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216A - 자동화된 그리드 기반의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서 온도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화된 그리드 기반의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서 온도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216A
KR20230111216A KR1020237020728A KR20237020728A KR20230111216A KR 20230111216 A KR20230111216 A KR 20230111216A KR 1020237020728 A KR1020237020728 A KR 1020237020728A KR 20237020728 A KR20237020728 A KR 20237020728A KR 20230111216 A KR20230111216 A KR 20230111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torage
temperature
storage volume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0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올레 안드레아스 하델란
잉바르 파겔란
Original Assignee
오토스토어 테크놀로지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스토어 테크놀로지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오토스토어 테크놀로지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230111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2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F25D13/02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with several cooling compartments, e.g. refrigerated locker systems
    • F25D13/04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with several cooling compartments, e.g. refrigerated locker systems the compartments being at different temper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64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ccess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78Storage devices mechanical for matrix-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65G1/065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with self propelled c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0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in cold 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4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convey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 F25D2317/065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through the bott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1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of particular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Control Of Temperatur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Abstract

자동화된 그리드 기반의 보관 및 회수 시스템 내의 복수의 보관 체적 온도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복수의 보관 체적(406)이 수평 레일(110) 아래에서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고, 복수의 수직 벽(402)이 복수의 보관 체적(406)의 각각을 둘러싸며, 냉각기 시스템(403)이 공기를 냉각기 시스템(403)의 입력부(404)로부터 끌어 당기고, 공기를 냉각하고 냉각된 공기를 냉각기 시스템(403)의 출력부(405)를 통해서 송풍하며, 복수의 보관 체적(406)의 각각에서, 제1 공기 댐퍼(408)가 냉각기 시스템(403)의 출력부(405)와 보관 체적(406) 위의 공기 방출 지역(409) 사이에 연결되고, 제2 공기 댐퍼(410)가 보관 체적 아래의 공극(411)과 냉각기 시스템(403)의 입력부(404) 사이에 연결된다. 복수의 보관 체적의 각각을 위한 제어기(414)가 공기 방출 지역(409) 내의 과압 및 공기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서 제1 공기 댐퍼(408)를 통한 공기 유동을 조정하고, 공극(411) 내의 과소압을 제어하기 위해서 제2 공기 댐퍼(410)를 통한 공기 유동을 조정하며, 그에 따라 보관 체적 온도가 복수의 보관 체적(406)의 각각에 대해서 별도로 제어되고, 보관 체적 온도는 공기 방출 지역(409) 내의 공기 온도 및 공기 방출 지역(409) 내의 과압과 공극(411) 내의 과소압 사이의 차압에 의해서 결정된다.

Description

자동화된 그리드 기반의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서 온도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컨테이너를 보관 및 회수하기 위한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 특히 그러한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의 통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골격 구조물(100)을 갖는 전형적인 종래 기술의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1)을 개시하고, 도 2 및 도 3은 그러한 시스템(1)에서의 동작에 적절한 2개의 상이한 종래 기술의 컨테이너 취급 차량(201, 301)을 개시한다.
골격 구조물(100)은 직립 부재(102), 수평 부재(103), 및 직립 부재(102)와 수평 부재(103) 사이에서 일렬로 배열되는 보관 컬럼(105)을 포함하는 보관 체적을 포함한다. 이러한 보관 컬럼(105) 내에서, 통(bin)으로도 알려져 있는 보관 컨테이너(106)가 서로 상하로 적층되어 적층체(107)를 형성한다. 부재(102, 103)는 전형적으로 금속, 예를 들어 압축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제조될 수 있다.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1)의 골격 구조물(100)은 골격 구조물(100)의 상단부에 걸쳐 배열된 레일 시스템(108)을 포함하고, 레일 시스템(108) 상에서 복수의 컨테이너 취급 차량(201, 301)이 동작되어 보관 컨테이너(106)를 보관 컬럼(105)으로부터 상승시키고, 보관 컨테이너(106)를 보관 컬럼 내로 하강시키고, 또한 보관 컨테이너(106)를 보관 컬럼(105) 위에서 운송한다. 레일 시스템(108)은 골격 구조물(100)의 상단부에 걸친 제1 방향(X)으로 컨테이너 취급 차량(201, 301)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배열된 제1 세트의 평행 레일(110), 및 제1 방향(X)에 수직인 제2 방향(Y)으로 컨테이너 취급 차량(201, 301)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1 세트의 레일(110)에 수직으로 배열된, 제2 세트의 평행 레일(111)을 포함한다. 컨테이너 취급 차량은 레일 시스템(108) 내의 접근 개구부(112)를 통해서 컬럼(105) 내에 보관된 컨테이너(106)에 접근한다. 컨테이너 취급 차량(201, 301)은 보관 컬럼(105) 위에서 측방향으로, 즉 수평 X-Y 평면에 평행한 평면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골격 구조물(100)의 직립 부재(102)는, 컨테이너를 컬럼(105)으로부터 상승시키고 컨테이너를 컬럼 내로 하강시키는 동안 보관 컨테이너를 안내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컨테이너(106)의 적층체(107)는 전형적으로 자가-지지형이다.
각각의 종래 기술의 컨테이너 취급 차량(201, 301)은 차량 본체(201a, 301a), 및 X 방향 및 Y 방향 각각을 따른 컨테이너 취급 차량(201, 301)의 측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1 및 제2 세트의 휠(201b, 301b, 201c, 301c)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서, 각각의 세트 내의 2개의 휠을 완전히 확인할 수 있다. 제1 세트의 휠(201b, 301b)은 제1 세트의 레일(110) 중의 2개의 인접 레일들과 결합되도록 배열되고, 제2 세트의 휠(201c, 301c)은 제2 세트의 레일(111) 중의 2개의 인접 레일들과 결합되도록 배열된다. 세트의 휠(201b, 301b, 201c, 301c) 중 적어도 하나가 리프팅 및 하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세트의 휠(201b, 301b) 및/또는 제2 세트의 휠(201c, 301c)이 언제든지 각각의 세트의 레일(110, 111)과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종래 기술의 컨테이너 취급 차량(201, 301)은 또한 보관 컨테이너(106)의 수직 운송을 위한, 예를 들어 보관 컨테이너(106)를 보관 컬럼(105)으로부터 상승시키고 보관 컨테이너(106)를 보관 컬럼 내로 하강시키기 위한 리프팅 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리프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파지/결합 장치를 포함하고, 그러한 파지/결합 장치는 보관 컨테이너(106)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그러한 파지/결합 장치는 차량(201, 301)으로부터 하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차량(201, 301)에 대한 파지/결합 장치의 위치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에 수직인, 제3 방향(Z)으로 조정될 수 있다. 컨테이너 취급 차량(301)의 파지 장치의 일부가 참조 번호 304로 표시되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컨테이너 취급 장치(201)의 파지 장치는 도 2에서 차량 본체(201a) 내에 배치된다.
