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426A - A color vision sense evaluat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color vision sense evaluat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426A
KR20230111426A KR1020220007250A KR20220007250A KR20230111426A KR 20230111426 A KR20230111426 A KR 20230111426A KR 1020220007250 A KR1020220007250 A KR 1020220007250A KR 20220007250 A KR20220007250 A KR 20220007250A KR 20230111426 A KR20230111426 A KR 20230111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color vision
target object
vision function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2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병조
이선욱
김정빈
윤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투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투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투에스
Priority to KR1020220007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1426A/en
Publication of KR20230111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426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6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light sensitivity, e.g. adaptation; for testing colour vision
    • A61B3/066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light sensitivity, e.g. adaptation; for testing colour vision for testing colour vi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25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e.g. eye mod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33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user inpu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41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display arrang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각 기능 평가 장치 및 방법을 공개한다. 이 장치는 색각이상 검사를 위한 화면을 표시하고, 피검사자에게 검사자의 지시를 전달하는 헤드 마운티드 장치; 상기 검사자의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된 이동 오브젝트를 복수개의 타겟 오브젝트 중 하나로 이동시키는 반응 입력부; 상기 이동 오브젝트가 해당 타겟 오브젝트로 이동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판단된 정보를 통해 상기 이동된 위치의 타겟 오브젝트와 상기 해당 타겟 오브젝트 색상 간의 '색상 차'를 이용하여 정량지표를 산출하는 지표 산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종래의 이시하라 색각 검사 기술과 비교할 때, 제1 내지 제3 색각이상의 양상 진단뿐 아니라, 정량지표의 산출을 통해 치료 효과의 정확한 판정과 질병의 진행 여부의 정확한 확인이 가능해 진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olor vision function evaluation apparatus and method. This device includes a head-mounted device that displays a screen for a color blindness test and transmits the tester's instructions to a test subject; a reaction input unit for moving the moving object displayed on the screen to one of a plurality of target objects in response to the inspector's instruction;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moving object has moved to a corresponding target object; and an indicator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quantitative indicator by using a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object at the moved location and the corresponding target object color through the determined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Ishihara color vision test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treatment effect and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disease progresses through the calculation of a quantitative index as well as the diagnosis of the first to third color vision abnormalities.

Description

색각 기능 평가 장치 및 방법{A color vision sense evaluat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Color vision function evaluation device and method {A color vision sense evaluat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색각 기능 이상 평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색각이상의 양상 진단뿐 아니라, 피검사자의 개인별 정량지표를 산출하여 색각이상 치료 효과 및 색각이상의 진행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색각 기능 평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evaluation of color vision dys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lor vision function evaluatio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accurately confirming the color vision disorder treatment effect and color vision disorder progression by calculating a quantitative index for each individual as well as diagnosing aspects of color vision disorder.

일반적으로 망막에는 3종류의 원추세포가 있어 각기 다른 파장의 빛에 반응하며, 이 세 종류의 수용체들이 반응하는 정도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인식하게 된다. In general, there are three types of cone cells in the retina, which respond to light of different wavelengths, and various colors are perceived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se three types of receptors respond.

시신경이나 망막에 질환이 발생하는 경우, 색각이상(dyschromatopsia)은 흔하게 발생한다.Dyschromatopsia is common when the optic nerve or retina is affected.

거짓 등색성 색표를 이용해서 색각 이상을 찾는 검사법으로서, 점 모양의 숫자나 문자가 특정 색으로 찍혀 있고 그 주변을 다른 색의 점들이 둘러싸고 있는 형태이다. As a test method for detecting color vision abnormalities using a false isochromic color table, it is a form in which a number or letter in the shape of a dot is marked with a specific color and dots of other colors surround it.

정상적인 색각 기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모양을 구별할 수 있다. People with normal color vision can distinguish shapes.

색각이상에 대한 검사는 그 검사 목적에 따라 선별검사(Screening), 정도판정검사(Grading), 진단확정검사(Diagnostic), 직업적성검사(Vocational)로 나눌 수 있는데, 대표적인 검사로서 이시하라 색각 검사(Ishihara's color vision test)가 있다.Tests for color blindness can be divided into screening, grading, diagnostic, and vocational test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test. A typical test is Ishihara's color vision test.

이시하라 색각 검사는 1917년 일본 안과 의사 이시하라에 의해 처음 만들어진 이래 수차례 개정을 거쳐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색각 검사법이다.The Ishihara color vision test was first developed by Ishihara, a Japanese ophthalmologist in 1917, and has undergone several revisions to become the most widely used color vision test worldwide.

휴대가 간편하고 검사 방법도 간단해 손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색각 이상자를 발견할 수 있는 높은 민감도(90~95%)를 가진 우수한 선별검사이다.It is easy to carry and has a simple test method, so it is easy to use, and it is an excellent screening test with high sensitivity (90-95%) that can detect most color blind people.

다만, 드물게 정상인데도 색각 이상자로 판정되는 경우(위양성)나 색각 이상이 있는데도 정상으로 판정되는 경우(위음성)가 있어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to be aware of when using it, as there are rare cases in which a person with normal color vision is judged to be defective (false positive) or a person with color vision is abnormal but judged to be normal (false negative).

