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441B1 - 잭업레그를 갖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 Google Patents

잭업레그를 갖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441B1
KR101557441B1 KR1020140031705A KR20140031705A KR101557441B1 KR 101557441 B1 KR101557441 B1 KR 101557441B1 KR 1020140031705 A KR1020140031705 A KR 1020140031705A KR 20140031705 A KR20140031705 A KR 20140031705A KR 101557441 B1 KR101557441 B1 KR 101557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g
hull
center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8645A (ko
Inventor
김건호
성상경
전동수
김필근
신동조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1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441B1/ko
Publication of KR20150108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2B17/08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raising or low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2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잭업레그를 갖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잭업레그는, 선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선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레그; 및 해저에 지지되도록 레그의 하단에 마련되는 스퍼드캔을 포함하며, 스퍼드캔의 저면부에는, 해저를 향해 점차 뾰족한 형상을 갖는 돌출부가 마련된다.

Description

잭업레그를 갖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VESSEL OR OCEAN HAVING JACK UP LEG}
본 발명은 잭업레그를 갖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저에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잭업레그를 갖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해양은 지상의 지면과 달리 안정된 상태가 아니어서, 구조물 자체를 세우는 작업이 상당히 험난하므로, 지면과 같은 안정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해양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해저에 지지되는 레그가 승강가능하게 탑재된 특수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특수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은 이동 시에 레그가 해저면으로부터 선체 위로 상승되며, 작업을 위한 선체의 위치 고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해저로 하강되어 해저에 지지된다.
이때 레그의 하단에는 다양한 해저지형에 대한 지지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지지될 수 있도록 스퍼드캔(spudcan) 또는 매트(mat)가 설치된다. 이러한 스퍼드캔 또는 매트는 해저에 관입되어 레그의 지지력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잭업레그의 스퍼드캔 또는 매트는 해저 지면에 맞닿아 레그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도록 넓은 면적을 제공하는 지지물로서, 선체 또는 해양구조물의 안정적인 지탱을 위해서 세 개 이상의 레그와 함께 선체에 탑재된다.
이러한 레그가 탑재된 특수선박을 일명 jack up 잭업 리그(jack up)이라고도 하며, 레그와 스퍼드 캔 또는 매트, 및 레그를 승강시키는 잭업유닛을 통틀어 잭업레그유닛이라고 한다.
이러한 리그선 중 드릴링 유닛(DRILLING UNIT)이 탑재되어 있는 잭업 드릴링 리그선은, 3~4개의 다리를 올려서 시추 목표 지점까지 이동하며, 다리를 내려 지반에 고정시킨 후 시추를 시작하는 해양 플랜트 중 하나이다.
그런데 기존의 캔틸레버 타입의 잭업 드릴링 리그선은, 해저지반 위에 잭업레그의 기초 구조물이 설치되므로, 기초 구조물을 통해 리그선 하중이 해저 지반에 전달될 때, 해저지반의 갑작스런 지층 변화로 인해 하중을 받는 잭업레그 기초 구조물의 급속한 부등침하가 발생될 수 있었다.
캔틸레버 타입의 잭업 드릴링 리그선은, 캔틸레버라고 불리는 구조를 갑판 외곽으로 설치해, 선체를 상승한 뒤에 이 부분을 선미방향 선체 밖으로 돌출시켜 여기에서 굴착작업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캔틸레버 타입의 드릴링 리그선은, 작업 중 다리에 걸리는 모멘트가 크고 또 중심위치도 높아지는 단점이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부등침하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급격하게 선체가 기울어져 전복될 우려까지 있다.
