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0435A - 방향 전환 밸브 - Google Patents

방향 전환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0435A
KR20230110435A KR1020220038977A KR20220038977A KR20230110435A KR 20230110435 A KR20230110435 A KR 20230110435A KR 1020220038977 A KR1020220038977 A KR 1020220038977A KR 20220038977 A KR20220038977 A KR 20220038977A KR 20230110435 A KR20230110435 A KR 20230110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valve
ball member
cove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7168B1 (ko
Inventor
이창훈
노의동
안찬식
이기룡
오형석
김어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to KR1020220038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168B1/ko
Publication of KR20230110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0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1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626Easy mounting or dismoun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4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provided with casings o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63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multiple 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12Covers f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663Packings
    • F16K5/0689Packings between housing and plu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과 분해가 쉽고 간단하며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부품 사이의 밀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 전환 밸브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밸브 바디와, 상기 밸브 바디에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밸브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밸브 바디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하나 이상의 유입포트와, 유체가 배출되는 하나의 이상의 배출포트와,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배출포트를 연결하되 상면을 통해 개방되는 챔버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밸브 커버에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볼 부재와, 상기 볼 부재를 플로팅 지지하는 한 쌍의 시트와, 상기 시트에 의해 플로팅 지지된 상기 볼 부재를 회전시키는 샤프트가 일체로 결합된다.

Description

방향 전환 밸브{DIRECTION SWITCH VALVE}
본 발명은 방향 전환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공조 모드에 따라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방향 전환 밸브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탑승자에게 쾌적한 승차감을 제공하기 위한 공기조화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공기조화장치는 자동차의 실내 또는 실외의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한 후 실내로 유입 또는 순환시킴으로써 실내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한다.
통상의 공기조화장치는 압축기의 구동에 의하여 토출되는 냉매가 응축기, 리시버 드라이어,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거쳐 다시 압축기로 순환하는 과정에서 증발기에 의한 열교환을 통해 냉방 또는 난방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는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방향 전환 밸브가 구비된다.
방향 전환 밸브는, 입력 포트 및 한 쌍의 출력 포트가 마련된 밸브 바디와, 상기 밸브 바디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볼과, 외부에서 인가된 신호에 따라 상기 볼을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방향 전환 밸브는 볼을 지지하는 방식에 의해 플로팅 타입(floating type)과 트러니언 타입(trunnion type)으로 구분되고, 볼의 삽입 방식에 따라 탑 엔트리 타입(top entry type)과 사이드 엔트리 타입(side entry type)으로 구분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2242542호(2021.04.20.)에는 볼이 시트에 의해 플로팅 타입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볼을 밸브 본체의 상부를 통해 조립된 볼이 시트에 의해 지지되는 탑 엔트리 플로팅 타입의 볼 밸브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볼 밸브는 한 쌍의 시트를 밸브 본체에 장착한 상태에서 볼을 압입하여 조립해야 하므로 밸브의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지 못하며 유지와 보수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볼 밸브는 볼을 압입하는 과정에서 밸브 본체와 시트 사이에 개재된 밀봉씰이 과도하게 눌려 찢어지거나 파손되어 밀봉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242542호(2021.04.20.)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립과 분해가 쉽고 간단하며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부품 사이의 밀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 전환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방향 전환 밸브는, 밸브 바디와, 상기 밸브 바디에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밸브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밸브 바디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하나 이상의 유입포트와, 유체가 배출되는 하나의 이상의 배출포트와,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배출포트를 연결하되 상면을 통해 개방되는 챔버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밸브 커버에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볼 부재와, 상기 볼 부재를 플로팅 지지하는 한 쌍의 시트와, 상기 시트에 의해 플로팅 지지된 상기 볼 부재를 회전시키는 샤프트가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밸브 커버는, 상기 밸브 바디의 상면에 밀착되는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챔버에 삽입되는 커버 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챔버는 바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며,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기 챔버와 대응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커버 하우징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통 블록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하우징은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각 블록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상기 밸브 바디와의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씰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시트와의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링이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볼 부재, 시트 및 샤프트가 밸브 커버에 일체로 결합되어 조립과 분해가 쉽고 간단하며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 바디와 커버 하우징 사이, 그리고 커버 하우징과 시트 사이에 밀봉씰과 밀봉링이 각각 마련되어 부품 사이의 밀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 전환 밸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 전환 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 전환 밸브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 전환 밸브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 전환 밸브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 전환 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 전환 밸브의 종단면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 전환 밸브(10)는, 밸브 바디(100)와, 밸브 바디(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밸브 커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밸브 바디(10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이다.
