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9976A - 검색 광고의 입찰가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검색 광고의 입찰가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9976A
KR20230109976A KR1020220005891A KR20220005891A KR20230109976A KR 20230109976 A KR20230109976 A KR 20230109976A KR 1020220005891 A KR1020220005891 A KR 1020220005891A KR 20220005891 A KR20220005891 A KR 20220005891A KR 20230109976 A KR20230109976 A KR 20230109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 price
electronic device
ranking
search
r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재희
Original Assignee
방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재희 filed Critical 방재희
Priority to KR1020220005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9976A/ko
Publication of KR20230109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976A/ko
Priority to KR1020230150883A priority patent/KR2023015629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06Q30/0275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Abstract

검색 광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에 대한 검색 광고를 위해 웹 서버로 전송된 사용자의 입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에 따라 목표 순위 및 금액 변동 단위를 등록하는 단계, 웹 서버를 통해 키워드에 대한 검색 광고의 순위 정보를 주기적으로 식별하여, 사용자의 현재 순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현재 순위 및 목표 순위가 다른 경우, 금액 변동 단위를 기초로 입찰가를 단위 시간마다 조정하는 단계, 웹 서버로 조정된 입찰가에 따른 키워드의 검색 광고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검색 광고의 입찰가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BIDS FOR SEARCH ADVERSISEMENT }
본 개시는 검색 광고에 대한 입찰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표 순위에 대한 차이에 따라 자동으로 입찰가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검색을 통한 정보 획득이 보편화되면서, 최근에는 검색 사이트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검색 단서(예를 들면, 검색 키워드, 검색 카테고리 등)와 관련된 광고를 제공하는 검색 광고(Search Advertisement)가 활성화되고 있다.
검색 광고는, 사용자가 검색 엔진을 사용하여 특정 검색 단서로 검색을 수행하는 경우, 검색 결과 페이지 상의 특정 위치에 광고주의 웹 페이지 주소, 광고 메시지(많은 경우, 광고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광고주의 웹 페이지 등으로의 접속을 지원하기 위한 웹 링크 등을 포함함), 이미지 등의 광고 정보가 게재될 수 있도록 하는 광고 기법이다. 
검색 광고에 따르면, 불특정 다수에게 무조건적으로 광고가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 광고와 연관된 검색 단서로 검색을 수행한 사용자에게만 광고가 제공되므로, 결국 광고주가 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잠재 고객들에게만 타겟팅된(targeted) 광고가 제공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검색 광고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는 광고주의 입장에서는, 제한된 광고 예산 내에서 자신의 광고를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가 주된 관심사이기 때문에, 이러한 광고주의 니즈에 따라 검색 광고에 대한 비용을 부과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21376호
본 개시는 단위 시간마다 순위를 모니터링하여 입찰가를 변동하는 등 실시간 입찰가 변동의 구체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개시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검색 광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에 대한 검색 광고를 위해 상기 웹 서버로 전송된 사용자의 입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에 따라 목표 순위 및 금액 변동 단위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웹 서버를 통해 상기 키워드에 대한 검색 광고의 순위 정보를 주기적으로 식별하여, 사용자의 현재 순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현재 순위 및 상기 목표 순위가 다른 경우, 상기 금액 변동 단위를 기초로 상기 입찰가를 단위 시간마다 조정하는 단계, 상기 웹 서버로 상기 조정된 입찰가에 따른 상기 키워드의 검색 광고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입찰가를 단위 시간마다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순위와 상기 현재 순위 간의 차이 값에 상기 금액 변동 단위를 적용하여 변동 가액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변동 가액을 상기 입찰가에 더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최대 입찰가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조정된 입찰가가 상기 최대 입찰가 이상인 경우, 상기 최대 입찰가에 따른 상기 키워드의 검색 광고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시간대 별로, 상기 주기적으로 식별되는 순위 정보의 변동성을 식별하는 단계, 시간대 별로, 상기 식별된 변동성을 바탕으로 상기 단위 시간 및 상기 금액 변동 단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현재 순위가 상기 목표 순위와 다른 제1 시점으로부터 상기 현재 순위가 상기 목표 순위와 동일한 제2 시점까지 상기 입찰가가 단위 시간마다 조정된 평균 횟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평균 횟수가 제1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금액 변동 단위의 증가 설정을 추천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평균 횟수가 상기 제1 횟수보다 작은 제2 횟수 미만인 경우, 상기 금액 변동 단위의 감소 설정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검색 광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키워드, 목표 순위, 및 금액 변동 단위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웹 서버로 일 입찰가에 따른 상기 키워드의 검색 광고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웹 서버를 통해 상기 키워드에 대한 검색 광고의 순위 정보를 주기적으로 식별하여, 사용자의 현재 