른 부분들(parts)도 동일한 프로시저 중에 사용될 수 있으며 원뿔형 바디(203a)의 정확한 모양과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서로 다른 부분들 사이에 동일한 모양과 치수를 가짐으로써 환자를 치료하는 동안 유사한 부분들을 스캔할 때마다 디지털 데이터를 오버래핑할 수 있다. 이것은 수술 직후에 봉합된 잇몸 조직의 헤이트(height)와 같은 수술 프로시저의 이정표(milestones) 또는 다른 시점에서 새롭거나 변경되는 정보를 캡처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또는, 환자가 치유되고 최종 보철물을 받을 준비가 됨에 따라 나머지 치료 전반에 걸쳐 새로운 정보를 캡처하고 정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스캔 바디(203)의 날개 영역(203b)은 상부 표면, 2개의 측면 및 하부 표면(bottom surface)을 구비한다. 날개 영역의 단면은 사다리꼴과 같은 모양이며, 상부 표면은 하부 표면보다 좁다. 상부 표면까지 점점 가늘어지는 기울어진 측면 패널은 스캔 바디의 원뿔형 모양과 유사하게 기능한다. 테이퍼(taper)는 구강 스캐너가 날개 영역의 상단 위로 이동할 때 각 사진 프레임에서 더 많은 표면 영역을 캡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4는 임플란트(210), 스크류(202') 및 스캔 바디(203')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스캔 바디(203’)는 임플란트(210) 내부에 피팅되도록 크기 및 치수가 정해진 지대주 단부(203c’)를 제외하고는 스캔 바디(203)와 유사하다. 스크류(202’)는 스크류(202)보다 길고 치아 임플란트 내부에 나사산이 있는 치아 임플란트(210)에 직접 부착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치아 임플란트가 육각형 또는 일부 다른 회전 방지 기능을 가질 수 있지만, 지대주 단부(203c’)는 치아 임플란트 내부의 육각형과 맞물리는(engage) 육각형을 갖지 않는다. 이는 스캔 바디가 움직이지 않을 충분한 토크로 스크류가 조여질 때까지 스캔 바디(203’)가 치아 임플란트 주위를 회전하도록 허용한다. 그러나, 지대주 단부(203c')는 임플란트(210)의 내부 회전 방지 특징과 맞물리는 육각형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스캔 바디(203)는 치아 임플란트 플랫폼 위의 상이한 조직 높이를 수용하기 위해 서로 다른 높이로 제조되는 지대주 단부(203c)를 구비할 것으로 고려된다. 도 25는 임플란트(210), 스크류(202’) 및 스캔 바디(203’)의 분해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6은 스캔 바디(203’)의 투시도, 측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7은 치과용 장치(300) 및 치아 아치(35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8은 치과용 장치(300) 및 치아 아치(350)의 분해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9는 치과용 장치(300) 및 치아 아치(350) 상부 평면도를 도시한다. 치과용 장치(300)는 스크류(302)를 통해 지대주(307)에 부착된 스캔 바디(303 및 305)를 포함한다. 지대주(307)는 치아 아치(350)에서 임플란트(310)에 부착된다. 스캔 바디(303 및 305)는 합착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홈, 웰(well), 개구부, 구멍, 채널, 또는 언더컷이 없다는 점을 제외하면 스캔 바디(203 및 205)와 유사하다.