밸브 바디(100)의 전면과 후면에는 유입포트(110)가 형성되고, 양 측면에는 제1배출포트(120)와 제2배출포트(130)가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는 유입포트(110)와 제1 및 제2배출포트(120,130)를 연결하는 챔버(140)가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포트(110)는 밸브 바디(100)의 전면과 후면으로 개방되되 밸브 바디(100)의 하부로도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도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챔버(140)는 후술할 볼 부재(240), 시트(250), 밀봉링(260) 및 샤프트(270) 등을 포함하는 밸브 커버(200)가 탑 엔트리 타입(top entry type)으로 조립되도록 밸브 바디(100)의 상면을 통해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챔버(140)는 밸브 커버(200)의 조립과 분해가 쉽고 간단하도록 바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의 챔버(140)는 바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통 홈 형상을 갖는다.
밸브 커버(200)는, 밸브 바디(100)의 상면에 밀착되는 커버 플레이트(210)와, 챔버(140)에 삽입되는 커버 하우징(220)으로 이루어진다.
커버 하우징(220)은 커버 플레이트(210)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된 원통 블록 형상, 즉 챔버(140)에 삽입되어 밀착될 수 있도록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원통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커버 하우징(220)의 전면과 후면에는 유입포트(110)와 연결되는 유입구(222)가 형성되고, 양 측면에는 제1배출포트(120)와 연결되는 제1배출구(224) 및 제2배출포트(130)와 연결되는 장착공(226)이 형성된다. 즉, 유입구(222), 제1배출구(224) 및 장착공(226)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 하우징(220)의 내부에는 유입구(222), 제1배출구(224) 및 장착공(226)을 연결하는 작동 챔버(228)이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222)는 커버 하우징(220)의 전면과 후면으로 개방되되 커버 하우징(220)의 하부로도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도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전술한 작동 챔버(228)의 내부에는 볼 부재(240), 시트(250) 및 밀봉링(260)이 설치되며, 상기 부품들은 장착공(226)을 통해 사이드 엔트리 타입(side entry type)으로 조립된다.
이를 위하여, 장착공(226)은 볼 부재(24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장착공(226)에는 상기 부품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플러그(230)이 결합된다. 이때, 플러그(230)에는 제2배출포트(130)와 연결되는 제2배출구(232)가 형성된다.
볼 부재(240)는 유입포트(110)와 유입구(222)를 통해 유입된 유체의 흐름을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볼 부재(240)은 하단 일부가 절단된 반구(hemisphere) 형상을 가지며, 챔버(140)의 바닥에서 이격되도록 한 쌍의 시트(250)에 의해 플로팅(floating) 지지된다.
이와 같이, 볼 부재(240)를 반구 형상으로 제작하고 챔버(140)의 바닥에서 이격되게 설치할 경우, 커버 하우징(220)의 전면과 후면으로 개방된 유입구(22)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볼 부재(240)의 절단된 하면에는 유입통로(242)가 형성되고, 일 측면에는 유입통로(242)와 연결된 배출통로(244)가 형성되며, 배출통로(244)의 일측에는 팽창슬롯(246)이 형성된다.
팽창슬롯(246)을 배출통로(244)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줄어들거나 깊이가 감소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볼 부재(240)의 회전 시 배출통로(244)의 개방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볼 부재(240)의 상부에는 키홈(248)이 형성된다. 키홈(248)은 볼 부재(24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미도시)의 샤프트(270)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일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 형상을 갖는다.
시트(250)는 볼 부재(240)를 회전 가능하게 플로팅(floating) 지지하는 수단이다. 시트(250)는, 작동 챔버(228)의 제1배출구(224) 측에 구비되는 제1시트(252)와, 작동 챔버(228)의 제2배출구(226) 측에 구비되는 제2시트(254)로 구성된다.
제1시트(252)와 제2시트(254)는 환형으로 형성되되, 볼 부재(24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면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제1시트(252)와 제2시트(254)의 둘레에는 커버 하우징(220)과의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링(260)이 구비된다.
