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612A - 연결부를 생성하는 방법, 및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연결부를 생성하는 방법, 및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612A
KR20230111612A KR1020237021613A KR20237021613A KR20230111612A KR 20230111612 A KR20230111612 A KR 20230111612A KR 1020237021613 A KR1020237021613 A KR 1020237021613A KR 20237021613 A KR20237021613 A KR 20237021613A KR 20230111612 A KR20230111612 A KR 20230111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hannel
trigger mechanism
valve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1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플로리안 에헤가르트너
Original Assignee
린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린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111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6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67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in connection with the appearance or detection of lea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03Auxiliar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30Detecting lea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Adhesive Tape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개의 부착 단부에 각각 제공되는 2개의 연결 플랜지(112, 122)에 의해 연결될 2개의 구성요소(111, 121)의 부착 단부(110, 120) 사이에 생성되며, 밀봉 가능한 공동(130)이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연결 플랜지(112, 122)의 측부 사이에 형성되고, 폐쇄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개방 가능한 채널(132)이 공동(130)과 주변 환경 사이에 제공되고, 공동(130)에 음압이 발생되면 채널(132)이 폐쇄되고, 트리거 기준의 발생 시에 자동화된 방식으로 채널(132)을 개방하도록 구성된 트리거 메커니즘(136)이 제공되는, 연결부를 생성하는 방법 및 또한 상응하는 연결 장치(100),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결부를 생성하는 방법, 및 연결 장치
본 발명은 연결될 2개의 구성요소의 부착 단부 사이에 연결부를 생성하는 방법, 상응하는 연결 장치, 및 이러한 연결 장치를 갖는 이송 라인에 관한 것이다.
액화 가스용 이송 라인은 일반적으로 특정 지점에서 서로 연결되어야 하는 다수의 부분을 통상적으로 갖는다. 이는, 예를 들어, 호스가 용기 또는 이의 연결부에 연결되는 경우이다. 정상 작동을 위해, 이러한 연결은 큰 힘을 흡수할 수 있어야 하지만; 과부하의 경우, 임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단지 작은 힘만이 관련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위 미리 결정된 파단점은 상이한 필드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들은 언급된 목적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고압 용기의 경우, 소위 파열판은,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파단점으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연결부의 특정 지점에서 다른 더 약한 재료의 사용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이어서, 이는 과부하의 경우에 표적화된 방식으로 항복한다. 그러나, 종래의 미리 결정된 파단점은 전술된 이송 라인에, 그리고 또한 일반적으로 파이프 또는 호스 연결에 제공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배경에 비추어 볼 때, 본 발명의 목적은 호스 또는 파이프와 같은 구성요소의 2개의 부착 단부 사이의 연결을 위한 옵션을 제공하는 것이며, 연결부가 안전하고 높은 힘을 흡수할 수 있어야 하고,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가능한 한 관련 구성요소에 손상을 입히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들을 갖는 연결부의 생성 방법 및 연결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구현예가 종속 청구항 및 하기 설명의 주제이다.
발명의 이점
본 발명은 각각의 부착 단부에 제공되는 2개의 연결 플랜지에 의해 또는 이를 사용하여 연결될 2개의 구성요소의 부착 단부 사이에 연결부를 생성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적합한 구성요소는, 특히, 호스 또는 파이프이거나,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가스, 액체 또는 액화 가스용 라인이다. 특히, 고려 중인 구성요소는 액화 가스용 이송 라인의 일부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연결되어야 하는 임의의 유형의 구성요소에 대해 궁극적으로 적합한 것이 본 명세서에 언급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2개의 연결 플랜지는 나사 연결(나사 및 너트, 또는 너트를 갖는 나사산형 로드, 및 선택적으로 또한 클램프가 고려될 수 있음)과 같은 연결 수단과의 연결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나사는 연결 플랜지에 적합하게 배열된 홀을 통해 안내된다. 특히, 파이프 또는 호스가 연결될 경우, 예를 들어, 고무 밀봉과 같은 밀봉을 2개의 연결 플랜지와/또는 서로 향하는 측부 또는 표면 사이에 삽입하는 것이 편리하다.
