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065A -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 - Google Patents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065A
KR20230111065A KR1020220006820A KR20220006820A KR20230111065A KR 20230111065 A KR20230111065 A KR 20230111065A KR 1020220006820 A KR1020220006820 A KR 1020220006820A KR 20220006820 A KR20220006820 A KR 20220006820A KR 20230111065 A KR20230111065 A KR 20230111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anels
heat insulation
small
frameless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운
전태규
Original Assignee
전병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운 filed Critical 전병운
Priority to KR1020220006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1065A/ko
Priority to PCT/KR2023/000773 priority patent/WO2023136697A1/ko
Publication of KR20230111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06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4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sliding doors 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81Horizontally-sliding wings made of glass panes without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7Connector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9Glazing, e.g. vacuum gl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22Glazing, e.g. vaccum gl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의 상하부 레일을 따라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며 유리가 설치되는 별도의 문틀 없이 다복층의 유리패널 자체가 미서기문짝이 되도록 함으로써, 냉난방 효율 및 방음 효과를 극대화하고 가시면적 확장을 통한 심미적 효과는 물론, 재료비 절감 및 제작공정 단순화를 통한 인건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FRAMELESS TYPE DOUBLE SLIDING WINDOW STRUCTURE}
본 발명은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창틀의 상하부 레일을 따라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며 유리가 설치되는 별도의 문틀 없이 다복층의 유리패널 자체가 미서기문짝이 되도록 함으로써, 냉난방 효율 및 방음 효과를 극대화하고 가시면적 확장을 통한 심미적 효과는 물론, 재료비 절감 및 제작공정 단순화를 통한 인건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있어 창호는 실내와 실외를 분리시키는 외벽의 역할을 하며 태양광과 외부 공기의 유입통로가 된다. 또한, 사람에게 조망감과 개방감을 느끼게 해준다.
하지만, 이러한 창호를 통한 냉난방 에너지 효율은 단열벽체에 비하여 매우 비효율적이며 에너지 낭비가 심하다는 점에서, 건물 유지관리비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창호의 단열성능을 높이고자 코팅된 특수유리를 사용하고 복층유리 사이에 특수가스를 주입 후 알루미늄 또는 PVC 문틀에 적용시킨 이중창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창호는 복층유리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별도의 문틀이 구비되어야 하며, 이러한 문틀이 삽입되는 레일과 창문틀 사이를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복잡한 이중창 구조를 가져야 한다는 점에서, 창문 개폐가 불편하고 재료비 및 제작비가 증대되며, 단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개폐가 편리한 단일창 구조를 가지면서도 단열, 방음 및 방풍 효율이 뛰어나고, 재료 절감 및 제작공정 간소화 가능하도록 하는 본 기술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한국공개특허 10-2022-0000058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창틀의 상하부 레일을 따라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며 유리가 설치되는 별도의 문틀 없이 다복층의 유리패널 자체가 미서기문짝이 되도록 함으로써, 냉난방 효율 및 방음 효과를 극대화하고 가시면적 확장을 통한 심미적 효과는 물론, 재료비 절감 및 제작공정 단순화를 통한 인건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겹의 창문구조로 개폐가 편리하고 구조가 단순하여 재료비 및 창문의 제작 및 설치비가 절감될 수 있는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문틀을 제거함으로써 창문 자체를 경량화함은 물론, 가시면적 확장을 통한 시원한 개방감을 제공할 수 있는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는 서로 대향되도록 마련되는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 상기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단열 간극체(130) 및 상기 단열 간극체(130)의 하측에 마련되며, 창문틀(10)의 하부 레일을 따라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유리(110, 120)패널이 하부 레일을 따라 직선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 롤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열 간극체(130)는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에 의해 양측면이 폐쇄되어 진공상태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열 간극체(130)의 수직방향 크기는 창문틀(10)의 하부 레일 및 상부 레일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부 레일 및 상부 레일의 높이만큼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열 간극체(130)의 수평방향 크기는 창문틀(10)의 측면 레일에 간섭되지 않도록 측면 레일의 높이만큼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의 상하좌우면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단열 덮개(150) 및 