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9907A - 스크린 골프장을 구비한 무인텔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크린 골프장을 구비한 무인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9907A
KR20230109907A KR1020220005725A KR20220005725A KR20230109907A KR 20230109907 A KR20230109907 A KR 20230109907A KR 1020220005725 A KR1020220005725 A KR 1020220005725A KR 20220005725 A KR20220005725 A KR 20220005725A KR 20230109907 A KR20230109907 A KR 20230109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s
room
golf
unmanned
ch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웅주
Original Assignee
황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웅주 filed Critical 황웅주
Priority to KR1020220005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9907A/ko
Publication of KR20230109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9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9/0090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hotels, motels, office buildings or the lik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텔에 이용객이 사용할 수 있는 스크린 골프장을 결합하여 숙박시설의 역할을 넘어 레저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되 무인운용에 따른 효율적인 시설관리와 이용자의 사생활 보호 기능의 강화를 지원할 수 있는 스크린 골프장을 구비한 무인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크린 골프장을 구비한 무인텔 시스템 {Unmanned motel system with indoor golf simulator}
본 발명은 무인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무인텔에 이용객이 사용할 수 있는 스크린 골프장을 결합하여 숙박시설의 역할을 넘어 레저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되 무인운용에 따른 효율적인 시설관리와 이용자의 사생활 보호 기능의 강화를 지원할 수 있는 스크린 골프장을 구비한 무인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CCTV, 통신, 경보, 각종 감지장치 등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무인화 시설들이 증가하며 24시간 운영에 따른 사용자 및 관리자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인건비 절감효과와 함께 이러한 무인화 시설들의 장점 중 하나는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는 것으로, 대표적인 무인화 시설로 기존의 모텔을 무인화한 무인텔을 들 수 있으며 무인텔의 출현으로 인해 침체였던 숙박업계가 활기를 띠며 기존의 모텔을 무인텔로 개조하는 일도 많아졌다.
또한, 노출을 꺼리는 이용객이 시설 관리인뿐 아니라 다른 객실 손님들과 마주칠 우려가 있음에 따라 최근에는 드라이브인 방식이 적용되어 개별 주차 후 객실로 바로 출입 가능한 시설이 등장하였으며, 단순한 숙박기능 이외 지인이 함께 조촐한 모임이나 이벤트를 하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기도 하나 여전히 가족단위로 이용 가능학 숙박시설이나 레저공간으로서의 이미지와는 거리가 있는 상황이다.
한편, 근래 골프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골프관련 사업 활성화와 입문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실내·외 골프 연습장 활용에 따른 시간적·공간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스크린 골프 (Screen golf)라 지칭되는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개발되어 활성화되어 있다.
이러한 스크린 골프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비교적 적은 시간과 비용을 들이고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장점으로 골프 초보로부터 중급, 고급 사용자에 이르기까지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실정으로, 이 또한 무인 운영체계를 통해 누구나 언제든지 편리한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요구가 있다.
이러한 요구에 의해 종래의 무인텔에 골프 스크린을 결합시 접근성과 이용 편의성을 확보하면서도 사생활보호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22758호 (2020.10.28)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필요에 따라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인텔에 스크린 골프장을 결합하여 친목 및 레저공간으로서의 기능을 갖도록 하되 무인운용에 따른 효율적인 시설관리와 이용자의 사생활 보호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스크린 골프장을 구비한 무인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개별 주차가 이루어지는 주차구역과, 공용복도 및 상기 주차구역과 연결된 개별 출입문을 통해 출입 가능한 객실을 구비하는 무인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개별 출입문을 통해 객실과 연결되며 스크린골프 설비를 구비한 골프룸; 이용객으로부터 사용 요금결제를 처리하고 요금결제 처리에 따른 객실을 할당하여 출입권한을 부여하는 체크인관리부와, 할당된 객실과 연결된 골프룸의 사용권한을 부여하는 골프룸관리부와, 할당된 객실의 사용종료에 따른 퇴실업무를 진행하는 체크아웃관리부를 구비하는 관리모듈; 상기 