정상적인 작동(즉, 예를 들어, 이송 라인을 통해 액화 가스를 이송하는 동안(2개의 부분이 서로 상응하여 연결됨), 또는 선택적으로 동일한 것을 취급할 때 경험하는 것과 같이, 연결부 또는 연결 지점에 정상적인 부하 및 힘이 가해짐)을 보장하기 위해, 연결 수단은 특정 요구 사항(나사의 두께 등)을 충족해야 한다. 연결 수단이 과부하의 경우, 즉, 예를 들어, 통상적인 것보다 (상당히) 더 큰 힘이 연결부에 가해지는 경우에 끊어지더라도, 예를 들어, 이어서 관련된 다른 구성요소에 가해지는 과도한 힘이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연결 수단은 이들이 정상적인 동작을 더 이상 보장할 수 없을 정도로 약하게 설계될 수 없다. 동일한 것은 일반적으로 연결 플랜지 자체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적용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진행된다.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연결 플랜지의 측부 사이에 밀봉 가능한 공동을 형성하고 공동과 주변 환경 사이에 채널을 제공하는 것이 제안되며, 채널은 필요에 따라 폐쇄되고 개방될 수 있다.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이어서 공동이 배출되거나, 적어도 음압이 발생되어, 채널은 폐쇄된다. 진공 또는 음압에 의해, 2개의 연결 플랜지가 서로 유지되거나 외부로부터의 과압에 의해 서로에 대해 가압되는 것이 달성된다. 공동의 적합한 치수화를 위해, 정상 작동에 대한 충분히 큰 연결력이 이러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채널을 개방하여 진공 또는 음압을 깨는 가능성으로 인해, 과부하 시 연결력은 감소(선택적으로 0으로)될 수 있어서, 연결을 쉽게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관련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손상이 방지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트리거 기준의 발생 시 자동화된 방식으로 채널을 개방하도록 설계된 트리거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특히, 예를 들어 액화 가스 또는 다른 매체에 사용되는 이송 라인에 대한 손상이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방지될 수 있다.
특정 상황이 궁극적으로 공동에서 "음압만이" 발생되는 지, 또는 공동이 배출되는 지(실제로, 진공은 특정 잔류 압력을 암시함)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또한 본 명세서에 언급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수, 또는 수십 밀리바의 압력에서도, 충분히 높은 힘이 과압에 의해 가해질 수 있다. 연결 유형 및/또는 요구되는 연결력에 따라, 그리고 공동의 적합한 치수화에 따라, 연결 플랜지 사이의 충분히 안정적인 연결부는 심지어 예를 들어 수백 밀리바의 낮은 음압만을 갖는 주위 압력에서 생성될 수 있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제안된 접근 방식의 통상적이고 바람직한 응용은 일반적으로 파이프 또는 호스, 또는 중공 라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요소의 부착 단부는 또한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갖는다. 이러한 맥락에서, 함께 연결될, 병렬로 안내되는 다수의 파이프 또는 호스를 갖는 라인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이어서, 공동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환형 단면을 갖는 부착 단부의 개구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진공 또는 공동 내의 음압에 의해 연결 플랜지에 발생된 힘은, 특히, 또한 가능한 한 균일하게 개구 주위에 분포된다. 이는 결국 안정적이고 안전한 연결을 생성한다. 진공 또는 음압의 발생을 위해 공동을 밀봉하기 위해, 예를 들어, 2개의 밀봉, 특히, 환형 밀봉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고무와 같은 적합한 재료일 수 있거나 가질 수 있다.
