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404A - 부유식구조물 - Google Patents
부유식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11404A KR20230111404A KR1020220007211A KR20220007211A KR20230111404A KR 20230111404 A KR20230111404 A KR 20230111404A KR 1020220007211 A KR1020220007211 A KR 1020220007211A KR 20220007211 A KR20220007211 A KR 20220007211A KR 20230111404 A KR20230111404 A KR 202301114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ndfill
- unit
- target point
- leg
- floating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876 top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26—Anchors securing to b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03—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very large loads, e.g. offshore structure modu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 E02B2017/0073—Details of sea bottom engaging footing
- E02B2017/0082—Spudcans, skirts or extended f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식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체; 상기 선체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복수 개의 레그 및 복수 개의 상기 레그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스퍼드캔을 포함하는 레그유닛; 및 상기 레그유닛이 요동되지 않도록 상기 스퍼드캔이 안착되는 타겟지점에 매립물을 삽입하는 매립유닛을 포함하는, 부유식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유식구조물에 대한 발명이다.
부유식구조물은 WTIV(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을 포함할 수 있다. WTIV는 육상에서 제작된 해상 풍력 발전기를 해상으로 이동시켜 해상에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는 선박을 말한다. 부유식구조물은 선체 및 선체를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복수 개의 레그를 포함하며, 레그의 하단부에는 스퍼드캔이 결합되어 있다.
해저면은 수평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져 있다. 그런데, 레그의 하단부에 배치된 스퍼드캔이 안착되는 해저면의 지형이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진 경우, 스퍼드캔이 안정적으로 해저면에 안착 및 삽입되지 못하므로 레그가 기울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부유식구조물과 관련, 위와 같이 레그의 스퍼드캔이 안착되는 해저면의 지형이 경사져 있는 경우, 스퍼드캔이 안정적으로 해저면에 안착 및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나 장치를 발견할 수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레그가 요동되지 않도록 스퍼드캔이 타겟지점에 견고하게 안착 및 삽입될 수 있는 부유식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 상기 선체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복수 개의 레그 및 복수 개의 상기 레그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스퍼드캔을 포함하는 레그유닛; 및 상기 레그유닛이 요동되지 않도록 상기 스퍼드캔이 안착되는 타겟지점에 매립물을 삽입하는 매립유닛을 포함하는, 부유식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타겟지점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타겟지점에 기초하여 상기 매립유닛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립유닛은 상기 레그의 일측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타겟지점의 경사높이에 기초하여 상기 매립물이 상기 타겟지점에 소정의 깊이로 삽입되도록 상기 이송부의 승하강 높이를 제어하는, 부유식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매립물이 상기 타겟지점에 삽입되는 길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매립물의 삽입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매립유닛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립유닛은 상기 매립물을 탈거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탈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매립물이 상기 타겟지점에 임계값 이상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매립물을 탈거하고, 상기 매립물이 상기 타겟지점에 상기 임계값 이하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매립물을 탈거하지 않도록, 상기 탈거부를 제어하는, 부유식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매립물은 상기 타겟지점에 일부 또는 전부가 삽입되는 매립체; 및 상기 탈거부로부터 탈거 가능하도록 일부에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매립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거부는, 일측이 회전됨에 따라 타측이 상기 걸림공에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성되는 후크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레그유닛은 상기 레그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랙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이송바디; 상기 랙부재와 치합되도록 상기 이송바디의 일부에 배치되는 피니언부재; 및 상기 피니언부재가 상기 랙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이송바디 및 상기 랙부재와 연결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부유식구조물의 레그가 요동되지 않도록 타겟지점에 견고하게 안착 및 삽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감지된 타겟지점의 경사높이에 기초하여 매립물이 타겟지점에 소정의 깊이로 삽입되도록 승하강 높이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매립물의 타겟지점에의 삽입된 길이에 따라 매립물을 선택적으로 탈거 또는 탈거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구조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구조물의 매립유닛의 이송부에 대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구조물의 매립유닛의 탈거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구조물의 매립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구조물의 매립유닛의 이송부에 대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구조물의 매립유닛의 탈거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구조물의 매립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구조물(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부유식구조물(1)은 WTIV(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를 포함할 수 있다. WTIV는 육상에서 제작된 해상 풍력 발전기를 해상으로 이동시켜 해상에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는 선박을 말한다. 해저면은 수평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져 있다. 레그(210)의 하단부에 배치된 스퍼드캔(220)이 안착되는 해저면의 지형이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진 경우, 스퍼드캔(220)이 안정적으로 해저면에 안착 및 삽입되지 못하므로 레그(210)가 기울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부유식구조물(1)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경사진 해저면(이하, 타겟지점(T)이라 한다)에 배치되는 레그(210)를 지지하도록 콘크리트 블록과 같은 매립물(340)을 타겟지점(T)에 매립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조물이다. 이러한 부유식구조물(1)은 선체(100), 레그유닛(200), 매립유닛(300), 감지부(400) 및 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선체(100)는 선박의 몸체를 말하며, 데크(deck)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그유닛(200)은 레그(210), 스퍼드캔(220) 및 랙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그(leg, 210)는 선체(10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스퍼드캔(spud can, 220)은 해저면에 안착 및 삽입될 수 있도록 레그(210)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랙부재(230)는 후술할 이송부(320)가 레그(210)의 일측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레그(210)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랙부재(230)는 레그(210)의 일측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랙기어(rack gear)일 수 있다.