순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현재 순위 및 상기 목표 순위가 다른 경우, 상기 금액 변동 단위를 기초로 상기 입찰가를 단위 시간마다 조정하는 단계, 상기 웹 서버로 상기 조정된 입찰가에 따른 상기 키워드의 검색 광고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운영 서버 및 고객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은,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제공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에 따라 키워드, 목표 순위, 및 금액 변동 단위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웹 서버로 일 입찰가에 따른 상기 키워드의 검색 광고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웹 서버를 통해 상기 키워드에 대한 검색 광고의 순위 정보를 주기적으로 식별하여, 사용자의 현재 순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현재 순위 및 상기 목표 순위가 다른 경우, 상기 금액 변동 단위를 기초로 상기 입찰가를 단위 시간마다 조정하는 단계, 상기 웹 서버로 상기 조정된 입찰가에 따른 상기 키워드의 검색 광고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을 수행한다.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상기 고객 단말의 사용자의 결제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결제 여부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고객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자동으로 현재 순위를 모니터링하여 단위 시간마다 입찰가를 단계 별로 변동하여 입찰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사용자가 매번 입찰가 및 현재 순위를 들여다보지 않아도 비용 대비 최고의 광고 효율을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지정한 최대 입찰가, 금액 변동 단위 등에 따라 지속적인 입찰가 변동을 자동으로 수행한다는 점에서, 사용자 맞춤형 자동 입찰 서비스에 대한 구체적이고 유용한 실시 예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웹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검색 광고에 대한 입찰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입찰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입찰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최대 입찰가를 바탕으로 입찰가를 조정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알고리즘,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그리고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운영 서버의 관리를 바탕으로 입찰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객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모두 도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웹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검색 광고에 대한 입찰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통신부(120), 프로세서(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등 다양한 단말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웹 서버(10)가 제공하는 검색 광고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업체/상품을 광고하고자 하는 광고주 내지는 고객의 단말 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로 구성된 서버에 해당할 수도 있다.
메모리(110)는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메모리(110)는 ROM,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DRAM 등으로 구성된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0)는 하드 디스크, SSD(Solid state drive)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부(12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회로, 모듈, 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들(ex. 웹 서버(10), 운영 서버(200))과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영역 또는 규모에 따라 개인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의 개방성에 따라 인트라넷(Intranet), 엑스트라넷(Extranet), 또는 인터넷(Internet) 등일 수 있다.
통신부(120)는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5G(5th Generation) 이동통신,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이더넷(Ethernet), 광 네트워크(optical network), USB(Universal Serial Bus), 선더볼트(ThunderBolt)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들과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10)와 연결되는 한편 메모리(11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CPU, AP,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과 같은 범용 프로세서, GPU, VPU(Vision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 또는 NPU와 같은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는, 특정 인공지능 모델의 훈련 내지는 이용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웹 서버(10)는 검색 광고를 제공하는 플랫폼 내지는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를 포함한다.
검색 광고는, 사용자가 검색 엔진을 사용하여 특정 검색 단서(예를 들면, 검색 키워드, 검색 카테고리)로 검색을 수행한 경우, 검색 결과 페이지 상의 특정 위치에 광고주의 웹 페이지 주소, 한 줄 광고 메시지, 이미지 광고 등의 광고 정보가 게재될 수 있도록 하는 광고 기법 또는 그로 인한 광고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특히,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검색 광고는, 다양한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검색 키워드에 따라 검색 사이트가 제공하는 검색 결과와 함께 상기 검색 키워드와 관련된 광고가 게재되도록 하는 키워드 광고(Keyword Advertisement)까지도 포괄하는 최광의의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웹 서버(10)는, 하나 이상의 웹 컨텐츠 검색 엔진을 관리하며, 다양한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키워드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서버(10)는 인터넷 검색 포털 사이트의 서버일 수 있다.