도 1은 종래의 이시하라 색각 검사 기술에 이용되는 복수개의 등색성 색표와 이에 따라 실제로 색각 검사를 실시한 결과, 정상인과 색각 이상자의 수를 나타낸 결과 데이터이다.1 shows result data showing the number of normal people and people with color vision abnormalities as a result of a plurality of isochromatic color tables used in a conventional Ishihara color vision test technique and a color vision test based there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색각 검사에 따라 정상인(a)과 대비되는 색각이상의 종류 및 진단된 질병명의 매칭 데이터(b)이다.FIG. 2 is matching data (b) of the type of color vision deficiency and the diagnosed disease name compared to a normal person (a) according to the color vision test shown in FIG. 1 .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상인의 경우 적색, 주황색, 황색, 녹색, 청색 및 자색을 정확하게 분별하는 반면, 제1 색각이상의 경우 적색에 대해 분별 오류가 있어 중증도에 따라 적색약 또는 적색맹으로 진단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normal people accurately discriminate red, orange, yellow, green, blue, and purple colors, whereas in the case of primary color vision deficiency, there is an error in distinguishing red, depending on the severity. Diagnosed as red weakness or red blindness.

또한, 제2 색각이상의 경우 녹색에 대해 분별 오류가 있어 중증도에 따라 녹색약 또는 녹색맹으로 진단되고, 제3 색각이상의 경우 청색에 대해 분별 오류가 있어 중증도에 따라 청색약 또는 청색맹으로 진단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econd color deficiency, there is an error in distinguishing green, and thus, green weakness or green blindness is diagnosed depending on the severity, and in the case of the third color deficiency, there is an error in distinguishing blue, and thus, cyanosis or cyanosis is diagnosed according to the severity.

이와 같이, 종래의 이시하라 색각 검사 기술에 의할 경우, 제1 내지 제3 색각이상의 양상은 확인할 수 있지만, 정확한 정량지표의 산출이 불가능해 치료의 효과 판정이나 질병의 진행 여부는 확인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As such,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Ishihara color vision test technique, aspects of the first to third color vision abnormalities can be confirmed, but an accurate quantitative index cannot be calculated, so there is a limitation in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or confirming the progress of the disease.

즉, 색각 기능 향상 또는 저하의 정도를 알고 싶은 경우, 이시하라 색각 검사 기술은 피검자에게 같은 색각 검사표를 사용하고 재검사를 했다 하더라도 색각 기능의 향상 또는 저하 정도를 정확하게 검사할 수 없었다. In other words, if you want to know the degree of improvement or decrease in color vision, the Ishihara color vision test technique could not accurately test the degree of improvement or decrease in color vision even if the test subject was retested using the same color vision test table.

또한, 색각 장애의 유형이 다를 경우 원래 자기의 유형을 모르는 이용자나 후천적 색각 장애의 경우 색각 장애 상태는 개인차가 큰데, 종래의 이시하라 색각 검사 기술은 개인별 설정을 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type of color vision disorder is different, in the case of a user who does not know the original type or acquired color vision disorder, there is a large individual difference in the color vision disorder state.

한국공개특허 KR 10-2018-0073296 AKorean Patent Publication No. KR 10-2018-0073296 A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하여 색각이상의 양상 진단뿐 아니라, 색각이상 검사시 나타난 '색상 차'를 기초로 정량지표를 산출하여 색각이상 치료 효과를 정확하게 판정하고 색각이상의 진행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색각 기능 평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lor vision function evaluation device capable of accurately determining the treatment effect of color vision deficiency by calculating a quantitative index based on the 'color difference' shown during color vision testing, as well as diagnosing aspects of color vision deficiency using a head-mounted device, and accurately confirming the progress of color vision deficienc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색각 기능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lor vision function evaluation method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thereof set forth in the claim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색각 기능 평가 장치는 색각이상 검사를 위한 화면을 표시하고, 피검사자에게 검사자의 지시를 전달하는 헤드 마운티드 장치; 상기 검사자의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된 이동 오브젝트를 복수개의 타겟 오브젝트 중 하나로 이동시키는 반응 입력부; 상기 이동 오브젝트가 해당 타겟 오브젝트로 이동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판단된 정보를 통해 상기 이동된 위치의 타겟 오브젝트와 상기 해당 타겟 오브젝트 색상 간의 '색상 차'를 이용하여 정량지표를 산출하는 지표 산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pparatus for evaluating color vis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head-mounted device that displays a screen for a color vision test and delivers instructions from a tester to a test subject; a reaction input unit for moving the moving object displayed on the screen to one of a plurality of target objects in response to the inspector's instruction;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moving object has moved to a corresponding target object; and an indicator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quantitative indicator by using a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object at the moved location and the corresponding target object color through the determined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색각 기능 평가 방법은 (a) 헤드 마운티드 장치가 내장된 표시부에 색각이상 검사를 위한 화면을 표시하고, 피검사자에게 검사자의 지시를 전달하는 단계; (b) 반응 입력부가 상기 검사자의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된 이동 오브젝트를 복수개의 타겟 오브젝트 중 하나로 이동시키는 단계; (c) 제어부가 상기 이동 오브젝트가 해당 타겟 오브젝트로 이동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지표 산출부가 상기 판단된 정보를 통해 상기 이동된 위치의 타겟 오브젝트와 상기 해당 타겟 오브젝트 색상 간의 '색상 차'를 이용하여 정량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ther object, the color vision function evalu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ing a screen for a color vision test on a display unit equipped with a head-mounted device, and transmitting the tester's instructions to a test subject; (b) moving a moving object displayed on the screen to one of a plurality of target objects in response to the inspector's instruction by a response input unit; (c) determining, by a controller, information on whether the moving object has moved to a corresponding target object; and (d) calculating a quantitative indicator by using a 'color difference' between a target object at the moved location and a color of the corresponding target object through an indicator calculation unit based on the determined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Specific Content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o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upon reference to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configuration of each embodiment disclosed below, but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each embodiment disclosed herein only makes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each claim of the claims.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종래의 이시하라 색각 검사 기술과 비교할 때, 제1 내지 제3 색각이상의 양상 진단뿐 아니라, 정량지표의 산출을 통해 색각이상 치료 효과의 정확한 판정과 색각이상의 진행 여부의 정확한 확인이 가능해 진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Ishihara color vision test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treatment effect of color vision deficiency and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olor vision disorder progresses through the calculation of a quantitative index as well as diagnosis of aspects of the first to third color vision defects.

