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471A - 순차 점등 타입 히든 라이트 램프 및 차량 - Google Patents

순차 점등 타입 히든 라이트 램프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471A
KR20230111471A KR1020220007376A KR20220007376A KR20230111471A KR 20230111471 A KR20230111471 A KR 20230111471A KR 1020220007376 A KR1020220007376 A KR 1020220007376A KR 20220007376 A KR20220007376 A KR 20220007376A KR 20230111471 A KR20230111471 A KR 20230111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nner lens
lens
lamp
hidd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선
김휘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7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1471A/ko
Publication of KR20230111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47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F21S41/63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by moving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4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65Composite lenses; Lenses with a patch-like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1)에 적용된 순차 점등 타입 히든 라이트 램프(10)는 광원(10)의 빛을 투과시키는 반사면(30)을 갖는 이너렌즈부(40)를 액추에이터(50)로 회전시켜 주고, 투명부의 빛 투과와 빛 차단의 불투명부가 반복적으로 연속된 회전방향과 수직한 직선 패턴을 갖는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43)이 이너렌즈부(40)의 회전각도 변화 영역(K)에서 상기 이너렌즈(30)에서 나온 빛 투과량을 가변시킴으로써 이너렌즈부(40)의 0~45°회전각도 변화에서 상기 블라인드 패턴으로 반사면(30)을 통해 이너렌즈부(40)에서 나오는 빛 투과량이 달라지는 순차점등의 가변적인 히든 라이트 이미지와 함께 0% 빛 차단을 통해 아우터렌즈(80)에 미점등식 블랙 베젤 느낌을 생성하여 주고, 특히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43)의 0~45°회전각도 변화를 통한 외부 커뮤니케이션의 상황별 램프 이미지 차별화로 LED 간접광과 라이트 가이드 바(210)의 활용성 증대로 DWL(Dynamic Welcome Light) 구현도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순차 점등 타입 히든 라이트 램프 및 차량{Sequential Lighting type Hidden Light Lamp and Vehicles Thereof}
본 발명은 히든 라이트 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되는 이너렌즈 모듈과 기능성 필름의 조합을 이용함으로써 고정된 히든 라이트 이미지 대비 상이한 점등 필링이 순차점등으로 구현되는 히든 라이트 램프를 적용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히든 라이트 램프는 광원의 점등 시 램프 이미지(즉, 램프 또는 조명 이미지)를 구현하다 미 점등시엔 증착 이미지(즉, 외관 디자인 이미지)로 전환되는 특징을 갖는다.
일례로 상기 히든 라이트 램프는 램프 하우징, 램프 광원, AL 증착 렌즈로 구성되고, 상기 AL 증착 렌즈가 AL 증착 층으로 램프 내부의 광원 빛을 투과하면서 외부 빛을 반사시켜준다. 이 경우 상기 램프 광원은 LED(Light Emitting Diode)(또는 전구(Bulb))를 적용하며, 상기 AL 증착 층은 AL(Aluminum)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히든 라이트 램프는 램프의 점등 시 외장 렌즈가 광원 빛을 투과하여 램프와 함께 램프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고, 반면 램프의 미 점등 시 외장 렌즈가 태양광 또는 주변 광원 빛과 같은 외부 빛을 반시함으로써 증착 층이 갖는 시각적 질감(visual texture)을 이용한 증착 이미지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히든 라이트 램프는 차량의 램프를 디자인 요소로 구현함으로써 차량, 특히 전기 자동차에서 다양하면서도 고급스러운 램프 이미지 및 세련되면서 첨단 이미지 효과를 높여 차량 상품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일본특개 JP 2010-182544 A
하지만, 상기 히든 라이트 램프는 외장 렌즈의 AL 증착 층에 기반 함으로써 램프의 미 점등시 AL의 시각적 질감(visual texture)으로 만 증착 이미지가 구현되는 단조로움을 가질 수밖에 없고, 나아가 증착 칼라가 차량 바디 칼라와 동질성도 취약할 수밖에 없다.