채널을 폐쇄하고 필요에 따라 그를 개방하기 위한 바람직한 선택사양은 밸브의 사용이다. 채널 자체는 2개의 연결 플랜지 중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또한 완전히, 편리하게 형성된다. 이 경우에, 밸브는 이어서 이러한 하나의 연결 플랜지의 외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이어서,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공동을 배출하기 위한 또는 내부에 음압을 생성하기 위한 진공 펌프가 연결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제안된 접근 방식의 특정 이점은, 예를 들어, 밸브의 상응하는 작동에 의해 트리거 기준의 발생 시 자동화된 방식으로 채널을 개방하도록 설계된 트리거 메커니즘의 제공이다. 이러한 트리거 메커니즘은, 예를 들어, 위에서 이미 언급된 과부하의 경우에, 공동 내의 진공을 자동으로 파괴하고 따라서 미리 결정된 파단점의 방식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이어서 진공 보조 미리 결정된 파단점으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 중 하나, 또는 용기 또는 탱크 또는 유사한 결합의 움직임에 대한 트리거 메커니즘의 결합이, 이 경우에, 고려될 수 있다. 이는 구성요소 중 하나 또는 이에 연결된 용기 또는 탱크의 움직임 시 트리거 메커니즘이 채널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트리거 기준은 구성요소 중 하나, 또는 이에 연결된 용기 또는 탱크의 움직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송 라인에 의해 액화가스가 이송되는 탱커선의 움직임이 감지되면(예를 들어, 바다의 파도에 의해), 표류하는 유조선으로 인한 과부하로 인한 추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진공이 파괴될 수 있다. 대신에, 이어서, 연결부는 상대적으로 쉽게 분리될 것이다. 이 경우에, 적어도 개방된 연결 지점이, 예를 들어, 액화 가스가 취해지는 저장 탱크 상의 상응하는 밸브를 폐쇄함으로써 다른 방식으로 폐쇄되어야 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는 또한 자동화되고 선택적으로 트리거 메커니즘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이러한 트리거 메커니즘은 임의의 방식으로 더 많거나 더 적게 트리거될 수 있다. 상황에 따라, 이는 기계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의 특정 흐름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폐쇄를 유지하고 캐비티에 진공을 유지하는 전자기 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전류 흐름이 중단되는 경우, 진공이 파괴된다. 즉, 전자기 밸브는 전류 흐름이 중단될 때 개방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기계적 케이블 당김 장치 등을 제공하거나, 필요한 경우 수동으로 개방되고/되거나 파괴될 수 있는 파열판만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나사 연결과 같은 전술한 연결 수단은 연결을 설립하기 위해 여전히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진공(또는 음압)에 의해 발생하는 연결력으로 인해 이러한 연결 수단은 이전 설계보다 상당히 더 약할 수 있다. 대신에, 연결 플랜지가 진공이 생성될 때까지 이러한 연결 수단과 함께 유지되는 것만으로 충분할 수 있다. 또한, 진공이 파괴된 후에도 연결 플랜지의 특정 응집이 요구된다는 것일 수 있다. 소위 확장 나사가 또한 연결 수단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이러한 추가 연결 수단을 선택적으로 완전히 불필요하게 만드는 연결 플랜지의 적절한 구성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연결될 2개의 구성요소의 부착 단부 사이의 연결을 생성하기 위한 연결 장치로서, 하나의 연결 플랜지가 각 부착 단부에 제공되며,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연결 플랜지의 측부 사이에는 음압(또는 진공)이 발생될 수 있는 밀봉 가능한 공동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공동과 주변 환경 사이에는 필요시 개방될 수 있는 폐쇄형 채널이 제공된다.
연결 장치의 추가 구현예 및 이점에 관하여, 방법에 관한 상기 진술을 참조하며, 이에 따라 여기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다수의 부분을 갖는 액화 가스용 이송 라인이며, 여기에서 명명된 연결 장치 중 하나 이상이 각각의 경우 이송 라인의 2개의 부분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사용하여 도면에 개략적으로 예시되며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도 1은 바람직한 구현예의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장치 연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은 바람직한 구현예의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관련 방법의 설명과 함께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예로서, 장치(100)는 액화 가스 이송 라인(101)의 2개의 부분(111, 121)을 서로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이송 라인(101)에 의해, 액화 가스는 제1 용기(190)(예를 들어, 저장 용기)로부터 제2 용기(192)(예를 들어, 탱커 선박)로 이송될 것이다. 밸브(191)는 또한 예로서 제1 용기(190)에 제공된다.
연결 장치(100)는 궁극적으로 이송 라인의 적합한 위치에, 그리고 선택적으로 용기(190, 192) 중 하나에, 예를 들어, 연결 피스에 직접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을 본 명세서에서 주목해야 한다. 필요한 경우, 다수의 이러한 연결 장치(100)는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위치는 단지 예로서 사용되며,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만을 제공한다. 연결 장치(100) 자체는 또한 상이한 축척으로 그리고 이송 라인 및 용기의 나머지보다 더 상세히 도시된다.
연결 장치(100)는 연결될 2개의 구성요소(111, 121)의 2개의 부착 단부(110, 120) 사이에 연결부를 설정하는 역할을 하며, 이는 이송 라인의 일부로서 설계된 것과 동일하다. 이송 라인 또는 일반적으로 라인의 일부로서 설계되는 구성요소에 따라, 부착 단부(110, 120)는 관형(즉, 내부의 자유 공간을 한정하는 외벽을 갖음)으로 설계된다. 이는 또한 그에 따라 예시된다. 따라서, 이러한 자유 공간은 예로서 부착 단부(120)에 대한 수(124)로 표시되는 각각의 단부에 개구를 형성한다.