상기 단열 덮개(150)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단열 덮개(150)를 커버하는 외부 덮개(1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의 하부면에 끼움 결합되는 단열 덮개(150)의 내측으로는 상기 이동 롤러(140)의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덮개(160)의 일측에는 하부 레일의 측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방풍 가스켓(161)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의 하부면과 상기 단열 덮개(150) 사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의 하부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유리 보호용 완충 패드(151)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 각각은 서로 대향 및 이격된 적어도 2장 이상의 제1 및 제2 소 유리패널(111, 12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복층 유리패널에 해당하며, 각각의 제1 소 유리패널(111) 사이에는 각각의 제1 소 유리패널(111)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제1 소 단열 간극체(170)가 개재되고, 또한 각각의 제2 소 유리패널(121) 사이에는 각각의 제2 소 유리패널(121)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제2 소 단열 간극체(180)가 개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소 단열 간극체(170, 180)는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가지며,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소 유리패널(111, 121)에 의해 양측면이 폐쇄되어 진공상태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의 상하좌우면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일체형 단열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일체형 단열 덮개의 내측으로는 상기 이동 롤러(140) 또는 창문틀(10)의 측면 레일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하부 레일의 측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방풍 가스켓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냉난방 효율 및 방음 효과를 극대화하고 가시면적 확장을 통한 심미적 효과는 물론, 재료비 절감 및 제작공정 단순화를 통한 인건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미서기창에 롤러와 가스켓 설치를 위한 별도의 틀이 제거됨에 따라 경량화가 가능하며, 이에 따른 재료비 절감 및 제작공정 단순화를 통한 인건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100)가 적용된 문틀 상부, 하부 및 측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및 제2 유리패널(210, 22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200)가 적용된 문틀 상부, 하부 및 측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300)가 적용된 문틀 상부, 하부 및 측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300) 중에서 다른 형태의 제2 유리패널(320)이 적용된 문틀 상부, 하부 및 측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4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1 및 제2 유리패널(410, 42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1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100)가 적용된 문틀 상부, 하부 및 측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100)는 크게 서로 대향되도록 마련되는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을 서로 이격시키며 중간에 단열을 위한 진공 공간을 형성하는 단열 간극체(130) 및 단열 간극체(130)의 하측에서 창문틀(10)의 하부 레일을 따라 회전하는 이동 롤러(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은 서로 대향되도록 마주보게 배치되며, 사이에는 단열 간극체(130)가 개재된다.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은 그 자체가 창문의 유리이면서 문틀을 대신하게 되며, 이는 통유리 형상이기 때문에 가시면적을 확장시켜 보다 넓은 시야 확보가 가능한 이점을 가지게 된다.
특히, 별도의 문틀 없이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 자체가 문틀을 대신하기 때문에, 냉난방 효율 및 방음 효과가 우수하게 되는 이점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 사이에는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면서,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에 의해 양측면이 폐쇄되어 진공상태가 되는 단열 간극체(130)가 개재된다.
단열 간극체(130)는 양면이 뚫린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에 의해 폐쇄되어 진공상태가 때문에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단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단열 간극체(130)는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을 이격시킴과 동시에 이격된 틈을 통해 후술되는 이동 롤러(140)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복잡한 고정 구조 없이도 이동 롤러(140)를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단열 간극체(130)는 창문틀(10)의 상하좌우에 각각 마련되는 상부 레일, 하부 레일 및 측면 레일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창문틀(10)의 측면부 레일이 돌출되지 않은 창문틀 구조의 경우, 단열 간극체(130)의 수직방향 크기는 창문틀(10)의 상부 레일 및 하부 레일에 간섭되지 않도록 각각 상부 레일 및 하부 레일의 돌출 높이만큼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의 상부에는 창문틀(10)의 상부 레일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고,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의 하부에는 창문틀(10)의 하부 레일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이동 롤러(140)가 수용되는 공간이 확보되는 것이다.
