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0062A - 상태 감지 모듈, 가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 - Google Patents

상태 감지 모듈, 가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0062A
KR20230110062A KR1020220006113A KR20220006113A KR20230110062A KR 20230110062 A KR20230110062 A KR 20230110062A KR 1020220006113 A KR1020220006113 A KR 1020220006113A KR 20220006113 A KR20220006113 A KR 20220006113A KR 20230110062 A KR20230110062 A KR 20230110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uide
power device
space
c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20006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0062A/ko
Priority to PCT/KR2023/000662 priority patent/WO2023136657A1/ko
Publication of KR20230110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00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7Stationary installation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Abstract

상태 감지 모듈, 가이드 부재 및 이들을 포함하는 전력 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태 감지 모듈은 외부의 프레임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내부에 위치되어, 외부의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전력 장치 모듈의 온도를 감지하게 구성되는 케이블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을 형성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타측을 형성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겹쳐지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면 중 상기 제1 플레이트를 향하는 일 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부재를 수용하는 결합 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태 감지 모듈, 가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Condition sensing module, guide member and power device include the same}
본 발명은 상태 감지 모듈, 가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 장치 모듈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용이하게 구비될 수 있고, 감지된 정보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구조의 상태 감지 모듈, 가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는 물리적 매체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저장하는 장치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에너지 저장 장치는 잉여 전력을 저장하였다가 수요 발생시 저장된 전력을 외부에 공급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너지 저장 장치를 활용할 경우, 정전과 같은 상황의 발생이 최소화되고, 전력 요금의 절감이 가능하다.
최근 신재생 에너지 등 지속 가능한 성장이 주목받으며, 에너지 저장 장치의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즉, 신재생 에너지의 경우 태양광, 풍력 등 불규칙적으로 발전이 이루어지므로, 발전 시점과 수요 발생 시점이 상이하다. 이에. 신재생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발전된 전력을 저장하고 필요시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장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에너지 저장 장치는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특히, 장치의 소형화 및 용이한 운용에 유리한 배터리(battery)가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 요소로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배터리는 다양한 전기적 소자들을 포함한다. 상기 전기적 소자들이 작동됨에 따라, 배터리에서는 열이 발생된다. 배터리가 과열될 경우 상기 전기적 소자들이 오작동될 염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 등의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 또한 존재한다.
이에, 에너지 저장 장치에는 온도 등 배터리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된다. 센서가 감지한 정보는 작업자에게 다양한 형태로 전달되어, 배터리의 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지하기 위해 활용된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625327호는 광파이버 온도 센서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광파이버를 수용하는 극박의 시트를 포함하여, 협소 범위에서 복수의 위치의 온도를 상시 감시할 수 있는 광파이버 온도 센서를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광파이버 온도 센서는 온도 측정 대상물이 기 설치된 후 추가 설치됨을 전제한다. 즉, 상기 선행문헌에 따를 경우, 온도 측정 대상물이 설치될 때 광파이버 온도 센서가 수용되는 공간이 확보되어야만 한다. 이에 따라 설치 진행시 고려될 사항이 증가되므로, 신속하고 원활한 설치가 어려워질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0812742호는 2차 전지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지 셀의 각 온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FBG(Fiber Brag Grating) 센서를 가지는 광 섬유를 구비한 셀 온도 감지 유닛을 이용하여 전지 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2차 전지를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2차 전지 역시 셀 온도 감지 유닛은 전지 셀이 기 설치됨을 전제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은 적층된 셀의 온도를 감지하게 구성될 뿐, 2차 전지 자체가 적층 배치될 경우 이들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625327호 (2016.05.27.)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0812742호 (2008.03.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부재에 대한 정보 감지가 용이한 구조의 상태 감지 모듈, 가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가 용이한 구조의 상태 감지 모듈, 가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감지된 정보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는 구조의 상태 감지 모듈, 가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부재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의 상태 감지 모듈, 가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장 가능한 전력량의 변경이 용이한 구조의 상태 감지 모듈, 가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의 프레임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내부에 위치되어, 외부의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전력 장치 모듈의 온도를 감지하게 구성되는 케이블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을 형성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타측을 형성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겹쳐지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면 중 상기 제1 플레이트를 향하는 일 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부재를 수용하는 결합 공간부를 포함하는, 상태 감지 모듈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결합 공간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와 연속되며,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상태 감지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 및 상기 만곡부는 복수 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연장부 및 복수 개의 상기 만곡부는 서로 교번적으로 연속되는, 상태 감지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플레이트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전력 장치 모듈에서 발생된 열을 전달받은 공기가 유동되는 유동 홀을 포함하는, 상태 감지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 홀은 복수 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유동 홀은 서로 이격되되 상기 결합 공간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태 감지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열전도성(thermal conductivity) 소재로 형성되는, 상태 감지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 모서리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결합 공간부의 단부와 연통되는 연통공을 포함하는, 상태 감지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통공에 수용되며, 상기 케이블 부재와 결합되는 커넥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부재는, 상기 커넥터 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결합 공간부에 수용되는 제1 케이블 부재; 및 상기 플레이트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커넥터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케이블 부재와 통전되는 제2 케이블 부재를 포함하는, 상태 감지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부재는, 광 섬유를 소재로 하여 제작되는 광 케이블로 구비되는, 상태 감지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게 구성되는 케이블 부재를 수용하는 가이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몸체; 상기 가이드 몸체 및 외부의 프레임과 각각 결합되는 결합 부재; 및 상기 가이드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케이블 부재를 권취(winding)하는 권취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몸체는, 상기 가이드 공간의 일부를 둘러싸며, 외부의 상기 프레임을 향해 위치되는 제1 면; 및 상기 가이드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면을 마주하게 배치되며, 외부의 상기 프레임에 반대되게 위치되는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은 열절연성(heat insulation) 소재로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몸체는, 상기 제1 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여 상기 케이블 부재가 관통되는 가이드 연통공; 및 상기 제2 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통과되는 가이드 개구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연통공은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 연통공은 상기 권취 부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공간에 수용되며, 상게 제1 면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공간과 상기 권취 부재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케이블 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복수 개로 구획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전력 장치 모듈의 온도를 감지하게 구성되는 복수 개의 상태 감지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전력 장치 모듈은 구획된 상기 수용 공간 중 어느 하나의 수용 공간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수용 공간을 하측에서 둘러싸는 상기 상태 감지 모듈에 안착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수용 공간을 상측 및 하측에서 둘러싸는 한 쌍의 상기 상태 감지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태 감지 모듈은 상기 전력 장치 모듈의 온도를 감지하게 구성되는, 전력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태 감지 모듈은,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전력 장치 모듈의 온도를 감지하게 구성되는 케이블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측을 형성하며, 상기 전력 장치 모듈이 안착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을 형성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겹쳐지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부재를 수용하는 결합 공간부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장치 모듈은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전력 장치 모듈은 구획된 복수 개의 상기 수용 공간에 각각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고, 복수 개의 상기 수용 공간을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둘러싸는 한 쌍의 상기 상태 감지 모듈 중, 상기 전력 장치 모듈의 상측에 위치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상태 감지 모듈이 상기 전력 장치 모듈의 온도를 감지하게 구성되는, 전력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블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에 수용되어, 상기 전력 장치 모듈의 온도를 감지하게 구성되는 제1 케이블 부재; 및 상기 제1 케이블 부재와 결합되어 통전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에 위치되어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게 구성되는 제2 케이블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케이블 부재를 수용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력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케이블 부재를 수용하는 가이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몸체; 상기 가이드 몸체와 상기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 및 상기 가이드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제2 케이블 부재를 권취(winding)하는 권취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몸체는, 상기 프레임을 향해 위치되는 제1 면; 및 상기 가이드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면을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에 반대되게 위치되는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은 열절연성(heat insulation) 소재로 형성되는, 전력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몸체는, 상기 제1 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2 케이블 부재가 관통되는 가이드 연통공; 및 상기 제2 면에 관통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가이드 공간을 향해 통과되는 가이드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태 감지 모듈, 가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는 복수 개의 부재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먼저, 온도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케이블 부재를 포함하는 상태 감지 모듈은 프레임에 기 결합된다. 상태 감지 모듈은 복수 개 구비되어, 프레임의 내부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수용 공간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즉, 상태 감지 모듈은 수용 공간에 선반(shelf)의 형태로 구비된다.