이처럼 종래의 캔틸레버 타입과 같은 잭업 드릴링 리그선은, 3~4개의 다리가 지반에 충분히 지지되어야 하지만, 다리의 하단부에 있는 스퍼드캔 또는 매트가 연약지반에 제대로 자리잡지 못한 경우, 스퍼드캔에 대한 연약지반의 지지가 취약하여 스퍼드캔이 급격하게 침하되어 선체가 기울어지는, 부등침하 사고에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미국특허 제7, 534, 072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해저의 연약한 지반에서 발생될 수 있는 급속 부등침하에 대비하여 선체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지반에 대한 레그들의 지지력과 안정성을 향상시켜 작업 시에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캔틸레버 타입과 같이 작업 시 하중이 편중되어 한쪽 레그에 대한 부하가 증가되는 부하편중현상에 대처할 수 있는 잭업레그를 갖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양에서 요구되는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선체구조물유닛; 상기 선체구조물유닛을 상기 해양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선체구조물유닛에 승강 가능하게 탑재되는 복수의 레그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레그유닛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선체구조물유닛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잭업레그를 갖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레그유닛은, 상기 선체구조물유닛의 중앙부에 승강 가능하게 탑재되는 센터레그유닛; 및 상기 센터레그유닛의 주변에 배치되는 사이드레그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체구조물유닛은, 해상에 부유 가능토록 마련되며, 작업을 위한 데크를 제공하는 부유 구조물; 및 해저의 유정을 굴착 가능토록 상기 부유 구조물 상에 배치되는 데릭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센터레그유닛이, 상기 데릭유닛의 하부로부터 상부까지 이동 가능토록 상기 데릭유닛의 내부에는 상기 센터레그유닛을 수용 가능한 레그이동통로가 마련되며, 상기 데릭유닛이 상기 부유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상기 센터레그유닛이 하강하여 해저의 지층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센터레그유닛은, 상기 사이드레그유닛보다 더 많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더 큰 지지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부유구조물은, 삼각, 사각형상, 또는 원형형상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며, 상기 사이드레그유닛은, 3~5 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해양에서 요구되는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선체구조물유닛; 상기 선체구조물유닛을 상기 해양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선체구조물유닛에 승강 가능하게 탑재되는 복수의 레그유닛; 및 해저의 유정을 굴착 가능토록 상기 부유 구조물의 중앙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데릭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레그유닛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선체구조물유닛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레그유닛은, 상기 선체구조물유닛의 중앙부에 승강 가능하게 탑재되는 센터레그유닛; 및 상기 센터레그유닛의 주변에 배치되는 사이드레그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센터레그유닛은, 상기 사이드레그유닛보다 더 많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더 큰 지지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레그유닛은, 상기 선체구조물유닛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선체구조물유닛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레그; 및 해저에 지지되도록 상기 레그의 하단에 마련되는 스퍼드캔을 포함하며, 상기 스퍼드캔의 저면부에는, 해저를 향해 점차 뾰족한 형상을 갖는 돌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퍼드캔의 하부에 해저를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돌출몸체; 및 상기 돌출몸체의 하단부에 해저를 향해 뾰족하게 마련되는 뾰족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퍼드캔은, 상기 레그의 하단에 결합되는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에 결합되는 하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 사이에 마련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몸체는, 상기 테두리부에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해저의 연약한 지반에서 발생될 수 있는 급속 부등침하에 대비하여 선체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지반에 대한 레그들의 지지력과 안정성을 향상시켜 작업 시에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캔틸레버 타입과 같이 작업 시 하중이 편중되어 한쪽 레그에 대한 부하가 증가되는 부하편중현상에 대처할 수 있는 잭업레그를 갖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잭업레그가 탑재된 드릴링 리그선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잭업레그가 하강되어 해저지층에 지지된 상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체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잭업레그가 상승된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선체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잭업레그가 하강된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드릴링 리그선의 잭업레그들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개념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릴링 리그선의 잭업레그들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개념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릴링 리그선의 잭업레그들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개념적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잭업레그의 하부에 대한 확대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잭업레그에 가해지는 지지력 방향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잭업레그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잭업레그가 탑재된 드릴링 리그선은, 해양에서 요구되는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선체구조물유닛(100)과, 선체구조물유닛(100)을 해양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선체구조물유닛(100)에 승강 가능하게 탑재되는 복수의 레그유닛(110)을 포함하며, 복수의 레그유닛(110) 중 하나는, 선체구조물유닛(100)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 다른 잭업레그가 탑재된 드릴링 리그선은, 선체구조물유닛(100)의 중앙부에 레그유닛(110)들 중 어느 하나게 배치되며, 다른 레그유닛(110)들이 주변에 배치됨으로써 해저의 연약한 지반에서 발생될 수 있는 급속 부등침하에 대비하여 선체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지반에 대한 레그들의 지지력과 안정성을 향상시켜 작업 시에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캔틸레버 타입과 같이 작업 시 하중이 편중되어 한쪽 레그에 대한 부하가 증가되는 부하편중현상에 대처할 수 있다.
선체구조물유닛(100) 상에는, 해저의 드릴링작업을 위한 다양한 장치와 크레인 등이 배치된다. 이러한 선체구조물유닛(100)은, 복수의 레그유닛(110)에 의해 해저에 지지된 상태에서 목적으로 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부유식 구조물을 포함한다.