또한, 색각 장애의 유형이 다른 피검사자의 경우 색각 장애 상태의 개인차가 큰 상태인 때에도 개인차를 배려한 색각 인식 지원의 설정이 용이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est subjects with different types of color vision impairment, it is easy to set color recognition support in consideration of individual differences even when individual differences in color vision impairment are large.

또한, 색각 장애 진단에 객관적 데이터가 이용되므로 검사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배제되고, 각 피검사자마다의 색각이상 검사 데이터의 보관 및 활용이 용이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objective data is used for diagnosing color vision disorder, the subjective judgment of the examiner is excluded, and it is easy to store and utilize color vision disorder test data for each test subject.

도 1은 종래의 이시하라 색각 검사 기술에 이용되는 복수개의 등색성 색표와 이에 따라 실제로 색각 검사를 실시한 결과, 정상인과 색각 이상자의 수를 나타낸 결과 데이터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색각 검사에 따라 정상인(a)과 대비되는 색각이상의 종류 및 진단된 질병명의 매칭 데이터(b)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각 기능 평가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각 기능 평가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색각 기능 평가 방법 중 단계(S100)에 추가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검사자의 검사 전(a) 및 검사 후(b)에 헤드 마운티드 장치(100)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색상 플레이트 영상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검사자의 검사시 헤드 마운티드 장치(100)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색상 플레이트 영상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색각 기능 평가 방법 중 단계(S400)에서 지표 산출부(400)가 이용하는 L*a*b 색공간의 3차원 영상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색각 기능 평가 방법 중 단계(S400)에서 제어부가 이용하는 파장 순으로 가시광선의 색상을 배열한 스펙트럼도이다.
1 is data showing a plurality of isochromatic color tables used in a conventional Ishihara color vision test technique and the number of normal people and people with color vision problems as a result of actually performing a color vision test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isochromatic color tables.
FIG. 2 is matching data (b) of the type of color vision deficiency and the diagnosed disease name compared to a normal person (a) according to the color vision test shown in FIG. 1 .
3 is a block diagram of a color vision function eval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color vision function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added to step S100 of the color vision function evaluation method shown in FIG. 4 .
6 is a color plat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head mounted device 100 before (a) and after (b) the examination of a su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lor plat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head mounted device 100 during an examination of a su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3D image of the L*a*b color space used by the index calculation unit 400 in step S400 of the color vision function evaluation method shown in FIG. 4 .
FIG. 9 is a spectrum diagram in which colors of visible light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wavelengths used by the controller in step S400 of the color vision function evaluation method shown in FIG. 4 .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Before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construed unconditionally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In order to explain the concept of various terms, it can be used by appropriately defining.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Furthermo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se terms or words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That is,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specifically limit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se terms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possibilitie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a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또한,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similarly, even if expressed in a plurality, it may include a singular meaning.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including" another component, it may mean that it may further include any other component rather than excluding any other component unless otherwise stated.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Furthermore,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existing inside or connected to and installed" of another component, this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other component.

또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y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and in the case where the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there may be a third component or means for fixing or connecting the corresponding component to another component.

한편, 상기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Meanwhil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scription of the third component or means may be omitted.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or is "directly connect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third element or means exists.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Likewis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direct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same meaning.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one side", "the other side", "one side", "the other side", "first", and "second" are used for one component to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other components.

하지만,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meaning of a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ly used by such a term.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erms related to positions such as “upper”, “lower”, “left”, “right”, etc., if used, are to be understood as indicating relative positions of corresponding components in the drawing.