전력 기기에는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전력 장치 모듈이 구비된다. 전력 장치 모듈은 상태 감지 모듈에 의해 구획된 복수 개의 수용 공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삽입될 수 있다. 수용 공간에 수용된 전력 장치 모듈은 해당 수용 공간을 둘러싸는 상태 감지 모듈 중 하측에 위치되는 상태 감지 모듈에 안착된다. 수용된 전력 장치 모듈의 상측 또한 그 상측에 위치되는 상태 감지 모듈에 지지된다.
따라서, 전력 장치 모듈이 구획된 수용 공간에 인입되는 것만으로도, 전력 장치 모듈의 온도가 감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전력 장치 모듈이 구비되는 경우에도, 복수 개의 수용 공간을 각각 둘러싸는 복수 개의 상태 감지 모듈에 의해 복수 개의 전력 장치 모듈의 온도가 용이하게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태 감지 모듈, 가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는 설치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력 장치 모듈은 인입 또는 인출의 형태로 수용 공간에 수용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전력 장치 모듈이 인입 또는 인출됨에 따라, 복수 개의 전력 장치 모듈이 서로 통전될 수 있다.
또한, 전력 장치 모듈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복수 개로 구획하는 상태 감지 모듈은 프레임에 기 구비된다. 즉, 전력 장치 모듈이 프레임에 수용되는 과정만으로 전력 기기가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기기의 구성 과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태 감지 모듈, 가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는 감지된 정보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태 감지 모듈은 수용 공간을 복수 개로 구획한다. 복수 개의 수용 공간에는 전력 장치 모듈이 각각 수용된다. 복수 개의 상태 감지 모듈 중 구획된 수용 공간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한 쌍의 상태 감지 모듈은 해당 수용 공간에 수용된 전력 장치 모듈을 상측 및 하측에서 둘러싼다.
구획된 수용 공간에 수용된 전력 장치 모듈은 한 쌍의 상태 감지 모듈 중 하측에 위치되는 상태 감지 모듈에 안착된다. 또한, 한 쌍의 상태 감지 모듈 중 상측에 위치되는 상태 감지 모듈은 전력 장치 모듈을 상측에서 둘러싼다. 즉, 한 쌍의 상태 감지 모듈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전력 장치 모듈의 온도를 감지하게 구성된다.
한편, 케이블 부재는 상태 감지 모듈의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 케이블 부재 및 가이드 부재에 수용되는 제2 케이블 부재를 포함한다. 제1 케이블 부재는 전력 장치 모듈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전력 장치 모듈의 온도를 감지하게 구성된다.
제2 케이블 부재는 전력 장치 모듈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공간에 수용된다. 가이드 공간은 외부와 연통되어, 제2 케이블 부재는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게 구성된다. 이때, 가이드 부재의 면 중 전력 장치 모듈을 향하는 면은 열절연성 소재로 형성되어, 전력 장치 모듈에서 전달되는 열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케이블 부재는 전력 장치 모듈의 온도를, 제2 케이블 부재는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게 구성되어, 감지된 온도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태 감지 모듈, 가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는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부재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력 장치 모듈의 온도를 감지하게 구성되는 제1 케이블 부재는 플레이트의 내부에 수용된다. 제1 케이블 부재는 플레이트의 내부에 함몰 형성된 결합 공간부에 삽입되어, 임의로 요동되거나 플레이트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게 구성되는 제2 케이블 부재는 가이드 부재의 내부에 수용된다. 제2 케이블 부재는 가이드 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는 권취 부재에 권취되어, 가이드 부재의 내부에 산개되지 않는다.
더 나아가, 가이드 부재의 내부에는 제2 케이블 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구비된다. 지지 부재는 제2 케이블 부재를 그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부재의 내면에 유지시킨다.
제1 케이블 부재 및 제2 케이블 부재는 커넥터 부재에 의해 결합, 통전된다. 즉, 제1 케이블 부재 및 제2 케이블 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환경에 의한 케이블 부재의 손상 가능성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태 감지 모듈, 가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는 저장 가능한 전력의 용량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은 복수 개의 상태 감지 모듈에 의해 복수 개로 구획된다. 구획된 복수 개의 수용 공간에는 복수 개의 전력 변환 모듈이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전력 변환 모듈이 수용 공간에 수용되면, 버스바 등의 부재에 의해 복수 개의 전력 변환 모듈이 서로 통전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에 결합되는 전력 변환 모듈의 개수를 조정하는 것만으로도 전력 기기가 저장 가능한 전력의 용량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기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력 기기의 전력 장치 모듈과 상태 감지 모듈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력 기기에 상태 감지 모듈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 감지 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상태 감지 모듈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상태 감지 모듈을 도시하는 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전력 기기에 구비되는 가이드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가이드 부재를 도시하는 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가이드 부재를 도시하는 개방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가 있을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연통"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연통은 관로, 파이프, 배관 등의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전류 또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은 도선 부재 등에 의한 유선의 형태 또는 블루투스, Wi-Fi, RFID 등의 무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통전은 전자기파의 형태로 정보를 전달하는 광 케이블이 서로 정보 전달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도 1, 도 2,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기기(10)의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기기(10)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기기(10)는 인출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전력 장치 모듈(11)을 포함한다.
또한,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기기(10)는 상태 감지 모듈(200)을 포함하여, 삽입 결합된 전력 장치 모듈(11)의 상태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감지될 수 있다. 감지된 정보는 외부의 단말(미도시) 등으로 전달되어, 작업자가 전력 기기(10)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전력 기기(10)는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된다. 전력 기기(10)에 구비되는 전력 장치 모듈(11)은 외부의 전원에 의해 충전되어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기기(10)는 외부의 부하에 저장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전력 기기(10)는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되어, 전력을 전달하거나 전달받을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의 연장 길이가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길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사각기둥 형상이다. 상기 형상은 전력 기기(10)의 외형을 구성하는 프레임(10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력 기기(10)는 전력 장치 모듈(11), 제어 모듈(12), 프레임(100), 상태 감지 모듈(200) 및 가이드 부재(300)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전력 기기(10)의 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상태 감지 모듈(200) 및 가이드 부재(300)는 별항으로 설명한다.
전력 장치 모듈(11)은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되어, 전력을 전달받거나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 장치 모듈(11)은 외부의 전원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전력 장치 모듈(11)은 배터리 팩(battery pack)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전력 장치 모듈(11)은 탈거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후술될 바와 같이, 전력 장치 모듈(11)은 전력 기기(10)의 프레임(100)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에 의해, 전력 장치 모듈(11)은 외부의 상기 전원 또는 상기 부하와 통전될 수 있다.
전력 장치 모듈(11)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전력 장치 모듈(11)은 각각 전력을 저장하되, 전력 기기(10)에 결합되어 서로 통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전은 전력 장치 모듈(11)이 프레임(100)에 삽입되어 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 개의 전력 장치 모듈(11)을 통전시키기 위한 버스바(busbar)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기기(10)는 전력 장치 모듈(11)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상태 감지 모듈(200)이 기 구비되고, 전력 장치 모듈(11)이 이에 인접하게 배치되게 구성된다. 즉, 달리 표현하면, 전력 장치 모듈(11)의 삽입 결합만으로 전력 장치 모듈(11)의 상태가 감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장치 모듈(11)의 설치 후 상태 감지 모듈(200)을 설치하는 추가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력 기기(10)의 제조 및 구성 과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전력 장치 모듈(11)은 제어 모듈(12)과 통전된다.
제어 모듈(12)은 전력 장치 모듈(1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인가한다. 또한, 제어 모듈(12)은 전력 장치 모듈(11)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를 감지하게 구성된다. 일 예로, 제어 모듈(12)은 전력 장치 모듈(11)의 충전 상태, 즉 전력 장치 모듈(11)에 저장된 전력량 등을 감지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모듈(12)은 외부에 노출된 다양한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어 모듈(12)의 전방 측에는 작업자가 제어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다양한 버튼(button), 다이얼(dial) 등이 구비된다.
제어 모듈(12)은 전력 장치 모듈(11)과 통전된다. 전력 장치 모듈(11)이 복수 개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제어 모듈(12)은 복수 개의 전력 장치 모듈(11)과 각각 통전될 수 있다.