매립유닛(300)은 스퍼드캔(220)이 경사진 해저면인 타겟지점(T)에 안착 및 삽입되는 경우, 레그유닛(200)이 요동되지 않도록 스퍼드캔(220)이 안착되는 타겟지점(T)에 매립물(340)을 삽입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면에서 매립유닛(300)은 한 개의 레그유닛(200)에만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복수 개의 레그유닛(200)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매립유닛(300)은 이송바디(310), 이송부(320), 탈거부(330) 및 매립물(3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바디(310)는 이송부(320) 및 탈거부(33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일 수 있다.
이송부(320)는 레그(210)의 일측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송바디(310)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부(320)는 피니언부재(321), 가이드부재(322) 및 구동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부재(321)는 레그유닛(200)의 랙부재(230)와 치합되도록 이송바디(310)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피니언부재(321)는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피니언부재(321)는 피니언기어(pinion gear)일 수 있다.
가이드부재(322)는 피니언부재(321)가 랙부재(2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이송바디(310) 및 랙부재(2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송부(320)는 레그(210)의 일측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된다. 따라서, 이송부(320)가 랙부재(2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가이드부재(322)는 이송바디(310)의 일측면과 랙부재(230)의 일측면의 상측 및 하측에 복수 개가 연결되며 랙부재(230)의 일측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승하강될 수 있다.
구동수단은 피니언부재(321)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하며, 이송바디(3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수단은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탈거부(330)는 매립물(340)을 탈거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송바디(31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탈거부(330)는 후크(331), 회전수단(332) 및 액츄에이터(333)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331)는 일측이 회전됨에 따라 타측이 후술할 매립물(340) 고정부(342)의 걸림공(343)에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성되며,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후크(331)의 일측은 회전수단(332)과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331)의 일측이 걸림공(343)을 향해 회전되면 타측은 걸림공(343)에 인입되어 고정부(342)와 고정되고, 후크(331)의 일측이 걸림공(34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타측은 걸림공(343)으로부터 인출되어 고정부(34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후크(331)는 걸림공(343)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매립물(340) 고정부(342)와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수단(332)은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는 후크(331)와 연결되고 다른 일부는 액츄에이터(333)와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333)는 회전수단(332)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하며 이송바디(3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액츄에이터(333)는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매립물(340)은 스퍼드캔(220)이 경사진 해저면인 타겟지점(T)에 안착 및 삽입되는 경우, 레그유닛(200)이 요동되지 않도록 스퍼드캔(220)이 안착되는 타겟지점(T)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매립물(340)은 매립체(341) 및 고정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매립체(341)는 레그유닛(200)을 지지하여 레그유닛(200)이 타겟지점(T)에 견고하게 안착 및 삽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매립체(34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량을 가지는 콘크리트 블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매립체(341)는 타겟지점(T)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그 폭이 감소하도록, 일 예로 쐐기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342)는 탈거부(330)로부터 탈거 가능하도록 일부, 일 예로 좌우 양측에 복수 개의 걸림공(343)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공(343)은 탈거부(330)의 후크(33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342)는 매립체(341)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매립체(341)와 함께 일체로 