또한, 제1 유리패널(110)은 도 2에서와 같이 적어도 2장 이상의 제1 소 유리패널(111)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겹쳐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소 유리패널(111) 자체가 제1 유리패널(110)이 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유리패널(120)은 도 2에서와 같이 적어도 2장 이상의 제2 소 유리패널(121)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겹쳐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2 소 유리패널(121) 자체가 제2 유리패널(120)이 될 수도 있다.
적어도 2장 이상의 제1 소 유리패널(111) 사이에는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가지며 각 장의 제1 소 유리패널(111)을 이격시키는 제1 소 단열 간극체(170)가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2장 이상의 제2 소 유리패널(121) 사이에는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가지며 각 장의 제2 소 유리패널(121)을 이격시키는 제2 소 단열 간극체(180)가 개재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소 단열 간극체(170, 180)는 앞서 살펴본 단열 간극체(130)처럼 각 장의 소 유리패널을 이격시키면서 유리패널과 유리패널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점은 동일하지만, 각 장의 소 유리패널의 가장자리와 인접한 영역에 위치됨으로써 상부, 하부 혹은 측면부에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지는 않게 된다. 다만, 각 장의 소 유리패널의 가장자리와 최대한 인접한 영역에 위치됨으로써, 그만큼 더 많은 부피의 공기층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이 창문틀(10)에 적용된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a)는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이 적용된 창문틀(10)의 상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이 적용된 창문틀(10)의 하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c)는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이 적용된 창문틀(10)의 측면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3(a)를 살펴보면, 제1 유리패널(110)은 서로 다른 2장의 제1 소 유리패널(111)로 이루어지며, 이때 서로 다른 2장의 제1 소 유리패널(111) 사이에는 제1 소 단열 간극체(170)가 개재된다. 또한, 제2 유리패널(120)은 서로 다른 2장의 제2 소 유리패널(121)로 이루어지며, 이때 서로 다른 2장의 제2 소 유리패널(121) 사이에는 제2 소 단열 간극체(180)가 개재된다.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 사이에는 단열 간극체(130)가 개재되며, 이에 따라 단열 간극체(130)의 폭 만큼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 사이의 상부 공간이 확보되는 것이다. 상부 공간에는 창문틀(10)의 상부 레일이 수용될 수 있고, 단열 간극체(130)의 수직방향 크기가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의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상부 레일에 간섭되지 않는 것이다.
한편,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의 상측면에는 단열 덮개(150)가 끼움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열 덮개(150)는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의 가장자리의 충격을 보호하면서도, 각 장의 소 유리패널의 가장자리를 소 단열 간극체 방향으로 강하게 압박하여 줌으로써 밀봉력을 높이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과 단열 덮개(150) 사이에는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의 가장자리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유리 보호용 완충 패드(151)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의 운반, 설치 과정에서 바닥면에 놓이거나 천장에 부딪히더라도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의 가장자리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단열 덮개(150)의 외측에는 외부 덮개(160)가 끼움 결합된다.
외부 덮개(160)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되, 단열 덮개(150)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단열 덮개(150) 자체를 다시 한번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덮개(160)의 일측에는 창문틀(10)의 상부 레일의 측면부를 향하도록 방풍 가스켓(161)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과 창문틀(10)의 상부 사이 공간을 통해 공기 흐름이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냉난방 효율이 더욱 극대화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외부 덮개(160)의 가장자리와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이 서로 접하는 영역에는 실리콘 코킹처리가 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밀봉이 될 수 있다.