주차구역과 객실 및 골프룸의 사용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와, 객실 및 골프룸을 사용 가능과 사용 중 및 정리 중으로 구분하여 사용 가능 상태의 객실을 체크인 가능하도록 상기 체크인관리부와 연동하는 연동부를 구비하는 모니터링모듈;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모듈은, 각 객실 이용객의 예상 이동동선을 산출하되 체크인 가능 객실 이용객의 예상 이동동선과 체크인 완료된 타 객실 이용객의 예상 이동동선과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체크인 객실을 추천하는 추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모듈은, 예약 결제처리에 따라 예약 시간대별 이용객에게 객실 및 골프룸의 진입 및 사용권한을 부여하는 예약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인텔은, 하층에 셔터를 통해 출입구가 개폐되며 단독 주차가 이루어지는 주차구역과, 상기 주차구역에 측면으로 사이에 출입계단을 두고 인접한 골프룸이 마련되고, 상기 객실은 상기 출입계단을 통해 연결되는 제1출입문 및 공용복도와 연결되는 제2출입문을 통해 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모듈은, 상기 스크린골프 설비와 연동하여 실행되는 콘텐츠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콘텐츠관리부와, 상기 실행되는 콘텐츠의 진행 및 잔여시간을 포함하는 시간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예약처리부와 연동하여 시간대별 예약 가능 여부를 반영하는 시간관리부와, 산출된 시간정보를 체크아웃 시간과 대비하여 출력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인텔에 근래 인기가 높은 스크린 골프시설을 도입하여 숙박이나 휴식과 함께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장소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하며, 신축 무인텔 뿐 아니라 기존 무인텔에도 주차구역 등에 비교적 간단한 개조공사를 통해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크린 골프설비를 기본으로 안마장치 및 소형풀장 등의 시설을 부가하여 기존 무인텔 보다 객실도 넓고 고급스러운 인테리어와 다양한 시설을 갖춘 레저공간을 집에서 가까운 곳에 제공하여 가족단위의 이용을 촉진하고 여가활용을 위한 이동시간 및 경비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무인운용에 따른 시스템 관리를 통해 이용객의 사생활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공실 및 시설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무인텔의 하층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무인텔의 상층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텔의 하층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텔의 상층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텔 시스템의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층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스크린 골프장을 구비한 무인텔 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무인텔의 하층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무인텔의 상층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무인텔은 기본적으로 외부에는 주차구역(201)이 구비되고 건물내 공용복도(208)를 두고 다수의 객실(204)이 배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근래에는 드라이브인 방식으로 객실별 단독주차가 가능한, 즉 차량의 개별 주차가 이루어지는 주차구역(201)으로부터 개별 출입문을 통해 객실로 바로 출입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사생활보호 및 타인과의 접촉을 피할 수 있는 형태의 무인텔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주차구역(201)은 물론 공용 출입문 및 공용계단과 이어지는 공용복도 측으로 구비된 또 다른 개별 출입문을 통해 객실 출입도 가능하다.
특히 첨부된 도면에서는 2층 구조로서 1층에 주차구역(201)에 주차 후 출입계단(207)을 통해 2층의 객실(204)로 출입할 수 있는 구조의 무인텔을 도시하고 있으며, 각 주차구역(201)에는 개별 셔터(202)가 구비되어 주차된 차량을 밖에서 확인할 수 없도록 할 뿐 아니라 비어있는 주차구역은 셔터(202)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들어오는 이용객이 비어있는 구역을 쉽게 찾아 주차할 수 있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에서 표시된 A ~ G의 주차구역은 도 2에서 표시된 A' ~ G'의 객실과 각각 연결되는 구조로 드라이브인 방식으로 운영되는 전형적인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신규 건축되는 무인텔 뿐 아니라 이와 같이 기존 이미 건축된 무인텔의 구조를 일부 변경하는 방식으로 비교적 쉽게 도입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종래 무인텔과의 구조적인 차이를 이해하기 쉽도록 종래 구조의 일부를 변경한 구조를 통해 설명이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텔의 하층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텔의 상층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텔 시스템의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 앞서 설명한 무인텔에 스크린 골프 설비(150)를 도입하는 것으로 상기 개별 출입문을 통해 객실과 연결되며 스크린골프 설비(150)를 구비한 골프룸(203)이 마련된다. 첨부된 도 3에서는 실시예로서 도 1에서의 주차구역 A ~ G 중 B, E, F 구역에 주차구역대신 골프룸(203)이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였다.