또한,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 된다.In addition, unless an absolute location is specified for these locations, these location-related term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referring to an absolute location.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한다.Moreover,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 unit", "... unit", "module", and "device", if used, mean a unit capable of processing one or more functions or operations.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is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In the drawings accompanying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ze, position, coupling relationship, etc.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rtially exaggerated, reduced, or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r to sufficiently clear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oportions or scale may not be strict.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a configuration that is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known technology including the prior art, may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각 기능 평가 장치의 블록도로서, 헤드 마운티드 장치(100), 반응 입력부(200), 제어부(300) 및 지표 산출부(400)를 구비한다.3 is a block diagram of a color vision function eval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head-mounted device 100, a response input unit 200, a control unit 300, and an index calculation unit 400.

헤드 마운티드 장치(100)는 표시부(110), 헤드폰(120) 및 저장부(130)를 포함한다. The head mounted device 100 includes a display unit 110 , headphones 120 and a storage unit 130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각 기능 평가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color vision function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색각 기능 평가 방법 중 단계(S100)에 추가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added to step S100 of the color vision function evaluation method shown in FIG. 4 .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각 기능 평가 방법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n operation of a color vision function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

헤드 마운티드 장치(100)가 내장된 표시부(110)에 색각이상 검사를 위한 화면을 표시하고, 피검사자에게 검사자의 지시를 전달한다(S100).A screen for color blindness tes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in which the head-mounted device 100 is incorporated, and the tester's instructions are delivered to the test subject (S100).

즉, 제어부(300)가 피검사자 및 검사종류 별로 복수개의 타겟 오브젝트를, 랜덤하게 짜여진 프로그램에 따라 변경하여(S110), 피검사자의 유형에 대응하는 조정 타겟 오브젝트를 복수개 생성하고(S120), 생성된 조정 타겟 오브젝트 및 이동 오브젝트를 표시부(110)에 표시한다(S130).That is, the control unit 300 changes a plurality of target objects for each test subject and examination type according to a randomly organized program (S110), generates a plurality of adjustment target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est subject (S120), and displays the created adjustment target objects and moving objects on the display unit 110 (S130).

반응 입력부(200)가 검사자의 지시에 응답하여 화면에 표시된 이동 오브젝트를 복수개의 타겟 오브젝트 중 하나로 이동시킨다(S200). The reaction input unit 200 moves the moving object displayed on the screen to one of a plurality of target objects in response to the inspector's instruction (S200).

제어부(300)가 이동 오브젝트가 해당 타겟 오브젝트로 이동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판단한다(S300).The controller 300 determines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moving object has moved to the corresponding target object (S300).

지표 산출부(400)가 제어부(300)에서 판단된 정보를 통해 단계(S200)에서 이동된 위치의 타겟 오브젝트와 해당 타겟 오브젝트 색상 간의 '색상 차'를 이용하여 정량지표를 산출한다(S400).The indicator calculation unit 400 calculates a quantitative indicator using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object at the moved position in step S200 and the target object color through the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300 (S40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검사자의 검사 전(a) 및 검사 후(b)에 헤드 마운티드 장치(100)의 표시부(110)에 디스플레이되는 색상 플레이트 영상으로서, 복수개의 타겟 오브젝트(T) 및 한 개의 이동 오브젝트(M)를 포함하고, 피검사자의 검사전 영상(a)과 검사후 영상(b)을 나타낸다.6 is a color plat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of the head mounted device 100 before (a) and after (b) an examination of a su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ncludes a plurality of target objects T and one moving object M, and shows a pre-examination image (a) and an after-examination image (b) of the examine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검사자의 검사시 헤드 마운티드 장치(100)의 표시부(110)에 디스플레이되는 색상 플레이트 영상으로서, 정답인 이동 오브젝트의 이동 경로와 피검사자가 수행한 이동 오브젝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영상을 나타낸다.7 is a color plat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of the head mounted device 100 during an examination of a su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n image of a moving path of a moving object that is the correct answer and a moving path of the moving object performed by the subject.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색각 기능 평가 방법 중 단계(S400)에서 지표 산출부(400)가 이용하는 L*a*b 색공간의 3차원 영상이다.FIG. 8 is a 3D image of the L*a*b color space used by the index calculator 400 in step S400 of the color vision function evaluation method shown in FIG. 4 .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색각 기능 평가 방법 중 단계(S400)에서 제어부(300)가 이용하는 파장 순으로 가시광선의 색상을 배열한 스펙트럼도이다.FIG. 9 is a spectrum diagram in which colors of visible light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wavelengths used by the controller 300 in step S400 of the color vision function evaluation method shown in FIG. 4 .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각 기능 평가 장치의 유기적인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rganic operations of the color vision function eval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9 .

헤드 마운티드 장치(100)는 피검사자의 머리에 장착되어, 표시부(110)에 제공되는 색각이상 검사를 위한 화면을 보고, 피검사자로 하여금 검사자의 지시를 문장 형식으로 보게 하거나, 헤드폰(120)을 통해 검사자의 지시를 음성 형식으로 청취하게 한다.The head-mounted device 100 is mounted on the head of the examinee, sees a screen for color vision test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110, and allows the examinee to see the examiner's instructions in the form of sentences or listen to the examinee's instructions in the form of voice through the headphones 120.