스캔 바디(303 및 305)는 함께 합착되지 않고 스캔만 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스캔 바디(303 및 305)는 멸균 후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재질로 제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캔 바디(303 및 305)는 샌드 블라스팅(sand blasted)되거나 구강 내 스캐닝을 용이하게 하는 무광택 재료로 코팅된 밀링된 티타늄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는 치과용 CAD 소프트웨어에서 이용할 수 있는 자체 해당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가지며 이러한 지대주들로부터의 스캔은 전체 아치 치아 임플란트 고정 재활 프로시저를 위한 보철물을 설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스캔 바디(303 및 305)는 합리적인 비용으로 현재 가능한 최고의 제조 공차로 제조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바람직하게는, 스캔 바디(303 및 305)는 오리지널 설계 사양에 대한 편차의 10미크론 이내의 공차로 제조된다. 디지털 라이브러리는 전체 날개 영역(303b)의 상부 및 측면 패널뿐만 아니라 원뿔형 바디(303a)의 상부 및 원뿔형 상부 부분의 3차원 디지털 이미지 파일로 구성될 것으로 고려된다. 스캔 및 정렬할 더 많은 표면 영역과 제조 중 공차가 더 엄격해짐에 따라 이러한 스캔의 정확도는 물리적 검증에 대한 요구 없이 전체 아치 치아 임플란트 고정 재활 프로시저를 위한 보철물을 설계하고 생산하기에 충분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스캔 바디(303 및 305)는 모든 스캔 바디(303 및 305)가 치아 아치의 중심 영역에서 가능한 한 작은 지점으로 한번에 수렴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각 날개 영역 팁(tip)의 5mm 이내의 거리이면 충분하지만 3mm가 5mm보다 더 좋고 1mm 이내의 거리가 구강 스캐너에서 스캔한 상대 3차원 데이터의 정확도를 보장하는 데 가장 이상적이다. 그러나 거리가 1mm 이내인 경우에도, 모든 경우에 스캔 중 오류를 피할 수 없다. 만약 어떤 오류가 있다고 추정되거나 예상된다면 보철물 제작 후 디자인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해 스캐닝한 후 물리 검증 지그를 제작할 것을 권장한다. 이를 통해 임상의는 보철물을 환자의 턱에 전달하기 전에 조정 또는 수정을 할 수 있다.
도 30은 임플란트(310), 지대주(307), 스캔 바디(303 및 305) 및 스크류(302)의 분해 측면도를 보여준다.
도 31은 임플란트(310), 지대주(307), 스캔 바디(303) 및 스크류(302)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2는 임플란트(310), 지대주(307), 스캔 바디(303) 및 스크류(302)의 분해 측면도를 도시한다. 스캔 바디(303)는 원뿔형 바디부(303a) 및 원형 바디부(303a)에 수직이면서 원형 바디부(303a)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날개 영역(303b)을 구비한다.
도 33은 임플란트(310), 스크류(302’) 및 스캔 바디(303’)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4는 임플란트(310), 스크류(302’) 및 스캔 바디(303’)의 분해 측면도를 도시한다. 스캔 바디(303’)는 임플란트(310) 내부에 피팅하도록 크기 및 치수가 정해진 지대주 단부(303c’)를 제외하고는 스캔 바디(303)와 유사하다. 스크류(302’)는 스크류(302) 보다 길고 치아 임플란트 내부에 나사산이 있어 치아 임플란트(310)에 직접 부착되도록 설계된다. 치아 임플란트가 육각형 또는 일부 다른 회전 방지 특징(기능)을 가질 수 있지만, 지대부 단부(303c’)는 치아 임플란트 내부의 육각형과 맞물리는 육각형을 갖지 않을 것이다. 이는 스캔 바디가 움직이지 않을 충분한 토크로 스크류가 조여질 때까지 스캔 바디(303’)가 치아 임플란트 주위를 회전하도록 허용한다. 또한, 스캔 바디(303)는 치아 임플란트 플랫폼 위의 상이한 조직 높이를 수용하기 위해 서로 다른 높이로 제조되는 지대주 단부(303c)를 가질 것으로 고려된다.
도 35는 스캔 바디(303)의 사시도, 측면도 및 평면도를 보여준다.
도 36은 스캔 바디(305)의 사시도, 측면도 및 평면도를 보여준다.
