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567A - Stackable frame structure for smart farm - Google Patents

Stackable frame structure for smart fa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567A
KR20230111567A KR1020220083097A KR20220083097A KR20230111567A KR 20230111567 A KR20230111567 A KR 20230111567A KR 1020220083097 A KR1020220083097 A KR 1020220083097A KR 20220083097 A KR20220083097 A KR 20220083097A KR 20230111567 A KR20230111567 A KR 20230111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frame
support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30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규태
박성용
황수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밸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밸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밸브
Priority to KR1020220083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1567A/en
Publication of KR20230111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56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8Mechanical apparatus for circulating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9Ligh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스마트팜 용 적층형 프레임 구조물에 관련된 것으로서, 위 스마트팜 용 적층형 프레임 구조물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일측면에 연결 고정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암(arm)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암 프레임은, 트레이가 위치하기 위해 제1 높이를 갖는 트레이 받침부 및 상기 트레이 받침부에 인접하고, 제1 높이 보다 높은 제2 높이를 갖는 플레이트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한된 공간에서 보다 많은 층수를 갖는 적층형 스마트팜을 제공할 수 있다.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 stacked frame structure for a smart farm, wherein the stacked frame structure for a smart farm includes a support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first arm that is connect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and extends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the first arm frame includes a tray support portion having a first height for positioning a tray and a plate fixing portion adjacent to the tray support portion and having a second height higher than the first heigh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acked smart farm having a greater number of floors in a limited space.

Description

스마트팜 용 적층형 프레임 구조물{STACKABLE FRAME STRUCTURE FOR SMART FARM}Stackable frame structure for smart farm {STACKABLE FRAME STRUCTURE FOR SMART FARM}

본 명세서는 스마트팜 용 적층형 프레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작물 용 트레이와 하부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장치가 하나의 프레임에 배치되되, 중첩되는 높이에 위치하는 스마트팜 용 적층형 프레임 구조물에 관련된다.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stacked frame structure for smart farms, and more specifically, to a stacked frame structure for smart farms in which a tray for crops and a light emitting device for irradiating light at the bottom are disposed in one frame, but located at overlapping heights.

종래 적층형 스마트팜에서는 막대형의 프레임을 소정 간격을 두고 적층 시킨 후, 프레임의 상부에는 작물이 성장할 베드등을 위한 트레이가 설치되고, 프레임의 하부에는 아랫층 프레임에 위치한 작물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장치가 구비되었다. 통상적으로 상기 발광장치는 트레이의 바로 하부에 위치하였다. 이에 따라서 적층형 스마트팜에 있어서, 한 층의 높이는 프레임의 높이, 트레이의 높이, 작물의 높이, 발광장치의 높이를 모두 더한 값으로 결정되어 제한된 높이의 건물 내부에서 프레임의 층수를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In a conventional stacked smart farm, after stacking rod-shaped fram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tray for a bed in which crops will grow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and a light emitting device for irradiating light to crops located on the lower frame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frame. Conventionally, the light emitting device was located directly below the tray. Accordingly, in the stacked smart farm, the height of one floor is determined by the sum of the height of the frame, the height of the tray, the height of the crop, and the height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한국등록특허 제10-2211232 호 [출원인: 주식회사 나청메이커앤드론]Korea Patent No. 10-2211232 [Applicant: Nacheong Maker & Drone Co., Ltd.]

본 명세서는 제한된 공간에서 보다 많은 층수를 갖는 적층형 스마트팜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stacked smart farm having a greater number of floors in a limited space.

본 명세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함몰되거나 개방된 면을 갖는 암 프레임을 이용해서 적층형 스마트팜의 한 층의 높이를 줄임으로써 다수의 층으로 구성된 스마트팜을 구현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implement a smart farm composed of multiple layers by reducing the height of one layer of a stacked smart farm using an arm frame having an at least partially recessed or open surface.

본 명세서는 2개의 암 프레임 사이에 지지대가 위치하여 작업자가 두 암 프레임 쪽을 모두 이용해서 작물에 대한 수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enable a worker to manually work on crops using both arm frames by positioning a support between two arm frames.