제어 모듈(12)은 정보의 입력, 연산, 출력 및 저장이 가능한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 모듈(12)은 CPU,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등의 정보 처리를 위한 부재와, RAM, ROM, SSD, HDD, SD Card 등 정보의 저장을 위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모듈(12)은 외부의 단말(미도시)과 통전된다. 제어 모듈(12)이 감지한 정보는 외부의 단말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외부의 단말(미도시)을 통해 제어 모듈(12)에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전력 장치 모듈(11) 및 제어 모듈(12)은 탈거 가능하게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프레임(100)은 전력 기기(10)의 외형을 형성한다.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전력 장치 모듈(11) 및 제어 모듈(12)이 인출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100)은 상태 감지 모듈(200)과 결합된 상태로 구비된다. 일 실시 예에서, 프레임(100)은 상태 감지 모듈(200)과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장치 모듈(11) 또는 제어 모듈(12)을 삽입 결합하는 것만으로도, 전력 기기(10)의 구성이 완료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프레임(100)은 전력 장치 모듈(11) 및 제어 모듈(12)을 인출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태 감지 모듈(200) 및 가이드 부재(300)와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100)은 전력 기기(10)의 외형과 같이, 전후 방향의 연장 길이가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길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사각기둥 형상이다.
프레임(100)은 경량이면서도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된 전력 장치 모듈(11) 및 제어 모듈(1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프레임(100)은 강철 합금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100)은 제1 프레임(110), 제2 프레임(120), 커버(130), 수용 공간(140) 및 가이드 결합부(150)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110)은 프레임(100)의 일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을 형성한다. 제1 프레임(110)은 프레임(100)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프레임(110)은 커버(13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프레임(11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제1 커버(131)와 결합된다. 제1 프레임(110)의 연장 방향의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제2 커버(132)와 결합된다.
제1 프레임(110)은 가이드 결합부(150)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프레임(110)은 그 폭 방향의 일측, 즉 전방 측이 가이드 결합부(150)와 결합된다.
제1 프레임(11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프레임(110)은 프레임(100)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프레임(110)은 한 쌍 구비되어,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복수 개의 제1 프레임(110)이 이격되어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는 수용 공간(140)과 연통된다.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력 장치 모듈(11) 또는 제어 모듈(12)이 전력 기기(10)에 삽입되거나 전력 기기(10)에서 인출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은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제2 프레임(120)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2 프레임(120)은 프레임(100)의 다른 일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형성한다. 제2 프레임(120)은 프레임(100)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제2 프레임(120)은 제1 프레임(110)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이 이해될 것이다.
제2 프레임(120)은 커버(13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2 프레임(12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제1 커버(131)와 결합된다. 제2 프레임(120)의 연장 방향의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제2 커버(132)와 결합된다.
제2 프레임(12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프레임(120)은 프레임(100)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프레임(120)은 한 쌍 구비되어,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복수 개의 제2 프레임(120)이 이격되어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은 수용 공간(140)과 연통된다.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력 장치 모듈(11) 또는 제어 모듈(12)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력 장치 모듈(11) 또는 제어 모듈(12)을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시키기 위한 도선 부재(미도시) 등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20)은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제1 프레임(110)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커버(130)는 프레임(100)의 또다른 일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의 외측을 형성한다. 커버(130)는 프레임(100)의 높이 방향의 각 단부에 위치된다.
커버(130)는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덮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커버(130)는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140) 중 가장 상측에 위치되는 수용 공간(140) 및 가장 하측에 위치되는 수용 공간(140)을 덮게 배치된다.
커버(1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커버(130)는 프레임(100)의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130)는 제1 커버(131) 및 제2 커버(132)를 포함하여 한 쌍 구비된다. 한 쌍의 커버(130), 즉 제1 커버(131) 및 제2 커버(132)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커버(130)는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커버(130)는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커버(131)는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의 상측 단부와 각각 결합된다. 또한, 제2 커버(132)는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의 하측 단부와 각각 결합된다.
복수 개의 커버(130), 즉 제1 커버(131) 및 제2 커버(132)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은 수용 공간(140)으로 정의된다.
수용 공간(140)은 전력 장치 모듈(11) 및 제어 모듈(12)을 수용하는 공간이다. 전력 장치 모듈(11) 및 제어 모듈(12)은 인출 가능하게 수용 공간(140)에 삽입될 수 있다.
수용 공간(140)은 제1 프레임(110), 제2 프레임(120) 및 커버(130)에 둘러싸여 정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용 공간(140)의 전방 측은 제1 프레임(110)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수용 공간(140)의 후방 측은 제2 프레임(120)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또한, 수용 공간(140)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은 제1 커버(131)에, 하측은 제2 커버(132)에 둘러싸인다.
수용 공간(140)은 외부와 연통된다. 전력 장치 모듈(11) 및 제어 모듈(12)은 수용 공간(140)이 외부와 연통되는 부분을 통해 수용 공간(140)에 수용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력 장치 모듈(11) 및 제어 모듈(12)은 수용 공간(140)의 전방 측을 통해 수용 공간(140)에 수용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수용 공간(140)에 수용된 전력 장치 모듈(11) 및 제어 모듈(12)은 외부와 연통되는 부분을 통해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용 공간(140)에 수용된 전력 장치 모듈(11) 및 제어 모듈(12)은 수용 공간(140)의 후방 측을 통해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될 수 있다.
수용 공간(140)은 프레임(100)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용 공간(140)은 전후 방향의 연장 길이가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길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수용 공간(140)은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구획은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상태 감지 모듈(200)에 달성된다.
구체적으로, 수용 공간(140)은 상태 감지 모듈(200)에 의해 그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공간에는 복수 개의 전력 장치 모듈(11) 또는 제어 모듈(12)이 각각 인출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구획된 수용 공간(140)은 상태 감지 모듈(200)에 의해 그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및 하측이 둘러싸이게 된다.
따라서, 수용 공간(140)에 수용된 복수 개의 전력 장치 모듈(11) 또는 제어 모듈(12)은 수용 공간(140)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상태 감지 모듈(200)에 의해 그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이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이때, 구획된 복수 개의 수용 공간(140) 중 가장 상측에 위치되는 수용 공간(140)의 상측은 제1 커버(131)에 의해, 가장 하측에 위치되는 수용 공간(140)의 하측은 제2 커버(132)에 의해 둘러싸임이 이해될 것이다.
가이드 결합부(150)는 가이드 부재(300)가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가이드 결합부(150)는 프레임(100)의 연장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치우쳐 위치된다.
가이드 결합부(150)는 제1 프레임(110)과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결합부(150)는 제1 프레임(110)의 폭 방향의 일 단부, 즉 전방 측 단부에 결합된다.
가이드 결합부(150)는 제1 프레임(110)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결합부(15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가이드 결합부(15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이드 결합부(150)는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의 제1 프레임(11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결합부(150)는 제1 가이드 결합부(151) 및 제2 가이드 결합부(152)를 포함하여 한 쌍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가이드 결합부(151)는 좌측에 위치되는 제1 프레임(110)에 결합된다. 또한, 제2 가이드 결합부(152)는 우측에 위치되는 제1 프레임(110)에 결합된다.
가이드 결합부(150)는 가이드 부재(300)와 결합되어 이를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결합부(150)는 가이드 부재(3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부재(300)는 가이드 결합부(1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프레임(100)의 전방 측 또는 후방 측에 치우치게 위치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태 감지 모듈(200)의 설명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기기(10)는 상태 감지 모듈(200)을 포함한다.
상태 감지 모듈(200)은 전력 기기(10)에 구비되어, 전력 장치 모듈(11)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게 구성된다. 상태 감지 모듈(200)이 감지하는 정보에는 온도에 대한 정보, 습도에 대한 정보, 누설 전류에 대한 정보 등 전력 장치 모듈(11)의 상태를 유추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태 감지 모듈(200)은 전력 장치 모듈(11) 및 그 주변 환경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상태 감지 모듈(200)은 온도 센서로 기능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태 감지 모듈(200)은 광 섬유 형태로 형성된 케이블 부재(220)를 이용하여 전력 장치 모듈(11) 및 그 주변 환경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광 섬유를 이용하여 온도에 대한 정보가 감지되는 과정은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태 감지 모듈(200)은 프레임(10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전력 장치 모듈(11) 또는 제어 모듈(12)이 구비되기 전, 상태 감지 모듈(200)은 프레임(100)과 기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태 감지 모듈(200)은 프레임(100)에 고정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태 감지 모듈(200)은 선반(shelf)의 형태로 프레임(100)에 결합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력 장치 모듈(11) 또는 제어 모듈(12)이 프레임(100)에 결합된 후, 상태 감지 모듈(200)을 결합하기 위한 후행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기기(10)를 구성하기 위한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태 감지 모듈(20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태 감지 모듈(200)은 프레임(100)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태 감지 모듈(200)은 수용 공간(140)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상태 감지 모듈(200)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복수 개의 상태 감지 모듈(200) 중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태 감지 모듈(200) 사이에는 구획된 복수 개의 수용 공간(140) 중 어느 하나가 위치된다.