특히 최근 들어 차량 디자인이 소비자 요구 충족을 넘어 선도적으로 소비자 트랜드(Trend)를 반영하고자 하는 점에서, 증착 층에 대한 AL 의존성을 갖는 1세대 히든 라이트의 한계를 벗어날 수 있는 새로운 증착 물질 또는 외장 렌즈 재질 및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마이크로 루버 필름의 투명부/불투명부의 블라인드 패턴을 이용한 회전각도에 따른 순차점등의 가변적인 히든 라이트 이미지와 함께 광원의 빛 차단으로 아우터렌즈의 미점등식 블랙 베젤 느낌 생성이 가능하고, 특히 0~45°회전각도 변화를 통한 블라인드 패턴의 마이크로 루버 필름으로 외부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함으로써 상황별 램프 이미지 차별화로 LED 간접광과 라이트 가이드 바의 활용성 증대로 DWL(Dynamic Welcome Light) 구현도 가능한 순차 점등 타입 히든 라이트 램프 및 차량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히든 라이트 램프는 광원; 상기 광원의 빛을 투과시키는 반사면에 대해 회전각도 변화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각도 변화 영역으로 상기 반사면에서 나온 빛 투과량을 가변시키는 이너렌즈부; 및 상기 회전각도 변화 영역으로 상기 이너렌즈부를 회전시켜 주는 액추에이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회전각도 변화 영역은 0~45°를 적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이너렌즈부는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은회전방향과 수직한 직선 패턴의 투명부와 불투명부로 상기 빛을 투과와 차단하고, 상기 블라인드 패턴은 상기 투명부와 상기 불투명부가 반복적으로 연속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이너렌즈부는 상기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을 한쪽면에 구비한 플라스틱 원단, 상기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을 감싼 UV 몰딩, 및 상기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을 보호하는 UV 레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UV 몰딩과 상기 UV 레이어는 UV 프라이머 코팅을 적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모터, 상기 모터로 회전되고, 상기 이너렌즈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각도 변화 영역으로 회전시켜 주는 렌즈 회전축, 및 상기 광원과 상기 이너렌즈부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모터를 고정하는 모터 장착부로 구성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렌즈 회전축은 상기 이너렌즈부와 결합된 베젤로 지지되고, 상기 베젤은 상기 렌즈 회전축이 관통되는 베젤 홀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모터 장착부는 상기 모터와 결합된 모터 고정 클립, 및 상기 모터 고정 클립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과 스크류 고정된 하우징 가이드 바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모터는 상기 렌즈 회전축과 연결된 모터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 기어의 회전수는 회전각 센서로 검출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이너렌즈부를 좌우구간으로 분할하여 위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광원과 상기 이너렌즈부는 아우터렌즈와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는 리플렉터가 구비되고,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광원의 빛을 상기 이너렌즈로 반사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이너렌즈부와 상기 액추에이터는 렌즈 셀로 구성되고, 상기 렌즈 셀은 제1 내지 N 렌즈 셀(N은 2이상의 정수)로 직선 배열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내지 N 렌즈 셀은 라이트 가이드 바에 적용되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 바는 상기 제1 내지 N 렌즈 셀의 개별적인 상기 회전각도 변화 영역으로 순차점등 이미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은 광원의 빛을 투과시키는 반사면을 갖춘 이너렌즈부를 액추에이터로 회전시켜 주고, 투명부의 빛 투과와 빛 차단의 불투명부가 반복적으로 연속된 회전방향과 수직한 직선 패턴을 갖는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이 상기 이너렌즈부의 회전각도 변화 영역에서 상기 반사면을 투과한 상기 빛을 상기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으로 빛 투과량을 가변시키는 히든 라이트 램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히든 라이트 램프는 라이트 가이드 바를 갖춘 라이트 가이드 램프이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 바는 제1 내지 N 렌즈 셀(N은 2이상의 정수)과 조합되어 상기 회전각도 변화 영역에서 순차점등 이미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내지 N 렌즈 셀은 상기 이너렌즈부와 상기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 및 상기 액추에이터를 렌즈 셀로 하여 직선 배열 구조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히든 라이트 램프는 후방등, 안개등, 방향 지시등, 사이드 리피터, 비상 점멸등, 제동등 및 후진등 중 어느 하나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에 적용된 순차 점등 타입 히든 라이트 램프는 하기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구현한다.
첫째, 회전 방식의 기능성 필름 적용 이너렌즈 모듈 구조로 상이한 점등 필링을 구현함으로써 1세대 히든 라이트의 한계이던 소비자 트랜드(Trend)를 반영한 히든 라이트 램프 상품화가 가능하다. 둘째, 이너렌즈 회전 각도로 기능성 필름이 상이하면서도 기존 고정방식대비 가변적인 점등 이미지로 상황 별 가변적인 느낌과 함께 소비자에게 새로운 재미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셋째, 미점등식 블랙 베젤 필링의 아우터 렌즈 구현으로 기존의 AL 증착 외장 렌즈 대비 차별화된 아우터 렌즈 컨셉이 가능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상품성 요소도 제공될 수 있다. 넷째, 이너렌즈 모듈의 회전 각도에 맞춘 기능성 필름을 통한 순차점등으로 램프 내부에서 간접광과 라이트 가이드의 활용성이 증대되면서도 DWL(Dynamic Welcome Light) 구현이 가능하다. 다섯째, 자율주행차량에서 회전되는 이너렌즈와 기능성 필름의 순차점등 램프 이미지로 상황별 램프 이미지 차별화가 가능함으로써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커뮤니케이션 램프에 적합한 패턴 시그널화의 근간 기술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적용된 순차 점등 타입 히든 라이트 램프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순차 점등 타입 히든 라이트 램프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 렌즈의 제조 공정 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렌즈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렌즈를 회전시켜주는 액추에이터의 모터 메커니즘 예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 렌즈의 회전각 변화 시 기능성 필름의 빛 투과 광량이 변화되는 상태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너렌즈부의 반사면이 직선형 라이트 가이드 모듈로 변형된 예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가이드 램프가 직선형 이너렌즈 모듈을 적용하여 순차 점등되는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 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은 히든 라이트 램프(1-1)를 적용한다. 이 경우 상기 히든 라이트 램프(1-1)는 전방램프(즉, 헤드라이트)에 적용됨으로 예시되나, 후방등(Tail Lamp), 안개등(Fog Lamp), 방향 지시등(Turn Signal Lamp), 사이드 리피터(Side Repeater), 비상 점멸등(Emergency Light), 제동등(Brake Lamp) 및 후진등(Back Up Lamp)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특히 상기 히든 라이트 램프(1-1)는 이너렌즈 장치(20)의 이너렌즈부 (40)가 액추에이터(50)로 회전됨으로써 외부 인식 램프 이미지가 회전각도에 따른 필름 렌즈(40)의 블라인드 패턴부(44)(도 4 참조)에 의한 상황별 가변느낌 구현과 함께 베젤(60)을 이용한 기존과 차별된 아우터렌즈(80)의 블랙 베젤 컨셉으로 소비자 트랜드(Trend)를 선도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특징이 구현된다.