본 명세서는 지지대를 중심으로 2개의 암 프레임을 위치시키고 지지대를 기준으로 바람을 발생시킴으로써, 하나의 작물을 통과한 바람이 가능한 적은 작물에 접하게 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make the wind passing through one crop come into contact with as few crops as possible by locating two arm frames around the support and generating wind based on the support.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용 적층형 프레임 구조물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일측면에 연결 고정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암(arm)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암 프레임은, 트레이가 위치하기 위해 제1 높이를 갖는 트레이 받침부; 및 상기 트레이 받침부에 인접하고, 제1 높이 보다 높은 제2 높이를 갖는 플레이트 고정부를 포함한다.Stacked frame structure for smart f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upport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first arm frame connected to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rein the first arm frame includes: a tray support portion having a first height for placing a tray thereon; and a plate fixing portion adjacent to the tray supporting portion and having a second height higher than the first height.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레이 받침부는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tray supporting portion may have an open top.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 고정부에 체결되며, 상기 제1 암 프레임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발광장치용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발광장치용 플레이트의 하부에 발광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a light emitting device plate coupled to the plate fixing part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arm frame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installed under the light emitting device plate.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 고정부는, 상기 발광장치용 플레이트와 체결되기 위한 나사공이 상부에 형성되고, 발광장치 또는 발광장치를 위한 전선을 위한 홀이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late fixing part may have a screw hole for fastening with the plate for the light emitting device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a hole for the light emitting device or a wire for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formed on the side.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의 다른 일측면에 연결 고정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암(arm)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암 프레임은 상기 제1 암 프레임과 대향하며, 상기 제1 암프레임과 제2 암프레임은 서로 체결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a second arm frame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is further included, wherein the second arm frame faces the first arm frame, and the first arm frame and the second arm frame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암 프레임은, 상기 지지대에 연결 고정되기 위한 제1 지지대 고정부; 및 상기 제2 암 프레임과 체결되기 위한 제1 암 프레임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arm frame may include a first support fixing part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support; and a first arm frame fixing part fastened to the second arm frame.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대 고정부는,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며, 하측방향으로 개방된 하나 이상의 걸림홀을 포함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support fixing part may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clude one or more locking holes opened downward.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암 프레임 고정부는, 상기 제1 지지대 고정부보다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암 프레임의 제2 암 프레임 고정부와 상호 체결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공을 포함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arm frame fixing part may be located at an end of the first support fixing part and include one or more fastening holes for mutually fastening with the second arm frame fixing part of the second arm frame.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암 프레임은, 지지대에 접촉되며, 암 프레임의 일 면에서 내측으로 향한 지지대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arm frame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contact portion directed inwardly from one surface of the arm frame and contacting the support member.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 암 프레임의 위치에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되는 송풍 장치를 더 포함하되, 지지대 외측으로 바람을 발생시키되, 지지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것일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upport may further include a blower install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arm frame, and may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support while generating win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한된 공간에서 보다 많은 층수를 갖는 적층형 스마트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acked smart farm having a greater number of floors in a limited spac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함몰되거나 개방된 면을 갖는 암 프레임을 이용해서 적층형 스마트팜의 한 층의 높이를 줄임으로써 다수의 층으로 구성된 스마트팜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smart farm composed of multiple layers can be implemented by reducing the height of one layer of a stacked smart farm using an arm frame having an at least partially recessed or open surfac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암 프레임 사이에 지지대가 위치하여 작업자가 두 암 프레임 쪽을 모두 이용해서 작물에 대한 수작업이 가능하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since the support is positioned between the two arm frames, a worker can perform manual work on crops using both arm frame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대를 중심으로 2개의 암 프레임을 위치시키고 지지대를 기준으로 바람을 발생시킴으로써, 하나의 작물을 통과한 바람이 가능한 적은 작물에 접하게 됨으로써 작물간 전염병 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y locating two arm frames around the support and generating wind based on the support, the wind passing through one crop comes into contact with as few crops as possible, thereby preventing crop-to-crop epidemics, etc. There is an effec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용 적층형 프레임 구조물(1000)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 프레임(제1 또는 제2 모두 가능)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암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암 프레임(200a, 200b)이 지지대에 설치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용 적층형 프레임 구조물(1000)의 일 부분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광장치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1 shows a stacked frame structure 1000 for a smart f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rm frame (first or second possi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FIG. 3 is a side view of the arm fram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two arm frames 200a and 200b are installed on a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ure 5 shows a portion of the stacked frame structure 1000 for smart f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ortion of a bladd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exists,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ex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members. However,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ize of each component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description, and does not mean a size that is actually applied.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The expression 'configured to' used in this documen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for example, 'suitable for', 'having the capacity to', 'designed to', 'adapted to', 'made to', or 'capable of',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The term 'configured (or set to) to' may not necessarily mean only 'specifically designed to' in terms of hardware. Instead, in some circumstances, the expression 'a device configured to' may mean that the device 'is capable of' in conjunction with other devices or components.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의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을 수 있음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므로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even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used herein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components of the drawings accompanying this specification may be shown enlarg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herei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since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look 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용 적층형 프레임 구조물(1000)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용 적층형 프레임 구조물(1000)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대(100) 및 지지대(100)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arm) 프레임(200)을 포함한다. 1 shows a stacked frame structure 1000 for a smart f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ring to FIG. 1, the stacked frame structure 1000 for a smart f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connect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100 and the support 10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ncludes an arm frame 200.