통상적으로 그리고 또한 본원의 목적을 위해서, Z=1은 보관 컨테이너의 최상부 층, 즉 레일 시스템(108) 바로 아래의 층을 나타내고, Z=2는 레일 시스템(108) 아래의 2번째 층, 그리고 Z=3은 3번째 층 등을 나타낸다. 도 1에 개시된 예시적인 종래 기술에서, Z=8은 보관 컨테이너의 최하부의 하단 층을 나타낸다. 유사하게, X=1…n 및 Y=1…n은 수평 평면 내의 각각의 보관 컬럼(105)의 위치를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예로서, 그리고 도 1에 표시된 데카르트 좌표계(X, Y, Z)를 이용하면, 도 1에서 106'으로 표시된 보관 컨테이너는 X=10, Y=2, Z=3의 보관 위치를 점유한다고 할 수 있다. 컨테이너 취급 차량(201, 301)이 층(Z=0) 내에서 이동된다고 할 수 있고, 각각의 보관 컬럼(105)은 그 X 및 Y 좌표에 의해서 표시될 수 있다.
골격 구조물(100)의 보관 체적은 종종 그리드(104)로 지칭되고, 이러한 그리드 내의 가능한 보관 위치는 보관 셀로 지칭된다. 각각의 보관 컬럼은 X- 및 Y-방향을 따른 위치에 의해서 표시될 수 있는 한편, 각각의 보관 셀은 X-, Y- 및 Z-방향을 따른 컨테이너 번호에 의해서 표시될 수 있다.
각각의 종래 기술의 컨테이너 취급 차량(201, 301)은, 보관 컨테이너(106)를 레일 시스템(108)을 가로질러 운송할 때 보관 컨테이너(106)를 수용 및 수납하기 위한 보관 격실 또는 공간을 포함한다. 보관 공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리고 예를 들어 기재 내용이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WO2015/193278A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차량 본체(201a) 내의 중앙에 배열된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캔틸레버 구성을 갖는 컨테이너 취급 차량(301)의 대안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그러한 차량은, 기재 내용이 또한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예를 들어 NO317366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중앙 공동 컨테이너 취급 차량(201)은, 예를 들어 기재 내용이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WO2015/193278A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보관 컬럼(105)의 측방향 범위와 일반적으로 동일한 X 및 Y 방향을 따른 치수를 가지는 면적을 커버하는 풋프린트(footprint)를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측방향'이라는 용어는 '수평'을 의미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중앙 공동 컨테이너 취급 차량(101)은, 예를 들어 WO2014/090684A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보관 컬럼(105)에 의해서 형성된 측방향 면적보다 큰 풋프린트를 가질 수 있다.
레일 시스템(108)은 전형적으로, 차량의 휠이 내부에서 주행하는 홈을 갖는 레일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레일은 상향 돌출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차량의 휠은 레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홈 및 상향 돌출 요소는 집합적으로 트랙으로서 알려져 있다. 각각의 레일은 하나의 트랙을 포함할 수 있거나, 각각의 레일은 2개의 평행한 트랙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 내용이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WO2018/146304는, X 및 Y 방향 모두를 따라서 평행한 트랙 및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 시스템(108)의 전형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골격 구조물(100) 내에서, 컬럼(105)의 대부분은 보관 컬럼(105)이고, 즉 보관 컨테이너(106)가 적층체(107)로 보관되는 컬럼(105)이다. 그러나, 일부 컬럼(105)이 다른 목적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 컬럼(119 및 120)은, 골격 구조물(100)의 외부로부터 보관 컨테이너(106)에 접근할 수 있는 또는 보관 컨테이너가 골격 구조물(100)의 내외로 전달될 수 있는 접근 스테이션(미도시)으로 운송될 수 있도록, 보관 컨테이너(106)를 드롭 오프(drop off) 및/또는 픽업(pick up)하기 위해서 컨테이너 취급 차량(201, 301)에 의해서 사용되는 그러한 특별한-목적의 컬럼이다. 당업계에서, 그러한 위치는 일반적으로 '포트'로 지칭되고, 포트가 내부에 배치되는 컬럼은 '포트 컬럼'(119, 120)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접근 스테이션으로의 운송은 임의의 방향일 수 있고, 즉 수평, 틸팅, 및/또는 수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관 컨테이너(106)는 골격 구조물(100) 내에서 무작위적인 또는 지정된 컬럼(105)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이어서 임의의 컨테이너 취급 차량에 의해서 픽업될 수 있고, 접근 스테이션으로의 추가적인 운송을 위해서 포트 컬럼(119, 120)으로 운송될 수 있다. '틸팅된'이라는 용어는 수평과 수직 사이의 일반적인 운송 배향을 가지는 보관 컨테이너(106)의 운송을 의미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도 1에서, 제1 포트 컬럼(119)은 예를 들어, 컨테이너 취급 차량(201, 301)이 접근 또는 전달 스테이션으로 운송하기 위한 보관 컨테이너(106)를 드롭 오프시킬 수 있는, 지정된 드롭-오프 포트 컬럼일 수 있고, 제2 포트 컬럼(120)은, 접근 또는 전달 스테이션으로부터 운송된 보관 컨테이너(106)를 컨테이너 취급 차량(201, 301)이 픽업할 수 있는 지정된 픽업 포트 컬럼일 수 있다.
접근 스테이션은 전형적으로, 제품 물품이 보관 컨테이너(106)로부터 제거되거나 그 내부에 위치되는 선택(picking) 또는 보관 스테이션일 수 있다. 선택 또는 보관 스테이션에서, 보관 컨테이너(106)는 일반적으로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1)으로부터 제거되지 않고, 다시 접근되는 경우에 골격 구조물(100) 내로 복귀된다. 포트가 또한 보관 컨테이너를 다른 보관 시설로(예를 들어, 다른 골격 구조물로 또는 다른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으로), 운송 차량(예를 들어, 기차 또는 대형 트럭)으로, 또는 생산 시설로 전달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일반적으로 이용하여, 보관 컨테이너를 포트 컬럼(119, 120)과 접근 스테이션 사이에서 운송한다.