이를 위해 상기 히든 라이트 램프(1-1)는 램프 컨트롤러(100)와 연계되고, 상기 램프 컨트롤러(100)는 차량정보(A)인 차속, 차간거리, 물체인식, 모터회전각도, 버튼신호 등을 입력 신호로 하고, 이들 신호에 맞춰 렌즈 회전각도 별 모터 구동 신호 출력(B)으로 구동장치(50)의 모터(51)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든 라이트 램프(1-1)는 광원(10), 이너렌즈 장치(20), 리플렉터(70), 아우터렌즈(80) 및 하우징(90)으로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광원(10)은 LED(Light Emitting Diode)나 LED(Light Emitting Diode) CHIP(또는 CHIP LED)이나, 필요 시 전구(Bulb))를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원(10)은 이너렌즈부(40)와 리플렉터(70)의 공간에 위치됨으로써 빛은 리플렉터(70)에서 반사되어 이너렌즈부(40)의 반사면(30)으로 들어간다.
일례로 상기 이너렌즈 장치(20)는 광원(10)의 빛을 투과시키는 반사면(30)을 갖춘 이너렌즈부(40), 회전각도에 의한 이너렌즈부(40)의 투과 광량 조절로 순차 점등을 구현하는 액추에이터(50) 및 아우터렌즈(80)의 블랙 컨셉을 제공하는 베젤(Vessel)(60)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이너렌즈 장치(20)는 아우터렌즈(80)와 하우징(90)의 내부 공간에서 아우터렌즈(80)를 마주하여 광원(10)의 빛을 아우터렌즈(80)로 투사하여 준다.
일례로 상기 이너렌즈부(40)와 상기 베젤(60)의 각각은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아우터렌즈(80)와 하우징(90)의 내부 공간의 전체를 점유하며, 반면 상기 액추에이터(50)는 좌/우측 액추에이터로 구분되어 이너렌즈 장치(20)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이너렌즈 장치(20)가 제1 이너렌즈 모듈(20-1)과 제2 이너렌즈 모듈(20-2)의 한 쌍으로 구성되어 히든 라이트 램프(1-1)를 좌/우로 양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추에이터(50)는 투과 광량을 변화시키는 이너렌즈부(40)의 회전 각도를 변화시켜 주고, 상기 베젤(60)은 액추에이터(50)의 렌즈 회전축(52)을 지지한다.
특히 상기 이너렌즈부(40)는 액추에이터(50)의 모터(51)로 회전되는 렌즈 회전축(52)과 연결되어 렌즈회전각도 변화 영역(K)으로 회전되며, 상기 렌즈회전각도 변화 영역(K)은 약 45°로 설정된다. 이 경우 상기 렌즈회전각도 변화 영역(K)은 램프 컨트롤러(100)의 렌즈 회전각도 별 모터 구동 신호 출력(B)에 의한 액추에이터(50)의 구동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이너렌즈부(40)는 렌즈회전각도 변화 영역(K)의 약 45°의 회전각도로 외부에서 아우터렌즈(80)를 바라보는 정면시각과 측면시각에 따라 이너렌즈부(40)의 반사면(30)을 나온 빛에 대한 투과 광량을 다르게 조절하여 준다. 이 경우 상기 렌즈회전각도 변화 영역(K) 중 0°는 초기 위치인 미회전 렌즈위치(a)(도 5 참조)로서 반사면(30)을 투과한 광량이 이너렌즈부(40)의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43)(도 3 참조)에서 이론상 50% 빛 방출되는 정면시각 상태(도 4 참조)이며, 반면 45°는 최종 위치인 최대회전 렌즈위치(b)(도 4 참조)로서 반사면(30)을 투과한 광량이 이너렌즈부(40)의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43)에서 이론상 0% 빛이 방출되는 측면시각 상태(도 4 참조)이다.