탈거부(330)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감지부(400)는 레그유닛(200)이 안착되는 경사진 해저면인 타겟지점(T)의 경사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40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매립물(340)이 타겟지점(T)에 삽입되는 경우 위 매립물(340)이 타겟지점(T)에 삽입되는 길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부(400)는 레그(210)의 외측면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수중에서 타겟지점(T)의 경사높이 또는 매립물(340)의 타겟지점(T)에의 삽입되는 길이를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 센서 등의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미도시)는 감지부(400)에서 감지된 타겟지점(T)에 기초하여 매립유닛(30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기는 감지부(400)가 감지한 타겟지점(T)의 경사높이에 기초하여 매립물(340)이 타겟지점(T)에 소정의 깊이로 삽입되도록 이송부(320)의 승하강 높이를 제어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5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타겟지점(T)의 좌측이 경사높이가 낮은 경우, 제어기는 좌측에 배치된 매립물(340a) 매립체(341a)의 하단부 일부만이 타겟지점(T)에 삽입되도록 좌측에 배치된 이송부(320a)의 승하강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타겟지점(T)의 우측의 경사높이가 높은 경우, 제어기는 우측에 배치된 매립물(340b) 매립체(341b)의 대부분이 타겟지점(T)에 삽입되도록 우측에 배치된 이송부(320b)의 승하강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해상에서의 시추작업 등이 완료되면 좌측에 배치된 매립체(341a)는 하단부 일부만이 타겟지점(T)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이송부(320a)와 함께 승강시키고, 우측에 배치된 매립체(341b)는 대부분이 타겟지점(T)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탈거부(330)로부터 분리하여 매립체(341b)를 타겟지점(T)에 남겨둔 채 이송부(320b)만 승강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기는 감지부(400)에서 감지된 매립물(340) 매립체(341)의 삽입 길이에 기초하여 매립유닛(30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기는 매립물(340)의 매립체(341)가 타겟지점(T)에 임계값(L) 이상으로 삽입되는 경우 매립물(340)을 탈거하고, 매립물(340)의 매립체(341)가 타겟지점(T)에 임계값(L) 이하로 삽입되는 경우 매립물(340)을 탈거하지 않도록 탈거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임계값(L)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매립체(341)가 타겟지점(T)에 삽입되는 경우, 위 매립체(341)가 타겟지점(T)에 삽입되는 길이에 대한 기준 수치값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매립체(341)가 타겟지점(T)에 삽입되는 길이가 임계값(L) 이상인 경우는 중량을 가지는 매립체(341)의 대부분이 타겟지점(T)에 삽입되는 것으로 기준될 수 있고, 매립체(341)의 삽입되는 길이가 임계값(L) 이하인 경우는 매립체(341)의 일부만이 타겟지점(T)에 삽입되는 것으로 기준될 수 있다.
도 5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타겟지점(T)의 좌측이 경사높이가 낮은 경우 매립물(340a)의 매립체(341a)는 타겟지점(T)에 임계값(L) 이하의 길이(H1)로 삽입되는 경우이므로, 제어기는 탈거부(330)로 하여금 매립물(340a)을 탈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타겟지점(T)의 우측의 경사높이가 높은 경우 매립물(340b)의 매립체(341b)는 타겟지점(T)에 임계값(L) 이상의 길이(H2)로 삽입되는 경우이므로, 제어기는 탈거부(330)로 하여금 중량의 매립물(340)을 탈거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해상에서의 시추작업 등이 완료되면 좌측에 배치된 매립체(341a)는 타겟지점(T)에 임계값(L) 이하로 삽입되어 있으므로 이송부(320a)와 함께 승강시키고, 우측에 배치된 매립체(341b)는 대부분이 타겟지점(T)에 임계값(L) 이상으로 삽입되어 있으므로 탈거부(330)로부터 분리하여 매립체(341b)를 타겟지점(T)에 남겨둔 채 이송부(320b)만 승강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의 부유식구조물(1)은 드릴(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드릴은 매립물(340)을 타겟지점(T)에 삽입하기 전, 타겟지점(T)을 굴착하여 매립물(340)이 타겟지점(T)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부유식구조물(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추작업 등을 위하여 해상에 부유식구조물(1)을 이동시키고, 레그유닛(200)을 하강시켜 스퍼드캔(220)이 해저면에 안착되도록 한다. 스퍼드캔(220)이 안착되는 해저면이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진 타겟지점(T)이 존재하는 경우, 감지부(400)는 레그유닛(200)이 안착되는 타겟지점(T)의 경사높이를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기는 감지부(400)가 감지한 타겟지점(T)의 경사높이에 기초하여 이송부(320)의 승하강 높이를 제어하여 매립물(340)이 타겟지점(T)에 소정의 깊이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로써, 레그유닛(200)이 요동되지 않도록 타겟지점(T)에 견고하게 안착 및 삽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시추작업 등이 완료된 이후, 레그유닛(200)을 상승시키는데 앞서, 감지부(400)는 매립물(340)이 타겟지점(T)에 삽입된 길이를 감지한다.