포트 컬럼(119, 120) 및 접근 스테이션이 상이한 레벨들에 배치되는 경우에, 컨베이어 시스템은, 보관 컨테이너(106)를 포트 컬럼(119, 120)과 접근 스테이션 사이에서 수직으로 운송하기 위한 수직 구성요소를 갖춘 리프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 시스템은, 예를 들어 기재 내용이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WO2014/075937A1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보관 컨테이너(106)를 상이한 골격 구조물들 사이에서 전달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1에 개시된 컬럼(105) 중 하나 내에 보관된 보관 컨테이너(106)에 접근할 때, 컨테이너 취급 차량(201, 301) 중 하나는 목표 보관 컨테이너(106)를 그 위치로부터 회수하도록 그리고 이를 드롭-오프 포트 컬럼(119)으로 운송하도록 명령을 받는다. 이러한 동작은, 컨테이너 취급 차량(201, 301)을, 목표 보관 컨테이너(106)가 내부에 위치되는 보관 컬럼(105) 위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 컨테이너 취급 차량(201, 301) 리프팅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보관 컨테이너(106)를 보관 컬럼(105)으로부터 회수하는 것, 그리고 보관 컨테이너(106)를 드롭-오프 포트 컬럼(119)으로 운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목표 보관 컨테이너(106)가 적층체(107) 내에 깊이 배치되는 경우에, 즉 목표 보관 컨테이너(106) 위에 하나의 또는 복수의 다른 보관 컨테이너(106)가 위치된 경우에, 동작은 또한, 목표 보관 컨테이너(106)를 보관 컬럼(105)으로부터 리프팅시키기 전에, 위에-위치된 보관 컨테이너를 일시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당업계에서 종종 "디깅(digging)"으로 지칭되는 이러한 단계는, 목표 보관 컨테이너를 드롭-오프 포트 컬럼(119)으로 운송하기 위해서 추후에 이용되는 동일한 컨테이너 취급 차량을 사용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협력 컨테이너 취급 차량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1)은, 보관 컨테이너(106)를 보관 컬럼(105)으로부터 일시적으로 제거하는 과제를 위해서 특별히 지정된 컨테이너 취급 차량(201, 301)을 가질 수 있다. 목표 보관 컨테이너(106)가 보관 컬럼(105)으로부터 제거되면, 일시적으로 제거된 보관 컨테이너(106)가 원래의 보관 컬럼(105) 내로 재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제거된 보관 컨테이너(106)가 다른 보관 컬럼(105)으로 재배치될 수 있다.
보관 컨테이너(106)를 컬럼(105) 중 하나 내에 보관하고자 할 때, 컨테이너 취급 차량(201, 301) 중 하나는, 보관 컨테이너(106)를 픽업 포트 컬럼(120)으로부터 픽업하도록 그리고 이를 보관하고자 하는 보관 컬럼(105) 위의 위치로 운송하도록 명령을 받는다. 적층체(107) 내의 목표 위치에 또는 그 위에 위치된 임의의 보관 컨테이너(106)가 제거된 후에, 컨테이너 취급 차량(201, 301)은 보관 컨테이너(106)를 희망 위치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제거된 보관 컨테이너(106)는 보관 컬럼(105) 내로 다시 하강될 수 있거나, 다른 보관 컬럼(105)으로 재배치될 수 있다.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1)을 모니터링 및 제어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골격 구조물(100) 내의 각각의 보관 컨테이너(106)의 위치, 각각의 보관 컨테이너(106)의 내용물; 및 컨테이너 취급 차량들(201, 301)이 서로 충돌하지 않고 희망 보관 컨테이너(106)가 희망 시간에 희망 위치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취급 차량(201, 301)의 이동을 모니터링 및 제어하기 위해서,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1)은 제어 시스템(121)을 포함하고, 그러한 제어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컴퓨터화되고 전형적으로 보관 컨테이너(106)를 계속 추적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전술한 시스템(1)의 일부는, 특정 환경을 요구하는 제품 아이템을 보관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유형의 식품은 저온 환경(전형적으로 1℃ 내지 6℃의 온도)을 필요로 하고, 일부 유형의 식품은 보다 더 저온의 환경(전형적으로 -15℃미만의 온도)을 필요로 하며, 다른 유형의 식품은 더 높은 온도 환경(전형적으로, 10℃ 초과)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보관 시스템이 내부에 있는 건물에서, 일반적으로 통기 시스템을 사용하여 희망 환경을 제공한다. 그러나, 컨테이너들을 적층체 내에서 서로 인접하게 보관하는 것에 의해서 얻어 지는 공간 효율성에서, 더 적은 공기가 보관 지역 내에서 저장 제품의 온도 제어를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WO2015/124610A1은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을 개시하며, 여기에서 보관 체적은 단열부에 의해서 서로 분리된 많은 수의 섹션들로 세분되고, 많은 수의 섹션들 내의 온도는, 컨테이너 취급 차량이 보관 체적 위의 레일 시스템 상에서 이동하는 곳보다, 온도가 낮다. 이러한 섹션들은, 예를 들어 냉각 유닛을 섹션들 중 하나에 연결하는 것에 의해서, 상이한 온도들로 냉각될 수 있다.
WO2016/7193419에서, 그리드 내에 보관하는 동안 컨테이너가 냉각되는 보관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냉각 시스템은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그리드 위의 칠러(chiller), 및 공기가 적층체를 통해서 순환되어 그 온도를 조절하도록, 공기를 시스템을 통해서 그리고 보관 컨테이너의 적층체 아래의 빈 공간 내로 끌어 당기는 것에 의해서 냉각된 공기를 보관 시스템을 통해서 순환시키는 팬을 갖는다. 팬은, 공기를 많은 수의 적층체로부터 끌어 당기는 경계 지어진 체적 위의, 그리드의 측면 상의, 외부에 위치된다. 공기가 그리드의 외부로부터 끌어 당겨짐에 따라, 공기 유동은 팬 부근에서, 즉 그리드의 연부 부근에서 가장 클 것이고, 그리드의 중간을 향해서 감소될 것이다.
종래 기술의 해결책의 문제는, 각각의 온도 구역에서 별도의 냉각기 요소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전술한 것에 비추어 볼 때, 종래 기술의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의 이용과 관련된 전술한 문제 중 하나 이상을 해결하거나 적어도 완화하는,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고 특성화되는 한편, 종속 청구항은 본 발명의 다른 특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자동화된 그리그 기반의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 직립 부재 및 직립 부재의 상부 단부에 제공된 수평 레일의 그리드를 포함하는 골격 구조물로서, 수평 레일 아래에서 서로 인접하여 배열된 복수의 보관 체적을 형성하는, 골격 구조물,
- 복수의 보관 체적의 각각을 둘러싸는 복수의 수직 벽,
- 냉각기 시스템으로서, 공기를 냉각기 시스템의 입력부로부터 끌어 들이도록, 입력부로부터 끌어 당겨진 공기를 냉각하도록, 그리고 냉각된 공기를 냉각기 시스템의 출력부를 통해서 송풍하도록 구성되고,
- 복수의 보관 체적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시스템은 냉각기 시스템의 출력부와 보관 체적 위의 공기 방출 지역 사이에 연결된 제1 공기 댐퍼, 및 보관 체적 아래의 공극과 냉각기 시스템의 입력부 사이에 연결된 제2 공기 댐퍼를 더 포함하는, 냉각기 시스템,
- 복수의 보관 체적의 각각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해당 보관 체적과 연관된 제1 공기 댐퍼를 통한 공기 유동을 조정하여 공기 방출 지역 내의 과압 및 공기 온도를 제어하도록, 그리고 해당 보관 체적과 연관된 제2 공기 댐퍼를 통한 공기 유동을 조정하여 공극 내의 과소압(underpressure)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며,
그에 따라 보관 체적 온도는 복수의 보관 체적의 각각에 대해서 별도로 제어되고, 보관 체적 온도는 공기 방출 지역 내의 공기 온도에 의해서 그리고 공기 방출 지역 내의 과압과 각각의 보관 체적 내의 공극의 과소압 사이의 압력차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조절된다.
