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9874A - Damping apparatus for vehicle seats - Google Patents

Damping apparatus for vehicle sea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9874A
KR20230109874A KR1020220005653A KR20220005653A KR20230109874A KR 20230109874 A KR20230109874 A KR 20230109874A KR 1020220005653 A KR1020220005653 A KR 1020220005653A KR 20220005653 A KR20220005653 A KR 20220005653A KR 20230109874 A KR20230109874 A KR 20230109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oupled
channel
moving shaft
upper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6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오형
Original Assignee
명보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보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보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5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9874A/en
Publication of KR20230109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874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6Seat guided by rods
    • B60N2/508Scissors-lik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5Adjustable suspension including 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 하부찬넬 및 상기 상, 하부찬넬의 사이에 설치되며 "X"형태로 서로 교차된 상태에서 그 교차점에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1, 2링크로 구성한 차량 시트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찬넬은 측면부, 상기 측면부의 상, 하면에 절곡 형성되는 상, 하면부로 구성하며 상기 측면부, 상, 하면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안내홈 및 상기 하면부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로 구성하며, 상기 제 1링크의 일단에는 이동샤프트가 결합되고, 상기 이동샤프트의 양단에는 상기 상부찬넬의 안내홈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 이동하는 롤러부재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이동샤프트의 양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찬넬의 연장부 상측에 접촉하는 이너롤러, 상기 이너롤러의 외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이동샤프트의 양단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찬넬의 상면부 하측에 접촉하는 아우터롤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완충장치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seat shock absorber composed of upper and lower channels and first and second link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hannels and rotating about an axis coupled to the intersection in a state of crossing each other in an "X" shape, wherein the upper channel is composed of a side surface and upper and lower surfaces bent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ide surface, and is composed of a guide groove formed inside the side surfac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an extension part extending at the end of the lower surface, and one end of the first link A movable shaft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ovable shaft, roller members that rotate and mov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of the upper channel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roller members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ovable shaft and are composed of an inner roller contacting the upper side of the extension of the upper channel, and an outer roller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ovable shaft while being located outside the inner roller and contacting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hannel. suggests

Description

차량 시트 완충장치{Damping apparatus for vehicle seats}Vehicle seat shock absorber {Damping apparatus for vehicle seats}

본 발명은 차량 시트 완충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샤프트의 양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 하부찬넬의 안내홈을 타고 이동하는 롤러부재를 이너롤러 및 아우터롤러의 더블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롤러부재와 찬넬 간 유격이 발생하더라도 롤러의 슬립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시트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eat shock absorb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seat shock absorber in which a roller member moving along guide grooves of upper and lower channels in a state coupled to both ends of a moving shaft has a double structure of an inner roller and an outer roller, thereby preventing the roller from slipping even when a gap between the roller member and the channel occurs.

일반적으로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원인에는 울퉁불퉁한 노면과 타이어와의 접촉, 엔진의 거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 등 무수히 많은 요소가 있다. 이로 인하여 발생한 진동은 차량에 따라 강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차량 탑승자에게 불쾌감과 피로감을 느끼게 하는 등 차량의 승차감을 나쁘게 만들며, 소음을 발생시켜 소음 스트레스를 유발하게 된다. 상기 진동은 자동차 시트에서도 또한 발생하고 이는 억제되어야 하며, 이를 해결 하기 위해 자동차의 시트에 설치되어 진동을 감쇠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진동 방지 장치가 시도되어 왔으며, 댐핑장치와 에어스프링 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In general, there are numerous factors such as contact between a bumpy road surface and a tire, and vibration generated by the behavior of an engine as causes of vibration generated in a vehicle.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is may have a difference in intensity depending on the vehicle, but it makes the ride quality of the vehicle worse, such as making the vehicle occupants feel uncomfortable and fatigued, and generates noise to induce noise stress. The vibration also occurs in the car seat and needs to be suppress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types of anti-vibration devices installed on the car seat and damping the vibration have been tried, and a damping device and an air spring device are exemplified.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05-0065877 호(명칭: 차량용 시트의 에어 서스펜션 장치)에서 제시되는 에어 스프링 장치는 지지프레임의 교차점에 축 결합되어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의 곡선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캠부재의 회동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눌려지며 스위칭되는 복수개의 핀들과, 상기 핀들의 동작에 따라 공기를 에어튜브로 공급 및 배출시키는 에어밸브를 포함하여 구성한다.The air spring device disclosed in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Publication No. 10-2005-0065877 (name: air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seat) includes a cam member that is shaft-coupled to an intersection of support frames and rotates around the axis, a plurality of pins that are selectively pressed and switch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cam member in contact with the curved surface of the cam member, and an air valve that supplies and discharges air to and from the air tub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ins to compose