즉, 구획된 각 수용 공간(140)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태 감지 모듈(200)에 의해 그 높이 방향이 둘러싸인다. 달리 표현하면, 한 쌍의 상태 감지 모듈(200)은 구획된 어느 하나의 수용 공간(14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이때, 상태 감지 모듈(200)은 수용 공간(140)에 수용된 전력 장치 모듈(11)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전력 장치 모듈(11)에서 발생된 열 및 이에 따른 온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태 감지 모듈(200)은 그 하측에 위치되는 전력 장치 모듈(11)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전력 장치 모듈(11)에서 발생된 열을 전달받은 공기가 상승되는 경향이 있음을 고려하면, 상태 감지 모듈(200)은 그 하측에 위치되는 전력 장치 모듈(11)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태 감지 모듈(20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태 감지 모듈(200)은 플레이트(210), 케이블 부재(220) 및 커넥터 부재(23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210)는 상태 감지 모듈(200)의 몸체를 형성한다. 플레이트(210)는 상태 감지 모듈(200)의 외측의 일부를 형성한다. 플레이트(210)는 상태 감지 모듈(200)이 프레임(100)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플레이트(210)는 수용 공간(140)에 수용된다. 플레이트(210)는 수용 공간(140)에 수용된 전력 장치 모듈(11) 또는 제어 모듈(12)을 지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 장치 모듈(11) 또는 제어 모듈(12)은 플레이트(210)에 안착되어, 그 하측이 지지될 수 있다.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플레이트(210)는 판 형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210)는 전후 방향의 연장 길이가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길고,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게 형성된다. 플레이트(210)의 형상은 프레임(100) 및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14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플레이트(210)는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된 전력 장치 모듈(11) 또는 제어 모듈(1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플레이트(210)는 열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인접하게 위치되는 전력 장치 모듈(11) 또는 제어 모듈(12)에서 발생된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받고, 이를 이용하여 연산된 온도에 대한 정보의 정확성이 향상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210)는 구리(Cu) 또는 구리(Cu)가 포함된 합금 등의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210)의 내부에는 케이블 부재(220)가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210)의 내부에는 제1 케이블 부재(221)가 수용된다. 제1 케이블 부재(221)는 플레이트(210)의 외부로 임의 노출되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210)는 제1 플레이트(211), 제2 플레이트(212), 결합 공간부(213), 연통공(214) 및 유동 홀(215)을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211)는 플레이트(210)의 외형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플레이트(211)는 플레이트(210)의 상측 부분을 형성한다.
제1 플레이트(211)는 제2 플레이트(212)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플레이트(211)는 제2 플레이트(212)의 내부에 함몰 형성된 결합 공간부(213) 및 이에 수용된 제1 케이블 부재(221)를 덮으며 제2 플레이트(212)와 결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플레이트(211)의 면 중 제2 플레이트(212)를 향하는 면, 즉 하측 면에는 결합 공간부(213)에 상응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미도시)에는 제1 케이블 부재(221)의 일 부분,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1)는 플레이트(210)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플레이트(211)는 전후 방향의 연장 길이가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길고,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는 사각 판형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플레이트(211)의 형상은 제2 플레이트(212)의 형상과 같을 수 있다.
도면 부호가 부여되지는 않았으나, 제1 플레이트(211)에는 연통공(214)의 일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플레이트(211)의 전방 측에는 연통공(214)의 상측 부분이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커넥터 부재(230)의 일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부분은 제1 플레이트(211)에 형성된 연통공(214)에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1)는 수용 공간(140)에 수용된 전력 장치 모듈(11) 또는 제어 모듈(12)의 하측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플레이트(211)는 전력 장치 모듈(11) 또는 제어 모듈(12)의 하측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전력 장치 모듈(11) 또는 제어 모듈(12)에서 발생된 열이 최소한으로 손실되며 제1 플레이트(211)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플레이트(211)에 덮이는 케이블 부재(220)에 의해 연산되는 온도에 대한 정보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1)는 제2 플레이트(212)와 결합된다.
제2 플레이트(212)는 플레이트(210)의 외형의 다른 일부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플레이트(212)는 플레이트(210)의 하측 부분을 형성한다.
제2 플레이트(212)는 제1 플레이트(211)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2 플레이트(212)는 그 내부에 형성된 결합 공간부(213) 및 이에 수용된 제1 케이블 부재(221)가 덮이도록 제1 플레이트(211)와 결합된다.
제2 플레이트(212)는 플레이트(210)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플레이트(212)는 전후 방향의 연장 길이가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길고,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는 사각 판형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플레이트(212)와 제1 플레이트(211)가 같은 형상을 갖게 형성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제2 플레이트(212)는 수용 공간(140)에 수용된 전력 장치 모듈(11)의 상측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플레이트(212)는 전력 장치 모듈(11)의 상측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전력 장치 모듈(11)에서 발생된 열이 최소한으로 손실되며 제2 플레이트(212)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플레이트(212)에 덮이는 케이블 부재(220)에 의해 연산되는 온도에 대한 정보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12)의 내부에는 결합 공간부(213)가 함몰 형성된다. 또한, 제2 플레이트(212)의 모서리에는 결합 공간부(213)와 연통되는 연통공(214)이 형성된다. 더 나아가, 제2 플레이트(212)의 내부에는 그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유동 홀(215)이 관통 형성된다.
결합 공간부(213)는 케이블 부재(220)의 일 부분이 결합되는 부분이다. 결합 공간부(213)는 제2 플레이트(212)의 내부에 함몰 형성된다. 결합 공간부(213)는 제2 플레이트(212)의 면 중 제1 플레이트(211)를 향하는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면에 함몰 형성된다.
결합 공간부(213)의 함몰 거리는 제2 플레이트(212)의 두께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공간부(213)는 제2 플레이트(212)의 두께 방향으로 외부에 임의 노출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결합 공간부(213)에 수용된 케이블 부재(220) 또한 외부에 임의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플레이트(211)에도 결합 공간부(213)에 상응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케이블 부재(220)는 제1 플레이트(211) 및 제2 플레이트(212)에 각각 형성된 상기 홈 및 결합 공간부(213)에 각각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결합 공간부(213)는 제2 플레이트(212)의 내부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연장 형성된 결합 공간부(213)의 각 단부는 연통공(214)과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공간부(213)는 제2 플레이트(212)의 전방 측에 두 개의 단부가 형성된다. 상기 두 개의 단부는 한 쌍의 연통공(214)과 각각 연통된다.
대안적으로, 결합 공간부(213)의 각 단부는 제2 플레이트(212)의 다른 모서리에 위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결합 공간부(213)의 각 단부는 제2 플레이트(212)의 다른 모서리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라도, 결합 공간부(213)에 수용된 제1 케이블 부재(221)가 연통공(214)에 수용되는 커넥터 부재(230)와 결합될 수 있으면 족하다.
따라서, 제1 케이블 부재(221)는 한 쌍의 연통공(214) 중 어느 하나의 연통공(214) 및 한 개의 단부를 통해 결합 공간부(213)으로 진입될 수 있다. 제1 케이블 부재(221)는 결합 공간부(213)를 따라 연장되어, 한 쌍의 연통공(214) 중 다른 하나의 연통공(214) 및 다른 한 개의 단부를 통해 결합 공간부(213)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결합 공간부(213)는 수용된 제1 케이블 부재(221)의 손상이 방지되며, 수용된 제1 케이블 부재(221)와 제2 플레이트(212)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고, 수용된 제1 케이블 부재(221)의 길이가 증가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공간부(213)는 연장부(213a) 및 만곡부(213b)를 포함한다.
연장부(213a)는 결합 공간부(213)의 부분 중 일 방향을 따라 곧게 연장되는 부분이다. 또한, 만곡부(213b)는 결합 공간부(213)의 부분 중 소정의 곡률을 형성하며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소정의 곡률은 만곡부(213b)에 수용된 제1 케이블 부재(221)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충분히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213a)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장부(213a)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부분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여덟 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만곡부(213b)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두 개의 부분 및 좌우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일곱 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연장부(213a) 및 만곡부(213b)는 다른 연장부(213a) 또는 다른 만곡부(213b)와 연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연장부(213a)는 만곡부(213b)와 연속된다. 또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여덟 개의 연장부(213a) 또한 만곡부(213b)와 연속된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장부(213a)와 만곡부(213b)는 교번적으로 연속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결합 공간부(213)는 연장부(213a) 없이 만곡부(213b)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라도, 결합 공간부(213)에 수용된 제1 케이블 부재(221)의 손상이 방지되고, 제1 케이블 부재(221)가 가능한 한 길게 연장되어, 제2 플레이트(212)와의 접촉 면적이 극대화될 수 있으면 족하다.