실시형태에서, 공기 방출 지역은, 수평 레일 상의 컨테이너 취급 차량이 공기 방출 지역 바로 아래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거리에서, 수평 레일 위에 배열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공기 방출 지역은 직립 부재의 상부 단부에 인접하여 수평 레일 아래에 배열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수직 벽은 단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냉각기 시스템은 열 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고, 열 교환기는 입력부로부터 끌어 당겨진 공기를 냉각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복수의 보관 체적 중 적어도 하나에 열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실시형태에서, 시스템은 공극과 제2 공기 댐퍼 사이에 배치된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냉각기 시스템은 팬-코일 유닛일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보관 체적의 각각이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기는, 온도 센서에 의해서 측정되는 온도를 기초로, 제1 공기 댐퍼를 통한 공기 유동을 조정하도록 그리고 제2 공기 댐퍼를 통한 공기 유동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실시형태에서, 시스템은 보관 체적과 보관 체적 아래의 공극 사이에 제공된 복수의 통기 홀을 갖는 바닥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통기 홀의 각각의 총 면적은 공극으로부터의 공기와 연통되는 공기 배출구로부터 제2 공기 댐퍼까지 통기 홀의 수평 거리가 멀어 질수록 증가된다.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통기 홀은 보관 체적과 보관 체적의 하부 단부에 위치되는 공극 사이에 배열된 바닥을 형성하는 패널 내의 복수의 천공부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공기 방출 지역은, 공기 방출 지역을 각각의 이웃하는 공기 방출 지역으로부터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시스템은 냉각기 시스템의 출력부를 제1 공기 댐퍼의 각각과 연결하는 제1 공동 도관, 및 제2 공기 댐퍼의 각각을 냉각기 시스템의 입력부에 연결하는 제2 공동 도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자동화된 그리드 기반의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서 복수의 보관 체적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 냉각된 공기를 냉각 시스템의 출력부를 통해서 제1 온도로 송풍하도록 냉각기 시스템을 조정하는 단계,
- 보관 체적 온도가, 해당 보관 체적 위의 공기 방출 지역 내의 공기 온도에 의해서 그리고 공기 방출 지역 내의 과압과 각각의 보관 체적에 대한 해당 보관 체적과 연관된 공극 내의 과소압 사이의 압력차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조절되도록, 복수의 보관 체적의 각각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해당 보관 체적 위의 공기 방출 지역 내의 과압 및 공기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서 제1 공기 댐퍼를 통한 공기 유동, 그리고 해당 보관 체적 아래의 공극 내의 과소압을 제어하기 위해서 제2 공기 댐퍼를 통한 공기 유동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공기 유동을 제1 공기 댐퍼로부터 직립 부재의 상부 단부에 인접한 수평 레일 아래에 배열된 공기 방출 지역으로 지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열을 냉각기 시스템 내의 열 교환기로부터 복수의 보관 체적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공극 내의 과소압을 조정하기 위해서 공극과 제2 공기 댐퍼 사이에 배치된 팬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해당 보관 체적 내의 온도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온도를 기초로 주어진 보관 체적에 대해서 제1 공기 댐퍼 및 제2 공기 댐퍼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첨부된 것이다. 도면은, 단지 예로서 이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의 골격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보관 컨테이너를 내부에서 운반하기 위한 중앙 배열 공동을 가지는 종래 기술의 컨테이너 취급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보관 컨테이너를 아래에서 운반하기 위한 캔틸레버(cantilever)를 가지는 종래 기술의 컨테이너 취급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예시적인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예시적인 하단 패널의 측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예시적인 하단 패널의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예시적인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도면은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청구-대상으로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1)의 골격 구조물(100)은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전술한 종래 기술의 골격 구조물(100)에 따라 구성되고, 즉 많은 수의 직립 부재(102) 및 직립 부재(102)에 의해서 지지되는 많은 수의 수평 부재(103)로 구성되고, 또한 골격 구조물(100)은 X 방향 및 Y 방향의 제1의 상부 레일 시스템(108)을 포함한다.
골격 구조물(100)은 부재들(102, 103) 사이에 제공된 보관 컬럼(105) 형태의 보관 격실을 더 포함하고, 보관 컨테이너(106)는 보관 컬럼(105) 내에서 적층체(107)로 적층될 수 있다.
골격 구조물(100)은 임의의 크기일 수 있다. 특히, 골격 구조물은 도 1에 개시된 것보다 상당히 더 넓을 수 있고/있거나 더 길 수 있고/있거나 더 깊을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된다. 예를 들어, 골격 구조물(100)은 700 x 700 컬럼 초과의 수평 범위 및 12개 초과의 컨테이너의 보관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이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4는 골격 구조물(100)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골격 구조물(400)을 포함하는,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골격 구조물(400)은 복수의 보관 체적(406a, 406b, 406c)으로 세분되고, 각각의 보관 체적(406a, 406b, 406c)은 수평 레일의 아래에서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보관 컬럼(105)을 포함한다. 따라서, 보관 체적(406a, 406b, 406c)의 각각은 하나 이상의 보관 컬럼(105)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보관 컬럼에서 보관 컨테이너가 서로 상하로 적층되어 적층체(407)를 형성한다. 골격 구조물(400)은, 복수의 보관 체적(406a, 406b, 406c)의 각각을 둘러싸서 보관 체적(406a, 406b, 406c)을 이웃하는 보관 체적(406a, 406b, 406c) 및 외부 주변 조건으로부터 분리하는, 복수의 수직 벽(402)을 포함한다. 보관 체적을 둘러싸는 복수의 벽(402)은 수평 레일(110) 아래로부터 복수의 보관 체적(406a, 406b, 406c) 각각의 아래의 공극 또는 공극들(411a, 411b, 411c)까지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기밀인 채널을 제공한다. 보관 체적(406a, 406b, 406c)은 레일에 대해서 개방되며, 그에 따라 보관 컨테이너 차량(401)이 보관 컨테이너(106)를 보관 체적 내외로 하강 및 상승시킬 수 있다.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은, 공기를 냉각기 시스템(403)의 입력부(404)로부터 끌어 들이도록, 입력부(404)로부터 끌어 당겨진 공기를 냉각하도록, 그리고 냉각된 공기를 냉각기 시스템(403)의 출력부(405)를 통해서 송풍하도록 구성된 냉각기 시스템(403)을 포함한다. 냉각기 시스템(403)은 열 교환기를 포함하는 팬-코일 유닛, 예를 들어 코일 및 팬일 수 있으나, 임의의 적합한 냉각기 시스템이 이용될 수 있다. 냉각기 시스템(403)이 팬-코일 유닛일 때, 냉각기 시스템(403)을 통한 공기의 유동은 팬-코일 유닛 내의 팬에 의해서 구동된다. 복수의 보관 체적(406a, 406b, 406c)의 각각에 대해서, 시스템은 냉각기 시스템(403)의 출력부(405)와 보관 체적(406a, 406b, 406c) 위의 공기 방출 지역(409a, 409b, 409c) 사이에 연결된 제1 공기 댐퍼(408a, 408b, 408c), 및 보관 체적(406a, 406b, 406c) 아래의 공극(411a, 411b, 411c)과 냉각기 시스템(403)의 입력부(404) 사이에 연결된 제2 공기 댐퍼(410a, 410b, 410c)를 포함한다.