즉, 도로변의 요철 등 불규칙한 구간을 운행하는 과정에서 진동으로 충격이 발생하면 지지대는 교차점을 중심으로 오무려지게 되는 데, 이때 캠부재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어느 하나의 핀을 눌러 에어밸브의 공급밸브를 동작시키면 에어튜브는 공급된 공기압력으로 팽창하며 충격을 흡수한 후, 운전석 시트의 높이를 처음 설정된 높이로 복귀시키게 된다.That is, when an impact occurs due to vibration while driving on irregular sections such as bumps along the roadside, the support is folded around the intersection. At this time, the cam member rotates around the axis, and when one of the pins is pressed to operate the supply valve of the air valve, the air tube expands with the supplied air pressure, absorbs the shock, and returns the height of the driver's seat to the initially set height.

한편, 상기 자동차 시트의 아래에는 에어밸브의 동작에 따라 시트를 상, 하 이동시켜 시트의 충격을 완화시킴과 더불어 시트를 초기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프레임 구조의 완충장치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a shock absorber of a frame structure is installed under the car seat to move the seat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ir valve to mitigate the impact of the seat and return the seat to an initial state.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04-0014907 호(명칭: 차량용 의자의 완충높이 조정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를 예로 들 수 있다.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Publication No. 10-2004-0014907 (Name: Buffer Height Adjuster for Vehicle Sea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may be exemplified.

상기 선행기술은 차량용 의자의 하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사각틀체 형상의 상·하부프레임이 'X'형 링크에 의해 결합되고, 상·하부프레임이 유압쇼바와 에어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캠에 의하여 에어컨트롤밸브의 공기주입핀과 공기방출핀이 작동되어 공기 압축기의 공기를 에어스프링 내부로 주입 시키거나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의자의 완충높이 자동조정장치로서, 공기주입핀과 공기방출핀이 형성된 에어컨트롤밸브가 상부프레임의 지지판에 고정되고,캠 및 작동편이 수평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축에 고정되어 상부프레임의 지지판에 고정되며,상부프레임의 이동축에 고정된 컨트롤핀이 작동편의 핀구멍에 삽입되어 이동축이 운동할 때 마다 작동편이 회전하며 캠을 회전시키고,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캠이 에어컨트롤밸브의 공기주입핀과 공기방출핀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The prior art i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a vehicle chair, and the upper and lower frames in the shape of a square frame are coupled by an 'X' type link, the upper and lower frames are elastically supported by a hydraulic shock absorber and an air spring, and an air injection pin and an air release pin of an air conditioner control valve are operated by a cam to inject or discharge air from an air compressor into the air spring. As an automatic buffer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a vehicle chair, the air injection pin and air release pin are formed. The air-conditioning control valve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of the upper frame, the cam and the operating piece are fixed to the fixed shaft so that they can rotate horizontally and are fixed to the support plate of the upper frame, and the control pin fixed to the moving shaft of the upper frame is inserted into the pin hole of the operating piece. Whenever the moving shaft moves, the operating piece rotates and rotates the cam, and the cam rot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presses the air injection pin and the air release pin of the air-conditioning control valve.

한편, 선행기술에서는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이동축의 양단에 롤러를 설치하여, 이동축이 상, 하부프레임을 타고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ior art, rollers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moving shaft, as shown in the attached FIG. 1, so that the moving shaft can easily move along the upper and lower frames.