이 밖에, 웹 서버(10)는 지도 서비스, 채팅 서비스, 네비게이션 서비스, 인터넷 방송 서비스, VR(Virtual Reality)/AR(Augmented Reality) 서비스 등 검색, 색인, 태깅 등이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웹 서버(10)가 제공하는 검색 광고를 통해 사용자/광고주의 상품/업체를 광고하기 위하여 입찰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검색 결과 페이지 상의 소정의 위치에 자신의 검색 광고를 게재하기 위하여 소정 시간(기간)에 대하여 소정의 검색 키워드에 대한 입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ex. 광고주)의 입력에 따라 설정된 입찰가로 입찰할 수 있고, 상기 시간 동안에는 다른 사용자들이 웹 서버(10)를 통해 해당 검색 키워드로 검색을 수행할 때마다 광고주의 광고가 게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입찰가에 따라 각 광고주의 순위가 정해질 수 있으며, 순위가 더 높은 광고주일수록 웹 페이지(ex.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 상의 더 좋은 위치에 광고가 게재됨으로써 광고 효과가 크도록 운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입찰 방식 내에서 자동으로 최적의 입찰가를 선택하여 광고주의 실시간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바, 이하 도면들을 통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입찰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a는 웹 서버(10)를 통해 제공되는 검색 광고에 대하여 사용자의 입찰이 이미 수행되어 사용자와 관련된 검색 광고가 이미 제공되고 있는 상황을 가정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먼저 전자 장치(100)는 일 키워드에 대한 검색 광고를 위해 웹 서버(10)로 전송된 사용자의 입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10).
여기서,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는 광고주에 해당할 수 있다.
키워드는, 검색 광고에 있어 검색의 대상인 키워드에 해당한다.
입찰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에 대한 검색 광고에 입찰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찰 정보는, (현재의) 입찰가, 검색 광고의 대상인 키워드, 광고 시간대, 웹 서버(10)에 대한 정보, 기타 검색 광고와 관련된 다양한 부가 정보(ex. 검색 광고 형태, 입찰 방식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웹 서버(10)로 전송된 입찰 정보는, 전자 장치(100)를 통해 전송된 것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다른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해 전송된 것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웹 서버(10)와의 동기화를 통해 사용자의 (기존의) 입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웹 서버(10)로부터 사용자 정보에 매칭되는 입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목표 순위 및 금액 변동 단위를 등록할 수 있다(S220).
목표 순위는, 광고주가 자신의 검색 광고가 검색 결과 또는 검색 결과의 일부 중에서 게재되기를 희망하는 순위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웹 서버(10)는 (동일한 키워드에 대하여) 순위가 높은 광고주의 광고일수록 웹 페이지 내 더 좋은 위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바, 목표 순위는 광고주가 희망하는 광고 효과를 설정하기 위한 척도이다.
금액 변동 단위는, 전자 장치(100)가 단위 시간마다 입찰가를 자동으로 변경하기 위한 변동 단위를 의미한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웹 서버(10)를 통해 키워드에 대한 검색 광고의 순위 정보를 주기적으로 식별하여, 사용자의 현재 순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S230).
순위 정보는, 해당 키워드에 대한 검색 광고에 입찰한 광고주들의 순위를 포함할 수 있다. 순위는, 실시간 입찰가에 따라 정해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입찰가가 높을수록 순위도 높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웹 서버(10) 상에 해당 키워드를 주기적으로 검색하고, 검색 광고 영역에 배치된 각 광고 컨텐츠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각 광고주(또는 상품)의 순위를 주기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웹 서버(10)로부터 실시간 순위 정보를 직접 수신할 수도 있다.
이렇듯 순위 정보가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순위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 해당하는 광고주의 현재 순위를 실시간으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 해당하는 광고주의 현재 순위가 목표 순위와 다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앞서 설정된 금액 변동 단위를 기초로 입찰가를 단위 시간마다 조정할 수 있다(S24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목표 순위와 현재 순위 간의 차이 값에 금액 변동 단위를 적용하여 변동 가액을 산출하고, 산출된 변동 가액을 입찰가에 더할 수 있다.
목표 순위가 현재 순위보다 높은 경우(ex. 목표 순위가 2위이고 현재 순위가 3위), 변동 가액은 양의 수에 해당하여 입찰가가 더 커질 수 있다. 반면, 목표 순위가 현재 순위보다 낮은 경우(ex. 목표 순위가 3위이고 현재 순위가 2위), 변동 가액은 음의 수에 해당하여 입찰가가 더 작아질 수 있다.