전술한 제1시트(252)는 커버 하우징(220)에 형성된 제1안착홈(229)에 삽입되고, 제2시트(254)는 플러그(230)에 형성된 제2안착홈(234)에 삽입되며, 밀봉링(260)은 시트(252,254)와 안착홈(229,234) 사이에 각각 개재된다.
한편, 커버 하우징(220)의 외주면에는 밸브 바디(100)와의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씰(280)이 구비된다.
밀봉씰(280)은, 커버 하우징(220)의 상단 외주면을 감싸는 환형의 제1밀봉씰(282)과, 제1배출구(224)와 장착공(226)을 각각 감싸는 U자 형상의 제2밀봉씰(284)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2밀봉씰(284)의 일부, 즉 유입구(112)와 제1배출구(224) 사이, 유입구(222)와 장착공(226)의 사이에 위치된 제2밀봉씰(284)의 일부는 평행하게 배열된 2중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 전환 밸브(30)는, 밸브 바디(300)와, 밸브 바디(3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밸브 커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밸브 바디(30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이다.
밸브 바디(300)의 하면에는 유입포트(310)가 형성되고, 양 측면에는 제1배출포트(320)와 제2배출포트(330)가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는 유입포트(310)와 제1 및 제2배출포트(320,330)를 연결하는 챔버(340)가 형성된다.
챔버(340)는 후술할 볼 부재(440), 시트(450), 밀봉링(460) 및 샤프트(470) 등을 포함하는 밸브 커버(400)가 탑 엔트리 타입(top entry type)으로 조립되도록 밸브 바디(300)의 상면을 통해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챔버(340)는 밸브 커버(400)의 조립과 분해가 쉽고 간단하도록 바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의 챔버(340)는 바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각의 홈 형상을 갖는다.
밸브 커버(400)는, 밸브 바디(400)의 상면에 밀착되는 커버 플레이트(410)와, 챔버(440)에 삽입되는 커버 하우징(420,430)으로 이루어진다.
커버 하우징(420,430)은 커버 플레이트(410)의 하면에 구비된 사각 블록 형상, 즉 챔버(340)에 삽입되어 밀착될 수 있도록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사각 블록 형상을 갖는다.
상술한 커버 하우징(420,430)은, 커버 플레이트(410)와 일체로 형성된 제1플레이트(420)와, 커버 플레이트(4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43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플레이트(420)와 제2플레이트(430) 사이에는 볼 부재(440), 시트(450) 및 밀봉링(460)이 설치된다.
제1플레이트(420)는 커버 플레이트(410)의 하면에서 연장된 판재 형상이고, 제2플레이트(430)는 볼 부재(440), 시트(450) 및 밀봉링(460)을 감싸는 앵글 형상이다. 이때, 제1플레이트(420)의 외측면(422)과 제2플레이트(430)의 외측면(432)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경사면(422,432)에는 삽입홈(424,434)이 형성되며, 삽입홈(424,434)에는 밸브 바디(300)와의 밀봉을 위한 밀봉씰(426,436)이 삽입된다.
커버 하우징(420,430)의 하면에는 유입포트(310)와 연결되는 유입구(482)가 형성되고, 양 측면(제1 및 제2플레이트(420,430))에는 제1 및 제2배출포트(320,330)와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배출구(484,486)이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 하우징(420)의 내부에는 유입구(482), 제1 및 제2배출구(484,486)를 연결하는 작동 챔버(488)이 형성된다.
전술한 작동 챔버(488)의 내부에는 볼 부재(440), 시트(450) 및 밀봉링(460)이 설치되며, 상기 부품들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430)에 의해 사이드 엔트리 타입(side entry type)으로 조립된다.
이를 위하여, 제1플레이트(420)는 커버 플레이트(410)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2플레이트(430)는 볼트(B)와 지그(J)를 통해 커버 플레이트(4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플레이트(420)와 제2플레이트(430)의 결합 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사각 블록 형상이 된다.
볼 부재(440)는 유입포트(110)와 유입구(222)를 통해 유입된 유체의 흐름을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볼 부재(240)은 하단 일부가 절단된 반구(hemisphere) 형상을 가지며, 챔버(140)의 바닥에서 이격되도록 한 쌍의 시트(250)에 의해 플로팅(floating) 지지된다.