연통공(214)은 제1 케이블 부재(221)가 결합 공간부(213)에 수용되어 결합 공간부(213)를 따라 연장되기 위한 통로로 기능된다. 연통공(214)은 결합 공간부(213), 구체적으로, 결합 공간부(213)의 단부와 연통된다.
연통공(214)은 제2 플레이트(212)의 모서리 중, 결합 공간부(213)의 단부가 위치되는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공간부(213)의 각 단부는 제2 플레이트(212)의 전방 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바, 연통공(214) 또한 제2 플레이트(212)의 전방 측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연통공(214)은 제2 플레이트(212)의 상기 모서리,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모서리에 함몰 형성된다. 연통공(214)은 제2 플레이트(212)가 길게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통공(214)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는 외부와 연통된다. 연통공(214)의 연장 방향의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는 결합 공간부(213)와 연통된다.
연통공(214)은 결합 공간부(213)와 연통되고, 커넥터 부재(230)를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통공(214)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서, 연통공(214)의 일부는 제1 플레이트(211)에, 연통공(214)의 다른 일부는 제2 플레이트(21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연통공(214)의 상기 일부 및 상기 다른 일부는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갖게 형성되어, 제1 플레이트(211) 및 제2 플레이트(212)가 결합됨에 따라 연통공(214)이 원통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통공(214)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연통공(214)은 결합 공간부(213)의 복수 개의 단부와 각각 연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통공(214)은 한 쌍 형성되어, 제2 플레이트(212)의 폭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 케이블 부재(221)는 한 쌍의 연통공(214)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결합 공간부(213)으로 진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블 부재(221)는 한 쌍의 연통공(214) 중 다른 하나를 통해 결합 공간부(213)에서 배출될 수 있다.
연통공(214)에는 커넥터 부재(230)가 수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연통공(214)에는 커넥터 부재(230)가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연통공(214)이 복수 개 형성되는 실시 예에서, 각 연통공(214)에는 복수 개의 커넥터 부재(230)가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유동 홀(215)은 전력 장치 모듈(11)에서 발생된 열을 전달받은 공기가 유동되는 통로이다. 전력 장치 모듈(11)은 발생된 열을 상기 공기에 전달하며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가 상태 감지 모듈(200)의 내부에서 유동됨에 따라, 전력 장치 모듈(11)의 온도에 대한 정보가 신속하게 감지될 수 있다.
유동 홀(215)은 제2 플레이트(212)에 형성된다. 유동 홀(215)은 제2 플레이트(212)의 면 중 제1 플레이트(211)에 반대되는 타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면에 함몰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유동 홀(215)은 제2 플레이트(212)의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동 홀(215)이 제2 플레이트(212)에 관통 형성되는 실시 예에서, 유동 홀(215)은 제1 플레이트(211)에도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플레이트(211) 및 제2 플레이트(212)에 각각 형성된 유동 홀(215)은 서로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1 플레이트(211) 및 제2 플레이트(212)가 결합되면, 각 플레이트(211, 212)에 형성된 유동 홀(215)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유동 홀(215)은 전력 장치 모듈(11)과 열교환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동 홀(215)은 원형의 단면을 갖고 제2 플레이트(212)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원통 형상의 공간이다.
유동 홀(215)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유동 홀(215)은 제2 플레이트(212)의 내부에 산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동 홀(215)은 제2 플레이트(212)의 전방 측 모서리에 인접하게, 네 개 형성된다. 네 개의 유동 홀(215)은 제2 플레이트(212)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유동 홀(215)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유동 홀(215)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결합 공간부(213)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유동 홀(215)은 결합 공간부(213)와 충분히 이격되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동 홀(215)과 결합 공간부(213)가 지나치게 인접하게 위치될 경우, 제2 플레이트(212)의 강성이 저하될 염려가 있음에 기인한다.
따라서, 유동 홀(215)은 결합 공간부(213)의 형상 및 배치 방식에 따라 그 개수 및 배치 방식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 부재(220)는 전력 장치 모듈(11) 또는 제어 모듈(12) 및 이들이 위치되는 환경의 온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실질적으로 수행한다. 케이블 부재(220)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대한 정보는 제어 모듈(12) 또는 외부의 단말(미도시)에 전달될 수 있다. 케이블 부재(220)는 제어 모듈(12) 또는 외부의 단말(미도시)과 통전된다.
케이블 부재(220)는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제어 모듈(12) 또는 외부의 단말(미도시)에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부재(220)는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형성되어, 형상 변형되며 결합 공간부(213)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케이블 부재(220)는 광 섬유(optical fiber)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케이블 부재(2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케이블 부재(220)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210)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케이블 부재(220)는 서로 통전될 수 있다.
광 섬유의 형태로 구비된 케이블 부재(220)가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를 제어 모듈(12) 또는 외부의 단말(미도시)에 전달하는 과정은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케이블 부재(220)의 일부는 플레이트(210)에 결합되어 전력 장치 모듈(11) 또는 제어 모듈(12)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케이블 부재(220)의 나머지 일부는 플레이트(210)의 외부에 위치되어, 전력 기기(10)가 배치되는 환경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케이블 부재(220)는 제1 케이블 부재(221) 및 제2 케이블 부재(222)를 포함한다.
제1 케이블 부재(221)는 케이블 부재(220)의 상기 일부, 즉, 플레이트(210)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제1 케이블 부재(221)는 플레이트(210)로 전달된 열, 즉 전력 장치 모듈(11) 또는 제어 모듈(12)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게 구성된다.
제1 케이블 부재(221)는 제2 플레이트(212)의 내부에 형성된 결합 공간부(213)에 삽입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 공간부(213)는 적어도 한 개의 만곡부(213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공간부(213)는 복수 개의 연장부(213a) 및 복수 개의 만곡부(213b)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에, 제1 케이블 부재(221) 또한 상응되게 복수 개의 연장부 및 복수 개의 만곡부를 포함하게 형상 변형되어 결합 공간부(213)에 수용될 수 있다.
상술한 다른 실시 예, 즉 제1 플레이트(211)에도 결합 공간부(213)가 형성되는 실시 예에서, 제1 케이블 부재(221)는 제1 플레이트(211) 및 제2 플레이트(212)에 각각 형성된 결합 공간부(213)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케이블 부재(221)의 각 단부는 연통공(214)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케이블 부재(221)의 각 단부는 커넥터 부재(230)와 결합, 통전되며 연통공(214)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케이블 부재(221)는 제2 케이블 부재(222)와 통전된다. 제1 케이블 부재(221) 및 제2 케이블 부재(222)는 커넥터 부재(230)에 의해 결합, 연통된다.
제2 케이블 부재(222)는 케이블 부재(220)의 상기 나머지 일부, 즉 플레이트(210)의 외측에 위치되는 부분이다. 제2 케이블 부재(222)는 전력 장치 모듈(11) 또는 제어 모듈(12)의 외부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게 구성된다.
제2 케이블 부재(222)의 일부는 가이드 부재(300)에 수용, 권취되고, 제2 케이블 부재(222)의 나머지 일부는 플레이트(210) 및 가이드 부재(300)의 외부에 위치된다.
제2 케이블 부재(222)는 가이드 부재(300)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즉, 도 9를 더 참조하면, 제2 케이블 부재(222)는 어느 하나의 가이드 연통공(314)을 통해 가이드 공간(313)으로 연장된 후, 다른 가이드 연통공(314)을 통해 가이드 공간(313)에서 외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2 케이블 부재(222)의 대부분은 가이드 부재(300)에 수용되어, 외부로 임의 노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외부 환경에 의한 케이블 부재(22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케이블 부재(222)는 가이드 부재(3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권취 부재(320)에 권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케이블 부재(222)가 엉키거나 외부에 임의 노출되지 않고 가이드 부재(30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제2 케이블 부재(222)의 각 단부는 연통공(214)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케이블 부재(222)의 각 단부는 커넥터 부재(230)와 결합, 통전되며 연통공(214)에 수용될 수 있다.