이때, 목표 순위와 현재 순위 간의 차이가 클수록 변동 가액의 크기가 더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 수학식 1에 따라 입찰가(B)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Rg는 목표 순위이고, Rc는 현재 순위이며, cu는 금액 변동 단위이다. 구체적으로, 목표 순위(Rg), 현재 순위(Rg), 및 금액 변동 단위(cu)가 반영된 변동 가액이 기존 입찰가(B)에 더해지는 방식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찰가가 조정되면, 전자 장치(100)는 조정된 입찰가에 따른 키워드의 검색 광고를 웹 서버(10)로 요청할 수 있다(S250).
이렇듯, 단위 시간마다 조정된 입찰가에 따라 자동으로 입찰가가 변경되면서 입찰이 진행됨으로써(S230 내지 S250 반복 가능), 사용자가 원하는 목표 순위에 맞게 자동으로 입찰이 진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입찰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b는 웹 서버(10)를 통해 제공되는 검색 광고에 대하여 기존에 사용자의 입찰이 수행되지 않고 있는 상황을 가정한다. 이 경우, 목표 순위 및 금액 변동 단위 외에, 사용자가 입찰하고자 하는 검색 광고의 키워드도 입력 받을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키워드, 목표 순위, 및 금액 변동 단위를 등록할 수 있다(S210'). 또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검색 광고에 대한 입찰을 진행하고자 하는 시간대를 등록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키워드, 목표 순위, 금액 변동 단위 등이 설정되면, 전자 장치(100)는 특정한 하나의 입찰가를 바탕으로 키워드의 검색 광고를 웹 서버로 요청할 수 있다(S220').
여기서, 상술한 특정한 하나의 입찰가는 기설정된 금액 또는 임의의 금액일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시작 입찰가로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웹 서버(10)를 통해 키워드에 대한 검색 광고의 순위 정보를 주기적으로 식별하여, 사용자의 현재 순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S230').
이렇듯 순위 정보가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순위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 해당하는 광고주의 현재 순위를 실시간으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 해당하는 광고주의 현재 순위가 목표 순위와 다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앞서 설정된 금액 변동 단위를 기초로 입찰가를 단위 시간마다 조정할 수 있다(S24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목표 순위와 현재 순위 간의 차이 값에 금액 변동 단위를 적용하여 변동 가액을 산출하고, 산출된 변동 가액을 입찰가에 더할 수 있다.
목표 순위가 현재 순위보다 높은 경우, 변동 가액은 양의 수에 해당하여 입찰가가 더 커질 수 있다. 반면, 목표 순위가 현재 순위보다 낮은 경우, 변동 가액은 음의 수에 해당하여 입찰가가 더 작아질 수 있다.
이때, 목표 순위와 현재 순위 간의 차이가 클수록 변동 가액의 크기가 더 커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찰가가 조정되면, 전자 장치(100)는 조정된 입찰가에 따른 키워드의 검색 광고를 웹 서버(10)로 요청할 수 있다(S250').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최대 입찰가를 등록할 수 있다. 최대 입찰가는, 해당 키워드의 검색 광고에 대해 최대로 입찰 가능한 입찰가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입찰가가 단위 시간마다 조정된 결과, 현재 순위가 상기 목표 순위에 도달하기 전에 입찰가가 최대 입찰가에 먼저 도달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목표 순위보다 현재 순위가 더 낮더라도 더 이상 입찰가를 증가 조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현재의 입찰가를 유지할 수도 있고, 또는 감소하여 재조정할 수도 있다.
관련하여,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최대 입찰가를 바탕으로 입찰가를 조정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검색 광고를 제공하는 웹 서버(10)와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S31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의 검색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입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웹 서버(10)를 통해 일정 시간(단위 시간)마다 해당 키워드에 대한 검색 광고의 순위를 조회할 수 있다(S32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목표 순위와 현재 순위를 비교할 수 있다(S330). 만약, 목표 순위와 현재 순위가 동일한 경우(S330 - Y), 전자 장치(100)는 단위 시간에 매칭되는 일정 시간 동안 대기(S340)한 후, 다시 순위 조회(S320)를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목표 순위와 현재 순위가 다른 경우(S330 - N), 전자 장치(100)는 목표 순위와 현재 순위 간의 차이 및 금액 변동 단위를 바탕으로 입찰가를 계산하여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순위가 목표 순위보다 높은 경우(S350 - N), 전자 장치(100)는 계산된 입찰가(: 감소 조정됨)로 입찰을 진행할 수 있다(S360).