예를 들어,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헤드 마운티드 장치(100)의 표시부(110)에 색상 플레이트에 채도가 다른 복수개의 색상이 원 형상으로 채색된 타겟 오브젝트(T)가 원주 형상으로 표시되고, 한 개의 색상이 원 형상으로 채색된 이동 오브젝트(M)가 타겟 오브젝트(T)의 원주 형상의 중앙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a), on the display unit 110 of the head mounted device 100, a target object T in which a plurality of colors having different chromas are colored in a circular shape on a color plate is displayed in a circular shape, and a moving object M in which one color is colored in a circular shape is displayed at the center of the circular shape of the target object T.

검사자는 제어부(300)를 통해 “다음 색이 해당하는 영역에 알맞게 드래그해 집어 넣으세요.”라는 지시를 표시부(110)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헤드폰(120)을 통해 안내한다.Through the control unit 300, the inspector displays the instruction “Drag and put it in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next color” on the display unit 110 or guides it through the headphones 120.

피검사자는 반응 입력부(200)를 통해 마우스 또는 조이스틱의 조작으로 헤드 마운티드 장치(100) 내 표시부(110)에 디스플레이된 이동 오브젝트(M)를 복수개의 타겟 오브젝트(T) 중 하나로 이동시킨다.The test subject moves the moving object M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in the head mounted device 100 to one of a plurality of target objects T by manipulating a mouse or a joystick through the response input unit 200 .

이때, 이동 오브젝트(M)의 이동은 헤드 마운티드 장치(100)의 외부면에 구비된 터치 패드 형식의 조작부(미도시)를 통해 드래그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movement of the moving object M may be performed by dragging through a touch pad type control unit (not shown)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mounted device 100 .

반응 입력부(200)는 마우스 또는 조이스틱 외에 키보드나 전자 펜과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 등의 입력 장치일 수 있고, 피검사자로부터 이동 오브젝트(M)의 이동 조작을 인가받아, 당해 조작의 내용을 제어부(300)에 전달한다.The response input unit 200 may be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or a pointing device such as an electronic pen, in addition to a mouse or joystick, and receives a manipulation of moving the moving object M from the subject, and transmits the contents of the manipulation to the control unit 300.

제어부(300)는 이동 오브젝트(M)가 정확한 타겟 오브젝트(C)로 이동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The controller 300 determines whether the moving object M has moved to the correct target object C.

만일,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검사자가 이동 오브젝트(M)를 정확한 타겟 오브젝트(C)로 이동시키지 못하는 등 이상반응을 보일 경우, 검사자는 헤드 마운티드 장치(100)에 구비된 헤드폰(120)에서의 음성 피드백을 통해 피검사자에게 해당 색상의 타겟 오브젝트(C)로의 정확한 이동을 집중적으로 가이드한다.If, as shown in FIG. 6(b), if the examinee shows an abnormal reaction such as failing to move the moving object M to the correct target object C, the examiner intensively guides the examinee to accurately move the target object C of the corresponding color through voice feedback from the headphones 120 provided in the head mounted device 100.

여기에서, 원주 형상의 타겟 오브젝트(T)는 피검사자의 예측을 방지하기 위해 피검사자 및 검사 별로 랜덤하게 변경된다.Here, the target object T having a cylindrical shape is randomly changed for each test subject and examination in order to prevent prediction of the test subject.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답인 이동 오브젝트의 이동이 황색 실선의 경로인데, 피검사자가 수행한 이동 오브젝트의 이동이 적색 점선의 경로인 경우, 실제 색상의 타겟 오브젝트(C)와 피검사자가 반응한 색상의 타겟 오브젝트(E) 간의 '색상 차' (ΔE)가 발생한다.As shown in FIG. 7, when the movement of the moving object, which is the correct answer, is a path of a solid yellow line, but the movement of the moving object performed by the test subject is a path of a red dotted line, a 'color difference' (ΔE) between the target object C of the actual color and the target object E of the color the test subject reacted to occurs.

지표 산출부(400)는 반응 입력부(200)를 통해 입력된 피검사자의 반응과 실제 정확한 색상 간의 '색상 차'를 L*a*b 색공간을 이용하여 정량지표로 산출한다.The indicator calculation unit 400 calculates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test subject's response input through the response input unit 200 and the actual correct color as a quantitative indicator using the L*a*b color space.

여기에서, L*a*b 색공간은 2개의 색상에 대하여 지각적인 차이를 수치로 표시한 색상 차를 기하학적 거리로 표현한 3차원의 구 형상 색공간을 의미한다.Here, the L*a*b color space means a three-dimensional spherical color space in which a perceptual difference between two colors is expressed numerically and a color difference is expressed as a geometric distance.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x 축은 a 의 크기, y 축은 b 의 크기, z 축은 L 의 크기를 나타내는데, a 의 크기가 크면 적색의 채도, 작으면 녹색의 채도가 크게 나타난다.As shown in FIG. 8, the x-axis indicates the size of a, the y-axis indicates the size of b, and the z-axis indicates the size of L. When a is large, the saturation of red is high, and when the size of a is small, the saturation of green is high.

또한, b 의 크기가 크면 황색의 채도, 작으면 청색의 채도가 크게 나타나고, L 의 크기(0~100)가 크면 백색의 명도, 작으면 흑색의 명도가 크게 나타난다.In addition, when the size of b is large, the saturation of yellow is high, and when the size of b is small, the saturation of blue is high.