도 3(b)를 살펴보면, 도 3(b)는 앞서 살펴본 도 3(a)를 반대로 뒤집은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단열 덮개(150)와 하부 레일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는 이동 롤러(140)가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 롤러(140)는 단열 덮개(150)와 하부 레일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서, 단열 덮개(150)에 고정 설치 될 수 있으며, 하부 레일에 안착된 상태에서 하부 레일을 따라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은 하부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외부 덮개(160)의 일측에는 창문틀(10)의 하부 레일의 측면부를 향하도록 방풍 가스켓(161)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과 창문틀(10)의 하부 사이 공간을 통해 공기 흐름이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냉난방 효율이 더욱 극대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에 이동 롤러(140)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 수단이 불필요한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 자체를 창호로써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도 3(c)를 살펴보면, 현재 창문틀(10)의 측면에는 측면부 레일에 돌출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단열 간극체(130), 제1 및 제2 소 단열 간극체(170, 180)는 모두 각 장의 유리패널의 가장자리와 인접하게 위치하게 된다. 또한, 단열 덮개(150) 및 외부 덮개(160) 또한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의 가장자리와 인접하게 밀착된 형태이며, 별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지는 않는 것이다.
이때, 외부 덮개(160)에는 창문틀(10)의 측면부를 정면으로 향하도록 방풍 가스켓(161)이 마련된다. 따라서, 외부 덮개(160)와 창문틀(10)의 측면부가 우선 1차적으로는 밀착되면서 최대한 공기 흐름을 차단하게 되고, 다시 한번 방풍 가스켓(161)이 공기 흐름을 차단하여 냉난방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의 측면부에도 공간이 형성되는 구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2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및 제2 유리패널(210, 22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200)가 적용된 문틀 상부, 하부 및 측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 앞서 도 1 내지 도 3에서 살펴본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살펴보면, 도 5에서의 제1 및 제2 유리패널(210, 220)은 도 2에서의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과는 다르게 측면부에도 하부와 같이 측면부 공간이 확보된다. 측면부 공간에는 창문틀(10)의 측면부 레일이 수용될 수 있고, 단열 간극체(230)의 수평방향 크기가 제1 및 제2 유리패널(210, 220)의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측면부 레일에 간섭되지 않는 것이다.
도 6을 살펴보면, 도 6(a)는 제1 및 제2 유리패널(210, 220)이 적용된 창문틀(10)의 상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제1 및 제2 유리패널(210, 220)이 적용된 창문틀(10)의 하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c)는 제1 및 제2 유리패널(210, 220)이 적용된 창문틀(10)의 측면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앞서 살펴본 도 3(a) 및 도 3(b)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c)는 도 6(a)를 반시계 방향으로 90도로 틀어서 보는 것과 동일하다. 창문틀(10)에는 측면 레일이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된 측면 레일은 단열 덮개(25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수용됨으로써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때, 외부 덮개(260)와 창문틀(10)의 측면이 우선 1차적으로 밀착되면서 최대한 공기 흐름을 차단하게 되고, 다시 한번 방풍 가스켓(261)이 공기 흐름을 차단하여 냉난방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앞서 도 4 내지 도 6에서 살펴본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200)와 비슷하되, 단열 덮개(250) 및 외부 덮개(260)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일체형 단열 덮개가 적용된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3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3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300)가 적용된 문틀 상부, 하부 및 측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300) 중에서 다른 형태의 제2 유리패널(320)이 적용된 문틀 상부, 하부 및 측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경우, 앞서 도 4를 통해 살펴본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200)와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a)를 살펴보면, 제1 및 제2 유리패널(310, 320)의 상측면에는 일체형 단열 덮개가 끼움 결합된다.