반면, 현재 순위가 목표 순위보다 낮은 경우(S350 - Y), 전자 장치(100)는 계산된 입찰가(: 증가 조정됨)와 최대 입찰가를 비교할 수 있다(S370).
여기서, 만약, 계산된 입찰가가 최대 입찰가 이상이라면, 전자 장치(100)는 입찰가를 최대 입찰가로 조정하여 입찰을 진행할 수 있다(S38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일정 시간 동안 대기 후 다시 순위 조회를 수행할 수 있다(S340, S320).
반면, 계산된 입찰가가 최대 입찰가 미만이라면, 전자 장치(100)는 계산된 입찰가(: 증가 조정됨)로 입찰을 진행할 수 있다(S39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일정 시간 동안 대기 후 다시 순위 조회를 수행할 수 있다(S340, S320).
이렇듯, 전자 장치(100)는 현재 순위와 목표 순위 간 비교, 입찰가와 최대 입찰가 간 비교 등을 실시간으로 수행하면서 목표 순위에 도달하기 위한 입찰가 조정을 반복적으로 자동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추가적인 실시 예로, 현재 순위가 목표 순위와 동일하거나 또는 현재 순위가 목표 순위보다 낮은 상태에서 입찰가가 최대 입찰가에 도달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단위 시간마다 입찰가를 감소하여 입찰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장치(100)는 단위 시간 마다 금액 변동 단위만큼 입찰가를 감소하여 압찰을 수행할 수 있다(: 재조정).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단위 시간마다 현재 순위가 이전보다 낮아졌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위 시간에 따라 입찰가가 감소되는 시점마다 현재 순위가 모니터링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순위가 유지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단위 시간이 도과함에 따라 다시금 입찰가를 감소시켜 입찰을 진행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반면, 현재 순위가 유지되지 않고 낮아지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재조정에 따라 현재 순위가 변경되기 직전의 입찰가에 따라 입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렇듯, 최대 입찰가에 도달한 경우,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현재 순위를 유지할 수 있는 최소의 입찰가를 찾아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적용되는 단위 시간, 금액 변동 단위 등은 전자 장치(100)에 의해 자동으로 변경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는 웹 서버(10)를 통해 주기적으로 순위 정보를 식별하는 한편, 시간대 별로 순위 정보의 변동성을 산출할 수 있다.
시간대는, 일정 단위(ex. 30분, 한 시간, 2시간, 평일/주말 등)에 따라 구분되는 다양한 시간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순위 정보의 변동성은, 순위 리스트 내 각 순위에 위치한 광고주가 변경되는 빈도 내지는 순위 변화 폭과 관련된다. 순위 변경의 빈도가 클수록, 평균적인 순위 변화 폭이 클수록, 순위 정보의 변동성이 더 크게 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변동성을 바탕으로 단위 시간 및 금액 변동 단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순위 정보의 변동성은 시간대 별로 별도로 산출될 수 있으므로, 단위 시간 및 금액 변동 단위 중 적어도 하나는 시간대 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순위 정보의 변동성이 클수록 단위 시간이 더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순위 정보의 변동성이 클수록, 금액 변동 단위는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순위 정보의 변동성이 큰 시간대에 대해서는, 단위 시간이 짧아져 전자 장치(100)의 연산 주기도 짧아지므로 상대적으로 로드가 커지는 반면, 순위 정보의 변동성이 작은 시간대에 대해서는, 단위 시간이 길어져 전자 장치(100)의 연산 주기도 길어지므로 상대적으로 로드가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순위 정보의 변동성이 클수록 단위 시간 별 변동 가액도 커지므로, 순위 변경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현재 순위가 목표 순위에 도달하기까지 입찰가가 조정된 횟수를 바탕으로 금액 변동 단위를 변경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실 시 예로, 전자 장치(100)는 현재 순위가 목표 순위와 다른 제1 시점으로부터 현재 순위가 상기 목표 순위와 동일해지는 제2 시점까지 입찰가가 단위 시간마다 조정된 횟수를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횟수는, (목표 순위와 달랐던) 현재 순위가 목표 순위에 도달할 때마다 기록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목표 순위가 달랐던 현재 순위가 목표 순위에 도달하기까지 필요한 입찰가 조정의 평균 횟수가 산출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일정 기준(ex. 현 시점으로부터 최근 1개월)에 따라 평균 횟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평균 횟수에 따라 금액 변동 단위를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평균 횟수가 제1 횟수 이상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금액 변동 단위의 증가 설정을 추천할 수 있다. 이후, 추천을 수용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금액 변동 단위가 증가 설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오랜 시간 동안 입찰가가 조정되었음에도 현재 순위가 목표 순위에 도달하지 못하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반면, 평균 횟수가 제1 횟수보다 작은 제2 횟수 미만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금액 변동 단위의 감소 설정을 추천할 수 있다. 그 결과, 목표 순위에 필요한 입찰가 이상의 과잉 입찰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목표 순위와 현재 순위가 동일하게 유지된 시간 및/또는 횟수를 바탕으로, 금액 변동 단위의 감소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과 같은 과정이 수행되면서 입찰가가 단위 시간마다 조정되는 동안, 전자 장치(100)는 목표 순위와 현재 순위가 동일하게 유지된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목표 순위와 현재 순위가 동일하게 유지된 시간이 임계 시간 이상인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금액 변동 단위를 감소 설정하여 입찰가를 단위 시간마다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에 설정된 금액 변동 단위보다 적은 금액에 따라 감액이 수행되어 비용이 절약될 수 있으며, 목표 순위를 유지할 수 있는 최소의 입찰가를 찾아낼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편,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통신부(120), 프로세서(130) 외에 사용자 입력부(140), 출력부(15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다양한 