즉,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응 입력부(200)를 통해 입력된 피검사자의 반응과 실제 색상 간의 적색 계열의 '색상 차'를 'ΔE'로 정의한다면, Lab 색차값은 다음의 수학식 1로 산출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7, if the red-based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test subject's reaction input through the reaction input unit 200 and the actual color is defined as 'ΔE', the Lab color difference value can be calculated by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ΔE = {(ΔL*)2+(Δa*)2+(Δb*)2}1/2 ΔE = {(ΔL*) 2 + (Δa*) 2 + (Δb*) 2 } 1/2

이렇게 산출된 Lab 색차값은, 지표 산출부(400)에 의해 개인마다 상이한 정량지표가 산출되는데 이용된다.The Lab color difference values calculated in this way are used by the indicator calculation unit 400 to calculate different quantitative indicators for each individual.

즉, 지표 산출부(400)에서 산출가능한 정량지표는 다음의 2가지로 정의된다.That is, quantitative indicators that can be calculated by the indicator calculator 400 are defined as the following two.

L*a*b 색공간을 적용한 '색상 차'는 'E*00'로 정의되고, 피검사자가 두 색상 간의 차이를 지각할 수 있는 '2PD(point discrimination)' 로 정의된다.'Color difference' to which the L*a*b color space is applied is defined as 'E*00', and '2PD (point discrimination)' through which the subject can perceive the difference between two colors.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장 순으로 가시광선의 색상을 배열한 스펙트럼도를 기초로 하여, 제어부(300)는 스펙트럼도 상의 각 색상을 피검사자의 유형마다 각각의 색각 이상 정도를 판단하여, 주파수별로 'E*00', '2PD'의 주파수에 따른 색상 구별 등고선을 그리게 된다. As shown in FIG. 9, based on the spectral diagram in which colors of visible light are arranged in order of wavelength, the controller 300 determines the degree of color vision deficiency for each type of test subject for each color on the spectral diagram, and draws color discrimination contour lines according to the frequencies of 'E*00' and '2PD' for each frequency.

또한, 제어부(300)는 원주 형상의 타겟 오브젝트(T)가 피검사자 및 검사종류 별로 랜덤하게 짜여진 프로그램에 따라 변경되어 피검사자의 유형에 대응하는 조정 타겟 오브젝트를 복수개 생성하고, 생성된 조정 타겟 오브젝트 및 이동 오브젝트(M)를 표시부(110)에 제공하여 피검사자로부터의 응답을 인가받아 피검사자의 색각 이상 여부 및 종류를 판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0 creates a plurality of adjustment target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test subject by changing the cylindrical target object T according to a program randomly organized for each test subject and test type, and provides the generated adjusted target object and the moving object M to the display unit 110 to receive a response from the test subject and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test subject has color vision abnormality and the type thereof.

표시부(110)는 제어부(300)의 프로그램 제어에 응답하여 기준 타겟 오브젝트 또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복수개의 타겟 오브젝트(T) 중 하나 이상을 랜덤하게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한다.The display unit 110 randomly changes and displays one or more of the standard target object or a plurality of target objects 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in response to the program control of the controller 300 .

저장부(130)는 제어부(300)에 의해 생성된 복수개 조정 타겟 오브젝트와, 제어부(30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까지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130 stores even a plurality of adjustment target objects created by the controller 300 and programs executed by the controller 300 .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하여 색각이상의 양상 진단뿐 아니라, 색각이상 검사시 나타난 '색상 차'를 기초로 정량지표를 산출하여 색각이상 치료 효과를 정확하게 판정하고 색각이상의 진행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색각 기능 평가 장치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lor vision function evaluation device capable of accurately determining the treatment effect of color vision deficiency by calculating a quantitative index based on the 'color difference' shown during the color vision test, as well as diagnosing aspects of color vision deficiency using a head-mounted device, and accurately confirming the progression of color vision deficiency.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종래의 이시하라 색각 검사 기술과 비교할 때, 제1 내지 제3 색각이상의 양상 진단뿐 아니라, 정량지표의 산출을 통해 색각이상 치료 효과의 정확한 판정과 색각이상의 진행 여부의 정확한 확인이 가능해 진다.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Ishihara color vision test technology, not only diagnoses aspects of the first to third color vision disorders, but also accurately determines the treatment effect of color vision disorders through the calculation of quantitative indicators and accurately confirms whether color vision disorders progress.

또한, 색각 장애의 유형이 다른 피검사자의 경우 색각 장애 상태의 개인차가 큰 상태인 때에도 개인차를 배려한 색각 인식 지원의 설정이 용이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est subjects with different types of color vision impairment, it is easy to set color recognition support in consideration of individual differences even when individual differences in color vision impairment are large.

또한, 색각 장애 진단에 객관적 데이터가 이용되므로 검사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배제되고, 각 피검사자마다의 색각이상 검사 데이터의 보관 및 활용이 용이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objective data is used for diagnosing color vision disorder, the subjective judgment of the examiner is excluded, and it is easy to store and utilize color vision disorder test data for each test subject.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variou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some examples, but the description of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 Content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section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actic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or equivalent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above description is for the purpose of completing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nly provid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each claim of the claims.