이는 종래 구조에서 주차구역(201)의 일부를 골프룸(203)으로 구조변경한 예시로 이외에도 기존 객실을 골프룸으로 구조 변경하거나 다른 용도의 공간을 변형하여 골프룸을 구성하는 등의 다양한 위치에 골프룸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골프룸의 위치를 구체적으로 한정하지는 않지만 기존 무인텔 대비 위화감을 일으킬 정도로 구조적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기존 구조물을 비교적 쉽게 변경할 수 있고, 무인운용에 따른 사생활 보호 등의 효과가 충실히 구현될 수 있도록 하층에 셔터(202)를 통해 출입구가 개폐되며 단독 주차가 이루어지는 주차구역(201)과, 상기 주차구역(201)에 측면으로 사이에 출입계단(207)을 두고 인접한 위치에 골프룸(203)을 마련한 형태를 제시한다. 이때 상기 객실(204)은 상기 출입계단(207)을 통해 연결되는 제1출입문(205) 및 공용복도(208)와 연결되는 제2출입문(206)을 통해 각각 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기타 용무를 위해 주차구역 외에도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골프룸(203)에 구비되는 스크린 골프 설비(150)은 기본적으로 스크린, 빔프로젝터, 잔디 매트를 구비한 타석, 볼 공급장치 및 회수장치를 포함하는 일반 스크린 골프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라 할 수 있으며, 기존 스크린 골프장에서 구현되는 라운딩이나 연습관련 컨텐츠가 실행된다.
첨부된 도면과 같은 구조에서는 실질적으로 A', D', G' 객실의 이용객이 각각 B, E, F 구역에 위치한 골프룸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B', E', F' 객실은 동일 시간대 드라이브인 방식의 주차구역 및 골프룸을 이용하지 않는 이용객이 사용하도록 운영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층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도 3, 4에서는 골프 룸과 연결된 객실, 즉 도면상으로 A', D', G' 객실의 이용객만 연결된 골프룸을 이용할 수 있는 구조이나 이를 확장하여 인접한 객실도 필요에 따라 함께 골프룸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변형된 구조이다.
이는 스크린 골프를 함께할 가족이나 일행이 많아 2개의 객실에 분산하여 머무르는 경우 등의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체크인부터 체크아웃 시간 중 일부만 골프룸 이용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비교적 고가의 스크린골프 설비가 운용되지 않음으로 인한 운영효율 저하를 방지하고 더욱 많은 이용객이 골프룸을 이용할 수 있는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물론 후자는 개별 객실로부터 골프룸을 출입할 수 있는 권한이 분산되어 상호 이용이 겹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첨부된 도 6에서는 A 주차구역 및 C 주차구역 상부에 각각 위치한 A' 및 C' 객실의 이용객이 B 구역 골프룸에 출입 가능한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각각 A 주차구역에서는 제3출입문(210), C 주차구역에서는 제3출입문(210')을 통해 가운데 골프룸에 출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객실에서 골프룸에 출입 가능한 구조에서는 제어신호에 의해 잠금 및 해제 가능한 도어락을 통해 양쪽 객실로부터 출입할 수 있는 제3출입문(210, 210')을 구성하고, 출입 가능시간을 각각 달리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제어하여, 출입권한이 부여된 시간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조치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 외에도 연결되지 않는 다른 객실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공동의 구역에 골프룸을 구성하되, 동일한 원리로 잠금이 가능한 출입문을 구성하여 인가된 시간에 해당 이용객에게만 이용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운영할 수도 있다.
또한, 스크린골프 시설을 기본으로 하되 동일한 형태로 공간을 확보하여 소형풀장을 비롯하여 안마의자나 놀이시설을 구비함으로 기본 무인텔의 이미지를 벗어나 넓은 객실과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및 가족단위의 이용객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설비를 갖춘 레저공간을 구성하고 다른 관광지에 비해 접근성을 향상시킴으로 여가활용에 따른 이동시간 및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크린 골프장을 구비한 무인텔의 운영을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관리모듈(110)과 모니터링모듈(120)이 구비되며, 이들 구성은 무인텔에 구비된 서버를 연동 구조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관리모듈(1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골프장을 구비한 무인텔의 효율적인 무인운용을 위한 구성으로 시설내 주요 위치에 설치된 포스기(130)나, 모바일 사용환경에서 이용객이 소지한 단말기(140)와의 연동을 통해 기능이 구현될 수 있으며, 세부구성으로 체크인관리부(111)와, 골프룸관리부(112)와, 체크아웃관리부(113)와, 예약처리부(114)와, 콘텐츠관리부(115)와, 시간관리부(116)와, 알림부(117)를 구비한다.