도 1을 더 참조하면 스마트팜 용 적층형 프레임 구조물(1000)은 복수의 지지대(100)를 포함하며, 각 지지대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암 프레임(200)이 연결 고정된다. 암 프레임들은 일정한 높이 간격을 두고 위치된다. 암 프레임(200) 위에는 하나 이상의 트레이(30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 트레이(300)에는 작물이 위치하거나, 별도의 독립적인 베드가 형성되고 베드 안에 작물이 위치될 수도 있다. Referring further to FIG. 1, the stacked frame structure 1000 for smart farm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s 100, and a plurality of arm frames 200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connected and fixed to each support. The arm frames are positioned at regular height intervals. One or more trays 300 may be positioned on the arm frame 2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Crops may be placed on the tray 300, or a separate independent bed may be formed and crops may be placed in the bed.

암 프레임(200)은 지지대를 기준으로 대향하는 제1 암프레임(200a)과 제2 암프레임(200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암프레임(200a)과 제2 암프레임(200b)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암프레임(200a)과 제2 암프레임(200b)은 대칭구조로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제1 암프레임(200a)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제1 암프레임에 대한 구조 및 기능 설명은 제2 암프레임(200b)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arm frame 200 may be composed of a first arm frame 200a and a second arm frame 200b facing each other based on the support, and the first arm frame 200a and the second arm frame 200b may extend in opposite directions. The first arm frame 200a and the second arm frame 200b have a symmetrical structure. Hereinafter, the first arm frame 200a will be mainly described in order to avoid duplication of description, but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first arm frame The descrip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second arm frame 200b.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팜 용 적층형 프레임 구조물은 가운데 지지대가 위치하고 지지대를 기준으로 적어도 한쪽 이상으로 암 프레임이 형성됨으로써 암 프레임에 배치되는 재배베드를 빼고 넣는 것이 수월한 이점이 있다.The stacked frame structure for smart far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support is located in the middle and the arm frame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based on the support, so that it is easy to remove and insert the cultivation bed disposed on the arm frame.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 프레임(제1 또는 제2 모두 가능)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암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암 프레임(200)은 트레이가 위치하기 위해 제1 높이를 갖는 트레이 받침부(210) 및 상기 트레이 받침부(210)에 인접하고, 제1 높이 보다 높은 제2 높이를 갖는 플레이트 고정부(220)를 포함한다. 트레이 받침부(210)와 플레이트 고정부(220)는 암 프레임(200)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받침부(210)와 플레이트 고정부(220)는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rm frame (first or second possi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FIG. 3 is a side view of the arm frame. Referring to FIG. 2, the arm frame 200 includes a tray supporting portion 210 having a first height for placing a tray and a plate fixing portion 220 having a second height adjacent to the tray supporting portion 210 and having a second height higher than the first height. The tray supporting part 210 and the plate fixing part 22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rm frame 200 . Also, as shown in FIG. 2 , the tray supporting part 210 and the plate fixing part 220 may be alternately disposed.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트레이 받침부(210)의 상부 높이(제1 높이)와 플레이트 고정부(220)의 높이는 d1(또는 d2 또는 d3)만큼 차이가 날 수 있다. 이러한 높이 차이(단차)를 이용해서 트레이 받침부(210)에 트레이가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트레이가 높이차 d1에의해 미끄러지지 않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upper height (first height) of the tray supporting part 210 and the height of the plate fixing part 220 may differ by d1 (or d2 or d3). A tray may be positioned and fixed to the tray supporting portion 210 using this height difference (step difference). That is, the tray may not slide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d1.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암 프레임(200)은 측면부와 상면부가 형성되고, 하면은 비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서 일정 수준 이상의 강성을 가지면서도 재료의 사용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트레이 받침부(210)는 상부가 개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개방되지 않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타공패턴 등)될 수도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2 , the arm frame 200 may have a side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may be empty. Through such a structu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 of materials can be reduced to a minimum while maintaining a certain level of rigidity. In addition, although the tray supporting portion 210 is shown as having an open top, in other embodiments, it may not be open, or may be at least partially open (perforated pattern, etc.).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암 프레임(200)은 소정 각도 기울어져 지지대에 고정될 수도 있다. 즉, 도 3에서 사이각a는 90도 이거나 90도 보다 작을 수 있다. Referring also to FIG. 3 ,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rm frame 200 may be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fixed to the support. That is, in FIG. 3, the angle a between them may be 90 degrees or less than 90 degrees.