일체형 단열 덮개는 앞서 살펴본 단열 덮개 및 외부 덮개를 하나로 일체화 한 형상으로써, 제1 및 제2 유리패널(310, 320)의 가장자리의 충격을 보호하면서도, 각 장의 소 유리패널의 가장자리를 소 단열 간극체 방향으로 강하게 압박하여 줌으로써 밀봉력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상부 레일의 측면부를 향하도록 방풍 가스켓이 마련됨에 따라 창문틀(10)의 상부 사이 공간을 통해 공기 흐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냉난방 효율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8(b)를 살펴보면, 도 8(b)는 앞서 살펴본 도 8(a)를 반대로 뒤집은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일체형 단열 덮개와 하부 레일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는 이동 롤러(34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동 롤러(340)는 일체형 단열 덮개와 하부 레일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서, 일체형 단열 덮개에 고정 설치 될 수 있으며, 하부 레일에 안착된 상태에서 하부 레일을 따라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유리패널(310, 320)은 하부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도 8(c)는 도 8(a)를 반시계 방향으로 90도로 틀어서 보는 것과 동일하다. 창문틀(10)에는 측면 레일이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 레일은 일체형 단열 덮개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수용됨으로써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때, 일체형 단열 덮개와 창문틀(10)의 측면이 우선 1차적으로 밀착되면서 최대한 공기 흐름을 차단하게 되고, 다시 한번 방풍 가스켓이 공기 흐름을 차단하여 냉난방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8에서 제1 및 제2 유리패널(310, 320) 중 어느 하나의 패널은 소 유리패널이 1장이 적용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를 살펴보면, 도 9는 도 8과 대부분 내용이 동일하며, 다만 제2 유리패널(320)이 제1 유리패널(310)과는 달리 1장의 소 유리패널로만 구성된다. 따라서, 일체형 단열 덮개 또한 그에 상응하도록 변형된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는 제1 및 제2 유리패널(310, 320)을 구성하는 각 장의 소 유리패널의 개수가 동일하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를 형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제2 유리패널(320)에 1장의 소 유리패널이 적용되더라도 제1 유리패널(310)에는 2장의 소 유리패널이 적용되기 때문에 냉난방 효율 및 단열 효과 또한 크게 저감되지 않는다.
다음으로는, 단열 간극체의 수직방향 크기 및 수평방향 크기가 모두 제1 및 제2 유리패널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하좌우 영역에 모두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구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4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1 및 제2 유리패널(410, 42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살펴보면, 도 10에서의 단열 간극체(430)의 수평방향 크기 및 수직방향 크기는 제1 및 제2 유리패널(410, 420)의 크기보다 모두 작도록 형성된다. 이 결과, 도 11과 같이, 단열 간극체(430)의 상하좌우 영역에 모두 공간이 확보(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단열 간극체(430)가 창문틀(10)의 상부 레일, 하부 레일 및 측면부 레일에 모두 간섭되지 않음을 의미하며, 외부 덮개 혹은 일체형 단열 덮개와 창문틀(10)의 측면이 우선 1차적으로 밀착되면서 최대한 공기 흐름을 차단하게 되고, 다시 한번 방풍 가스켓이 공기 흐름을 차단하여 냉나방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
110: 제1 유리패널
111: 제1 소 유리패널
120: 제2 유리패널
121: 제2 소 유리패널
130: 단열 간극체
140: 이동 롤러
150: 단열 덮개
151: 유리 보호용 완충 패드
160: 외부 덮개
161: 방풍 가스켓
170: 제1 소 단열 간극체
180: 제2 소 단열 간극체

Claims (10)

  1. 서로 대향되도록 마련되는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
    상기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단열 간극체(130); 및
    상기 단열 간극체(130)의 하측에 마련되며, 창문틀(10)의 하부 레일을 따라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유리(110, 120)패널이 하부 레일을 따라 직선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 롤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간극체(130)는,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에 의해 양측면이 폐쇄되어 진공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간극체(130)의 수직방향 크기는 창문틀(10)의 하부 레일 및 상부 레일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부 레일 및 상부 레일의 돌출 높이만큼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간극체(130)의 수평방향 크기는 창문틀(10)의 측면 레일에 간섭되지 않도록 측면 레일의 높이만큼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의 상하좌우면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단열 덮개(150); 및
    상기 단열 덮개(150)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단열 덮개(150)를 커버하는 외부 덮개(1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의 하부면에 끼움 결합되는 단열 덮개(150)의 내측으로는 상기 이동 롤러(140)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덮개(160)의 일측에는,