따라서, 각각의 보관 체적(406a, 406b, 406c)은 공기 회로의 일부이며, 이러한 공기 회로는 그 자체의 제1 공기 댐퍼(408a, 408b, 408c), 그 자체의 공기 방출 지역(409a, 409b, 409c), 그 자체의 공극(411a, 411b, 411c), 그리고 그 자체의 제2 공기 댐퍼(410a, 410b, 410c)를 포함한다. 공기 회로는, 상이한 제1 공기 댐퍼들(408a, 408b, 408c)에 대한 냉각 공기의 공급부 내로 공급하기 위해서, 냉각기 시스템(403)의 출력부(405)로부터 복수의 제1 공기 댐퍼(408a, 408b, 408c)의 상류를 분할하는 지점까지 공통 도관을 공유할 수 있다. 공기 회로는 또한, 공기를 냉각기 시스템(403)의 입력부(404)로 복귀시키기 위해서 제2 공기 댐퍼(410a, 410b, 410c) 하류에서 조합되는 지점으로부터 공통 도관을 공유할 수 있다.
공기가 각각의 제2 공기 댐퍼(410a, 410b, 410c)를 통해서 공극(411a, 411b, 411c)으로부터 끌어 당겨질 때, 과소압 또는 진공이 공극 내에 생성된다. 공극(411a, 411b, 411c) 내의 과소압의 크기는, 냉각기 시스템(403) 내로 공기를 끌어 당기는 힘 및 제2 공기 댐퍼(410a, 410b, 410c)를 통한 공기 유동에 의해서 제어된다. 제2 공기 댐퍼(410a, 410b, 410c) 개별적으로 조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2 공기 댐퍼(410a, 410b, 410c)를 통한 공기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공기를 냉각기 시스템(403) 내로 끌어 당기고 제2 공기 댐퍼(410a, 410b, 410c)의 하류에서 느껴지는 힘은 제2 공기 댐퍼(410a, 410b, 410c)의 각각에서 동일하다. 공극(411a, 411b, 411c)의 각각 내의 과소압은, 각각의 제2 공기 댐퍼(410a, 410b, 410c)를 통한 공기 유동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제어된다. 예를 들어 제2 공기 댐퍼 중 하나(410a)를 통한 공기 유동을 제2 공기 댐퍼 중 다른 하나(410b)에 비해서 증가시키는 것은 공극(411b)에 대한 공극(411a) 내의 과소압을 증가시킬 수 있다.
냉각된 공기가 냉각기 시스템(403)의 출력부(405)를 통해서 그리고 제1 공기 댐퍼(408a, 408b, 408c)를 통해서 송풍될 때, 과압이 보관 체적(406a, 406b, 406c) 위의 공기 방출 지역(409a, 409b, 409c) 내에 생성된다. 공기 방출 지역(409a, 409b, 409c) 내의 과압 및 온도의 크기는 냉각기 시스템(403)을 떠나는 공기의 온도, 냉각기 시스템의 출력부(405)를 통해서 공기를 송풍하는 힘, 및 제1 공기 댐퍼(408a, 408b, 408c)의 각각을 통한 공기 유동에 의해서 제어된다. 공기 방출 지역(409a, 409b, 409c) 내의 온도는 공기 방출 지역의 형상 및/또는 체적에 따라 어느 정도 달라질 수 있다. 제1 공기 댐퍼(408a, 408b, 408c)는 공기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개별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공기를 냉각기 시스템(403)의 출력부(405)의 외부로 송풍하는 힘은 제1 공기 댐퍼(408a, 408b, 408c)의 각각에서 동일하다. 공기 방출 지역(409a, 409b, 409c)의 각각 내의 과압 및 공기 온도는 각각의 제1 공기 댐퍼(408a, 408b, 408c)를 통한 공기 유동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제어된다. 예를 들어 제1 공기 댐퍼 중 하나(408a)를 통한 공기 유동을 제1 공기 댐퍼 중 다른 하나(408b)에 비해서 증가시키는 것은 공기 방출 지역(409b)에 대한 공기 방출 지역(409a) 내의 과압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시스템은, 보관 체적(406a, 406b, 406c)과 연관된 공기 방출 지역(409a, 409b, 409c) 내의 과압 및 공기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서 특정 보관 체적(406a, 406b, 406c)의 제1 댐퍼(408a, 408b, 408c)를 통한 공기 유동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그리고 보관 체적(406a, 406b, 406c) 아래의 공극(411a, 411b, 411c) 내의 과소압을 제어하기 위해서 해당 보관 체적(406a, 406b, 406c)의 제2 공기 댐퍼(410a, 410b, 410c)를 통한 공기 유동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복수의 보관 체적(406a, 406b, 406c)의 각각의 온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414)를 더 포함한다. 공기 방출 지역(409a, 409b, 409c) 내의 과압과 공극(411a, 411b, 411c) 사이의 과소압 사이의 압력차는 각각의 보관 체적(406a, 406b, 406c)을 통한 공기의 속력을 결정한다. 더 큰 압력차는 공기의 속력을 증가시키고, 보관 체적(406a, 406b, 406c)을 통과하는 공기의 냉각 효과를 증가시킨다. 더 작은 압력차는 공기의 속력을 감소시키고, 보관 체적(406a, 406b, 406c)을 통과하는 공기의 냉각 효과를 감소시킨다.
제1 및 제2 공기 댐퍼를 통한 공기 유동을 조정함으로써, 제어기(414)는 복수의 보관 체적(406a, 406b, 406c)의 각각에 대한 보관 체적 온도를 제어할 수 있고, 보관 체적 온도는 공기 방출 지역(409a, 409b, 409c) 내의 공기 온도에 의해서 그리고 공기 방출 지역(409a, 409b, 409c) 내의 과압과 공극(411a, 411b, 411c) 내의 과소압 사이의 압력차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조절된다.