이때 레그유닛(110)들 어느 하나 즉 가장 넓은 지지면적을 갖는 레그유닛이 선체구조물유닛(100)의 중앙부에 배치됨으로써 주변에 배치되는 레그유닛들과 함께 선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선체의 중앙부로터 이격된 어느 하나의 레그유닛이 연약지반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중앙부에 배치된 레그유닛이 중심부에서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유지하므로 선체가 기울어짐 없이 안정적인 자세로 유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잭업레그가 탑재된 드릴링 리그선의 주요구성요소들의 상세한 구조 및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선체구조물유닛(100)은, 해상에 부유 가능토록 마련되며, 작업을 위한 데크를 제공하는 부유 구조물(101)과, 해저의 유정을 굴착 가능토록 부유 구조물(101) 상에 배치되는 데릭유닛(102, derrick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후술되는 센터레그유닛(111)이, 데릭유닛(102)의 하부로부터 상부까지 이동 가능토록 데릭유닛(102)의 내부에는 센터레그유닛(111)을 수용 가능한 레그이동통로(103)가 마련되며, 데릭유닛(102)이 부유 구조물(101)에 지지되도록 센터레그유닛(111)이 하강하여 해저의 지층에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데릭유닛(102)이 센터레그유닛(111)과 함께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부유 구조물(101)의 이동 중에는, 데릭유닛(102)이 센터레그유닛(111)과 함께 상승되어 배치되며, 부유 구조물(101)이 작업을 위해 위치 고정될 경우에는, 데릭유닛(102)이 센터레그유닛(111)과 함께 하강되어 데크 상에 위치 고정된다.
데릭유닛(102)은, 유정을 굴착을 위한 드릴장치와 드릴장치에 파이프라인이 설치되도록 마련되는 철재 트러스 탑구조물이다.
이러한 부유 구조물(101)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레그유닛(110)은, 선체구조물유닛(100)의 중앙부에 승강 가능하게 탑재되는 센터레그유닛(111)과, 센터레그유닛(111)의 주변에 배치되는 사이드레그유닛(112)을 포함할 수 있다.
센터레그유닛(111)은, 다른 사이드레그유닛(112)들에 비해 비교적 넓은 지지면적으로 해저에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센터레그유닛(111)과 사이드레그유닛(112)은, 지지면적이 다른 뿐 승강구조와 높이는 대동소이하다.
이때 센터레그유닛(111)은, 사이드레그유닛(112)보다 더 많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더 큰 지지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센터레그유닛(111)은 이에 따라 하부에 배치되는 스퍼드캔(122)의 지지면적이 다른 사이드레그유닛(112)들의 스퍼드캔(122)의 지지면적에 비해 넓으며, 레그 또한 다른 것들에 비해 굵은 크기를 갖는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부유 구조물(101)은, 삼각, 사각형상, 또는 원형형상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사이드레그유닛(112)은, 3~4 개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으며 5개, 혹은 그 이상의 배치도 가능하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부유 구조물(101)은, 삼각형상인데, 중앙부에 사각형상의 센터레그유닛(111)이 배치되며, 그것의 주변에 삼각형상의 사이드레그유닛(112)이 배치된다. 이때도 전술한 바와 같이 데릭유닛(102)에 센터레그유닛(111)이 끼워지도록 설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부유 구조물(101)은, 사각형상으로서 중앙부에 사각형상의 센터레그유닛(111)이 배치되며, 그것의 주변에 원형형상의 사이드레그유닛(112)이 배치되어 있다. 이때도 전술한 바와 같이 데릭유닛(102)에 센터레그유닛(111)이 끼워지도록 설치된다.