    창문틀(10)의 레일의 측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방풍 가스켓(161);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의 하부면과 상기 단열 덮개(150) 사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의 하부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유리 보호용 완충 패드(151);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 각각은,
    서로 대향 및 이격된 적어도 2장 이상의 제1 및 제2 소 유리패널(111, 12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복층 유리패널에 해당하며,
    각각의 제1 소 유리패널(111) 사이에는 각각의 제1 소 유리패널(111)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제1 소 단열 간극체(170)가 개재되고, 또한
    각각의 제2 소 유리패널(121) 사이에는 각각의 제2 소 유리패널(121)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제2 소 단열 간극체(180)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소 단열 간극체(170, 180)는,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가지며,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소 유리패널(111, 121)에 의해 양측면이 폐쇄되어 진공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리패널(110, 120)의 상하좌우면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일체형 단열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일체형 단열 덮개의 내측으로는 상기 이동 롤러(140) 또는 창문틀(10)의 측면 레일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하부 레일의 측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방풍 가스켓;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
KR1020220006820A 2022-01-17 2022-01-17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 KR2023011106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820A KR20230111065A (ko) 2022-01-17 2022-01-17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
PCT/KR2023/000773 WO2023136697A1 (ko) 2022-01-17 2023-01-17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820A KR20230111065A (ko) 2022-01-17 2022-01-17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065A true KR20230111065A (ko) 2023-07-25

Family

ID=87279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820A KR20230111065A (ko) 2022-01-17 2022-01-17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1065A (ko)
WO (1) WO202313669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058A (ko) 2020-06-25 2022-01-03 주식회사남선알미늄 단열성능이 향상된 단열창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92872B1 (it) * 2009-02-26 2012-04-02 Gsg Int Spa Anta per infisso scorrevole.
KR101259602B1 (ko) * 2012-09-18 2013-04-30 주식회사 혁신 고기밀성 단열 미서기 창틀
KR101413205B1 (ko) * 2012-10-10 2014-07-04 (주)두린 고정창 프레임
KR101508484B1 (ko) * 2014-03-07 2015-04-14 문수용 기밀성이 향상된 레일 은폐형 미서기창
KR102402693B1 (ko) * 2020-04-02 2022-05-25 주식회사 신일창호 창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058A (ko) 2020-06-25 2022-01-03 주식회사남선알미늄 단열성능이 향상된 단열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6697A1 (ko) 202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360B1 (ko) 단열성을 향상시킨 창호 시스템
KR101387586B1 (ko) 구조적인 강성과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프로젝트 풀다운 창호의 단열 샤시구조체
KR101094581B1 (ko) 시스템 창호
US7562743B2 (en) Acoustical window and door covering
KR102063537B1 (ko) 이종재질을 이용한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의 단열구조를 갖는 시스템 창호
RU2454522C2 (ru) Система раздвижных окон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KR101230032B1 (ko) 커튼월형 창호
US20160333633A1 (en) Panel and panel assembly
KR20230111065A (ko) 프레임 리스 미서기창 구조
KR102058920B1 (ko) 레일은폐형 창호에 설치되는 은폐판의 단열구조
CN1156640C (zh) 使用再生苯乙烯泡沫板制造的合成窗体
US20110078960A1 (en) Partitioning Wall Consisting of Transparent Wall Elements
KR101583722B1 (ko) 다중 레일 고기밀성 창호
KR102381470B1 (ko) 단열 성능을 향상시킨 이중 내진 창호
KR20200095629A (ko) 건식 공법을 외단열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JP3111380B2 (ja) スライディングサッシ
KR20150019076A (ko) 창호용 미들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창호 프레임
US4537000A (en) Thermal insulating window for application in curtain walls
JP4292580B2 (ja) ダブルスキンファサード構造
KR101712171B1 (ko) 방풍 세이프 캐스터를 구비한 복층유리 도어용 프로파일 및 그를 구비한 복층유리 도어
KR20220013883A (ko) 이중 단열 방화 유리문
JP2003120136A (ja) 複層ガラス障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1510781A (ja) 保護プロファイルを備える開放可能ガラス構造
JP2008075267A (ja) 断熱性に優れた開口部装置
JP6636762B2 (ja) 日射熱制御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