제어기는 매립물(340b)의 매립체(341b)가 타겟지점(T)에 임계값(L) 이상으로 삽입된 경우, 탈거부(330)를 제어하여 매립물(340b)을 탈거하도록 한다. 우측에 배치된 매립체(341b)는 타겟지점(T)에 임계값(L) 이상의 길이(H2)로 삽입되어 있으므로 매립물(340b)을 탈거부(330)로부터 분리하여 매립물(340b)을 타겟지점(T)에 남겨둔 채 이송부(320b)만 승강시킨다. 이는 매립체(341b)가 타겟지점(T)에 임계값(L) 이상으로 삽입된 경우 이송부(320b)가 큰 중량의 매립물(340b)을 타겟지점(T)으로부터 다시 인출하기에는 액츄에이터(333)의 출력 상 또는 작업 과정상 무리가 있기 때문이다.
제어기는 매립물(340a)의 매립체(341a)가 타겟지점(T)에 임계값(L) 이하의 길이(H1)로 삽입된 경우, 탈거부(330)를 제어하여 매립물(340a)을 탈거하지 않도록 한다. 좌측에 배치된 매립체(341a)는 타겟지점(T)에 임계값(L) 이하의 길이(H1)로 삽입되어 있으므로 매립물(340a)을 탈거부(330)에 부착한 상태로 이송부(320a)와 함께 승강시킨다. 매립체(341a)가 타겟지점(T)에 임계값(L) 이하로 삽입된 경우는 매립물(340a)을 타겟지점(T)으로부터 다시 인출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이송부(320a)와 함께 승강된 매립물(340a)은 다른 시추작업 등에서 재사용될 수 있다.
시추작업 등이 완료되고, 이송부(320) 모두가 레그(210)를 따라 상승된 이후에는 레그유닛(200)을 다시 상승시켜 부유식구조물(1)을 다른 작업이 요구되는 해상으로 이동시켜 상술한 과정을 다시 수행하면 된다.
한편, 시추작업 등이 완료된 이후, 레그유닛(200)을 상승시키는데 앞서, 타겟지점(T)의 좌측이 경사높이가 낮은 경우, 좌측에 배치된 매립체(341a)는 하단부 일부만이 타겟지점(T)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제어기는 매립물(340a)을 이송부(320a)와 함께 승강시키도록 이송부(320a)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타겟지점(T)의 우측의 경사높이가 높은 경우, 우측에 배치된 매립체(341b)는 대부분이 타겟지점(T)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제어기는 매립물(340b)을 탈거부(330)로부터 분리하여 매립체(341b)를 타겟지점(T)에 남겨둔 채 이송부(320b)만 승강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부유식구조물 100: 선체
200: 레그유닛 210: 레그
220: 스퍼드캔 230: 랙부재
300: 매립유닛 310: 이송바디
320: 이송부 321: 피니언부재
322: 가이드부재 330: 탈거부
331: 후크 332: 회전수단
333: 액츄에이터 340: 매립물
341: 매립체 342: 고정부
343: 걸림공 400: 감지부
T: 타겟지점
200: 레그유닛 210: 레그
220: 스퍼드캔 230: 랙부재
300: 매립유닛 310: 이송바디
320: 이송부 321: 피니언부재
322: 가이드부재 330: 탈거부
331: 후크 332: 회전수단
333: 액츄에이터 340: 매립물
341: 매립체 342: 고정부
343: 걸림공 400: 감지부
T: 타겟지점
Claims (5)
- 선체;
상기 선체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복수 개의 레그 및 복수 개의 상기 레그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스퍼드캔을 포함하는 레그유닛; 및
상기 레그유닛이 요동되지 않도록 상기 스퍼드캔이 안착되는 타겟지점에 매립물을 삽입하는 매립유닛을 포함하는,
부유식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지점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타겟지점에 기초하여 상기 매립유닛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립유닛은 상기 레그의 일측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타겟지점의 경사높이에 기초하여 상기 매립물이 상기 타겟지점에 소정의 깊이로 삽입되도록 상기 이송부의 승하강 높이를 제어하는,
부유식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물이 상기 타겟지점에 삽입되는 길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매립물의 삽입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매립유닛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립유닛은 상기 매립물을 탈거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탈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매립물이 상기 타겟지점에 임계값 이상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매립물을 탈거하고, 상기 매립물이 상기 타겟지점에 상기 임계값 이하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매립물을 탈거하지 않도록, 상기 탈거부를 제어하는,