도 37은 4개의 스캔 바디(401, 403, 405 및 407)를 포함하는 치과용 장치(4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각각의 스캔 바디(401, 403, 405 및 407)는 각각 고유한 기하학적 표시기(402, 404, 406 및 408)를 구비한다. 표시기(indicators)는 크기, 치수 및 다른 예상되는 고유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고유 식별자이다. 고유한 3차원 형상은 하나의 스캔 바디를 다른 스캔 바디와 구별하도록 사용된다. 고려되는 형상들은 반구, 원뿔, 실린더, 직육면체 또는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다른 다각형 형상을 포함하지만 이들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형상은 스캔 바디의 포지셔닝, 고정, 스캐닝 또는 합착을 방해하지 않는 한 스캔 바디 표면의 임의의 위치에 임의의 크기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표시기는 구강 스캐너의 소프트웨어가 현재 환자의 턱에 있는 각 스캔 바디를 구별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구강 스캐너의 AI가 혼란스러워하는 것을 방지하여 스캔 중에 부정확한 스캔 데이터를 인위적으로 도입하지 않게 한다. 이들 표시기는 의도적으로 치과용 CAD 소프트웨어에서 이들 스캔 바디에 대한 해당 디지털 라이브러리들에 포함된 스캔 바디(401, 403, 405 및 407)의 형상 아래에 배치된다. 이러한 유형의 고려된 표시기는 구강 스캔을 스캔 바디 형상의 3차원 디지털 이미지 파일에 정렬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원뿔형 바디(401a) 상의 원뿔 표면과 날개 영역(401b)의 상부 및 측면 표면과 같은 형상들(혹은 기하학적 구조)만이 2개의 스캔을 정렬하는 데 사용된다. 이것은 스캔 바디(401 및 407)에 대해 동일한 3차원 디지털 이미지 파일을 사용하고 스캔 바디(403 및 405)에 대해 동일한 3차원 디지털 이미지 파일을 사용하는 편리함을 허용한다.
도 38은 도 37의 치과용 장치(400)의 상부 평면도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그리고 문맥상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용어 “~에 결합된(혹은 커플링된)”은 직접 결합(서로 결합된 2개의 요소가 서로 접촉함) 및 간접 결합(적어도 하나의 추가 요소는 두 요소 사이에 있다)을 포함하도록 의도되었다. 따라서 “~에 결합된”과 “~와 결합된”이라는 용어는 동의어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이미 기술된 것 외에 더 많은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제는 보정된 청구범위의 정신을 제외하고는 제한되지 않습니다. 더욱이, 명세서와 청구범위 모두를 해석함에 있어서, 모든 용어는 문맥과 일치하는 가능한 가장 넓은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특히,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비-배타적인 방식으로 구성요소들(elements), 컴포넌트들(components), 또는 단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참조된 구성요소, 컴포넌트 또는 단계는 명시적으로 참조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 컴포넌트, 또는 단계와 함께 존재할 수 있거나, 활용될 수 있거나, 또는 조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여기서 명세서는 A, B, C... 및 N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칭하고, 텍스트는 그룹에서 하나의 요소만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A+N 또는 B+N 등이 아닌 그룹으로부터 하나의 구성요소만을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종“‡향 축 및 상기 종방향 축으로부터 반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날개 영역을 각각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스캔 바디; 및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구비하는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스캔 바디의 단부는 파스너(fastener)와 정합(mate)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 표면은 상기 하나 이상의 스캔 바디의 날개 영역 상에 배치된 부착 영역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부착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스캔 바디 각각은 치과용 CAD 소프트웨어에서 이용가능한 관련 3차원 디지털 이미지 파일을 구비하고 있는, 치과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의 크기와 치수는 치아 아치(dental arch)에 맞도록 정해지는, 치과용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의 하나 이상의 부착 영역 각각은 하나 이상의 돌출부, 함몰부, 구멍, 언더컷(undercut), 홈(groove), 또는 격자 구조를 갖는, 치과용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스캔 바디의 날개 영역에 배치된 부착 영역은 하나 이상의 돌출부, 함몰부, 구멍, 언더컷, 홈, 또는 격자 구조를 포함하는, 치과용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바디 또는 상기 프레임 부재는 구강 스캐너로부터의 디지털 차원 데이터로 물리 치수로 보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알려진 치수를 갖는 하나 이상의 3차원 특징(feature)를 구비하는, 치과용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스캔 바디는 제 1 스캔 바디, 제 2 스캔 바디, 제 3 스캔 바디, 제 4 스캔 바디, 제 5 스캔 바디, 제 6 스캔 바디, 제 7 스캔 바디 및 제 8 스캔 바디를 포함하는, 치과용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 및 날개 부재는 방사선 불투과성의 재료로 이루어진, 치과용 장치.