보관 체적(406a, 406b, 406c)의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기(414)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온도를 기초로 제1 공기 댐퍼(408a, 408b, 408c) 및 제2 공기 댐퍼(410a, 410b, 410c)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보관 체적의 벽 내의 임의의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기(414)는, 보관 체적(406a, 406b, 406c)의 각각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공극(411a, 411b, 411c)과 제2 공기 댐퍼(410a, 410b, 410c) 사이에 배치된 팬(413a, 413b, 413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팬(413a, 413b, 413c)은 필요할 때 차압을 유지하기 위해서 공극(411a, 411b, 411c) 내의 과소압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팬(413a, 413b, 413c)이 각각의 보관 체적(406a, 406b, 406c)에 제공되어, 필요에 따라 각각의 보관 체적(406a, 406b, 406c)을 위한 공기 유동을 강제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팬(413a, 413b, 413c)은 모든 보관 체적(406a, 406b, 406c)에 대해서 공통적인 팬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각각의 보관 체적 내의 공기 유동의 저렴한 제어를 용이하게 구현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보관 체적 중 하나(406a)는 과일, 채소, 꽃 등에 적합한 보관 체적 온도, 예를 들어 10℃를 유지하고, 다른 보관 체적(406b)은 육류, 생선, 유제품 등과 같이 용이하게 부패될 수 있는 식품에 적합한 보관 체적 온도, 예를 들어 1 내지 4℃를 유지하고, 제3 보관 체적(406c)은 냉동 온도, 즉 0℃미만, 전형적으로 -20℃를 유지한다. 물론 3개 초과의 보관 체적이 있을 수 있고, 각각의 보관 체적이 상이한 보관 체적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유사한 보관 체적 온도를 갖는 몇 개의 보관 체적이 있을 수 있다. 제어기(414)는 또한 현재의 또는 미래의 보관 필요에 따라 보관 체적 내의 보관 체적 온도를 상온으로부터 냉동 온도로 또는 그 반대로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보관 및 회수 시스템(1)은, 곡물이 수직 적층체(407) 내에서 성장하는 수직 농장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수직 적층체(407)는, 곡물 또는 다른 적합한 적층된 수직 농장 시스템을 위한 보관 컨테이너에 공기 및 빛이 진입할 수 있게 허용하도록 구성된 특별한 보관 컨테이너(40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보관 체적은 상이한 곡물들을 위한 최적의 성장 조건들을 위한 상이한 제어 환경들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공기 방출 지역(409a, 409b, 409c)의 각각이 컨테이너 취급 차량(401) 위에 배치되어, 컨테이너 취급 차량이 수평 레일(110) 상에서 이동하여 보관 컨테이너(106)를 하강 및 상승시킬 수 있게 하고 보관 컨테이너를 보관 시스템(1) 주위에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공기 방출 지역(409a, 409b, 409c)은 각각의 공기 방출 지역(409a, 409b, 409c)을 임의의 이웃하는 공기 방출 지역으로부터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하나의 공기 방출 지역 내의 공기 온도 및 과압은 이웃 공기 방출 지역 내의 공기 온도 및 과압과 실질적으로 독립적이 된다. 임의의 적합한 차폐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공기 방출 지역(409a, 409b, 409c)은 컨테이너 취급 차량(401) 위의 공기 방출 지역을 분리하는 후드의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공기 방출 지역(409a, 409b, 409c)은 컨테이너 취급 차량(401) 위의 지향성 노즐의 형상일 수 있다. 공기 커튼 및 기타를 이용하여 지역들의 분리를 도울 수 있다.
대형의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1)에서, 하나의 냉각 시스템(403)이 제공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냉각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요건의 충족을 위해서, 대형의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은 복수의 냉각 시스템(403)을 구비할 수 있고, 복수의 냉각 시스템(403)의 각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보관 체적을 냉각한다. 냉각 시스템 또는 냉각 시스템(403)은 전체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 또는 그 일부만을 취할 수 있다.
도 6은 대안적인 실시형태의 개략도이고, 여기에서 공기 방출 지역 중 하나(609c)가 직립 부재(102)의 상부 단부에 인접하여 수평 레일(110) 아래에 배열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제1 공기 댐퍼(408c)의 출력부는 보관 체적(406c) 내로 직접적으로 통기된다. 공기 방출 지역(409)은 보관 체적(406c)의 상부 단부를 둘러싸는 복수의 통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방출 지역(609c)을 수평 레일(110) 아래에 배열하는 것의 하나의 장점은, 그리드에 진입하는 저온 공기가 "저온 커튼"을 생성하여 공기가 컨테이너 취급 차량 환경과 보관 체적 환경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이다. 이는 컨테이너 취급 차량 환경 온도가 0℃미만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컨테이너 취급 차량이 그 정상 동작 윈도우(normal operating window) 내에서 작업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냉각기 시스템(403)은 입력부로부터 끌어 당겨진 공기를 냉각하는 열 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고, 열 또는 열의 일부는 보관 체적(406a, 406b, 406c) 중 하나에 전달될 수 있다. 이는 더 따뜻한 보관 체적에서, 또는 보관 시스템의 변경 필요성으로 인해서 냉동 구역을 신속하게 가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수직 벽(402)이 단열 재료를 포함한다. 벽은 단열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벽은 절연 재료로 덮일 수 있거나, 단열 재료가 샌드위치 벽 구성의 일부일 수 있다. 단열 재료를 포함하는 수직 벽(403)은, 2개의 이웃하는 보관 체적들 사이의 보관 체적 온도들의 차이가 너무 커서 공기 유동만으로 제어할 수 없을 때, 특히 유용하다.
이제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시스템은 보관 체적(406a, 406b, 406c)과 보관 체적(406a, 406b, 406c) 아래의 공극(411a, 411b, 411c) 사이에 제공된 복수의 통기 홀을 갖는 바닥(412)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통기 홀의 각각의 총 면적은 공극(411a, 411b, 411c)으로부터의 공기와 연통되는 공기 배출구로부터 제2 공기 댐퍼(410a, 410b, 410c)까지 통기 홀의 수평 거리가 멀어 질수록 증가된다. 복수의 통기 홀의 각각의 총 면적은 통기 홀의 수 및/또는 크기에 의해서 달라질 수 있다. 공기 배출구에 근접한 작은 및/또는 적은 통기 홀 그리고 공기 배출구로부터 더 먼 더 큰 및/또는 더 많은 통기 홀은 각각의 보관 체적 내에서 더 균일한 공기 유동 및 더 균일한 냉각을 생성할 것이다. 복수의 통기 홀의 각각의 총 면적은, 예를 들어 다른 개구 판 위의 하나의 개구 판을 이용하여, 조정될 수 있고, 2개의 개구 판들은 서로에 대해서 이동된다.
복수의 통기 홀은 보관 체적(406a, 406b, 406c)과 보관 체적(406a, 406b, 406c)의 하부 단부에 위치되는 공극(411a, 411b, 411c) 사이에 배열된 바닥(412)을 형성하는 패널(500) 내의 복수의 천공부(501)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앞서서 구체적으로 설명된 자동화된 그리드 기반의 보관 및 회수 시스템(1)의 복수의 보관 체적 내의 보관 체적 온도가 방법에 의해서 제어되고, 이러한 방법은:
- 냉각된 공기를 냉각 시스템의 출력부(405)를 통해서 제1 온도로 송풍하도록 냉각기 시스템(403)을 조정하는 단계;
- 보관 체적 온도가, 해당 보관 체적 위의 공기 방출 지역(409a, 409b, 409c, 609c) 내의 공기 온도에 의해서 그리고 상기 공기 방출 지역(409a, 409b, 409c, 609c) 내의 과압과 각각의 보관 체적(406a, 406b, 406c)에 대한 해당 보관 체적과 연관된 공극(411a, 411b, 411c) 내의 과소압 사이의 압력차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조절되도록, 복수의 보관 체적(406a, 406b, 406c)의 각각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해당 보관 체적(406a, 406b, 406c) 위의 공기 방출 지역(409a, 409b, 409c, 609c) 내의 과압 및 공기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서 제1 공기 댐퍼(408a, 408b, 408c)를 통한 공기 유동, 그리고 해당 보관 체적 아래의 공극(411a, 411b, 411c) 내의 과소압을 제어하기 위해서 제2 공기 댐퍼(410a, 410b, 410c)를 통한 공기 유동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공기 댐퍼(408a, 408b, 408c) 및 제2 공기 댐퍼(410a, 410b, 410c)는 해당 보관 체적(406a, 406b, 406c) 내의 온도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온도를 기초로 주어진 보관 체적에 대해서 조정될 수 있다.