일례로 상기 아우터렌즈(80)와 상기 하우징(90)은 서로 결합되어 광원(10)과 이너렌즈 장치(20)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아우터렌즈(80)는 외부 노출 상태로 램프 점등 이미지를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90)은 차량(1)에 장착되면서 전기/전원을 위한 커넥터를 구1비한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90)은 내부 공간으로 이너 브래킷(90A)을 구비하고, 상기 이너 브래킷(90A)은 광원(10)과 리플렉터(70)의 조립 위치를 설정하여 준다.
일례로 상기 램프 컨트롤러(100)는 차량(1)에 탑재된 ECU(Engine Control Unit)(3)와 상호 통신(예, CAN(Controller Area Network))하고, 상기 ECU의 차량정보(A) 중 차속, 차간거리, 물체 인식과 같은 신호를 읽고, 이들 신호에 따른 모터 구동 신호 출력(B)으로 액추에이터(50)의 모터(51)를 제어한다.
그러므로 상기 램프 컨트롤러(100)는 차량정보 확인 및 모터 구동 신호 출력을 수행하는 로직이 프로그래밍되어 저장된 메모리와 연계된 중앙처리장치로 동작하며, 상기 ECU일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상기 반사면(30)에 덧대어져 이너렌즈부(40)를 구성하는 마이크로 루버 필름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너렌즈부(40)는 렌즈 가공 공정(A)->UV 프라이머(Ultraviolet Primer) 공정(B)->필름패턴 공정(C)->UV 프라이머 코팅 공정(D)으로 제조된다. 이 경우 “->”는 공정 순서를 나타낸다.
일례로 상기 렌즈 가공 공정(A)은 투명한 PC(Polycarbonates) 소재의 플라스틱 원단(41)을 적용한다. 이 경우 상기 플라스틱 원단(41)은 투명한 PC(Polycarbonates) 소재(예, Clear_PC, 0.25T(mm))로 소정 형상의 렌즈 타입으로 제조됨으로써 반사면(30)을 갖춘 이너렌즈부(40)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플라스틱 원단(41)의 렌즈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예시되나, 이는 이너렌즈(30)의 형상 또는 구조에 맞춰지므로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UV 프라이머 공정(B)은 UV 프라이머로 플라스틱 원단(41)의 한쪽 면에 UV 몰딩(42)을 적용하고, 상기 필름패턴 공정(C)은 UV 프라이머에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43)을 적용하며, 상기 UV 프라이머 코팅 공정(D)은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43)에 UV 프라이머를 적용하여 블라인드 패턴부(44)를 형성한 후 블라인드 패턴부(44)의 위에 다시 UV 프라이머 코팅을 적용하여 UV 레이어(45)를 형성하여 준다. 이 경우 상기 블라인드 패턴부(44)는 회전방향과 수직한 직선 패턴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UV 프라이머의 UV 몰딩(42)은 롤 임프린팅기를 사용하여 UV 저압펌프로 360nm 당 100ml/㎠를 건조조건으로 적용하며, 상기 UV 프라이머 코팅의 UV 레이어(45)는 평판 임프린팅기를 사용하여 UV 저압펌프로 360nm 당 100ml/㎠를 건조조건으로 적용한다.
그러므로 상기 UV 프라이머 공정(B)과 상기 필름패턴 공정(C) 및 상기 UV 프라이머 코팅 공정(D)은 플라스틱 원단(41)의 한쪽 면으로 블라인드 패턴부(44)를 형성하고, 상기 블라인드 패턴부(44)의 한쪽 면에 UV 레이어(45)를 형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너렌즈부(40)는 제1 이너렌즈 모듈(20-1)용 제1 이너렌즈부(40)와 제2 이너렌즈 모듈(20-2)용 제2 이너렌즈부(40)로 구분되고, 상기 제1,2 이너렌즈부(40)는 플라스틱 원단(41)과 블라인드 패턴부(44) 및 UV 코팅 층(45)으로 동일하게 구성된다.
특히 상기 블라인드 패턴부(44)의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43)은 마이크로 루버 기술로 투명부와 불투명부가 일정 간격으로 반복된 블라인드 패턴을 형성하여 UV 몰딩(42)으로 감싸인다.
그러므로 상기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43)은 블라인드 패턴의 투명부와 불투명부를 이용한 빛 투과 상태로 이너렌즈부(40)의 반사면(30)이 갖는 0~45°의 렌즈회전각도 변화 영역(K)(도 2 참조)에서 이론상 50% 빛이 방출되는 정면시각상태와 이론상 0% 빛이 방출되는 측면시각상태를 형성하여 준다.
또한, 상기 UV 코팅 층(45)은 스크래치등 외부 충격에 의한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43)(즉, 마이크로 루버 필름)의 손상을 막아 준다.
또한 도 5는 상기 액추에이터(5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기, 상기 액추에이터(50)는 모터 메커니즘으로 이너렌즈부(40)를 0~45°의 렌즈회전각도 변화 영역(K)으로 작동시켜 준다.