커넥터 부재(230)는 플레이트(210) 및 케이블 부재(220)와 각각 결합되어 이들을 지지한다. 특히, 커넥터 부재(230)는 제1 케이블 부재(221) 및 제2 케이블 부재(222)와 각각 결합되어 통전된다. 이에 따라, 제1 케이블 부재(221) 및 제2 케이블 부재(222)가 커넥터 부재(230)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서로 통전될 수 있다.
커넥터 부재(230)는 플레이트(21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커넥터 부재(230)는 플레이트(210)에 함몰 형성된 연통공(214)에 삽입 결합된다.
커넥터 부재(230)는 제1 케이블 부재(221)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커넥터 부재(230)에는 제1 케이블 부재(221)의 단부가 삽입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커넥터 부재(230)는 제1 케이블 부재(221)와 통전될 수 있다.
커넥터 부재(230)는 제2 케이블 부재(222)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커넥터 부재(230)에는 제2 케이블 부재(222)의 단부가 삽입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커넥터 부재(230)는 제2 케이블 부재(222)와 통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 부재(230)는 플레이트(210)와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케이블 부재(221) 및 제2 케이블 부재(222)를 서로 결합, 통전시킬 수 있다.
커넥터 부재(2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커넥터 부재(230)는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 배치된 복수 개의 연통공(214)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커넥터 부재(230)는 제1 케이블 부재(221)의 복수 개의 단부 및 제2 케이블 부재(222)의 복수 개의 단부와 각각 결합, 통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넥터 부재(230)는 제1 커넥터(231) 및 제2 커넥터(232)를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제1 커넥터(231)는 제2 플레이트(212)의 연장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에 치우쳐 위치된다. 제1 커넥터(231)는 좌측에 위치되는 제1 케이블 부재(221)의 단부 및 제2 케이블 부재(222)의 단부와 각각 결합, 통전된다.
제2 커넥터(232)는 제2 플레이트(212)의 연장 방향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에 치우쳐 위치된다. 제2 커넥터(232)는 우측에 위치되는 제1 케이블 부재(221)의 단부 및 제2 케이블 부재(222)의 단부와 각각 결합, 통전된다.
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300)의 설명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기기(10)는 가이드 부재(300)를 포함한다.
가이드 부재(300)는 전력 기기(10)에 구비되어, 전력 기기(10)의 주변 환경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케이블 부재(220), 구체적으로 제2 케이블 부재(222)를 수용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케이블 부재(222)가 감지하는 정보는 전력 기기(10)의 주변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제2 케이블 부재(222)는 광 섬유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광 섬유를 이용하여 온도에 대한 정보가 감지되는 과정은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이드 부재(300)는 프레임(10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부재(300)는 제1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가이드 결합부(150)에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부재(300)는 가이드 결합부(150)에 고정 결합된다. 대안적으로, 가이드 부재(300)는 가이드 결합부(15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가이드 부재(300)가 가이드 결합부(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가이드 부재(3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이드 부재(300)는 복수 개의 상태 감지 모듈(200)에 인접하게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가이드 부재(300)에 각각 수용, 권취되는 제2 케이블 부재(222)는, 복수 개의 상태 감지 모듈(200)에 수용되는 제1 케이블 부재(221)와 각각 결합, 통전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가이드 부재(300)는 상태 감지 모듈(200)의 개수만큼 구비되어 가이드 결합부(150)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가이드 부재(300)는 상태 감지 모듈(200)에 인접한 전력 장치 모듈(11)에 인접하게 위치된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가이드 부재(300)가 구비됨에 따라, 케이블 부재(220) 중 상태 감지 모듈(200)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2 케이블 부재(222)는 외부와의 임의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환경에 의한 제2 케이블 부재(222)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30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프레임(100) 또는 프레임(100)에 결합된 전력 장치 모듈(11)을 향하는 제1 면(311)은 열 절연성(heat insulation) 소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300)에 수용, 권취된 제2 케이블 부재(222)는 전력 장치 모듈(11)에서 발생된 열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전력 기기(10) 주변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된 전력 기기(10) 주변의 온도에 대한 정보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2 케이블 부재(222)는 권취 부재(320)에 권취되어 가이드 부재(300)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케이블 부재(222)의 잔여분이 많은 경우에도, 제2 케이블 부재(222)의 처짐 또는 꼬임 등의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3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부재(300)는 가이드 몸체(310), 권취 부재(320), 지지 부재(330) 및 결합 부재(340)를 포함한다.
가이드 몸체(310)는 가이드 부재(300)의 외형을 형성한다. 가이드 몸체(3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제2 케이블 부재(222)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공간은 외부와 연통되어, 제2 케이블 부재(222)는 가이드 몸체(310)의 외부에서 상기 공간으로, 또는 상기 공간에서 가이드 몸체(31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몸체(310)는 제2 케이블 부재(222)를 내부에 수용하되, 제2 케이블 부재(222)가 가이드 몸체(310)의 외부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몸체(310)는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사각형의 갖고, 좌우 방향의 두께를 갖는 사각기둥 형상이다.
가이드 몸체(310)의 내부에는 권취 부재(320)가 구비된다. 또한, 가이드 몸체(310)는 결합 부재(340)에 의해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이드 몸체(310)는 결합 부재(340)를 중심으로 프레임(100)에 대해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몸체(310)는 제1 면(311), 제2 면(312), 가이드 공간(313), 가이드 연통공(314) 및 가이드 개구부(315)를 포함한다.
제1 면(311)은 가이드 몸체(310)의 면 중 프레임(100)을 향하는 일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에는 전력 장치 모듈(11)이 결합되는 바, 제1 면(311)은 전력 장치 모듈(11)을 향하는 일 면으로 정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가이드 부재(300)가 우측의 제2 가이드 결합부(152)에 결합됨을 전제한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제1 면(311)은 가이드 몸체(310)의 좌측 면이다.
대안적으로, 좌측의 제1 가이드 결합부(151)에 가이드 부재(300)가 결합될 경우, 제1 면(311)은 가이드 몸체(310)의 우측 면임이 이해될 것이다.
제1 면(311)은 열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전력 장치 모듈(11)에서 발생되는 열이 가이드 몸체(310)의 내부에 수용된 제2 케이블 부재(222)에 전달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1 면(311)에는 가이드 연통공(314)이 관통 형성된다. 상태 감지 모듈(200)의 제1 케이블 부재(221)와 결합되는 제2 케이블 부재(222)는 가이드 연통공(314)을 통해 가이드 몸체(310)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면(311)은 가이드 공간(313)을 사이에 두고 제2 면(312)을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2 면(312)은 가이드 몸체(310)의 면 중 프레임(100)에 반대되는 타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에는 전력 장치 모듈(11)이 결합되는 바, 제2 면(312)은 전력 장치 모듈(11)에 반대되는 타 면으로 정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면(312)은 가이드 몸체(310)의 우측 면이다. 상기 실시 예에서, 가이드 부재(300)가 우측의 제2 가이드 결합부(152)에 결합됨이 전제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대안적으로, 좌측의 제1 가이드 결합부(151)에 가이드 부재(300)가 결합될 경우, 가이드 몸체(310)의 좌측 면이 제2 면(312)으로 정의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더 나아가, 가이드 부재(300)가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실시 예에서, 제1 면(311) 및 제2 면(312)의 정의는 가이드 부재(300)와 프레임(100)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2 면(312)에는 가이드 개구부(315)가 관통 형성된다. 외부의 공기는 가이드 개구부(315)를 통해 가이드 공간(313)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케이블 부재(222)는 전력 장치 모듈(11)이 아닌, 외부의 열을 전달받고 이를 이용하여 온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면(312) 또한 열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전력 장치 모듈(11)에서 발생되는 열이 가이드 몸체(310)의 내부에 수용된 제2 케이블 부재(222)에 전달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실시 예에서, 가이드 부재(300)가 회전되더라도 프레임(100)을 향하는 가이드 몸체(310)의 면을 통해 전달되는 열이 최소화되어, 제2 케이블 부재(222)가 감지하는 온도에 대한 정보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가이드 공간(313)은 가이드 몸체(3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가이드 공간(313)은 제2 케이블 부재(222)를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가이드 공간(313)에는 권취 부재(320) 및 지지 부재(330)가 배치되어, 수용된 제2 케이블 부재(222)가 권취 및 고정 지지될 수 있다.
가이드 공간(313)은 가이드 몸체(310)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공간(313)은 제1 면(311), 제2 면(312) 및 그 외주에 의해 둘러싸여 정의된다.