사이각a가 90도 보다 작은 경우, 암 프레임이 지지대를 기준으로 외측을 향해 약간 기울어 짐으로써, 외측에서 암 프레임 상에 놓인 작물을 처리하는 작업자의 시야에 보다 많은 작물이 들어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When the angle a is smaller than 90 degrees, the arm frame is slightly inclined toward the outsid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o that more crops can come into the field of view of the operator handling the crops placed on the arm frame from the outside.

또한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암 프레임에 형성된 트레이 받침부(210)의 깊이는 지지대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Z 방향으로 갈수록) 커질 수도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d1 < d2 < d3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이각a가 90도인 경우라도 하나의 암 프레임에 형성된 복수이 트레이에 대하여 높이 차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 받침부의 높이차이는 지지대의 기울기가 90도 미만인 특징과 함께 또는 대안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트레이 받침부(210)의 폭(w1 ~ w3) 또한 균일하거나, z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트레이 받침부의 폭을 상이하게 구성함으로써 작물의 종류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크기와 무게가 큰 작물은 지지대측에 배치하고 이에 따라서 트레이 받침부의 폭이 크게 설정되며, 크기와 무게가 작은 작물은 지지대측에서 보다 먼 곳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트레이 받침대의 크기를 달리함으로써 작물의 종류 또는 파종시기를 구별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Also, in one embodiment, the depth of the tray supporting portion 210 formed on one arm frame may increase from the support side to the outside (in the -Z direction). That is, referring to FIG. 3, 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d1 < d2 < d3. In this case, even when the angle a is 90 degrees, a height difference can b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trays formed on one arm frame. This difference in height of the tray support may be applied in conjunction with or alternatively to the feature that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is less than 90 degrees. Referring to FIG. 3 , the widths w1 to w3 of the tray supporting portion 210 may also be uniform or increase or decrease in the z direction. By configuring the width of the tray support portion differently, it is possible to vary the type of crop. For example, crops with a large size and weight are placed on the support side, and accordingly, the width of the tray support is set to be large, and crops with a small size and weight may be arranged to be located farther from the support side. In addition, by varying the size of the tray support, it can be used to distinguish the type of crop or sowing time.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암 프레임(200)은 지지대에 연결 고정되기 위한 지지대 고정부(230) 및 대향하는 암 프레임과 체결되기 위한 암프레임 고정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in one embodiment, the arm frame 200 may include a support fixing part 230 connected to a support and an arm frame fixing part 240 fastened to an opposing arm frame.

지지대 고정부(230)는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며, 하측방향으로 개방된 하나 이상의 걸림홀(231, 232)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홀들은 지지대에 형성된 돌출부에 끼워져 암 프레임이 지지대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걸림홀(231)의 개구부는 암 프레임의 외측을 향하면서 하방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걸림홀(232)의 개구부는 수직하게 하방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fixing part 230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include one or more locking holes 231 and 232 open downward. The locking holes may be inserted into protrusions formed on the support so that the arm frame is fixed to the support. Meanwhile, the opening of the first locking hole 231 may be formed to extend downward while facing the outside of the arm frame, and the opening of the second locking hole 232 may be formed to extend downward vertically.