일 예로, 상부프레임을 타고 이동하는 롤러(160)를 대표하여 기술하면 상기 롤러(160)는 이동과정에서 상부프레임(1109)과의 유격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데, 이러한 유격 현상은 롤러(160)의 회전을 방해하여 롤러(160)가 회전하지 못하고 슬립되어 버리는 경우가 발생하는 데, 롤러(160)의 슬립은 결과적으로 'X'형 링크의 동작이 원할히 진행되지 못하고 순간적으로 'X'형 링크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동작이 발생하여 시트의 안정적이면서도 정숙한 완충 기능을 구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For example, when describing the roller 160 moving on the upper frame, the roller 160 inevitably has a gap with the upper frame 1109 during the movement process. This gap hinders the rotation of the roller 160, so that the roller 160 cannot rotate and slip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stable and quiet cushioning function of the seat cannot be implemented due to an unfolding operation.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05-0065877 호Document 1: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Publication No. 10-2005-0065877 문헌 2: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04-0014907 호Document 2: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Publication No. 10-2004-0014907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샤프트의 양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 하부찬넬의 안내홈을 타고 이동하는 롤러부재를 이너롤러 및 아우터롤러의 더블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롤러부재와 찬넬 간 유격이 발생하더라도 롤러의 슬립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시트 완충장치를 제공한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vehicle seat shock absorber capable of preventing the roller from slipping even if a gap between the roller member and the channel occurs by having a roller member moving along the guide grooves of the upper and lower channels in a stat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oving shaft to have a double structure of an inner roller and an outer roll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 하부찬넬의 하단부를 상단부 보다 길게 연장 형성하여 이너롤러는 상, 하부찬넬의 상단부 내면에 접촉하고, 아우터롤러는 상, 하부찬넬의 하단부 내면에 접촉하도록 한 차량 시트 완충장치를 제공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seat shock absorber in which the low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channels are extended longer than the upper ends so that the inner rollers contact the inner surfaces of the upp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channels, and the outer rollers contact the inner surfaces of the low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channel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 하부찬넬 및 상기 상, 하부찬넬의 사이에 설치되며 "X"형태로 서로 교차된 상태에서 그 교차점에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1, 2링크로 구성한 차량 시트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찬넬은 측면부, 상기 측면부의 상, 하면에 절곡 형성되는 상, 하면부로 구성하며 상기 측면부, 상, 하면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안내홈 및 상기 하면부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로 구성하며, 상기 제 1링크의 일단에는 이동샤프트가 결합되고, 상기 이동샤프트의 양단에는 상기 상부찬넬의 안내홈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 이동하는 롤러부재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이동샤프트의 양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찬넬의 연장부 상측에 접촉하는 이너롤러, 상기 이너롤러의 외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이동샤프트의 양단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찬넬의 상면부 하측에 접촉하는 아우터롤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vehicle seat shock absorber composed of upper and lower channels and first and second link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hannels and rotating about an axis coupled to the intersection while crossing each other in an "X" shape. A movable shaft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link, and roller members that rotate and mov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of the upper channel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ovable shaft, and the roller members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ovable shaft, and the inner roller contacts the upper side of the extension of the upper channel, and the outer roller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ovable shaft while being located outside the inner roller and contacts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hannel. to be characterized

상기 아우터롤러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부의 외측은 라운드 처리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찬넬의 측면부 내측에 접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side of the side part constituting the side surface of the outer roller is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side part of the upper channel in a rounded state.

상기 제 2링크의 일단에는 이동샤프트가 결합되고, 상기 이동샤프트의 양단에는 상기 롤러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상부찬넬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된 상기 하부찬넬의 안내홈에 각각 삽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movable shaft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link, and the roller members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ovable shaft, and the roller members ar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of the lower channel, which have the same shape as the upper channel.

본 발명은 이동샤프트의 양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 하부찬넬의 안내홈을 타고 이동하는 롤러부재를 이너롤러 및 아우터롤러의 더블구조를 가지도록 하고, 여기에 상, 하부찬넬의 하단부를 상단부 보다 길게 연장 형성하여 이너롤러는 상, 하부찬넬의 상단부 내면에 접촉하고, 아우터롤러는 상, 하부찬넬의 하단부 내면에 접촉하도록 하여 롤러부재와 찬넬 간 유격이 발생하더라도 롤러의 슬립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작용 효과를 가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er member moving along the guide grooves of the upper and lower channels in the state of being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oving shaft has a double structure of inner rollers and outer rollers, and the low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channels are extended longer than the upper ends so that the inner roller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and lower channels, and the outer roller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upper and lower channels, so that even if there is a gap between the roller member and the channel, slipping of the roller can be prevented. have an effect