특히 상기 액추에이터(50)는 모터(51), 렌즈 회전부(52,57,61), 모터 장착부(55,56) 및 회전각 센서(58)를 동일한 구성요소로 하는 한 쌍의 제1 액추에이터와 제2 액추에이터(50) 구성되는데, 반사면(30)의 발광면적을 가리는 문제가 존재하여 이를 회피하도록 발광면을 제외한 영역에 설치된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액추에이터(50)가 이너렌즈 장치(20) 중 이너렌즈(30)의 정중앙 위치하는 경우 이너렌즈부(40)의 회전 각도를 좀더 정교하게 제어 가능하지만 모터(51)의 렌즈 회전부(52,57,61)(즉, 렌즈 회전축(52))가 반사면(30)의 발광면적을 가리는 문제가 존재하여 이를 회피하도록 발광면을 제외한 영역에 설치하기 위함이다.
일례로 상기 모터(51)는 히든 라이트 램프(1-1)의 하우징(90) 밖으로 위치되며, 램프 컨트롤러(100)의 렌즈 회전각도 별 모터 구동 신호 출력(B)으로 정/역회전된다. 이 경우 상기 모터(51)는 이너렌즈부(40)에 대한 미회전 렌즈위치(a)와 최대회전 렌즈위치(b)의 0°~45°영역을 0°-> 15°,15°-> 30°,30°-> 45°의 3 단계로 제어하나, 이러한 각도 단계를 4 단계 이상으로 보다 정밀 제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렌즈 회전부(52,57,61)는 모터(51)로 회전되는 렌즈 회전축(52), 모터(51)의 회전을 렌즈 회전축(52)으로 전달하는 모터 기어(57) 및 렌즈 회전축(52)이 지나가는 베젤 홀(61)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베젤 홀(61)은 베젤(60)에 뚫려진다.
특히 상기 렌즈 회전축(52)은 이너렌즈부(40)의 일측부와 연결됨으로써 모터(5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이동하며 이너렌즈부(40)의 반사면(30)에 대한 렌즈 각도를 0~45°의 렌즈회전각도 변화 영역(K)으로 조절하며, 상기 모터 기어(57)는 피니언 기어 축으로 이루어져 베젤 홀(61)의 공간에서 회전각 센서(58)와 함께 위치됨으로써 회전각 센서(58)가 피니언 기어의 회전으로 모터 회전수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모터 장착부(55,56)는 모터 고정 클립(55) 및 하우징 가이드 바(56)로 구성되고, 상기 모터 고정 클립(55)은 모터(51)를 감싼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 가이드 바(56)는 모터 고정 클립(55)의 홀을 관통하여 모터(51)를 고정한 직선 바 형태로 이루어져 그 양단이 스크류 체결로 하우징(90)과 고정된 스크류 고정부로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회전각 센서(58)는 베젤 홀(61)의 공간에서 모터 기어(57)의 주변에 위치되고, 모터(51)의 회전 시 피니언 기어의 회전을 검출하여 이를 모터 회전수 또는 렌즈 회전축(52)의 회전각도로 램프 컨트롤러(100)에 제공하여 준다. 이 경우 상기 회전각 센서(58)는 홀 센서일 수 있다.
한편 도 6은 상기 히든 라이트 램프(1-1) 중 이너렌즈 장치(20)의 제1,2 이너렌즈 모듈(20-1,20-2)이 히든 라이트 램프(1-1)의 제어로 동작하여 아우터렌즈(80)의 점등 이미지를 순차 점등으로 변화시켜 주는 상태이다. 이 경우 상기 제1,2 이너렌즈 모듈(20-1,20-2)은 동기화 되어 동시에 동작하므로 구분 없이 함께 설명된다.
도 6을 도 5와 함께 참조하면, 상기 제1,2 이너렌즈 모듈(20-1,20-2)의 모터(51)는 램프 컨트롤러(100)의 렌즈 회전각도 별 모터 구동 신호 출력(B)으로 동시에 구동되고, 상기 렌즈 회전각도 별 모터 구동 신호(B)는 미회전 렌즈위치(a)와 최대회전 렌즈위치(b)의 회전 각도에서 이너렌즈부(40)에 대한 반사면(30)의 위치를 0°위치, 15°위치, 30°위치, 45°위치로 구분되어 모터(51)로 출력된다.
일례로 상기 렌즈 미회전 상태(a)인 0°위치인 경우, 상기 이너렌즈부(40)의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43)은 반사면(30)을 투과한 빛과 90°직각상태로 마주함으로써 블라인드 패턴은 투명부에 의한 빛 투과와 불투명부에 의한 빛 차단으로 이론상 50% 빛 방출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상기 히든 라이트 램프(1-1)는 외부 관찰자의 정면시각에서 아우터렌즈(80)의 50% 점등 이미지를 발생한다.