또 다른 예에서는 암 프레임과 지지대의 결합 고정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추가 나사홀(2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나사홀(233)은 걸림홀(231, 232)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형성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an additional additional screw hole 233 may be further included to reinforce the coupling fixing force between the arm frame and the support. The additional screw hole 233 may be formed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locking holes 231 and 232 are formed.

또한 암 프레임과 지지대의 결합 고정력을 추가로 강화하고, 설치의 용이성을 위해서, 암 프레임의 일 면에서 내측으로 향한 지지대접촉부(250)가 암 프레임(20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지지대접촉부(250)는 암 프레임의 외측면에 접하며, 추가 걸림홀(251)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 걸림홀(251)는 암 프레임의 일 면에 형성된 돌출부에 끼워짐으로써 지지대와 암 프레임간의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further strengthen the coupling fixing force between the arm frame and the support and to facilitate installation, a support contact portion 250 directed inwardly from one surface of the arm frame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arm frame 200 . The support contact portion 250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arm frame and may include an additional locking hole 251. The additional locking hole 251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arm frame, thereby reinforcing the fixing force between the support and the arm frame.

또 다른 일 예에서 암 프레임(200)의 상측면 단부에는 상단부홀(2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단부홀(260)은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선 또는 양액공급을 위한 배관 등이 상단부홀(260)을 통해 배치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an upper end hole 260 may be formed at an upper side end of the arm frame 200 . The upper end hole 260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nd an electric wire or a pipe for supplying nutrient solution may be disposed through the upper end hole 260.

또한 일 실시예에서 암 프레임 고정부(240)는, 지지대 고정부(230) 보다 아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암 프레임 고정부(240)는 암 프레임에 있어서 지지대 고정부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암 프레임 고정부(240)는 본 암 프레임이 대향하는 다른 암프레임과 연결 고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암 프레임 고정부(240, 예컨대 제1 암 프레임 고정부)는 대향하는 다른 암프레임의 암 프레임 고정부(예컨대 제2 암프레임 고정부)와 상호 체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체결을 위해서 하나 이상의 체결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2개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체결공이 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는 수평방향 또는 2개 이상의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에서는 제1 암 프레임 고정부는 돌출형태를 가지고, 제1 암프레임 고정부에 대응되는 제2 암프레임 고정부는 삽입구조를 가짐으로써 두 암 프레임 고정부가 체결될 수도 있다. Also, in one embodiment, the arm frame fixing part 240 may be located at one end of the arm frame rather than the support fixing part 230 . That is, the arm frame fixing part 240 may be located outside the support fixing part in the arm frame. The arm frame fixing part 240 may be used to connect and fix the arm frame to another arm frame facing each other. To this end, the arm frame fixing part 240 (eg, the first arm frame fixing part) may be mutually fastened with the arm frame fixing part (eg, the second arm frame fixing part) of the opposing arm frame, and one or more fastening holes may be used for such fastening. 2 discloses two fastening hole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this is exemplary, and in another embodiment, two or more fastening holes may b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lso, in another example, the first arm frame fixing part has a protruding shape, and the second arm frame fix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m frame fixing part has an insertion structure, so that the two arm frame fixing parts may be fastened.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암 프레임(200a, 200b)이 지지대에 설치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대(100)의 일 측면에 하나의 암 프레임(200a)이 체결 고정되고, 다른 암 프레임(200b)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지지대에 체결 고정된다. 또한 두 암 프레임(200a, 200b)는 상호 체결되기도 한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two arm frames 200a and 200b are installed on a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ring to FIG. 4 , one arm frame 200a is fasten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100, and the other arm frame 200b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support in the opposite direction. Also, the two arm frames 200a and 200b are also fastened to each other.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팜 용 적층형 프레임 구조물(1000)은 송풍장치(5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송풍장치(500)는 지지대에 설치되며, 암 프레임(200) 보다 위쪽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송풍장치(500)는 한 쌍의 암 프레임(200a 200b) 마다 그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n one embodiment, the stacked frame structure 1000 for a smart farm may further include a blower 500. The blower 50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and may be installed above the arm frame 200 . Also, the blower 500 may be installed on top of each pair of arm frames 200a and 200b.