도 1은 종래 차량 시트 완충장치에서 롤러와 이동샤프트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차량 시트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차량 시트 완충장치의 높이가 낮아지며 완충 기능을 구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측면도
도 5는 도 2의 정면도.
도 6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차량 시트 완충장치에서 롤러부재와 이동샤프트의 연결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결합 단면도.
1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roller and a moving shaft in a conventional vehicle seat shock absorber.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seat shock absor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ight of the vehicle seat shock absorber in FIG. 2 is lowered and the shock absorber function is implemented.
Figure 4 is a side view of Figure 2
Figure 5 is a front view of Figure 2;
6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roller member and a moving shaft in the vehicle seat shock absorber shown in FIG. 2;
Figure 7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6;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a represent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resente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d other embodiments that can be presented as the present invention are replaced by descriptio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차량 시트 완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서 차량 시트 완충장치의 높이가 낮아지며 완충 기능을 구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정면도이다.Attached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seat shock absorber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ight of the vehicle seat shock absorber in FIG. 2 is lowered and the shock absorber function is implemented, Figure 4 is a side view of FIG. 2, and FIG.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완충장치는 차량용 시트를 받쳐주며 에어스프링의 작동으로 상기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며 시트로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수단이다.As shown in Figures 2 to 5, the shock absorber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supporting the vehicl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by the operation of the air spring, and mitigating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seat.

상기 완충장치는 상, 하부찬넬(10, 20), 상기 상, 하부찬넬(10, 20)의 사이에 위치하며 서로 교차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그 교차점에 축(50)을 결합하여, 상기 축(50)을 중심으로 펼쳐지거나 좁혀지는 동작을 수행하는 한 쌍의 제 1, 2링크(30, 40)로 구성한다.The shock absorber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hannels 10 and 20, and is composed of a pair of first and second links 30 and 40, which ar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and engage a shaft 50 at the intersection to perform an operation of expanding or narrowing around the shaft 50.

상기 상, 하부찬넬(10, 20)은 동일한 구조로 성형되어 상, 하 서로 수직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위치하며 시트를 지탱하는 구조물이다.The upper and lower channels 10 and 20 are molded in the same structure and positioned vertically apart from each other at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are structures that support the sheet.

상기 상부찬넬(10)은 상기 시트의 하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ㄷ"단면 형태를 가지도록 측면부(12), 상기 측면부(12)의 상, 하면에 절곡 형성되는 상, 하면부(14, 16)로 구성하며 상기 측면부(12) 및 상, 하면부(14, 16)의 내측에는 롤러부재(60)가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홈(18)이 마련된다.The upper channel 10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heet and is composed of a side portion 12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c" and upper and lower portions 14 and 16 bent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ide portion 12. Guide grooves 18 are provided inside the side portion 12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14 and 16 so that the roller member 60 can rotate and move.

상기 상부찬넬(10)에서 상, 하면부(14, 16)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데, 바람직하게는 하면부(16)의 길이가 상면부(14)의 길이보다 더 길도록 하면부(16)의 단부에 연장부(19)가 일체 더 연장 형성된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In the upper channel 10, the length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14 and 16 are form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Preferably, the length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16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14, so that the lower portion 16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extension part 19 is integrally extended at the end.

상기 하면부(16)의 연장부(19)에는 제 1링크(30)의 이동샤프트(32)에 결합되어 있는 롤러부재(60)인 이너롤러(70)가 접촉하며 회전 이동하게 된다.The inner roller 70, which is a roller member 60 coupled to the moving shaft 32 of the first link 30, contacts the extension 19 of the lower surface 16 and rotates.