이처럼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부유 구조물(101)은, 중앙부에 배치되는 센터레그유닛(111)에 의해 중앙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사이드레그유닛(112)들에 의해 주변부가 지지됨으로써 해저지반의 급속부등침하에 충분히 대처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잭업레그가 탑재된 드릴링 리그선은, 해양에서 요구되는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선체구조물유닛(100)과, 선체구조물유닛(100)을 해양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선체구조물유닛(100)에 승강 가능하게 탑재되는 복수의 레그유닛(110)과, 해저의 유정을 굴착 가능토록 부유 구조물(101)의 중앙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데릭유닛(1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도 복수의 레그유닛(110) 중 어느 하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선체구조물유닛(10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도 복수의 레그유닛(110)은, 선체구조물유닛(100)의 중앙부에 승강 가능하게 탑재되는 센터레그유닛(111)과, 센터레그유닛(111)의 주변에 배치되는 사이드레그유닛(112)을 포함하며, 센터레그유닛(111)은, 사이드레그유닛(112)보다 더 많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더 큰 지지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도 7에 도시된 잭업레그가 탑재된 드릴링 리그선은, 데릭유닛(102)이 중앙부에 배치되는 센터레그유닛(111)에 배치되지 않고, 원형을 갖는 선체구조물유닛(100)의 한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데릭유닛(102)에 의한 무게의 편중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나, 중앙부에 배치되며 다른 사이드레그유닛(112)들에 비해 지지면적이 넓은 센터레그유닛(111)이 중앙부에 배치되어 선체구조물유닛(100)을 지지함으로써 지반의 급속부등침하와 같은 현상에 충분히 대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 예들에 사용되는 레그유닛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예들에 사용되는 레그유닛(100)은, 선체(105)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선체(105)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레그(120)와, 해저에 지지되도록 레그(120)의 하단에 마련되는 스퍼드캔(122)을 포함하며, 스퍼드캔(122)에는, 스퍼드캔(122)의 하부에서 급작스럽게 변화되는 지층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해저를 향해 점차 뾰족한 형상을 갖는 돌출부(130)가 마련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잭업레그(100)가 선체(105)에서 해저로 이동되어 스퍼드캔(122)이 해저지반에 지지될 때, 한쪽 스퍼드캔(122)이 지지되는 지층이 연약 지층인 경우, 스퍼드캔(122)이 지지되는 연약 지층이 변화될 수 있지만, 스퍼드캔(122)의 하부에 마련되는 돌출부(130)가 연약 지층을 통과하여, 연약 지층의 아래의 지반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 따른 잭업레그(100)에 대한 기초 구조물의 급속한 부등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안정적으로 잭업레그(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잭업레그(100) 기초 하단 중앙부에 말뚝형상의 돌출부(130)가 마련됨으로써, 잭업레그(100)의 기초 구조물의 급속 부등침하 방지 및 기초 구조물의 지지력 증가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퍼드캔(122)은, 레그(120)의 하단에 결합되는 상부몸체(123)와, 상부몸체(123)에 결합되는 하부몸체(124)와, 상부몸체(123)와 하부몸체(124) 사이에 마련되는 테두리부(125)를 포함하며, 돌출몸체(131)는 테두리부(125)에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퍼드캔(122)은, 해저의 바닥부에 지지될 수 있도록 넓고 평평한 원반 형상으로서, 상부몸체(123)와 하부몸체(124)는 테두리부(125)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중심부에서 테두리 측으로 점차 상하 방향에 따른 단면이 좁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부(125)는, 124도 간격을 가지면서, 세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된 테두리부(125)는, 거의 둥근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둥근 형상의 테두리부(125) 사이에는 직선구간의 테두리부(125)가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130)는, 스퍼드캔(122)의 하부에 해저를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돌출몸체(131)와, 돌출몸체(131)의 하단부에 해저를 향해 뾰족하게 마련되는 뾰족돌기(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30)는, 지면에 대한 투영 형상이 원형인 말뚝형상으로서, 스퍼드캔(122)이 지지된 연약지층을 통과하여 연약지층 아래에 있는 지반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30)의 길이는, 주로 해저에 있는 연약지층을 통과할 수 있도록 연약지층의 두께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뾰족돌기(133)는, 스퍼드캔(122)에 의해 변형되는 연약지층을 통과할 수 있으며, 연약지층보다 견고한 지반에 박혀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130)는, 선체(105)로부터 스퍼드캔(122)이 해저에 지지될 때, 급격한 지층변화구간에 의한 스퍼드캔(122)의 갑작스런 침하를 방지하여, 스퍼드캔(122)에 의해 지지되는 선체(105)의 급격한 부등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돌출부(130)에 대해 지층으로부터 가해지는 지지력이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지지력은, 돌출부(130)를 따라 스퍼드캔(122)을 향한 수직의 지지력과 돌출부(130)의 외면부를 향한 수평의 지지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수직 및 수평의 지지력은, 지반에 박힌 상태의 돌출부(130)에 대한 지지력의 표시로서, 돌출부(130)는 지반에 박힌 상태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130)의 돌출몸체(131)의 길이 D1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급격한 