상술한 볼 부재(440)의 절단된 하면에는 유입통로(442)가 형성되고, 일 측면에는 유입통로(442)와 연결된 배출통로(444)가 형성되며, 배출통로(444)의 일측에는 팽창슬롯(446)이 형성된다.
팽창슬롯(446)을 배출통로(444)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줄어들거나 깊이가 감소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볼 부재(440)의 회전 시 배출통로(444)의 개방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볼 부재(440)의 상부에는 키홈(448)이 형성된다. 키홈(448)은 볼 부재(44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미도시)의 샤프트(470)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일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 형상을 갖는다.
시트(450)는 볼 부재(440)를 회전 가능하게 플로팅(floating) 지지하는 수단이다. 시트(450)는, 작동 챔버(488)의 제1배출구(484) 측에 구비되는 제1시트(452)와, 작동 챔버(488)의 제2배출구(486) 측에 구비되는 제2시트(454)로 구성된다.
제1시트(452)와 제2시트(454)는 환형으로 형성되되, 볼 부재(44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면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제1시트(452)와 제2시트(454)의 둘레에는 커버 하우징(420)과의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링(460)이 구비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방향 전환 밸브 100: 밸브 바디
200: 밸브 커버 110: 유입포트
120: 제1배출포트 130: 제2배출포트
140: 챔버 200: 밸브 커버
210: 커버 플레이트 220: 커버 하우징
230: 플러그 240: 볼 부재
250: 시트 260: 밀봉링
270: 샤프트 280: 밀봉씰

Claims (22)

  1. 유체가 유입되는 하나 이상의 유입포트, 유체가 배출되는 하나의 이상의 배출포트 및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배출포트를 연결하되 일면을 통해 개방되는 챔버가 형성된 밸브 바디; 및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볼 부재와, 상기 볼 부재를 플로팅 지지하는 한 쌍의 시트와, 상기 시트에 의해 플로팅 지지된 상기 볼 부재를 회전시키는 샤프트가 구비된 밸브 커버를 포함하는 방향 전환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 커버는, 상기 밸브 바디의 상면에 밀착되는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챔버에 삽입되는 커버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챔버는 바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이며,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기 챔버와 대응되는 테이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밸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에는, 상기 유입포트와 연결되는 유입구와, 상기 배출포트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배출구와, 상기 배출포트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장착공과, 상기 유입구, 상기 제1배출구 및 상기 장착공을 연결하며 상기 볼 부재와 상기 시트가 설치되는 작동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볼 부재와 상기 시트는 상기 장착공을 통해 상기 작동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공에는 상기 제2배출구가 형성된 플러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밸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과 상기 시트 사이, 그리고 상기 플러그와 상기 시트 사이에는 밀봉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밸브.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유입포트와 대응되는 상기 커버 하우징의 측면 또는/및 하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밸브.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구와 상기 장착공은 상기 커버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 상기 제1배출구 및 상기 장착공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밸브.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밀봉씰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밸브.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밀봉씰은, 상기 커버 하우징의 상단 외주면을 감싸는 환형의 제1밀봉씰과, 상기 제1배출구와 상기 장착공을 각각 감싸는 U자 형상의 제2밀봉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밸브.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밀봉씰은 적어도 일부가 평행하게 배열된 2중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밸브.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통 블록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밸브.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볼 부재는 하단 일부가 절단된 반구 형상이고,
    상기 챔버의 바닥에서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밸브.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볼 부재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통로와,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통로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배출통로의 개방량을 조절하기 위한 팽창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밸브.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은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볼 부재와 상기 시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밸브.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밸브.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하면에서 연장된 판재 형상이고,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볼 부재와 상기 시트를 감싸는 앵글 형상이며,
    상기 제1플레이트의 외측면과 상기 제2플레이트의 외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밸브.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에는, 상기 유입포트와 연결되는 유입구와, 상기 배출포트와 연결되는 배출구와, 상기 볼 부재와 상기 시트가 설치되는 작동 챔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밸브.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시트 사이, 그리고 상기 제2플레이트와 상기 시트 사이에는 밀봉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밸브.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경사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밀봉씰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밸브.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은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각 블록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밸브.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볼 부재는 하단 일부가 절단된 반구 형상이고,
    상기 챔버의 바닥에서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밸브.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볼 부재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통로와,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통로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배출통로의 개방량을 조절하기 위한 팽창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밸브.