또한, 연결 플랜지(112 또는 122)는 각각의 부착 단부(110, 120)에 제공된다. 부착 단부(110, 120)는 각각 각각의 라인 부분(111, 121), 또는 별개의 부분의 단부일 수 있고, 선택적으로 또한 용접되거나 달리 부착될 수 있다. 연결 플랜지(112, 122)는 결국 부착 단부(110, 120)에 용접되거나 달리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따라서 부착 단부(110, 120)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밀봉 가능하고 배출 가능한 공동(130)은 서로 대향할 2개의 연결 플랜지(112, 122)의 측부 사이에 제공된다. 이 공동은 2개의 언급된 측부 및/또는 연결 플랜지(112, 122)의 표면에 의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2개의 환형 밀봉 및/또는 밀봉 링(140, 142)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밀봉은, 예를 들어, 고무로 제조될 수 있지만, 다른 재료가 또한 그것과 연결되어야 하는 연결 및/또는 구성요소의 의도된 사용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밀봉(140)은 연결 플랜지(110, 120)의 내면에 배열되는데, 즉, 그것은 부착 단부의 내부 및/또는 이의 개구(124) 자유 공간에 대향하고; 대조적으로, 밀봉(142)은 연결 플랜지(110, 120)의 외면에 배열되는데, 즉 이는 주변 환경에 대향한다.
또한, 채널(132)은 공동(130)과 주변 환경 사이에 제공되며, 이러한 채널은 예를 들어 상응하는 보어 등으로서 도시된 예에서 연결 플랜지(110)를 형성된다. 반면에, 공동(130)에 대한 채널(132)의 연결이 개방되는 반면, 채널의 다른 단부에서, 주변 환경을 향해 밸브(134)가 제공된다. 채널은 밸브(1343)에 의해 폐쇄될 수 있고, 필요하다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밸브(132)에 연결된 진공 펌프(150)가 도시되어 있다. 밸브(130)가 개방될 때, 공동(130)은 진공 펌프(150)가 작동될 때 배출될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음압이 내부에 발생될 수 있다. 공동(130)이 배출되고/되거나 발생된 음압이 충분히 큰 경우, 밸브(130)는 폐쇄될 수 있다. 공동(130)의 진공 또는 음압에 의해, 따라서, 힘이 외부로부터 연결 플랜지(110, 120) 상으로 발생되며, 이는 이들을 서로에 대해 가압하고 따라서 부착 단부(110, 120) 및/또는 부분(111, 121)을 서로 연결한다.
이 시점에서, 공동이 반드시 본 명세서에 나타낸 형상 또는 형태를 가질 필요는 없다는 것을 언급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연결 플랜지(110, 120)의 상호 대향 측부의 다른 형상 또는 하나의 연결 플랜지만이 고려될 수 있다. 공동이 배출될 수 있거나 진공 또는 적어도 음압이 형성될 수 있는 전부에서 공동이 형성된다는 사실은 궁극적으로 결정적인 것을 형성할 수 있다. 밀봉은 또한 상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채널(132)은 또한 도시된 형상을 가질 필요가 없고; 오히려 예를 들어 연결 플랜지 중 하나를 통해 연속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연관된 너트(115)를 갖는 2개의 나사(114)는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이 중 하나만 도면부호를 갖음). 나사는 각각의 경우에 2개의 연결 플랜지(110, 120) 내의 적합한 개구 또는 구멍을 통해 안내되고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가 안정성이 달성될 수 있다. 예로서 도시된 상황에서 임의의 경우에, 나사를 위한 개구 또는 통로의 적합한 밀봉이 제공되어야 하므로, 공동(130)이 배출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예를 들어, 나사를 둘러싸고 따라서 공동(130)으로부터 특정 영역을 궁극적으로 제거하는 2개의 연결 플랜지(110, 120) 사이에서 추가의 밀봉 링이 고려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나사 및/또는 필요한 통로는 또한 공동(130) 외부에 배열될 수 있거나, 밀봉(140, 142)은 나사 또는 통로가 공동(130)로부터 배제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컨테이너(192)의 움직임과 같은 특정 트리거 기준이 감지되는 경우, 트리거 메커니즘(136)이 밸브(134)에 제공되며, 이는 예로서 신호(196)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는 차례로 제2 용기(192) 상의 측정 또는 검출 장치(194)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트리거 메커니즘(136)은, 예를 들어, 밸브(134)를 개방함으로써 채널(132)을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미 전술된 바와 같이, 밸브 자체는 동력공급에 의해 폐쇄된 채로 유지되는 전자기 밸브인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신호(196)는 또한, 채널(132) 개방되는 결과로서, 전력 공급부의 중단일 수 있다. 이어서, 트리거 메커니즘은 밸브에 통합될 것이다.