지층변화구간을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데, 뾰족돌기(133)의 길이 D에 대해 0.7 ~ 0.75 배의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뾰족돌기(133)의 길이 D가 1m로 결정된다면, 돌출몸체(131)의 D1의 길이는 0.7m ~ 0.75m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돌출몸체(131)의 반지름 D2는, 뾰족돌기(133)의 길이 D에 대해 0.7 ~ 0.8 배의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퍼드캔(122)의 하부몸체(124)의 길이 D3는, 뾰족돌기(133)의 길이 D에 대해 0.60 ~ 0.65 배의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뾰족돌기(133)의 길이 D가 1m로 결정된다면, 하부몸체(124)의 길이 D3는 0.60m ~ 0.65m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퍼드캔(122)의 테두리부(125)의 길이 D4는, 뾰족돌기(133)의 길이 D에 대해 0.25 ~ 0.3 배의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뾰족돌기(133)의 길이 D가 1m로 결정된다면, 하부몸체(124)의 길이 D4는 0.25m ~ 0.3m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테두리부(125)의 최대 반지름 D5는, 뾰족돌기(133)의 길이 D에 대해 2.5 ~ 3.0 배의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130)의 뾰족돌기(133)에 대한, 돌출몸체(131), 하부몸체(124), 테두리부(125)의 비율은, 스퍼드캔(122)이 해저에 지지될 때 급격한 지층변화를 상정하여, 돌출부(130)가 급격하게 변화되는 지층구간을 수월하게 통과하면서, 스퍼드캔(122)이 해저에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고려한 스펙이다.
전술한 스펙들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잭업레그의 기초의 직경은 20 m 내외이며, 일반적으로 해저 지반의 급속한 부등침하가 발생되는 연약한 지층의 두께가, 2m ~ 3 m 내외인 사실에 근거한다.
뾰족돌기(133)의 길이 D가 2m로 결정된다면, 돌출몸체(131)의 길이 D1는 1.4m ~ 1.5m로 정해질 수 있으며, 돌출몸체(131)와 뽀족돌기(133)의 전체 길이가 3.4m ~ 3.5m로 결정될 수 있으므로, 돌출부(130는 2m ~ 3 m 두께의 연약한 지층을 통과하여 해저바닥에 지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선체구조물유닛 101: 부유 구조물
102: 데릭유닛 103: 레그이동통로
110: 레그유닛 111: 센터레그유닛
112: 사이드레그유닛 120: 레그
122: 스퍼드캔 123: 상부몸체
124: 하부몸체 125: 테두리부
130: 돌출부 131: 돌출몸체
133: 뾰족돌기 140: 잭업유닛

Claims (10)

  1. 해양에서 요구되는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선체구조물유닛;
    상기 선체구조물유닛을 상기 해양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선체구조물유닛에 승강 가능하게 탑재되는 복수의 레그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레그유닛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선체구조물유닛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레그유닛은,
    상기 선체구조물유닛의 중앙부에 승강 가능하게 탑재되는 센터레그유닛; 및
    상기 센터레그유닛의 주변에 배치되는 사이드레그유닛을 포함하는 잭업레그를 가지며,
    상기 선체구조물유닛은,
    해상에 부유 가능토록 마련되며, 작업을 위한 데크를 제공하는 부유 구조물; 및
    상기 부유 구조물의 상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되, 상기 부유 구조물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하강하여 해저의 유정을 굴착 가능토록하는 드릴장치를 포함하는 데릭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센터레그유닛 중앙을 상기 드릴장치가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데릭유닛은, 상기 센터레그유닛이 상기 데릭유닛의 하부로부터 상부까지 이동 가능토록 내부에 상기 센터레그유닛을 수용하는 레그이동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레그유닛과 상기 레그이동통로는 상기 센터레그유닛 상단에서 하방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텔레스코픽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레그이동통로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센터레그유닛이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텔레스코픽 구조가 펼쳐지면 상기 센터레그유닛이 하방으로 이동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센터레그유닛은 상기 텔레스코픽 구조 하단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트러스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트러스 구조는 상기 부유구조물을 관통하되 상기 부유구조물을 기준으로 승하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드릴장치를 통해 굴착작업을 할때, 상기 데릭유닛이 상기 부유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상기 센터레그유닛이 하강하여 해저의 지층에 지지되는 잭업레그를 갖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레그유닛은, 상기 사이드레그유닛보다 더 많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더 큰 지지면적을 제공하는 잭업레그를 갖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구조물은, 삼각, 사각형상, 또는 원형형상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며,
    상기 사이드레그유닛은, 3~5 개로 배치되는 잭업레그를 갖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6. 해양에서 요구되는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선체구조물유닛;
    상기 선체구조물유닛을 상기 해양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선체구조물유닛에 승강 가능하게 탑재되는 복수의 레그유닛; 및
    해상에 부유 가능토록 마련되며, 작업을 위한 데크를 제공하는 부유 구조물의 중앙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되, 해저의 유정을 굴착 가능토록 형성되는 데릭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레그유닛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선체구조물유닛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잭업레그를 갖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그유닛은,