  8. 제1항의 치과용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치아 파스너(fastener)에 하나 이상의 스캔 바디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치아 파스너에 대해 스캔 바디를 회전시켜 상기 하나 이상의 스캔 바디의 날개 영역을 위치시키는(positioning) 단계;
    구강 스캐너로 상기 스캔 바디를 스캔하는 단계;
    스캔한 3차원 이미지를 3차원 디지털 이미지 파일에 정렬하기 위해 치과용 CA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단계; 및
    상기 날개 영역의 부착 영역과 상기 프레임 부재의 하부에 접착제 또는 경화 재료를 적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스캔 바디에 상기 프레임 부재를 접착(bonding) 혹은 합착(luting)하고 상기 프레임 부재를 모든 날개 영역들에 직접 접촉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날개 영역에 상기 프레임 부재를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용 장치의 사용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장치 및 상기 치아 아치를 CBCT 스캐닝하고 상기 구강 스캔을 CBCT 스캔과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장치의 사용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단일 유닛으로서 상기 파스너들로부터 상기 프레임 부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스캔 바디를 제거하고 상기 단일 유닛을 상대적인 파스너 위치의 물리 검증 지그로서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장치의 사용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복수의 스캔 바디들 중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스캔 바디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프레임 부재가 치아 아치에 맞고 상기 하나 이상의 날개 부재 각각에 안착되도록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복수의 프레임 부재들 중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장치의 사용 방법.
  12. 치아 아치를 스캐닝하기 위한 치과용 장치에 있어서,
    종방향 축 및 상기 종방향 축으로부터 반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날개 영역을 각각 갖는 복수의 스캔 바디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캔 바디들의 각 단부는 상기 치아 아치에서 파스너(fastener)와 정합(mate)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스캔 바디들 각각은 치과용 CAD 소프트웨어에서 이용가능한 관련 3차원 디지털 이미지 파일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스캔 바디들 각각의 날개 영역들은 치아 아치의 중심 영역 내의 위치에서 수렴하도록 크기 및 치수가 결정된 것인, 치과용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 영역들은 상기 스캔 바디의 스크류 구멍으로부터 말단부(distal end)에서 종방향으로 점점 가늘어지는, 치과용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서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부착 영역에 각각 언더컷을 갖는 프레임 부재 및 복수의 스캔 바디들을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장치.
  15. 제12항의 치과용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스캔 바디들을 치아 아치에서 파스너들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치아 아치의 중심 영역 내에서 수렴하도록 상기 복수의 스캔 바디들의 날개 영역들을 위치시키는 단계;
    구강 스캐너로 상기 복수의 스캔 바디들을 스캔하는 단계;
    스캔한 3차원 이미지를 3차원 디지털 이미지 파일에 정렬하기 위해 치과용 CA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스캔 바디들을 함께 접착(bonding) 또는 합착(lut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용 장치의 사용 방법.