가이드 공간(313)은 외부와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공간(313)은 가이드 연통공(314)에 의해 프레임(100)을 향하는 일측이 외부와 연통된다.
제1 케이블 부재(221)와 결합, 통전되는 제2 케이블 부재(222)는 가이드 연통공(314)을 통과되어 가이드 공간(313)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공간(313)의 제2 케이블 부재(222)는 가이드 연통공(314)을 통과되어 가이드 부재(30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공간(313)은 가이드 개구부(315)에 의해 프레임(100)에 반대되는 타측이 외부와 연통된다. 외부의 공기는 가이드 개구부(315)를 통해 가이드 공간(313)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공간(313)에 수용된 제2 케이블 부재(222)가 외부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가이드 연통공(314)은 가이드 부재(300)의 면 중 프레임(100)을 향하는 일 면, 즉 제1 면(311)에 관통 형성된다. 가이드 연통공(314)은 가이드 공간(313)과 외부를 연통한다. 제1 케이블 부재(221)와 결합, 통전되는 제2 케이블 부재(222)는 가이드 연통공(314)을 통해 외부에서 가이드 공간(313)으로 연장되고, 가이드 공간(313)에서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연통공(314)은 제2 케이블 부재(222)가 관통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연통공(314)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평면 및 한 쌍의 상기 평면과 각각 연속되며 외측을 향해 볼록하도록 라운드진 한 쌍의 곡면을 포함한다.
가이드 연통공(314)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외부의 제2 케이블 부재(222)는 복수 개의 가이드 연통공(314)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연통공(314)을 통과하여 가이드 공간(313)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공간(313)에 수용된 제2 케이블 부재(222)는 복수 개의 가이드 연통공(314) 중 다른 하나의 가이드 연통공(314)을 통과하여 가이드 부재(30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이드 연통공(314)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연통공(314)은 한 쌍 구비되어, 가이드 몸체(310)의 높이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때, 한 쌍의 가이드 연통공(314)은 권취 부재(32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복수 개의 가이드 연통공(314)의 배치 방식은, 가이드 공간(313)으로 연장된 제2 케이블 부재(222)가 권취 부재(320)에 권취된 후 외부로 연장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가이드 연통공(314)은 제2 케이블 부재(222)가 충분히 작은 곡률을 갖게 연장되어, 그 손상이 방지될 수 있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개구부(315)는 가이드 부재(300)의 면 중 프레임(100)에 반대되는 타 면, 즉 제2 면(312)에 관통 형성된다. 가이드 개구부(315)는 가이드 공간(313)과 외부를 연통한다. 외부의 공기, 구체적으로, 외부의 열을 전달받은 공기는 가이드 개구부(315)를 통해 가이드 공간(313)으로 유입될 수 있다.
가이드 개구부(315)는 가이드 공간(313)과 외부를 연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개구부(315)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가이드 부재(300)의 두께 방향, 즉 좌우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가이드 개구부(315)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이드 개구부(315)는 서로 이격되어,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개구부(315)는 두 쌍 구비된다. 각 쌍의 가이드 개구부(315)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각 쌍을 구성하는 두 개의 가이드 개구부(315)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권취 부재(320)는 제2 케이블 부재(222)를 권취(winding)한다. 여분의 제2 케이블 부재(222)는 권취 부재(320)에 권취되어 가이드 부재(300)의 외부에 임의 노출되지 않게 된다.
권취 부재(320)는 가이드 몸체(31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권취 부재(320)는 가이드 몸체(31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내면에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권취 부재(320)는 제1 면(311)의 내측에 결합된다.
권취 부재(320)는 가이드 공간(313)에 수용된다. 권취 부재(320)는 가이드 공간(313)을 둘러싸는 가이드 몸체(310)의 면에 의해 외부에 임의 노출되지 않는다.
권취 부재(320)는 가이드 연통공(314)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가이드 연통공(314)을 통해 가이드 공간(313)으로 연장된 제2 케이블 부재(222)는 권취 부재(320)를 향해 연장되어, 권취 부재(320)에 권취될 수 있다. 또한, 권취 부재(320)에 권취되었던 제2 케이블 부재(222)는 가이드 연통공(314)을 통해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연통공(314)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권취 부재(320)는 복수 개의 가이드 연통공(314)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권취 부재(320)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연통공(314) 사이에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한 쌍의 가이드 연통공(314) 및 권취 부재(320)는 상하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된다.
권취 부재(320)는 제2 케이블 부재(222)를 안정적으로 권취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권취 부재(320)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평면부(321) 및 한 쌍의 평면부(321)와 각각 연속되며 외측을 향해 볼록하도록 라운드진 한 쌍의 곡면부(322)를 포함한다.
평면부(321)는 각각 수평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평면부(321)는 한 쌍 구비되어, 한 쌍의 평면부(321)는 가이드 부재(300)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하게 배치된다.
한 쌍의 평면부(321)는 한 쌍의 곡면부(322)와 각각 연속된다.
곡면부(322)는 평면부(321)의 연장 방향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곡면부(322)는 한 쌍 구비되어, 평면부(321)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와 연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한 쌍의 곡면부(322)는 평면부(321)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한 쌍의 곡면부(322)는 평면부(321)의 전방 측 단부 및 후방 측 단부와 각각 연속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곡면부(322)의 곡률은 권취된 제2 케이블 부재(222)가 손상되지 않을 만큼 충분히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부재(330)는 가이드 공간(313)에 수용된 제2 케이블 부재(222)를 지지한다. 지지 부재(330)는 제2 케이블 부재(222)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달리 표현하면, 제2 케이블 부재(222)는 지지 부재(33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이드 공간(313)에 수용되는 방향 또는 가이드 공간(313)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330)는 권취 부재(320)와 함께 릴(reel)로 기능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지지 부재(330)는 가이드 몸체(31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지지 부재(330)는 가이드 몸체(31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내면에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330)는 제1 면(311)의 내측에 결합된다.
지지 부재(330)는 가이드 공간(313)에 수용된다. 지지 부재(330)는 가이드 공간(313)을 둘러싸는 가이드 몸체(310)의 면에 의해 외부에 임의 노출되지 않는다.
지지 부재(330)는 가이드 연통공(314)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제2 케이블 부재(222)의 부분 중 가이드 연통공(314) 및 권취 부재(320) 사이에서 연장되는 부분은 지지 부재(3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 부재(330)는 제2 케이블 부재(222)를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330)는 내부에 수용된 제2 케이블 부재(222)의 외주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제1 면(311)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윙(wing)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330)는 브라켓(bracket)의 형상이다.
지지 부재(3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 부재(33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가이드 공간(313)에 수용된 제2 케이블 부재(222)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330)는 한 쌍 구비되어 제2 케이블 부재(222)가 가이드 공간(313)으로 연장되는 일 부분 및 가이드 공간(313)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타 부분을 각각 지지하게 구성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지지 부재(330)는 서로 이격되어 권취 부재(32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즉, 상기 실시 예에서, 권취 부재(320)를 기준으로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지지 부재(330) 및 가이드 연통공(314)이 나란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가이드 공간(313)에 수용된 제2 케이블 부재(222)는 복수 개의 위치에서 지지 부재(3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케이블 부재(222)가 권취 부재(320)에서 임의로 풀리거나, 가이드 공간(313)에서 산개되지 않을 수 있다.
결합 부재(340)는 가이드 부재(300)가 프레임(100)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가이드 부재(300)가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340)는 가이드 부재(300)의 다른 구성 요소를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가이드 부재(300)가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100)과 결합됨에 따라, 가이드 부재(300)는 프레임(100)과 다양한 각도를 이루게 조정될 수 있다.
결합 부재(340)는 가이드 몸체(310)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340)는 가이드 몸체(31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즉 후방 측 단부에 결합된다. 결합 부재(340)는 가이드 몸체(310)가 프레임(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축으로 기능된다.
결합 부재(340)는 가이드 몸체(310)를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340)는 힌지(hinge) 부재로 구비된다.