    상기 선체구조물유닛의 중앙부에 승강 가능하게 탑재되는 센터레그유닛; 및
    상기 센터레그유닛의 주변에 배치되는 사이드레그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센터레그유닛은, 상기 사이드레그유닛보다 더 많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더 큰 지지면적을 제공하는 잭업레그를 갖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8. 제1 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유닛은,
    상기 선체구조물유닛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선체구조물유닛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레그; 및
    해저에 지지되도록 상기 레그의 하단에 마련되는 스퍼드캔을 포함하며,
    상기 스퍼드캔의 저면부에는, 해저를 향해 점차 뾰족한 형상을 갖는 돌출부가 마련되는 잭업레그를 갖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퍼드캔의 하부에 해저를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돌출몸체; 및
    상기 돌출몸체의 하단부에 해저를 향해 뾰족하게 마련되는 뾰족돌기를 포함하는 잭업레그를 갖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퍼드캔은,
    상기 레그의 하단에 결합되는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에 결합되는 하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 사이에 마련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몸체는, 상기 테두리부에 직교하게 배치되는 잭업레그를 갖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1020140031705A 2014-03-18 2014-03-18 잭업레그를 갖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101557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705A KR101557441B1 (ko) 2014-03-18 2014-03-18 잭업레그를 갖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705A KR101557441B1 (ko) 2014-03-18 2014-03-18 잭업레그를 갖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645A KR20150108645A (ko) 2015-09-30
KR101557441B1 true KR101557441B1 (ko) 2015-10-06

Family

ID=54246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705A KR101557441B1 (ko) 2014-03-18 2014-03-18 잭업레그를 갖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4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622A (ko) 2019-05-31 2020-12-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잭업 레그를 갖는 부유식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412B1 (ko) * 2018-10-19 2022-04-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레그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622A (ko) 2019-05-31 2020-12-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잭업 레그를 갖는 부유식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645A (ko) 201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43210B1 (en) Floating marine structure
US9371625B2 (en) Modified spudcan with optimal peripheral skirt for enhanced performance of jackup operations
KR101407427B1 (ko) 해상파일 설치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해상파일의 설치방법
US4266887A (en) Self-elevating fixed platform
CN102037189A (zh) 提高自升式钻探装置的腿提供的横向支撑的方法和设备
US8899880B2 (en) Structure-assisted jackup system
KR20160035816A (ko) 잭업리그의 스퍼드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US5383748A (en) Offshore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KR101557441B1 (ko) 잭업레그를 갖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US8807875B2 (en) Ice worthy jack-up drilling unit with conical piled monopod and sockets
US8870497B2 (en) Ice worthy jack-up drilling unit with conical piled monopod
WO2004074086A1 (en) Method for installing a self-floating deck structure onto a buoyant substructure
KR101384168B1 (ko) 위치센서를 이용한 해상풍력 발전기의 기초슬래브 설치 방법
JP6826266B2 (ja) 洋上風車用モノパイル基礎補助構造物および洋上風車用モノパイル基礎補助構造
KR20150052805A (ko) 잭업리그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CA2811946C (en) Ice worthy jack-up drilling unit with conical piled monopod and sockets
CA2812597C (en) Ice worthy jack-up drilling unit with conical piled monopod
EP3132093B1 (en) Modified spudcan with optimal peripheral skirt for enhanced performance of jackup operations
KR101489269B1 (ko) 잭업리그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102006923B1 (ko) 스퍼드캔 플랫폼 유닛 및 이를 갖는 부유식 구조물
KR20230130458A (ko) 부유식 구조물
KR20140002961A (ko) 부유식 구조물의 스퍼드캔
NO20161645A1 (en) Slim twisted jacket for unmanned wellhead platforms
JPS61172913A (ja) 重力式海洋構造物の製作据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