명령 또는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기 위한 구성이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마이크, 카메라,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시작 입찰가, 최대 입찰가, 금액 변동 단위, 단위 시간, 현재 입찰가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입찰을 시작/중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다양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으로, 디스플레이, 스피커, 이어폰/헤드폰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찰가가 변경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변경된 입찰가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입찰가의 조정 결과 현재 순위가 목표 순위에 도달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목표 순위에 도달했음을 알리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운영 서버의 관리를 바탕으로 입찰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객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의 고객 단말(100')은 상술한 전자 장치(10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운영 서버(200)는 고객 단말(100')을 통해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입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이다.
구체적으로, 운영 서버(200)는 입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고객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운영 서버(200)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구매를 위한 결제 정보를 고객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 단말(100')의 사용자가 결제를 수행함을 전제로, 고객 단말(100')은 운영 서버(200)로부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그리고, 고객 단말(100')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술한 도 2 등의 동작(: 입찰 서비스)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시간으로 순위를 모니터링하여 입찰가를 변동하는 등의 연산 과정이 고객 단말(100') 자체 내에서 수행된다는 점에서, 입찰 서비스를 운영하는 운영 서버(200)의 로드 및 운영비용이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고객 단말(100')을 통해 도 2 등의 동작이 수행되더라도, 운영 서버(200)는 고객 단말(100')에서 수집된 정보(ex. 순위 정보, 실시간 입찰가)를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정보를 고객 단말(100')의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 기기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고객 단말(100') 상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여부는 운영 서버(200)에 의해 주기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사용 비용에 대한 주기적인 결제가 수행됨을 전제로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영 서버(200)는 각 사용 주기마다 고객 단말(100')의 사용자의 결제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결제가 수행되지 않은 경우, 운영 서버(200)는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고객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운영 서버(200)가 적어도 하나의 웹 페이지/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으로 고객 단말(100')과 연동되어 상술한 입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실시간 순위 모니터링 및 입찰가 변동 등의 연산 과정은 운영 서버(2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서로 저촉되거나 모순되지 않는 한 두 개 이상의 실시 예가 서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의 처리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의 처리 동작을 상술한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웹 서버 100: 전자 장치
100': 고객 단말 200: 운영 서버

Claims (7)

  1. 검색 광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에 대한 검색 광고를 위해 상기 웹 서버로 전송된 사용자의 입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에 따라 목표 순위 및 금액 변동 단위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웹 서버를 통해 상기 키워드에 대한 검색 광고의 순위 정보를 주기적으로 식별하여, 사용자의 현재 순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현재 순위 및 상기 목표 순위가 다른 경우, 상기 금액 변동 단위를 기초로 상기 입찰가를 단위 시간마다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웹 서버로 상기 조정된 입찰가에 따른 상기 키워드의 검색 광고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찰가를 단위 시간마다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순위와 상기 현재 순위 간의 차이 값에 상기 금액 변동 단위를 적용하여 변동 가액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변동 가액을 상기 입찰가에 더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최대 입찰가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된 입찰가가 상기 최대 입찰가 이상인 경우, 상기 최대 입찰가에 따른 상기 키워드의 검색 광고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시간대 별로, 상기 주기적으로 식별되는 순위 정보의 변동성을 식별하는 단계; 및