상기 체크인관리부(111)는 이용객으로부터 사용 요금결제를 처리하고 요금결제 처리에 따른 객실을 할당하여 출입권한을 부여하는 구성이다. 기본적으로 무인텔의 카운터나 상기 제1출입문(205) 또는 제2출입문(206) 앞에 결재기능을 갖는 포스기(130)를 구비하여 골프룸 이용료가 포함된 객실 이용료를 결재할 수 있도록 하거나, 모바일 내지는 온라인 환경에서 이용객이 소지한 단말기(140)와 연동하여 예약과 사용 요금결제가 이뤄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체크인관리부(111)는 요금결제가 이루어진 이후 해당 이용객에게 객실의 출입권한을 부여하여 지정된 시간 객실의 출입과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1출입문(205) 및 제2출입문(206)에 구비된 도어락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권한부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지정된 시간 유효한 전자 태그방식의 키나 번호키를 부여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고 후자의 경우 결재한 이용객이 번호키의 번호를 지정할 수도 있다.
상기 골프룸관리부(112)는 할당된 객실과 연결된 골프룸의 사용권한을 부여하는 구성으로, 첨부된 도 3 내지 4와 같이 골프룸(203)을 해당 주차구역(201) 및 객실(204)에서만 출입 가능한 구조에서는 골프룸(203)에 구비된 스크린골프 설비(150)의 동작을 활성화하는 방식으로 권한부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골프룸(203)의 출입을 위한 다른 출입문 즉 제3출입문(210)이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제3출입문(210, 21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키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해당 골프룸(203)의 사용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체크아웃관리부(113)는 할당된 객실의 사용종료에 따른 퇴실업무를 진행하는 구성으로, 대실, 숙박 등 결제요금에 해당하는 시간 종료시 이용객의 퇴실을 유도하고, 퇴실 이후 관리자가 이용구역의 정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후 체크인 가능한 공실로 관리되도록 한다.
상기 예약처리부(114)는 예약 결제처리에 따라 예약 시간대별 이용객에게 객실 및 골프룸의 진입 및 사용권한을 부여하는 구성이다. 이는 현장 결재가 아닌 온라인 환경에서 미리 예약을 하는 이용객을 대상으로 하는 구성으로, 결재시 사용을 위한 날짜를 미리 지정받아 해당 날짜 및 시간에 객실과 골프룸을 사용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게 된다.
이때 스크린골프는 부가적인 요소가 되므로 골프룸의 경우 객실사용시간 전체에 대응하여 사용권한을 부여받는 것보다 일부 원하는 시간대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 결제요금을 차등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콘텐츠관리부(115)는 상기 스크린골프 설비(150)와 연동하여 실행되는 콘텐츠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구성이다. 적용되는 스크린골프 설비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9홀인지 18홀 라운딩 콘텐츠인지 아니면 라운딩 없이 연습만 하는 콘텐츠인지 등을 비롯하여 진행되는 골프 콘텐츠가 언제 실행되어 진행중인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상기 시간관리부(116)는 스크린골프 설비(150)에서 실행되는 콘텐츠의 진행 및 잔여시간을 포함하는 시간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예약처리부와 연동하여 시간대별 예약 가능 여부를 반영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콘텐츠관리부(115)를 통해 어떤 콘텐츠가 실행 중인지 확인 후 콘텐츠 재생 시작과 진행시간을 파악함에 따라 현재까지의 진행상황을 바탕으로 대략적인 남은 시간을 예상할 수 있으며 이를 시간정보로 산출하게 된다. 물론 이용객에 따라서는 이후 또 연장하는 방식으로 골프룸(203)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상기 체크인관리부(111)나 예약처리부(114)에서 사용시간별 차등하여 요금결제가 이루어진 경우 실질적으로 남은 시간까지는 다른 이용객이 예약이나 사용을 할 수 없도록 시스템적으로 조치하게 된다.
상기 알림부(117)는 상기 시간관리부(116)를 통해 산출된 시간정보를 체크아웃 시간과 대비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 의도치 않게 사용시간의 연장이 필요한 경우 추가결제 등을 통해 연장할 수도 있으나 특히 체크아웃 시간을 넘겨 다른 사용자 및 관리적인 측면에서 불편함을 주지 않도록 시간정보를 체크아웃 시간과 함께 이용객이 볼 수 있도록 스크린골프 설비(150)의 스크린이나 소지한 단말기(140) 등을 통해 알려주게 된다.