송풍장치(500)는 지지대의 외측으로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 바람에 의해서, 작물의 겉면에 누적되는 불순물이 제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암 프레임은 종래 방식에 비하여 적은 수의 작물 트레이(짧은 길이의 암 프레임)를 하나의 지지대에 배치하되, 양쪽에 작물 트레이를 배치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서 중앙에 배치된 송풍장치(500)에서 방출되는 바람은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작물에 적용되어 송풍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암 프레임 하나에는 3개의 트레이 지지대가 존재하므로, 송풍장치에서 방출된 바람은 3 개의 작물을 통과하게 된다(암 프레임 방향에서). 물론 대각선 방향에서는 다른 암 프레임에 배치된 트레이의 작물을 추가적으로 통과할 것이나, 송풍 방향을 암 프레임을 따른 방향으로 한정하거나, 송풍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바람이 통과하는 작물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blower 500 may generate win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and impurities accumul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rop may be removed by the wind. In the arm frame described herein, a smaller number of crop trays (arm frames having a shorter length) are disposed on one support, but the crop trays are disposed on both side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Accordingly, the wind emitted from the centrally disposed blower 500 is applied to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crops, thereby maximizing the blowing effect. That is, referring to FIGS. 1 to 4, since there are three tray supports in one arm frame, the wind emitted from the blower passes through the three crops (in the direction of the arm frame). Of course, in the diagonal direction, the crops in the trays disposed on the other arm frame will additionally pass through, but the number of crops through which the wind passes can be minimized by limiting the blowing direction to the direction along the arm frame or adjusting the blowing angle.

즉 이상에따라서 하나의 작물을 지난 공기가 최소한의 작물(여기서는 3)만을 통과하므로 전염병의 전염 확률을 낮추고, 송풍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above, since the air passing through one crop only passes through the minimum number of crops (here, 3), there is an advantage in reducing the transmission probability of infectious diseases and maximizing ventilation efficiency.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용 적층형 프레임 구조물(1000)의 일 부분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송풍장치(500)에서 발생된 바람은 3개의 작물만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Figure 5 shows a portion of the stacked frame structure 1000 for smart f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ring to FIG. 5, the wind generated by the blower 500 passes through only three crops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광장치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마트팜 용 적층형 프레임 구조물(1000)은 발광장치용 플레이트(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장치용 플레이트(400)는 플레이트 고정부(222)에 체결되며, 암 프레임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ortion of a bladd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ring to FIG. 6, the stacked frame structure 1000 for a smart farm may further include a plate 400 for a light emitting device. The light emitting device plate 400 is fastened to the plate fixing part 222 and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arm frame.

도 6의 A1 부분을 참고하면, 발광장치용 플레이트(400)는 암 프레임(200)의 일측면으로 연장된 제1 부분(401), 암 프레임의 다른 일 측면으로 연장된 제3 부분(403) 및 제1 부분과 제3 부분을 연결하는 제2 부분(40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부분(401) 또는 제3 부분(40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측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6의 A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장치용 플레이트(400)의 하부에 발광장치(410)가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부분(401)의 하부에 발광장치(41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부분 또는 제3 부분의 하부로 연장된 측부가 발광장치(410)의 양면을 보호하며, 광의 방향을 가이드할 수도 있다. 또한 발광장치(410)는 제1 부분의 하부 또는 제3 부분의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part A1 of FIG. 6 , the light emitting device plate 400 may include a first part 401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arm frame 200, a third part 403 exte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arm frame, and a second part 402 connecting the first part and the third part. The first portion 401 or the third portion 403 may have a side portion that at least partially extends downward. Also, as shown in A2 of FIG. 6 , the light emitting device 410 may be installed under the light emitting device plate 400 . More specifically, the light emitting device 410 may be installed under the first part 401 . In addition, the side extending downward of the first part or the third part described above protects both sides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410 and may guide a direction of light. Also, the light emitting device 410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a lower part of the first part or a lower part of the third part.