  2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커버는 상기 밸브 바디의 개방된 일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 밸브.
KR1020220038977A 2022-01-14 2022-03-29 방향 전환 밸브 KR102607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977A KR102607168B1 (ko) 2022-01-14 2022-03-29 방향 전환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206A KR102603398B1 (ko) 2022-01-14 2022-01-14 방향 전환 밸브
KR1020220038977A KR102607168B1 (ko) 2022-01-14 2022-03-29 방향 전환 밸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206A Division KR102603398B1 (ko) 2022-01-14 2022-01-14 방향 전환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0435A true KR20230110435A (ko) 2023-07-24
KR102607168B1 KR102607168B1 (ko) 2023-11-30

Family

ID=874284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206A KR102603398B1 (ko) 2022-01-14 2022-01-14 방향 전환 밸브
KR1020220038977A KR102607168B1 (ko) 2022-01-14 2022-03-29 방향 전환 밸브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206A KR102603398B1 (ko) 2022-01-14 2022-01-14 방향 전환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033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50086A (zh) * 2023-12-26 2024-01-26 江苏海澄水工机械有限公司 一种可变容量式的高扬程潜水排污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1701A (ja) * 1997-11-07 1999-05-28 Oka Valve Seizo Kk カートリッジ式のボールバルブ
KR20170014778A (ko) * 2015-07-31 2017-02-0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체가 용이한 모듈식 탑 엔트리 타입 볼 밸브
KR102242542B1 (ko) 2020-05-06 2021-04-20 티에스모스트 주식회사 볼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77043B2 (ja) * 2015-02-18 2019-09-18 ベラ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Velan Inc. ボール−本体空洞内で流れを引き起すマルチポートボールバルブ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1701A (ja) * 1997-11-07 1999-05-28 Oka Valve Seizo Kk カートリッジ式のボールバルブ
KR20170014778A (ko) * 2015-07-31 2017-02-0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체가 용이한 모듈식 탑 엔트리 타입 볼 밸브
KR102242542B1 (ko) 2020-05-06 2021-04-20 티에스모스트 주식회사 볼 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50086A (zh) * 2023-12-26 2024-01-26 江苏海澄水工机械有限公司 一种可变容量式的高扬程潜水排污泵
CN117450086B (zh) * 2023-12-26 2024-03-12 江苏海澄水工机械有限公司 一种可变容量式的高扬程潜水排污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7168B1 (ko) 2023-11-30
KR20230110427A (ko) 2023-07-24
KR102603398B1 (ko) 202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2278B1 (ko) 차량의 열펌프 시스템용 밸브
US10675938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09287913A (ja) 膨張弁、ヒートポンプ式冷凍サイクル及び空気調和機
KR20230110435A (ko) 방향 전환 밸브
US20100307607A1 (en) Reversing valve
JP2012031877A (ja) 多方向切換弁
MX2011002404A (es) Valvula de expansion con igualacion de fuerza.
JP4056378B2 (ja) 差圧弁
JP5572807B2 (ja) 制御弁および車両用冷暖房装置
CN100436905C (zh) 流路控制阀
JP2022085869A (ja) 冷媒回路の制御のための多方向弁
US10967701B2 (en) Air conditioner
CN115750908A (zh) 电动阀以及冷冻循环系统
WO2006090678A1 (ja) 絞り装置および流量制御弁ならびにこれを組み込んだ空気調和装置
JP2008101733A (ja) 差圧式調整弁及び空気調和装置
WO2019115555A1 (en) Valve arrangement for an operation mode selector
KR20230113471A (ko) 냉매 제어 밸브
KR20230113470A (ko) 냉매 제어 밸브
KR20230116107A (ko) 냉매 제어 밸브
JP2005256853A (ja) 流路切換弁
KR20230078866A (ko) 냉매 전환 밸브
KR10170570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12002282A (ja) 三方電磁弁
JPH06281024A (ja) 四方切換弁
JP2008051147A (ja) 流量制御弁およびこれを組み込んだ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