상기 모니터링모듈(12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골프장을 구비한 무인텔의 무인운용에 따른 이용객의 편의 및 효과적인 사생활 보호를 지원하는 구성으로, 세부구성으로 모니터링부(121)와 연동부(122)와 추천부(123)를 구비한다.
상기 모니터링부(121)는 상기 주차구역(201)과 객실(204) 및 골프룸(203)의 사용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구성이다. 기본적으로 사용 여부를 시스템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구성으로 기본적으로 무인운영을 위해 구축되는 CCTV를 통해 주차구역(201)의 주차 여부를 비롯하여 사생활보호 차원에서 객실(204) 내부는 불가하더라도 출입문 밖에서 출입한 여부를 비롯하여 골프룸(203) 내외부의 영상을 통해 사용상황을 알 수 있으며, 차량이나 이용객을 존재를 감지할 수 있는 공지의 센서를 비롯하여 객실의 경우 전기 사용량 변화 등을 통해 사용상황을 파악 및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연동부(122)는 객실 및 골프룸을 사용 가능과 사용 중 및 정리 중으로 구분하여 사용 가능 상태의 객실을 체크인 가능하도록 상기 체크인관리부(111)와 연동하는 구성이다. 즉 다른 이용객이 이용중인 상태의 객실 및 골프룸을 비롯하여 체크아웃 이후 직원을 통해 정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의 객실 및 골프룸의 경우 기본적으로 체크인이 이루어질 수 없도록 하며 전자는 사용 중, 후자는 정리 중으로 구분하고 정리가 끝나 체크인 가능한 상태의 객실 및 골프룸은 사용 가능으로 구분되어 체크인관리부(111) 및 예약처리부(114)를 통해 이용객이 체크인 및 예약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추천부(123)는 각 객실 이용객의 예상 이동동선을 산출하되 체크인 가능 객실 이용객의 예상 이동동선과 체크인 완료된 타 객실 이용객의 예상 이동동선과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체크인 객실을 추천하는 구성이다.
무인텔의 장점 중 하나는 사생활 보호 기능으로 체크인 및 체크아웃 절차가 무인으로 이뤄질 뿐 아니라 특히 드라이브인 방식의 운용시 별도의 주차구역과 연결된 출입계단 및 제1출입문(205)을 통해 객실로 출입함으로 실질적으로 관리자나 다른 이용객과 마주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무인텔을 선호하는 이용객이 많다. 이에 본 발명에서 상기 추천부(123)는 시스템적으로 이러한 사생활 보호가 최적화될 수 있도록 객실 이용을 관리함으로 차량을 이용하는 이용객뿐 아니라 차량을 이용하지 않고 출입하는 이용객까지 다른 이용객과 마주치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한 이용객이 특정 객실을 이용시 해당 객실에 구비된 제1출입문(205) 및 제2출입문(206)을 통해 출입이 가능하며 특히 제2출입문(206)과 연결된 공용복도(208)나 공용계단(209)이 예상 이동동선이 된다. 이를 통해 각 객실의 이용객을 대상으로 예상 이동동선을 산출할 수 있으며, 신규 체크인이나 예약을 진행하는 이용객은 상기 추천부(123)를 통해 시설을 이용중인 또는 이용 예정인 기 이용객과의 이동동선과 겹침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객실을 파악하여 체크인이나 예약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10: 관리모듈 111: 체크인관리부
112: 골프룸관리부 113: 체크아웃관리부
114: 예약처리부 115: 콘텐츠관리부
116: 시간관리부 117: 알림부
120: 모니터링모듈 121: 모니터링부
122: 연동부 123: 추천부
130: 포스기 140: 단말기
150: 스크린골프 설비 201: 주차구역
202: 셔터 203: 골프룸
204: 객실 205: 제1출입문
206: 제2출입문 207: 출입계단
208: 공용복도 209: 공용계단
210: 제3출입문

Claims (5)

  1. 차량의 개별 주차가 이루어지는 주차구역(201)과, 공용복도(208) 및 상기 주차구역(201)과 연결된 개별 출입문을 통해 출입 가능한 객실(204)을 구비하는 무인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개별 출입문을 통해 객실(204)과 연결되며 스크린골프 설비(150)를 구비한 골프룸(203);
    이용객으로부터 사용 요금결제를 처리하고 요금결제 처리에 따른 객실을 할당하여 출입권한을 부여하는 체크인관리부(111)와, 할당된 객실과 연결된 골프룸의 사용권한을 부여하는 골프룸관리부(112)와, 할당된 객실의 사용종료에 따른 퇴실업무를 진행하는 체크아웃관리부(113)를 구비하는 관리모듈(110);
    상기 주차구역(201)과 객실(204) 및 골프룸(203)의 사용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121)와, 객실 및 골프룸을 사용 가능과 사용 중 및 정리 중으로 구분하여 사용 가능 상태의 객실을 체크인 가능하도록 상기 체크인관리부(111)와 연동하는 연동부(122)를 구비하는 모니터링모듈(12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장을 구비한 무인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모듈(120)은,
    각 객실 이용객의 예상 이동동선을 산출하되 체크인 가능 객실 이용객의 예상 이동동선과 체크인 완료된 타 객실 이용객의 예상 이동동선과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체크인 객실을 추천하는 추천부(1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장을 구비한 무인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모듈(110)은,