상기 하부찬넬(20)은 상기 상부찬넬(10)의 아래에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위치하며 차체 바닥면에 지지되는 부재로서, 상기 하부찬넬(20)은 상부찬넬(10)과 동일한 구조, 즉 "ㄷ"단면 형태를 가지도록 측면부(22), 상기 측면부(22)의 상, 하면에 절곡 형성되는 상, 하면부(24, 26)로 구성하며 상기 측면부(22) 및 상, 하면부(24, 26)의 내측에는 롤러부재(60)가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홈(28)이 마련되도록 하며, 또한 하면부(26)의 단부에는 연장부(29)를 일체 연장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29)에는 제 2링크(40)의 이동샤프트(42)에 결합되어 있는 롤러부재(60)의 이너롤러(70)가 접촉하며 회전 이동하도록 한다. The lower channel 20 is a member located under the upper channel 10 at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body. The lower channel 20 is composed of a side portion 22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upper channel 10, that is, a "c" cross-section shape, and upper and lower bottom portions 24 and 26 bent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ide portion 22, and the side portion 22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24, A guide groove 28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26) so that the roller member 60 can rotate and move, and an extension 29 is integrally formed at the end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26, and the inner roller 70 of the roller member 60 coupled to the moving shaft 42 of the second link 40 is in contact with the extension 29 to rotate and move.

상기 제 1, 2링크(30, 40)는 상기 상, 하부찬넬(10, 20)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상, 하부찬넬(10, 2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수단이다.The first and second links 30 and 40 are loca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hannels 10 and 20 and are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upper and lower channels 10 and 20 .

상기 제 1링크(30)의 일단에는 이동샤프트(32)가 결합되고, 상기 제 1링크(30)의 타단에는 고정샤프트(34)가 결합된다.A moving shaft 32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link 30, and a fixed shaft 34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30.

상기 제 1링크(30)의 이동샤프트(32)의 양단은 상기 상부찬넬(10)의 안내홈(18)에 끼워진 상태에서 롤러부재(60)로 연결되어, 시트의 높낮이 조절시 상기 롤러부재(60)의 회전 이동에 따라 상기 안내홈(18)을 타고 이동한다.Both ends of the moving shaft 32 of the first link 30 are connected to the roller member 6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8 of the upper channel 10, and move along the guide groove 18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ller member 60 whe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상기 제 1링크(30)의 고정샤프트(34)는 상기 하부찬넬(20)의 안내홈(28)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The fixing shaft 34 of the first link 30 is fix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8 of the lower channel 20 .

상기 제 2링크(40)의 일단에는 이동샤프트(24)가 결합되고, 상기 제 2링크(40)의 타단에는 고정샤프트(44)가 결합된다.A moving shaft 24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link 40, and a fixed shaft 44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40.

상기 제 2링크(40)의 이동샤프트(42) 양단은 상기 하부찬넬(20)의 안내홈(28)에 끼워진 상태에서 롤러부재(160)로 연결되어, 시트의 높낮이 조절시 상기 롤러부재(160)의 회전 이동에 따라 상기 안내홈(28)을 타고 이동한다.Both ends of the moving shaft 42 of the second link 40 are connected to the roller member 16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8 of the lower channel 20, and move along the guide groove 28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ller member 160 whe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상기 제 2링크(40)의 고정샤프트(34)는 상기 상부찬넬(10)의 안내홈(18)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The fixing shaft 34 of the second link 40 is fix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8 of the upper channel 10 .

상기 롤러부재(60)는 동일한 구조로 하여 상기 제 1, 2링크(30, 40)의 이동샤프트(32, 42) 양단에 결합되어 충격 발생시 시트의 높이를 조절하며 시트에 탑승한 사용자에게 전해지는 충격을 감쇄시키게 된다.The roller member 60 has the same structure and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oving shafts 32 and 42 of the first and second links 30 and 4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eat when an impact occurs and to attenuate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user riding on the seat.

도 6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차량 시트 완충장치에서 제 1링크(30)의 이동샤프트(32)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는 롤러부재(60)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 단면도이다.6 is a view showing a roller member 60 coupled to one end of the moving shaft 32 of the first link 30 in the vehicle seat shock absorber shown in FIG. 2, and FIG. 7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6.

도 6과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롤러부재(60)는 이너롤러(70) 및 아우터롤러(80)의 더블 롤러 구조를 가진다.As shown in FIGS. 6 and 7 , the roller member 60 has a double roller structure of an inner roller 70 and an outer roller 80 .