부유식구조물.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물은
상기 타겟지점에 일부 또는 전부가 삽입되는 매립체; 및
상기 탈거부로부터 탈거 가능하도록 일부에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매립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거부는, 일측이 회전됨에 따라 타측이 상기 걸림공에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성되는 후크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구조물.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유닛은 상기 레그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랙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이송바디;
상기 랙부재와 치합되도록 상기 이송바디의 일부에 배치되는 피니언부재; 및
상기 피니언부재가 상기 랙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이송바디 및 상기 랙부재와 연결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7211A KR20230111404A (ko) | 2022-01-18 | 2022-01-18 | 부유식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7211A KR20230111404A (ko) | 2022-01-18 | 2022-01-18 | 부유식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11404A true KR20230111404A (ko) | 2023-07-25 |
Family
ID=87428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7211A KR20230111404A (ko) | 2022-01-18 | 2022-01-18 | 부유식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11404A (ko) |
-
2022
- 2022-01-18 KR KR1020220007211A patent/KR20230111404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01843B1 (ko) | 길이 방향의 세장형, 대형 물체를 수중 바닥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US8025463B2 (en) | Offshore foundation system with integral elements for preloading and extracting | |
CN102256867B (zh) | 水电涡轮支承系统 | |
KR101368872B1 (ko) | 부유식 구조물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672595B1 (ko) | 해수저항 감소 및 수직도 조절을 위한 석션기초, 그 설치방법 및 인양방법 | |
CN104204361B (zh) | 用于将多个基础元件安装在水下地层中的基盘和方法 | |
KR102046438B1 (ko) | 선박의 계류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선박의 계류 장치 | |
CN114787450B (zh) | 用于控制浮动船舶的运动补偿导桩器的系统和方法以及船舶 | |
KR20230111404A (ko) | 부유식구조물 | |
WO2021009370A1 (en) | Jack-up platform comprising a mooring system and method for mooring a floating vessel | |
EP4229241A1 (en) | Pile holding system and method | |
JP5850629B2 (ja) | 杭穴内へのパイプの埋設方法 | |
KR20090016832A (ko) | 언더워터 마운팅 아지무스 쓰러스터 설치방법 | |
KR102539436B1 (ko) | 캔틸레버 탑재를 위한 치구 및 이를 이용한 탑재방법 | |
JP5313733B2 (ja) | 汚濁防止装置および水中工事施工方法 | |
KR101557441B1 (ko) | 잭업레그를 갖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 |
KR20200034248A (ko) | 잭업 레그 및 이를 갖는 부유식 구조물 | |
KR100623198B1 (ko) | 드레인 보드 타설기 | |
KR20200137622A (ko) | 잭업 레그를 갖는 부유식 구조물 | |
JP2019060227A (ja) | ジャケット構造体の構築方法 | |
GB2340161A (en) | Shallow water platforms | |
EP0499737A1 (en) | Installation of conductors for offshore well platforms | |
KR101669260B1 (ko) | 플로트 오버 공법을 응용한 자기 승강식 시추선의 레그 구조물 설치구조,방법 | |
KR20230120831A (ko) | 부유식 구조물 | |
KR100668485B1 (ko) | 케이슨 진수대 및 부력바지선을 이용한 케이슨 진수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