    예약 결제처리에 따라 예약 시간대별 이용객에게 객실 및 골프룸의 진입 및 사용권한을 부여하는 예약처리부(1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장을 구비한 무인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텔은,
    하층에 셔터(202)를 통해 출입구가 개폐되며 단독 주차가 이루어지는 주차구역(201)과, 상기 주차구역(201)에 측면으로 사이에 출입계단(207)을 두고 인접한 골프룸(203)이 마련되고,
    상기 객실(204)은 상기 출입계단을 통해 연결되는 제1출입문(205) 및 공용복도(208)와 연결되는 제2출입문(206)을 통해 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장을 구비한 무인텔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모듈(110)은,
    상기 스크린골프 설비(150)와 연동하여 실행되는 콘텐츠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콘텐츠관리부(115)와, 상기 실행되는 콘텐츠의 진행 및 잔여시간을 포함하는 시간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예약처리부(114)와 연동하여 시간대별 예약 가능 여부를 반영하는 시간관리부(116)와, 산출된 시간정보를 체크아웃 시간과 대비하여 출력하는 알림부(11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장을 구비한 무인텔 시스템.
KR1020220005725A 2022-01-14 2022-01-14 스크린 골프장을 구비한 무인텔 시스템 KR202301099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725A KR20230109907A (ko) 2022-01-14 2022-01-14 스크린 골프장을 구비한 무인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725A KR20230109907A (ko) 2022-01-14 2022-01-14 스크린 골프장을 구비한 무인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907A true KR20230109907A (ko) 2023-07-21

Family

ID=87429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725A KR20230109907A (ko) 2022-01-14 2022-01-14 스크린 골프장을 구비한 무인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990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758A (ko) 2019-04-19 2020-10-28 조준혁 무인텔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758A (ko) 2019-04-19 2020-10-28 조준혁 무인텔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24330A1 (en) Multi-unit dwelling system and building
Manzi et al. Gated communities as club goods: segregation or social cohesion?
US6209270B1 (en) Multilevel building with ramp
CN108230185A (zh) 一种多功能的自助入住智能系统和平台
US20180276928A1 (en) Hotel facility, system and method
US20070074471A1 (en) Hotel area for family reunions and the like
KR20130133532A (ko)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한 무인 숙박 시스템
US7526898B2 (en) Marketing, design, and construction techniques for buildings
Guide USAO
KR20230109907A (ko) 스크린 골프장을 구비한 무인텔 시스템
EP1385127A1 (en) Via internet website operated flexible admission and parking system for building complexes
US20220253927A1 (en) Pay-by-the-hour facility
JP7179675B2 (ja) 建物の施解錠制御システム
JP5431693B2 (ja) 建物遠隔監視システム
CN113159995A (zh) 一种多功能的自助入住智能系统和平台
Makachia Influence of house form on dweller-initiated transformations in urban housing
JP2005200828A (ja) プライベート及びパブリック兼用宿泊施設
JP2009003626A (ja) サークルクラブハウス
Sarkissian et al. Social Issues and Trends Associated with Medium-to High-Density Urban Living
Sonmezsoy et al. UBC Bicycle Parking Requirement: Residential Assessment
JP2021103488A (ja) 建物の屋内構造および部分入室システム
US20210383628A1 (en) Space management device
Mahoney et al. Facility planning, design, and management of mobility assistance programs: Review and recommendations of accessible routes from super bowl XLV
JP7487449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998293B2 (ja) 空間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