100: 헤드 마운티드 장치
110: 표시부
120: 헤드폰
130: 저장부
200: 반응 입력부
300: 제어부
400: 지표 산출부
100: head mounted device
110: display unit
120: headphones
130: storage unit
200: response input unit
300: control unit
400: index calculation unit

Claims (15)

색각이상 검사를 위한 화면을 표시하고, 피검사자에게 검사자의 지시를 전달하는 헤드 마운티드 장치;
상기 검사자의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된 이동 오브젝트를 복수개의 타겟 오브젝트 중 하나로 이동시키는 반응 입력부;
상기 이동 오브젝트가 해당 타겟 오브젝트로 이동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판단된 정보를 통해 상기 이동된 위치의 타겟 오브젝트와 상기 해당 타겟 오브젝트 색상 간의 '색상 차'를 이용하여 정량지표를 산출하는 지표 산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 기능 평가 장치.
a head-mounted device that displays a screen for a color blindness test and transmits instructions of the tester to a test subject;
a reaction input unit for moving the moving object displayed on the screen to one of a plurality of target objects in response to the inspector's instruction;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moving object has moved to a corresponding target object; and
an indicator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quantitative indicator by using a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object at the moved position and the corresponding target object color through the determined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Color vision function evalua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검사자 및 검사종류 별로 상기 복수개의 타겟 오브젝트를, 랜덤하게 짜여진 프로그램에 따라 변경하여 피검사자의 유형에 대응하는 조정 타겟 오브젝트를 복수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 기능 평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adjustment target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test subject are generated by changing the plurality of target objects for each test subject and test type according to a randomly organized program.
Color vision function evaluation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마운티드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타겟 오브젝트, 상기 생성된 조정 타겟 오브젝트 및 상기 이동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이동 오브젝트가 해당 타겟 오브젝트로 이동되지 않은 경우, 피검사자에게 해당 타겟 오브젝트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음성을 피드백하는 헤드폰; 및
상기 복수개로 생성된 조정 타겟 오브젝트 및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 기능 평가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head mounted device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plurality of target objects, the generated adjustment target object, and the moving object;
When the moving object does not move to the corresponding target object, headphones for feeding back a voice guiding the movement to the corresponding target object to the subject;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lurality of generated adjustment target objects and the progra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Color vision function evaluation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외부면에 구비된 터치 패드를 통해 상기 이동 오브젝트를 드래그하는 조작부;
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 기능 평가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display part
a manipulation unit that drags the moving object through a touch pad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it may include,
Color vision function evalua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입력부는
마우스, 조이스틱, 키보드 및 전자 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 기능 평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action input part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mouse, a joystick, a keyboard and an electronic pen,
Color vision function evalua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는,
색상 플레이트에 한 개의 색상이 원 형상으로 채색된 채도가 다른 복수개의 상기 타겟 오브젝트가 원주 형상으로 표시되고, 한 개의 색상이 원 형상으로 채색된 상기 이동 오브젝트가 상기 타겟 오브젝트의 원주 형상의 중앙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 기능 평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n the screen,
A plurality of target objects having different chromas colored in a circular shape on the color plate are displayed in a columnar shape, and the moving object colored in a circular shape in one color is displayed at a central position of the columnar shape of the target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Color vision function evalua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 산출부는
2개의 색상에 대하여 지각적인 차이를 수치로 표시하여 상기 '색상 차'를 기하학적 거리로 표현한 3차원의 구 형상 색공간인 L*a*b 색공간을 이용하여 상기 정량지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 기능 평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dicator calcul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quantitative index is calculated using L * a * b color space, which is a three-dimensional spherical color space in which the perceptu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lors is expressed numerically and the 'color difference' is expressed as a geometric distance.
Color vision function evaluation device.
(a) 헤드 마운티드 장치가 내장된 표시부에 색각이상 검사를 위한 화면을 표시하고, 피검사자에게 검사자의 지시를 전달하는 단계;
(b) 반응 입력부가 상기 검사자의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된 이동 오브젝트를 복수개의 타겟 오브젝트 중 하나로 이동시키는 단계;
(c) 제어부가 상기 이동 오브젝트가 해당 타겟 오브젝트로 이동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지표 산출부가 상기 판단된 정보를 통해 상기 이동된 위치의 타겟 오브젝트와 상기 해당 타겟 오브젝트 색상 간의 '색상 차'를 이용하여 정량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 기능 평가 방법.