상기 이너롤러(70)는 이동샤프트(32)의 일단 외경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찬넬(10)의 안내홈(18)에 삽입되되, 상기 상부찬넬(10)의 하면부(16)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있는 연장부(19)에 접촉하는 롤러로서 전체적으로 링 형태를 가진다.The inner roller 7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8 of the upper channel 10 in a state where one end of the moving shaft 32 is inserted into the outer diameter, and is a roller that contacts the extension portion 19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16 of the upper channel 10, and has a ring shape as a whole.

상기 아우터롤러(80)는 상기 이너롤러(70)가 끼워져 있는 이동샤프트(32)의 외경에 끼워지며 상기 상부찬넬(10)의 안내홈(18)에 삽입되는 롤러이다. The outer roller 80 is a roller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8 of the upper channel 10 and inserted into the outer diameter of the moving shaft 32 into which the inner roller 70 is inserted.

상기 아우터롤러(80)는 상기 상부찬넬(10)의 형상과 동일하도록 측면부(82) 및 상기 측면부(82)의 양단에 절곡 형성되는 상, 하면부(84, 86)로 구성한다.The outer roller 80 is composed of a side portion 82 and upper and lower portions 84 and 86 bent at both ends of the side portion 82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upper channel 10 .

상기 아우터롤러(80)는 상기 이동샤프트(32)에 끼워지고 나면 상기 측면부(82)는 상기 상부찬넬(10)의 측면부(12) 내측에 접촉하며 회전 이동과정에서 이동샤프트(32)의 일단에서 빠져나오지 않고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After the outer roller 80 is inserted into the moving shaft 32, the side part 82 contacts the inside of the side part 12 of the upper channel 10 and maintains a coupled state without coming out of one end of the moving shaft 32 during rotation.

상기 아우터롤러(80)의 이탈방지효과는 결과적으로 아우터롤러(80)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이너롤러(70)의 외측 이탈을 자연스럽게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outer roller 80 can naturally prevent the outer roller 80 from escaping from the outside of the inner roller 70 located inside the outer roller 80 .

상기 아우터롤러(80)의 측면부(82)는 상부찬넬(10)의 측면부(12) 내면에 면접촉하지 않도록 둥글게 라운드(81) 처리하여 접촉면적 증가로 인한 마찰로 회전을 간섭받지 않도록 한다. The side part 82 of the outer roller 80 is rounded 81 so as not to make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art 12 of the upper channel 10, so that the rotation is not interfered with due to friction due to the increased contact area.

상기 아우터롤러(80)는 상기 상부찬넬(10)의 안내홈(18)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 이동시 상기 상부찬넬(10)의 상면부(12) 내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즉, 상기 아우터롤러(80)는 상부찬넬(10)의 상면부(14)에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이너롤러(70)는 상부찬넬(10)의 하면부(16)에 마련된 연장부(19)에 접촉하도록 하여 아우터롤러(80)와 상부찬넬(10)의 안내홈(12)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더라도 이너롤러(70)가 하면부(16)의 연장부(19)에 접촉하게 됨으로서 유격으로 인한 흔들림을 보상하게 됨은 물론 유격이 발생하더라도 롤러부재(60)의 슬립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시트의 안정적이면서도 정숙한 완충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outer roller 80 rotates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8 of the upper channel 10, it rotates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12 of the upper channel 10. That is, the outer roller 80 contacts the upper surface 14 of the upper channel 10, and the inner roller 70 contacts the extension 19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16 of the upper channel 10, so that even if a gap occurs between the outer roller 80 and the guide groove 12 of the upper channel 10, the inner roller 70 maintains the extension 19 of the lower surface 16. By coming into contact with, not only compensates for the shaking caused by the play, but also prevents the slip phenomenon of the roller member 60 in advance even if the play occurs, so that a stable and quiet buffering function of the seat can be implement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 시트 완충장치는 차량의 시트 아래에 설치된 상태에서 요철 구간이나 기타 운행과정에서 충격이 발생하면 시트를 받쳐주고 있는 상부찬넬(10)은 아래로 내려가며 충격을 흡수하는 데, 이때 상부찬넬(10)의 높낮이는 상, 하부찬넬(10, 20)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X형링크의 동작으로 가능해진다.In the vehicle seat shock absorb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an impact occurs during an uneven section or other driving process while installed under the seat of a vehicle, the upper channel 10 supporting the seat descends and absorbs the shock.