  16. 임플란트 수술 중에 프레임 부재 및 하나 이상의 스캔 바디를 포함하는 치과용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수술용 프랩(surgical flap)을 생성하기 위해 치아 아치의 연조직을 커팅하는 단계;
    상기 치아 아치의 뼈에 하나 이상의 임플란트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스캔 바디를 상기 하나 이상의 임플란트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 부재가 상기 하나 이상의 스캔 바디에 부착되기 전 또는 후에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수술용 프랩이 당겨지는(retracted) 동안 상기 치아 아치 및 상기 프레임 부재를 스캐닝하는 단계; 및
    당겨진 위치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수술용 프랩을 유지하도록 하는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를 상기 하나 이상의 스캔 바디에 접착 또는 합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용 장치의 사용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하는 단계는 수술 전 스캔, 상기 치과용 장치가 상기 치아 아치와 결합되어 있는 동안의 구강 스캔을 획득하며 상기 구강 스캔을 CBCT 스캔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용 장치의 사용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단일 유닛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임플란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날개 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수술용 프랩을 봉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용 장치의 사용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스캔된 3차원 데이터의 정확성을 검증하고 선택적으로 수정하기 위해 상기 단일 유닛을 물리 검증 지그로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장치의 사용 방법.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를 상기 하나 이상의 날기 부재에 접착 또는 합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부를 상기 스캔 바디들의 상부와 거의 동일한 높이로 평평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용 장치의 사용 방법.
KR1020237017953A 2020-10-29 2021-10-29 치과용 장치 및 사용 방법 KR102669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107205P 2020-10-29 2020-10-29
US63/107,205 2020-10-29
PCT/US2021/057387 WO2022094301A1 (en) 2020-10-29 2021-10-29 Dental device and method of 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121A true KR20230112121A (ko) 2023-07-26
KR102669439B1 KR102669439B1 (ko) 2024-05-29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648211A (zh) 2023-08-25
JP2023552001A (ja) 2023-12-13
AU2021369836A1 (en) 2023-06-22
US20240033055A1 (en) 2024-02-01
WO2022094301A1 (en) 2022-05-05
AU2021369836B2 (en) 2023-07-27
EP4236862A1 (en) 2023-09-06
JP7469842B2 (ja) 202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8836B2 (en) Method of creating an accurate bone and soft-tissue digital dental model
US11510761B2 (en) Scan post, bite pillar, reference pillar and related methods for recording dental implant position
US200900816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mediate loading of fixed hybrid dental prostheses
JP2012500671A (ja) 上部構造物および対応テンプレートを作製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トランスファ部材
US20150037757A1 (en) Method for attaching a dental prosthesis having multiple abutments
JP7469842B2 (ja) 歯科用デバイスおよび使用方法
EP3375401B1 (en) Template and method for planning the surgery of dental implants and/or guided placement of a prosthesis on implants
KR102669439B1 (ko) 치과용 장치 및 사용 방법
WO2019210373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fitting dental prostheses
KR101616398B1 (ko) 치과용 위치맞춤지그 및 이를 이용한 교합채득방법
US11744530B2 (en) Radiographic dental jigs and associated methods
US20120225409A1 (en) Method For Producing Individual Drilling Templates For Dental Implant Surgery In A Patient's Jawbone
Kempler The effect of impression technique, connection type and implant angulation on impression accuracy
Ibrahim Metal Versus Plastic Copings Regarding the Accuracy of Implant Transfer Impression Techniques [in vitro study]
JP2024517078A (ja) 歯科用デバイスおよび使用方法
WO2024097419A1 (en) Protocol for preparing and fitting prosthetics using pre-surgical fiducial markers and registration images formed thereby
KR20210034750A (ko) 무치악용 앵커핀 및 그 무치악용 앵커핀을 이용한 서지컬 가이드 제조 방법
Kataraki An in Vitro Study to Evaluate and Compare the Accuracy of Open Tray, Closed Tray, Press Fit and Combination Technique in Multiple Implant Impressions
KR20110069028A (ko) 치과보철용 방법 및 장치
Stumpel The 3D Click Guide®; An Analog Fully Restrictive Surgical Guide Produced in 30 Minu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