(a) displaying a screen for color blindness test on a display unit in which a head-mounted device is built in, and transmitting instructions of the examinee to a test subject;
(b) moving a moving object displayed on the screen to one of a plurality of target objects in response to the inspector's instruction by a response input unit;
(c) determining, by a controller, information on whether the moving object has moved to a corresponding target object; and
(d) calculating a quantitative indicator by using a 'color difference' between a target object at the moved location and a color of the corresponding target object through an indicator calculation unit based on the determined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Methods for evaluating color vision func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피검사자 및 검사종류 별로 상기 복수개의 타겟 오브젝트를, 랜덤하게 짜여진 프로그램에 따라 변경하여 피검사자의 유형에 대응하는 조정 타겟 오브젝트를 복수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생성된 조정 타겟 오브젝트 및 상기 이동 오브젝트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 기능 평가 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step (a) is
generating, by the control unit, a plurality of adjustment target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test subject by changing the plurality of target objects for each test subject and test type according to a randomly organized program; and
displaying, by the controller, the created adjustment target object and the moving object on the display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Methods for evaluating color vision func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자의 지시는
상기 표시부에 문장 형식으로 전달되거나, 상기 헤드 마운티드 장치 내 헤드폰을 통해 음성 형식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 기능 평가 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inspector's instructions a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sentence to the display unit or in the form of a voice through a headphone in the head mounted device.
Methods for evaluating color vision func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이동 오브젝트의 이동은 상기 헤드 마운티드 장치의 외부면에 구비된 터치 패드 형식의 조작부를 통해 드래그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 기능 평가 방법.
According to claim 8,
In step (b),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of the moving object can be dragged through a touch pad type manipulation unit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mounted device.
Methods for evaluating color vision func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이동 오브젝트가 해당 타겟 오브젝트로 이동되지 않은 경우, 상기 헤드 마운티드 장치 내 헤드폰을 통해 음성 피드백으로 피검사자에게 해당 타겟 오브젝트로의 이동이 가이드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 기능 평가 방법.
According to claim 8,
In step (c),
If the moving object does not move to the corresponding target object, guiding the subject to move to the corresponding target object through voice feedback through headphones in the head mounte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Methods for evaluating color vision func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지표 산출부가 상기 '색상 차'를 L*a*b 색공간에 적용하여 상기 정량지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 기능 평가 방법.
According to claim 8,
In step (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ex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quantitative index by applying the 'color difference' to the L * a * b color space,
Methods for evaluating color vision func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지표는,
상기 L*a*b 색공간을 적용한 '색상 차'가 'E*00'로 정의되고,
피검사자가 두 색상 간의 차이를 지각할 수 있는 '2PD(point discrimination)' 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 기능 평가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The quantitative indicator is,
The 'color difference' to which the L * a * b color space is applied is defined as 'E * 00',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fined as '2PD (point discrimination)' in which the test subject can perceiv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lors,
Methods for evaluating color vision function.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펙트럼도 상의 각 색상을 피검사자의 유형마다 각각의 색각 이상 정도를 판단하여, 주파수별로 상기 'E*00' 및 상기 '2PD'의 주파수에 따른 색상 구별 등고선을 드로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 기능 평가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each color on the spectral map determines the degree of color vision deficiency for each type of test subject, and draws color discrimination contour lines according to the frequencies of 'E * 00' and '2PD' for each frequency,
Methods for evaluating color vision function.
KR1020220007250A 2022-01-18 2022-01-18 A color vision sense evaluat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KR2023011142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250A KR20230111426A (en) 2022-01-18 2022-01-18 A color vision sense evaluat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250A KR20230111426A (en) 2022-01-18 2022-01-18 A color vision sense evaluat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426A true KR20230111426A (en) 2023-07-25

Family

ID=87428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250A KR20230111426A (en) 2022-01-18 2022-01-18 A color vision sense evaluat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1426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3296A (en) 2016-12-22 2018-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3296A (en) 2016-12-22 2018-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2692B1 (en) Visual field measuring method and visual field measuring apparatus
KR100387356B1 (en) Visual inspection method using screen
US20070052927A1 (en) Ophthalmic examination program, ophthalmic examination apparatus, and ophthalmic examination system
KR20040030440A (en) Visual sense examining chart
CN111863256B (en) Mental disease detection device based on visual cognitive impairment
Weir et al. Development of Android apps for cognitive assessment of dementia and delirium
KR20230111426A (en) A color vision sense evaluat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KR100911356B1 (en) Appratus for driving aptitude test and therefore controlling process
KR101985893B1 (en) Device and method for severe mental illness diagnosis with game analysis factor
JP2009136663A (en) Full-field retinal function scanning program
JP7177276B2 (en) SYSTEM, COMPUTER PROGRAM AND METHOD FOR TMT EXAMINATION RESULT DISPLAY
Jurasevska et al. Color-discrimination threshold determination using pseudoisochromatic test plates
WO2017213200A1 (en) Visual field/visual acuity examination system, visual field/visual acuity examination device, visual field/visual acuity examination method, visual field/visual acuity examination program, and server device
CN110313887B (en) Heterogeneous visual chart and visual inspection method
JP6241850B2 (en) Driving aptitude diagnosis device
CN110236481B (en) Vision inspection device
KR101722366B1 (en) Subjective refraction system, subjective refrac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JP2003135399A (en) Color vision-examining method, color vision-examining device, and color identifying capability-investigating method
EP3629883B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visual abilities
JP6344676B1 (en) Color vision inspection apparatus and program
Geddes et al. Challenging and Improving Current Evaluation Methods for Colour Identification Aids
Singh et al. Color vision in civil aviation
KR200316539Y1 (en) Vision Test System Using the Computer
KR102506710B1 (en) Self Screening Cognitive Assessment Game System for Early Detection of Dementia Risk
JP2019062980A (en) Optometer,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