반면 상기 렌즈 회전 상태(b)인 45°위치인 경우, 상기 이너렌즈부(40)의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43)은 반사면(30)을 투과한 빛과 45°경사각 상태로 마주함으로써 블라인드 패턴은 투명부와 불투명부에 의한 빛 차단으로 이론상 0% 빛 방출, 즉 100% 빛 차단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상기 히든 라이트 램프(1-1)는 외부 관찰자의 정면시각에서 아우터렌즈(80)의 0% 점등 이미지를 발생하고, 이러한 0% 점등 이미지는 아우터렌즈(80)에 베젤(60)의 색깔인 블랙 베젤 컨셉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15°위치에선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43)과 반사면(30)이 75°경사각 상태로 마주함으로써 블라인드 패턴은 투명부의 일부 빛 투과와 불투명부에 의한 빛 차단으로 이론상 약 41.67% 빛 방출을 할 수 있고, 반면 상기 30°위치에선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43)과 반사면(30)이 60°경사각 상태로 마주함으로써 블라인드 패턴은 투명부의 일부 빛 투과 대비 투명부와 불투명부에 의한 빛 차단이 더 크게 되어 이론상 약 33.33% 빛 방출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히든 라이트 램프(1-1)는 외부 관찰자의 정면시각에서 아우터렌즈(80)의 41.67% 및 33.33% 점등 이미지를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히든 라이트 램프(1-1)는 램프 컨트롤러(100)가 0°위치<->15°위치<->30°위치<->45°위치로 이너렌즈부(40)의 회전 각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경우, 상기 아우터렌즈(80)는 50%<->41.67%<->33.33% <->0%의 순차점등으로 외부관찰자의 정면시각에서 보이는 점등 이미지를 변화시켜 줄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이너렌즈 장치(20)를 이너렌즈부(40)의 반사면(30)이 직선형 라이트 가이드 모듈(20-3)로 구성한 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직선형 라이트 가이드 모듈(20-3)은 광원(10)과 마주한 제1 내지 N 렌즈 셀(20A~20N)(N은 2이상의 정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내지 N 렌즈 셀(20A~20N)의 각각은 직선으로 길게 배열된 작은 크기의 렌즈 셀로 이루어진다.
일례로 상기 제1 내지 N 렌즈 셀(20A~20N)의 각각은 이너렌즈부(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너렌즈부(40)는 플라스틱 원단(41), UV 몰딩(42),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43), 블라인드 패턴부(44) 및 UV 레이어(45)로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기술된 반사면(30)을 갖춘 이너렌즈부(40)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제1 내지 N 렌즈 셀(20A~20N)의 각각은 렌즈 셀 마다 도 1 내지 도 6에서 기술된 액추에이터(50)가 적용됨으로써 그 동작이 독립적이고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이너렌즈부(40)와 모터(51)의 개별 회전 구조로 이너렌즈부(40)의 회전각도에 따라 점등이미지를 발생한다. 이 경우 상기 개별 회전 구조는 실제적으로 렌즈 회전축(52)으로 인한 축 가림 전방 암영대 영역(X)이 형성되지만 이러한 축 가림 전방 암영대 영역(X)을 점등 패턴으로 활용할 수 있는 차이가 있다.
특히 상기 제1 내지 N 렌즈 셀(20A~20N)의 각각은 이너렌즈부(40) 중 플라스틱 원단(41)(즉, 반사면(30))의 한쪽면에 빛 반사 옵틱(Y)을 형성하고, 상기 빛 반사 옵틱(Y)이 부식면 펄스 패턴으로 빛을 주변으로 퍼지게 하는 엠보싱 형상을 가짐으로써 축 가림 전방 암영대 영역(X)을 제거하는 미세한 빛 맺힘 패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직선형 라이트 가이드 모듈(20-3)이 라이트 가이드 램프(200)에 적용됨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이트 가이드 램프(200)는 램프 모듈(200A)의 상/하부 위치에서 라이트 가이드 바(210)를 램프 모듈(200A)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열하고, 직선형 이너렌즈 모듈(20-3)이 라이트 가이드 바(210)에 대해 앞쪽이나 뒤쪽에서 마주보게 배열된다.