즉, 상부찬넬(10)로 하중이 가해지면 X형링크를 구성하는 제 1, 2링크(30, 40)는 축(50)을 기점으로 해서 회전하며 상부찬넬(10)이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upper channel 10, the first and second links 30 and 40 constituting the X-shaped link rotate with the shaft 50 as the starting point, allowing the upper channel 10 to descend.

이때 제 1링크(30)의 이동샤프트(32)는 상부찬넬(10)의 안내홈(18)을 타고 이동하게 되고, 제 2링크(40)의 이동샤프트(42)는 하부찬넬(20)의 안내홈(28)을 타고 이동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제 1, 2링크(30, 40)의 이동샤프트(32, 42) 양단에 결합되어 있는 롤러부재(60)는 상부찬넬(10) 및 하부찬넬(20)의 안내홈(18, 28)을 타고 회전 이동하며 제 1, 2링크(30, 40)가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moving shaft 32 of the first link 30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18 of the upper channel 10, and the moving shaft 42 of the second link 40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28 of the lower channel 20. It rotates along the guide grooves 18 and 28 of the nel 10 and the lower channel 20 and guides the first and second links 30 and 40 to move stably.

특히, 본 발명은 롤러부재(60)를 이너(70) 및 아우터롤러(80)의 더블롤러 구조를 채택하여, 예를 들어 상부찬넬(10)과 이동샤프트(32)의 연결 구조에서 상기 상부찬넬(10)의 하부면(16)에 연장된 연장부(19)에는 이너롤러(70)가 접촉하고. 상부찬넬(10)의 상면부(12)에는 아우터롤러(80)가 접촉하도록 함으로서 상부찬넬(10)의 안내홈(18)과 아우터롤러(8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더라도 이너롤러(70)가 연장부(19)에 안정적으로 접촉하게 됨으로서 유격이 발생하더라도 롤러부재(60)가 회전하지 못하고 슬립되는 등의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시트의 안정적이면서도 정숙한 완충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double roller structure of the inner 70 and the outer roller 80 for the roller member 60, so that the inner roller 70 is in contact with the extension 19 extending to the lower surface 16 of the upper channel 10 in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upper channel 10 and the moving shaft 32, for example. By bringing the outer roller 80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12 of the upper channel 10, even if a gap occurs between the guide groove 18 of the upper channel 10 and the outer roller 80, the inner roller 70 is in stable contact with the extension 19. Even if a gap occurs, the roller member 60 cannot rotate and slip, etc., can be prevented to implement a stable and quiet buffering function of the seat. can

10:상부찬넬 12: 측면부
14: 상면부 16: 하면부
18: 안내홈 19: 연장부
20: 하부찬넬 30: 제 1링크
32: 이동샤프트 40: 제 2링크
42: 이동샤프트
10: upper channel 12: side part
14: upper surface 16: lower surface
18: guide groove 19: extension
20: lower channel 30: first link
32: moving shaft 40: second link
42: moving shaft

Claims (3)