또한 일 예에서 암 프레임(200)은 발광장치용 플레이트(400)와 체결되기 위한 나사공(222, 플레이트 고정부)이 상부에 형성되고, 발광장치(400) 또는 발광장치를 위한 전선을 위한 홀(221)이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발광장치(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점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위 언급한 홀(221)을 통과해 길게 형성되는 라인형태의 조명장치일 수도 있다.In addition, in one example, the arm frame 200 has a screw hole 222 (plate fixing part) for fastening to the plate 400 for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a hole 221 for the light emitting device 400 or a wire for the light emitting device. Can be formed on the side. That is, the light emitting device 400 may have a dot shape as shown in FIG. 6 ,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line type lighting device formed long through the above-mentioned hole 221 .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용 적층형 프레임 구조물(1000)는 트레이(300)들 사이에 발광장치(410)를 배치하며, 발광장치가 암 프레임(200)의 하부면이 아닌 중간부분에 위치시킨다. 이에 따라서 트레이의 높이와 암 프레임과 발광장치의 높이를 모두 합한 높이h1이 종래의 것들보다 작아, 동일한 높이의 건물 내에 보다 많은 층수의 작물 트레이를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5, in the stacked frame structure 1000 for smart f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 410 is disposed between the trays 300,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placed in the middle of the arm frame 200, not on the lower surface. Accordingly, the height h1 of the height of the tray and the height of the arm frame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small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ones, so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more crop trays can be formed in a building of the same height.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암 프레임의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작업자의 작물 수확 업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중앙부에 위치한 송풍장치를 통해서 보다 적은 수의 작물을 통과하는 송풍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서 송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arm fram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worker's crop harvesting work, and by configuring a blowing system that passes fewer crops through the blowing device located in the center, there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blowing efficiency.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view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However, such modifications should be considered within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0 : 스마트팜 용 적층형 프레임 구조물
100 : 지지대
200 : 암 프레임 200a : 제1 암 프레임 200b : 제2 암프레임
300 : 트레이
400 : 발광장치용 플레이트
410 : 발광장치
500 : 송풍장치
1000: Stacked frame structure for smart farm
100: support
200: arm frame 200a: first arm frame 200b: second arm frame
300: tray
400: plate for light emitting device
410: light emitting device
500: blower

Claims (10)

스마트팜 용 적층형 프레임 구조물로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측면에 연결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암(arm) 프레임; 및
발광장치가 결합되는 발광장치용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암 프레임은,
트레이가 위치하기 위해 제1 높이를 갖는 트레이 받침부; 및
상기 제1 높이 보다 높은 제2 높이를 갖는 플레이트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장치용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 고정부에 결합되며,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트레이의 측면에 위치하는,
스마트팜 용 적층형 프레임 구조물.
As a stacked frame structure for smart farms,
Support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first arm fram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Including a plate for a light emitting device to which a light emitting device is coupled,
The first arm frame,
A tray support portion having a first height for the tray to be positioned; and
Includes a plate fixing portion having a second height higher than the first height,
The plate for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coupled to the plate fixing part,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tray,
Stacked frame structure for smart fa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받침부는 상부가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용 적층형 프레임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tray support is a stacked frame structure for smart farm, characterized in that the top is op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고정부에 체결되며, 상기 제1 암 프레임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발광장치용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발광장치용 플레이트의 하부에 발광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용 적층형 프레임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ate for a light emitting device fastened to the plate fixing part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rst arm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installed under the plate for the light emitting device, a stacked frame structure for smart fa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고정부는,
상기 발광장치용 플레이트와 체결되기 위한 나사공이 상부에 형성되고,
발광장치 또는 발광장치를 위한 전선을 위한 홀이 측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용 적층형 프레임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plate fixing part,
A screw hole for fastening with the plate for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formed on the upper part,
A stacked frame structure for a smart farm, characterized in that a hole for a light emitting device or a wire for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formed on the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다른 일측면에 연결 고정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암(arm)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암 프레임은 상기 제1 암 프레임과 대향하며,
상기 제1 암프레임과 제2 암프레임은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용 적층형 프레임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arm frame connected and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arm frame faces the first arm frame,
The first arm frame and the second arm frame are stacked frame structures for smart farms, characterized in that fastened to each oth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 프레임은,
상기 지지대에 연결 고정되기 위한 제1 지지대 고정부; 및
상기 제2 암 프레임과 체결되기 위한 제1 암 프레임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용 적층형 프레임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5,
The first arm frame,
A first support fixing part for connecting and fixing to the support; and
A stacked frame structure for smart farm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arm frame fixing part for fastening with the second arm fram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 고정부는,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며,
하측방향으로 개방된 하나 이상의 걸림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용 적층형 프레임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support fixing part,
It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locking holes open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laminated frame structure for smart far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 프레임 고정부는,
상기 제1 지지대 고정부보다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암 프레임의 제2 암 프레임 고정부와 상호 체결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용 적층형 프레임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arm frame fixing part,
It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first support fixing part,
A multilayer frame structure for smart farm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one or more fastening holes for interlocking with the second arm frame fixing part of the second arm fram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 프레임은, 지지대에 접촉되며, 암 프레임의 일 면에서 내측으로 향한 지지대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용 적층형 프레임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arm frame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contact portion directed inward from one surface of the arm frame, a layered frame structure for smart farm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 암 프레임의 위치에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되는 송풍 장치를 더 포함하되, 지지대 외측으로 바람을 발생시키되, 지지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용 적층형 프레임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6,
The support further includes a blower install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arm frame, but generates wind outside the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support, stacked frame structure for smart farm.
KR1020220083097A 2022-01-18 2022-07-06 Stackable frame structure for smart farm KR2023011156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097A KR20230111567A (en) 2022-01-18 2022-07-06 Stackable frame structure for smart fa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097A KR102420734B1 (en) 2022-01-18 2022-01-18 Stackable frame structure for smart farm
KR1020220083097A KR20230111567A (en) 2022-01-18 2022-07-06 Stackable frame structure for smart far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097A Division KR102420734B1 (en) 2022-01-18 2022-01-18 Stackable frame structure for smart far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567A true KR20230111567A (en) 2023-07-25