일례로 상기 직선형 라이트 가이드 모듈(20-3)은 도 7을 통해 기술된 바와 같이 모터(51)와 이너렌즈부(40)의 개별 회전 구조인 제1 내지 N 렌즈 셀(20A~20N)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라이트 가이드 램프(200)는 램프 컨트롤러(100)의 렌즈 회전각도 별 모터 구동 신호 출력(B)으로 이너렌즈부(40)와 모터(51)의 개별 회전 구조를 제어함으로써 라이트 가이드 바(210)의 점등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라이트 가이드 바(210)는 한쪽끝부위 만 미점등 상태로 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제1 내지 N 렌즈 셀(20A~20N) 중 제1 렌즈 셀(20A) 만을 45°위치의 렌즈 회전 상태(b)(도 5 참조)로 하여 이론상 0% 빛 방출 상태로 하는 반면 제2 내지 N 렌즈 셀(20B~20N)을 모두 렌즈 미회전 상태(a)(도 5 참조)로 하여 이론상 50% 빛 방출 상태로 하여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 바(210)는 미점등 상태를 순차 미점등 상태로 구현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제1 내지 N 렌즈 셀(20A~20N)이 모두 렌즈 미회전 상태(a)(도 5 참조)의 50% 빛 방출 상태에서 제1 렌즈 셀(20A)을 45°위치의 0% 빛 방출 상태로 전환한 다음 이어 제2 내지 N 렌즈 셀(20B~20N)을 순차적으로 45°위치의 렌즈 회전 상태(b)(도 5 참조)로 전환함으로써 라이트 가이드 바(210)가 길이 방향으로 0% 빛 방출 상태를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트 가이드 바(210)는 점등 상태를 순차 점등상태로 구현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제1 내지 N 렌즈 셀(20A~20N)이 모두 렌즈 회전 상태(b)(도 5 참조)의 0% 빛 방출 상태에서 제1 렌즈 셀(20A)을 0°위치의 50% 빛 방출 상태로 전환한 다음 이어 제2 내지 N 렌즈 셀(20B~20N)을 순차적으로 0°위치의 렌즈 미회전 상태(a)(도 5 참조)로 전환함으로써 라이트 가이드 바(210)가 길이 방향으로 50% 빛 방출 상태를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직선형 라이트 가이드 모듈(20-3)은 제1 내지 N 렌즈 셀(20A~20N)을 이용한 순차 점등 또는 순차 소등으로 DWL(Dynamic Welcome Light)로 활용될 수 있다.
이로부터 상기 라이트 가이드 램프(200)는 라이트 가이드 바(210)와 직선형 이너렌즈 모듈(20-3)을 조합하고, 상기 직선형 라이트 가이드 모듈(20-3)을 구성하는 제1 내지 N 렌즈 셀(20A~20N)의 이너렌즈부(40)와 모터(51)의 개별 회전 구조로 LED 간접광에도 기존과 다른 순차 점등 이미지 발생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1)에 적용된 순차 점등 타입 히든 라이트 램프(10)는 광원(10)의 빛을 투과시키는 반사면(30)을 갖는 이너렌즈부(40)를 액추에이터(50)로 회전시켜 주고, 투명부의 빛 투과와 빛 차단의 불투명부가 반복적으로 연속된 회전방향과 수직한 직선 패턴을 갖는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43)이 이너렌즈부(40)의 회전각도 변화 영역(K)에서 상기 이너렌즈(30)에서 나온 빛 투과량을 가변시킴으로써 이너렌즈부(40)의 0~45°회전각도 변화에서 상기 블라인드 패턴으로 반사면(30)을 통해 이너렌즈부(40)에서 나오는 빛 투과량이 달라지는 순차점등의 가변적인 히든 라이트 이미지와 함께 0% 빛 차단을 통해 아우터렌즈(80)에 미점등식 블랙 베젤 느낌을 생성하여 주고, 특히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43)의 0~45°회전각도 변화를 통한 외부 커뮤니케이션의 상황별 램프 이미지 차별화로 LED 간접광과 라이트 가이드 바(210)의 활용성 증대로 DWL(Dynamic Welcome Light) 구현도 가능하다.
1 : 차량
1-1 : 히든 라이트 램프
10 : 광원 20 : 이너렌즈 장치
20-1,20-2 : 제1,2 이너렌즈 모듈
20-3 : 직선형 라이트 가이드 모듈
20A~20N : 제1 내지 N 렌즈 셀
30 : 반사면 40 : 이너렌즈부
41 : 플라스틱 원단 41a : 빛 맺힘 패턴부
42 : UV 몰딩 43 :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
44 : 블라인드 패턴부 45 : UV 레이어
50 : 액추에이터 51 : 모터
52 : 렌즈 회전축 54 : 모터 고정 클립
55 : 하우징 가이드 바 57 : 모터 기어
58 : 회전각 센서 60 : 베젤
61 : 베젤 홀 70 : 리플렉터
80 : 아우터렌즈 90 : 하우징
90A : 이너 브래킷 100 : 램프 컨트롤러
200 : 라이트 가이드 램프
200A : 램프 모듈 210 : 라이트 가이드 바

Claims (16)

  1. 광원;
    상기 광원의 빛을 투과시키는 반사면에 대해 회전각도 변화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각도 변화 영역으로 상기 반사면에서 나온 빛 투과량을 가변시키는 이너렌즈부; 및
    상기 회전각도 변화 영역으로 상기 이너렌즈부를 회전시켜 주는 액추에이터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든 라이트 램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도 변화 영역은 0~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든 라이트 램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렌즈부는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든 라이트 램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은
    회전방향과 수직한 직선 패턴의 투명부와 불투명부로 상기 빛을 투과와 차단하며, 상기 투명부와 상기 불투명부가 반복적으로 연속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든 라이트 램프.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너렌즈부는
    상기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을 한쪽면에 구비한 플라스틱 원단,
    상기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을 감싼 UV(Ultraviolet) 몰딩, 및
    상기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을 보호하는 UV(Ultraviolet) 레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든 라이트 램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UV 몰딩과 상기 UV 레이어는 UV 프라이머 코팅(Ultraviolet Primer Coat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든 라이트 램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모터,
    상기 모터로 회전되고, 상기 이너렌즈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각도 변화 영역으로 회전시켜 주는 렌즈 회전축, 및