상, 하부찬넬(10, 20) 및 상기 상, 하부찬넬(10, 20)의 사이에 설치되며 "X"형태로 서로 교차된 상태에서 그 교차점에 결합된 축(5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1, 2링크(30, 40)로 구성한 차량 시트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찬넬(10)은 측면부(12), 상기 측면부(12)의 상, 하면에 절곡 형성되는 상, 하면부(14, 16), 상기 측면부(12)와, 상, 하면부(14, 16)의 내측에 형성되는 안내홈(18) 및 상기 하면부(16)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19)로 구성하며;
상기 제 1링크(30)의 일단에는 이동샤프트(32)가 결합되고, 상기 이동샤프트(32)의 양단에는 상기 상부찬넬(10)의 안내홈(18)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 이동하는 롤러부재(60)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롤러부재(60)는;
상기 이동샤프트(32)의 양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찬넬(10)의 연장부(19) 상측에 접촉하는 이너롤러(70);
상기 이너롤러(70)의 외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이동샤프트(32)의 양단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찬넬(10)의 상면부(12) 하측에 접촉하는 아우터롤러(8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완충장치.
In a vehicle seat shock absorber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links (30, 40)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hannels (10, 20) and the upper and lower channels (10, 20) and rotating around an axis (50) coupled to the intersection point in a state of crossing each other in an "X" shape,
The upper channel 10 includes a side surface 12, upper and lower surfaces 14 and 16 bent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ide surface 12, the side surface 12, and a guide groove 18 formed insid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14 and 16, and an extension 19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lower surface 16;
A moving shaft 32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link 30, and roller members 60 that rotate and mov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18 of the upper channel 10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oving shaft 32;
The roller member 60;
an inner roller 70 contacting the upper side of the extension part 19 of the upper channel 10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oving shaft 32;
A vehicle seat shock absorb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n outer roller 80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oving shaft 32 in a state located outside the inner roller 70 and contacting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12 of the upper channel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롤러(80)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부(82)의 외측은 라운드(81) 처리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찬넬(10)의 측면부(12) 내측에 접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완충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side of the side part 82 constituting the side surface of the outer roller 80 is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side part 12 of the upper channel 10 in a round 81 treated state. Vehicle seat shock absorb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링크(40)의 일단에는 이동샤프트(42)가 결합되고, 상기 이동샤프트(42)의 양단에는 상기 롤러부재(60)가 결합되며, 상기 롤러부재(60)는 상기 상부찬넬(10)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된 상기 하부찬넬(20)의 안내홈(28)에 각각 삽입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완충장치.
According to claim 2,
A moving shaft 42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link 40, and the roller member 60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oving shaft 42, and the roller member 60 is the upper channel 10. Vehicle seat shock absorber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28 of the lower channel 20, respectively.
KR1020220005653A 2022-01-14 2022-01-14 Damping apparatus for vehicle seats KR2023010987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653A KR20230109874A (en) 2022-01-14 2022-01-14 Damping apparatus for vehicle sea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653A KR20230109874A (en) 2022-01-14 2022-01-14 Damping apparatus for vehicle sea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874A true KR20230109874A (en) 2023-07-21

Family

ID=87429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653A KR20230109874A (en) 2022-01-14 2022-01-14 Damping apparatus for vehicle sea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9874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907A (en) 2003-06-30 2004-02-18 이원컴포텍 주식회사 Automatic height adjustable air suspension for car
KR20050065877A (en) 2003-12-26 2005-06-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ir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sea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907A (en) 2003-06-30 2004-02-18 이원컴포텍 주식회사 Automatic height adjustable air suspension for car
KR20050065877A (en) 2003-12-26 2005-06-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ir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se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16622A (en) Seat suspension
KR20230109874A (en) Damping apparatus for vehicle seats
KR100638418B1 (en) Suspension device vehicle seat
KR101067915B1 (en) Installation Groove of cargo screen for vehicle
JP2005104425A (en) Seat for vehicle
JP6077950B2 (en) Air suspension type seat support device for vehicles
KR20200091753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shock power of seat in vehicle
KR101805868B1 (en) Torsion spring assembly for vehicle seat
KR102320225B1 (en) length and attenuation adjustable inverted air suspension
KR101901195B1 (en) Suspension for vehicle seat and damping force adjuster thereof
KR200422884Y1 (en) a apparatus to reduce an impact for a car seat
KR20220052646A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with leaf spring
KR101219936B1 (en) Rear independent suspension with non linear spring property
KR200245831Y1 (en) Shock Absorber makeing use of Oil pressure
KR100889436B1 (en) Active headrest of vehicle seat
KR200203918Y1 (en) A absorber of seat in automobile
JP7398314B2 (en)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seat and bushing for the device
KR20080030748A (en) Shock absorber for variable damping
KR200217274Y1 (en) Pressure adjuster of air spring used in seat for vehicle
KR102376416B1 (en) Suspension apparatus for vehicle seat
JP5380251B2 (en) Air suspension type seat support device for vehicles
JP7334307B1 (en) Seat support device and vehicle seat
JP7334306B1 (en) Seat support device and vehicle seat
KR101744994B1 (en) A Friction Reduction Type Shock Absorbor
KR200293213Y1 (en) a chair absorb control apparatus for a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