결국, 트리거 기준의 존재 하에 채널(132)이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부압 또는 진공으로 인해 연결 플랜지(110, 120)에 작용하는 연결력이 특히 0으로 감소되도록, 공동(130)의 진공이 파괴될 수 있다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이어서, 연결 플랜지(110, 120)는 특히 약하게 설계된 나사(114) 또는 너트(115)에 의해서만 함께 유지된다. 이러한 연결은 이어서 특정 과부하만을 견디고, 이 이상의 연결을 해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에 따라 진공 보조 미리 결정된 파단점이 형성된다.
또한, 연결이 해제되고/되거나 분리될 때, 예를 들어 밸브(191)가 제1 용기(190)로부터 추가 유출을 피하기 위해 예를 들어 신호(196)를 통해 선택적으로 자동으로 폐쇄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8)

  1. 연결부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연결부는 1개의 부착 단부에 각각 제공되는 2개의 연결 플랜지(112, 122)에 의해 연결될 2개의 구성요소(111, 121)의 부착 단부(110, 120) 사이에 생성되며,
    밀봉 가능한 공동(130)이 서로 대향하는 상기 2개의 연결 플랜지(112, 122)의 측부 사이에 형성되고,
    필요할 때 개방될 수 있는 폐쇄 가능한 채널(132)이 상기 공동(130)과 주변 환경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공동(130)에 음압이 발생되면 상기 채널(132)이 폐쇄되고,
    트리거 기준의 발생 시 자동화된 방식으로 상기 채널(132)을 개방하도록 구성된 트리거 메커니즘(136)이 제공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132)은 폐쇄 가능하도록 설계되고, 필요할 때, 밸브(134)에 의해 개방될 수 있고, 상기 트리거 메커니즘(136)은 트리거 기준의 발생 시 상기 밸브(134)를 작동시킴으로써 자동화된 방식으로 상기 채널(132)을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메커니즘(136)은 트리거 기준의 발생 시 신호(196)를 통해 트리거되도록 구성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메커니즘은 상기 구성요소(111, 121) 중 하나, 또는 이에 연결된 용기 또는 탱크의 움직임에 결합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메커니즘(136)은 전기적으로 트리거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전자기 밸브(134)가 동력이 공급될 때 폐쇄되고 전류 또는 전력 공급의 흐름이 중단될 때 개방되는 밸브로서 제공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메커니즘(136)은 기계적으로 트리거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화 가스 이송 라인(101)의 부분(111, 121)의 2개의 부착 단부(110, 120) 사이에 연결부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9. 연결될 2개의 구성요소(111, 121)의 부착 단부(110, 120) 사이에의 연결부를 생성하기 위한 연결 장치(100)로서, 각각의 부착 단부에는 연결 플랜지(112, 122)가 제공되고,
    연결 장치(100)는 음압이 발생될 수 있는 밀봉 가능한 공동(130)이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연결 플랜지(112, 122)의 측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되고,
    필요할 때 개방될 수 있는 폐쇄 가능한 채널(132)이 상기 공동(130)과 주변 환경 사이에 제공되고,
    트리거 기준의 발생 시 자동화된 방식으로 상기 채널(132)을 개방하도록 구성된 트리거 메커니즘(136)을 추가로 포함하는, 연결 장치(10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132)이 폐쇄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개방될 수 있는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된 밸브(134)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 메커니즘(136)은 트리거 기준의 발생 시 상기 밸브(134)를 작동시킴으로써 자동화된 방식으로 상기 채널(132)을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연결 장치(10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메커니즘(136)은 트리거 기준의 발생 시 신호(196)를 통해 트리거되도록 구성되는, 연결 장치(100).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메커니즘은 상기 구성요소(111, 121) 중 하나, 또는 이에 연결된 용기 또는 탱크의 움직임에 결합되는, 연결 장치(100).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메커니즘(136)은 전기적으로 트리거되도록 구성되는, 연결 장치(100).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134)로서, 동력이 공급될 때 폐쇄되고, 전류 또는 전력 공급의 흐름이 중단될 때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전자기 밸브를 갖는, 연결 장치(100).