    상기 광원과 상기 이너렌즈부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모터를 고정하는 모터 장착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든 라이트 램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렌즈 회전축은 상기 이너렌즈부와 결합된 베젤로 지지되고,
    상기 베젤은 상기 렌즈 회전축이 관통되는 베젤 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든 라이트 램프.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모터 장착부는
    상기 모터와 결합된 모터 고정 클립, 및
    상기 모터 고정 클립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과 스크류 고정된 하우징 가이드 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든 라이트 램프.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렌즈 회전축과 연결된 모터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 기어의 회전수는 회전각 센서로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든 라이트 램프.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이너렌즈부를 좌우구간으로 분할하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든 라이트 램프.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상기 이너렌즈부는 아우터렌즈와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든 라이트 램프.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렌즈부와 상기 액추에이터는 렌즈 셀로 구성되고,
    상기 렌즈 셀은 제1 내지 N 렌즈 셀(N은 2이상의 정수)로 직선 배열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든 라이트 램프.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N 렌즈 셀은 라이트 가이드 바에 적용되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 바는 상기 제1 내지 N 렌즈 셀의 개별적인 상기 회전각도 변화 영역으로 순차점등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든 라이트 램프.
  15. 광원의 빛을 투과시키는 반사면을 갖춘 이너렌즈부를 액추에이터로 회전시켜 주고, 투명부의 빛 투과와 빛 차단의 불투명부가 반복적으로 연속된 회전방향과 수직한 직선 패턴을 갖는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이 상기 이너렌즈부의 회전각도 변화 영역에서 상기 반사면을 투과한 상기 빛을 상기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으로 빛 투과량을 가변시키는 히든 라이트 램프;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히든 라이트 램프는 라이트 가이드 바를 갖춘 라이트 가이드 램프이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 바는 제1 내지 N 렌즈 셀(N은 2이상의 정수)과 조합되어 상기 회전각도 변화 영역에서 순차점등 이미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내지 N 렌즈 셀은 상기 이너렌즈부와 상기 마이크로 루버 필름층 및 상기 액추에이터를 렌즈 셀로 하여 직선 배열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220007376A 2022-01-18 2022-01-18 순차 점등 타입 히든 라이트 램프 및 차량 KR202301114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376A KR20230111471A (ko) 2022-01-18 2022-01-18 순차 점등 타입 히든 라이트 램프 및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376A KR20230111471A (ko) 2022-01-18 2022-01-18 순차 점등 타입 히든 라이트 램프 및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471A true KR20230111471A (ko) 2023-07-25

Family

ID=87429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376A KR20230111471A (ko) 2022-01-18 2022-01-18 순차 점등 타입 히든 라이트 램프 및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147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2544A (ja) 2009-02-05 2010-08-19 Fujitsu Ten Ltd エイミングボルトの取付構造体、これを備えるレーダ装置およびエイミングボルトの取付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2544A (ja) 2009-02-05 2010-08-19 Fujitsu Ten Ltd エイミングボルトの取付構造体、これを備えるレーダ装置およびエイミングボルトの取付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82247B (zh) 车灯单元
EP2154023B1 (en) Rear-view side mirror assembly for a vehicle with optimized contrast light emission
EP3096072B1 (en) Automotive light
CN108916804B (zh) 车辆用灯泡及车辆
KR102565730B1 (ko) 자동차 조명 장치
EP3273151A1 (en) Fiber optic light panel having aesthetic appearance in an unlit state
US11698179B2 (en)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s
US11958401B2 (en) Light element of a vehicle
KR100603825B1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CN113335196A (zh) 车辆徽标总成
CN115560263A (zh) 光模块和用于减小光模块中的颜色去饱和的方法
KR20230111471A (ko) 순차 점등 타입 히든 라이트 램프 및 차량
KR20200018976A (ko) 차량용 조명 장치
JP4565653B2 (ja) 車両用led灯具
KR20210109708A (ko) 차량용 조명의 순차 점등 장치
US10859228B2 (en) Variable headlamp apparatus for vehicle
JP4561749B2 (ja) 車両用灯具、車両用灯具を備える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2011025738A (ja) 車両用照明装置
JP7422528B2 (ja) 車両用ランプ
JP2009113644A (ja) ドアミラーのサイドターンランプ装置
KR20230055145A (ko) 하프 미러 이미지 타입 가변 패턴 램프 및 차량
CN109708069B (zh) 用于机动车的照明装置
US20240142079A1 (en) Lighting Device for Rear-View Device of Vehicle
KR20200008864A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EP3361142A1 (en) Lighting device comprising an active len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