Family

ID=824072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097A KR102420734B1 (en) 2022-01-18 2022-01-18 Stackable frame structure for smart farm
KR1020220083097A KR20230111567A (en) 2022-01-18 2022-07-06 Stackable frame structure for smart farm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097A KR102420734B1 (en) 2022-01-18 2022-01-18 Stackable frame structure for smart fa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2073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232B1 (en) 2020-07-03 2021-02-03 주식회사 나청메이커앤드론 A hydroponic smart farm cultivation system composed of serial connection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058B1 (en) * 2012-12-17 2014-08-04 대한민국 Industrial hydroponic system for ginseng
KR20150004641U (en) * 2014-06-20 2015-12-30 진영화 Plant cultivation device
KR101457118B1 (en) * 2014-08-07 2014-10-31 (주)가파 Nutriculture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232B1 (en) 2020-07-03 2021-02-03 주식회사 나청메이커앤드론 A hydroponic smart farm cultivation system composed of serial connection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734B1 (en) 2022-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3688Y1 (en) Supporting device to move pot position
US20080099635A1 (en) Cable management guide
JP6975154B2 (en) Seedling raising equipment, support equipment and cell plugs used for seedling raising equipment
KR20230111567A (en) Stackable frame structure for smart farm
US6419089B1 (en) Egg tray
CN108024507B (en) Plant carrier
US20160214763A1 (en) Stackable interlocking tray system
KR100753937B1 (en) A book shelf
US10247215B2 (en) Assembly joiner
KR20120071689A (en) Drying tray for for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EP3806624B1 (en) Egg tray for supporting eggs in an incubation chamber
TWI824075B (en) Substrate cassette
KR102081448B1 (en) Expension type garden system
CN210503629U (en) Concatenation formula receiver
KR101604836B1 (en) Rack with wind way, and mobile rack using this same
CN209871579U (en) Material discharging machine
CN218635100U (en) Silkworm breeding tool and breeding device
JP4353020B2 (en) Child
KR102411288B1 (en) Breeding Box with durability and Stable laminated structure
CN218551016U (en) Silkworm breeding frame
CN115245150A (en) Silkworm breeding tool and breeding device
CN215957860U (en) Silkworm bed convenient to stabilize and stack
CN115245149A (en) Silkworm breeding device and method
CN115245151A (en) Silkworm cocooning tool and breeding device
JP2006304629A (en) Sheet for forming plant cultivation container and assembly-type plant cultivation contai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