    시간대 별로, 상기 식별된 변동성을 바탕으로 상기 단위 시간 및 상기 금액 변동 단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현재 순위가 상기 목표 순위와 다른 제1 시점으로부터 상기 현재 순위가 상기 목표 순위와 동일한 제2 시점까지 상기 입찰가가 단위 시간마다 조정된 평균 횟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평균 횟수가 제1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금액 변동 단위의 증가 설정을 추천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평균 횟수가 상기 제1 횟수보다 작은 제2 횟수 미만인 경우, 상기 금액 변동 단위의 감소 설정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6. 검색 광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키워드, 목표 순위, 및 금액 변동 단위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웹 서버로, 일 입찰가에 따른 상기 키워드의 검색 광고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웹 서버를 통해 상기 키워드에 대한 검색 광고의 순위 정보를 주기적으로 식별하여, 사용자의 현재 순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현재 순위 및 상기 목표 순위가 다른 경우, 상기 금액 변동 단위를 기초로 상기 입찰가를 단위 시간마다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웹 서버로 상기 조정된 입찰가에 따른 상기 키워드의 검색 광고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7. 운영 서버 및 고객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은,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제공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항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고,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상기 고객 단말의 사용자의 결제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결제 여부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시스템.
KR1020220005891A 2022-01-14 2022-01-14 검색 광고의 입찰가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3010997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891A KR20230109976A (ko) 2022-01-14 2022-01-14 검색 광고의 입찰가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30150883A KR20230156293A (ko) 2022-01-14 2023-11-03 검색 광고의 입찰가에 대한 조정 횟수에 따라 변동 단위를 조정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891A KR20230109976A (ko) 2022-01-14 2022-01-14 검색 광고의 입찰가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0883A Division KR20230156293A (ko) 2022-01-14 2023-11-03 검색 광고의 입찰가에 대한 조정 횟수에 따라 변동 단위를 조정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976A true KR20230109976A (ko) 2023-07-21

Family

ID=8742993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891A KR20230109976A (ko) 2022-01-14 2022-01-14 검색 광고의 입찰가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30150883A KR20230156293A (ko) 2022-01-14 2023-11-03 검색 광고의 입찰가에 대한 조정 횟수에 따라 변동 단위를 조정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0883A KR20230156293A (ko) 2022-01-14 2023-11-03 검색 광고의 입찰가에 대한 조정 횟수에 따라 변동 단위를 조정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10997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376B1 (ko) 2008-11-04 2011-03-14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광고주가 목표 순위를 입력하여 검색 광고에 대한 입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376B1 (ko) 2008-11-04 2011-03-14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광고주가 목표 순위를 입력하여 검색 광고에 대한 입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6293A (ko) 202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52922A1 (e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media file delivery
US9396480B2 (en) Providing on-demand audience based on network
US20160300260A1 (en) Methods for optimizing advertising traffic with continuously optimized affiliate links
US20190188749A1 (en) Object selection method and device
US201003060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tching advertisements to web feeds
US11249741B2 (en) Post-install application interaction
US10062090B2 (en) System and methods to display three dimensional digital assets in an online environment based on an objective
US2016005541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9471669B2 (en) Presenting previously selected search results
US8972525B1 (en) Selecting an interactive content item based on device age
KR101937849B1 (ko) 키워드 노출빈도에 기초한 광고설정 자동 제어방법, 광고 서버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230109976A (ko) 검색 광고의 입찰가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0706119B1 (en) Content prefetching to user devices based on rendering characteristics
US20180365295A1 (en) Tuning Parameters for Presenting Content
US20200394189A1 (en) Broad match control
JP6092160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9870577B1 (en) Conditional bids in an auction
US20150332192A1 (en) Estimating Future Inventory
JP5883526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664576B2 (ja) 配信装置、配信方法及び配信プログラム
CA3098116A1 (en) Analyzing second party digital marketing data
JP5976713B2 (ja) コンテンツ及び広告提供方法及びコンテンツ提供装置
KR102419274B1 (ko) 이벤트의 영향 정도를 기반으로 레저 활동 레슨에 대한 파라미터를 예측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9047627B1 (en) Publisher side file support for expandable content items
US2014012225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with a plurality of publish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