결합 부재(34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결합 부재(34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가이드 몸체(310) 및 프레임(100)과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340)는 한 쌍 구비되어, 가이드 몸체(310)의 높이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복수 개의 결합 부재(340)가 구비됨에 따라, 가이드 부재(300)는 복수 개의 위치에서 프레임(100)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부재(300)와 프레임(10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가이드 부재(300)의 회전 또한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전력 기기 11: 전력 장치 모듈
12: 제어 모듈 100: 프레임
110: 제1 프레임 120: 제2 프레임
130: 커버 131: 제1 커버
132: 제2 커버 140: 수용 공간
150: 가이드 결합부 151: 제1 가이드 결합부
152: 제2 가이드 결합부 200: 상태 감지 모듈
210: 플레이트 211: 제1 플레이트
212: 제2 플레이트 213: 결합 공간부
213a: 연장부 213b: 만곡부
214: 연통공 215: 유동 홀
220: 케이블 부재 221: 제1 케이블 부재
222: 제2 케이블 부재 230: 커넥터 부재
231: 제1 커넥터 232: 제2 커넥터
300: 가이드 부재 310: 가이드 몸체
311: 제1 면 312: 제2 면
313: 가이드 공간 314: 가이드 연통공
315: 가이드 개구부 320: 권취 부재
321: 평면부 322: 곡면부
330: 지지 부재 340: 결합 부재

Claims (19)

  1. 외부의 프레임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내부에 위치되어, 외부의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전력 장치 모듈의 온도를 감지하게 구성되는 케이블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을 형성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타측을 형성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겹쳐지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면 중 상기 제1 플레이트를 향하는 일 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부재를 수용하는 결합 공간부를 포함하는,
    상태 감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공간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와 연속되며,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상태 감지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 및 상기 만곡부는 복수 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연장부 및 복수 개의 상기 만곡부는 서로 교번적으로 연속되는,
    상태 감지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플레이트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전력 장치 모듈에서 발생된 열을 전달받은 공기가 유동되는 유동 홀을 포함하는,
    상태 감지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홀은 복수 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유동 홀은 서로 이격되되 상기 결합 공간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태 감지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열전도성(thermal conductivity) 소재로 형성되는,
    상태 감지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 모서리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결합 공간부의 단부와 연통되는 연통공을 포함하는,
    상태 감지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공에 수용되며, 상기 케이블 부재와 결합되는 커넥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부재는,
    상기 커넥터 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결합 공간부에 수용되는 제1 케이블 부재; 및
    상기 플레이트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커넥터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케이블 부재와 통전되는 제2 케이블 부재를 포함하는,
    상태 감지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부재는, 광 섬유를 소재로 하여 제작되는 광 케이블로 구비되는,
    상태 감지 모듈.
  10.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게 구성되는 케이블 부재를 수용하는 가이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몸체;
    상기 가이드 몸체 및 외부의 프레임과 각각 결합되는 결합 부재; 및
    상기 가이드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케이블 부재를 권취(winding)하는 권취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몸체는,
    상기 가이드 공간의 일부를 둘러싸며, 외부의 상기 프레임을 향해 위치되는 제1 면; 및
    상기 가이드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면을 마주하게 배치되며, 외부의 상기 프레임에 반대되게 위치되는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은 열절연성(heat insulation) 소재로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몸체는,
    상기 제1 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여 상기 케이블 부재가 관통되는 가이드 연통공; 및
    상기 제2 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통과되는 가이드 개구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연통공은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 연통공은 상기 권취 부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공간에 수용되며, 상게 제1 면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공간과 상기 권취 부재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케이블 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
  14.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복수 개로 구획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전력 장치 모듈의 온도를 감지하게 구성되는 복수 개의 상태 감지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전력 장치 모듈은 구획된 상기 수용 공간 중 어느 하나의 수용 공간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수용 공간을 하측에서 둘러싸는 상기 상태 감지 모듈에 안착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수용 공간을 상측 및 하측에서 둘러싸는 한 쌍의 상기 상태 감지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태 감지 모듈은 상기 전력 장치 모듈의 온도를 감지하게 구성되는,
    전력 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감지 모듈은,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전력 장치 모듈의 온도를 감지하게 구성되는 케이블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측을 형성하며, 상기 전력 장치 모듈이 안착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을 형성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겹쳐지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부재를 수용하는 결합 공간부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장치 모듈은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전력 장치 모듈은 구획된 복수 개의 상기 수용 공간에 각각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고,
    복수 개의 상기 수용 공간을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둘러싸는 한 쌍의 상기 상태 감지 모듈 중, 상기 전력 장치 모듈의 상측에 위치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상태 감지 모듈이 상기 전력 장치 모듈의 온도를 감지하게 구성되는,
    전력 기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에 수용되어, 상기 전력 장치 모듈의 온도를 감지하게 구성되는 제1 케이블 부재; 및
    상기 제1 케이블 부재와 결합되어 통전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에 위치되어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게 구성되는 제2 케이블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케이블 부재를 수용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력 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블 부재를 수용하는 가이드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몸체;
    상기 가이드 몸체와 상기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 및
    상기 가이드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제2 케이블 부재를 권취(winding)하는 권취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몸체는,
    상기 프레임을 향해 위치되는 제1 면; 및
    상기 가이드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면을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에 반대되게 위치되는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은 열절연성(heat insulation) 소재로 형성되는,
    전력 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몸체는,
    상기 제1 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2 케이블 부재가 관통되는 가이드 연통공; 및
    상기 제2 면에 관통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가이드 공간을 향해 통과되는 가이드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
KR1020220006113A 2022-01-14 2022-01-14 상태 감지 모듈, 가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 KR2023011006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113A KR20230110062A (ko) 2022-01-14 2022-01-14 상태 감지 모듈, 가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
PCT/KR2023/000662 WO2023136657A1 (ko) 2022-01-14 2023-01-13 상태 감지 모듈, 가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113A KR20230110062A (ko) 2022-01-14 2022-01-14 상태 감지 모듈, 가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0062A true KR20230110062A (ko) 2023-07-21

Family

ID=87279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113A KR20230110062A (ko) 2022-01-14 2022-01-14 상태 감지 모듈, 가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0062A (ko)
WO (1) WO20231366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28100B (zh) * 2024-02-08 2024-05-03 武汉理工大学 一种基于光纤传感的电池监测结构及装配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742B1 (ko) 2007-04-03 2008-03-12 주식회사 에이티티알앤디 2차 전지
KR101625327B1 (ko) 2012-06-06 2016-05-27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광파이버 온도 센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952B1 (ko) * 2010-12-28 2013-09-17 주식회사 포스코 연료 전지 스택 및 그 내부 온도 측정 방법
WO2015045401A1 (ja) * 2013-09-30 2015-04-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池固定用フレーム部材、電池固定部材及び蓄電装置
JP6642323B2 (ja) * 2016-05-31 2020-02-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コネクタ装置
US10921381B2 (en) * 2017-07-28 2021-02-16 Northstar Battery Compan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presenting battery information
KR102372176B1 (ko) * 2020-05-26 2022-03-08 엘에스일렉트릭(주) 광섬유 케이블 온도측정 장치
KR102345554B1 (ko) * 2020-02-20 2021-12-30 한국광기술원 Ess의 배터리 온도 및 변형율 측정용 시트형 광섬유 센서 및 이를 적용한 ess의 배터리 온도 및 변형율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742B1 (ko) 2007-04-03 2008-03-12 주식회사 에이티티알앤디 2차 전지
KR101625327B1 (ko) 2012-06-06 2016-05-27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광파이버 온도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6657A1 (ko) 202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60437B (zh) 电池组
CN102868126A (zh) 电线布线装置
US20150125727A1 (en) Bus bar module
US10135101B2 (en) Power storage module
KR20230110062A (ko) 상태 감지 모듈, 가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기기
US20160111762A1 (en) Electrical storage apparatus
KR102029422B1 (ko) 배터리팩 온도검출용 센서유닛 및 이를 구비한 에너지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모니터링 장치
CN103081167A (zh) 电流传感器和电池组
JP2016090286A (ja) 温度検出体の取付構造
CN105074959A (zh) 配线模块
CN110098356B (zh) 电池模块、包含该电池模块的电池组、以及它们的应用
KR20230125139A (ko) 센싱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N111630690B (zh) 电池模块、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及其应用
JP2024028359A (ja) バッテリーラック及びそれを含む電力貯蔵装置
JP6135473B2 (ja) 電池パック
JP7078652B2 (ja) バスバーモジュール
CN111693874A (zh) 检测线缆、电池模组及电池检测装置
JP4886406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US11095003B2 (en) Energy storage apparatus
CN110571398B (zh) 保护装置
JP2018181689A (ja) 蓄電モジュールユニットおよび蓄電パック
EP4283766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KR20220036798A (ko) 온도측정 장치의 제조용 지그 및 온도측정 장치의 제조 방법
CN112786792A (zh) 电池模块
CN220652274U (zh) 母排集成组件和具有其的电池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