제1 공기 댐퍼(408a, 408b, 408c)로부터의 공기 유동은 직립 부재(102)의 상부 단부에 인접한 수평 레일(110) 아래에 배열된 공기 방출 지역으로 지향될 수 있다.
냉각기 시스템(403) 내의 열 교환기로부터의 열은 복수의 보관 체적(406a, 406b, 406c)의 적어도 하나에 전달될 수 있다.
공극(411a, 411b, 411c)과 제2 공기 댐퍼(410a, 410b, 410c) 사이에 배치된 팬(413a, 413b, 413c)을 조정하여 공극(411a, 411b, 411c) 내의 과소압을 조정할 수 있다.
선행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달 차량 그리고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의 여러 양태가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설명을 위해서, 특정 숫자, 시스템 및 구성이 시스템 및 그 작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기술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개시된 청구 대상과 관련된 당업자에게 명확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여러 수정 및 변경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다른 실시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1 종래 기술의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
100 골격 구조물
102 골격 구조물의 직립 부재
103 골격 구조물의 수평 부재
104 보관 그리드
105 보관 컬럼
106 보관 컨테이너
106' 보관 컨테이너의 특정 위치
107 적층체
108 레일 시스템
110 제1 방향(X)의 평행 레일
110a 제1 방향(X)의 제1 레일
110b 제1 방향(X)의 제2 레일
111 제2 방향(Y)의 평행 레일
111a 제2 방향(Y)의 제1 레일
111b 제2 방향(Y)의 제2 레일
112 접근 개구부
119 제1 포트 컬럼
120 제2 포트 컬럼
201 종래 기술의 보관 컨테이너 차량
201a 보관 컨테이너 차량(201)의 차량 본체
201b 구동 수단/휠 배열체, 제1 방향(X)
201c 구동 수단/휠 배열체, 제2 방향(Y)
301 종래 기술의 캔틸레버 보관 컨테이너 차량
301a 보관 컨테이너 차량(301)의 차량 본체
301b 제1 방향(X)의 구동 수단
301c 제2 방향(Y)의 구동 수단
304 파지 장치
121 제어 시스템
X 제1 방향
Y 제2 방향
Z 제3 방향
400 골격 구조물
401 보관 컨테이너 차량
402 수직 기밀 벽
403 냉각기 시스템
404 냉각기 시스템 입력부
405 냉각기 시스템 출력부
406a 보관 체적 A
406b 보관 체적 B
406c 보관 체적 C
407 적층체
408a 제1 공기 댐퍼 A
408b 제1 공기 댐퍼 B
408c 제1 공기 댐퍼 C
409a 공기 방출 지역 A
409b 공기 방출 지역 B
409c 공기 방출 지역 C
609c 공기 방출 지역 C
410a 제2 공기 댐퍼 A
410b 제2 공기 댐퍼 B
410c 제2 공기 댐퍼 C
411a 보관 체적 아래의 공극 A
411b 보관 체적 아래의 공극 B
411c 보관 체적 아래의 공극 C
412 바닥
413a 팬
413b 팬
413c 팬
414 제어기
500 하단 패널
501 하단 패널(600) 내의 천공부

Claims (17)

  1. 자동화된 그리드 기반의 보관 및 회수 시스템(1)이며:
    - 직립 부재(102) 및 상기 직립 부재(102)의 상부 단부에 제공된 수평 레일(110)의 그리드를 포함하는 골격 구조물(100)로서, 상기 수평 레일(110) 아래에서 서로 인접하여 배열된 복수의 보관 체적(406a, 406b, 406c)을 형성하는, 골격 구조물(100),
    - 상기 복수의 보관 체적(406a, 406b, 406c)의 각각을 둘러싸는 복수의 수직 벽(402),
    - 냉각기 시스템(403)으로서, 공기를 상기 냉각기 시스템(403)의 입력부(404)로부터 끌어 들이도록, 상기 입력부(404)로부터 끌어 당겨진 공기를 냉각하도록, 그리고 냉각된 공기를 상기 냉각기 시스템(403)의 출력부(405)를 통해서 송풍하도록 구성되고,
    - 상기 복수의 보관 체적(406a, 406b, 406c)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냉각기 시스템(403)의 출력부(405)와 상기 보관 체적(406a, 406b, 406c) 위의 공기 방출 지역(409a, 409b, 409c, 609c) 사이에 연결된 제1 공기 댐퍼(408a, 408b, 408c), 및 상기 보관 체적(406a, 406b, 406c) 아래의 공극(411a, 411b, 411c)과 상기 냉각기 시스템(403)의 입력부(404) 사이에 연결된 제2 공기 댐퍼(410a, 410b, 410c)를 더 포함하는, 냉각기 시스템(403),
    - 상기 복수의 보관 체적(406a, 406b, 406c)의 각각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해당 보관 체적과 연관된 상기 제1 공기 댐퍼(408a, 408b, 408c)를 통한 공기 유동을 조정하여 상기 공기 방출 지역(409a, 409b, 409c, 609c) 내의 과압 및 공기 온도를 제어하도록, 그리고 해당 보관 체적과 연관된 상기 제2 공기 댐퍼(410a, 410b, 410c)를 통한 공기 유동을 조정하여 상기 공극(411a, 411b, 411c) 내의 과소압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414)를 포함하며,
    그에 따라 보관 체적 온도는 상기 복수의 보관 체적(406a, 406b, 406c)의 각각에 대해서 별도로 제어되고, 상기 보관 체적 온도는 상기 공기 방출 지역(409a, 409b, 409c, 609c) 내의 공기 온도에 의해서 그리고 상기 공기 방출 지역(409a, 409b, 409c, 609c) 내의 과압과 상기 각각의 보관 체적(406a, 406b, 406c) 내의 공극(411a, 411b, 411c)의 과소압 사이의 압력차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조절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방출 지역(409a, 409b, 409c)은, 상기 수평 레일(110) 상의 컨테이너 취급 차량(401)이 상기 공기 방출 지역(409a, 409b, 409c) 바로 아래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거리에서, 상기 수평 레일(110) 위에 배열되는,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방출 지역(609c)은 상기 직립 부재(102)의 상부 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수평 레일(110) 아래에 배열되는,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벽(402)이 단열 재료를 포함하는,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 시스템(403)은 열 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열 교환기는 상기 입력부(404)로부터 끌어 당겨진 공기를 냉각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보관 체적(406a, 406b, 406c) 중 적어도 하나에 열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공극(411a, 411b, 411c)과 상기 제2 공기 댐퍼(410a, 410b, 410c) 사이에 배치된 팬(413a, 413b, 413c)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 시스템(403)이 팬-코일 유닛인,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체적(406a, 406b, 406c)의 각각이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414)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서 측정되는 온도를 기초로, 상기 제1 공기 댐퍼(408a, 408b, 408c)를 통한 공기 유동을 조정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2 공기 댐퍼(410a, 410b, 410c)를 통한 공기 유동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보관 체적(406a, 406b, 406c)과 상기 보관 체적(406a, 406b, 406c) 아래의 공극(411a, 411b, 411c) 사이에 제공된 복수의 통기 홀을 갖는 바닥(412)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통기 홀의 각각의 총 면적은 상기 공극(411a, 411b, 411c)으로부터의 공기와 연통되는 공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제2 공기 댐퍼(410a, 410b, 410c)까지 상기 통기 홀의 수평 거리가 멀어 질수록 증가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기 홀은 상기 보관 체적(406a, 406b, 406c)과 상기 보관 체적(406a, 406b, 406c)의 하부 단부에 위치되는 상기 공극(411a, 411b, 411c) 사이에 배열된 상기 바닥(412)을 형성하는 패널(500) 내의 복수의 천공부(501)에 의해서 제공되는,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공기 방출 지역(409a, 409b, 409c)은, 상기 공기 방출 지역(409a, 409b, 409c)을 각각의 이웃하는 공기 방출 지역(409a, 409b, 409c)으로부터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냉각기 시스템(403)의 출력부(405)를 상기 제1 공기 댐퍼(408a, 408b, 408c)의 각각과 연결하는 제1 공동 도관, 및 상기 제2 공기 댐퍼(410a, 410b, 410c)의 각각을 상기 냉각기 시스템(403)의 입력부(404)에 연결하는 제2 공동 도관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13. 제1항의 자동화된 그리드 기반의 보관 및 회수 시스템(1)에서 복수의 보관 체적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며:
    - 냉각된 공기를 상기 냉각기 시스템(403)의 출력부(405)를 통해서 제1 온도로 송풍하도록 상기 냉각기 시스템(403)을 조정하는 단계,
    - 상기 보관 체적 온도가, 해당 보관 체적 위의 공기 방출 지역(409a, 409b, 409c, 609c) 내의 공기 온도에 의해서 그리고 상기 공기 방출 지역(409a, 409b, 409c, 609c) 내의 과압과 각각의 보관 체적(406a, 406b, 406c)에 대한 해당 보관 체적(406a, 406b, 406c)과 연관된 공극(411a, 411b, 411c) 내의 과소압 사이의 압력차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조절되도록, 상기 복수의 보관 체적(406a, 406b, 406c)의 각각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해당 보관 체적(406a, 406b, 406c) 위의 공기 방출 지역(409a, 409b, 409c, 609c) 내의 과압 및 공기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제1 공기 댐퍼(408a, 408b, 408c)를 통한 공기 유동, 그리고 해당 보관 체적 아래의 공극(411a, 411b, 411c) 내의 과소압을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제2 공기 댐퍼(410a, 410b, 410c)를 통한 공기 유동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동을 상기 제1 공기 댐퍼(408a, 408b, 408c)로부터 상기 직립 부재(102)의 상부 단부에 인접한 상기 수평 레일(110) 아래에 배열된 공기 방출 지역(609c)으로 지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열을 상기 냉각기 시스템(403) 내의 열 교환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보관 체적(406a, 406b, 406c)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공극(411a, 411b, 411c) 내의 과소압을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공극(411a, 411b, 411c)과 상기 제2 공기 댐퍼(410a, 410b, 410c) 사이에 배치된 팬(413a, 413b, 413c)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해당 보관 체적(406a, 406b, 406c) 내의 온도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온도를 기초로 주어진 보관 체적(406a, 406b, 406c)에 대해서 상기 제1 공기 댐퍼(408a, 408b, 408c) 및 제2 공기 댐퍼(410a, 410b, 410c)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237020728A 2020-11-25 2021-11-19 자동화된 그리드 기반의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서 온도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112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20201296 2020-11-25
NO20201296A NO346415B1 (en) 2020-11-25 2020-11-25 System and method of temperature control in an automated grid bas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PCT/EP2021/082371 WO2022112137A1 (en) 2020-11-25 2021-11-19 System and method of temperature control in an automated grid bas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216A true KR20230111216A (ko) 2023-07-25

Family

ID=78790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0728A KR20230111216A (ko) 2020-11-25 2021-11-19 자동화된 그리드 기반의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서 온도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40002150A1 (ko)
EP (1) EP4251936A1 (ko)
JP (1) JP2023550770A (ko)
KR (1) KR20230111216A (ko)
CN (1) CN116568978A (ko)
CA (1) CA3197883A1 (ko)
NO (1) NO346415B1 (ko)
WO (1) WO20221121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9027A (en) * 2022-05-23 2023-11-29 Ocado Innovation Ltd Multi-temperature storag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442422A (ko) * 1941-08-09 1941-09-30
JPS6134086U (ja) * 1984-07-30 1986-03-01 日立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差圧通風冷却兼用減圧貯蔵装置
NO334806B1 (no) 2012-11-13 2014-06-02 Jakob Hatteland Logistics As Lagringssystem
NO335839B1 (no) 2012-12-10 2015-03-02 Jakob Hatteland Logistics As Robot for transport av lagringsbeholdere
NO338156B1 (no) * 2014-02-19 2016-08-01 Jakob Hatteland Logistics As Avkjølt lagringssystem
NO337544B1 (no) 2014-06-19 2016-05-02 Jakob Hatteland Logistics As Fjernstyrt kjøretøysammenstilling for å plukke opp lagringsbeholdere fra et lagringssystem
GB201509661D0 (en) * 2015-06-03 2015-07-15 Ocado Innovation Ltd Temperature controlled storage system
NO340341B1 (en) * 2016-01-14 2017-04-03 Autostore Tech As Method for retrieving items from a storage system and storage system for storing and retrieving bins
NO20170216A1 (en) 2017-02-13 2018-08-14 Autostore Tech As Rail arrangement for wheeled vehicles in a storag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97883A1 (en) 2022-06-02
NO346415B1 (en) 2022-07-11
CN116568978A (zh) 2023-08-08
US20240002150A1 (en) 2024-01-04
EP4251936A1 (en) 2023-10-04
NO20201296A1 (en) 2022-05-26
WO2022112137A1 (en) 2022-06-02
JP2023550770A (ja) 202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26411B2 (ja) 温度制御型貯蔵システム
US20220266077A1 (e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comprising a flow path extending through a plurality of stacked containers
KR20230111216A (ko) 자동화된 그리드 기반의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서 온도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230314059A1 (en) System and method of temperature control in an automated grid bas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20230324056A1 (en) System and method of circulating a gas in an automated grid bas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NO346303B1 (en) System and method of temperature control in an automated grid bas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NO20211511A1 (en) System and method of temperature control in an automated grid bas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WO2023110561A1 (en) An air flow control device, a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comprising such a device and a method for thermally managing air in a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