  15.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메커니즘(136)은 기계적으로 트리거되도록 구성되는, 연결 장치(100).
  16. 접속될 2개의 구성요소(111, 121)의 부착 단부(110, 120) 사이에 연결을 생성하기 위한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결 장치(100)의 용도로서, 이 연결은 필요한 경우, 특히, 트리거 기준의 발생 시 자동화된 방식으로 해제되어야 하는, 용도.
  17. 제16항에 있어서, 액화 가스 이송 라인(101)의 부분(111, 121)의 2개의 부착 단부(110, 120) 사이의 연결을 생성하기 위한, 용도.
  18.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연결 장치(100)에 의해 서로 연결 가능하거나 연결된 다수의 부분(111, 121)을 갖는, 액화 가스용 이송 라인(101).
KR1020237021613A 2020-12-04 2021-12-01 연결부를 생성하는 방법, 및 연결 장치 KR202301116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020591 2020-12-04
EP20020591.2 2020-12-04
PCT/EP2021/025479 WO2022117231A1 (de) 2020-12-04 2021-12-01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verbindung und verbindungs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612A true KR20230111612A (ko) 2023-07-25

Family

ID=73747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1613A KR20230111612A (ko) 2020-12-04 2021-12-01 연결부를 생성하는 방법, 및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27003A1 (ko)
EP (1) EP4256222A1 (ko)
JP (1) JP2023551534A (ko)
KR (1) KR20230111612A (ko)
AU (1) AU2021391266A1 (ko)
WO (1) WO202211723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396543A (de) * 1961-12-27 1965-07-31 Alpura Ag Abdichtung
US7942452B2 (en) * 2007-11-20 2011-05-17 The Boeing Company Flange fitting with leak sensor port
DE102008012739A1 (de) * 2008-03-05 2009-09-10 Oerlikon Leybold Vacuum Gmbh Vakuum-Abgasleitungssystem
JP5297061B2 (ja) * 2008-03-25 2013-09-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フランジ接合構造
WO2013152419A1 (en) * 2012-04-10 2013-10-17 Hatch Ltd. Conduit connection apparatus with purge g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27003A1 (en) 2024-01-25
AU2021391266A1 (en) 2023-06-29
EP4256222A1 (de) 2023-10-11
JP2023551534A (ja) 2023-12-08
WO2022117231A1 (de)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5267B2 (ja) プラスチックで裏打ちされた圧縮ガス・ボンベの出口用はみ出し防止シール・システム
US9657881B2 (en) Fluid conduit safety system with separable coupling
US11306858B2 (en) Powered emergency released coupling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US6546947B2 (en) Safety system for fluid conduit
US20190249789A1 (en) Electrical valve module assembly for inflation systems
MX2014003382A (es) Aparatos y metodo para sellar una tuberia que incluye medios de agarre internos y externos.
EP2623839B1 (en) Low pressure hot tap pipeline isolation
US201001864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solating or Testing a Pipe Segment with Axial Reinforcement
US6260569B1 (en) Safety system for fluid conduit
US20110214750A1 (en) Fluid Conduit Safety System
KR20230111612A (ko) 연결부를 생성하는 방법, 및 연결 장치
KR20230130095A (ko) 비상 해제 및 커플링 장치
US20110215564A1 (en) Three Bolt Breakaway Coupling
CN113330241B (zh) 流体装卸装置用的紧急脱离机构
US6913034B2 (en) Emergency shutdown valve actuator
CA2223247A1 (en) Weld testing assembly
GB2456229A (en) Tool for isolating a pipeline portion
WO2011109664A1 (en) Safety system for fluid conduit
US9303806B2 (en) Closure assembly for pipe end
JPH08312669A (ja) 緊急時密封容易なカプリング装置
RU2813001C1 (ru) Муфта аварийного разъединения
US11976771B2 (en) Sealing pig launcher doors
RU2779683C1 (ru) Разрывная муфта
JP5663354B2 (ja) 導管用緊急離脱装置
JP2001289384A (ja) 極低温流体用配管の着脱自在継手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